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26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262A
KR20230057262A KR1020220122721A KR20220122721A KR20230057262A KR 20230057262 A KR20230057262 A KR 20230057262A KR 1020220122721 A KR1020220122721 A KR 1020220122721A KR 20220122721 A KR20220122721 A KR 20220122721A KR 20230057262 A KR20230057262 A KR 20230057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xis
ois
optical axi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7/970,53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28842A1/en
Priority to CN202222790220.1U priority patent/CN218272877U/zh
Priority to CN202211293837.0A priority patent/CN116009184A/zh
Publication of KR20230057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공간을 갖는 AF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AF하우징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센서가 배치된 센서기판; 상기 센서기판의 일부와 결합된 이동프레임; 및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OIS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AF하우징은 상기 렌즈모듈과 함께 상기 OIS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이미지센서와 함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에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초점 조정 기능 및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고 있다.
예컨대,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을 조정하거나, 렌즈 모듈을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을 보정한다.
그러나, 최근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렌즈 모듈의 무게도 증가하고 있고, 렌즈 모듈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무게의 영향도 있어, 흔들림 보정의 구동력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흔들림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공간을 갖는 AF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AF하우징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센서가 배치된 센서기판; 상기 센서기판의 일부와 결합된 이동프레임; 및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OIS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AF하우징은 상기 렌즈모듈과 함께 상기 OIS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이미지센서와 함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흔들림 보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렌즈배럴, 캐리어, AF하우징 및 제1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캐리어 및 AF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AF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7은 AF하우징에 제1 볼 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AF하우징과 OIS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OIS하우징의 사시도, 및 제5 가이드 홈과 제2 볼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OIS하우징과 이동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3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이동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이동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이동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이동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센서기판의 제1 OIS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센서기판의 제2 OIS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구동부와 제3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8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는 다양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예가 포함하는 구성은 특별히 반대되는 언급이 없는 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렌즈모듈(100), AF하우징(200), OIS하우징(300), 이동프레임(400) 및 센서기판(80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렌즈배럴(110) 및 캐리어(130)를 포함한다. 렌즈배럴(1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된다. 복수의 렌즈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는 광축(Z축)을 따라 렌즈배럴(110)의 내부에 장착된다.
렌즈배럴(110)은 캐리어(130)와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130)에는 캐리어(130)를 광축(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고, 렌즈배럴(110)은 중공부에 삽입되어 캐리어(1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130)가 이동되는 경우 렌즈배럴(110)은 캐리어(13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AF하우징(200)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렌즈모듈(100)은 자동 초점 조정(AF) 시에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렌즈모듈(10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구동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제1 구동부(500)에 의해 AF하우징(200)에 대해 광축(Z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어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OIS하우징(300)을 기준으로 광축(Z축) 방향 일측에는 AF하우징(200)이 배치될 수 있고, 광축(Z축) 방향 타측에는 이동프레임(4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프레임(400)은 이미지센서(S)가 장착된 센서기판(800)의 일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흔들림 보정(OIS) 시에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AF하우징(20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동프레임(40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3 구동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AF하우징(200)은 제2 구동부(600)에 의해 OIS하우징(300)에 대해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대 이동되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AF하우징(200)에는 렌즈모듈(100)이 수용되므로, AF하우징(200)이 이동됨에 따라 렌즈모듈(100)도 AF하우징(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프레임(400)은 제3 구동부(700)에 의해 OIS하우징(300)에 대해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대 이동되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은 이미지센서(S)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제3 구동부(700)에 의해 이미지센서(S)는 이미지센서(S)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센서(S)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광축(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케이스(930)는 OIS하우징(300)과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1)의 내부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930)에는 후술하는 제1 볼 부재(B1)를 향해 돌출된 돌기(931)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931)는 제1 볼 부재(B1)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및 완충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에서, 렌즈모듈(100)은 자동 초점 조정(AF) 및 흔들림 보정(OIS) 시에 이동부재이고, AF하우징(200)은 자동 초점 조정(AF) 시에는 고정부재이고 흔들림 보정(OIS) 시에는 이동부재일 수 있다. 그리고, 이동프레임(400)(또는, 이미지센서(S))은 자동 초점 조정(AF) 시에는 고정부재이고, 흔들림 보정(OIS) 시에는 이동부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센서(S)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은 광축(Z축) 방향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이미지센서(S)는 광축(Z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센서(S)가 촬상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이미지센서(S)가 광축(Z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센서(S)가 제1 축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은 이미지센서(S)가 광축(Z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편의 상 이미지센서(S)가 광축(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미지센서(S)가 회전될 경우 그 회전축은 광축(Z축)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센서(S)는 이미지센서(S)의 촬상면이 향하는 방향과 수직한 어느 하나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축 방향(X 방향)과 제2 축 방향(Y축 방향)은 광축(Z축)에 수직하고 서로 교차하는 두개 방향의 예시로써, 본 명세서에서 제1 축 방향(X축 방향)과 제2 축 방향(Y축 방향)은 광축(Z축)에 수직하고 서로 교차하는 두개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은 렌즈배럴, 캐리어, AF하우징 및 제1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캐리어 및 AF하우징의 측면도이며, 도 5는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6은 AF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7은 AF하우징에 제1 볼 부재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렌즈모듈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렌즈모듈(100)은 렌즈배럴(110), 및 렌즈배럴(110)과 결합되는 캐리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는 달리, 렌즈배럴(110)과 캐리어(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리어(130)에는 캐리어(130)를 광축(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고, 렌즈배럴(110)은 중공부에 삽입되어 캐리어(130)에 대해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렌즈배럴(110)과 캐리어(130)는 광축(Z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AF하우징(200)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캐리어(130)는 AF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제1 구동부(500)는 광축(Z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캐리어(13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500)는 제1 마그네트(510) 및 제1 코일(530)을 포함한다.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는 캐리어(130)에 배치된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0)는 캐리어(13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130)의 일 측면은 캐리어(130)의 다른 부분보다 광축(Z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캐리어(130)는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131)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가이드부(131)에 제1 마그네트(51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력 확보를 위해 제1 마그네트(51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캐리어(130)의 다른 부분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카메라 모듈(1)의 높이를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캐리어(130)와 제1 마그네트(510) 사이에는 백요크가 배치될 수 있다. 백요크는 제1 마그네트(510)의 자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는 일면(예컨대, 제1 코일(530)과 마주보는 면)이 N극과 S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코일(530)과 마주보는 제1 마그네트(510)의 일면에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N극, 중립영역 및 S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의 타면(예컨대, 일면의 반대면)은 S극과 N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마그네트(510)의 타면에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S극, 중립영역 및 N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코일(530)은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1 코일(530)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530)은 AF기판(810)에 배치되고, AF기판(810)은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AF하우징(200)에 장착된다. AF기판(810)은 후술하는 센서기판(80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AF하우징(200)의 일 측면은 AF하우징(200)의 다른 부분보다 광축(Z축)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AF하우징(200)은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가이드부(230)에 AF기판(81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230)는 제1 가이드부(13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다.
