KR20230067878A -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878A
KR20230067878A KR1020210153592A KR20210153592A KR20230067878A KR 20230067878 A KR20230067878 A KR 20230067878A KR 1020210153592 A KR1020210153592 A KR 1020210153592A KR 20210153592 A KR20210153592 A KR 20210153592A KR 20230067878 A KR20230067878 A KR 20230067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s
complexes
real estate
user
com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476B1 (ko
Inventor
정요한
Original Assignee
정요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요한 filed Critical 정요한
Priority to KR102021015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4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부동산 단지인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는 단지 추천부,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하는 단지 비교부 및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상세 정보 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목들은 세대들의 조망, 일사량 또는 개방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ng real estate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부동산 단지들을 비교하고, 특정된 부동산 단지와 특정된 세대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과거부터 수행되어 온 부동산 거래의 전통적인 형태에서는 부동산 수요자(예컨대, 부동산 매수인, 부동산 임차인 등)가 희망 지역 내 부동산 중개 업소를 직접 방문하여 부동산을 소개받아 상기 부동산이 마음에 들면 부동산 공급자(예컨대, 부동산 매도인, 부동산 임대인 등)와 계약을 체결하였다. 따라서 전통적인 부동산 거래 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동산 수요자가 여러 희망 지역 내 부동산 중개 업소들을 일일이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내지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인터넷 기술이 보편화되어 있는 오늘날에는 과거 부동산 중개 업소를 통해서 얻을 수 있었던 부동산 매물 정보가 인터넷 웹사이트에서도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부동산 중개 업소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매물에 대한 정보를 자신이 직접 운영하는 인터넷 웹사이트나 부동산 정보 제공업체들(네이버부동산, 다음부동산, 부동산114, 직방, 다방 등)이 운영하는 인터넷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부동산 수요자는 장소나 시간의 제한 없이 상기 인터넷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부동산 매물을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부동산 정보 제공업체들은 특정된 하나의 부동산 매물에 대한 가격, 위치, 평수, 내부 사진 등을 제공할 뿐, 다른 부동산 매물과의 비교가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지 못한다. 즉, 부동산 수요자는 플랫폼 상에서 각각의 부동산 매물을 클릭하여 확인하는 방법 외에는 복수의 부동산 매물의 정보를 한눈에 비교할 수 없었다.
또한, 부동산 수요자는 직접 부동산 매물에 방문하여 확인하지 않고는 기존의 정보 외에 조망, 일사량, 개방감 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조망, 일사량 및 개방감은 부동산 수요자가 실제로 거주하면서 만족감을 느끼는 중요한 정보이나, 기존의 플랫폼들은 이러한 정보를 부동산 수요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부동산 단지들을 비교하고, 특정된 부동산 단지와 특정된 세대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부동산 매물의 특징에 기초하여 부동산 매물의 예상 가격을 산출할 수 있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부동산 단지인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는 단지 추천부,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하는 단지 비교부 및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상세 정보 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목들은 세대들의 조망, 일사량 또는 개방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기 위한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영역 및 상기 추천 단지들의 도출, 상기 선택 단지의 분석 또는 특정 세대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되는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추천 단지들의 도출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지 추천부에 의한 상기 추천 단지들의 도출 과정이 수행되고, 사용자가 상기 선택 단지의 분석 또는 상기 특정 세대의 분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에 의한 상기 선택 단지 또는 상기 특정 세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단지 추천부는 3개 이상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1 분석부, 2개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2 분석부 및 1개의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3 분석부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사용자가 3개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항목들 각각을 사용자가 수치 범위를 선택 가능하도록 바(bar)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항목들 각각의 값은 범위 설정을 통해 선택된다.
일 예에 의하여, 사용자가 2개의 항목들의 구체적인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2개의 항목들을 축으로 설정한 2차원 그래프로 상기 추천 단지들을 표시한다.
일 예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1개의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들의 순위를 표시하는 더 제4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천 단지들을 표시하는 지도 상에 오버랩 되어 표시되고, 사용자의 범위 설정의 통해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추천 단지들이 표시된다.
