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441A - 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 Google Patents

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441A
KR20230062441A KR1020220141578A KR20220141578A KR20230062441A KR 20230062441 A KR20230062441 A KR 20230062441A KR 1020220141578 A KR1020220141578 A KR 1020220141578A KR 20220141578 A KR20220141578 A KR 20220141578A KR 20230062441 A KR20230062441 A KR 20230062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nopy
fixed
moving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5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신산업
Publication of KR2023006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4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which enables a user to simply expand or contract a blocking area based on a change in weather or inclement weather conditions. The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includes: a main body unit having multiple vertical units in which a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a base unit and having a horizontal unit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ultiple vertical units for a charging kiosk to be arranged by being placed on the base unit; a fixed canopy having a pair of fixing frames individually connected to a pair of vertical fixing plates vertically fixed and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ultiple horizontal units, wherein the fixed canopy is fixed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unit to have a fixing pl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n both sides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ixing frames; a moving canopy having a pair of moving frames connected to move by multiple guide support units fixed and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pair of fixing frames, wherein the moving canopy has a moving pl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both sides is connected to the pair of moving frames; and an operation unit having a pair of disk bodies having a pinion gear geared with a rack gear formed in a pair of moving 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operation unit has a driving motor rotating a pair of driveshafts connected to the pair of disk bodies in a normal direction or a reverse direction to relatively move the moving canopy in relation to the fixed canopy. The moving canopy has the pair of moving bars individually fixed and installed in each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to be assembled to the fixing canopy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노천에 설치되는 충전 키오스크의 설치특성에 맞추어 태풍, 폭우, 폭설과 같은 다양한 악천후의 조건이나 날씨변화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림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more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of a charging kiosk installed in the open air, based on various adverse weather conditions such as typhoons, heavy rain, and heavy snow, or weather changes, the user can easily cover the area It relates to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can expand or contract.

최근 에너지와 환경 문제가 주요한 이슈로 부각되면서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비하여 효율이 높고 배출가스가 적은 친환경 신기술 자동차를 일컫는 그린 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Recently, as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have emerged as major issues, interest in green cars, which refer to eco-friendly new technology vehicles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emission compared to exi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is increasing.

이러한 그린 카에는 하이브리드차를 비롯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클린 디젤차, 연료전지차, 전기 자동차 등이 포함되며, 친환경 자동차의 하나인 전기 자동차는 차량 내부에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가 구비되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의 힘으로 차량 모터를 구동하여 운행하는 자동차이다.These green cars include hybrid vehicles, plug-in hybrid vehicles, clean diesel vehicles, fuel cell vehicles, electric vehicles, etc. An electric vehicle, one of the eco-friendly vehicles, has a battery inside the vehicle that can charge electricity, and the battery is charged. A vehicle that runs by driving a vehicle motor with the power of electricity.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전기충전을 위해 전기 충전 키오스크 또는 충전대를 구비한 전기충전 스테이션(이하 전기 충전기)를 이용하는데, 충전기에 연결되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전기 자동차의 충전단자에 꽂아서 배터리를 충전한다.Such an electric vehicle uses an electric charging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lectric charger) having an electric charging kiosk or a charging stand for electric charging, and the battery is charged by inserting a connector of a charging cable connected to the charger in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electric vehicle.

한편, 전기 자동차를 완충하여 운행할 수 있는 거리가 100여 km 밖에 안 되는 현실이므로 급속히 증가하는 전기 자동차의 수요에 맞추어서 전기 자동차용 충전기가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공공기관 등에 설치되는 개방형 충전소와 개인이 소지하는 차량을 야간과 수시로 충전할 수 있는 홈 충전소의 인프라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stance that an electric vehicle can be fully charged and operated is only about 100 km, as electric vehicle chargers must be installed to meet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open charging stations installed in public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The infrastructure of a home charging station that can charge a vehicle at night and at any time is actively progressing.

전기 자동차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주유소 개념인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확충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전기 자동차 충전소의 확충 시 그 부속 내지 연계 시설물로서 전기 충전소에 설치되는 전기 충전기의 지붕역활을 수행하는 캐노피 구조물이 필요하다.In order to activate electric vehicles, the expansion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which is the concept of gas st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must be preceded, and when expanding such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 canopy that serves as a roof for the electric charger installed in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as an accessory or related facility structure is needed.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 충전소에는 태양광, 비, 눈 등을 막기 위하여 일정높이를 갖는 캐노피 구조물이 부설되며, 이러한 캐노피 구조물은 여름철 태풍 발생시 폭우, 폭풍이나 겨울척 폭설에 의한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캐노피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정성도 필수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a canopy structure having a certain height is installed a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o block sunlight, rain, snow, etc., and this canopy structure is designed to prevent direct and indirect damage caused by heavy rain, storms or heavy snow in the winter when a typhoon occurs in summer.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anopy structure also needs to be considered.