따라서, 구동력 확보를 위해 제1 구동부(5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AF하우징(200)의 다른 부분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카메라 모듈(1)의 높이를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자동 초점 조정 시에, 제1 마그네트(510)는 캐리어(130)에 장착되어 캐리어(130)와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제1 코일(530)은 AF기판(8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제1 코일(53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코일(530)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캐리어(13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130)에는 렌즈배럴(110)이 배치되므로, 캐리어(130)의 이동에 의해 렌즈배럴(110)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130)와 AF하우징(200) 사이에는 제1 볼 부재(B1)가 배치된다. 예컨대, 제1 볼 부재(B1)는 캐리어(130)의 제1 가이드부(131)와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볼 부재(B1)는 제1 볼 그룹(BG1) 및 제2 볼 그룹(BG2)을 포함한다. 제1 볼 그룹(BG1)과 제2 볼 그룹(BG2)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볼 그룹(BG1)과 제2 볼 그룹(BG2)은 각각 광축(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볼을 포함한다. 복수의 볼은 캐리어(13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광축(Z축) 방향으로 구름운동될 수 있다.
AF하우징(200)에는 제1 요크(550)가 배치된다. 제1 요크(550)는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AF기판(810)의 일면에는 제1 코일(530)이 배치되고, AF기판(810)의 타면에는 제1 요크(5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요크(550)는 서로 간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요크(550) 사이에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요크(550)의 인력에 의해 제1 볼 부재(B1)는 캐리어(130) 및 AF하우징(200)과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캐리어(130)와 AF하우징(20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캐리어(130)와 AF하우징(200)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측에는 제1 가이드홈부(G1)가 배치되고, 캐리어(130)와 AF하우징(200)이 서로 마주보는 면의 타측에는 제2 가이드홈부(G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부(G1)와 제2 가이드홈부(G2)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부(G1)와 제2 가이드홈부(G2)는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캐리어(130)의 제1 가이드부(131)와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홈부(G1)와 제2 가이드홈부(G2)는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볼 그룹(BG1)은 제1 가이드홈부(G1)에 배치되고, 제2 볼 그룹(BG2)은 제2 가이드홈부(G2)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홈부(G1)는 캐리어(130)의 제1 가이드부(131)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홈(g1) 및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g2)을 포함하고, 제2 가이드홈부(G2)는 캐리어(130)의 제1 가이드부(131)에 형성된 제3 가이드홈(g3) 및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에 형성된 제4 가이드홈(g4)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이드홈은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g1)과 제2 가이드홈(g2)은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1 가이드홈(g1)과 제2 가이드홈(g2) 사이의 공간에 제1 볼 그룹(BG1)이 배치된다.
제1 볼 그룹(BG1)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한 볼들은, 제1 가이드홈(g1) 및 제2 가이드홈(g2)에 대해 각각 2점 접촉될 수 있다.
즉, 제1 볼 그룹(BG1)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한 볼들은 제1 가이드홈(g1)과 2점 접촉하고, 제2 가이드홈(g2)과 2점 접촉될 수 있다.
제1 볼 그룹(BG1), 제1 가이드홈(g1) 및 제2 가이드홈(g2)은 렌즈모듈(100)의 광축(Z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주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홈(g3)과 제4 가이드홈(g4)은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제3 가이드홈(g3)과 제4 가이드홈(g4) 사이의 공간에 제2 볼 그룹(BG2)이 배치된다.
제2 볼 그룹(BG2)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한 볼들은, 제3 가이드홈(g3) 및 제4 가이드홈(g4) 중 어느 하나와 2점 접촉되고 나머지 하나와 1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볼 그룹(BG2)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한 볼들은, 제3 가이드홈(g3)과 1점 접촉하고, 제4 가이드홈(g4)과 2점 접촉될 수 있다(그 반대도 가능). 제2 볼 그룹(BG2), 제3 가이드홈(g3) 및 제4 가이드홈(g4)은 렌즈모듈(100)의 광축(Z축) 방향 이동을 지지하는 보조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볼 그룹(BG1)과 제2 볼 그룹(BG2)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볼 그룹(BG1)에 포함된 볼의 개수와 제2 볼 그룹(BG2)에 포함된 볼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볼 그룹(BG1)은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 3개 이상의 볼을 포함하고, 제2 볼 그룹(BG2)은 제1 볼 그룹(BG1)에 포함된 볼의 개수보다 더 적은 개수의 볼을 포함한다.
제1 볼 그룹(BG1)에 속한 볼의 개수와 제2 볼 그룹(BG2)에 속한 볼의 개수가 다르다는 전제하에 각 볼 그룹에 속한 볼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볼 그룹(BG1)이 3개의 볼을 포함하고, 제2 볼 그룹(BG2)이 2개의 볼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제1 볼 그룹(BG1)에 포함된 3개의 볼 중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2개의 볼은 서로 직경이 동일하고, 그 사이에 배치된 1개의 볼은 최외측에 배치된 볼들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볼 그룹(BG1)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2개의 볼은 제1 직경을 갖고, 그 사이에 배치된 1개의 볼은 제2 직경을 가지며,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크다.
제2 볼 그룹(BG2)에 포함된 2개의 볼은 서로 직경이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볼 그룹(BG2)에 포함된 2개의 볼은 제3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제1 직경과 제3 직경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직경이 동일하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경우는 물론이고, 제조 상의 오차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1 볼 그룹(BG1)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볼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제2 볼 그룹(BG2)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배치된 볼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다르다.
예컨대, 제1 직경을 갖는 2개의 볼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제3 직경을 갖는 2개의 볼의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멀다.
