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654A - 습식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청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7654A KR20230067654A KR1020237012604A KR20237012604A KR20230067654A KR 20230067654 A KR20230067654 A KR 20230067654A KR 1020237012604 A KR1020237012604 A KR 1020237012604A KR 20237012604 A KR20237012604 A KR 20237012604A KR 20230067654 A KR20230067654 A KR 202300676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ntainer
- side portion
- cleaning device
- wet clea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3536 elastome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9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47 engineering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28—Security means, e.g. float valves or level switches for preventing overflo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Details of suction cleaner tools for additional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습식 진공 청소기와 같은 습식 청소 장치(10)가 제공된다. 습식 청소 장치는 청소될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 헤드(12)를 포함한다. 청소기 헤드는 오물 입구(11)를 갖는다. 모터(14) 및 팬(16)은 오물 입구에 흡입력을 전달한다. 습식 청소 장치는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기 유동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유닛(18)을 포함한다. 분리된 물은 용기(19) 내에 수집된다. 용기는 상단(19A) 및 하단(19B), 및 그들 사이에 연장되는 측부 부분(19D)을 갖는다. 분리된 공기는 모터 및 팬을 향해 공기 통로(22)를 통해 용기 밖으로 빠져나간다. 공기 통로는 용기의 하단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습식 청소 장치는 장치의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4)를 갖는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밀어내면 적어도 청소기 헤드 및 용기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적어도 청소기 헤드 및 용기가 사용자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용기 내에 수집된 물은 사용자가 청소기 헤드 및 용기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있을 때 용기의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른다. 물 지향 부재(26)는 측부 부분에 밀봉식으로 인접하고, 측부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용기 내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른 물이 측부 부분을 따라 공기 통로를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식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습식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경질 바닥 청소는 먼저 바닥을 진공 청소하고 뒤이어 바닥을 걸레질하는 것을 수반하였다. 진공 청소는 미세 먼지 및 굵은 오물을 제거하는 반면, 걸레질은 임의의 매우 미세한 먼지 및 얼룩을 제거한다.
현재는 한 번에 진공 청소와 걸레질하는 것을 요구하는, 시장에서 구매가능한 많은 기기(appliance)가 있으며, 이는 "습식 진공 청소기"로 지칭되는 것이다. 이들 기기 중 다수는 공기 유동에 의해 굵은 오물을 채집하기 위한 진공 노즐, 및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습윤) 천(cloth) 또는 브러시를 갖는다. 이러한 습윤 천 또는 브러시는 사전-습윤될 수 있거나 소비자에 의해 습윤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에 이들은 (액체에 의해 그러나 또한 스팀에 의해) 기기에 의해 습윤될 수 있다.
이어서, 습식 진공 청소기는 바닥으로부터의 습한 오물을 수집하여 이를 오물 용기 내에 이송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이는 모터 및 팬(fan) 배열체에 의해 생성되는 유동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소적 형태의 습한 오물과 액체는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있다. 습한 오물 및 액체는 오물 용기에 들어가는 반면, 나머지 공기 유동은 팬 및 임의의 여과-후 유닛을 통과하고 이어서 기기를 빠져나간다.
공기 유동으로부터 액체 및 습한 오물을 분리하기 위해 래버린스(labyrinth) 유형, 필터 유형 또는 사이클론 유형 분리기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특히 청소 중에 습식 진공 청소기의 전후방 이동 동안 그러한 분리기 유닛의 분리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한 이동은 용기 내에 수집된 액체가 분리된 공기 유동에 재혼입되게 하여, 액체가 모터를 향해 하류로 통과되게 하는 리스크를 갖는다. 이는 모터에 대한 손상의 리스크를 가지며, 따라서 습식 진공 청소기의 신뢰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습식 청소 장치가 제공되고, 습식 청소 장치는, 오물 입구를 갖는, 청소될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 헤드; 오물 입구에 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 및 팬;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기 유동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유닛; 분리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단 및 하단, 및 상단과 하단 사이의 측부 부분을 갖는 상기 용기; 물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모터 및 팬을 향해 통과시키기 위해 용기에 제공되고, 용기의 하단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공기 통로; 장치의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로서, 손잡이, 청소기 헤드, 및 용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밀어내면 적어도 청소기 헤드 및 용기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적어도 청소기 헤드 및 용기가 사용자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용기 내에 수집된 물이 밀어내는 동안 용기의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르도록(sloshing) 배열되는, 상기 손잡이; 청소기 헤드와 용기 사이의 선택적 피벗 지점으로서, 피벗 지점은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를 향하여 용기의 틸팅을 허용하도록 배열되는 한편, 오물 입구는 청소될 표면에 흡입력을 계속 제공하는, 상기 피벗 지점; 및 측부 부분에 밀봉식으로 인접하는 물 지향 부재로서,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측부 부분에 대해 튀어오르는 물이 측부 부분을 따라 공기 통로를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상기 물 지향 부재를 포함한다.
용기를 청소기 헤드와 함께 전방 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은 이동의 종료 시 용기의 측부 부분을 향해 이동하는 파동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파동은 분리기 유닛과 공기 통로 사이의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에 근접하여 공기로 운반되는 물방울(water droplets)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습식 청소 장치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손상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렇게 형성된 물방울이 공기 통로를 향해 그리고 모터를 향해 하류로 흡인될 리스크를 갖기 때문이다.
물 지향 부재가 측부 부분에 밀봉식으로 인접하고 측부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용기 내로 돌출하는 것에 의해,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른 물이 측부 부분을 따라 공기 통로를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물 지향 부재는 그러한 파동의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그에 의해, 형성된 물방울이 분리된 공기의 유동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측부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측부 부분으로부터의 물 지향 부재의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는 적어도 5 mm일 수 있다. 그러한 최소 측방향 연장부는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올라 공기 통로를 향하는 물의 진행의 효과적인 억제에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는 10 내지 50 mm, 예컨대 약 20 mm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는 용기의 내부 폭의 최대 75%일 수 있다. 이는 측부 부분을 따라 공기 통로를 향한 물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요건과 습식 청소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를 위해 용기 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의 균형을 잡는다. 50 mm의 상한 및/또는 용기의 내부 폭의 최대 75%는 또한, 물 지향 부재가 용기의 하단을 향한 분리된 물의 통과를 방해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에 물 지향 부재를 밀봉식으로 인접시키기 위한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지향 부재의 두께는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이 밀봉식으로 인접되는 측부 부분의 영역을 향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이 물 지향 부재를 용기의 측부 부분에 밀봉식으로 인접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어서, 이는 물 지향 부재가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올라 공기 통로를 향하는 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물 지향 부재는 공기 통로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은 용기의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르는 물과 접촉할 수 있다.
물 지향 부재는, 예를 들어, 표면으로부터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을 향해 만곡되는 만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만곡 표면은 물 지향 부재 상의 물을 용기의 측부 부분 및 하단을 향해 안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밀봉 부분은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재료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르는 물과 접촉하기 위한 제1 표면 및/또는 제2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표면은 측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표면은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표면은 측부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표면은 용기의 상단을 향해 상향경사(incline)질 수 있다.
제2 표면은, 공기 통로로부터 멀어지게 물을 안내하기 위해 용기의 하단을 향해 하향경사(decline)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표면이 용기의 상단을 향해 상향경사질 때, 제2 표면은 측부 부분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대체적으로,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향경사진 제2 표면은, 물 지향 부재를 흘러넘친 물이, 예를 들어 분리기 유닛으로 공기 유동을 전달하는 튜브에 충돌하는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향경사진 제2 표면은 분리된 공기 유동에 재혼입될 수 있는 물방울이 형성되는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지향 부재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2 표면은 제1 표면으로부터 용기의 하단을 향해 및/또는 측부 부분을 향해 만곡된다. 이는 물 지향 부재가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르는 물이 공기 통로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이는 용기의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측부 부분의 내측 표면은 내측 표면이 전방 방향으로 외향으로 만곡되도록 아치형일 수 있다. 이러한 아치형 내측 표면은,
용기 및 청소기 헤드를 전방 방향으로 밀어내는 동안 측부 부분을 향해 이동하는 물의 파동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파동 차단기(wave breaker)로서 작용할 수 있다.
습식 청소 장치는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연장되는 내부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와 내부 벽 사이에 공간이 한정될 수 있으며; 용기의 하단에 수집된 물은, 수집된 물이 용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용기가 배향되는 경우 공간 내에 수용가능하다. 내부 벽은 공간 내에 수용된 물이 공기 통로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벽은, 특히 습식 청소 장치가 가구 아래를 청소하기 위해 틸팅되는 경우, 공기 통로 내로의 물의 유입에 의해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내부 벽은 용기 및 청소기 헤드를 후방 방향으로 당기는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공기 통로 내로의 물의 튀어오름과 관련된 유입을 억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내부 벽은 용기에 밀봉식으로 인접할 수 있다. 내부 벽은 용기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내부 벽 및 용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벽은 용기의 상단에 인접하는 제1 차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부 벽은 제2 차단 영역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차단 영역은 용기의 각각의 측부 부분에 인접한다.
