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050A -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050A
KR20230064050A KR1020210148910A KR20210148910A KR20230064050A KR 20230064050 A KR20230064050 A KR 20230064050A KR 1020210148910 A KR1020210148910 A KR 1020210148910A KR 20210148910 A KR20210148910 A KR 20210148910A KR 20230064050 A KR20230064050 A KR 20230064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sture correction
urinary incontinence
weigh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상
Original Assignee
산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전정밀(주) filed Critical 산전정밀(주)
Priority to KR102021014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050A/ko
Publication of KR2023006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7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constricting muscles, i.e. sphinc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다리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방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이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모터; 상기 지지판의 상측을 덮고 상기 모터가 배치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덮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덮개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몸무게 측정부; 상기 몸무게 측정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몸무게 측정부로부터 몸무게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다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 및 다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using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요도를 통해 나오는 증상을 말하며, 크게 긴장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긴장성 요실금은 복압성 요실금(stress incontinence)이라고도 하며 가장 흔한 요실금으로 대개 출산이나 수술 폐경 등으로 인한 호르몬 작용의 차단 등으로 인하여 방광경부와 요도 주위 근육들의 해부학적 지지구조가 손상되거나 요도괄약근이 느슨하게 됨으로써 발병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크게 웃거나 기침, 재채기를 하면 복압이 증가되어 소변이 유출되게 된다.
이러한 요실금의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 수술치료 및 골반근육 강화법이 있다. 약물치료법은 증상이 가벼울 때 시행되며 효과가 일시적이고 부작용이 생기기도 한다. 수술치료법은 마취로 인한 부작용이 따를 위험성이 있으나 효과가 확실하다. 그리고 골반근육 강화법은 기존 약품치료 시의 부작용을 방지하고 수술 및 마취 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골반기저부의 근육결손으로 오는 자궁, 방광, 직장 탈출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성기능 장애의 치료와 성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안전하고 손쉬운 치료법이다.
이러한 골반근육 강화법은 요도, 질, 항문 주위를 감싸고 지탱하는 골반근육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골반근육 강화를 통한 요실금 치료 장치에는 등록특허 제10-2165142호 '요실금 치료 및 성기능 강화를 위한 전기자극 장치'이 있다.
그런데, 전기자극을 이용하는 골반근육 강화법은 외부 자극에 의한 운동방법으로 전기 자극에 대한 내성이 발생할 수 있고 말초신경마비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자세 교정을 이용하여 골반근육을 강화시켜 요실금을 치료할 수 있고 전기 자극에 대한 내성 발생 및 말초신경마비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다리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방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이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모터; 상기 지지판의 상측을 덮고 상기 모터가 배치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덮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덮개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몸무게 측정부; 상기 몸무게 측정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몸무게 측정부로부터 몸무게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다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 및 다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부가 마련되는 수평바; 상기 힌지결합부에 일단부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며 사용자의 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지방 측정부로부터 체지방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 다리 상태 정보 및 체지방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토크를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가하는 토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무게 측정부가 하측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의 뒤쪽 발바닥이 안착되는 제1 안착판; 및 상기 제1 안착판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의 앞쪽 발바닥이 안착되는 제2 안착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판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판은 상기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착판의 양측부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을 상기 제2 안착판에 구속하는 구속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는 몸무게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다리를 촬영하며, 체지방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여, 제어부가 몸무게 정보, 다리 상태 정보 및 체지방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교정동작을 진행함으로써 요실금을 치료할 수 있어, 요실금이 치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는 모터를 통해 안착부에 토크를 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착부를 회전시킬 때 힘을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자세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의 안착부, 몸무게 측정부 및 체결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의 안착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난 교정동작을 진행함으로써 요실금을 치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의 안착부의 길이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는 본체,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지지판, 측정부, 덮개, 체결바, 안착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CM)는 본체(100)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다리를 촬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P)는 본체(100)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DP)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전방측으로 회전되거나 후방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DP)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판(200)은 지면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본체(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모터(MT)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지지판(200)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회전축(MTa)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MT)는 회전축(MTa)을 기준으로 안착부(400)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토크를 가할 수 있다.
덮개(300)는 지지판(200)의 상측을 덮고 모터(MT)가 배치된 위치에 관통홀(300h)이 형성될 수 있다.
몸무게 측정부(WS)는 모터(MT)의 회전축(MT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몸무게 측정부(WS)는 덮개(300)의 관통홀(300h)을 통과하여 덮개(30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몸무게 측정부(WS)는 무게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400)는 몸무게 측정부(WS)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400)는 제1 안착판(410) 및 제2 안착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판(410)은 하측 중심부에 몸무게 측정부(WS)가 연결되고, 상부의 전방측에 사용자의 발의 뒤쪽 발바닥이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판(410)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레일(4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판(420)은 제1 안착판(410)에 연결되고 상부에 사용자의 발의 앞쪽 발바닥이 안착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2 안착판(420)은 하부에 가이드레일홈(420h)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411)에 연결되고, 가이드레일(4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판(410)의 상단부 중심부에는 내부로 인입되거나 상측으로 돌출되는 체결턱(412)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판(420)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장공(420p)이 형성될 수 있고, 장공(420p)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개의 고정홀(420q)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턱(412)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홀(420q)에 삽입됨으로써, 제2 안착부(400)를 제1 안착부(40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사용자는 체결턱(412)을 눌러 제1 안착판(410)의 내부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제2 안착판(420)을 가이드레일(4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안착판(420)을 발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배치시킨 후, 체결턱(412)이 고정홀(420q)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2 안착판(420)을 제1 안착판(4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400)는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400)는 구속밴드(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밴드(430)는 제2 안착판(420)의 양측부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사용자의 발을 제2 안착판(420)에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구속밴드(430)에는 길이조정을 위한 스트랩이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스트랩을 조정하여 발을 제2 안착판(420)에 구속시킬 수 있다.
제어부(500)는 몸무게 측정부(WS)로부터 몸무게 정보를 전달받고, 카메라(CM)로부터 사용자의 다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며,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 및 다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모터(MT)를 제어하여 모터(MT)가 가하는 토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10)는 수평바(SB), 연장바(YB), 손잡이(600), 체지방 측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바(SB)는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바(SB)의 양단부에는 각각 힌지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바(YB)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힌지결합부에 일단부가 각각 힌지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600)는 연장바(YB)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손잡이(600)를 잡아 중심을 잡을 수 있다.
체지방 측정부(700)는 손잡이(6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지방 측정부(700)에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며, 체지방 측정부(700)는 사용자의 손을 통해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체지방 측정부(700)로부터 체지방 정보를 전달받고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 다리 상태 정보 및 체지방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어부(500)에는 몸무게 정보, 다리 상태 정보 및 체지방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들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몸무게 정보, 다리 상태 정보 및 체지방 정보를 몸무게 측정부(WS), 카메라(CM), 체지방 측정부(700)로부터 전달받으면 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DP)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자세 교정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부가적으로,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DP)는 모터(MT)가 가하는 토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증가 버튼 및 감소 버튼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증가 버튼이 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증가 신호를 제어부(500)로 송신하고, 제어부(500)는 증가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MT)를 제어함으로써, 모터(MT)가 가하는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감소 버튼이 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DP)는 감소 신호를 제어부(500)로 송신하고, 제어부(500)는 감소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MT)를 제어함으로써, 모터(MT)가 가하는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증가 버튼 또는 감소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MT)가 가하는 토크는 상부터 하까지 3가지 단계 내지 5가지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10)는 몸무게 측정부(WS)를 통해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카메라(CM)를 통해 사용자의 다리를 촬영하며, 체지방 측정부(700)를 통해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여, 제어부(500)가 몸무게 정보, 다리 상태 정보 및 체지방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DP)를 통해 나타냄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DP)에 나타난 교정동작을 진행함으로써 요실금을 치료할 수 있어, 요실금이 치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10)는 모터(MT)를 통해 안착부(400)에 토크를 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착부(400)를 회전시킬 때 힘을 사용하도록 유도하여 자세 교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요실금 치료 장치
100 : 본체 CM : 카메라
DP : 디스플레이부 200 : 지지판
MT : 모터 MTa : 회전축
300 : 덮개 WS : 몸무게 측정부
400 : 안착부 410 : 제1 안착판
411 : 가이드레일 412 : 체결턱
420 : 제2 안착판 420h : 가이드레일홈
420p : 장공 420q : 고정홀
430 : 구속밴드 500 : 제어부
SB : 수평바 YB : 연장바
600 : 손잡이 700 : 체지방 측정부