일 예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도 상의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에 의한 상기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단지 비교부는 선택된 상기 추천 단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고, 특정된 행정 구역 내의 부동산 단지들 중 상기 선택된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에 대한 순위를 도출하고, 상기 항목들은 조망, 개방감, 일사량, 관리비 또는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특정 세대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항목들의 값들 및 상기 특정 세대의 외부 조망을 표시하는 제5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인터페이스는 상기 항목들의 값들을 변경할 수 있는 세대 선택 영역을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선택된 상기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동별 또는 층별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선택된 상기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표시하고, 동별 또는 층별의 평균 조망, 평균 개방감, 평균 일사량을 상기 평균값들과 비교하여 표시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각 세대별 조망, 개방감, 일사량, 소음 이슈, 예상 에너지 사용량, 생활 편의 시설과의 거리 또는 세대 건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가격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격 산출부는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가격 산출부는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실거래가 또는 호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가격과 최소 가격을 도출하고,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 대비 상기 특정 세대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순위를 도출하고, 상기 최대 가격와 상기 최소 가격에 상기 특정 세대의 순위를 적용하여 예상 가격을 산출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상기 선택 단지 또는 특정 세대와 인접한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은 지도 상의 구역 선택 및 텍스트 검색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는 부동산 단지들의 범위를 특정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부동산 단지인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상기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는 단계는 3개 이상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단계, 2개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단계 또는 및 1개의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단계 중 하나의 단계이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선택된 상기 추천 단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고, 선택된 구역 중 상기 선택된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에 대한 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항목들은 조망, 개방감, 일사량, 관리비 또는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상기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도출하고, 동별 또는 층별의 평균 조망, 평균 개방감, 평균 일사량을 상기 평균값들과 비교하여 표시하는 단계 또는 각 세대별 조망, 개방감, 일사량, 소음 이슈, 예상 에너지 사용량, 생활 편의 시설과의 거리 또는 세대 건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여,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단계는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실거래가 또는 호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가격과 최소 가격을 도출하고는 단계,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 대비 상기 특정 세대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순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가격와 상기 최소 가격에 상기 특정 세대의 순위를 적용하여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에 대한 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지들을 도출할 수 있고, 추천된 단지들 간의 상세 정보의 비교 및 단지들 각각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은 조망, 일사량 및 개방감과 같이 부동산 매물을 선택함에 있어 기존에 고려되지 않았던 정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동산 매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인이 구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매물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과 다른 동 또는 다른 층에 위치하는 부동산 매물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이 구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매물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이 선택 단지 전체 평균값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은 현재 거래되는 부동산 매물의 실거래가 및 호가 뿐만 아니라 부동산의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고려하여 예상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부동산 매물의 합리적인 가격을 미리 예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선택된 2개의 추천 단지들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선택된 추천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동별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세대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유저 인터페이스(100), 단지 추천부(200), 단지 비교부(300), 상세 정보 도출부(400) 및 저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컴퓨터 또는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동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컴퓨터 또는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통칭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들(110, 120, 130, 140, 150)을 표시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들(110, 120, 130, 140, 150)은 단지 추천부(200), 단지 비교부(300) 및 상세 정보 도출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제1 인터페이스(110), 제2 인터페이스(120), 제3 인터페이스(130), 제4 인터페이스(140) 및 제5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추천 받고자 하는 단지들의 위치 특정 및 서비스 받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지는 아파트 단지 및 빌라 단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특정은 제1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의 특정 구역의 선택, 특정 구역의 선택 및 텍스트 검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역은 행정 구역의 특정을 의미하고, 특정 구역을 선택하는 것은 시, 도, 구, 군, 읍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받고자 하는 항목은 추천 단지들의 도출, 하나의 선택된 선택 단지의 분석, 선택 단지의 구체적인 세대의 분석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대는 선택된 아파트 단지의 구체적은 동/호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된 하나의 부동산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추천 단지들의 도출을 선택하는 경우, 단지 추천부(200)에 의한 상기 추천 단지들의 도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된 단지인 선택 단지의 분석 또는 특정 세대의 분석을 선택하는 경우, 상세 정보 도출부(400)에 의한 선택 단지 또는 특정 세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단지 추천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부동산 단지인 추천 단지들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은 세대수, 준공연차, 주차대수, 학교와의 인접성, 지하철과의 인접성, 조망, 개방감, 일사량, 가격 및 평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망은 개별 세대의 창문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주변 환경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할 수 있다. 