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399A -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 Google Patents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399A
KR20220087399A KR1020210182054A KR20210182054A KR20220087399A KR 20220087399 A KR20220087399 A KR 20220087399A KR 1020210182054 A KR1020210182054 A KR 1020210182054A KR 20210182054 A KR20210182054 A KR 20210182054A KR 20220087399 A KR20220087399 A KR 20220087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ring
leaves
ring
bent
fall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0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이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호 filed Critical 이인호
Publication of KR2022008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3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식물복지를 고려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중심링;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제1고정띠;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활대; 상기 활대에 지지된 깔대기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하여 상기 중심링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상부 포집망;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상기 중심링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포집망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하부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relates to an eco-friendly fallen fruit and leaf collection device in consideration of plant welfare, which minimizes damage to the roadside tree and is mounted very stably on the roadside tree so that the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generated from the roadside tree can be collected smoothly.
The present invention,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to be spaced apart, a center ring that allows the leaves or fallen fruits to pass inward; a first fixing band which is fixed while wrapp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or a part of the stem, and supports the center ring from the upper side so as not to fall; a plurality of bows dispos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ring and inclined outwardly with a lower end fixed to the center ring; an upper collecting network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supported by the bow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of a street tree and guide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A lower collecting network that is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while wrapping the body of the street tree at a distance and guides fallen leaves or fallen leav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ring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after being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ng net;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Description

식물복지를 고려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본 발명은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vironment-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apparatus that is mounted very stably on a roadside tree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roadside tree so that the fallen fruits and leaves generated from the roadside tree can be smoothly collected. .

일반적으로 가로수는 도시의 미관과 위생을 위하여 인도 또는 차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심은 나무를 일컫는다. 가로수를 심는 주된 목적은 가로에 자연의 풍취를 주고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는 데 있다. 가로수는 이밖에도 공기를 맑게 하고 온도를 조절하는 등 미관과 보건위생 효과 등을 주고 있다. In general, street trees refer to trees plan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sidewalks or roadways for aesthetics and sanitation in the city. The main purpose of planting street trees is to give the street a natural look and provide shade in summer. Roadside trees also provide aesthetics and health and sanitation effects, such as purifying the air and regulating temperature.

이에 따라 가로수로 식재되는 나무들은 각종 공해에 강해야 하며, 여름에는 잎이 많고 겨울에는 해를 가리지 않는 낙엽수여야 하고, 수형이 아름다워야 하는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이같은 가로수로는 플라타너스, 은행나무, 버드나무, 미루나무, 이탈리아포플러, 벚나무, 아카시아, 벽오동 등이 적합해 많이 식재되고 있다.Accordingly, the trees planted as street trees must be resistant to various pollution, must be deciduous trees that have many leaves in summer and do not block the sun in winter, and must have a beautiful tree shape. Sycamore, ginkgo, willow, cottonwood, Italian poplar, cherry tree, acacia, and Byeok paulownia are suitable for such street trees.

하지만, 가을철이 되면 가로수로부터 발생한 낙엽이나 낙과로 인해 도시 미관을 헤치고 사람들의 통행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고는 하는데, 특히 은행나무의 경우 열매 특유의 고약한 냄새와 쉽게 터져버리는 특성으로 인해 매우 골칫거리였다. However, in the fall season,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from street trees interfere with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impede the passage of people. .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842호(2011.03.23.)에는 그물망에 의해 은행 낙과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은행 낙과 수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2842 (Mar. 23, 2011) discloses a device for collecting bank fruits through a net.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은행 낙과 수거장치의 경우 하부살의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고정대가 나무 몸체를 압박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나무 몸체에 손상을 주는 것은 물론, 나무 몸체의 두께와 형태가 조금만 달라져도 장착하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ginkgo drop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fixing rod provided for fixing the lower flesh is installed by pressing the tree body, it not only damages the tree body, but also makes it difficult to install even if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tree body change even a little. There was a problem.

또한 고정대의 살고정부에 하부살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부살은 또다시 하부살에 대하여 관절형태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성의 경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고장날 가능성이 높았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meat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iving part of the fixture and the upper meat is jointly til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meat is complicated,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is high.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1-0002842호(2011.03.23.)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1-0002842 (2011.03.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damage to the street tree and to be mounted very stably on the street tree to smoothly collect the fallen fruits and leaves generated from the street tree. It is to provide an eco-friendly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는,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중심링;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제1고정띠;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활대; 상기 활대에 지지된 깔대기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하여 상기 중심링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상부 포집망;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상기 중심링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포집망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하부 포집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 ring that allows the leaves or fallen fruits to pass inside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a street tree to be spaced apart; a first fixing band which is fixed while wrapp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or a part of the stem, and supports the center ring from the upper side so as not to fall; a plurality of bows dispos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ring and inclined outwardly with a lower end fixed to the center ring; an upper collecting network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supported by the bow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of a street tree and guide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A lower collecting network that is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while wrapping the body of the street tree at a distance and guides fallen leaves or fallen leav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ring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after being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ng net; includes; It is characterized by its technical configuration.