캐리어(13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광축(Z축)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되도록(즉, 틸트(Til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는,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요크(55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의 작용 중심점(CP)이, 제1 볼 그룹(BG1) 및 제2 볼 그룹(BG2)과, 캐리어(130, 또는 AF하우징(200))의 접촉점들을 연결한 지지영역(A) 내에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인력의 작용 중심점(CP)이 지지영역(A)을 벗어나게 되면, 캐리어(130)의 이동 과정에서 캐리어(130)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어 틸트(Tilt)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지지영역(A)이 가능한 넓게 형성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도적으로 제1 볼 그룹(BG1)의 복수의 볼 중 일부의 크기(일 예로, 직경)를 나머지 볼의 크기(일 예로, 직경)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볼 중 크기가 큰 볼들을 의도적으로 캐리어(130, 또는 AF하우징(200))와 접촉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볼 그룹(BG1)의 3개의 볼 중에서 2개의 볼의 직경이 나머지 1개의 볼의 직경보다 크므로, 제1 볼 그룹(BG1)의 2개의 볼이 각각 캐리어(130) 및 AF하우징(200)과 접촉한다. 그리고, 제2 볼 그룹(BG2)의 2개의 볼은 같은 직경을 가지므로, 제2 볼 그룹(BG2)의 2개의 볼이 각각 캐리어(130) 및 AF하우징(200)과 접촉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축(Y축) 방향에서 바라보면 제1 볼 그룹(BG1)과 제2 볼 그룹(BG2)은 AF하우징(200, 또는 캐리어(130))과 4점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점들을 서로 연결한 지지영역(A)은 사각형 형태(예컨대, 사다리꼴)일 수 있다.
따라서, 지지영역(A)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요크(55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의 작용 중심점(CP)을 안정적으로 지지영역(A)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점 조정 시의 구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2 볼 그룹(BG2)의 2개의 볼이 같은 직경을 갖도록 제조하더라도, 제조 상의 오차 등에 의해 제2 볼 그룹(BG2)의 2개의 볼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동일한 직경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 볼 그룹(BG2)의 2개의 볼 중 어느 1개의 볼이 AF하우징(200, 또는 캐리어(13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볼 그룹(BG1) 및 제2 볼 그룹(BG2)이 캐리어(130, 또는 AF하우징(200))와 접촉하는 접촉점들을 서로 연결한 지지영역(A)은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지지영역(A)이 삼각형 형태이더라도 제1 볼 그룹(BG1)의 3개의 볼 중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한 볼들에 의해 지지영역(A)을 넓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초점 조정 시의 구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초점 조정 시의 구동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과는 별개로, 카메라 모듈(1)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줄이는 것(즉, 슬림화)도 중요한 문제인데, 단순히 카메라 모듈(1)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줄일 경우에는 지지영역(A)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도 줄어들 수 있다.
즉, 단순히 카메라 모듈(1)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줄일 경우에는 초점 조정 시의 구동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제1 가이드홈부(G1)와 제2 가이드홈부(G2)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한다. 예컨대, 제1 가이드홈부(G1)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제2 가이드홈부(G2)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다.
도 7을 참조하면,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에는 제1 볼 그룹(BG1)과 제2 볼 그룹(BG2)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는 제1 볼 그룹(BG1)을 향해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231) 및 제2 볼 그룹(BG2)을 향해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233)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3)는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의 바닥면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3)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다르다. 예컨대, 제2 돌출부(233)의 광축(Z축) 방향 길이가 제1 돌출부(231)의 광축(Z축) 방향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231)와 제2 돌출부(233)에 의해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홈(g2)과 제4 가이드홈(g4)의 광축(Z축) 방향 길이는 다르다. 예컨대, 제1 볼 그룹(BG1)이 배치되는 제2 가이드홈(g2)의 광축(Z축) 방향 길이는 제2 볼 그룹(BG2)이 배치되는 제4 가이드홈(g4)의 길이보다 더 길다.
주 가이드와 보조 가이드 중에서, 주 가이드에 해당하는 제1 가이드홈부(G1)의 길이를 제2 가이드홈부(G2)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함으로써 지지영역(A)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늘리면서도 카메라 모듈(1)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초점 조정 시의 구동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카메라 모듈(1)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줄여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는 위치에 서브요크(590)가 배치될 수 있다. 서브요크(590)는 AF하우징(200)에 대해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서브요크(590)는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도록 AF기판(810)에 배치될 수 있다.
AF기판(810)의 일면에는 제1 코일(530)과 서브요크(590)가 배치되고, AF기판(810)의 타면에는 제1 요크(55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AF기판(810)에 AF기판(810)을 관통하는 홀이 구비될 수 있고, 서브요크(590)는 안내홀에 배치되어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요크(590)는 제1 요크(550)에 장착되어 안내홀을 통해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볼 수 있다.
서브요크(590)는 보조 가이드보다 주 가이드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서브요크(590)는 제2 볼 그룹(BG2)보다 제1 볼 그룹(BG1)에 더 가깝게(즉, 더 많은 볼을 포함하는 볼 그룹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서브요크(590)는 제1 마그네트(510)에 대해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510)와 제1 요크(51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제1 마그네트(510)와 서브요크(590)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의 합력은 보조 가이드보다 주 가이드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지지영역(A)은 주 가이드에 가까울 수록 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가 길게 형성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인력의 작용 중심점(CP)을 지지영역(A)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캐리어(130)와 AF하우징(200)이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130)는 AF하우징(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캐리어(130)의 이동 과정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주보는 캐리어(130)와 AF하우징(200)의 면들이 서로 충돌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캐리어(130)와 AF하우징(200)이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충격 및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캐리어(130)와 케이스(930)가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130)는 케이스(9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캐리어(130)의 이동 과정에서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주보는 캐리어(130)와 케이스(930)의 면들이 서로 충돌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캐리어(130)와 케이스(930)가 광축(Z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충격 및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캐리어(13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위치센서(570)가 제공된다. 제1 위치센서(570)는 제1 마그네트(510)와 마주보도록 AF기판(810)에 배치된다. 제1 위치센서(570)는 홀 센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AF하우징과 OIS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제2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OIS하우징의 사시도, 및 제5 가이드 홈과 제2 볼 부재의 확대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캐리어(130)는 AF하우징(200)에 수용되며, AF하우징(200)은 OIS하우징(300)에 배치된다.
캐리어(130)의 제1 가이드부(131) 및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가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므로, 제1 가이드부(131) 및 제2 가이드부(230)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OIS하우징(300)에는 도피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OIS하우징(300)의 일측에는 단차부(330)가 구비되고, 단차부(330)에 의해 OIS하우징(300)은 제2 가이드부(230)가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단차부(330)에 의해 제1 가이드부(131) 및 제2 가이드부(230)의 설치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캐리어(130)의 제1 가이드부(131) 및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가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더라도 돌출된 부분이 OIS하우징(300)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체 카메라 모듈(1)의 높이는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AF하우징(200)은 OIS하우징(300)에 배치되며,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OIS하우징(300)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다.