주변 환경은 강, 바다, 산 등과 같은 자연 경관을 의미할 수 있다. 개방감은 개별 세대의 창문에서 외부를 바라볼 때 하늘이 보이는 비중을 의미할 수 있다. 일사량은 개별 세대의 창문을 통해 햇빛이 들어오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일사량은 개별 세대의 창문이 향하는 방향 및 개별 세대의 층수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단지 추천부(200)는 3개 이상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1 분석부(210), 2개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2 분석부(220) 및 1개의 항목에 기초하여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3 분석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석부(210)는 제2 인터페이스(12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단지를 도출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가 3개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제2 인터페이스(120)는 3개 이상의 항목들에 대한 구체적인 값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고, 제1 분석부(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들에 대한 구체적인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단지들을 도출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20)는 도출된 추천 단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추천 단지들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2 분석부(220)는 제3 인터페이스(13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단지를 도출할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가 2개의 항목들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제3 인터페이스(130)는 2개의 항목들에 대한 구체적인 값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고, 제2 분석부(22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들에 대한 구체적인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단지들을 도출할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130)는 도출된 추천 단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추천 단지들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3 분석부(230)는 제4 인터페이스(14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단지를 도출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가 1개의 항목의 값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제4 인터페이스(140)는 1개의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값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고, 제3 분석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단지들을 도출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140)는 도출된 추천 단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추천 단지들은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단지 비교부(300)는 단지 추천부(200)에 의해 도출된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2개의 추천 단지들을 선택할 수 있고, 단지 비교부(300)는 2개의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을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110)에서 사용자가 단지 분석을 선택하는 경우 및 단지 비교부(300)에 의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100)에서 사용자가 상세정보 확인영역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된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지도 상의 특정 단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제1 유저 인터페이스(110)에서 사용자가 세대 분석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 단지의 선택된 세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선택하는 항목들 및 상세 정보 도출부(400)가 분석하고 표시하는 항목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가격 산출부(410) 및 선택 단지 또는 특정 세대와 인접한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추천하는 추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부(420)는 사용자가 특정한 선택 단지 또는 특정 세대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까운 순으로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추천부(420)에 의해 추천되는 공인중개사사무소들의 명칭 및 위치 등에 대한 정보는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500)는 복수의 단지들의 구체적인 정보 및 단지들을 구성하는 복수의 세대들의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추천부(200), 단지 비교부(300) 및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저장부(500)에 저장된 구체적인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저장부(500)는 부동산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에 대한 값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지들을 도출할 수 있고, 추천된 단지들 간의 상세 정보의 비교 및 단지들 각각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조망, 일사량 및 개방감과 같이 부동산 매물을 선택함에 있어 기존에 고려되지 않았던 정보들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동산 매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가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기 위한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영역(111, 112, 113) 및 추천 단지들의 도출, 특정 단지의 분석 또는 특정 세대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되는 서비스 영역(11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에게 위치 특정 영역(111, 112, 113) 및 서비스 영역(115)을 표시할 수 있다.
