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168A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168A
KR20230062168A KR1020210147155A KR20210147155A KR20230062168A KR 20230062168 A KR20230062168 A KR 20230062168A KR 1020210147155 A KR1020210147155 A KR 1020210147155A KR 20210147155 A KR20210147155 A KR 20210147155A KR 20230062168 A KR20230062168 A KR 20230062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ll
network
snpn
information
cal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2168A/ko
Priority to PCT/KR2022/016105 priority patent/WO2023075299A1/en
Priority to US17/971,888 priority patent/US20230133387A1/en
Publication of KR2023006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제1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와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3GPP에서 정한 5G 통신 시스템은 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었고, NR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non public network 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와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UE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가 제공되며, 상기 UE는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와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되고,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UE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non public network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E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gNB, eNode B, eNB, Node B, BS,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NR (New Radio) 시스템에서 백홀 및 접속 링크들(backhaul and access links)의 네트워크를 통해 UE(들)에게 네트워크 접속을 제공하는 gNB 인 IAB-도너(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 donor)와, UE(들)로의 NR 접속 링크(들)을 지원하고 상기 IAB-도너 or 다른 IAB-노드로의 NR 백홀 링크들을 지원하는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노드인 IAB-노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entity)일 수 있다. UE는 IAB-노드를 통해 무선 접속되고, 적어도 하나의 IAB-노드와 백홀 링크를 통해 연결된 IAB-도너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는 단말(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MS),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컴퓨터,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UE에게 송신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 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UE가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 경로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무선 통신 규격 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가 명시하고 있는 5G(5th generation) 통신 규격 상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인 New RAN (NR)과 코어 네트워크인 패킷 코어 (5G System, 혹은 5G Core Network, 혹은 NG Core: Next Generation Core)를 대상으로 하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 할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 규격(5G, NR,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을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엔티티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 혹은 이를 기반으로 변형한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술된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UE라는 용어는 핸드폰,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Internet of things: NB-IoT) 디바이스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에서 명시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UE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관리 엔티티인 억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와 세션을 관리하는 엔티티인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가 분리 되어 있다. 이에 따라 4G LTE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가 이동성 관리와 세션 관리를 함께 수행하던 것과 달리,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엔티티와, 세션 관리를 수행하는 엔티티가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UE와 네트워크 엔티티 간의 통신 방법 및 통신 관리 방법이 변경이 되었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비-3GPP 억세스(non 3GPP access)에 대해서, 비-3GPP 인터워킹 기능(on-3GPP inter-working function: N3IWF)를 거쳐 AMF를 통해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수행하고, SMF를 통해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AMF를 통해서 이동성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보안 관련 정보도 처리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4G LTE 시스템에서는 MME가 이동성 관리와 세션 관리를 같이 담당한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4G LTE 시스템의 네트워크 엔티티를 같이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비-스탠드얼론 아키텍쳐(non standalone architecture)를 지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비-공중 네트워크(non public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구조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5G 또는 NR 네트워크 일 수 있다. 5G 또는 NR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는 사용자 플레인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SMF(, AMF, 5G 무선 억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사용자 데이터 관리(user data management: UDM)(,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등의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N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엔티티들의 인증을 위하여,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인증, 인가, 및 과금(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AAA) 등의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NF는 "NF 장치"라고도 칭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NF 및/또는 NF 장치가 특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버들에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둘 이상의 NF들이 하나의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다.
UE는 기지국(5G RAN 또는BS)을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non 3GPP access 를 통해서 UE 가 통신하는 경우를 위해서 N3IWF가 존재하고, non3GPP access 를 통해서 UE가 통신하는 경우 세션 관리는 UE, non 3GPP access, N3IWF, SMF 를 통해서 제어되고, 이동성 관리는 UE, non 3GPP access, N3IWF, AMF 를 통해서 제어된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이동성 관리와 세션 관리를 수행하는 엔티티들이 별도로 존재하며,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는 엔티티가 AMF이고, 세션 관리를 수행하는 엔티티가 SMF이다. 한편,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5G 또는 NR 엔티티들로만 통신을 수행하는 스탠드 얼론(stand alone) 배치(deployment) 구조와 4G 엔티티와 5G 또는 NR 엔티티들을 함께 사용하는 non stand alone 배치 구조가 고려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UE 가 네트워크와 통신함에 있어서 제어(control) 동작은 eNB에 의해 수행되고,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의 5G 엔티티가 사용되는 형태의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E와 AMF 간 이동성 관리및 UE와 SMF 간 세션 관리는 계층 3(layer 3)인 NAS(non access stratum) 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통신 네트워크의 예들로서 5G, 4G LTE 의 네트워크들을 가정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5G, 4G LTE 의 네트워크들 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범주 안에서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일반 통신 공중 지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과 스탠드 얼론 비-공중 네트워크(stand-alone non-public network: SNPN), 즉 non public network이 공존할 경우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환경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UE가 국제 영역(international area), 예를 들어 "9xx"으로 시작되는 이동 지역 코드(mobile country code: MCC)를 가지는 지역에서 SNPN에 접속할 경우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일 예로 바다 위 섬, 특정 국가 지역으로 구분되지 않는 international area 에 UE 가 위치해 있고, UE가 해당 international area 에서 SNPN에 접속한 경우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이다.
도 1B는 UE가 SNPN 에 접속하되 UE가 접속한 SNPN 이 두 나라 간의 인접 지역인 경우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두 나라의 emergency call 정보가 다 available(이용 가능)하거나, 두 나라 중 하나의 emergency call 정보를 이용할 수 있거나, 혹은 그 어느 나라의 emergency call 정보도 이용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1C는 UE가 SNPN 에 접속하되 한 나라에서 하나의 SNPN 에 접속하고 있다가 다른 SNPN 으로 이동한 경우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한 나라의 다수의 SNPN들의 emergency call 정보가 다 available (이용가능) 하거나, 다수의 SNPN들 중 하나 혹은 특정한 SNPN들의 emergency call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혹은 다수의 SNPN들 중 어떤 SNPN 을 위한emergency call 정보도 이용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UE(101), UE(101-2), UE(101-3)은 동일한 UE이며, 다만, UE가 PLMN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UE(101)로, SNPN-A 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UE(101-2)로, SNPN-B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에는 UE(101-2)로 도시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설명 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UE(101), UE(101-2), 및/또는 UE(101-3)는 UE(101)로 칭해질 수도 있으며,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UE(101)는 PLMN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의 UE(101), SNPN-A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의 UE(101-2), 및/또는 SNPN-B에 접속하고 있을 경우UE(101-3)로 해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PLMN CN은 5G RAN(103), AMF(111), SMF(121), UPF(131), AUSF(141), UDM(151), PCF(161), 및/또는 IWF(171)를 포함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SNPN-A는 5G RAN(103-2), AMF(111-2), SMF(121-2), 및/또는 UPF(131-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SNPN-A는 5G RAN(103-2)를 포함하고 있으나, 5G-RAN(103-2)는 5G-RAN 뿐만 아니라 non-3GPP 억세스가 가능한 노드(node)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SNPN-B는 5G RAN(103-3), AMF(111-3), SMF(121-3),및/또는 UPF(131-3)를 포함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SNPN-B는 5G RAN(103-3)을 포함하고 있으나, 5G-RAN(103-3)는 5G-RAN 뿐만 아니라 non-3GPP 억세스가 가능한 노드(node)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에서 일반 통신 PLMN과 SNPN, 즉 non public network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도 1A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 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5G 통신 네트워크와 non public network 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공중 경고 시스템(public warning system: PWS) 메시지, 상업 이동 경보 시스템(commercial mobile alert system: CMAS) 메시지, 화재, 지진, 쓰나미, 폭우, 폭풍, 폭설, 질병 보건 등의 재난 문자, 긴급 재난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메시지들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는 AMF, 5G NG-RAN 등을 3GPP 사업자 네트워크, 즉 일반적인 공중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AMF, 5G NG-RAN 등이 아니라, non public network에 존재하는 AMF, 5G NG-RAN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우의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일 수 있다.
