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640A - 신발류 물품 - Google Patents

신발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640A
KR20230066640A KR1020237013332A KR20237013332A KR20230066640A KR 20230066640 A KR20230066640 A KR 20230066640A KR 1020237013332 A KR1020237013332 A KR 1020237013332A KR 20237013332 A KR20237013332 A KR 20237013332A KR 20230066640 A KR20230066640 A KR 20230066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tructure
sidewall
recess
channel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닐 크럼블홀름
조엘 립 그린스펀
피터 람
티모시 제이 스미스
매튜 알 테겐캄프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3006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을 획정하는 제1 표면과 제1 표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2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제2 표면 내에 형성되고 제1 측벽, 제2 측벽 및 하부 벽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각각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을 포함한다. 제1 채널, 제2 채널, 제3 채널 및 제4 채널은 리세스와 협력하여 제2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H-형 구조를 형성한다. 신발류 물품은 또한 리세스 내에 배치된 케이블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케이블 잠금 장치는 리세스에 배치된 하우징과 채널 내에 수용된 복수의 케이블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류 물품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PCT 국제 출원은 2020년 10월 13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90,969호에 대해 35 U.S.C. §119(e)에 따라 우선권을 주장하는, 2021년 10월 12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99,45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 선행 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 출원의 개시 내용의 일부로 간주되며 그 전체가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 내용은 개괄적으로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반드시 선행 기술일 필요는 없는 본 개시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은 통상적으로 갑피 및 솔(sole)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솔 구조체 상에 발을 수용,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발의 하부 표면에 가까운 갑피의 바닥 부분이 솔 구조체에 부착된다. 솔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지면과 함께 마모 저항 및 정지 마찰력을 제공하는 아웃솔과 발에 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아웃솔과 갑피 사이에 배치된 미드솔(midsole) 사이에서 연장되는 층상 배열을 포함한다.
갑피는 레이스(lace), 스트랩 또는 기타 패스너와 협력하여 발 주위의 갑피의 맞춤(fit)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스는 발 주위의 갑피를 닫기 위해 조여지고 일단 발 주위의 갑피가 원하는 대로 맞춰지면 묶일 수 있다. 레이스를 묶을 때마다 갑피가 발 주위에 너무 느슨하거나 너무 조이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신발류의 착화 중에 레이스가 느슨해지거나 풀릴 수 있다. 후크 및 루프 패스너와 같은 패스너는 기존 레이스보다 작동이 쉽고 빠르지만, 이러한 패스너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되는 경향이 있으며 갑피를 발에 고정할 때 원하는 장력을 얻기 위해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공지된 자동 조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갑피를 발 주위로 폐쇄하기 위해 갑피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조작될 수 있는 회전식 노브와 같은 조임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 조임 시스템은 갑피가 발 주위에 원하는 대로 맞춰지도록 하나 이상의 케이블의 장력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지만, 갑피를 발 주위에 고정하기 위해 조임 메커니즘을 조작하여 케이블에 적절하게 장력을 가하는 시간 소모적인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발에서 신발류를 벗고 싶을 때, 착용자는 해제 메커니즘을 동시에 누르고 갑피를 발에서 멀리 당겨서 케이블의 장력을 해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의 자동 조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장력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식 노브의 회전에 따라 전체 케이블이 균일하게 조여지게 된다. 갑피의 제1 영역을 갑피의 제2 영역보다 더 조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경우, 추가 케이블과 조임 메커니즘을 통합하고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공지된 자동 조임 시스템은 케이블의 장력을 신속하고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발 주위의 갑피를 폐쇄하고 발에서 신발류을 제거하기 위해 갑피가 신속하게 느슨해질 수 있도록 케이블에 가해진 장력을 착용자가 신속하게 해제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장치가 없다. 더욱이, 이러한 공지된 자동 조임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조임 메커니즘은 발 주위의 갑피의 맞춤을 조정하기 위해 착용자가 조임 메커니즘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갑피의 외부에 통합되어야 하므로 신발류의 일반적인 외관 및 미적 외형이 손상된다.
여기에 기술된 도면은 모든 가능한 구현예가 아니라 단지 선택된 구성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외측 분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내측 입면도이고;
도 2b는 명확성을 위해 신발류의 슈라우드를 제거한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내측 입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입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 바닥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상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9-9 라인을 따라 취한 도 8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10-10 라인을 따라 취한 도 8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11-11 라인을 따라 취한 도 8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12-12 라인을 따라 취한 도 8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8의 13-13 라인을 따라 취한 도 8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외측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입면도이고;
도 17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외측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신발류 물품의 내측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입면도이고;
도 20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외측 분해도이고;
도 21은 명확성을 위해 신발류 물품의 슈라우드가 제거된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내측 입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0의 신발류 물품의 후방 입면도이고;
도 24는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인장 장치의 일례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인장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26은 도 24의 인장 장치의 평면도로서, 잠금 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잠금 부재를 노출시키도록 덮개가 제거된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7은 도 24의 잠금 장치의 평면도로서, 잠금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잠금 부재를 노출시키도록 덮개가 제거된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8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에 따른 인장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인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인장 장치의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인장 장치의 내부 컴포넌트가 숨겨진 도 28의 인장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1은 잠금 위치에 있는 인장 장치를 보여주는 도 28의 인장 장치의 확대 부분도이고;
도 32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인장 장치를 보여주는 도 28의 인장 장치의 확대 부분도이다.
대응하는 참조 번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로 예시적인 구성을 더 완전하게 설명한다. 예시적인 구성은 본 개시 내용이 철저하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 내용의 구성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요소, 장치 및 방법의 예와 같은 특정 상세가 제시된다. 당업자에게는 특정 상세가 사용될 필요가 없고, 예시적인 구성이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정 상세 및 예시적인 구성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표현은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포함하다", "포함하는", "구성되는" 및 "가지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므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그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은 수행 순서로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예시된 특정 순서로의 수행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 또는 대체 단계를 사용할 수 있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에 맞물리는", "에 연결된", "에 부착된" 또는 "에 결합된"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 존재하거나,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맞물리거나, 연결되거나,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거나, 중간 요소 또는 층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 존재하거나, "직접 맞물리거나", "직접 연결되거나",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직접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중간 요소 또는 층이 없을 수 있다.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단어는 유사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컨대, "~사이에" 대 "바로 사이에", "인접한" 대 "바로 인접하는" 등).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된 나열된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여기에서 다양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및/또는 섹션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는 하나의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는 데만 사용할 수 있다. "제1", "제2"와 같은 용어 및 다른 수치 용어는 문맥에 의해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한 시퀀스나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래에서 논의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의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가 첨부된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양태, 특징 및 장점들은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도 13을 참조하면, 가변 장력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10)의 일예가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10)은 밑창 구조체(100) 및 밑창 구조체(100)에 부착된 갑피(200)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은 밑창 구조체(100) 및 갑피(200)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합체된 인장 시스템(300) 및 인장 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인장 시스템(300)은 갑피(200)를 따라 배치되고 갑피(200)의 장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케이블(302)을 포함한다. 갑피(200), 인장 시스템(300) 및 인장 장치(400)는 서로 협력하여 신발류 물품(10)을 이완 상태와 조임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특히, 케이블(302)은 신발류 물품(10)을 조임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임 방향(DT)으로, 신발류 물품(10)을 느슨한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풀림 방향(DL)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밑창 구조체(100)와 갑피(200)는 인장 장치(400)를 통해 케이블(302)의 부분을 라우팅하기 위한 통로 및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해 협력한다. 인장 장치(400)는 케이블(302)을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조임 상태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신발류 물품(10) 및 그 구성요소는 신발류 물품(10)의 전방 최전방 지점과 관련된 전방 단부(12) 및 신발류 물품(10)의 최후방 지점에 대응하는 후방 단부(1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7의 저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종축(A10)은 신발류 물품(10)의 길이를 따라 전방 단부(12)로부터 후방 단부(14)까지 연장되며, 전체적으로 신발류 물품(10)을 외측(lateral side)(16)과 내측(medial side)(18)으로 나눈다. 따라서, 외측(16) 및 내측(18)은 각각 신발류 물품(10)의 대향 측면에 대응하며, 전방 단부(12)로부터 후방 단부(14)까지 연장된다.
신발류 물품(10)은 종축(A10)을 따라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영역들은 전족 영역(20), 중족 영역(22) 및 힐 영역(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 영역(20)은 발가락 및 발의 중족골과 지골골을 연결하는 관절에 대응할 수 있다. 중족 영역(22)은 발의 장심(arch) 영역에 대응할 수 있고, 힐 영역(24)은 종골을 포함하는 발의 후방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 보다 구체적으로, 밑창 구조체(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영역(26) 및 내부 영역(28)을 포함하는 것으로 더 설명될 수 있다. 주변 영역(26)은 일반적으로 내부 영역(28)과 밑창 구조체(100)의 외부 둘레 사이의 영역인 것으로 설명된다. 특히, 주변 영역(26)은 전족 영역(20)으로부터 외측(16) 및 내측(18) 각각을 따라 힐 영역(24)까지 연장되며, 전족 영역(20) 및 힐 영역(24)을 각각 감싸고 있다. 내부 영역(28)은 주변 영역(26)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밑창 구조체(100)의 중앙 부분을 따라 전족 영역(20)으로부터 힐 영역(24)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전족 영역(20), 중족 영역(22) 및 힐 영역(24) 각각은 주변 영역(26) 및 내부 영역(28)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밑창 구조체(100)는 아웃솔(102) 및 힐 카운터(104)를 포함한다. 아웃솔(102) 및 힐 카운터(104)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용접 공정과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아웃솔(102)과 힐 카운터(104)는 서로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웃솔(102)은 힐 카운터(104)와 다른 경도 및/또는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아웃솔(102)은 힐 카운터(104)보다 더 큰 경도를 갖는 경질 재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아웃솔(102) 및 힐 카운터(104)는 연속적이고 단일인(즉, 이음매가 없는) 재료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밑창 구조체(100)는 또한 아웃솔(102)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트랙션 요소(106a-106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션 요소(106a-106c)는 아웃솔(102)과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트랙션 요소(106a-106c)는 성형 공정을 이용하여 아웃솔(10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도 8-도 13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00)의 아웃솔(102)은 신발류 물품(10)의 전방 단부(12)의 제1 단부(110)로부터 신발류 물품(10)의 후방 단부(14)의 제2 단부(112)까지 연장된다. 아웃솔(102)은 내부 표면(114),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아웃솔(10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외부 표면(116), 및 내부 표면(114)과 외부 표면(116)을 연결하는 주변 에지(118)를 더 포함한다. 아웃솔(102)의 내부 표면(114)은 신발류 물품(10)이 조립될 때 갑피(200)를 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부 표면(114)은 발의 발하부 표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외부 표면(116)은 갑피(200)로부터 멀어지게 향하고, 신발류 물품(10)의 지면결합 표면을 획정한다.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하부 표면(116)까지의 거리는 아웃솔(102)의 두께(T102)를 정한다.
아웃솔(102)은 내부 영역(28)에 형성된 지지 베드(bed)(120)와 주변 영역(26)에서 지지 베드(120) 주위로 연장되는 주변 립(lip)(122)을 포함한다. 지지 베드(120)는 발의 발하부 표면을 따라 수직(예컨대, 지면 표면과 수직) 지지를 제공하는 반면, 주변 립(122)은 발의 외주를 따라 외측 지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지지 베드(120)는 아웃솔(102)의 실질적으로 직선 부분이고, 주변 립(122)은 지지 베드(120)의 외주를 따라 상향으로 만곡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 베드(120) 및 주변 립(122)은 외측 방향(즉, 외측(16)으로부터 내측(18)으로) 및 종방향(즉, 제1 단부(110)로부터 제2 단부(112)로)을 따라 오목한 프로파일의 내부 표면(114)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한다. 그러나, 내부 표면(114)의 곡률은 가변적일 수 있는데, 여기서 지지 베드(120)를 획정하는 내부 표면(114)의 부분은 주변 립(122)을 획정하는 내부 표면(114)의 부분의 반경(R1)보다 큰 반경(R2)을 가진다. 따라서, 지지 베드(120)를 따라 연장되는 내부 표면(114)의 부분은 평탄하거나 약간 오목할 수 있는 반면, 주변 립(122)을 형성하는 내부 표면(114)의 부분은 더 오목할 수 있다.