(특허문헌 1) KR 10-2223366 B1 (Patent Document 1) KR 10-2223366 B1

특허문헌 1에는 제1지주, 제2지주, 볼트 체결형 파지부를 각각 형성한 받침 브래킷들, 제1 전후 프레임과 제2 전후 프레임 그리고 제1 좌우 프레임과 제2 좌우 프레임을 포함하여 각 프레임들의 순차적인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지붕 받침프레임, 지붕 거치부재, 지붕 거치부재를 매개로 지붕 받침프레임의 상부에 볼트 체결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붕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그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건비 등이 포함된 설치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캐노피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In Patent Document 1, each of the frames, including the first support, the second support, the support brackets each having a bolt-on gripping part, the first front and rear frames, the second front and rear frames, the first left and right frames, and the second left and right frames It consists of a roof support frame formed through sequential coupling, a roof mounting member, and a roof panel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op of the roof support frame by means of bolt fastening through the medium of the roof support member, so the time and labor cost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Disclosed is a canopy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installation costs including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캐노피 구조물은 전기 충전소의 직상부에 고정형으로 고정설치됨에 따라 사계절이 뚜렷하여 하절기와 동절기의 태양 위치변화에 따라 캐노피에 의해서 가려지는 가림위치가 확장되어 가변될 수 없는 고정이기 때문에 전기 충전소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충전시 햇볕에 그대로 노출되어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However, since this conventional canopy structure is fixedly installed directly above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the four seasons are distinct, and the position of the canopy covered by the canopy expands and can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sun in summer and winter. Users using electric charging stations are exposed to sunlight during charging,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또한, 태풍이나 강풍발생시 전기 충전기가 설치되는 기초구조물에 고정설치된 캐노피가 강한 풍속의 바람에 의해서 파손될 수 있고, 파손시 낙하되는 캐노피 구성부품에 의하여 전기충전소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2차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typhoon or strong wind, the canopy fixed to the basic structure where the electric charger is installed can be damaged by strong wind, and canopy components that fall when damaged can cause secondary damage to users using the electric charging station. there was a risk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천에 설치되는 충전 키오스크의 설치특성에 맞추어 태풍, 폭우, 폭설과 같은 다양한 악천후의 조건이나 날씨변화를 근거로 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림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t the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arging kiosk installed in the open air, based on various bad weather conditions such as typhoons, heavy rain, heavy snow or weather changes, the user can easily cov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can expand or contract an area.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전기 자동차에 꽂아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키오스크의 상부영역을 가리는 캐노피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대를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대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대를 갖추어 상기 충전 키오스크가 베이스부에 올려져 배치되는 본체부 ; 상기 복수개의 수평대의 양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수직고정판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과 양측 하부면이 연결되는 고정판을 갖추어 본체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캐노피 ;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이동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에 양측 하부면이 연결되는 이동판을 갖추며,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의 각 외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바를 갖추어 상기 고정캐노피에 전후진 왕복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캐노피 ; 상기 한쌍의 이동바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래크기어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를 외주면에 형성한 한쌍의 원반체를 갖추고, 상기 한쌍의 원반체와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갖추어 상기 고정캐노피에 대하여 이동캐노피를 상대이동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nopy covering an upper region of a charging kiosk for charging a battery by plugging a connector of a charging cable into an electric vehicle, a plurality of uprights having lower end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a base portion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a main body having a horizontal stand connected horizontally to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tand and placing the charging kiosk on the base part; A fixed canopy having a pair of vertical fixing plates vertically fix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a pair of fixing frames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pair of fixing frames and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 A pair of movable frames coupled movably via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fixed frames, and a movable plate having both lower surfaces connected to the pair of movable frames, wherein the pair a movable canopy equipped with a pair of movable bars fixed to each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and assemb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to and from the fixed canopy; A driving motor having a pair of discs having a rack gea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moving bars and a pinion gear engaged with gear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rotating and driving a pair of drive shafts connected to the pair of disc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t provides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perating unit for relatively moving the movable canopy with respect to the fixed canopy.

이때, 상기 원반체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추어 상기 원반체의 양측면에 일체로 부착고정되는 한쌍의 이탈방지용 원형판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include a pair of circular plates for preventing separation that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c body and are integrally attached and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isc body.

이때,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의 각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브라켓의 제1연결축과 연결되어 결합되는 제1휠브라켓과, 상기 제1휠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직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제1안내휠과, 상기 제1안내휠의 양측과 대응하는 제1휠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상기 제1휠브라켓과 제2연결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휠브라켓 및 상기 제2연결축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한쌍의 제2안내휠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support unit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wheel bracket connected to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shaft of the connecting bracket fixedly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pair of fixing frames, and the first wheel bracket. A first guide wheel circumscribed with the vertic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a pair of sides that are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wheel brackets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wheel and circumscribed with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 pair of guide wheels, a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connected via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second connecting shaft, and a pair of rotatably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shaft and externally contacting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 second guide wheel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제1휠브라켓과 상기 한쌍의 제2휠브라켓의 양단과의 사이에는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한쌍의 제2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수평한 내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a pair of side guide wheels and a pair of second guide wheels are elastically folded on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pair of elastic bodies that provide elastic force to do so.

