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912A -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 Google Patents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912A
KR20230060912A KR1020210145633A KR20210145633A KR20230060912A KR 20230060912 A KR20230060912 A KR 20230060912A KR 1020210145633 A KR1020210145633 A KR 1020210145633A KR 20210145633 A KR20210145633 A KR 20210145633A KR 20230060912 A KR20230060912 A KR 2023006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ring
fallen
ring
hook
fallen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riority to KR1020210145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912A/en
Priority to PCT/KR2022/016599 priority patent/WO2023075459A1/en
Publication of KR2023006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9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링을 구비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중심링;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고정부재;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활대; 상기 활대에 지지된 깔대기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하여 상기 중심링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상부 포집망; 및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상기 중심링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포집망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하부 포집망;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having a central ring, which is very stably mounted on a street tree while minimizing damage to a street tree so that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generated from a roadside tree can be smoothly collected. A center ring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at a distance and allows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o pass inward; a fixing member fixed to an upper end of a body or a part of a stem of a roadside tree and supporting the center ring so that it does not fall;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ring and inclined upward in an outward direction while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center ring; an upper collection net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supported on the rod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of roadside trees and guide them to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And a lower collection net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while wrapping the body of a roadside tree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guiding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hat fall through the center ring after being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on network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roadside tree; include

Description

중심링을 구비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본 발명은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o-friendly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generated from street trees by being very stably mounted on roadside trees while minimizing damage to roadside trees. .

일반적으로 가로수는 도시의 미관과 위생을 위하여 인도 또는 차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은 나무를 일컫는다. 가로수를 심는 주된 목적은 가로에 자연의 풍취를 주고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는 데 있다. 가로수는 이밖에도 공기를 맑게 하고 온도를 조절하는 등 미관과 보건위생 효과 등을 주고 있다. In general, street trees refer to trees plan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sidewalks or roads for the aesthetics and hygiene of cities. The main purpose of planting street trees is to give the street a natural flavor and provide shade in the summer. Street trees also provide aesthetic and health effects such as purifying the air and controlling temperature.

이에 따라 가로수로 식재되는 나무들은 각종 공해에 강해야 하며, 여름에는 잎이 많고 겨울에는 해를 가리지 않는 낙엽수여야 하고, 수형이 아름다워야 하는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이같은 가로수로는 플라타너스, 은행나무, 버드나무, 미루나무, 이탈리아포플러, 벚나무, 아카시아, 벽오동 등이 적합해 많이 식재되고 있다.Accordingly, trees planted as roadside trees must be resistant to various types of pollution, have many leaves in summer, must be deciduous trees that do not cover the sun in winter, and have beautiful tree shapes. Plana trees, ginkgo trees, willows, poplars, Italian poplars, cherry trees, acacias, and paulownia trees are suitable for such roadside trees, and are planted in abundance.

하지만, 가을철이 되면 가로수로부터 발생한 낙엽이나 낙과로 인해 도시 미관을 헤치고 사람들의 통행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고는 하는데, 특히 은행나무의 경우 열매 특유의 고약한 냄새와 쉽게 터져버리는 특성으로 인해 매우 골칫거리였다. However, in autumn,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from roadside trees disrupt the urban aesthetics and hinder people's pass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ginkgo trees, they are very troublesome due to their characteristic nasty smell and easy bursting. .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842호(2011.03.23.)에는 그물망에 의해 은행 낙과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은행 낙과 수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2842 (March 23, 2011) discloses a bank dropping fruit collection device that can collect bank falling fruit by a net.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은행 낙과 수거장치의 경우 하부살의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고정대가 나무 몸체를 압박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나무 몸체에 손상을 주는 것은 물론, 나무 몸체의 두께와 형태가 조금만 달라져도 장착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bank falling frui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fixing rod provided for fixing the lower flesh is mounted by pressing the tree body, it not only damages the tree body,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mount even if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tree body is slightly changed. There was a problem.

