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001A -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001A
KR20230059001A KR1020210142959A KR20210142959A KR20230059001A KR 20230059001 A KR20230059001 A KR 20230059001A KR 1020210142959 A KR1020210142959 A KR 1020210142959A KR 20210142959 A KR20210142959 A KR 20210142959A KR 20230059001 A KR20230059001 A KR 20230059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dca
hsdh
keto
lca
b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규
장형욱
이은경
김우일
구탁용
Original Assignee
에이스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001A/ko
Publication of KR2023005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 co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01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NAD+ or NADP+ as acceptor (1.1.1)
    • C12Y101/011597-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1.1.1.159)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85Escherichia
    • C12R2001/19Escherichia coli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노데옥시콜린산 (Chenodeoxycholic acid; CDCA)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 (ursodeoxycholic acid; UDCA)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ursodeoxycholic acid; UDCA)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7-Keto-LCA 잔류량을 거의 남기지 않고 고농도의 케노데옥시콜린산 (Chenodeoxycholic acid; CDCA)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 (ursodeoxycholic acid; UDCA)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완성하였으며, 상기 방법은 고순도 UDCA 의약품 생산에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Recombinant vector for the conversion rate increasement of Chenodeoxycholic acid to UDCA and a method for producing UDC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노데옥시콜린산 (Chenodeoxycholic acid; CDCA)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 (ursodeoxycholic acid; UDCA)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ursodeoxycholic acid; UDCA)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르소데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UDCA)은 원발성 경화성 담관염, 담석, 직장암,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및 비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중요한 치료제로 또한 담낭 및 관련 질환의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UDCA의 대량생산과 더불어 효율적인 인공 합성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요즘은 대부분 상업용 UDCA는 에피머 케노데옥시콜릭에서 얻어지고 있으며, 주로 소와 거위, 닭의 쓸개에서 추출한 CDCA를 이용하여 화학적 에피머화 합성으로 복잡하게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학 합성은 불가피하게 유기용제 및 또는 중금속을 사용하므로 특히 경구 투여되는 치료 용도로 사용하기에 부적합성이 존재한다. 이에 최근 몇 년 동안 친환경적인 UDCA를 효소 전환 생산을 위하여 7-alpha-HSDH (7-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및 7-beta-HSDH (7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가 연구되고 있다.
7-beta-HSDH (7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에 의해 촉매되는 입체선택적 및 위치선택적 환원 반응에서 기질로 7-Keto-LCA (7-Keto Lithocholic Acid)을 이용하여 관심의 생성물인 UDCA를 생성할 때 관찰된 한 가지 단점은 50 mM (20 g/l)와 동일한 기질 농도에서도, 반응 혼합물이 완전한 겔화를 거치며, 따라서 완료될 때까지 반응 그 자체의 진행을 늦춘다는 것이다. 겔의 형성은, 담즙산 및 특히 UDCA 초분자(supramolecular) 구조를 형성하려는 자연적인 경향 및 글루코스/글루콘산 공-기질/부산물의 반응 환경의 존재 둘 다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보이며, 상기 환경은 이의 현저한 친수성에 의해, 존재하는 다른 용질 (이 경우에는 담즙산)로부터 물 분자를 제거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구조적 응집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공지의 반응 조건에서, 경제적 관점에서 허용되는 것으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UDCA는 적어도 50 - 100mM (20-40 g/l)과 동일한 출발 기질 농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환 한계를 극복하면서 고 순도의 UDCA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20-0141188 A
일 양상은 (a) 7-alpha-HSDH 또는 7-alpha-HSDH를 발현하는 세포, LDH 또는 L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를 CDCA와 반응시켜, CDCA를 7-Keto-LCA로 전환시키는 단계; (b) 7-beta-HSDH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 GDH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P를 7-Keto-LCA와 반응시켜 UDCA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잔류량의 7-Keto-LCA를 7-beta-HSDH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 GDH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P와 반응시켜 잔류량의 7-Keto-LCA를 UDCA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UDCA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1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1 균주 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2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2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3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3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4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4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UDCA의 전환 경로에 있어서 7-alpha-HSDH 및 7-beta-HSDH를 발현하는 재조합 균주를 이용하여 UDCA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고순도의 의약품 UDCA를 생산하기 위해서 40g/L 이상의 CDCA (Chenodeoxycholic acid)를 UDCA (ursodeoxycholic acid)로 효소 전환 반응을 통한 생산을 하기 위해서 침전물 여과를 통해 2회 효소 반응을 재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UDCA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a) 7-alpha-HSDH 또는 7-alpha-HSDH를 발현하는 세포, LDH 또는 L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를 CDCA와 반응시켜, CDCA를 7-Keto-LCA로 전환시키는 단계;
(b) 7-beta-HSDH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 GDH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P를 7-Keto-LCA와 반응시켜 UDCA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잔류량의 7-Keto-LCA를 7-beta-HSDH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 GDH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P와 반응시켜 잔류량의 7-Keto-LCA를 UDCA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UDCA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7 alpah-HSDH (7 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는 7-알파 탈수소효소라고도 불리며 NAD(P), 특히 NAD를 화학량론적으로 소비하면서 적어도 12-케토-CDCA의 7, 12-디케토-LCA로의 입체 특이적 및/또는 위치 특이적 산화를 촉매화하는 데히드로게나제 효소를 지칭한다. 7-alpha-HSDH는 특히 장내 균총의 유기체, 예컨대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 예컨대 클로스트리디움 아브소눔(Clostridium absonum), 클로스트리디움 소르델리이(Clostridium sordellii) (문헌 [Journal of Bacteriology, 1994, 4865-4874]), 대장균(Escherichia coli) (문헌 [Journal of Bacteriology 1991, 2173-2179]), 박테로이데스 프라길리스(Bacteroides fragilis) (문헌 [Current Microbiology, 2003, 47, 475-484]) 및 브루셀라(Brucella), 유박테리움(Eubacterium)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어 상기 미생물에 근본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7 alpha-HSDH (7 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는 E. coli에서 유래하는 genebank number (SMB28026.1)로 표기되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내거나 서열번호 2의 유전자 서열을 나타내는 효소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7-beta-HSDH (7 beta-hydroxy steroid dehydrogenase)"는 7-베타 탈수소효소라고도 불리며, 7-케토스테로이드의 상응하는 7-beta-HSDH의 입체특이적 환원 (수소화), 및/또는 7-위치에서 케토 기 및 스테로이드 구조 상에 1개 이상의 추가의 케토기를 포함하는 케토스테로이드의 상응하는 7-beta-HSDH로, 예컨대 특히 7-위치에서의 데히드로콜산 (DHCA)의 상응하는 3,12-디케토-7β-콜란산으로의 위치특이적 수소화 (환원)을 촉매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7-beta-HSDH (7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는 R. gnavas에서 유래하는 genebank number (AGN52919.1)로 표기되며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내거나 서열번호 4의 유전자 서열을 나타내는 효소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LDH (Lactate dehydrogenase)"는 피르브산과 락트산 사이의 가역 변화를 촉매하는 효소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LDH (Lactate dehydrogenase)는 Lactobacillus 속에서 유래하였으며 genebank number (WP_046306973.1)로 표기되며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내거나 서열번호 6의 유전자 서열을 나타내는 효소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GDH (glucose dehydrogenase)"는 D-포도당+NAD(P)+D-글루콘산(δ-락톤)+NAD(P)H라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GDH (Glucose dehydrogenase)는 Pshedomona 속에서 유래하였으며 genebank number(QBR31293.1)로 표기되며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내거나 서열번호 8의 유전자 서열을 나타내는 효소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CDCA (Chenodeoxycholic acid)" 케노데옥시콜린산으로 불리며 콜레스테롤로부터 간에서 합성되는 담즙산의 일종을 의미하며, 7-alpha-HSDH의 효소 활성 측정을 위한 기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7-Keto-LCA (7-Keto Lithocholic Acid)"는 인간의 장내 세균에 의한 2차 담즙산 우르소데옥시콜산 (ursodeoxycholic acid; UDCA) 합성의 중간체로서 케노데옥시콜린산 (Chenodeoxycholic acid; CDCA)에서 형성되는 중간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전자"는 유전정보를 결정하는 구조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기능 RNA(tRNA, rRNA 등)의 염기 배열을 결정하는 정보를 가지는 구조 유전자, 및/또는 구조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하는 조절유전자(예를 들면, 프로모터, 억제자(repressor), 작동유전자(operator) 등)를 포함하며, 유전자의 산물을 생성하기 위해 전사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단일가닥 쪽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7-alpha-HSDH 및 7-beta-HSDH는 그 유전자가 각각 E. coli에 도입되어 발현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7-alpha-HS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는 