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427A -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427A
KR20230062427A KR1020220141349A KR20220141349A KR20230062427A KR 20230062427 A KR20230062427 A KR 20230062427A KR 1020220141349 A KR1020220141349 A KR 1020220141349A KR 20220141349 A KR20220141349 A KR 20220141349A KR 20230062427 A KR20230062427 A KR 2023006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condition
trps
trp
measurement val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기
김준식
장성철
전선미
최용석
김덕경
김광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976,06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36920A1/en
Publication of KR2023006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최소 측정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최소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과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될 경우, 복수의 서빙 기지국들 및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1 기지국 중 적어도 일부 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EAM-BASED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빔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빔 기반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5G NR 통신 또는 그 이후의 무선 통신 기술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테면, 무선 통신 용으로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대역은 크게 FR1(frequency range 1) 대역 및 FR2(frequency range 2) 대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FR1 대역은 약 7GHz 이하의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FR2 대역은 약 7GHz를 초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FR2 대역은 28-29GHz 대역, 비면허 대역, 밀리미터파 대역, 테라헤르츠파 대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 대역, 테라헤르츠파 대역 등의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경로 손실 등이 높은 수준으로 발생할 수 있다.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높은 안테나 이득을 가지는 좁은 빔(narrow beam)을 사용한 빔 기반(beam-based)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빔 기반 통신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노드들은 다중 빔을 사용하여 다른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빔 기반 통신에서는 통신 환경 상의 장애물(이하, 통신 장애물)에 의한 차단(blockage) 또는 통신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빔 스위칭(beam switching, BS) 및 핸드오버(handover, HO) 등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링크 신뢰성(link reliability)이 저하될 수 있다. 빔 기반 통신에서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빔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multi-connectivity, MC)에 기초하여 통신 안정성 및/또는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빙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최소 측정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최소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과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및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1 TRP 중 적어도 일부 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최소 측정값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합보다 큰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최소 측정값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합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에 대응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수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하나 이상의 기준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수의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후보 빔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빔들 중 상기 제1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들은, TRP 분류에 관한 제1 기준, 측정값 크기에 관한 제2 기준, 빔 스위칭 확률 또는 핸드오버 확률에 대한 비교 결과에 관한 제3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빔 탐색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빔 탐색 공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빔 탐색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빔 탐색 공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탐색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상기 탐색 기준 빔의 LoS(line of sight) 조건/NLoS(non-LoS) 조건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LoS 조건/NLoS 조건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빔 탐색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빔을 형성하는 상기 제1 TRP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TRP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최소 측정값에 대응되는 제2 빔을 형성하는 제2 TRP으로부터 상기 제1 TRP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TRP으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TRP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동시에 접속하는 TRP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빔을 형성하는 상기 제1 TRP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TRP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상기 최소 측정값에 대응되는 제2 빔을 형성하는 제2 TRP과 동일할 경우, 상기 제2 빔에서 상기 제1 빔으로의 빔 스위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및 상기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및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각각은, 대응되는 빔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제3 TRP으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은,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빙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의 합에 해당하는 합계(aggregated) 측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합계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과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및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1 TRP 중 적어도 일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합계 측정값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합보다 큰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빔을 형성하는 상기 제1 TRP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또는 빔 스위칭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TRP을 포함한 복수의 서빙 TRP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대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기준값과,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빔 측정값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의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최소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 또는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의 합에 해당하는 합계(aggregated) 측정값 및 제2 오프셋의 합 중 어느 하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상기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빔 탐색 공간의 크기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탐색 공간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의 LoS(line of sight) 조건/NLoS(non-LoS) 조건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2 TRP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빔 스위칭 또는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빔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는 MC에 기초하여 동시에 하나 이상의 서빙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연결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값과, 그 외의 수신되는 빔들에 대한 측정값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빔 스위칭, 핸드오버, 또는 서빙 빔 유지 여부 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UE는 빔 및/또는 TRP 탐색을 위한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빔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빔 탐색 동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5G 이동통신망, B5G 이동통신망(6G 이동통신망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예를 들어,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4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이 5G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코어 네트워크는 UPF(user plane function),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270)가 아니라, 프로세서(22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20), 송수신 장치(2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eNB, gNB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또는 on board device/terminal 등)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들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수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송신 노드는 수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송신 노드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수신 노드는 송신 노드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제2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300)은 빔 기반(beam-based)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은 셀룰라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단일 빔(single beam) 또는 다중 빔(multi beam)을 사용하여 다른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는 TRP1(311), TRP2(312), TRP3(313), TRP4(314) 및 UE(320)를 포함할 수 있다. TRP1 내지 TRP4(311, 312, 313, 314)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TRP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는 기지국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TRP는 기지국과 UE 간의 연결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UE는 하나 이상의 TRP들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연결될 수 있다.
UE(3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RP1 내지 TRP4(311, 312, 313, 314) 및 UE(32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노드(20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한편, 통신 환경 상에는 건물이나 사람, 기타 구조물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장애물들(331, 332, 333)이 존재할 수 있다. UE(320)는 TRP1 내지 TRP4(311, 312, 313, 3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접속할 수 있다. UE(320)는 TRP1 내지 TRP4(311, 312, 313, 314)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 또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에 연결될 수 있다.
