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409A -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409A
KR20230064409A KR1020210149961A KR20210149961A KR20230064409A KR 20230064409 A KR20230064409 A KR 20230064409A KR 1020210149961 A KR1020210149961 A KR 1020210149961A KR 20210149961 A KR20210149961 A KR 20210149961A KR 20230064409 A KR20230064409 A KR 20230064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angle adjusting
frost
ang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조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현 filed Critical 조성현
Priority to KR102021014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409A/ko
Publication of KR2023006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6Devices for generating heat, smoke or fog in gardens, orchards or forests, e.g. to prevent damage by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 부분이 포함된 각도 조절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각도 조절 부분 중 하나에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Blower for frost protection}
본 발명은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들은 주변환경 및 온도변화에 의하여 수확량 및 품질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산지나 표고가 비교적 높은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하여 온도변화가 더 심하고 냉기류의 유입이 많으므로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과수의 경우에는 봄에 개화하여 가을에 열매를 맺어 수확하게 되는데, 개화기의 과수 관리는 열매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과수원의 그 해 농사의 성패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과일나무의 싹이 트고 개화되는 시기인 4~5월경 지표 부근에는 복사냉각에 의해 차가운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이 시기에 바람이 없는 상태에서 야간에 기온이 빙점 아래로 떨어지면 대기 중의 수분이 얼음결정으로 변하면서 서리가 내리므로 이로 인하여 과일 나무에 동해(凍害)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 농가에서는 서리가 농작물에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불을 피우고 대형 선풍기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대형 선풍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수평으로 널리 퍼지기 전에 상방으로 확산되어 주변 농작물의 온도를 낮추는데 효율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80734호
본 발명은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 부분이 포함된 각도 조절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각도 조절 부분 중 하나에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둥부는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의 하방에 형성되는 하부 기둥 및, 상기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 연결부는 기둥 일측연결부분과, 상기 기둥 일측연결부분과 대향되는 기둥 타측연결부분 및, 상기 기둥 일측연결부분과 기둥 타측연결부분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 기둥 중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하부 기둥을 지지하기 위해서 플랜지 형상인 지면 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에는 각도 조절 중심공과, 상기 각도 조절 중심공에서 이격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된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에는 상기 각도 조절 중심공과 연통되는 각도 조절 로드 중심공과, 상기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과 연통되는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로펠러부의 후방에서 프로펠러부 방향으로 오목만곡지게 형성된 열판형 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로펠러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고리형 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프로펠러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원통형 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열공급부는 상기 고리관 형상의 열공급 하우징과, 상기 열공급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발열선과, 상기 발열선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선 온도조절부 및, 상기 열공급 하우징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열공급부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열공급 원통 하우징과, 상기 열공급 원통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매체와, 상기 열매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매체 온도 조절부 및, 상기 열공급 원통 하우징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는 열전도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열공급부를 회전시키는 원통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 회전부는 상기 원통 회전 수동부재와, 상기 원통 회전 수동부재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원통 회전 능동부재 및, 상기 원통 회전 능동부재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원통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풍 공급부에서 온풍이 공급되어 상승하면 기둥부에 의해 지상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제1 구동부가 제1 프로펠러부를 작동시켜 상승하는 온풍을 주위에 넓게 공급하여 농작물에 서리가 내리지 않도록 작용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 프레임 부분을 중심으로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을 경사지도록 하여 송풍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변형례에 따르면 제3 프로펠러부의 후방에 열판형 열공급부를 형성하여 직접 근거리에서 제3 프로펠러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열손실이 감소되며 열공급과 송풍 구조를 하나의 장비에 구축하여 컴팩트화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2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3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2의 (c)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4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d)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5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 지지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이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이 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b)에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을 기둥 연결부가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4 변형례에서 원통형 열공급부가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4 변형례에서 원통형 열공급부가 적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례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례들을 설명한다. 실시례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례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례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례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2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3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2의 (c)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4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2의 (d)는 도 1에 사용되는 프로펠러의 개수가 5개인 것을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부 지지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도 1의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이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이 접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b)에서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을 기둥 연결부가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실시례(100)는 수직 기둥 형태로 설치되는 기둥부(110)와, 상기 기둥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150)와, 상기 상부 지지부(15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구동부(180) 및, 상기 제1 구동부(18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프로펠러부(182)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110)는 전체 높이가 10m 정도이며, 10m 정도의 길이를 가진 기둥부(110)를 하나로 형성하면 운반과 설치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례(100)는 상기 기둥부(110)가 2개 이상의 부분 기둥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기둥부(110)는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기둥(112)과, 상기 상부 기둥(112)의 하방에 형성되는 하부 기둥(116) 및, 상기 상부 기둥(112)과 하부 기둥(116)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기둥(112)에는 하부에 상부 기둥 연결구멍(11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기둥(116)에는 상부에 하부 기둥 연결구멍(118)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 연결부(120)는 원통형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2부분으로 분리한 형태인 기둥 일측연결부분(122)과 기둥 타측연결부분(126)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 일측연결부분(122)에는 복수개의 기둥 일측연결구멍(124)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타측연결부분(126)에는 복수개의 기둥 타측연결구멍(128)이 형성된다.
