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240A -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 - Google Patents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240A
KR20230059240A KR1020210143214A KR20210143214A KR20230059240A KR 20230059240 A KR20230059240 A KR 20230059240A KR 1020210143214 A KR1020210143214 A KR 1020210143214A KR 20210143214 A KR20210143214 A KR 20210143214A KR 20230059240 A KR20230059240 A KR 2023005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ilm
heating pad
ve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to KR102021014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240A/ko
Publication of KR2023005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열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발열 패드의 제조방법에 특징이 있어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안전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상승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름(100)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1과정),
발열체의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2과정),
상기한 필름(100)에 도막을 인쇄하는 과정(3과정),
상기의 도막이 인쇄된 필름(100)에 발열체의 재료를 도막이 인쇄된 형태대로 도포하는 과정(4과정),
절연 필름(100-1)에 접착제(101)를 도포하여 발열체의 재료가 도포된 절연 필름(100) 위에 부착시켜 결합하여 필름 히터(200)를 형성하는 과정(5과정),
상기에서 제조된 필름히터(200)에 온도조절장치(300)를 탑재하는 과정(6과정),
상기에서 필름히터(200)를 라미네이션 과정(7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의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온열패드(4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의한 온열패드(400)를 조끼(500)에 부착하여 제조한 온열조끼(10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a Heating pad manufacturing method using film heater and the heating pad and the heating vest}
본 발명은 온열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발열 패드의 제조방법에 특징이 있어 사용자의 체온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안전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상승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추운 겨울철에는 두꺼운 겨울철 의류를 착용하여 체온을 보온하였으며, 이러한 겨울철 의류는 순모 등의 섬유사를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이로써 겨울철 의류는 상당한 중량감을 갖는 의류로 제조될 수밖에 없어 높은 활동성이 요구되는 상황의 착용자 에게나 그러한 성격을 갖는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는 착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경찰 공무원이나 군인, 환경 미화원 등 추운 실외에서 장시간 근무해야 하는 직업을 갖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경우 혹은 겨울철 실외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착용하는 경우 등에는 무겁고 부피가 커서 활동성이 떨어지는 겨울철 의류는 적합하지 않으며, 충분한 보온감을 부여하기에도 부족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특허문헌 1(등록실용신안 제0262730호20020118등록.)에서 면상발열체를 내장시킨 패드를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방한복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발열패드가 제안된 바 있으나, 패드를 겨울철 의복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착용감이 좋지 못하고 무게감이 느껴져 활동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공개실용신안 제2007-0001138호 20071029공개.)에서 겨울철에 입는 조끼 안쪽 수납주머니에 발열 핫팩을 넣고 따뜻하게 입을 수 있어 겨울철 추위로부터 신체를 보호하여 혈액순환과 온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열조끼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타입은 옷으로 입는 형태의 발열조끼로서 착용자의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불편하게 될 수밖에 없으며, 입는 사람의 체형별로 다양한 크기의 조끼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도 떨어지며 체형이 맞지 않는 경우 활동성이 더욱 악화되고, 장시간 착용시 더러워질 수밖에 없지만 열선, 충전지 등이 조끼 속에 내장되어 있어 이를 세탁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열 조끼(온열 조끼)가 다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특히 최근에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여 얇은 두께로 제작함은 물론 적은 전류로 고온을 발생시키며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충전지에 의해 작동하면서 이동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온열조끼는 일반적으로 외피 내측에 열선 등의 히팅부재가 내장되고, 그 히팅부재의 하부로는 보온을 위한 스폰지 등의 보온부재가 구비되며, 외피의 하부에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히팅부재를 발열시킬 수 있도록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그 형태는 조끼식으로 입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다.