E. coli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7-alpha-HS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7-alpha-HS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1 BP로 기탁된 것이고, 상기 7-beta-HS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2 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7-alpha-HSDH는 농도가 0.1 내지 5 U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3 U 농도일 수 있으며, 상기 7-beta-HSDH는 농도가 0.1 내지 5 U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내지 3 U 농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LDH 또는 GDH는 그 유전자가 각각 E. coli에 도입되어 발현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L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GDH를 발현하는 세포는 E. coli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L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L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4 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고, 상기 G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3 BP로 기탁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LDH는 농도가 0.1 내지 1 U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4 내지 0.6 U 농도일 수 있으며, 상기 GDH는 농도가 0.1 내지 3 U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2 U 농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CDCA는 농도가 20 내지 50 g/L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CDCA의 농도는 20 내지 50 g/L, 20 내지 40 g/L, 20 내지 30 g/L, 30 내지 50 g/L 또는 30 내지 40 g/L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NAD는 농도가 0.1 내지 10 mM인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3 내지 0.7mM 농도일 수 있으며, 상기 NADP는 농도가 0.1 내지 1 mM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1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c)단계에서 각 반응은 20 내지 30℃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를 수행한 뒤 (c)단계 전에 산성 조건에서 UDCA를 결정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염산 등의 산성 물질에 의해 산성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잔류량의 7-Keto-LCA를 pH 6 내지 9 조건에서 7-beta-HSDH, NADP 및 GDH와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pH는 수산화나트륨 등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1회 이상 반복되는 것일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1회 내지 5회, 1회 내지 3회, 1회 내지 2회, 또는 1회 반복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DCA (Chenodeoxycholic acid)에서 UDCA (Ursodeoxycholic acid)로의 전환율이 90% 이상일 수 있으며, 90% 내지 99.9%의 전환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전환율"은 본래 특정 물질(원료)의 몰수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적 반응에 의해 다른 물질로 전환되는 본래 특정 물질(원료)의 백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1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1 균주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2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2 균주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3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3 균주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CTC 14714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4 균주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Escherichia coli ABP-1, Escherichia coli ABP-2, Escherichia coli ABP-3, 또는 Escherichia coli ABP-4 균주는 재조합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균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벡터"는 그것이 연결되어 있는 다른 핵산을 수송할 수 있는 핵산 분자를 지칭한다. 벡터는, 단일-가닥, 이중-가닥, 또는 부분적 이중-가닥인 핵산 분자; 하나 이상의 자유 말단을 포함하는 핵산 분자, 자유 말단이 없는 핵산 분자(예를 들어, 원형); DNA, RNA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 및 당업계에서 알려진 기타 다른 다양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재조합 벡터"는, 발현시키고자 하는 목적 폴리펩타이드(핵산)의 암호화 유전자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적절한 숙주 세포에서 상기 목적 폴리펩타이드를 높은 효율로 발현시킬 수 있는 목적 폴리펩타이드의 발현 벡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재조합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발현 가능할 수 있다. 숙주 세포는 원핵세포일 수 있으며, 숙주세포의 종류에 따라 프로모터(promoter), 종결자(terminator), 인핸서(enhancer) 등과 같은 발현 조절 서열,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서열 등을 적절히 선택하고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Tac promoter 및 카나마이신(kanamycin)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로모터(Promoter)"는 유전자가 언제 어디서 어느 정도 발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작용을 하는 염기서열, 즉 유전자의 발현 조절 기능을 갖는 조절영역의 일종으로, 일 구체예에 있어서, trp 및 lac 오페론의 프로모터 조합으로 생성된 합성 DNA 프로모터로서 일반적으로 대장균에서 단백질 생산에 사용되는 Tac promoter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카나마이신(kanamycin) 저항성 유전자"는 재조합 미생물이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생존할 수 있는 약물 저항성을 나타내는 유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DNA에 의하여 생물의 유전적인 성질이 변하는 것으로, 즉 생물의 어떤 계통의 세포에서 추출된 핵산의 일종인 DNA를 다른 계통의 살아있는 세포에 도입했을 때 DNA가 그 세포에 들어가서 유전형질이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전환된 대장균은 LB 배지를 포함하는 발효배지에서 30 내지 40℃에서 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 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핵산 서열로 상보적인 핵산의 주형(template)과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핵산 주형의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즉, DNA 중합효소 또는 역전사효소)을 위한 시약 및 상이한 4가지 뉴클레오타이드 트리포스페이트의 존재하에서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설계 시, 프라이머의 A, G, C, T 함량비, 프라이머 결합체(dimer) 형성 방지, 같은 염기서열의 3회 이상 반복금지 등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르며, 그 외에 단독 PCR 반응조건에 있어서 주형(template) DNA의 양, 프라이머의 농도, dNTP의 농도, Mg2+의 농도, 반응온도, 반응시간 등의 조건이 적정해야 한다.
상기의 프라이머는 기본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은 추가의 특징을 혼입할 수 있다. 즉 핵산 서열이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뉴클레오타이드의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또는 카바메이트 등의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또는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의 하전된 연결체로의 뉴클레오타이드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핵산은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시그날 펩타이드, 폴리 L 리신 등의 단백질, 아크리딘 또는 프소랄렌 등의 삽입제, 금속, 방사성 금속, 철 산화성 금속 등의 킬레이트화제 및 알킬화제 등의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공유 결합된 잔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7-Keto-LCA (7-Keto Lithocholic Acid) 잔류량을 거의 남기지 않고 고농도의 CDCA (Chenodeoxycholic acid)를 UDCA(ursodeoxycholic acid)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완성하였으며, 상기 방법은 고순도 UDCA 의약품 생산에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7-alpha-HSDH (7 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와 LDH를 첨가하여 CDCA로부터 7-Keto-LCA (7-Keto Lithocholic Acid)를 생성하는 반응 그래프로, 50 g/L의 CDCA를 사용하여 효소 전환반응을 수행한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CDCA 및 7-Keto LCA (7-Keto Lithocholic Acid)의 농도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7-alpha-HSDH와 LDH를 첨가하여 CDCA 2 mM로부터 7-Keto-LCA가 생성되는 반응에서, NAD를 농도별로 투여함에 따라 7-Keto-LCA의 생산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7-beta-HSDH 와 GDH를 첨가하여 기질인 7-Keto-LCA를 0 내지 80 g/L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7-Keto-LCA 농도별 UDCA 생산량 및 7-Keto-LCA의 농도의 변화 양상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7-beta-HSDH 와 GDH를 첨가하여 7-Keto-LCA 20 g/L 조건에서 7-Keto-LCA 로부터 UDCA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먼저 7-alpha-HSDH와 LDH를 첨가하여 CDCA 40 g/L로부터 7-Keto-LCA를 생성시킨 뒤, 여기에 7-beta-HSDH와 GDH를 첨가하여 7-Keto-LCA가 UDCA로 전환되는 1차 UDCA 반응을 수행한 뒤, 이를 다시 염산을 이용해서 침전시키고 다시 7-beta-HSDH와 GDH를 첨가하여 2차 UDCA 반응을 수행하는 동안 UDCA 생산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를 20 g/L 7-Keto-LCA에서 UDCA가 생산되는 그래프와 양상을 비교하여 표기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방법>
1-1. UDCA (Ursodehydroxycholic acid)을 생산하는 유전자 발현 벡터 및 형질전환 세포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UDCA를 고효율로 생산하는 발현 벡터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에 발현 벡터구축을 위한 E. coli 유래의 7-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유전자와 R. gnavas의 7-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를 각각 발현 벡터에 클로닝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재조합 균주를 만들기 전에 pCDFduet-1 벡터의 엠피실린 카세트를 카나마이신 카세트로 교체하기 위하여 all vector-F, 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5 High-Fidelity DNA Polymerase (NEB, 미국) DNA 중합효소를 사용하였다. 조건은 98 ℃에서 10초간, 55 ℃에서 30초간, 72 ℃에서 유전자 크기 1kb당 30초간 반응을 설정하여, 상기 사이클(98 ℃에서 10초간, 50 ℃에서 30초간, 72 ℃에서 유전자 크기 1kb당 30초간 반응)을 30회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72 ℃에서 5분간 반응시키는 조건으로 벡터 전체를 Reverse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를 남아있는 주형 벡터를 제거하기 위해서 DpnI (NEB, 미국)효소 처리를 37 ℃에서 1시간 수행하였으며, 카나마이신 카세트를 Kanamycin-F, 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GXL DNA 중합효소 (타카라사, 일본)를 이용하여 98 ℃에서 30초 동안 반응시키고, 98 ℃에서 10초간, 50 ℃에서 30초간, 72 ℃에서 유전자 크기 1kb당 30초간 반응을 설정하여, 상기 사이클(98 ℃에서 10초간, 50 ℃에서 30초간, 72 ℃에서 유전자 크기 1kb당 30초간 반응)을 30회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72 ℃에서 5분간 반응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Reverse PCR 반응한 벡터와 카나마이신 카세트를 In Fusion HD Enzyme (타카라, 일본)을 이용하여 in-fus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였다.