이때, 상기 한쌍의 탄성체의 양단은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대응하는 제1휠브라켓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의 각 지지봉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대응하는 제2휠브라켓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다른 지지판의 각 지지봉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pair of elastic bodies are fitted and fixed to each support rod of a pair of support plates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wheel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It may be fitted and fixed to each support bar of a pair of other support plates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wheel bracket.

이때, 상기 제2연결축이 관통배치되는 제1휠브라켓의 연결공과 제2휠브라켓의 연결공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공은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of the connection holes of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connection hole of the second wheel bracket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ion shaft is disposed may be formed through a long hole.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대응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된 절개부를 갖는 중공 파이프재로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제1안내휠의 외주면과 외접하는 일정길이의 안내접촉판을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vable frame is provided with a hollow pipe material having a cutou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ixed frame, and the guide contact plate has a certain length in circumferential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heel. can be provided.

이때, 상기 베이스부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과 복수개의 세로프레임을 사각틀형상으로 용접조립하는 프레임 강재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성형틀에 타설되는 몰타르에 의해서 성형되는 콘크리트 성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성형체의 상면과 하면을 외부노출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 성형체의 외측면 및 모서리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보호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ase part is made of a frame steel structure that welds and assemble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in a square frame shape, or includes a concrete molded body formed by mortar poured into a mold,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crete molded body It may be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cover protection plate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outer surface and corners of the concrete molded body while exposing to the outside.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는 충전 키오스크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공장에서 설계에 맞추어 프리캐스팅 성형성된 베이스부를 기초공사의 필요없이 빠르게 시공하여 캐노피 설치작업을 신속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installs the canopy installation work by quickly constructing the precast molded base part according to the design in the factory at the place where the charging kiosk is to be installed without the need for foundation work. can finish

노천에 설치되는 전기 충전기인 충전 키오스크의 설치특성에 맞추어 태풍, 폭우, 폭설과 같은 다양한 악천후의 외부조건이나 날씨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고정캐노피에 대하여 이동캐노피를 전진이동시켜 가림영역을 확장하고 후진이동시켜 복귀시킴으로써, 가림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해서 충전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태풍과 같은 악천후에 발생하는 강풍에 의해서 캐노피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캐노피의 파손시 구성부품의 낙하사고에 기인하는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arging kiosk, which is an electric charger installed in the open air, the external conditions or weather changes of various bad weather such as typhoon, heavy rain, and heavy snow are detected in real time, and based on this, the mobile canopy moves forward and covers the fixed canopy. By expanding the area and returning it by moving backward, it is possible to expand or contract the covered area, which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users who use the charging kiosk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and canopy due to strong winds generated in bad weather such as typhoons. It is possible to reduce management and maintenance costs by preventing the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and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accidents of components when the canopy is damag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이동캐도피가 전진이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본체부에 구비되는 다른 베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에 구비되는 고정캐노피와 구동모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안내지지부를 사이에 고정캐노피와 이동캐노피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안내지지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안내지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orward movement state of a movable canopy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base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fixed canopy and a driving motor provided in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ed canopy and a movable canopy are coupled between guide supports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disposition of a guide support unit interposed between a fixed frame and a movable frame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uide support unit interposed between a fixed frame and a movable frame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construed as limited in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s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technical idea.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s are various to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A component being in the "front", "rear", "above" or "below" of another component means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nd is "in front", "rear", "above" or "below". It includes not only those disposed at the lower part, but also cases in which another component is dispos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he fact that certain components ar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not only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이동캐도피가 전진이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ide view showing a moving canopy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forward moving sta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100)는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전기 자동차에 꽂아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키오스크(C)의 상부를 가리는 가림영역을 다양한 기후조건의 외부환경에 맞추어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도록 본체부(10) 고정캐노피(20), 이동캐노피(30) 및 작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able canopy 100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elding area covering the upper part of a charging kiosk C for charging a battery by plugging a connector of a charging cable into an electric vehicle in an external environment under various climatic conditions. It may include a body part 10, a fixed canopy 20, a movable canopy 30, and an operating part 40 so as to be expanded or reduced according to the fit.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도 2 및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a)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어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대(13)를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대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수평대(14)를 포함하여 상기 충전 키오스크(C)가 베이스부(10a)에 안정적으로 올려져 배치되는 고정구조물이다.As shown in FIGS. 1, 2 and 3, the main body part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right stands 13 vertically fixed with lower end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a, and the plurality of It is a fixed structure in which the charging kiosk (C) is stably placed on the base part (10a), including a horizontal stand (14) connected to and fixedly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og vertical stand.

상기 베이스부(10a)의 상부면에는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핵심구성품인 충전 키오스크(C)의 하부단을 안정적으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A support frame 12 may be inclu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10a to stably place and install the lower end of the charging kiosk C, which is a key component used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이러한 베이스부(10a)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1a)과 복수개의 세로프레임(11b)이 대략 사각틀형상으로 용접조립되고, 상면에 대략 사각판상의 바닥판(19a)을 설치하고, 하면에 복수개의 높이조절용 볼트부재(19b)를 설치하여 구비할 수 있다. In the base part 10a,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1a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1b are welded and assembl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shaped bottom plate 19a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It may be provided by installing a bolt member (19b) for height adjustment.