아웃솔(102)의 반대측에서, 외부 표면(116)은 외측 방향을 따라 대체로 볼록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내부 표면(114)과 마찬가지로, 지지 베드(120)를 획정하는 외부 표면(116)의 부분은 주변 립(122)을 형성하는 외부 표면(116)의 부분의 반경(R4)보다 큰 반경(R3)을 가진다. 따라서, 외부 표면(116)은 내부 영역(28)을 가로질러 평탄하고, 주변 영역(26)에서는 상향으로 만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웃솔(102)의 두께(T102)는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외부 표면(116)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아웃솔(102)의 일부 부분에서, 두께(T102)는 아웃솔(102)의 폭에 걸쳐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께(T102)는 주변 영역(26)보다 내부 영역(28)에서 더 클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표면(116)의 반경(R3)은 내부 표면(114)의 반경(R1)보다 작아서 외부 표면(116)은 주변 영역(26)을 향한 방향으로 내부 표면(114)과 수렴할 수 있다.
도 8-도 13을 참조하면, 아웃솔(102)의 지지 베드(120)는 내부 표면(114)에 형성된 리세스(124)를 포함하며, 해당 리세스는 인장 장치(4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124)는 중족 영역(22)에 배치되고, 인장 장치(400)의 직사각형 하우징(40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124)의 적어도 일부가 아웃솔(102)의 다른 영역(20, 24)에 배치될 수 있고 및/또는 리세스(124)의 형상은 다른 형상의 하우징(402)을 갖는 인장 장치(400)를 수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24)는 부분적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향(마주하는) 쌍의 평행한 측벽(126a, 126b) 및 측벽(126a, 126b)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향 쌍의 평행한 단부 벽(128a, 128b)에 의해 획정된다. 측벽(126a, 126b) 및 단부 벽(128a, 128b) 각각은 실질적으로 평면적이므로, 측벽(126a, 126b)은 서로 정반대(즉, 완전하고 직접적으로 마주함)이고, 단부 벽(128a, 128b)은 서로 정반대이다. 측벽(126a, 126b) 및 단부 벽(128a, 128b)은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리세스(124)의 하부 표면을 획정하는 하부 벽(130)까지 연장된다. 즉, 내부 표면(114)에서 하부 벽(130)까지의 거리는 리세스(124)의 깊이(D124)를 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124)의 깊이(D124)는 인장 장치(400)가 리세스(124) 내의 하부 벽(130)에 대해 수용될 때 인장 장치(400)가 아웃솔(102)의 내부 표면(114)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웃솔(102)은 또한 각각 리세스(124)로부터 유체 연통되게 연장되는 복수의 케이블 채널(132a-132d)을 더 포함한다. 채널(132a-132d)은 인장 장치(400)와 갑피(200) 사이에서 케이블(302)을 라우팅하기 위해 인장 시스템(300)의 케이블(302)의 개별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케이블 채널(132a-132d)은 리세스(124)의 전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인장 요소 채널(132a, 132b) 및 리세스(124)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어 요소 채널(132c, 132d)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인장 요소 채널(132a, 132b)은 리세스(124)의 외측벽(126a)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인장 요소 채널(132a) 및 리세스(124)의 내측벽(126b)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인장 요소 채널(132b)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어 요소 채널(132c, 132d)은 리세스(124)의 외측벽(126a)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제어 요소 채널(132c) 및 리세스(124)의 내측벽(126b)으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제어 요소 채널(132d)을 포함한다.
각각의 채널(132a-132d)의 길이는 리세스(124)로부터 주변 에지(118) 측으로 연장된다. 특히, 각 채널(132a-132d)은 리세스(124)의 측벽(126a, 126b) 중 하나에 있는 제1 단부(134a-134d)로부터 외측(16) 또는 내측(18) 중 하나를 향해 연장되고, 지지 베드(120) 내에서 그리고 주변 립(122)에 인접한 원위 단부(136a-136d)에서 종결된다. 도 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132a-132d)은 리세스(124)의 길이에 대해 비스듬한 각도(즉, 전방 단부 벽(128a)에서 후방 단부 벽(128b)으로의 방향)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각 채널(132a-132d)은 리세스(124)로부터 주변 립(122)으로의 방향을 따라 후방 단부(14)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리세스(124)의 외측벽(126a)으로부터 연장되는 채널(132a, 132c)은 리세스(124)의 내측벽(126b)으로부터 연장되는 채널(132b, 132d)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채널(132a-132d) 각각은 전방 측벽(138a-138d), 전방 측벽(138a-138d)에 대향하는(즉, 마주하는) 후방 측벽(140a-140d) 및 각각의 측벽(138a-138d, 140a-140d)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벽(142a-142d)에 의해 획정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다. 채널(132a-132d)의 깊이는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하부 벽(142-142d)까지의 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 채널(132a, 132b)의 깊이는 채널(132a, 132b)의 길이를 따라(즉, 리세스(124)로부터 주변 에지(118) 측의 방향) 테이퍼진다. 제어 요소 채널(132c, 132d)의 깊이도 동일한 방식으로 테이퍼진다. 특히, 각 채널(132a-132d)의 깊이는 제1 단부(134a-134d)에서 리세스(124)의 깊이(D124)와 같고, 제2 단부(136a-136d)에서 0으로 테이퍼진다. 즉, 채널(132a-132d)의 하부 벽(142a-142d)은 각 채널들(132a-132d)의 제1 단부(134a-134d)에서 리세스(124)의 하부 벽(130)과 동일 높이이고, 주변 립(122)에 인접한 내부 표면(114)과 수렴하여 해당 표면에서 종결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132a-132d)이 리세스(124)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도록 인장 요소 채널(132a, 132b)의 전방 측벽(138a, 138b)이 리세스(124)의 전방 단부 벽(128a)과 수평이고 제어 요소 채널(132c, 132d)의 후방 측벽(140c, 140d)이 리세스(124)의 후방 단부 벽(128b)과 수평이다. 그러나, 선택적으로, 채널(132a-132d)은 리세스(124)의 단부 벽(128a, 128b)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도 8-도 12를 계속 참조하면, 아웃솔(102)의 내부 표면(114)은 인장 장치(400)의 릴리스 코드(404)를 아웃솔(102)을 통해 리세스(124)로부터 갑피(200)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되는 릴리스 코드 채널(144)을 더 포함한다. 릴리스 코드 채널(144)은 측벽(126a, 126b) 또는 단부 벽(128a, 128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리세스(124)로부터 유체 연통되게 연장될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의 릴리스 코드 채널(144)은 리세스(124)의 후방 단부 벽(128B)으로부터 연장된다.
릴리스 코드 채널(144)의 길이는 후방 단부 벽(128b)의 제1 단부(146)로부터 아웃솔(102)의 제2 단부(112)의 주변 립(122)에 인접한 원위 단부(148)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릴리스 코드 채널(144)의 길이는 각 케이블 채널(132a-132d)의 길이에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릴리스 코드 채널(144)은 리세스(124)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후방 단부 벽(128b)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부분(150)과, 제1 부분(150)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제1 부분(150)으로부터 원위 단부(148)로 연장되는 제2 부분(1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릴리스 코드 채널(144)의 제2 부분(152)은 제1 부분(150)으로부터 외측(16)을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된다. 따라서, 릴리스 코드 채널(144)의 원위 단부(148)는 제2 단부(112) 및 외측(16)에서 아웃솔(102)의 주변 립(12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0-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스 코드 채널(144)은 한 쌍의 측벽(154a, 154b) 및 하부 벽(156)에 의해 획정되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직사각형 단면을 획정하는 케이블 채널(132a-132d)의 측벽(138a-138d, 140a-140d)과 달리, 릴리스 코드 채널(144)의 측벽(154a, 154b)은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하부 벽(156)으로의 방향을 따라 서로 수렴하여 채널에 V-형 단면을 제공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벽(156)은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하부 벽(156)까지의 거리로 정해지는 릴리스 코드 채널(144)의 깊이가 리세스(124)의 깊이(D130)보다 작도록 리세스(124)의 하부 벽(130)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리세스(124) 및 채널(132a-132d, 144)이 아웃솔(102)의 내부 표면(114) 내에 형성되는 동안, 아웃솔(102)의 두께(T102)는 리세스(124) 및 채널(132a-132d, 144)의 벽이 아웃솔(102)의 외부 표면(116)에 뚜렷하게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10-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24) 및 채널(132a-132d, 144)의 형상은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25)를 형성한다. 돌출부(125)는 리세스(124) 및 채널(132a-132d, 144)의 형상 및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돌출부(125)는 직사각형 리세스(124)에 형상 대응하는 직사각형 부분과, 연장형 채널(132a-132d, 144)에 형상 대응하는 복수의 연장형 부분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5)는 리세스(124) 및 채널(132a-132d)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H-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돌출부(125)는 아웃솔(102)의 하부 표면(116)과 협력하여 아웃솔(102)의 지면 결합 표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00)는 아웃솔(102)의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트랙션 요소(106a-106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트랙션 요소(106a-106c)는 아웃솔(102)과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지지 베드(120)로부터 연장된다. 본 개시 내용의 트랙션 요소(106a-106c)는 아웃솔(102)의 내부 표면(114)으로부터 연장되는 공동을 포함하는 중공체 또는 쉘(shell)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트랙션 요소(106a-106c)는 외부 표면(116)으로부터 연장되는 중실체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트랙션 요소(106a-106c)는 아웃솔(102)의 외측(16)을 따라 직렬 배열된 복수의 갈매기형 형상(chevron-shaped)의 트랙션 요소(106a), 아웃솔(102)의 내측(18)을 따라 직렬 배열된 복수의 육각 형상의 트랙션 요소(106b) 및 아웃솔(102)의 전족 영역(20)에서 외측(16)과 내측(18)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직선형 트랙션 요소(106c)를 포함한다. 아웃솔(102)은 4개의 갈매기형 트랙션 요소(106a), 4개의 육각형 트랙션 요소(106b) 및 직선형 트랙션 요소(106c)를 포함하는 전족 트랙션 요소 세트(108a)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아웃솔(102)은 또한 한 쌍의 갈매기형 트랙션 요소(106a) 및 한 쌍의 육각형 트랙션 요소(106b)를 포함하는 힐 트랙션 요소 세트(108b)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24) 및 케이블 채널(132a-132d)은 전족 트랙션 요소 세트(108a)와 힐 트랙션 요소 세트(108b) 사이의 중족 영역(22)에 배치되어 있다. 릴리스 코드 채널(144)은 힐 영역(24)에서 힐 트랙션 요소 세트(108b)와 교차하고, 외측(16)의 갈매기형 트랙션 요소(106a)와 내측(18)의 육각형 트랙션 요소(106b) 사이에서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아웃솔(102)의 하부 표면(116)은 트랙션 요소(106a-106c) 중 하나 이상을 둘러싸는 트랙션 패드(158a-158c)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부 표면은 외측(16)의 전방 단부(12)에서 갈매기형 트랙션 요소(106a) 중 하나를 둘러싸는 삼각형의 제1 트랙션 패드(158a), 내측(18)의 전방 단부(12)에서 한 쌍의 육각형 트랙션 요소(106b)를 둘러싸는 삼각형의 제2 트랙션 패드(158b) 및 내측(18)의 육각형 트랙션 요소(106b) 중 하나 및 직선형 트랙션 요소(106c 중 하나를 둘러싸는 육각형의 제3 트랙션 패드(158c)를 포함한다. 트랙션 패드(158a-158c)는 아웃솔(102)의 외부 표면(116)과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텍스처 패턴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랙션 패드(158a-158c)는 허니컴 패턴을 가진다(도 7).
