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8148A - 삽입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삽입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8148A
KR20230058148A KR1020237010773A KR20237010773A KR20230058148A KR 20230058148 A KR20230058148 A KR 20230058148A KR 1020237010773 A KR1020237010773 A KR 1020237010773A KR 20237010773 A KR20237010773 A KR 20237010773A KR 20230058148 A KR20230058148 A KR 2023005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stage
aerosol
charging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반 프레스티아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3005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 및 삽입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삽입 기구는 장치를 공동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스테이지, 및 장치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삽입 기구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삽입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
본 개시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추가로 충전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추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연소하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에 함유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 챔버 내로의 삽입을 위해 구성된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가열 챔버 내로 삽입되면,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 챔버 내에 또는 그 주위에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터는 종종 장치의 재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사용 중이 아닐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고 재충전하기 위한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별도의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 추가로 공지되어 있다. 충전기 자체는 재충전 가능할 수 있는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전기는 외부 전기 공급부를 통해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기는 몸체, 몸체에 수용된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 및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을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삽입하도록 공동과 동축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일부 충전기는 심지어, 대응하는 전기 접촉부와 정합하기 위해 충전 유닛에 대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특정 회전 배향을 필요로 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종종 세장형 형상을 갖거나 로드 형상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적으로, 제2 및 제3 폭 치수보다 크기가 큰 제1, 길이 방향 치수를 갖는, 높은 종횡비를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충전기는 종종 사용자가 장치를 삽입할 필요가 있는 좁은 개구부를 정의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좁은 개구부는,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가진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이들 케이스에 삽입하는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케이스에 삽입하기 위해 좁은 개구부와 밀접하게 정렬하고, 그런 다음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기 사이의 적절한 전기적 연결을 보정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케이스 내로 길이방향으로미끄러지게 할 것이 요구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용이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 손만을 사용하여 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충전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지 않고 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충전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추가로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 장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속도 및 용이성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가 제공되어 있다. 충전기는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삽입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기구는 장치를 공동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기구는 장치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기구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가 제공되어 있다. 충전기는 장치 및 삽입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고 있다. 삽입 기구는 장치를 공동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삽입 기구는 장치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고 있다. 삽입 기구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삽입 스테이지', '충전 스테이지', 및 '배출 스테이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 충전, 및 배출의 작동 시퀀스를 위해 충전기의 삽입 기구의 구성 요소의 구성을 각각 지칭한다.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초기 삽입 위치로부터 적어도 제1 방향을 따라 최종 삽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장치는 최종 삽입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공동은 최종 삽입 위치에서 장치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최종 삽입 위치로부터 적어도 제2 방향을 따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장치는 충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공동은 충전 위치에서 장치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충전 위치에 있을 때 충전될 수 있다.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위치는 초기 삽입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은 충전 스테이지 및 삽입 스테이지의 역방향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 위치로부터 다시 초기 삽입 위치 내로 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시퀀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스테이지의 구성 요소는 동시에 다른 시퀀스를 작동하도록 구성된 다른 스테이지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기구가 삽입 스테이지의 일부일 수 있고, 삽입 시퀀스 동안 압축될 수 있다. 동시에, 스프링 기구는 배출 스테이지의 일부일 수 있고 배출 시퀀스 동안 이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는 낮은 광 조건에서 또는 사용자가 도로에 연속적인 시각적 초점 및 주의를 기울이면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충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 및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 내로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삽입은 사용자의 양손의 조율된 움직임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에 의해, 한 손만을 사용하여 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충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에 의해, 장치를 보지 않고 삽입할 수 있는 충전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충전기의 삽입 기구에 의해 충전기를 향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배향, 위치 설정, 및 움직임의 미세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충전기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의 경첩식 커버가 불필요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기의 취급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유닛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충전 장치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속도와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장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충전 스테이지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적어도 제2 방향으로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장치의 길이 방향 및 충전기의 길이 방향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직교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제1 방향을 따라 장치를 선형으로 및 회전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지는 제2 방향을 따라 장치를 선형으로 및 회전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선형으로 및 장치의 길이방향 축 주위에서 회전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선형으로 및 장치의 길이방향 축을 축회전시킴으로써 회전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의 길이방향 축을 축회전시키는 것은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중에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한 장치의 길이방향 축의 회전 움직임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길이방향 축은 초기 삽입 위치에서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고, 장치의 길이방향 축은 최종 삽입 위치에서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동일 선상에 있을 수 있다.