발현에 사용할 벡터를 제작하기 위해 대장균용 발현벡터인 pCDFDuet-1를 사용하였다. 상기 벡터에 존재하는 T7 promoter를 Tac promoter로 치환하기 위해 hangover PCR을 응용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사용한 프라이머인 F_Tac_overhang 및 R_Tac_overhang은 서열번호 21 그리고 22에 있는 서열로 제작하여 진행하였다. 벡터를 제작하기 위해 DNA Polymerase (Q5® High-Fidelity DNA Polymrase, NEB)를 제조사에서 제공한 방법대로 사용하였으며, annealing 온도를 60 ℃로 하여 PCR을 진행하였다. 이후 원본 벡터인 pCDFDuet-1을 제거하기 위해 37 ℃조건에서 DpnI을 1시간 처리하였으며, 이후 clonning host인 E. coli DH5α에 삽입한 후 제작한 벡터를 증폭하여 이용했다. 이를 pCDFduet-1-Tac-Kan으로 명명하였다.
이에 발현 벡터구축을 위한 E. coli 유래의 7-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유전자와 R. gnavas의 7-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를 각각 pCDFduet-1-Tac-Kan에 클로닝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전자를 프라이머 7-alpha-HSDH-F, R과 7-beta-HSDH F, R을 이용하여 GXL DNA 중합효소 (타카라사, 일본)를 이용하여 98 ℃에서 30초 동안 반응시키고, 98 ℃에서 10초간, 50 ℃에서 30초간, 72 ℃에서 유전자 크기 1kb당 30초간 반응을 설정하여, 상기 사이클(98 ℃에서 10초간, 50 ℃에서 30초간, 72 ℃에서 유전자 크기 1kb당 30초간 반응)을 30회 수행하고, 마지막으로 72 ℃에서 5분간 반응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pCDFduet-1벡터를 NcoI 및 BamHI으로 절단한 후 도입하여 재조합 벡터들을 제조하였다. In-Fusion 방법을 이용하여 UDCA 관련 유전자들을 클로닝하였고, In-Fusion 클로닝 방법은 In Fusion HD Enzyme (타카라, 일본)을 이용하였다. UDCA 생산 관여 재조합 균주 제작을 위해 사용된 프라이머들은 하기 [표 1]에 정리하였으며, 하기 프라이머와 유전자 정보는 [서열번호]에 표기하였다. Glucose dehydrogenase(GDH), Lactate dehyderogenase(LDH)와 이의 발현 유전자 벡터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염기서열 제한효소
7-alpha-HSDH 7-alpha-HSDH-F ataaggagatataccATGTTTAATTCTGACAA (서열번호 9) NcoI
7-alpha-HSDH-R ctcgaattcggatccTTAATTGAGCTCCTGTAC (서열번호 10) BamHI
7-beta-HSDH 7-beta-HSDH-F Ataaggagatataccatgacattgagagaa (서열번호 11) NcoI
7-beta-HSDH-R Gaattcggatccttattattcttgatagaa (서열번호 12) BamHI
Glucose dehydrogenase GDH-F Ataaggagatataccatgcaaatatccctcgcc (서열번호 13) NcoI
GDH-R Ctcgaattcggatcctcagccattgccacgaa (서열번호 14) BamHI
Lactose dehydrogenase LDH-F Ataaggagatataccatgagtagaaaagtcctgc (서열번호 15) NcoI
LDH-R Ctcgaattcggatccttatcctaaagagtccagggt (서열번호 16) BamHI
Kanamycin Kanamycin-F Acgaattgttagacattagaaaaactcatc (서열번호 17)
Kanamycin-R Ttgaaaaaggaagagatgagccatattcaa (서열번호 18)
pCFduet vector All vector-F ACTCTTCCTTTTTCAATATTATTGAAG (서열번호 19)
All vector-R TGTCTAACAATTCGTTCAAGCCGAGGG (서열번호 20)
Tac promoter F_Tac_overhang cattatacgagccgatgattaattgtcaaATTTCGCGGGATCGAGATCG (서열번호 21)
R_Tac_overhang ttgacaattaatcatcggctcgtataatgGGAATTGTGAGCGGATAACAATTC (서열번호 22)
1-2. 형질전환 세포 제조 및 선별
상기 실시예 1-1 방법으로 제조한 융합발현 벡터들을 E. coli MG1655균주에 형질전환시키고 LB 한천 카나마이신-항생제 배지(1% 트립톤, 0.5% 효모추출물, 1% 염화나트륨, 1.5% 한천, 카나마이신 50 ug/ml)에서 도말 (spreading) 하여, 37℃, 24 시간 배양한 후 카나마이신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형질전환주를 선별하였다. 7-alpha-HSDH (7 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가 도입된 재조합 E.coli MG1655 균주는 Escherichia coli ABP-1 (수탁번호 KCTC 14711 BP)로 명명하였으며, 7-beta-HSDH (7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가 도입된 재조합 E.coli MG1655 균주는 Escherichia coli ABP-2 (수탁번호 KCTC 14712 BP)로 명명하였고, GDH가 도입된 재조합 E.coli MG1655 균주는 Escherichia coli ABP-3 (수탁번호 KCTC 14713 BP)으로 명명하였으며, LDH가 도입된 재조합 E.coli MG1655 균주는 Escherichia coli ABP-4 (수탁번호 KCTC 14714 BP)로 명명하였다. 상기 재조합 균주를 2021년 09월 17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하여 수탁번호를 부여받았다.
1-3. 과발현(overexpression) 및 미정제 셀 라이세이트 제조
50 μgmL 카나마이신이 포함되어 있는 LB medium (100 mL, 1L플라스크)에서, 37℃, 180 rpm의 조건으로 Escherichia coli ABP-1 (수탁번호 KCTC 14711 BP), Escherichia coli ABP-2 (수탁번호 KCTC 14712 BP), Escherichia coli ABP-3 (수탁번호 KCTC 14713 BP) 및 Escherichia coli ABP-4 (수탁번호 KCTC 14714 BP)를 배양하였다. 이후, 인덕션(induction) 및 단백질 과발현을 위해서 LB medium에 glucose 0.5, glycerol 5, Lactose 2g/L를 추가하였다. 37℃에서 24시간 배양 후, 12,000rpm에서 30분간 4℃ 환경에서 원심분리를 시켜 셀(cell)을 얻었다. 셀 펠렛(cell pellet)은 -70℃환경에서 보관하였다. 과발현된 단백질을 셀에서 Soluble한 형태로 얻기 위하여 이후 1 g의 셀 펠렛을, 10 ml 1XPBS 버퍼를 이용하여 셀을 풀어준 후 Sonicator를 사용하여 셀 파쇄(cell lysis)하였다. 12,000rpm에서 30분간 4℃ 환경에서 원심분리하여 셀 잔해를 제거하였다. 이후,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미정제(crude) 셀 라이세이트(cell lysate)를 4가지를 완성하였다.