또한 고정대의 살고정부에 하부살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살은 또다시 하부살에 대하여 관절형태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성의 경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고장날 가능성이 높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wer ribs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ribs of the fixing table and the upper ribs are combined so as to be tiltable in the form of a joint with respect to the lower ribs, the production cost is high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is high.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842호(2011.03.23.)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2842 (2011.03.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damage to street trees while being very stably mounted on street trees to smoothly collect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generated from street trees. It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는,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중심링;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고정부재;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활대; 상기 활대에 지지된 깔대기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하여 상기 중심링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상부 포집망; 및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상기 중심링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포집망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하부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ring that allows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o pass inward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a street tree at a distance; a fixing member fixed to an upper end of a body or a part of a stem of a roadside tree and supporting the center ring so that it does not fall;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ring and inclined upward in an outward direction while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center ring; an upper collection net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supported on the rod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of roadside trees and guide them to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And a lower collection net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while wrapping the body of a roadside tree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guiding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hat fall through the center ring after being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on network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roadside tree; It is characterized by its technical configuration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둘레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상기 활대의 하단부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고 있는 돌기 형상의 포켓부재가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에서 절개부에 대응하도록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od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a cutout is formed in a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o have the fixing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ocket member having the fixing groove is bonded to correspond to the cutout inside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또한, 상기 중심링에서 절개부는 중심링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재는 상기 중심링의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out in the center ring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pocket member may be joined in a downwardly inclined protruding form towards the center of the center ring.

또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너트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선단부가 가로수 몸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한 장볼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중심링이 편심하중의 작용으로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갖는 경우 상기 장볼트에 의해 보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nu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and a long bolt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o the inside by screwing with the nut so that the tip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street tree. , When the center ring has a tendency to tilt to one side due to the action of an eccentric loa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inforced and supported by the long bolt.

또한, 상기 중심링의 본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포집망과 하부 포집망을 고리로 걸어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가 부분 절개된 후 절개된 부위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hooks and lower hooks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o hook and support the upper and lower collection nets,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hooks are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ed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fter partial incision.

또한, 상기 상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하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상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ㄴ자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hook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by bending the head secondarily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ok is first bent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lower hook is first bent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is secondarily bent upward in the bent state to form an L-shaped cross section.

또한, 상기 상부 걸이의 머리부와 상기 하부 걸이의 머리부는 각각 역 T자 형상 및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d of the upper hanger and the head of the lower hang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and a T-shap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중심링은 띠형상의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한 쌍의 반본체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er r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alf bodies manufactured by bending a strip-shaped steel plate are fasten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belt fixed in a state wrapped around a body or a part of the stem of a roadside tree.

또한, 상단부에는 제1걸이를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제1고리를 구비한 제1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이부재의 제1걸이를 상기 고정부재에 걸어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고리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 구비된 상부 걸이를 걸어주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cluding a first hook member having a first hook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hook at the lower end, the first hook of the first hook member is hung on the fixing member and supported by the first hook.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supports the center ring so that it does not fall by hanging the upper hook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또한, 상기 중심링의 상측으로 이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부 보조링;In addition, an upper auxiliary ring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ring;

일단부가 상기 상부 보조링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활대에 연결되어 상기 활대가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복수의 처짐방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agging prevention wir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d so that the rod does not droop.

또한, 탄성 소재의 관체로 구비된 탄성보강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가 상기 탄성보강관의 내부 중공을 따라 관통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합체된 처짐방지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reinforcing pipe provided as a tubular body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sagging prevention wire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and is installed as a deflection prevention device combined in a module form. .

또한,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중심링 및 활대와의 연결을 위한 단부 고리 또는 비너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end rings or biners for connection with the center ring and the rod may be further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wire,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는 가로수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중심링을 중심으로 상부 포집망과 하부 포집망을 설치하여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collect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generated from street trees by installing an upper collection net and a lower collection net around a central ring stably mounted on a street tree.

또한, 본 발명은 가로수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주변 환경과 미관을 해치지 않기 때문에 식물복지를 위한 최상의 제품이 될 수 잇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he best product for plant welfare because it does not damag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esthetics without damaging street trees.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하고 해체 과정에서 부품의 손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재활용까지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re very simple without using expensive parts, and since there is little damage to parts during the disassembly process,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and even recycling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주요 부위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중심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반본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중심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중심링과 처짐방지대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처짐방지대의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제1걸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제2걸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 is a use state diagram of a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in a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er ring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er ring composed of a pair of half bodies in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enter ring and a deflection prevention bar in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member of a deflection prevention bar in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hanging member in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hanging member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than actu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주요 부위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평면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는 중심링(110), 활대(120), 상부 포집망(130), 고정부재(140), 상부 보조링(150), 처짐방지대(160), 보조띠(170), 하부 포집망(180), 수거자루(19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ring 110, a rod 120, an upper collection net 130, a fixing member 140, an upper auxiliary ring 150, a deflection It includes the prevention bar 160, the auxiliary belt 170, the lower collection net 180, and the collection bag 190 as main components. And it is configured to smoothly collect fallen leaves.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중심링(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활대(120)와 상부 포집망(130), 하부 포집망(180) 등 다른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enter ring 110 is the most essential component of the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and is installed to allow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 to pass inward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a street tree at a distance. It serves to stably support most of th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rod 120, the upper collection network 130, and the lower collection network 180.

