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376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376A
KR20230064376A KR1020210149891A KR20210149891A KR20230064376A KR 20230064376 A KR20230064376 A KR 20230064376A KR 1020210149891 A KR1020210149891 A KR 1020210149891A KR 20210149891 A KR20210149891 A KR 20210149891A KR 20230064376 A KR20230064376 A KR 20230064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erosol generat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317B1 (ko
Inventor
조병성
이원경
이창훈
홍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14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3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 1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1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 및 제 2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2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2 카트리지 각각을 교체 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삽입된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및 무화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을 카트리지 식별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카트리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또는 액체 저장부(예를 들어,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생성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마다 원하는 에어로졸의 향미, 에어로졸의 무화량 등이 다르지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에어로졸의 타입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에어로졸의 향미, 에어로졸의 무화량 등의 다양한 옵션들을 간편한 조작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채용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 1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1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 제 2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2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2 카트리지;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각각을 교체 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섹션들;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및 무화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하는 카트리지 식별 센서; 및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는, 제 1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1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 및 제 2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2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2 카트리지 각각을 교체 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및 무화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을 카트리지 식별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다양한 향미들과 다양한 무화 방식들로 제작된 여러 타입의 카트리지들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타입의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카트리지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그에 최적화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제어 조건을 실행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의 취향의 폭을 넓힘과 동시에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카트리지의 교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들의 카트리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삽입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별로 적용되는 온도 프로파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로졸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및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선택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120), 무화부(140),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메모리(15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20)는 무화부(14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메모리(150) 및 제어부(11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2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화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무화부(140)는 배터리(1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무화/가열을 수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은 기체 중에 액체 및/또는 고체 미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부유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화기(120)로부터 생성되는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무화부(140)는 액체 및/또는 고체 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미세 입자화하여 방출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무화부(1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경우, 무화부(140)는 카트리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무화부(140)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무화부(140)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복수의 카트리지들의 장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 무화부(140)는 각각의 카트리지에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카트리지에 전력이 독립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무화부(140)는 카트리지마다 다양한 타입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가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식인 경우, 무화부(140)는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된 히터(예를 들어, 코일 히터)와 액체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화부(140)는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무화부(140)가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된 히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화부(140)의 히터는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등과 같은 전기 저항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무화부(140)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의 가열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무화부(140)의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심지(wick)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화부(140)의 액체 전달 수단은 카트리지의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이송하고, 무화부(140)의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무화부(140)의 히터는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의 코일 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무화부(140)는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무화부(140)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액체 전달 수단과,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진동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는 짧은 주기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진동은 초음파 진동일 수 있으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는 예를 들어 100kHz 내지 3.5 MHz일 수 있다. 진동자로부터 생성된 짧은 주기의 진동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기화 및/또는 입자화되어 에어로졸로 무화될 수 있다. 진동자는 압전 소자,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자는 인가된 전기에 의해 진동(물리적인 힘)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작은 진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작은 입자로 쪼개어 에어로졸로 무화시킬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카트리지 내 액체 저장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진동 수용부로 전달하고, 진동 수용부는 진동자로부터 발생한 진동을 전달 받아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화부(140)는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 없이, 진동 수용부가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으로도 구현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흡수 및 전달과 함께 진동의 수용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무화부(140)는 앞서 설명된 타입들 외에도, 유도 가열식 히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무화부(140)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화부(140)의 구현 형태는 어느 하나의 타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1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는 무화부(140)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 또는 카트리지 삽입 유/무 판단, 궐련 또는 카트리지 타입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무화부(14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무화부(14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무화부(140)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무화부(14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카트리지 식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결합된 카트리지의 타입, 예를 들어 카트리지 내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무화부 타입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에 대해서는 이하 해당 도면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6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50)는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 타입 별로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들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부(14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무화부(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무화부(14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무화부(14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무화부(140)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무화부(140)의 모드를 예열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무화부(140)의 모드를 예열모드에서 흡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무화부(140)에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10)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제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2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2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트리지들을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제어부(110), 배터리(120),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 제 1 카트리지(141) 및 제 2 카트리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대응하고, 도 2의 제어부(110) 및 배터리(120)는 도 1의 제어부(110) 및 배터리(120)에 대응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 가능한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은 일회용이거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의 일부분이 본체에 삽입되거나, 본체의 일부분이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에 삽입됨으로써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이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와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은 스냅-핏(snap-fit) 방식, 나사 결합 방식, 자력 결합 방식, 억지 끼워 맞춤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본체와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의 결합 방식은 이 밖에도 다양할 수 있다.