TRP1 내지 TRP4(311, 312, 313, 314) 중 어느 하나는 다중 빔을 형성하여 UE(320)에 연결됨으로써, UE(320)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UE(320)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TRP를, '서빙 TRP'와 같이 칭할 수 있다. 서빙 TRP에 의해 형성되는 다중 빔 중 UE(320)에 대한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빔을, '서빙 빔'과 같이 칭할 수 있다.
'통신 환경 조건'에 따라서, UE(320)에 대한 서빙 TRP 및/또는 서빙 빔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환경 조건은, 통신 환경 상에서 통신 노드들(311, 312, 313, 314, 320), 통신 장애물들(331, 332, 333) 등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위치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TRP1 내지 TRP4(311, 312, 313, 314) 중에서 UE(320)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거나 UE(320)와의 통신 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하나의 TRP가 서빙 TRP로 결정될 수 있다. 서빙 TRP에 의해 형성되는 빔 중 UE(320)에서의 수신 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하나의 빔이 서빙 빔으로 결정될 수 있다.
UE(320) 및/또는 통신 장애물들(331, 332, 333)이 이동함에 따라, UE(320)에 대한 서빙 TRP 및/또는 서빙 빔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테면, UE(320)가 TRP1(311)에 접속한 상태에서 이동할 경우, UE(320)는 기존의 서빙 빔이 향하는 방향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 경우, UE(320)에 대한 서빙 빔은 TRP1(311)이 해당 시점에 UE(320)의 방향으로 형성하는 빔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UE(320)에 대한 서빙 빔이 교체되는 것을, '빔 스위칭(beam switching, BS)'과 같이 칭할 수 있다. 한편, UE(320)가 이동함에 따라, UE(320)에 대한 서빙 빔이 통신 장애물(331)에 의해 차단되거나, UE(320)에서의 수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 경우, UE(320)는 TRP1(311) 대신 TRP2(312)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E(320)가 접속하는 서빙 TRP가 변경되는 것을, '핸드오버(handover, HO)'와 같이 칭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핸드오프'와 같이 칭할 수도 있다.
단일 빔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300)에서는, 통신 환경 상의 통신 장애물들에 의한 차단(blockage) 또는 통신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빔 스위칭 및 핸드오버 등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고, 링크 신뢰성(link reliability)이 저하될 수 있다. 빔 기반 통신에서 링크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도 4는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400)은 빔 기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400)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들 중 적어도 일부는 단일 빔 또는 다중 빔을 사용하여 다른 통신 노드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400)의 일 실시예는 TRP1(411), TRP2(412), TRP3(413) 및 UE(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환경 상에는 건물이나 사람, 기타 구조물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장애물들(431, 432, 433)이 존재할 수 있다. UE(420)는 TRP1 내지 TRP3(411, 412, 41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거나 접속할 수 있다. UE(420)는 TRP1 내지 TRP3(411, 412, 41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 또는 CN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400)의 일 실시예에서, UE(420)는 TRP1 내지 TRP3(411, 412, 413) 중 복수의 TRP들에 동시에 연결되거나 접속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400)은 이중 연결(dual-connectivity, DC) 또는 다중 연결(multi-connectivity, MC)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DC는 UE(420)가 동시에 2개의 TRP들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MC는 UE(420)가 동시에 복수의 TRP들(또는 다중 TRP)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UE(420)가 MC에 기초하여 동시에 2개의 TRP들에 연결되는 것은 UE(420)가 DC에 기초하여 동시에 2개의 TRP들에 연결되는 것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MC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구성들은, DC에 대하여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통신 환경 조건에 따라서, TRP1 내지 TRP3(411, 412, 413) 중 하나 이상의 TRP들이 UE(420)에 대한 서빙 TRP로 결정될 수 있다. 통신 환경 조건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빔들이 UE(420)에 대한 서빙 빔으로 결정될 수 있다. UE(420) 및/또는 통신 장애물들(431, 432, 433)이 이동함에 따라, UE(42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이 변경될 수 있다. UE(420)에 대한 서빙 빔(이하, 제1 빔)의 수신 세기(이를테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가, 제1 서빙 빔의 이웃 빔(이하, 제2 빔)의 수신 세기보다 약해질 경우, 빔 스위칭 또는 핸드오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테면, UE(420)는 시간 흐름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UE(420)는 t 시점에 ①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UE(420)는 t+τ 시점에 ②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UE(420)는 t+2τ 시점에 ③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UE(420)는 t+3τ 시점에 ④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UE(420)는 t+4τ 시점에 ⑤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UE(420)가 ① 지점에 위치할 경우, UE(420)는 TRP1(411)에 의해 형성되는 빔1-1(411-1)이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UE(420)는 빔1-1(411-1)을 통해 TRP1(41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TRP1(411)이 UE(420)에 대한 서빙 TRP가 될 수 있고, 빔1-1(411-1)이 UE(420)에 대한 서빙 빔이 될 수 있다. UE(420)가 ② 지점으로 이동할 경우, UE(420)는 서빙 빔인 빔1-1(411-1)이 향하는 방향을 이탈할 수 있고, 대신 빔1-1(411-1)을 형성하는 TRP1(411)에 의해 형성되는 빔1-2(411-2)가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빔 스위칭이 발생하여, TRP1(411)은 UE(420)에 대한 서빙 TRP로 유지될 수 있고, 빔1-1(411-1) 대신 빔1-2(411-2)가 UE(420)에 대한 새로운 서빙 빔이 될 수 있다.