여기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둘레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상기 활대의 하단부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고 있는 돌기 형상의 포켓부재가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에서 절개부에 대응하도록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that is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ow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a cutout is formed in a part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to provide the fixing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haped pocket member having the fixing groove is joined to correspond to the cutout inside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또한, 상기 중심링에서 절개부는 중심링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재는 상기 중심링의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tout in the center ring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pocket member may be joined in a downwardly inclined protruding form toward the center of the center ring.

또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너트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선단부가 가로수 몸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한 장볼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중심링이 편심하중의 작용으로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갖는 경우 상기 장볼트에 의해 보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nut is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nd a long bolt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to the inside by screwing with the nut so that the front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tree body, , when the center ring has a tendency to incline to either side due to the action of an eccentric loa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inforced and supported by the long bolt.

또한, 상기 중심링의 본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포집망과 하부 포집망을 고리로 걸어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가 부분 절개된 후 절개된 부위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hooks and lower hooks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to hook and support the upper and lower traps,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hooks are part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formed by bending the incision after being partially incised.

또한, 상기 상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하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상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ㄴ자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hook is formed in a L-shaped cross-section by secondly bending the hea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ok is first bent so as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lower hook is the first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is secondly bent upward in the bent state to form an L-shaped cross-section.

또한, 상기 상부 걸이의 머리부와 상기 하부 걸이의 머리부는 각각 역 T자 형상 및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d of the upper hook and the head of the lower hook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and a T-shap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중심링은 띠형상의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한 쌍의 반본체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er r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fastening a pair of semi-body manufactured by bending a strip-shaped steel plate.

또한, 상기 제1고정띠는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자동바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ixing b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bar so as to be fixed in a state wrapped around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the street tree.

또한, 상단부에는 제1걸이를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제1고리를 구비한 제1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이부재의 제1걸이를 상기 제1고정띠에 걸어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고리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 구비된 상부 걸이를 걸어주어 상기 제1고정띠가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cluding a first hook member having a first hook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hook at the lower end, the first hook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ok of the first hook member is hung on the first fixing band and supported. By hooking the upper hook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he first fixing b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so that the center ring does not fall.

또한, 상기 중심링의 상측으로 이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부 보조링; 일단부가 상기 상부 보조링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활대에 연결되어 상기 활대가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복수의 처짐방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auxiliary r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ring; It may further include a; a plurality of anti-sag wires to hold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whil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d so as not to sag the rod.

또한, 탄성 소재의 관체로 구비된 탄성보강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가 상기 탄성보강관의 내부 중공을 따라 관통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합체된 처짐방지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reinforcing tube provided with a tube body of an elastic material, the anti-sag wire penetrates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elastic reinforcing tube and is installed as an anti-sag rod combined into one module form. .

또한, 상기 처짐방지대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중심링 및 활대와의 연결을 위한 단부 고리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anti-sag band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nd rings are further installed for connection with the center ring and the bow, respectively.

또한,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보조링을 걸어주는 교차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부 보조링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연결부재는 일자형의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되되, 일자형의 강선 본체부와, 상기 강선 본체부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선단부에서 강선 본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2절곡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의 인입을 위한 인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강선 본체부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와 함께 상기 상부 보조링을 교차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3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3절곡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의 인출을 위한 인출부를 형성하는 제4절곡부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anti-sag wire and the upper auxiliary ring are connected by a cross connecting member tha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nti-sag wire and hangs the upper auxiliary ring, and the cross connecting member bends a straight steel wire Doedoe, a straight steel wire body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that is bent obliquely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steel wire body portion at the front end of the steel wire body por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b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eel wire body portion A second bent part made of a second bent part, and bent toward the steel wire body part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bent part, bent obtusely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bent part, and the upper auxiliary ring is drawn in between the steel wire body part a third bent part forming a ring-shaped receiving part to cross the upper auxiliary ring together with the steel wire body part, the first bent part, and the second bent part, and a tip part of the third bent part It is bent toward the second bent part and is bent obliquely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third bent part to form a fourth bent part for drawing out the upper auxiliary ring between the steel wire body part. can do.

또한,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 보조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제2고정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fixed in a state wrapped around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the street tre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fixing band for supporting the upper auxiliary ring from the upper side so as not to fall.

본 발명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는 중심링을 중심으로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tably mounted on a street tree with a center ring as the center, so that the fallen fruits and leaves generated from the street tree can be smoothly collected.