제 1 카트리지(141)는 제 1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1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하거나 가열하는 제 1 무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카트리지(142)는 제 2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2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하거나 가열하는 제 2 무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카트리지(141) 또는 제 2 카트리지(142)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니코틴을 포함하는 고체 재료이거나 액체 재료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담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과립형 담배, 각초형 담배, 재구성된 담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고체인 경우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액체인 경우에 비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였을 때 발생하는 증기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형성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형성제는 담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부스러짐 없이 정상적으로 제조되기 위하여 극소량 요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분사됨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pH 조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 조정제는 탄산칼륨(K2CO3),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수산화칼륨(KOH), 탄산나트륨(Na2CO3), 및 산화칼슘(Ca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pH 조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130℃ 이하로 가열되어도, 사용자에게 니코틴 및 담배 향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대한 pH 조정제의 함량은 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무화부(즉, 제 1 무화부 또는 제 2 무화부)에 의해 가열되므로, pH 조정제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이더라도, 사용자에게 충분한 니코틴 및 담배 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니코틴을 포함하는 액체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액체 재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1 카트리지(141) 또는 제 2 카트리지(142)에는 다양한 종류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 카트리지(141) 및 제 2 카트리지(142)는 같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원하는 종류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 카트리지를 제 1 카트리지(141) 또는 제 2 카트리지(142)로서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원하는 향미/풍미로 흡연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트리지(141) 또는 제 2 카트리지(142)는 가시적(visible)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나, 또는 비가시적(invisible)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카트리지에 가시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유연(smoke)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카트리지에 비가시적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무연(smokeless)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연 에어로졸은 가시적 증기(visible vapor), 무연 에어로졸은 비가시적 증기(invisible vapor)와 같이 다른 용어들로도 지칭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를 유연 모드로 사용하거나, 또는 무연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각각 내에 구비된 액체 저장부와 같은 수용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제 1 또는 2 카트리지들(141, 142)에 구비된 무화부는, 제어부(110)에 의해 배터리(12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음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하거나 가열할 수 있다.
제 1 또는 2 카트리지들(141, 142)에 구비된 무화부는 다양한 무화 방식들의 무화 수단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부는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된 히터(예를 들어, 코일 히터)와 액체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화부는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킴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진동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무화부는 메쉬(mesh) 히터, 유도가열 히터 등과 같이 다양한 타입의 가열 방식을 갖는 무화 수단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기류패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류패스 내로 유입된 공기는 제 1 카트리지(141) 또는 제 2 카트리지(142)를 통과하여 흐르면서, 제 1 카트리지(141) 또는 제 2 카트리지(142)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되어 마우스피스(20)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할 수 있고, 활성화된 카트리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카트리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메모리(150)로부터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독출할(read-out) 수 있다. 한편, 활성화된 카트리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제 1 및 2 카트리지들(141, 142)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는 도 1의 센서(130)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포함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새로운 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 카트리지에 구비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카트리지에 구비된 무화부의 타입 등과 같은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하는 센서이다. 제어부(110)는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에 의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따라, 새로운 카트리지에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새로운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새로운 카트리지의 무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카트리지의 교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제 1 섹션(31)에는 현재 제 1 카트리지(141)가 장착되어 있으나, 제 2 섹션(32)에는 어떠한 카트리지도 장착되지 않은 상황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3에서는 2개의 섹션들(31, 32)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3개 이상의 섹션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는 제 1 카트리지(141)와의 제 1 전기 접촉(301)을 통해 제 1 카트리지(141)에 대해 카트리지 타입을 이미 식별하였다. 하지만, 제 2 섹션(32)에는 카트리지가 없으므로, 제 2 전기 접촉(302) 상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트리지가 없는 상태이다.
