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577A -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577A
KR20230059577A KR1020210143897A KR20210143897A KR20230059577A KR 20230059577 A KR20230059577 A KR 20230059577A KR 1020210143897 A KR1020210143897 A KR 1020210143897A KR 20210143897 A KR20210143897 A KR 20210143897A KR 20230059577 A KR20230059577 A KR 20230059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standard treatment
candidates
guideline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812B1 (ko
Inventor
송민석
이덕상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81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eth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은 특정 질환에 대한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를 위한 단말들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 계약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질환에 대한 해당 병원의 오더들의 내용 및 각 오더들의 횟수를 포함하는 오더(order)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오더 정보를 구성하는 개별 오더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사용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개별 오더별 사용 횟수를 이용하여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및 해당 후보들 각각에 대한 매칭율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에 대한 합산된 매칭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들이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매칭율 정보를 기준으로 최종적인 표준진료지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CLINICAL PATHWAY DESIGN METHOD USING SMART CONTRACT}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표준진료지침을 생성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 정보는 환자들의 건강에 관련된 정보이며 동시에 개인 정보이기에 안전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는 법적인 규제를 통해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표준진료지침(clinical pathway, CP)이란 환자들이 받는 진료, 약제 등을 지침화하여 표준화한 것을 의미한다. 표준진료지침은 진료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시키며 환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런 장점들로 인해, 보건복지부에서는 다빈도 질환 대상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여 지역 병원, 민간 의료원에 보급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34062호
의료 분야는 법적인 규제로 인해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고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새로운 의료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개인 정보 노출 없이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 노출 없이 각 병원들의 필수적 정보를 수집하여 각 병원이 해당 질환에 가장 적합한 표준진료지침을 결정하게 하고자 한다.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은 특정 질환에 대한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를 위한 단말들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 계약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질환에 대한 해당 병원의 오더들의 내용 및 각 오더들의 횟수를 포함하는 오더(order)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오더 정보를 구성하는 개별 오더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사용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개별 오더별 사용 횟수를 이용하여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및 해당 후보들 각각에 대한 매칭율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에 대한 합산된 매칭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들이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매칭율 정보를 기준으로 최종적인 표준진료지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의료 정보 유출의 문제를 해결하고, 병원에서 교환하는 메타정보와 파라미터를 모든 병원이 확인할 수 있어 표준진료지침이 정확히 개발되었는지 누구나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는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를 관리하는 스마트계약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주체들의 참여 과정의 예이다.
도 4는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오더 정보 수집 과정의 예이다.
도 5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과정의 예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이하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표준진료지침(CP)은 특정 질환에 대해 각 병원에서 적정진료를 행할 수 있도록 진료순서 및 치료시점 등을 미리 정해둔 표준화된 치료과정으로, 진료행위 및 진료행위별 시점을 도식화하여 표현될 수 있다. 즉, 표준진료지침은 특정 질환별로 마련되는데 이하 설명은 특정 질환을 한정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오더(order)는 CP를 구성하는 의사 처지 지시서 내지 지시 사항을 의미한다. 오더는 일반적으로 일련의 오더 세트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오도 세트는 수술 전후 재원 일수,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종류 및 투여 일수, 경구·주사약, 영양제, 장 준비, 퇴원약 처방 일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더 세트는 환자 처리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일련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거래할 때 중앙집중형 서버에 기록을 보관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거래 참가자 모두에게 내용을 공개하는 분산형 디지털 장부를 말한다. 블록체인에 참여한 모든 구성원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검증하고 저장함으로써 특정인의 임의적인 조작이 어렵도록 설계된 저장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분산원장(mutual distributed ledger)을 통하여 기존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기반의 인프라를 뛰어넘는 높은 보안성, 확장성 및 투명성 등을 보장한다.
거래 기록이 '블록'이라는 단위로 정리돼 시간별로 이어져 있는 것이 블록체인의 특징이다. 한 블록에는 앞의 블록과 뒤의 블록과 연결되는 연결 정보가 포함돼 있으며, 앞 블록의 내용을 변경하면 뒤에 이어지는 모든 블록을 다시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과거 블록의 내용을 조작하는 것은 어렵다.
