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299A -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299A
KR20230064299A KR1020210149740A KR20210149740A KR20230064299A KR 20230064299 A KR20230064299 A KR 20230064299A KR 1020210149740 A KR1020210149740 A KR 1020210149740A KR 20210149740 A KR20210149740 A KR 20210149740A KR 20230064299 A KR20230064299 A KR 2023006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pacer
grooves
rolle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민 정
중-원 펑
Original Assignee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4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299A/ko
Publication of KR2023006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16C19/361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with cylindrical rollers
    • F16C19/36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with cylindrical rollers the rollers being crossed within the single r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4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with loose spacing bodies between the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37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liquid lubricant
    • F16C33/664Retaining the liquid in or near th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하나의 제1 표면 및 제1 표면과 등지는 하나의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은 대향하는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 및 대향하는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이 각각 구비되며, 제1 표면의 제1 롤러 수용홈 및 제2 롤러 수용홈은 제2 표면의 제2 롤러 수용홈 및 제1 롤러 수용홈에 대응되고,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기준면이 더 정의되며, 기준면은 수평 방향에 수직되고 스페이서의 최대 두께 중심점을 통과하며, 기준면에서 각 제1 롤러 수용홈의 중심까지의 수평 거리와 기준면에서 각 제2 롤러 수용홈의 중심까지의 수평 거리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반전시키는 것에 의해, 인접한 두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를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SPACER AND CYCLOID REDUCER WITH THE SPACER}
본 발명은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정밀 기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롤러 스크류, 롤러형 선형 슬라이드 또는 롤러 베어링은 주로 복수의 롤러를 전동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인접한 두 롤러에 하나의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인접한 두 롤러의 직접적인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소음을 줄이는 효과를 얻으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479,683호 및 미국 특허 제9,995,340호와 같은 특허 문서는 모두 관련 구조 설계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인접한 두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존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두께가 다른 적어도 두 가지 스페이서를 준비하고, 두께가 다른 스페이서를 교체하는 것에 의해 간격을 조절하는 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교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조립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또한, 두께가 다른 다양한 스페이서는 다양한 금형을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도 상대적으로 높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이한 롤러 수용홈의 중심과 기준면 사이의 거리차이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여, 조립 난이도를 낮추고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주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하나의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과 등지는 하나의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 및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1 표면의 중심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2 표면의 중심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에 대응되고,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에 대응되며,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기준면이 더 정의되고, 상기 기준면은 수평 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최대 두께 중심점을 통과하며, 상기 기준면에서 각 상기 제1 롤러 수용홈의 중심까지의 수평 거리는 L1로 정의되고, 상기 기준면에서 각 상기 제2 롤러 수용홈의 중심까지의 수평 거리는 L2로 정의되며, 양자는 관계식: L1>L2을 만족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90도 반전시키면 인접한 두 롤러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스페이서를 반전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제1 롤러 수용홈, 제2 롤러 수용홈과 기준면 사이의 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조립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과 상기 제2 롤러 수용홈 사이에는 하나의 제1 돌출부가 인접하고,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과 상기 제2 롤러 수용홈 사이에는 하나의 제2 돌출부가 인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들은 상기 제1 돌출부들에 일대일 대응되고, 또한,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의 최대 거리는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최대 거리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L1과 L2 사이에 거리차가 있고, 상기 거리차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에 맞춰 사용하는 입력 플랜지 또는 출력 플랜지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0.1mm-0.4m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상기 제1 돌출부 및 각 상기 제2 돌출부는 모두 둥근 모서리 디자인을 가지고, 조립 위치에 편차가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상기 둥근 모서리들을 통해 자동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은 모두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롤러들에 맞춰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롤러들과 면접촉을 형성하여, 상기 롤러들에 지지 효과를 제공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은 모두 모가 둥근 삼각형이고,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크기가 동일하다. 이로써, 상기 롤러들에 맞춰 사용할 경우,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롤러들과 선접촉을 형성하여, 서로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응력이 집중되는 상황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의 외주는 4개의 식별부(예를 들면 오목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들은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에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됨으로써, 사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 효율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의 오일 저장 탱크에 의해 관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하우징, 하나의 회전축, 하나의 입력 플랜지, 하나의 출력 플랜지, 하나의 감속 장치, 복수의 롤러 및 복수의 상술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사이클로이드 감속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나의 입력단 및 하나의 출력단이 구비되며, 상기 입력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입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며, 상기 출력 플랜지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출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입력 플랜지에 연결되며, 상기 감속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로이드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올댐 커플링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는 상기 회전축에 편심 조립되고, 상기 올댐 커플링은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와 상기 입력 플랜지 사이 또는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와 상기 출력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롤러들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입력 플랜지 사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출력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고, 각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2개의 상기 롤러 사이에 설치되고, 각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로 상기 롤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각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로 다른 상기 롤러를 선택적으로 지지한다. 이로써,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가 상기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사이클로이드 회전을 일으키고, 이어서 상기 올댐 커플링을 통해 상기 입력 플랜지 및 상기 출력 플랜지를 연동시켜, 상기 입력 플랜지 및 상기 출력 플랜지가 상기 롤러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감속 회전의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 특징, 조립 또는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후속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적인 설명 및 본 발명에서 예로 든 특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특허출원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사용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2 사용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로서, 90도 반전 전후의 거리차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의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의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롤러에 맞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고, 주로 롤러의 상이한 조립 방식을 나타낸다.