또한, 본 발명은 가로수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면서도 가로수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손상도 거의 주지 않는 친환경성으로 인해 식물복지를 위한 최상의 제품이 될 수 잇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he best product for plant welfare due to its eco-friendliness that does not damage the aesthetics of the roadside tree while being stably mounted on the street tree and does not almost damage it.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하고 해체 과정에서 부품의 손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재활용까지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without using expensive parts, and there is little damage to the parts during the dismantling process, so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and even recycling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주요 부위의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중심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반본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중심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중심링과 처짐방지대와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처짐방지대의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제1걸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제2걸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1 is a state diagram of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er ring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leave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er ring consisting of a pair of half bodies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enter ring and the anti-sag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leave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anti-sagging band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leave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hanging member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leave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hanging member i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leave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than actu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commonly used dictionary defini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서 주요 부위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평면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of a fallen fruit and leaves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llen fruit and leaves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leaves and leaves,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leave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는 중심링(110), 활대(120), 상부 포집망(130), 제1고정띠(140), 상부 보조링(150), 처짐방지대(160), 제2고정띠(170), 하부 포집망(180), 수거자루(19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가로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가로수에 매우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가로수에서 발생하는 낙과 및 낙엽을 원활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ring 110 , a bow rod 120 , an upper trapping net 130 , a first fixing band 140 , and an upper auxiliary ring 150 . , the deflection prevention band 160, the second fixing band 170, the lower collecting net 180, and the collection bag 190 as main components, and it is very stably mounted on the street tree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street tree. It is configured to smoothly collect fallen fruits and leaves that occur in the area.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중심링(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활대(120)와 상부 포집망(130), 하부 포집망(180) 등 다른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enter ring 110 is the most essential component of the fallen fruit and fallen leaves collection device, and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e fallen leaves or fallen leaves inside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to be spaced apart. It serves to stably support most of th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bow 120, the upper collecting network 130, and the lower collecting net 180.

이를 위해 상기 중심링(1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링(110)의 본체(111)에 상기 활대(120)의 하단부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홈(112a)이 둘레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12a)을 구비하기 위하여 중심링(110)의 본체(111) 상단부 일부에 절개부(111a)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홈(112a)을 구비하고 있는 돌기 형상의 포켓부재(112)를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에서 절개부(111a)에 대응하도록 접합시켜 준다. 이때 상기 포켓부재(112)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에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중심링(110)의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접합되어 설치된다. 이처럼 활대(120)를 지지하기 위해 단순히 구멍이나 홈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활대(12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포켓부재(112)를 설치함으로써 활대(1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물론 중심링(110)이 가로수 몸체의 어느 한 편으로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To this end, the center ring 110 has a fixing groove 112a around the center ring 110, as shown in Figs. It is provid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Here, in order to provide the fixing groove 112a, a cutout 111a is formed in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a protrusion-shaped pocket member 112 having the fixing groove 112a. ) to correspond to the cutout 111a inside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 At this time, the pocket member 112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is installed to be joined to protrude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center ring 110. In this way, rather than simply forming a hole or groove to support the bow 120, a pocket member 112 that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bow 12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bow 120 more stably.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enter ring 110 from being excessively biased toward either side of the tree body.

상기 중심링(110)의 본체(111)의 일측 하단부에는 복수의 너트(116)가 설치되며, 너트(116)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중심링(110)의 본체(111)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선단부가 가로수 몸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한 장볼트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중심링(110)이 편심하중의 작용으로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갖는 경우 상기 장볼트에 의해 보강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로를 지나다니는 차량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활대(120)와 상부 포집망(130)을 온전한 컵형 또는 깔때기 형태가 아닌 반컵형으로 설치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A plurality of nuts 116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 and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to the inside by screwing with the nuts 116 . It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end par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lectively install one long bolt to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tree bod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enter ring 110 has a tendency to incline to either side due to the action of an eccentric loa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and support the long bolt. Such a configuration is useful when installing the bow rod 120 and the upper trapping net 130 in a half-cup type rather than a full cup or funnel type for the purpose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vehicles passing by the road.

상기 중심링(110)의 본체(111)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포집망(130)과 하부 포집망(180)을 고리로 걸어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걸이(113)와 하부 걸이(1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부 걸이(113)와 하부 걸이(114)는 별개의 개체로 구비되는 것보다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일부가 부분 절개된 후 절개된 부위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걸이(113)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하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걸이(114)는 중심링(110)의 본체(111)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상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ㄴ자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걸이(113)의 머리부와 하부 걸이(114)의 머리부는 각각 역 T자 형상 및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포집망(130)과 하부 포집망(180) 각각의 고리를 걸었을 때 작은 움직임에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면에 따르면 중심링(110)의 본체(111)가 원형의 링으로 형성되지 않고 활대(120)의 설치 개수를 고려한 팔각형 링으로 형성되었으며 각 면에 상부 걸이(113)가 3개, 하부 걸이(114)가 2개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중심링(110)의 본체(111) 각 면에 구비된 상부 걸이(113) 3개 중 양편의 2개는 상부 포집망(130)의 고리를 걸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가운데 1개는 제1걸이부재(W1)의 제1고리(172b)를 걸어주어 제1고정띠(140)에 중심링(110)을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A plurality of upper hooks 113 and lower hooks 114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trapping nets 130 and 180 by hooking rings, respectively. provided Here, the upper hook 113 and the lower hook 114 are preferably formed by bending the incised portion after a portion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is partially cut, rather than being provided as separate entities. The upper hook 113 is formed in a L-shaped cross-section by secondly bending the hea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ok 113 is first bent to protrude inside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and the lower hook 114 is the center ring In the state of being first bent so as to protrude inside the body 111 of 110, the head is secondly bent upward to form an L-shaped cross section. And the head of the upper hook 113 and the head of the lower hook 114 are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and a T-shape, respectively, and when the rings of the upper trapping net 130 and the lower trapping net 180 are hung Don't let small movements break it.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is not formed as a circular ring, but as an octagonal ring consider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bow rod 120, and has three upper hooks 113 on each side and three lower hooks ( 114) is shown to be provided two each. Of the three upper hooks 113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body 111 of the center ring 110, two on both sides are for the purpose of hanging the rings of the upper trapping network 130, and one of the middle hooks is the first hook. By hanging the first ring (172b) of the member (W1) is utiliz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center ring (110) on the first fixing band (140).

