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498A -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498A
KR20230067498A KR1020220105305A KR20220105305A KR20230067498A KR 20230067498 A KR20230067498 A KR 20230067498A KR 1020220105305 A KR1020220105305 A KR 1020220105305A KR 20220105305 A KR20220105305 A KR 20220105305A KR 20230067498 A KR20230067498 A KR 20230067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ood
processing module
open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아영
오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7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4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comprises: a treatment module which processes food waste using microorganisms; a collection module which collects and stores residues of the food waste processed in the treatment module; and a transfer module for transferring the residues from the treatment module to the collection module. The treatment module includes an opening par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open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covered by a window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state of the treatment module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r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Other embodiments are also possible.

Description

음식물 처리 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의 내부 처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에서 시인되는 개폐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od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openable and openable window visible from the outside so as to check an internal processing state of food.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은 그대로 가축 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히 거름망 등을 통해 물기를 걸러낸 후 폐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음식물을 폐기할 경우 폐기되는 잔여 음식물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질 수 있고, 음식물이 적절히 처리되지 않을 경우 주변 식수원 또는 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In general, food discharged from homes or restaurants is used as livestock feed or simply discarded after filtering water through a sieve or the like. However, when food is discarded in this way,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amount of residual food to be discarded may be excessively large, and if the food is not properly treated, it may cause contamination of nearby drinking water sources or air.

이에 최근에는 음식물의 고액을 분리하고, 고체 상태의 음식물을 건조하거나, 분쇄하거나, 또는 미생물을 통해 분해 처리하여 배출(예컨대, 하수구에 방류 또는 별도 수거하여 폐기)하는 방식이 음식물의 처리 방법으로 주로 고려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method of separating food solids, drying, crushing, or decomposing food in a solid state through microorganisms and discharging it (eg, discharged to a sewer or separately collected and discarded) is mainly used as a food treatment method. is being considered

예를 들어 한국 공개특허 10-2012-74861 (공개일: 2012년 7월 6일)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소멸 건조장치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방식으로 소멸 및 건조시켜 잔여물을 퇴비나 사료, 또는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74861 (published on July 6, 2012), food waste decomposition, extinction and drying equipment is used to destroy and dry food waste by using microorganisms to compost the residue. Disclosed are features that allow it to be used as feed, or fuel.

또한, 한국 공개특허 10-2019-0033174 (공개일: 2019년 3월 29일)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 장치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 및 소멸되도록 하는 소멸공간을 제공하는 소멸조를 포함하고, 소멸조가 구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소멸조의 악취를 탈취시키는 탈취기를 콤팩트하게 포함하는 특징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33174 (published on March 29, 2019) discloses a housing comprising an extinction tank that provides an extinction space for a food waste extinction device to be decomposed and destroyed by microorganisms, and configured with the extinction tank Disclosed is a feature that compactly includes a deodorizer for deodorizing the odor of the extinction tank inside the.

한편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에서는 미생물의 양이 내부에 누적된 음식물의 잔여 양에 따라 증식하거나 또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내부에 미생물이 부족한 경우 미생물을 추가로 투입해야 할 수 있으며, 또는 미생물 및 음식물이 과도하게 투입된 경우에는 소정 시간 동안 음식물의 추가 투입을 제한해야만 요구되는 음식물 처리 품질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 처리 장치 내부의 처리 모듈 내부에 음식물 및/또는 미생물의 양을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 food processing device that processes food using microorganisms,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accumulated therein. Alternatively, when microorganisms and food are excessively added, the required food processing quality can be achieved only by limiting the additional input of foo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ccordingly, the user may need to periodically check the amount of food and/or microorganisms inside the treatment module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또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없는 이물질이 음식물과 함께 처리 모듈의 내부로 잘못 투입된 경우, 이물질은 분해 처리되지 못하고 계속 처리 모듈 안에 잔존하게 되어 음식물의 처리를 방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잘못 투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이 요구될 수 있으나, 종래의 음식물 처리 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처리 모듈에 접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투입되었더라도 이를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하였다.In addition, when a foreign substance that cannot be decomposed by microorganisms is mistakenly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module together with food, the foreign substance is not decomposed and treated and remains in the treatment module, thereby interfering with the treatment of the food. In this case, an operation may be required to discharge the erroneously introduced foreign substances to the outside, bu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ood processing apparatus, it is easy to discharge the foreign substances even if they are introduced because it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it is substantially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ess the treatment module. There were issues that were not addressed.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해시키는 처리 모듈에서의 음식물의 발효 처리 상태 및 잔존량을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시인되면서도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마련된 개구부 및 윈도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nd the fermentation process state and remaining amount of food in a processing module that decomposes food using microorganisms is visually recogniz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food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od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opening and a window provid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또한, 음식물 처리 장치 내부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면서도 내부의 음식물 또는 미생물의 축적된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도어의 투명창을 통해 내부의 잔존 미생물이나 음식물의 양이 과도하거나 과소하지 않도록 사용자에 의한 관리가 용이한 음식물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of the door provided to effectively shield the inside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and easily check the degree of accumulation of food or microorganisms inside, management by the user so that the amount of remaining microorganisms or food inside is not excessive or underestimat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od processing device that is easy to use.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적들은 이상의 언급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objec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발효 처리하는 처리 모듈; 상기 처리 모듈에서 발효 처리된 음식물의 잔여물을 보관하는 수거 모듈; 및 상기 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수거 모듈로 상기 잔여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전면에 외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외부에서 상기 처리 모듈의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인되는 개폐 가능한 윈도우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rocessing module for fermenting food using microorganisms; a collection module for storing food residues fermented in the treatment module; and a transfer module for transferring the residue from the processing module to the collection module, wherein the processing module includes an opening provid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opening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vered by a window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so that it can be checked.