위치 특정 영역(111, 112, 113)은 제1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의 특정 구역의 선택할 수 있는 제1 영역(111), 텍스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제2 영역(112) 및 특정 구역에 대한 텍스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3 영역(1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111)이 나타내는 지도 상의 행정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복수의 시들(CITY) 중 어느 하나의 시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시의 복수의 구들 중 어느 하나의 구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영역(112)에 직접 행정 구역에 대한 텍스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영역(113)에서 나열하고 있는 복수의 시들 및 복수의 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영역(115)은 “단지 찾기”, “단지 분석” 및 “세대 분석”이라는 선택 항목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지 찾기”를 선택하는 경우, 제2 인터페이스(120) 내지 제4 인터페이스(140)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지 찾기”를 선택하는 경우, 단지 추천부(200)에 의한 단지 추천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지 분석”을 선택하는 경우, 위치 특정 영역(111, 112, 113)에 의해 선택된 특정 구역 내의 단지들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단지들 중 어느 하나의 단지를 선택하는 경우, 상세 정보 도출부(400)가 선택된 선택 단지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세대 분석”을 선택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110)는 복수의 단지들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 및 선택된 단지의 구체적인 동/호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체적인 세대를 선택하는 경우, 상세 정보 도출부(400)가 선택된 세대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가 3개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바(Bar)들(121) 및 제1 추천 단지 리스트(125)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120)는 제1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특정된 구역을 표시하는 지도(50) 상에 오버랩 될 수 있다. 사용자들의 선택에 의해 단지 추천부(200)가 추천 단지들을 도출한 경우, 지도(50) 상에 추천 단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바들(121)은 항목들의 수치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바(121)는 조망에 대한 수치범위를 0에서 25까지 표시할 수 있고, 다른 바(121)는 세대수에 대한 수치범위를 500에서 3000까지 표시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바(121)들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항목들 각각의 수치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의 클릭과 드래그(drag) 또는 손가락의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121)의 수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선택된 수치범위는 도면번호 12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단지 추천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들의 수치범위에 기초하여 제1 추천 단지 리스트(125)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추천 단지 리스트(125)에 표시된 순번은 지도(50) 상에 표시된 번호와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천 단지 리스트(125)의 첫번째에 기재된 추천 단지는 지도(50) 상에 “1”번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도(50) 상의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추천 단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도(50) 상의 번호를 선택하게 되면, 상세 정보 도출부(400)가 선택된 선택 단지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추천 단지 리스트(125)에서 복수의 추천 단지들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이후 제1 단지 비교 영역(128)을 선택하면 단지 비교부(300)는 선택된 추천 단지들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3 인터페이스(130)는 사용자가 2개의 항목들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영역(131), 그래프(132) 및 제2 추천 단지 리스트(135)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인터페이스(130)는 제1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특정된 구역을 표시하는 지도(50) 상에 오버랩 될 수 있다. 사용자들의 선택에 의해 단지 추천부(200)가 추천 단지들을 도출한 경우, 지도(50) 상에 추천 단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선택 영역(131)은 사용자가 중점적으로 고려하고자 하는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항목들 중 2개의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항목들을 축으로 설정한 2차원 그래프(132)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프(132)는 제1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특정된 구역 내의 단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 또는 손가락을 이용한 드래그를 통해 그래프(132) 상에 범위(133)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범위(133) 내의 단지들이 제2 추천 단지 리스트(135)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추천 단지 리스트(135)에 표시된 추천 단지들은 지도(50) 상에 번호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도(50) 상의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추천 단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도(50) 상의 번호를 선택하게 되면, 상세 정보 도출부(400)가 선택된 선택 단지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추천 단지 리스트(135)에서 복수의 추천 단지들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이후 제2 단지 비교 영역(138)을 선택하면 단지 비교부(300)는 선택된 추천 단지들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4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가 1개의 항목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영역(141) 및 제3 추천 단지 리스트(145)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인터페이스(140)는 제1 인터페이스(110)에 의해 특정된 구역을 표시하는 지도(50) 상에 오버랩 될 수 있다. 사용자들의 선택에 의해 단지 추천부(200)가 추천 단지들을 도출한 경우, 지도(50) 상에 추천 단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선택 영역(141)은 사용자가 중점적으로 고려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항목들 중 1개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항목에 따른 단지들의 순위가 제3 추천 단지 리스트(145)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3 추천 단지 리스트(145)는 단지들의 순위 및 항목들의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추천 단지 리스트(145)에 표시된 순번은 지도(50) 상에 표시된 번호와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추천 단지 리스트(125)의 첫번째에 기재된 추천 단지는 지도(50) 상에 “1”번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지도(50) 상의 번호를 선택함으로써 추천 단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도(50) 상의 번호를 선택하게 되면, 상세 정보 도출부(400)가 선택된 선택 단지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추천 단지 리스트(145)에서 복수의 추천 단지들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이후 제3 단지 비교 영역(148)을 선택하면 단지 비교부(300)는 선택된 추천 단지들의 상세 정보를 분석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선택된 2개의 추천 단지들을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지 비교부(300)는 2개의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을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단지 비교부(300)가 표시하는 항목들은 조망, 개방감, 일사량을 포함할 수 있다. 