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461A -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461A
KR20230062461A KR1020220143129A KR20220143129A KR20230062461A KR 20230062461 A KR20230062461 A KR 20230062461A KR 1020220143129 A KR1020220143129 A KR 1020220143129A KR 20220143129 A KR20220143129 A KR 20220143129A KR 20230062461 A KR20230062461 A KR 2023006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meal
infa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비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비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비랩
Publication of KR2023006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46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4Babies, e.g. for SIDS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based on a platform. The device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mprise: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receives at least on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ie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arget infant from at least one of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a storage module which stores at least one information and data obtain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other terminals; an analytic module which analyzes personal information of a specific target infant among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 diet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during a preset period to generate nutrition analytic information; and a control module which, when the diet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is input through the platform by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ccumulates and stores the diet information 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or the second user terminal, uses diet information 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ccumulated and stored during the preset period to generate the nutrition analytic information, and generates at least one of a nutrition analysis report, customized recommending information, and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which are based on the nutrition analytic information, to transmit the sam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provides the nutrition analytic information and customized diets suitable for growing steps to induce healthy and right food habits.

Description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본 개시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유아의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latform-based die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die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based on a platform capable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based on meal information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반면에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고통받는 사람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과체중이나 비만은 당뇨, 고혈압 등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는 심각한 문제이다.Recently,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ing, but on the other hand, people suffering from overweight or obesity are gradually increasing. Such overweight or obesity is a serious problem that causes various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따라서, 이와 같은 과체중이나 비만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식습관을 분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호불호 음식에 대해 알고 있지만 실제로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와 횟수를 기억하지는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식습관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섭취하는 음식을 파악하고, 파악한 음식에 대한 정보에 따라 개인의 식습관을 분석 및 관리해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overweight or obesity, analysis of eating habits should be preceded. They usually know about their likes and dislikes, but they can't remember the types and frequency of the foods they actually eat.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eating habi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oods actually consumed, and to analyze and manage individual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foods.

더욱이, 영유아들은 식습관이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제 식사정보를 분석하여 대상 영유아에 대한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여 식습관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줄 필요가 있다.Furthermore, since the eating habits of infant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growth,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ir eating habits by analyzing actual meal information and providing customized diets for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8814호 (공개일: 2010년 03월 15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28814 (published on March 15, 2010)

본 개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분석하여 영양정보, 성장정보 등을 포함하는 영양분석정보를 제공하고, 그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유아의 성장 단계에 적합한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여 건강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nutrition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by analyzing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of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based on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inducing healthy and correct eating habits by providing a customized diet suitable for the growth stage of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또한, 본 개시는 대상 영유아의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영양제를 추천해주는 것은 물론, 영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상 영유아의 성장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recommends nutritional supplements that can supplement insufficient nutrients based on nutritional analysis information of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well as providing nutritional consulting services to manage the growth of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more systematically. It is to provide an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및 그 외 단말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중 특정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식사정보들을 분석하여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플랫폼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영양분석 레포트, 맞춤형 추천정보 및 영양컨설팅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이름, 성별, 나이(개월수), 생년월일, 신체정보 및 기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분석 레포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습관 정보, 영양소 섭취 정보, 섭취 현황 정보 및 성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cludes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target infant from at least one of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t least one;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nd data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other terminals; an analysis module generating nutritional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specific target infant among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or meal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when meal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input through the platform by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ccumulating and storing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or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 toddler accumulated and stored for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based on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nutrition analysis report,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at least one includes the name, gender, age (number of months), date of birth, body information and institutional information of each target infant, and the me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and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At least one of eating habit information, nutrient intake information, current intake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may be included.

한편,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를 서비스 대상자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플랫폼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들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양분석정보를 가공하여 레포트 형태로 구성한 영양분석 레포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이름, 성별, 나이(개월수), 생년월일, 신체정보 및 기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분석 레포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습관 정보, 영양소 섭취 정보, 섭취 현황 정보 및 성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latform-based infant meal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person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arget infant is received from any one of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user terminal through the platform, the individual registering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as a service target based on information; Accumulating and storing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when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input through the platform by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 generating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by using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 toddler accumulated and stor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or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processing the generated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nd providing a nutrition analysis repor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port to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at least on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name, gender, age (number of months), date of birth, body information, and institutional information of each target infant, and the me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The analysis re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ating habit information, nutrient intake information, current intake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urther provided.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urther provided.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분석하여 영양정보, 성장정보 등을 포함하는 영양분석정보를 제공하고, 그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유아의 성장 단계에 적합한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여 건강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solving means of the present disclosur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nutrition information, growth information, etc. is provided by analyzing the target infant's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the target infant's growth stage We provide a customized diet suitable for you so that you can induce healthy and correct eating habits.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대상 영유아의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영양제를 추천해주는 것은 물론, 영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상 영유아의 성장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nutritional supplements capable of supplementing insufficient nutrients are recommended based on nutritional analysis information of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well as nutritional consulting services are provided so that the growth of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can be managed more systematically.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시스템(10)에서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100)에서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a 내지 5l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식사정보를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단기록이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영양분석 레포트가 스마트 폰을 통해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영양분석 레포트가 PC를 통해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메뉴별 급식 레포트가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분류별 급식 레포트가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월간 급식 레포트가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structure of a system for managing a platform-based infant di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n infant diet in the diet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n infant diet in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A to 5L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first user terminal using a diet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A to 6E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first user terminal or a second user terminal for inputting meal information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n which a diet record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is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first user terminal or a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one form of a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a diet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a diet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nutrition analysis report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generated by a die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through a smart phone.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nutrition analysis report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generated by a die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through a PC.
1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eal report for each menu is provided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eal report by category is provided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onthly meal report is provided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make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disclosure, which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like elem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disclosure.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s omitted. The term "unit" or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or "module"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unit" or "module"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unit” or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a “unit” or “module”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or may be combin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하여 정의하면 하기와 같다.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as follows.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장치로 한정하였으나, 서버, 컴퓨터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그 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is limited, but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a computer, and/or a portable terminal, or may be any one of them.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computer,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late PC,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web browser.

상기 서버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is a server that processes information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an application server, a computing server, a database server, a file server, a game server, a mail server, a proxy server, and a web server.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nd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 and wearable devices such as watches, rings, bracelets, anklets, necklaces, glasses, contact lenses, or head-mounted-devices (HMDs). can includ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를 위한 식단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network structure of a platform-based diet management system for infant diet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를 위한 식단 관리 시스템(10)은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100)(이하, '식단 관리 장치'라 칭함)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platform-based diet management system 10 for infant diet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et management device') a first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식단 관리 장치(100)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게 영유아에 대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 식단 관리 장치(100)는 서버일 수 있다.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platform-based diet management ser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at least one user, and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a server.