새로운 카트리지(145)가 마련된 경우,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제 2 섹션(32) 상에 새로운 카트리지(145)를 삽입할 수 있다. 새로운 카트리지(145)가 제 2 섹션(32)에 장착된다면, 새로운 카트리지(145)는 제 2 전기 접촉(302)을 통해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는 새로 장착된 새로운 카트리지(145)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카트리지에 구비된 무화부의 타입 등과 같은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2 섹션(32)에서의 카트리지의 교체에 대해서만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제 1 섹션(31) 및 제 2 섹션(32) 모두에서는 교체 가능한(replaceable) 카트리지의 삽입 또는 제거가 가능하고, 카트리지 교체에 따라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는 제 1 섹션(31) 또는 제 2 섹션(32)에서의 카트리지 타입의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각형 단면의 카트리지 하우징 형상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카트리지 하우징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섹션의 형상,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형상 또한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들의 카트리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들과 다양한 타입들의 무화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트리지 a(410)는 액체 저장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 A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 A를 가열하기 위한 무화부로써 코일 히터와 액체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b(420)는 카트리지 a(410)와 유사하게, 가열을 위한 코일 히터와 액체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카트리지 b(420)는 액체 저장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 B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c(430)는 카트리지 a(410)와 유사하게, 액체 저장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 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카트리지 c(43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 A로부터 가열 방식이 아닌, 초음파 진동에 의한 무화 방식으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초음파 진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d(440)는 카트리지 c(430)와 유사하게, 초음파 진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카트리지 b(420)는 액체 저장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 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장착 가능한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과 무화 방식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구비된 복수의 섹션들(31, 32)에는 카트리지들이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어떠한 타입의 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지 식별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해당 카트리지로부터 최적의 조건 하에 생성된 에어로졸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에 따라 최적의 무화/가열 온도(즉, 온도 프로파일), 전력 제어 방식 등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새로운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를 이용하여 어떠한 타입의 카트리지가 장착되었는지를 식별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가 카트리지를 식별하는 방법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카트리지(510)가 삽입된 경우,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카트리지(510)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즉,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카트리지(510) 내 구비된 코일 히터(무화부)와 전기 회로망을 구성할(configure)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510)가 삽입된 경우, 삽입된 카트리지(510)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카트리지(510)에 포함된 코일 히터의 저항 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저항 값에 기초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카트리지(510)의 코일 히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온도-저항 상관관계를 갖는 부하에 해당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이와 같은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코일 히터의 저항을 검출함으로써 카트리지(510)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앞서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코일 히터가 구비된 카트리지라 할지라도 상이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코일 히터의 가열 조건도 상이할 수 있다. 코일 히터의 가열 조건이 상이하다는 것은, 상이한 온도-저항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정 전력 조건 하에서의 코일 히터의 저항 값을 검출할 수 있다면, 카트리지(510)의 타입도 식별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코일 히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측정하기 위한 션트 저항(Shunt resistor)을 포함할 수 있다. 션트 저항은 저항 값이 온도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는 저항 소자이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션트 저항에서 측정된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코일 히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추정하여 코일 히터의 저항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에 의해 카트리지(510)의 코일 히터가 저항 값 R1을 갖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부(도 2의 120)는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로부터 수신된 코일 히터의 저항 값 R1에 기초하여 카트리지(510)는 카트리지 x1의 타입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에 의해 검출된 코일 히터의 저항 값 R2, 저항 값 R3, 저항 값 R4 등은, 각각 서로 다른 카트리지 타입(예를 들어, 카트리지 x2, 카트리지 x3, 카트리지 x4 등)인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메모리(도 1의 150)에는, 코일 히터의 저항 값과 카트리지 타입이 룩업 테이블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코일 히터의 타입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은 대응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0)는 코일 히터 타입의 식별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또한 식별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대응 관계도 메모리(150)에 룩업 테이블로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카트리지(610)가 삽입된 경우, 카트리지 식별 센서(600)는 카트리지(610)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즉, 카트리지 식별 센서(600)는 카트리지(610) 내 구비된 초음파 진동 수단(무화부)와 전기 회로망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 식별 센서(600)는 복소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610)가 삽입된 경우, 삽입된 카트리지(610)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카트리지(610)에 포함된 초음파 진동 수단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무화부가 초음파 진동 수단으로 구현된 경우, 진동자에 인가될 전압의 주파수가 결정되고 결정된 주파수에 따라 진동자가 제어됨으로써 초음파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진동자의 임피던스가 가장 낮을 때의 주파수는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에 해당한다.
