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718A -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 Google Patents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718A
KR20230061718A KR1020210146246A KR20210146246A KR20230061718A KR 20230061718 A KR20230061718 A KR 20230061718A KR 1020210146246 A KR1020210146246 A KR 1020210146246A KR 20210146246 A KR20210146246 A KR 20210146246A KR 20230061718 A KR20230061718 A KR 20230061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leak test
battery
electric vehicle
tes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2232B1 (en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주)엠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벡 filed Critical (주)엠벡
Priority to KR102021014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232B1/en
Publication of KR2023006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7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in which, by using helium gas as a trace gas, an accurate leak test compared to an air leak test method is possible, through a cooling line forming a flow channel between batteries, a battery cell is maintained in top condition,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tamination of a chamber due to oil leakage from a general bearing during vacuum work using a dry vacuum pump with a dry bearing. For thi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amber for storing a table plate stor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a dry vacuum pump for converting the chamber into a vacuum state; a helium injection pump for injecting helium gas into a battery cell when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in the vacuum state by the dry vacuum pump; and a leak detector for determining, when there is helium gas leaking from the battery cell, whether a leak occurred in the battery cell by detecting the helium gas leaked into the chamber.

Description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본 발명은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헬륨을 추적가스로 하고, 건식 진공펌프를 이용한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sing helium as a tracer gas and using a dry vacuum pump.

배터리를 구동하는 전기자동차는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는 에너지 밀도가 낮은 대신 재사용 횟수가 높은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나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통상 리튬 배터리라 하며, 리튬 배터리를 구성하는 리튬은 에너지 밀도가 높은 만큼 상온에서도 잘못 취급되면 언제든 폭발할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An electric vehicle driven by a battery uses a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that has a high energy density or a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that has a low energy density rather than a lithium ion battery, but has a high number of reuses. A lithium ion battery or a lithium iron phosphate battery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lithium battery, and since lithium constituting a lithium battery has a high energy density, it may explode at any time if handled incorrectly even at room temperature.

전기차에서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는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전기차 화재 이슈에 의해 파우치 형이 쇠퇴하고, 원통형과 각형이 주류가 되고 있다. Cylindrical, prismatic, and pouch-type lithium batteries used in electric vehicles are used, but the pouch-type is declining due to the recent electric vehicle fire issue, and cylindrical and prismatic batteries are becoming mainstream.

전기차에 탑재되는 리튬 배터리 팩은 수백 내지 수천 개에 이르는 단위 셀(cell)의 직병렬 조합으로 구성된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모터의 정격 전압에 맞추어 셀을 직렬 연결하여 모듈을 이루고, 모터의 필요 전류량에 따라 모듈을 병렬 연결하여 전체 배터리 팩이 구성된다. 리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단위 셀(cell)들은 전기차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 충격, 고온, 저온 및 습기 침투에 저항하기 위해 통상 메탈 캔으로 보호되고 있다.A lithium battery pack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is composed of a series-parallel combination of hundreds to thousands of unit cells.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ccording to the rated voltage of the motor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to form a module, and the entire battery pack is composed by connecting the modules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required current of the motor. Unit cells constituting a lithium battery pack are usually protected by metal cans to resist vibration, shock,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and moisture penetration that occur during driving of an electric vehicle.

그러나, 셀을 보호하는 메탈 캔이 제조상 문제로 크랙이 발생하여 셀 내부를 제대로 보호할 수 없거나, 또는 셀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면, 해당 셀로 제조된 배터리 팩은 제 성능을 내지 못하거나, 심하면 배터리 팩이 폭발할 우려도 있다.However, if the metal can protecting the cell is cracked due to a manufacturing problem and cannot properly protect the inside of the cell, or if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ntents of the cell may leak to the outside, the battery pack made of the cell may not perform properly. Otherwise, there is a risk that the battery pack may explode.