예를 들어, 상기 처리 모듈에 인입되기 이전 상태의 음식물을 고체와 액체의 상태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처리 모듈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고액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고체 상태의 음식물이 상기 처리 모듈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further include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food in a state prior to being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module into a solid and liquid state, wherein the solid-liquid separator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and the solid-liquid separator Separated food in a solid state may be configured to be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윈도우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and the window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의 전면은 개폐 가능한 도어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의 일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투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may be covered by an openable door, and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or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the window.

예컨대, 상기 도어는 상기 처리 모듈 및 상기 상기 수거 모듈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의 상기 투명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는 상기 투명부 이외의 영역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는 상기 투명부 이외의 영역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may be configured to cover front surfaces of the processing module and the collection module.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oor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n area other than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oor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and an area of the door other than the transparent portion may be formed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도어 각각의 세로 폭은 상기 처리 모듈 전면의 전체 높이의 1/3배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윈도우는 가로 폭이 상기 처리 모듈의 전체 폭을 기준으로 0.5배 이상 0.75배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처리 모듈의 전면의 전체 면적의 0.25배 이상 0.5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중심부가 상기 처리 모듈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0.5배 이상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a vertical width of each of the opening, the window, and the door may be 1/3 times or more of the total heigh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and the horizontal width of the opening and the window may exceed the overall width of the processing module. As a standard, it may be configured to be 0.5 times or more and 0.75 times or less. In addition, the area of the opening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0.25 times and less than or equal to 0.5 times the total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A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may be located at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0.5 times the total height of the processing module.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윈도우는 장축이 세로 폭이고 단축이 가로 폭인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ning and the window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a long axis is a vertical width and a short axis is a horizontal width.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ing module and the collection module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해 또는 발효시키는 처리 모듈 내부의 상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음식물 처리 장치의 오작동이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lfunction or deterioration of function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can be prevented through a structure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check the internal state of a processing module in which food is decomposed or fermented using microorganisms from the outside. there is.

또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처리 모듈의 전면에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윈도우를 통해, 내부에 잔여 미생물이 부족한 경우 미생물을 인입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잘못 유입된 경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a window provided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at the front of the processing module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microorganisms may be introduced when remaining microorganisms are insufficient, and foreign substances may be removed when foreign substances are mistakenly introduced.

또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처리 모듈 및/또는 수거 모듈을 차폐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고, 도어는 처리 모듈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구부 및 윈도우에 대응하는 도어의 일 영역에 투명부를 포함함으로써, 음식물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상의 심미감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처리 모듈의 내부 상태 및 음식물 또는 미생물의 높이를 외부에서 간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n openable door for shielding a processing module and/or a collection module, and the door include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can be checked and a transparent portion in one region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window, thereby processing f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to easily check the internal state of the treatment module and the height of food or microorganisms from the outside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of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evice.

또한, 음식물 처리 장치의 처리 모듈 내부에 축적된 미생물이나 음식물의 높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microorganisms or food accumulated in the processing module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may be automatically detected, and releva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effec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state in which a housing is removed;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schematic internal front view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n internal front view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state in which a housing is removed.
6 is a schematic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처리 장치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식물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in a state in which a housing is removed;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 FIG. 4 is a schematic internal front view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고액분리장치(120), 처리 모듈(130), 수거 모듈(140), 및 이송 모듈(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t least one of a solid-liquid separator 120, a processing module 130, a collection module 140, and a transfer module 150. can include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투입된 음식물에 대해 처리 모듈(130)에서 소정의 가공 처리(예컨대 분쇄, 건조, 및/또는 발효 등의 처리)를 수행한 후 처리된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외관은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이와 같은 사각형 구조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 외관이 원통형 구조이거나, 또는 전부 또는 일부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is a device that performs predetermined processing (eg, grinding, drying, and/or fermentation, etc.) on the input food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then discharges the processed residue to the outside. can As shown in FIG. 1 ,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owever,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is not limited to such a rectangular structure,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an entire exterior or a structure with all or some corners rounded.

이와 같은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1)은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주요 구성 요소들, 예컨대, 고액분리장치(120), 처리 모듈(130), 수거 모듈(140), 및 이송 모듈(150) 중 적어도 하나를 내부에 실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하우징(101) 중 특정 면의 일부 영역(예: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전면의 하부 영역)은 개폐 가능한 도어(102)의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The housing 101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10 includes main components of the food treatment apparatus 10, for example,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the treatment module 130, and the collection module 140. At least one of , and the transfer module 150 may be mounted therein. Meanwhile, in one embodiment, a portion of a specific surface of the housing 101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eg, a lower area of the front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oor 102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t can be arbitrarily opened or closed by the user.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에서 도어(102)는,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전면에서, 후술할 처리 모듈(130) 및 수거 모듈(130)을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 시 사용자가 도어(102)를 개방하여 처리 모듈(130)이나 수거 모듈(140)에 접근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상기 도어(102)를 폐쇄하여 처리 모듈(130) 및 수거 모듈(140)을 차폐함으로써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미감을 개선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oor 102 may cover a processing module 130 and a collection module 1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front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It can be provided in a possible location. Accordingly, when necessary, the user can open the door 102 to access the processing module 130 or the collection module 140 and take necessary measures, and normally close the door 102 to access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By shielding the collection module 140, odors that may occur insid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may be blocked and overall aesthetics may be improved.