그러나 면상 발열체를 온열조끼 등과 같이 인체와 직접 접촉하여 사용되는 전열기구에 사용할 때는 안전사고 및 화재의 위험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도 일정온도를 유지하고 그 이상 상승되는 것을 막아 과열을 방지할 필요성 있는데, 종래의 면상 발열체는 바이메탈을 사용하여 온도조절 효과를 얻고 있어 그 구조가 복잡하므로 생산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바이메탈이 불량인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이메탈을 이용한 종래의 면상발열체는 유연성이 없어 온열조끼 등과 같이 부드럽고 유연하며 입체적인 인체를 감싸는 제품에 적용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열선을 직접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를 방출하게 되어 인체에 해롭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상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온열조끼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온열조끼의 제조과정 및 제조비용이 높고, 최종제품의 부피 및 무게가 상승하게 되어 운반, 보관, 사용에 있어 그 불편함이 상당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관련된 기술로 한국등록실용 등록번호 10-1844053호(원적외선 온열 조끼, 선행기술 1)는 "전면 수납부 개폐 수단(11)에 의하여 개폐되는 전면 수납부(12)와 전면 하단에 구비되는 전면 벨크로(13)로 구성되는 전면부(10);와 후면 수납부 개폐 수단(21)에 의하여 개폐되며 내부에 발열 패드(23)가 내장되는 후면 수납부(22)와 하단 양측에 구비되며 말단에 벨트 벨크로(24)가 구비되는 벨트(25)로 구성되는 후면부(20);와 상기의 전면부(10)와 후면부(2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는 어깨 벨트(30); 및 전면 수납부(12)에 내장되는 배터리(46)에 의하여 발열 패드(23)에 전원 공급 및 전원 차단을 수행하며 전면 수납부(12) 상측에 구비되는 전원 스위치(42)로 구성되는 전원부(40);로 구성되며, 상기의 전원부(40)는 전원 스위치(42)가 전면부(10)에 내장되는 PCB(41)와 연결되고 상기의 PCB(41)와 결합하며, 케이블 권취수단(44)에 의하여 길이가 조절되며, 말단에 잭(45)이 구비되어 각각 발열 패드(23) 및 배터리(46)와 탈착되는 전원 케이블(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온열 조끼"를 제공한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온열조끼는 온열패드를 이용한 것으로서 온열패드는 전원(배터리나 전기)을 가할 경우 일정 온도 열이 발생하여 이를 이용하여 옷이나 조끼, 목덜이, 귀마개, 손장갑, 양말, 복대, 무릎담요, 침낭, 침대매트, 이불, 산업용 보온재, 영하20도이하의 배터리 보호팩, 배전반 보호 용도 등 매우 많은 활용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겨울 난방 옷 제품중에 발열조끼나 발열패딩이 점차 필수품으로 시장에
서 판매되고 새로운 트랜드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온열패드는 구리선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이 있었고, 온도조절기 빈번한 고장이 발생하며, 온도조절기와 발열부가 별도로 연결되어 구조가 복잡하며 특히 온도가 낮아(체감 30도 이하) 온열 효과가 매우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한 온열패드를 이용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온열조끼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온열조끼의 제조과정 및 제조비용이 높고, 최종제품의 부피 및 무게가 상승하게 되어 운반, 보관, 사용에 있어 그 불편함이 상당하였으며, 특히 온열패드의 사용에 따른 고장 및 안정성에 문제가 많았으며 전원의 열전환 효율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경우 온열조끼는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솜이나 깃털 등을 내부에 삽입하여 보온유지를 얻게 됨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종래의 조끼는 야외에서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비교적 부피가 커 활동이 불편함은 물론 우수한 보온 효과를 얻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의 발열조끼는 발열선으로 연결되어 이물감이 있고 특정 부위만 보온되어 균일한 보온에 대한 체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세탁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온도조절이 되지 않아 저온 화상의 염려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 구리선을 이용한 온열패드보다 안정과 내구성 실용성이 현저히 높은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온열조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름(100)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1과정),
발열체의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2과정),
상기한 필름(100)에 도막을 인쇄하는 과정(3과정),
상기의 도막이 인쇄된 필름(100)에 발열체의 재료를 도막이 인쇄된 형태대로 도포하는 과정(4과정),
절연 필름(100-1)에 접착제(101)를 도포하여 발열체의 재료가 도포된 절연 필름(100) 위에 부착시켜 결합하여 필름 히터(200)를 형성하는 과정(5과정),
상기에서 제조된 필름히터(200)에 온도조절장치(300)를 탑재하는 과정(6과정),
상기에서 필름히터(200)를 라미네이션 과정(7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의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온열패드(4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의한 온열패드(400)를 조끼(500)에 부착하여 제조한 온열조끼(1000)를 제공한다.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온열패드는 구리선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화상의 위험이 있었고, 온도조절기 빈번한 고장이 발생하며, 온도조절기와 발열부가 별도로 연결되어 구조가 복잡하며 특히 온도가 낮아(체감 30도 이하) 온열 효과가 매우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온열패드는 SUS304/구리/알루미늄 분말 조성물을 이용한 에칭 방법으로 필름히터를 제조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온열조끼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온열조끼의 제조과정 및 제조비용이 높고, 최종제품의 부피 및 무게가 상승하게 되어 운반, 보관, 사용에 있어 그 불편함이 상당하였으며, 특히 온열패드의 사용에 따른 고장 및 안정성에 문제가 많았으며 전원의 열전환 효율이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온열패드를 이용한 온열조끼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의 경우 온열조끼는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솜이나 깃털 등을 내부에 삽입하여 보온유지를 얻게 됨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종래의 조끼는 야외에서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비교적 부피가 커 활동이 불편함은 물론 우수한 보온 효과를 얻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온열패드를 이용한 온열조끼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발열조끼는 발열선으로 연결되어 이물감이 있고 특정 부위만 보온되어 균일한 보온에 대한 체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세탁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온도조절이 되지 않아 저온 화상의 염려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온열패드를 이용한 온열조끼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히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가 연결선에 의하여 전원부에 연결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온도센싱부와 온도조절장치가 필름히터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온열패드의 구조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온열패드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조끼에 온열패드가 적용되어 형성된 온열조끼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팔름 제조 공정과 히터부 제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온열패드(4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온열패드(400)를 적용한 온열조끼(10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먼저 필름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1과정)
본 발명의 필름은 발열체를 앞 뒤로 감싸서 절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절연 필름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필름은 필름원단을 합지, 슬리팅, 라미네이션(lamonation), 펀칭(punching), 검사, 후공정, 특성평가(외관검사(치수, 이물 등)) 등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어 준비하게 된다.