상기 중심링(110)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띠형상의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한 쌍의 반본체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반본체의 단부에는 서로 겹친 상태에서 볼트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공(111b)이 형성된다. 이로써 현장에서 중심링(110) 반본체 한 쌍을 가로수 몸체를 중심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The center ring 110 is formed by fastening a pair of semi-body manufactured by bending a band-shaped steel plat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 A bolt hole 111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alf body so that the bolts can be fastened while overlapping each other. Thereby, it is possible to fasten a pair of half-body of the center ring 110 around the body of the street tree in the field.

상기 활대(120)는 상부 포집망(13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링(110)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110)의 고정홈(112a)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활대(120)는 휘지 않고 상부 포집망(130)의 무게를 감당하여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며 8개 정도가 중심링(110)을 중심으로 설치되는 것이 적당하다. 단, 상기 활대(120)의 설치 개수는 설치규모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The bow 120 is for supporting the upper trapping network 130, and is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center ring 110, and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2a of the center ring 110 and fixed to the outside. installed inclined in the direction. The bow 120 is provided with sufficient strength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pper trapping net 130 without being bent, and it is appropriate that about eight are installed around the center ring 110 . However,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the rod 12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cale.

상기 상부 포집망(130)은 활대(120)에 지지된 깔대기 또는 컵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한 후 포집된 낙엽 또는 낙과를 중심링(110)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안내된 낙엽 및 낙과는 중심링(110)의 하측으로 설치된 하부 포집망(180)을 따라 수거자루(190)까지 이동하여 모아진다. The upper collecting network 13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or cup supported by the bow 120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from a street tree and then guides the collected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o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110. . The fallen leaves and fallen leaves guided in this way are collected by moving to the collection bag 190 along the lower collecting network 180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110 .

상기 제1고정띠(140)는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110)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고정띠(140)는 가로수 몸체 또는 줄기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자동바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바는 시중에서 판매하고 것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라쳇과 벨트로 이루어진 자동바를 사용하게 되면 현장에서 벨트를 간단히 조여주는 것만으로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를 감싼 상태고 고정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fixing band 140 is fixed while wrapp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or a part of the stem of the street tree, and serves to support the center ring 110 from the upper side so as not to fall. The first fixing band 14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utomatic bar so that it can be fixed in response to various shapes of the tree body or stem. The automatic bar is commercially available and can be purchased and used. If an automatic bar consisting of a ratchet and a belt is used, the body or stem of a street tree can be wrapped and fixed by simply tightening the belt at the site.

상기 제1고정띠(140)에 대하여 중심링(110)이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제1걸이부재(W1)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에 제1걸이(141a)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제1고리(142b)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1걸이(141a)를 이용하여 제1고정띠(140)에 간단히 걸어줄 수 있으며, 제1고리(142b)를 이용하여 중심링(110)의 상부 걸이(113)를 걸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걸이부재(W1)는 상단부에 제1걸이(141a)를 구비한 제1상부부재(141)와 하단부에 제1고리(142b)를 구비한 제1하부부재(142)가 결합된 링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부재(141)와 제1하부부재(142)는 서로 간에 꺾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하단부와 상단부에 연결고리(171b,172a)를 구비하여 서로 꿰어지도록 한다. The first hanging member W1 provided to support the center ring 110 not to fall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band 140 has a first hook 141a at the upper end as shown in FIG. 9 and the lower end It is provided with a first ring (142b). Accordingly, it can be simply hung on the first fixing band 140 using the first hook 141a, and the upper hook 113 of the center ring 110 can be hung and supported using the first hook 142b. do. The first hook member (W1) is a link in which a first upper member 141 having a first hook 141a at an upper end and a first lower member 142 having a first hook 142b at a lower end are couple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The first upper member 141 and the first lower member 142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rings 171b and 172a at the lower end and upper end, respectively, so that the bending operation between them can be smoothly performed so that they are threaded with each other.