실시예에서, 도어(10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예: 유리, 합성수지 소재 등)로 형성되는 투명부(1021)에 해당하는 영역과 그 이외의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나머지 영역(10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투명부(1021)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어(102)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부의 상태(예: 처리 모듈(130) 내부의 음식물 및 미생물 잔존량)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2)에서 상기 투명부(1021) 이외의 나머지 불투명한 영역(1022)은 내부 구조를 차폐할 수 있는 불투광성 특성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door 102 include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 1021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eg, glass, synthetic resin material, etc.) and a remaining region 1022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other tha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transparent part 1021 may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ternal state (eg,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and microorganisms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is monitored even when the door 102 is not opened. It can be provided as a structure that can be confirmed. In addition, the opaque region 1022 other than the transparent portion 1021 of the door 102 may be formed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having an opaque property capable of shielding an internal structure.

한편 음식물은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투입부(110)를 통해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Meanwhile, food may be introduced into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through the input unit 11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

일 실시예에서, 투입부(110)는 투입공(11)과 상기 투입공(11)을 덮는 투입공 덮개(111)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입공(11)은 음식물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120)의 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음식물은 상기 투입공(11)을 통해 고액분리장치(12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투입공 덮개(111)는 밀폐력을 보장받기 위하여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둘레 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 회전 타입의 결합 방식으로 투입공(11)과 밀착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put unit 110 may be composed of an input hole 11 and an input hole cover 111 covering the input hole 11 . For example, the input hole 11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inlet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that separates food into solid and liquid, and food enters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through the input hole 11. It can flow inside. Her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jection hole cover 11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rubber to ensure sealing force, and may be tightly coupled to the injection hole 11 in a screw rotation type coupling method.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투입공 덮개(111)의 개폐 여부에 기초하여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센서(예: 위치 감지 센서, 홀 센서 등)를 통해 투입공 덮개(111)가 투입공(11)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투입공 덮개(111)가 투입공(11)에 밀착 결합될 경우에 한하여 음식물 처리 장치(10) 내부의 동작(예컨대 음식물의 처리 동작 및/또는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내부 세척 동작 등)이 시작되고, 투입공(11)에서 투입공 덮개(111)가 분리될 경우에는 상기 음식물 처리 장치 내부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중단 또는 종료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ther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is operat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input hole cover 111 is opened or closed. For exampl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may detect whether the input hole cover 111 is coupled to the input hole 11 through a sensor (eg, a position detection sensor, a hall sensor, etc.),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 Internal operation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for example, food processing operation and/or internal cleaning operation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etc.) only when the input hole cover 111 is tightly coupled to the input hole 11. When the input hole cover 111 is separated from the input hole 11, the operation insid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may be temporarily stopped or terminated.

다른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싱크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싱크대(미도시)의 하단부에서 싱크대와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3 등에 도시된 투입공 덮개(111)의 구성은 생략되고, 싱크대에서 물이 배출되는, 싱크볼의 중앙 배수구(미도시)를 커버하는 별도의 덮개에 의해 전술한 투입공 덮개(111) 기능이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투입부(110)는 상기 싱크볼 중앙 배수구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싱크볼의 중앙 배수구는 투입부(110)의 상측에서 투입부(110)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음식물은 싱크대에서 싱크볼의 중앙 배수구와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투입부(11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내부(예컨대, 고액분리장치(120) 또는 처리 모듈(1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may be formed as a sink-integrated structure. For example,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coupled to the sink at the lower end of the sink (not shown).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hole cover 111 shown in FIG. 3 is omitted, and the sink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input hole cover 111 may be replaced by a separate cover covering a central drain hole (not shown) of the sink bowl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may be designed to correspond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central drain hole of the sink bowl. The central drain hole of the sink bowl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input unit 110 to communicate with the input unit 110, and food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central drain hole of the sink bowl and the input unit 110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in the sink. It may pass through and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eg, the insid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or the processing module 130).