이에 대해, 배터리 제조사는 제작된 단위 셀의 밀폐 여부를 테스트 하는 테스트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테스트 시스템을 리크 테스트 시스템이라 하며, 주로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this regard, battery manufacturers operate test systems that test whether manufactured unit cells are sealed. Such a test system is called a leak test system, and an air leak test method is mainly used.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Air leak test method)은 챔버(chamber) 내에 배터리 셀을 배열하고, 챔버를 밀폐한 후, 챔버 내에 공기를 주입한 후, 압력 감쇠 방식으로 셀의 불량 여부를 판단한다. 챔버 내에 위치한 셀들 중 기밀이 유지되지 않는 셀이 있다면, 챔버에 주입된 공기가 셀 내부로 유입되면서 챔버 내의 공기 압력은 감소한다.The air leak test method arranges battery cells in a chamber, seals the chamber, injects air into the chamber,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cell is defective or not by using a pressure damping method. If there is a cell in which airtightness is not maintained among the cells located in the chamber, the air injected into the chamber is introduced into the cell and the air pressure in the chamber is reduced.

그러나,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은 챔버에 가할 수 있는 공기의 압력이 e-2 mbar.l/s 로 낮아 셀의 누출 상태에 따라서는 잘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 신뢰성이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ir leak test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ir press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chamber is as low as e -2 mbar.l/s, so that it may not be detected well depending on the leak state of the cell, and thus the reliability is not high.

이러한 단점에 대해 업계는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For these drawbacks, the industry proposes a helium leak test method as an alternative.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은 헬륨(Helium)을 추적 가스로 하여 셀 내부에 헬륨가스를 넣거나, 또는 완제품 셀의 외부(챔버 내부)에 헬륨가스를 넣어 셀에 대한 리크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The helium leak test method is a method of performing a leak test on a cell by putting helium gas inside a cell using helium as a tracer gas or putting helium gas outside (inside a chamber) of a finished cell.

헬륨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거의 없는 불활성 기체라 리튬과 반응하여 폭발할 위험성이 없고, 셀 내부의 화학 물질과도 반응성이 없어 안전한 리크 테스트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Helium is an inert gas with little chemical reactivity, so there is no risk of explosion by reacting with lithium, and it is in the spotlight as a safe leak test method because it is not reactive with chemicals inside the cell.

또한, e-09 mbar.l/s 까지 검출이 가능해 기존의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 대비 더 정밀한 리크 검출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can detect up to e -09 mbar.l/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tect leaks more precisely than the existing air leak test method.

현재,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은 기계설비나 선박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은 헬륨 리크 테스트 방법을 배터리 셀에 대한 리크 테스트에 적용하고자 한다.Currently, the helium leak test method is used in machinery or ships, and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apply the helium leak test method to a leak test for battery cells.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4454 (발명의 명칭 : 전기자동차 배터리 커버의 에러리크 검출 및 검출결과의 출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74454 (Title of Inven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leakage of electric vehicle battery cover and outputting the detection result)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7308 (발명의 명칭 : 전기차 배터리 커버의 리크 시험 장치)-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27308 (Title of Invention: Leak Test Device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Cover)

본 발명의 목적은, 헬륨가스를 추적 가스로 이용하여 기존의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 대비 더 정밀한 리크 테스트가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that can perform a more precise leak test than conventional air leak test methods using helium gas as a tracer gas.

배터리 셀에 대해 리크 테스트를 진행 시, 배터리 셀의 온도를 낮추어 배터리 셀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that does not dama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cell b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when performing a leak test on the battery cell.