상기 제1걸이부재(W1)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자동바의 벨트에 둘레방향을 따라 꽂을 수 있도록 일반적인 커튼 핀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소재를 적용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걸어 준 상태에서 중심링(110)의 상부 걸이(113)에 걸어줄 수 있는 링 형상의 끈이 조합된 형태로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hanging member (W1) is not provided in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 bu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eneral curtain pin so that it can be plugged into the belt of the automatic ba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a fixing pin to which a relatively high strength material is applied. And, a ring-shaped string that can be hung on the upper hook 113 of the center ring 110 in a state where it is hung on the fixing pin may be provided in a combined form in a plurality of pairs.

상기 상부 보조링(150)은 제2고정띠(17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중심링(110)의 상측으로 이격을 두고 위치하며, 중앙에서 복수의 처짐방지대(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보조링(150)은 간단히 원형의 금속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보조링(150)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코일스프링을 링 형태로 구부린 다음 양단부를 체결한 것이다. 이처럼 상부 보조링(150)을 링 형태로 구부린 코일스프링으로 구비하게 되면 현장에서 코일스프링을 간단히 구부려서 가로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싸도록 할 수 있어서 설치가 간편해지며, 처짐방지 와이어(161)를 각방향으로 연결하기도 더 쉬워진다는 장점이 있다.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ring 110 in a state supported by the second fixing band 170, and serve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anti-sag bars 160 in the center. d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may be provided as a simple circular metal ring.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that the coil spring is bent into a ring shape and then both ends are fastened. If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provided as a coil spring bent in the form of a ring, the coil spring can be simply bent in the field to wrap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a street tree, so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anti-sag wire 161 is installed in each direc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er to connect to.

상기 처짐방지대(160)는 중심링(110)을 중심으로 설치된 활대(120)들이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처짐방지대(16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처짐방지 와이어(161)와 탄성보강관(162) 그리고 양단부에 설치된 단부 고리들을 하나의 모듈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161)는 일단부가 상부 보조링(15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활대(120)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활대(120)를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준다.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상부 보조링(150)과 활대(120)에 간단히 거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는 단부 고리들이 설치된다. The anti-sag bar 160 serves to hold and support the bow bars 120 installed around the center ring 110 so as not to sag.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anti-sag band 160 is made of a single module with the anti-sag wire 161,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162, and the end rings installed at both ends. The anti-sag wire 16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whil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rod 120 to hold the rod 120 so as not to sag.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sag wire 161, end rings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and the rod 120 in a simple way are installed.

이같은 단부 고리 중 상부 보조링(150) 쪽의 단부 고리는 상부 보조링(150)에 대하여 쉽게 걸 수 있으면서도 걸어서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 8에 상세히 도시된 독창적인 형태의 교차연결부재(163)로 구비된다. 상기 교차연결부재(163)는, 일자형의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되며, 일자형의 강선 본체부(163a)와, 상기 강선 본체부(163a)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1절곡부(163c)와, 상기 제1절곡부(163c)의 선단부에서 강선 본체부(163a)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2절곡부(163d)와, 상기 제2절곡부(163d)의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163a)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2절곡부(163d)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150)의 인입을 위한 인입부(163h)를 형성하고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 제1절곡부(163c) 및 제2절곡부(163d)와 함께 상기 상부 보조링(150)을 교차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수용부(163g)를 형성하는 제3절곡부(163e)와, 상기 제3절곡부(163e)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163d)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3절곡부(163e)와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163a)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150)의 인출을 위한 인출부(163i)를 형성하는 제4절곡부(163f)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된다. 일자형의 강선 본체부(163a) 후단부에는 고리 형태로 말린 꼬리부(163b)가 형성되어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결합되도록 한다. 이같은 교차연결부재(163)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 보조링(150)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할 때에만 상부 보조링(150)이 인입부(163h)를 통과하여 수용부(163g)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부 보조링(150)이 상기 수용부(163g)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반대로 상부 보조링(150)에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할 때에만 인출부(163i)를 통과하여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말려 있는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단부를 구속하는 동시에 처짐방지 와이어(161)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탄성보강관(162) 내부 중공을 따라 빠져나가 이탈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이탈방지체(164)가 설치된다. Among these end rings, the end ring on the side of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can be easily hung with respect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while being able to stably maintain the connected state by hanging cross-connection member ( 163) is provided. The cross-connecting member 163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straight steel wire, and the straight steel wire body part 163a and the steel wire body part 163a at the front end of the steel wire body part 163a are inclin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steel wire body part 163a. The first bent part 163c made of a 163d) bent toward the steel wire body part 163a, and bent obtusely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bent part 163d, so tha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inserted between the steel wire body part 163a and the steel wire body part 163a. A ring shape to form an inlet 163h for The third bent portion 163e forming the receiving portion 163g of the The fourth bent portion 163f is bent to form a right angle to form a lead-out portion 163i for drawing ou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between the steel wire body portion 163a and the steel wire body portion 163a. A tail portion 163b rolled in a ring shape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traight steel wire body portion 163a to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anti-sag wire 161 .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ross-connection member 163,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passes through the inlet portion 163h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63g only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63g, on the contrary, only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passes through the lead-out portion 163i and can be separat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sag wire 161,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nti-sag wire 161, while restraining the end of the curled anti-sag wire 161, form a hollow inside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162. A separation prevention body 164 is installed to suppress the escape and not to be separated.