공진 주파수란 공진이 발생하는 주파수이며, 공진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거나 임피던스가 뚜렷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즉,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전압이 인가될 시 진동자의 임피던스가 최소가 될 수 있다. 진동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와의 차이가 클수록 진동자의 임피던스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자는 변화된 임피던스에 대응되는 온도로 제어되며, 제어되는 온도로 진동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마다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하기 위한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도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카트리지의 타입을 식별하는데 있어서 초음파 진동 수단의 공진 주파수의 검출에 기초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500)는 카트리지(610)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의 회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600)에 의해 카트리지(610)의 초음파 진동 수단이 공진 주파수 f1을 갖는 것으로 검출된 경우, 제어부(도 2의 120)는 카트리지 식별 센서(600)로부터 수신된 공진 주파수 f1에 기초하여 카트리지(610)는 카트리지 y1의 타입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카트리지 식별 센서(600)에 의해 검출된 초음파 진동 수단의 공진 주파수 f2, 공진 주파수 f3, 공진 주파수 f4 등은, 각각 서로 다른 카트리지 타입(예를 들어, 카트리지 y2, 카트리지 y3, 카트리지 y4 등)인 것으로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메모리(도 1의 150)에는, 초음파 진동 수단의 공진 주파수와 카트리지 타입이 룩업 테이블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서, 공진 주파수별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은 다를 수 있으므로, 제어부(110)는 공진 주파수의 식별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또한 식별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은 대응 관계도 메모리(150)에 룩업 테이블로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카트리지 식별 센서(700)는 홀 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홀 센서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전압이 변화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소자이다. 도 7의 홀 센서는 예시적으로 3개의 홀 IC들(Hall integrated circuit)(701, 702, 703)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홀 센서는 다양한 개수의 홀 IC들을 구비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700)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710 또는 720)가 삽입된 경우, 삽입된 카트리지(710 또는 7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711 또는 7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홀 센서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711 또는 721)는 카트리지 타입 별로 자성체 개수 및 자성체 배치를 포함하는 패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710 또는 720)에는 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자성체(711 또는 72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카트리지(710)에는 1개의 자성체(711)가 구비되어 있으나, 카트리지(720)에는 3개의 자성체들(721)이 구비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타입별로 자성체 개수 및 자성체 배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카트리지 타입이 식별될 수 있다.
카트리지(71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된 경우, 홀 센서는 자성체(711)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홀 IC(701)에서만 자기장 변화를 검출한다. 하지만, 카트리지(72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삽입된 경우, 홀 센서는 3개의 자성체들(721)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3개의 홀 IC들(701, 702, 703)이 자기장 변화를 검출한다. 즉, 자성체 개수 및 자성체 배치와 같은 패턴이 상이함에 따라,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는 홀 IC들도 상이하므로, 카트리지 타입이 식별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700)에 구비된 홀 IC(701)만 자기장 변화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도 2의 120)는 자성체(711)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z1의 타입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700)에 구비된 모든 홀 IC들(701, 702, 703)이 자기장 변화를 검출한 경우, 제어부(110)는 자성체들(721)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z2의 타입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메모리(도 1의 150)에는, 자성체를 검출한 홀 IC의 조합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이 룩업 테이블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자성체의 개수에 기초하여 카트리지 타입이 식별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자성체의 자력 등 다른 특성에 의해서도 카트리지 타입 식별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카트리지 측면에 자성체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자성체는 카트리지의 다양한 부분들에도 배치될 수 있고 홀 IC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는 부분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카트리지 식별 센서(800)는 기계적 핀들(pins)(801, 802, 803, 804, 805)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기계적 핀들(801 내지 805)은 카트리지(800)의 하우징 하단과 맞닿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기계적 핀들(801 내지 805) 각각은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력이 없는 경우 기계적 핀은 이동 없이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외력이 있는 경우, 기계적 핀은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탄성적 이동을 하게 된다.