건식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챔버를 진공상태로 전환함으로서 기존의 진공펌프에서 누출되는 오일에 의해 발생하는 챔버 오염을 최소하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that minimizes chamber contamination caused by oil leaking from an existing vacuum pump by converting a chamber accommodating battery cells into a vacuum state using a dry vacuum pump.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테이블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챔버, 챔버를 진공 상태로 전환하는 건식 진공펌프, 건식 진공펌프에 의해 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일 때, 배터리 셀에 헬륨가스를 주입하는 헬륨 주입펌프 및 배터리 셀에서 누출되는 헬륨가스가 존재할 경우, 챔버로 누출되는 헬륨가스를 검출하여 배터리 셀에 대한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리크 디텍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a battery cell when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in a vacuum state by a chamber for accommodating a table plate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a dry vacuum pump for converting the chamber to a vacuum state, and a dry vacuum pump. It is achieved by a helium injection pump for injecting helium gas and a leak detector that detects helium gas leaking into the chamber when there is helium gas leaking from the battery cell and determines whether a leak occurs in the battery cell.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헬륨가스를 추적 가스로 이용함으로써, 에어 리크 테스트 방법 대비 정밀한 리크 테스트가 가능하고, 배터리 셀 사이에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라인을 통해 배터리 셀의 상태를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helium gas as a tracer ga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ore precise leak test compared to the air leak test method, and to maintain the state of the battery cells in the best way through the cooling line forming a flow path between the battery cells.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드라이 베어링을 적용한 건식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진공작업 시, 일반 베어링에서 오일이 유출되어 챔버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vacuum work using a dry vacuum pump to which a dry bearing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il leaking from a general bearing and contaminating the cha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리크 디텍터의 헬륨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식 진공펌프에 적용되는 드라이 베어링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block conceptual diagram of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reference drawing for explaining a helium detection method of a leak detector.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dry bearing applied to the dry vacuum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 vacuum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will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fully cover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grav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배터리 셀은 원통형 셀, 각형의 셀, 및 각형의 배터리 모듈 중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A battery cell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one of a cylindrical cell, a prismatic cell, and a prismatic battery module.

원통형 셀은 건전지와 같은 외형을 가지고 외부는 금속 캔으로 보호되는 유형의 배터리 셀을 의미한다. 원통형 셀은 테슬라에서 주로 이용되는 규격으로, 지름 - 길이에 의해 배터리 셀의 모델명이 정의된다. 예컨대, 테슬라 21700 배터리 셀은 지름 21mm, 길이 70mm임을 지칭한다. The cylindrical cell refers to a type of battery cell that has the same external appearance as a battery and is protected by a metal can. The cylindrical cell is a standard mainly used by Tesla, and the model name of the battery cell is defined by diameter-length. For example, a Tesla 21700 battery cell refers to a diameter of 21 mm and a length of 70 mm.

각형은 알루미늄 캔의 형태가 사각형을 띔에 따라 부여된 명칭으로 기본적인 베터리 전극 구조는 통상의 리튬 배터리와 동일하다. 원통형 대비 에너지 밀도가 낮으나 외부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좋아 근래 폭스바겐社에서 중국 CATL社에 발주하는 유형의 배터리 셀에 해당한다.The square is a name given to the shape of an aluminum can when it is square, and the basic battery electrod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a conventional lithium battery. It has low energy density compared to the cylindrical shape, but it is strong against external impact and has good durability, so it corresponds to the type of battery cell recently ordered by Volkswagen from CATL in China.

한편, 각형 배터리 셀 중, 하나의 사각형 케이스 내에 다수의 배터리 셀을 병렬 적층하여 출력 전류를 증가시킨 모듈타입 각형 배터리가 있다.Meanwhile, among prismatic battery cells, there is a modular prismatic battery in which an output current is increas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parallel in one rectangular case.

모듈타입 각형 배터리는 그 외형이 일반적인 각형 배터리와 유사하나, 병렬 적층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그 출력전류가 증가하는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듈타입 각형 배터리도 각형 배터리 셀로 취급하도록 한다. The module-type prismatic battery is similar in appearance to a general prismatic battery, but has a difference in that its output current incre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stacked in parallel.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ar prismatic battery is also treated as a prismatic battery cell.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배터리 셀은 리튬 배터리 셀을 지칭하며, 리튬 배터리 셀은 리튬이온 및 리튬 인산철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형 배터리 셀이든 원통형 배터리 셀이든 간에 "배터리 셀"이라는 단일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battery cell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lithium battery cell, and the lithium battery cell may mean any one of a lithium ion type and a lithium iron phosphate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a prismatic battery cell or a cylindrical battery cell, a single name "battery cell" will be given and describ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의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1 shows a block conceptual diagram of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은, 챔버(110), 리크 디텍터(120), 진공센서(130), 건식 진공펌프(140), 헬륨 주입펌프(150) 및 냉각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hamber 110, a leak detector 120, a vacuum sensor 130, a dry vacuum pump 140, a helium injection pump 150, and a cooling syste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mp 160.