고액분리장치(120)는 투입부(110) 등을 통해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내부에 유입되는 음식물을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액분리장치(120)는, 음식물이 분해 처리 또는 건조 처리에 적합한 일정 수준 이하의 함수율을 가지도록, 상기 음식물에서 물 등의 액체 성분을 일정 부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고액분리장치(120)는 투입된 음식물을 고액분리장치(120)의 상단 유입구 측에서 고액분리장치(120) 하단 배출구 측으로 적어도 일부 회전 이동시키면서 고액분리장치(200) 하면에 형성된 타공망을 통해 음식물의 액체 부분만이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체가 적어도 일부 제거된 고체 상태의 음식물을 고액분리장치(120)의 배출구에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액분리장치(120)의 배출구는 고액분리장치(120)의 하단에 배치되는 처리 모듈(130)의 입구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food introduced into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through the input unit 110 into solid and liquid. For example,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may perform a pretreatment step of partially removing liquid components such as water from the food so that the food has a moisture content below a certain level suitable for decomposition or drying. .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rotates at least a part of the introduced food from the upper inlet sid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to the lower outlet sid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while moving the liquid of the food through a perforated network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200. Only the portion may be separated and discharged, and through this, food in a solid state from which liquid is partially removed may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 Also, an outlet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may be connected to an inlet of a processing module 130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고액분리장치(12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various embodiments,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washing module (not shown)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

고액분리장치(120)는 분해(또는, 분쇄, 건조 처리)되기 전 상태의 음식물을 일차적으로 처리하고 이송하는 영역이므로, 잔존 음식물의 부패에 의하여 쉽게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세척 모듈은 고액분리장치(120)에 고압의 세척액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상기 고액분리장치(12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세척 모듈은 고액분리장치(120)의 상단 유입구 영역과, 고액분리장치(120)의 내부 챔버 영역과, 고액분리장치(120)에서 음식물을 회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영역과, 고액분리장치(120)의 하면 타공망 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척액을 통해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액분리장치(12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모듈은 전기적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이와 같은 복수의 세척 영역들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제어 밸브 및 세척액 유로 전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척 모듈은 고액분리장치(120)의 각 세척 영역들에 대해 한번에 동시에 세척액을 분사하는 대신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의 세척 영역에만 세척액이 분사되도록 하여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primarily processes and transfers food in a state before decomposition (or grinding or drying), odors may easily occur due to decay of remaining food. Accordingly, the washing module may clean the inside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by spraying a high-pressure washing liquid to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 For example, the washing module includes an upper inlet area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an inner chamber area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a transfer area for rotationally transferring food in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and a solid-liquid separator ( 120), at least one of the areas on the perforated mesh side can be washed with the washing liquid. Meanwhile, the washing module for washing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may include a control valve for sequentially spraying washing liqui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washing areas based on an electrical control signal and a washing liquid path conversion device. . Through this, the washing module can improve the washing effect by sequentially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only one washing area at a time, instead of spraying the washing liquid to each washing area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simultaneously.

처리 모듈(130)은, 고액분리장치(120)의 하단부에서 일정 수준으로 액체가 분리 제거된 상태의 음식물을 전달받아, 실질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처리 모듈(130)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해 처리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 처리 모듈(130)는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건조하거나, 가열하는 방식으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에서 처리 모듈(130)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분해 방식과 분쇄, 건조, 및/또는 가열 방식 중 둘 이상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도 있다. The processing module 130 may correspond to a device configuration that receives food in a state in which liquid is separated and removed at a certain level from the lower end of the solid-liquid separator 120 and performs actual processing. In one example, the processing module 130 may decompose and treat food using microorganisms, and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ing module 130 may grind, dry, or heat food. In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processing module 130 may employ two or more of the decomposition method using the microorganisms and the grinding, drying, and/or heating method.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130)의 일면,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된 도어(102)를 개방하였을 때 보여지는 상기 처리 모듈(130)의 전면부에는, 도 4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리 모듈(13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개구부(131)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in various embodiments, one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for example, the front portion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that is seen when the door 102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user is opened, as shown in FIG. , At least one opening 131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may be formed.

개구부(131)는 평상시에는 도 2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개 역할을 하는 윈도우(133)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처리 모듈(130)의 내부로 미생물 등을 추가로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나, 처리 모듈(130)의 내부에 처리가 어려운 이물질이 잘못 유입되어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윈도우(133)를 열고 개구부(131)를 통해 처리 모듈(130) 내부에 미생물을 추가로 투입하거나 또는 처리 모듈(130)로부터 기 투입된 음식물의 일부(예: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31)의 마개 역할을 하는 윈도우(133)는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외부에서 처리 모듈(130) 내부의 상태(예: 처리 모듈(130) 내부에 축적된 미생물 및 음식물의 잔존량, 처리 모듈(130)에서의 음식물의 발효 정도 등)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33)는 투광성 특성을 갖는 유리(예: 강화유리) 또는 플라스틱(예: 합성수지, PVC, 아크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pening 131 may be normally covered by a window 133 serving as a stopper, as shown in FIG. 2 .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additionally introduce microorganisms into the treatment module 130 or when a foreign substance that is difficult to treat is mistakenly introduced into the treatment module 130 and wants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The window 133 may be opened, and microorganisms may be additionally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module 130 through the opening 131, or a portion of the already introduced food may be removed from the processing module 130.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ow 133 serving as a stopper for the opening 131 is formed i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m, the user can view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from the outside (eg,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It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amount of accumulated microorganisms and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the degree of fermentation of food in the treatment module 130, etc.). The window 133 may be formed of light-transmitting glass (eg, tempered glass) or plastic (eg, synthetic resin, PVC, acryl), or the like.