블록체인은 분산형 원장 구조이며, 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가한 모든 사람이 모든 거래내역을 기록한 원장을 소유한다. 그렇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별도의 거래관리 기관 없이 분산화된 거래장부인 블록체인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시스템 유지비용이 적고 해킹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산 원장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일정한 트랙잭션을 요청하면, 거래 정보가 기록된 하나의 블록을 생성하여 네트워크 상의 모든 참여자에게 블록을 전송한다. 이때 각 참여자가 전송된 블록을 승인하게 되면 기존 블록체인에 거래 기록이 추가되면서 거래가 완료된다. 예컨대, 기존 블록체인에 담겨 있는 거래정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자의 과반수가 동일한 정보임을 확인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해커가 전 세계 네트워크 참여자의 블록체인을 동시에 해킹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블록체인은 각 노드에서 만든 블록의 정당성을 검토하고 네트워크 전체에서 공유하는 블록체인에 반영하기 위해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블록체인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합의 알고리즘은 PoW(Proof of Work), PoS(Proof of Stake),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등이 있다.
블록체인은 결과적으로 거래로 이루어지는 변경이 불가능한 블록으로 형성된 분산, 분배 컴퓨터 시스템이다.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하고, 따라서 블록은 그 시작부터 블록체인에 기록된 모든 거래의 기록을 생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거래는 입력 및 출력에 포함된 스크립트로 알려진 작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이는 어떻게 또는 누구에 의해 거래의 출력이 접근될 수 있는지를 특정한다.
블록체인 1.0은 디지털 통화(Digital Currency)의 발행, 유통 및 거래가 주요 기능이었다. 블록체인 2.0은 기존 비트코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을 목표로 하여 발전하고 있다. 블록체인 2.0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이더리움(Ethereum)이 있으며, 디지털통화의 기능과 더불어 비트코인의 거래 스크립트를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램 가능하게 만든 스마트 계약을 구현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도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다. 따라서 블록체인 구조는 이더리움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하 설명하는 기술에서 블록체인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스마트 계약 실행이 가능한 블록체인이면 충분하다.
도 1은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는 시스템(100)에 대한 예이다.
시스템(100)은 표준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하는 병원측의 단말들(110, 120 및 130)을 포함한다.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병원 단말을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이하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주도하는 병원의 단말(110)을 호스트 단말(100)이라고 명명한다. 또한, 표준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하는 병원의 단말(120, 130)을 참여 단말이라고 명명한다.
각 병원의 단말(110, 120 또는 130)은 병원의 EMR(Electronic Medical Record)로부터 특정 질환에 대한 오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호스트 단말(110)에 대한 EMR(105)만을 예로 도시하였다.
호스트 단말(110)이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시작하는 계약을 생성하고, 계약이 생성되면 개발 시도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모집하고, 이후 개발 시도에 참여한 각 단말은 해당 질환에 대한 오더 정보를 블록체인(150)에 저장한다.
블록체인(150)은 사전에 구축된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참여자 설정, 오더 정보 수집, 해당 질환에 대한 오더 횟수에 대한 정보 생성 등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블록체인(150)을 구성하는 하나의 노드(155)를 예로 도시하였다. 노드(155)는 컴퓨터 장치, 서버 등의 객체일 수 있다. 스마트 계약은 특정 오더들의 사용된 횟수를 기준으로 일정한 매칭율 정보를 생성하여 각 단말(110, 120, 130)에 전달하고, 각 단말(110, 120, 130)은 수신한 정보를 기반하여 최종적인 표준진료지침을 생성하게 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이 공유하는 하나의 가상머신은 일정한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일정한 동작(상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더리움 경우 블록체인이 이더리움 가상머신(Ethereum Virtual Machine, EVM)을 구성한다. EVM은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의 런타임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EVM은 블록이 보유한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다.
표준진료지침 생성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를 관리하는 스마트계약(200)에 대한 예이다.