상기 기둥 일측연결부분(122)과 기둥 타측연결부분(126)은 서로 대향되는 형태이다.
상기 기둥 연결부(120)는 상기 기둥 일측연결구멍(124)과 기둥 타측연결구멍(128)을 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인 연결부분 볼트(130)와 연결부분 너트(132)를 더 포함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 기둥 연결구멍(114)과 하부 기둥 연결구멍(118)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부 기둥(116)의 상부에 상부 기둥(112)을 올려 놓고, 기둥 일측연결구멍(124)과 기둥 타측연결구멍(128) 사이에 상부 기둥 연결구멍(114)과 하부 기둥 연결구멍(118)이 연통되도록 기둥 일측연결부분(122)과 기둥 타측연결부분(126)을 접하게 한 후에 각 구멍에 연결부분 볼트(130)를 통과시키고 연결부분 너트(132)로 체결한다.
상기 기둥부(110)는 하부 기둥(116)의 하부가 지면 아래에 위치되고, 하부 기둥(116)의 상부가 지면 상방에 위치되며, 이때 하부 기둥(116) 중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하부 기둥(116)을 지지하기 위해서 지면 지지부(13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면 지지부(134)는 개략적으로 플랜지 형상이며, 수직면으로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지면 일측 지지부분(136)과 지면 타측 지지부분(138)으로 나뉘며, 상기 지면 일측 지지부분(136)과 지면 타측 지지부분(138)이 지지부분 볼트(140)와 지지부분 너트(142)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상부 지지부(150)는 상기 상부 기둥(112)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부 기둥(112)을 중심으로 판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 상판(152)과, 상기 상부 지지 상판(152) 위에 "+"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각도 조절 프레임(154)과, 상기 제1 각도 조절 프레임(154)에 연결되는 4개의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 및,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1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17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각도 조절 프레임(154)에는 4개의 암 프레임(Arm frame) 부분(156a, 156b, 156c, 156d)이 형성되고, 상기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은 하부와 양측이 막혀 있고 상부만 개방된 수직 단면이 개략적으로 "U" 형태이며,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의 수직 단면은 개략적으로 "ㅁ" 형태이고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의 일부분이 상기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에는 제1 각도 조절 중심공(158)과, 상기 제1 각도 조절 중심공(158)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160)이 포함된다.
상기 제1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160)은 위에서 아래로 제1 각도 조절 상부공(162), 제1 각도 조절 중부공(164) 및, 제1 각도 조절 하부공(166)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에서 상기 제1 각도 조절 중심공(158)과 상기 제1 각도 조절 중부공(164)은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에는 상기 제1 각도 조절 중심공(158)과 연통되는 제1 각도 조절 로드 중심공(170)과,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중심공(170)에서 상기 제1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160)과 연통되는 위치로 이격되어 제1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172)이 형성된다.