도1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NPN-A 는 PWS, emergency call 을 모두 지원하고,, AMF (111-2), 5G RAN(103-2), 일 예로 5G NR 기지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CBE - CBCF - SNPN의 AMF - SNPN의 5G NG-RAN 의 경로를 거쳐서 재난 메시지가 전달된다.
5G RAN은 수신한 CBS 메시지를 5G RAN 셀에 존재하는 UE 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한다.
한편, 도 1A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SNPN 이 PWS, CMAS,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직접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예: Case 1 의 예제들)이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Case 1-1) SNPN-A 는 PWS, CMAS, emergency call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SNPN 이다.
다른 예로,
Case 1-2)
SNPN-B 는 PWS, CMAS, emergency call 등의 서비스를 SNPN에서 direct 로 지원하지 않는 SNPN 이다.
한편, 도 1A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예로,
Case 1-3) PWS 는 지원하나, emergency call 은 지원하지 않는 SNPN,
또 다른 예로,
Case 1-4) emergency call 은 지원하나, PWS 는 지원하지 않는 SNPN 도 구현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는, 도 1A에서 SNPN 이 지원하는 무선 RAN 구간이 어떤 형태를 가지는 지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예: Case 2 의 예제들)이 가능하다.
일 예로 ,
Case 2-1) SNPN 의 access network 구간은 5G RAN, 즉 NG RAN 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Case 2-2) SNPN 의 access network 구간은 non 3GPP access network 이 될 수 있다.
먼저, 동작 201 에서, UE(101)는 통신사업자의 public network, 즉 일반적인 PLMN 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동작 203-1에서, UE(101)는 통신 사업자의 일반 public network 에서 통신을 수행하던 중 private network 에 해당하는 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하, UE(101)는 Public 네트워크에서 UE(101)가 가입한 통신사와 협약이 되어 있는 non public network 통신 네트워크, 또는 UE(101)의 접속, 등록이 허용되는 non public network 으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동작 213에서, AMF(111-2)는 5G RAN (103-2)으로 NG 인터페이스 셋업(interface setup)을 통해서 SNPN list, PWS 지원 여부에 대한 지시(indication) 혹은 PWS 지원 관련 정보를 5G RAN(103-2)에게 미리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AMF (111-2)가 지원 가능한 SNPN 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list 는 AMF(111-2)가 UE (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NPN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SNPN 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들의 list 정보, 혹은 SNPN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213은 UE(101)에 대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에 관련된 내용을 평가, 판단하기 이전에 SNPN을 setup 하는 과정 등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21에서, AMF(111-2)로부터 SNPN list, PWS 관련 정보를 수신한 5G RAN(103-2)는 UE(101)로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해서, 해당 SNPN, 예를 들어 SNPN-A가 지원하는 SNPN list (supported SNPN list), PWS 관련 정보, emergency call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AMF (111-2)가 지원 가능한 SNPN 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list는 AMF(111-2)가 UE(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NPN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는 SNPN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들의 list 정보, 혹은 SNPN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31 에서, UE(101)는 5G RAN(103-2)으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요청(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31에서, 아이들(idle) 상태의 UE(101)는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또는 페이징(paging)에 대해 응답하기 위해서, 5G RAN(103-2)과 RRC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233에서, UE(101)는 5G RAN(103-2)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RC 연결 셋업(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5G RAN(103-2)가 UE(101)의 RRC연결 요청을 수락한 경우, UE(101)는 5G RAN(103-2)으로부터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NPN-A의 5G RAN (103-2)은 5G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한 UE(101)에 대해서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41에서, UE(101)는 PLMN (선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PLMN은 MCC (mobile country code) 와 MNC (mobile network code)로 식별될 수 있다. 특히, SNPN, 즉 non public network 의 경우, 개별 네트워크를 구분할 수 있는 네트워크 ID (identity) 가 추가로 이용될 수도 있다.
셀의 PLMN 정보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동작 241에서 UE는 PLMN을 선택하는데, 이 때, 해당 SNPN 이 PWS를 지원하는지 여부, 해당 SNPN 의 네트워크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해당 SNPN 이 emergency call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emergency support (EM) indication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PLMN 을 선택한다.
UE(101)는 사용 가능한 PLMN을 검색하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적절한 PLMN을 선택할 수 있다. UE(101)의 NAS layer는 AS layer에게 PLMN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AS layer는 해당 대역(band)을 검색하고, PLMN list를 NAS layer로 알려줄 수 있다.
UE(101)의 NAS layer 는 USIM (user services identity module)에 저장된 PLMN/무선 억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선택의 우선 순위 (priority)에 따라 UE1(101)을 등록하기 위한 PLMN 을 선택할 수 있다.
UE(101)는 PLMN이 속할 셀들 중 정규 셀(suitable cell)을 검색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규 셀은 UE(101)가 정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셀을 의미할 수 있고, 정규 셀은 수용 가능한 셀이면서 동시에,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PLMN 에 속해야 하고, UE (101)의 등록(registration) 절차 수행이 금지되지 않은 셀이어야 한다. 또한, 정규 셀이 CAG (closed access group cell) 셀인 경우, UE(101)는 CAG 멤버일 수 있고, 정규 셀은 UE(101)의 접속이 가능한 셀이어야 한다.
한편, UE(101)가 제한된(limited)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셀은 수용 가능한 셀(acceptable cell)이라고 칭해질 수 있다. 수용 가능한 셀은 UE(101)가 수용 가능한 셀에 캠프 온(camp on)하는 것이 금지(barring)되지 않고, UE(101)의 셀 선택 기준을 만족시키는 셀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수용 가능한 셀은 신호 세기나 신호 품질 등이 만족되는 셀일 수 있다. UE(101)가 제한된 서비스를 받는 경우는 응급 호출(emergency call)이나, 재해 경보 시스템(ETWS :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PWS(public warning system), CMAS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일 수 있고, 상술한 제한된 서비스는 수용 가능한 셀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동작 251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UE(101)와 5G RAN(103-2) 간의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이 RRC 메시지에 261 동작의 NAS 메시지가 실려간다.
동작 261의 NAS 메시지가 UE(101)로부터 AMF(111-2)로 UE(101)와 AMF(111-2) 사이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251에서, UE(101)는 5G RAN(103-2)으로 RRC 연결 셋업 완료(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UE(101)는 RRC connection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동작 251에서 전송되는 RRC 메시지(예: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는 NAS 메시지의 일종인 등록 요청(registration request)메시지가 실려가거나, 또는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포함되거나, 또는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피기백(piggy back) 또는 연접되어서(concatenate) 실려갈 수 있다.
동작 261, 동작263에서, UE(101)는 SNPN에 존재하는 5G NG-RAN(103-2), AMF(111-2)를 통해서 5G 네트워크에 등록 절차(registra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UE(101)는 5G 네트워크의 AMF(111-2)에 등록될 수 있다.