한편, ① 지점 및 ② 지점에서, UE(420)는 TRP2(412)에 의해 형성되는 빔2-1(412-1)이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빔2-1(412-1)은 UE(420) 및 TRP2(412)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 장애물(43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E(420)가 ① 지점 및 ② 지점에 위치할 경우, TRP2(412)는 UE(420)에 대한 서빙 TRP가 될 수 없고, 빔2-1(412-1)은 UE(420)에 대한 서빙 빔이 될 수 없다.
UE(420)가 ③ 지점으로 이동할 경우, UE(420)는 TRP1(411)에 의해 형성되는 빔1-2(411-2)가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또한 TRP2(412)에 의해 형성되는 빔2-2(412-2)가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TRP2(412)가 UE(420)에 대한 새로운 서빙 TRP로 추가될 수 있고, 빔2-2(412-2)가 UE(420)에 대한 새로운 서빙 빔으로 추가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TRP1(411) 및 TRP2(412)가 UE(420)에 대한 서빙 TRP들이 될 수 있고, 빔1-2(411-2) 및 빔2-2(412-2)가 UE(420)에 대한 서빙 빔들이 될 수 있다. 이는 UE(420)가 MC에 기초하여 TRP1(411) 및 TRP2(412)에 동시에 연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UE(420)가 ④ 지점으로 이동할 경우, UE(420)는 서빙 빔인 빔2-2(412-2)가 향하는 방향을 이탈할 수 있고, 대신 빔2-2(412-2)를 형성하는 TRP2(412)에 의해 형성되는 빔2-3(412-3)이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빔 스위칭이 발생하여, TRP2(412)는 UE(420)에 대한 서빙 TRP로 유지될 수 있고, 빔2-2(412-2) 대신 빔2-3(412-3)이 UE(420)에 대한 새로운 서빙 빔이 될 수 있다. 한편, ④ 지점 상에서, UE(420)는 서빙 TRP인 TRP1(411)의 서비스 가능 영역을 이탈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TRP1(411)에 의해 형성되는 빔들의 UE(420)에서의 수신 품질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으로 저하될 수 있다. 대신, UE(420)는 TRP3(411)에 의해 형성되는 빔3-1(413-1)이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드오버가 발생하여, TRP1(411) 대신 TRP3(413)이 UE(420)에 대한 새로운 서빙 TRP가 될 수 잇고, 빔3-1(413-1)이 UE(420)에 대한 새로운 서빙 빔이 될 수 있다.
UE(420)가 ⑤ 지점으로 이동할 경우 UE(420)는 서빙 빔인 빔3-1(413-1)이 향하는 방향을 이탈할 수 있고, 대신 빔3-1을 형성하는 TRP3(413)에 의해 형성되는 빔3-2(413-2)가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빔 스위칭이 발생하여, TRP3(413)은 UE(420)에 대한 서빙 TRP로 유지될 수 있고, 빔3-1(413-1) 대신 빔3-2(413-2)가 UE(420)에 대한 새로운 서빙 빔이 될 수 있다. 한편, ⑤ 지점 상에서, UE(420)는 서빙 빔인 빔2-3(412-3)이 향하는 방향을 이탈할 수 있고, 대신 빔2-3을 형성하는 TRP2(412)에 의해 형성되는 빔2-4(412-4)가 향하는 방향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빔2-4(412-4)는 UE(420) 및 TRP2(412) 사이에 존재하는 통신 장애물(432)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E(420)가 ⑤ 지점에 위치할 경우, TRP2(412)는 UE(420)에 대한 서빙 TRP가 될 수 없고, 빔2-4(412-4)는 UE(420)에 대한 서빙 빔이 될 수 없다. 즉 ⑤ 지점 상에서, UE(420)에 대하여는 하나의 서빙 TRP에 의한 하나의 서빙 빔만이 설정될 수 있다.
다중 TRP 및/또는 다중 빔에 기초한 M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노드들 및/또는 통신 장애물의 위치 변경으로 인하여 빔 스위칭, 핸드오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다중 TRP 및/또는 다중 빔에 기초한 MC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스위칭, 핸드오버 등에 대한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될 수 있다.
도 5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TRP들 및 하나 이상의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하나의 UE가 하나 이상의 TRP들과 연결된 상황을 예시로 하여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UE는 하나의 TRP에 연결되거나, 또는 MC에 기초하여 복수의 TRP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UE에 대하여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이 설정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 각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510). UE는 S510 단계에 따른 측정을 수행한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UE는 S510 단계에 기초하여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측정값(이하, '최소 측정값')을 선택할 수 있다(S520). S520 단계에서 선택된 최소 측정값에 대응되는 서빙 빔을 '제1 빔'이라 할 수 있고, 제1 빔을 형성하는 서빙 TRP를 '제1 TRP'라 할 수 있다.
이를테면, 모든 TRP들의 집합을 'T'와 같이 칭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TRP들의 집합'은 통신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TRP들의 집합, 또는 UE에서 감지할 수 있는 모든 TRP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모든 TRP들의 집합(T)에 포함되는 TRP들을 't'와 같이 통칭할 수 있다. TRP들(t)에 의해 형성되는 모든 빔들의 집합을 'B'와 같이 칭할 수 있다. 모든 빔들의 집합(B)에 포함되는 빔들을 'b'와 같이 통칭할 수 있다. 모든 TRP들 및 모든 빔들 중에서 UE에 대한 서빙 TRP들의 집합 및 서빙 빔들의 집합을 'Ts' 및 'Bs'와 같이 칭할 수 있다. 서빙 TRP들의 집합(Ts) 및 서빙 빔들의 집합(Bs)에 포함되는 서빙 TRP들 및 서빙 빔들을 'ts' 및 'ts'와 같이 통칭할 수 있다. 서빙 TRP들 각각의 인덱스를 i라 할 때, 서빙 TRP들의 집합(Ts) 및 서빙 빔들의 집합(Bs)에 포함되는 서빙 TRP들 및 서빙 빔들 각각을, 'tsi' 및 'tsi'와 같이 칭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획득되는 측정값들은,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 각각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한 RSRP 값(Pr(ts,bs))에 해당할 수 있다.