참여자 계약(Participant Contract, PC, 210)은 인증된 병원들의 블록체인 주소(addr), 공개키 정보(pubkey)를 관리하는 계약이다. PC(210)는 주소와 공개키 외에 병원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도 해당 스마트 계약이 저장될 수 있다. PC(210)는 새로운 참여 병원을 등록하는 registerHos라는 함수를 보유할 수 있고, 이 함수는 정부 또는 공인된 인증기관을 통해서만 호출될 수 있다.
개발 시도 계약(Trial Contract, TC, 220)은 표준진료지침을 개발 시도를 관리한다. 따라서, TC(220)는 시도의 식별자(ID), 해당 개발 시도(trial)를 주최한 병원의 주소(addr_host), 대상 질병의 이름(disease), 개발 시도 후 결과로 얻어진 표준진료지침(CP), 해당 표준진료지침의 버전(version)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TC(220)는 버전 업그레이드하여 연합 개발된 표준진료지침이라면 기존 버전의 연합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할 때의 종전 시도의 ID (prevTrial)를 저장할 수도 있다.
나아가, TC(220)는 해당 개발 시도에 새로운 참여자가 참여할 수 있는 제한 시간(endTime), 해당 개발 시도가 참여자를 구하고 있는지, 오더 횟수를 병합하고 있는지, 정합율을 병합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태(state), 해당 시도의 세부적인 정보를 담을 시도 상세 계약(Trial Detail Contract)의 주소 (addr_TDC)를 저장한다.
연합 개발을 주최하려는 호스트 단말은 createTrial 함수를 통해 새로운 개발 시도를 생성할 수 있다. 연합 개발에 참여하고자 하는 다른 병원들의 단말은 engageTrial 함수를 활용해 개발 시도에 참가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은 개발 시도의 제한 시간이 경과하면 startTrial 함수를 활용해 더 이상의 병원이 참여하지 못하도록 하며 개발 시도를 시작할 수 있다. 각 병원들의 단말은 표준진료지침 개발에 필요한 오더 횟수 정보를 regOrderCount 함수를 호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 병원들의 단말은 표준진료지침 후보에 대한 매칭율 정보를 regMatchingRate 함수를 호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시도 상세 계약(Trial Detail Contract, TDC, 230)이다. TDC(230)는 개발 시도의 상세정보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TDC(230)는 병원별로 보유한 의료 정보의 개수(addr_hos - lognum), 개발 시도에 참여한 병원의 수(memNum), 오더 횟수 공유를 마친 병원의 수(orderRegNum), 매칭율 공유를 마친 병원의 수(MRRegNum), 공유한 오더의 모음(orders), 공유한 오더를 수합한 오더별 사용 횟수(order - count), CP 후보별 매칭율 정보(seqIndex - MR)을 관리한다. TDC(230)는 병원의 단말이 TC(220)의 engageTrial 호출 시, 병원 추가를 진행할 때 활용되는 addHospital 함수와 TC(220)의 regOrderCount 호출 시 오더 정보를 저장하는데 활용되는 storeOrderCount 함수를 보유한다. 또한, TDC(230)는 병원들의 단말이 TC(220)의 regMatchingRate 호출 시, 매칭율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데 활용되는 storeMR 함수를 보유한다.
도 3은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주체들의 참여 과정(300)의 예이다.
호스트 단말(110)은 연합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원하는 주최 병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이다. 호스트 단말(110)은 시도 상세 계약(TDC)을 블록체인(150)에 배포하고(depolyTDC, 301), 해당 스마트 계약의 주소(addrTDC)를 반환받는다(302).
호스트 단말(110)은 해당 TDC의 주소를 활용해 시도 계약(TC, 151)에 새로운 개발 시도를 생성한다(311). 호스트 단말(110)은 createTrial() 함수를 이용하여 개발 시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단말(110)은 본인(주최 병원)의 블록체인 주소(addrhost), 배포한 TDC의 주소(addrTDC), 표준진료지침 개발 대상인 질병 이름(disease), 개발 시도의 참여자 모집이 끝나는 시간(endTIME)을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 생성이 완료되면, 호스트 단말(110)은 시도 ID(trialID)를 반환받는다(312).