단지 비교부(300)는 추천 단지들 각각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구체적인 값 및 특정된 행정 구역 내의 부동산 단지들 중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에 대한 순위를 도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망 및 개방감을 나타내는 단위는 %일 수 있고, 일사량을 나타내는 단위는 kWh/m2일 수 있다. 추천 단지들 각각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은 추천 단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의 평균을 의미할 수 있다. 추천 단지들 각각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구체적인 값 및 특정된 행정 구역 내의 부동산 단지들 중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에 대한 순위는 부동산의 평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지 비교부(300)는 2개의 추천 단지들 각각의 기본 정보 및 생활 편의 현황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정보는 준공연도, 연식, 총 세대수, 총 주차 대수, 면적 종류, 용적율, 건폐율, 건설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생활 편의 현황은 추천 단지 주변의 학교, 교통, 마트, 병원, 공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지 비교부(300)는 추천 단지들 각각의 평균 관리비, 실거래가, 시세 등의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2개의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가 어떤 하나의 추천 단지(선택 단지)의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상세정보 확인영역(160a, 160b)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2개의 상세정보 확인영역(160a, 160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세 정보 도출부(400)가 선택 단지 또는 특정 세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추전 단지들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가 한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유저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 단지들의 평균 실거래가, 조망, 개방감, 일사량 및 생활 편의 현황과 같이 부동산 매물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선택된 추천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단지의 항목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목들은 일사량, 조망, 개방감, 건물 나이, 단지 규모, 세대당 주차 대수, 생활 편의 시설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선택 단지의 각 세대들의 항목들 각각의 평균값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선택 단지의 복수의 항목들 중 중요한 중요항목에 대한 요약을 표시할 수 있다. 중요항목은 일사량, 조망, 개방감, 일조시간 및 최근 매매 실거래가(또는 매물가) 일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선택 단지를 3D로 표시할 수 있고, 선택 단지의 일사량, 조망 및 개방에 대한 값들을 색깔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선택 단지의 복수의 항목들 각각에 대한 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행정 구역 내의 단지들 중 선택 단지의 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시/구/동 내의 단지들 중 선택 단지의 순위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생활 편의 시설이 선택 단지와 얼마나 가까운지를 구체적인 수치(거리) 및 행정 구역 내의 단지들 중 선택 단지의 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천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동별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은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동별 또는 층별 분석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표시하고, 동별 또는 층별의 평균 조망, 평균 개방감, 평균 일사량을 상기 평균값들과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복수의 세대들 각각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평균값인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과 세대들 중 특정 동 또는 특정 층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복수의 세대들 각각의 조망에 대한 평균값을 기초로 동별 또는 층별 조망이 상기 평균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복수의 세대들 각각의 일사량에 대한 평균값을 기초로 동별 또는 층별 일사량이 상기 평균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복수의 세대들 각각의 개방감에 대한 평균값을 기초로 동별 또는 층별 개방감이 상기 평균값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100)는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값을 표시할 수 있고, 어떤 동 또는 어떤 층이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서 가장 좋은지를 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인이 구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매물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과 다른 동 또는 다른 층에 위치하는 부동산 매물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이 구매하고자 하는 부동산 매물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이 선택 단지 전체 평균값과 비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5 인터페이스(150)는 특정 세대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항목들의 값들(155) 및 특정 세대의 외부 조망(153)을 표시할 수 있다. 제5 인터페이스(150)는 항목들의 값들을 변경할 수 있는 세대 선택 영역(15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대 선택 영역(151)을 통해 구체적인 동/층/호수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 조망(153) 및 항목들의 값들(155)이 달리 표시될 수 있다. 세대별 외부 조망(153)은 저장부(50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모델링된 3D 이미지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격 산출부(410)는 부동산 매물들 각각의 특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가격 산출부(410)는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을 기준으로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가격 산출부(410)는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실거래가 또는 호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가격과 최소 가격을 도출할 수 있다. 가격 산출부(410)는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 대비 특정 세대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순위를 도출할 수 있고, 최대 가격와 최소 가격에 특정 세대의 순위를 적용하여 예상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가격이 15억이고 최소 가격이 13억이고 특정 세대와 동일한 평수의 세대들이 100세대가 있는 경우, 특정 세대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순위가 50위이면 예상 가격은 14억으로 산출될 수 있다. 만약, 특정 세대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순위가 1위이면, 예상 가격은 15억으로 산출될 수 있다.