차단 영역은 내부 벽의 나머지와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 영역은 내부 벽을 용기에 밀봉식으로 인접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어서, 이는 내부 벽이 공간 내에 수용된 물이 공기 통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또한, 차단 영역은, 소정 예에서, 용기로부터의 내부 벽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벽의 두께는 제1 및 제2 차단 영역들 중 하나 이상, 예를 들어, 그들 각각을 향해 증가한다. 이는 내부 벽이 용기에 밀봉식으로 인접하고, 따라서 공간 내의 물이 공기 통로를 향해 통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도울 수 있다.
분리기 유닛 및 물 지향 부재는 착탈식 유닛에 포함될 수 있다. 착탈식 유닛은 용기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착탈식 유닛의 분리는 용기 내측의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습식 청소 장치가 또한 내부 벽을 포함하는 경우, 내부 벽도 또한 착탈식 유닛에 포함될 수 있다. 분리기 유닛 및 물 지향 부재와 함께, 내부 벽의 칙탈은, 특히 용기와 내부 벽 사이의 공간에서 용기의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분리기 유닛은 래버린스 유형 분리기 유닛, 필터 유형 분리기 유닛, 및 사이클론 유형 분리기 유닛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습식 청소 장치는 공기 유동을 분리기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는 용기의 중심 영역 내에서 컵을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튜브는, 용기가 청소기 헤드와 함께,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전방 방향으로 밀릴 때, 측부 부분을 향해 이동하는 물을 분할할 수 있다. 수집된 물을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하는 것은 전방 방향으로 밀어내는 동안 측부 부분을 향해 이동하는 물의 파동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는 예를 들어, 측부 부분의 전술된 아치형 내측 표면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분할된 유동들은 아치형 내측 표면 주위에서 서로를 향해 안내될 수 있고, 용기의 수평 평면에서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유동들의 그러한 수평 충돌은 공기 통로를 향한 수직으로의 물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분리기 유닛은 튜브의 단부를 수용하는 컵을 포함할 수 있다. 컵은 유동 방향이 변화되게 하여, 오물 입구로부터 흡인된 공기 내에 혼입된 물이 컵의 내부 표면으로 내던져지고, 그에 의해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이러한 "튜브-인-컵(tube-in-cup)" 설계는 래버린스-유형 분리기 유닛의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물 지향 부재는 상기 공기 유동을 분리기 유닛으로 전달하기 위한 튜브의 출구 아래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입 공기 스팀으로부터 일단 분리된 액체는 분리된 공기 유동과 다시 섞이지/혼합되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들이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용기의 틸팅 시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내부 벽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습식 청소 장치와 유사하게 틸팅된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향으로부터 멀어지게 용기의 틸팅 시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용기의 측부 부분에 인접한 물 지향 부재를 갖는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내부 부분의 도면을 제공한다.
도 7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8은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도 9는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보여주는 다른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다양한 예시적인 물 지향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다른 예에 따른 물 지향 부재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물 지향 부재를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4는 분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 내에 조립된 도 14에 도시된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분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분리기 유닛에 포함된 출구 부재의 림의 확대도를 제공하는 삽입도와 함께, 도 17에 도시된 습식 청소 장치에 포함된 분리기 유닛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9는 일례에 따른 분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20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용기의 틸팅 시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내부 벽을 갖는, 도 2에 도시된 습식 청소 장치와 유사하게 틸팅된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향으로부터 멀어지게 용기의 틸팅 시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용기의 측부 부분에 인접한 물 지향 부재를 갖는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내부 부분의 도면을 제공한다.
도 7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8은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도 9는 용기 내의 물의 이동을 보여주는 다른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다양한 예시적인 물 지향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다른 예에 따른 물 지향 부재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물 지향 부재를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4는 분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습식 청소 장치의 용기 내에 조립된 도 14에 도시된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분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분리기 유닛에 포함된 출구 부재의 림의 확대도를 제공하는 삽입도와 함께, 도 17에 도시된 습식 청소 장치에 포함된 분리기 유닛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9는 일례에 따른 분리기 유닛을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20은 일례에 따른 습식 청소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예가,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의도되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의 이들 및 다른 특징, 태양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이 단지 개략적이며 축척대로 그려지지 않았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 전체에 걸쳐 사용된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습식 진공 청소기와 같은 습식 청소 장치가 제공된다. 습식 청소 장치는 청소될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 헤드를 포함한다. 청소기 헤드는 오물 입구를 갖는다. 모터 및 팬은 오물 입구에 흡입력을 전달한다. 습식 청소 장치는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기 유동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유닛을 포함한다. 분리된 물은 용기 내에 수집된다. 용기는 상단 및 하단, 및 그들 사이에 연장되는 측부 부분을 갖는다. 분리된 공기는 모터 및 팬을 향해 공기 통로를 통해 용기 밖으로 빠져나간다. 공기 통로는 용기의 하단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습식 청소 장치는 장치의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갖는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밀어내면 적어도 청소기 헤드 및 용기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적어도 청소기 헤드 및 용기가 사용자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용기 내에 수집된 물은 사용자가 청소기 헤드 및 용기를 전방으로 밀어내고 있을 때 용기의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른다.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에 밀봉식으로 인접하고, 측부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용기 내로 돌출하여, 그에 의해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른 물이 측부 부분을 따라 공기 통로를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습식 청소 장치가 전방으로 밀리고 후방으로 당겨질 때, 용기 내에 수집된 물의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는 각각의 밀어냄/당김 이동의 종료 시 비교적 큰 파동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물의 "튀어오름"은 습식 청소 장치의 전후방 이동 동안 비교적 높은 동적 유동이 생성되는 것으로부터 초래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인해, 그러한 파동은, 예를 들어 분리기 유닛과 공기 통로 사이의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에 근접한 위치에서, 공기로 운반되는 새로운 소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습식 청소 장치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손상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렇게 형성된 물방울이 공기 통로를 향해 그리고 모터를 향해 하류로 흡인될 리스크를 갖기 때문이다.
물 지향 부재가 측부 부분에 밀봉식으로 인접하고 측부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용기 내로 돌출하는 것에 의해, 물 지향 부재는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른 물이 측부 부분을 따라 공기 통로를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물 지향 부재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용기 및 청소기 헤드를 전방 방향으로 밀어내는 동안 생성된 파동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는 형성된 물방울이 분리된 공기의 유동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은 습식 진공 청소기(10)를 도시한다. 진공 청소기(10)는 물 및/또는 오물 입자, 예를 들어 습한 오물 입자, 및 공기가 습식 진공 청소기(10) 내로 흡입되는 오물 입구(11)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 입구(11)가 청소기 헤드(12)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습식 청소 장치(10)는, 사용 시에 진공 청소기 헤드(12)가 진공 청소될 표면과의 유일한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이다. 물론, 이는 직립형 진공 청소기 또는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습식 청소 장치(10), 및 임의의 습식 진공 청소기(10)에 적용될 수 있는 설계 특징부에 관한 것이다.
피벗 지점(13)은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습식 진공 청소기(10)의 틸팅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되는 한편, 청소기 헤드(12)의 오물 입구(11)는 청소될 표면과 대면하여 유지된다. 피벗 지점(13)은, 예를 들어 가구 아래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습식 진공 청소기(10)가 틸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피벗 지점에 의해 제공되는 틸팅 범위는, 예를 들어, 최대 90°일 수 있다. 0° 틸팅은 직립 배향으로 간주될 수 있고, 90° 틸팅은 습식 청소 장치(10)의 수평, 즉 편평한 배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수평 배향을 향해 또는 수평 배향으로 틸팅하는 것은 가구 아래의 청소를 허용할 수 있다.
습식 진공 청소기(10)는 오물 입구(11)에 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14) 및 팬(16)을 포함한다. 모터(14) 및 팬(16)은, 예를 들어, 보다 대체적으로 공기 유동 발생기로서 설명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팬(16), 예를 들어 임펠러가 오물 입구(11)에 흡입력을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모터(14)는, 예를 들어, 바이패스 모터(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모터(14)는 공기 유동 내의 물 함량을 견딜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흡인된 공기 유동이 모터 냉각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모터 부품들로부터 격리되기 때문이다. 대신에, 주변 공기가 냉각 목적을 위해 모터(14) 내로 흡인된다.
습식 청소 장치(10)는 또한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기 유동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유닛(18)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모터(14) 및 팬(16)에 의해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유동으로부터 액체 및 입자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유닛(18)이 제공된다.