상기 탄성보강관(162)은 FRP와 같은 탄성 소재의 관체로 구비되며, 처짐방지 와이어(161)가 탄성보강관(162)의 내부 중공을 따라 관통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합체된다. 이처럼 처짐방지 와이어(161)만 단독으로 설치되어 활대(120)의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지 않고 처짐방지 와이어(161)와 탄성보강관(162)이 하나의 모듈 형태로 처짐방지대(160)를 형성하게 되면 현장에서 상부 보조링(150)과 활대(120)를 연결하는 작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며, 활대(120) 및 상부 포집망(130)이 바깥쪽이나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활대(120)와 상부 포집망(130)이 안쪽으로 순간 변형되면서 붕괴되는 문제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162 is provided with a tu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FRP, and the anti-sag wire 161 penetrates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162 and is incorporated into a single module. As such, only the anti-sag wire 161 is installed alone to prevent the sagging of the bow 120, and the anti-sag wire 161 and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162 form a sagging bar 160 in the form of a single module. This makes it very easy to connec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and the bow rod 120 in the fiel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w rod 120 and the upper trapping net 130 from sagging outward or downward, as well as the wi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llapse of the bow rod 120 and the upper trapping net 130 while being momentarily deformed inwar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상기 제2고정띠(170)는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 보조링(150)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고정띠(170)는 제1고정띠(140)와 마찬가지로 가로수 몸체 또는 줄기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자동바로 구비될 수 있다. 단, 상부 보조링(150)의 경우 처짐방지 와이어(161)에 의해 이미 지지된 상태이므로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별도의 지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띠(170)의 경우 대부분의 상황에서 필요하지 않지만 장치의 설치규모가 비대하게 커지는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상보 보조링(150)을 지지하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second fixing band 170 is fixed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the street tree, and serves to suppor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from the upper side so as not to fall. Like the first fixing belt 140 , the second fixing band 170 may be provided with an automatic bar to correspond to various shapes of the tree body or stem. However, since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s already supported by the anti-sag wire 161, a separate support is not required in most situation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econd fixing belt 170, it is not necessary in most situations, but it can be selectively used to support the complementary auxiliary ring 150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the installation scale of the device is enlarged.

상기 제2고정띠(17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띠(170)에 대하여 상부 보조링(150)이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제2걸이부재(W3)가 설치된다. 상기 제2걸이부재(W3)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단부에 제2걸이(171a)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제2고리(172b)를 구비한다. 이로써 제2걸이(171a)를 이용하여 제2고정띠(170)에 간단히 걸어줄 수 있으며, 제2고리(172b)를 이용하여 상부 보조링(150)을 걸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걸이부재(W3)는 상단부에 제2걸이(171a)를 구비한 제2상부부재(171)와 하단부에 제2고리(172b)를 구비한 제2하부부재(172)가 결합된 링크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상부부재(171)와 제2하부부재(172)는 서로 간에 꺾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하단부와 상단부에 연결고리(1712b,172a)를 구비하여 서로 꿰어지도록 한다. When the second fixing belt 170 is installed, a second hanging member W3 is installed to suppor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not to fall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ing belt 170 . As shown in FIG. 10 , the second hook member W3 has a second hook 171a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hook 172b at the lower e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imply hang on the second fixing band 170 using the second hook 171a, and to hang and support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using the second hook 172b. The second hook member (W3) is a link in which a second upper member 171 having a second hook 171a at the upper end and a second lower member 172 having a second hook 172b at the lower end are couple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The second upper member 171 and the second lower member 172 are provided with connecting rings 1712b and 172a at the lower end and upper end, respectively, so that the bending oper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y are threaded with each other.

상기 제2걸이부재(W3)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고정띠(170)에 둘레방향을 따라 꽂을 수 있도록 일반적인 커튼 핀의 형태로 형성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소재를 적용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걸어 준 상태에서 상부 보조링(150)에 걸어줄 수 있는 링 형상의 끈이 조합된 형태로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hanging member (W3) is not provided in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 bu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eneral curtain pin so that it can be plugged into the second fixing band 17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is made of a material of relatively high strength. A plurality of pairs of the applied fixing pin and a ring-shaped string that can be hung on the upper auxiliary ring 150 in a state of being hung on the fixing pin may be provided in a combined form.