UE에 대한 MC의 크기는, UE가 동시에 몇 개의 TRP들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의미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UE에 대한 MC의 크기가 2로 결정될 경우, UE에 대하여는 2개의 서빙 TRP들이 설정될 수 있다. 2개의 서빙 TRP들을 서빙 TRP #1(ts1) 및 서빙 TRP #2(ts2)라고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서빙 TRP들에 의해 형성되는 2개의 서빙 빔들을 서빙 빔 #1(bs1) 및 서빙 빔 #2(bs2)이라고 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UE는 측정값 #1 및 측정값 #2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값 #1은 서빙 TRP #1에 의한 서빙 빔 #1에 대한 RSRP 값(Pr(ts1,bs1))에 해당할 수 있다. 측정값 #2는 서빙 TRP #2에 의한 서빙 빔 #2에 대한 RSRP 값(Pr(ts2,bs2))에 해당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UE는 측정값 #1 및 측정값 #2 중 가장 작은 측정값(즉, 최소 측정값)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최소 측정값은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MC의 크기가 N일 경우(또는 UE에 대해 설정된 서빙 빔들이 N개일 경우), 수학식 1을 일반화하면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UE는 통신 시스템의 모든 TRP들 및 모든 빔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530). S530 단계에서, UE는 수신되는 모든 빔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획득되는 측정값들은, 수신되는 빔들 각각에 대한 RSRP 값(Pr(t,b))에 해당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UE는 소정의 빔/TRP 탐색 공간(beam/TRP search space)을 통하여 수신되는 빔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S530 단계에서, UE는 수신되는 빔들 중에서 서빙 빔들을 제외한 빔들에 대한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UE는 S520 단계에서 선택된 최소 측정값 및 S530 단계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비교함으로써,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0). S540 단계에서, UE는 S530 단계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 중, S520 단계에서 측정된 최소 측정값과 제1 오프셋(Op)의 합보다 큰 측정값이 존재할 경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조건은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제1 오프셋(Op)은 빔 스위칭 절차 및/또는 핸드오버 절차에서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오프셋은 빔 스위칭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하여 동일 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오프셋이 빔 스위칭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경우, 빔 스위칭 절차에 대하여는 제1-1 오프셋(Op1)이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고, 핸드오버 절차에 대하여는 제1-2 오프셋(Op2)이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조건은 빔 스위칭 절차에 대한 제1-1 조건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한 제1-2 조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S540 단계에 따른 제1 조건의 만족 여부 판단 과정에서, S510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통해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은 비교 대상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조건은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한편, S540 단계에 따른 제1 조건의 만족 여부 판단 과정에서, 현재 서빙 TRP인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빔들에 대한 측정을 통해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은 비교 대상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조건은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S540 단계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빔 스위칭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지 않고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이 유지될 수 있다(S550). 다르게 표현하면, 기존의 서빙 TRP들에 의한 서빙 빔들보다 측정값이 일정 정도(제1 오프셋) 이상 우수한 다른 TRP 및/또는 빔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서빙 TRP들 및 서빙 빔들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S540 단계에서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에 대응되는 빔(이하, '제2 빔') 및 제2 빔을 형성하는 TRP(이하, '제2 TRP')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S540 단계에서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들이 복수 개 존재할 경우, UE는 소정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수 개의 측정값들 중 어느 하나의 측정값을 선택하여 제2 빔 및 제2 TRP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수 개의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빔들 각각을 '후보 빔'과 같이 칭할 수 있다. 후보 빔에 대응되는 TRP를 '후보 TRP'와 같이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이 1개 존재할 경우, UE는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제2 빔 및 제2 TRP를 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의 설정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정값들은 제1 측정값 그룹, 제2 측정값 그룹, 제3 측정값 그룹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TRP가 형성하는 빔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측정값은 제1 측정값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제1 TRP를 제외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이 형성하는 빔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측정값은 제2 측정값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서빙 TRP가 아닌 하나 이상의 이웃 TRP들이 형성하는 빔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측정값은 제3 측정값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측정값 그룹의 우선순위가 제일 높게 설정될 수 있고, 제2 측정값 그룹의 우선순위가 제일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TRP 분류에 따른 측정값 그룹 분류에 기초한 우선순위 설정 기준을, '제1 기준'과 같이 칭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정값들 중 그 크기가 큰 측정값이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값 크기에 기초한 우선순위 설정 기준을, '제2 기준'과 같이 칭할 수 있다. UE는 제1 기준, 제2 기준 등 하나 이상의 기준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거나, 또는 복수의 기준들을 조합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UE는 제1 기준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측정값 그룹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측정값들이 선택되었을 경우, UE는 제2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된 측정값들 중 가장 크기가 큰 측정값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UE는 제2 빔을 형성하는 제2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60). S560 단계에서 제2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다르게 표현하면, 제2 TRP가 기존의 서빙 TRP가 아닌 이웃 TRP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UE는 제1 TRP에서 제2 TRP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S570).