챔버(11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수납하며,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정렬하고 고정하기 위해 내부에 테이블 플레이트(111)를 구비한다.The chamber 110 accommodates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and includes a table plate 111 therein to align and fix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테이블 플레이트(111)는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에 해당하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규칙적으로 수납하고 고정할 수 있다. The table plate 111 can regularly accommodate and fix one, two or more battery cells 10a to 10f at regular intervals.

바람직하게는, 테이블 플레이트(111)는 판상의 프레임 상에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챔버(11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거나, 헬륨가스가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로 주입될 때, 판상의 프레임에서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 유동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테이블 플레이트(111)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 원통형인 경우, 테이블 플레이트(111)에는 원통 구조의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수납할 수 있는 원통형 수납부가 구비되나,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 각형 셀인 경우에는 판상의 프레임상에 각형 배터리의 외경치수에 맞는 고정지그(zig)가 구비될 수도 있다. Preferably, the table plate 111 may include a fixing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on a plate-shaped frame, and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is in a vacuum state or helium gas is supplied to the battery. When injected into the cells 10a to 10f,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do not float and remain fixed in the plate-shaped frame. The table plate 111 may have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For example, when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are cylindrical, the table plate 111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storage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10a to 10f, but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have a prismatic shape. In the case of a cell, a fixing jig suitable for the outer diameter of the prismatic battery may be provided on the plate-shaped frame.

리크 디텍터(12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헬륨가스가 주입된 이후, 챔버(110) 내부에서 헬륨가스가 검출될 때, 이를 통해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의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helium gas is detected inside the chamber 110 after the helium gas is injected into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the leak detector 120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are leaked. judge

테이블 플레이트(111)에 수납된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손상이나 크랙이 존재할 경우,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에 봉입된 헬륨가스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서 누출되어 챔버(110) 내부로 유출된다. 이때, 챔버(110) 내부는 진공 상태이므로 챔버(110)에서 누출된 헬륨가스의 농도가 증가한다. When there is damage or cracks in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accommodated in the table plate 111, the helium gas sealed inside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leaks from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and the chamber 110 ) leaked into the interior. At this time, since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is in a vacuum state, the concentration of the helium gas leaked from the chamber 110 increases.

리크 디텍터(120)는 챔버(110) 내부에 누출된 헬륨가스를 검출한다. The leak detector 120 detects helium gas leaked into the chamber 110 .

리크 디텍터(120)가 헬륨가스를 검출하는 방법은 자기장이 걸린 벨로즈(Bellows)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 method of using bellows with a magnetic field applied to the leak detector 120 to detect the helium gas may be us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리크 디텍터의 헬륨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2 shows a reference drawing for explaining a helium detection method of a leak detector.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리크 디텍터(120)는 곡선 구간을 가지는 벨로즈(bellows)를 중심으로 일 측(source)은 불순물이 포함된 헬륨가스가 유입된다. 이때, 벨로즈(bellows)에는 강한 자기장(magnetic field)이 걸린다.Referring to FIG. 2 together, the leak detector 120 has a bellows having a curved section, and helium gas containing impurities is introduced to one side (source) of a bellows having a curved section. At this time, a strong magnetic field is applied to the bellows.