동작 261 에서 UE(101)는 AMF(111-2)로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신한다.
동작 261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PWS priority, UE-SNPN-version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PWS priority indication 정보는 UE (101)가 PWS 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에 priority 를 두고 접속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UE-SNPN version 정보는 UE(101)가 SNPN에 관련하여 PWS 지원하는 UE임을 네트워크에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기존 UE(예를 들어, 3GPP의 release 16, 또는 release 15 UE)는 PWS 를 SNPN 에서 지원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UE(101)는 UE-SNPN version 정보를 통해 UE(101)가 SNPN에 관련하여 PWS 지원하는 UE임을 네트워크에 알려줄 수 있다. 동작 261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SNPN indication이 포함될 수 있으며,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는 SNPN indication은 UE(101)가 SNPN에서 응급 콜을 서비스 받기를 요청하는 indication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indication 은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emergency call indication)와 함께 사용되어 UE(101)가 SNPN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네트워크 에 알려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261의 Registration Request메시지에는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emergency call 의 지원을 요청하는 정보, 혹은,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emergency call indication 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동작 263에서 AMF(111-2)는 UE(101)의 등록을 허락하는 경우 UE(101)로 등록 수락(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전송한다. 특히, AMF(111-2)가 UE(101)의 SNPN 내에서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 경우, AMF(111-2)는 SNPN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number 를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하여 UE(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63 이후에,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UE(101)는 다양한 방식들로 동작할 수 있다.
Case1) UE(101)는 이전에 UE(101)가 수신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삭제(delete)하고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Case2) UE(101)는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로 emergency call number 를 갱신하고, 저장한다.
Case3) UE(101)는 이전에 UE(101)가 수신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유지하면서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Case 4) UE(101)가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고, UE(101)가 SNPN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에는 하기 설명에서와 같이 SNPN emergency call number 라는 별도의 information element (별도의 parameter)나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혹은 emergency call number, 국가 코드, MCC 등을 통해서 emergency call number 에 대한 정보를 갱신, 저장 관리 할 수 있다.
이후 emergency call 수신 시 UE(101)는 저장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이용하여 UE(101)가 SNPN에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emergency 상황에 맞는 번호를 자신의 SNPN 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number 와 매핑을 통하여, 정확한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 번호로 매핑하여, emergency call 로 전화, 문자 등의 연락을 취하는 등의 emergency call 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4) 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MCC 정보가 "9xx"로 되어 있는 경우, 즉 첫 자리가 "9"로 시작될 경우, MCC 가 international code, 즉 international area 임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emergency number 와 함께 extended emergency number 혹은 SNPN emergency call number 등의 응급 콜을 위한 응급 콜 number 정보가 전송될 있다.
(2) emergency call 이 accessible 하는지 알리거나, 혹은 SNPN 에서의 emergency call 임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즉, SNPN 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혹은 SNPN, 즉 non public network 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임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3) SNPN indication 과 emergency call 을 알리는 정보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가 SNPN 에서 emergency call 을 수신하였음을 알릴 수 있도록 SNPN indication 혹은 SNPN 관련 정보, emergency call 을 알리는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동작 263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는 SNPN indication은 SNPN에서 응급 콜을 서비스하는 것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indication일 수 있다.
혹은 AMF(111-2)가 제공하는 SNPN indication 은 SNPN 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함을 알리는 식별자로, 응급콜 정보(emergency call indication), 응급콜 번호와 함께 사용되어 AMF(111-2)가 UE(101)에게 SNPN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4)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통해서 international 지역에서 emergency call 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유효(valid)한지를 알려주기 위한 valid indication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5) emergency type 을 알리는 정보, 예를 들면 화재, 폭풍우 등의 emergency type 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6) SNPN 등에서 emergency call 이 수행되는 경우, 9xx 등으로 시작하는 MCC 코드로 인해 특정 국가정보를 알 수 없어서 emergency call 관련 국가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를 위해 국가 관련 정보 country information 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261에서 UE(101) 가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작 263에서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nformation element 들을 가지고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ase 1) 응급 콜 번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
Case 1-1) 응급 콜 번호로 SNPN emergency call number information element 를 명시적으로 information element 를 통해서 수신하는 경우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하면, UE(101)는 수신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SNPN emergency number 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 SNPN emergency number 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SNPN emergency number 을 응급 콜 번호로 하여 응급 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 있는 SNPN 에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서 SNPN emergency number 로 112, 119 를 수신할 경우, UE(101)는 수신된 SNPN emergency number 인112, 119에 기반하여 응급 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Case 1-2) 응급콜 번호로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사용하되, SNPN 임을 알고 SNPN call 로 처리하는 방법
Case 1-2에 상응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크게 2가지 방법들로 분류 될 수 있고, UE(101)와 network 도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UE(101), AMF(111-2)가 다음의 feature 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Case 1-2-1) 응급콜 번호로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사용하되, SNPN 임을 알고 SNPN call 로 처리하는 방법 1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서 MCC 가 SNPN이거나 international area 인 경우, 예를 들어 "90x", 또는 "999"로 시작하는 SNPN identifier 를 수신하거나 SNPN indication 을 수신하는 경우 UE(10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UE(101)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information element 로부터 해당 emergency call 번호를 추출하여 활용한다.
이 경우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는 이 call 번호를 받은 PLMN 이나 SNPN 에서만 유효하다는 indicator 혹은 validity indication 을 통해서만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valid 함을 알고, 이를 UE(101)가 이용할 수 있으며,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는 수신한 PLMN이나 SNPN 에서 유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UE(101) 가 등록한 SNPN 의 나라가 바뀌거나,
UE(101)가 한 나라의 SNPN 에서(예를 들어, MCC 코드를 받을 수 있는 국가에 위치한 SNPN 에서) international area의 SNPN 으로 이동한 경우,
혹은 UE (101)가 international area의 SNPN 에서 한 나라의 SNPN으로(예를 들어, MCC 코드를 받을 수 있는 국가에 위치한 SNPN으로)으로 이동한 경우,
UE(101)는 기존에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extended emergency number 를 삭제(delete) 하도록 한다.
Case 1-2-2) 응급콜 번호로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사용하되 SNPN 임을 알고 SNPN call 로 처리하는 방법 2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서 MCC 가 SNPN이거나 international area 인 경우, 예를 들어 "90x", "999"으로 시작하는 SNPN identifier 를 수신하거나 SNPN indication 을 수신하는 경우 UE(10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UE(101)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information element 로부터 해당 emergency call 번호를 추출하여 활용한다.
이 경우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는 이 call 번호를 받은 PLMN 이나 SNPN 에서만 유효하다는 indicator 혹은 validity indication 을 통해서만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valid 함을 알고 이를 UE (101)가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valid 한지 표시하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validity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가 있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UE(101)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받은 PLMN 에서 해당 정보가 valid 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case 1-2-2-1) UE(101)는 예를 들어, 일반 PLMN 의 경우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list 를 수신한 PLMN 과 현재 UE(101)가 통신하려는 PLMN 이 같은 나라인(예를 들어, 같은 MCC인) 경우에만 valid 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Case 1-2-2-2) UE(101)는 예를 들어, emergency call number list 를 받은 PLMN 에서만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list 를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Case 1-2-2-3) UE(101)는 예를 들어,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list 를 받은 경우가 SNPN 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의 validity indication 의 값과 상관없이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valid 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할 수 있다.