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100)의 힐 카운터(104)는 힐 영역(24)의 아웃솔(102)의 주변 립(122)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힐 카운터(104)는 아웃솔(102)의 내부 표면(114)과 수평으로 연속되는 내부 표면(160)과 아웃솔(102)의 외부 표면(116)과 수평으로 연속되는 외부 표면(162)을 포함한다. 내부 표면(160)으로부터 외부 표면(162)까지의 거리는 힐 카운터(104)의 두께(T104)를 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힐 카운터(104)는 아웃솔(102)의 재료보다 낮은 경도 및/또는 강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힐 카운터(104)는 아웃솔(102)과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접착제 또는 용융 공정과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아웃솔(10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카운터(104)는 아웃솔(102)의 주변 립(122)에 부착된 하부 에지(164) 및 하부 에지(164)와 반대쪽 단부에 배치된 말단 상부 에지(166)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힐 카운터(104)의 길이는 후방 단부(14)를 중심으로 외측(16)의 외측 단부(168)에서 내측(18)의 내측 단부(170)까지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힐 카운터(104)와 아웃솔(102)의 주변 립(122) 사이의 부착 경계는 힐 카운터(104)와 아웃솔(102) 사이의 랩 조인트(lap joint)를 형성한다. 특히, 힐 카운터(104)의 하부 에지(164)에 인접한 외부 표면(162)의 일부가 아웃솔(102)의 하부 부분을 따라 탭(172)을 형성하도록 오목화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아웃솔(102)의 주변 립(122)은 탭(172)의 두께 및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깊이 및 프로파일을 갖는 홈(174)을 가질 수 있다. 밑창 구조체(100)가 조립될 때, 탭(172)은 힐 카운터(104)의 하부가 아웃솔(102)의 주변 립(122)과 겹치도록 홈(174) 내에 배치된다. 여기서, 아웃솔(102)의 내부 표면(114)은 힐 카운터(104)의 하부 에지(164)에서 힐 카운터(104)의 내부 표면(160)과 수평으로 연속적이며, 아웃솔(102)의 외부 표면(116)은 아웃솔(102)의 주변 에지(118)에서 힐 카운터(104)의 외부 표면(162)과 수평으로 연속적이다. 다른 예에서, 힐 카운터(104)는 힐 카운터(104)의 하부 에지(164)와 아웃솔(102)의 주변 에지(118) 사이의 맞대기 조인트(butt joint)와 같은 다른 조인트 구성에 의해 아웃솔(10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힐 카운터(104)는 힐 카운터(104)의 두께(T104)를 통해 형성된 개구(176)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개구(176)는 힐 카운터(104)를 통해 인장 시스템(300)의 조임 그립(340)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구(176)는 전체가 힐 카운터(104)와 경계를 이룬다. 개구(176)는 외측(16)의 직선형 제1 단부(178a), 내측(18)의 직선형 제2 단부(178b), 및 상기 단부(178a, 178b)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및 상부 에지(180a, 180b)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및 상부 에지(180a, 180b) 중 적어도 하나는, 조임 그립(340)과 갑피(200) 사이에 손가락 삽입을 위한 간격 또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릴리프(1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릴리프(182)는 하부 에지(180a)에 형성된 아치형 릴리프(182)이다.
갑피(200)는 협력을 통해 밑창 구조체(100) 상에 지지를 제공하도록 발을 수용 및 고정하는 내부 보이드(204) 및 발목 개구(206)를 획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갖는 인클로저(2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갑피(200)는 내부 보이드(204)의 양측의 중족 영역(22)에 한 쌍의 쿼터 패널(208)을 포함한다. 스로트(throat)(210)가 갑피(200)의 상부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발목 개구(206)로부터 전족 영역(20)까지 쿼터 패널(208) 사이에서 연장되는 발등 영역을 획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로트(210)는 발등 영역에서 양측 쿼터 패널(208) 사이에서 연장되는 재료 패널로 둘러싸여 내부 보이드(204)를 덮는다. 여기서, 스로트(210)를 덮는 재료 패널은 쿼터 패널(208)을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의 갑피(200)는 발목 개구(206)의 외측 및 내측(16, 18)을 따라 힐 영역(24)을 통해 연장되는 힐 측면 패널(212)을 포함하는 것으로 더 설명될 수 있다. 힐 카운터(214)는 신발류 물품(10)의 후방 단부(14)를 감싸고 힐 측면 패널(212)을 연결한다. 스로트(210)의 최상부 에지, 힐 측면 패널(208) 및 힐 카운터(214)는 협력하여 칼라(collar)(216)를 형성하고, 이는 내부 보이드(204)의 발목 개구(206)를 획정한다.
인클로저(202)의 구성요소는 내부 보이드(204)를 획정하기 위해 함께 스티칭되거나 접착 결합되는 일종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갑피(200)의 적절한 재료는 직물, 발포재, 가죽 및 합성 가죽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갑피(200)는 조임 상태와 풀림 상태 사이에서 신발류 물품(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갑피(200)의 상이한 영역에 배치된 일종 이상의 실질적으로 비탄성 또는 비신축성 재료와 일종 이상의 실질적으로 탄성 또는 신축성 재료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종 이상의 탄성 재료는 스판덱스, 엘라스탄, 고무 또는 네오프렌과 같은 일종 이상의 탄성 직물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종 이상의 비탄성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나일론, 가죽, 비닐, 또는 탄성의 특성을 부여하지 않는 다른 재료/직물 중 일종 이상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200)는 인클로저(202)의 맞춤을 조정하기 위해 인장 시스템(300)의 케이블(302)과 경계를 이루거나 협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라우팅 요소(218a-218e, 220, 222a, 22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라우팅 요소(218a-218e, 220, 222a, 222b)는 케이블(302)의 길이를 따라 가해지는 인장력을 방향력으로 변환하여 갑피(200)를 이완 상태와 조임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라우팅 요소는 전족 영역(20) 및 중족 영역(22)을 따라 배치되고 케이블(302)을 스로트(210)를 따라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인장 스트랩(218a-218e), 갑피(200)의 힐 카운터(214) 주위로 연장되는 힐 스트랩(220) 및 인클로저(202)를 따라 고정 위치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 가이드(222a)를 포함한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스트랩(218a-218e)은 인클로저(202)의 길이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일련의 내측 인장 스트랩(218a-218c) 및 한 쌍의 외측 인장 스트랩(218d-218e)을 포함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인장 스트랩(218a-218e)은 각각 고정 단부(224a-224e)로부터 자유 단부(226a-226e)로 연장된다. 각 인장 스트랩(218a-218e)의 고정 단부(224a-224e)는 밑창 구조체(100)와 갑피(200) 사이의 바이트 라인(bite line)(30)에서 인클로저(202)에 부착되고, 자유 단부(226a-226e)는 스로트(2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자유 단부(226a-226e)는 인장 시스템(300)의 케이블(302)이 통과하는 루프 또는 도관(228a-228e)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인장 스트랩(218a-218e)은 자유 단부(226a-226e)에서 서로 부착되고 고정 단부(224a-224e)에서 인클로저(202)에 독립적으로 부착된 한 쌍의 세그먼트(230a-230e, 232a-232e)를 포함한다. 각각의 인장 스트랩(218a-218e)은 연속적인 밴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밴드의 제1 부분 또는 세그먼트(230a-230e)는 고정 단부(226a-226e)의 제1 부착 지점으로부터 자유 단부(226A-226E)까지 연장되고, 밴드의 제2 부분 또는 세그먼트(232a-232e)는 제1 세그먼트(230a-230e)로 다시 접혀서 자유 단부(226a-226e)에서 루프(228a-228e)를 형성한다. 제2 세그먼트(232a-232e)는 자유 단부(226a-226e)로부터 고정 단부(224a-224e)의 제2 부착 지점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각 스트랩(218a-218e)의 고정 단부(226a-226e)는 바이트 라인(30)에서 2개의 독립적인 부착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장 스트랩(218a-218e)은 고정 단부(224a-224e)와 자유 단부(226a-226e)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일 피스 또는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고, 및/또는 루프(228a-228e)는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자유 단부(226a-226e)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스트랩(218a-218e)은 내측(18)을 따라 배열된 일련의 내측 인장 스트랩(218a-218c)과 외측(16)을 따라 배열된 일련의 외측 인장 스트랩(218d, 218e)을 포함한다. 외측 인장 스트랩(218d, 218e)은 내측 인장 스트랩(218a-218c)에 대해 스로트(210)의 길이를 따라 오프셋되거나 엇갈리게 배치된다. 따라서, 내측 인장 스트랩(218a-218c)과 외측 인장 스트랩(218d, 218e)은 스로트(210)의 길이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
도 1-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인장 스트랩(218a)은 전족 영역(20)의 발가락 부분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된 고정 단부(224a)로부터 전족 영역(20)의 스로트(210)의 내측에 인접한 자유 단부(226a)까지 연장된다.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b)은 전족 영역(20)에 인접한 중족 영역(22)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된 고정 단부(224b) 및 중족 영역(22)의 스로트(210)의 내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자유 단부(226b)를 포함한다. 제3 내측 인장 스트랩(218c)은 힐 영역(24)에 인접한 중족 영역(22)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된 고정 단부(224c)와 발목 개구(206) 부근의 스로트(210)의 내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자유 단부(226c)를 포함한다.
외측(16)에서, 제1 외측 인장 스트랩(218d)은 전족 영역(20)의 볼 부분(30)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된 고정 단부(224d)로부터 스로트(210)의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자유 단부(226d)까지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인장 스트랩(218d)의 자유 단부(226d)는 종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a, 218b)의 자유 단부(226a, 226b)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외측 인장 스트랩(218e)은 힐 영역(24)에 인접한 중족 영역(22)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된 고정 단부(224e) 및 발목 개구(206) 근처의 외측(16)의 스로트(2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자유 단부(226d)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외측 인장 스트랩(218e)의 자유 단부(226e)는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제3 내측 인장 스트랩(218c)의 자유 단부(226c)와 정렬된다.
도 1 및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스트랩(220)은 외측(16)의 힐 측면 패널(212)에 위치된 제1 단부(234a)로부터 내측(18)의 힐 측면 패널(212)에 위치된 제2 단부(234b)까지 갑피(200)의 힐 카운터(214) 주위로 연장된다. 힐 스트랩(220)의 각 단부(234a, 234b)는 각각의 하네스(236a, 236b)에 의해 인클로저(202)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16)(도 1)에서, 힐 스트랩(220)의 제1 단부(234a)는 칼라(216) 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테더(tether)(238a)와 바이트 라인(30)으로 연장되는 하부 테더(240a)를 갖는 제1 하네스(236a)에 의해 인클로저(202)에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내측(18)(도 2)에서, 힐 스트랩(220)의 제2 단부는 칼라(216) 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테더(238b)와 바이트 라인(30)으로 연장되는 하부 테더(240b)를 갖는 제2 하네스(236b)에 의해 인클로저(202)에 부착된다. 따라서, 힐 스트랩(220), 특히 힐 스트랩(220)의 단부(234a, 234b)는 인클로저(202)에 직접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갑피(200)는 발에서 신발류 물품(10)을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그립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갑피(200)는 발목 개구(206)의 전방 단부에서 스로트(210)에 부착된 풀림 그립(242)을 포함한다. 사용 중, 풀림 그립(242)은 착용자에 의해 당겨져 스로트(210)를 발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서 내부 보이드(204)의 크기를 확장시켜 발을 삽입 및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풀림 그립(242)은 인장 시스템(300)의 케이블(302)의 일부에 부착되어, 풀림 그립(242)이 당겨질 때, 스로트(210)을 따라 연장되는 케이블(302)의 길이가 증가되어 갑피(200)가 이완되거나 풀림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00)는 인클로저(202)의 일부와 라우팅 요소(218a-218e, 220, 222a, 222b)를 덮는 슈라우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슈라우드(250)는 전족 영역(20) 및 중족 영역(22)에서 인클로저(202)를 덮고, 힐 영역(24)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특히, 슈라우드(250)는 힐 측면 패널(212)을 따라 연장되고, 밑창 구조체(100)의 힐 카운터(104)의 단부(168, 170)와 상호작용하여 갑피(200)의 인클로저(202)를 완전히 덮는다. 슈라우드(250)는 경량의 반투명 메쉬 또는 필름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라우팅 요소(218a-218e, 220, 222a, 222b)는 둘러싸여 있지만 관찰 가능하다.