카트리지(810)의 일 면에는 기계적 핀들(801 내지 805)에 대향하는 위치에 홈들(811, 812)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810)가 장착된 경우, 카트리지(800)의 하우징 하단은 카트리지 식별 센서(800)의 하우징의 일 면과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홈들(811, 812)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계적 핀들(801, 805)은 외력을 받지 않아 이동하지 않으나, 홈들(811, 81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들과 맞닿는 기계적 핀들(802, 803, 804)은 카트리지 삽입에 따른 외력에 의해 카트리지 식별 센서(800)의 하우징 내부로 탄성적 이동을 한다.
카트리지 식별 센서(800)는 기계적 핀들(801 내지 805) 중, 탄성적으로 이동된 기계적 핀들(802, 803, 804)을 검출함으로써,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800)의 하우징 일부(예를 들어, 하단)에 형성된 홈의 개수 및 배치를 다양하게 조합함에 따라 카트리지 삽입시 외력을 받는 기계적 핀들이 무엇인지를 검출함으로써, 카트리지 식별 센서(800)는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카트리지 식별 센서(800)는 카트리지의 하우징 일부에 형성된 각각의 홈과 각각의 기계적 핀의 상호작용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 식별 센서(800)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810)가 삽입된 경우, 삽입된 카트리지(810)의 하우징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811, 8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기계적 핀들(801 내지 805)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홈(811, 812)은 카트리지 타입 별로 홈의 개수 및 홈의 배치를 포함하는 패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2개의 홈들(811, 812)이 카트리지(810)에 형성되고, 5개의 기계적 핀들(801 내지 805)로 카트리지 타입이 식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홈의 개수나 기계적 핀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홈이 형성된 위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에 제한되지 않고, 카트리지 하우징의 다른 부분들로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메모리(도 1의 150)에는, 외력을 받은 기계적 핀들(801 내지 805)의 조합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이 룩업 테이블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이와 같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타입을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삽입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를 포함하고, 이 디스플레이는 UI 화면(92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911) 외에 새로운 카트리지(912)가 삽입되는 경우, UI 화면(920)은 새로운 카트리지(91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카트리지(912)에 대한 정보는 앞서 설명된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에 의해 식별된 정보들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 화면(920)은 새로운 카트리지(912)의 삽입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과 함께, 새로운 카트리지(912)의 카트리지 타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카트리지 타입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 A) 및 무화 방식(예를 들어, 초음파 진동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UI 화면(920)은 이전에 장착된 카트리지(911)와 새로 삽입된 카트리지(912) 중 어느 것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UI 화면(920)을 통해 사용자가 새로 삽입된 카트리지(912)의 활성화를 선택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이후 흡연 동작 개시시에는 새로운 카트리지(912)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즉, 새로운 카트리지(912)의 초음파 진동 방식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 A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카트리지(911)를 선택하는 경우, 새로운 카트리지(912)의 사용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머무를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새로운 카트리지(912)가 삽입된 시점 외에도, 사용자는 UI 화면을 조작함으로써 활성화 카트리지의 전환을 위한 UI를 실행시킴으로써 원하는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60)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삽입된 카트리지의 사용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는 선택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선택된 카트리지를 제어한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별로 적용되는 온도 프로파일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카트리지 a, 카트리지 b 및 카트리지 c 별로, 온도 프로파일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열 구간의 최고 온도, 예열 구간 이후의 퍼프가 수행되는 유지 구간의 최고 온도는 카트리지 타입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별로 최적의 온도 조건이 상이할 수 있고, 또한 무화 방식에 따른 무화 온도 조건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트리지 별 온도 프로파일들은 메모리(도 1의 15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장착된 카트리지들 중 현재 활성화된 카트리지의 타입에 대응하여 적용될 온도 프로파일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50)로부터 로드하고, 해당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현재 활성화된 카트리지의 무화부(도 1의 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로졸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카트리지 a가 활성화된 경우이다. 