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075A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심을 가진 단말의 단말 능력 협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심을 가진 단말의 단말 능력 협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1075A KR20230061075A KR1020210145957A KR20210145957A KR20230061075A KR 20230061075 A KR20230061075 A KR 20230061075A KR 1020210145957 A KR1020210145957 A KR 1020210145957A KR 20210145957 A KR20210145957 A KR 20210145957A KR 20230061075 A KR20230061075 A KR 202300610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usim
- base station
- rrc
- mess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2734 Acyl carrier protein, mitochondrial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000678845 Homo sapiens Acyl carrier protein, mitochondrial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유심을 지원하는 단말이 두 개의 네트워크와 RRC 연결 설정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네트워크에 설정되어 있는 Dual connectivity와 관련된 동작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복수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예를 들어, Multi-USIM UE)의 단말 능력 협상(UE capability negotiation)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유심을 지원하는 단말이 두 개의 네트워크와 RRC 연결 설정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네트워크에 설정되어 있는 Dual connectivity와 관련된 동작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각 네트워크에 해당 단말 능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제안되는 단말 능력 전달 및 협상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유심을 지원하는 단말이 두 개의 네트워크와 RRC 연결 설정을 유지하면서, 하나의 네트워크에 설정되어 있는 Dual connectivity와 관련된 동작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new radio) 시스템에서의 단말 능력(capability)을 보고하는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USIM을 지원하는 단말(Multi-USIM UE)이 하나의 USIM에 연관된 기지국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를 유지한 채 다른 USIM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g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1로써, MUSIM 지원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dual connectivity) 및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방법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h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2로써, MUSIM 지원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를 지원하는 방법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i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MUSIM 지원 USIM 1 단말이 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을 요청하는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j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IDLE 혹은 INACTIVE 상태의 USIM 2 단말이 MUSIM 동작을 수행할 때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k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단말의 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을 수신한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l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m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e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new radio) 시스템에서의 단말 능력(capability)을 보고하는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 개의 USIM을 지원하는 단말(Multi-USIM UE)이 하나의 USIM에 연관된 기지국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를 유지한 채 다른 USIM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g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1로써, MUSIM 지원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dual connectivity) 및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방법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h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2로써, MUSIM 지원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를 지원하는 방법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i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MUSIM 지원 USIM 1 단말이 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을 요청하는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j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IDLE 혹은 INACTIVE 상태의 USIM 2 단말이 MUSIM 동작을 수행할 때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k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단말의 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을 수신한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l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m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ㄱㅐ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에서는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DC(dual connectivity) 동작은 MN(master node)와 SN(secondary node)가 동시에 설정 및 RRC 연결이 수립되고, 두 노드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CA(carrier aggregation) 동작은 PCell(primary cell) 및 하나 이상의 SCell(secondary cell)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a-25) 및 S-GW(Serving-Gateway, 1a-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eNB(1a-05~1a-20) 및 S-GW(1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a에서 eNB(1a-05~1a-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는 UE(1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a-05~1a-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예컨대, 100 M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LTE 시스템은 예컨대,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a-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도 1b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 1b-40), RLC(Radio Link Control 1b-10, 1b-35), MAC(Medium Access Control 1b-15, 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1b-05, 1b-40)는 IP header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1b-10, 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1b-15, 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 계층(1b-20, 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NB, 1c-10)과 NR CN(New Radio Core Network, 혹은 NG 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1c-05)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 1c-15)은 NR NB(1c-10) 및 NR CN(1c-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여기서 NR CN(1c-05)은 5G CN(5G Core Network) 또는 5GC(5G Core)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c에서 NR NB(1c-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NB는 NR UE(1c-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NB(1c-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SCS가 하나의 시스템에서 동시에 지원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다른 sCS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또한 하나의 시스템이 복수개의 BWP를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NR CN(1c-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R CN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1c-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1c-30)과 연결된다.
도 1d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1d-01, 1d-45), NR PDCP(1d-05, 1d-40), NR RLC(1d-10, 1d-35), NR MAC(1d-15, 1d-30)으로 이루어진다.
NR SDAP(1d-01, 1d-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의 마킹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상기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RRC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로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정보는 원할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1d-05, 1d-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상기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1d-10, 1d-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1d-15, 1d-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1d-20, 1d-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e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new radio) 시스템에서의 단말 능력(capability)을 보고하는 메시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단말(1e-01)은 서빙 기지국(1e-02)에 연결한 상태에서 해당 기지국에게 단말이 지원하는 capability를 보고하는 절차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은 1e-05 단계에서 연결 상태의 단말에게 capability 보고를 요청하는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에는 기지국이 RAT(radio access technology) type 별 단말 capability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AT type 별 요청에는 요청하는 주파수 밴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는 하나의 RRC 메시지 container에서 복수의 RAT type을 요청할 수 있으며, 혹은 각 RAT type 별 요청을 포함한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를 복수번 포함해서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1e-05 단계의 UE capability Enquiry가 복수 번 반복 될 수 있고, 단말은 이에 해당하는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구성하여 복수 번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이통 통신 시스템에서는 NR, LTE, EN-DC(E-UTRA-NR DC)를 비롯한 MR-DC(Multi-Radio-DC)에 대한 단말 capability 요청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UE capability Enquiry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단말이 DC 연결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또는 수립이 완성된 이후에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지국이 필요할 때 어떤 조건에서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1e-05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UE capability 보고 요청을 받은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요청받은 RAT type 및 밴드 정보에 따라 단말 capability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UE capability를 구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UE capability 요청으로 LTE 그리고/혹은 NR 밴드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받으면, 단말은 EN-DC 와 NR stand alone(SA)에 대한 band combination(BC)를 구성할 수 있다. 즉, 기지국에 FreqBandList로 요청한 밴드들을 바탕으로 EN-DC 와 NR SA에 대한 BC의 후보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우선순위는 FreqBandList에 기재된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가진다.