가격 산출부(410)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특정 세대와 동일한 평수의 실거래가(또는 호가)의 최대 가격과 최소 가격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격 산출부(410)는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최대 가격 및 최소 가격과 비교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격 산출부(410)는 현재 거래되는 부동산 매물의 실거래가 및 호가 뿐만 아니라 부동산의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고려하여 예상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부동산 매물의 합리적인 가격을 미리 예상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세대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각 세대별 조망, 개방감, 일사량, 소음 이슈, 예상 에너지 사용량, 생활 편의 시설과의 거리 또는 세대 건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사용자가 특정한 특정 세대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평수대에 따른 조망, 개방감, 일사량에 대한 값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연간 누적 일사량, 일조시간, 태양광 예상 발전량 등 다양한 항목들의 값들 표시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저장부(50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항목들의 값들 표시할 수 있다.
소음 이슈는 특정 세대의 위치를 기준으로 비행 물체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특정 세대에 미치는 영향 정도, 철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특정 세대에 미치는 영향 정도 및 자동차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특정 세대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이슈는 특정 세대와 비행 물체의 경로 간의 거리, 특정 세대와 철도 간의 거리 및 특정 세대와 도로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특정 세대와 도로와의 거리에서 도로는 다차선으로 구성된 도로로, 예를 들어 왕복 6차선 이상의 큰 도로를 의미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소음 이슈를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세 정보 도출부(400)는 특정 세대의 시간대별 일사량 및 특정 세대의 건축 방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500)에는 세대별로 조망, 개방감, 일사량, 소음 이슈, 예상 에너지 사용량, 는 연간 누적 일사량, 일조시간, 태양광 예상 발전량, 생활 편의 시설과의 거리 및 세대 건축 방향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구성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구성들의 동작들은 순차적, 반복적 또는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부동산 단지인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는 단지 추천부;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하는 단지 비교부; 및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상세 정보 도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항목들은 세대들의 조망, 일사량 또는 개방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기 위한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 영역 및 상기 추천 단지들의 도출, 상기 선택 단지의 분석 또는 특정 세대의 분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표시되는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추천 단지들의 도출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단지 추천부에 의한 상기 추천 단지들의 도출 과정이 수행되고,
    사용자가 상기 선택 단지의 분석 또는 상기 특정 세대의 분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에 의한 상기 선택 단지 또는 상기 특정 세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 추천부는,
    3개 이상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1 분석부;
    2개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2 분석부; 및
    1개의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제3 분석부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3개 이상의 항목들의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항목들 각각을 사용자가 수치 범위를 선택 가능하도록 바(bar) 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항목들 각각의 값은 범위 설정을 통해 선택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2개의 항목들의 구체적인 값들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2개의 항목들을 축으로 설정한 2차원 그래프로 상기 추천 단지들을 표시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1개의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들의 순위를 표시하는 더 제4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4 항 내지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3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4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천 단지들을 표시하는 지도 상에 오버랩 되어 표시되고,
    사용자의 범위 설정의 통해 상기 지도 상에 상기 추천 단지들이 표시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지도 상의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에 의한 상기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지 비교부는 선택된 상기 추천 단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고, 특정된 행정 구역 내의 부동산 단지들 중 상기 선택된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에 대한 순위를 도출하고,
    상기 항목들은 조망, 개방감, 일사량, 관리비 또는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특정 세대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항목들의 값들 및 상기 특정 세대의 외부 조망을 표시하는 제5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인터페이스는 상기 항목들의 값들을 변경할 수 있는 세대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선택된 상기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에 대한 동별 또는 층별 분석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선택된 상기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표시하고, 동별 또는 층별의 평균 조망, 평균 개방감, 평균 일사량을 상기 평균값들과 비교하여 표시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각 세대별 조망, 개방감, 일사량, 소음 이슈, 예상 에너지 사용량, 생활 편의 시설과의 거리 또는 세대 건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가격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격 산출부는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격 산출부는,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실거래가 또는 호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가격과 최소 가격을 도출하고,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 대비 상기 특정 세대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순위를 도출하고,
    상기 최대 가격와 상기 최소 가격에 상기 특정 세대의 순위를 적용하여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도출부는 상기 선택 단지 또는 특정 세대와 인접한 공인중개사사무소를 추천하는 추천부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16. 지도 상의 구역 선택 및 텍스트 검색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는 부동산 단지들의 범위를 특정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부동산 단지인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상기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지들을 도출하는 단계는,
    3개 이상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단계;
    2개의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단계; 또는 및
    1개의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단지를 도출하는 단계 중 하나의 단계인,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단지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추천 단지들을 비교한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선택된 상기 추천 단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표시하고, 선택된 구역 중 상기 선택된 추천 단지들 각각의 항목들의 값들에 대한 순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항목들은 조망, 개방감, 일사량, 관리비 또는 가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19. 제16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상기 선택 단지의 항목들의 값들 또는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단지의 조망, 개방감 및 일사량 각각에 대한 평균값을 도출하고, 동별 또는 층별의 평균 조망, 평균 개방감, 평균 일사량을 상기 평균값들과 비교하여 표시하는 단계; 또는
    각 세대별 조망, 개방감, 일사량, 소음 이슈, 예상 에너지 사용량, 생활 편의 시설과의 거리 또는 세대 건축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지의 복수의 세대들의 항목들의 값들을 도출하는 단계는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세대의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실거래가 또는 호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 가격과 최소 가격을 도출하고는 단계;
    상기 특정 세대의 평수와 동일한 세대들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 대비 상기 특정 세대의 조망, 개방감 또는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순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최대 가격와 상기 최소 가격에 상기 특정 세대의 순위를 적용하여 예상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정보 제공 방법.