분리기 유닛(18)이 공기의 유동으로부터 물을 분리할 수 있다면, 분리기 유닛(18)의 임의의 적합한 설계가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기 유닛(18)은 래버린스 유형 분리기 유닛, 필터 유형 분리기 유닛, 및 사이클론 유형 분리기 유닛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분리기 유닛(18)은 습식 오물 관리 시스템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오물 관리 시스템은 추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물 관리 시스템은 분리된 수분 및 오물을 수집하기 위한 용기(19)를 갖는다. 출구 필터(20)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 유닛(18)의 출구 유동과 모터(14) 및 팬(16)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대체적으로, 분리된 물에 대한 용기(19)의 최대 용량은 적어도 100 mL일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19)를 비우는 것과 연관된 최소한의 중단으로 습식 청소를 수행하도록 허용된다. 예를 들어, 분리된 물에 대한 용기(19)의 최대 용량은 100 mL 내지 1 L, 예컨대 400 mL 내지 800 mL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부피의 물이 용기(19)에 수집되는 동안 습식 청소 장치(10)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허용하는 수정들에 관한 것이다.
공기 통로(22)는 물 및/또는 오물 입자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모터(14) 및 팬(16)을 향해 통과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9) 내의 개구부는 공기 통로(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공기 통로(22)는, 예를 들어, 용기(19)의 상단(19A)에 제공될 수 있다.
용기(19)의 맥락에서 용어 "상단" 및 "하단"은 용기(19)의 각각의 단부를 지칭하고, 습식 진공 청소기(10)의 직립 배향을 참조하여 명명되는데: 상단(19A)은 그러한 직립 배향에서 용기(19)의 하단(19B)보다 위에 있다.
공기 통로(22)는 용기(19)의 하단(19B)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 이는, 용기의 하단(19B)에서 수집된 분리된 물이 모터(14) 및 팬(16)을 향해 공기 통로(22)를 통과하게 되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19)의 상단(19A)에 공기 통로(22)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공기 통로(22)는, 예를 들어, 용기(19)의 측부 부분/부품에, 바람직하게는 용기(19)의 상단(19A)에 근접한 측부 부분/부품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통로(22)는 용기(19) 내에 수집된 물을 위한 최상부 물 라인(23)보다 더 높은 용기(19)의 일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최상부 물 라인(23)은 분리된 물을 위한 용기(19)의 최대 용량에 대응할 수 있다.
최상부 물 라인(23)은, 예를 들어, 용기(19) 상에 제공된 마크 또는 스티커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있거나, 수위 센서(보이지 않음)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최대 수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습식 청소 장치(10)는 최대 수위(23)에 도달되어 있는 것으로 수위 센서에 의해 결정될 때 모터(14)에 대한 전력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홀 효과 센서 또는 플로트 레벨 스위치 센서(float level switch sensor)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수위 센서가 고려될 수 있다.
용기(19)의 상단(19A)에, 또는 용기의 측부 부분/부품 내이지만 용기의 상단(19A)에 근접하여 공기 통로(22)를 위치시킴으로써, 용기(19)의 하단(19B)에 수집된 물이 공기와 재조합되고 모터(14) 및 팬(16)을 향해 하류로 통과하게 되는 리스크가 최소화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습식 청소 장치(10)와 독립적으로 진공청소되는 표면에 청정수를 전달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 그러나, 대신에, 습식 청소 장치(10)는 또한 청정수를 청소기 헤드(12)에 전달하기 위한 청정수 저장조(보이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12)는, 예를 들어, 청정수 저장조로부터 물이 전달되는 회전 브러시(보이지 않음)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또한, 청정수 저장조로부터 물을 수용하기 위한 입구를 가질 수 있다. 청소기 헤드(12)는 습식 오물을 채집하고 또한 선택적으로 바닥 습윤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청소기 헤드(12)에 대해 반대편 단부에 손잡이(24)가 있다. 손잡이(24)는 습식 청소 장치(10)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24)를 밀어내면 적어도 청소기 헤드(12) 및 용기(19)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손잡이(24)를 당기면 청소기 헤드(12) 및 용기(19)가 사용자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청소기 헤드(12)와 용기(19) 사이의 피벗 지점(13)은 오물 입구(11)가 청소될 표면에 흡입력을 계속 제공하는 동안 손잡이(24)를 파지하는 사용자를 향한 용기(19)의 틸팅을 허용한다.
도 2는 예를 들어, 피벗 지점(13)을 통해 용기(19)의 틸팅 시 습식 청소 장치(10)의 용기(19) 내에서의 수집된 물(CW)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피벗 지점(13)은 용기(19)의 하단(19B)에서 수집된 물이 용기(19)의 상단(19A)을 향해 이동하도록 청소될 표면을 향한 용기(19)의 각도 조정을 허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피벗 지점(13)은 또한, 오물 입구(11)가 각도 조정 동안 청소될 표면을 계속해서 향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은 수집된 물(CW)이 용기(19)의 제1 측부 부분(19C)을 따라 용기(19)의 상단(19A)을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파동(WV1)은 용기(19)의 상단(19A)을 향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동(WV1)은 공기 통로(22)를 향해 그리고 이를 통해 물을 보낼 수 있다.
또한, 특히 사용자가 손잡이(2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습식 청소 장치(10)가 후방으로 당겨지고 있을 때, 수집된 물(CW)이 제1 측부 부분(19C)에 부딪쳐 튀어오르는 것은 수집된 물(CW)의 일부가 공기 통로(22) 내로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수집된 물(CW)이 공기 통로 내로 통과하게 될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성은 용기(19)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일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용기(19)는 축(Al)을 따라 가늘고 길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추가된 길이가 청소 동안 습식 청소 장치(10)를 취급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 편의성의 다른 태양을 손상시킨다는 단점을 갖는다. 용기(19)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또한, 물이 공기 통로(22) 내로 통과할 리스크를 충분한 정도로 감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습식 청소 장치(10)와 유사하게 틸팅되지만, 용기(19) 내에 내부 벽(19E)을 갖는 습식 청소 장치(10)의 용기(19)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에서, 내부 벽(19E)은 용기(19)의 상단(19A)으로부터 하단(19B)을 향해 연장된다.
용기(19)와 내부 벽(19E) 사이에 공간(25)이 한정된다. 습식 청소 장치(10)가 직립할 때 용기(19)의 하단(19B)에 수집된 물(CW)은, 수집된 물(CW)이 용기(19)의 하단(19B)으로부터 상단(19A)을 향해 이동하도록 용기(19)가 배향될 때 공간(25) 내에 수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벽(19E)은 공간(25) 내에 수용된 수집된 물(CW)이 공기 통로(22)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내부 벽(19E)은, 특히 습식 청소 장치(10)가 가구 아래를 청소하기 위해 틸팅되는 경우, 공기 통로(22) 내로의 물의 유입에 의해 모터(1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더욱이, 내부 벽(19E)은 또한 수집된 물(CW) 위에서의 공기 유동의 취입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물방울이 공기 통로(22)를 향해 스위핑(sweeping)되는 리스크를 감소시킨다.
공간(25)의 용량은, 예를 들어, 내부 벽(19E)이 제1 측부 부분(19C)으로부터 연장되는 시나리오에 비해, 용기(19)의 단부(19A)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벽(19E)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벽(19E)은 용기(19)의 상단(19A)으로부터 용기(19)의 상단(19A)과 하단(19B)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Al)을 따라 연장된다. 이는, 예컨대 공간(25)의 용량을 최대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공간이 용기(19)의 상단(19A)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는, 습식 청소 장치(10)가 가구 아래의 청소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수평 배향과 같은 틸팅된 배향으로 작동하도록 도울 수 있다.
축(Al)은, 예를 들어. 용기(19)의 제1 측부 부분(19C)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용어 "실질적으로 평행한"은, 예를 들어, 내부 벽(19E)이 용기(19)의 상단(19A)과 하단(19B) 사이의 제1 측부 부분(19C)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관계에 대해 ±5°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포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부 벽(19E)은 용기(19)의 상단(19A)으로부터 용기(19)의 단부(19A)에 대해 직각인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의 내부 벽(19E)은 축(Al)을 따라 용기(19)의 상단(19A)으로부터 연장되지만, 이는 내부 벽(19E)을 축(Al)을 따라 그 전체가 연장되는 것으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용기(19)의 하단(19B)에 근접한 내부 벽(19E)의 단부 부분은,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축(Al)으로부터 멀어지게 만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벽(19E)은 용기(19)의 상단(19A)에 밀봉식으로 인접한다. 이는, 내부 벽(19E)이 공간(25) 내에 수용된 수집된 물(CW)이 공기 통로(22)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이것의 예는 본 명세서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WV2)은 용기(19)와 내부 벽(19E) 사이에 한정된 공간(25) 내에 수용된다. 용기(19)가 직립 배향을 향해 다시 틸팅될 때, 수집된 물(CW)은 해시선 화살표(hashed arrow)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수집된 물(CW)의 이러한 이동이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수평 배향과 직립 배향 사이의 용기(19)의 배향을 도시한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피벗 지점(13)을 통해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용기(19)의 각도를 조정하는 것은 수집된 물(CW)이 용기(19)의 하단(19B) 및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다시 이동하게 한다. 제1 측부 부분(19C)은 용기(19)를 가로질러 제2 측부 부분(19D)에 반대편이다.
