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886A - 구조물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886A
KR20230060886A KR1020210145575A KR20210145575A KR20230060886A KR 20230060886 A KR20230060886 A KR 20230060886A KR 1020210145575 A KR1020210145575 A KR 1020210145575A KR 20210145575 A KR20210145575 A KR 20210145575A KR 20230060886 A KR20230060886 A KR 20230060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model
residual stress
evaluation
evaluation method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지선
라제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886A/ko
Publication of KR20230060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47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residual str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구조물 평가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조물 평가방법은, 구조물에 대한 제1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에 대한 결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해석모델에 결함을 반영하여 제2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해석모델에 상기 구조물에 수행된 가공작업을 반영한 조건을 설정하여 잔류응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응력을 반영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파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 평가방법{Structure evaluation method}
본 발명은 구조물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여러 구조물들이 설치된다. 구조물에 손상 및 노후화로 인한 사고 등을 막기 위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BS 7910 code의 수식 기반으로 한 구조건전성평가 (ECA, Engineering critical assessment)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건전성평가는 구조물 표면의 잔류응력을 보수적으로 적용하여 평가하므로 실제보다 보수의 필요성을 크게 평가하여 잦은 보수로 인한 비용 및 시간이 크게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463727 호
본 발명은, 구조물의 건전성을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평가하여 발생하는 잦은 보수를 방지하는 구조물 평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에 대한 제1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에 대한 결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해석모델에 결함을 반영하여 제2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해석모델에 상기 구조물에 수행된 가공작업을 반영한 조건을 설정하여 잔류응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응력을 반영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파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평가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가공작업은 상기 구조물에 대한 용접, 냉각 및 절단 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잔류응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해석모델에 상기 용접, 상기 냉각 및 상기 절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부하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제2 해석모델로 잔류 응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괴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잔류 응력이 계산된 상기 제2 해석모델에서 J-적분을 수행하는 단계 및 J-적분 값을 응력확대계수로 변환하여 BS 7910 기반 파괴곡선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에 대한 가공작업에 의한 잔류응력 재분포를 반영하여 구조물에 대한 파괴 평가를 현실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파괴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어 발생하는 잦은 보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평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평가방법에서 결함을 반영하여 제2 해석모델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가공작업에 의한 잔류응력 변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평가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평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평가방법은, 제1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110), 제2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120), 잔류응력을 계산하는 단계(S130) 및 파괴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제1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110)에서는, 건전성을 평가할 구조물에 대한 제1 해석모델을 생성한다.
제1 해석모델은 구조물의 응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할 대상으로, 구조물의 형상 및 재질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물의 CAD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입수하여 제1 해석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S120)에서는, 구조물에 형성된 결함을 해석모델에 반영하여 수정한다. 구체적으로, 구조물에 대한 결함을 측정한 후에, 제1 해석모델에 결함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제2 해석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평가방법에서 결함을 반영하여 제2 해석모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물의 결함(110)을 방사형 요소(Spider web)로 구성하여 제2 해석모델(100)에 반영할 수 있다. 제2 해석모델(100)에서 결함(110)이 방사형 요소로 구성되면, 결함(110)의 가장자리에서 경로에 따라 J-적분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잔류응력을 계산하는 단계(S130)에서는, 제2 해석모델에 구조물에 수행된 가공작업을 반영한 조건을 설정하여 잔류응력을 계산한다. 실제 구조물에서 구조물을 구성하는 원자재에는 다양한 가공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가공작업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잔류응력은 원자재 상태와는 다르게 재분포될 수 있다.
이 때, 가공작업은 구조물에 대한 용접, 냉각 및 절단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가공작업에 의한 잔류응력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조물에 대하여 용접, 냉각 및 절단 등의 작업이 이루어지면, 항복응력 수준의 잔류응력이 재분포 되면서 작업 이전보다 낮은 수준의 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낮게 재분포된 잔류응력을 반영하여 구조물의 건전성을 평가하면 불필요한 보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해석모델에 용접, 냉각 및 절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부하 조건을 설정하여, 제2 해석모델로 잔류 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에 의한 부하 조건은, 제2 해석모델에 구조물에 대한 톱 절단 또는 가스 절단이 이루어질 때의 부하 조건을 넣어서, 절단 이후에 재분포 된 잔류응력을 계산할 수 있다.
