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127A -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 - Google Patents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127A
KR20230067127A KR1020210152888A KR20210152888A KR20230067127A KR 20230067127 A KR20230067127 A KR 20230067127A KR 1020210152888 A KR1020210152888 A KR 1020210152888A KR 20210152888 A KR20210152888 A KR 20210152888A KR 20230067127 A KR20230067127 A KR 2023006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needle array
skin
cosmetic sheet
microneed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수 촨
후미오 가미야마
Original Assignee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filed Critical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1015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127A/ko
Publication of KR2023006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40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A61L27/44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 A61L27/46Composite materials, i.e. containing one material dispersed in a matrix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having a macromolecular matrix with phosphorus-containing inorganic fi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3Carbohydrates
    • A61L2300/236Glycosaminoglycans, e.g. heparin, hyaluronic acid, chondroi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과제] 피부의 잔주름, 및 처진 주름 등에 생긴 홈부에 충전하는 것, 그리고 피부에 생기있는 팽팽함을 회복시키는 목적을 위해, 종래법과는 디바이스적으로나 효과적으로나 훨씬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는 미용 케어 시트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고, 해당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상기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피부 홈부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 상기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미간 주름, 팔자 주름, 또는 유방 간구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입경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 FOR A COSMETIC PRODUCT}
본 발명은 피부에 적용하는 마이크로니들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콜라겐이 정착하기 쉬우면서 증식에 의해 피부 증대에 효과적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를 위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표피 및 진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외측의 표피는 중층 편평 상피와 그 아래의 기저막에서 생성되고 있다. 표피는 혈관을 포함하지 않고, 진피로부터의 확산 작용에 의해 육성된다. 표피는 주로 각화 세포로 구성되며, 흑색 세포 및 랑게르한스 세포도 존재한다. 이 피부층은 신체와 외부 환경 사이의 배리어로서 기능하며, 물을 체내에 유지하고, 유해한 화학 약품 및 병원의 침입을 방지한다.
진피는 표피 아래에 존재하고, 혈관, 신경, 모포, 평활근, 샘 및 림프 조직을 비롯한 복수의 구조를 포함한다. 진피(dermis)(또는 진피(corium))는 전형적으로는 0.1 내지 3㎜ 두께이며, 인간의 피부의 주된 구성 요소이다. 진피는 그물눈 구조의 결합 조직과, 지배적으로 존재하고 지지되는 콜라겐 원섬유와, 유연성을 초래하는 엘라스틴 섬유로 구성된다. 진피를 구성하는 주된 세포형은 섬유아세포, 지방 세포(지방 저장체) 및 마크로파지이다.
각피하층은 진피 아래에 존재하며, 하부의 뼈 및 근육에 피부를 부착시키기 위해, 그리고 피부에 혈관 및 신경을 공급하기 위해 중요하다. 각피하층은 느슨한 결합 조직에서 생성되며, 섬유아세포, 마크로파지 및 지방 세포를 포함한다. 지방 세포는 각피하층의 지방 저장 기능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방은 충전 재료로서, 그리고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신체의 절연체로서 작용한다.
얼굴의 가령은 복수의 요인의 결과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도 본래 갖추어진 피부의 변화, 중력의 작용, 역학적인 표정 주름을 생기게 하는 얼굴 근육의 활성화, 피부 감소 또는 이행, 골감소, 조직 탄성의 저하, 그리고 가혹한 환경 조건, 상세하게는 일광 또는 자외선의 조사 및 오염 물질에 대한 폭로가 요인이 된다. 피부는 표피가 얇아지기 시작하면 노화되어 진피와의 접합이 평탄화된다. 인간의 가령에 따라서 콜라겐이 감소하고, 피부의 터거를 부여하는 콜라겐 섬유 다발이 느슨해져 강도를 저하시킨다. 피부가 탄성을 손실하면, 긴장을 그다지 견딜 수 없게 된다. 중력, 근육의 손상 및 조직 변화를 수반하면, 피부는 잔주름을 발생하기 시작한다. 수분 부족 및 세포간 결합의 파괴도 또한 피부의 배리어 기능을 저하시켜, 피부의 구멍 직경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
피부, 특히 얼굴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잔주름 등의 피부 결함을 수복하는 조성물, 또는 대상 조직을 증대시키는 조성물을 개발 및 사용하는 것에 노력이 집중되어 왔다.