2. 만약 “eutra-nr-only” flag 혹은 “eutra” flag가 세팅되어 있다면, 상기의 구성된 BC의 후보 리스트 중에서 NR SA BC들에 대한 것은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는 LTE 기지국(eNB)이 “eutra” capability를 요청하는 경우에만 일어날 수 있다.
3. 이후 단말은 상기 1 단계에서 구성된 BC의 후보 리스트에서 fallback BC들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fallback BC는 어떤 super set BC에서 최소 하나의 SCell에 해당하는 밴드를 제거한 경우에 해당하며, super set BC가 이미 fallback BC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 본 3 단계는 MR-DC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LTE 밴드들도 적용될 수 있다. 본 3 단계 이후에 남아있는 BC는 최종 “후보 BC 리스트”이다.
4. 단말은 상기의 최종 “후보 BC 리스트”에서 요청받은 RAT type에 맞는 BC들을 선택하여, 보고할 BC들을 선택할 수 있다. 본 4 단계에서는 정해진 순서대로 단말이 supportedBandCombinationList를 구성할 수있다. 즉, 단말은 미리 설정된 rat-Type의 순서에 맞춰서 보고할 BC 및 UE capability를 구성할 수 있 된다(nr -> eutra-nr -> eutra). 또한, 구성된 supportedBandCombinationList에 대한 featureSetCombination을 구성하고, fallback BC(같거나 낮은 단계의 capability를 포함하고 있는)에 대한 리스트가 제거된 후보 BC 리스트에서 “후보 feature set combination”의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후보 feature set combination”은 NR 및 EUTRA-NR BC에 대한 feature set combination을 모두 포함하며, UE-NR-Capabilities와 UE-MRDC-Capabilities 컨테이너의 feature set combination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5. 또한, 만약 요청된 rat Type이 eutra-nr이고 영향을 준다면, featureSetCombinations은 UE-MRDC-Capabilities 와 UE-NR-Capabilities 의 두 개의 컨테이너에 전부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NR의 feature set은 UE-NR-Capabilities만 포함될 수 있다.
단말 capability가 구성되고 난 이후, 단말은 1e-10 단계에서 단말 capability가 포함된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capability를 기반으로 이후 해당 단말에게 적당한 스케쥴링 및 송수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f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지원하는 단말(예를 들어, Multi-USIM UE)이 하나의 USIM에 연관된 기지국과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를 유지한 채 다른 USIM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ulti-USIM 단말(1f-01)은 두 개 이상의 U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두 개의 USIM을 지원하는 Dual-USIM 단말을 고려하며,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Single-USIM 단말은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USIM에 연관된 기지국에 대해서만 신호(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와 달리, Multi-USIM(예를 들어, Dual-USIM) 단말은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USIM에 연관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또는 각 USIM에 연관된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도 1f를 참조하면, Multi-USIM 단말(1f-01)은 하나의 device에서 복수 개의 U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Multi-USIM 단말은 USIM 1에서 동작하는 경우 USIM 1 단말(1f-02), 또는 USIM 2에서 동작하는 경우 USIM 2 단말(1f-03)을 의미할 수 있다. 각 USIM과 연관된 기지국은 상기 Multi-USIM 단말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하지 않고, USIM 단말 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 1(1f-04)은 USIM 1 단말(1f-02)를 하나의 단말로 인식하며, 기지국 2(1f-05)은 USIM 2 단말(1f-03)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Multi-USIM 단말에서 USIM 1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그 Multi-USIM 단말은 USIM 1 단말로 칭하고, 상기 Multi-USIM 단말에서 USIM 2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그 Multi-USIM 단말은 USIM 2 단말로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Multi-USIM 단말은 USIM 1과 USIM 2 중 어떤 USIM 을 이용하는 지에 따라 USIM 1 단말 또는 USIM 2 단말이 될 수 있다.
1f-10 단계에서, USIM 1 단말(1f-02)은 기지국 1(1f-04)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반면에, 1f-10 단계에서,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과 RRC 연결을 설정하지 않아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1f-15 단계에서, USIM 1 단말(1f-02)은 기지국 1(1f-04)에게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UECapability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능력 정보 메시지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Multi USIM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을 유지하는 동작은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며,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 Multi-USIM을 지원한다는 지시자 또는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
USIM 1 단말(1f-02)이 기지국 1(1f-04)로부터 RRC 연결 모드를 벗어나서 USIM 2 단말(1f-03)로 스위칭하는 절차를 지원(support of switching procedure for leaving RRC_CONNECTED state)한다는 지시자 또는 정보 요소.