따라서, 내부 벽(19E)은 직립 배향을 향해 틸팅 시 수집된 물(CW)을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다시 안내하도록 도울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배향을 향한 그러한 각도 조정은 수집된 물(CW)의 파동(WV3)이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생성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수집된 물(CW)은, 사용자가 손잡이(24)를 밀어내는 것에 의해 용기(19) 및 청소기 헤드(12)가 전방으로 밀리는 경우, 용기(19)의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오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동(WV4)은 용기(19) 및 청소기 헤드(12)를 그와 같이 밀어내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에 밀봉식으로 인접한다.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물 지향 부재(26)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하고 용기(19) 및 청소기 헤드(12)를 밀어내고/당기는 것의 일반적인 방향으로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지향 부재(26)의 이러한 배열은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오른 수집된 물(CW)이 제2 측부 부분(19D)을 따라 공기 통로(22)를 향해 계속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제1 측부 부분(19C)을 향해 돌출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측부 부분(19D)은 손잡이(24)를 파지하는 사용자에 대해 원위에 있고, 제2 측부 부분(19D)에 반대편에 있는 제1 측부 부분(19C)은 손잡이(24)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근위에 있다.
이 시점에서, 예를 들어, 청소기 헤드(12)의 오물 입구(11)가 청소될 표면을 계속 향하는 동안 제1 측부 부분(19C)이 청소될 표면을 향해 이동되도록 용기(19)의 배향이 피벗 지점(13)을 통해 조정될 때, 수집된 물은 용기(19)의 제1 측부 부분(19C)을 따라 용기(19)의 상단(19A)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반복된다.
물 지향 부재(26)는 파동(WV4)의 나머지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고, 형성된 물방울이 화살표(32A)로 표시된 분리된 공기의 유동과 접촉하고 공기 통로(22)를 향해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점선(32)은 습식 진공 청소기(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튜브(34)는 오물 입구(11)로부터 분리기 유닛(18)으로 공기를 운반할 수 있다.
분리기 유닛(18)은 습식 진공 청소기(10)를 통해 유동 방향(32)을 변화시키는 유동 경로 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방향 변화는 공기 내에 혼입되는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유동 경로 부재(36)의 내부 표면 부분으로 내던져지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는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물과 공기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물이 그 자체뿐만 아니라 많은 유형의 고체 재료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대부분의 기체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예를 들어, 공기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해 편리하게 적용된다. 물-공기 혼합물을 튜브(34)를 통해 단순하게 안내하는 것만으로 소적 및 액체 스트림이 튜브(34)의 벽 상에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굴곡부 또는 사이클론에서와 같이, 또한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혼합물에 강제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통해 혼합물을 안내함으로써, 액체(뿐만 아니라 고체)가 원심력으로 인해 외향으로 축적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액체는 액체가 지향되는 벽에 접착되게 되고 그를 따라 유동할 것인 반면, 건조 또는 더 건조한 공기는 벌크로 흐를 것이다.
유동 경로 부재(36)는 유동 방향의 변화가 물 및/또는 오물 입자를 공기의 유동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면 임의의 적합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공기 유동 경로(32) 내에 포함되고, 분리기 유닛(18)의 개구와 공기 통로(22)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예에서,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는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로부터 멀어지게 향하고, 따라서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를 횡단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며, 이는 공기 유동 내의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재혼입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분리기 유닛(18)은, 유동 경로 부재(36)에 인접하는, 예를 들어, 그에 직접 연결되는 출구 부재(38)를 추가로 포함한다. 출구 부재(38)는 유동 경로 부재(36)로부터 연장되고, 출구 부재(38)의 림(40)에 의해 한계설정된 개구에서 종결된다.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는 출구 부재(38)에 의해 출구 부재(38)의 개구를 향해 안내된다. 출구 부재(38)는 공기 드래그 및 중력이 개구를 향한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이러한 안내를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출구 부재(38)는, 장치(10)가 사용을 위해 배향될 때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를 개구로부터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출구 부재(38)는 대안적으로 "액체 안내 구조체"로 지칭될 수 있다.
출구 부재에 의한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이러한 안내 및 축적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출구 부재(38)의 개구는 경사진 림(40)에 의해 한계설정된다. 경사진 림(40)은,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경사진 림(40)을 따라,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가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진 림(40) 상의 영역, 예를 들어 지점으로 유동하도록 경사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은, 공기 드래그와 함께,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경사진 림(40) 상의 영역, 예를 들어, 그 지점으로부터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유동하도록 도울 수 있다.
출구 부재(38)의 경사진 림(40)은 분리된 공기의 유동을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로부터 멀어지게 지향시키는 것을 추가로 도울 수 있다. 이는, 경사진 림(40)에 의해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안내되어 향하는 출구 부재(38)의 측부에서 공기 유동 저항이 더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출구 부재(38)는 물 안내 요소(보이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안내 요소는 출구 부재(38)의 표면 상에 또는 그 내에 배열될 수 있고,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를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개구로 그리고 개구로부터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물 안내 요소는, 예를 들어, 출구 부재(38)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 및 출구 부재(38)의 내측 표면 내의 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 및/또는 오물 입자는, 예를 들어, 리브(들) 및/또는 홈(들)에 의해,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가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연장되는 개구에서의 영역, 예를 들어 지점까지 채널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튜브(34)는 오물 입구(11)로부터 분리기 유닛(18)으로 공기를 운반하고, 컵은 튜브(34)의 단부를 수용한다. 이 경우, 유동 경로 부재(36)의 제1 내부 표면 부분은 컵의 내부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컵은 튜브(34)의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의해, 공기가 튜브(34)의 단부와 컵 사이에서 공기 통로(22)를 향해 흐르게 할 수 있다.
컵은 유동 방향(32)이 변화되게 하여, 오물 입구(11)로부터 흡인된 공기 내에 혼입된 물이 컵의 내부 표면으로 내던져지고, 그에 의해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이 예에서, 출구 부재(38)는 컵의 하류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이러한 하류 부분(38)은 유동 방향 변화를 구현하는 컵의 상류 부분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이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유동 경로 부재(36) 및 출구 부재(38)는,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된 물은, 중력 및 공기 드래그의 도움으로, 출구 부재(38)에 의해 출구 부재(38)의 개구를 향해 안내된다. 또한, 출구 부재(38)의 배열은, 장치(10)가 사용을 위해 배향될 때 분리된 물이 개구로부터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지향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출구 부재(38)는 제1 측부(53A) 및 제2 측부(53B)를 갖고, 제1 측부(53A)는 제2 측부(53B)에 반대편이다. 출구 부재(38)는 장치(10)가 사용을 위해 배향될 때,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축적되고 제1 측부(53A)를 향해 안내되도록 배열된다. 제1 측부(53A)는 출구 부재(38)의 최하부 지점에서 종결되고,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가 그로부터 연장된다.
용기(19) 내의 전술한 내부 벽(19E)은 제1 측부(53A)로부터 공기 통로(22)로의 공기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공기 유동 장벽을 제공하는 이러한 예에서 추가적인 목적을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은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가 제1 측부(53A)로부터 멀어지고 공기 통로(22)를 향해 지향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고,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횡단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도 6은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10)의 내부 부분의 도면을 제공한다. 특히, 도 6은, 이 예에서 공기 통로(22)를 한계설정하는 용기(19)의 상단(19A)을 도시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컵을 포함하는 분리기 유닛(18)의 일부가 또한 도 6에서 볼 수 있다.
분리기 유닛(18)의 외부 벽 부분(18A)은 도 6에 제공된 사시도 아래의 평면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벽(19E)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간(25)은 분리기 유닛(18)의 외부 벽 부분(18A)을 포함하는 내부 벽(19E) 및 용기(19)에 의해 한정된다.
내부 벽(19E)은 용기(19)가 수평 배향을 향해 틸팅될 때 수집된 물(CW)이 공간(25)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임의의 적합한 거리만큼 용기(19)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그러나, 습식 청소 장치(10)가 직립하고 전방 및 후방으로 움직이고 있을 때, 공간(25) 내로의 수집된 물(CW)의 진입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0.1 내지 0.8 mm의 공간(25)의 폭(W)이 내부 벽(19E)과 제1 측부 부분(19C)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폭(W)은 수집된 물의 통로가 공간(25)을 막는 오물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이 수집된 물(CW)이 공간(25)으로부터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유동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내부 벽(19E)은 도 6에서 용기(19)의 상단(19A)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내부 벽(19E)은 용기(19)의 상단(19A)에 대해 직각으로 그리고 전술한 축(Al)을 따라 용기(19)의 상단(19A)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예에서, 내부 벽(19E)은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19)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는 단부 부분(19F)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벽(19E)은 용기(19)의 상단(19A)에 인접하는 제1 차단 영역(19G)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차단 영역(19G)은 도 6에 제공된 사시도 위의 상부 도면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내부 벽(19E)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용기(19)의 상단(19A)에 인접하는 제1 차단 영역(19G)을 향해 증가한다. 따라서, 제1 차단 영역(19G)은 내부 벽(19E)을 용기(19)의 상단(19A)에 밀봉식으로 인접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어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벽(19E)이 공간(25) 내에 수용된 수집된 물(CW)이 공기 통로(2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시일(seal)과 같은 고무 시일을 포함하는 밀봉 부분이 제1 차단 영역(19G)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내부 벽(19E)이 용기(19A)의 상단에 밀봉식으로 인접되게 한다.