한편, 윈도우(133)는 단일 구성으로서 개구부(131)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직접적으로 개구부(131)의 마개 역할을 할 수도 있으나, 윈도우(133)와 개구부(131)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윈도우(133)의 중앙측 투광부 영역을 둘러싸는 둘레 부분에 금속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금속 결합부을 통해 윈도우(133)가 플랜지 결합 방식으로 개구부(131)에 결합되거나 또는 탭 결합 방식으로 개구부(131)와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window 133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opening 131 as a single component and directly serve as a stopper for the opening 131, but a separat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window 133 and the opening 131.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a metal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at a circumferential portion surrounding the central light-transmitting portion area of the window 133, and the window 133 is coupled to the opening 131 in a flange coupling method or a tap coupling method through the metal coupling portion. It may also be screwed into the opening 131 .

또한, 이때 개구부(131)와 상기 윈도우(133)의 둘레 측의 결합 부재 사이 및/또는 상기 결합 부재와 윈도우(133)의 중앙측 투광부 사이에는 별도의 씰링 부재(예: 고무 소재의 o-링 등)가 추가로 장착되어, 윈도우(133)가 개구부(131)를 커버하였을 때 처리 모듈(130)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t this time, a separate sealing member (eg, a rubber material o- ring, etc.) may be additionally mounted to prevent odors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when the window 133 covers the opening 131 .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131) 및 윈도우(133)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예: 사각형, 육각형, 타원형 등)의 개구부(131) 및/또는 윈도우(133)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131)는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윈도우(133)의 중앙측 투광부 영역은 다각형, 타원형, 또는 일부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변형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윈도우(133)는 처리 모듈(130)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오목 또는 볼록 렌즈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131 and the window 133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hape, and in consideration of design convenience, various shapes (eg, square, hexagonal, elliptical) etc.) of the opening 131 and/or the structure of the window 133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window 131 may be configured in a circular shape, but the central light emitting area of the window 133 may be configured in a polygonal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shape with some corners rounded, and various other modifications may be applied. do. In addition, the window 133 may be provided in a concave or convex lens shape so that the internal stat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또한, 개구부(131)는, 윈도우(133)를 개방하는 경우에 처리 모듈(130) 내부의 음식물 및/또는 미생물이 의도치 않게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개구부(131) 측이 적어도 일부분 처리 모듈(13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ning 131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opening 131 so that food and/or microorganisms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are not unintentionally spilled outside when the window 133 is opened. 130) may have a concave shape.

개구부(131) 및 윈도우(133)는, 처리 모듈(130)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0.5배 이상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구부(131)의 중심부는 처리 모듈(130)의 중앙 높이보다 상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31)(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윈도우(133))의 세로 폭은 처리 모듈(130)의 전면의 높이의 약 1/3배 이상으로 구성되고, 개구부(131)의 전체 면적이 처리 모듈(130) 전면(예: 도 2에서 y축 방향으로 바라본 방향)의 전체 면적과 비교하여 약 0.25배 이상이고 0.5배 이하의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도 처리 모듈(130)에 축적된 음식물 및/또는 미생물의 잔여량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상기 개구부(131)를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The opening 131 and the window 133 may be positioned at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0.5 times the total height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131 may be formed above the central height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 In addition, the vertical width of the opening 131 (and the window 133 provid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about 1/3 times the heigh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the total area of the opening 131 is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e.g., the direction viewed in the y-axis direction in FIG. Residual amounts of accumulated food and/or microorganisms can be easily identified, and foreign substanc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the opening 131 .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부(131) 및 윈도우(133)는 장축이 세로 폭이고 단축이 가로 폭인 타원형 형상과 같이 가로보다 세로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처리 모듈(130) 내부에 축적된 양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opening 131 and the window 133 are formed in a shape longer than the width, such as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the major axis is the vertical width and the minor axis is the horizontal width, so that the amount accumulated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can be easily identified. may be able to do so.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모듈(130)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131) 이외에도 하단부 측에 상기 개구부(13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제2 개구부(1311) 및 상기 제2 개구부(1311)를 커버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제2 마개(133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개(1331)는 윈도우(133)와 같이 투명(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가 시인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처리 모듈(130) 내부의 잔존량은 상기 윈도우(133)를 통해 충분히 확인이 가능하므로 제2 마개(1331)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처리 모듈(130)의 전면에서 상측에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된 개구부(131) 및 윈도우(133)를 통해 처리 모듈(130) 내부의 상태(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잔존량 등)를 식별한 후, 미생물이나 음식물이 과도하게 유입된 경우 처리 모듈(13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2 마개(1331)를 열고 상기 제2 개구부(1311)를 통해 보다 쉽게 처리 모듈(130)에 누적된 미생물 또는 음식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미생물을 추가로 투입하거나 크기가 큰 이물질을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윈도우(133)를 열고 상기 개구부(131)를 통해 미생물을 투입하거나 크기가 큰 이물질을 꺼낼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opening 131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a second opening 1311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opening 131 at the lower end side and covering the second opening 1311 A second stopper 1331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econd stopper 133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like the window 133 so that the inside thereof can be visually recognized, but the remaining amount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can be seen through the window 133. Since confirmation is sufficiently possible, the second stopper 1331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For example, the user identifies the internal stat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such as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accumulated inside) through the relatively large opening 131 and window 133 provided on the upper side from the front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Then, when microorganisms or food are excessively introduced, the second stopper 133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reatment module 130 is opened and microorganisms or microorganisms accumulated in the treatment module 130 more easily through the second opening 1311. Food can also be discharged outside. In addition, when additional microorganisms or large foreign substances are to be discharged, the window 133 may be opened and microorganisms may be introduced or large foreign substances may be removed through the opening 131 .