AF하우징(200) 내에는 렌즈모듈(100)이 배치되므로, AF하우징(200)이 이동됨에 따라 렌즈모듈(100)도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모듈(100)이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이동되어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AF하우징(20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제1 서브 구동부(610) 및 제2 서브 구동부(630)를 포함한다. 제1 서브 구동부(610)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 서브 구동부(630)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서브 구동부(610)는 제2 마그네트(611) 및 제2 코일(613)을 포함한다. 제2 마그네트(611)와 제2 코일(613)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1)는 OIS하우징(300)에 배치된다. 제2 마그네트(611)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611)는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마그네트는 광축(Z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611)는 제2 마그네트(611)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OIS하우징(300)의 상부면에는 제2 마그네트(611)가 배치되는 장착홈(350)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1)를 장착홈(350)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제2 마그네트(611)의 두께로 인해 카메라 모듈(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1)는 일면(예컨대, 제2 코일(613)과 마주보는 면)이 N극과 S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코일(613)과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611)의 일면에는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N극, 중립영역 및 S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1)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2 마그네트(611)의 타면(예컨대, 일면의 반대면)은 S극과 N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마그네트(611)의 타면에는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S극, 중립영역 및 N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코일(613)은 제2 마그네트(6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2 코일(613)은 광축(Z축) 방향으로 제2 마그네트(6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코일(613)은 중공을 갖는 도넛 형상이며,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2 코일(613)은 제2 마그네트(611)에 포함된 마그네트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제2 코일(613)은 제1 OIS기판(830)에 배치된다. 제1 OIS기판(830)은 후술하는 센서기판(80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제1 OIS기판(830)의 일 부분은 제2 마그네트(611)와 제2 코일(613)이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AF하우징(200)에 장착되고, 제1 OIS기판(830)의 다른 부분은 OIS하우징(300) 또는 케이스(930)에 장착될 수 있다.
AF하우징(200)은 렌즈모듈(100)이 수용되는 바디부(210), 및 바디부(210)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AF하우징(200)에는 관통홀(251)이 구비된다. 예컨대, 관통홀(251)은 AF하우징(200)의 플랜지부(250)를 광축(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코일(613)은 AF하우징(200)의 관통홀(251)에 배치된다. 제2 코일(613)을 AF하우징(200)의 관통홀(251)에 배치함으로써 제2 코일(613)의 두께로 인해 카메라 모듈(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F하우징(200)의 관통홀(251)의 상부는 제1 OIS기판(830)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시에, 제2 마그네트(611)는 OIS하우징(30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고, 제2 코일(613)은 제1 OIS기판(830) 및 AF하우징(200)에 장착되어 AF하우징(200)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이다.
제2 코일(613)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 마그네트(611)와 제2 코일(613)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AF하우징(200)을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1)와 제2 코일(61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서브 구동부(630)는 제3 마그네트(631) 및 제3 코일(633)을 포함한다. 제3 마그네트(631)와 제3 코일(633)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631)는 OIS하우징(300)에 배치된다. 제3 마그네트(631)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마그네트(631)는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마그네트는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마그네트(631)는 제3 마그네트(631)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제2 축(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OIS하우징(300)의 상부면에는 제3 마그네트(631)가 배치되는 장착홈(350)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631)를 장착홈(350)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제3 마그네트(631)의 두께로 인해 카메라 모듈(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631)는 일면(예컨대, 제3 코일(633)과 마주보는 면)이 S극과 N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예컨대, 제3 코일(633)과 마주보는 제2 마그네트(611)의 일면에는 제2 축(Y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S극, 중립영역 및 N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마그네트(631)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3 마그네트(631)의 타면(예컨대, 일면의 반대면)은 N극과 S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마그네트(631)의 타면에는 제2 축(Y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N극, 중립영역 및 S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코일(633)은 제3 마그네트(6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3 코일(633)은 광축(Z축) 방향으로 제3 마그네트(6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코일(633)은 중공을 갖는 도넛 형상이며,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3 코일(633)은 제3 마그네트(631)에 포함된 마그네트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제3 코일(633)은 제1 OIS기판(830)에 배치된다. 제1 OIS기판(830)은 후술하는 센서기판(80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제1 OIS기판(830)의 일 부분은 제3 마그네트(631)와 제3 코일(633)이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AF하우징(200)에 장착되고, 제1 OIS기판(830)의 다른 부분은 OIS하우징(300) 또는 케이스(930)에 장착될 수 있다.
AF하우징(200)에는 관통홀(251)이 구비된다. 예컨대, 관통홀(251)은 AF하우징(200)의 플랜지부(250)를 광축(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3 코일(633)은 AF하우징(200)의 관통홀(251)에 배치된다. 제3 코일(633)을 AF하우징(200)의 관통홀(251)에 배치함으로써 제3 코일(633)의 두께로 인해 카메라 모듈(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F하우징(200)의 관통홀(251)의 상부는 제1 OIS기판(830)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시에, 제3 마그네트(631)는 OIS하우징(30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고, 제3 코일(633)은 제1 OIS기판(830) 및 AF하우징(200)에 장착되어 AF하우징(200)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이다.
제3 코일(633)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3 마그네트(631)와 제3 코일(633)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AF하우징(200)을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마그네트(631)와 제3 코일(63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구동부(610)와 제2 서브 구동부(630)에 의해 AF하우징(200)을 광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마그네트(611)와 제3 마그네트(631)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2 코일(613)과 제3 코일(633)도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흔들림 보정 시에 제2 코일(613)과 제3 코일(633)이 AF하우징(200)과 함께 이동되므로, 제2 코일(613)과 제3 코일(633)이 장착되는 제1 OIS기판(830)은 제2 코일(613)과 제3 코일(633)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로 후술한다.
AF하우징(200)과 OIS하우징(300) 사이에는 제2 볼 부재(B2)가 배치된다.
제2 볼 부재(B2)는 AF하우징(200) 및 OIS하우징(300)과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2 볼 부재(B2)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AF하우징(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AF하우징(200) 및 OIS하우징(30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제2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볼 부재(B2)는 AF하우징(20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 볼 부재(B2)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볼 부재(B2)는 AF하우징(20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2 볼 부재(B2)는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AF하우징(200)과 OIS하우징(300)이 광축(Z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볼 부재(B2)가 배치되는 제5 가이드홈(g5)이 구비된다. 제5 가이드홈(g5)은 제2 볼 부재(B2)의 복수의 볼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예컨대, AF하우징(200)의 하부면과 OIS하우징(300)의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제5 가이드홈(g5)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볼 부재(B2)는 제5 가이드홈(g5)에 배치되어 AF하우징(200)과 OIS하우징(300) 사이에 끼워진다.