도 12는 상이한 사용 상태에서 롤러에 맞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출력 플랜지와 롤러의 결합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페이서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소개할 실시예 및 특허출원 범위를 포함하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 방향성과 관련된 용어는 모두 도면의 방향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소개할 실시예 및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 또는 그 구조적 특징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페이서(10)는 하나의 제1 표면(12), 제1 표면(12)과 등지는 하나의 제2 표면(14) 및 제1 표면(12)과 제2 표면(14)을 관통하는 하나의 오일 저장 탱크(16)를 포함한다. 제1 표면(12) 및 제2 표면(14)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18) 및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20)이 각각 구비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롤러 수용홈(18)의 단면 형상과 상기 복수의 제2 롤러 수용홈(20)의 단면 형상은 모두 원호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제1 롤러 수용홈(18) 및 상기 복수의 제2 롤러 수용홈(20)은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계속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표면(12)의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18) 및 제1 표면(12)의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20)은 제1 표면(12)의 중심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되고, 제2 표면(14)의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18) 및 제2 표면(14)의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20)은 제2 표면(14)의 중심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되며, 제1 표면(12)의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18)은 제2 표면(14)의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20)에 대응되고, 제1 표면(12)의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20)은 제2 표면(14)의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18)에 대응된다. 즉,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18) 및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20)의 제1 표면(12)에서의 배열 방식과 제2 표면(14)에서의 배열 방식은 90도 차이가 난다.
사용자가 제1 롤러 수용홈(18) 및 제2 롤러 수용홈(20)의 위치를 쉽게 식별하도록, 스페이서(10)의 외주에는 4개의 식별부(22)(여기서는 오목홈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오목홈에 한정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부(22)들은 상기 제1 롤러 수용홈(18)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20)들에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부(22)들은 제1 롤러 수용홈(18)들에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0)는 하나의 기준면(P)이 정의되며, 기준면(P)은 수평 방향(X)에 수직되고 스페이서(10)의 최대 두께 중심점(C)을 통과하며, 기준면(P)과 제1 표면(12)의 관계에 있어서, 기준면(P)과 제1 롤러 수용홈(18)의 중심(C1) 사이의 수평 거리는 L1로 정의되고, 기준면(P)과 제2 롤러 수용홈(20)의 중심(C2) 사이의 수평 거리는 L2로 정의되며, 양자는 L1>L2의 관계식을 만족시키고, 이로써, 스페이서(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사용 상태(S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사용 상태(S2)로 90도 반전될 경우, 기준면(P)과 롤러(90)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게 되고, 기준면(P)과 제2 표면(14)의 관계도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표면(12)은 제1 롤러 수용홈(18)과 제2 롤러 수용홈(20)의 경계에 하나의 제1 돌출부(24)가 구비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면(12)은 4개의 제1 돌출부(24)가 구비된다. 제2 표면(14)은 제1 롤러 수용홈(18)과 제2 롤러 수용홈(20)의 경계에 하나의 제2 돌출부(26)가 구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면(14)은 4개의 제2 돌출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돌출부(26)들은 상기 제1 돌출부(24)들에 일대일 대응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페이서(10)는 주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30)에 적용되고, 사이클로이드 감속기(30)는 하나의 하우징(40), 하나의 회전축(50), 하나의 입력 플랜지(60), 하나의 출력 플랜지(70), 하나의 감속 장치(80), 복수의 롤러(90) 및 복수의 스페이서(10)를 포함한다.