호스트 단말(110)은 참여를 원하는 참여 단말(120)에 시도 ID를 전달한다(321).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참여 단말(120) 하나를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참여 단말들에게도 동일한 과정으로 시도 ID를 전달하여 개발 시도에 참여하게 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110)은 참여 단말(120)에 시도 ID를 메일 등의 외부 채널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병원들 중 해당 질병에 대한 연합 CP 개발을 희망하는 병원(들)은 CP 개발에 참여한다. 이 경우 참여 단말(120)은 engageTrial () 함수를 호출하여 개발 시도에 참가할 수 있다(3310). 참여 단말(120)은 시도 ID(ID), 본인(참여희망 병원)의 블록체인 주소(addrhos), 본인이 보유한 데이터의 수(lognum)를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331).
TC(151)는 해당 참여의사를 받은 시점(now)이 참여 종료 시간(endTime) 전 인지 확인(check now≤endTIME)하고(341), 해당 병원이 이미 참여하고 있는지 참여자 계약(PC, 153)로부터 확인 정보(isExist())를 획득할 수 있다(351).
현재 시점이 참여 종료 시간 전이고, 참여희망 병원이 아직 시도 개발에 참여하지 않은 주체라면, TC는 해당 병원의 주소(addrhos)와 데이터 수(lognum)를 TDC에 저장(addHospital())하고(361), 저장 성공 여부를 피드백 받는다(362).
참여희망 병원이 성공적으로 개발 시도에 참여하게 되면, 참여 단말(120)은 TDC의 주소(addrTDC)를 반환받는다(371).
도 4는 표준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오더 정보 수집 과정(400)의 예이다.
호스트 단말(110)은 지속적으로 현재 시점이 참여 종료 시간(endTime) 이후(now>endTime)인지 확인한다(401).
참여 종료 시간이 경과하면, 호스트 단말(110)은 개발 시도 ID를 대상으로 startTrial () 함수를 호출하고(411), 호스트 단말(110)은 TC(151)로부터 개발 시도가 시작되었다는 이벤트(trialStartedEvent)를 수신한다(412). 또한, 참여 단말(120)도 개발 시도가 시작되었다는 이벤트(trialStartedEvent)를 수신한다(413)
호스트 단말(110)은 개발 시도 시작 이벤트를 수신하면 getOrderCount() 함수를 이용하여 본인들이 보유한 의료 정보에서 활용된 오더와 오더별 사용 횟수를 추출한다(421). 참여 단말(120)은 개발 시도 시작 이벤트를 수신하면 getOrderCount() 함수를 이용하여 본인들이 보유한 의료 정보에서 활용된 오더와 오더별 사용 횟수를 추출한다(422).
호스트 단말(110)은 regOrderCounts() 함수를 호출하여 해당 개발 시도 ID를 대상으로 해당 질환에 대한 오더들(orders) 및 각 오더의 횟수(counts)를 TC(151)에 등록한다(431). 참여 단말(120)도 regOrderCounts() 함수를 호출하여 해당 개발 시도 ID를 대상으로 해당 질환에 대한 오더들(orders) 및 각 오더의 횟수(counts)를 TC(151)에 등록한다(432).
TC(151)는 해당 개발 시도 ID에 대하여 수집한 storeOrderCounts 함수를 호출하여 추출한 오더(orders)와 오더별 사용횟수(counts)를 TDC(152)에 저장하도록 전달한다(441).
TDC(152)는 해당 인자를 보낸 단말이 참여의사를 밝힌 병원인지 먼저 확인하고, TDC(152)는 참여한 병원이 맞다면 order-count 변수에 오더별 사용횟수를 더하고 OrderRegNum을 1 증가시킨다(451). order-count 변수는 해당 질환에 대한 오더 회숫를 누적하여 보유하게 된다. OrderRegNum는 오더 정보를 보내는 참여 병원의 개수를 나타낸다.
TC(151)는 OrderRegNum이 참여의사를 밝힌 병원의 수(memNum)와 동일하다면 해당 병원의 단말에 오더 횟수 수집 종료 이벤트(orderCountCompletedEvent)를 전달한다(462 및 463). 해당 이벤트를 수신한 병원의 단말들(110 및 120)은 TDC(152)로부터 order-count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횟수가 높은 오더순으로 정렬한다(481 및 482). 이를 통해 전체 병원들에서 활용 중인 오더를 사용횟수로 정렬된 결과를 획득하게 된다.