충전기는 모터 기구, 바람직하게는 모터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기구는 모터 기구, 바람직하게는 모터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제1 방향을 따라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 기구 및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제2 방향을 따라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 기구 및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중 적어도 일부 동안에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스프링 기구 및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지는 충전 위치에서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 상으로 장치의 전기 접촉부를 가압하도록 장치 상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를 향한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상기 장치의 움직임을 야기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스테이지는 스프링 기구 및 장치 상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장치가 공동의 후방 벽면에 대해 완전히 밀릴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충전기 외부 표면 밖으로 돌출하도록 버튼을 이동시켜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기구가 뒤로 이동되어, 장치에 가해진 힘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기는 장치의 길이방향 측면을 통해 공동 내로 장치의 측방향 삽입을 위한 세장형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방향 측면은 일반적으로 장치 또는 충전기의 가장 긴 측면을 지칭한다. 장치를 그의 길이방향 측면을 통해 세장형 개구부 내로 삽입함으로써, 삽입 치수가 최대화된다. 사용자가 장치의 더 작은 측면을 통해 대응하는 더 작은 개구부로 장치를 삽입하는 것에 비해 그의 길이방향 측면을 통해 더 큰 길이방향 개구부에 장치를 삽입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운전자가 도로에 연속적인 시각적 초점 및 주의를 기울이면서 장치를 더 큰 개구부에 배치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개구부의 측벽면은 장치를 공동 내로 안내하기 위해 공동을 향하는 깔때기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개구부의 크기는 공동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사용자는 큰 충전기 개구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기 개구부의 하나 이상의 벽면을 점진적으로 좁히는 안내에 의해 도움을 받아, 장치를 충전기 내부에 쉽게 적절히 삽입할 수 있다.
세장형 개구부는 충전기의 길이방향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충전기는, 장치가 개구부 내에 삽입될 때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공동은 충전 위치에서 장치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기 내부는 인그레스 보호 코드(Ingress Protection Code) IP64 이상에 따라 방수성 및 방진성일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는 충전기가 물과 먼지로부터 장치를 보호하게 할 수 있다. IP 또는 인그레스 보호 등급은 국제 표준 EN 60529에 정의되어 있다. 이들은 이물질(예를 들어 도구 또는 먼지) 및 습기로부터의 침입에 대한 전기 인클로저의 밀봉 효과의 수준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IP64는 완전히 방진되는 인클로저를 지칭하며, 즉, 연속 기류에 대해 테스트된, 진공 밀봉을 포함하는 먼지 및 다른 미립자에 대한 완전한 보호를 지칭한다. IP64는 또한 진동 스프레이로 최소 10분 동안 테스트한 모든 방향에서 물이 튀는 것으로부터 보호되는 인클로저를 지칭한다 (유해한 영향 없이 제한된 유입 허용).
충전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충전 단자의 대응하는 세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충전 단자의 일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장치는 위 또는 아래 배향으로 삽입될 때에 충전될 수 있도록 공동 내의 대향 벽면에 대칭으로 배열된 2 세트의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장치의 배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장치를 충전기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충전기의 취급을 단순화할 수 있다.