구체적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획득하고, 그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그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양분석 레포트 및/또는 맞춤형 추천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한다. Specifically,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obtains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responds to the user terminal 200's request. Accordingly,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and/or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여기서, 개인정보는 대상 영유아의 이름, 성별, 나이(개월수), 생년월일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며, 식단 관리 장치(100)는 최초 가입 시에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를 획득하여 서비스 이용자로서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후, 식단 관리 장치(100)는 영유아의 성장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개인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줄 것을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요청할 수 있다.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target infant's name, gender, age (number of months), date of birth, and body information, and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cquires the target infant's personal information at the time of initial sign-up and registers it as a service user. manage Thereafter,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request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o update personal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consideration of the growth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또한,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대상 영유아의 식사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며,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임의로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식사정보를 분석한 영양분석정보를 이용하여 영양분석 레포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영양분석 레포트는 식습관 정보, 영양소 섭취 정보, 섭취 현황 정보, 성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영양분석레포트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에 따라 다른 단말로 송신하여 공유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0)이 특정 대상 영유아의 보호자 단말이고, 제2 사용자 단말(300)이 특정 대상 영유아의 기관(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병원 등) 담당자 단말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가 식단 관리 장치(100)에 특정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를 송신하여 그 식단 관리 서비스에 등록하고, 이후에 제2 사용자 단말(300)이 그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를 송신하여 식단 관리 장치(100)로 제공하면, 식단 관리 장치(100)가 그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영양분석 레포트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obtains and accumulates at least one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store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A nutrition analysis report is generated by using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accumulated and stored meal information for a period set by or arbitrarily set. Here,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ating habit information, nutrient intake information, intake status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and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it can be transmitted and shared to other terminals. 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for a guardian of a specific target infant and young child,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in charge of an institution (daycare center, kindergarten, school, hospital, etc.)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the first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of a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to register in the diet management service, and t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ends the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s personal information. When meal information for target infants and toddlers is transmitted and provided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generates a nutrition analysis repor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and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 or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한편, 식단 관리 장치(100)는 맞춤형 추천정보로서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에 따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 영유아의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식단정보 및/또는 영양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식단 관리 장치(100)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양컨설팅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식단 관리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영양분석 레포트, 맞춤형 추천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시간/일/월/연간 등)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도 있고, 해당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되어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에 따라 열람 및/또는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그 제공되는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š, 열람 및/또는 다운로드는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uses big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s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Information and/or nutrition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generate and provide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using big data. At this tim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cluding nutrition analysis reports and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re sent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hour/day/month/year, etc.) It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300, and may be uploaded through a corresponding platform to be viewed and/or downloaded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the provided form is not limited. Whether to provide this, viewing and/or downloading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uthority of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이 식단 관리 장치(100)는 플랫폼으로서 가정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각각 획득함으로써, 가정은 물론 기관에서 이루진 모든 식사에 대한 전체 식사정보(아침, 점심, 저녁, 간식 등)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해당 대상 영유아에 대한 통합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obtains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at least one target infant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based on a home linked application as a platform, so that the home can Of course, all meal information (breakfast, lunch, dinner, snack, etc.) of all meals made in the institution can be accumulated and sto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an integrated analysis on the target infants and toddlers.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식단 관리 장치(100)로부터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서, 제1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200)를 통해 플랫폼을 설치 및 실행하여 식단 관리 장치(100)로부터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 first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of a first user who wants to receive a diet management service from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first user installs and executes a platform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o manage the diet. A diet management service may be provided from the device 100 .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대상 영유아의 식사정보로서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촬영하여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하되, 대상 영유아의 이름, 성별, 나이(개월수), 생년월일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 함께 송신하여 대상 영유아에 대한 영양분석 레포트 및/또는 맞춤형 추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개인정보를 플랫폼을 기반으로 미리 등록하고, 이후 식사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어느 하나의 대상 영유아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선택된 대상 영유아에 대한 영양분석 레포트 및/또는 맞춤형 추천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user terminal 200 captures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as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but includes the target infant's name, gender, and age (months). number), date of birth, and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body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gether to receive nutrition analysis reports and/or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arget infants and toddlers.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Personal information of at least one target infant is pre-registered based on the platform, and then, before meal information is provided, one target infant is selected to provide meal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target infant. By transmitting,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 nutritional analysis report and/or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target infants and toddlers.

즉,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영양분석레포트를 제공받음으로써 대상 영유아의 식사량, 탄단지(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율, 식사속도 및 당류섭취가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지, 평균적으로 몇 칼로리를 소비하고 있는지, 부실하게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가 무엇인지, 곡류, 고기류(생선, 달걀, 콩류 포함), 채소류, 과일류, 유제품류 등의 섭취가 골고루 이뤄지고 있는지, 또래 다른 아이들 대비 성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예를 들어, 또래와 신장, 체중(비만/저체중 등) 등을 비교 분석)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영양분석레포트는 대상 영유아의 식습관 분석결과를 더 포함하되, 그 식습관 분석결과와 연계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급성 및 지연성 알레르기 검사 테스트 결과, 장내 세균 테스트 결과 및/또는 어린이 건강검진 결과 등과 같은 전문 테스트 결과를 연동시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서비스로서 영양관리와 관련한, 일일/연령별 영양소/칼로리 권장 섭취량 충족 여부 확인, 일일/연령별 식품군 별 적정 섭취량 충족여부 확인, 그리고 영양소/식품군 별 개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맞춤형 식품/영양제/전문가 상담/놀이 상품을 추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그 상담/놀이 상품 또한 해당 대상 영유아의 영양상태 및/또는 성장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섭취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형화 된 해당 대상 영유아의 정보를 활용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by receiving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the first user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target infant's meal amount, carbohydrate (carbohydrate, protein, fat) ratio, meal speed, and sugar intake are appropriate, and how many calories are consumed on average. What nutrients are ingested poorly, whether the intake of grains, meat (including fish, eggs, and legumes), vegetables, fruits, and dairy products is evenly distributed, and the level of growth compared to other children of the same age ( For example, information on height, weight (obesity/low weight, etc.) and comparison analysis with peers can be obtained. Furthermore,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further includes the eating habits analysis results of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but professional experts such as acute and delayed allergy test test results, intestinal bacteria test results, and/or children's health checkup results that can be serviced in connection with the eating habits analysis results Test results can be interlocked and provided. In addition, the service is related to nutrition management, checking whether the recommended intake of nutrients/calories by day/age is satisfied, checking whether the proper intake of each food group by day/age is met, and consulting customized food/nutritional supplements/experts using personal data by nutrient/food group / You can recommend and provide play products. At this time, the counseling/play product may also be provided as a customized service considering the nutritional status and/or growth status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In addition, customiz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by utiliz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typed based on the intake data.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맞춤형 추천정보로서 식단정보, 상품정보 또는 영양제정보들을 제공받음으로써, 제1 사용자는 해당 대상 영유아에게 영양상태나 성장상태에 적합한 식단을 활용하여 건강한 식습관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고, 현재 대상 영유아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주는 영양제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성장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품정보는 해당 대상 영유아의 영양과잉, 영양부족 등의 영양상태에 따라 적합한 상품(밀키트 제품, 레토르트 제품 등)을 추천해줄 수 있다. 이때, 해당 상품에 대한 구입정보(구입처 링크, 구입처 이름 등을 포함함)를 함께 제공하여 구입 또한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제1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동시에 판매 수익을 창출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receives diet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or nutrient information as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first user induces healthy eating habits by utilizing a diet suitable for the nutritional status or growth status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It can be done, and it is possible to ensure smooth growth by enabling the intake of nutritional supplements that supply nutrients necessary for the current target infants and toddlers. In particular, product information may recommend appropriate products (meal kit products, retort products, etc.) according to nutritional conditions such as overnutrition or undernutrition of the target infant. At this time, by providing purchase information (including a purchase place link, purchase place name, etc.)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together to facilitate purchase,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first user and generate sales revenue at the same time.

한편, 제2 사용자 단말(300) 또한 식단 관리 장치(100)로부터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제2 사용자(식사 공간의 관리자, 영양사, 배식원 등)의 단말로서,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식사 공간 내에 설치 또는 구비되는 단말이거나, 제1 사용자 단말(200)과 같이 개인 단말일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을 관리하는 기관 단말로서, 그 기관 이내에 설치 또는 구비되거나, 그 기관과 관련한 제2 사용자(식사 공간의 관리자, 영양사, 배식원 등)에 의해 소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also a terminal for a second user (a manager of a dining space, a nutritionist, a caterer, etc.) who wants to receive a menu management service from the menu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second user is the second user. The terminal 300 may be a terminal installed or provided in a dining space, or may be a personal terminal like the first user terminal 200 . That is,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an institutional terminal that manages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and is installed or provided within the institution, or is a second user related to the institution (a manager of a dining space, a nutritionist, a caterer, etc.) can be possessed by

제2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 플랫폼을 설치 및/또는 실행하여 그 식사 공간에서 식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식단 관리 장치(100)로 제공함으로써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식사 공간 내에 설치 또는 구비되는 경우에는, 대상 영유아가 제2 사용자 단말(300) 앞에 위치하여 자신을 인식하도록 한 이후, 그 상태로 머무르며 자신의 식판(접시)이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이 개인 단말인 경우, 제2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각 대상 영유아를 자동 인식하거나 수동 인식(선택)하도록 한 이후, 그 대상 영유아의 식판(접시)을 촬영할 수도 있다.The second user installs and/or executes the platform i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o manage the diet by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eating in the dining space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service can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installed or provided in the dining space, the target infant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o recognize itself, and then stays in that state and owns a plate ( plate) can be photographed. In addition,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a personal terminal, after the second user automatically recognizes or manually recognizes (selects) each target infant using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e target infant's food tray You can also take a picture of (the plate).