회전축(50)은 하우징(4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하나의 입력단(52) 및 하나의 출력단(54)이 구비된다.
입력 플랜지(60)는 하우징(40)의 일단에 조립 설치된다. 입력 플랜지(60)의 중앙에는 하나의 제1 축 구멍(62)이 구비되고, 입력 플랜지(60)는 제1 축 구멍(62)을 이용하여 회전축(50)의 입력단(52)에 끼움 설치되며, 또한 회전축(50)의 입력단(52)과의 사이에 하나의 제1 베어링(66)이 설치되어, 회전축(50)과 입력 플랜지(60)가 제1 베어링(66)을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입력 플랜지(60)는 제1 축 구멍(62)의 주변에 4개의 제1 연결 기둥(64)이 구비된다.
출력 플랜지(70)는 하우징(40)의 타단에 조립 설치된다. 출력 플랜지(70)의 중앙에는 하나의 제2 축 구멍(72)이 구비되고, 출력 플랜지(70)는 제2 축 구멍(72)을 이용하여 회전축(50)의 출력단(54)에 끼움 설치되며, 또한 회전축(50)의 출력단(54)과의 사이에 하나의 제2 베어링(76)이 설치되어, 회전축(50)과 출력 플랜지(70)가 제2 베어링(76)을 통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출력 플랜지(70)의 내주면은 제2 축 구멍(72)의 주변에 4개의 제2 연결 기둥(74)이 구비되고, 4개의 볼트(78)에 의해 입력 플랜지(60)의 4개의 제1 연결 기둥(64)과 출력 플랜지(70)의 4개의 제2 연결 기둥(74)을 연결하여, 양자가 함께 조립되도록 한다.
감속 장치(80)는 2개의 사이클로이드 기어(82), 2개의 올댐 커플링(Oldham Coupling)(84) 및 복수의 니들 롤러(86)가 구비된다. 2개의 사이클로이드 기어(82)는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회전축(50)의 중앙에 편심 방식으로 끼움 연결되며, 2개의 사이클로이드 기어(82)는 출력 플랜지(70)의 4개의 제2 연결 기둥(74)에 의해 공동으로 관통되고, 하나의 올댐 커플링(84)은 입력 플랜지(60)와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82)들 사이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올댐 커플링(84)은 출력 플랜지(70)와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82)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니들 롤러(86)들은 하우징(40)의 내주면과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82)들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82)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82)들이 회전축(50)에 의해 구동되면 하우징(40)에 대해 사이클로이드 회전을 일으키고, 이어서 상기 올댐 커플링(84)들을 통해 입력 플랜지(60)와 출력 플랜지(70)를 연동시켜, 입력 플랜지(60)와 출력 플랜지(70)가 하우징(40)에 대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감속 회전의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 롤러(90)들은 하우징(40)과 입력 플랜지(60) 사이 및 하우징(40)과 출력 플랜지(70) 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40)과 입력 플랜지(60) 사이 및 하우징(40)과 출력 플랜지(70) 사이의 전동 인터페이스로 작용한다. 보충 설명드릴 것은, 롤러(90)의 배열 방식은 실제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정상적인 사용 상태에서 도 11a에 도시된 교차 방식으로 배열되고, 높은 반경 방향 하중이 필요한 경우, 일부 롤러(90)는 도 11b에 도시된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조절할 수 있고, 높은 축 방향 하중이 필요한 경우, 일부 롤러(90)를 도 11c에 도시된 방식으로 배열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각 스페이서(10)는 인접한 두 롤러(90) 사이에 설치된다. 각 스페이서(10)는 2개의 상이한 사용 상태에서 반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롤러(90)들은 배열 방식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스페이서(10)는 한편으로 제1 표면(12)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18)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20)들로 롤러(90) 중 하나를 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 제2 표면(14)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20) 또는 상기 제1 롤러 수용홈(18)들로 롤러(90) 중 다른 하나를 지지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페이서(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스페이서(10)로 인해 2개의 상이한 사용 상태에서 동일한 측의 롤러(90)는 거리차(L3)가 발생하고, 다른 측의 롤러(90)도 거리차(L3)가 발생하므로, 스페이서(10)를 수동으로 90도 반전시키면, 상술한 거리차(L3)를 이용하여 인접한 두 롤러(9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0)가 제1 사용 상태(S1)에 위치할 경우, 좌측 롤러(90)의 최좌측 단부에서 우측 롤러(90)의 최우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G1이고, 스페이서(10)를 제2 사용 상태(S2)로 반전시킬 경우, 좌측 롤러(90)의 최좌측 단부에서 우측 롤러(90)의 최우측 단부까지의 거리는 G2이고, G1과 G2 사이의 차이는 바로 2배의 