충전기는 이동식 후방 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후방 벽면은 공동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식 후방 벽면은 삽입 스테이지 및 배출 스테이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일부일 수 있다. 이동식 후방 벽면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식 후방 벽면은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중에 공동 내에서 그리고 공동의 벽면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식 후방 벽면은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 중에 역방향 움직임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동식 후방 벽면은 충전기의 스프링 기구 및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장치를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는 장치의 삽입을 단순화할 수 있다. 클램프는 충전기 내에 삽입될 때 장치의 정확한 배향을 지지할 수 있다. 클램프는 충전기의 이동식 후방 벽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장치를 파지하기 위한 자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의 이동식 후방 벽면은 자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대응하는 자기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충전기는 차량에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기는 충전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는 자동차 환기 브래킷 또는 오토바이 핸들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기구는 충전된 장치를 공동으로부터 배출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배출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장치를 쉽게 파지하게 할 수 있다.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은 장치가 충전될 때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배출 스테이지는 사용자가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을 수동으로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스테이지는 충전 스테이지 및 삽입 스테이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적어도 일부의 역방향 작동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키트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충전기 내에 삽입될 때,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충전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장치를 제1 방향을 따라 공동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장치를 제2 방향을 따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장치의 길이방향 축은, 장치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충전 위치에서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장치를 충전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를 충전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배출하는 단계는 제2 방향을 따라 그리고 제1 방향을 따라 충전 위치 밖으로의 장치의 역방향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일차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이차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력 연결부는 충전기의 전기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력 연결부는 USB 또는 마이크로 USB 연결부와 호환될 수 있다. 외부 전력 연결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충전기는 전력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용 전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충전기의 배터리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배터리보다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다.
충전기는 일차 전원에 의해 이차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도킹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도킹 배열은 결합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기 접촉부의 하나 이상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충전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는 데이터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충전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기는 휴대용이다. 즉, 충전기는 사용자가 소지할 적합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충전기는 궐련의 패킷과 유사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충전기는 임의의 적합한 최대 횡단면 및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충전기는 궐련의 종래 팩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 최대 횡단면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충전기는 약 50mm 내지 약 20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충전기는 약 10mm 내지 약 50mm의 외경 또는 최대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충전기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을 가질 수 있다. 충전기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충전기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충전기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충전 장치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일 수 있다. 하우징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핸드헬드 장치일 수 있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들기에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통상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비슷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휴대용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마름모꼴, 사다리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몇몇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가로방향 단면을 갖는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가로방향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하나보다 큰 순서의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 장치는 그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축대칭일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임의의 적합한 직경(최대 횡단면) 및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세장형일 수 있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종래의 궐련 또는 엽궐련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 직경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30mm 내지 약 15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약 5mm 내지 약 30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근위 말단, 원위 말단, 및 근위 말단과 원위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몸체를 갖는 세장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상류', '하류', '근위(proximal)' 및 '원위(distal)'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케이스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일부분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길이방향'은 하류, 근위 또는 마우스 말단과 대향하는 상류 또는 원위 말단 사이의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용어 '가로방향'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길이(length)'는 구성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케이스의 원위 또는 상류 말단과 근위 또는 하류 말단 사이의 최대 길이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직경"은 구성요소,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최대 가로방향 치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횡단면(transverse cross-section)'은 구성 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구성 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주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구성 요소, 에어로졸 발생 장치,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충전 장치의 단면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를 지칭한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거나 연소시킴으로써 방출될 수 있다. 가열이나 연소의 대안으로서, 일부 경우에 휘발성 화합물은 화학 반응에 의하거나 초음파와 같은 기계적 자극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거나, 고체 성분과 액체 성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일회용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호작용해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카트리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기재로부터 휘발성 화합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전기 히터와 같은 분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조합을 지칭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를 형성할 때,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조합을 지칭한다.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협력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
아래에 비제한적인 예의 비포괄적인 목록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예, 실시예, 또는 측면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와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로서, 장치 및 삽입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장치를 상기 공동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스테이지, 및 상기 장치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상기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적어도 제2 방향으로 상기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및 회전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4: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및 회전으로 이동시키는 것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5: 실시예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장치의 길이 방향 및 상기 충전기의 길이 방향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직교하는, 충전기.
실시예 6: 실시예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충전기.
실시예 7: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의 전기 접촉부를 상기 충전 위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 상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8: 실시예 7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를 향한 상기 장치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상기 장치의 움직임을 야기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9: 실시예 7 또는 실시예 8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스프링 기구 및 상기 장치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상기 기구는 상기 장치가 상기 공동의 후방벽면에 대해 완전히 밀릴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11: 실시예 9 또는 실시예 10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충전기 외부 표면 밖으로 돌출되도록 버튼을 이동시켜,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기구가 뒤로 이동되어, 상기 장치에 가해진 힘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12: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테이지는 상기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의 적어도 일부 동안에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스프링 기구 및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13: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 측면을 통해 상기 공동 내로 상기 장치의 측방향 삽입을 위한 세장형 개구부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14: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측벽면은 상기 장치를 상기 공동 내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공동을 향하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충전기.