현재, 자기 이식 가능 재료, 동종이계 제품, 이종 제품 및 합성 제품 등의 피부 증대를 위한 공지의 피부 충전제는 다수 존재한다. 입수 가능한 피부 충전제는 생분해성 천연 물질(콜라겐, 젤라틴, 히알루론산, 덱스트란 등), 생분해성 합성 폴리머(폴리-L-락트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비생분해성 합성 폴리머(비실리콘 등) 및 그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의 생체 적합성 세라믹 피부 증대 재료는, 그들의 성질에 의해 효율적인 피부 증대 재료인 것이 알려져 있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Ca5(PO4)3(OH))는 인산칼슘의 천연 유래 무기질 형태이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뼈의 무기질 성분을 포함하고, 그 때문에 대상의 체내에 도입되면 생체 적합성 및 비면역원성이 된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작은 마이크로스페어로서 주사되면, 발판으로서 작용하여 주위 환경과 유사한 신규 조직 형성을 촉진한다. 진피 등의 피부 내부에서는, 부착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섬유아세포 내식(內殖) 및 신규 콜라겐 형성을 지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주사 혹은 수술에 의존하지 않고 피부 내 투여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마이크로니들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중공형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피부 충전제 조성물을 대상 피부에 송달시키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개시는 종래의 주사법을 소사이즈화한 것이다.
특허문헌 2에는, 애플리케이터가 구비된 마이크로니들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장전하여 피부에 삽입하는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본 내용은 5미크론 이상의 입경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복잡한 구성의 애플리케이터 마이크로니들 일체의 시스템에 의해 피내 송달을 도모하는 것이다.
국제 공개 제2008/072229호 일본 특허 제654609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잔주름, 및 처진 주름 등에 생긴 홈부에 충전하는 것, 그리고 피부에 생기있는 팽팽함을 회복시키는 것이며, 그 목적을 위해 종래법과는 디바이스적으로나 효과적으로나 훨씬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는 미용 케어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마이크로니들의 기제로서 체내 용해성의 물질을 선택하고,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입경을 소정의 범위 내로 조정하고, 기제에 분산시킨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하는 것에 성공하고, 해당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사용하여 시험을 행한 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1〕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고, 해당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2〕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고, 해당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피부 홈부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
〔3〕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고, 해당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미간 주름, 팔자 주름, 또는 유방 간구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
〔4〕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입경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2〕 또는 〔3〕에 기재된 미용 시트.
〔5〕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입경이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6〕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기제 중의 함량이 0.000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7〕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기제 중의 함량이 0.0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8〕마이크로니들의 바늘 사이즈가 0.1㎜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9〕수용성 고분자가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그의 유도체,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PVA), 그리고 덱스트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1〕 내지 〔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0〕히알루론산나트륨 및 그의 유도체가 PEG 그래프트화 히알루론산나트륨이며, 해당 PEG 그래프트화 히알루론산나트륨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9〕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1〕상기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미립자가 계면 활성제에 의해 분산되어 있는, 〔1〕 내지 〔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2〕계면 활성제가 POE(20)올레일에테르인, 〔11〕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3〕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두께가 100㎛ 이하인 기판이며 유연한 기판부를 갖는, 〔1〕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4〕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제가 수용성 고분자 이외에 수용성 저분자 화합물을 2질량% 이상 함유하는, 〔1〕 내지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5〕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에 소수성 또는 비용해 필름을 배킹하고 있는, 〔1〕 내지 〔1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본 발명은, 피부 증대 조성물로서 미립자상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이하 HAP)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5㎛ 이하의 미립자 HAP를 피부 내 용해성 기제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1㎜ 이하의 바늘 길이를 갖는 것이며, 용해 대상의 피부의 바람직하지 않은 잔주름, 처진 주름에 충전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니들은 피부 내 용해성 기제 중의 HAP 미립자를 정기적으로 대상의 피부의 표피층, 진피층에 주입하고, 그러므로 거기서 장기간 축적되어, 충전 및 콜라겐의 증식 효과를 계속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유효성 시험에서의 사용 기간 및 측정 스케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미립자 HAP를 피부 내 용해성 기제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이며, 기판과 기판 상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고, 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미용 시트는 피부 홈부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여도 되고, 미간 주름, 팔자 주름, 또는 유방 간구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여도 된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또는 미용 시트)의 기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제는 수용성 고분자이다. 이러한 소재를 사용하여균일하게 HAP를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작하면, HAP는 마이크로니들부뿐만 아니라 기판부에도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여도 되고, HAP를 기판부에는 포함하지 않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여도 된다. 