구체적으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제2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를 플랫폼을 기반으로 등록하고, 제2 사용자 단말(300)이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영유아를 인식한 후, 그 대상 영유아의 식사정보로서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촬영하여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2 사용자 단말(300)은 그 대상 영유아에 대한 영양분석 레포트 및/또는 맞춤형 추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registers person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based on the platform,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registers person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pre-registered. After recognizing the target infan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s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Accordingl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be provided with a nutritional analysis report and/or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이를 위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대상 영유아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QR 코드, 바코드, RFID, NFC 등) 및 생체정보(안면, 홍채, 지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 영유아를 자동으로 인식하거나 이뤄질 수도 있고, 안면 인식을 통해 이뤄질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uses at least one of recognition means (QR code, barcode, RFID, NFC, etc.) and biometric information (face, iris, fingerprint,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may be automatically recognized or perform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facial recognition.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0)에는 인식수단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캔할 수 있는 패드(305)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 된 대상 영유아 리스트(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를 리스트 형태로 나열하여 생성됨)에서 어느 하나의 대상 영유아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0)에는 대상 영유아의 식사정보로서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한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촬영하거나 생체정보로서 안면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 각각은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d 305 capable of scanning at least one of a recognition unit and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r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connection. Alternatively, a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may be selected from a list of target infants or young children (generated by listing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in a list form) displayed o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In addition, at least one imag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o capture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as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or to recognize a face as biometric information. In this case, each of the at least one imaging device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r may be detachably provided.

한편,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1 사용자 단말(200)과 마찬가지로 식단 관리 장치(100)로부터 영양분석레포트를 제공받는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되는 영양분석레포트는 앞서 설명한 제1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되는 영양분석레포트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일부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포함되는 정보를 한정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receives a nutrition analysis report from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like the first user terminal 200 . At this time,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include the same information as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described above, or may optionally include som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therein. does not limit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맞춤형 추천정보로서 식단정보 또는 영양제정보들을 제공받음으로써, 제2 사용자는 현재 대상 영유아에게 영양상태나 성장상태에 적합한 식단을 활용하여 건강한 식습관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고, 현재 대상 영유아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주는 영양제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성장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receives diet information or nutrient information as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second user can induce healthy eating habits by using a diet suitable for the current target infant or toddler's nutritional status or growth statu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smooth growth by allowing the current target infants to consume nutritional supplements that supply necessary nutrients.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식단 관리 시스템(10)은 전문가 단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전문가 단말을 매칭하여 주거나,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각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식사정보 및/또는 영양분석정보를 전문가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그 전문가로부터 각 대상 영유아와 관련한 의학적인 정보(조언, 진단, 참고사항, 개선사항 등)를 포함하는 영양컨설팅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해줄 수도 있다.한편,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플랫폼을 기반으로 등록(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개인정보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가입 시에 등록되거나, 가입 이후에 추가 추가 등록될 수도 있으며, 등록 이후에 편집, 삭제, 추가 등의 수정 또한 가능하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diet management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n expert terminal (not shown), and includes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the expert terminal. Matching, or by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meal information, and/or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of each target infant or toddler provid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o the expert terminal,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advice, diagnosis, reference, improvement, etc.) related to the target infant may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n the other hand,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registered (stored) based on the platform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registered when subscribing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or may be additionally registered after joining, and modifications such as editing, deleting, adding, etc. are possible after registr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100)는 영유아에 대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일 수 있다. 한편, 식단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단말(200), 제2 사용자 단말(300) 또는 전문가 단말(미도시)은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테블릿(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패드(Pad),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블랙 박스(black box)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기타 이동통신 단말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 또는 전기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200)은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웹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diet management service for infants and toddlers. On the other hand,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r an expert terminal (not shown) for using the diet management service is a computer capable of installing and runn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ie, applications), UMPC (Ultra Mobile PC), workstation, 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ortable computer, web tablet, wireless phone, mobile phone , smart phone, pad, smart watch, wearable device (eg,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 e-book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portable game consoles, navigation devices, black boxes or digital cameras, computer devices such as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tc. Or it may be a telecommunication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200 may need to install a separate program or application to receive the diet management service. However,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a diet management service may be provided by accessing a web page.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을 각각 하나씩 도시하였으나,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그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식단 관리 시스템(10)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둘 중 하나만 포함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즉, 식단 관리 시스템(10)을 기반으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과 같이 개인적으로 소지할 수 있는 형태의 단말을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고, 제2 사용자 단말(300)과 같이 식사 공간에 설치되어 복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그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illustrated, but the numb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be plural. The number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diet management system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may include only one of the two or only one of the two. . That is, users who are provided with a diet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e diet management system 10 individually use a type of terminal that can be personally held, such as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e meal management service may be provided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and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each of a plurality of target infants or young children installed in a meal space lik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eal management services may also be provided.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100)는 통신모듈(110), 저장모듈(130), 분석모듈(150) 및 제어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storage module 130, an analysis module 150, and a control module 170. there is.

통신모듈(110)은 영유아에 대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들을 제1 사용자 단말(200),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그 외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송수신한다. 즉, 이 통신모듈(110)은 제1 사용자 단말(200),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그 외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ransmits information or data necessary to provide a diet management service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at least one other expert terminal (not shown). send and receive one That is,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at least one other expert terminal (not shown),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field.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식단 관리 장치(100)는 앞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식단 관리 장치(100)와 제1 사용자 단말(200),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그 외 전문가 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A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 -Local communication may be supported using at least one of wireless-fidelity (Fi),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These wireless area networks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other expert terminals. At this time,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local are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저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200),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그 외 전문가 단말(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모듈(130)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영양분석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저장모듈(130)은 전문가 단말(미도시)로부터 획득한 영양컨설팅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module 130 stores information and data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other expert terminals (not shown). Specifically, the storage module 130 accumulates and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stores nutritional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thereon. do. Meanwhile, the storage module 130 stores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expert terminal (not shown).

분석모듈(150)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한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식사정보를 분석하여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분석모듈(150)은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이미지들을 통해 섭취한 음식의 종류와 그 섭취량을 확인하여 대상 영유아의 식사량, 식사속도, 당류섭취, 탄단지 비율 등을 평가한 평가정보와, 섭취한 영양소에 대한 수치정보, 섭취한 음식 종류, 백분위 기반의 성장정보 등을 영양분석정보로서 생성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간은 일간, 주간, 월간, 년간으로 설정되거나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 각각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150 generates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acquired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meal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 Specifically, the analysis module 150 checks the type of food consumed and the amount of food consumed through the accumulated images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nd evaluates the amount of food eaten, eating speed, sugar intake, and sugar intake rate of the target infant. , Numerical information on nutrients consumed, types of food consumed, and growth information based on percentiles are generated as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Here, the preset period may be set to daily, weekly, monthly, or yearly, or arbitrarily set by each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제어모듈(170)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획득하여 누적 저장하고,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식사정보를 분석하여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이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영양분석 레포트, 맞춤형 추천정보 및 영양컨설팅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함으로써 제공한다. 이때, 제어모듈(170)은 영양분석 레포트에 포함되는 영양분석정보들을 다양한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70 acquires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ccumulates and stores them, and operates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s 300,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accumulated meal information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nd nutrition analysis reports,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are provided. At least one is generated and provided by transmitt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70 may visualize and provide the nutritional analysi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in various graph forms.

이때, 제어모듈(170)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각 사용자들이 플랫폼 상에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그 정보들을 획득할 수도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영상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다른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과 연동되어 그 정보들을 불러올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70 acquires the information by allowing each user to directly input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on the platform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image or video data stor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called, or the information is linked to other websites, applications, programs, etc. can also call them.