실시예 15: 실시예 13 또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개구부는 상기 충전기의 길이 방향 측면에 배열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16: 실시예 15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장치가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17: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장치를 상기 충전 위치에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18: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내부는 IP64 이상에 따라 방수성 및 방진성인, 충전기.
실시예 19: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장치가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삽입될 때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공동 내의 대향 벽면에 대칭으로 배열된 2세트의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20: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21: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파지하기 위한 자기 표면을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22: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차량에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23: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충전기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24: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충전된 장치를 상기 공동으로부터 배출 위치로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배출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25: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은 상기 장치가 충전될 때 자동으로 개시되는, 충전기.
실시예 26: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스테이지는 사용자가 상기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을 수동으로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27: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튼을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28: 실시예 24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스테이지는 상기 충전 스테이지 및 상기 삽입 스테이지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적어도 일부의 역방향 작동을 위해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실시예 29: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삽입 기구는 모터 기구, 바람직하게는 모터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충전기.
실시예 30: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키트.
실시예 31: 실시예 30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품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 키트.
실시예 32: 실시예 30 또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상기 충전기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키트.
실시예 33: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실시예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충전기를 제공하는 단계;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치를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공동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치를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충전 위치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34: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 축은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따라 이동되는 동안 상기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법.
실시예 35: 실시예 33 또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법.
실시예 36: 실시예 33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상기 충전 위치에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37: 실시예 33 내지 3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상기 충전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38: 실시예 37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상기 충전 위치로부터 배출 위치로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충전 위치 밖으로 상기 장치를 역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충전기의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을 보여주고 있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충전기의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보여주고 있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충전기의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을 보여주고 있고;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충전기의 삽입 스테이지 및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보여주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충전기(10)의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을 보여주고 있다. 충전기(10)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12)는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충전기(10)는 장치(12)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14)을 포함하고 있다. 충전기(10)는 삽입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삽입 기구는 장치(12)를 공동(14)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충전기(10)는 장치(12)의 길이방향 측면을 통해 공동(14) 내로 장치(12)의 측방향 삽입을 위한 세장형 개구부(16)를 포함하고 있다. 세장형 개구부(16)는 충전기(10)의 길이방향 측면에 배열되어 있다. 삽입 방향은 화살표로 예시된다. 충전기(10)는 장치(12)가 개구부(16) 내에 삽입될 때 충전기(10)의 길이방향 축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2)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개구부(16)의 측벽면(18)은 장치(12)를 공동(14) 내로 안내하기 위해 공동(14)을 향하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삽입 스테이지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2)를 파지하고 장치(12)의 삽입을 개시하기 위한 클램프(20)를 포함하고 있다. 클램프(20)는 충전기(10)의 이동식 후방 벽면(22) 상에 장착되어 있다. 삽입 스테이지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삽입 위치로부터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삽입 위치로 제1 방향으로 장치(12)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방향은 장치(12)의 길이 방향 및 충전기(10)의 길이 방향 모두에 직교한다.
삽입 기구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중에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제1 스프링 기구(24)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스프링 기구(24)는 장치(12)의 삽입 및 이동식 후방 벽면(22)의 움직임 동안에 압축된다.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는 도 1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또한 압축된 상태에서의 제2 스프링 기구(26)를 보여주고 있다. 제2 스프링 기구(2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전 스테이지의 일부이다.