전술된 제1 차단 영역/밀봉 부분에 추가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일 수 있는 실시예에서, 내부 벽(19E)은 제2 차단 영역들(19H)을 포함하고, 각각의 제2 차단 영역(19H)은 용기(19)의 각각의 측부 부분에 인접하고; 측부 부분들은 용기(19)의 상단(19A)으로부터 연장된다.
내부 벽(19E)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제2 차단 영역들(19H) 각각을 향해 증가한다. 제2 차단 영역들(19H)은 내부 벽(19E)을 용기(19)의 측부 부분들 각각에 밀봉식으로 인접시키도록 돕는다. 이어서, 이는, 내부 벽(19E)이 공간(25) 내에 수용된 수집된 물(CW)이 공기 통로(2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돕는다.
더욱이, 차단 영역(19H)은, 소정 예에서, 예를 들어 내부 벽(19E)이 고무 시일을 통해 용기(19)에 인접하는 시나리오에 비해, 용기(19)로부터 내부 벽(19E)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차단 영역(19G, 19H)은 내부 벽(19E)의 나머지와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전술한 튜브-인-컵 분리기 유닛(18)을 갖는 습식 청소 장치(10)의 일부를 도시한다. 습식 청소 장치(10)는 축(Al)을 따라 용기(19)의 상단(19A)으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벽(19E)을 포함하고,
용기(19)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만곡되는 단부 부분(19F)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튜브(34)는 용기(19)의 중심 영역에서 분리기 유닛(18)을 향해 연장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튜브(34)는 용기(19)의 중심 영역에서 분리기 유닛(18)의 컵을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튜브(34)를 위치시키는 것은, 도 9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특히 용기(19) 및 청소기 헤드(12)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전방 방향으로 밀리고 있을 때,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이동되는 물을 분할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튜브(34)는 제1 측부 부분(19C)으로부터 멀어지는 각도로 그리고 반대편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섹션(34A)을 포함한다. 튜브(34)는 또한 제1 및 제2 측부 부분들(19C, 19D)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섹션(34B)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섹션(34A)을 경사지게 하는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9)의 중심을 향한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의 물 지향 부재(26)의 연장부를 수용하도록 돕는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기 유닛(18) 및 물 지향 부재(26)는 용기(19)로부터 분리가능한 착탈식 유닛에 포함된다. 이는 용기(19)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그 이유는 분리기 유닛(18) 및 물 지향 부재(26)를 분리하는 것이 용기(19)에 대한 접근, 특히 용기(19)의 하단(19B)에 대한 접근이 방해되는 것을 회피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착탈식 유닛은 분리기 유닛(18) 및 내부 벽(19E)을 포함한다. 추가 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유닛은 분리기 유닛(18), 내부 벽(19E) 및 물 지향 부재(26)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물 지향 부재(26)는 하나 이상의 부착 부재(27)에 의해 분리기 유닛(18)에, 이 경우는, 컵에 부착된다.
보다 대체적으로, 물 지향 부재(26)는, 예를 들어, 분리기 유닛(18) 및/또는 내부 벽(19E)과 독립적으로, 용기(19)의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물 지향 부재(26)는 측부 부분(19D)에 부착될 때 측부 부분(19D)에 밀봉식으로 인접된다.
도 8은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예시적인 습식 청소 장치(10)의 용기(19)의 평면도를 제공하고;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실질적으로"는 용기(19)의 만곡된 코너를 고려한다. 용기(19) 및 청소기 헤드(12)를 전방 방향으로 밀어낼 때, 파동(WV5)이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전진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설계를 도시하며, 여기서 입구(11)로부터 분리기 유닛(18)으로 공기 유동을 공급하는 튜브(34)는 용기(19)의 중심 영역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튜브(34)는, 용기(19)가 청소기 헤드(12)와 함께, 손잡이(24)를 파지하는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전방 방향으로 밀릴 때,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이동하는 물을 분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집된 물(CW)을 분할하는 것은 물이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파동(WV6)의 에너지를 소산시키도록 돕는다.
튜브(34)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예에서 원통형인데, 그 이유는 이것이 수집된 물(CW)의 매끄러운 분할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부 부분(19D)의 내측 표면은 내측 표면이 전방 방향으로 외향으로 만곡되도록 아치형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아치형 내측 표면은 파동(WV6)의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파동 차단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제2 측부 부분(19D)의 아치형 내측 표면은,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용기(19)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튜브(34)와 함께, 공기 통로(22)를 향한 수집된 물(CW)의 수직 이동이 최소화될 수 있는 유동 패턴을 생성하도록 돕는다. 중심에 위치된 튜브(34)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유동은 아치형 내측 표면에 의해 서로를 향해 안내되어, 유동들이 용기(19)의 수평 평면에서 충돌하게 할 수 있다. 유동들의 그러한 수평 충돌은 공기 통로(22)를 향한 수직으로의 물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보다 대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용기(19)는 제3 및 제4 측부 부분들(191, 19J)을 갖는다. 제1 및 제2 측부 부분들(19C, 19D)은 제3 및 제4 측부 부분들(191, 19J)에 의해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제2 측부 부분(19D)의 아치형 내측 표면의 경우, 내측 표면은 예를 들어, 전체로서 제2 측부 부분(19D)과 함께, 제1 부분(19C)으로부터 멀어지게 아치형으로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부 부분(19D)의 내측 표면은 제3 측부 부분(191)으로부터 제4 측부 부분(19J) 주위로 아치형으로 된다.
그러나, 용기(19)는 입방형(cubic), 장방형(cuboidal), 프리즘형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형 용기(19)의 경우에, 용기(19)는 평면에서 삼각형이다. 삼각형의 한 변은 예를 들어 제1 측부 부분(19C)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측부 부분(19C)에 반대편인 삼각형의 모서리는, 모서리의 양 변에서의 삼각형의 나머지 두 변의 영역들과 함께, 제2 측부 부분(19D)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에서,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을 한정하는 삼각형의 모서리 및 나머지 두 변의 영역들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물 지향 부재(26)가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오른 물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 표면(26B)을 포함한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제1 표면(26B)은 제2 측부 부분(19D)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도 10b에 도시된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1 표면(26B) 및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하향경사지는 제2 표면(26C)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1 표면(26B)은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표면(26C)은 제1 표면(26B)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예에서, 하향경사진 제2 표면(26C)은 물을 공기 통로(22)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돕는다.
도 10c는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하향경사진 제1 표면(26B)을 갖는 물 지향 부재(26)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하향경사진 제1 표면(26B)은 물을 공기 통로(22)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용기(19)의 하단(19D)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돕는다.
도 10d에 도시된 물 지향 부재(26)는, 물 지향 부재(26)가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표면(26B) 및 제1 표면(26B)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표면(26C)을 포함하고, 제2 표면(26B)이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하향경사진다는 점에서, 도 10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10d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표면(26B)은 용기(19)의 상단(19A)을 향해 상향경사진다.
보다 대체적으로, 제1 표면(26B)으로부터 연장되는 하향경사진 제2 표면(26C)은, 물 지향 부재(26)를 흘러넘친 물이 튜브(34)에 충돌하고, 분리된 공기 유동(32A) 내에 재혼입될 수 있는 물방울을 생성하는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e에 도시된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표면(26B), 및 제1 표면(26B)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표면(26C)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표면(26B)이 용기(19)의 상단(19A)을 향해 상향경사지고, 제2 표면(26C)은 제2 측부 부분(19D)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0a 내지 도 10e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표면(26C)은 제1 표면(26B)으로부터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그리고/또는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만곡될 수 있다. 이는 물 지향 부재(26)가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오른 물이 공기 통로(22)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측부 부분(19D)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의 물 지향 부재(26)의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LE)는 적어도 5 mm이다. 그러한 최소 측방향 연장부(LE)는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올라 공기 통로(22)를 향하는 물의 진행의 효과적인 억제에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LE)는 10 내지 50 mm, 예컨대 10 내지 30 mm, 예를 들어 약 20 mm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LE)는 용기(19)의 내부 폭의 최대 75%일 수 있다. 내부 폭은 용기(19)의 서로 반대편인 측부 부분들(19C, 19D)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는 제2 측부 부분(19D)을 따라 공기 통로(22)를 향한 물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한 요건과, 예컨대 공기 유동을 오물 입구(11)로부터 분리기 유닛(18)으로 운반하는 튜브(34)와 같이, 습식 청소 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를 위해 용기(19) 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요건의 균형을 잡는다. 50 mm의 상한 및/또는 용기(19)의 내부 폭의 최대 75%는 또한, 물 지향 부재(26)가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한 분리된 물의 통과를 방해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지향 부재(26)는 측부 부분(19D)에 물 지향 부재를 밀봉식으로 인접시키기 위한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26A)을 포함한다.