제5 가이드홈(g5)은 각각 그 평면 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제5 가이드홈(g5)의 크기는 제2 볼 부재(B2)의 직경보다 크다. 예컨대,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제5 가이드홈(g5)의 단면은 제2 볼 부재(B2)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5 가이드홈(g5)은 그 크기가 제2 볼 부재(B2)의 직경보다 크기만 하면 구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볼 부재(B2)는 제5 가이드홈(g5)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한편, AF하우징(200) 및 OIS하우징(300)에는 각각 지지패드가 구비될 수 있고, 지지패드의 적어도 일부가 제5 가이드홈(g5)의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2 볼 부재(B2)는 지지패드와 접촉하여 구를 수 있다.
지지패드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AF하우징(200) 및 OIS하우징(3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내에 지지패드를 고정한 상태로 금형 내에 수지재를 주입함으로써 지지패드가 AF하우징(200) 및 OIS하우징(300)에 일체화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지지패드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다.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AF하우징(200)이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AF하우징(200)이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축(X축) 방향의 구동력의 크기와 제2 축(Y축) 방향의 구동력의 크기 중 하나 이상에 편차를 발생시켜 AF하우징(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AF하우징(200)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위치센서(615) 및 제3 위치센서(635)가 제공된다. 제2 위치센서(615)는 제2 마그네트(611)와 마주보도록 제1 OIS기판(830)에 배치되고, 제3 위치센서(635)는 제3 마그네트(631)와 마주보도록 제1 OIS기판(830)에 배치된다. 제2 위치센서(615) 및 제3 위치센서(635)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3 위치센서(635)는 2개의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마그네트(631)는 제3 마그네트(631)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제2 축(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제3 위치센서(635)는 2개의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홀 센서를 포함한다.
제3 마그네트(631)와 마주보는 2개의 홀 센서를 통해, AF하우징(200)이 회전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구동부(610)의 구동력과 제2 서브 구동부(630)의 구동력에 편차를 발생시키거나, 제1 서브 구동부(610)와 제2 서브 구동부(630)의 합력을 이용하거나, 제2 서브 구동부(630)에 포함된 2개의 마그네트를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5 가이드홈(g5)은 그 평면 형상이 제2 볼 부재(B2)의 직경보다 큰 다각형 또는 원형이므로, 제5 가이드홈(g5) 사이에 배치된 제2 볼 부재(B2)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한없이 구름운동 가능하다.
따라서, AF하우징(200)은 제2 볼 부재(B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광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이 필요치 않고 직선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 서브 구동부(610)의 구동력 및/또는 제2 서브 구동부(630)의 구동력을 제어하여 의도치 않게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쇄시킬 수도 있다.
AF하우징(200)에는 제2 요크 및 제3 요크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크 및 제3 요크는 AF하우징(200)과 OIS하우징(300)이, 제2 볼 부재(B2)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력을 제공한다.
제2 요크와 제3 요크는 AF하우징(200)에 대해 고정 배치된다. 예컨대, 제2 요크와 제3 요크는 제1 OIS기판(830)에 배치되고, 제1 OIS기판(830)은 AF하우징(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OIS기판(830)의 일면에는 제2 코일(613) 및 제3 코일(633)이 배치되며, 제1 OIS기판(830)의 타면에는 제2 요크 및 제3 요크가 배치된다.
제2 요크는 제2 마그네트(611)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3 요크는 제3 마그네트(631)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요크와 제2 마그네트(611) 사이, 및 제3 요크와 제3 마그네트(631) 사이에는 각각 광축(Z축)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AF하우징(200)이 OIS하우징(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AF하우징(200) 및 OIS하우징(300)은 제2 볼 부재(B2)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요크 및 제3 요크는, 제2 마그네트(611) 및 제3 마그네트(631)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다. 일 예로, 제2 요크 및 제3 요크는 자성체로 제공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OIS하우징과 이동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3 구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이동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이동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이동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이동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이동프레임(400)은 OIS하우징(300)에 수용된다. OIS하우징(300)은 광축(Z축) 방향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벽을 가지며, 이에 따라 OIS하우징(300)은 이동프레임(4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OIS하우징(300)을 기준으로 광축(Z축) 방향 일측에는 AF하우징(200)이 배치되고, 광축(Z축) 방향 타측에는 이동프레임(400)이 배치된다.
이동프레임(400)은 OIS하우징(300)에 대하여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거나, 광축(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즉, 이동프레임(400)은 흔들림 보정 시에 이동되는 이동부재이다.
예컨대, 이동프레임(400)은 제1 축(X축) 방향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광축(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은 중앙이 광축(Z축) 방향으로 관통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의 상부면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4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의 하부면에는 센서기판(800)이 장착될 수 있다.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 사이에는 제3 볼 부재(B3)가 배치된다.
제3 볼 부재(B3)는 OIS하우징(300) 및 이동프레임(400)과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3 볼 부재(B3)는 이동프레임(400)이 OIS하우징(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때,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 사이에서 구름운동하여 이동프레임(400)의 이동을 지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기판(800)에는 이미지센서(S)가 장착된다. 센서기판(800)의 일부는 이동프레임(400)과 결합되고, 센서기판(800)의 다른부분은 OIS하우징(3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과 결합되는 센서기판(800)의 일부에는 이미지센서(S)가 장착된다.
센서기판(800)의 일부가 이동프레임(400)에 결합되므로, 이동프레임(400)이 이동되거나 회전됨에 따라 센서기판(800)의 일부도 이동프레임(400)과 함께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센서(S)가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이동되거나 회전되어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제3 구동부(700)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이동프레임(40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구동부(700)는 제3 서브 구동부(710) 및 제4 서브 구동부(730)를 포함한다. 제3 서브 구동부(710)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4 서브 구동부(730)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3 서브 구동부(710)는 제4 마그네트(711) 및 제4 코일(713)을 포함한다. 제4 마그네트(711)와 제4 코일(713)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마그네트(711)는 OIS하우징(300)에 배치된다. 제4 마그네트(711)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4 마그네트(711)는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마그네트는 광축(Z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4 마그네트(711)는 제4 마그네트(711)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OIS하우징(300)의 하부면에는 제4 마그네트(711)가 배치되는 장착홈(370)이 구비될 수 있다. 제4 마그네트(711)를 장착홈(370)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제4 마그네트(711)의 두께로 인해 카메라 모듈(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마그네트(711)는 일면(예컨대, 제4 코일(713)과 마주보는 면)이 N극과 S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4 코일(713)과 마주보는 제4 마그네트(711)의 일면에는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N극, 중립영역 및 S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4 마그네트(711)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4 마그네트(711)의 타면(예컨대, 일면의 반대면)은 S극과 N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4 마그네트(711)의 타면에는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S극, 중립영역 및 N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4 코일(713)은 제4 마그네트(7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4 코일(713)은 광축(Z축) 방향으로 제4 마그네트(7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코일(713)은 중공을 갖는 도넛 형상이며,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4 코일(713)은 제4 마그네트(711)에 포함된 마그네트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제4 코일(713)은 이동프레임(400)에 장착된다.