여기서 언급된 이미지는 음식이 포함된 모든 이미지를 의미하며,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 이외에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과거에 촬영되어 기 저장된 이미지 역시 제어모듈(170)에 의해 업로드될 수 있으며 분석될 수 있다.The images mentioned herein refer to all images containing food, and in addition to images captured and stored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Alternatively, pre-stored images captured in the past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also be uploaded and analyzed by the control module 170 .

이를 위해, 플랫폼과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사전에 등록되어 연동이 자동으로 이뤄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필요시 마다 요청함에 따라 연동이 이뤄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제1 사용자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제2 사용자는 플랫폼 상에 등록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어린이집 또는 학교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플랫폼에 자동적으로 그 각각의 대상 영유아의 식사정보가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latform, website, application, program, etc. may be pre-registered and interlocking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interlock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whenever necessary. For example, the first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nterwork with a daycare center or school application for each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to be registered on the platform. Meal information of each target infant can be automatically recorded on the platform.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시스템(10)에서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n infant diet in the diet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고하면,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플랫폼을 설치 및/또는 실행하고(S11), 제1 사용자로부터 가입정보 및/또는 개인정보가 입력되면(S13), 그 가입정보 및/또는 개인정보를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15). 한편, 제2 사용자 단말(300) 또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플랫폼을 설치 및/또는 실행한다(S12). 이때, S12 단계가 수행되는 시점은 한정하지 않으며, S11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 a first user installs and/or executes a platform for receiving a diet management service throug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S11), and subscription information and/or perso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If input (S13),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and / or pers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S15). Meanwhil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lso installs and/or executes a platform for receiving a diet management service (S12). At this time, the timing at which step S12 is performed is not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before step S11.

한편, S13 단계에서, 제1 사용자가 식단 관리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식단 관리 서비스에 최초 가입하는 상황이라면, 가입정보를 먼저 입력한 후에 개인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가입정보로서 개인정보를 함께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정보는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의 보호자에 대한 정보로서, 그 보호자의 이름, 성별, 나이, 생년월일, 주소 및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개인정보는 그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이름, 성별, 나이(개월수), 생년월일, 신체정보 및 기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3, if the first user signs up for the diet management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for the first time, subscrip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first and then personal information may be input, or as subscription information. You can have them enter your personal information together. Here,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guardian of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who is the target of the servic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guardian's name, gender, age, date of birth, address, and contact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At least one of the name, gender, age (number of months), date of birth, body information, and institutional information of each target infant may be included.

그 다음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가입정보 및/또는 개인정보가 수신되면, 그 가입정보 및/또는 개인정보를 등록(저장)한다(S17).Next, when subscription information and/or perso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registers (stores)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and/or personal information (S17).

한편, S13 단계 내지 S15 단계는 해당 서비스에 최초 가입할 시 또는 서비스 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서비스의 개시를 요청할 시에만 수행되는 것으로, 식단 관리 장차(100)에 그 가입정보/개인정보가 등록된 이후에는 생략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steps S13 to S15 are performed only when the service is first subscribed or when a service is requested for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and the subscription information/individual in the diet management future (100) It can be omitted after the information is registered.

그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제1 사용자에 의해 플랫폼을 통해 그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중 특정 대상 영유아가 선택되면(S19), 제1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그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를 획득한 후(S21), 그 식사정보를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 그 다음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특정 대상 영유아에 식사정보를 저장한다(S25). 이때, S19 단계 내지 S25 단계는 식사 전 및 식사 후에 각각 수행될 수 있다.Next, when a specific target infant is selected from among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registered through the platform by the first user (S19),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t least After acquiring meal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using one imaging device (S21), the me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Next,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stores the me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0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S25). At this time, steps S19 to S25 may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meals, respectively.

그 다음으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제2 사용자에 의해 플랫폼을 통해 그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중 특정 대상 영유아가 선택 또는 인식되면(S27),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그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를 획득한 후(S29), 그 식사정보를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S31). 그 다음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특정 대상 영유아에 식사정보를 저장한다(S33). 이때, S27 단계 내지 S35 단계는 식사 전 및 식사 후에 각각 수행될 수 있다.Next,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provid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when a specific target infant is selected or recognized through the platform by the second user (S27). After obtaining meal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target infant using at least one imaging device (S29), the me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S31). Next,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stores the me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S33). At this time, steps S27 to S35 may be performed before and after meals, respectively.

한편,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식사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함에 따라, S19 단계 내지 S33 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그 횟수 또는 시점은 한정하지 않는다.Meanwhile, as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ccumulates and stores meal information received from either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teps S19 to S33 may be repeatedly performed. and the number or timing is not limited.

이후, 식단 관리 장치(100)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요청에 따라 누적하여 저장한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와, 그 특정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고(S35), 그 분석의 결과로서 각종 정보를 생성한다(S37). 이때, 요청은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권한이 허용된 단말이라면 요청 가능한다.Thereafter,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performs an analysis using the accumulated and stored meal information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arget infa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or request (S35), and of the analysis As a resul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re generated (S37). At this time, the request may be made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the request can be made if the terminal has permission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그 다음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는 그 생성된 각종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한다. 비록, 도 3에는 식단 관리 장치(100)가 각종 정보를 생성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모두에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송신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Next,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transmits the generate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Although FIG. 3 shows that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generates and transmi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both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t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 may optionally be provided.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식단 관리 장치(100)는 S17 단계 이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응하는 기관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두 명의 대상 영유아가 등록되었고, 그 두 명의 대상 영유아에 대응하는 기관이 서로 상이하다면, 그 각각의 기관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각각 매칭하여 저장한다. 즉, 매칭은 제2 사용자 단말(300)에게 대상 영유아에 대한 정보의 편집, 열람 및 다운로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플랫폼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등록된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열람 및/또는 다운로드하거나,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획득된 식사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식단 관리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열람 및/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3 ,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match and store an orga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after step S17 . For example, if two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register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institu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each institution Match each one and save. That is, matching may be granting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permission for at least one of editing, reading, and download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As a result,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can view and/or download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infant registered by the first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platform, or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cquired me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n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arget infants generated by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viewed and/or downloaded.

한편, 도 3은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S13 단계 내지 S15 단계가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수행되고, 그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를 각각의 보호자의 단말, 즉, 제1 사용자 단말(200)과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FIG. 3 shows one embodiment, in which steps S13 to S15 are perform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at least one target infant registered by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removed. It may also be matched with the terminal of each guardian, that is,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stored.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100)에서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n infant diet in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식단 관리 장치(100)는 통신모듈(110)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획득하여 저장모듈(130)에 저장하고(S101),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분석모듈(150)을 통해 특정 대상 영유아의 식사정보를 분석한다(S103). 이때, 도 4를 기반으로 하면,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함께 획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는 시간 차를 두고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개인정보를 일회적으로 획득한 후, 일정 시간 이후 식사가 이뤄질 때마다 식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cquires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of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t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30 (S101),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or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analysis module 150 to a specific target The infant's meal information is analyzed (S103). At this time, based on FIG. 4 , it may be understood that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are obtained together,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may be obtained with a time difference. That is, after obtain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once, meal information may be acquired whenever a meal is serv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이후, S103 단계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고(S105), 그 생성된 영양분석정보들을 가공하여 레포트 형태로 구성한 영양분석 레포트를 제1 사용자 단말(200)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송신하여 제공한다(S107).Thereafter,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big data using the analysis results of step S103 (S105), and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port by processing the generated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 or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provided (S107).

한편,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따라 특정 대상 영유아의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맞춤형 추천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109).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r at the request of either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of a specific target infant using big data. It is created and provided (S109).

여기서, 이용되는 빅데이터는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 정보 기반의 빅데이터이거나, 대상 영유아와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는 다른 영유아들의 정보 기반의 빅데이터일 수 있다. Here, the big data used may be big data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on th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or big data based on information on other infants or young children that can be classified into the same category as th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도 5a 내지 5l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기반으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A to 5L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first user terminal using a platform-based diet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1 사용자 단말(200)이 플랫폼을 설치 후 실행하면 도 5a와 같이 로딩 화면이 구현되고, 이후 도 5b 내지 도 5e와 같이 제1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된다.Whe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installs and executes the platform, a loading screen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 5A, and then, as shown in FIGS. 5B to 5E, the user can inpu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to be registered. interface is implemented.