갑피(200)는 또한 인클로저(202)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 플레이트(252)는 발의 내측을 따라 내측 인장 스트랩(218a-218c)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252)는 신발류 물품(10)의 바이트 라인(30)을 따라 부착되고, 지지 플레이트(252)의 높이는 스로트(210) 및 발목 개구(206)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252)는 긴 후방부(254)와 경사진 전방부(256)를 포함한다. 후방부(254)는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b)과 제3 내측 인장 스트랩(218c) 사이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252)의 전이부(258)로부터 후방 단부(14) 측으로 연장되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다. 전방부(256)는 바이트 라인(30)으로부터 전방 단부(12) 측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됨으로써 전방부(256)의 높이는 전이부(258)로부터 증가하고 후방부(254)의 높이보다 커진다. 전방부(256)는 발의 내측(18)을 따라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b)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기 위해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b)과 인클로저(202) 사이에 배치된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인장 시스템(300)은 신발류 물품(10)을 조임 상태와 이완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갑피(200)의 케이블 라우팅 요소(218a-218e, 220, 222a)를 따라 라우팅되는 케이블(302)을 포함한다. 인장 시스템(300)은 케이블(302)의 느슨함을 관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외피(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외피(310)는 갑피(200)가 조임 상태에 있을 때 케이블(302)을 갑피(200)에 대해 수축된 상태로 유지한다.
케이블(302)은 윤활성이 높을 수 있고 및/또는 낮은 탄성 계수 및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는 높은 강도-중량 비율 및 낮은 탄성을 갖는 고탄성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케이블(302)은 다른 윤활 코팅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성형 모노필라멘트 중합체 및/또는 직조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케이블(302)은 함께 직조된 복수의 가닥의 재료를 포함한다.
케이블(302)은 갑피(200)의 케이블 라우팅 요소(218a-218e, 220, 222a) 및 인장 장치(400)와 협력하여 신발류 물품(10)을 조임 상태와 이완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인장 요소(312) 및 제어 요소(314)를 포함한다. 인장 요소(312) 및 제어 요소(314)는 조정 요소(312, 314)로 통칭될 수 있다. 조정 요소(312, 314)는 신발류 물품(10)을 조임 상태로 이동시키는 조임 방향(DT) 및 신발류 물품(10)을 이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풀림 방향(DL)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예에서, 제어 요소(314)에 가해지는 조임력(FT)은 인장 장치(400)를 통해 인장 요소(312)의 적어도 일부에 전달되어 인장 요소(312)를 조임 방향(DT)으로 이동시킨다.
도 1 및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312) 및 제어 요소(314)는 외측 스트랜드(316, 320) 및 내측 스트랜드(318, 3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장 요소(312)는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 및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를 포함하고, 제어 요소(314)도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 및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장 요소(312)의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인장 장치(400)를 통해 제어 요소(314)의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인장 요소(312)의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인장 장치(400)를 통해 제어 요소(314)의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인장 요소(312)의 외측 및 내측 인장 스트랜드(316, 318)의 위치는 제어 요소(314)의 각각 하나의 외측 및 내측 제어 스트랜드(320, 322)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제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외측 및 내측(16, 18) 각각을 따른 인장 요소(312)의 라우팅이 도시되어 있다. 도 1-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요소(312)는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 및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외측(16)의 인장 장치(400)로부터 연장되어 스로트(210)의 하부 전방 부분을 따라 라우팅된다. 반대로,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내측(18)의 인장 장치(400)로부터 연장되어 스로트(210)의 상부 후방 부분을 따라 라우팅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외측(16)에서,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인장 장치(400)에 의해 수용되는 제1 단부(324)와 전족 영역(20)의 외측(16)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되는 제2 단부(3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아웃솔(102)의 리세스(124) 내의 인장 장치(400)로부터 밑창 구조체(100)의 아웃솔(102)의 외측 인장 요소 채널(132a)을 통해 갑피(200)로 라우팅된다. 그 후,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외측 쿼터 패널(208)을 따라 그리고 스로트(210)를 지나 스로트(210)의 내측의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b)의 자유 단부(226b)까지 연장된다.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b)으로부터,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스로트(210)의 외측의 제1 외측 인장 스트랩(218d)의 자유 단부(226d)를 통해 라우팅된다. 그 후,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제1 외측 인장 스트랩(218d)으로부터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제1 내측 인장 스트랩(218a)의 자유 단부(226a)로 라우팅된 다음, 외측(16)의 갑피(200)에 부착된 제2 단부(326)로 다시 라우팅된다. 따라서,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에 조임력(FT)이 가해질 때, 제1 및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a, 218b)의 자유 단부(226a, 226b)는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제1 외측 인장 스트랩(218D)의 자유 단부(226D) 측으로 끌어당겨진다. 즉,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스로트(210)의 하부 또는 전방 부분을 따라 갑피(200)의 맞춤을 조절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10)의 내측(18)에서,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인장 장치(400)에 의해 수용되는 제1 단부(328) 및 제3 내측 인장 스트랩(218c)의 자유 단부(226c)에 부착되는 제2 단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아웃솔(102)의 리세스(124) 내의 인장 장치(400)로부터 내측 인장 요소 채널(132b)을 통해 갑피(200)로 라우팅된다.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의 제1 세그먼트는 바이트 라인(30)으로부터 내측 힐 측면 패널(212)을 따라 힐 스트랩(220)의 내측 단부(234b)까지 연장된다. 힐 스트랩(220)으로부터,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의 제2 세그먼트가 내측 측면 패널(212)을 따라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복귀하도록 내측 힐 측면 패널(212)의 케이블 가이드(222b)를 통해 라우팅된다. 그 후,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스로트(210)의 외측의 제2 외측 인장 스트랩(218e)의 자유 단부(226e)에서 루프(228e)를 통해 라우팅된 후,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복귀하여 제3 내측 인장 스트랩(218c)의 자유 단부(226c)에 부착된다. 따라서,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에 조임력(FT)이 가해질 때, 제3 내측 인장 스트랩(218c)과 제2 외측 인장 스트랩(218e)의 자유 단부(226c, 226e)는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서로를 향해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스로트(210)의 상부 또는 후방 부분을 따라 갑피(200)의 맞춤을 조절한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314)의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는 인장 장치(400)를 통해 인장 요소(312)의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에 연결되고, 인장 장치(400)의 제1 단부(332)로부터 갑피(200)를 따라 제2 단부(334)로 연장된다. 특히, 제어 요소(314)의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는 인장 장치(400)로부터 외측 제어 요소 채널(132c)을 통해 바이트 라인(30)으로 라우팅된 후, 외측 힐 측면 패널(212)을 따라 갑피(200)의 힐 카운터(214)로 라우팅된다.
마찬가지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314)의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는 인장 장치(400)를 통해 인장 요소(312)의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에 연결되고, 인장 장치(400)의 제1 단부(336)로부터 갑피(200)를 따라 제2 단부(338)로 연장된다. 제어 요소(314)의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는 인장 장치(400)로부터 내측 제어 요소 채널(132d)을 통해 바이트 라인(30)으로 라우팅된 다음, 내측 힐 측면 패널(212)을 따라 갑피(200)의 힐 카운터(214)로 라우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의 제2 단부(334)는 후방 단부(14)에서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의 제2 단부(338)에 연결되어,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 및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는 갑피(200)의 힐 카운터(214) 주위로 연장되는 연속 루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 및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의 제2 단부(334, 338)는 중간 연결 요소(미도시)에 의해 서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힐 카운터(214) 주위로 연장되는 제어 요소(314)의 일부는 외피(310) 중 하나 이상의 외피 내에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외피(310)는, 제어 요소(314)가 조임력(FT)에 의해 갑피(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즉,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될 때), 외피(310) 및 제어 요소(314)가 이완 상태로부터 신장 또는 팽창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 및/또는 직조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력(FT)이 제거되면, 외피(310)의 재료 및/또는 직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310)를 이완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수축시키고 그 안에서 제어 요소(314)의 뭉침을 수용하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314)는 외피(310)를 통해 갑피(200)의 힐 카운터(214) 주위로 라우팅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어 요소(314) 및/또는 외피(310)의 연결된 제2 단부(334, 338)는 사용자가 제어 요소(314)를 갑피(200)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서 제어 요소(314) 및 인장 요소(312) 각각이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도록 조임력(FT)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조임 그립(34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임 그립(340)은 외피(310)에 의해 획정되고, 밑창 구조체(100)의 힐 카운터(104)를 통해 형성된 개구(176)를 통해 후방 단부(14)에 노출된다. 사용 중, 사용자는 개구(176)의 하부 에지(180a)에 형성된 릴리프(182)를 통해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조임 그립(340)과 갑피(200)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조임 그립(340)을 잡을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제어 요소(314)의 길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조임 그립(340)을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200)는 갑피(200)의 스로트(210)를 따라 인장 요소(312)를 조정함으로써 이완 상태와 조임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시스템(300)의 케이블(302)은 제어 요소(314)에 조임력(FT)을 가함으로써 조임 방향(DT)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임 그립(340)과 외피(310)를 갑피(200)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서 제어 요소(314)에 조임력(FT)을 가함으로써 제어 요소(314)를 조임 방향(DT)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임력(FT)은 각각의 제어 스트랜드(320, 322)에 가해져서 인장 장치(400)를 통해 인장 스트랜드(316, 318) 각각으로 전달된다. 조임력(FT)은 조임 방향으로 조임 스트랜드(316, 318)를 당겨서 인장 스트랩(218a-218e)의 자유 단부(226a-226e)를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서로를 향해 끌어당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갑피(200)의 맞춤은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 또는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 중 하나에 조임력(FT)을 가함으로써 스로트(210)의 길이를 따라 영역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제어 스트랜드(320)에 조임력(FT)을 가하면, 스로트(210)의 하부를 따라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가 조여지고, 내측 제어 스트랜드(322)에 조임력을 가하면 스로트(210)의 상부를 따라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가 조여질 것이다.
잠금 장치 또는 인장 장치(400)는 밑창 구조체(100)의 공동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풀림 방향(DL)으로 조정 요소(312, 314)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잠금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인장 요소(312) 및 제어 요소(314)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부터 인장 장치(400)의 하우징(402)에 접근하고 이를 통과한다. 일부 구성에서, 인장 장치(400)는 잠금 상태인 동안 조임 방향(DT)으로 조정 요소(312, 314)의 이동을 허용한다.
인장 장치(400)의 릴리스 코드(404)는 케이블(302)이 조임 방향(DT) 및 풀림 방향(DL)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400)를 잠금 해제 상태와 잠금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릴리스 코드(404)는 인장 장치(400)의 제1 단부(406)로부터 발목 개구(206)의 후방 단부에 있는 릴리스 그립(410)에 부착된 제2 단부(408)로 라우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릴리스 코드(404)는 아웃솔(102)의 릴리스 코드 채널(144)을 통해 리세스(124)로부터 갑피(200)로 라우팅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릴리스 코드 채널(144)은 힐 영역(24)을 통해 연장되므로 릴리스 코드(404)는 갑피(200)의 힐 카운터(214)와 밑창 구조체(100)의 힐 카운터(104) 사이의 후방 단부(14) 위로 라우팅된다.