흔들림 보정 시에, 제4 마그네트(711)는 OIS하우징(30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고, 제4 코일(713)은 이동프레임(400)에 장착되어 이동프레임(400)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이다.
제4 코일(713))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4 마그네트(711)와 제4 코일(713)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이동프레임(400)을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4 마그네트(711)와 제4 코일(71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4 서브 구동부(730)는 제5 마그네트(731) 및 제5 코일(733)을 포함한다. 제5 마그네트(731)와 제5 코일(733)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마그네트(731)는 OIS하우징(300)에 배치된다. 제5 마그네트(731)는 복수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5 마그네트(731)는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마그네트는 제1 축(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5 마그네트(731)는 제5 마그네트(731)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제2 축(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OIS하우징(300)의 하부면에는 제5 마그네트(731)가 배치되는 장착홈(370)이 구비될 수 있다. 제5 마그네트(731)를 장착홈(370)에 삽입 배치함으로써 제5 마그네트(731)의 두께로 인해 카메라 모듈(1)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마그네트(731)는 일면(예컨대, 제5 코일(733)과 마주보는 면)이 S극과 N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예컨대, 제5 코일(733)과 마주보는 제5 마그네트(731)의 일면에는 제2 축(Y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S극, 중립영역 및 N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5 마그네트(731)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5 마그네트(731)의 타면(예컨대, 일면의 반대면)은 N극과 S극을 모두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마그네트(731)의 타면에는 제2 축(Y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N극, 중립영역 및 S극이 구비될 수 있다.
제5 코일(733)은 제5 마그네트(7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제5 코일(733)은 광축(Z축) 방향으로 제5 마그네트(7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5 코일(733)은 중공을 갖는 도넛 형상이며,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제5 코일(733)은 제5 마그네트(731)에 포함된 마그네트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제5 코일(733)은 이동프레임(400)에 장착된다.
흔들림 보정 시에, 제5 마그네트(731)는 OIS하우징(30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고, 제5 코일(733)은 이동프레임(400)에 장착되어 이동프레임(400)과 함께 이동하는 이동부재이다.
제5 코일(733)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5 마그네트(731)와 제5 코일(733)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이동프레임(400)을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5 마그네트(731)와 제5 코일(73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3 서브 구동부(710)와 제4 서브 구동부(730)에 의해 이동프레임(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3 서브 구동부(710)의 구동력과 제4 서브 구동부(730)의 구동력을 제어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4 마그네트(711)와 제5 마그네트(731)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4 코일(713)과 제5 코일(733)도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 사이에는 제3 볼 부재(B3)가 배치된다.
제3 볼 부재(B3)는 OIS하우징(300) 및 이동프레임(400)과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3 볼 부재(B3)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이동프레임(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OIS하우징(300) 및 이동프레임(40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제3 볼 부재(B3)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3 볼 부재(B3)는 이동프레임(40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3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3 볼 부재(B3)는 이동프레임(400)(200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3 볼 부재(B3)는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을 포함한다.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이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볼 부재(B3)가 배치되는 제6 가이드홈(g6)이 구비된다. 제6 가이드홈(g6)은 제3 볼 부재(B3)의 복수의 볼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예컨대, OIS하우징(300)의 하부면과 이동프레임(400)의 상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6 가이드홈(g6)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볼 부재(B3)는 제6 가이드홈(g6)에 배치되어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 사이에 끼워진다.
제6 가이드홈(g6)은 그 평면 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제6 가이드홈(g6))의 크기는 제3 볼 부재(B3)의 직경보다 크다. 예컨대,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제6 가이드홈(g6)의 단면은 제3 볼 부재(B3)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6 가이드홈(g6)은 그 크기가 제3 볼 부재(B3)의 직경보다 크기만 하면 구체적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3)는 제6 가이드홈(g6)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이동프레임(400)이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이동프레임(400)이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1 축(X축) 방향의 구동력의 크기와 제2 축(Y축) 방향의 구동력의 크기 중 하나 이상에 편차를 발생시켜 이동프레임(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에는 센서기판(800)의 일부가 결합되고, 센서기판(800)에는 이미지센서(S)가 배치되므로, 결국, 이동프레임(400)이 이동됨에 따라 이미지센서(S)도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이동프레임(400)에는 센서기판(800)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프레임(400)의 하부면에 돌기부가 배치되고, 돌기부가 센서기판(800)의 제2 이동부(85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를 제외한 이동프레임(400)의 본체와 센서기판(800) 사이에는 광축(Z축) 방향으로 간격(gap)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이동프레임(400)이 X-Y 평면 상에서 이동될 때 센서기판(80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가 이동프레임(400)의 하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돌기부가 센서기판(800)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2를 참조하면, 제1 볼 부재(B1), 제2 볼 부재(B2) 및 제3 볼 부재(B3)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도 22를 같이 참조하면, 캐리어(130)는 광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131)를 갖고, AF하우징(200)도 광축(Z축)방향으로 돌출된 제2 가이드부(230)를 갖는다. 제1 가이드부(131)는 제2 가이드부(230)에 수용되고, 제2 가이드부(230)는 OIS하우징(300)의 단차부(330)에 배치된다.