거리차(2×L3)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종래기술처럼 상이한 두께를 가진 스페이서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고, 상이한 사용 상태로 90도 반전시키기만 하면, 간격을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조립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제1 돌출부(24) 및 각 제2 돌출부(26)는 둥근 모서리(29) 디자인을 가질 수 있고(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 스페이서(10)의 조립 위치에 편차가 있을 경우, 상기 둥근 모서리(29)들을 통해 자동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동 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이한 사용 상태에서 스페이서(10)에 의해 발생하는 거리차(L3)는 스페이서에 맞춰 사용하는 입력 플랜지(60) 또는 출력 플랜지(7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도 13에서는 출력 플랜지(70)를 예로 들며, 입력 플랜지(60)의 상황도 동일하므로 별도로 도시되지 않음), 출력 플랜지(70)의 직경은 ψ이고, 인접한 두 롤러(90) 사이의 거리는 G라고 가정하면, 직경(ψ)이 작을 수록, 상기 롤러(90)들의 배열은 곡률의 관계로 인해 간격(G)을 더 크게 해야 하고, 반대로, 직경(ψ)이 클수록, 상기 롤러(90)들의 배열은 곡률의 관계로 인해 간격(G)을 더 작게 해야 한다. 즉, 간격(G)은 직경(ψ)에 맞춰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하며, 간격(G)의 변화에 맞추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거리차(L3)는 0.1mm-0.4mm 사이이다.
보충 설명드릴 것은, 제1 롤러 수용홈(18)의 단면 형상 및 제2 롤러 수용홈(20)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모두 모가 둥근 삼각형이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는 모두 2개의 경사면(27) 및 2개의 경사면(27) 사이에 연결된 하나의 호면(28)이 구비되고, 또한, 제1 롤러 수용홈(18) 및 제2 롤러 수용홈(20)은 크기가 동일하다. 이로써, 롤러(90)에 맞춰 사용할 경우 2개의 경사면(27)과 롤러(90)는 선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서로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응력이 집중되는 상황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페이서(10’)의 조작 방식 및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10 스페이서
10’스페이서
12 제1 표면
14 제2 표면
16 오일 저장 탱크
18 제1 롤러 수용홈
20 제2 롤러 수용홈
22 식별부
S1 제1 사용 상태
S2 제2 사용 상태
24 제1 돌출부
26 제2 돌출부
27 경사면
28 호면
29 둥근 모서리
P 기준면
D1 기준면과 제1 돌출부 사이의 최대 거리
D2 기준면과 제2 돌출부 사이의 최대 거리
C 스페이서의 최대 두께 중심점
C1 제1 롤러 수용홈의 중심
C2 제2 롤러 수용홈의 중심
L1 제1 롤러 수용홈의 중심과 기준면 사이의 수평 거리
L2 제2 롤러 수용홈의 중심과 기준면 사이의 수평 거리
L3 거리차
30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40 하우징
50 회전축
52 입력단
54 출력단
60 입력 플랜지
62 제1 축 구멍
64 제1 연결 기둥
66 제1 베어링
70 출력 플랜지
72 제2 축 구멍
74 제2 연결 기둥
76 제2 베어링
78 볼트
80 감속 장치
82 사이클로이드 기어
84 올댐 커플링
86 니들 롤러
90 롤러
G 인접한 두 롤러의 간격
G1 인접한 두 롤러의 엔드 포인트 거리
G2 인접한 두 롤러의 엔드 포인트 거리
X 수평 방향

Claims (10)

  1.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표면과 등지는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은 2개의 제1 롤러 수용홈 및 2개의 제2 롤러 수용홈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1 표면의 중심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2 표면의 중심에 대해 엇갈리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에 대응되고,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에 대응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기준면이 정의되고, 상기 기준면은 수평 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최대 두께 중심점을 통과하며, 상기 기준면에서 각 상기 제1 롤러 수용홈의 중심까지의 수평 거리는 L1로 정의되고, 상기 기준면에서 각 상기 제2 롤러 수용홈의 중심까지의 수평 거리는 L2로 정의되며, 양자는 관계식: L1> L2를 만족시키는,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과 상기 제2 롤러 수용홈 사이에는 제1 돌출부가 인접하고,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과 상기 제2 롤러 수용홈 사이에는 제2 돌출부가 인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들은 상기 제1 돌출부들에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의 최대 거리는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제2 돌출부 사이의 최대 거리와 동일한,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L1과 L2 사이에 거리차가 있고, 상기 거리차는 0.1mm-0.4mm 사이인, 스페이서.
