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071A -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071A
KR20230060071A KR1020210144321A KR20210144321A KR20230060071A KR 20230060071 A KR20230060071 A KR 20230060071A KR 1020210144321 A KR1020210144321 A KR 1020210144321A KR 20210144321 A KR20210144321 A KR 20210144321A KR 20230060071 A KR20230060071 A KR 20230060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rotating shaft
fixing plate
fixed
syring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철
이승복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4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071A/ko
Publication of KR2023006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9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spiration or dispense of liquids
    • G01N2035/1025Fluid level sen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2035/1027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 G01N2035/1034Transferring microquantities of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 액체시료 준비에 대한 재현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액체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용성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일 지점에서 회전축과 나사결합된 형태를 이루며,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되는 회전축 이동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피스톤;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축 이동체와 연결되며, 회전축 이동체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시 회전축 이동체와 함께 이동되는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되는 주사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하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액체시료 장입이 가능하며, 구동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액체시료 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Vertical automatic injector for filtering liquid samples}
본 발명은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 액체시료 준비에 대한 재현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액체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용성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물질은 인체의 폐포까지 침투하여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고, 시정 장애를 일으켜 생활환경과 교통, 경제에 직간접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미세먼지 등의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화학조성 측정 및 분석에 기반하여 오염원별 기여도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분석으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on Chromatography),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TOC(Total Organic Carbon) 분석법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분석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기오염물질의 포집 및 시료 준비가 필요한데, 포집된 대기오염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을 용매에 용해시켜 시료를 준비할 수 있다. 시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필터 부스러기와 같은 이물질 및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불용성 대기오염물질을 배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시린지 필터를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용매에 대기오염물질이 혼합된 시료가 준비되면, 주사기에 시료를 장입시킨다. 주사기로의 시료 장입이 완료되면, 주사기의 입구에 시린지 필터를 장착시킨 후 주사기 내의 시료를 바이알 또는 비커에 배출시킨다. 시린지 필터는 시료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필터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이물질이 배제된 시료 즉, 용해성 대기오염물질이 포함된 시료를 준비할 수 있으며, 해당 시료를 대상으로 상술한 분석법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주사기를 이용한 시료의 장입 및 배출 과정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사람에 의해 진행된다. 따라서, 반복적인 시료 준비를 실시하는 경우 재현성 등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주사기의 용량이 커지거나 시린지 필터의 기공크기가 작을수록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시료 준비의 정확성 등이 떨어질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수평형 자동 주사기가 제시된 바 있으나 시료의 배출시 이송튜브가 구비되어야 하는 등 장치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송튜브에서의 오염 우려의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113948호(2006. 11. 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정량 액체시료 준비에 대한 재현성 및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액체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용성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일 지점에서 회전축과 나사결합된 형태를 이루며,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되는 회전축 이동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피스톤;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축 이동체와 연결되며, 회전축 이동체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시 회전축 이동체와 함께 이동되는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되는 주사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하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액체시료 장입이 가능하며, 구동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액체시료 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의 일측에 정량장입센서 및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되며, 정량장입센서와 정량배출센서는 수직선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정량배출센서가 정량장입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주사기본체가 하향 이동하여 시료의 장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정량장입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정량장입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시료 장입이 종료되며, 주사기본체가 상향 이동하여 시료의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정량배출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시료 배출이 종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일 지점에서 회전축과 나사결합된 형태를 이루며,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되는 회전축 이동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본체;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축 이동체와 연결되며, 회전축 이동체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시 회전축 이동체와 함께 이동되는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 및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되는 주사기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액체시료 장입이 가능하며, 구동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하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액체시료 배출이 가능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의 일측에 정량장입센서 및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되며, 정량장입센서와 정량배출센서는 수직선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정량장입센서가 정량배출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주사기피스톤이 상향 이동하여 시료의 장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정량장입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정량장입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시료 장입이 종료되며, 주사기피스톤이 하향 이동하여 시료의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정량배출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시료 배출이 종료된다.
프레임의 일측에 단자함이 구비되며, 단자함 내에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스위치, 제 2 구동스위치가 구비된다.