제1 사용자는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로서, 이름, 나이 성별, 키, 몸무게, 대략적인 식사시간 식사량 및 알레르기에 대한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대상 영유아를 서비스 대상자(식단 관리 대상자)로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는 다수의 영유아를 서비스 대상자(식단 관리 대상자)로서 등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를 각각 개별적으로 입력하여 등록하면 된다.The first user can register the target infant as a service target (diet management target) by sequentially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name, age, gender, height, weight, approximate meal time, meal amount, and allergy a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 At this time, the first user may register a pluralit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service target persons (diet management target persons). In this case,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infant or young child may be individually input and registered.

이렇게 서비스 대상자 등록이 완료되면, 도 5f와 같이 대상 영유아에 대해 제공할 수 있는 각종 서비스 카테고리가 구분되어 배치되는데, 이때 서비스 카테고리는 대상 영유아의 누적 저장된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영양분석 레포트를 생성하여 제공해주는 영양 확인 카테고리, 대상 영유아에 대한 매일 매일의 식사정보를 일기 형태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푸드다이어리 카테고리, 대상 영유아에게 적합한 맞춤형 식단을 추천해주는 식단 추천 카테고리, 대상 영유아에 필요한 영양제를 추천해주는 영양제 추천 카테고리 및 대상 영유아에 대한 전문가(의료진, 영양사 등)의 영양 컨설팅 정보를 제공해주는 영양 컨설팅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registration of service recipients is completed, various service categories that can be provided to target infants and toddlers are classified and arranged as shown in FIG. Nutrition check category, food diary category that allows you to record daily meal information for target infants in the form of a diary, diet recommendation category that recommends customized diets suitable for target infants, nutritional supplement recommendation that recommends necessary nutrients for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It can be composed of nutrition consulting categories that provide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from experts (medical staff, nutritionists, etc.) on categories and target infants and toddlers.

이때, 식단 추천 카테고리를 통해 추천되는 식단은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하되 빅데이터 또는 기학습된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선호하는(자주 먹는) 음식, 필요한 영양소가 포함된 음식들을 추출하면서, 색감을 고려하여 식단을 구성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추천 음식들과 관련한 재료, 밀키트, 건강 보조식품 등을 추가적으로 추천하거나, 그 추천 음식들에 대한 레시피를 제공해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commended menu through the recommended menu category is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but may be generated using big data or a pre-learned machine learning model. At this time, while extracting preferred (frequently eaten) foods and foods containing necessary nutrients, a menu may be configured and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color. In addition, ingredients, meal kits, health supplements, etc. related to the recommended foods may be additionally recommended, or recipes for the recommended foods may be provided.

나아가 그 추천한 재료 또는 밀키트에 대한 주문이 그 플랫폼 상에서 이뤄지도록 하거나 판매 사이트로 이동하여 주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단 추천 카테고리를 통해 단순히 식단을 추천하는데 그치지 않고, 주문까지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제1 사용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하고, 대상 영유아가 그 추천 음식들을 실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형있는 식사가 가능하도록 하며, 판매자에게는 자연스러운 홍보(광고)를 통한 판매 효과까지 도출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make an order for the recommended ingredient or meal kit on the platform or go to a sales site to place an order. In this way, convenience is provided to the first user by not only recommending a menu through the menu recommendation category, but also making an order, and enabling a balanced meal by allowing the target infant to actually receive the recommended foods, , sales effect can be derived through publicity (advertisement) that is natural for sellers.

한편, 도 5f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대상 영유아에게 적합한 운동을 추천하여 주거나, 의료기관을 추천하여 줄 수 있으며, 이 경우 추천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상술한 카테고리 외에 카테고리를 변경(추가 또는 삭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식단 관리 장치(100)의 관리자 또는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추천 카테고리들을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5F, it is possible to recommend exercise suitable for target infants or young children or to recommend a medical institution. can That is, the manager of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or the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may change and configure the recommended categories as needed.

여기서, 식단 관리 장치(100)에 의해 분석되거나 수집되는 정보는 의료기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식단 관리 장치(100)에 의해 분석되거나 수집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의약품 리스트가 의료기관에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Here, the information analyzed or collected by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a medical institution, and at this time, a list of recommended medicines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or collected by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the medical institution together. may be

만약, 제1 사용자가 대상 영유아의 영양분석 레포트를 제공받고자 영양 확인 카테고리를 터치(클릭)하면, 도 5g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사용자가 분석 동의 여부를 체크하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분석에 동의하면 분석이 시작되는데 그 분석되는 시간 동안 도 5h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If the first user touches (clicks) a nutrition confirmation category to receive a nutrition analysis report of th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a user interface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 If the consent is given, analysis starts, and during the analysis time, a user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5H.

그 분석이 완료되면, 도 5i와 같이 대상 영유아의 각종 영양분석정보들을 포함하는 영양분석 레포트가 표시되는데, 이때 각종 영양분석정보들은 다양한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되어 제공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대상 영유아의 영양정보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When the analysis is completed, a nutrition analysis report including various nutritional analysis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nutrition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한편, 제1 사용자가 대상 영유아에 대한 매일 매일의 식사정보를 일기 형태로 기록하고자 푸드다이어리 카테고리를 터치(클릭)하면, 도 5j와 같이 시계열적으로 그날 그날의 식사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각 끼니 마다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하는 대표 이미지가 칼로리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user touches (clicks) the food diary category to record daily meal information for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in the form of a diary, the meal information for that day is displayed time-sequentially as shown in FIG. 5J. Specifically, a representativ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photographed for each meal may be displayed along with calories.

제1 사용자가 그 각각의 대표 이미지를 클릭하면, 도 5k 및 도 5l과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세부정보를 표시해준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통해 자동 인식한 음식의 종류가 표시되고, 칼로리와 영양소 섭취량을 함께 표시하여 줄 수 있다. 이때, 잘못 인식한 음식은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user clicks each representative image, a user interface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5K and 5L to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type of food automatically recognized through an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may be displayed, and calorie and nutrient intake may be displayed together. In this case, the wrongly recognized food may be corrected directly by the user.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식사정보를 입력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E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first user terminal or a second user terminal for inputting meal information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제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사용자(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플랫폼이 실행하여 식사정보를 입력하도록 선택한 경우, 도 6a와 같이 복수의 대상 영유아 중 특정 대상 영유아를 선택한 후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식전 또는 식후 버튼이 형성되어, 그 촬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식전에 촬영된 이미지인지 식후에 촬영된 이미지인지를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First, when a user (first user or second user)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selects to input meal information by executing the platform, among a plurality of target infants as shown in FIG. 6A The user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so that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after selecting a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In this case, a pre-meal or post-meal button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one image to be photographed is stored after distinguishing whether the image is captured before or after the meal.

이후, 도 6b와 같이 식전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대상 영유아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전 식사정보를 획득하여 식단 기록을 완료한다. 이때, 도 6c와 같이 식전 기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이 표시될 수 있고, 식전 기록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6d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시 촬영할 수 있도록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a specific target infant is selected by the user in a state set to meal as shown in FIG. 6B, at least one image capture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used By taking an image, pre-meal meal information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is obtained and the meal record is complet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C , a notification notifying that recording of the meal has been completed may be displayed, and after the recording of the meal is completed, the user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so that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again as needed as shown in FIG. 6D .

이후, 도 6e와 같이 식후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대상 영유아가 선택되면, 제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후 식사정보를 획득하여 그 플랫폼 상에 식단기록을 업데이트(생성)한다. 도 6e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다시 촬영할 수 있도록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reafter, when a specific target infant is selected by the user in a state set to after eating as shown in FIG. 6E, at least one image capture device provided in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By taking an image, post-prandial meal information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is obtained, and a meal record is updated (created) on the platform. Even after FIG. 6E , the user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to recapture as needed.