1f-20 단계에서, 기지국 1(1f-04)은 USIM1 단말(1f-02)이 Multi-USIM 동작을 위해 선호하는 또는 필요한 스위칭 갭(switching gap) 정보를 보고하라는 설정 정보(SwitchingGapReportingConfig)가 포함된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 또는 RRCResume 메시지 또는 신규 RRC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SwitchingGapReportingConfig 는 otherConfig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SwitchingGapReportingConfig 은 switching procedure without leaving RRC_CONNECTED state 와 연관된 설정 정보일 수 있다. 상기 SwitchingGapReportingConfig에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기지국 1(1f-04)은 USIM 1 단말(1f-02)이 기지국 1(1f-04)과 RRC 연결 모드를 유지한 채 선호하는 스위칭 갭 설정 정보를 전송해도 되는지 를 나타내는 지시자 또는 정보 요소(일 예로, SetupRelease)
● 신규 prohibit timer 값
■ 기지국 1(1f-04)은 상기 신규 prohibit timer 값을 USIM 1 단말(1f-02)에게 설정 또는 셋업한 경우, USIM 1 단말(1f-02)은 기지국 1(1f-04)에게 선호하는 스위칭 갭 설정 정보를 보내기 위한 절차를 개시할 때, 상기 신규 prohibit timer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구동하고, 선호하는 스위칭 갭 설정 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f-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1f-25 단계에서 USIM 2 단말(1f-03)은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동작은 USIM 2 단말(1f-03)이 기지국 2(1f-05)와 관련된 동작으로,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 동작 1: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과 RRC 연결 설립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지만, 기지국 2(1f-05)가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또는 수신을 통한 USIM 2 단말 내부 동작을 수행. 일 예로,
■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와 연관된 페이징 채널 또는 짧은 메시지 모니터링. 일 예로, USIM2 단말(1f-03)은 DRX(Discontinuous Reception) 사이클 마다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와 연관된 시스템 정보 변경 알림 수신하기 위한 모니터링. 일 예로, USIM2 단말(1f-03)은 DRX사이클 마다 페이징 기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USIM 2 단말(1f-03)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평가 절차. 일 예로, USIM 2 단말은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평가 절차의 일환으로 서빙 셀 또는 주변 셀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 USIM 2 단말(1f-03)이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절차
● 동작 2: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과 RRC 연결 설립 절차(RRC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RRC 연결 재개 절차(RRC connection resume procedure)를 수행하지 않지만, 기지국 2(1f-05)과 송수신을 수행하는 동작. 일 예로,
■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에게 또는 on-demand 방식으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on-demand 시스템 정보 요청
● 동작 3: RRC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과 RRC 연결 재개 절차를 수행하지만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하지 못하는 동작. 일 예로,
■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이 전송한 랜 페이징 메시지(RAN paging)을 수신하고, 수신한 랜 페이징 메시지에 USIM 2 단말(1f-03)을 지시하는 UE 식별자(I-RNTI)가 포함되어 있으나 USIM 1 단말(1f-02)이 기지국 1(1f-04)과 계속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여야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으로부터 수신한 랜 페이징 메시지에 응답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busy indication을 수납한 RRCResumeRequest/1 메시지를 기지국 2(1f-05)에게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busy indication은 resumeCause에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 2(1f-05)은 USIM 2 단말(1f-03)에게 RRCReject 또는 RRCReleas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동작 4: USIM 2 단말(1f-03)은 기지국 2(1f-05)과 RRC 연결을 설정 또는 재개 절차를 수행하여 RRC 연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는 동작(본 도면에서는 해당 동작을 고려하지 않는다). 일 예로,
■ USIM 2 단말(1f-03)이 Registration Update procedure 또는 RAN Notification Area Update 절차
상기 전술한 동작은 주기적인 동작일 수도 있고, 비주기적인 동작일 수도 있고 또는 일회성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1f-30 단계에서, USIM 2 단말(1f-03)은 RRC 유휴 모드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에서 1f-25 단계에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USIM 1 단말(1f-02)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1f-30 단계는 Multi-USIM 단말(1f-01)이 구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1f-35 단계에서, USIM 1 단말(1f-02)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선호하는 switching gap pattern에 대한 설정 정보(SwitchingGapConfigPreference)를 수납한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f-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UEAssistanceInformation 또는 신규 RRC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SIM 1 단말(1f-02)은 하기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할 경우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가 포함된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f-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 조건 1: 1f-20 단계에서 SwitchingGapReportingConfig가 설정된 이후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가 포함된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 조건 2: 현재 선호하는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가 가장 최근에 보냈던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와 다를 경우
● 조건 3: 현재 선호하는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SwitchingGapConfig 와 다를 경우
● 조건 4: 현재 선호하는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가 가장 최근에 보낸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와 다르면서 1f-20 단계에서 전술한 신규 prohibit timer 가 구동되지 않고 있는 경우
● 조건 5: 현재 선호하는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가 현재 설정되어 있는 SwitchingGapConfig와 다르면서, 1f-20 단계에서 전술한 신규 prohibit timer 가 구동되지 않고 있는 경우
한편, 1f-35 단계에서 USIM 1 단말(1f-02)은 1f-20 단계에서 설정된 신규 prohibit timer 값으로 신규 타이머를 (재)구동(start or restart)하고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가 포함된 소정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 1(1f-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는 전술한 실시 예의 측정 설정 정보(MeasConfig)와는 다른 설정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witchingGapConfigPreference는 전술한 실시 예의 MeasGapConfig와 아래와 같이 차이점이 있을 수 있다.
●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은 USIM 2 단말이 1f-30 단계에서 전술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USIM 1 단말(1f-02)이 기지국 1(1f-04)에게 전송하여 요청하는 스위칭 갭 설정 정보이다.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은 1f-25 단계에서 필요한 동작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선호하는 switching gap pattern이 포함될 수 있다.