챔버(110)에서 토출되는 헬륨가스 중 질량이 큰 불순물은 자기장(magnetic field)에 걸려 파괴된다. 헬륨은 2족 원소로서, 수소 다음으로 가장 질량이 작고 가벼운 원소에 해당한다. 헬륨은 벨로즈(bellows)에 걸린 자기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벤딩된 벨로즈(bellows)를 따라 리크 디텍터(120)로 인가된다. 즉, 헬륨과 불순물 사이의 질량차에 의해 질량이 극소인 헬륨가스는 리크 디텍터(120)로 인가되어 검출될 수 있다.Among the helium gas discharged from the chamber 110, impurities having a large mass are destroyed by being caught in a magnetic field. Helium is a Group 2 element, the smallest and lightest element after hydrogen. Helium is applied to the leak detector 120 along the bent bellows without being destroyed by a magnetic field applied to the bellows. That is, helium gas having a minimum mass due to a mass difference between helium and impurities may be applied to the leak detector 120 and detected.

리크 디텍터(120)는 챔버(110) 내부에서 헬륨가스가 검출되면,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결함(크랙, 찢어짐, 벌어짐 및 천공 등)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리크 디텍터(120)에서 배터리 셀(10a 내지 10f)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은 리크 테스트를 중단하고, 챔버(110)의 진공 상태를 해제한다. 이후, 챔버(110)를 개방하고,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을 대기에 노출시킨 후, 스니퍼(Sniffer)를 이용하여 결함이 발생한 상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When helium gas is detected inside the chamber 110, the leak detector 120 determines that defects (such as cracks, tears, flares, and holes) have occurred in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When the leak detector 120 determines that a defect has occurred in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the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tops the leak test and releases the vacuum state of the chamber 110. Thereafter, after opening the chamber 110 and exposing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to the air, a sniffer may be used to track the detailed location of the defect.

진공센서(130)는 챔버(110) 내부의 진공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건식 진공펌프(140)로 피드백한다. 건식 진공펌프(140)는 0.1 Torr(10-1 mbar)이하의 압력으로 챔버(1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전환하며, 사용자 설정된 목표 진공도까지 구동 후, 정지할 수 있다.The vacuum sensor 130 detects the vacuum state inside the chamber 110 and feeds it back to the dry vacuum pump 140 . The dry vacuum pump 140 converts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into a vacuum state at a pressure of 0.1 Torr (10 −1 mbar) or less, and may be driven to a user-set target vacuum level and then stopped.

건식 진공펌프(140)는 진공장치에서 범용으로 사용되는 오일 로터리 방식의 진공펌프와 달리 윤활유의 도포가 요구되지 않는다.The dry vacuum pump 140 does not require application of lubricating oil, unlike oil rotary type vacuum pumps commonly used in vacuum devices.

통상, 진공펌프는 모터의 회전운동 또는 스크류의 직선 왕복운동을 하며 기체를 압축 또는 순환시킨다. 회전 또는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부품과 이를 지지하는 부품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고, 마찰이 심해지면 발열이 증가하는 것은 물론, 마찰에 따른 부품의 슬러지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진공펌프는 부품간의 마찰 감소와 원활한 모터회전을 위해 윤활제를 사용한다.In general, a vacuum pump compresses or circulates gas while performing a rotational motion of a motor or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a screw. Friction occurs between parts that rotate or reciprocate and parts that support them, and when the friction is severe, heat generation increases, and sludge from the parts may flow into the chamber 110 due to the friction. Therefore, the vacuum pump uses a lubricant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parts and smooth motor rotation.

그러나, 진공펌프를 가동하여 진공 상태로 전환할 때, 진공펌프로 유입되는 기체와 토출되는 기체 사이의 압력차가 커지면서 액상의 윤활제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되고, 챔버(110) 내부로 유입된 윤활제는 챔버(110) 내부를 유동할 수 있으며, 배터리 셀(10a 내지 10f)이나 챔버(110) 내부의 기계부품에 부착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vacuum pump is operated and converted to a vacuum state, as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gas flowing into the vacuum pump and the gas discharged increases, the liquid lubricant flows into the chamber 110, and the liquid lubricant flows into the chamber 110. The lubricant may flow inside the chamber 110 and may adhere to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or mechanical parts inside the chamber 110 .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진공펌프(140)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140)는 구동축에 드라이 베어링을 적용하여 액상의 윤활제가 챔버(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드라이 베어링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propose a dry vacuum pump 140 that does not use a lubricant. The dry vacuum pump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y bearing is applied to a driving shaft to prevent liquid lubricant from flowing into the chamber 110 . The dry bear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건식 진공펌프에 적용되는 드라이 베어링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3 show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dry bearing applied to a dry vacuum pump.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 베어링(141)은 링 형상을 가지며, 외층(141a)과 내층(141b)으로 구성되어 복층을 이룬다.Referring to FIG. 3 , the dry bearing 14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ring shape and is composed of an outer layer 141a and an inner layer 141b to form a multi-layer structure.