한편, 도 6a 내지 도 6e를 통해 도시하지 않았으나, 아이의 이름을 선택하기 전이나 후에 그 식사에 대한 설정값을 선택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식사에 대한 설정값은 아침, 점심, 저녁, 오전 간식 및 오후 간식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S. 6A to 6E , a user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to select a setting value for the meal before or after selecting the child's name. In this case, the setting value for the meal may be a value for setting any one of breakfast, lunch, dinner, morning snack, and afternoon snack.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단기록이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앞서 도 6에서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통해 업데이트(생성)된 식단기록을 나타내는 것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n which a meal record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is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first user terminal or a second user terminal based on 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represents the updated (created) diet record through a series of operations as in Fig. 6.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단기록은 날짜 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그 날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사정보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제1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표시모듈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식사정보 각각은 대표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는 그 대표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그 식사정보의 세부정보가 표시되거나 이미지를 다시 업로드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meal records for specific target infants and toddlers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by date, and at least one me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e is sequentially arranged so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2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I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of (300). At this time, each of the at least one meal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representative image, and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selects the representative image, thereby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meal information or triggering a user interface to re-upload the image. can be implemented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2 사용자 단말이 식사 공간 내에 설치 또는 구비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 of a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a meal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the second user terminal is installed or provided in a dining space.

도 8을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대상 영유아가 감지되면, 그 특정 대상 영유아를 자동 인식하거나 수동 인식(선택)한다. 이후, 거치부(303) 상의 지정된 위치에 음식이 담긴 식판이나 접시를 감지하면,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그 식팜이나 접시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로써, 제2 사용자 단말(300)은 그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그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8 , when a specific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is detecte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utomatically recognizes or manually recognizes (selects) the specific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Thereafter, when a tray or dish containing food is detected at a designated location on the holding unit 303,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the food or dish is obtained by taking a picture using at least one imaging device. Thus,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generates meal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target infant using the at least one image.

이후, 제2 사용자 단말(300)은 그 식사정보를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생성되는 식사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거나, 복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를 취합하여 한꺼번에 송신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제2 사용자 또는 식단 관리 장치(100)의 관리자에 설정될 수 있다.The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transmits the meal information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the generated meal information in real time, or collect and transmit meal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target infants and toddlers at once, which is the second user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r It can be set to the manager of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한편, 거치부(303)는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unit 30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그 거치부(303) 상에 거치된 식판이나 접시에 담긴 음식을 자동으로 인식 및 분류하는 것은 물론, 그 음식량을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모델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3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는 2D 카메라, 3D 카메라, ToF(Time of Flight) 카메라, 라이트 필드 카메라(light field camera), 스테레오 카메라, 이벤트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라이다(lidar) 센서, 어레이(array)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이미지) 정보와 깊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면 그 구성에 제한이 없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가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utomatically recognizes and classifies food on a plate or plate mounted on the holder 303, as well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earning model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amount of food. At least one may be used, and at least one imaging device provided i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include a 2D camera, a 3D camera, a Time of Flight (ToF) camera, a light field camera, a stereo camera,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vent camera, an infrared camera, a lidar sensor, and an array camera,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its configuration as long as it can measure video (image) information and depth information. Also,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obtain left and right images for realizing a stereoscopic image.

대상 영유아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QR 코드, 바코드, RFID, NFC 등) 및 생체정보(안면, 홍채, 지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상 영유아를 자동으로 인식하거나 이뤄질 수도 있고, 안면 인식을 통해 이뤄질 수도 있다. The target infant may be automatically recognized or perform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recognition means (QR code, barcode, RFID, NFC, etc.) and biometric information (face, iris, fingerprint, etc.) capable of recognizing the target infant, or face recognition may be done through

한편, 제2 사용자 단말(300)는 인식수단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캔할 수 있는 패드(305)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거치부(303) 상에 구비해둘 수 있다. 도 8에는 그 패드(305)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거치부(303) 상에 구비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도 9a 내지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2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모듈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Meanwhil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integrally form a pad 305 capable of scanning at least one of a recognition unit and biometric information, or may be provided on the holder 303 by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ad 305 is connected by wire and provided on the holder 303. FIGS. 9A to 9 are a diet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implemented in a display module of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second user terminal receiving a .

도 9를 참조하면, 제2 사용자 단말(300)과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는 그 특정 대상 영유아의 식사량에 따른 지표 또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는 특정 대상 영유아의 식전 식사정보 및 식후 식사정보를 비교하였을 때, 기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의 식사를 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칭찬의 의미를 나타내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고,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식사를 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격려의 의미를 나타내는 컨텐츠를 제공하여 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이미지,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캐릭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실시간 분석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이 섭취한 음식의 종류 및/또는 양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식습관을 개선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표출 또는 제공함으로써 식습관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식습관은 섭취량, 편식, 식사속도, 식사자세 및/또는 저작활동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유아의 섭취량이 권장 섭취량과 기 설정된 범위 이상 차이가 있는 경우, 더 먹도록 유도하는 컨텐츠(기 설정된 범위를 웃도는 경우) 또는 덜 먹도록 유도하는 컨텐츠(기 설정된 범위를 밑도는 경우)를 표출(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영유아의 성장상태(키 몸무게, 비만도 등)에 따라 성장에 필요한 식품군, 영양소 등을 더 채울 수 있도록 유도하는 컨텐츠를 표출(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n indicator or ima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meal of the specific target infan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Specifically, when the meal management device 100 compares pre-meal meal information and post-meal meal information of a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l has been eaten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range, it provides content indicating the meaning of praise accordingly. I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l is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content representing the meaning of encouragement may be provided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cont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mage, video, and sound, and may include a specific character. That is, through real-time analysis, the type and/or amount of food consumed by at least one target infant/young child is identified, and through this, at least one content that can motivate improvement in eating habits is displayed or provided to improve eating habits. can be managed. In this case, the eating habit may be related to at least one of intake amount, unbalanced diet, eating speed, eating posture, and/or chewing activity. For example, if the target infant's intake differs from the recommended intake by more than a preset range, content that induces them to eat more (if it exceeds the preset range) or content that induces them to eat less (if it falls below the preset range) can be expressed (provi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ress (provide) content that induces the target infant to fill in more food groups and nutrients necessary for growth according to the growth status (height, weight, obesity, etc.).

또한,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전체의 참여 스캔 횟수 및 잔반량의 평균 및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기준등급을 기반으로 확인되는 레벨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게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동기가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목표를 달성하여 레벨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그에 따른 컨텐츠를 표시하여 제공한다. 즉, 대상 영유아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요소를 가미함에 따라, 올바른 식사 습관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잔반랑을 줄일 수 있도록 캠페인 참여 등을 유도하여 환경 의식을 고취시키는데 도움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nalyzes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cans and the average and change trend of the amount of leftover food of all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who is provided with the diet management service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uses this to analyze the By calculating and providing a level to be checked based on the set reference grade, i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 this way,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can be motivated to achieve a goal. In addition, when a level is increased or decreased by achieving a goal,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and provided. That is, by adding an element that arouses interest in target infants and young childre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m to have proper eating habits. In addition, it can help to raise environmental awareness by inducing participation in campaigns to reduce leftovers.

뿐만 아니라,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AR 및/또는 VR을 기반으로 하는 식사 도우미(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유아의 식사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나 저작활동이 원활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그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표시모듈(301)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유선/무선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 상에 캐릭터가 밥을 같이 먹는 영상(이미지)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provide content for a meal helper (guide) service based on AR and/or VR through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 For example, if the target infant's eating speed is out of a preset speed range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ewing activity is not smooth, the display module 301 of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or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and A video (image) of a character eating rice together may be displayed and provided on a separate display device (not shown) connected wired/wirelessly.

이러한 동작들은 모두 식단 관리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식사정보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정보들(영양분석 레포트, 맞춤형 추천정보, 영양컨설팅정보 등)와는 상이하게, 도 9와 같이 제공되는 식단 관리 서비스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제공될 수 있다.All of these operations are performed based on the platform provided by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and are different from information (nutrition analysis report,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etc.) generated using meal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Differently, the diet management service provided as shown in FIG. 9 may be provided by analyzing meal information for each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n real time.