● Switching gap repetition periodicity, switching gap length, switching gap timing advance 의 단위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ms 일 수도 있고 slot 단위 일 수도 있고 subframe 단위 일 수도 있다. Switching gap offset은 0부터 switching gap repetition periodicty - 1의 값 중 하나로 지시 될 수 있다.
1f-40 단계에서, 기지국 1(1f-04)은 1f-35 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USIM 1 단말(1f-02)이 요청한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에 기반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스위칭 갭 설정 정보(SwitchingGapConfig)가 담긴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RRCReconfiguration 또는 RRCResume 또는 신규 RRC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 1은 1f-40 단계에서 수신한 SwitchingGapConfigPreference 중 허용(또는 설정) 가능한 정보를 SwitchingGapConfig 에 포함 또는 일부 정보를 변경(delta)하여 SwitchingGapConfig 에 포함할 수 있다.
1f-45 단계에서, USIM 1 단말(1f-02)은 1f-40 단계에서 수신한 소정의 RRC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 1(1f-04)에게 소정의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정의 RRC 메시지는 RRCReconfigurationComplete 또는 RRCResumeComplete 또는 신규 RRC 메시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1f-50 단계에서 USIM 1 단말(1f-02)은 1f-40 단계에서 수신하고 적용한 SwitchingGapConfig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witching gap이 발생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 만약 SwitchingGapConfig가 셋업으로 설정된 경우:
● 만약 SwitchingGapConfig가 이미 셋업된 경우, 해당 SwitchingGapConfig를 해제할 수 있다;
● 1f-40 단계에서 수신한 SwitchingGapConfig에서 지시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witching gap pattern를 셋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스위칭 갭이 발생하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과 SNF은 하기 조건 1을 만족해야 한다(SFN는 PCell 또는 refServCellIndicator에서 지시된 셀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조건 1>
SFN mod T = FLOOR(switching gap offset/10);
subframe = switching gap offset mod 10;
with T = switching gap repetition periodicity/10 as defined in TS 38.133;
● 상기 조건을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에 대해 switching gap timing advance 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조건이 만족하여 발생하는 갭 시점에 대해 switching gap timing advance 에서 지시된 timing advance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갭 서브프레임 발생 시전보다 switching gap timing advance 만큼 빨리 측정을 시작할 수 있다.
● 상기 상수 값 10은 다른 상수 값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며, 또는 기지국 1(1f-04) 이 1f-40 단계에서 특정 값으로 설정하거나, USIM 1 단말(1f-02)이 1f-35 단계에서 요청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 상기 갭 서프프레임 발생부터 switching length 만큼 USIM 2 단말(1f-03)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SwitchingGapConfig에서 해제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gap pattern을 해제할 수 있다;
1f-50 단계에서 switching gap이 발생하는 경우, 1f-50 단계에서 USIM 2 단말(1f-03)은 switching gap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switching gap length 동안 전술한 1f-25 단계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USIM 1 단말(1f-02)은 기지국 1(1f-04)과 RRC 연결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도 1g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1로써, MUSIM 지원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를 지원하는 방법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특히 단말이 기지국에게 단말 능력을 전달할 때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를 유지하는 별도의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ulti-USIM 단말(1g-01)은 두 개 이상의 U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두 개의 USIM을 지원하는 Dual-USIM 단말을 고려하며,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Single-USIM 단말은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USIM에 연관된 기지국에 대해서만 신호(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와 달리, Multi-USIM(예를 들어, Dual-USIM) 단말은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USIM에 연관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거나, 또는 각 USIM에 연관된 기지국으로부터 동시에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도 1g를 참조하면, Multi-USIM 단말(1g-01)은 하나의 device에서 복수 개의 USIM을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Multi-USIM 단말은 USIM 1에서 동작하는 경우 USIM 1 단말(1g-02), 또는 USIM 2에서 동작하는 경우 USIM 2 단말(1g-03)을 의미할 수 있다. 각 USIM과 연관된 기지국은 상기 Multi-USIM 단말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하지 않고, USIM 단말 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 1(1g-04)은 USIM 1 단말(1g-02)를 하나의 단말로 인식하며, 기지국 2(1g-05)은 USIM 2 단말(1g-03)을 하나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Multi-USIM 단말에서 USIM 1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그 Multi-USIM 단말은 USIM 1 단말로 칭하고, 상기 Multi-USIM 단말에서 USIM 2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그 Multi-USIM 단말은 USIM 2 단말로 칭하기로 한다. 즉, 상기 Multi-USIM 단말은 USIM 1과 USIM 2 중 어떤 USIM 을 이용하는 지에 따라 USIM 1 단말 또는 USIM 2 단말이 될 수 있다. 이는 도 1h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1g-10 단계에서, USIM 1 단말(1g-02)은 기지국 1(1g-04)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반면에, 1g-10 단계에서, USIM 2 단말(1g-03)은 기지국 2(1g-05)과 RRC 연결을 설정하지 않아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1g-15 단계에서, 기지국 1(1g-04)은 USIM 1 단말(1g-02)에게 단말 능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해당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에는 적어도 RAT type 정보, 밴드 정보, 단말 능력의 restriction으로 적용되는 필터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1g-20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한 단말 능력 요청에 따라 단말 능력을 수납해서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1g-20 단계에서, 단말은 Multi-USIM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Dual connectivity(이하, DC로 명칭) 및 carrier aggregation(이하, CA로 명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해당 단말 능력을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DC 및 CA 를 지원하는 밴드 조합에서의 단말 능력 보고와 별개로 새로운 구조의 단말 능력을 추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동일 밴드 조합(band combination, BC)이더라도 기존의 DC 및 CA로 동작할 때의 단말 능력과, 해당 밴드 조합에서, Multi-USIM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 동작을 수행할 때의 단말 능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단말이 이를 구분해서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 조합이 N1N2(NR 밴드 1과 NR 밴드 2)일 경우에, 해당 단말에 대한 단말 능력은 해당 밴드 조합과 연관된 Featuresetcombination에서 지시될 수 있다. Multi-USIM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 동작을 수행할 때의 단말 능력은 새로운 featuresetcombination(e.g. FeaturesetcombinationMUSIM)을 도입해서 구성될 수 있다. 직관적으로 기존 N1N2 밴드 조합에서 특정 단말 능력을 가지지만, 해당 N1N2 밴드조합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네트워크와 RRC 연결 상태를 가지려면, 기존 단말 능력보다 줄어든 단말 능력을 가질 것이다. 즉, FeaturesetcombinationMUSIM은 Featuresetcombination의 subset 혹은 fallback capability set 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해당 단말 능력을 수신하여, 단말이 Multi-USIM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와 정확하게 어떤 능력으로 동작하는지 동시에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능력을 지원할 수 있다. 1g-25 단계에서, 기지국 1은 USIM 1 단말에게 단말 능력을 고려한 RRC 재설정을 전달할 수 있으며, 1g-25 단계에서 DC 또는 CA에 대한 설정과 동시에 단말 능력에 부합한 Multi-USIM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또는 CA 동작을 설정할 수 있음을 지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시 동작은 생략될 수 있고, 암시적으로 RRC 설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RRCReconfiguration 설정을 수신한 단말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1g-30).