도 14-도 16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a)이 제공되며, 밑창 구조체(100a) 및 밑창 구조체(100a)에 부착된 갑피(200)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a)과 관련하여 신발류 물품(10)와 관련된 구성요소의 구성 및 기능의 상당한 유사성을 고려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변형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발류 물품(10a)의 밑창 구조체(100a)는 전술한 아웃솔(102) 및 전술한 힐 카운터(104)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힐 카운터(104a)를 포함한다. 그러나, 완전히 둘러싸인 개구(176)를 포함하는 상기 힐 카운터(104)와는 달리, 힐 카운터(104a)의 개구(176a)는 힐 카운터(104a)의 상부 내에 노치(176a)로 형성된다. 따라서, 힐 카운터(104a)는 하부 에지(164)로부터 개구(176a)의 하부 에지(180a)까지 연장된다. 이 예에서, 힐 카운터(104a)는 노치(176a)의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귀부(ear)(184a, 184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귀부(184a, 184b)는 힐 카운터(104a)의 단부(168, 170)와 노치(176a)의 단부(178a, 178b) 사이에 형성된다. 이 예에서, 조임 그립(340)은 귀부(184A, 184B) 사이에 노출된다.
도 17-도 19를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b)이 제공되며, 밑창 구조체(100b) 및 밑창 구조체(100b)에 부착된 갑피(200)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b)과 관련하여 신발류 물품(10)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기능의 상당한 유사성을 고려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며,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변형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발류 물품(10b)의 밑창 구조체(100b)는 전슬한 아웃솔(102) 및 전술한 힐 카운터(104)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힐 카운터(104b)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힐 카운터(104b)의 상부 에지(166)는 인장 시스템(300)의 조임 그립(340) 아래에서 종결된다. 따라서, 힐 카운터(104b)의 개구(176b)는 단순히 힐 카운터(104b)의 상부 에지(166) 상부에 노출된 영역으로 형성된다.
도 20-도 23을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c)이 제공되며, 밑창 구조체(100) 및 밑창 구조체(100)에 부착된 갑피(200a)를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c)과 관련하여 신발류 물품(10)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기능의 상당한 유사성을 고려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고,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변형된 구성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발류 물품(10c)은 도 1-도 1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밑창 구조체(100)를 포함하지만, 갑피(200a)를 따라 케이블(302) 및 릴리스 코드(404)가 대안적으로 라우팅되는 갑피(200a)를 포함한다. 여기서, 갑피(200a)는 스로트(21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내측 인장 스트랩(218f, 218g)과 스로트(210)의 외측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외측 인장 스트랩(218h, 218i)을 포함한다. 인장 스트랩(218a-218e)이 스로트(210)를 따라 엇갈리게 배치되는 전술한 갑피(200)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 내측 인장 스트랩(218f, 218g)은 외측 인장 스트랩(218h, 218i)으로부터 스로트(210)를 직접 가로질러 배치된다.
도 20-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인장 장치(400)에 의해 수용되는 제1 단부(324)와 전족 영역(20)의 내측(18)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되는 제2 단부(326)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아웃솔(102)의 리세스(124) 내의 인장 장치(400)로부터 아웃솔(102)의 외측 인장 요소 채널(132a)을 통해 갑피(200)로 라우팅된다.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의 제1 세그먼트는 외측 힐 측면 패널(212)에 부착된 케이블 가이드(222b)로 후방으로 라우팅된다. 케이블 가이드(222b)로부터,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스로트(210)의 내측에 있는 제2 내측 인장 스트랩(218g)의 자유 단부(226g)로 라우팅된 후, 다시 스로트(210)을 가로질러 스로트(210)의 외측에 있는 제1 외측 인장 스트랩(218h)의 자유 단부(226h)로 라우팅된다. 그 후,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는 전족 영역(20)의 내측(18)에 있는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된 제2 단부(326)까지 연장된다.
도 20-도 22를 계속 참조하면,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인장 장치(400)에 의해 수용되는 제1 단부(328) 및 전족 영역(20)의 외측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되는 제2 단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아웃솔(102)의 리세스(124) 내의 인장 장치(400)로부터 아웃솔(102)의 내측 인장 요소 채널(132b)을 통해 갑피(200)로 라우팅된다.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의 제1 세그먼트는 내측 힐 측면 패널(212)에 부착된 케이블 가이드(222a)로 후방으로 라우팅된다. 케이블 가이드(222a)로부터,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스로트를 가로질러 스로트(210)의 외측에 있는 제2 외측 인장 스트랩(218i)의 자유 단부(226i)로 라우팅된 다음, 다시 스로트(210)를 가로질러 스로트(210)의 외측에 있는 제1 내측 인장 스트랩(218f)의 자유 단부(226f)로 라우팅된다. 그 후,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는 전족 영역(20)의 외측의 바이트 라인(30)에 부착된 제2 단부(330)까지 연장된다.
신발류 물품(10c)의 제어 요소(314)는 신발류 물품(10-10b)의 제어 요소(314)와 관련하여 전술한 제어 요소(314)와 동일한 방식으로 라우팅된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장치(400)의 릴리즈 코드(404)는 후방 단부(14)를 따르는 대신에 갑피(200a)의 측면(16, 18) 중 하나를 따라 라우팅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릴리스 코드(404)는 외측 제어 요소 채널(132c)을 통해 리세스(124)로부터 상부(200a)로 라우팅된다. 그 후, 릴리스 코드(404)는 외측(16)의 바이트 라인(30)으로부터 외측 힐 측면 패널(212)을 따라 외측(16)의 칼라(216)에 인접한 제2 단부(408)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릴리스 그립(410)은 발목 개구(206)의 외측에 위치된다. 릴리스 코드(404)는 포함될 경우 슈라우드(250) 아래에 은폐될 수 있다.
도 24-도 27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인장 장치(400)는 하우징(402) 및 하우징(40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우징(402)에 고정된 덮개(414)로 둘러싸인 로킹 부재 또는 잠금 부재(412)를 포함한다. 도 25는 하우징(402)으로부터 잠금 부재(412) 및 덮개(414)가 제거된 것을 보여주는 도 24의 인장 장치(400)의 분해도이다. 하우징(402)은 제1 단부(416)와 제2 단부(418)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를 정한다. 하우징(402)은 케이블 수용 표면(422)과 케이블 수용 표면(422)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갑피(200)의 외부 표면과 대향하는 장착 표면(424)을 갖는 베이스부(420)를 포함한다. 덮개(414)는 베이스부(420)의 케이블 수용 표면(422)에 대향하여 그 사이에 잠금 부재(412) 및 인장 시스템(30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잠금 부재 공동(426)을 획정한다. 일부 구성에서, 잠금 부재 공동(426)은 잠금 부재 공동(426)이 하우징(402)의 제2 단부(418)를 향해 테이퍼링되는 쐐기형 구성과 연관되도록 서로를 향해 수렴하는 제1 결합 표면(428) 및 제2 결합 표면(430)(도 26 및 도 27)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제1 결합 표면(428) 및 제2 결합 표면(430)은 서로를 향해 수렴하고 덮개(414)와 베이스부(420)의 케이블 수용 표면(422) 사이에서 연장되어 잠금 부재 공동(426)을 획정하는 하우징(402)의 대응하는 측벽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시스템(300)의 케이블(302)은 인장 요소(312) 및 제어 요소(3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잠금 부재 공동(426)을 통해 연장되고 제1 결합 표면(428)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2 결합 표면(430)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잠금 요소(31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인장 요소(312)는 제1 단부(416)에 근접한 하우징(402)의 대향 측벽을 통해 형성된 대응하는 슬롯(432)(도 26 및 도 27)으로부터 배출된다. 제어 요소(314)는 제2 단부(418)에 근접한 하우징(402)의 대향 측벽을 통해 형성된 대응하는 슬롯(432)(도 26 및 도 27)으로부터 배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412)는 잠금 부재(412)가 하우징(402)의 잠금 부재 공동(426) 내에 배치될 때 하우징(402)의 제1 결합 표면(428)에 대응하는 제1 잠금 표면(434) 및 하우징(402)의 제2 결합 표면(430)에 대응하는 제2 잠금 표면(436)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제1 잠금 표면(434)과 제2 잠금 표면(436)은 서로를 향해 수렴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잠금 표면(434)은 제1 결합 표면(428)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제2 잠금 표면(436)은 제2 결합 표면(430)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잠금 표면(434, 436)은 각각 조임 방향으로의 인장 시스템(300)에 의한 이동을 허용하면서(즉, 조임력(FT)이 제어 요소(314)에 가해질 때) 잠금 부재(412)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잠금 요소(315)를 풀림 방향(DL)으로 그립하여 인장 시스템(300)에 의한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는 경사 표면을 갖는 돌출부 또는 치형부를 포함한다. 바이어스 부재(438)(예컨대, 스프링)는 잠금 부재(412)를 하우징(402)에 부착하기 위해 하우징(402)의 제2 단부(418)에 부착된 제1 단부(440) 및 잠금 부재(412)의 제1 단부(444)에 부착된 제2 단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412)는 하우징(40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인장 장치(400)의 잠금 상태와 연관된 잠금 위치(도 26)와 인장 장치(400)의 잠금 해제 상태와 연관된 잠금 해제 위치(도 27)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예에서, 릴리스 메커니즘(404)(예컨대, 릴리스 코드(404))은 잠금 부재(412)를 잠금 위치(도 26)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도 27)로 이동시킨다. 잠금 부재(412)는 제1 단부(444)보다 잠금 부재(412)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탭부(44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릴리스 코드(404)의 제1 단부(406)는 잠금 부재(412)의 탭부(446)에 부착된다. 탭부(446)는 제1 잠금 표면(434) 및 제2 잠금 표면(436)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하우징(402)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유지부(450)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인장 장치(400)를 잠금 해제 상태로 유지하는 한 쌍의 유지부 또는 리세스(448)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02)과 연관된 유지부(450)는 하우징(402)의 대향측에 배치된 제1 유지부(450) 및 제2 유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부(450)는 대응하는 바이어스 부재(452)에 의해 공동(426) 및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바이어스된다. 유지부(450)는 유지부(450)가 수축된 상태(도 26)와 확장된 상태(도 27)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리빙 힌지로서 작용하도록 하우징(402)과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도 26은 잠금 위치에 있는 동안 하우징(402)의 공동(426) 내에 배치된 잠금 부재(412)를 보여주기 위해 덮개(414)가 제거된 상태의 도 24의 인장 장치(400)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잠금 부재(412)는 잠금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예를 들어, 도 26은 바이어스 부재(438)가 잠금 부재(412)에 바이어스 힘(FB)(방향(DB)으로 표시됨)을 가하여 잠금 부재(412)의 제1 단부(444)를 하우징(402)의 제2 단부(418) 측으로 가압하여 잠금 부재(412)를 잠금 위치로 바이어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잠금 위치에 있는 동안, 잠금 부재(412)는 잠금 표면(434, 436)과 결합 표면(428, 430) 사이에 인장 시스템(300)의 잠금 요소(315)를 끼움으로써 하우징(402)에 대한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잠금 부재(412)의 잠금 위치는 인장 시스템(300)이 풀림 방향(DL)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시된 예에서, 잠금 부재(412)는 조임력(FT)이 조임 그립(340)에 가해질 때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을 허용하는데, 이 방향은 잠금 부재(412)의 전반적인 쐐기 형상으로 인해 인장 시스템(300)이 잠금 부재(412)에 힘을 가하여 잠금 부재(412)를 잠금 해제 상태로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바이어스 부재(438)에 의해 잠금 부재(412)에 가해진 힘으로 인해 조임 그립(340)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 잠금 부재(412)는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복귀한다.
