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294Y1 -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294Y1
KR200452294Y1 KR2020080013937U KR20080013937U KR200452294Y1 KR 200452294 Y1 KR200452294 Y1 KR 200452294Y1 KR 2020080013937 U KR2020080013937 U KR 2020080013937U KR 20080013937 U KR20080013937 U KR 20080013937U KR 200452294 Y1 KR200452294 Y1 KR 200452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dlamp
heat
heating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375U (ko
Inventor
이 백
강금춘
조명환
이시영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2020080013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9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야간에도 낮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전조등과, 열을 발생시켜 비닐하우스내부를 난방시키기 위한 탄소히터발열체를 분리가 가능한 착탈형으로 구성하므로써 전조에 의한 작물의 출하 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 재배시 난방을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원예용 전조겸용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물에 열량을 공급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에 연결되어 작물에 빛을 공급하는 전조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파이프에 설치되기 위한 파스너(1)가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빔(12)과, 상기 메인빔(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부(2)와, 상기 길이조절부(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고정가능한 연결브라켓(29)를 가지는 연결암(30)을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방열기, 전조, 난방, 전조등, 탄소발열체

Description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Combined lightening and heating device for gardening}
본 고안은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야간에도 낮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전조등과, 열을 발생시켜 비닐하우스내부를 난방시키기 위한 탄소히터발열체를 분리가 가능한 착탈형으로 구성하므로써 전조에 의한 작물의 출하 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 재배시 난방을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원예용 전조겸용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설원예는 채소, 화훼 등의 시설작물을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히, 날씨가 추운 겨울재배에서는 작물이 자랄 수 있는 생육적온을 유지하기 위해 하우스 내부의 난방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를 난방하기 위해 석탄 및 경유를 이용한 온풍난방기가 대부분 사용되었으며 이는 버너에 의해 가열된 연소열을 열교환기를 통하여 간접온풍을 비닐하우스 내부로 불어넣어 하우스 내부의 작물이 일정 온도조건 하에서 재배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난방장치는 온풍난방기와 연결된 송풍덕트를 하우스 내부 바닥의 이랑에 설치하여 온풍이 덕트를 통해 하우스 내부로 직접 공급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온풍난방기 가까운 부분은 고온으로 인하여 작물이 부분적으로 마르거나 식물성장에 장해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작물의 성장 및 상품성을 높이지 못하였다.
그리고, 고유가로 인하여 농가에서는 온풍난방기를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농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연료비 및 사용이 간편한 방법으로 농업용 전기를 이용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전기 히터 및 전기열선을 설치하여 비닐하우스 내부를 난방시켜 겨울철 시설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1999-0036538호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전열 방열기"에서는 전기히터가 내장된 전열 방열기를 구성하여 농업용 비닐하우스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길이의 동파이프 내부에 전기히터를 내장하여 동파이프를 직열 및 병열로 여려줄로 연결하여 일정한 높이의 발열판을 배열하여 고정하고 이 발열판의 선단이 밀봉되도록 고착하여서 일체로 구성된 농업용 비닐하우스의 전열방열기를 제안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284973호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배드가 구비되며 배드의 상부에는 일정폭 마다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가열수단이 구비된, "비닐하우스의 보온장치"로서 이들 가열수단의 상부에는 가열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배드의 재배작물 쪽으로 송풍하는 송풍덕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송풍덕트는 그 일측단에 송풍기가 구비되며 비닐하우스내의 공기 또는 외부공기를 송풍덕트 내부로 불어넣어 공기가 각 전기가열에 의한 더운 공기를 비닐하우스 내를 순환하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기 히터 또는 원적외선 히터를 적용하므로써 온풍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유지비용을 낮추면서 효과적으로 비닐하우스 내부를 난방시켜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외부기온이 낮더라도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시설작물의 재배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농작물에는 적합하지만, 원예작물은 난방 뿐만 아니라 빛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좀 더 상술하면, 야채와 같은 농작물은 난방에 의해서만 작물의 생육을 관리하여 출하할 수 있는 것에 반하여, 원예작물은 달리 출하시기를 상당히 민감하게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국화와 같은 원예작물은 출하시기를 늦추기 위해 빛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출하시점이 다가왔을 때 히터를 사용하여 집중적으로 난방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와 같은 원예작물을 고려해 제공되는 방열기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작물의 개화시기를 조절하기 위해 야간에도 낮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전조등과 열을 발생시켜 비닐하우스를 난방시키기 위한 히터를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고 착탈형으로 구성하므로써 야간에 전조등을 작물에 비춰 작물의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 재배시 효율적으로 난방을 이용 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물에 열량을 공급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에 연결되어 작물에 빛을 공급하는 전조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파이프에 설치되기 위한 파스너(1)가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빔(12)과, 상기 메인빔(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부(2)와, 상기 길이조절부(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고정가능한 연결브라켓(29)를 가지는 연결암(30)을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이다.