상기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에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을 위치시킨 후에 상기 제1 각도 조절 중심공(158)과 제1 각도 조절 로드 중심공(170)을 연통되게 위치시킨 후에 볼트 결합하고,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172)을 제1 각도 조절 중부공(164)에 위치시키고 볼트 결합하면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과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이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172)을 제1 각도 조절 상부공(162)에 위치시키고 볼트 결합하면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을 기준으로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172)을 제1 각도 조절 하부공(166)에 위치시키고 볼트 결합하면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을 기준으로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암 프레임 부분(156a, 156b, 156c, 156d)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을 경사지도록 하여 송풍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상기 제1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174)은 상기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168)에 용접 등으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었고, 제1 구동부(18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제1 구동부(180)가 안정적으로 제1 프로펠러부(182)를 작동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제1 프로펠러부(182)는 도 2의 (a)와 같이 2날개 프로펠러(184)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2의 (b)와 같이 3날개 프로펠러(185)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2의 (c)와 같이 4날개 프로펠러(186) 형태나, 도 2의 (d)와 같이 5날개 프로펠러(187)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실시례는 상기 기둥부(110)에 이격되어 고열의 바람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190)가 형성된다.
상기 온풍 공급부(190)는 온풍을 형성하는 온풍기 본체(192)와, 상기 온풍기 본체(192)에 연결되어 끝단이 상방으로 향하는 온풍 배출구(194) 및, 상기 온풍기 본체(192)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풍 제어부(196)를 포함한다.
상기 온풍 공급부(190)는 상기 온풍 제어부(196)에서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여 서리가 발생될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되면 상기 온풍기 본체(192)를 작동하여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례(100)에 따르면 상기 온풍 공급부(190)에서 온풍이 공급되어 상승하면 기둥부(110)에 의해 지상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제1 구동부(180)에 의해 제1 프로펠러부(182)가 작동되어 상승하는 온풍을 주위에 넓게 공급하여 농작물에 서리가 내리지 않도록 작용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5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실시례(200)는 구조물의 천정(201)에 설치되는 경우이고, 천정(201)에 연결되는 기둥부(210)와, 상기 기둥부(210)에 결합되는 기둥 결합 브래킷(220)과, 상기 기둥 결합 브래킷(220)에 연결되는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과, 상기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과 각도 조절되도록 연결되는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과, 상기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260)과, 상기 제2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26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 구동부(270)와, 상기 제2 구동부(270)에 의해 작동되는 제2 프로펠러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부(210)는 기둥 형상으로 상부가 천정(201)에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기둥 결합 브래킷(220)과 볼트 결합되어 기둥 결합 브래킷(220)을 지지한다.
상기 기둥 결합 브래킷(220)은 상기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과 볼트 결합되어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을 지지한다.
상기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은 양측벽과 상기 양측벽 사이의 하부가 연결된 구조이며, 상기 양측벽에는 제2 각도 조절 중심공(232)과, 상기 제2 각도 조절 중심공(232)에서 이격되어 제2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2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234)은 제2 각도 조절 상부공(236)과 제2 각도 조절 중부공(238) 및 제2 각도 조절 하부공(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각도 조절 중심공(232)과 제2 각도 조절 중부공(238)은 같은 높이이고, 상기 제2 각도 조절 상부공(236)은 제2 각도 조절 중부공(238)보다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각도 조절 하부공(240)은 제2 각도 조절 중부공(238)보다 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은 상기 양측벽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각도 조절 중심공(232)에 연통되는 제2 각도 조절 로드 중심공(2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234)에 연통되는 제2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25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각도 조절 중심공(232)과 제2 각도 조절 로드 중심공(252)이 볼트 결합이 되고, 상기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의 제2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254)이 제2 각도 조절 상부공(236)과 제2 각도 조절 중부공(238) 및 제2 각도 조절 하부공(240) 중 어느 한 곳에 연통되도록 위치된 후에 볼트 결합되면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에서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제2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254)이 제2 각도 조절 중부공(238)과 연통되도록 위치되어 볼트 결합되면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에서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의 위치가 수평이 되며, 제2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254)이 제2 각도 조절 상부공(236)과 연통되도록 위치되어 볼트 결합되면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에서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의 위치가 상방을 향하게 되고, 제2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254)이 제2 각도 조절 하부공(240)과 연통되도록 위치되어 볼트 결합되면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에서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의 위치가 하방을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례(200)에 따르면 천정(201)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제2 각도 조절 프레임(230)과 제2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250) 사이에 각도 조절 구조가 마련되어 제2 프로펠러부(280)의 작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아래 제1 변형례 내지 제4 변형례는 상기 제1 실시례 및 제2 실시례와 나머지 부분은 동일하고 프로펠러부 근방에 열공급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바,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변형례(300)는 제3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310)과, 상기 제3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310)에 의해 지지되는 제3 구동부(320)와, 상기 제3 구동부(320)에 의해 구동되는 제3 프로펠러부(330) 및 상기 제3 프로펠러부(330)의 후방에 형성되는 열판형 열공급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310)에는 상기 열판형 열공급부(340)를 지지하는 열판 지지 프레임부분(312)이 형성된다.