외층(141a)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메탈 재질로 구성되어 링 형상의 구조물을 지지한다. 내층(141b)은 비 메탈 재질로서, 테프론(Teflon) 복합재, 또는 카본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outer layer 141a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to support a ring-shaped structure. The inner layer 141b is a non-metal material and may be any one of a Teflon composite material and a carbon compound.

테프론은 불소와 탄소의 화합물로 화학적으로 내열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낮다. 또한, 내층(141b)에 테프론 화합물이 사용되면, 내층(141b)에는 액상의 윤활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건식 진공펌프(140)가 챔버(110) 내부를 진공으로 전환할 때 챔버(110) 내부로 액상의 윤활제가 유입되지 않는다. Teflon, a compound of fluorine and carbon, has high chemical heat resistance and low friction coefficient. In addition, when the Teflon compound is used in the inner layer 141b, since there is no liquid lubricant in the inner layer 141b, when the dry vacuum pump 140 converts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into a vacuum,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Liquid lubricant does not flow in.

헬륨주입 펌프(15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로 헬륨가스를 주입한다. 헬륨주입 펌프(150)가 배터리 셀(10a 내지 10f) 내부로 헬륨가스를 주입하기 전 챔버(110) 내부는 진공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elium injection pump 150 injects helium gas into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is in a vacuum state before the helium injection pump 150 injects the helium gas into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냉각펌프(160)는 챔버(110)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한다. 냉각펌프(160)는 챔버(110)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라인과 연결되며, 냉각라인은 테이블 플레이트(111)에 마운트된 배터리 셀(10a 내지 10f) 사이사이를 지나가는 유로로 구성된다. The cooling pump 160 supplies cooling water into the chamber 110 . The cooling pump 160 is connected to a cooling line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110, and the cooling line consists of a flow path passing between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mounted on the table plate 111.

냉각펌프(160)는 배터리 셀(10a 내지 10f)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 냉각수를 공금하고, 냉각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110) 외부에는 가열된 냉각수를 식히기 위한 라디에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ooling pump 160 may supply cooling water to flow path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s 10a to 10f and circulate the cooling water. Preferably, a radiator for cooling the heated cooling wat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hamber 110 .

다른 한편, 냉각라인은 냉각수가 흐르는 배관의 구조를 대신하여 히트 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히트 파이프는 알코올과 같은 냉매가 해면 구조를 갖는 금속을 유동하면서 열평형을 이루는 금속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냉각라인을 히트파이프로 구성할 경우, 챔버(110) 내부에는 가늘고 긴 방사형 구조의 냉각라인이 배열되어 챔버(110) 내부를 방열할 수도 있다. 이때, 히트파이프 중 챔버(110) 외부에 위치하는 종단은 별도의 라디에이터와 연결되어 흡수된 열을 배출하여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line may be formed of a heat pipe instead of a pipe through which cooling water flows. The heat pipe may have a shape of a metal tube in which a refrigerant such as alcohol flows through a metal having a spongy structure and achieves thermal equilibrium. When the cooling line is configured as a heat pipe, a cooling line having a long and thin radial structure may be arranged inside the chamber 110 to dissipate heat from the inside of the chamber 110 . At this time, the end of the heat pipe located outside the chamber 110 must be connected to a separate radiator to discharge the absorbed hea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4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y vacuum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식 진공펌프(140)는 펌프의 선단측에 한 쌍의 루츠 로터(142a, 142b)가 내장되고, 기단측에는 구동모터(148)가 장착되며 이들 사이에는 한 쌍의 스크류 로터(145a, 145b)가 루츠 로터(142a, 142b)와 동축상태로 내장된다.Referring to the figure, in the dry vacuum pump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air of roots rotors 142a and 142b are built into the front end of the pump, and a drive motor 148 is mounted on the proximal end, and a pair of The screw rotors 145a and 145b of are embedded coaxially with the roots rotors 142a and 142b.