상기 히터부는 빛을 발하는 히터발열체(10)과, 상기 히터발열체(10)이 장착되는 히터단자(21)와, 상기 히터단자(21)가 고정되고 상기 히터발열체(10)의 열을 반사시키는 히터반사판(23)과, 상기 히터반사판(23)을 감싸면서 상기 히터발열체(10)에서 발생되어 상기 히터반사판(23) 후측으로 방사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히터방열프레임(27)을 포함하고, 상기 전조부는 빛을 발하는 전조등(11)과, 상기 전조등(11)이 장착되는 전조단자(22)와, 상기 전조단자(22)가 고정되고 상기 전조등(11)의 빛을 반사시키는 전조반사판(24)과, 상기 전조반사판(24)을 감싸면서 상기 전조등(1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전조방열프레임(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히터부와 상기 전조부는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과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 중 일방에 형성된 결합돌기(48)와, 타당에 형성된 결합홀(50)에 의해 상호 비틀림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과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 중 일방에 그 단부의 주위로 결합후크(4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조등(11)은 상기 전조단자(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조단자(22)는 전조스위치(8)와 전조제어부(7)에 연결되어 상기 전조스위치(8) 및 상기 전조제어부(7)에 의해 광원의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가 조절되고, 상기 히터발열체(10)은 상기 히터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히터단자(21)는 히터스위치(9)와 히터제어부(6)에 연결되어 상기 히터스위치(9) 및 상기 히터제어부(6)에 의해 광원의 발열시간 및 발열강도가 조절되며, 상기 히터제어부(6)와 상기 전조제어부(7)는 전력공급원과 연결된 전원분배기(3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원분배기(31)는 고장인식시스템(32)과 연결되고, 상기 고장인식 시스템(32)은 상기 전원분배기(31)로부터 고장이 감지되면 미리 저장된 유선전화 또는 휴대전화로 고장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의 개구부와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의 개구부에는 각각 전조등보호부재(20)와 히터보호부재(1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메인빔(12)에는 상기 길이조절부(2)의 고정을 위한 이송고정홀(17)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2)는 상기 메인빔(12)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길이조절부(2)에는 고정부재(41)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고정홀(17)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길이조절부(2)의 일측에는 형성된 회전중심돌기(52)와 상기 회전중심돌기(52)에서 이격되는 각도조절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암(30)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중심돌기(52)에 대응하는 회전중심홀(46)과 상기 각도조절돌기(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홀(47)이 형성된 회전판(4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예용 전조겸용난방장치에 의하면, 야간에도 낮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전조등과 열을 방사하여 비닐하우스를 난방시키기 위한 히터발열체를 일체형으로 형성하므로써 야간에 전조등을 작물에 비춰 작물의 출하 시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작물 재배시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고, 비교적 간 단한 구조로 인해 설치 및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도시한 전조등(11) 및 히터발열체(10)의 구조 등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사시도이고, 상기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방열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고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블럭도이다.
상기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는 크게, 길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고정부와, 전조 및 난방이 가능한 본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는 비닐하우스(미도시)의 뼈대를 이루는 파이프(미도시)에 설치되기 위한 파스너(1)가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빔(12)과, 상기 메인빔(12)에 슬라이 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부(2)와, 상기 길이조절부(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고정가능한 연결브라켓(29)를 가지는 연결암(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빔(12)에는 상기 길이조절부(2)의 고정을 위한 이송고정홀(17)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파스너(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젖혀 고정하는 후크구조를 이루는 공지의 파스너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스너(1)로 고정볼트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길이조절부(2)는 상기 메인빔(12)을 외측으로 감싸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길이조절부(2)에는 나비볼트와 같은 고정부재(41)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빔(12)의 이송고정홀(17)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된다.