1g-35 단계에서, 기지국 2(1g-05)는 USIM 2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 발생등의 이유로 페이징을 생성해서 전달할 수 있다. 즉, USIM 2 단말에게 RRC 연결 절차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1g-35 단계에서는 페이징 뿐만아니라, 1f-25에서 설명한 동작 1 내지 동작 4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1g-40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기지국 2로의 RRC 연결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MUSIM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1g-45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USIM 1 단말에게 기지국 2로의 RRC 연결을 시도할 것을 전달할 수 있다. 이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일 수도 있지만, 구현적으로 정해진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USIM 1 단말은 상기 절차를 통해 USIM 2 단말이 기지국 2로 RRC 연결을 시도할 것임을 알고, 기지국 1에게 이를 알리는 동시에 단말 능력의 변화로 인해 DC 및 CA 설정의 변경이 필요할 수 있음을 전달할 수 있다. 1g-50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 또는 새로운 상향링크 RRC 메시지를 통해 MUSIM 동작이 수행됨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1g-50 단계에서 MUSIM 동작이 시작됨을 나타내는 cause value가 전달될 수 있다. 1g-50 단계에서, 단말은 prohibit timer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prohibit timer의 실제 만료 값은 1g-25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다. 1g-55 단계에서, 기지국 1은 1g-5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지시자를 기반으로, 이후 단말에게 어떤 설정을 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RC 재설정을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대로 동작하는 밴드 조합에 대해 FeaturesetcombinationMUSIM을 반영해서 변경되는 설정을 전달할 수 있으며, 혹은 DC 및 CA 설정을 해제(release) 할 수도 있다. 1g-6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 1로부터 RRC 설정을 수신하고,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동작 중이던 prohibit timer를 중단하고,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 1에서는 DC가 유지되고 단말 능력을 반영한 RRC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1g-65)를 기술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1g-70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상기 1g-35 단계에서의 기지국 2로부터의 페이징에 대한 후속 동작으로써,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1g-75 단계에서, USIM 2 단말과 기지국 2는 RRC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1g-80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가 지시되어 RRC release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1g-85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기지국 2와의 RRC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USIM 1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는 USIM 1 단말이 해당 정보를 기지국 1에게 전달하여, 서비스 변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1g-90). 상기 1g-90 단계의 USIM 1 단말에서 기지국 1로의 지시는 새로운 RRC 메시지를 통해 수행되거나,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MAC CE가 도입되어 이를 지시할 수 있다. 1g-95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1은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새로운 RRC 메시지 이거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로 명시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암시적으로 RRC 재설정을 변경해서 전달되는 방법 중에 하나일 수 있다. 1g-100 단계에서, 기지국 1은 단말이 static UE capability(FeaturesetcombinationMUSIM이 적용되던 상황에서 Featuresetcombination이 적용되는 상황으로 바뀌었음)로 복구되었음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상기의 1g-90 단계와 같이 명시적으로 단말 능력 변경의 해제를 요청할 수도 있지만, 이 외에도 기지국이 단말의 일시적 능력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조건들은 동시에 적용되어 단말에게 적용될 수 있다.
1. 단말이 명시적으로 변경된 단말 능력의 해제(release)를 요청하는 경우
2. 단말이 새로운 temporary restriction 요청을 지시하는 경우(UEAssistanceInformation)
3. 단말이 RRC IDLE 혹은 RRC INACTIVE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
4. 별도의 타이머를 제공하여 단말의 변경된 단말 능력(FeaturesetcombinationMUSIM)의 유지 기간을 설정하고,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해당 타이머는 단말에게 전달하는 RRC reconfiguration 설정에 포함될 수 있음, 또한, 상황에 따라 복수 개의 타이머가 설정될 수 있음. 예를 들어, 일시적인 단말 능력 제한의 이유(cause value)가 다를 때 다른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고, RRC 연결상태, IDLE 상태, INACITVE 상태일 때의 단말 별로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음). 만약. 단말이 설정된 타이머 값의 연장을 요청하는 경우, UE Assistance Information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MAC CE 등과 같은 방법으로 단말이 연장하기 원하는 타이머가 요청될 수도 있다.