상기 베이스부(10a)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11a)과 복수개의 세로프레임(11b)을 사각틀형상으로 용접조립하는 프레임 강재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베이스부(10a)는 설치조건에 맞추어 공장에서 몰타르의 성형에 의해서 프리캐스팅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0a may be configured as a frame stee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11a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1b are welded and assembl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portion 10a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conditions, it can be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that is precast by molding mortar in the factory.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본체부에 구비되는 다른 베이스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베이스부(10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틀에 타설되는 몰타르에 의해서 대략 직육면체상으로 성형되는 콘크리트 성형체(11d)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성형체의 상면과 하면을 외부노출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 성형체의 외측면 및 모서리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보호판(11c)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성형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base par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base part 10a is cast in a molding mold. Concrete comprising a concrete molded body (11d) mold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y mortar, and including a cover protection plate (11c)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outer surface and corners of the concrete molded body while expo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crete molded body to the outside. It may consist of a molded structure.

상기 콘크리트 성형체(11d)의 상면에는 상기 수직대의 하단을 결합하여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성형틀에 몰타르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팅 성형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앵커볼트(11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molded body 11d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chor bolts 11e that are fixedly installed during precasting by pouring mortar into a mol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tand can be connected and installed.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과 보호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10a)는 공장에서 사전 설계된 규격에 맞추어 기제작한 다음, 충전 키오스크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바닥면을 평탄화하는 기초작업의 필요없이 설치하는 작업을 현장에서 짧은 시간에 신속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se part (10a)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and a protective steel plate is pre-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signed specifications in the factory, and then installed at the location where the charging kiosk is to be installed without the need for groundwork to flatten the floor. Work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by performing it quickly in a short time on site.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에 구비되는 고정캐노피와 구동모터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안내지지부를 사이에 고정캐노피와 이동캐노피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5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fixed canopy and a driving motor provided in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guide support unit of the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state of coupling between the fixed canopy and the movable canopy.

상기 고정캐노피(20)는 도 1,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수평대(14)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수직고정판(15)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수직고정판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21)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2, 3, 5, and 6, the fixed canopy 20 is a pair of vertical fixing plates 15 vertically fixed to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4, respectively. ), and may include a pair of fixing frames 21 coupled to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pair of vertical fixing plates.

이때,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21)은 대략 사각단면을 갖는 일정길이의 중공 사각파이프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fixing frames 21 are provided with a hollow rectangular pipe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21)에는 직하부에 배치되는 충전 키오스크(C)를 항상 덮어 강우시 또는 강설시 빗물이나 눈이 충전 키오스크 측으로 낙하되지 않게 충분히 가릴 수 있는 가림영역을 형성하도록 일정크기의 면적을 갖는 대략 사각판상의 고정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 of fixing frames 21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main body 10 always cover the charging kiosk C disposed directly below the main body 10 so that rainwater or snow does not fall toward the charging kiosk during rain or snowfall.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shaped fixing plate 22 having 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may be included to form a covering area that can be covered.

이러한 고정판(22)의 양측 하부면은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21)의 각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21a)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22 may be detachably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fastened to the support member 21a disposed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ixing frames 21 .

상기 고정캐노피(20)에 구비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의 각 선단에는 상기 충전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야간에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원인가시 조명용 빛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원(29)을 구비할 수 있다.At each tip of the pair of fixed frames provided in the fixed canopy 20, at least one light generating light for lighting when power is applied is provided to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who charges an electric vehicle at night using the charging kiosk. A circle 29 may be provided.

상기 이동캐노피(30)는 도 1, 도 2,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캐노피(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전진이동되어 우천이나 강설시 상기 충전 키오스크(C)의 가림영역을 보다 확장시키고 후진이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고정캐노피(20)에 대하여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구조물이다. As shown in FIGS. 1, 2, 3, 5, and 6, the movable canopy 30 moves forward relative to the fixed canopy 20 so that the charging kiosk C can be used in rainy weather or snowfall. It is a movable structure coup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fixed canopy 20 so as to further expand the covered area and move backward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이러한 이동캐노피(30)는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21)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지지부(50)를 매개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이동프레임(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vable canopy 30 is a pair of movable frames movably coupled via a plurality of guide support parts 50 fixed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fixed frames 21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31)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31)은 상기 고정프레임(21)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연결브라켓(51)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복수개의 안내지지부(50)를 간섭없이 배치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된 절개부(31c)를 갖는 대략 사각단면상의 중공 파이프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air of movable frames 31 interfere with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50 connected via the fixed frame 21 and the connecting bracket 51 on one side facing the fixed frame 21.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as a hollow pipe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having a cutout portion 31c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disposed without.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21)에 대하여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이동프레임(31)에는 위치고정된 고정판에 대하여 전방으로 전진이동되어 상기 충전 키오스크(C)를 덮어 가리는 가림영역을 보다 확대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면적을 갖는 사각판상의 이동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 of movable frames 31 assemb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pair of fixed frames 21 are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and the charging kiosk C is covered and covered. It may include a rectangular plate-shaped moving plate 32 having an area of a certain size so as to be enlarged.