액체시료의 배출시 주사기본체의 입구에 액체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는 시린지 필터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불용성 물질이 배제된 정량의 액체시료를 준비함에 있어서 재현성과 정확성을 일관되게 구현할 수 있어 액체시료를 기반으로 한 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수평형 자동주사기에 대비하여 고용량의 액체시료를 준비할 수 있음과 함께 액체시료의 오염이 유발될 수 있는 이송튜브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의 사시도.
도 2a 및 도 3a는 액체시료의 장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및 사진.
도 2b 및 도 3b는 액체시료의 배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및 사진.
본 발명은 분석대상물질이 포함된 액체시료를 준비함에 있어서 액체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의 불용성 물질을 걸러냄과 함께 정량의 액체시료를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는 자동주사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TOC 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불용성 물질이 배제된 액체시료가 요구되는데, 본 발명은 불용성 물질이 배제된 액체시료를 자동 방식으로 정량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는 프레임(1), 구동모터(110), 회전축(120), 회전축 이동체(130),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140),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 주사기본체(12) 및 주사기피스톤(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은 제반 구성요소의 장착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모터(110)는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인가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주사기본체(12)의 시료 장입 또는 주사기본체(12)로부터의 시료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회전축(120)은 구동모터(11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0)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상기 회전축(12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축(120)의 표면에는 회전축 이동체(13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나사선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 이동체(130)는 회전축(120)의 일 지점에서 회전축(120)과 나사결합된 형태를 이루며, 회전축(120)의 회전시 회전축(120)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120)의 정회전시 회전축 이동체(130)는 회전축(120)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되고, 회전축(120)의 역회전시에는 회전축 이동체(130)는 회전축(120)의 나사선을 따라 하향 이동된다.
구동모터(110)의 동작에 따른 회전축(120)의 회전은 회전축 이동체(130)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회전축 이동체(130)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은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주사기본체(12)로의 시료 장입 또는 주사기본체(12)로부터의 시료 배출을 가능하게 한다.
통상의 주사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주사기 역시 주사기본체(12)와 주사기피스톤(11)으로 구성되고, 주사기피스톤(11)과 주사기본체(1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주사기본체(12)로의 시료 장입이 진행되고 주사기피스톤(11)과 주사기본체(12)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주사기본체(12) 내의 시료가 배출되는 동작이 진행되는데, 본 발명 실시예의 경우 주사기피스톤(11)은 고정시킨 채 주사기본체(12)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시료의 장입 및 배출 동작을 진행시킨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프레임의 일 지점에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140),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가 이격되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140)가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주사기피스톤(11)은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140)의 일측에 고정되고, 주사기본체(12)는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 때,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140)는 프레임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이룸에 반해,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는 샤프트(160)를 매개로 회전축 이동체(130)와 연결된 형태를 이루어 회전축 이동체(130)의 상하 이동시 함께 상하 이동된다. 즉, 주사기피스톤(11)은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140)와 프레임에 의해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는 반면, 주사기본체(12)는 회전축 이동체(1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구조를 이루며, 이에 따라 주사기본체(12)의 상하 이동에 의해 시료의 장입 동작 또는 시료의 배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기피스톤(11)의 완전 고정 및 주사기본체(12)의 상하 이동의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그 반대 구조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일 위치에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와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를 각각 구비시킨 상태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는 프레임에 완전히 고정시키는 반면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는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축 이동체와 연결되도록 하여 회전축 이동체의 상하 이동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 또한 상하 이동되도록 하여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피스톤의 상하 이동을 통해 주사기본체로의 시료 장입 또는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시료 배출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사기본체(12)의 상하 이동 또는 주사기피스톤(11)의 상하 이동에 의해 시료의 장입 또는 배출이 진행되는데, 정량의 액체시료를 장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해 프레임의 일측에는 정량장입센서(172) 및 정량배출센서(171)가 구비된다. 정량장입센서(172)와 정량배출센서(171)는 수직선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정량배출센서(171)가 정량장입센서(172)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정량장입센서(172)와 정량배출센서(171)는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의 상하 이동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주사기피스톤(11)이 상하 이동되는 방식에서는 정량장입센서(172)가 정량배출센서(171)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정량장입센서(172)와 정량배출센서(171)가 구비된 상태에서, 주사기본체(12)가 하향 이동하여 시료의 장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가 정량장입센서(172)가 구비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정량장입센서(172)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12)로의 시료 장입이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액체시료의 정량 장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사기본체(12)가 상향 이동하여 시료의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가 정량배출센서(171)가 구비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정량배출센서(171)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12)로부터의 시료 배출이 차단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액체시료의 정량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정량배출센서(171)와 정량장입센서(172) 각각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액체시료의 장입량 또는 액체시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의 일측에는 단자함(180)이 구비되며, 단자함(180) 내에는 구동모터(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구동모터(1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구동모터(1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스위치, 제 2 구동스위치가 구비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의 동작은 크게 주사기본체(12)로의 시료 장입 동작과 주사기본체(12)로부터의 시료 배출 동작으로 구분된다.