상기한 필름 원단의 재료는 PI, PC, P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열체의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2과정)
상기한 발열체의 재료는 하기할 발열체를 형성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발열체의 재료가 구리/탄소의 구조로 된 것이 아니라 SUS304/구리/알루미늄 분말 조성물로 되어 종래의 구리/탄소의 구조로 된 것의 발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화재, 화상 위험으로 발열체 온도 65도 이하로 제작 되었지만 체감 온도는 30도 수준으로 낮았는바 본 발명은 SUS304/구리/알루미늄 분말 조성물로 되어 신속한 발열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다양한 발열체와 절연 구조 조합으로 용도에 맞게 제작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SUS304/구리/알루미늄 조성물은 SUS304(스테인레스) 분말, 구리 분말, 알루미늄의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한 분말 또는 paste 형태로 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름(100)에 도막을 인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3과정)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름히터(200)는 발열체(110)의 하부에 도막이 인쇄되는 절연 필름(100)이 있고 상부에는 절연 필름(100-1)이 적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하부의 절연 필름에 발열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도막을 인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도막이 인쇄된 필름(100)에 발열체의 재료를 도막이 인쇄된 형태대로 도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4과정)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체의 재료는 분말 또는 paste로 되어 있고 필름(100)에 인쇄된 도막이 발열체의 형태로 되어 있어서 발열체의 재료를 이 형태대로 도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발명은 절연 필름(100-1)에 접착제(101)를 도포하여 발열체의 재료가 도포된 절연 필름(100) 위에 부착시켜 결합하여 필름 히터(200)를 형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
본 발명은 절연 필름(100-1)에 접착제(101)를 도포하여 발열체의 재료가 도포된 하부의 절연 필름(100) 위에 부착하여 압력과 열을 가하여 결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1)
상기한 접착제(101)는 아크릴릭(acrylic), 실리콘, 에폭시, PI, PTFE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정으로 발열체의 재료가 발열체(110)로서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발열체(110)가 발열체의 재료가 구리/탄소의 조합으로 된 것이 아니라 SUS304/구리/알루미늄 조합으로 되어 종래의 구리/탄소의 조합으로 된 것의 발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화재, 화상 위험으로 발열체가 온도 65도씨 이하로 제작 되었지만 체감 온도는 30도씨 수준으로 낮았는바 본 발명은 SUS304/구리/알루미늄 조합으로 되어 신속한 발열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다양한 발열체와 절연 구조 조합으로 용도에 맞게 제작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열체(110)의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열선은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반해 본 발명의 발열체는 면상체로 되어 면상발열을 하며 온도 분포의 균일성과 넓은 면 분포로 발열 특성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2과정 내지 4과정을 에칭(etching) 방법이라고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체(110)는 SUS304/구리/알루미늄 조합으로 된 재료를 에칭(etching) 공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의 구리 열선 제조에 비하여 내구성과 균일성이 현저히 높게 된다.