이를 위해 상기 중심링(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링(110)의 본체(111)에 상기 활대(120)의 하단부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홈(112a)이 둘레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12a)을 구비하기 위하여 중심링(110)의 본체(111) 상단부 일부에 절개부(111a)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112a)을 구비하고 있는 돌기 형상의 포켓부재(112)를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에서 절개부(111a)에 대응하도록 접합시켜 준다. 이때 상기 포켓부재(112)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중심링(110)의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접합되어 설치된다. 이처럼 활대(120)를 지지하기 위해 단순히 구멍이나 홈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활대(12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포켓부재(112)를 설치함으로써 활대(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물론 중심링(110)이 가로수 몸체의 어느 한 편으로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center ring 110 has a fixing groove 112a on the circumferenc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od 120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It is provided at a distance in the direction. Here, in order to have the fixing groove 112a, a cutout 111a is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the protruding pocket member 112 having the fixing groove 112a is provided. ) is bond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to correspond to the cutout 111a. At this time, the pocket member 112 is install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is bonded and installed in a downwardly inclined protruding form toward the center of the center ring 110. In this way, a hole or groove is not simply formed to support the rod 120, but by installing a pocket member 112 capable of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rod 120, the rod 120 is supported more stab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er ring 110 from being excessively biased to either side of the body of a street tree.

상기 중심링(110)의 본체(111)의 일측 하단부에는 복수의 너트(116)가 설치되며, 너트(116)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중심링(110)의 본체(111)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선단부가 가로수 몸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한 장볼트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중심링(110)이 편심하중의 작용으로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갖는 경우 상기 장볼트에 의해 보강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로를 지나다니는 차량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활대(120)와 상부 포집망(130)을 온전한 컵형 또는 깔때기 형태가 아닌 반컵형으로 설치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A plurality of nuts 116 are installed at one lower end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protrud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by screwing with the nuts 116. It is installed so that one bolt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so that the front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street tre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enter ring 110 has a tendency to tilt to one side due to the action of an eccentric load, it can be reinforced and supported by the long bolt. Such a configuration is useful when the rod 120 and the upper collection net 130 are installed in a half cup shape rather than a full cup shape or funnel shape for the purpose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vehicles passing on the road.

상기 중심링(110)의 본체(111)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포집망(130)과 하부 포집망(180)을 고리로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걸이(113)와 하부 걸이(1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부 걸이(113)와 하부 걸이(114)는 별개의 개체로 구비되는 것보다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일부가 부분 절개된 후 절개된 부위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걸이(113)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하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걸이(114)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상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ㄴ자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걸이(113)의 머리부와 하부 걸이(114)의 머리부는 각각 역 T자 형상 및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포집망(130)과 하부 포집망(180) 각각의 고리를 걸었을 때 작은 움직임에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면에 따르면 중심링(110)의 본체(111)가 원형의 링으로 형성되지 않고 활대(120)의 설치 개수를 고려한 팔각형 링으로 형성되었으며 각 면에 상부 걸이(113)가 3개, 하부 걸이(114)가 2개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중심링(110)의 본체(111) 각 면에 구비된 상부 걸이(113) 3개 중 양편의 2개는 상부 포집망(130)의 고리를 걸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가운데 1개는 제1걸이부재(W1)의 제1고리(172b)를 걸어주어 고정부재(140)에 중심링(110)을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A plurality of upper hooks 113 and lower hooks 114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to hang and support the upper collecting net 130 and the lower collecting net 180 in rings, respectively. are provided Here, the upper hanger 113 and the lower hanger 114 are preferably formed by partially cutting a portion of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then bending the cut portion, rather than being provided as separate entities. The upper hanger 113 is formed into a cross section by bending the head secondarily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first bent to protrude into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the lower hanger 114 is the center ring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1 of the body 110 is primarily bent to protrude into the inside, the head is secondarily bent upward to form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the head of the upper hanger 113 and the head of the lower hanger 114 are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and a T-shape, respectively, when the upper collection net 130 and the lower collection net 180 are each hooked. Make sure not to deviate from small movements.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is not formed as a circular ring, but is formed as an octagonal ring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rod 120, and there are three upper hangers 113 on each side and a lower hanger ( 114) is shown as being provided with two. Of the three upper hooks 113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two on both sides are for the purpose of hanging the hook of the upper collection net 130, and one in the middle is the first hook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central ring 110 to the fixing member 140 by hanging the first ring 172b of the member W1.