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얼굴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고자 하는 부위에 적용하면, 마이크로니들부는 표피 내 및 진피 내에 도달할 수 있고, 마이크로니들 기제의 피부 내 용해에 의해, 포함되는 HAP의 목적 부위로의 송달을 가능하게 한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그의 유도체(예, 폴리에틸렌옥시드 그래프트 히알루론산나트륨, PEG 그래프트화 히알루론산나트륨이라고도 함),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PVA) 또는 덱스트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특히, 히알루론산나트륨 또는 그의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은 전형적으로는 나트륨염을 사용하는데, 글리코사미노글리칸(뮤코다당)의 일종이며,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쿠론산의 이당 단위가 연결된 구조를 갖고 있다. 히알루론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계관, 탯줄 등으로부터 단리되는 생물 유래의 히알루론산, 유산균, 연쇄 구균 등에 의해 대량 생산되는 배양 유래의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생물 유래의 히알루론산은, 그의 유래가 되는 생물이 갖는 콜라겐을 완전하게는 제거할 수 없어, 잔존하는 콜라겐이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콜라겐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 유래의 히알루론산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히알루론산은 배양 유래의 히알루론산을 50질량% 이상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나트륨 또는 그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성분으로서 사용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이들 고분자 물질로부터 성형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면 단단해져 적용 부위에 찔리기 쉬워지고, 반대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커지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끈질기게 되므로 유연해져, 잇몸 등의 굴곡에 적용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 목적에 있어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은 5천 내지 200만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피부에 적용할 때에는 적당한 경도로 꺾이기 어려우므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 이상인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인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의 혼합물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 이상이면 되고, 200만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 이하이면 되고, 1000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과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을 혼합할 때의 비율은, 각 고분자 물질의 종류 및 중량 평균 분자량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바람직한 기계적 강도 및 경도가 되도록 적절하게 결정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고분자량 고분자 물질 1질량% 이상, 저분자량 고분자 물질 9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PEG 그래프트화 히알루론산나트륨은 국제 공개 제2017-010518호에 기재되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내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상기 고분자 물질에 가용해제를 첨가해도 된다. 가용해제로서는, 트레할로오스, 글루코오스 등의 단당, 이당류,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PG), 부틸렌글리콜(B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등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가용해제의 첨가량은 기제 중의 농도로서 1질량% 이상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제는 수용성 고분자 이외에 수용성 저분자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화합물로서는, 상기한 가용해성제로서 사용되는 단당, 이당류, 다가 알코올이며, 분자량이 500 이하인 화합물이다. 단당으로서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당류로서는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말토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PG), 부틸렌글리콜(BG), 폴리에틸렌글리콜(PEG)200, PEG400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화합물의 첨가량은 기제 중의 농도로서 0.1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이다.
HAP를 수용성 기제 중에 균일 분산시키기 위해 계면 활성제를 첨가해도 된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특히 수용성 계면 활성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량은 HAP의 질량에 대해 1:0.001 내지 1:100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용 도포액의 계면 활성제로서는 폴리소르베이트80, 폴리소르베이트40, 폴리소르베이트20 등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5)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0)세틸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형상
마이크로니들의 높이는 50㎛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 2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50㎛ 미만이면 국소 마취제의 송달에 불리하다. 1,000㎛를 초과하면 적용 시에 통증이나 출혈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마이크로니들의 선단은 직경 1㎛ 이상이며 직경 50㎛ 이하의 원형 혹은 그것과 동일 면적을 갖는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이면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내 송달에 유리하다. 바늘 형상은 막대 형상, 원뿔대 형상 또는 코니데를 들 수 있고, 원뿔대 또는 코니데 형상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판의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6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판의 형상은 적용 부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형상의 크기는, 직경(긴 직경) 또는 한 변(긴 변)의 길이로 대표하여 나타내면, 통상 2㎜ 이상 200㎜ 이하이고, 5㎜ 이상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크기를 면적으로 나타내면, 통상 5㎟ 이상 2000㎟ 이하이고, 10㎟ 이상 1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HAP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은 HAP이다. 피부 내에 송달된 HAP 입자가 섬유아세포 내식 및 신규 콜라겐 형성을 촉진한다. 콜라겐 형성 촉진은 HAP 입자 표면으로부터 반응하므로, HAP의 콜라겐 형성 촉진, 나아가 주름의 저감 효과는 동일량의 HAP를 피부 내에 송달해도 그 입경에 따라 다르다. 즉 입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HAP의 입경은 5㎛ 이하가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입경이 5㎛ 이상이면, 콜라겐 형성 효과가 있다고는 해도 동일 중량당의 표면적이 작고, 그러므로 콜라겐 형성 효과도 작다. 또한 마이크로니들의 선단부의 직경은 1㎛ 또는 그 이상의 원형 평면이므로, HAP의 입경이 5㎛ 이상이면 바늘의 형성에도 불리하다.