상기 연결암(30)은 상기 길이조절부(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암(30)과 상기 길이조절부(2) 사이의 각도조절은 상기 길이조절부(2)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중심돌기(52)와, 상기 회전중심돌기(52)에서 이격되어 상기 길이조절부(2)의 일측에 형성되는 각도조절돌기(51)와, 상기 연결암(3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돌기(52)에 대응하는 회전중심홀(46)과 상기 각도조절돌기(51)에 대응하는 각도조절홀(47)을 가지는 회전판(45)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홀(47)은 상기 회전중심돌기(5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판(45)이 회전할 때 상기 회전중심돌기(52)와 각도조절돌기(51) 사이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 상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돌기(51)를 상기 각도조절홀(47)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부(2)와 상기 연결암(30) 사이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9)은 상기 연결암(30)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와 결합을 위해 볼트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는 전조부와 히터부의 결합으로 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히터부의 길이가 전조부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브라켓(29)은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히터부와 결합된다.
상기 전조부는 빛을 발하는 전조등(11)과, 상기 전조등(11)이 장착되는 전조단자(22)와, 상기 전조단자(22)가 고정되고 상기 전조등(11)의 빛을 반사시키는 전조반사판(24)과, 상기 전조반사판(24)을 감싸면서 상기 전조등(1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전조방열프레임(28)을 포함한다.
상기 전조반사판(24)은 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빛의 반사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도 상기 전조반사판(24)을 감싸기 위해 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방열을 위하여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된다.
상기 전조단자(22)는 전조제어부(7) 및 전조스위치(8)와 접속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도 빛을 비추어 작물의 일조량을 제어하여 작물의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조등(11)은 전력소모가 적으며, 백열등에 비해 효율이 큰 LED등을 사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LED등은 고휘도로서 작물의 일장을 조절하는데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 상기 전조제어부(7)는 전조전원케이블(15)을 통해 전원분배기(31)와 연결된다. 상기 전원분배기(31)는 도시되지 않은 전력공급원으로부터의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전조부 및 상기 히터부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전조반사판(24)은 전조반사판지지대(26)에 의해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의 전방의 개구부에는 전조등보호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전조등보호부재(20)는 망상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의 일측에는 커버(5)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5)상에 상기 전조스위치(8)가 배치된다.
상기 전조스위치(8)는 상기 커버(5)가 아닌 다른 부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히터부는 빛을 발하는 히터발열체(10)과, 상기 히터발열체(10)이 장착되는 히터단자(21)와, 상기 히터단자(21)가 고정되고 상기 히터발열체(10)의 열을 반사시키는 히터반사판(23)과, 상기 히터반사판(23)을 감싸면서 상기 히터발열체(10)에서 발생되어 상기 히터반사판(23) 후측으로 방사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히터방열프레임(27)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반사판(23)은 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열의 반사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도 상기 히터반사판(23)을 감싸 기 위해 단면이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방열을 위하여 다수의 방열홀이 형성된다.
상기 히터단자(21)는 히터제어부(6) 및 히터스위치(9)와 접속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열을 공급하여 작물의 생육조건에 맞는 온도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히터방열체(10)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탄소발열체를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원적외선은 전자파장이 5.6 ~ 1,000미크론대를 말하는 것으로서 물질 내부로 깊숙이 도달하여 흡수되며, 물질 고유의 파장과 공명, 공진하여 활성화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원적외선이 방사되면 중간에 열매체가 필요없고 열원에서 직접 전자파가 방사되고 그것이 상대물체 즉 작물에 닿아 다시 열이 되는 방식의 열전달 경로를 갖기 때문에 직접적이고 순간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져 열효율이 대단히 좋기 때문이다.
상기 히터반사판(23)은 히터반사판지지대(25)에 의해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의 전방의 개구부에는 히터보호부재(19)가 설치되며, 상기 히터보호부재(19)는 망상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의 일측에는 커버(4)가 장착되며, 상기 커버(4)상에 상기 히터스위치(9)가 배치된다.