도 4의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정렬된 오더들의 순서가 {A, B, C, D, E}라 가정 한다. 도 5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과정(500) 예이다. 병원의 단말(110 및 120)들 각각은 정렬된 최종 오더들의 순서에 따라 표준진료지침 후보를 {A} (seqIndex 1), {A, B} (seqIndex 2), {A, B, C} (seqIndex 3), {A, B, C, D} (seqIndex 4) 및 {A, B, C, D, E} (seqIndex 5)로 구분하고, 각 표준진료지침 후보에 대한 정합률(matching rate, MR)을 연산한다(501 및 502).
호스트 단말(100) 및 참여 단말(120)은 각각 계산한 표준진료지침 후보(seqIndex)들과 해당 후보에 계산된 정합율(MR)들을 인자로하여 해당 개발 시도 ID에 대한 regMRs 함수를 호출한다(511 및 512).
TC(151)는 전달받은 인자들을 TDC에 전달한다(521). 이때 TC(151)은 storeMR 함수를 호출하여 각 단말로부터 수신한 표준진료지침 후보(seqIndex)들에 대한 정합율(MR)을 전달하게 된다.
TDC(152)는 표준진료지침 후보(seqIndex)들에 대한 정합율(MR)을 전달한 단말이 개발 시도에 참여한 병원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TDC(152)는 해당 인자를 보낸 병원이 참여의사를 밝힌 병원이었는지 맞다면, seqIndex - MR에 정합율을 더하고, MRRegNum을 1 증가시킨다(522). seqIndex - MR은 표준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한 전체 병원에서 각 표준진료지침 후보에 대한 매칭율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MRRegNum는 seqIndex에 대한 정합율을 보낸 주체의 개수를 나타내게 된다.
TC(151)는 MRRegNum이 참여의사를 밝힌 병원의 수(memNum)와 동일하다면 매칭율 등록 이벤트(MRRegisteredEvent)를 병원의 단말들(110 및 120)에 전달한다(541 및 542).
해당 이벤트를 수신한 병원들의 단말들(110 및 120) 각각은 seqIndex - MR를 TDC(152)로부터 가져 온다(551 및 552). 병원들의 단말들(110 및 120) 각각은 최종적인 표준진료지침 후보에 대한 매칭율을 정렬하여 매칭률이 가장 높은 seqIndex를 도출한다(561 및 562). 예컨대, seqIndex 4의 정합율이 가장 높다고 가정하면, 해당 질환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표준진료지침에 해당하는 오더의 순서는 {A, B, C, D}가 된다.
표준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하는 병원은 전술한 스마트 계약 및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특정 질환에 대한 표준진료지침을 도출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특정 질환에 대한 표준진료지침 개발 방법 및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M, EPROM) 또는 EEPROM(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스태틱 램(Static RAM,SRAM), 다이내믹 램(Dynamic RAM,DRAM), 싱크로너스 디램 (Synchronous DRAM,SDRAM), 2배속 SDRAM(Double Data Rate SDRAM,DDR SDRAM), 증강형 SDRAM(Enhanced SDRAM,ESDRAM), 동기화 DRAM(Synclink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DRRAM) 과 같은 다양한 RAM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례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특정 질환에 대한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를 위한 단말들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표준진료지침 개발 시도 계약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질환에 대한 해당 병원의 오더들의 내용 및 각 오더들의 횟수를 포함하는 오더(order)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오더 정보를 구성하는 개별 오더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사용 횟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개별 오더별 사용 횟수를 이용하여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및 해당 후보들 각각에 대한 매칭율을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들이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에 대한 합산된 매칭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들이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매칭율 정보를 기준으로 최종적인 표준진료지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 중 호스트 단말이 상기 개발 시도의 참여를 위한 제한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오더 정보들은 상기 제한 시간이 경과한 후 수집되는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들이 전달하는 오더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개별 오더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사용 횟수를 연산하는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은 상기 개별 오더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사용 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개별 오더들을 정렬하고, 정렬된 오더의 결과를 기준으로 가능한 모든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을 결정하는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들이 전달하는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에 대한 매칭율을 취합하여,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각각에 대한 합산된 매칭율을 연산하는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은 상기 표준진료지침 후보들 중 가장 상기 합산된 매칭율 정보가 높은 후보를 상기 최종적인 표준진료지침으로 결정하는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KR1020210143897A 2021-10-26 2021-10-26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KR102549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897A KR102549812B1 (ko) 2021-10-26 2021-10-26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897A KR102549812B1 (ko) 2021-10-26 2021-10-26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577A true KR20230059577A (ko) 2023-05-03