Case 1-3) emergency call number 를 사용하여 SNPN call 을 처리하는 방법
UE(101)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emergency call number 를 이용하여 SNPN call 을 처리할 수 있다.
Case 2) 응급콜이 걸려진 국가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international area 인 경우)
예를 들어, MCC code 가 "90x", 예를 들어 "9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UE(101) 가 international area 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다른 예로, MCC code 가 "999" 인 경우 SNPN 을 가리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SNPN identifier 를 받으면 SNPN 인 경우이거나 SNPN 이 international area 에 있는 경우이므로 SNPN 이 속해있는 국가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울 수 있다.
Case 2-1) UE(101)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서 country information 을 확인하여 emergency call 이 발생한 지역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1)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country information에 기반하여 SNPN 이 접속, 등록한 network 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UE(101) 가 international area 등에 접속한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country information 에는 SNPN 이 특정 국가에 속하는지, 혹은 international 지역에 속하는지에 따라 알려주는 indication 혹은 bit 정보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Case 2-2) SNPN network 으로부터 5G-GUTI(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를 수신한 경우 : 5G GUTI 부분의 MCC 코드 확인
5G-GUTI 안의 MCC 정보, 예를 들어 SNPN identifier 를 MCC 정보를 통해서 UE(101) 가 접속 등록한 network 과 국가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해당 국가에 대한 emergency call 번호나 extended emergency call 번호를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SNPN 이 한 국가 안에 속해있어서 SNPN 을 통해서 MCC 정보가 추출이 가능한 경우이다.
Case 2-3) SNPN network 의 SNPN identifier 로부터 MCC 추출
MCC 를 추출하여 UE(101) 가 접속, 등록한 network 과 국가의 정보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UE(101)는 해당 국가에 대한 emergency call 번호나 extended emergency call 번호를 활용할 수 있다.
Case 3) 응급콜이 걸려진 국가 정보를 아는 방법에 따른 분류 (두 나라에 걸친 경우)
SNPN 이 인접한 두 나라에 걸쳐 있거나(예: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환경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 , SNPN 이 바뀌는 경우 (예: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환경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
Case 3-1) 예를 들어 SNPN network 이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나라에 걸쳐 있는 경우
Case 3-1) 예를 들어 SNPN network 이 도 1B, 도 1C 와 같은 경우는 SNPN 이 두 나라에 걸쳐 있는 경우,
Case 4) UE 가 SNPN 에 접속한 것인지를 아는 방법에 따른 분류
UE(101) 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SNPN 으로부터 message 를 수신한 경우임을 알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Case 1) SNPN identifier 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할 때 UE(101)가 SNPN network 에 접속하였다면 PLMN identifier 와 NID (network identity) concatenate 되어 있는 SNPN identifier 를 수신하게 되므로 UE(101) 가 SNPN 에 접속했음을 알 수 있다.
Case 2 ) PLMN identifier 의 MCC (country code) 가 예를 들어 "999" 인 경우 SNPN 이므로 이를 통해서도 UE(101)가 SNPN 에 접속하였음을 알 수 있다.
Case 3 )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SNPN indicator information element (parameter)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명시적으로 SNPN indicator 가 포함되는 경우에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동작261에서 UE(101) 가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작 263에서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nformation element 들을 가지고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는 다양한 동작들을 케이스들별로 구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케이스들 중 적어도 두 개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동작 271에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UE(101)는 우선 수신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기반하여 SNPN인지 여부, 혹은 SNPN indication 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UE(101)가 SNPN에 접속한 경우라면, 동작 281-A에서 UE(101)는 valid indication 이 있는지 혹은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수신한 경우 해당 정보가 valid 한지를 체크한다.
또한, UE(101)는 MCC가 international 인지, 즉 MCC code 가 9으로 시작되는 "9xx" 등인지를 체크 한다. 예를 들어, MCC code 가 "90x", 예를 들어 "9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UE (101)가 international area 에 있는 경우 이다. 또 다른 예로, MCC code 가 "999" 인 경우 SNPN 을 가리킬 수 있다.
만일 MCC 가 9로 시작되는 경우, UE(101)는 country information 등이 있는지 체크 한다. 예를 들어, country information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country inform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혹은 country information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country information은 UE(101) 가 해당 SNPN 에서 응급콜을 위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경우, 응급콜을 위한 번호(응급콜 전화 번호) 리스트를 네트워크로부터 확보하기 위하여, 어느 국가에서 제공하는 응급콜 전화 번호를 활용해야 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untry information 에서 제공되는 country information 의 국가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국가/지역에서 제공하는 응급콜 전화 리스트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UE(101)는 new extended emergency number, SNPN emergency call number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indication 포함 여부, valid indication 이 있는지 여부, MCC code 가 international 인지 9로 시작되는 9xx 등인지 여부, MCC가 같은지 여부, SNPN emergency call number 가 있는지 여부 등은 동시에 체크되거나 조합하여 체크 혹은 검토될 수도 있다.
만일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SNPN 관련 정보가 없거나 valid indication check 가 fail 한 경우는, 동작 281-B에서 UE(101)는 이전의 emergency call number 를 삭제하고, emergency call number 나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SNPN 이 두 국가의 인접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emergency call 을 지원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에서 일반 통신 PLMN과 SNPN, 즉 non public network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도 1B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 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5G 통신 네트워크와 non public network 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PWS (public warning system) 메시지, CMAS ( Commercial Mobile Alert System ) 메시지, 화재, 지진, 쓰나미, 폭우, 폭풍, 폭설, 질병 보건 등의 재난 문자, 긴급 재난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메시지들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응급 콜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는 AMF, 5G NG-RAN 등을 3GPP 사업자 네트워크, 즉 일반적인 public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AMF, 5G NG-RAN 이 아니라, non public network에 존재하는 AMF, 5G NG-RAN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응급 콜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일 수 있다.
도1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NPN-A는 PWS, emergency call 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로서, AMF(111-2), SNPN access (103-2), 즉 5G NR 기지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CBE - CBCF - SNPN의 AMF - SNPN 의 5G NG-RAN 의 경로를 거쳐서 재난메시지가 전달된다.
5G RAN은 수신한 CBS 메시지를 5G RAN 셀 안의 UE 에 브로드캐스트 한다.
한편, 도 1B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SNPN 이 PWS, CMAS,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직접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예: Case1 의 예제들)이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Case 1-1 ) SNPN-A 의 경우 PWS, CMAS, emergency call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SNPN 이다.
다른 예로,
Case 1-2 )
SNPN-B는 PWS, CMAS, emergency call 등의 서비스를 SNPN 망에서 direct 로 지원하지 않는 SNPN 이다.
한편, 도 1B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예로,
Case 1-3) PWS 는 지원하나, emergency call 은 지원하지 않는 SNPN,
또 다른 예로,
Case 1-4) emergency call 은 지원하나, PWS 는 지원하지 않는 SNPN 도 구현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는, 도 1B에서 SNPN 이 지원하는 무선 RAN 구간이 어떤 형태를 가지는 지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예: Case 2의 예제들)가 가능하다.
일 예로 ,
Case 2-1) SNPN 의 access network 구간은 5G RAN, 즉 NG RAN 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Case 2-2) SNPN 의 access network 구간은 non 3GPP access network 이 될 수 있다.