한편, 이를 위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도 9와 같은 식단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해당 식사 시간에 앞서 실시간 모니터링 모드로 수행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이 실시간 모니터링 모드가 수행되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이 설치 또는 구비된 식사 공간 내에서 식사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전 식사정보를 플랫폼을 통해 순차적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 이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후 식사정보 또한 플랫폼을 통해 순차적으로 식단 관리 장치(100)로 송신되는데, 이때는 식단 관리 장치(100)가 그 각각의 식사정보가 수신될 때 마다 그 해당 대상 영유아의 식전 식사정보 및 식후 식사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로 식사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컨텐츠를 제공해줄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의 식흐 식사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각각에게 컨텐츠를 제공해주는 것이다.Meanwhile, to this end,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set a platform to be performed in a real-time monitoring mode prior to a corresponding meal time in order to receive a meal management service as shown in FIG. 9 . That is, when this real-time monitoring mode is performed, the meal management device 100 sequentially transmits pre-dinner meal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target infant eating a meal in a dining space wher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is installed or provided through the platform. ) is sent to Thereafter, meal information after meals for at least one target infant is also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through the platform. Content can be provided by comparing pre-meal meal information and post-meal mea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meal has been eaten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That is, whenever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s meal information is received, content is provided to each of them.

또한,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후 식사정보까지 모두 수신이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석을 통해 레벨을 산출함으로써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목표 달성 정도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ll of the postprandial meal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received, the level is calculated through analysis as described above, thereby providing corresponding content or displaying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a goal.

한편,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 관련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람을 통해 해당 기관(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학원 등)의 수업 커리큘럼 혹은 추가활동 안내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활동 안내 서비스는 시간표, 교규 정리 시간, 낮잠자기 모드, 하교/등교 관리, 합죽이가 됩시다 합, 단어 따라하기, 생일 축하 노래/동요 재생, 캐릭터와 함께 스트레칭/춤추기 유도 컨텐츠 재생, 날씨/요일 알림, 무엇이든 물어보면 답하기(카메라를 이용한 백과사전) 및 사진 촬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provide various monitoring services as well as meal-related services for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Specifically, the alarm may be a guidance service for a class curriculum or additional activities of a corresponding institution (daycare center, kindergarten, school, academy, etc.). For example, additional activity guide services include timetable, school rules, nap mode, dismissal/back to school management, let's be happy together, following words, happy birthday song/children's song play, stretching/dancing induction content play with characters It may be at least one of , weather/day notification, answering any question (encyclopedia using a camera), and taking a picture.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영양교육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유아들에게 상상력, 창의력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로서, 구연동화, 인형극, 그림, 동요 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may further provide a nutrition education service. For example, storytelling stories, puppet plays, pictures, nursery rhymes,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as contents enabling target infants and toddlers to develop imagination and creativity.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가 순차적으로 입력(즉, 한명 한명 식전/식후의 식기를 촬영)될 시, 식단 관리 장치(100)를 통해 식사정보에 대한 입력이 완료된 대상 영유아와 매칭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식사시작알림(예를 들어, '아이가 밥을 먹을 시간이에요'와 같은 문구를 포함하는 알림) 또는 식사종료알림(예를 들어, '아아기 밥을 다 먹었어요'와 같은 문구를 포함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식단 관리 장치(100)은 그 입력된 각각의 식사정보를 식사시작알림 또는 식사종료알림과 함께 제공하되, 그 알림들은 각각 기 설정된 별도의 SNS나 플랫폼(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식단 관리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단말(200)의 GPS를 기반으로 해당 보호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확인된 위치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when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sequentially input (ie, photographing tableware before/after meals for each child), meal information through the meal management device 100 Meal start notification (for example, a notification including a phrase such as 'It's time for the child to eat') or meal end notification to at least one first user terminal 100 matched with the target infant for whom the input for is completed. (For example, a notification containing a phrase such as 'baby has finished eating')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provides each input meal information together with a meal start notification or a meal end notification, but the notifications may be provided through a separate pre-set SNS or platform (application, etc.) .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may check the location of the guardian based on the GPS of the first user terminal 200, and may provide the checked location to the second user terminal 300.

이러한 모든 동작들은 식단 관리 장치(100)의 제어모듈(17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ll of these operations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70 of the diet management device 100 .

한편, 앞서 설명한 도 9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도 9와 같이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닌 제2 사용자 단말의 표시모듈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Meanwhile, FIG. 9 described above only shows one embodiment, and the user interfac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9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display module of the second user terminal instead of the display device. That is, the display device is not an essential element.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영양분석 레포트가 스마트 폰을 통해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관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영양분석 레포트가 PC를 통해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nutrition analysis report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generated by a die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through a smart phone, and FIG. This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nutrition analysis report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generated by the die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rough a PC.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양분석 레포트는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식사정보와, 그 특정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영양분석 레포트를 다양한 형태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제공 형태 및 그 영양분석 레포트에 포함되는 정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is based on the meal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a specific target infan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arget infant, creating and providing a nutrition analysis report in various forms However, the form of provision an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are not limited.

구체적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특정 대상 영유아의 영양 상태를 신호등 형태로 표시하고, 또한 음식 섭취율, 섭취 음식류, 영양소 섭취 현황 및 섭취 열량을 그래프로서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그에 따른 종합 분석 결과를 제공하여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그 특정 대상 영유아의 식단 관리에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 the nutritional state of a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traffic light, and the food intake rate, food intake, nutrient intake status, and calorie intake are displayed and provided as a graph, so that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so that it can be checked intuitively. In addi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can refer to the diet management of the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성장 정보, 식사량 정보, 식사 속도를 특정 대상 영유아와의 또래 범위에 속하는 아이들과 비교하여 함께 표시하여 주고, 또한 특정 대상 영유아의 주간 식습관, 음식 섭취율, 섭취 음식류, 영양소 섭취 현황, 섭취 열량 및 성장 관여 영양소 섭취 현황을 그래프로서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그에 따른 종합 분석 결과를 제공하여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그 특정 대상 영유아의 식단 관리에 참고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growth information, meal amount information, and meal speed are compared with children belonging to the age range of a specific target infant and toddler and displayed together, and also weekly eating habits, food intake rate, food intake, and nutrients of the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Intake status, calorie intake, and growth-related nutrient intake status are displayed and provided as a graph, so that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can intuitively check. In addition, a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irst user or the second user can refer to the diet management of the specific target infant or toddler.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메뉴별 급식 레포트가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분류별 급식 레포트가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기반으로 월간 급식 레포트가 제공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eal report for each menu is provided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3 is a view in which a meal report for each category is provided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and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onthly meal report is provided based on 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급식 레포트는 복수의 조회 조건을 포함하고, 그 각각의 조회 조건을 기반으로 상이하게 생성되는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2 to 14, the meal repo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arch conditions, and provide analysis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differently based on each search condition.

이때, 급식 레포트는 특정 대상 영유아의 식단기록을 기반으로 생성되며, 사용자(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가 복수의 조회 조건 중 메뉴별 조회를 선택한 경우에는 그 대분류, 중분류, 메뉴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또는 입력할 수 있고, 그 선택 또는 입력된 값에 따라 분석 정보가 생성된다. 이때, 메뉴에 대한 대분류, 중분류 등은 급식으로 제공된 음식이 저장될 시에 기 저장된 음식정보를 통해 자동적으로 구분되거나, 급식을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eeding report is generated based on the diet records of specific target infants, and when the user (first user or second user) selects search by menu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onditions, at least one of the main category, middle category, and menu name is selected. It can be selected or inputted, and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or inputted value. At this time, the main classification and middle classification of the menu may be automatically classified through pre-stored food information when the food provided as a meal is stored, or may be manually classified by a provider providing the meal.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조회 조건 중 분류별 조회를 선택한 경우에는 대분류별, 메뉴별 등에 따른 섭취율을 분석 정보로서 생성하여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inquiry by category among a plurality of inquiry conditions, intake rates according to major categories, menus, etc. are generated and provided as analysis information.