상기 히터스위치(9)는 상기 커버(4)가 아닌 다른 부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조부와 상기 히터부의 연결은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과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이 서로 맞닿는 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에 형성된 결합돌기(48)와,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에 형성된 결합홀(50)로 이루어지며, 보조적으로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의 외주측에 결합후크(49)를 설치하여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48)와 상기 결합홀(50)에 의해 상기 전조부와 상기 히터부는 서로 상대적으로 각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결합돌기(48)가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50)이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후크(49)가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분배기(31)는 상기 메인빔(12) 또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원과 연결되어 상기 전조제어부(6) 및 상기 히터제어부(7)를 지나 상기 전조등(11)과 상기 히터발열체(10)로 전원을 분배한다.
그리고, 상기 전조부 또는 상기 히터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원분배기(31)가 고장인식시스템(32)에 연결된다.
즉, 누전 또는 전류가 단락된 경우에 상기 고장인식시스템(32)은 이를 감지하여, 미리 번호가 입력되어 있는 유선전화(33) 또는 휴대폰(34,35)로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고장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 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방열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의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스너 2 : 길이조절부
4,5: 커버 6: 히터제어부
7: 전조제어부 8: 전조스위치
9: 히터스위치 10: 히터발열체
11: 전조등 12: 메인빔
15: 전조전원케이블 16: 히터전원케이블
17: 이송고정홀 19: 히터보호부재
20: 전조등보호부재 21: 히터단자
22 : 전조단자 23: 히터반사판
24 : 전조반사판 25: 히터반사판지지대
26 : 전조반사판지지대 27: 히터방열프레임
28 : 전조방열프레임 29: 연결브라켓
30: 연결암 31: 전원분배기
32: 고장인식시스템 33: 유선전화
34,35: 휴대전화 41: 고정부재
45: 회전판 46: 회전중심홀
47: 각도조절홀 48: 결합돌기
49: 결합후크 50: 결합홀
51: 각도조절돌기 52: 회전중심돌기

Claims (9)

  1. 작물에 열량을 공급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에 연결되어 작물에 빛을 공급하는 전조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비닐하우스를 지지하는 파이프에 설치되기 위한 파스너(1)가 일측에 설치되는 메인빔(12)과, 상기 메인빔(1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길이조절부(2)와, 상기 길이조절부(2)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연장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고정가능한 연결브라켓(29)를 가지는 연결암(30)을 가지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빛을 발하는 히터발열체(10)과, 상기 히터발열체(10)이 장착되는 히터단자(21)와, 상기 히터단자(21)가 고정되고 상기 히터발열체(10)의 열을 반사시키는 히터반사판(23)과, 상기 히터반사판(23)을 감싸면서 상기 히터발열체(10)에서 발생되어 상기 히터반사판(23) 후측으로 방사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히터방열프레임(27)을 포함하고,
    상기 전조부는 빛을 발하는 전조등(11)과, 상기 전조등(11)이 장착되는 전조단자(22)와, 상기 전조단자(22)가 고정되고 상기 전조등(11)의 빛을 반사시키는 전조반사판(24)과, 상기 전조반사판(24)을 감싸면서 상기 전조등(1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전조방열프레임(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와 상기 전조부는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과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 중 일방에 형성된 결합돌기(48)와, 타당에 형성된 결합홀(50)에 의해 상호 비틀림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과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 중 일방에 그 단부의 주위로 결합후크(4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등(11)은 상기 전조단자(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조단자(22)는 전조스위치(8)와 전조제어부(7)에 연결되어 상기 전조스위치(8) 및 상기 전조제어부(7)에 의해 광원의 조사시간 및 조사강도가 조절되고, 상기 히터발열체(10)은 상기 히터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히터단자(21)는 히터스위치(9)와 히터제어부(6)에 연결되어 상기 히터스위치(9) 및 상기 히터제어부(6)에 의해 광원의 발열시간 및 발열강도가 조절되며,