먼저, 동작 301에서, UE(101)는 통신사업자의 public network, 즉 일반적인 public PLMN 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동작 303-1에서, UE(101)는 통신 사업자의 일반 public network 에서 통신을 수행하던 중 private network 에 해당하는 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하, UE(101)는 Public 네트워크에서 UE(101)가 가입한 통신사와 협약이 되어 있는 non public network 통신 네트워크, 또는 UE (101)의 접속, 등록이 허용되는 non public network 으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동작 313에서, AMF(111-2)는 5G RAN(103-2)으로 NG interface setup 을 통해서 SNPN list, PWS 지원 여부에 대한 indication 혹은 PWS 지원 관련 정보를 미리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AMF (111-2)가 지원 가능한 SNPN 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list 는 AMF(111-2)가 UE (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NPN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SNPN 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들의 list 정보, 혹은 SNPN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313은 UE(101)의 응급 콜을 지원하는지에 관련된 내용을 평가, 판단하기 이전에 SNPN을 setup 하는 과정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과정이다.
동작 321에서, AMF(111-2)로부터 SNPN list, PWS 관련 정보를 수신한 5G RAN (103-2)은 UE(101)로 SIB 를 통해서, 해당 SNPN, 예를 들어 SNPN-A가 지원하는 supported SNPN list, PWS 관련 정보, emergency call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AMF (111-2)가 지원 가능한 SNPN 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list는 AMF(111-2)가 UE(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NPN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는 SNPN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들의 list 정보, 혹은 SNPN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31을 참조하면, UE(101)는 5G RAN(103-2)으로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31에서, idle 상태의 UE(101)는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또는 paging 에 대해 응답하기 위해서, 5G RAN(103-2)와 RRC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333에서, UE(101)는 5G RAN(103-2)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5G RAN(103-2)가 UE(101)의 RRC 연결 요청을 수락한 경우, UE(101)는 5G RAN(103-2)으로부터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NPN-A의 5G RAN(103-2)은 5G 에 접속을 시도한 UE(101)에 대해서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41에서, UE(101)는 PLMN 선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PLMN은 MCC와 MNC로 식별될 수 있다. 특히 SNPN, 즉 non public network 의 경우, 개별 network 을 구분할 수 있는 network ID가 추가로 이용될 수도 있다.
셀의 PLMN 정보는 system 정보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동작 341에서, UE(101)는 PLMN을 선택하는데, 이 때, 해당 SNPN 이 PWS를 지원하는지 여부, 해당 SNPN 의 network 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 해당 SNPN 이 emergency call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emergency support(EM) indication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PLMN 을 선택한다.
UE(101)는 사용 가능한 PLMN을 검색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적절한 PLMN 을 선택할 수 있다. UE(101)의 NAS layer는 AS layer에게 PLMN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AS layer는 해당 대역을 검색하고, PLMN list를 NAS layer로 알려줄 수 있다.
UE(101)의 NAS layer 는 USIM에 저장된 PLMN/ RAT 선택의 우선 순위 (priority) 순서에 따라 UE(101)를 등록하기 위한 PLMN 을 선택할 수 있다.
UE(101)는 PLMN이 속할 셀들 중 정규 셀(슈터블 셀: suitable cell) 을 검색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 시예에 따른 정규 셀은 UE(101)가 정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셀을 의미할 수 있고, 해당 셀은 수용 가능한 셀이면서 동시에, 해당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PLMN 에 속해야 하고, UE(101)의 등록 절차 수행이 금지 되지 않은 셀이어야 한다. 또한 정규 셀이 CAG(closed access group cell) 셀인 경우, UE(101)는 CAG 멤버일 수 있고, 정규 셀은 UE(101)의 접속이 가능한 셀이어야 한다.
한편, UE(101)가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셀은 수용 가능한 셀(acceptable cell) 이라고 칭해질 수 있다. 수용 가능한 셀은 UE(101)가 수용 가능한 셀에 캠프 온(camp on) 하는 것이 금지(barring) 되지 않고, UE(101)의 셀 선택 기준을 만족시키는 셀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수용 가능한 셀은 신호 세기나 신호 품질 등이 만족되는 셀일 수 있다. UE(101)가 제한된 서비스를 받는 경우는 응급 호출 (emergency call) 이나, 재해 경보 시스템 (ETWS :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PWS(public warning system), CMAS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일 수 있고, 상술한 제한된 서비스는 수용 가능한 셀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동작 351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UE(101)와 5G RAN(103-2) 간의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이 RRC 메시지에 동작 361의 NAS 메시지가 실려간다.
동작 361의 NAS 메시지가 UE(101)로부터 AMF(111-2)로 UE(101)와 AMF(111-2) 사이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351에서, UE(101)는 5G RAN(103-2)으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UE(101)는 RRC connection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동작 351에서 전송되는 RRC 메시지 (예: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에는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실려가거나, 또는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포함되거나, 또는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piggy back 또는 concatenate 되어서 실려갈 수 있다.
동작 361, 동작 363에서, UE(101)는 SNPN에 존재하는 5G NG-RAN node(103-2), AMF(111-2)를 통해서 5G 네트워크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UE(101)는 5G 네트워크의 AMF(111-2)에 등록될 수 있다.
동작 361에서 UE(101)는 AMF(111-2)로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동작 361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PWS priority, UE-SNPN-version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PWS priority indication 정보는 UE(101)는 PWS 를 지원하는 network 에 priority 를 두고 접속하기를 원한다는 지시자이다. UE-SNPN version 정보는 UE(101)가 SNPN과 관련하여 PWS 지원하는 UE임을 네트워크에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기존 UE(예를 들어, 3GPP의 release 16, 또는 release 15 UE)는 PWS 를 SNPN 에서 지원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UE(101)는 UE-SNPN version 정보를 통해 UE(101)가 SNPN에 관련하여 PWS 지원하는 UE임을 네트워크에 알려줄 수 있다. 동작 361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SNPN indication이 포함될 수 있으며,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는 SNPN indication은 UE(101)가 SNPN에서 응급 콜을 서비스 받기를 요청하는 indication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indication 은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emergency call indication)와 함께 사용되어 UE(101)가 SNPN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네트워크 에 알려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 361의 Registration Request메시지에는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emergency call 의 지원을 요청하는 정보, 혹은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emergency call indication 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동작 363에서 AMF(111-2)는 UE(101)의 등록을 허락하는 경우 UE(101)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다. 특히, AMF(111-2)가 UE(101)의 SNPN 내에서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 경우, AMF(111-2)는 SNPN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number 를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하여 UE(101)로 전송한다.
동작 363 이후에,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UE(101)는 다양한 방식들로 동작할 수 있다.
Case1) UE(101)는 이전에 UE(101)가 수신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삭제하고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Case2) UE(101)는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로 emergency call number 를 갱신하고, 저장한다.
Case3) UE(101)는 이전에 UE(101)가 수신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유지하면서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이후 emergency call 수신 시 UE(101)는 저장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이용하여 UE(101)가 SNPN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emergency 상황에 맞는 번호를 자신의 SNPN 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number 와 매핑을 통하여, 정확한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 번호로 매핑하여, emergency call 로 전화, 문자 등의 연락을 취하는 등의 emergency call 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4) UE(101)가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고, UE(101)가 SNPN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에는 하기 설명에서와 같이 UE 가 AMF 로부터 case4-1) SNPN emergency call number 라는 별도의 information element (별도의 parameter)나 case 4-2)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혹은 case 4-3) emergency call number, 등과 국가 코드, MCC 등을 통해서 emergency call number 에 대한 정보를 갱신, 저장 관리 할 수 있다.