KR102549812B1 KR102549812B1 (ko) 2023-06-29

Family

ID=8638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897A KR102549812B1 (ko) 2021-10-26 2021-10-26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8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4378A (ja) * 2010-06-30 2012-01-19 Fuji Xerox Co Ltd プログラムおよび診療支援装置
KR20120061781A (ko) * 2012-02-15 2012-06-13 주식회사 메타헬스 전자건강기록기반 진료패턴의 표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7091A (ko) * 2018-08-31 2020-03-12 주식회사 비플컨설팅 환자의 주증상과 진단 관계에 대하여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유사성 정도를 추론하여 진단 사례를 추천하는 시스템
KR20200034062A (ko) 2018-09-20 2020-03-3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사용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20210077945A (ko) * 2019-12-18 2021-06-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제안서 평가 진행 시스템 및 방법
WO2021198792A1 (ja) * 2020-03-29 2021-10-07 山本貴志 医療評価システム、医療評価方法及び医療評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4378A (ja) * 2010-06-30 2012-01-19 Fuji Xerox Co Ltd プログラムおよび診療支援装置
KR20120061781A (ko) * 2012-02-15 2012-06-13 주식회사 메타헬스 전자건강기록기반 진료패턴의 표준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7091A (ko) * 2018-08-31 2020-03-12 주식회사 비플컨설팅 환자의 주증상과 진단 관계에 대하여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유사성 정도를 추론하여 진단 사례를 추천하는 시스템
KR20200034062A (ko) 2018-09-20 2020-03-3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사용자 의료정보 제공 방법
KR20210077945A (ko) * 2019-12-18 2021-06-2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제안서 평가 진행 시스템 및 방법
WO2021198792A1 (ja) * 2020-03-29 2021-10-07 山本貴志 医療評価システム、医療評価方法及び医療評価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임정은 외 5인, 정합률을 이용한 환자 진료 데이터 기반 CP 개발 방법론, 2019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2019.04.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812B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ouk et al. Blockchain platform for industrial healthcare: Vision and future opportunities
US10541807B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care security and interoperability
JP2023018005A (ja) 一般的な計算のためのブロックチェーン
Al-Maaitah et al. E-voting syste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A survey
CN108831565B (zh) 基于区块链的中医针灸信息共识系统
WO2021129004A1 (zh) 一种基于智能合约的区块链数据访问控制方法及装置
CN108665953A (zh) 一种处方执行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18480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care security and interoperability
CN114818010B (zh) 一种基于双链结构的区块链医疗记录安全存储与共享方法
Yang et al.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contracts
Lodha et al. Healthcare system using blockchain
Swetha et al. Blockchain enabled secure healthcare Systems
CN110472979A (zh) 基于区块链的交易主客体的验证方法
US11539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care security and interoperability
KR102549812B1 (ko) 스마트 계약을 이용한 표준진료지침 생성 방법
Feng et al. NHS big data intelligence on Blockchain applications
Alamir et al. M-Blocks (Medical Blocks): A blockchain based approach for patient record management using IBM Hyperledger
Eltabakh et al. Blockchain for Healthcare Systems: Concept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Trends
Gautam et al. Blockchain for secure and proper management of medical data and records
Feng A Desig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based on Permissioned Blockchain
KR102531929B1 (ko) 개인 정보 보안 강화된 블록체인 기반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vanna Blockchain in healthcare
Pandey et al. Blockchain Architecture and Policy for Transforming Healthcare Industry
Studer et al. Blockchain technology in healthcare systems
da Silva Sendin et al. Towards reliable and transparent vaccine phase III trials with smart con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