상기 열판형 열공급부(340)는 상기 제3 프로펠러부(330)가 위치된 방향으로 오목만곡지게 형성된 열판부(342)와, 상기 열판부(342)에 전기를 공급하는 열판 전선(344)을 포함한다.
상기 열판부(342)는 적외선 히터 방식 또는 할로겐 히터 방식 등으로 발열하여 상기 제3 프로펠러부(330)로 가열된 공기를 전달한다.
상기 제3 프로펠러부(330)는 바로 뒤에서 전달되는 상기 열판부(342)의 가열 공기를 농작물이나 가축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농작물의 서리 피해를 방지하거나 가축에게 난방을 공급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1 변형례(300)에 따르면 제3 프로펠러부(330)의 후방에 열판형 열공급부(340)를 형성하여 직접 근거리에서 제3 프로펠러부(330)에 열을 전달할 수 있어 열손실이 감소되며 열공급과 송풍 구조를 하나의 장비에 구축하여 컴팩트화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2 변형례(400)는 제4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410)과, 상기 제4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410)에 의해 지지되는 제4 구동부(420)와, 상기 제4 구동부(420)에 의해 작동되는 제4 프로펠러부(430) 및, 상기 제4 프로펠러부(430)의 전방에 형성되는 고리형 열공급부(650)를 포함한다.
상기 제4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410)에는 상기 고리형 열공급부(650)를 지지하는 열공급 지지 프레임부분(412)이 형성된다.
상기 고리형 열공급부(650)는 상기 제4 프로펠러부(430)의 전방 둘레에 제4 프로펠러부(430)의 회전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고리관 형상의 열공급 하우징(442)과, 상기 열공급 하우징(442)의 내부 전체에 설치된 발열선(444)과, 상기 발열선(444)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선 온도조절부(446) 및, 상기 열공급 하우징(442)의 외부 둘레 중 내측 둘레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선형 노즐부(448)를 포함한다.
상기 열공급 하우징(442)에서는 상기 발열선(444)이 내부 공기를 가열시킨다.
상기 발열선(444)은 니크롬 선 등으로 형성되어 전기가 공급되면 발열되며 주위의 공기를 가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열선 온도조절부(446)는 상기 발열선(444)에 공급되는 전기를 조절하여 발열선(444)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나선형 노즐부(448)는 열공급 하우징(442)의 내측 둘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발열선(444)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열공급 하우징(442)의 내측 둘레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3 변형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3 변형례(500)는 제5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510)과, 상기 제5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510)에 의해 지지되는 제5 구동부(520)와, 상기 제5 구동부(520)에 의해 구동되는 제5 프로펠러부(530) 및, 상기 제5 프로펠러부(530)의 전방에 형성되는 원통형 열공급부(660)를 포함한다.
상기 제5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510)에는 상기 원통형 열공급부(660)를 지지하는 원통 지지 프레임부분(512)이 형성된다.
