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334A -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334A
KR20230057334A KR1020237001072A KR20237001072A KR20230057334A KR 20230057334 A KR20230057334 A KR 20230057334A KR 1020237001072 A KR1020237001072 A KR 1020237001072A KR 20237001072 A KR20237001072 A KR 20237001072A KR 20230057334 A KR20230057334 A KR 2023005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저 푸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5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9Acquisition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e.g. detection of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 관한 것이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생존 시간(survival time)은 데이터 전송 실패에서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으로 복구되는데 주어지는 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생존 시간은 복수 개의 데이터 전송 간격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생존 시간의 활성화 조건은 데이터 패킷 전송 실패가 발생되는 것이고, 만약 생존 시간이 초과되도록 통신 시스템이 여전히 정상적 데이터 전송을 복구하지 못하면, 통신 서비스는 다운 상태에 진입한다. 생존 시간이 활성화될 때 데이터 복사 전송 등 데이터 통신 에러율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5세대 이동 통신 5G 뉴 라디오(NR) 기술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을 송신하여 단말의 업링크 복사 전송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는 적어도 두 개의 MAC CE를 송신하여 단말 복사 전송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지시해야 하며, 이러한 복사 활성화 전송 메커니즘은 단말 측 복사 전송 상태의 유연한 변경을 지원하지 않기에, 상기 메커니즘에 대해 최적화 설계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함 -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단말 기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전술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전술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하고, 상기 칩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켜, 상기 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로 하여금 전술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데이터 전송 실패가 발생된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지시된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단말 기기로 하여금 지시 정보에 따라 짧은 시간 내에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복구하여, 데이터 전송 실패 시간이 너무 길어 시스템이 다운되는 것을 피하고, 구현 과정에서 여러 번 지시할 필요가 없으며, 지시 방식이 유연하여, 스펙트럼 사용률을 일정한 정도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단말 기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 실패 시간 초과로 인한 시스템 다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활성화/비활성화가 필요한 멀티 링크 데이터 복사 전송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MAC CE 활성화/비활성화를 위한 포맷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측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말 측 실시예의 데이터 전송 방법의 흐름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데이터 복사 전송을 활성화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구조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예시적 구조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글로벌 이동 통신(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시스템,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NR 시스템의 진화형 시스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LTE(LTE-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LTE-U) 시스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NR(NR-based access to unlicensed spectrum, NR-U) 시스템, 비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s, NTN)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5 세대 통신(5th-Generation, 5G) 시스템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연결 개수는 유한적이고, 구현하기 쉽지만,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통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기기간 통신(Device to Device, D2D),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차량 간 통신(Vehicle to Vehicle, V2V) 또는 차량 인터넷 통신(Vehicle to everything, V2X) 등과 같은 통신을 더 지원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고,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독립형(Standalone, SA) 배포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를 결합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하였고, 여기서, 단말 기기는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 기기는 WLAN에서의 스테이션(STAION, ST)일 수 있고,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가입자망(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능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예를 들어 NR 네트워크와 같은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실내 또는 실외, 핸드헬드, 착용 또는 차량 탑재를 포함하는 육지에 배치될 수 있고; 수면(예를 들어 선박)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공중(예를 들어 비행기, 기구 및 인공위성)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핸드폰(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Pad), 무선 송수신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 기기,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단말 기기, 산업 제어(industrial control)에서의 무선 단말 기기, 자율 주행(self driving)에서의 무선 단말 기기, 원격 의료(remote medical)에서의 무선 단말 기기,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에서의 무선 단말 기기, 운송 안전(Transportation Safety)에서의 무선 단말 기기, 스마트시티(Smart City)에서의 무선 단말 기기, 스마트홈(Smart Home)에서의 무선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웨어러블 기기일 수도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로 지칭될 수도 있고, 웨어러블 기술을 응용하여 데일리 웨어에 대해 스마트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개발된 안경, 장갑, 시계, 의류 및 신발 등과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총칭이다. 