상기 HAP 외에 의약품, 화장품으로서 통상 포함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에 포함되는 첨가제의 농도는,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 목적 등에 따라서 적절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HAP의 기제 중의 농도는 0.000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이고, 0.0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HAP의 기제 중의 농도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총 중량 중의 질량이다. HAP의 기제 중의 농도가 0.0001질량% 이하이면 피부 항주름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고, 40질량% 이상이면 마이크로니들이 물러져 피부 삽입에 곤란을 발생하는 경향이 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되면 되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의 형상이 천공된 틀에, 상기 수용성 고분자 및 HAP,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유연하고, 건조시킨 후 박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박리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시트는 피부의 적용 부위의 형상에 따라서 재단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는, 하기 마이크로니들 패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마이크로니들 패치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와, 해당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에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이란, 마이크로니들이 돌출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기판부이다. 지지체는 필수는 아니지만, 지지체가 있으면 다루기 쉽고, 첩부 부위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에 소수성 또는 비용해 필름을 지지체로서 배킹한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화장용 항주름 제제의 일 실시 형태이다.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피부에 첩부하고 그의 배면으로부터 물 또는 화장수, 유액, 미용액 등 액체에 의해 신속 용해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제 제형은 다양한 양태가 가능하다. 그것들을 순차 설명한다.
1. 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조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에, 고분자 필름이 지지체로서 배킹된 마이크로니들 패치. 본 제제는, 고분자 필름과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에 접착제 혹은 점착제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와 고분자 필름의 사이즈는 고분자 필름이 보다 크고 필름면에 피부 접착성을 갖는 처리를 해도 된다. 고분자 필름은 다공성 혹은 직포와 같은 물 투과성이어도 된다.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코폴리머(EVA) 등의 플라스틱 시트 또는 필름; 멸균지, 셀로판, 부직포, 직포 등의 종이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의 크기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피부에서의 밀착력을 배면으로부터 보강하기 위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는 적용 부위에 따라서 취급하기 쉬운 크기와 형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외연으로부터 3 내지 20㎜ 정도 크게 하는 것이 적당하다. 지지체의 두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기판의 두께와 동등해도 되고, 그것보다 두껍거나 얇아도 되고, 유연하고 얇은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지지할 수 있으며, 취급하기 쉬운 두께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지지체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피부에서의 밀착력을 배면으로부터 보강하기 위해 피부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피부 점착성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지지체에 점착성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즉 점착제를 도포한 지지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점착성 물질로서는 패치 제제에 통상 사용되는 점착제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점착제의 습윤면 접착성이 있는 그레이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을 지지체로 덮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히드록시아파타이트(평균 입경=2㎛)를 2.5질량부(와켄야쿠(주)로부터 구입), 히알루론산나트륨 50질량부(FCH-SU, 기코만)를 계량하고, 물을 첨가하여 10질량% 고형분이 되는 용액을 조제하였다. 그 수용액을 바늘 길이 200㎛의 코니데형, 마이크로니들 기판 직경 10㎜의 주형에 흘리고, 실온에서 24시간 건조시키고, 틀에서 빼내어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제조하였다. 그 후, 어레이의 배면에 폴리에틸렌(PE) 점착 필름을 접착시켰다(마이크로니들 기판 두께=40 내지 50㎛, 지지체 두께=40 내지 60㎛).
실시예 2 내지 7, 비교예 1 내지 3
표 2에 기재된 기제 및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제제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로서 겔 연고(비교예 2)의 제제를 표 1의 조성에 기초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유효성 시험의 개요
1) 시료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3
2) 첩부 부위
패널리스트의 양 눈가 아래
3) 사용 방법
세안 후, 기초 화장품으로 얼굴을 정리한 후에, 얼굴의 수분이나 유분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취침 전에 각 부위에 첩부하고, 다음날 아침 떼어냈다.
4) 첩부 빈도
각 시료는 1일 간격으로 4주간 사용. 그 후, 사용을 중지하고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개시로부터 8주 후에 피부의 측정을 행하였다.