1-4. UDCA 생산에 필요한 4가지 효소 활성 측정
7-alpha-HSDH (E. coli)의 효소 활성 측정은 기질로는 CDCA를, 조효소로는 NAD를 첨가한 뒤 30℃에서 pH 8.0의 인산완충액 조건에서 30분간 반응을 하여 340 nm에서 증가하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활성을 확인하였다. 7-beta-HSDH (R. genavas)의 효소 활성 측정은 기질로 7-Keto-LCA를, 조효소로 NADPH를 첨가한 뒤 30℃에서 pH 8.0의 인산완충액 조건에서 30분간반응을 하여 340 nm에서 감소하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활성을 확인하였다. GDH의 효소 활성은 Glucose를 기질로, NADP를 조효소로 첨가한 뒤 이전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340 nm파장대로 관찰 시 증가하는 흡광도를 측정하여 효소 활성을 확인하였다. LDH의 효소 활성은 Sodium pyruvate를 기질로, NAD를 조효소로 이용하여 이전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증가하는 흡광도를 측정해 효소활성을 확인하였다. 효소 활성을 나타내는 단위인 unit(U)은 1분동안 단백질 mg당 전환되는 조효소의 량으로 정의하였다.
1-5. CDCA, 7-Keto-LCA 잔류량 및 UDCA 생성물 분석
HPLC 분석 조건은 HPLC-RI (35 ± 1℃)를 이용하였으며 온도는 40℃, Flow rate는 0.8 ml/min 분석에 사용한 전개용매 (isocratic)는 370 ml water (6mM sodium dihydrogen phosphate) - pH 3 (phosphoric acid pH 적정) 에 300 ml Acetonitrile 과 400 ml MeOH를 첨가하여 전개하였다. 전개컬럼은 C18 (4.6 mmI.D X 250 mm)을 사용하였다. injection volume은 10 μl로 하였다. UDCA는 20분, 7-Keto-LCA 는 24분, CDCA 피크는 50분대에 나타난다.
<실시예 2: UDCA 효소 전환에 필요한 4가지 과발현 단백질 재조합 균주 활성 측정>
본 발명에 사용한 효소 7-alpha-HSDH (7-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LDH (Lactodehydrogenase), 7-beta-HSDH (7-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및 GDH (Glucose dehydrogenase)의 재조합 균주 Escherichia coli ABP-1 (수탁번호 KCTC 14711 BP), Escherichia coli ABP-2 (수탁번호 KCTC 14712 BP), Escherichia coli ABP-3 (수탁번호 KCTC 14713 BP), Escherichia coli ABP-4 (수탁번호 KCTC 14714 BP)의 colony 10개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7-alpha-HSDH는 평균적으로 32.29 unit/mg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7-beta-HSDH는 41.74 unit/mg, Lactate dehydrogenase는 4.94 unit/mg, Glucose dehydrogenase는 21,54 unit/mg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활성을 나타내는 상기 균주의 미정제 라이세이트를 하기 UDCA 효소 전환 반응에 사용하였다.
Colony Number Unit/mg
7-alpha-HSDH 7-beta-HSDH Lactate dehydrogenase Glucose
dehydrogenase
1 30.2 40.2 5.2 20.2
2 32.5 42.2 4.8 21
3 34 43.5 5.4 23
4 31.2 40.8 5.1 22.5
5 32 44.3 4.7 21.5
6 33 41.9 5.0 24
7 31.5 42.6 5.7 19
8 34.2 41.8 3.2 22
9 31.5 39.8 5.6 18
10 32.8 40.3 4.7 24.2
평균 32.29 41,74 4.94 21,54
<실시예 3: CDCA에서 7-Keto-LCA 효소 반응>
3-1. CDCA에서 7-Keto-LCA 반응 최적화
CDCA를 이용한 최적의 7-Keto-LCA 전환 반응을 탐색하기 위해 기질인 CDCA를 50 g/L농도로 첨가한 50 mM 인산완충용액에 7-alpha-HSDH 0.8 U, LDH 0.5 U, 100 mM sodium pyruvate, 그리고 3 mM NAD를 추가하여 고농도의 CDCA에서의 7-Keto-LCA 생산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초기 50 g/L의 CDCA농도로 반응을 수행한 결과 반응시간이 6시간 경과하였을 때 17.6 g/L의 7-Keto-LCA생산이 확인되었으며, 이후 22시간 반응까지 7-Keto-LCA의 추가적인 전환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남아있는 CDCA의 농도는 29.6 g/L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농도의 기질 조건에서 효소활성의 저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50 g/L 농도의 CDCA조건 보다 낮은 농도의 CDCA조건에서 반응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이를 확인하기 위해 40 g/L CDCA 조건에서 효소반응을 진행하였다(도 1). 구체적으로 기질인 CDCA를 40 g/L농도로 첨가한 50 mM 인산완충용액 (pH 8.0 적정)에 7-alpha-HSDH 1 U/ml, LDH 0.5 U/ml, 100 mM sodium pyruvate, 그리고 5 mM NAD를 첨가하여 섞어준 후 30℃에서 160rpm, 16시간 반응하였다. 반응이 끝난 용액 100 ul은 메탄올 900 ul와 섞어준 후 HPLC 분석을 통하여 잔류 CDCA량과 7-Keto-LCA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CDCA에서 7-Keto-LCA 전환하는 일련의 과정들은 하기 [화학식 1]으로 표기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3-2. CDCA에서 NAD 농도별 7-Keto-LCA 생성량
반응 초기 물질인 CDCA를 이용하여 중간물질은 7-Keto-LCA 생성할 시 사용되는 효소인 7-alpha-HSDH의 경우 조효소로 NAD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반응시에 NAD 가 NADH형태로 환원되며, 결국 첨가해준 NAD의 동량몰수만큼 반응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효소를 다시 산화시켜주는 효소 반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pyruvate를 기질로, NADH를 조효소로 사용하는 효소인 LDH효소를 CDCA를 7-Keto-LCA로 전환시켜 주는 7-alpha-HSDH 반응에 추가하였다. 이때 필요한 최적의 조효소 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50 mM의 인산완충용액에 기질인 CDCA를 2 mM 농도로 첨가하였으며 LDH를 0.5 U, 7 위하여 7-alpha-HSDH -HSDH를 1 U첨가한 뒤 조효소인 NAD를 0 ~ 5 mM 농도로 첨가하여 30℃ 조건에서 4시간동안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생성되는 7-Keto-LCA의 양을 HPLC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NAD를 0.1 ~ 2 mM 첨가할 경우 생성되는 7-Keto-LCA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후 더 높은 농도의 조효소 첨가군에서는 생성되는 7-Keto-LCA의 양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물질인 CDCA를 이용한 7-Keto-LCA 효소 전환 시 필요한 NAD의 적정량은 3~5 mM 사이임을 확인하였다.
3-3. CDCA 농도(40 g/L) 및 반응 volume에 따른 7-Keto-LCA 전환율 비교
각각의 volume별로 효소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기질인 CDCA를 40g/L 농도로 첨가하였다. 효소 반응을 위해 50 mM 인산완충용액에 0.6 ~ 1.0 U의 7-alpha-HSDH, 0.3 ~ 0.5 U의 LDH, 50 ~ 142.8 mM sodium pyruvate, 그리고 3 ~ 5 mM 농도의 NAD를 첨가하여 CDCA를 이용한 7-Keto-LCA 전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질인 CDCA의 농도가 40 g/L일 경우 10 ~ 2500 mL의 volume에서 94 ~ 99.2%의 CDCA가 7-Keto-LCA로 전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CDCA 40 g/L에 필요한 조효소의 양과 효소의 활성, 그리고 sodium pyruvate 적정비율을 최적화하였다. 2.5리터의 효소 반응에서도 낮은 volume과 비슷한 효소 전환율이 재연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DCA g/L 40 g/L
Volume 10 mL 100 mL 1000 mL 2500 mL
Sodium pyruvate 100 mM 100 mM 100 mM 100 mM
NAD 5 mM 5 mM 5 mM 5 mM
7-alpha-HSDH 0.6 U 0.4 U 1 U 1 U
LDH 0.365 U 0.299 U 0.5 U 0.5 U
7-Keto-LCA 전환율 94.0% 93.4% 97.9% 99.2%
<실시예 4: 7-Keto-LCA에서 UDCA 효소 반응>
4-1. 7-Keto-LCA 농도별 UDCA 생산량의 변화
반응 중간산물인 7-Keto-LCA을 이용한 최적의 반응을 위해 기질인 7-Keto-LCA를 0 ~ 80 g/L농도로 첨가한 50 mM 인산완충용액에 7-beta-HSDH 0.8 U, GDH 0.5 U, 100 mM glucose, 그리고 0.4 ~ 0.8 mM NADP를 추가하여 각각의 7-Keto-LCA농도별 UDCA 생산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질인 7-Keto-LCA농도가 0-10 g/L 일 경우 UDCA 전환 과정이 수월하게 진행된 반면 20 g/L 이상이 될 경우 UDCA의 생산량이 일정한 수준으로 고정되며 생산 수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았을 때 GDH와 더불어 효소 반응을 시행할 때 겔화 현상이 기질인 7-Keto-LCA농도가 증가할수록 효소 반응에 저해 요인이 될 수 있으며, 20 g/L에서 반응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이후 20 g/L농도의 7-Keto-LCA를 이용한 UDCA 효소 반응 양상을 관찰하였다 (도 3).