먼저, 액체시료의 장입 동작은 다음과 같다.
액체시료가 비커에 준비되고 주사기본체(12)의 입구가 비커의 액체시료가 잠겨 있는 상태에서, 단자함(180)에 구비된 제 1 구동스위치를 누르면 구동모터(110)가 제 1 방향 회전 예를 들어, 정회전으로 구동된다. 구동모터(110)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110)에 연결된 회전축(120) 역시 정회전되며, 회전축(120)에 결합된 회전축 이동체(130)는 회전축(120)의 정회전시 회전축(120)의 나사선을 따라 하향 이동된다. 이 때, 회전축 이동체(130)의 일측에는 샤프트(160)를 매개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가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해 회전축 이동체(130)의 하향 이동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 역시 하향 이동된다. 또한, 주사기피스톤(11)이 고정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140)가 프레임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의 일측에 주사기본체(12)가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의 하향 이동시 주사기본체(12) 역시 함께 하향 이동되며, 이에 따라 주사기피스톤(11)과 주사기본체(1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현상에 의해 액체시료가 주사기본체(12)로 장입되는 과정이 진행된다(도 2a 및 도 3a 참조).
상기의 과정으로 액체시료의 장입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가 정량장입센서(172)가 구비된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어 정량장입센서(172)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액체시료의 장입은 종료된다.
다음으로, 액체시료의 배출 동작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액체시료의 배출 동작은 주사기본체(12)에 시료가 장입된 상태에서 진행되며, 주사기본체(12)의 입구에 시린지 필터(12a)가 장착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시린지 필터(12a)는 액체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주사기본체(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불용성 물질이 걸러진 액체시료를 담기 위한 비커가 준비된 상태에서, 단자함(180)에 구비된 제 2 구동스위치를 누르면 구동모터(110)가 제 2 방향 회전 예를 들어, 역회전으로 구동된다. 구동모터(110)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110)에 연결된 회전축(120) 역시 역회전되며, 회전축(120)에 결합된 회전축 이동체(130)는 회전축(120)의 역회전시 회전축(120)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된다. 회전축 이동체(130)의 상향 이동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와 함께 주사기본체가 또한 상향 이동되며 이에 따라, 주사기본체(12)의 액체시료는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도 2b 및 도 3b 참조).
상기의 과정으로 액체시료의 배출 동작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150)가 정량배출센서(171)가 구비된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어 정량배출센서(171)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11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액체시료의 배출은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시료의 장입 및 배출 동작을 통해, 불용성 물질이 배제된 액체시료를 자동 방식으로 정량 준비할 수 있다.