상기 원통형 열공급부(66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열공급 원통 하우징(542)과, 상기 열공급 원통 하우징(542)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매체(544)와, 상기 열매체(544)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매체 온도 조절부(546) 및, 상기 열공급 원통 하우징(542)의 외부 둘레 중 내측 둘레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열전도 핀(548)을 포함한다.
상기 열공급 원통 하우징(542)은 외부 둘레의 내측 직경이 상기 제5 프로펠러부(530)의 회전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열매체(544)가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공급 원통 하우징(54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5 프로펠러부(530)에서 발생시키는 풍력을 원거리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열매체(544)는 섭씨 영하 20도 내지 영상 320도 정도까지 온도 변화가 가능한 "Therm 1350"과 같은 제품의 열매체(544)를 사용하고, 여름철 냉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온으로 사용하고 봄철에 서리 방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온으로 사용한다.
상기 열매체 온도 조절부(546)는 열매체(544)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작용을 하며, 섭씨 영하 20도 내지 영상 320도 정도까지 온도 조절된다.
상기 열전도 핀(548)은 상기 열매체(544)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열공급 원통 하우징(542)의 외부 둘레 내측에 위치된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3 변형례(500)에 따르면 열매체(544)를 이용하여 냉방과 난방을 모두 공급할 수 있어 여름철 축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냉방용으로 사용하고, 봄철 농작물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서리 방지용으로 사용되며, 겨울철 축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난방용으로 사용되어 다기능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4 변형례에서 원통형 열공급부가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4 변형례에서 원통형 열공급부가 적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4 변형례(600)는 상기 제1 변형례(300) 내지 제3 변형례(500)의 주요 특징부가 모두 결합된 형태이다.
본 발명인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의 제4 변형례(600)는 제6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610)과, 상기 제6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610)에 의해 지지되는 제6 구동부(620)와, 상기 제6 구동부(620)에 의해 구동되는 제6 프로펠러부(630)와, 상기 제6 프로펠러부(630)의 후방에 위치되는 열판형 열공급부(640)과, 상기 제6 프로펠러부(630)의 전방에 위치되는 고리형 열공급부(650)와, 상기 고리형 열공급부(650)의 전방에 위치되는 원통형 열공급부(660) 및, 상기 원통형 열공급부(660)를 회전시키는 원통 회전부(670)를 포함한다.
상기 제6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610)에는 상기 열판형 열공급부(64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부분(612)과, 상기 고리형 열공급부(650)와 원통형 열공급부(660)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 프레임부분(614)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 회전부(670)는 상기 제2 지지 프레임부분(614) 중 고리형 열공급부(650)와 원통형 열공급부(660)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 회전 수동기어인 원통 회전 수동부재(672)와, 상기 원통 회전 수동부재(672)에 치합되도록 형성되는 원통 회전 능동기어인 원통 회전 능동부재(674) 및, 상기 원통 회전 능동부재(674)를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원통 회전 구동부(676)를 포함한다.
도 9의 (a)와 같이 열판형 열공급부(640), 제6 프로펠러부(630), 고리형 열공급부(650) 및 원통형 열공급부(660) 순서로 위치된 경우에는 제6 프로펠러부(630)가 작동되면서 상기 열판형 열공급부(640), 고리형 열공급부(650) 및 원통형 열공급부(66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작동될 수 있다.
서리 방지를 위해서 열판형 열공급부(640), 고리형 열공급부(650) 및 원통형 열공급부(66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작동될 수 있고, 냉방을 위해서 열판형 열공급부(640)와 고리형 열공급부(650)는 작동되지 않고 원통형 열공급부(660)가 낮은 온도로 조절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열공급부(66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6 프로펠러부(630)의 바람이 먼거리로 전달된다.
도 9의 (a)의 상태에서 상기 원통 회전 구동부(676)가 작동되어 상기 원통 회전 능동부재(674)가 원통 회전 수동부재(672)를 회전시키면 도 9의 (b)와 같이 원통형 열공급부(660)가 하방으로 180도 회전된다.