4-2. 7-Keto-LCA (20 g/L) 에서의 UDCA전환율 비교
반응 중간산물인 7-Keto-LCA을 이용한 최적의 UDCA 전환반응을 위해 20 g/L 농도의 7-Keto-LCA를 이용한 UDCA 효소전환을 수행하였다. 반응 조건은 이전과 동일하게 수행했으며, 초기 1.5시간 반응까지 7-Keto-LCA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어 12.6 g/L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후 생산속도가 감소하여 23시간까지 반응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최종 7-Keto-LCA잔량은 4.69 g/L로 확인되었다 (도 4).
4-3. 7-beta-HSDH와 GDH 총 2회 첨가에 따른 7-Keto-LCA (40 g/L)에서의 UDCA 생산성 향상
반응 중간산물인 7-Keto-LCA을 이용한 최적의 UDCA 전환반응을 위해 20 g/L 농도의 7-Keto-LCA를 이용한 UDCA 효소전환을 수행하였다. 반응 조건은 이전과 동일하게 수행했으며, 초기 1.5시간 반응까지 7-Keto-LCA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어 12.6 g/L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후 생산속도가 감소하여 23시간까지 반응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최종 7-Keto-LCA잔량은 4.69 g/L로 확인되었다. 반면, 본 발명자가 개발한 40 g/L의 CDCA에서 UDCA 효소 전환반응은, 12시간 동안 생성되는 UDCA 생성량이 상기 20 g/L농도의 7-Keto-LCA를 이용한 UDCA 생산량과 비슷하지만, 여기에서 침전된 7-Keto-LCA 잔류량을 Ÿ‡ 케이크 (wet-cake)를 만들고 다시 Na-OH로 용해함으로써 기존 CDCA 20g/L에서 16.8 g/L의 UDCA 생산량보다 2.3배 상승한 CDCA 40 g/L에서 39.6 g/L의 UDCA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도 5).
4-4. 1차 UDCA 반응에서 7-Keto-LCA (40g/L) 및 반응 volume에 따른 7-Keto-LCA 전환율 비교
각 volume별로 효소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기질인 7-Keto-LCA를 40g/L 농도로 첨가하였다. 효소 반응을 위해 50 mM 인산완충용액에 1.66 ~ 4.0 U의 7-beta-HSDH, 1.0 ~ 3.0 U의 GDH, 100 ~ 500 mM glucose, 그리고 0.8 mM 농도의 NADP를 첨가하여 7-Keto-LCA를 이용한 UDCA 전환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질인 7-Keto-LCA의 농도가 40 g/L일 경우 100 mL의 volume에서 50.5 %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000 mL의 volume일 경우 48%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되었다. 반응 volume을 높여서 2500 mL volume일 경우 45%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되었다. 앞선 CDCA를 이용한 7-Keto-LCA 전환반응보다 7-Keto-LCA를 이용한 UDCA 전환 반응 시 높은 효소 활성을 요구하며 활성 저해 요인에 대한 영향력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7-Keto-LCA 40 g/L
Volume 10 mL 100 mL 1000 mL 2500 mL
Glucose 100 mM 100 mM 100 mM 100 mM
NADP 0.8 mM 0.8 mM 0.8 mM 0.8 mM
7-beta-HSDH 1.66 U 4 U 3 U 2.49 U
GDH 3 U 2 U 1 U 1 U
1차 전환율 50.5% 50% 48% 45%
4-5. 2차 UDCA 반응에서 7-Keto-LCA (40 g/L) 및 반응 volume에 따른 7-Keto-LCA 전환율 비교
각 volume별로 효소반응을 수행하였으며, 기질인 1차 반응에서 남은 7-Keto-LCA를 2차 반응에서 다시 첨가하여 반응하였다. 효소 반응을 위해 50 mM 인산완충용액에 2 ~ 2.5U의 7-beta-HSDH, 1.0 ~ 2.U의 GDH, 100 ~ 500 mM glucose, 그리고 0.4, 0.8 mM 농도의 NADP를 첨가하여 7-Keto-LCA를 이용한 UDCA 전환율을 비교하였다. 기질인 7-Keto-LCA의 농도가 40 g/L일 경우 10 mL의 volume에서 95%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되었다. 또한 100 mL의 volume일 경우 98 %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되었다. 반응 volume을 높여서 1000 mL volume일 경우 97%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되었다. 마지막으로 반응 volume을 높여서 2500 mL volume일 경우 99%의 7-Keto-LCA가 UDCA로 전환되었다. 앞선 1차 전환 반응보다 7-Keto-LCA를 이용한 UDCA 전환반응 시 낮은 효소 활성을 요구하며 활성 저해요인에 대한 영향력이 감소하고 원활한 효소 반응이 이루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5).
7-Keto-LCA 40 g/L
Volume 10 mL 100 mL 1000 mL 2500 mL
Glucose 100 mM 100 mM 100 mM 100 mM
NADP 0.4 mM 0.8 mM 0.8 mM 0.8 mM
7-beta-HSDH 2 U 2.5 U 2 U 2.2 U
GDH 1 U 2 U 1 U 1 U
2차 전환율 95% 98% 97% 99%
4-6. 7-Keto-LCA에서 UDCA 전환 전체 과정
상기 실시예 3에서 40 g/L CDCA에서 7-Keto-LCA로 전환시킨 50 mM 인산완충용액에서 기존의 용액을 그대로 사용하고 여기에 다시 7-beta-HSDH (7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및 7-beta-HSDH (7 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Co-factor인 NADP+, 상기 NADPH의 생성에 관여하는 GDH와 글루코즈(glucose)를 사용하여 고농도의 7-Keto-LCA를 UDCA로 50% 전환시켰다. 7-Keto-LCA (7-Keto Lithocholic Acid)에서 UDCA 전환하는 일련의 과정들은 하기 [화학식 2]로 표기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의 과정 이후, HCl(염산)을 첨가하여 pH를 3.5 산성으로 떨어트렸다. 그 다음 UDCA 50%로 전환시킨 용액의 UDCA 효소 전환 산물을 모두 침전시켰다. 이를 누체필터를 사용하여 Ÿ‡ 케이크 (wet-cake) 상태로 회수하였다. 나머지의 7-Keto-LCA (7-Keto Lithocholic Acid)를 모두 전환시키기 위해서 걸러진 Ÿ‡ 케이크 (wet-cake)를 다시 50 mM 인산완충용액에 투입하여 수산화 나트륨을 이용하여 pH 8.0으로 용해시켰다. 여기에 다시 7-beta-HSDH 및 7-beta-HSDH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Co-factor인 NADPH, 상기 NADP+의 생성에 관여하는 GDH와 글루코즈(glucose)를 총 2회 사용하여 고농도의 7-Keto-LCA를 UDCA로 99% 전환시켰다.