웨어러블 기기는 몸에 직접 착용하거나, 사용자의 옷 또는 액세서리에 통합된 휴대용 기기이다. 웨어러블 기기는 하드웨어 기기일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지원 및 데이터 인터랙션, 클라우드 인터랙션을 통해 강력한 기능을 구현한다. 일반화된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 안경 등과 같이 기능이 완벽하고, 사이즈가 크며,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고도 전체 또는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기 및 예를 들어 신체 징후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다양한 스마트 밴드, 스마트 액세서리 등과 같이 특정된 유형의 응용 기능에만 집중하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기기와 함께 사용해야 되는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기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는 WLAN에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GSM 또는 CDMA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 있으며, WCDMA에서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고, LTE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이거나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차량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및 NR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gNB) 또는 미래 진화된 PLMN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이동 특성을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기는 이동되는 기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위성, 기구 스테이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성은 저궤도(low earth orbit, LEO) 위성, 중궤도(medium earth orbit, MEO) 위성, 정지 궤도(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위성, 고타원 궤도(High Elliptical Orbit, HEO) 위성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는 육지, 수역 등 위치에 설치된 기지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셀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상기 셀에 사용되는 전송 자원(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 자원 또는 스펙트럼 자원)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셀은 네트워크 기기(예를 들어 기지국)에 대응되는 셀일 수 있고, 셀은 매크로 기지국에 속할 수 있으며, 스몰 셀(Small cell)에 대응되는 기지국에 속할 수도 있고, 여기서 스몰 셀은, 메트로 셀(Metr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몰 셀은 커버리지가 작고 송신 전력이 낮은 특징을 구비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용된다.
도 1은 하나의 네트워크 기기(1100) 및 두 개의 단말 기기(12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고,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11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네트워크 기기(1100)의 커버리지 내에는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접속과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등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 중 용어“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자주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예를 들어 앞뒤 연관 대상은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설명하면,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 A 및 B가 동시에 존재,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 연관 대상이 “또는” 관계인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용어 “대응”은 둘 사이에 직접 대응 또는 간접 대응의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둘 사이에 관련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지시하거나 지시되는 관계, 구성하거나 구성되는 관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상을 명확히 논술하기 위해, 먼저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가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를 활성화하여 복사 전송을 위한 처리 과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생존 시간(survival time)이 만료되어 다운되는 예시도를 도시하였고, 여기서 생존 시간은 두 개의 전송 간격(transfer interval)이며, 활성화 조건은 하나의 데이터 패킷이 전송 실패되는 것이고, 만약 생존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데이터 전송이 복구되지 않으면,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산업 제어 등 분야 애플리케이션)은 다운 상태에 진입한다. 현재 이미 두 개 이상의 전송 링크의 데이터 복사로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도입하였고, 네트워크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 또는 MAC CE를 송신하는 것을 통해 단말의 업링크 복사 전송을 활성화시키며, 도 3을 참조하면, 그 중 하나의 메인 RLC 링크는 항상 활성화되고, 다른 보조 RLC 링크의 활성화 여부는 네트워크 구성에 의해 결정되며, 네트워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MAC CE를 통해 구체적으로 활성화된 보조 RLC 링크를 지시하여, 복사 전송에 사용된다. 도 4에서, RLC2, RLC1 및 RLC0은 논리 채널 번호 오름순 또는 내림순으로 배열된 RLC 링크에 각각 대응되고, 상응한 비트는 1 또는 0으로 설정되어, 상기 RLC 링크의 복사 전송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을 대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MAC CE에 기반하여, 네트워크는 적어도 두 개의 MAC CE를 송신해야만 단말에 대한 복사 전송 활성화 및 복사 전송 비활성화를 완료할 수 있고, 단말 복사 전송 상태에 대한 활성화, 특히 생존 시간 전송 보장을 만족하는 시나리오에 대해, 현재의 복사 전송 활성화 메커니즘은 유연성이 부족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예를 들어 단말 기기에 데이터 패킷 전송 실패가 발생된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가 포함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고;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턴 온하여, 생존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데이터 전송을 복구함으로써, 시스템이 다운되는 것을 피하여, 전송 보장의 요구를 만족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대응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함 - 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턴 온하여, 유효 기간 내에 지시된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으로 하여금 생존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데이터 전송을 복구하도록 하고, 구현 과정에서 비활성화 지시를 다시 수신할 필요가 없어서, 스펙트럼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a) 상기 단말 기기가 복사 전송 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한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b) 상기 단말 기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 및