    상기 히터제어부(6)와 상기 전조제어부(7)는 전력공급원과 연결된 전원분배기(3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기(31)는 고장인식시스템(32)과 연결되고, 상기 고장인식시스템(32)은 상기 전원분배기(31)로부터 고장이 감지되면 미리 저장된 유선전화 또는 휴대전화로 고장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방열프레임(28)의 개구부와 상기 히터방열프레임(27)의 개구부에는 각각 전조등보호부재(20)와 히터보호부재(1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빔(12)에는 상기 길이조절부(2)의 고정을 위한 이송고정홀(17)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2)는 상기 메인빔(12)과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길이조절부(2)에는 고정부재(41)가 장착되어 상기 이송고정홀(17)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2)의 일측에는 형성된 회전중심돌기(52)와 상기 회전중심돌기(52)에서 이격되는 각도조절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암(30)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중심돌기(52)에 대응하는 회전중심홀(46)과 상기 각도조절돌기(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복수의 각도조절홀(47)이 형성된 회전판(4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KR2020080013937U 2008-10-20 2008-10-20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KR200452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37U KR200452294Y1 (ko) 2008-10-20 2008-10-20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37U KR200452294Y1 (ko) 2008-10-20 2008-10-20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75U KR20100004375U (ko) 2010-04-29
KR200452294Y1 true KR200452294Y1 (ko) 2011-02-22

Family

ID=44198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937U KR200452294Y1 (ko) 2008-10-20 2008-10-20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811B1 (ko) * 2016-10-07 2019-03-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 온도 조절장치
KR101925126B1 (ko) * 2018-01-19 2019-02-22 김도형 히터형 발열체가 구비된 광 방사 차단형 열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119A (ja) 1984-11-14 1986-06-06 松下電工株式会社 草花育成用家具
JPH0244956U (ko) * 1988-09-14 1990-03-28
JP2003079254A (ja) 2001-07-05 2003-03-18 Ccs Inc 植物育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システム
KR20090083079A (ko) * 2008-01-29 2009-08-03 주식회사 지씨남원 시설하우스의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9119A (ja) 1984-11-14 1986-06-06 松下電工株式会社 草花育成用家具
JPH0244956U (ko) * 1988-09-14 1990-03-28
JP2003079254A (ja) 2001-07-05 2003-03-18 Ccs Inc 植物育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システム
KR20090083079A (ko) * 2008-01-29 2009-08-03 주식회사 지씨남원 시설하우스의 난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75U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1623B2 (ja) 光照射装置、イチゴ栽培システムおよびイチゴ栽培方法
US20100316495A1 (en) Lighting and Heating Assembly for a Ceiling Fan
KR101624929B1 (ko) 생육광선용 led 조명 시스템
KR101451911B1 (ko) 줄기식물 재배용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KR200452294Y1 (ko) 원예용 전조 겸용 난방장치
JP4645530B2 (ja) 照明装置及び補光照明システム
KR20100006768A (ko)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KR101011270B1 (ko) 에어 히터를 이용한 시설재배 하우스 및 축사용 온풍기
KR101490861B1 (ko) 축사 및 식물 재배용 싸이클론 송풍 히터
US20220346327A1 (en) Plant enclosure with vertically distributed light sources
KR200263476Y1 (ko) 농축산물 하우스용 냉난방 공기 조화 장치
KR100717579B1 (ko) 보온커버의 발열장치
US20120239119A1 (en) Infant warmer apparatus and method
CN213089733U (zh) 一种led射灯植物培养箱补光系统
JP2005204565A (ja) 植物・種苗育成用暖房システム、植物・種苗育成方法、植物・種苗育成用テーブル及び該植物・種苗育成用テーブルの製造方法
KR20230026032A (ko) 온실 내 광원 보충용 보광 시스템
KR20090083079A (ko) 시설하우스의 난방장치
KR200186488Y1 (ko) 비닐하우스의 보온장치
US11564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animals
KR101791254B1 (ko) 폐열을 이용한 시설원예하우스용 난방시스템
KR20000055419A (ko) 비닐하우스의 보온장치.
US20230100956A1 (en) Illumination Device for Providing Optimum Growing Conditions
CN213983138U (zh) 一种新型可自动调节光强的灯具
KR200277347Y1 (ko) 농축산용 난방기
KR200444394Y1 (ko) 농작물 재배용 온풍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