그리고,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31)은 각 외면에 몸체선단 일부가 접하여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바(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moving frames 31 may include a pair of moving bars 33 fixed to each outer surface with a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body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한쌍의 이동바(33)는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의 각 후단 외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31)의 각 하단과 중첩되지 않는 몸체 나머지에 해당하는 한쌍의 이동바의 각 하단에는 후술하는 피니언기어(43a)와 기어물림되는 래크기어(33a)를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 The pair of moving bars 33 are made of bar members of a predetermined length that are detachably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rear end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and each lower end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31. At each lower end of the pair of moving bars corresponding to the rest of the body that does not overlap with, a rack gear 33a geared with a pinion gear 43a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and provided.

이러한 이동판(32)의 양측 하부면은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31)의 각 상면에 배치되는 다른 지지부재(31a)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moving plate 32 may be detachably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fastened to other support members 31a disposed on each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moving frames 31 .

이때, 상기 이동판(32)의 하부면과 상기 고정판(22)의 상부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이동판의 전후진이동시 상기 고정판과의 간섭이 없도록 일정크기의 상하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vertical gap of a certain siz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3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22 so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the fixed plate when the moving plate moves forward and backward.

상기 작동부(40)는 도 1, 도 2, 도 3,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된 고정캐노피(2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캐노피(30)를 구동모터(41)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상대이동시키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2, 3, 5 and 6, the operation unit 40 drives the movable canopy 30 assembled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canopy 20 in a fixed position. It is made to move relatively by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41).

이러한 작동부(40)는 상기 이동캐노피에 구비되는 한쌍의 이동프레임(31)과 결합되는 한쌍의 이동바(3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래크기어(33a)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43a)를 외주면에 형성한 한쌍의 원반체(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ng unit 40 is a pinion gear 43a meshed with a rack gear 33a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air of moving bars 33 coupled to a pair of moving frames 31 provided in the movable canopy. It may include a pair of disk bodies 4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원반체(43)의 양측면에는 상기 래크기어(33a)를 형성하는 이동바(33)의 하단 양측면과 접해지도록 상기 원반체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추어 상기 원반체의 양측면에 일체로 부착고정되는 한쌍의 이탈방지용 원형판(44)을 포함할 수 있다. Both sides of the disc 43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isc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oving bar 33 forming the rack gear 33a, and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c. It may include a pair of anti-separation circular plates 44 that are attached and fixed.

그리고, 상기 원반체(43)의 직하부는 상기 피니언기어와 래크기어간의 기어물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이들사이에 도포되는 그리스와 같은 윤활유가 하부로 낙하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는 수거박스체(4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k body 43 is attached to the fixing frame to prevent the lubricating oil such as grease applied between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from falling to the lower portion and being contaminated so that the gear engagement between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is smoothly achiev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llection box body 49 connected and fixedly installed.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구동력에 의한 상기 원반체의 정,역방향 회전시 상기 이동바(33)의 하단 양측면과 접하여 상기 원반체와 더불어 회전되는 한쌍의 이탈방지용 원형판(44)에 의해서 상기 이동바에 형성된 래크기어(33a)와 상기 원반체에 형성된 피니언기어(43a)와의 기어물림이 탈선없이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disk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41, the movement is performed by a pair of separation-preventing circular plates 44 that come into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oving bar 33 and rotate together with the disk. Gear engagement between the rack gear 33a formed on the bar and the pinion gear 43a formed on the disc body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stably without deviation.

상기 구동모터(41)는 상기 수평대(14)의 길이중간에 고정설치되어 전원인가시 한쌍의 원반체(43)와 각 선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축(4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부재이다. The driving motor 41 is fixedly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leveling board 14 and rotates a pair of driving shafts 42 connected to a pair of disks 43 and each tip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en power is applied. It is a motor member.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상기 원반체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원반체의 피니언기와 기어물림되는 래크기어를 갖는 이동바는 상기 원반체의 회전량에 맞추어 직선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된 안내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이동프레임은 한쌍의 이동바와 더불어 전진이동되면서 상기 이동캐노피의 이동판은 상기 고정캐노피의 고정판에 대하여 전진이동되어 충전 키오스크의 상부를 가리는 가림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disk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the moving bar having a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of the disk is linearly mov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disk, so that the fixation is performed. The movable frame disposed outside the pair of fixed frames is moved forward along with the pair of movable bars via the guide support unit combined with the frame, and the movable plate of the movable canopy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of the fixed canopy, thereby charging the kiosk.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hading area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안내지지부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의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안내지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7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guide support unit interposed between a fixed frame and a movable frame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etailed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support interposed between a fixed frame and a movable frame of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상기 고정캐노피(20)에 구비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21)의 외측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이동캐노피(30)에 구비되는 한쌍의 이동프레임(31)과 접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시 한쌍의 이동프레임(31)을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지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fixed frames 21 provided in the fixed canopy 2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ir of moving frames 31 provided in the movable canopy 30 so that the pair moves when the driving motor is driven. It may include a guide support 50 for supporting the frame 31 to be reciproc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이러한 안내지지부(50)는 도 7 과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의 각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브라켓(51)의 제1연결축(51a)과 연결되어 결합되는 제1휠브라켓(52)을 포함하고, 상기 제1휠브라켓(52)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1)의 수직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제1안내휠(5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안내휠의 양측과 대응하는 상기 제1휠브라켓(52)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54)을 포함하고, 상기 제1휠브라켓과 제2연결축(56a)을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휠브라켓(55)을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축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제2안내휠(56)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guide support unit 50 is connected to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shaft 51a of the connection bracket 51 fixed to each side of the pair of fixing frames. It includes a first wheel bracket 52, and a first guide wheel 53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wheel bracket 52 and externally contacting the vertic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31, A pair of side guide wheels 54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wheel bracket 52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wheel and externally contacting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wherein the first wheel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55 connected to the bracket through a second connecting shaft 56a, and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second connecting shaft to circumscribe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2 may include a guide wheel (56).