c) 상기 단말 기기가 대응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a) 단말 기기가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에 따라 복사 전송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
b) 단말 기기가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구성을 변경하는 것; 및
c) 단말 기기가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다음, 상기 단말 기기는,
a) 단말 기기가 복사 전송을 정지하는 것;
b) 단말 기기가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의 논리 채널 구성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하는 것; 및
c) 단말 기기가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의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는,
●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인덱스 정보;
●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구성 상태 정보; 및
● 복사 전송 활성화를 위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는,
●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 채널 - 상이한 논리 채널은 상이한 셀에 대응됨 - ; 및
●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허용된 서빙 셀 리스트(allowed serving cell)에 대응되는 셀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기간, 시작 시간, 정지 시간, 데이터 패킷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은,
●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대응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 넘버; 및
●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HARQ 프로세스 넘버와 이전 번의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을 때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 넘버 사이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은,
●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된 개수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및
● 참조 신호 측정값이 제3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임계값은 기설정된 것이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MAC CE, RRC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MAC CE, RRC 및 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네트워크가 단말로 하여금 짧은 시간 내에 복사 전송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지원하여, 데이터 패킷 전송 실패 시간이 너무 길어서는 안된다는 생존 시간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펙트럼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구현 방식을 설명하였고, 아래에 구체적 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 과정을 설명한다.
네트워크 기기 측에서, 예를 들어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기기는 MAC CE, RRC 시그널링 또는 DCI를 통해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며, 여기서,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CS 정보와 같은 다른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상기 세 가지 정보 중 임의의 한 가지 정보, 임의의 두 가지 정보의 조합 또는 세 가지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가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및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에서 데이터 패킷의 복사 전송 과정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가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및 제1 MCS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제1 MCS 인덱스 정보에 대응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의 복사 전송 과정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지시 정보는 유효 기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효 기간은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RC를 통해 유효 기간을 구성하거나 MAC CE에 의해 유효 기간 정보가 반송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효 기간은 데이터 패킷(packet)의 전송 횟수(예를 들어 N 회 전송)일 수 있고, N 개의 데이터 패킷이 전송 완료된 다음 유효 기간이 종료되며; 타이머(timer)를 사용하여 유효 기간을 정의할 수도 있고, 타이머가 완료될 때 유효 기간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에 송신하는 지시 정보는 다양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고, 아래에 지시 정보가 다양한 정보를 반송하는 경우 및 대응되는 단말 측의 처리 방식을 열거한다.
1)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 및/또는 다른 전송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간의 관련 정보를 연속적으로 복사하며; 단말 기기는 상기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상기 기간이 만료된 다음 자동적으로 시스템 원래 구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된다.
2)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횟수의 관련 정보를 연속적으로 복사하며; 단말 기기는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패킷의 복사 전송을 수행하고, 복사 전송이 상기 횟수(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 패킷이 10번 반복 전송됨)에 도달한 다음, 자동적으로 시스템 원래 구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된다.
3)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조건을 연속적으로 복사하는 것을 정지하며, 예를 들어, 단말은 N 개의 ACK 정보(N은 임계값이고, N은 양의 정수임)를 수신하거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과 같은 단말이 참조 신호에 대한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더 이상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송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복사하지 않고, 시스템 원래 구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된다.