S560 단계에서 제2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의 서빙 TRP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TRP가 제1 TRP와 동일할 경우, 빔 스위칭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S670). 다르게 표현하면,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2 빔을 형성하는 제2 TRP가, 기존의 서빙 빔인 제1 빔을 형성하는 제1 TRP와 동일할 경우, 빔 스위칭이 수행될 수 있다. S670 단계에서, 제1 TRP는 UE에 대한 서빙 빔으로 유지될 수 있고, 제1 빔 대신 제2 빔이 UE에 대한 새로운 서빙 빔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제1 TRP가 아닌 어느 하나의 서빙 TRP와 동일할 경우, UE는 S550 단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빔 스위칭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지 않고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이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제2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제1 TRP가 아닌 어느 하나의 서빙 TRP와 동일할 경우, UE는 제1 빔을 통한 제1 TRP에 대한 접속을 중단하고, 제2 빔을 통한 제2 TRP와의 연결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TRP는 기존에도 서빙 빔이었기 때문에, UE 및 제2 TRP는 동시에 2개의 빔을 통하여 상호간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제2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제1 TRP가 아닌 어느 하나의 서빙 TRP와 동일할 경우, UE는 S540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새로운 제2 빔 및 제2 TRP를 선택할 수도 있다. S540 단계가 다시 수행될 경우, 기존의 제2 빔은 비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S510 단계 내지 S580 단계를 통하여, UE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이 결정될 수 있다. UE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 및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S590).
도 6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 각각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610). UE는 S610 단계에 따른 측정을 수행한 결과로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S610 단계에 기초하여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측정값에 대응되는 서빙 빔을 '제1 빔'이라 할 수 있고, 제1 빔을 형성하는 서빙 TRP를 '제1 TRP'라 할 수 있다. UE는 S610 단계에 기초하여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의 합(이하, '합계(aggregated) 측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S620). 합계 측정값은 'Pr,agg(ts,bs)'와 같이 칭할 수 있다.
이를테면, UE에 대한 MC의 크기가 2로 결정될 경우(또는 UE에 대해 설정된 서빙 빔들이 2개일 경우), S620 단계에서 합계 측정값은 수학식 6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MC의 크기가 N일 경우(또는 UE에 대해 설정된 서빙 빔들이 N개일 경우), 수학식 6을 일반화하면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UE는 통신 시스템의 모든 TRP들 및 모든 빔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630). S630 단계에서, UE는 수신되는 모든 빔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UE는 수신되는 모든 빔들 중에서 서빙 빔들을 제외한 빔들에 대한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S630 단계에서, UE는 소정의 빔/TRP 탐색 공간을 통하여 수신되는 빔들 각각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UE는 수신되는 빔들 중에서 서빙 빔들을 제외한 빔들에 대한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UE는 S620 단계에서 계산된 합계 측정값 및 S630 단계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비교함으로써,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40). S640 단계에서, UE는 S630 단계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 중, S620 단계에서 계산된 합계 측정값과 제2 오프셋(Oa)의 합보다 큰 측정값이 존재할 경우 제2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수학식 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수학식 8에서, 제2 오프셋(Oa)은 빔 스위칭 절차 및/또는 핸드오버 절차에서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오프셋은 빔 스위칭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하여 동일 또는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오프셋이 빔 스위칭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하여 상이하게 설정될 경우, 빔 스위칭 절차에 대하여는 제2-1 오프셋(Oa1)이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고, 핸드오버 절차에 대하여는 제1-2 오프셋(Oa2)이 설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 조건은 빔 스위칭 절차에 대한 제2-1 조건 및 핸드오버 절차에 대한 제2-2 조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S640 단계에 따른 제2 조건의 만족 여부 판단 과정에서, S610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통해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은 비교 대상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건은 수학식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한편, S640 단계에 따른 제2 조건의 만족 여부 판단 과정에서, 현재 서빙 TRP인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빔들에 대한 측정을 통해 획득된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은 비교 대상으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조건은 수학식 1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S640 단계에서 제2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빔 스위칭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지 않고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이 유지될 수 있다(S650). 다르게 표현하면, 기존의 서빙 TRP들에 의한 서빙 빔들의 측정값들을 합한 값보다 일정 정도(제2 오프셋) 이상 우수한 측정값을 가지는 TRP 및/또는 빔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서빙 TRP들 및 서빙 빔들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S640 단계에서 제2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에 대응되는 빔(이하, '제3 빔') 및 제3 빔을 형성하는 TRP(이하, '제3 TRP')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S640 단계에서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들이 복수 개 존재할 경우, UE는 소정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수 개의 측정값들 중 어느 하나의 측정값을 선택하여 제3 빔 및 제3 TRP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이 1개 존재할 경우, UE는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제3 빔 및 제3 TRP를 결정할 수 있다.
UE는 제3 빔을 형성하는 제3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60). S660 단계에서 제3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다르게 표현하면, 제3 TRP가 기존의 서빙 TRP가 아닌 이웃 TRP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UE는 제1 TRP에서 제3 TRP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S670).
S660 단계에서 제3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의 서빙 TRP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핸드오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제3 TRP가 제1 TRP와 동일할 경우, 빔 스위칭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S670). S670 단계에서, 제1 TRP는 UE에 대한 서빙 빔으로 유지될 수 있고, 제1 빔 대신 제3 빔이 UE에 대한 새로운 서빙 빔이 될 수 있다.