한편, 처리 모듈(130)에서 음식물이 처리된 뒤 잔여물은, 처리 모듈(130)의 측부에 위치하는 수거 모듈(140)로 이송될 수 있다. Meanwhile, after food is processed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 residues may be transported to the collection module 140 located on the 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

처리 모듈(130)과 수거 모듈(140)은 측벽을 사이에 두고 공간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처리 모듈(130)에서 음식물에 대한 소정의 처리가 완료되어 이송 모듈(150)이 배치되어 있는 설정된 높이까지 잔여물이 누적되는 경우, 상기 잔여물은 처리 모듈(130)에서 측벽의 상단부를 통해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는 이송 모듈(150)을 통해 수거 모듈(14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The treatment module 130 and the collection module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side wall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redetermined treatment for food is completed in the treatment module 130 and the transfer module 150 is placed therein. When the residue accumulates to the height, the residue may be transported from the treatment module 130 to the collection module 140 through the transfer module 150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이송 모듈(150)은 처리 모듈(130)과 수거 모듈(140) 사이의 측벽을 연통하도록 마련된 연통로(155)를 통해 처리 모듈(130)로부터 수거 모듈(400)로 음식물 잔여물을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 모듈(150)은 내부에 마련된 이송 스크류(157)를 이용하여 처리 모듈(130)에서 수거 모듈(140)로 잔여물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 모듈(150)의 이송 스크류(157)는 처리 모듈(130)에서 수거 모듈(140)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 모듈(150)의 일부는 처리 모듈(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수거 모듈(14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모듈(150)을 구성하는 이송 스크류(157)는 전기적 제어에 기반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투입공 덮개(111) 또는 윈도우(133)를 개방하는 경우, 또는 수거 모듈(140)에서 수거함(144)을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이송 스크류(157)의 회전 동작은 자동으로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스크류(157)는 상기 중단 동작이 수행되기 이전에 이송 중이던 잔여물이 수거 모듈(140) 측 이송 모듈(150)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 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횟수만큼 역회전하여 잔여물을 다시 처리 모듈(130) 측으로 반송한 이후에 상기 회전 동작이 중단될 수도 있다. The transfer module 150 may transfer food residue from the processing module 130 to the collection module 400 through a communication passage 155 provided to communicate sidewalls between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the collection module 140. there is. For example, the transfer module 150 may transfer the residue from the processing module 130 to the collection module 140 using the transfer screw 157 provided therein. The conveying screw 157 of the conveying module 150 may extend from the processing module 130 to the collection module 140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a part of the transfer module 150 may be located above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the other part may be located above the collection module 140 . In addition, the transfer screw 157 constituting the transfer module 150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ased on electrical control, and when the user opens the input hole cover 111 or the window 133, Alternatively, when the collection box 144 is separated from the collection module 140,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transfer screw 157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In the embodiment, the conveying screw 157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during conveying in order to prevent residues being conveyed before the stop operation from remaining inside the conveying module 150 on the side of the collecting module 140. The rotating operation may be stopped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erse rotations are carried out to return the residue to the processing module 130 .

예를 들어, 이송 모듈(150)의 이송 스크류(151)의 외주면에는 원통형 구조의 이송 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스크린은 처리 모듈(130) 내에서 소정 크기 이하로 처리(예: 분해 처리)된 음식물만이 이송 모듈(15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 이하의 미세 개구(타공)을 포함하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 스크린에서 미세 개구는 원통형의 상부 일부 측에만 구비되어 있고, 이송 스크린의 하부 측은 미세 개구를 통해 유입된 작은 크기의 음식물이 다시 처리 모듈(130)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미세 개구를 포함하지 않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크린의 미세 개구는 처리 모듈(130)에서 수거 모듈(140)까지 연장 형성된 이송 스크린 중 처리 모듈(130) 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onveying screen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ying screw 151 of the conveying module 150 . The transfer screen includes fine openings (perforations) of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so that only food processed (eg, decomposition) to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transfer module 150. It can be formed as a surface that For example, in the transfer screen, the micro-openings are provided only on a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hape, and the lower side of the transfer screen does not include the micro-openings so that small-sized food introduced through the micro-openings does not escape back to the processing module 130. can be formed as Also, the micro-openings of the transport screen may be formed only on the processing module 130 side of the transport screen extending from the processing module 130 to the collection module 140 .

한편 처리 모듈(130)의 개구부(131)는 상기 이송 스크린의 미세 개구가 형성된 영역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opening 131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fine opening of the transfer screen is formed.

일 실시예에서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처리 모듈(130) 내부에서 음식물과 미생물을 적절히 혼합시키기 위한 교반 스크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처리 모듈(130)의 교반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 샤프트의 기어는 이송 모듈(150)의 이송 스크류(157)를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 샤프트의 기어와 맞물린 형태로 구비되어, 하나의 모터를 이용한 구동만으로도 이송 모듈(150)에서의 이송 작업과 처리 모듈(130)에서의 교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screw for appropriately mixing food and microorganisms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 At this time, the gear of the agi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agitation screw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is provided in a form meshed with the gear of the transfer shaft for rotating the transfer screw 157 of the transfer module 150, driven by a single motor.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transfer operation in the transfer module 150 and the stirring operation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alone.