밀봉 부분(26A)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 영역(26A)은 물 지향 부재의 나머지와 동일한 재료,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엔지니어링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 지향 부재의 두께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26A)이 밀봉식으로 인접되는 측부 부분의 영역을 향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26A)이 물 지향 부재(26)를 용기(19)의 제2 측부 부분(19D)에 밀봉식으로 인접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어서, 이는 물 지향 부재(26)가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올라 공기 통로(22)를 향하는 물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물 지향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19)의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물 지향 부재(19D)는 제2 측부 부분(19D)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전자의 경우에, 제조 허용 오차는 물 지향 부재(26), 예를 들어, 주변 차단 또는 밀봉 부분(26A)과 제2 측부 부분(19D) 사이에 2 mm 미만의 갭을 허용할 수 있다. 임의의 갭이 2 mm 미만임을 보장함으로써, 공기 통로(22)를 향한 제2 측부 부분(19D)을 따른 물방울의 진행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지향 부재(26)는 공기 통로(22)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표면(26B)을 포함한다. 물 지향 부재(26)는 표면(26B)으로부터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26A)을 향해 만곡되는 만곡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표면(26B) 상의 물을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그리고 공기 통로(22)로부터 멀어지게 지향시키는 것을 돕는다.
도 11에 도시된 물 지향 부재(26)의 만곡 표면은 물 지향 부재(26) 상의 물을 제2 측부 부분(19D) 및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다시 안내하는 "라운딩(rounding)"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지향 부재(26)는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오른 물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 표면(26B) 및 제2 표면(26C)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1 표면(26B) 및 제2 표면(26C) 둘 모두는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이때 제2 표면(26C)은 제1 표면(26B)보다 더 급격하게 하향경사진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제1 표면(26B)은 차단 또는 밀봉 부분(26A)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표면(26C)은 제1 표면(26B)으로부터 연장된다.
제1 표면(26B)으로부터 연장되는 하향경사진 제2 표면(26C)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 지향 부재(26)를 흘러넘친 물이 튜브(34)에 충돌하고, 분리된 공기 유동(32A) 내에 재혼입될 수 있는 물방울을 생성하는 리스크를 감소시킨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물 지향 부재(26)를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지향 부재(26)는 용기(19) 내에 수집된 물을 위한 최상부 물 라인(23)보다 위에 위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튜브(34)는 제1 측부 부분(19C)으로부터 멀어지는 각도로 그리고 반대편인 제2 측부 부분(19D)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섹션(34A)을 포함한다. 튜브(34)는 또한 제1 및 제2 측부 부분들(19C, 19D)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섹션(34B)을 포함한다. 각진 제1 섹션(34A)은 도 7에 도시된 예와 유사하게, 제2 측부 부분(19D)으로부터의 물 지향 부재(26)의 연장부를 수용하는 것을 돕는다.
전술한 튜브-인-컵 분리기 유닛(18)을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의 일부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분리기 유닛(18)의 컵, 내부 벽(19E) 및 물 지향 부재(26)는 용기(19)로부터 분리가능한 착탈식 유닛에 포함된다.
도 13은 착탈식 유닛을 용기(19)로부터 화살표의 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착탈식 유닛이 용기(19)뿐만 아니라 튜브(3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 특정 예에서, 용기(19)의 상단(19A)은 또한, 용기의 상단(19A)을 들어올림으로써, 컵, 내부 벽(19E) 및 물 지향 부재(26)가 또한 제거되도록, 착탈식 유닛에 포함된다. 이는 용기(19)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13에는, 분리기 유닛(18), 이 예에서는 분리기 유닛(18)의 컵을 물 지향 부재(26)에 부착시키는 부착 부재(27)가 명백히 보인다.
도 13은 내부 벽(19E)이 용기(19)로부터 분리가능한 예를 도시하지만, 이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내부 벽(19E)은 용기(19)의 일체형 부분이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는, 중력 및 공기 드래그의 도움으로, 출구 부재(38)에 의해 출구 부재(38)의 개구를 향해 안내된다. 또한, 출구 부재(38)의 배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장치(10)가 사용을 위해 배향될 때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개구로부터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지향되도록 되어 있다.
도 14는 전술된 튜브-인-컵 분리기 유닛(18)의 추가 예를 도시한다. 컵은 베이스(37B)로부터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37A)을 갖는다. 이 예에서, 측벽(37A)은 베이스(37B)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유동 방향(32)의 180° 변화를 야기하며, 이는 공기로부터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효율적인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동 방향의 변화가 공기로부터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필요한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유동 방향 변화의 임의의 적합한 각도는, 예를 들어, 베이스(37B)로부터 비-수직으로(non-perpendicularly) 연장되는 측벽(37A)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것의 예는 본 명세서에서 도 1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림(40)은 원통형 측벽(37A)이 베이스(36B)의 평면에 대해 각진 평면(50) 상에서 절단되는 것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설계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6은, 예를 들어, 출구 부재(38)의 유동-관통 영역이 개구를 향해 넓어지도록 베이스(37B)의 평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는 측벽(37A)을 갖는 컵을 도시한다. 이는, 출구 부재(38)를 통한 공기 속도가 대응하여 감소되기 때문에 소적(48)을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측벽(37A)은 베이스(37B)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출구 부재(38)는 측벽(37A)에 인접하는 컵의 플레어 부분(flared portion)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동 방향 변화는 180°일 수 있지만, 플레어 부분은 액체/오물 재혼입을 회피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중력뿐만 아니라, 공기 드래그는 소적(48)이 경사진 림(40)을 따라 림(40)의 최상부 지점(51)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림(40)의 최하부 지점(52)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중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최하부 지점(52)으로부터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유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출구 부재(38)는 유동 경로 부재(36)의 내부 표면 부분(36A)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표면을 갖는다. 도 14에는 보이지 않지만, 출구 부재(38)는 용기(19)의 하단(19B)에 반대편인 제1 외측 표면, 및 내측 표면(38A)과 제1 외측 표면 사이의 만곡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는 내측 표면(38A)으로부터 제1 외측 표면으로 만곡 표면에 의해 안내된다.
더욱이, 출구 부재(38)는 제2 외측 표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제1 외측 표면은 한정된 에지 또는 코너에서 제2 외측 표면과 만나서, 그에 의해 제1 외측 표면 상에 소적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데, 이는 도 18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분리기 유닛(18)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15는, 도 14와 공통으로, 내부 벽(19E)의 일부를 도시한다. 수평으로 틸팅되는 경우 습식 청소 장치(10)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돕는 것뿐만 아니라, 내부 벽(19E)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를 한정하는 것을 돕는다.
튜브(34)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컵 내의 중심에 위치되지만, 이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4)는, 예를 들어 컵에 대해 중심을 벗어날 수 있다.
출구 부재(38)의 경사진 림(40)은 분리된 공기의 유동을 제1 유동 경로(39)로부터 멀어지게 지향시키는 것을 추가로 도울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공기 유동 저항이 경사진 림(40)에 의해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안내되어 향하는 출구 부재(38)의 제1 측부(53) 상에서 더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공기가 개구에 도달하기 전에 더 멀리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저속 공기 유동 영역이 제1 측부(53A)에 의해 한정된다.
이러한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예를 들어, 컵에 대한 튜브(34)의 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추가로 제어될 수 있다. 튜브(34)를 제1 측부(53A)를 향해 추가로 이동시키는 것은 공기 유동 저항을 증가시켜, 그에 의해 공기가 컵의 제2 측부(53B)에서 개구를 빠져나가는 성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예시적인 분리기 유닛(18)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내부 벽(19E)은 분리기 유닛(18)의 컵의 벽에 의해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내부 벽(19E)은 출구 부재(38)의 개구로부터 용기(19)의 상단(19A)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내부 벽(19E)의 기능들 중 하나는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안내되어 향하는) 출구 부재(38)의 제1 측부(53)로부터의 공기 통로(22)를 향한 공기 유동의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그에 대응하여,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출구 부재(38)의 제2 측부(53B)와 공기 통로(22) 사이에 한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구 부재(38)의 제1 측부(53A)로부터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한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는, 출구 부재(38)의 제2 측부(53B)로부터 공기 통로(22)를 향한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고, 그를 횡단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적(48)은 경사진 림(40)의 최하부 지점(52)을 향해 안내된다. 이는 도 16에 화살표(57)로 표시된다.
각도 0은 출구 부재(38) 내의 공기 유동 방향과,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경사진 림(40)의 최하부 지점(52)을 향해 운반되는 방향 사이에서 한정된다. 이러한 각도 0은 0°보다 크고, 90° 이하, 예컨대 20° 내지 75°, 예를 들어 약 45°이다.
도 17은 다른 예에 따른 습식 진공 청소기(10)를 도시한다. 습식 진공 청소기(10)는 내부 벽(19E)을 포함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습식 청소 장치(10)가 가구 아래를 청소하기 위해 틸팅되는 경우, 공기 통로(22) 내로의 물의 유입에 의한 모터(14)에 대한 손상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예들에 유사하게, 튜브(134)는 오물 입구(11)로부터 분리기 유닛(118)으로 공기를 운반한다. 그러나, 이 예에서, 유동 경로 부재(136)는 만곡된 튜브 섹션에 의해 한정된다. 만곡된 튜브 섹션(136)의 상류 단부는 튜브(134)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그에 직접 연결된다.