OIS하우징(300)의 상부면에는 제5 가이드홈(g5)이 배치되고, OIS하우징(300)의 하부면에는 제6 가이드홈(g6)이 배치된다. OIS하우징(300)의 단차부(330)는 OIS하우징(300)의 상부면에서 단차진 형상을 가지므로, OIS하우징(300)의 단차부(330)에 배치된 제1 가이드부(131)와 제2 가이드부(230)는 OIS하우징(300)의 상부면보다 광축(Z축)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AF하우징(200)의 제2 가이드부(230)의 하부면은 OIS하우징(300)의 상부면에 배치된 제2 볼 부재(B2)보다 광축(Z축)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AF하우징(300)의 제2 가이드부(230)의 하부면은 OIS하우징(300)의 하부면에 배치된 제3 볼 부재(B3)보다 광축(Z축) 방향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부(131)와 제2 가이드부(230) 사이에는 제1 볼 부재(B1)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볼 부재(B1)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 광축(Z축) 방향으로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볼은 OIS하우징(300)의 상부면보다 광축(Z축) 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 축(X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볼 부재(B1)에 포함된 복수의 볼 중 광축(Z축) 방향으로 가장 아래쪽에 배치된 볼의 중심은 제2 볼 부재(B2)의 중심과 제3 볼 부재(B3)의 중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이동프레임(400)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4 위치센서(715) 및 제5 위치센서(735)가 제공된다. 제4 위치센서(715)는 제4 마그네트(711)와 마주보도록 이동프레임(400)에 배치되고, 제5 위치센서(735)는 제5 마그네트(731)와 마주보도록 이동프레임(400)에 배치된다. 제4 위치센서(715) 및 제5 위치센서(735)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5 위치센서(735)는 2개의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5 마그네트(731)는 제5 마그네트(731)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제2 축(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제1 축(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제5 위치센서(735)는 2개의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배치된 2개의 홀 센서를 포함한다.
제5 마그네트(731)와 마주보는 2개의 홀 센서를 통해, 이동프레임(400)이 회전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서브 구동부(710)의 구동력과 제4 서브 구동부(730)의 구동력에 편차를 발생시키거나, 제3 서브 구동부(710)와 제4 서브 구동부(730)의 합력을 이용하거나, 제4 서브 구동부(730)에 포함된 2개의 마그네트 및 2개의 코일을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6 가이드홈(g6)은 그 평면 형상이 제3 볼 부재(B3)의 직경보다 큰 다각형 또는 원형이므로, 제6 가이드홈(g6)에 배치된 제3 볼 부재(B3)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한없이 구름운동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프레임(400)은 제3 볼 부재(B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Z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이 필요치 않고 직선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3 서브 구동부(710)의 구동력 및/또는 제4 서브 구동부(730)의 구동력을 제어하여 의도치 않게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쇄시킬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4 코일(713) 및 제5 코일(733)은 이동프레임(400)에 배치되며, 이동프레임(400)의 내부에는 배선패턴(410)이 배치된다. 배선패턴(410)은 제4 코일(713) 및 제5 코일(733)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프레임(400)의 배선패턴(410)은 센서기판(800)과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코일(713)) 및 제5 코일(733)은 이동프레임(400)에 배치된 배선패턴(41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제3 구동부(7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을 갖지 않으며, 이동프레임(400) 자체에 배선패턴(410)을 구비하여 제3 구동부(7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배선패턴(410)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이동프레임(4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금형 내에 배선패턴(410)을 배치한 상태로 금형 내에 수지재를 주입함으로써 배선패턴(410)이 이동프레임(400)에 일체화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이동프레임(4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2번의 사출을 거칠 수 있다.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배선패턴(410)의 패턴폭을 최소화할 경우 배선패턴(410)의 강성이 충분하지 않아 인서트 사출 시 배선패턴(410)의 위치 고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 사출에 의해 배선패턴(410)과 일체화된 1차 사출물(예컨대, 제1 프레임(420))을 제조하고, 그 뒤에 1차 사출물을 인서트 사출하여 1차 사출물과 일체화된 2차 사출물(예컨대, 제2 프레임(440))을 제조함으로써 내부에 배선패턴(410)을 갖는 이동프레임(400)을 제조할 수 있다.
적어도 2번의 사출을 거치기 때문에, 1차 사출물인 제1 프레임(420)과 2차 사출물인 제2 프레임(440) 사이에는 경계라인(BL)이 형성된다.
1차 사출물인 제1 프레임(420)에 제4 코일(713), 제5 코일(733), 제4 위치센서(715) 및 제5 위치센서(735)가 장착된다. 제4 코일(713), 제5 코일(733), 제4 위치센서(715) 및 제5 위치센서(735)는 제1 프레임(420)에 구비된 배선패턴(410)과 연결된다.
배선패턴(410)은 배선부(411)와 단자부(413)를 포함하며, 배선부(411)는 제1 프레임(42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단자부(413)는 제1 프레임(4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단자부(413)는 제2 프레임(440)의 외부로도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배선패턴(410)의 단자부(413)가 센서기판(800)과 연결됨으로써 배선패턴(410)을 통해 제4 코일(713) 및 제5 코일(733)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440)에는 제3 볼 부재(B3)가 배치되는 제6 가이드홈(g6)이 형성된다. 제3 볼 부재(B3)의 재질은 세라믹일 수 있고, 제2 프레임(440)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므로, 강성의 차이에 의해 제6 가이드홈(g6)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6 가이드홈(g6)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6 가이드홈(g6)의 바닥면에는 지지패드(430)가 배치되며, 지지패드(430)는 2차 사출 과정에서 인서트 사출되어 제2 프레임(440) 일체화될 수 있다. 지지패드(430)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다.
지지패드(430)는 제6 가이드홈(g6)의 바닥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3)는 지지패드(430)와 접촉하여 구를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의 내부에는 제4 요크 및 제5 요크가 배치된다. 제4 요크 및 제5 요크는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이, 제3 볼 부재(B3)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인력을 제공한다.
제4 요크 및 제5 요크는 1차 사출 과정에서 배선패턴(410)과 마찬가지로 인서트 사출되어 제1 프레임(420)과 일체화될 수 있다.
제4 요크 및 제5 요크는 제4 마그네트(711) 및 제5 마그네트(731)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4 요크와 제4 마그네트(711)사이, 및 제5 요크와 제5 마그네트(731) 사이에는 각각 광축(Z축)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400)이 OIS하우징(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OIS하우징(300) 및 이동프레임(400)은 제3 볼 부재(B3)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4 요크 및 제5 요크는, 제4 마그네트(711) 및 제5 마그네트(731)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다. 일 예로, 제4 요크 및 제5 요크는 자성체로 제공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기판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센서기판의 제1 OIS기판의 평면도이며, 도 20은 센서기판의 제2 OIS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센서기판(800)은 AF기판(810), 제1 OIS기판(830) 및 제2 OIS기판(850)을 포함한다.
제1 OIS기판(830)은 제1 이동부(831), 제1 고정부(835) 및 제1 연결부(833)를 포함한다. 제1 OIS기판(830)은 RF PCB일 수 있다.
제1 이동부(831)는 AF하우징(200)과 결합된다. 예컨대, 제1 이동부(831)는 AF하우징(200)의 플랜지부(2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부(831)의 일면에는 제2 구동부(600)의 제2 코일(613) 및 제3 코일(633)이 배치되고, 제1 이동부(831)의 타면에는 제2 요크 및 제3 요크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부(831)는 흔들림 보정 시에 AF하우징(200)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이다. 제1 이동부(831)는 경성회로기판(Rigid PCB)일 수 있다.