4) 예를 들어, 미래에 사용될 데이터가 탑재된 HARQ 프로세스 넘버, 또는 상기 미래에 사용될 데이터가 탑재된 HARQ 프로세스 넘버와 이전 번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HARQ 프로세스 넘버의 차이값과 같은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작 시간의 관련 정보를 연속적으로 복사하며; 단말 기기는 상기 HARQ 프로세스 넘버에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5) 데이터 복사 전송에 사용 가능한 보조 RLC의 인덱스를 반송하면; 선택적으로, 디폴트 설정은 모든 보조 RLC의 인덱스일 수 있고, 즉 만약 지시 정보에 보조 RLC의 인덱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때, 단말 기기는 디폴트로 모든 보조 RLC를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의 복사 전송을 수행한다.
6) 데이터 복사 전송에 사용 가능한 보조 RLC 구성 상태 정보를 반송하고, 예를 들어 RRC에서 아래 구성을 할 수 있으며, 즉 RLC1 및 RLC2는 번호가 0인 한 그룹의 구성이고; RLC2 및 RLC3은 번호가 1인 한 그룹의 구성이면; 단말은 수신된 번호에 대응되는 보조 RLC 그룹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의 복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7) 복사 전송을 활성화하는 지시를 반송하고; 여기서,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유효 기간 정보와 같은 다른 구성은 이미 RRC 시그널링에서 구성을 완료하면; 단말 기기는 복사 전송을 활성화하는 지시가 수신될 때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8)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시점 또는 효력 발생 시간을 반송하면; 단말 기기는 상기 시점 또는 효력 발생 시간에 도달했을 때, 예를 들어 단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이 실패했을 때,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9)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추천 논리 채널과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 - 상이한 논리 채널을 상이한 셀에 대응됨 - 하거나, 예를 들어 수정된 허용된 서빙 셀 리스트 중의 셀 ID 식별자 정보와 같은 단말이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적용하는 수정된 허용된 서빙 셀 리스트(allowed serving cell)와 관련되는 정보를 포함하면; 단말 기기는 추천된 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10) 수정된 MCS 인덱스 번호 정보를 반송하면; 단말 기기는 수정된 MCS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11) 복수 개의 수신된 긍정 확인 메시지(ACK)를 반송하면; 단말은 수신된 ACK의 개수가 상기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더 이상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송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복사하지 않고, 시스템 원래 구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된다.
12) ACK 메시지의 HARQ 피드백이 수신되기 전 데이터 패킷이 반복 전송되는 횟수를 반송하면; ACK가 수신되기 전 데이터 패킷 전송 횟수가 상기 횟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더 이상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송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복사하지 않고, 시스템 원래 구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된다.
알 수 있다시피, 단말이 기지국의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지시 정보의 관련 구성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턴 온하고,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의 복사 전송을 수행하며; 선택적으로, 상응한 정지 조건이 충족될 때, 단말은 복사 전송을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이 실패했을 때, 기지국은 단말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지시 정보는 MAC CE에 의해 반송되며, 단말이 지시 정보를 수신한 다음 복사 전송을 턴 온하거나 활성화하고, 생존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전송을 복구하며, 복사 전송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MAC CE를 다시 송신할 필요가 없어서, 생존 시간 전송 보장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단말에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대응되는 유효 기간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통해, 네트워크가 단말로 하여금 짧은 시간 내에 복사 전송을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을 지원하여, 데이터 패킷 전송 실패 시간이 너무 길어서는 안된다는 생존 시간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 복사 전송 상태의 유연한 변경을 지원하여, 스펙트럼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를 통해 상이한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 설정 및 구현 방식을 설명하였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처리 방법과 서로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100)를 더 제공하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110)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처리 방법과 서로 대응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200)를 더 제공하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210)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모듈(2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100) 및 단말 기기(200)는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의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100) 및 단말 기기(200)에서의 각 모듈(서브 모듈, 유닛 또는 컴포넌트 등)에 대응되는 흐름, 기능, 구현 방식 및 유익한 효과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100) 및 단말 기기(200)에서의 각 모듈(서브 모듈, 유닛 또는 컴포넌트 등)에서 설명한 기능에 관하여, 상이한 모듈(서브 모듈, 유닛 또는 컴포넌트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동일한 모듈(서브 모듈, 유닛 또는 컴포넌트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송신 모듈과 제2 송신 모듈은 상이한 모듈일 수 있고, 동일한 모듈일 수도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600)의 예시적 구조도이고, 여기서 통신 기기(600)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6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기기(600)는 메모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기기(600)는 트랜시버(6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610)는 상기 트랜시버(630)가 다른 기기와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시버(6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630)는 안테나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700)의 예시적 구조도이고, 여기서 칩(700)은 프로세서(710)를 포함하며, 프로세서(7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칩(700)은 메모리(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재일 수 있고, 프로세서(7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700)은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700)은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기타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본 발명의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하는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언급된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 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메모리는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인 설명이 아니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모리는 또한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 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 link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800)의 예시적 블록도이고, 상기 통신 시스템(800)은 단말 기기(810) 및 네트워크 기기(8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기기(810)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방법에서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기기(820)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방법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때,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로딩 및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또는 기능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어는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으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 매체 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사용 가능한 매체 통합을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켓,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과정의 시퀀스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구성하지 않아야 한다.