도 27은 잠금 부재(412)가 잠금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동안 하우징(402)의 공동(426) 내에 배치된 것을 보여주기 위해 덮개(414)가 제거된 상태의 도 24의 인장 장치(400)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잠금 부재(412)의 탭부(446)에 부착된 릴리스 코드(404)는 잠금 부재(412)에 릴리스 힘(FR)을 가하여 잠금 부재(412)를 하우징(402)에 대하여 제1 결합 표면(428) 및 제2 결합 표면(43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릴리스 힘(FR)은 잠금 표면(434, 436)과 결합 표면(428, 430) 사이에서 인장 시스템(300)의 잠금 요소(315)에 대한 핀칭이 해제되도록 잠금 부재(412)가 하우징(40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이어스 부재(438)의 바이어스 힘(FB)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예에서, 바이어스 힘(FB)은 릴리스 코드(404)에 의해 가해지는 릴리스 힘(FR)이 해제될 때 잠금 부재(412)를 다시 잠금 위치로 전환시킨다. 릴리스 코드(404)는 도 27의 도면을 기준으로 릴리스 코드(404)를 갑피(200)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지도록 충분한 크기 또는 미리 결정된 크기의 릴리스 힘(FR)이 가해질 때 릴리스 힘(FR)을 가할 수 있다.
잠금 부재(412)는 잠금 해제된 위치에 있는 동안 인장 시스템(300)의 잠금 요소(315)가 잠금 표면(434, 436)과 결합 표면(428, 430)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하우징(402)에 대해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을 허용한다. 잠금 부재(412)의 잠금 해제 위치는 각각 하나의 제어 부재(314)와 인장 부재(312)에 힘(FT, FL)이 가해질 때 인장 시스템(300)이 조임 방향(DT) 및 풀림 방향(DL) 모두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예에서, 릴리스 코드(404)에 충분한 크기 및/또는 지속 시간으로 가해지는 릴리스 힘(FR)은 잠금 부재(412)가 하우징(402)에 대하여 결합 표면(428, 43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우징(402)의 제1 단부(416) 측으로 이동하도록 릴리스 코드(404)가 바이어스 힘(FB)(도 26)의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잠금 부재(412)에 릴리스 힘(FR)(도 27)을 가하도록 한다. 하우징(402)의 유지부(450) 중 적어도 하나는 릴리스 힘(FR)이 잠금 부재(412)를 하우징(402)의 제1 결합 표면(428) 및 제2 결합 표면(430)으로부터 멀어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때 잠금 부재(412)의 유지부(448)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부재(412)의 유지부(448)와 하우징(402)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450) 사이의 결합은 릴리스 힘(FR)이 해제되면 잠금 부재(412)를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시킨다. 바이어스 부재(438)의 바이어스 힘(FB) 및 유지부(450)에 대해 가해지는 한 쌍의 바이어스 부재(452)의 힘은 잠금 부재(412)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릴리스 힘(FR)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게 된 후에 잠금 부재(412)의 유지부(448)를 하우징(402)의 유지부(450)와 결합되도록 고정시킨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제1 크기와 연관된 릴리스 힘(FR)이 릴리스 코드(404)에 가해져서 잠금 부재(412)를 결합 표면(428, 430)으로부터 유지부(448, 450)가 맞물리지 않는 소정의 거리보다 적은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발 주위의 내부 보이드(204)의 맞춤을 조정하기 위해 인장 시스템(300)을 풀림 방향(DL) 또는 조임 방향(DT)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때(예컨대, 조임 그립(340)에 조임력(FT)을 가함으로써) 제1 크기와 연관된 릴리스 힘(FR)이 유지될 수 있다. 발 주위의 내부 보이드(204)의 원하는 맞춤이 달성되면, 인장 시스템(300)의 이동이 풀림 방향(DL)으로 제한되게 잠금 부재(412)가 잠금 위치로 다시 전환되도록 릴리스 힘(FR)이 해제될 수 있고, 원하는 맞춤이 유지될 수 있다. 잠금 부재(412)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도 인장 시스템(300)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같이, 릴리스 힘(FR)이 해제되고 원하는 맞춤이 달성되면, 잠금 부재(412)는 하우징(402)에 대한 인장 시스템(300)의 위치를 잠그는 것으로 원하는 맞춤을 자동으로 유지한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와 연관된 릴리스 힘(FR)이 릴리스 코드(404)에 가해져서 잠금 부재(412)를 결합 표면(428, 430)으로부터 멀어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대응하는 유지부(448, 450)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유지부(448, 450)의 결합은 유지부(450)에 잠금 부재(412)에 반대되는 테이퍼형 에지를 제공하여 릴리스 코드(404)가 소정의 거리만큼 당겨질 때 잠금 부재(412)가 바이어스 부재(452)에 의해 부여된 바이어스 힘(FB)에 대해 유지부(450)를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이해진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대응하는 유지부(448, 450) 사이의 결합은 릴리스 힘(FR)이 해제될 때 잠금 부재(412)를 잠금 해제 위치에 유지한다.
잠금 부재(412)는 제어 요소(314)에 조임력(FT)이 가해질 때 잠금 위치로 복귀된다. 즉, 외측 및 내측 제어 스트랜드(320, 322)에 힘이 가해질 때, 이들 제어 스트랜드(320, 322)는 인장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는 제어 스트랜드(320, 322)가 유지부(450)의 일부를 통과함에 따라 유지부(450)를 통해 바이어스 부재(452)에 힘을 가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지부(450)는 바이어스 부재들(452)을 압축하고, 따라서 유지부(450)가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게 하여 잠금 부재(412)의 유지부(448)을 분리시킴으로써 바이어스 부재(438)가 잠금 부재(412)를 잠금 위치로 복귀되게 할 수 있다.
사용 중, 신발류 물품(10-10c)은 인장 시스템(300) 및 인장 장치(400)를 사용하여 이완 상태와 조임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10c)이 초기에 이완 상태로 제공된 상태에서, 인장 요소(312)의 인장 스트랜드(316, 318)의 유효 길이(즉, 제1 단부(324, 328)로부터 제2 단부(326, 330)까지의 길이)는 최대화되어, 인장 요소(312) 및 인장 스트랩(218a-218e)이 갑피(200, 200a)에 대해 이완된 상태로 제공되는 반면, 제어 요소(314)의 제어 스트랜드(320, 322)의 유효 길이(즉, 제1 단부(332, 336)로부터 제2 단부(334, 338)까지의 길이)는 최소화된다. 따라서, 갑피(200, 200a)의 재료가 내부에 발을 수용하도록 갑피(200, 200a)가 신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신발류 물품(10-10c)의 내부 보이드(204)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갑피(200, 200a)의 내부 보이드(20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장 시스템(3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임 상태로 이동되어 신발류 물품(10-10c)을 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시스템(300)은 제어 요소(314)의 조임 그립(340)에 조임력(FT)을 가함으로써 조임 상태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함에 따라, 케이블(302)이 인장 장치(400)의 하우징(402)을 통해 당겨짐으로써, 인장 요소(312)의 인장 스트랜드(316, 318)의 유효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가 갑피(200) 주위에서 최소화되어 갑피(200)가 발 주위로 조여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장 요소(312)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되면, 외측 및 내측 인장 스트랜드(316, 318)는 인장 스트랩(218a-218e)의 자유 단부(226a-226e)에 조임력(FT)을 분배하여 인장 스트랩(218a-218e)을 스로트(210) 위로 팽팽하게 당겨준다. 동시에, 인장 시스템(300)이 조임 상태로 이동될 때 제어 요소(314)의 유효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요소(314)는 외피(310)의 탄성에 의해 갑피(200)에 대해 팽팽한 위치에 유지되는데, 이는 외피(310)가 수축될 때 제어 요소(314)가 외피(306) 내에 "뭉쳐지도록" 함으로써 제어 요소(314)의 증가된 유효 길이를 수용한다.
사용자가 발로부터 신발류 물품(10-10c)을 제거하고자 할 때, 인장 시스템(300)은 갑피(200)가 발 주위로 이완될 수 있도록 풀림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처음에 인장 장치(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부재(438)의 바이어스 힘(FB)을 극복할 수 있는 충분한 릴리스 힘(FR)을 가하여 잠금 해제 상태로 이동되어야 한다. 일단 인장 장치(400)가 잠금 해제 상태로 이동되면, 사용자의 발로부터 신발류 물품(10)을 잡아당김으로써 케이블(302)이 인장 장치의 하우징(402)을 통해 풀림 방향(DL)으로 당겨질 수 있고, 이는 본질적으로 갑피를 팽창시키고 인장 요소(312)의 인장 스트랜드(316, 318)의 유효 길이를 증가시키게 된다.
도 28-도 32를 참조하면, 수동 인장 장치(400a)의 다른 예가 도시되는데, 여기서 인장 장치(400a)는 회전 메커니즘으로 구현된다. 도 28은 인장 장치(400a)의 분해도로서, 스풀(456), 제1 폴(pawl)(458) 및 제2 폴(46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454)을 획정하는 하우징(402a)을 보여준다. 인장 장치(400a)는 덮개(462)가 하우징(402a)에 고정될 때 공동(454)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고 덮개(462)가 하우징(402a)으로부터 제거될 때 공동(454)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하우징(402a)에 고정된 덮개(46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패스너(464)가 덮개(462)를 통해 연장되어 하우징(402a) 내의 나사형 구멍(466)과 체결되어 덮개(462)를 하우징(402a)에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402a)은 각각 케이블 조정 요소가 하우징(402a)의 공동(454) 내로 라우팅되는 각각의 케이블 리테이너(470)를 수용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리테이너 슬롯(468)을 획정한다. 하우징(402a)은 조정 요소(312, 314)의 단부가 각각 케이블 리테이너(470) 각각을 통해 연장되도록 복수의 케이블 리테이너(470)를 지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402a)은 공동(454) 내에 배치된 유지 벽(4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벽(472)은 제1 폴(458)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유지 벽(472)은 하나 이상의 촉각 돔(47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촉각 슬롯(4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0-도 32를 참조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 폴(458)은 촉각 돔(들)(476)과 결합하여 스풀(456)이 하우징(402a)에 대하여 위치가 변경되었고 및/또는 인장 장치(400a)가 잠금 상태로부터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는 클릭 또는 다른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0은 하우징(402a)의 대향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장착 플랜지(478, 480)를 보여주는 하우징(402a)의 평면도를 제공한다. 장착 플랜지(478, 480)는 밑창 구조체(100) 내에 인장 장치(400a)를 장착하기 위해 밑창 구조체(100)의 리세스(124)의 내부 표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랜지(478, 480)는 갑피(200)의 스트로벨에 부착될 수 있다. 스트로벨은 적어도 밑창 구조체(100)과 내부 보이드(204) 사이에 배치되는 신발류 물품(10)의 발밑 부분을 형성하는 임의의 지지 구조체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접착제 및/또는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는 하우징(402a)을 리세스(124) 내에 부착하기 위해 장착 플랜지(478, 480)의 접촉 표면 및/또는 밑창 구조체(100)의 리세스(124)의 내부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착 플랜지(478, 480)는 하우징(402a)을 밑창 구조체(100)에 장착하기 위한 패스너(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관통 형성되게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구멍(482)을 획정할 수 있다.
도 30은 폴(458, 460), 조정 요소(312, 314) 및 인장 장치(400a)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거되어 하우징(402a)을 통해 형성된 긴 채널(484)을 노출시킨 하우징(402a)을 나타낸다. 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긴 채널(484)은 제1 폴(458)의 부착 지점과 정렬되며, 릴리스 코드(404)가 하우징(402a) 아래 및 장착 플랜지(480)에 의해 획정된 공급 슬롯(486)을 위로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장착 플랜지(480)는 또한 공급 슬롯(486)에 근접한 컷아웃 영역(477)을 획정하여 릴리스 코드(및/또는 릴리스 코드(404)를 둘러싸는 도관)가 하우징(402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더 많은 틈을 제공한다. 장착 플랜지(478, 480)는 하우징(402a)의 둘레에 립을 획정하여 하우징(402a)이 리세스(124) 또는 스트로벨의 장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릴리스 코드(404)가 하우징(402a)과 리세스(124) 또는 스트로벨의 장착 표면 사이에서 라우팅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릴리스 코드(404)는 긴 채널(484)과 공급 슬롯(486) 사이의 하우징(402a) 아래로 자유롭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공급 슬롯(486)은 릴리스 코드(404)가 하우징(402a)을 잡거나 하우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곡된 에지를 가진다.