Case 4) 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또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특히 MCC 가 "9xx"로 되어 있는 경우, 즉 첫 자리가 "9"로 시작될 경우, MCC 가 international code, 즉 international area 임을 알릴 수 있다.
특히, 두 나라가 인접한 지역에 있는 경우 일 실시 예로 MCC 정보가 두 나라 모두에 대한 MCC로 전송되거나, 혹은 MCC 정보가 어느 한 나라에 대한 MCC로 전송될 수 있다. 만일 SNPN인 경우, MCC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SNPN indication 에 의해서 MCC 정보를 가지고 emergency call 을 위한 number 정보,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수신한 UE (101)가 처리하기 보다는 country information 에 의해 처리할 수도 있다. 혹은 일 실시 예로 UE(101)가 MCC 정보와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로 응급 콜을 위한 번호를 수신, 저장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emergency number 와 함께 extended emergency number 혹은 SNPN emergency call number 등의 응급 콜을 위한 응급 콜 number 정보가 전송될 있다.
(2) emergency call 이 accessible 하는지 알리거나, 혹은 SNPN 에서의 emergency call 임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혹은 SNPN, 즉 non public network 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임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3) SNPN indication 과 emergency call 을 알리는 정보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가 SNPN 에서 emergency call 을 수신하였음을 알릴 수 있도록 SNPN indication 혹은 SNPN 관련 정보, emergency call 을 알리는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동작 363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는 SNPN indication은 SNPN에서 응급 콜을 서비스하는 것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indication일 수 있다. 혹은 AMF(111-2)가 제공하는 SNPN indication 은 SNPN 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함을 알리는 식별자로, 응급콜 정보(emergency call indication), 응급콜 번호와 함께 사용되어 AMF(111-2)가 UE(101)에게 SNPN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4)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통해서 international 지역에서 emergency call 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유효(valid)한지를 알려주기 위한 valid indication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5)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통해서 emergency call 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valid 한지를 알려주기 위한 valid indication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6) emergency type 을 알리는 정보, 예를 들면 화재, 폭풍우 등의 emergency type 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7) SNPN 등에서 emergency call 이 수행되는 경우, 9xx 등으로 시작하는 MCC 코드로 인해 특정 국가정보를 알 수 없어서 emergency call 관련 국가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를 위해 국가 관련 정보 country information 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8) SNPN 등에서 emergency call 이 수행되는 경우, emergency call 관련 국가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를 위해 국가 관련 정보 country information 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361에서 UE(101) 가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작 363에서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nformation element 들을 가지고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2의 동작261에서 UE(101) 가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작 263에서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nformation element 들을 가지고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371에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UE(101)는 우선 수신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기반하여 SNPN인지 여부, 혹은 SNPN indication 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check 한다.
만약, UE(101)가 SNPN에 접속한 경우라면, 동작 381-A에서 UE(101)는 valid indication 이 있는지 혹은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수신한 경우 해당 정보가 valid 한지를 체크한다.
또한, UE(101)는 MCC가 international 인지, 즉 MCC code 가 9으로 시작되는 "9xx" 등인지를 체크한다.
또한, UE(101)는 MCC가 SNPN 의 code 부분 중 국가 코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check 한다.
또한, UE(101)는 country information 등이 있는지, country information 을 수신하였는지 체크한다. 예를 들어, country information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country inform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new extended emergency number, SNPN emergency call number 등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indication 포함 여부, valid indication 이 있는지 여부, MCC code 가 international 인지 9로 시작되는 9xx 등인지 여부, MCC가 같은지 여부, SNPN emergency call number 가 있는지 여부, 등은 동시에 체크되거나 조합하여 체크 혹은 검토될 수도 있다.
만일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SNPN 관련 정보가 없거나 valid indication check 가 fail 한 경우는, 동작 381-B에서 UE(101)는 이전의 emergency call number 를 삭제하고, emergency call number 나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SNPN 에서 SNPN으로 이동한 경우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예: 5G 네트워크)에서 일반 통신 PLMN과 SNPN, 즉 non public network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는 도 1C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 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5G 통신 네트워크와 non public network 이 공존하는 환경에서 PWS (public warning system) 메시지, CMAS ( Commercial Mobile Alert System ) 메시지, 화재, 지진, 쓰나미, 폭우, 폭풍, 폭설, 질병 보건 등의 재난 문자, 긴급 재난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메시지들의 전달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이다.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응급 콜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는 AMF, 5G NG-RAN 등을 3GPP 사업자 네트워크, 즉 일반적인 public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AMF, 5G NG-RAN 이 아니라, non public network에 존재하는 AMF, 5G NG-RAN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응급 콜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일 수 있다.
도1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NPN-A는 PWS, emergency call 을 모두 지원하는 경우로서, AMF(111-2), SNPN access (103-2), 즉 5G NR 기지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CBE - CBCF - SNPN의 AMF - SNPN 의 5G NG-RAN 의 경로를 거쳐서 재난메시지가 전달된다.
5G RAN은 수신한 CBS 메시지를 5G RAN 셀 안의 UE 에 브로드캐스트 한다.
한편, 도 1C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SNPN 이 PWS, CMAS,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직접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예: Case1 의 예제들)이 구현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Case 1-1 ) SNPN-A 의 경우 PWS, CMAS, emergency call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SNPN 이다.
다른 예로,
Case 1-2 )
SNPN-B는 PWS, CMAS, emergency call 등의 서비스를 SNPN 망에서 direct 로 지원하지 않는 SNPN 이다.
한편, 도 1C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또 다른 예로,
Case 1-3) PWS 는 지원하나, emergency call 은 지원하지 않는 SNPN,
또 다른 예로,
Case 1-4) emergency call 은 지원하나, PWS 는 지원하지 않는 SNPN 도 구현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는, 도 1C에서 SNPN 이 지원하는 무선 RAN 구간이 어떤 형태를 가지는 지에 따라 다양한 실시 예들(예: Case 2의 예제들)가 가능하다.
일 예로 ,
Case 2-1) SNPN 의 access network 구간은 5G RAN, 즉 NG RAN 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Case 2-2) SNPN 의 access network 구간은 non 3GPP access network 이 될 수 있다.
먼저, 동작 401에서, UE(101)는 통신사업자의 public network, 즉 일반적인 public PLMN 에서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동작 403-1에서, UE(101)는 통신 사업자의 일반 public network 에서 통신을 수행하던 중 private network 에 해당하는 standalone non public network 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하, UE(101)는 Public 네트워크에서 UE(101)가 가입한 통신사와 협약이 되어 있는 non public network 통신 네트워크, 또는 UE (101)의 접속, 등록이 허용되는 non public network 으로 이동하여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
동작 413에서, AMF(111-2)는 5G RAN(103-2)으로 NG interface setup 을 통해서 SNPN list, PWS 지원 여부에 대한 indication 혹은 PWS 지원 관련 정보를 미리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AMF (111-2)가 지원 가능한 SNPN 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list 는 AMF(111-2)가 UE (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NPN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SNPN 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들의 list 정보, 혹은 SNPN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413은 UE(101)의 응급 콜을 지원하는지에 관련된 내용을 평가, 판단하기 이전에 SNPN을 setup 하는 과정 등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과정이다.