해당 기술 분야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 및 간결함을 위해,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반복하지 않는다.
위의 설명은,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경 또는 교체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44)

  1.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고,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 전송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복사 전송 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대응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는,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인덱스 정보;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구성 상태 정보; 및
    복사 전송 활성화를 위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 채널 - 상이한 논리 채널은 상이한 셀에 대응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허용된 서빙 셀 리스트(allowed serving cell)에 대응되는 셀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기간, 시작 시간, 정지 시간, 데이터 패킷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은,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대응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프로세스 넘버; 및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HARQ 프로세스 넘버와 지난 번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을 때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 넘버 사이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은,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된 개수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및
    참조 신호 측정값이 제3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고,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에 적용되고,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 및 전송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단말 기기가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에 따라 복사 전송 과정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다음,
    상기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복사 전송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의 논리 채널 구성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의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는,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인덱스 정보;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구성 상태 정보; 및
    복사 전송 활성화를 위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 채널 - 상이한 논리 채널은 상이한 셀에 대응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허용된 서빙 셀 리스트(allowed serving cell)에 대응되는 셀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기간, 시작 시간, 정지 시간, 데이터 패킷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은,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대응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프로세스 넘버; 및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HARQ 프로세스 넘버와 이전 번의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을 때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 넘버 사이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은,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된 개수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및
    참조 신호 측정값이 제3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고,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네트워크 기기로서,
    단말 기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 전송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복사 전송 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대응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는,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인덱스 정보;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구성 상태 정보; 및
    복사 전송 활성화를 위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 채널 - 상이한 논리 채널은 상이한 셀에 대응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허용된 서빙 셀 리스트(allowed serving cell)에 대응되는 셀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기간, 시작 시간, 정지 시간, 데이터 패킷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은,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대응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프로세스 넘버; 및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HARQ 프로세스 넘버와 이전 번의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을 때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 넘버 사이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은,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된 개수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및
    참조 신호 측정값이 제3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8. 제2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고,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9. 단말 기기로서,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지시 정보는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 및 유효 기간 정보를 포함함 - ; 및
    상기 유효 기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 및 전송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에 따라 복사 전송 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처리 모듈;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 기기의 업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논리 채널 구성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처리 모듈; 및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에 대응되는 전송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전송 처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다음 복사 전송을 정지하기 위한 정지 처리 모듈;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다음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의 논리 채널 구성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하기 위한 제1 복구 처리 모듈; 및