상기 중심링(11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띠형상의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한 쌍의 반본체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반본체의 단부에는 서로 겹친 상태에서 볼트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공(111b)이 형성된다. 이로써 현장에서 중심링(110) 반본체 한 쌍을 가로수 몸체를 중심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6, the center ring 110 is formed by fastening a pair of half bodies manufactured by bending a strip-shaped steel plate. A bolt hole 111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alf body so that the bolt can be fastened in an overlapping stat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asten a pair of half bodies of center rings 110 around the body of a street tree in the field.

상기 활대(120)는 상부 포집망(1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링(110)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110)의 고정홈(112a)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활대(120)는 휘지 않고 상부 포집망(130)의 무게를 감당하여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며 8개 정도가 중심링(110)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것이 적당하다. 단, 상기 활대(120)의 설치 개수는 설치규모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The rod 120 is for supporting the upper collection net 130 and is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center ring 110, but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2a of the center ring 110 and is fixed to the outer side. It is installed obliquely in the direction The rod 120 is provided with sufficient strength to bear and support the weight of the upper collection net 130 without bending, and it is appropriate that about 8 are installed around the center ring 110. However, the installation number of the rods 12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cale.

상기 상부 포집망(130)은 활대(120)에 지지된 깔대기 또는 컵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한 후 포집된 낙엽 또는 낙과를 중심링(1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안내된 낙엽 및 낙과는 중심링(110)의 하측으로 설치된 하부 포집망(180)을 따라 수거자루(190)까지 이동하여 모아진다. The upper collecting net 13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or cup supported by the rod 120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of roadside trees and then serves to guide the collected leaves or fallen fruits to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110. . Fallen leaves and fallen leaves guided in this way move to the collection bag 190 along the lower collection net 180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110 and are collected.

상기 고정부재(140)는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110)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가로수 몸체 또는 줄기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자동바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바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것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라쳇과 벨트로 이루어진 자동바를 사용하게 되면 현장에서 벨트를 간단히 조여주는 것만으로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를 감싼 상태고 고정할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member 140 is fixed while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or a part of the stem of a roadside tree, and serves to support the center ring 110 from the upper side so that it does not fall.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member 140 is provided automatically so that it can be fixed in response to various shapes of the body or stem of a roadside tree. The automatic bar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can be purchased and used. If an automatic bar consisting of a ratchet and a belt is used, the body or stem of a roadside tree can be wrapped around and fixed by simply tightening the belt on site.

상기 고정부재(140)에 대하여 중심링(110)이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1걸이부재(W1)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에 제1걸이(141a)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제1고리(142b)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1걸이(141a)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40)에 간단히 걸어줄 수 있으며, 제1고리(142b)를 이용하여 중심링(110)의 상부 걸이(113)를 걸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걸이부재(W1)는 상단부에 제1걸이(141a)를 구비한 제1상부부재(141)와 하단부에 제1고리(142b)를 구비한 제1하부부재(142)가 결합된 링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부재(141)와 제1하부부재(142)는 서로 간에 꺾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하단부와 상단부에 연결고리(171b,172a)를 구비하여 서로 꿰어지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9, the first hook member W1 provided to support the central ring 110 so as not to fall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140 has a first hook 141a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hook 141a at the lower end. 1 ring 142b is provid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imply hang on the fixing member 140 using the first hook 141a, and to hang and support the upper hook 113 of the center ring 110 using the first hook 142b. The first hook member W1 is a link in which a first upper member 141 having a first hook 141a at an upper end and a first lower member 142 having a first hook 142b at a lower end are combined.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e first upper member 141 and the first lower member 142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rings 171b and 172a at the lower and upper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bending mo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between them, so that they are threaded with each other.