상기 연결브라켓(51)은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일측면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연결축(51a)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측면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1휠브라켓(52)의 대략 중앙에 관통형성된 중앙공(52a)을 관통하여 고정용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휠브라켓과 결합되는 수평한 축부재이다. The connection bracket 51 is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21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nd the first connection shaft 51a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It is a horizontal shaft member coupled to the first wheel bracket by a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rough a central hole 52a formed through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wheel bracket 52.

상기 제1안내휠(53)은 상기 중앙공과 대응하는 제1휠브라켓의 테두리 근방에 관통형성되는 연결공(52b)과 단부가 조립되는 수직축(53a)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직한 양측 내측면과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는 휠부재이다. The first guide wheel 53 is rotatably assembled to a vertical shaft 53a to which an end is assembled with a connecting hole 52b formed through a through-hole near the rim of the first wheel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hole, so that the moving frame is vertically It is a wheel member that rotates idle by being circumscribed with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31)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대응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된 절개부(31c)를 갖는 중공 파이프재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절개부의 상,하단 테두리에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진 이동시 제1안내휠(53)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안내휠의 외주면과 외접하는 일정길이의 안내접촉판(31b)을 상기 절개부를 따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oving frame 31 is provided with a hollow pipe material having a cutout 31c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ixed fram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cutout hav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moving fra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guide contact plate (31b) of a certain length along the cutout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irst guide wheel 53 can be smoothly performed during movement.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54)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대응하는 제1휠브라켓의 일단에 관통형성된 연결공(52c)과 조립되는 수평축(54a)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접하여 아이들 회전되는 휠부재이다.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54 are rotatably assembled at both ends of a horizontal shaft 54a assembled with a connecting hole 52c formed through one end of the first wheel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 A wheel member that rotates idl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상기 제2안내휠(56)은 상기 제1휠브라켓과 한쌍의 제2휠브라켓(55)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축(56a)의 양단에 조립되고, 상기 사이드 안내휠(54)과 외접하는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는 상기 이동프레임의 다른 수평한 내측면과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는 휠부재이다. The second guide wheel 56 is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shaft 56a connecting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55, and the side guide wheel 54 A wheel member that rotates idle by circumscribing a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circumscribed and the other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facing each other.

상기 제2연결축(56a)은 상기 제1휠브라켓의 단부에 관통형성되는 연결공(53d)과, 통하여 상기 한쌍의 제2휠브라켓의 길이중간에 관통형성되는 다른 연결공(55a)에 관통조립되어 상기 제1휠브라켓과 제2휠브라켓과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일정길이의 축부재이다. The second connecting shaft 56a passes through a connecting hole 53d formed through the end of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rough another connecting hole 55a formed through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It is assembled and is a shaft member of a certain length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second wheel bracket.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기 이동프레임의 전후진 왕복이동시 상기 제1안내휠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직한 내측면과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고, 상기 사이드 안내휠과 상기 제2안내휠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하부측 수평한 내측면과 각각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면서 상기 이동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전후진 왕복이동되는 것을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movable frame is reciproc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e of the driving motor, the first guide wheel is idling while being circumscribed with the vertical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and the side guide wheel and the second guide wheel are As the movable frame rotates idle by being circumscribed with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inner surfaces of the movable frame, the movable frame is reciproc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so that the movement can be smoothly performed.

그리고,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54)이 조립되는 제1휠브라켓(52)의 양단과 상기 한쌍의 제2휠브라켓(55)의 양단과의 사이에는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한쌍의 제2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수평한 내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탄성체(59)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ir of side guide wheels and a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54 are assembl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wheel bracket 52 and the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55. It may include a pair of elastic bodies 59 that provide elastic force so that the guide wheels elastic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rizontal inner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moving frame.

상기 한쌍의 탄성체(59)의 양단은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54)과 대응하는 제1휠브라켓(52)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57)의 각 지지봉(57a)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54)과 대응하는 제2휠브라켓(55)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다른 지지판(58)의 각 지지봉(58a)에 끼움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pair of elastic bodies 59 are fitted and fixed to each support bar 57a of a pair of support plates 57 fix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54 and the corresponding first wheel brackets 52. And, it may be fitted and fixed to each support bar 58a of the pair of other support plates 58 fix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54 and the corresponding second wheel brackets 55.