도 1h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 예 2로써, MUSIM 지원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를 지원하는 방법 2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특히 단말이 기지국에게 단말 능력을 전달할 때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를 유지하기 위해 기존의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절차에 추가로 기지국에게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h-10 단계에서, USIM 1 단말(1h-02)은 기지국 1(1h-04)과 RRC 연결을 설정하여 RRC 연결 모드(RRC_CONNECTED)에 있을 수 있다. 반면에, 1h-10 단계에서, USIM 2 단말(1h-03)은 기지국 2(1h-05)과 RRC 연결을 설정하지 않아 RRC 유휴 모드(RRC_IDLE) 또는 RRC 비활성화 모드(RRC_INACTIVE)에 있을 수 있다. 1h-15 단계에서, 기지국 1(1h-04)은 USIM 1 단말(1h-02)에게 단말 능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해당 UECapabilityEnquiry 메시지에는 적어도 RAT type 정보, 밴드 정보, 단말 능력의 restriction으로 적용되는 필터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1h-20 단계에서, 단말은 수신한 단말 능력 요청에 따라 단말 능력을 수납해서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1h-20 단계에서, 단말은 Multi-USIM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해당 단말 능력을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는 1bit 지시자일 수 있으며, 단말 별로 시그널링 되거나 밴드 및 밴드 조합별로 시그널링되어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 1과는 다르게, 단말 능력을 전달하는 절차에서는 지시자만 추가되며, 실제 MUSIM 동작이 수행될 때 일시적 단말 능력의 변경을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h-25 단계에서, 기지국 1은 USIM 1 단말에게 단말 능력을 고려한 RRC 재설정을 전달할 수 있으며, 1h-25 단계에서, DC 혹은 CA에 대한 설정과 동시에 단말 능력에 부합한 Multi-USIM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에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 동작을 설정할 수 있음을 지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시 동작은 생략될 수 있고, 암시적으로 RRC 설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1h-30 단계에서, RRCReconfiguration 설정을 수신한 단말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1h-35 단계에서, 기지국 2(1h-05)는 USIM 2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 발생등의 이유로 페이징을 생성해서 전달할 수 있다. 즉, USIM 2 단말에게 RRC 연결 절차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1h-35 단계는 페이징뿐만 아니라, 1f-25에서 설명한 동작 1 내지 동작 4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1h-40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기지국 2로의 RRC 연결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MUSIM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1h-45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USIM 1 단말에게 기지국 2로의 RRC 연결을 시도할 것을 전달할 수 있다.다. 이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일 수도 있지만, 구현적으로 정해진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USIM 1 단말은 상기 절차를 통해 USIM 2 단말이 기지국 2로 RRC 연결을 시도할 것임을 알고, 기지국 1에게 이를 알리는 동시에 단말 능력의 변화로 인해 DC 및 CA 설정의 변경이 필요할 수 있음을 전달할 수 있다. 1h-50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 또는 새로운 상향링크 RRC 메시지를 통해 MUSIM 동작이 수행됨을 지시하는 지시자 또는 1h-50 단계에서, MUSIM 동작이 시작됨을 나타내는 cause value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ause value와 더불어 단말이 일시적으로 변경되길 원하는 band 및 band combination 정보, 단말의 물리적인 기능 변경(component carrier 개수 변경, MIMO layer 개수 변경, 지원하는 밴드 및 CC 별 밴드위스 정보 변경, 지원 전력 변경, 주파수 영역(frequency range) 지원 변경 등) 등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1h-50 단계에서, 단말은 prohibit timer를 동작할 수 있다. prohibit timer의 실제 만료 값은 1h-25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다. 1h-55 단계에서, 기지국 1은 단말이 상기 1h-50 단계에서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 혹은 새로운 상향링크 RRC 메시지를 통해 요청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이후 단말에게 어떤 설정을 할지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RRC 재설정을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요청대로 동작하는 밴드 조합에 요청 정보를 반영해서 변경되는 설정을 전달할 수 있으며, 혹은 DC 및 CA 설정을 해제(release) 할 수도 있다. 1h-6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 1로부터 RRC 설정을 수신하고,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동작 중이던 prohibit timer를 중단하고,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 2에서는 DC가 유지되고 단말 능력을 반영한 RRC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1h-65)를 기술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1h-70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상기 1h-35 단계에서의 기지국 2로부터의 페이징에 대한 후속 동작으로써, RRC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1h-75 단계에서, USIM 2 단말과 기지국 2는 RRC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1h-80 단계에서, RRC 연결 해제가 지시되어 RRC release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1h-85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기지국 2와의 RRC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USIM 1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는 USIM 1 단말이 해당 정보를 기지국 1에게 전달하여, 서비스 변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1h-90). 상기 1h-90 단계의 USIM 1 단말에서 기지국 1로의 지시는 새로운 RRC 메시지를 통해 수행되거나,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시자 뿐만 아니라, 다시 변경되고자 하는 단말 능력에 대한 정보들이 수납되어 요청될 수 있다. 또는, 새로운 MAC CE가 도입되어 이를 지시할 수 있다. 1g-95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 1은 응답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새로운 RRC 메시지 이거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로 명시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암시적으로 RRC 재설정을 변경해서 전달되는 방법 중에 하나일 수 있다. 1h-100 단계에서, 기지국 1은 단말이 static UE capability(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이 적용되던 상황에서 원래의 Featuresetcombination이 적용되는 상황으로 바뀌었음)로 복구되었음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1h-90 단계와 같이 명시적으로 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의 해제를 요청할 수도 있지만, 이 외에도 기지국이 단말의 일시적 능력 변경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조건들은 동시에 적용되어 단말에게 적용될 수 있다.