한편, 제3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제1 TRP가 아닌 어느 하나의 서빙 TRP와 동일할 경우, UE는 S650 단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3 TRP가 기존의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제1 TRP가 아닌 어느 하나의 서빙 TRP와 동일할 경우, UE는 S640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새로운 제3 빔 및 제3 TRP를 선택할 수도 있다. S640 단계가 다시 수행될 경우, 기존의 제3 빔은 비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S610 단계 내지 S680 단계를 통하여, UE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이 결정될 수 있다. UE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및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 및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S690).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개별 서빙 TRP 별 서빙 빔 측정값, 및 다른 TRP들에 대한 빔 측정값들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빔 스위칭 및/또는 핸드오버의 트리거링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TRP 별(per-TRP) 측정값 기반 트리거링'이라 할 수 있다.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항상 최대한 우수한 TRP들과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통신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나, 빔 스위칭 및/또는 핸드오버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는, 모든 서빙 TRP들에 대한 서빙 빔 측정값들을 합한 합계 측정값, 및 다른 TRP들에 대한 빔 측정값들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빔 스위칭 및/또는 핸드오버의 트리거링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합계 측정값 기반 트리거링'이라 할 수 있다.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항상 해당 시점에 측정값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TRP들과 연결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빔 스위칭 및/또는 핸드오버의 빈도가 감소할 수 있다.
이를테면, UE와 동시에 연결된 TRP의 개수가 많고 TRP 및 UE 간의 LoS(line of sight) 링크가 많은 경우, 상대적으로 빔 스위칭 및 핸드오버의 필요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보다는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빔 스위칭 및/또는 핸드오버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상황에 따라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UE는 수신되는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UE는 획득한 측정값들 중,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값들을 다른 측정값들과 비교함으로써, 빔 스위칭 및/또는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UE는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하, 서빙 빔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S510 단계,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S610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한편, UE는 수신되는 빔들 중 서빙 빔이 아닌 빔들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UE는 TRP 별로 설정되는 소정의 빔/TRP 탐색 공간(beam/TRP search space) 내에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S530 단계,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S630 단계에서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빔/TRP 탐색 공간은 TRP 별로 결정되는 탐색 기준 빔을 중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서빙 TRP의 경우, 서빙 빔이 탐색 기준 빔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서빙 TRP가 아닌 TRP(즉, 이웃 TRP)의 경우, 해당 TRP로부터의 신호(이를테면,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등)가 처음 수신된 빔, 또는 해당 TRP로부터의 빔들 중 처음으로 측정이 수행된 빔 등이 탐색 기준 빔에 해당할 수 있다.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는, 탐색 기준 빔과 측정 대상 빔들 간의 최대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가 1일 경우, 탐색 기준 빔의 인덱스 i를 중심으로 i-1, i, i+1 등에 대응되는 빔들이 측정 대상 빔들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가 1일 경우, 탐색 기준 빔과 바로 이웃하는(또는 탐색 기준 빔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빔들과 탐색 기준 빔에 대한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가 1보다 큰 자연수 N일 경우, 탐색 기준 빔의 인덱스 i를 중심으로 i-N 내지 i+N에 대응되는 빔들이 측정 대상 빔들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가 N일 경우, 탐색 기준 빔을 포함하여 탐색 기준 빔으로부터 최대 N만큼 이격된 하나 이상의 빔들이 측정 대상 빔들로 결정될 수 있다. 빔/탐색 공간의 크기는, TRP 별 탐색 기준 빔이 LoS 조건에 해당하는지 또는 NLoS(non-LOS)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TRP 별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탐색하고자 하는 TRP가 서빙 TRP일 경우, 해당 TRP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은 현재 서빙 빔일 수 있다. 이 경우, 빔/탐색 공간 내에서 수신되는 빔들 중 탐색 기준 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들에 대하여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해당 TRP에 대한 빔/TRP 탐색 공간은 탐색 기준 빔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UE는 탐색하고자 하는 제4 TRP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이 LoS 조건에 해당하는지 또는 NLoS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10). UE는 S71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4 TRP에 대한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S720). UE는 S720 단계에서 결정된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빔/TRP 탐색 공간 내에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빔들(이를테면, 이웃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S730).
구체적으로는, 탐색 기준 빔이 LoS 조건에 해당할 경우, UE는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1로 결정할 수 있다.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가 1일 경우, UE는 제4 TRP로부터 수신되는 빔들 중 탐색 기준 빔과의 간격이 1 이하인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하여만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탐색 기준 빔이 NLoS 조건에 해당할 경우, S720 단계에서 UE는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1보다 큰 자연수 N으로 설정할 수 있다.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가 N일 경우, UE는 S730 단계에서 탐색 기준 빔과의 간격이 N 이하인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하여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UE는 빔 스위칭이 발생할 확률(이하, 빔 스위칭 확률)과 핸드오버가 발생할 확률(이하, 핸드오버 확률)을 비교할 수 있다. 빔 스위칭 확률이 핸드오버 확률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서빙 TRP들에 대한 빔 탐색의 우선순위를 이웃 TRP들에 대한 빔 탐색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핸드오버 확률이 빔 스위칭 확률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이웃 TRP들에 대한 빔 탐색의 우선순위를 서빙 TRP들에 대한 빔 탐색의 우선순위보다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빔(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3 빔)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우선순위 설정 기준은, 제3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준에 따르면, 빔 스위칭 확률이 핸드오버 확률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이웃 TRP들로부터 수신된 빔들보다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된 빔들을 우선적으로 제2 빔(또는 제3 빔)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핸드오버 확률이 빔 스위칭 확률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된 빔들보다 이웃 TRP들로부터 수신된 빔들을 우선적으로 제2 빔(또는 제3 빔)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빔 스위칭 확률이 핸드오버 확률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서빙 TRP들에 대한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이웃 TRP들에 대한 빔/TRP 담색 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핸드오버 확률이 빔 스위칭 확률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이웃 TRP들에 대한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서빙 TRP들에 대한 빔/TRP 담색 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할 수 있다.