충전기(1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최종 삽입 위치로부터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도 2a는 장치가 최종 삽입 위치에 있을 때의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를 보여주는 도 1c와 주로 동일하다. 도 1c와 도 2a의 유일한 차이는 도 2a가 카운터 스프링 기구(28)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카운터 스프링 기구(28)는 제2 스프링 기구(26)보다 약하다. 카운터 스프링 기구(28)는 장치(12)의 배출을 지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삽입 기구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스테이지는 도 2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장치를 선형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도 2b는 최종 충전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14)은 충전 위치에서 장치(12)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스테이지는 장치(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힘을 가하여 장치(12)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장치(12)의 수직 움직임을 충전기(10)의 전기 접촉부(30)를 향해 야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스테이지는 충전 위치에서 장치(12)의 전기 접촉부를 충전기(10)의 전기 접촉부(30) 상으로 가압하도록 장치 상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 기구(26)는 장치(12) 상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 기구(26)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자동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 기구(26)는 장치(12)가 공동(14)의 후방벽면에 대해 완전히 밀릴 때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이동식 후방 벽면(22)이 좌측을 향해 완전히 밀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 기구(26)는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이동식 후방 벽면(22)에 의해 더 이상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스프링 기구(26)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의 전기 접촉부(30) 상의 장치(12)의 전기 접촉부를 밀기 위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클램프(20)는 장치(12)의 정확한 하향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10)는 도 2b의 제2 스프링 기구(26)와 함께 하향 이동된 수직 축 부재(32) 및 횡단 축 부재(34)의 정합 기어를 포함하고 있다. 정합 기어는 수직 축 부재(32)의 수직 하향 움직임을 횡단 축 부재(34)의 직선형 외측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횡단 축 부재(34)의 외측 움직임에 의해, 횡단 축 부재(34)의 말단에 있는 버튼(36)은 충전기(10)의 외부 표면 상에서 이동한다. 버튼(36)은 충전기(10) 밖으로 돌출되어서, 버튼(36)을 누름으로써 기구가 뒤로 이동되어 제2 스프링 기구(26)에 의해 장치(12)에 가해진 힘을 해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스프링 기구(24)(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이동했을 때, 이동식 후방 벽면(22)을 제 위치에 유지하는 수직 축 부재(34)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스프링 기구(24)는 또한 회전 후크 또는 전자기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추가적인 배출 스테이지를 갖는 본 발명의 충전기(10)를 보여주고 있다. 충전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충전기(1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충전기(10)의 삽입 기구는 장치(12)를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배출 위치로 공동(14) 밖으로 충전된 장치(12)를 부분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된 배출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있다.
도 3a는 도 2b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은 장치(12)가 충전될 때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버튼(36)을 누름으로써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을 수동으로 개시할 수 있다. 배출은 수직 축 부재(32) 및 횡단 축 부재(34)의 정합 기어에 연결된 모터 구동 기어(38)에 의해 실현된다. 모터 구동 기어(38)는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로부터 도 2b에 도시된 최종 충전 위치로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역방향 작동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b는 모터 구동 기어(38)의 회전을 곡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횡단 축 부재(34)는 다른 화살표 4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 내측으로 당겨진다. 수직 축 부재(32)와 횡단 축 부재(34) 사이의 기어 연결로 인해, 수직 축 부재(32)는 제2 스프링 기구(26)를 압축하고 장치(12) 상의 압력을 해제하는 상향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카운터 스프링 기구(28)는 도 3c에서 화살표 4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장치(12)를 위로 밀어서, 개방 경로로 되돌릴 수 있다.
도 3b는 수직 축 부재(32) 및 완전히 수축되는 횡단 축 부재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 다음, 제2 스프링 기구(26)는 이동식 후방 벽면(22)을 더 이상 차단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제1 스프링 기구(24)는 장치(12)를 충전기(10)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쉽게 집어 들 수 있다. 따라서, 도 3c는 배출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배출 위치는 초기 삽입 위치에 대응한다.