한편, 사용자가 복수의 조회 조건 중 월간 레포트를 선택한 경우에는 각 월 별 평균 섭취 열량, 평균 끼니 별 섭취율, 평균 잔반 제로 횟수(잔반이 기준치 이하였던 경우를 카운트한 수)와 함께 메뉴별 섭취율을 기반으로 선호하는 메뉴(인기 메뉴)와 비선호하는 메뉴(비인기 메뉴)를 구분하여 표시하고, 해당 월에 가장 섭취율이 좋았던 날(섭취율 Best Day)의 메뉴정보 및 잔반이 기준치 이하였던 날(잔반제로 Best Day)의 메뉴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elects the monthly report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 conditions, the average calorie intake for each month, the average intake rate per meal, the average number of zero leftovers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leftovers are below the standard value) and the intake rate for each menu Preferred menus (popular menus) and non-preferred menus (unpopular menus) are distinguished and displayed, and the menu information of the day with the highest intake rate (Best Day intake rate) and the day the leftover food was below the standard (zero leftover Best Day) ) of menu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nd provided.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서비스는 영유아 이외에 학생, 청년 또는 중장년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어서, 그 대상이 영유아로 한정되지 않고 확장될 수 있다.Although services targe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have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se services can be applied in the same way to students, young adults, or middle-aged in addition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so that the target is not limited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but can be expanded. there is.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relation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식단 관리 시스템 100 : 식단 관리 장치
200 : 제1 사용자 단말 300 : 제2 사용자 단말
110 : 통신모듈 130 : 저장모듈
150 : 분석모듈 170 : 제어모듈
301 : 표시모듈 303 : 거치부
305 : 패드
10: diet management system 100: diet management device
200: first user terminal 300: second user terminal
110: communication module 130: storage module
150: analysis module 170: control module
301: display module 303: mounting unit
305: pad

Claims (10)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 및 식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및 그 외 단말로부터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중 특정 대상 영유아의 개인정보 및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식사정보들을 분석하여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플랫폼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양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영양분석 레포트, 맞춤형 추천정보 및 영양컨설팅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이름, 성별, 나이(개월수), 생년월일, 신체정보 및 기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분석 레포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습관 정보, 영양소 섭취 정보, 섭취 현황 정보 및 성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In the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meal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nd data obtain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other terminals;
an analysis module generating nutritional analysis information by analyz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specific target infant among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or meal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When meal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input through the platform by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the At the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or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the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 toddler accumulated and stored for the preset period, and based on the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A control module for generating at least one of a nutrition analysis report, customized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nutrition consult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gender, age (number of months), date of birth, body information, and institutio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The me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includes at least one of eating habit information, nutrient intake information, intake status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상기 영양분석 레포트는 상기 특정 대상 영유아에 대한 식습관 정보, 영양소 섭취 정보, 섭취 현황 정보 및 성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includes at least one of eating habit information, nutrient intake information, intake status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for the specific target infant.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누적 저장할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단기록을 생성하되,
상기 식단기록은, 아침, 점심 및 저녁 각각에 대해 식전 및 식후로 구분되어 기록되고, 오전 간식 및 오후 간식이 추가적으로 더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When the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is accumulated and stored, a meal record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is cre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et record is divided into pre-meal and post-meal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respectively, and morning snack and afternoon snack are additionally recorded.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플랫폼을 실시간 모니터링 모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전 식사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후 식사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전 식사정보 및 식후 식사정보를 이용하여 레벨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module,
When the second user terminal sets the platform to a real-time monitoring mode, it sequentially receives and stores pre-meal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and then meal information after meal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sequentially received and stored, and a level is calculated and provided using pre-meal meal information and post-meal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전체의 참여 스캔 횟수 및, 잔반량의 평균 및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기준등급을 기반으로 레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l is calculated based on a preset reference grade by analyzing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cans of all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 toddler and the average and change trend of the amount of leftover food,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후 식사정보가 수신될 때 마다, 해당 대상 영유아의 식전 식사정보 및 식후 식사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기준범위 이내의 식사를 했는지 여부에 따라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module,
Whenever meal information after meal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received, corresponding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ate a meal within a predetermined standard range by comparing pre-meal meal information and post-meal meal information of the target infant or toddler. characterized in that,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이미지, 영상 및 사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정 캐릭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image, video, and soun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ecific character.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보호자 단말이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을 관리하는 기관 단말로서, 식사 공간 내에 설치 또는 구비되거나, 해당 기관과 관련한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단말이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상호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user terminal is a guardian terminal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The second user terminal is an institutional terminal that manages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and is a terminal installed or provided in a dining space or possessed by a user related to the institution,
The control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re matched and stored based on the institution information,
A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device.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플랫폼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에 대한 개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를 서비스 대상자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플랫폼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들을 이용하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영양분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영양분석정보를 가공하여 레포트 형태로 구성한 영양분석 레포트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인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의 이름, 성별, 나이(개월수), 생년월일, 신체정보 및 기관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식사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음식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영양분석 레포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습관 정보, 영양소 섭취 정보, 섭취 현황 정보 및 성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
In the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device,
registering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s a service target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when person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is received through the platform from either a first user terminal or a second user terminal;
Accumulating and storing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when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is input through the platform by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
generating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by using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and toddler accumulated and store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user terminal or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Processing the generated nutrition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nd providing a nutrition analysis repor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port to any one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gender, age (number of months), date of birth, body information, and institutio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The me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food,
Characterized in that the nutrition analysis report includes at least one of eating habit information, nutrient intake information, intake status information, and growth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toddler.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사정보를 누적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유아 각각에 대한 식단기록을 생성하되,
상기 식단기록은, 아침, 점심 및 저녁 각각에 대해 식전 및 식후로 구분되어 기록되고, 오전 간식 및 오후 간식이 추가적으로 더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9,
In the step of accumulating and storing meal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a meal record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target infant or young child is cre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et record is divided into pre-meal and post-meal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respectively, and morning snack and afternoon snack are additionally recorded.
Platform-based infant diet management method.
KR1020220143129A 2021-10-29 2022-10-31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KR2023006246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63 2021-10-29
KR20210147263 202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461A true KR20230062461A (en) 2023-05-09

Family

ID=8640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129A KR20230062461A (en) 2021-10-29 2022-10-31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246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814A (en) 2008-09-05 2010-03-15 고시환 Menu supply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814A (en) 2008-09-05 2010-03-15 고시환 Menu supply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4173A1 (en) Personalized health coaching system
US11030708B2 (en) Method of and device for implementing contagious illness analysis and tracking
US20200335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ersonalized and community-specific eating and activity planning, linked to tracking system with automated multimodal item identification and size estimation system
JP64124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specific adjustment of nutrient intake
US9704205B2 (en) Device for implementing body fluid analysis and social networking event planning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Guidance on the EU Menu methodology
Waki et al. DialBetics with a multimedia food recording tool, FoodLog: smartphone-based self-management for type 2 diabetes
US20160232813A1 (en) Calories and liquid balance -tracking and control
US9483957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moting behavioral intervention via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and game mechanics
Hawks et al. Narrative review of social media as a research tool for diet and weight loss
Rausch et al. Effect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on parents' nutrition and exercis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Kamar et al. Factors influencing british adolescents’ intake of whole grains: A pilot feasibility study using sensecam assisted interviews
Hinojosa-Nogueira et al. Stance4Health nutritional APP: a path to personalized smart nutrition
Krijger et al. Lifestyle screening tool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setting: A systematic review
Harrison et al. Parent and child media exposure, preschooler dietary intake, and preschooler healthy-meal schemas in the context of food insecurity
Lucassen et al. Short and long-term innovations on dietary behavior assessment and coaching: present efforts and vision of the Pride and Prejudice consortium
KR20230062461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KR20240061453A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et of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platform
Nayak et al. Nutritional assessment of snacks and beverages in Southeastern Virginia daycare centers
KR20160109406A (en) Assessment tools for the adolescents` food life and methods for surveying the frequency of intakes of nutrient and food using the same meal-specific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202401619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nutritional supplement platform
Griffin Somatechnologies of body size modification: posthuman embodiment and discourses of health
Chui Validation Study of a Passive Image-Assisted Dietary Assessment Method with Automated Image Analysis Process
Power Promoting Engagement in Digital Weight Loss Interventions
Mbvundula Child Obesity Determinants and Management: An Emerging Pandemic in the City of Gaborone, Botsw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