11 : 주사기피스톤 12 : 주사기본체
12a: 시린지 필터
110 : 구동모터 120 : 회전축
130 : 회전축 이동체 140 :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
150 :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 160 : 샤프트
171 : 정량배출센서 172 : 정량장입센서
180 : 단자함

Claims (6)

  1.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일 지점에서 회전축과 나사결합된 형태를 이루며,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되는 회전축 이동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피스톤;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축 이동체와 연결되며, 회전축 이동체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시 회전축 이동체와 함께 이동되는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되는 주사기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하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액체시료 장입이 가능하며, 구동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액체시료 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일측에 정량장입센서 및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되며, 정량장입센서와 정량배출센서는 수직선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정량배출센서가 정량장입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주사기본체가 하향 이동하여 시료의 장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정량장입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정량장입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시료 장입이 종료되며,
    주사기본체가 상향 이동하여 시료의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가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정량배출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시료 배출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3. 프레임;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원 인가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회전축;
    회전축의 일 지점에서 회전축과 나사결합된 형태를 이루며,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축의 나사선을 따라 상향 이동하거나 하향 이동되는 회전축 이동체;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
    주사기본체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주사기본체;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축 이동체와 연결되며, 회전축 이동체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시 회전축 이동체와 함께 이동되는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 및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며,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함께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되는 주사기피스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정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상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액체시료 장입이 가능하며, 구동모터의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축 이동체 및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하향 이동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액체시료 배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일측에 정량장입센서 및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되며, 정량장입센서와 정량배출센서는 수직선 상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정량장입센서가 정량배출센서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주사기피스톤이 상향 이동하여 시료의 장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정량장입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상승하여 정량장입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의 시료 장입이 종료되며,
    주사기피스톤이 하향 이동하여 시료의 배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주사기피스톤 고정플레이트가 정량배출센서가 구비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정량배출센서와 맞닿게 되면 구동모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주사기본체로부터의 시료 배출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일측에 단자함이 구비되며, 단자함 내에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구동모터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을 인가하는 제 1 구동스위치, 제 2 구동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액체시료의 배출시 주사기본체의 입구에 액체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는 시린지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KR1020210144321A 2021-10-27 2021-10-27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KR202300600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321A KR20230060071A (ko) 2021-10-27 2021-10-27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321A KR20230060071A (ko) 2021-10-27 2021-10-27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071A true KR20230060071A (ko) 2023-05-04

Family

ID=8638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321A KR20230060071A (ko) 2021-10-27 2021-10-27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0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948A (ko) 2003-11-18 2006-11-03 쎄2 디아그노스띠끄 액체 분석, 특히 혈액 분석을 위한 자동 기계용 주사기블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948A (ko) 2003-11-18 2006-11-03 쎄2 디아그노스띠끄 액체 분석, 특히 혈액 분석을 위한 자동 기계용 주사기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489C (zh) 分析系统
DE60305230T2 (d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Ausrichten eines Mess-Systems für einen klinischen Analysator
DE602004012187T2 (de) Automatischer Analysator
CN109612799B (zh) 载玻片自动分析仪
CN105543089A (zh) 一种磁珠法核酸提取装置及方法
EP3175248A2 (de) Anordnung zur vorbereitung einer vielzahl von proben für ein analytisches verfahren
CN1582191A (zh) 提取装置与化学分析装置及化学分析方法
CN104773544A (zh) 一种测试卡自动输送装置
US7530258B2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amples for an analyzer and sample preparation station therefor
JP3295014B2 (ja) 液体試料中の成分物質の自動抽出装置および液体試料中の成分物質の自動濃度測定装置
CN218878032U (zh) 一种样本盒、样本分析仪
CN210815328U (zh) 用于食品安全检测的移液装置
KR20230060071A (ko) 수직형 액체시료 필터링 자동주사기 장치
EP0397699A4 (en) Automated capillary electrophoresis apparatus
DE102014110684A1 (de) Anordnung zur Vorbereitung einer Vielzahl von Proben für ein analytisches Verfahren
CN204643245U (zh) 一种测试卡自动输送装置
US3726144A (en) Synchronously programmed sample dilutor apparatus
CN106501538B (zh) 一种试剂加注系统
CN206292244U (zh) 一种试剂加注系统
KR101587975B1 (ko) 자동 세포 도말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3546946A (en) Fluid sample selector
WO200907138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freisetzung und messung von wirkstoffen aus einer arzneizubereitung
CN106442026B (zh) 基于纳米功能材料的七工位采样转盘式重金属富集采样及预处理系统
DE60217469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und testen einer biologischen probe
CN205809087U (zh) 全自动检测装置及具有该装置的生殖道分泌物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