상기 제1걸이부재(W1)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자동바의 벨트에 둘레방향을 따라 꽂을 수 있도록 일반적인 커튼 핀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소재를 적용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걸어 준 상태에서 중심링(110)의 상부 걸이(113)에 걸어줄 수 있는 링 형상의 끈이 조합된 형태로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hanging member (W1) is not provided in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 but is formed in the form of a general curtain pin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belt of the automatic ba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a fixing pin to which a relatively high strength material is applied. And, a ring-shaped string that can be hung on the upper hook 113 of the center ring 110 in a state of hanging on the fixing pin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in a combined form.

상기 상부 보조링(150)은 보조띠(17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중심링(110)의 상측으로 이격을 두고 위치하며, 중앙에서 복수의 처짐방지대(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보조링(150)은 간단히 원형의 금속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링(150)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코일스프링을 링 형태로 구부린 다음 양단부를 체결한 것이다. 이처럼 상부 보조링(150)을 링 형태로 구부린 코일스프링으로 구비하게 되면 현장에서 코일스프링을 간단히 구부려서 가로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싸도록 할 수 있어서 설치가 간편해지며, 처짐방지 와이어(161)를 각방향으로 연결하기도 더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ring 11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auxiliary belt 170, and serves to support a plurality of deflection prevention bars 160 in the center.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may be simply provided as a circular metal ring. A more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to bend the coil spring into a ring shape and then fasten both ends. In this way, when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provided with a coil spring bent in a ring shape, the coil spring can be simply bent in the field to wrap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a street tree, which simplifies installation, and the deflection prevention wire 161 can be moved in each direc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to connect to.

상기 처짐방지대(160)는 중심링(110)을 중심으로 설치된 활대(120)들이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처짐방지대(1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처짐방지 와이어(161)와 탄성보강관(162) 그리고 양단부에 설치된 단부 고리들을 하나의 모듈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161)는 일단부가 상부 보조링(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활대(120)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활대(120)를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준다.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상부 보조링(150)과 활대(120)에 간단히 거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는 단부 고리들이 설치된다.The sagging prevention bar 160 serves to hold and support the rods 120 installed around the center ring 110 so that they do not sag.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sagging prevention bar 160 is composed of a sagging prevention wire 161, an elastic reinforcing tube 162, and end rings installed at both ends as one module.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bow 120 to hold the bow 120 from sagging.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end ring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and the bow bar 120 in a simple hanging form are installed.

이같은 단부 고리들 중 상부 보조링(150) 쪽의 단부 고리는 상부 보조링(150)에 대하여 쉽게 걸 수 있으면서도 걸어서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 8에 상세히 도시된 독창적인 형태의 교차연결부재(163)로 구비된다. 상기 교차연결부재(163)는, 일자형의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되며, 일자형의 강선 본체부(163a)와, 상기 강선 본체부(163a)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1절곡부(163c)와, 상기 제1절곡부(163c)의 선단부에서 강선 본체부(163a)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2절곡부(163d)와, 상기 제2절곡부(163d)의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163a)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2절곡부(163d)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150)의 인입을 위한 인입부(163h)를 형성하고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 제1절곡부(163c) 및 제2절곡부(163d)와 함께 상기 상부 보조링(150)을 교차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수용부(163g)를 형성하는 제3절곡부(163e)와, 상기 제3절곡부(163e)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163d)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3절곡부(163e)와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150)의 인출을 위한 인출부(163i)를 형성하는 제4절곡부(163f)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된다. 일자형의 강선 본체부(163a) 후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말린 꼬리부(163b)가 형성되어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같은 교차연결부재(163)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 보조링(150)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할 때에만 상부 보조링(150)이 인입부(163h)를 통과하여 수용부(163g)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부 보조링(150)이 상기 수용부(163g)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반대로 상부 보조링(150)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할 때에만 인출부(163i)를 통과하여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말려 있는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단부를 구속하는 동시에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탄성보강관(162) 내부 중공을 따라 빠져나가 이탈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이탈방지체(164)가 설치된다. 상기 단부 고리를 대체하여 비너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mong these end rings, the end ring on the side of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an ingenious cross-connection member shown in detail in FIG. (163). The cross connection member 163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straight steel wire, and the straight steel wire main body 163a is bent at an angle so as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steel wire main body 163a at the front end of the steel wire main body 163a. A first bent portion 163c formed by being formed, a second bent portion 163d formed by bending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63c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eel wire body portion 163a, and the second bent portion ( 163d) is bent toward the steel wire body portion 163a at the front end portion, but is bent obliquely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bent portion 163d, so tha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inserted between the steel wire body portion 163a. An inlet portion 163h is formed to form a ring shape so tha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can be crossed and walked together with the steel wire body portion 163a, the first bent portion 163c,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63d. A third bent part 163e forming the accommodating part 163g, and bent from the front end of the third bent part 163e toward the second bent part 163d, but the third bent part 163e and It is manufactured to be made of a fourth bent part 163f that is bent obliquely to form a right angle and forms a drawing part 163i for withdrawing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between the steel wire body part 163a. A loop-shaped tail portion 163b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traight wire body portion 163a to be coupled with one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ross-connecting member 163,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can pass through the inlet part 163h and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63g only when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63g, on the contrary, only when a certain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t can pass through the drawing part 163i and be separate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restrain the end of the rolled sagging prevention wire 161, and at the same tim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cover the inner hollow of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162. A detachment prevention body 164 is installed to prevent escape from escaping along the way.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biner in place of the end ring.