동작 421에서, AMF(111-2)로부터 SNPN list, PWS 관련 정보를 수신한 5G RAN (103-2)은 UE(101)로 SIB 를 통해서, 해당 SNPN, 예를 들어 SNPN-A가 지원하는 supported SNPN list, PWS 관련 정보, emergency call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 는 AMF (111-2)가 지원 가능한 SNPN 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list는 AMF(111-2)가 UE(101)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SNPN들의 식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list는 SNPN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들의 list 정보, 혹은 SNPN 식별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31을 참조하면, UE(101)는 5G RAN(103-2)으로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31에서, idle 상태의 UE(101)는 통화 시도, 데이터 전송 시도, 또는 paging 에 대해 응답하기 위해서, 5G RAN(103-2)와 RRC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433에서, UE(101)는 5G RAN(103-2)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5G RAN(103-2)가 UE(101)의 RRC 연결 요청을 수락한 경우, UE(101)는 5G RAN(103-2)으로부터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NPN-A의 5G RAN(103-2)은 5G 에 접속을 시도한 UE(101)에 대해서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441에서, UE(101)는 PLMN 선택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PLMN은 MCC와 MNC로 식별될 수 있다. 특히 SNPN, 즉 non public network 의 경우, 개별 network 을 구분할 수 있는 network ID가 추가로 이용될 수도 있다.
셀의 PLMN 정보는 system 정보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다.
동작 441에서, UE(101)는 PLMN을 선택하는데, 이 때, 해당 SNPN 이 PWS를 지원하는지 여부, 해당 SNPN 의 network 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SNPN-ID) , 해당 SNPN 이 emergency call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emergency support(EM) indication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PLMN 을 선택한다.
UE(101)는 사용 가능한 PLMN을 검색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적절한 PLMN 을 선택할 수 있다. UE(101)의 NAS layer는 AS layer에게 PLMN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AS layer는 해당 대역을 검색하고, PLMN list를 NAS layer로 알려줄 수 있다.
UE(101)의 NAS layer 는 USIM에 저장된 PLMN/ RAT 선택의 우선 순위 (priority) 순서에 따라 UE(101)를 등록하기 위한 PLMN 을 선택할 수 있다.
UE(101)는 PLMN이 속할 셀들 중 정규 셀을 검색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을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규 셀은 UE(101)가 정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셀을 의미할 수 있고, 해당 셀은 수용 가능한 셀이면서 동시에, 해당 UE(101)가 접속할 수 있는 PLMN 에 속해야 하고, UE(101)의 등록 절차 수행이 금지 되지 않은 셀이어야 한다. 또한 정규 셀이 CAG 셀인 경우, UE(101)는 CAG 멤버일 수 있고, 정규 셀은 UE(101)의 접속이 가능한 셀이어야 한다.
한편, UE(101)가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셀은 수용 가능한 셀이라고 칭해질 수 있다. 수용 가능한 셀은 UE(101)가 수용 가능한 셀에 캠프 온하는 것이 금지 되지 않고, UE(101)의 셀 선택 기준을 만족시키는 셀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수용 가능한 셀은 신호 세기나 신호 품질 등이 만족되는 셀일 수 있다. UE(101)가 제한된 서비스를 받는 경우는 응급 호출 (emergency call) 이나, 재해 경보 시스템 (ETWS :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 PWS(public warning system), CMAS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일 수 있고, 상술한 제한된 서비스는 수용 가능한 셀에서 제공될 수 있다.동작 451에서 전송되는 메시지는 UE(101)와 5G RAN(103-2) 간의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이 RRC 메시지에 동작 461의 NAS 메시지가 실려간다.
동작461의 NAS 메시지가 UE(101)로부터 AMF(111-2)로 UE(101)와 AMF(111-2) 사이 구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동작 451에서, UE(101)는 5G RAN(103-2)으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UE(101)는 RRC connection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동작 451에서 전송되는 RRC 메시지 (예: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에는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실려가거나, 또는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포함되거나, 또는 RRC 메시지에 NAS 메시지의 일종인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가 piggy back 또는 concatenate 되어서 실려갈 수 있다.
동작 461, 동작 463에서, UE(101)는 SNPN에 존재하는 5G NG-RAN node(103-2), AMF(111-2)를 통해서 5G 네트워크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UE(101)는 5G 네트워크의 AMF(111-2)에 등록될 수 있다.
동작 461에서 UE(101)는 AMF(111-2)로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동작 461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PWS priority, UE-SNPN-version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PWS priority indication 정보는 UE(101)는 PWS 를 지원하는 network 에 priority 를 두고 접속하기를 원한다는 지시자이다. UE-SNPN version 정보는 UE(101)가 SNPN과 관련하여 PWS 지원하는 UE임을 네트워크에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기존 UE(예를 들어, 3GPP의 release 16, 또는 release 15 UE)는 PWS 를 SNPN 에서 지원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UE(101)는 UE-SNPN version 정보를 통해 UE(101)가 SNPN에 관련하여 PWS 지원하는 UE임을 네트워크에 알려줄 수 있다. 동작 461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는 SNPN indication이 포함될 수 있으며,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에 포함되는 SNPN indication은 UE(101)가 SNPN에서 응급 콜을 서비스 받기를 요청하는 indication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indication 은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는 정보(emergency call indication)와 함께 사용되어 UE(101)가 SNPN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을 네트워크 에 알려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 461의 Registration Request메시지에는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 emergency call 의 지원을 요청하는 정보, 혹은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emergency call indication 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동작 463 에서 AMF(111-2)는 UE(101)의 등록을 허락하는 경우 UE(101)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송신한다. 특히, AMF(111-2)가 UE(101)의 SNPN 내에서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 경우, AMF(111-2)는 SNPN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number 를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하여 UE(101)로 전송한다.
동작 463이후에,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UE(101)는 다양한 방식들로 동작할 수 있다.
Case1) UE(101)는 이전에 UE(101)가 수신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삭제하고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Case2) UE(101)는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로 emergency call number 를 갱신하고, 저장한다.
Case3) UE(101)는 이전에 UE(101)가 수신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유지하면서 수신한 새로운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이후 emergency call 수신 시 UE(101)는 저장한 emergency call number 를 이용하여 UE(101)가 SNPN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emergency 상황에 맞는 번호를 자신의 SNPN 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number 와 매핑을 통하여, 정확한 emergency call 을 지원하는 번호로 매핑하여, emergency call 로 전화, 문자 등의 연락을 취하는 등의 emergency call 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4) UE(101)가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하고, UE(101)가 SNPN 네트워크에 접속할 경우에는 하기 설명에서와 같이 SNPN emergency call number 라는 별도의 information element (별도의 parameter)나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혹은 emergency call number, 국가 코드, MCC 등을 통해서 emergency call number 에 대한 정보를 갱신, 저장 관리 할 수 있다.
Case 4) 에 대한 상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또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특히 MCC 가 "9xx"로 되어 있는 경우, 즉 첫 자리가 "9"로 시작될 경우, MCC 가 international code, 즉 international area 임을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emergency number 와 함께 extended emergency number 혹은 SNPN emergency number 등의 응급 콜을 위한 응급 콜 number 정보가 전송될 있다.