수거 모듈(140)은, 처리 모듈(130)에서 음식물을 처리한 후 발생하는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수거 모듈(140)은, 처리 모듈(130)로부터 이송된 잔여물이 토출되는 배출공(14) 및 토출된 잔여물이 누적되어 보관되는 수거함(144)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함(144)은 배출공(14)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소정의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수거 모듈(140)은 도어(102)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수거 모듈(140)을 커버하는 도어(102)를 개방한 후 수거 모듈(140)로부터 수거함(144)을 분리하여, 수거함(144)에 누적된 잔여물을 수거할 수 있다. The collection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residues generated after processing food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to the outside. The collection module 140 may include a discharge hole 14 through which residue transferred from the processing module 130 is discharged and a collection box 144 in which the discharged residue is accumulated and stored. The collection box 144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14 and may form a predetermined closed structure. For example, the collection module 140 may be covered by the door 102, and the user may separate the collection box 144 from the collection module 140 after opening the door 102 covering the collection module 140. ,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accumulated residue in the collection box 144.

한편,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전면에서 처리 모듈(130) 및 수거 모듈(140)을 일체로 커버하는 도어(102)는, 폐쇄된 상태에서도 처리 모듈(130)의 내부에 축적된 음식물 및/또는 미생물의 축적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투명부(102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부(1021)는 처리 모듈(130)의 전면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131) 및 윈도우(133)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 형성되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도어(102)가 닫힌 상태에서도 간이하게 처리 모듈(130) 내에 누적된 음식물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어(102)에 형성된 투명부(1021)의 세로 폭은 내측의 처리 모듈(130)의 개구부(131) 및 윈도우(133)의 세로 폭과 마찬가지로 처리 모듈(130)의 전체 높이의 1/3배 이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oor 102 integrally covering the treatment module 130 and the collection module 140 on the front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even in a closed state, the food and/or food accumulated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Alterna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portion 1021 provided to check the accumulation of microorganisms from the outside, and the transparent portion 1021 is the location of the opening 131 and the window 133 formed o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reatment module 130. It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but composed of a rectangular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food accumulated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can be easily grasped even when the door 102 is closed. For example, the vertical width of the transparent portion 1021 formed on the door 102 is 1/1 of the total height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similar to the vertical width of the opening 131 and the window 133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inside. It can be configured to be three times or more.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개략적인 내부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개략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schematic internal front view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and FIG. 6 is a schematic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of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am.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처리 모듈(130)의 상단에 별도의 고액분리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상단의 투입부(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음식물이 바로 처리 모듈(130)의 내측으로 투입되어 처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oes not include a separate solid-liquid separator at the top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uses an input unit (not shown) at the top.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food introduced through the process is directly put into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processed.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의 처리 모듈(130), 수거 모듈(140), 및 이송 모듈(150)은 앞서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 모듈(130), 수거 모듈(140), 및 이송 모듈(15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ing module 130, the collection module 140, and the transport module 150 in FIGS. 5 and 6 are the processing module 130, the collection module 140,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transfer module 150 may be applied in the same way.

나아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처리 모듈(130) 내측에 별도의 높이 감지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처리 모듈(130)에 축적된 음식물 및 미생물의 높이를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축적물의 누적될 경우 외부에 알림을 발생시키거나 이송 스크류(157)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센서는 처리 모듈(130)에 누적된 음식물의 양이 이송 모듈(150)의 미세 개구가 형성된 이송 스크린의 상부를 초과하는 높이까지 축적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송출하고 내부의 일부 동작(예: 처리 모듈(130)에서의 열처리, 교반 등)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식물 처리 장치(10)는 센서의 높이 감지 결과에 따라 처리 모듈(130)에 마련된 교반 스크류의 동작은 중단하고 이송 모듈(150)의 이송 스크류(157)의 동작만을 계속 유지하도록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detects the height of food and microorganisms accumulated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by mounting a separate height sensor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 In the case of accumulation of accumulations above a preset height, a function of generating a notification to the outside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screw 157 may be processed. For example, the sensor detects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food accumulated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is accumulated to a height exceeding the top of the conveying screen in which the fine openings of the conveying module 150 are formed, sends a notification to the user, and performs some internal operations. (eg, heat treatment, stirring, etc. in the treatment module 130) may be stopped. For example,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tirring screw provided in the processing module 130 according to the height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and continues to operate onl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screw 157 of the transfer module 150. can also control.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음식물이 투입되는 상부 투입부(110) 이외에도 음식물 처리 장치(1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처리 모듈(130)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개구부(131)를 포함하고, 개구부(131)를 커버하는 투명(또는 반투명)한 구조의 윈도우(133) 형태의 마개와, 처리 모듈(130)과 수거 모듈(140)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도어(102)에 형성된 투명부(1021)를 통해, 외부에서도 처리 모듈(130) 내부의 음식물(및 미생물)의 누적 높이 및 발효 처리 상태를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ning provided to access the inside of the processing module 130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in addition to the upper input portion 110 into which food is input of the food processing device 10 ( 131) and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 133-shaped stopper covering the opening 131 and a door 102 configured to shield the processing module 130 and the collection module 140. Through the formed transparent portion 1021,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to easily check the cumulative height and fermentation process state of food (and microorganisms) inside the processing module 130 eve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Claims (15)