<실시예 5: CDCA에서 UDCA 생산 전체 반응>
CDCA를 이용한 UDCA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반응 조건으로 확인된 40 g/L농도의 CDCA를 이용한 7-Keto-LCA전환을 우선 수행한 뒤 다시 이를 UDCA로 전환하는 반응을 2.5 L (총 100 g/L) 규모에서 수행하였다. 첫 번째 반응인 CDCA에서 7-Keto-LCA로 전환하는 반응의 경우, 기질인 CDCA를 40 g/L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50 mM 인산완충용액(pH 8.0), 1 U 7-alpha-HSDH, 0.5 U LDH, 100 mM Sodium pyruvate, 그리고 5 mM NAD를 첨가하였으며, 30℃에서 12시간동안 전환반응을 진행하였다. 이후 7-Keto-LCA를 이용한 UDCA 전환반응을 진행하기 위해 50 mM 인산완충용액(pH 8.0), 2 U 7-beta-HSDH, 1 U GDH, 100 mM glucose, 그리고 0.8 mM NADP를 첨가하였으며, 30℃에서 12시간동안 전환반응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7-Keto-LCA에서 UDCA로 전환된 비율이 약 50%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서 이를 다시 HCl을 이용하여 pH 2.0 ~ 3.0 적정할 경우 하얀색의 UDCA 침전물이 회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7-Keto-LCA 잔류량을 다시 Na-OH로 용해함으로써 이를 다시 pH 8.0으로 적정하여 UDCA 전환 효소 및 NADP를 추가하여 Water bath에서 30℃, 12시간 이상 반응할 경우 UDCA 반응 현탁액이 백색 gel 형태로 전환되며, 99% UDCA 전환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Scale-up에 따른 40 g/L의 효소 전환 반응을 통한 UDCA 반응에서 99%이상의 UDCA 생산량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 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711BP 202109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712BP 202109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713BP 2021091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714BP 20210917
<110> Ace Biopharm co., ltd <120> Recombinant vector for the conversion rate increasement of Chenodeoxycholic acid to UDCA and a method for producing UDCA using the same <130> PN210859KR <160> 2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alpha-HSDH amino acid sequence of E.coli <400> 1 Met Phe Asn Ser Asp Asn Leu Arg Leu Asp Gly Lys Cys Ala Ile Ile 1 5 10 15 Thr Gly Ala Gly Ala Gly Ile Gly Lys Glu Ile Ala Ile Thr Phe Ala 20 25 30 Thr Ala Gly Ala Ser Val Val Val Ser Asp Ile Asn Ala Asp Ala Ala 35 40 45 Asn His Val Val Asp Glu Ile Gln Gln Leu Gly Gly Gln Ala Phe Ala 50 55 60 Cys Arg Cys Asp Ile Thr Ser Glu Gln Glu Leu Ser Ala Leu Ala Asp 65 70 75 80 Phe Ala Ile Ser Lys Leu Gly Lys Val Asp Ile Leu Val Asn Asn Ala 85 90 95 Gly Gly Gly Gly Pro Lys Pro Phe Asp Met Pro Met Ala Asp Phe Arg 100 105 110 Arg Ala Tyr Glu Leu Asn Val Phe Ser Phe Phe His Leu Ser Gln Leu 115 120 125 Val Ala Pro Glu Met Glu Lys Asn Gly Gly Gly Val Ile Leu Thr Ile 130 135 140 Thr Ser Met Ala Ala Glu Asn Lys Asn Ile Asn Met Thr Ser Tyr Ala 145 150 155 160 Ser Ser Lys Ala Ala Ala Ser His Leu Val Arg Asn Met Ala Phe Asp 165 170 175 Leu Gly Glu Lys Asn Ile Arg Val Asn Gly Ile Ala Pro Gly Ala Ile 180 185 190 Leu Thr Asp Ala Leu Lys Ser Val Ile Thr Pro Glu Ile Glu Gln Lys 195 200 205 Met Leu Gln His Thr Pro Ile Arg Arg Leu Gly Gln Pro Gln Asp Ile 210 215 220 Ala Asn Ala Ala Leu Phe Leu Cys Ser Pro Ala Ala Ser Trp Val Ser 225 230 235 240 Gly Gln Ile Leu Thr Val Ser Gly Gly Gly Val Gln Glu Leu Asn 245 250 255 <210> 2 <211> 76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alpha-HSDH nucleic acid sequence of E.coli <400> 2 gtgtttaatt ctgacaacct gagactcgac ggaaaatgcg ccatcatcac aggtgcgggt 60 gcaggtattg gtaaagaaat cgccattaca ttcgcgacag ctggcgcatc tgtggtggtc 120 agtgatatta acgccgacgc agctaaccat gttgtagacg aaattcaaca actgggtggt 180 caggcatttg cctgccgttg tgatattact tccgaacagg aactctctgc actggcagac 240 tttgctatca gtaagctggg taaagttgat attctggtta acaacgccgg tggcggtgga 300 cctaaaccgt ttgatatgcc aatggcggat tttcgccgtg cttatgaact gaatgtgttt 360 tcttttttcc atctgtcaca acttgttgcg ccagaaatgg aaaaaaatgg cggtggcgtt 420 attctgacca tcacttctat ggcggcagaa aataaaaata taaacatgac ttcctatgca 480 tcatctaaag ctgcggccag tcatctggtc agaaatatgg cgtttgacct gggtgaaaaa 540 aatattcggg taaatggcat tgcgccgggg gcaatattaa ccgatgccct gaaatccgtt 600 attacaccag aaattgaaca aaaaatgtta cagcacacgc cgatcagacg tctgggccaa 660 ccgcaagata ttgctaacgc agcgctgttc ctttgctcgc ctgctgcgag ctgggtaagc 720 ggacaaattc tcaccgtctc cggtggtggg gtacaggagc tcaattaa 768 <210> 3 <211> 26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beta-HSDH amino acid sequence of R.gnavas <400> 3 Met Thr Leu Arg Glu Lys Tyr Gly Glu Trp Gly Ile Ile Leu Gly Ala 1 5 10 15 Thr Glu Gly Val Gly Lys Ala Phe Cys Glu Arg Leu Ala Lys Glu Gly 20 25 30 Met Asn Val Val Met Val Gly Arg Arg Glu Glu Lys Leu Lys Glu Leu 35 40 45 Gly Glu Glu Leu Lys Asn Thr Tyr Glu Ile Asp Tyr Lys Val Val Lys 50 55 60 Ala Asp Phe Ser Leu Pro Asp Ala Thr Asp Lys Ile Phe Ala Ala Thr 65 70 75 80 Glu Asn Leu Asp Met Gly Phe Met Ala Tyr Val Ala Cys Leu His Ser 85 90 95 Phe Gly Lys Ile Gln Asp Thr Pro Trp Glu Lys His Glu Ala Met Ile 100 105 110 Asn Val Asn Val Val Thr Phe Met Lys Cys Phe Tyr His Tyr Met Lys 115 120 125 Ile Phe Ala Ala Gln Asp Arg Gly Ala Val Ile Asn Val Ser Ser Met 130 135 140 Thr Gly Ile Ser Ser Ser Pro Trp Asn Gly Gln Tyr Gly Ala Gly Lys 145 150 155 160 Ala Phe Ile Leu Lys Met Thr Glu Ala Val Ala Cys Glu Thr Glu Lys 165 170 175 Thr Asn Val Asp Val Glu Val Ile Thr Leu Gly Thr Thr Leu Thr Pro 180 185 190 Ser Leu Leu Ser Asn Leu Pro Gly Gly Pro Gln Gly Glu Ala Val Met 195 200 205 Lys Thr Ala Gln Thr Pro Glu Glu Val Val Asp Glu Ala Phe Glu Lys 210 215 220 Leu Gly Lys Glu Leu Ser Val Ile Ser Gly Glu Arg Asn Lys Ala Ser 225 230 235 240 Val His Asp Trp Lys Ala Asn His Thr Glu Asp Asp Tyr Ile Arg Tyr 245 250 255 Met Gly Ser Phe Tyr Gln Glu 260 <210> 4 <211> 79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beta-HSDH nucleic acid sequence of R.gnavas <400> 4 atgacattga gagaaaaata tggagaatgg ggaattattt taggcgctac tgaaggtgtc 60 ggaaaagcat tttgtgaaag gcttgccaaa gaaggtatga atgtcgtaat ggtcggacgc 120 cgtgaagaaa aattaaaaga gctcggtgag gaactaaaaa acacttatga gattgattat 180 aaagtcgtaa aagcagactt ttcgctgcca gatgctactg acaaaatttt tgctgcaaca 240 gaaaatctgg atatgggatt tatggcctat gtagcctgct tacactcttt tggcaaaatc 300 caggatacac cttgggaaaa gcatgaggca atgatcaacg taaacgttgt tacatttatg 360 aaatgcttct atcactatat gaaaatcttt gctgcacagg atcgcggtgc tgtcatcaac 420 gtatcttcta tgactggaat ttccagttca ccatggaatg gccaatatgg tgcaggaaag 480 gcattcattt taaaaatgac agaggctgtt gcctgtgaaa cggaaaagac caatgttgat 540 gtggaagtca tcactttggg aactgtgctg acaccaagtc ttttaagcaa cctgcctggc 600 ggaccacagg gggaagctat gatgaagact gctcaaacac cggaagaagt tgtggacgaa 660 gcttttgaaa aattaggaaa agaactgtct gtcatttccg gagagcgtaa taaagccagc 720 gtccatgact ggaaagcgaa tcatacagaa gatgactata tccgctatat gggatctttc 780 