카트리지 a는 가시적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유연 모드를 제공하는 카트리지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 A로부터 생성된 향미 A의 가시적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카트리지 b가 활성화된 경우이다. 카트리지 b는 가시적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유연 모드를 제공하는 카트리지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 B로부터 생성된 향미 B의 가시적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의 (c)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카트리지 c가 활성화된 경우이다. 카트리지 c는 비가시적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무연 모드를 제공하는 카트리지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 A로부터 생성된 향미 A의 비가시적 에어로졸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카트리지들 중 활성화된 카트리지 타입에 따라 다양한 향미들의 가시적 또는 비가시적 에어로졸들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흡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선택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및 12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들(1201, 1202) 중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서는 카트리지 x(1201)가 선택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b에서는 카트리지 x(1201)와는 다른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구비한 카트리지 y(1202)가 선택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마우스피스에는 에어로졸의 기류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 영역(1231) 및 에어로졸의 기류가 통과할 수 없는 폐쇄 영역(1232)이 구비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의 개방 영역(1231) 및 폐쇄 영역의 하단에 구비된 하우징 섹션은, 기류패스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섹션(1221)과 기류패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 2 섹션(1222)이 서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고, 제 1 섹션(1221) 및 제 2 섹션(1222) 각각에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2a에 따르면, 제 1 섹션(1221)에는 카트리지 x(1201)가 수용되어 있고, 제 2 섹션(1222)에는 카트리지 y(1202)가 수용되어 있다. 반면에, 도 12b에 따르면, 제 1 섹션(1221)에는 카트리지 y(1202)가 수용되어 있고, 제 2 섹션(1222)에는 카트리지 x(1201)가 수용되어 있다.
제 1 섹션(1221) 및 제 2 섹션(1222) 내에서 카트리지들(1201, 1202)은 기계적 회전에 의해 서로 위치가 전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는 제 1 섹션(1221) 및 제 2 섹션(1222) 내에 수용될 카트리지들을 회전시킬 수 있는 기계적 회전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2a 및 12b에서의 카트리지 배치는 카트리지들의 회전에 의해 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 회전에 의해서 에어로졸을 생성할 카트리지가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섹션(1221)에만, 제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전기 접촉(1210)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 및 내부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이 흐를 수 있는 기류패스(1205)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 섹션(1222)에는 제어부(110)와의 전기 접촉(1210) 및 기류패스(1205)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섹션(1221)에 수용된 카트리지에서만 에어로졸이 생성되어 마우스피스의 개방 영역(1231)을 통해 외부로 에어로졸이 제공될 수 있고, 제 2 섹션(1222)에 수용된 카트리지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없다.
도 12a를 참고하면, 카트리지 x(1201)의 하단에는 전기 접촉(1211)이 구비되어 있고, 제 1 섹션(1221)에 수용된 카트리지 x(1201)의 전기 접촉(1211)은 전기 접촉(1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어부(110)에 의한 전력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x(1201)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섹션(1221)에는 기류패스(120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 x(120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기류패스(1205)와 개방 영역(1231)을 통해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제 2 섹션(1222)에 수용된 카트리지 y(1202)는 하단에 전기 접촉(1212)이 구비되어 있을 지라도, 제어부(110)와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한 전력 공급이 수행될 수 없다. 또한, 제 2 섹션(1222)에는 기류 패스(1205)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 2 섹션(1222)에 수용된 카트리지 y(1202)는 비활성화된다.