이때, 상기 탄성체(59)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이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54)과 상기 한쌍의 제2안내휠(56)에 보다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연결축이 관통배치되는 제1휠브라켓의 연결공(52d)과 제2휠브라켓의 연결공(55a)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공은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제1휠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제2휠브라켓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shaft is disposed through so that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59 can be mor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54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wheels 56. One of the connection holes 52d of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connection hole 55a of the second wheel bracket enables relative movement of the second wheel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rst wheel bracket fixed to the fixed fra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penetrating hole in the form of a long hole.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2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개의 안내지지부(50)는 상기 제1안내휠과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내측면에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고, 상기 한쌍의 제2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는 접촉상태와, 상기 제1안내휠과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부 내측면에 외접하고, 상기 한쌍의 제2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 내측면에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는 접촉상태를 갖도록 교대로 반복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support units 50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21 are idled by the first guide wheel and a pair of side guide wheels externally contacting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 contact state in which the pair of second guide wheels circumscribe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idle rotation, and the first guide wheel and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circumscribe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second guide wheels are alternately and repeatedly set so as to have a contact state in which the pair of second guide wheels circumscribe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to idle.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시 회전구동되는 원반체의 피니언기어와 기어물림되는 래크기어를 갖는 이동바의 전후진 왕복이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캐노피가 위치고정된 고정캐노피에 대하여 전방으로 전진이동되거나 후방으로 후진복귀이동되면,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지지부에 조립된 제1,2안내휠 및 사이드 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하고 수직한 내측면과 고르게 외접하여 아이들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안내지지부의 제1,2안내휠 및 사이드 안내휠과 외접하는 이동프레임은 고정프레임을 따라 상대이동되면서 상기 이동캐노피의 전진 확장이동 및 후진 복귀이동을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motor is operated, the movable canopy mov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canopy fixed in position by the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bar having the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of the disc that is rotated and driven. or when moving backward and backward, the first and second guide wheels and side guide wheels assembled in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fixed to the fixed frame circumscribe evenly wi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to idle rotate. Therefore, the movable frame circumscribed with the first and second guide wheels and the side guide wheels of the guide support unit can stably and precisely perform the forward extension movement and backward return movement of the movable canopy while being relatively moved along the fixed fr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or change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ther embodiments can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deleting, adding,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부 10a : 베이스부
20 : 고정캐노피 21 : 고정프레임
22 : 고정판 30 : 이동캐노피
31 : 이동프레임 32 : 이동판
33 : 이동바 40 : 작동부
41 : 구동모터 42 : 구동축
43 : 원반체 50 : 안내지지부
51 : 연결브라켓 52 : 제1휠브라켓
53 : 제1안내휠 54 : 사이드 안내휠
55 : 제2휠브라켓 C : 충전 키오스크
10: body part 10a: base part
20: fixed canopy 21: fixed frame
22: fixed plate 30: mobile canopy
31: moving frame 32: moving plate
33: moving bar 40: operation unit
41: drive motor 42: drive shaft
43: disk body 50: guide support
51: connection bracket 52: first wheel bracket
53: first guide wheel 54: side guide wheel
55: second wheel bracket C: charging kiosk

Claims (8)