1. 단말이 명시적으로 temporary restriction의 해제(release)를 요청하는 경우
2. 단말이 이전에 새로운 temporary restriction 요청을 지시하는 경우
3. 단말이 RRC IDLE 혹은 RRC INACTIVE 상태로 천이하는 경우
4. 별도의 타이머를 제공하여 단말의 temporary capability restriction의 유지 기간을 설정하고,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해당 타이머는 단말에게 전달하는 RRC reconfiguration 설정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타이머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시적인 단말 능력 제한의 이유(cause value)가 다를 때 다른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RRC 연결상태, IDLE 상태, INACITVE 상태일 때의 단말 별로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음). 만약 단말이 설정된 타이머 값의 연장을 요청하는 경우, UE Assistance Information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MAC CE 등과 같은 방법으로 단말이 연장하기 원하는 타이머를 요청할 수도 있다.
도 1i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MUSIM 지원 USIM 1 단말이 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을 요청하는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i를 참조하면, RRC 연결 상태의 USIM 1 단말은 1i-05 단계에서 단말 능력 보고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단말 능력을 수납해서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1i-05 단계에 대하여,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에서는 특징을 달리하며, 실시 예 1에서는 MUSIM을 통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DC 및 CA를 지원하는 구체적인 단말 능력 정보가 밴드 조합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실시 예 2에서는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지시자가 전달될 수 있다. 1i-1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RRC 설정을 수신하며, 이 메시지에는 기지국이 복수의 USIM 단말에 대한 두 개의 RRC 연결 지원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1i-15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USIM 2 단말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해야함을 인지할 수 있다. 1i-20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자신과 연결 상태인 기지국에게 MUSIM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을 알린다. 즉, 1i-20 단계에서, 단말은 실시 예 1에서는 지시자 혹은 cause value를 통해 암시적으로 단말 능력의 변경을 요청하고, 실시 예 2에서는 구체적인 변경 요청 정보들이 기지국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보가 전달되는 방식은 UEAssistanceInformation 메시지 혹은 새로운 RRC 메시지 혹은 새로운 MAC CE 일 수 있다. 1i-25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 설정을 수신하게 되며, 해당 설정에 DC 및 CA 설정이 유지 또는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이 달라질 수 있다. 1i-30 단계에서, RRC 설정에 DC 및 CA 설정이 포함된 경우, USIM 1 단말은 1i-35 단계에서 설정에 따라 DC 및 CA 동작을 적용하고, 변경된 RRC 설정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1i-40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USIM 2 단말이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해제가 수행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또는, 지시)가 수신되면 1i-45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자신과 연결상태인 기지국에게 USIM 2 단말이 RRC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1i-50 단계에서, USIM 1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답 메시지는 RRC 재설정 메시지 이거나 새로운 RRC 메시지 일 수 있다. 또는, USIM 1 단말은 USIM 2 단말이 연결되어 있던 네트워크와의 RRC 연결 해제가 수행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1i-55 단계에서, 이전 설정을 유지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1i-30 단계에서, RRC 설정에 DC 및 CA 설정이 해제된 경우, 단말은 설정에 따라 DC 및 CA를 해제(release)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도 1j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IDLE 혹은 INACTIVE 상태의 USIM 2 단말이 MUSIM 동작을 수행할 때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RRC IDLE 상태 또는 RRC INACTIVE 상태의 USIM 2 단말은 1j-05 단게에서 camp on한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을 수신하여 RRC 연결 절차를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1j-10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USIM 1 단말에게 MUSIM 동작이 필요함을 지시할 수 있다. 즉, 새로운 네트워크에 연결이 필요함을 알린다. 이후 특정 시간이 지난 이후 혹은 USIM 1 단말로부터 confirm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 해당 네트워크와 RRC 연결 절차를 수립할 수 있다(1j-15). 1j-20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RRC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RRC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1j-25 단계에서 RRC 연결을 해제하고, 1j-30 단계에서 USIM 1 단말에게 이를 알린다. 한편, RRC release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즉, 현재 기지국과 RRC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1j-35 단계에서 USIM 2 단말은 RRC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k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MUSIM 동작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1k-05 단계에서, RRC 연결 상태의 단말로부터 단말 능력을 수신할 수 있다. 1k-10 단계에서, 기지국은 수신한 단말 능력을 통해 해당 단말이 MUSIM 동작을 지원하는 단말이며, 두 개의 RRC 연결 상태에서 DC 및 CA 동작이 가능한지 여부(실시 예 2)와 해당 상황에서의 구체적인 단말 능력 정보를 수신(실시 예 1 또는 실시 예 2) 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에서 DC 및 CA 동작이 가능한 경우, 기지국은 1k-15 단계에서 단말 능력을 고려한 설정을 단말에 전달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RRC 설정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상기 설정을 전달해줄 수 있다. 또한, 해당 RRC 설정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에서 DC 및 CA 동작을 유지하는 기능을 지원한다는 정보를 단말에 전달할 수도 있다. 1k-20 단계에서, 기지국은 연결된 단말과 MUSIM으로 동작하는 단말이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 절차를 시도할 것에 대한 정보로써 이를 지시하는 지시자(실시 예 1) 혹은 일시적 단말 능력 변경 요청(실시 예 2)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후 1k-25 단계에서, 기지국은 현재 RRC 연결 상태의 단말에 대해 DC 및 CA 동작을 유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DC 및 CA 동작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면, 1k-30 단계에서 기지국은 보고된 단말 능력 및 단말의 요청 정보에 따라 단말의 DC 및 CA 설정을 유지하고, RRC 재설정을 전달할 수 있다. 만약, DC 및 CA 동작을 유지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면, 연결 상태의 단말에 대한 DC 및 CA 설정을 해제(release)하여 RRC 설정을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1k-10 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능력에서 단말이 두 개의 RRC 연결 상태에서 DC 및 CA 동작이 가능하지 않다면, MUSIM 동작 시에 DC 및 CA 설정이 동시에 설정되지 않도록 하여, RRC 설정(또는, 재설정)을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l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l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1l-05), 제어부(1l-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l-15),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1l-20, 1l-25), 제어 메시지 처리부(1l-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1l-05)는 서빙 셀의 순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l-05)는 상기 다수의 서빙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l-15)는 상위 계층 처리부(1l-20, 1l-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l-3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l-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l-20, 1l-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l-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l-3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제어메시지를 송수신하여 필요한 동작을 취한다. 