상기 탄성보강관(162)은 FRP와 같은 탄성 소재의 관체로 구비되며, 처짐방지 와이어(161)가 탄성보강관(162)의 내부 중공을 따라 관통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합체된다. 이처럼 처짐방지 와이어(161)만 단독으로 설치되어 활대(12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지 않고 처짐방지 와이어(161)와 탄성보강관(162)이 하나의 모듈 형태로 처짐방지대(160)를 형성하게 되면 현장에서 상부 보조링(150)과 활대(120)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며, 활대(120) 및 상부 포집망(130)이 바깥쪽이나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활대(120)와 상부 포집망(130)이 안쪽으로 순간 변형되면서 붕괴되는 문제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lastic reinforcement pipe 162 is provided as a tubular body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FRP, and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penetrates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elastic reinforcement pipe 162 and is combined into one module. As such,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and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162 form the sagging prevention bar 160 in the form of a single module, rather than preventing sagging of the bow 120 by installing only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alone. This makes it very easy to connec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and the rod 120 in the field, and prevents the rod 120 and the upper collection net 130 from sagging outward or downward, as well as wind There is an advantage in effectively preventing the problem of collapsing while the rod 120 and the upper collection net 130 are momentarily deformed inward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like.

상기 보조띠(170)는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 보조링(150)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띠(170)는 고정부재(140)와 마찬가지로 가로수 몸체 또는 줄기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자동바로 구비될 수 있다. 단, 상부 보조링(150)의 경우 처짐방지 와이어(161)에 의해 이미 지지된 상태이므로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별도의 지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보조띠(170)의 경우 대부분의 상황에서 필요하지 않지만 장치의 설치규모가 비대하게 커지는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상부 보조링(150)을 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auxiliary belt 170 is fixed while wrapping the body or a part of the stem of a roadside tree, and serves to suppor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from the upper side so that it does not fall. Like the fixing member 140, the auxiliary belt 170 may be provided automatically so as to correspond to various shapes of the body or stem of a roadside tree. However, since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already supported by the sagging prevention wire 161, no additional support is required in most situation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uxiliary strap 170, it is not necessary in most situations, but can be selectively used to suppor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an excessively large installation scale of the device.

상기 보조띠(17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보조띠(170)에 대하여 상부 보조링(150)이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제2걸이부재(W3)가 설치된다. 상기 제2걸이부재(W3)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에 제2걸이(171a)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제2고리(172b)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2걸이(171a)를 이용하여 보조띠(170)에 간단히 걸어줄 수 있으며, 제2고리(172b)를 이용하여 상부 보조링(150)을 걸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걸이부재(W3)는 상단부에 제2걸이(171a)를 구비한 제2상부부재(171)와 하단부에 제2고리(172b)를 구비한 제2하부부재(172)가 결합된 링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부재(171)와 제2하부부재(172)는 서로 간에 꺾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하단부와 상단부에 연결고리(1712b,172a)를 구비하여 서로 꿰어지도록 한다. When the auxiliary belt 170 is installed, a second hook member W3 is installed to suppor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so that it does not fall down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belt 170 .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hook member W3 includes a second hook 171a at an upper end and a second hook 172b at a lower e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imply hang on the auxiliary belt 170 using the second hook 171a, and to hang and suppor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using the second hook 172b. The second hook member W3 is a link in which a second upper member 171 having a second hook 171a at an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member 172 having a second hook 172b at a lower end are combined.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e second upper member 171 and the second lower member 172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rings 1712b and 172a at the lower and upper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bending mo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between them.