스크류 로터(145a, 145b)의 선단은 각각 칸막이벽(144)을 관통하며, 칸막이벽(144)을 관통하고 있는 부분은 각각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The ends of the screw rotors 145a and 145b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144, respectively, and the portions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144 are rotatably supported by dry bearings 143a and 143b, respectively.

한편 스크류 로터(145a, 145b)의 기단축(149a, 149b)은 단벽(146)에 배치된 드라이 베어링(147a, 147b)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ximal shafts 149a and 149b of the screw rotors 145a and 145b are rotatably supported by dry bearings 147a and 147b disposed on the end wall 146 .

이에 따라, 건식 진공펌프(140)는 한 쌍의 스크류 로터(145a, 145b)와 이들의 선단에 동축상태로 장착한 한 쌍의 루츠 로터(142a, 142b)를 포함하여 장치의 구성이 콤팩트하며, 루츠 로터(142a, 142b)와 스크류 로터(145a, 145b)를 이용하여 원하는 진공도와 소요동력특성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dry vacuum pump 140 includes a pair of screw rotors 145a and 145b and a pair of Roots rotors 142a and 142b coaxially mounted at the tips thereof, and is compact in configuration, A desired degree of vacuum and required power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roots rotors 142a and 142b and the screw rotors 145a and 145b.

상기한 건식 진공펌프(140)는 펌프 운전시 진공상태와 대기압 상태의 압력이 반복될 수 있는 흡기구(i) 측에 루츠 로터(142a, 142b)와 스크류 로터(145a, 145b)를 지지하는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이 위치하기 때문에 진공에 따른 압력차가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에 가해지더라도 드라이 베어링(143a, 143b)에서 윤활제와 같은 것이 챔버(110)로 유입되지 않으며, 구동 모터(148)에 무리한 부하나 이물질을 가하지 않는다. The dry vacuum pump 140 described above has dry bearings supporting the roots rotors 142a and 142b and the screw rotors 145a and 145b on the intake port (i) side where vacuum and atmospheric pressure can be repeated during pump operation. Since the (143a, 143b) are located, even if a pressure difference due to vacuum is applied to the dry bearings (143a, 143b), something such as lubricant does not flow into the chamber 110 from the dry bearings (143a, 143b), and the driving motor (148) Do not apply excessive load or foreign substances to

110 : 챔버 111 : 테이블 플레이트
120 : 리크 디텍터 130 : 진공센서
140 : 건식 진공펌프 150 : 헬륨 주입펌프
160 : 냉각펌프
110: chamber 111: table plate
120: leak detector 130: vacuum sensor
140: dry vacuum pump 150: helium injection pump
160: cooling pump