    상기 유효 기간이 만료된 다음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가 수신되기 이전의 전송 파라미터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복구하기 위한 제2 복구 처리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전송 활성화 정보는,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인덱스 정보;
    데이터 복사 전송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보조 RLC의 구성 상태 정보; 및
    복사 전송 활성화를 위한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채널 구성 변경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 채널 - 상이한 논리 채널은 상이한 셀에 대응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허용된 서빙 셀 리스트(allowed serving cell)에 대응되는 셀 식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라미터 정보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의 인덱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5. 제2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기간, 시작 시간, 정지 시간, 데이터 패킷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온 또는 활성화하는 조건은,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대응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프로세스 넘버; 및
    다음 번의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HARQ 프로세스 넘버와 이전 번의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을 때 대응되는 HARQ 프로세스 넘버 사이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턴 오프 또는 비활성화하는 조건은,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되기 전에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횟수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긍정 확인 메시지(ACK)가 수신된 개수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및
    참조 신호 측정값이 제3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8.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구성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고,
    상기 유효 기간 정보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 제어 유닛(MAC CE), 무선 자원 제어(RRC) 정보 및 다운 링크 제어 정보(DCI) 중 적어도 한 가지 정보에 의해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9.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40.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41. 칩으로서,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4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4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4.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7001072A 2020-08-28 2020-08-28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2300573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2141 WO2022041125A1 (zh) 2020-08-28 2020-08-28 数据传输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334A true KR20230057334A (ko) 2023-04-28

Family

ID=8035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072A KR20230057334A (ko) 2020-08-28 2020-08-28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38379A1 (ko)
EP (1) EP4156815A4 (ko)
JP (1) JP2023544670A (ko)
KR (1) KR20230057334A (ko)
CN (2) CN115669129A (ko)
WO (1) WO20220411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760A1 (en) * 2016-11-04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duplication transmission
EP4114112A1 (en) * 2017-01-13 2023-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pack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21756B2 (en) * 2017-02-13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Repetition-based uplink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in a new radi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34598B2 (en) * 2017-04-25 2019-06-25 Motorola Mobility Llc Determining a priority order based on uplink transmission parameters
US11212701B2 (en) * 2017-05-14 2021-12-2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quality-of-service guarantee
CN109802815B (zh) * 2017-11-17 2023-06-20 华为技术有限公司 指示的方法和通信装置
CN109905897B (zh) * 2017-12-08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CN110445521B (zh) * 2018-05-04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设备
WO2020056751A1 (zh) * 2018-09-21 2020-03-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配置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11711167B2 (en) * 2018-11-01 2023-07-2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4846757A (zh) * 2020-01-07 2022-08-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激活或去激活可靠传输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69129A (zh) 2023-01-31
EP4156815A4 (en) 2023-07-19
CN116321490A (zh) 2023-06-23
WO2022041125A1 (zh) 2022-03-03
US20230138379A1 (en) 2023-05-04
JP2023544670A (ja) 2023-10-25
EP4156815A1 (en) 202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10861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の復旧装置
EP31115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joint transmission over licensed and unlicensed bands using fountain codes
CN111373809B (zh) 上行信号发送方法、上行信号接收方法、装置和系统
US2022006029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ceiving-end device, and sending-end device
CN109309928B (zh) D2d链路检测方法、相关装置及系统
US20230113672A1 (en) Harq-ack codebook feedback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230231665A1 (en) Method for feeding bac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harq-ack) and terminal device
US8644237B2 (en) Uplink load gener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CN114788204B (zh) Harq进程的状态确定方法、装置及设备
WO2020167215A1 (en) Network node, u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handling communication
WO2022021007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20157937A (ko) 물리적 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단말 기기
KR20230057334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N116171538A (zh) 通信方法、设备和系统
WO2022061548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3009907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40022355A1 (en) Harq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6114197B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4016304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3004789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30421312A1 (en) Survival tim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24020859A1 (zh) 中继链路之间切换的方法及设备
JP2024505435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KR20240015628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기기
CN116097841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