상기 제2걸이부재(W3)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보조띠(170)에 둘레방향을 따라 꽂을 수 있도록 일반적인 커튼 핀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소재를 적용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걸어 준 상태에서 상부 보조링(150)에 걸어줄 수 있는 링 형상의 끈이 조합된 형태로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hanging member W3 is not provided in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 but is formed in the form of a general curtain pin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strap 17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is fixed by applying a relatively high strength material. A pin and a ring-shaped string that can be hung on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n a state where it is hung on the fixing pin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in a combined form.

상기 하부 포집망(180)은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중심링(11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부 포집망(130)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110)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포집망(180)의 상단부에는 고리들이 설치되어 중심링(110)의 하부 걸이(114)에 간단히 걸어주는 방식으로 설치하면 된다. The lower collection network 180 is installed below the central ring 110 while wrapping the body of a street tree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is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on network 130 and then fallen leav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ring 110 or It serves to guide fallen fruits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roadside tree. Hooks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llecting net 180 and can be installed by simply hanging on the lower hanger 114 of the center ring 110.

상기 수거자루(190)는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기 하부 포집망(18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하부 포집망(180)을 따라 떨어지는 낙과 및 낙엽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거자루(190)는 가로수 몸체의 둘레 전체에서 하부 포집망(180)을 통해 떨어지는 낙과 및 낙엽을 온전히 수거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llection bag 190 has an open upper end and is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llection net 180 to collect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falling along the lower collection net 180.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llection bags 190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S. 1 and 2 so as to completely collect fallen fruits and leaves falling through the lower collection net 180 from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treet tree bod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중심링 120: 활대
130: 상부 포집망 140: 고정부재
150: 상부 보조링 160: 처짐방지대
170: 보조띠 180: 하부 포집망
190: 수거자루 W1, W2: 제1걸이부재, 제2걸이부재
110: center ring 120: rod
130: upper collection network 140: fixing member
150: upper auxiliary ring 160: sagging prevention
170: auxiliary belt 180: lower collection net
190: collection bag W1, W2: first hanging member, second hanging member