파괴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40)에서는, 재분포 된 잔류응력을 반영하여 구조물에 대한 파괴 평가를 수행한다.
구조물의 결함과 더불어 가공작업으로 인한 구조물의 잔류응력 재분포를 반영한 제2 해석모델에 대한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건전성 및 보수 필요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잔류 응력이 계산된 제2 해석모델에서 J-적분(Integral)을 수행하는 J-적분 값을 구할 수 있다. J-적분 값은 탄소성 변형 거동을 나타내는 재료(탄소성 재료 또는 연성재료)의 파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J-적분 값은 응력확대계수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응력확대계수를 통하여 BS 7910 기반한 파괴곡선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응력확대계수를 통한 BS 7910 기반한 파괴곡선 평가는 보수성을 평가하는 척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에 대한 가공작업에 의한 잔류응력 재분포를 반영하여 구조물에 대한 파괴 평가를 현실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서,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파괴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어 발생하는 잦은 보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구조물에 대한 제1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구조물에 대한 결함을 측정하고, 상기 제1 해석모델에 결함을 반영하여 제2 해석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해석모델에, 상기 구조물에 수행된 가공작업을 반영한 조건을 설정하여 잔류응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응력을 반영하여 상기 구조물에 대한 파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작업은, 상기 구조물에 대한 용접, 냉각 및 절단 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잔류응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해석모델에 상기 용접, 상기 냉각 및 상기 절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부하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제2 해석모델로 잔류 응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평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잔류 응력이 계산된 상기 제2 해석모델에서 J-적분을 수행하는 단계; 및
    J-적분 값을 응력확대계수로 변환하여 BS 7910 기반 파괴곡선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 평가방법.
KR1020210145575A 2021-10-28 2021-10-28 구조물 평가방법 KR20230060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75A KR20230060886A (ko) 2021-10-28 2021-10-28 구조물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75A KR20230060886A (ko) 2021-10-28 2021-10-28 구조물 평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86A true KR20230060886A (ko) 2023-05-08

Family

ID=8638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575A KR20230060886A (ko) 2021-10-28 2021-10-28 구조물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8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727B1 (ko) 2002-04-11 2004-12-29 백수곤 구조체 건전성 평가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727B1 (ko) 2002-04-11 2004-12-29 백수곤 구조체 건전성 평가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n et al. Reliability-based performance indicators for structural members
Wiesner et al. Engineering critical analyses to BS 7910—the UK guide on methods for assessing the acceptability of flaws in metallic structures
AU2016207867A1 (en) Structural damage detection
JP4078671B2 (ja) プラント保全管理方法
Washer et al. Verification of the framework for risk-based bridge inspection
André et al. New indices of structural robustness and structural fragility
Khan et al. Maintenance management of aging oil and gas facilities
KR20230060886A (ko) 구조물 평가방법
Stacey et al. Safety factor requirements for the offshore industry
JP4886623B2 (ja) 破壊評価方法
Ng et al. A Holistic Approach to Life Extension of Fixed Offshore Platforms in Malaysian Waters
Garbatov et al. Influence of steel strength on the fatigue reliability of welded structural components
André Structural robustness: A revisit
Holicky et al. Structural assessment of heritage buildings
Lepikhin et al. Defects assessment in subsea pipelines by risk criteria
JP2007225387A (ja) 原子炉構造物の溶接部における疲労特性予測の方法、そ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Zou et al. A probabilistic approach for joint optimization of fatigue design, inspection and maintenance
Garmbis et al. A Fracture Mechanics-Based Feasibility Study of Damped Steel Catenary Risers for Pre-Salt Field Developments
Opabola et al. Repairability-based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Nessim et al. Reliability-based limit states design for onshore pipelines
Gossard et al. Evaluating dents with metal los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Nonaka Residual life evaluation and repair procedures for high temperature boiler piping
Rudland et al. Natural Flaw Shape Development Due to Stress Corrosion Cracking
Anselmi et al. A Regulatory Approach to Accelerated Deployment for New Material or Applications in Advanced Reactors
Heckmann et al. Integrity assessment of piping with the PROST c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