Claims (6)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테이블 플레이트를 수납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진공 상태로 전환하는 건식 진공펌프;
상기 건식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챔버 내부가 진공 상태일 때, 상기 배터리 셀에 헬륨가스를 주입하는 헬륨 주입펌프; 및
상기 배터리 셀에서 누출되는 헬륨가스가 존재할 경우, 상기 챔버로 누출되는 상기 헬륨가스를 검출하여 상기 배터리 셀에 대한 리크(Leak)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리크 디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a chamber accommodating a table plate accommodat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a dry vacuum pump for converting the chamber into a vacuum state;
a helium injection pump for injecting helium gas into the battery cell when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in a vacuum state by the dry vacuum pump; and
When there is helium gas leaking from the battery cell, a leak detector detects the helium gas leaking into the chamber and determines whether a leak occurs in the battery cell; Leak tes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사이를 따라 유로가 형성되고 일 측은 상기 챔버 외부에 위치하고 타 측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는 냉각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oling line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along between the battery cells and one side is located outside the chamber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inside the cha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은,
상기 챔버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각수가 상기 셀 사이에서 흡열 후, 상기 냉각수를 상기 챔버 외부로 이동하는 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oling line is
The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low path for moving the cooling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after the coolant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absorbs heat between the cel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라인은,
히트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 내부에는 냉매가 주입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챔버의 내부와 외부를 이동하며 열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ooling line is
It consists of a heat pipe,
A leak tes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a refrigerant is injected into the heat pipe and the refrigerant moves inside and outside the chamber to perform heat exch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진공펌프는,
모터의 구동축에 드라이 베어링;이 체결되어 진공 상태의 오일 누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ry vacuum pump,
A dry bearing on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leak test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to block oil leakage in a vacuum st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베어링은,
내층과 외층이 서로다른 재질로 구성되어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층은, 금속 및 금속 복합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내층은, 테프론 화합물 및 카본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재질이 복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배터리의 리크 테스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dry bearing,
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are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and have a ring shape,
The outer layer is composed of any one of a metal and a metal composite,
The inner layer is composed of any one of a Teflon compound and a carbon compound, and the leak test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materials form a multi-layer.
KR1020210146246A 2021-10-29 2021-10-29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KR102632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46A KR102632232B1 (en) 2021-10-29 2021-10-29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46A KR102632232B1 (en) 2021-10-29 2021-10-29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718A true KR20230061718A (en) 2023-05-09
KR102632232B1 KR102632232B1 (en) 2024-02-01

Family

ID=8640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246A KR102632232B1 (en) 2021-10-29 2021-10-29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2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5374A (en) * 2024-02-05 2024-03-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Battery helium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240A (en) * 2012-07-09 2015-04-0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50038387A (en) * 2012-08-07 2015-04-08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Hermetic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74454A (en) 2015-12-22 2017-06-3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car battery cover air leak detection and the detection result output unit
KR102027308B1 (en) 2018-03-30 2019-11-04 정아정밀(주) Leak test apparatus of EV battery co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4240A (en) * 2012-07-09 2015-04-02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50038387A (en) * 2012-08-07 2015-04-08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Hermetic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74454A (en) 2015-12-22 2017-06-30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car battery cover air leak detection and the detection result output unit
KR102027308B1 (en) 2018-03-30 2019-11-04 정아정밀(주) Leak test apparatus of EV battery co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5374A (en) * 2024-02-05 2024-03-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Battery helium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232B1 (en)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1702C (en) Hermetic compressor
KR20190107933A (en)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of battery cell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of battery cell
KR102632232B1 (en) Leak tes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KR101927178B1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irtightness of fuel cell stack
JP2005134382A (en) Detection method for leakage from sealed cases attached to embedded energy storage system
CN110954275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ealing performance of sealing cover of lithium battery
US11380949B2 (en) Coolant distribution interface for a battery module housing
CN110927039A (en)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performance of material in high-low temperature cycle mod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219064807U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system
JP2011237294A (en) Leakage inspection apparatus and connecting hose for leakage inspection
CN211452749U (en) Lithium battery sealing cover sealing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KR100537603B1 (en) Test device for leaking used i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secondary battery utilizing the same
CN115127737A (en) Tightness detection device
JP3856121B2 (en) Capacitor airtightness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218496344U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system
CN106092465A (en) The automatic air leak tester of rectangular cell
CN219161568U (en) Electric core breaking type helium detection device
CN221099993U (en) Sealing performance detection device convenient for gas injection
CN218035544U (en) Tightness testing device and tightness testing system
US11777119B2 (en) Leak test method for fuel cell stack
CN213779382U (en) Power battery sealing leak detector
CN214471675U (en) Laser instrument low temperature testing arrangement
CN116465563A (en) Battery air tightness detection method and battery air tightness detection equipment
CN217586186U (en)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stator of wind driven generator
CN212844229U (en) Multifunctional vacuum leak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