Claims (14)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중심링;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에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고정부재;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활대;
상기 활대에 지지된 깔대기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하여 상기 중심링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상부 포집망; 및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상기 중심링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포집망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하부 포집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 central ring that surrounds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a roadside tree at a distance and allows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o pass inward;
a fixing member fixed to an upper end of a body or a part of a stem of a roadside tree and supporting the center ring so that it does not fall;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ring and inclined upward in an outward direction while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center ring;
an upper collection net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supported on the rod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of roadside trees and guide them to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and
A lower collection net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while wrapping the body of a roadside tree at a distance to guide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hat fall through the center ring after being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on network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roadside tree;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둘레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상기 활대의 하단부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고 있는 돌기 형상의 포켓부재가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에서 절개부에 대응하도록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insert and fix the lower end of the rod, and a cutout is formed in a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o have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pocket member having a groove is bonded to correspond to the cutout inside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에서 절개부는 중심링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재는 상기 중심링의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utout in the center ring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pocket member is joined in a downwardly inclined protruding form toward the center of the center 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너트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선단부가 가로수 몸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한 장볼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중심링이 편심하중의 작용으로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갖는 경우 상기 장볼트에 의해 보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nut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and a bolt is further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o the inside by screwing with the nut so that the front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street tree. When the center ring has a tendency to tilt to one side due to the action of an eccentric load, it is reinforced and supported by the long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포집망과 하부 포집망을 고리로 걸어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가 부분 절개된 후 절개된 부위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upper hooks and lower hooks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o hook and support the upper and lower collection nets,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hooks are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ed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fter being incis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하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상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ㄴ자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upper hook is formed in an L-shaped cross section by bending the head secondarily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it is primarily bent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lower hook is primarily bent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In the state, the head is secondarily bent upward to form an L-shaped cross s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의 머리부와 상기 하부 걸이의 머리부는 각각 역 T자 형상 및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head of the upper hanger and the head of the lower hanger are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and a T-shap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은 띠형상의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한 쌍의 반본체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ring is a fallen fruit and leaf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half bodies manufactured by bending a strip-shaped steel plate are fasten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는 벨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belt fixed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a street tree.
제9항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제1걸이를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제1고리를 구비한 제1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이부재의 제1걸이를 상기 고정부재에 걸어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고리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 구비된 상부 걸이를 걸어주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9,
Including a first hook member having a first hook at an upper end and a first hook at a lower end, the first hook of the first hook member is hooked to the fixing member and supported by the first hook.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supports the center ring so that it does not fall by hanging the upper hook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상측으로 이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부 보조링;
일단부가 상기 상부 보조링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활대에 연결되어 상기 활대가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복수의 처짐방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auxiliary r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ring;
The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agging prevention wire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d so that the rod does not droop.
제11항에 있어서,
탄성 소재의 관체로 구비된 탄성보강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가 상기 탄성보강관의 내부 중공을 따라 관통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합체된 처짐방지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1,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reinforcing tube provided as a tubular body of elastic material, and the sagging prevention wire penetrates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elastic reinforcing tube and is installed as a deflection prevention unit integrated in the form of a module.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중심링 및 활대와의 연결을 위한 단부 고리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1,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nd rings for connection with the center ring and the limb are further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wire,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중심링 및 활대와의 연결을 위한 비너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1,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iners for connection with the center ring and the limb are further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agging prevention wire, respectively.
KR1020210145633A 2021-10-28 2021-10-28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KR2023006091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33A KR20230060912A (en) 2021-10-28 2021-10-28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PCT/KR2022/016599 WO2023075459A1 (en) 2021-10-28 2022-10-27 Environment-friendly fruit and leaf catching apparatus having central 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33A KR20230060912A (en) 2021-10-28 2021-10-28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912A true KR20230060912A (en) 2023-05-08

Family

ID=8615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633A KR20230060912A (en) 2021-10-28 2021-10-28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0912A (en)
WO (1) WO2023075459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42A (en) 2008-04-03 2011-01-1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Optical communica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313B1 (en) * 2015-02-27 2017-02-01 대한민국 Apparatus for collecting fruit
KR101758731B1 (en) * 2016-11-25 2017-07-17 윤양수 Collector for Falling Fruits of a Ginkgo Tree
KR102075658B1 (en) * 2017-12-13 2020-02-11 주식회사 강물 apparatus for collecting ginkgo fruits
KR101901431B1 (en) * 2018-07-24 2018-09-21 주식회사 아이엘오퍼레이션 Prevention device for fruit drop
CN112544233A (en) * 2020-12-11 2021-03-26 山东省蚕业研究所 Fruit harvesting tool
KR20220087399A (en) * 2020-12-17 2022-06-24 이인호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42A (en) 2008-04-03 2011-01-1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Optical communica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459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7913A (en) Device for suspending objects
KR101975560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Fruits And Leaves Of Tree
KR20160083510A (en) Fruit collector
KR20220087399A (en)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KR102001206B1 (en) Device for collecting the fallen fruit of ginkgo tree
KR20230060912A (en)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KR101057968B1 (en) Fruit tree branch support
KR20190070488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ginkgo fruits
US8322071B1 (en) Plant securing apparatus
US5189871A (en) Collection netting for fruit and nut trees
KR101772679B1 (en) Fruit Collecting Apparatus
KR101524910B1 (en) A Structure For Landscaping And Assembling Type Structure For A Structure For Landscaping
US6073391A (en) Tree support with wrapping, strap and fastener
KR20190097443A (en) Leaf and fruits collector including pockets
KR102005641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ing fruit and collecting fallen leaves
WO2005037029A1 (en) A hanging basket assembly
KR20110003537U (en) Tree Branch Supporting Device
EP1198651A1 (en) Barrier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barrier
KR20100089998A (en) Clip for supporting crop
JP3151103U (en) Flag support
CN218072641U (en) Single-vine suspension device for watermelon planting
JPH0233476Y2 (en)
KR20100101228A (en) Band for supporting tree
RU2242156C1 (en) Artificial new year&#39;s tree
KR20130004587U (en) Bow for simple rain she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