tatcaagaat aa 792 <210> 5 <211> 30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DH amino acid sequence of Lactobacillus <400> 5 Met Ser Arg Lys Val Leu Leu Val Gly Asp Gly Ala Val Gly Ser Thr 1 5 10 15 Phe Ala Asn Asp Leu Leu Gln Asn Thr Gln Val Asp Glu Leu Val Ile 20 25 30 Thr Asp Val Val Lys Glu Lys Pro Ile Gly Asp Ala Met Asp Leu Glu 35 40 45 Asp Ile Thr Pro Phe Val Gly Ser Cys Asn Ile His Ala Gly Glu Tyr 50 55 60 Thr Asp Ala Lys Asp Ala Asp Val Val Val Ile Thr Ala Gly Val Pro 65 70 75 80 Arg Lys Pro Gly Glu Thr Arg Leu Asp Leu Val Asn Lys Asn Val Lys 85 90 95 Ile Leu Lys Ser Ile Val Gln Pro Ile Val Glu Ser Gly Phe Asp Gly 100 105 110 Ile Phe Val Val Ser Ala Asn Pro Val Asp Ile Leu Thr Thr Ile Thr 115 120 125 Gln Arg Leu Ser Gly Phe Pro Lys Asn Lys Val Ile Gly Thr Gly Thr 130 135 140 Ser Leu Asp Ser Ala Arg Leu Lys Val Glu Leu Ala Lys Arg Leu Asn 145 150 155 160 Leu Ser Val Lys Glu Ile Thr Ser Ile Val Leu Gly Glu His Gly Asp 165 170 175 Thr Ser Phe Glu Asn Phe Asp Glu Thr Val Val Asp Gly Lys Pro Leu 180 185 190 Ser Lys Phe Ser Glu Leu Thr Ser Ser Asp Leu Cys Asn Ile Glu Ser 195 200 205 Tyr Ile Arg Gln Lys Gly Gly Glu Ile Ile Lys Asn Lys Gly Ala Thr 210 215 220 Phe Tyr Gly Ile Ala Met Met Leu Ala Lys Ile Val Gly Ala Ile Leu 225 230 235 240 Glu Asn Lys Ala Ile Val Leu Pro Leu Ser Ala Pro Ile Asn Gly Glu 245 250 255 Tyr Gly Ile Lys His Asp Leu Tyr Leu Gly Thr Pro Ala Val Ile Asp 260 265 270 Gly Thr Gly Ile Ser Ser Val Ile Glu Thr Lys Leu Ser Glu Arg Glu 275 280 285 Leu Ala Lys Met Val Asp Ser Ala Asp Arg Met Gln Lys Ile Leu Asp 290 295 300 Gly Ile Glu Leu Tyr 305 <210> 6 <211> 9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DH nucleic acid sequence of Lactobacillus <400> 6 atgtcgagaa aagttttact agttggtgat ggagcagtcg gttcaacttt tgccaacgac 60 cttttgcaaa atactcaagt tgatgaatta gtgataacag acgtggttaa agaaaaacca 120 attggagatg caatggatct tgaggatatt actccatttg ttggttcatg taatattcat 180 gcaggcgaat atactgatgc aaaggatgca gatgttgtag ttattacagc cggtgtacca 240 cgaaaaccag gtgaaactag gttagattta gtcaataaga atgttaagat tttaaagagc 300 atcgttcaac ccattgtgga atctggtttt gatggtatat ttgttgtttc tgcgaatcct 360 gttgatatat tgaccaccat aacgcaaagg ctttccggct ttcctaagaa taaagttatt 420 ggtacaggta cttcactaga ctcagctcga ctaaaagttg agttggcaaa aagactgaat 480 ttatctgtca aagaaattac ttctattgtg ctgggagaac atggtgacac ctcatttgag 540 aattttgacg aaacggttgt tgatggtaaa ccattatcca aatttagtga actgacttcg 600 tcagatttat gtaatattga aagttacatt cgtcaaaaag gtggggaaat tatcaaaaac 660 aaaggggcaa ctttttatgg catagcaatg atgctagcga aaattgttgg tgctattttg 720 gaaaataagg caattgtttt acctttatca gcgccaataa atggtgagta tggtattaaa 780 catgatttgt atttgggaac tcctgcagtg attgatggta ctggaattag tagcgtaatt 840 gaaaccaaac tatctgaaag agaattagca aaaatggtcg attctgctga tagaatgcag 900 aaaattttag atggtattga actatactaa 930 <210> 7 <211> 26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DH amino acid sequence of Pshedomona <400> 7 Met Gln Ile Ser Leu Ala Arg Gln Val Ala Leu Val Thr Gly Ala Ser 1 5 10 15 Ser Gly Ile Gly His Ala Ala Ala Lys Ala Leu Ala Ala Ala Gly Ala 20 25 30 Ala Val Val Ile Asn Tyr Asn Arg Gln Ala Glu Pro Ala Glu Ala Leu 35 40 45 Ala Gln Gln Ile Ile Ala Asp Gly Gly Gln Ala Leu Ala Ile Gly Ala 50 55 60 Asp Val Ser Lys Glu Asp Glu Val Glu Arg Leu Phe Ala Glu Thr Leu 65 70 75 80 Glu Ala Phe Gly Ala Leu Asp Ile Leu Val Ala Asn Ser Gly Met Gln 85 90 95 Lys Asp Ala Pro Ala Val Asp Met Thr Leu Glu Asp Trp Asn Thr Val 100 105 110 Ile Gly Val Asn Leu Thr Gly Gln Phe Leu Cys Ala Arg Ala Ala Leu 115 120 125 Arg Ile Phe Asn Arg Gln Gly Val Arg Glu Gly Val Ser Arg Ala Ala 130 135 140 Gly Lys Ile Ile His Met Ser Ser Val His Gln Arg Ile Pro Trp Ala 145 150 155 160 Gly His Val Asn Tyr Ala Ala Ser Lys Gly Gly Val Asp Gln Leu Met 165 170 175 Gln Thr Leu Ala Gln Glu Val Ser Gln Gln Arg Ile Arg Ile Asn Gly 180 185 190 Ile Ala Pro Gly Ala Ile Arg Thr Ala Ile Asn Gln Glu Ala Thr Glu 195 200 205 Gly Ala Ala Gly Glu Lys Leu Leu Glu Leu Ile Pro Tyr Gly Arg Ile 210 215 220 Gly Asp Val Glu Asp Ile Ala Asn Ala Val Val Phe Leu Ala Ser Asp 225 230 235 240 Ala Ala Asp Tyr Ile Val Gly Thr Thr Leu Phe Ile Asp Gly Gly Met 245 250 255 Ser Leu Tyr Pro Glu Phe Arg Gly Asn Gly 260 265 <210> 8 <211> 8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DH nucleic acid sequence of Pshedomona <400> 8 atgcaaatat ccctcgcccg ccaagtggca ctggtcaccg gcgccagctc cggcatcggc 60 cacgccgccg ccaaagcgct ggccgctgcc ggcgcagccg tcgttatcaa ttacaaccgt 120 caggccgaac ctgccgaagc gctggcgcga caaatcatcg ccgacggcgg tcaggcactg 180 gccatcggcg ccgatatttc aaaggaagac gaagtcgaac ggctgttcgc cgagaccctc 240 gacgcctttg gtgcgctgga cattctgctg gccaactccg gcctgcaaaa agatgcgccg 300 gcggtggaca tgaccctgga tgactggaac acggtgatcg gcgtcaacct caccggccag 360 ttcctctgcg ctcgcgccgc gctgcggatt ttcaaccgac aaggggtgcg tgaaggcgtg 420 tcccgcgcgg ccggcaagat cattcacatg agttcggtgc atcaacgcat tccgtgggcc 480 gggcacgtca actatgcggc gtccaagggc ggcgtcgatc agttgatgca gaccctcgcc 540 caggaagtca gccatcagcg catccgcatc aacggcatcg cgccgggggc gattcgcacg 600 gcaatcaatc aggacgccac cgaaggcgcc gccggcgaaa agctgctgga gctgatcccc 660 tacggtcgca tcggcgatgt cgaggacatc gccaacgcgg tggtgtttct cgcttccgac 720 gccgccgact acatcgtcgg caccaccctg ttcatcgacg gcggcatgag tctttatccg 780 gagtttcgtg gcaatggctg a 801 <210> 9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7alpha-HSDH <400> 9 ataaggagat ataccatgtt taattctgac aa 32 <210> 10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7alpha-HSDH <400> 10 ctcgaattcg gatccttaat tgagctcctg tac 33 <210> 1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7beta-HSDH <400> 11 ataaggagat ataccatgac attgagagaa 30 <210> 1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7beta-HSDH <400> 12 gaattcggat ccttattatt cttgatagaa 30 <210> 13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DH <400> 13 ataaggagat ataccatgca aatatccctc gcc 33 <210> 14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DH <400> 14 ctcgaattcg gatcctcagc cattgccacg aa 32 <210> 15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LDH <400> 15 ataaggagat ataccatgag tagaaaagtc ctgc 34 <210> 16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LDH <400> 16 ctcgaattcg gatccttatc ctaaagagtc cagggt 36 <210> 1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Kanamycin <400> 17 acgaattgtt agacattaga aaaactcatc 30 <210> 18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Kanamycin <400> 18 ttgaaaaagg aagagatgag ccatattcaa 30 <210> 19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pCFduet all vector <400> 19 actcttcctt tttcaatatt attgaag 27 <210> 20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pCFduet all vector <400> 20 tgtctaacaa ttcgttcaag ccgaggg 27 <210> 21 <211> 4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Tac_overhang <400> 21 cattatacga gccgatgatt aattgtcaaa tttcgcggga tcgagatcg 49 <210> 22 <211> 5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Tac_overhang <400> 22 ttgacaatta atcatcggct cgtataatgg gaattgtgag cggataacaa ttc 53