음식물 처리 장치에 있어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발효 처리하는 처리 모듈;
상기 처리 모듈에서 발효 처리된 음식물의 잔여물을 보관하는 수거 모듈; 및
상기 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수거 모듈로 상기 잔여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전면에 외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외부에서 상기 처리 모듈의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시인되는 개폐 가능한 윈도우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In the food processing device,
A treatment module for fermenting food using microorganisms;
a collection module for storing food residues fermented in the treatment module; and
A transfer module for transferring the residue from the processing module to the collection module;
The processing module includes an opening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n a front side, and the opening is configured to be covered by an openable and closable window that is visually recognized so as to check an internal state of the processing module from the outside. Food processing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에 인입되기 이전 상태의 음식물을 고체와 액체의 상태로 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액분리장치는 상기 처리 모듈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고액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고체 상태의 음식물이 상기 처리 모듈로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lid-liquid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food in a state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module into a solid and a liquid state,
The solid-liquid separator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rocessing module,
A food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allow food in a solid state separated from the solid-liquid separator to be introduced into the process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윈도우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갖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opening and the window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의 전면은 개폐 가능한 도어에 의해 커버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is covered by an openable do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의 일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투명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door further includes a transparent port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ortion of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the window.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처리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oor is configured to cover front surfaces of the processing module and the collection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기 투명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인,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door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상기 윈도우, 및 상기 도어 각각의 세로 폭은 상기 처리 모듈 전면의 전체 높이의 1/3배 이상인,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a vertical width of each of the opening, the window, and the do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1/3 of a total height of a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투명부 이외의 영역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oor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in an area other than the transparen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은 상기 처리 모듈 및 상기 수거 모듈에 걸쳐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 모듈의 일부는 상기 처리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송 모듈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수거 모듈의 상측에 위치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module is disposed horizontally across the processing module and the collection module,
A portion of the transport module is located above the processing module,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ransport module is located above the collec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윈도우는 가로 폭이 상기 처리 모듈의 전체 폭을 기준으로 0.5배 이상 0.75배 이하로 구성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and the window have a horizontal width of 0.5 times or more and 0.75 times or less based on the total width of the process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적은 상기 처리 모듈의 전면의 전체 면적의 0.25배 이상 0.5배 이하인,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of the opening is 0.25 times or more and 0.5 times or less of the total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cess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중심부가 상기 처리 모듈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0.5배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a central portion of the opening is positioned at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0.5 times the total height of the processing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장축이 세로 폭이고 단축이 가로 폭인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with a longitudinal width in a long axis and a horizontal width in a short axi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투명부 이외의 영역이 불투광성 특성을 갖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음식물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door is formed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having an opaque property in an area other than the transparent portion.
KR1020220105305A 2021-11-08 2022-08-23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23006749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52463 2021-11-08
KR1020210152463 2021-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498A true KR20230067498A (en) 2023-05-16

Family

ID=8654594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30A KR20230067450A (en) 2021-11-08 2022-02-17 Waste disposal unit
KR1020220020948A KR20230067448A (en) 2021-11-08 2022-02-17 Waste disposal unit
KR1020220020979A KR20230067449A (en) 2021-11-08 2022-02-17 Waste disposal unit
KR1020220074372A KR20230067481A (en) 2021-11-08 2022-06-17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20220105305A KR20230067498A (en) 2021-11-08 2022-08-23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030A KR20230067450A (en) 2021-11-08 2022-02-17 Waste disposal unit
KR1020220020948A KR20230067448A (en) 2021-11-08 2022-02-17 Waste disposal unit
KR1020220020979A KR20230067449A (en) 2021-11-08 2022-02-17 Waste disposal unit
KR1020220074372A KR20230067481A (en) 2021-11-08 2022-06-17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230067450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481A (en) 2023-05-16
KR20230067448A (en) 2023-05-16
KR20230067449A (en) 2023-05-16
KR20230067450A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993B1 (en) Apparatus for treating the food waste
KR10141388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KR101579963B1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101940903B1 (en) foodwaste shredder for sink
KR101445693B1 (en) Food garbage disposer
KR101579966B1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20160022616A (en) Food processor for sink
KR20230067498A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1449642B1 (en) Food wastes treater for sink mounting
KR102466335B1 (en) Treating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1847093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a sink
JP6153216B2 (en) Garbage disposal equipment
KR101755217B1 (en)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KR101338152B1 (en) purifying device for waste
CN108149756A (en) A kind of household sewage handles huge profit device
KR100370478B1 (en) Garbage Dehydration Apparatus for home use
JPH09264041A (en) Sink equipped with garbage processing unit
KR20150134662A (en) a waste disposal unit of an apartment house
KR20120032958A (en) Net changing type food waste treatment system
KR200356431Y1 (en) Garbage disposer of sink
KR100434731B1 (en) Food sweepings annihilating apparatus to use microbe
KR100311683B1 (en) Apparatus for disposal garbage
JPH0966276A (en) Garbage treatment apparatus
KR102574971B1 (en) Microbial Fermentation Food Processor Having An Oxidation Catalyst Deodorization Structure
KR102299783B1 (en) food waste treatment device using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