도 12b에서의 카트리지 배치는 도 12a에서의 카트리지 배치와 반대이다. 사용자는, 도 12a에서의 카트리지 배치로부터 카트리지들을 회전시켜 도 12b에서의 카트리지 배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도 12a와 달리, 제 1 섹션(1221)에 수용된 카트리지 y(1202)는 전기 접촉(1212) 및 전기 접촉(1210)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전력이 제공될 있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 y(1202)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기류패스(1205)를 통해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제 2 섹션(1222)에 수용된 카트리지 x(1201)는 비활성화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다르게,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카트리지들의 회전에 따른 카트리지 배치의 전환에 의해 어느 하나의 카트리지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카트리지(즉, 활성화된 카트리지)가 수용된 섹션에만 제어부(110)와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고 기류패스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카트리지를 취사 선택하여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12b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개의 카트리지들(1201, 1202)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3개 이상의 카트리지들이 구비된 경우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의 제어 방법은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할지라도,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도 13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301 단계에서, 카트리지 식별 센서(131)는 교체 가능하게 카트리지들을 수용하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삽입된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및 무화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한다.
1302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한다. 카트리지 활성화는 앞서 도 9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1303 단계에서, 제어부(110)는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카트리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 제어부
120: 배터리
130: 센서
131: 카트리지 식별 센서
140: 무화부
141: 제 1 카트리지
142: 제 2 카트리지
150: 메모리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
20: 마우스피스
31: 제 1 섹션
32: 제 2 섹션

Claims (11)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 1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1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
    제 2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2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2 카트리지;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각각을 교체 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섹션들;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및 무화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하는 카트리지 식별 센서; 및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식별 센서는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된 코일 히터의 저항 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저항 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식별 센서는
    상기 코일 히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측정하기 위한 션트 저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식별 센서는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에 포함된 초음파 진동 수단의 공진 주파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식별 센서는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홀 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는 카트리지 타입 별로 자성체의 개수 및 자성체의 배치를 포함하는 패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식별 센서는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의 하우징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기계적 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카트리지 타입 별로 홈의 개수 및 홈의 배치를 포함하는 패턴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어느 카트리지의 사용을 활성화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카트리지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카트리지 타입 별로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독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중 적어도 하나는 가시적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카트리지이고, 다른 하나는 비가시적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카트리지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들에 수용된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배치는 회전에 의해 전환 가능하고,
    상기 섹션들 중 기류패스 및 전기 접촉을 구비한 제 1 섹션에 수용된 카트리지에서만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1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 및 제 2 에어로졸 생성 물질 및 제 2 무화부를 포함하는 제 2 카트리지 각각을 교체 가능하게 수용하는 복수의 섹션들 중 어느 하나에 카트리지가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카트리지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타입 및 무화부의 타입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타입을 카트리지 식별 센서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트리지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에 대해 식별된 카트리지 타입에 대응하는 온도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카트리지로 제공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149891A 2021-11-03 2021-11-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64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91A KR102649317B1 (ko) 2021-11-03 2021-11-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891A KR102649317B1 (ko) 2021-11-03 2021-11-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376A true KR20230064376A (ko) 2023-05-10
KR102649317B1 KR102649317B1 (ko) 2024-03-19

Family

ID=8638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891A KR102649317B1 (ko) 2021-11-03 2021-11-03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3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574524U (zh) * 2017-11-23 2018-07-06 周小山 一种电子烟及其电子烟雾化设备
JP2019512238A (ja) * 2016-03-11 2019-05-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複数の分散液発生器イーベイピング装置
JP2020525025A (ja) * 2017-06-30 2020-08-27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出力のためにエアロゾル生成要素の属性を識別するための喫煙物品および関連方法
KR20200126587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12238A (ja) * 2016-03-11 2019-05-16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複数の分散液発生器イーベイピング装置
JP2020525025A (ja) * 2017-06-30 2020-08-27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出力のためにエアロゾル生成要素の属性を識別するための喫煙物品および関連方法
CN207574524U (zh) * 2017-11-23 2018-07-06 周小山 一种电子烟及其电子烟雾化设备
KR20200126587A (ko) * 2019-04-30 2020-1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317B1 (ko)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0855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EP3897249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524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726996A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2218549B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228186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747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859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33744B1 (ko) 기류패스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4931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20013230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86582B1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2928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5059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3080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272407B1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CN112616309B (zh) 气溶胶生成装置和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烟弹
KR10244981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8898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방법
CN113412066B (zh) 气溶胶生成装置
KR10232600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2533501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KR20240054848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에 수용되는 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