UE는 소정의 계산 방식에 기초하여 빔 스위칭 확률 및/또는 핸드오버 확률의 값을 계산함으로써, 빔 스위칭 확률 및 핸드오버 확률에 대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UE는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빔 스위칭 확률 및 핸드오버 확률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는 통신 환경 상에 존재하는 UE, 서빙 TRP들, 이웃 TRP들, 통신 장애물들 중 적어도 일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는 UE가 서빙 TRP들 및 이웃 TRP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빔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측정값, 또는 하나 이상의 측정값의 변화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UE는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UE가 특정 서빙 TRP보다 어느 하나의 이웃 TRP에 더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 있다. UE가 특정 서빙 TRP보다 어느 하나의 이웃 TRP에 더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빔 스위칭 확률보다 핸드오버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UE가 특정 서빙 TRP보다 특정 이웃 TRP에 더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지 않을 경우(이를테면, UE가 이동하면서도 특정 서빙 TRP와의 통신이 용이한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UE는 핸드오버 확률보다 빔 스위칭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UE에 대한 MC의 크기는, UE가 동시에 몇 개의 TRP들에 연결될 수 있는지를 의미하거나 결정할 수 있다. 이를테면, UE에 대한 MC의 크기가 자연수 m일 경우, UE는 최대 m개의 TRP들과의 연결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여기서, UE에 대한 MC의 크기는 UE의 핸드오버 시에 유동적으로 또는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의 서빙 TRP로부터 이웃 TRP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S810). UE는 핸드오버한 TRP(이하, 제5 TRP)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820). 제5 TRP에 대한 제1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정보는 제5 TRP를 통해 송수신되는 트래픽의 성격, 트래픽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서비스 환경, 채널 환경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TRP 밀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UE의 이동에 따라 LoS 링크가 확보될 확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S820 단계에서 확인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MC의 크기에 대한 파라미터 m을 결정할 수 있다(S830). 이를테면, 트래픽이 URLLC 트래픽일 경우, UE는 MC의 크기(또는 m)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트래픽에 대한 신뢰성 조건 및/또는 레이턴시 조건이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UE는 MC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핸드오버 이후 S830 단계에서 결정된 MC의 크기가 기존의 MC의 크기보다 클 경우, UE는 결정된 MC의 크기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서빙 빔을 통해 추가적인 서빙 TRP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핸드오버 이후 S830 단계에서 결정된 MC의 크기가 기존의 MC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UE는 기존의 서빙 빔들 및/또는 서빙 TRP에 대한 접속 일부를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환경 또는 통신 조건 등에 기초하여 MC의 크기가 적응적으로 결정됨에 따라, MC에 기초한 복수의 TRP들과 UE 간의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9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400)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및 하나 이상의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TRP를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서 TRP에 대하여 설명한 구성들은 기지국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통신 시스템(9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 및 하나의 UE가 MC에 기반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일 뿐이며,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5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통신 시스템(900)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시스템(900)은 제1 기지국(9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지국(910)은 복수의 TRP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시스템(900)은 각각 하나 이상의 TRP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기지국들은 제1 기지국(9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 중, UE(920)에 대하여 복수의 서빙 TRP들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기지국(910)은 UE(91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빙 기지국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기지국(910)은 UE(92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910)은 UE(920)의 빔 기반 통신을 위한 제1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930). 제1 기지국(910)은 제1 설정 정보를 UE(920)에 전송할 수 있다(S940). 이를테면, 제1 기지국(910)은 제1 기지국(910)에 포함되는 제1 서빙 TRP를 통하여 제1 설정 정보를 UE(920)에 전송할 수 있다. UE(920)는 제1 기지국(910)으로부터 수신된 제1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950). 제1 기지국(910) 및 UE(920)는 제1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960).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빔 기반 통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종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가 복수 종류들의 정보를 포함할 경우, S940 단계에서 제1 기지국(910)은 복수 종류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UE(9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940 단계에서 제1 기지국(910)은 제1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 종류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신호들 각각을 UE(9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 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통신 시스템(900)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빔 측정값들과 제1 기준값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조건 또는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건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에서의 제1 조건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제2 조건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가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기준값은 UE(920)가 복수의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최소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가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기준값은 UE(920)가 복수의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최소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또는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는,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제1 기준값보다 큰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UE(920)가 제1 조건(또는 제2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또는 제2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는,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서빙 빔들에 대응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UE(920)가 제1 조건(또는 제2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제1 조건(또는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2 TRP가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UE(920)가 빔 스위칭 또는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건(또는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들이 복수 개 존재할 경우, 제1 조건(또는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빔들 각각을 '후보 빔'과 같이 칭할 수 있고, 후보 빔에 대응되는 TRP를 '후보 TRP'와 같이 칭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복수 개의 후보 빔들 중 제1 빔을 선택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하나 이상의 기준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설정 정보는 통신 시스템(900)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빔 탐색 공간의 크기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빔 탐색 공간의 크기는,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의 LoS(line of sight) 조건/NLoS(non-LoS) 조건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는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의 선택 기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빔 기반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설정 정보는 UE(920)가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에서 이웃 TRP로 핸드오버했을 경우, 핸드오버한 TRP에 대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UE(920)가 동시에 접속하는 TRP들의 개수를 결정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빔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UE(user equipment)는 MC에 기초하여 동시에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연결될 수 있다. UE는 하나 이상의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값과, 그 외의 수신되는 빔들에 대한 측정값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빔 스위칭, 핸드오버, 또는 서빙 빔 유지 여부 등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UE는 