이제 도 29를 참조하면, 스풀(456)은 하우징(402a)의 공동(454) 내에 지지되고, 하우징(402a)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풀(456)은 조정 요소(312, 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할 때 제1 방향(DS1)으로 그리고 조정 요소(312, 314)가 풀림 방향(DL)으로 이동할 때 반대되는 제2 방향(DS2)으로 하우징(402a)에 대해 회전한다. 스풀(456)은 인장 요소(312)의 일부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1 채널 또는 환형 홈(488) 및 제어 요소(314)의 일부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제2 채널 또는 환형 홈(490)을 포함한다. 스풀(456)은 스풀(456)에 대한 각각의 조정 요소(312, 314)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채널(488, 490)을 분리하는 분할 벽을 통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앵커 슬롯(49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장 장치(400a)는 또한 래칫 메커니즘(494)을 포함하고, 래칫 메커니즘(494)은 스풀(456)과 연관되고 래칫 메커니즘(494)의 축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래칫 메커니즘(494)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치형부(496)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래칫 메커니즘(494)은 복수의 치형부(496)가 채널(488, 490)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풀(456)의 내부 원주 벽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예에서, 래칫 메커니즘(494)은 스풀(456)과 공통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제1 폴(458)은 하우징(402a)의 공동(454) 내에 배치되고, 래칫 메커니즘(494)과 협력하여 스풀(45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방지 및 허용하고, 결과적으로 조정 요소(312, 314)의 이동을 방지 또는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제1 폴(458)은 래칫 메커니즘(494)의 복수의 치형부(496)와 선택적으로 정합되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치형부(49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폴(458)은 제1 폴(458)이 제1 폴 회전축(AFP)을 중심으로 하우징(402a)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402a) 내에서 제1 폴(458)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폴 액슬(500)을 포함한다.
제1 폴 스프링(502)은 제1 폴 액슬(500) 및 하우징(402a)의 공동(454) 내에 배치된 유지 벽(47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1 폴(458)을 폴 회전축(AFP)에 대해 제1 방향(DFP1)으로 바이어스할 수 있다. 스풀(456)이 공동(454)에 의해 수용될 때, 제1 폴 회전축(AFP)은 스풀(456)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폴 스프링(502)은 유지 벽(472) 및 제1 폴(516)과 상호작용하여 제1 폴(458)이 제1 방향(DFP1)으로 폴 회전축(AFP)에 대해 래칫 메커니즘(494)의 복수의 치형부(496)와 맞물리게 피봇되게 하는 바이어스 힘을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장 장치(400a)가 잠금 상태에서 작동하여 조정 요소(312, 314)에 의한 풀림 방향(DL)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각각 인장 장치(400a)의 제1 폴(45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제1 폴(458)은 제1 폴 스프링(502)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수용 표면(504)을 획정한다. 제1 폴 액슬(500)은 제1 수용 표면(504)으로부터 제1 수용 표면(504)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1 폴 액슬(500)은 제1 폴(45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폴(458)은 또한 제2 폴 스프링(516)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수용 표면(506)을 획정한다. 개구(508)가 제2 수용 표면(506)을 통해 형성되며, 제2 폴 액슬(51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앵커 포스트(510)가 제1 폴 액슬(5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수용 표면(504, 506)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될 수 있다. 앵커 포스트(510)는 릴리스 코드(404)의 제1 단부(406)를 앵커 포스트(51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위치를 제공하는 개구(512)를 획정할 수 있다. 앵커 포스트(510)는 제1 폴(45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2 폴 액슬(514)은 제2 폴(460)을 제1 폴(458)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여, 제2 폴(460)이 제2 폴 회전축(ASP)을 중심으로 제1 폴(458) 및 하우징(402a) 모두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2 폴 회전축(ASP)은 제1 폴 회전축(AFP) 및 스풀(456)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2 폴(460)은 제2 폴 스프링(516)과 연관되는데, 제2 폴 스프링은 스풀(456)이 제2 방향(DS2)으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1 폴(458)이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로부터 분리될 때 제2 폴(460)을 스풀(456)의 내부 주변부와 연관된 제어 표면(518)과 결합되게 바이어스하도록 구성된다.
도 29는 제1 폴(458)의 제1 폴 치형부(498)가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와 맞물려 스풀(456)이 제2 방향(DS2)으로 회전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고, 따라서 조정 요소(312, 314)가 각각의 풀림 방향(DL)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에서의 인장 장치(400a)의 사시도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치형부(496)는 제1 폴(458)의 치형부(498)가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와 맞물릴 때 스풀(456)이 제1 방향(DS1)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경사짐으로써 인장 요소(312)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고 조정 요소(314)가 조임 그립(340)에 가해지는 조임력(FT)에 대응하여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스풀(456)이 제1 방향(DS1)으로 회전할 때, 제어 요소(314)는 스풀(456)의 제2 채널(490)로부터 풀리는 한편, 스풀(456)의 제1 채널(488)은 동시에 스풀(456)이 제1 방향(DS1)으로 회전하는 동안 인장 요소(312)를 후퇴시킨다. 따라서, 조정 요소(312, 314)가 각각의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면 조정 요소(314)의 유효 길이가 증가하는 동시에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가 감소함으로써 갑피(200)가 사용자의 발 주위의 내부 보이드(204)를 폐쇄하기 위한 조임 상태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어 요소(314)는 제1 폴(458)(예컨대, 제1 폴 치형부(498))과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 사이의 각각의 연속적인 결합 중에 조임 방향(DT)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여, 갑피(200)가 조임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발 주위의 내부 보이드(204)의 맞춤을 조이기 위해 인장 요소(312)의 외측 및 내측 인장 스트랜드(316, 318)에 가해지는 장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장 요소(312)의 외측 인장 스트랜드(316) 및 내측 인장 스트랜드(318) 각각은 스풀(456)의 제1 채널(488) 내에 배치되도록 제1 채널에 연결되기 때문에, 인장 스트랜드(316, 318) 각각은 스풀(456)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감겨지고 풀려서 발 주변의 갑피(200)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임을 제공하게 된다.
일부 예에서, 릴리스 코드(404)는 제1 폴(458)의 앵커 포스트(51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정의 릴리스 힘(FR)이 릴리스 코드(404)에 가해질 때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로부터 제1 폴(458)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킨다. 제2 폴(460)이 제어 표면(518)과 결합될 때, 제2 폴(460)은 제2 방향(DS2)으로 회전하는 동안 스풀(456)의 각각 하나의 제1 채널(488) 및 제2 채널(490)로부터 수집(예컨대, 감김)되거나 해제(예컨대, 풀림)될 때 조정 요소(312, 314)가 엉키지 않도록 제2 방향(DS2)으로 스풀(45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작동한다. 일부 구성에서, 제2 폴(460)은 제1 폴(458)이 치형부(496)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때(즉, 인장 장치(400a)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상태일 때) 2개의 제어 표면(518) 각각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2개의 캠 표면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어 표면(518)은 치형부(496)가 제어 표면(518) 사이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래칫 메커니즘(494)의 반대측에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1 폴(458)은 인장 장치(400a)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래칫 메커니즘(494)의 복수의 치형부(496)와 맞물리도록 바이어스된다. 여기서, 제1 폴(458)은 제1 폴(458)의 치형부(498)가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와 맞물리도록 제1 폴 회전축(AFP)을 중심으로 제1 방향(DFP1)으로 피봇 및 회전한다. 일부 예에서, 제1 폴(458)은 제1 폴(458)과 치형부(496) 사이의 각각의 연속적인 결합 중에 스풀(456)의 위치의 증분적 변화를 나타내는 "클릭"을 제공하기 위해 촉각 돔(476)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촉각 돌출부(520)를 포함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릴리스 코드(404)의 제1 단부(406)는 제1 폴(458)의 앵커 포스트(510)에 부착되어, 릴리스 코드(404)에 소정의 릴리스 힘(FR)이 가해질 때 릴리스 코드(404)가 제1 폴(458)을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릴리스 코드(404)의 릴리스 그립(410)을 잡고 소정의 힘(FR)을 가하여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로부터 제1 폴(458)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힘(FR)은 제1 폴 스프링(502)의 바이어스 힘을 극복하여 제1 폴(458)이 제1 폴 회전축(AFP)을 중심으로 제2 방향(DFP2)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촉각 돌출부(520)는 촉각 돔(476)과 맞물려서, 소정의 힘(FR)이 치형부(496)와의 결합 상태를 벗어나도록 제1 폴(458)로 이동하여 인장 장치(400a)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할 때 "클릭"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2는 릴리스 코드(404)에 소정의 힘(FR)이 가해질 때 릴리스 코드(404)가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로부터 제1 폴(458)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데 응답하는 잠금 해제 상태의 인장 장치(400a)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폴(458)이 래칫 메커니즘(494)의 치형부(496)로부터 해제된 상태에서 인장 장치(400a)가 잠금 해제 상태에 있는 동안, 스풀(456)은 인장 요소(312)에 풀림력(FL)이 가해질 때 인장 요소(312)의 풀림 방향(DL)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2 방향(DS2)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일부 예에서, 스풀(456)의 제 1 채널(488)은 인장 요소(312)를 수집하고, 스풀(456)의 제2 채널(490)은 스풀(456)이 제2 방향(DS2)으로 회전할 때 동시에 제어 요소(314)를 해제한다. 따라서, 제어 요소(314)가 풀림 방향(DL)으로 이동하면,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가 증가하여 인장 스트랜드(316, 318)가 이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이 내부 보이드(20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갑피(200)가 조임 상태로부터 풀림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8을 다시 참조하면, 인장 장치(400a)의 덮개(462) 및 하우징(402a)은 각각 제1 폴(458)의 제1 폴 액슬(5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허브(52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462)는 또한 각각 하우징(402a)의 긴 채널(484)과 협력하여 제1 폴(458)이 제1 방향(DFP1) 또는 제2 방향(DFP2)으로 제1 폴 회전축(AFP)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 폴(458)의 앵커 포스트(510)가 하우징(402a) 및 덮개(46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긴 채널(52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중, 신발류 물품(10)은 인장 시스템(300)을 사용하여 조임 상태와 이완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신발류 물품(10)이 초기에 이완 상태로 제공되면, 제1 케이블이 갑피(200)에 대해 이완된 상태가 되도록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가 최대화되고, 제어 요소(314)가 인장 장치(400a)의 스풀(456)에 대해 감길 때 제어 요소(314)의 유효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갑피(200)의 재료가 그 안에 발을 수용하도록 갑피(200)가 신축될 수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발이 신발류 물품(10)의 내부 보이드(204)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갑피(200)의 내부 보이드(20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장 시스템(300)은 사용자에 의해 조여진 상태로 이동되어 신발류 물품(10)을 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임 그립(340)에 조임력(FT)을 가함으로써 인장 시스템(300)이 조임 상태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어 요소(314)가 조임 방향(DT)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풀(456)이 제1 방향(DS1)으로 회전하고 제어 요소(314)가 제2 채널(490)로부터 풀린다. 동시에, 인장 요소(312)가 제1 채널(488) 내에 감겨서, 인장 요소(312)가 인장 장치(400a) 내에서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가 갑피(200) 주위로 최소화되어 갑피(200)가 발 주위로 조여진 상태로 이동한다.