만곡된 튜브 섹션(136)은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U자 형상이고, 따라서 튜브 섹션(136)은 유동 방향이 180°만큼 변화되게 한다. 이는 공기로부터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효율적인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유동 방향의 변화가 공기로부터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필요한 분리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유동 방향 변화의 임의의 적합한 각도가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만곡된 튜브(136)는 유동 방향(32)이 도 1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전술한 분리기 유닛(18)과 유사한 방식으로 변화되게 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분리기 유닛(118)의 유동 경로 부재(136) 및 출구 부재(138)를 더 상세히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3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 내에 혼입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44)는 유동 방향의 변화의 결과로서 유동 경로 부재(136)의 내부 표면 부분(136A)에 대해 안내된다.
이는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내부 표면 부분(136A) 상의 더 큰 소적(46)으로 축적되게 하여, 그에 의해 공기로부터의 분리를 도울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 내부 표면 부분(136A)은 만곡된 튜브 섹션(136)의 아웃보드(outboard)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만곡된 튜브 섹션(136)에 의해 부과되는 방향의 변화는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원심력에 의해 만곡된 튜브 섹션(136)의 아웃보드 표면(136A)으로 내던져지게 한다. 추가 내부 표면 부분(136B)은 만곡된 튜브 섹션(136)의 인보드(inboard)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분리기 유닛(118)은, 유동 경로 부재(136)에 인접하는, 예를 들어, 이에 직접 연결되는 출구 부재(138)를 추가로 포함한다. 출구 부재(138)는 유동 경로 부재(136)로부터 연장되고, 출구 부재(38)의 림(140)에 의해 한계설정된 개구에서 종결된다.
출구 부재(138)는 위치(142)에서 유동 경로 부재(136)에 인접한다. 출구 부재(138)는, 예를 들어 체결구 및/또는 적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유동 경로 부재(136)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출구 부재(138) 및 유동 경로 부재(136)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경로 부재(136) 및 출구 부재(138)는 단일 성형된, 예를 들어, 사출 성형된 피스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대체적으로, 공기가 갑작스러운 변화를 따를 수 없기 때문에 공기 분리가 발생하는 국소부, 예를 들어 코너는 저속 공기 유동 영역에 대응하는 "후류(wake)"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코너는 예를 들어, 추가 내부 표면 부분(136B)이 출구 부재(138)의 내측 표면(138A)과 만나는 위치(142)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코너의 각도는 예를 들어 7°보다 클 수 있다. 그러한 각도는 액체 및/또는 오물 입자로부터의 공기의 효율적인 분리를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림(140)은,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경사진 림(140)을 따라 제1 영역(151)으로부터, 다시 말해서, 장치(10)가 사용을 위해 배향될 때 경사진 림(140) 상의 "최상부 지점"(151)으로부터 제2 영역(152)을 향하는 방향으로 안내됨에 따라 소적(48) 내로의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추가의 축적을 야기한다. 대안적으로, 영역(152)은 장치(10)가 사용을 위해 배향될 때 경사진 림(140) 상의 "최하부 지점"(152)으로 지칭될 수 있다.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의 소적(48)은 경사진 림(140)을 따라 그리고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유동한다. 따라서, 경사진 림(140)은 용기(19)의 하단(19B)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는 경사진 림(140)을 따라 경사진 림(140) 상의 최하부 지점(152)을 향해 유동한다.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는 최하부 지점(152)으로부터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중력뿐만 아니라, 공기 드래그는 소적(48)이 경사진 림(140)을 따라 림(140) 상의 최하부 지점(152)을 향해 유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중력은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최하부 지점(152)으로부터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유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출구 부재(138)는 유동 경로 부재(136)의 내부 표면 부분(136A)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표면(138A)을 갖는다. 도 18의 삽입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부재(138)는 용기(19)의 하단(19B)에 반대편인 제1 외측 표면(138B), 및 내측 표면(138A)과 제1 외측 표면(138B) 사이의 만곡 표면(138C)을 추가로 포함한다.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는 내측 표면(138A)으로부터 제1 외측 표면(138B)으로 만곡 표면(138C)에 의해 안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적(48)은 제1 외측 표면(138B)으로 안내될 수 있고, 이러한 비제한적인 예의 경사진 림(140)의 경우, 소적(48)은 제1 외측 표면(138B)을 따라 최하부 지점(152)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의 삽입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부재(138)는 제2 외측 표면(138D)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외측 표면(138B)은 한정된 에지 또는 코너(138E)에서 제2 외측 표면(138D)과 만난다. 이러한 에지(138E)는, 부분적으로, 소적의 습윤 특성의 결과로서 소적(48)이 제1 외측 표면(38B) 상에 유지되는 것을 도와서, 이에 의해 제1 외측 표면(38B)을 따른 경사진 림(40)의 최하부 지점(152)을 향한 소적(48)의 통과를 돕는다.
따라서, 개구에서, 액체는 제1 외측 표면(138B) 상에 축적될 수 있다. 다시, 공기 및 중력에 의해 강제되어, 축적된 액체는 단일 초점 영역 또는 지점, 다시 말해 최하부 지점(152)을 향해 경사진 림(140)의 윤곽을 따른다. 여기에서부터, 유동 경로 부재(136)의 내부 표면 부분(136A) 및 출구 부재(138)의 내측 표면(138A) 상에 이전에 분포되었던 액체가 이제 축적될 수 있고, 제어된 방식으로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안내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예에서, 출구 부재(138)의 유동-관통 영역은 개구를 향해 증가한다. 다시 말해서, 출구 부재(138)의 내부의 단면적은 개구를 향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출구 부재(138)를 통한 공기 속도가 대응하여 감소되기 때문에 소적(48)을 공기 유동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출구 부재(138)의 단면적을 개구를 향해 증가시킴으로써, 액체는 저속 공기 유동에 노출될 수 있고, 따라서 공기 유동에 재혼입될 가능성이 더 적을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출구 부재(138)는 원추형 부분, 예를 들어 비대칭 원추형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출구 부재(138)의 유동-관통 영역은 개구를 향해 넓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넓어진 출구 부재(138)의 다른 단면 형상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원추형 부분(138)은 만곡된 튜브 섹션(136)의 하류 단부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그와 직접 연결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부분은 개구에서 절단되어, 그에 의해 경사진 림(140)을 한정한다. 출구 부재(138)의 넓어진 유동-관통 영역과 조합하여, 경사진 림(140)은 공기 유동에서 재혼입의 리스크를 감소시키면서 물방울(48)을 개구를 향해 그리고 계속해서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따라 용기(19)의 하단(19B)을 향해 안내하기 위한 특히 적합한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예에 따른 분리기 유닛(118)의 단면도를 제공한다. 출구 부재(138)는, 이 경우, 비대칭 원추형 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경사진 림(140)은 평면에 의한 원추형 부분의 절단에 의해 한정된다.
출구 부재(138)의 개구로부터 공기 통로(22)를 향한 공기의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예를 들어, 공기 통로(22)에 대한 출구 부재(138)의 공간적 배열 및 특히 개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부재(138)는 제1 측부(153A) 및 제2 측부(153B)를 갖는다. 이 특정 예에서, 제1 측부(153A)는 제2 측부(153B)에 반대편이다. 출구 부재(138)는 장치(10)가 사용을 위해 배향될 때 분리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축적되고 제1 측부(153A)를 향해 안내되도록 배열된다. 제1 측부(53A)는 출구 부재(138)의 최하부 지점(152)에서 종결되고,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가 그로부터 연장된다.
공기 통로(22)는 제2 측부(153B)의 근위에 그리고 제1 측부(153A)에 대해 원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132A)가 제1 측부(153A)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공기 통로(22)를 향해 지향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고, 분리된 물 유동 경로(39)를 횡단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한정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벽(19E)은 추가로 (물 및/또는 오물 입자가 안내되어 향하는) 출구 부재(138)의 제1 측부(153A)로부터 공기 통로(22)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분리된 공기 유동 경로(32A)는 출구 부재(138)의 제2 측부(153B)와 공기 통로(22) 사이에 제공된다.
도 20은 사이클론-유형 분리기 유닛(218)을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공기 유동은 튜브(234)를 통해 그리고 용기(19) 내로 흡인된다. 용기(19)로 진입할 때, 공기 유동은 중공 원통형 유동 경로 부재(236) 주위로 안내되어, 그에 의해 공기 유동에 혼입된 물이 이로부터 분리되어 용기(19)의 하단(19B)에서 수집되게 한다. 분리된 공기는 중공 원통형 유동 경로 부재(236) 내로 그리고 이를 관통하여 공기 통로(22)를 통해 모터(14) 및 팬(16)을 향해 통과한다.