(2) emergency call 이 accessible 하는지 알리거나, 혹은 SNPN 에서의 emergency call 임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NPN 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 혹은 SNPN, 즉 non public network 에서 지원하는 emergency call 임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3) SNPN indication 과 emergency call 을 알리는 정보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가 SNPN 에서 emergency call 을 수신하였음을 알릴 수 있도록 SNPN indication 혹은 SNPN 관련 정보, emergency call 을 알리는 정보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동작 463 단계에서 전송되는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는 SNPN indication은 SNPN에서 응급 콜을 서비스하는 것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indication일 수 있다. 혹은 AMF(111-2)가 제공하는 SNPN indication 은 SNPN 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함을 알리는 식별자로, 응급콜 정보(emergency call indication), 응급콜 번호와 함께 사용되어 AMF(111-2)가 UE(101)에게 SNPN에서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4)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통해서 international 지역에서 emergency call 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가 유효(valid)한지를 알려주기 위한 valid indication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5) emergency type 을 알리는 정보, 예를 들면 화재, 폭풍우 등의 emergency type 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6) SNPN 등에서 emergency call 이 수행되는 경우, 9xx 등으로 시작하는 MCC 코드로 인해 특정 국가정보를 알 수 없어서 emergency call 관련 국가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를 위해 국가 관련 정보 country information 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461에서 UE(101) 가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작 463에서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nformation element 들을 가지고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2의 동작261에서 UE(101) 가 registr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동작 263에서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후, UE(101)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information element 들을 가지고 emergency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 471에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한 UE(101)는 우선 수신한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기반하여 SNPN인지 여부, 혹은 SNPN indication 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check 한다.
만약, UE(101)가 SNPN에 접속한 경우라면, 동작 481-A에서 UE(101)는 valid indication 이 있는지 혹은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수신한 경우 해당 정보가 valid 한지를 체크한다.
또한, UE(101)는 MCC가 international 인지, 즉 MCC code 가 9으로 시작되는 "9xx" 등인지를 체크한다.
또한, UE(101)는 MCC가 SNPN 을 위한 MCC와 동일한지 여부를 check 한다.
또한, UE(101)는 country information 등이 있는지 체크한다. 예를 들어, country information가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country informa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UE(101)는 MCC code 가 "9xx"로 시작되는 경우 country information 등이 있는지 체크한다.
또한, UE(101)는 SNPN indication 이 있는지, SNPN 식별자가 같은지 체크 한다.
그리고, new extended emergency number, SNPN emergency call number 등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SNPN indication 포함 여부, valid indication 이 있는지 여부, MCC code 가 international 인지 9로 시작되는 9xx 등인지 여부, MCC가 같은지 여부, SNPN emergency call number 가 있는지 여부, 등은 동시에 체크되거나 조합하여 체크 혹은 검토될 수도 있다.
만일 registration accept 메시지에 SNPN 관련 정보가 없거나 valid indication check 가 fail 한 경우는, 동작 481-B에서 UE(101)는 이전의 emergency call number 를 삭제하고, emergency call number 나 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 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E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UE는 송수신부(510), 메모리(520), 프로세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UE의 UE의 통신 방법에 따라 UE의 프로세서(530), 송수신부(510), 및 메모리(5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UE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UE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530), 송수신부(510), 및 메모리(52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510)는 UE의 수신부와 UE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기지국 혹은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5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51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5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510)는 유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5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5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5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510)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출력하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망을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UE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20)는 UE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라 UE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3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네트워크 엔티티는 송수신부(610), 메모리(620), 프로세서(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네트워크 엔티티의 통신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의 프로세서(630), 송수신부(610) 및 메모리(620)가 동작할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 엔티티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630), 송수신부(610), 및 메모리(620)가 하나의 칩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상기에서 설명한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PCF(Policy and Charging Function), NEF(Network Exposure Function), UDM(Unified Data Management), UPF(User Plane Function) 등의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61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수신부와 네트워크 엔티티의 송신부를 통칭한 것으로 UE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하는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6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610)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송수신부(6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수신부(610)는 유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610)는 통신 채널(예를 들어,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630)로 출력하고, 프로세서(6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610)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출력하고,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유무선망을 통해 UE 또는 네트웍 엔티티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20)는 네트워크 엔티티에서 획득되는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롬(ROM), 램(RAM), 하드디스크, CD-ROM 및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 또는 저장 매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네트워크 엔티티가 동작할 수 있도록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와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제1 네트워크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은:
    상기 응급 콜 번호가 확장된 응급 콜 번호(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일 경우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 및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가 유효할 경우,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은:
    상기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국제 영역(international area)을 나타낼 경우, 지역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 및
    상기 지역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지역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
  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UE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제1 네트워크들의 리스트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응급 콜 번호가 확장된 응급 콜 번호(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일 경우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국제 영역(international area)을 나타낼 경우,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방법.
  1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와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제2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UE.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UE.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제1 네트워크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제1 정보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UE.
  14. 제12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응급 콜 번호가 확장된 응급 콜 번호(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일 경우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체크하고, 및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가 유효할 경우,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UE.
  15. 제12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국제 영역(international area)을 나타낼 경우, 지역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및
    상기 지역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메모리에 상기 지역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UE.
  1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부터 제1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emergency call) 서비스를 요청함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및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UE로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등록 수락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제1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상기 응급 콜 서비스에 관련된, 응급 콜 번호 또는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기지국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제1 네트워크들의 리스트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응급 콜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응급 콜 번호가 확장된 응급 콜 번호(extended emergency call number)일 경우 상기 확장된 응급 콜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락 메시지는 상기 응급 콜 지원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국제 영역(international area)을 나타낼 경우, 지역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
KR1020210147155A 2021-10-29 2021-10-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62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155A KR20230062168A (ko) 2021-10-29 2021-10-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CT/KR2022/016105 WO2023075299A1 (en) 2021-10-29 2022-10-21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7/971,888 US20230133387A1 (en) 2021-10-29 2022-10-24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155A KR20230062168A (ko) 2021-10-29 2021-10-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168A true KR20230062168A (ko) 2023-05-09

Family

ID=8614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155A KR20230062168A (ko) 2021-10-29 2021-10-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3387A1 (ko)
KR (1) KR20230062168A (ko)
WO (1) WO2023075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24915B2 (en) * 2022-03-30 2024-03-05 T-Mobile Usa, Inc. Enhanced PLMN coverage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613B1 (ko) * 2017-04-03 2021-09-06 블랙베리 리미티드 모바일 디바이스에의 비상 코드들의 프로비저닝
EP3949322A1 (en) * 2019-04-02 2022-02-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of emergency services for non-public networks
US11297680B2 (en) * 2019-06-17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emergency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US11665632B2 (en) * 2020-01-02 2023-05-30 Apple Inc. Non-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299A1 (en) 2023-05-04
US20230133387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3653A1 (en) User equip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network slicing
US20230247479A1 (en) User equipment (ue) and core network for managing network slice conges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7416037B2 (ja) 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US96549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emergency alerts
US10880822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EP2922343B1 (en) Access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system
US20220248304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isaster inbound roamer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P41207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w-latency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854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access stratum (NAS) message protection
EP3113547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isolated e-utran operation for public safety
US20220272539A1 (en) Methods, UE and Access Node for Handling System Information Signatures
KR102252806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
WO2017206046A1 (zh) 对空闲态用户设备进行定位的方法和装置
WO2021159307A1 (en) Network slice aware cell selection
KR20220024181A (ko) 폐쇄형 액세스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56749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handling communication in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KR2021005847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인터워킹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62168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응급 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2956226B (zh) 在通信系统中隔离虚假基站
CN114915958B (zh) 一种灾难漫游的方法、装置和系统
EP40758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2205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534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중단 최소화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236567A1 (en) User equipment onboarding and network congestion control in standalone non-public network deployments
US20240138024A1 (en) Method for disaster roa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