여기에는 RRC 메시지 및 MAC CE와 같은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CBR 측정값의 보고 및 자원 풀과 단말 동작에 대한 RRC 메시지 수신을 포함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l-20, 1l-25)는 DRB 장치를 의미하며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l-15)로 전달하거나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l-1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l-10)는 송수신부(1l-05)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 예를 들어, 역방향 그랜트들을 확인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전송 자원으로 역방향 전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1l-05)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l-15)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말이 복수 개의 블록들로 구성되고 각 블록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1l-15)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1l-1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m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m의 기지국 장치는 송수신부(1m-05), 제어부(1m-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m-20), 제어 메시지 처리부(1m-35),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1m-25, 1m-30), 스케줄러(1m-1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m-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m-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m-20)는 상위 계층 처리부(1m-25, 1m-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m-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m-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m-25, 1m-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m-35), 혹은 제어부(1m-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m-35)는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단말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m-25, 1m-30)는 단말 별 서비스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FTP나 VoIP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m-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m-20)로부터 전달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스케줄러(1m-15)는 단말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및 단말의 Active Time 등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에게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은 본 개시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실시예에 포함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957A KR20230061075A (ko) | 2021-10-28 | 2021-10-28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심을 가진 단말의 단말 능력 협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PCT/KR2022/016537 WO2023075436A1 (ko) | 2021-10-28 | 2022-10-27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심을 가진 단말의 단말 능력 협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EP22887631.4A EP4408119A1 (en) | 2021-10-28 | 2022-10-27 |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user equipment capability of user equipment having plurality of usims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957A KR20230061075A (ko) | 2021-10-28 | 2021-10-28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심을 가진 단말의 단말 능력 협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1075A true KR20230061075A (ko) | 2023-05-08 |
Family
ID=8615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5957A KR20230061075A (ko) | 2021-10-28 | 2021-10-28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심을 가진 단말의 단말 능력 협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4408119A1 (ko) |
KR (1) | KR20230061075A (ko) |
WO (1) | WO2023075436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7802B1 (ko) * | 2014-05-28 | 2020-11-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심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방법 |
EP4070621A1 (en) * | 2019-12-05 | 2022-10-12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and paging for user equipment with multip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s |
KR20220124256A (ko) * | 2020-01-21 | 2022-09-13 | 에프쥐 이노베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 멀티-sim 동작을 위한 사용자 장비 및 방법 |
KR20210098845A (ko) * | 2020-01-31 | 2021-08-11 | 주식회사 케이티 | 복수의 유심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2021
- 2021-10-28 KR KR1020210145957A patent/KR20230061075A/ko unknown
-
2022
- 2022-10-27 WO PCT/KR2022/016537 patent/WO202307543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10-27 EP EP22887631.4A patent/EP4408119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408119A1 (en) | 2024-07-31 |
WO2023075436A1 (ko)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31333B1 (en) | Structure of MAC sub-header for supporting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2697393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종류에 따른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 |
EP398266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processing sdap control pdu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155816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operating dormant bandwidth part in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119099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selected PLMN of RRC-inactive mode UE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 |
KR102276116B1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dcp와 rlc 헤더 포맷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658886B1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 능력 절차 수행 방법 및 장치 | |
US1157061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apability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412077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bandwidth part switching in consideration of dormant bandwidth part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183879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DCP device and SDAP devic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19003616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3002582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imer related to segmentation transmission of rrc messag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3826413A (zh) | 测量无线通信系统中的频率的方法和装置 | |
KR20240117069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의 단말이 셀 재선택시 측정할 셀 리스트를 갱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4025145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ser data through random access response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00094046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US2023004705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for multi-usim u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00087059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EP4145952A1 (en) | Bearer structure for supporting multicast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upporting method and device | |
US2022039479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egmenting downlink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30061075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유심을 가진 단말의 단말 능력 협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180134725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lc um 모드를 지원하는 동작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
KR20220134365A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숏-타임 스위칭 갭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30053471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 없이 셀 그룹을 활성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20230105431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그룹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지원하는 rrc 메시지의 설정 또는 전송 방법 및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