Claims (8)

  1.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다리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측이 개방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이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모터;
    상기 지지판의 상측을 덮고 상기 모터가 배치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덮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덮개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몸무게 측정부;
    상기 몸무게 측정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몸무게 측정부로부터 몸무게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다리 상태 정보를 전달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 및 다리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내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좌우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부가 마련되는 수평바;
    상기 힌지결합부에 일단부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며 사용자의 손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지방 측정부로부터 체지방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 다리 상태 정보 및 체지방 정보에 대응되는 자세 교정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나타내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에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토크를 가하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가하는 토크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마련되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몸무게 측정부가 하측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의 뒤쪽 발바닥이 안착되는 제1 안착판; 및
    상기 제1 안착판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의 앞쪽 발바닥이 안착되는 제2 안착판을 포함하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판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판은 상기 사용자의 발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배치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판의 양측부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발을 상기 제2 안착판에 구속하는 구속밴드를 포함하는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KR1020210148910A 2021-11-02 2021-11-02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KR20230064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10A KR20230064050A (ko) 2021-11-02 2021-11-02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910A KR20230064050A (ko) 2021-11-02 2021-11-02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050A true KR20230064050A (ko) 2023-05-10

Family

ID=8638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910A KR20230064050A (ko) 2021-11-02 2021-11-02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0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US9079064B2 (en)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8801638B2 (en) Delordosation device
US35893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and neck syndromes in humans
US20050181917A1 (en) Back traction and muscle stretching bench
US9149634B2 (en) Device f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15477B1 (ko) 사지 강직 환자용 물리치료 장치
US7160234B2 (en) Exercise machine
KR101287134B1 (ko) 척추교정 및 척추주변 근육강화 운동기구
US20070184952A1 (en) Training apparatus
CA2346758A1 (en) Leg stretching apparatus
US20080161169A1 (en) Computer-controlled training device for spine-stabilizing musculature
US9561395B2 (en)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KR20230064050A (ko) 자세 교정을 이용한 요실금 치료 장치
KR20180054158A (ko) 하지 재활운동장치
CN106267717A (zh) 一种健身训练器械
US200902758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joint rehabilitation
US6601922B2 (en) Apparatus with lower leg restraints for contributing to support of a handicapped person
US5728048A (en) Back conditioning apparatus
Rainey et al. Demystifying pelvic floor care: a case series for all physical therapists
US7766852B2 (en) Nerve treatment apparatus
JP2005211323A (ja) 筋力トレーニング器具
CN212214476U (zh) 一种术后腰背肌锻炼辅助器具
JP2001178756A (ja) 牽引装置
KR20220014915A (ko) 골반저근 강화장치 및 강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