이와 같은 에칭공법으로 제조한 면상체의 발열체는 종래의 기술이 단순히 열선으로 제조된 발열체를 하는 것보다 현저히 높은 내구성과 균일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발열체(110)의 두께는 0.1~0.3mm 정도 바람직하게는 0.2mm정도로 매우 얇기 때문에 종래의 발열체 두께가 1mm이상인 것에 비하여 제품 이물감이 현저히 낮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한 발열체의 구조로 발열에너지 밀도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1/5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온도상승에 따른 위험성이 현저히 적어 안정성 확보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발열체의 구조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열적 내구성이 현저히 높아 필름히터가 받는 열적 스트레스가 일반적인 필름히터에 비해 1/10 정도로현저히 낮은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전선 구조가 30도씨 전후의 온도의 체감을 전달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발열체(110)의 구조는 60도씨까지 체감의 온도가 전달되는 특징이 있으며 그에 따라 30~60도씨로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필름히터(200)는 발열체(110)에 전원이 연결되면 저항으로 인하여 발열을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한 필름히터(200)는 발열체(110)가 구비되고, 발열체의 하단에 절열필름(100)있고, 상단에 절연필름(100-1)이 있고, 발열체(210)와 절연필름(100-1) 사이에 접착제(101)가 형성된 구조로서 발열체의 전원 연결부(111)에 전원 연결선(120)이 부가되어 전기를 통하면 열이 발생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열체(110)에 연결선(120)을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5과정-2)
상기한 연결 과정은 발열체의 전원 연결부(111)에 아일리쉬나 리벳을 사용하여 연결선(120)을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전원 연결부(111)와 연결선(120)이 결합한 결합부가 약하여 떨어지는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미네이션을 하거나 실링재로 코팅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내구성을 현저히 상승시킨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연결선(120)은 전원이 연결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USB 단자, 일반 코드 형태의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단자부는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부(130)로 연결되어 전원을 발열체(110)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필름히터는 가로 100~200mm, 세로 100~200mm로 형성되며 2~3A, 3~9V. 히터온도가 60도씨 정도로 올라가는 스텍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필름히터(200)에 온도조절장치(300)를 탑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6과정)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한 온도조절장치(300)의 온도센싱부(310)가 상기한 필름히터(200)의 표면에 부착되는 과정으로 제조되어 온도센싱하여 필름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센싱부(310)는 필름히터(200)의 표면에 접촉되어 있어 필름히터(200)의 온도를 직접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온도조절장치(300)도 필름히터의 일측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온도조절장치(300)는 온도센싱부(310)에서 감지한 필름히터(200)의 온도정보를 받아 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온도센싱부(310)와 온도조절장치(300)가 필름히터(200)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하여 비용과 효율 안정성을 현저히 높이게 된다.
종래의 기술의 경우 발열부와 온도조절부가 분리되는 2종 연결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온도센싱부(310)와 온도조절장치(300)가 필름히터(200)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어 비용과 효율 안정성을 현저히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필름히터(200)를 라미네이션 과정을 수행한다.(7과정)
상기한 라미네이션 과정은 상기의 과정에서 제조된 필름히터(200)를 라미네이션 재료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접착하여 적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라미네이션 과정을 통하여 온열패드(400)가 완성되게 된다.
종래기술의 라미네이션 방식은 평면 형태의 롤 라미네이팅인데 반해 본 발명의 필름히터(200) 라미네이션 과정의 기술적 특징은 진공 라미네이터를 이용한 진공 라미네이션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상기한 필름히터(200)에 일체로서 형성된 온도센싱부(310)와 온도조절장치(300)의 단차가 발생해도 라미네이션 필름이 일체화된 필름히터(200)를 완전하게 접착하여 적층되게 할 수 있는 라미네이션이 완성된다는 점이다.
상기한 진공 라미네이션 방식은
즉, 종래기술의 경우 온도조절장치(300) 및 필름히터(200)가 자주 파손되는 내구성 문제가 많았는바, 본 발명은 온도조절장치(300) 및 필름히터(200) 전체를 라미네이션 하게 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미네이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EVA 접착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종래기술의 경우 라미네이션 재료로 TPU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EVA 접착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온열패드(400)가 TPU로 된 것 보다 현저히 높은 견고함과 내구성을 지니게 된다.
도 4는 상기한 과정으로 제조된 온열패드(400)를 보여준다.
상기한 온열패드(400)는 필름히터(200)의 하부에 EVA 접착필름층(210), 상부에 EVA 접착필름층(210-1)이 형성된 형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온열패드(400)는 필름히터(200)의 하부와 상부에 EVA 접착필름을 놓고 라미네이션 장비를 이용하여 라미네이션을 수행하여 형성한다.
도 4b는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조된 온열패드(400)를 보여준다.