빔 및/또는 TRP 탐색을 위한 빔/TRP 탐색 공간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결정함으로써, 빔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빔 탐색 동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본 출원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 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빙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최소 측정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최소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과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및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1 TRP 중 적어도 일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최소 측정값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합보다 큰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최소 측정값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합보다 크고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에 대응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수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하나 이상의 기준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복수의 측정값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후보 빔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빔들 중 상기 제1 빔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준들은, TRP 분류에 관한 제1 기준, 측정값 크기에 관한 제2 기준, 빔 스위칭 확률 또는 핸드오버 확률에 대한 비교 결과에 관한 제3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빔 탐색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빔 탐색 공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빔 탐색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빔 탐색 공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빔 탐색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상기 탐색 기준 빔의 LoS(line of sight) 조건/NLoS(non-LoS) 조건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LoS 조건/NLoS 조건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빔 탐색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빔을 형성하는 상기 제1 TRP가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TRP가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상기 최소 측정값에 대응되는 제2 빔을 형성하는 제2 TRP로부터 상기 제1 TRP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TRP로의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TRP에 대한 제1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동시에 접속하는 TRP들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빔을 형성하는 상기 제1 TRP가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TRP가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상기 최소 측정값에 대응되는 제2 빔을 형성하는 제2 TRP와 동일할 경우, 상기 제2 빔에서 상기 제1 빔으로의 빔 스위칭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및 상기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및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각각은, 대응되는 빔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되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에 해당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제3 TRP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서,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빙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의 합에 해당하는 합계(aggregated) 측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복수의 빔 측정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합계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과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및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1 TRP 중 적어도 일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합계 측정값 및 상기 제1 오프셋의 합보다 큰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빔을 형성하는 상기 제1 TRP가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또는 빔 스위칭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단말.
  17.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1 TRP를 포함한 복수의 서빙 TRP들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에 대하여, 제1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제1 조건의 만족 여부에 대한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서빙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기준값과,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복수의 TRP들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여 획득한 복수의 빔 측정값들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정의되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상기 측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복수의 빔 측정값들 중, 상기 제1 기준값보다 큰 하나 이상의 측정값들이 존재할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1 기준값은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 중 가장 작은 최소 측정값 및 제1 오프셋의 합, 또는 상기 복수의 서빙 빔 측정값들의 합에 해당하는 합계(aggregated) 측정값 및 제2 오프셋의 합 중 어느 하나로 정의되는,
    제1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단말이 상기 복수의 빔들에 대한 상기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빔 탐색 공간의 크기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탐색 공간의 크기는, 상기 복수의 TRP들 각각에 대한 탐색 기준 빔의 LoS(line of sight) 조건/NLoS(non-LoS) 조건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1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제1 빔을 형성하는 제2 TRP가 상기 복수의 서빙 TRP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이 빔 스위칭 또는 핸드오버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제1 송수신점의 동작 방법.
KR1020220141349A 2021-10-29 2022-10-28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62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76,067 US20230136920A1 (en) 2021-10-29 2022-10-28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based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655 2021-10-29
KR20210146655 202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427A true KR20230062427A (ko) 2023-05-09

Family

ID=86408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1349A KR20230062427A (ko) 2021-10-29 2022-10-28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24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2968A1 (en)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10034295B2 (en) Coordination of downlink channel assignments for communication with cluster of access points in wireless network
CN112640351A (zh) 5g网络中的tci和qcl配置
CN110476364A (zh) 一种信号传输方法和装置
CN109845120A (zh) 通信系统
KR10223876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동기화 장치 및 방법
WO2011120853A1 (en) Optimized carrier aggregation for handover
US20150282035A1 (en) Base station handover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s system
KR20190131337A (ko)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인지 무선 통신 기반의 중계 방법
WO2021041859A1 (en) Deep learning aided fingerprint based beam alignment
CN111345067A (zh) 切换到包括作为nr上行链路(ul)载波的第一ul载波和作为补充(sul)载波的第二ul载波的、作为nr小区的目标小区
US20230059284A1 (en) Facilitating explicit latency mode determination in beam switching
TWI549537B (zh) 處理基地台的選擇的方法及其通訊裝置
KR20230062427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기반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301369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based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79638A (ko)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접속 방법
JP2023508160A (ja) 通信のための方法、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US202301566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1795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iming control in a non-terrestrial network
KR2022014344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조건부 재구성 방법 및 장치
US118054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ltitude information of mobile base st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07153A1 (en) Lower Bound on Users' Speed for Efficient SRS Resource Handling for MU-MIMO Transmission
EP4280508A1 (en) Beam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41491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23011021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기반 빔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