인장 시스템(300)이 조임 상태로 이동하기 이전, 도중 또는 이후에, 릴리스 코드(404)에 가해지는 릴리스 힘(FR)이 제1 폴 스프링(502)에 의해 극복될 때, 제1 폴 스프링(502)의 바이어스 힘은 제1 폴(458)을 잠금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인장 장치(400a)가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스풀(456)의 치형부(496)는 제1 폴(458)의 치형부(498)에 의해 맞물려 스풀(456)이 제2 방향(DS2)(즉, 풀림 방향(DL))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인장 장치(400a)는 인장 장치(400a)가 잠금 위치에 유지되는 한 인장 시스템(300)을 조임 상태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발로부터 신발류 물품(10)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인장 장치(300)는 풀림 상태로 이동하여 갑피(200)가 발 주위로 이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처음에는, 제1 폴 스프링(502)의 바이어스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릴리스 힘(FR)을 가하여 인장 장치(400a)를 잠금 해제 상태로 이동시켜야 한다. 릴리스 힘(FR)이 바이어스 힘을 극복하면, 제1 폴(458)의 치형부(498)가 스풀(456)의 치형부(496)로부터 분리되어, 스풀(456)이 제2 방향(DS2)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 케이블을 풀림 방향(DL)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풀림력(FL)이 인장 요소(312)에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갑피(200)가 이완될 수 있도록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풀림력(FL)은 갑피(200)의 전방 단부(12)를 하향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인장 요소(312)에 간접적으로 가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 보이드(204)가 강제로 개방되어 발을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장 요소(312)는 사용자가 인장 요소(312)에 직접 풀림력(FT)을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풀림 그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인장 요소(312)가 풀림 방향(DL)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풀(456)이 제2 방향(DS2)으로 회전하고 인장 요소(312)가 제1 채널(488)로부터 풀린다. 인장 요소(312)가 풀리면서 인장 요소(312)의 유효 길이가 증가하고 인장 스트랜드(316, 318)가 이완되어 인장 스트랩(218a-218i)이 갑피(200)에 대해 이완될 수 있다. 동시에, 제어 요소(314)가 제2 채널(490) 내에 감겨서, 제어 요소(314)가 인장 장치(400a) 내에서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 요소(314)의 유효 길이가 최소화된다.
다음 항들은 전술한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항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을 획정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제2 표면 내에 형성되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맞물리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케이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
항 2. 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하부 벽에 의해 더 획정되는 밑창 구조체.
항 3. 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벽과 접촉하는 밑창 구조체.
항 4.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1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밑창 구조체.
항 5. 항 4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2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밑창 구조체.
항 6. 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채널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밑창 구조체.
항 7.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i) 실질적으로 평면적이고, (ⅱ) 서로 정반대인 밑창 구조체.
항 8.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의 형상을 갖는 밑창 구조체.
항 9.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경질 재료로 형성되는 밑창 구조체.
항 10.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중족 영역에 배치되는 밑창 구조체.
항 11.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면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 12.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13.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을 획정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제2 표면 내에 형성되고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하부 벽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1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i) 상기 제1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거나 (ⅱ) 상기 제1 측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상기 리세스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밑창 구조체.
항 14. 항 13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하부 벽에 의해 더 획정되는 밑창 구조체.
항 15. 항 14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케이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 16. 항 15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케이블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 요소는 상기 제1 채널에 의해 수용되는 밑창 구조체.
항 17. 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제2 케이블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요소는 상기 제2 채널에 의해 수용되는 밑창 구조체.
항 18. 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채널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밑창 구조체.
항 19.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i) 실질적으로 평면적이고 (ⅱ) 서로 정반대인, 밑창 구조체.
항 20.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의 형상을 가지는 밑창 구조체.
항 21.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경질 재료로 형성되는 밑창 단독 구조체.
항 22.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중족 영역에 배치되는 밑창 구조체.
항 23.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면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 24.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항 25.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상기 밑창 구조체는 지면 접촉 표면을 획정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제2 표면 내에 형성되고 제1 측벽, 제2 측벽 및 하부 벽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1 채널,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2 채널,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3 채널, 및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4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채널은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리세스와 협력하여 상기 제2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H-형 구조를 제공하는 밑창 구조체.
항 26. 항 25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을 결합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케이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 27. 항 2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케이블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 요소는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에 의해 수용되는 밑창 구조체.
항 28. 항 2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제2 케이블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요소는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에 의해 수용되는 밑창 구조체.
항 29. 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은 (i) 상기 리세스의 동일한 측면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중 하나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밑창 구조체.
항 30. 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은 (i) 상기 리세스의 동일한 측면 및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중 다른 하나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는 밑창 구조체.
항 31.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i) 실질적으로 평면적이고 (ⅱ) 서로 정반대인 밑창 구조체.
항 32.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 상기 제1 채널, 상기 제2 채널, 상기 제3 채널 및 상기 제4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밑창 구조체.
항 33. 항 3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H-형상을 가지는 밑창 구조체.
항 34.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경질 재료로 형성되는 밑창 구조체.
항 35.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중족 영역에 배치되는 밑창 구조체.
항 36.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면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항 37. 선행하는 항 중 어느 항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본 개시 내용을 완전하게 하거나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특정 구성의 개별 요소 또는 특징은 일반적으로 해당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지만, 적용 가능한 경우, 구체적으로 나타내거나 설명하지 않더라도 호환 가능하고 선택된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개시 내용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이러한 모든 변정은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지면 접촉 표면을 획정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제2 표면 내에 형성되고 제1 측벽 및 제2 측벽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맞물리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케이블 잠금 장치
    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하부 벽에 의해 추가적으로 획정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부 벽과 접촉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1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밑창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2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밑창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채널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i) 실질적으로 평면적이고, (ⅱ) 서로 정반대편에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의 형상을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경질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밑창 구조체의 중족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면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2. 제1항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13.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지면 접촉 표면을 획정하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상기 제2 표면 내에 형성되고 제1 측벽,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하부 벽에 의해 획정되는 리세스; 및
    상기 리세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와 유체 연통되는 제1 채널로서, (i) 상기 제1 측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거나 또는 (ⅱ) 상기 제1 측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상기 리세스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것인 제1 채널
    을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하부 벽에 의해 추가적으로 획정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케이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제1 케이블 요소로서, 상기 제1 채널에 의해 수용되는 것인 제1 케이블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잠금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제2 케이블 요소로서, 제2 채널에 의해 수용되는 것인 제2 케이블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채널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i) 실질적으로 평면적이고 (ⅱ) 서로 정반대편에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의 형상을 가지는 것인 밑창 구조체.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경질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밑창 단독 구조체.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밑창 구조체의 중족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지면 결합 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24. 제13항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237013332A 2020-10-13 2021-10-13 신발류 물품 KR20230066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90969P 2020-10-13 2020-10-13
US63/090,969 2020-10-13
US17/499,457 US20220110401A1 (en) 2020-10-13 2021-10-12 Article of Footwear
US17/499,457 2021-10-12
PCT/US2021/054702 WO2022081653A1 (en) 2020-10-13 2021-10-13 Article of foot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640A true KR20230066640A (ko) 2023-05-16

Family

ID=8107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332A KR20230066640A (ko) 2020-10-13 2021-10-13 신발류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110401A1 (ko)
EP (1) EP4228470A1 (ko)
KR (1) KR20230066640A (ko)
CN (1) CN116261409A (ko)
WO (1) WO2022081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9820B1 (en) * 2017-05-31 2022-08-31 NIKE Innovate C.V. Automated footwear lac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4985A (en) * 1984-12-26 1987-04-07 Chalmers Edward L Athletic boot
IT1186356B (it) * 1985-11-04 1987-11-26 Nordica Spa Scarpone da sci con dispositivo di chiusura e con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piede ad azionamento elettrico
CN1068510C (zh) * 1997-07-08 2001-07-18 周龙交 鞋带自动穿系暨脱解复动的鞋子
US6896128B1 (en) * 1998-03-26 2005-05-24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6032387A (en) * 1998-03-26 2000-03-07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
US6467194B1 (en) * 1998-03-26 2002-10-22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DE10133489B4 (de) * 2001-07-10 2005-11-03 Egon Voswinkel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Schnürzugeinrichtung eines Schuhs
ES2292895T3 (es) * 2002-11-25 2008-03-16 Bencom S.R.L. Calzado con dispositivo de cierre mejorado.
US7287294B2 (en) * 2003-10-24 2007-10-30 Harry Miller Co., Inc. Method of making an expandable shoe
US20050198867A1 (en) * 2004-03-12 2005-09-15 Frederick Labbe Self tying shoe
US7721468B1 (en) * 2005-08-26 2010-05-25 Gregory G. Johnson Tightening shoe
US7752774B2 (en) * 2007-06-05 2010-07-13 Tim James Ussher Powered shoe tightening with lace cord guiding system
US11206891B2 (en) * 2008-05-02 2021-12-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assembly of the article of footwear
US8387282B2 (en) * 2010-04-26 2013-03-05 Nike, Inc. Cable tighte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904673B2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US8904672B1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US11684111B2 (en) * 2012-02-22 2023-06-27 Nike, Inc. Motorized shoe with gesture control
US11071344B2 (en) * 2012-02-22 2021-07-27 Nike, Inc. Motorized shoe with gesture control
US10092065B2 (en) * 2014-04-15 2018-10-09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removable midsole
US9629418B2 (en) * 2014-04-15 2017-04-25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elastic upper
US9055778B1 (en) * 2014-08-28 2015-06-16 Skechers U.S.A., Inc. Ii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ractive system
US10010129B2 (en) * 2015-05-28 2018-07-03 Nike, Inc. Lockout feature for a control device
US10231505B2 (en) * 2015-05-28 2019-03-1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a charg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894954B2 (en) * 2015-05-28 2018-02-20 Nike, Inc. Sole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070681B2 (en) * 2015-05-28 2018-09-11 Nike, Inc. Control devic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0292451B2 (en) * 2015-05-28 2019-05-21 Nike, Inc. Sole plat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064768B2 (en) * 2016-03-15 2021-07-20 Nike, Inc.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US11272762B2 (en) * 2016-03-15 2022-03-15 Nike, Inc. Assembly proces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827804B2 (en) * 2016-03-15 2020-11-10 Nike, Inc. Lacing apparatu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357290B2 (en) * 2016-03-15 2022-06-14 Nike, Inc. Active footwear sensor calibration
US10660406B2 (en) * 2016-03-15 2020-05-26 Nike, Inc. Tensioning system and reel member for footwear
US9961963B2 (en) * 2016-03-15 2018-05-08 Nike, Inc. Lacing engin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KR102545514B1 (ko) * 2016-03-15 2023-06-2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용 모터 작동형 인장 시스템을 위한 변속 장치
US10499711B2 (en) * 2016-03-15 2019-12-10 Nike, Inc. Capacitive foot presence sensing for footwear
CN109414093B (zh) * 2016-03-15 2021-08-1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自动化鞋类平台的回复原位机构
EP3429402B1 (en) * 2016-03-15 2024-01-10 NIKE Innovate C.V. Actuator for an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026472B2 (en) *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US11071353B2 (en) * 2016-10-26 2021-07-27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lace cable tensioner
US11083248B2 (en) * 2016-10-26 2021-08-10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upper elastic tensioner
EP4218479A1 (en) * 2016-11-18 2023-08-02 Nike Innovate C.V. Compact motorized tensioning device for footwear
EP3629820B1 (en) * 2017-05-31 2022-08-31 NIKE Innovate C.V. Automated footwear lacing systems
KR102263035B1 (ko) * 2017-10-20 2021-06-1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구조물
CN112955048B (zh) * 2018-09-19 2022-11-1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区域动态系带系统
KR102644764B1 (ko) * 2019-02-22 2024-03-06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
US11478047B2 (en) * 2019-05-30 2022-10-25 Universal Trim Supply Co., Ltd. Self-lacing system for a shoe and vacuum pump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10401A1 (en) 2022-04-14
CN116261409A (zh) 2023-06-13
EP4228470A1 (en) 2023-08-23
WO2022081653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0229B2 (en) Dynamic lacing system
EP3852569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cable lacing system and a strap
JP7162732B2 (ja) フィードバック機構を備える動的レースシステム
US11382389B2 (en)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KR102635805B1 (ko) 구역 동적 레이싱 시스템
US20210093046A1 (en) Zonal dynamic lacing system
US20210330036A1 (en) Tensioning system for article of footwear
KR20230066640A (ko) 신발류 물품
US20220110416A1 (en) Upper for Article of Footw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