도 1 내지 도 3의 비교는 배출 스테이지가 충전 스테이지 및 삽입 스테이지의 역방향 작동을 위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가시화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기(10)의 삽입 스테이지 및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연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의 구현예에서, 충전기(10)는, 장치(12)가 위 또는 아래 배향으로 삽입될 때 충전될 수 있도록, 공동(14) 내의 대향 벽면에 대칭적으로 배열된 2세트의 충전 단자(30)를 포함한다. 이는 장치(12)가 그의 최종 충전 위치에 있는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Claims (18)

  1.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로서, 상기 장치 및 삽입 기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장치를 상기 공동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스테이지, 및 상기 장치를 충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상기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자동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장치의 전기 접촉부가 상기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상기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자동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장치의 전기 접촉부가 상기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상기 충전 스테이지의 작동을 자동으로 개시하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충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적어도 제2 방향으로 상기 장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충전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에 힘을 가하여 상기 장치의 전기 접촉부를 상기 충전 위치에서 상기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 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힘을 가하여 상기 충전기의 전기 접촉부를 향한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한 상기 장치의 움직임을 야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테이지는 스프링 기구 및 상기 장치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삽입 스테이지의 작동 종료 시 활성화되도록 구성된 모터 기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충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충전기 외부 표면 밖으로 돌출하도록 버튼을 이동시켜서,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기 기구가 뒤로 이동되어, 상기 장치에 가해진 힘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길이방향 측면을 통해 상기 공동 내로의 장치의 측방향 삽입을 위한 세장형 개구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세장형 개구부는 상기 충전기의 길이방향 측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충전기는 상기 장치가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될 때 상기 충전기의 길이방향 축이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길이방향 축에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충전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충전 위치에서 상기 장치를 완전히 에워싸도록 구성되어 있는, 충전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장치가 위 또는 아래 배향으로 삽입될 때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공동 내의 대향 벽면에 대칭으로 배열된 2 세트의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기구는 상기 충전된 장치를 상기 공동으로부터 배출 위치로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배출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충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은 상기 장치의 충전이 완료될 때에 자동으로 개시되는, 충전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스테이지는 사용자가 상기 배출 스테이지의 작동을 수동으로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충전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키트.
  18.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기를 제공하는 단계;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치를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공동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장치를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충전 위치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37010773A 2020-09-30 2021-09-23 삽입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 KR202300581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99373 2020-09-30
EP20199373.0 2020-09-30
PCT/EP2021/076171 WO2022069335A1 (en) 2020-09-30 2021-09-23 Charger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insertion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148A true KR20230058148A (ko) 2023-05-02

Family

ID=7270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773A KR20230058148A (ko) 2020-09-30 2021-09-23 삽입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71615A1 (ko)
EP (1) EP4221526A1 (ko)
JP (1) JP2023544149A (ko)
KR (1) KR20230058148A (ko)
CN (1) CN116157977A (ko)
WO (1) WO20220693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413019D0 (en) * 2014-02-28 2014-09-03 Beyond Twenty Ltd Beyond 1B
CN107692327B (zh) * 2017-11-10 2020-03-27 绿烟实业(深圳)有限公司 加热不燃烧烟具及充电底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4149A (ja) 2023-10-20
WO2022069335A1 (en) 2022-04-07
CN116157977A (zh) 2023-05-23
US20230371615A1 (en) 2023-11-23
EP4221526A1 (en)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40797B (zh) 可充电电子烟
RU2746573C1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устройством, генерирующим аэрозоль, с контактами на концах
CN110536613A (zh) 具有容器的气溶胶生成系统
US11910839B2 (en) Case for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detector
RU2757569C2 (ru)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2571931B1 (ko)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차량내 충전 스테이션
EP4166022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button protection
RU2756887C2 (ru)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истема с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генерирующим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ом с боковым соединением
CN110786782A (zh) 电吸尘器的充电座
EP4026569A1 (en) Tool for powered sprayer
KR20230058148A (ko) 삽입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충전기
JP2022504951A (ja) 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RU2815676C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с механизмом вставки
KR20220083756A (ko) 다중 구성요소 커버를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20114540A (ko) 다수의 전원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또는 케이스
RU2792796C2 (ru) Футляр с детектором для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а
RU2816489C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й крышкой
RU2816153C1 (ru)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средствами закрытия
CN113518565B (zh) 具有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可旋转保持器的壳体
KR10232537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키트
KR20210110320A (ko) 전력 공급을 위한 홀더가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케이스
JP2022552658A (ja) 保持部を備えるホルダー
WO2023166093A1 (en) Cleaning tool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