KR1020210153592A 2021-11-10 2021-11-10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5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92A KR102552476B1 (ko) 2021-11-10 2021-11-10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592A KR102552476B1 (ko) 2021-11-10 2021-11-10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878A true KR20230067878A (ko) 2023-05-17
KR102552476B1 KR102552476B1 (ko) 2023-07-06

Family

ID=8654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592A KR102552476B1 (ko) 2021-11-10 2021-11-10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4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231A (ko) * 2000-08-31 2000-11-06 김형현 부동산정보 통합검색 시스템
KR20040098224A (ko) * 2003-05-14 2004-11-20 현도명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방법
KR20200023669A (ko) * 2018-08-14 2020-03-06 이건영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투자 추천 시스템
KR20200051295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지오플래닝 분양 정보를 포함한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1068078A (ja) * 2019-10-21 2021-04-30 幸一 横田 不動産情報検索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4231A (ko) * 2000-08-31 2000-11-06 김형현 부동산정보 통합검색 시스템
KR20040098224A (ko) * 2003-05-14 2004-11-20 현도명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방법
KR20200023669A (ko) * 2018-08-14 2020-03-06 이건영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투자 추천 시스템
KR20200051295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지오플래닝 분양 정보를 포함한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1068078A (ja) * 2019-10-21 2021-04-30 幸一 横田 不動産情報検索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476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shop et al. Best practices for using hedonic property value models to measure willingness to pay for environmental quality
Yuan et al. Toward a user-oriented recommendation system for real estate websites
Hoffman et al. Overcoming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barriers to green building
Deng et al. Barrier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green buildings from local government perspective: a case study of Ningbo China
Lovell Supply and demand for low energy housing in the UK: insights from a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approach
Haas et al. Untangling housing cost and transportation interactions: The location affordability index model—Version 2 (LAIM2)
Dahal et al. An agent-integrated irregular automata model of urban land-use dynamics
Pettit et al. A new toolkit for land value analysis and scenario planning
US20100185547A1 (en) Project planning system
CN102939603B (zh) 偏好堆栈
US20130218864A1 (en) Real Estate Search Engine
Kang Effects of spatial access to neighborhood land-use density on housing prices: Evidence from a multilevel hedonic analysis in Seoul, South Korea
Paczkowski Pricing analytics: Models and advanced quantitative techniques for product pricing
Chen et al. Defining agents' behaviour based on urban economic theory to simulate complex urban residential dynamics
US20200134748A1 (en) Residential real estate layout data collection, search, rating and ranking system and method
US20130219315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al Estate Search
Hokkanen et al. From customer to actor value propositions: an analysis of digital transaction platforms
Heris et al. Why does planning matter in microclimate management and urban heat mitigation?
KR102552476B1 (ko)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Boo et al. Tourists’ online reviews of convention centers
Rivai et al. Assessment of social sustainability performance for residential building
Kim et al. Development of an income and cost simulation model for studio apartment using probabilistic estimation
Alwedyan Optimal location selection of a casual-dining restaurant using a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CDM) approach
Cheung et al. The economics of architectural aesthetics: Identifying price effect of urban ambiences by different house cohorts
Bensouda et al. Adaptive housing mechanisms within resettlement sites: a case study of Ouled M’Barek resettlement program, Kenitra, Moroc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