5) 패널리스트 수
4명
6) 측정 항목
눈가 주름의 레플리카 해석(면적)
7) 측정 시기·스케줄
도 1에 개요를 나타낸다.
<측정 방법>
삼차원 화상 해석 시스템 Primos·lite 4530(GFMesstechnik GmbH사)으로 눈가 부근의 주름의 해석을 행하였다.
주름부의 면적%를 화상 해석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1, 참고예 1에 있어서 사용 4주에서 주름 저감 효과가 확인된 것은, HAP의 효과가 아니라 히알루론산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1, 2로부터, HAP의 효과는 중지 후 2주 경과해도 지속되는 것으로부터 판단된다.
시험예 2
마이크로니들 성형용 기제 용액(5 내지 10질량% 수용성 고분자 수용액) 중 HAP를 첨가하고, 고속 교반을 행하고, 15분 정치 후 HAP의 침전의 유무에 의해 기제 용액 중의 HAP 분산성을 확인하였다. 성형된 마이크로니들 패치 중 니들이 정상적으로 성형된 수를 세어 성형률을 구하였다. 또한 패치의 무름(인성이 충분한지 여부, 구체적으로는 패치를 90도 구부려 꺾이는지 여부로 평가)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표 2로부터, 실시예 3 내지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니들 성형성은 양호하며 인성도 충분하다. 참고예로부터, HAP의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HAP 함유 마이크로니들의 성형이 불가능하고, 또한 소입경이어도 함량이 많으면 물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고, 해당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2. 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고, 해당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피부 홈부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
  3. 수용성 고분자를 기제로 하고, 해당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피부 적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를 포함하는, 미간 주름, 팔자 주름, 또는 유방 간구의 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미용 시트.
  4.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입경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미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입경이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기제 중의 함량이 0.0001질량% 이상 4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기제 중의 함량이 0.001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니들의 바늘 사이즈가 0.1㎜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가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그의 유도체, 콜라겐, 프로테오글리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PVA), 그리고 덱스트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그의 유도체가 PEG 그래프트화 히알루론산나트륨이며, 해당 PEG 그래프트화 히알루론산나트륨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제 중에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미립자가 계면 활성제에 의해 분산되어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가 POE(20)알킬에테르인,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두께가 100㎛ 이하인 기판이며 유연한 기판부를 갖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기제가 수용성 고분자 이외에 수용성 저분자 화합물을 2질량% 이상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어레이의 배면에 소수성 또는 비용해 필름을 배킹하고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또는 미용 시트.
KR1020210152888A 2021-11-09 2021-11-09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 KR20230067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88A KR20230067127A (ko) 2021-11-09 2021-11-09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888A KR20230067127A (ko) 2021-11-09 2021-11-09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127A true KR20230067127A (ko) 2023-05-16

Family

ID=8654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888A KR20230067127A (ko) 2021-11-09 2021-11-09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1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229A2 (en) 2006-12-12 2008-06-19 Nanopass Technologies Ltd. Methods for dermal filling using microneedles
JP6546091B2 (ja) 2012-09-13 2019-07-17 アミール,アブラハム 皮膚増大(skinaugmentation)のための送達デバイス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2229A2 (en) 2006-12-12 2008-06-19 Nanopass Technologies Ltd. Methods for dermal filling using microneedles
JP6546091B2 (ja) 2012-09-13 2019-07-17 アミール,アブラハム 皮膚増大(skinaugmentation)のための送達デバイスおよ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16706B2 (en)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skin augmentation
AU2019204915B2 (en) In vivo synthesis of elastic fiber
US20120301436A1 (en) Polyelectrolyte complex gels and soft tissue augmentation implants comprising the same
AU2011208709B2 (en) Hydrogel of microspheres
KR102333037B1 (ko) 입술용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JP7437874B2 (ja) 皮膚増強外科用縫合糸
WO2018081815A2 (en) Compositions comprising silk fibroin particles and uses thereof
US20200009364A1 (en) Microneedles and compositions for skin augmentation
JP2014510590A (ja) フィラー製品および少なくとも1つの生体吸収性および生分解性シリカベースの材料を含む組成物
EP2964184B1 (en) Injectable in situ polymerizable collagen composition
JP2021509344A (ja) 皮膚増強のための高装填マイクロニードル及び組成物
US20230130124A1 (en) Cosmetic microneedle
KR20230067127A (ko) 화장품용 마이크로니들
JP2022043919A (ja) 化粧品用マイクロニード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