상기한 온열패드(400)는 천층(220-1), EVA 접착필름층(210-1), 필름히터(200), EVA 접착필름층(210), 천층(220)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온열패드(400)는 천-EVA 접착필름-필름히터(200)-EVA 접착필름-천 순서대로 놓고 진공 라미네이터장비를 활용하여 라미네이션 진행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천은 천연 또는 인공의 직물, 텍스타일, 가죽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한 온열패드(400)를 천연 또는 인공의 직물, 텍스타일, 가죽, 고분자 물질 등으로 제조한 조끼(500)에 부착하여 온열조끼(1000)를 제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8과정)
상기한 고분자 물질 등으로 제조한 조끼(500)에는 삽입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의 온열패드(400)가 삽입부에 삽입되거나 탈착되는 구조로서 온열조끼(100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조끼(500)의 재료인 고분자 물질은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고분자 물질은 PE, PVC, PP 등의 재질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로 된 조끼의 경우 형상 기억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하여 온열조끼(1000)를 착용하게 된 경우 몸에 구조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여 착용감 및 온열 전달 효율을 현저히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 100중량부에 형상 기억 조성물 0.1~5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형상 기억 조성물의 예로는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 100중량부에, 수첨된 스티렌/부타디엔 블록공중합체 80~150중량부, 폴리프로필렌계 공중합체 10~40, 폴리우레탄 2~8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온열패드(400)를 조끼(500)에 부착하여 제조한 온열조끼(1000)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온열패드(4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과 기능으로 이루어진상기한 온열패드(300)를 적용한 온열조끼(10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름히터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필름히터를 이용한 온열패드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온열패드를 이용한 온열조끼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유용하다.
하부 절연 필름(100), 상부 절연 필름(100-1),
발열체(110), 전원 연결부(111),
전원 연결선(120)
전원부(130),
필름히터(200)
온도조절장치(300)
온열패드(400),
조끼(500),
온열조끼(1000),

Claims (3)

  1. 필름(100)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과정(1과정),
    발열체의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2과정),
    상기한 필름(100)에 도막을 인쇄하는 과정(3과정),
    상기의 도막이 인쇄된 필름(100)에 발열체의 재료를 도막이 인쇄된 형태대로 도포하는 과정(4과정),
    절연 필름(100-1)에 접착제(101)를 도포하여 발열체의 재료가 도포된 절연 필름(100) 위에 부착시켜 결합하여 필름 히터(200)를 형성하는 과정(5과정),
    상기에서 제조된 필름히터(200)에 온도조절장치(300)를 탑재하는 과정(6과정),
    상기에서 필름히터(200)를 라미네이션 과정(7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2. 제1항에 의한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온열패드(400).
  3. 제2항에 의한 온열패드(400)를 조끼(500)에 부착하여 제조한 온열조끼(1000).
KR1020210143214A 2021-10-26 2021-10-26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 KR20230059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214A KR20230059240A (ko) 2021-10-26 2021-10-26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214A KR20230059240A (ko) 2021-10-26 2021-10-26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240A true KR20230059240A (ko) 2023-05-03

Family

ID=8638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214A KR20230059240A (ko) 2021-10-26 2021-10-26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2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791533U (zh) 复合物制品、制品以及服装
US20060213895A1 (en) Heater jacket
JP2019505699A (ja) 加熱可能な衣服、そのような衣服用の布、および製作の方法
JP3177287U (ja) 全天候型電熱保温ウェア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KR20230059240A (ko)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열패드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온열패드 및 온열조끼
CN101247679A (zh) 具有电热功能的纺织材料和采用该材料制造的纺织品
JPH0561361B2 (ko)
CN214759256U (zh) 一种可发热调温的军用、民用棉服
JP2008000304A (ja) 身体加温具及び加温具付衣服
CN210143857U (zh) 一种棉裤
CN207399524U (zh) 一种安全性高的功能型电热垫
CN206443241U (zh) 保暖衣裤
TWM501842U (zh) 可撓性透氣電熱構造
CN215958511U (zh) 一种具有自热功能的冬季校服
JP3103005U (ja) 保温ベストの構造
CN215775680U (zh) 一种弹性褶皱轻薄内穿的碳纤维电热护具
CN211583767U (zh) 电加热片以及使用该电加热片的热敷装置
CN107156933A (zh) 一种具有发热结构的新型保暖内衣
CN220274980U (zh) 一种持续加热型保暖服
CN211657811U (zh) 一种智能石墨烯加热床垫
KR19990035271U (ko) 건전지/충전지를사용한전열소자가내장된의류
CN210901436U (zh) 一种保暖裤
CN216627590U (zh) 一种加热围脖
KR102112612B1 (ko) 복부 온열이 가능한 앞치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