이 예에서, 습식 청소 장치(10)는, 특히 습식 청소 장치(10)가 가구 아래를 청소하기 위해 틸팅될 때, 공기 통로(22) 내로의 물의 유입에 의한 모터(14)에 대한 손상 리스크가 최소화되도록 전술한 내부 벽(19E)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 습식 청소 장치(10)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오른 수집된 물(CW)이 제2 측부 부분(19D)을 따라 공기 통로(22)를 향해 계속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물 지향 부재(26)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이 도면, 개시 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달성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단수 형태(부정 관사 "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소정의 수단들이 상호 상이한 종속항에서 언급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수단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지 않는다. 청구범위에서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6)
- 습식 청소 장치(10)로서,
오물 입구(11)를 갖는, 청소될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기 헤드(12);
상기 오물 입구에 흡입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14) 및 팬(16);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생성된 공기 유동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유닛(18, 118, 218);
분리된 물을 수집하기 위한 용기(19)로서, 상단(19A) 및 하단(19B), 및 상기 상단과 상기 하단 사이의 측부 부분(19D)을 갖는 상기 용기;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상기 모터 및 팬을 향해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에 제공되고, 상기 용기의 하단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공기 통로(22);
상기 장치의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4)로서, 상기 손잡이, 상기 청소기 헤드, 및 상기 용기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밀어내면 적어도 상기 청소기 헤드 및 상기 용기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적어도 청소기 헤드 및 상기 용기가 사용자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용기 내에 수집된 물이 상기 밀어내는 동안 상기 용기의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르도록(sloshing) 배열되는, 상기 손잡이(24);
상기 청소기 헤드와 상기 용기 사이의 선택적 피벗 지점(13)으로서, 상기 피벗 지점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는 사용자를 향하여 상기 용기의 틸팅을 허용하도록 배열되는 한편, 상기 오물 입구는 상기 청소될 표면에 흡입력을 계속 제공하는, 상기 피벗 지점(13); 및
상기 측부 부분에 밀봉식으로 인접하는 물 지향 부재(26)로서, 상기 물 지향 부재는 상기 측부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상기 측부 부분에 부딪쳐 튀어오르는 상기 물이 상기 측부 부분을 따라 상기 공기 통로를 향해 계속해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상기 물 지향 부재(26)를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측정된 상기 측부 부분(19D)으로부터의 상기 물 지향 부재(26)의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는 적어도 5 mm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장 긴 측방향 연장부는 10 내지 50 mm 또는 상기 용기(19)의 내부 폭의 최대 75%인,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지향 부재(26)는 상기 물 지향 부재를 상기 측부 부분(19D)에 밀봉식으로 인접시키기 위한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26A)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물 지향 부재의 두께는 상기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이 밀봉식으로 인접되는 상기 측부 부분의 영역을 향해 증가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지향 부재(26)는 상기 공기 통로(22)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 지향 부재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주변 차단 영역 또는 밀봉 부분(26A)을 향해 만곡되는 만곡 표면을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분(26A)은 탄성중합체 재료로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중합체 재료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지향 부재(26)는 상기 측부 부분(19D)에 부딪쳐 튀어오르는 상기 물에 접촉하기 위한 제1 표면(26B) 및/또는 제2 표면(26C)을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26B)은 상기 측부 부분(19D)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용기(19)의 상단(19A)을 향해 상향경사지고(incline);
상기 제2 표면(26C)은, 상기 공기 통로(22)로부터 멀어지게 물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하단(19B)을 향해 하향경사지거나(decline), 또는 상기 제1 표면이 상기 용기의 상단(19A)을 향해 상향경사질 때,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측부 부분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측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 지향 부재(26)는 상기 제1 표면(26B) 및 상기 제2 표면(26C)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하단(19B)을 향해 및/또는 상기 측부 부분(19D)을 향해 만곡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지향 부재(26)는 상기 측부 부분(19D)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부분(19D)의 내측 표면은 상기 내측 표면이 전방 방향으로 외향으로 만곡되도록 아치형인,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9)의 상기 상단(19A)으로부터 하단(19B)을 향해 연장되는 내부 벽(19E)을 포함하고,
공간(25)이 상기 용기와 상기 내부 벽 사이에 한정되고, 상기 용기의 하단에 수집된 물은 상기 수집된 물이 상기 용기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용기가 배향될 때 상기 공간에 수용가능하고, 상기 내부 벽은 상기 공간에 수용된 물이 상기 공기 통로(22)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 벽은 상기 용기에 밀봉식으로 인접하고 및/또는 상기 내부 벽과 상기 용기는 일체로 형성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 유닛(18, 118, 218), 및 상기 물 지향 부재(26)는 착탈식 유닛에 포함되고, 상기 착탈식 유닛은 상기 용기(19)로부터 분리가능한, 습식 청소 장치(10).
- 제10항 또는 제11항을 인용하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벽(19E)은 상기 착탈식 유닛에 포함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 유닛(18, 118, 218)은 래버린스 유형(labyrinth-type) 분리기 유닛, 필터 유형 분리기 유닛, 및 사이클론 유형 분리기 유닛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을 상기 분리기 유닛(18)으로 전달하기 위한 튜브(34)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기 유닛은 상기 튜브의 단부를 수용하는 컵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튜브는 상기 용기의 중심 영역에서 상기 컵을 향해 연장되는, 습식 청소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지향 부재(26)는 상기 공기 유동을 상기 분리기 유닛(18, 118, 218)으로 전달하기 위해 튜브(34, 134, 234)의 출구 아래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그 아래에 위치되는, 습식 청소 장치(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0196634.8A EP3970586A1 (en) | 2020-09-17 | 2020-09-17 | Wet cleaning apparatus |
EP20196634.8 | 2020-09-17 | ||
PCT/EP2021/075564 WO2022058471A1 (en) | 2020-09-17 | 2021-09-17 | Wet clean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7654A true KR20230067654A (ko) | 2023-05-16 |
Family
ID=7256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12604A KR20230067654A (ko) | 2020-09-17 | 2021-09-17 | 습식 청소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320545A1 (ko) |
EP (2) | EP3970586A1 (ko) |
KR (1) | KR20230067654A (ko) |
CN (2) | CN114190814A (ko) |
AU (1) | AU2021343270A1 (ko) |
WO (1) | WO202205847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693000A (en) * | 1951-07-21 | 1954-11-02 | Air Way Electric Appl Corp | Suction operated floor tool |
KR100622548B1 (ko) * | 2004-12-02 | 2006-09-19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
US9883782B2 (en) * | 2014-10-16 | 2018-02-06 | Intelliclean Solutions, Llc | Liquid filtration vacuum |
-
2020
- 2020-09-17 EP EP20196634.8A patent/EP397058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21
- 2021-09-17 CN CN202111094882.9A patent/CN114190814A/zh active Pending
- 2021-09-17 US US18/027,063 patent/US20230320545A1/en active Pending
- 2021-09-17 EP EP21769486.8A patent/EP4213693B1/en active Active
- 2021-09-17 AU AU2021343270A patent/AU2021343270A1/en active Pending
- 2021-09-17 WO PCT/EP2021/075564 patent/WO2022058471A1/en unknown
- 2021-09-17 KR KR1020237012604A patent/KR2023006765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17 CN CN202122261868.5U patent/CN216907775U/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41293A (ja) | 2023-09-29 |
EP4213693A1 (en) | 2023-07-26 |
CN114190814A (zh) | 2022-03-18 |
AU2021343270A1 (en) | 2023-06-01 |
EP3970586A1 (en) | 2022-03-23 |
EP4213693C0 (en) | 2024-05-29 |
WO2022058471A1 (en) | 2022-03-24 |
EP4213693B1 (en) | 2024-05-29 |
CN216907775U (zh) | 2022-07-08 |
US20230320545A1 (en) | 2023-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01786B2 (en) | Dust bin and filter for robotic vacuum cleaner | |
US7632324B2 (en) | Single stage cyclone vacuum cleaner | |
US20150230677A1 (en) | Guide channel for a vacuum cleaner dust separator | |
JP2007000603A (ja) | 水掃除真空掃除機用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 | |
KR101566204B1 (ko) | 진공청소기의 습식분리형 집진장치 | |
JP2004537336A (ja) | 吸引掃除機 | |
US11653809B2 (en) | Floor cleaner | |
US6368373B1 (en) | Air and liquid separator for a carpet extractor | |
JP3788589B2 (ja) | 電気掃除機 | |
KR20230067654A (ko) | 습식 청소 장치 | |
KR20230067663A (ko) | 습식 청소 장치 | |
JP7577839B2 (ja) | 湿式清掃装置 | |
JP7577840B2 (ja) | 湿式清掃装置 | |
EP4440401A1 (en) | Recovery tank for a surface cleaning device | |
CN216776855U (zh) | 湿式清洁装置 | |
EP0357189A2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 from a flow of air in a vacuum cleaner | |
GB2613666A (en) | Recovery tank for a surface cleaning device | |
CZ10119U1 (cs) | Usměrňovač toku nasávané směsi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