상기 하부 포집망(180)은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중심링(110)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부 포집망(130)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110)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포집망(180)의 상단부에는 고리들이 설치되어 중심링(110)의 하부 걸이(114)에 간단히 걸어주는 방식으로 설치하면 된다. The lower collecting network 180 is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110 while wrapping the body of the street tree to be spaced apart,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ng net 130 and then passing through the center ring 110 to fall leaves or It serves to guide the fallen fruits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Rings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trapping network 180 , and may be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it is simply hung on the lower hook 114 of the center ring 110 .

상기 수거자루(190)는 상단부가 개방된 형태로 상기 하부 포집망(180)의 하단부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하부 포집망(180)을 따라 떨어지는 낙과 및 낙엽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거자루(190)는 가로수 몸체의 둘레 전체에서 하부 포집망(180)을 통해 떨어지는 낙과 및 낙엽을 온전히 수거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llection bag 190 has an open upper end and is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llecting network 180 to collect fallen fruits and fallen leaves along the lower collecting net 180 .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llection bags 190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S. 1 and 2 so as to completely collect fallen leaves and fallen leaves through the lower collecting network 180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treet tree bod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중심링 120: 활대
130: 상부 포집망 140: 제1고정띠
150: 상부 보조링 160: 처짐방지대
170: 제2고정띠 180: 하부 포집망
190: 수거자루 W1, W2: 제1걸이부재, 제2걸이부재
110: center ring 120: bow
130: upper trapping network 140: first fixing band
150: upper auxiliary ring 160: anti-sag
170: second fixing band 180: lower trapping network
190: collection bag W1, W2: first hanging member, second hanging member

Claims (15)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내측으로 낙엽 또는 낙과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중심링;
가로수의 몸체 상단부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제1고정띠;
상기 중심링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되 하단부가 상기 중심링에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복수의 활대;
상기 활대에 지지된 깔대기 형태로 설치되어 가로수의 낙엽 또는 낙과를 포집하여 상기 중심링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상부 포집망; 및
가로수의 몸체를 이격되게 감싸면서 상기 중심링의 하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상부 포집망에 의해 포집된 후 상기 중심링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낙엽 또는 낙과를 가로수의 몸체 하단부로 안내하는 하부 포집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 center ring that wraps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to be spaced apart and allows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to pass through;
a first fixing band which is fixed while wrapping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or a part of the stem, and supports the center ring from the upper side so as not to fall;
a plurality of bows disposed radially around the center ring and inclined outwardly with a lower end fixed to the center ring;
an upper collecting network installed in the form of a funnel supported by the bow to collect fallen leaves or fallen fruits of a street tree and guide the inside of the center ring; and
a lower trapping network that is installed below the center ring while wrapping the body of the street tree at a distance and guides fallen leaves or fallen leaves passing through the center ring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of the street tree after being collected by the upper collecting network;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둘레방향으로 이격을 두고 상기 활대의 하단부를 꽂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홈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을 구비하고 있는 돌기 형상의 포켓부재가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에서 절개부에 대응하도록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body of the center ring to be fixed by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bow at a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utout is formed in a part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to provide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n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shaped pocket member having a groove is joined to correspond to the cutout inside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에서 절개부는 중심링의 본체 상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재는 상기 중심링의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center ring, the cutou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pocket member is joined to protrude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center r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는 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너트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 외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선단부가 가로수 몸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한 장볼트를 더 구비하여, 상기 중심링이 편심하중의 작용으로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을 갖는 경우 상기 장볼트에 의해 보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nut is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nd a long bolt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to the inside by screwing with the nut so that the front end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tree body, the When the center ring has a tendency to incline to one side due to the action of an eccentric load, the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inforced and supported by the long bol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본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포집망과 하부 포집망을 고리로 걸어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가 구비되되, 상기 상부 걸이와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일부가 부분 절개된 후 절개된 부위가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upper hooks and lower hooks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center ring to hang and support the upper and lower trapping nets,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hooks are part of the body of the central ring.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ed area is bent after being incis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하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걸이는 상기 중심링의 본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1차 절곡된 상태에서 머리부가 상방으로 2차 절곡되어 ㄴ자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hook is formed in a L-shaped cross-section by secondly bending the hea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ok is first bent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nd the lower hook is first bent to protrude into the body of the center ring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is secondarily bent upward in the state to form an L-shaped cross s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의 머리부와 상기 하부 걸이의 머리부는 각각 역 T자 형상 및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of the upper hook and the head of the lower hook are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and a T-shap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은 띠형상의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한 쌍의 반본체가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 ring is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halves manufactured by bending a band-shaped steel plate are fasten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띠는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자동바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belt is a fallen fruit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bar so as to be fixed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the street tree.
제9항에 있어서,
상단부에는 제1걸이를 구비하고 하단부에는 제1고리를 구비한 제1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걸이부재의 제1걸이를 상기 제1고정띠에 걸어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1고리에 의해 상기 중심링의 본체에 구비된 상부 걸이를 걸어주어 상기 제1고정띠가 상기 중심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Including a first hook member having a first hook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hook at the lower end, by the first ring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ok of the first hook member is hung on the first fixing band Fall fruit and leaves coll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y hanging an upper hook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center ring to support the first fixing band so that the center ring does not f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링의 상측으로 이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부 보조링;
일단부가 상기 상부 보조링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활대에 연결되어 상기 활대가 처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복수의 처짐방지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auxiliary r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ring;
and a plurality of anti-sag wires, wherein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d whi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auxiliary ring to hold the rod so that it does not sag.
제11항에 있어서,
탄성 소재의 관체로 구비된 탄성보강관을 더 포함하여,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가 상기 탄성보강관의 내부 중공을 따라 관통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합체된 처짐방지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Collection of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sag wire penetrates along the inner hollow of the elastic reinforcing pipe and is installed as a deflection bar that is integrated into one module form,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reinforcing pipe provided with a tube body of an elastic material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대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중심링 및 활대와의 연결을 위한 단부 고리들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at both ends of the anti-sag band, end rings for connection with the center ring and the bow are further installed,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보조링을 걸어주는 교차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처짐방지 와이어의 일단부와 상부 보조링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교차연결부재는 일자형의 강선을 절곡하여 제작되되, 일자형의 강선 본체부와, 상기 강선 본체부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선단부에서 강선 본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진 제2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강선 본체부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2절곡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의 인입을 위한 인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강선 본체부와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와 함께 상기 상부 보조링을 교차하여 걸어줄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3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2절곡부를 향하여 절곡되되 상기 제3절곡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강선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부 보조링의 인출을 위한 인출부를 형성하는 제4절곡부로 이루어지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nti-sag wire so that one end of the anti-sag wire and the upper auxiliary ring are connected by a cross-connecting member that hangs the upper auxiliary ring,
The cross-connecting member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straight steel wire, a straight steel wire body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steel wire body portion at an acute angle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steel wire body portion, and the first bent portion A second bent part formed by being b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eel wire body part at the tip end, and bent toward the steel wire body part from the tip part of the second bent part, bent obtusely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the steel wire body part A third bent to form an inlet for the upper auxiliary ring to be drawn in therebetween and to form a ring-shaped accommodating portion to cross and hang the upper auxiliary ring together with the steel wire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and the third bent part bent toward the second bent part from the tip end part and bent obliquely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third bent part to form a lead-out part for withdrawing the upper auxiliary ring between the steel wire body part and the steel wire body part A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4 bent parts.
제11항에 있어서,
가로수의 몸체 또는 줄기 일부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상부 보조링을 낙하하지 않도록 상측에서 지지해주는 제2고정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vice for collecting fallen fruits and leave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ixing band that is fixed while wrapping a part of the body or stem of a street tree, and supports the upper auxiliary ring from an upper side so as not to fall.
KR1020210182054A 2020-12-17 2021-12-17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KR2022008739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68 2020-12-17
KR20200177168 2020-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399A true KR20220087399A (en) 2022-06-24