  4.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제1 돌출부 및 각 상기 제2 돌출부는 둥근 모서리가 각각 구비되는, 스페이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은 모두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동일한 곡률을 갖는, 스페이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의 단면 형상은 모두 모가 둥근 삼각형이고,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및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스페이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에 일대일 방식으로 대응되는 4개의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스페이서.
  8. 제7항에 있어서,
    각 상기 식별부는 오목홈인, 스페이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의 중심 및 상기 제2 표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오일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하는, 스페이서.
  10. 사이클로이드 감속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고 입력단 및 출력단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입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입력 플랜지;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출력단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입력 플랜지에 연결되는 출력 플랜지;
    적어도 하나의 사이클로이드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올댐 커플링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는 상기 회전축에 편심 조립되고, 상기 올댐 커플링은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와 상기 입력 플랜지 사이 또는 상기 사이클로이드 기어와 상기 출력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 장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입력 플랜지 사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출력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각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한 2개의 상기 롤러 사이에 설치되고, 각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로 상기 롤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고, 각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표면의 상기 제1 롤러 수용홈 또는 상기 제2 롤러 수용홈들로 다른 상기 롤러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KR1020210149740A 2021-11-03 2021-11-03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KR20230064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40A KR20230064299A (ko) 2021-11-03 2021-11-03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40A KR20230064299A (ko) 2021-11-03 2021-11-03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299A true KR20230064299A (ko) 2023-05-10

Family

ID=86386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740A KR20230064299A (ko) 2021-11-03 2021-11-03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2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7310A (en) Internal planetary gear device
WO2012131921A1 (ja) 無段変速機
US5433672A (en) Inscribed meshing planetary gear construction
KR101644955B1 (ko)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US20190113105A1 (en) Cycloidal reducer
US20050255955A1 (en) Internally meshing planetary gear mechanism
US6290625B1 (en) Small backlash planetary gear assembly
US20220196123A1 (en) Cycloid transmission
EP2543909B1 (en) Gear device
JP3465120B2 (ja) 遊星ローラ式変速機構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KR20230064299A (ko)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가 구비된 사이클로이드 감속기
CN109996974B (zh) 偏心摆动型齿轮装置
WO2016158106A1 (ja) 摩擦ローラ式減速機
US20230323936A1 (en) Differential gear assembly, a vehicle comprising a differential gear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parts of a differential gear assembly
TWI777812B (zh) 間隔子及具有該間隔子之擺線式減速機
US11460094B1 (en) Spacer and cycloidal reducer with the spacer
TWM628182U (zh) 減速裝置
US4237750A (en) Planetary gear reduction system
JP7253027B1 (ja) スペーサリテーナ
US20060247090A1 (en) Toroid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337091B2 (en) Bearing structure and retainer of bearing
US6520888B1 (en) Loading cam apparatus for toroid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190353229A1 (en) Ball type speed reducer
CN115978141A (zh) 间隔子及具有该间隔子的摆线式减速机
CN111720497B (zh) 摆线减速机及其制造方法以及马达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