Claims (23)

  1. (a) 7-alpha-HSDH 또는 7-alpha-HSDH를 발현하는 세포, LDH 또는 L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를 CDCA와 반응시켜, CDCA를 7-Keto-LCA로 전환시키는 단계;
    (b) 7-beta-HSDH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 GDH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P를 7-Keto-LCA와 반응시켜 UDCA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잔류량의 7-Keto-LCA를 7-beta-HSDH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 GDH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NADP와 반응시켜 잔류량의 7-Keto-LCA를 UDCA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UDCA 생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7-alpha-HSDH 및 7-beta-HSDH는 그 유전자가 각각 E. coli에 도입되어 발현된 것인, UDCA 생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7-alpha-HS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는 E. coli인 것인, UDCA 생산방법.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7-alpha-HS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7-alpha-HS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1 BP로 기탁된 것이고, 상기 7-beta-HS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7-beta-HS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2 BP로 기탁된 것인, UDCA 생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DH 또는 GDH는 그 유전자가 각각 E. coli에 도입되어 발현된 것인, UDCA 생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DH를 발현하는 세포 및 GDH를 발현하는 세포는 E. coli인 것인, UDCA 생산방법.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L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L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4 BP로 기탁된 것이고, 상기 GDH 유전자가 도입된 E. coli 또는 GDH를 발현하는 세포는 수탁번호 KCTC 14713 BP로 기탁된 것인, UDCA 생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DCA는 농도가 20 내지 50 g/L인 것인, UDCA 생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7-alpha-HSDH는 농도가 0.1 내지 5 U인 것인, UDCA 생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AD는 농도가 0.1 내지 10 mM인 것인, UDCA 생산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DH는 농도가 0.1 내지 1 U인 것인, UDCA 생산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7-beta-HSDH는 농도가 0.1 내지 5 U인 것인, UDCA 생산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ADP는 농도가 0.1 내지 1 mM인 것인, UDCA 생산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DH는 농도가 0.1 내지 3 U인 것인, UDCA 생산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c) 단계의 각 반응은 20 내지 30℃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UDCA 생산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를 수행한 뒤 (c)단계 전에 산성 조건에서 UDCA를 결정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UDCA 생산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잔류량의 7-Keto-LCA를 pH 6 내지 9 조건에서 7-beta-HSDH, NADP 및 GDH와 반응시키는 것인, UDCA 생산방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1회 이상 반복되는 것인, UDCA 생산방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CDCA (Chenodeoxycholic acid)에서 UDCA (Ursodeoxycholic acid)로의 전환율이 90% 이상인 것인, UDCA 생산방법.
  20. 수탁번호 KCTC 14711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1 균주.
  21. 수탁번호 KCTC 14712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2 균주.
  22. 수탁번호 KCTC 14713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3 균주.
  23. 수탁번호 KCTC 14714 BP로 기탁된 Escherichia coli ABP-4 균주.
KR1020210142959A 2021-10-25 2021-10-25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KR20230059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959A KR20230059001A (ko) 2021-10-25 2021-10-25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959A KR20230059001A (ko) 2021-10-25 2021-10-25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001A true KR20230059001A (ko) 2023-05-03

Family

ID=8638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959A KR20230059001A (ko) 2021-10-25 2021-10-25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0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188A (ko) 2019-06-10 2020-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풍에 의해 브레이크를 냉각하는 구조의 서스펜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188A (ko) 2019-06-10 2020-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풍에 의해 브레이크를 냉각하는 구조의 서스펜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20823B1 (en) NAD+ dependent 7ß-hydroxysteroid dehydrogenase
JP5627546B2 (ja) セコジオン誘導体のエナンチオ選択的な酵素的還元の方法
US20210340504A1 (en) Cell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Ursodeoxycholic Acid and Precursors Thereof
WO2010079594A1 (ja) ステロール側鎖切断酵素蛋白質およびその利用
CN113528606B (zh) 一种酶催化制备17β-羟基类固醇的方法
CN114015712A (zh) 一种熊去氧胆酸的制备方法
CN112457412B (zh) 一种人工电子传递系统及其在促进p450酶羟基化反应中的应用
WO2022156042A1 (zh) 氨基酸脱氢酶突变体及其应用
CN111235123B (zh) 一种醇溶液高浓度耐受的羰基还原酶及其应用
CN111500600B (zh) 3-甾酮-1,2-脱氢酶及其基因序列和应用
KR20230059001A (ko) 케노데옥시콜린산에서 우르소데옥시콜산으로의 전환율을 증진시키는 재조합 벡터 및 이를 이용한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CN112280723B (zh) 联产1,3-丙二醇和1,3-丁二醇的重组菌及其应用
CN112852911A (zh) 一种熊去氧胆酸的制备方法
CN109679978B (zh) 一种用于制备l-2-氨基丁酸的重组共表达体系及其应用
CN112592904B (zh) 一种分枝杆菌的17β-羟基类固醇脱氢酶突变体及其异源表达
EP4306638A1 (en) Variant of ruminococcus gnavus strain-derived 7-beta-hsdh, improving conversion rate from 7-keto-lca to ursodeoxychol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ursodeoxycholic acid by using same
CN109897872B (zh) 酶法制备(2s,3s)-n-叔丁氧羰基-3-氨基-1-氯-2-羟基-4-苯基丁烷
WO2006109632A1 (ja) 新規α-ケト酸還元酵素、その遺伝子、およびその利用法
WO2019114157A1 (zh) 一种酶法转化生产9α-羟基雄甾-4-烯-3,17-二酮的方法
CN114606220B (zh) 固定化经修饰的7α-羟基甾体脱氢酶及其应用
US12012619B2 (en) Methods of use for an NADPH-regeneration system based on a monomeric isocitrate dehydrogenase
CN114540338B (zh) 固定化经修饰的7β-羟基甾体脱氢酶及其应用
CN115786292B (zh) 一种3β-羟基甾体脱氢酶及其在制备去氢表雄酮中的应用
KR20240066502A (ko) 7-beta-HSDH의 변이체 및 7-alpha-HSDH를 이용한 단일 용기 반응 우르소데옥시콜산 생산방법
JP2009000103A (ja) ステロール側鎖の20位と22位の結合を切断する活性を有する酵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