도 9의 (b)와 같은 상태에서는 열판형 열공급부(640), 제6 프로펠러부(630) 및 고리형 열공급부(650)가 순차적으로 위치되며, 원통형 열공급부(660)가 배제되어 바람이 근거리부터 장거리까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열판형 열공급부(640)와 고리형 열공급부(650) 중 일부만 작동시키거나 모두 작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 맞춤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110: 기둥부 112: 상부 기둥
116: 하부 기둥 120: 기둥 연결부
134: 지면 지지부 150: 상부 지지부
152: 상부 지지 상판 156a, 156b, 156c, 156d: 암 프레임 부분
158: 제1 각도 조절 중심공 160: 제1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
162: 제1 각도 조절 상부공 164: 제1 각도 조절 중부공
166: 제1 각도 조절 하부공 168: 제1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
174: 제1 구동 지지 프레임부분 180: 제1 구동부
182: 제1 프로펠러부 190: 온풍 공급부

Claims (6)

  1.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복수개의 각도 조절 부분이 포함된 각도 조절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각도 조절 부분 중 하나에 연결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기둥과,
    상기 상부 기둥의 하방에 형성되는 하부 기둥 및,
    상기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둥 연결부는
    기둥 일측연결부분과,
    상기 기둥 일측연결부분과 대향되는 기둥 타측연결부분 및,
    상기 기둥 일측연결부분과 기둥 타측연결부분을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둥 중 지면과 접하는 부분에 하부 기둥을 지지하기 위해서 플랜지 형상인 지면 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에는
    각도 조절 중심공과,
    상기 각도 조절 중심공에서 이격되며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멍으로 형성된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로드 프레임에는
    상기 각도 조절 중심공과 연통되는 각도 조절 로드 중심공과,
    상기 각도 조절 세부공 부분과 연통되는 각도 조절 로드 세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KR1020210149961A 2021-11-03 2021-11-03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KR20230064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961A KR20230064409A (ko) 2021-11-03 2021-11-03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961A KR20230064409A (ko) 2021-11-03 2021-11-03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409A true KR20230064409A (ko) 2023-05-10

Family

ID=8638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961A KR20230064409A (ko) 2021-11-03 2021-11-03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4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34B1 (ko) 2020-07-14 2020-11-19 장금배 냉해 및 서리 방지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34B1 (ko) 2020-07-14 2020-11-19 장금배 냉해 및 서리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0090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2031957B2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2116302A (zh) 具有热风吹出功能的全向电风扇
JP2006325516A (ja) 温室設備
KR20230064409A (ko) 서리 방지용 송풍 장치
KR200263476Y1 (ko) 농축산물 하우스용 냉난방 공기 조화 장치
JP4438947B2 (ja) 多頭式(多頭方式:数基)の高所式防霜ファンを利用した防霜装置と、その防霜方法
US1357314A (en) Process of preventing frost or heat injury in orchards, &c.
GB24513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Frost and Fog
KR101079259B1 (ko) 식물 재배용 온도 및 습도 조절장치
JP2007312714A (ja) ハウスの空調装置
KR200452294Y1 (ko)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JPH0726925Y2 (ja) 小型温室装置
JP2006158378A (ja) 熱蒸気利用栽培装置
KR102120707B1 (ko) 과수의 저온피해 방지용 장파장 원적외선 방사식 가열장치
KR102674485B1 (ko) 자가 주행형 냉해 방지장치
KR102107754B1 (ko) 자동 과열 차단형 열풍기
TWM616796U (zh) 除霜設備
KR101911508B1 (ko) 온실용 온수 배관에 장착되는 방열 유닛
KR200145301Y1 (ko) 온실냉방용 멀티포그장치
KR20230106981A (ko) 자가 주행형 냉해 방지장치
KR200457591Y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가습식 온풍장치
GB2329240A (en) Cooling and humidification systems
KR20150056967A (ko) 작물체 생장점 및 수확부 추종형 국소냉난방 장치
JPH0522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