Family

ID=8221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054A KR20220087399A (en) 2020-12-17 2021-12-17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739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459A1 (en) * 2021-10-28 2023-05-04 이인호 Environment-friendly fruit and leaf catching apparatus having central r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42A (en) 2008-04-03 2011-01-1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Optical communica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42A (en) 2008-04-03 2011-01-10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Optical communication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459A1 (en) * 2021-10-28 2023-05-04 이인호 Environment-friendly fruit and leaf catching apparatus having central 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640B1 (en) Decorative flag display assembly
US20150225978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items to a post
KR20220087399A (en)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considering plant welfare
US20140105522A1 (en) Fall arrest safety net
KR101057968B1 (en) Fruit tree branch support
US4492364A (en) Chain link fence system
KR20230060912A (en) Eco-friendly fallen fruits and leaves collection device with center ring
KR200460435Y1 (en) Tree Branch Supporting Device
KR102114291B1 (en) Leaf and fruits collector including pockets
KR101772679B1 (en) Fruit Collecting Apparatus
KR102005641B1 (en)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ing fruit and collecting fallen leaves
EP2324701B1 (en) Fastening system
US4690384A (en) Chain link fence system
US6073391A (en) Tree support with wrapping, strap and fastener
CN215872774U (en) Palm plant royal palm leaf fixing device
AU2010201930B2 (en) Fall arrest safety net
JP5486399B2 (en) Birds and animals invasion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onstructed by farmers and its usage
WO2000060193A1 (en) Barrier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barrier
AU2018264021B2 (en) Plant support
KR101044516B1 (en) Band for supporting tree
AU609059B2 (en) Wire holders
KR20100089998A (en) Clip for supporting crop
AU2015100776A4 (en) A clothes line support structure and assembly thereof
KR100407129B1 (en) Structure of dividing and opening-shutting protection net
AU2020101545A4 (en) Expandable Plant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