충전 케이블의 커넥터를 전기 자동차에 꽂아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 키오스크의 상부영역을 가리는 캐노피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상면에 하단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직대를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대의 상단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대를 갖추어 상기 충전 키오스크가 베이스부에 올려져 배치되는 본체부 ;
상기 복수개의 수평대의 양단에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수직고정판과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고정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과 양측 하부면이 연결되는 고정판을 갖추어 본체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캐노피 ;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안내지지부를 매개로 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이동프레임을 갖추고,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에 양측 하부면이 연결되는 이동판을 갖추며, 상기 한쌍의 이동프레임의 각 외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바를 갖추어 상기 고정캐노피에 전후진 왕복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캐노피 ;
상기 한쌍의 이동바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래크기어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를 외주면에 형성한 한쌍의 원반체를 갖추고, 상기 한쌍의 원반체와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갖추어 상기 고정캐노피에 대하여 이동캐노피를 상대이동시키는 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In the canopy covering the upper area of the charging kiosk for charging the battery by plugging the connector of the charging cable into the electric vehicle,
a main body unit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stands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unit and a horizontal stand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stands, on which the charging kiosk is placed on the base portion;
A fixed canopy having a pair of vertical fixing plates vertically fix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and a pair of fixing frames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fixing plate connected to the pair of fixing frames and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
A pair of movable frames coupled movably via a plurality of guide support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fixed frames, and a movable plate having both lower surfaces connected to the pair of movable frames, wherein the pair a movable canopy equipped with a pair of movable bars fixed to each outer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and assembled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to and from the fixed canopy;
A driving motor having a pair of discs having a rack gea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moving bars and a pinion gear engaged with gear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rotating and driving a pair of drive shafts connected to the pair of discs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rating unit for relatively moving the movable canopy with respect to the fixed canop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체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을 갖추어 상기 원반체의 양측면에 일체로 부착고정되는 한쌍의 이탈방지용 원형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According to claim 1,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ir of circular plates for preventing separation that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disc body and are integrally attached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disc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고정프레임의 각 일측면에 고정설치되는 연결브라켓의 제1연결축과 연결되어 결합되는 제1휠브라켓과, 상기 제1휠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직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제1안내휠과, 상기 제1안내휠의 양측과 대응하는 제1휠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상기 제1휠브라켓과 제2연결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휠브라켓 및 상기 제2연결축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의 수평한 내측면과 외접하는 한쌍의 제2안내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support part is assembled to be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wheel bracket connected to and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shaft of the connecting bracket fixedly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pair of fixed frames, and the first wheel bracket to b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A first guide wheel circumscribed with the vertical inn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wheel, and a pair of side guide wheels rotatably assembled to the first wheel brackets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wheel and circumscribed with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a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connected to the first wheel bracket and a second connecting shaft via a medium and a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rotatably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shaft and externally contacting the horizontal inn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ing a guide whe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휠브라켓과 상기 한쌍의 제2휠브라켓의 양단과의 사이에는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한쌍의 제2안내휠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수평한 내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According to claim 3,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pair of second wheel brackets, a pair of side guide wheels and a pair of second guide wheels elastically contact the horizontal inner surfaces of the moving frame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elastic bodies to provide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탄성체의 양단은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대응하는 제1휠브라켓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의 각 지지봉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한쌍의 사이드 안내휠과 대응하는 제2휠브라켓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다른 지지판의 각 지지봉에 끼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According to claim 4,
Both ends of the pair of elastic bodies are fitted and fixed to each support bar of a pair of support plates fixed to both ends of the first wheel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and the second wheel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side guide wheels.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tted and fixed to each support rod of a pair of other support plates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축이 관통배치되는 제1휠브라켓의 연결공과 제2휠브라켓의 연결공 중 어느 하나의 연결공은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According to claim 3,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connection holes of the first wheel bracket and the connection hole of the second wheel bracket through which the second connection shaft is disposed is formed through a long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대응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형성된 절개부를 갖는 중공 파이프재로 구비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제1안내휠의 외주면과 외접하는 일정길이의 안내접촉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According to claim 3,
The moving frame is provided with a hollow pipe material having a cutout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fixed frame,
The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provided with a guide contac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ircumferentially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heel.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복수개의 가로프레임과 복수개의 세로프레임을 사각틀형상으로 용접조립하는 프레임 강재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성형틀에 타설되는 몰타르에 의해서 성형되는 콘크리트 성형체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성형체의 상면과 하면을 외부노출시키면서 상기 콘크리트 성형체의 외측면 및 모서리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보호판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용 가변형 캐노피.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base part is made of a frame steel structure that welds and assemble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in a square frame shape, or includes a concrete molded body formed by mortar poured into a mold,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crete molded body are externally formed. A variable canopy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cover protection plate that covers and protects the outer surface and corners of the concrete molded body while being exposed.
KR1020220141578A 2021-10-29 2022-10-28 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KR2023006244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326 2021-10-29
KR20210147326 202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441A true KR20230062441A (en) 2023-05-09

Family

ID=8640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578A KR20230062441A (en) 2021-10-29 2022-10-28 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244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16B1 (en) * 2023-12-29 2024-05-13 주식회사 이브이루씨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5016B1 (en) * 2023-12-29 2024-05-13 주식회사 이브이루씨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00612U (en) Large-sized vehicle-mounted hybrid power generation plant
KR20230062441A (en) 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N109808535B (en) High-protection new energy charging pile and using method thereof
CN101662239A (en) Large-scale vehicular mixing power plant
CN110641297A (en) Full-dynamic wireless charging intelligent highway
CN109624755A (en) A kind of charging electric motor vehicles stake that can be convenient for storage
CN211641889U (en) Over-and-under type electric automobile fills electric pile
CH706871A2 (en) Mobile charging center for electric car, has solar power system generating power by photovoltaic plate, where photovoltaic plate forms cover that is three-dimensionally, movably supported on frame in central bearing in center
CN109302134B (en) Photovoltaic panel devic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CN206870883U (en) A kind of roadside solid charging pile based on internet
CN213837918U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hed with solar charging device
CN213534489U (en) Liftable formula car fills electric pile
CN210673193U (en) Fixed four-wheel-drive automatic cleaning equipment for plane glass top
KR102462722B1 (en) Variable canopy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CN220349511U (en) Environment-friendly solar charging pile
CN106351739A (en) Photoelectric environmentally friendly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CN220720857U (en) Preassembl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N112026563A (en) Portable electric pile that fills of new energy automobile
CN109537945A (en) It is a kind of to be easily installed the environmentally protective stereo garage of fixed Vertical Circulating
CN218141075U (en) Dustproof rain-proof electric pile that fills
CN219082604U (en) Road monitoring device for municipal works
CN219668005U (en) Household light storage integrated mobile power station
CN216280250U (en) Civil engineering's road and bridge self-propelled survey device
CN215850805U (en) Car fills electric pile cooling protection device
CN216861192U (en) Novel waterproof new energy automobile charges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