제1 고정부(835)는 OIS하우징(300) 또는 케이스(930)에 결합된다. 제1 고정부(835)는 흔들림 보정 시에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재이다. 제1 고정부(835)는 경성회로기판(Rigid PCB)일 수 있다.
제1 연결부(833)는 제1 이동부(831)와 제1 고정부(835)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이동부(831)와 제1 고정부(83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833)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일 수 있다. 제1 이동부(831)가 이동되는 경우 제1 이동부(831)와 제1 고정부(835) 사이에 배치된 제1 연결부(833)는 휘어질 수 있다.
제1 연결부(833)는 제1 이동부(831)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제1 연결부(833)에는 제1 연결부(833)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슬릿이 구비된다. 복수의 슬릿은 제1 이동부(831)와 제1 고정부(835)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833)는 복수의 슬릿에 의해 이격된 복수의 브릿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릿지 요소는 제1 이동부(8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제1 연결부(833)는 제1 지지부(837) 및 제2 지지부(839)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833)는 제1 지지부(837)를 통해 제1 이동부(831)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연결부(833)는 제2 지지부(839)를 통해 제1 고정부(835)와 연결된다.
예컨대, 제1 지지부(837)는 제1 이동부(831)와 접촉 연결되고, 제1 고정부(835)와는 이격된다. 그리고, 제2 지지부(839)는 제1 고정부(835)와 접촉 연결되고, 제1 이동부(831)와는 이격된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부(837)는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결부(833)의 복수의 브릿지와 제1 이동부(831)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837)는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2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839)은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결부(833)의 복수의 브릿지와 제1 고정부(835)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839)은 1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831)는 제1 연결부(83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광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센서(S)가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지지부(837)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가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센서(S)가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 지지부(839)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가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센서(S)가 회전될 때, 제1 지지부(837)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 및 제2 지지부(839)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가 함께 휘어질 수 있다.
AF기판(810)은 제1 OIS기판(830)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AF기판(810)은 제1 OIS기판(830)의 일측(일 예로, 제1 이동부(831)의 일측)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 꺾여 형성될 수 있다. AF기판(810)은 AF하우징(200)에 결합되며, AF기판(810)의 일면에는 제1 코일(530)이 배치되고, AF기판(810)의 타면에는 제1 요크(5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OIS기판(850)은 제2 이동부(851), 제2 고정부(855) 및 제2 연결부(853)를 포함한다. 제2 OIS기판(850)은 RF PCB일 수 있다.
제2 이동부(851)에는 이미지센서(S)가 장착된다. 제2 이동부(851)는 이동프레임(40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예컨대, 제2 이동부(851)의 면적은 이미지센서(S)의 면적보다 크며, 이미지센서(S)보다 외측에 있는 제2 이동부(851)의 부분이 이동프레임(40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이동부(851)는 흔들림 보정 시에 이동프레임(400)과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이다. 제2 이동부(851)는 경성회로기판(Rigid PCB)일 수 있다.
제2 고정부(855)는 OIS하우징(30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제2 고정부(855)는 흔들림 보정 시에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재이다. 제2 고정부(855)는 경성회로기판(Rigid PCB)일 수 있다. 제2 고정부(855)는 제1 OIS기판(830)의 제1 고정부(835)에서 굴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853)는 제2 이동부(851)와 제2 고정부(855)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이동부(851)와 제2 고정부(855)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853)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일 수 있다. 제2 이동부(851)가 이동되는 경우 제2 이동부(851)와 제2 고정부(855) 사이에 배치된 제2 연결부(853)는 휘어질 수 있다.
제2 연결부(853)는 제2 이동부(85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제2 연결부(853)에는 제2 연결부(853)를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슬릿이 구비된다. 복수의 슬릿은 제2 이동부(851)와 제2 고정부(855)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연결부(853)는 복수의 슬릿에 의해 이격된 복수의 브릿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릿지 요소는 제2 이동부(85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제2 연결부(853)는 제3 지지부(857) 및 제4 지지부(859)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853)는 제3 지지부(857)를 통해 제2 고정부(855)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연결부(853)는 제4 지지부(859)를 통해 제2 이동부(851)와 연결된다.
예컨대, 제3 지지부(857)는 제2 고정부(855)와 접촉 연결되고, 제2 이동부(851)와는 이격된다. 그리고, 제4 지지부(859)는 제2 이동부(851)와 접촉 연결되고, 제2 고정부(855)와는 이격된다.
예를 들어, 제3 지지부(857)는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853)의 복수의 브릿지와 제2 고정부(855)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837)는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2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지지부(859)은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853)의 복수의 브릿지와 제2 이동부(851)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지지부(859)은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2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부(851)는 제2 연결부(85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광축(Z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센서(S)가 제1 축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3 지지부(857)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가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센서(S)가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4 지지부(859)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4550)가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센서(S)가 회전될 때, 제3 지지부(857)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 및 제4 지지부(859)와 연결된 복수의 브릿지가 함께 휘어질 수 있다.
제1 OIS기판(830)과 제2 OIS기판(85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OIS(830)의 제1 고정부(835)는 제2 OIS기판(850)의 제2 고정부(855)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F기판(810), 제1 OIS기판(830) 및 제2 OIS기판(850)이 한 몸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AF기판(810), 제1 OIS기판(830) 및 제2 OIS기판(850)이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센서기판(800)의 하부에는 베이스(910)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910)는 센서기판(800)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센서기판(80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910)는 센서기판(800)의 제2 이동부(851)와 제2 고정부(855)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부 이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1은 도 1의 I-I'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1의 II-II'의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초점 조정 시에 캐리어(130)가 AF하우징(200)에 대해 광축(Z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 이때, 캐리어(130)에는 렌즈배럴(11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캐리어(130)가 이동됨에 따라 렌즈배럴(110)도 캐리어(130)와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흔들림 보정 시에 AF하우징(200)은 OIS하우징(300)에 대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AF하우징(200)에는 렌즈모듈(100)이 수용되어 있고, AF하우징(200)과 렌즈모듈(100) 사이에는 제1 볼 부재(B1)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볼 부재(B1)는 제1 가이드홈부(G1)와 제2 가이드홈부(G2)에 배치되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제1 볼 부재(B1)는 광축(Z축) 방향으로 구름이동 가능하게 배치됨)되므로, AF하우징(200)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렌즈모듈(100)도 AF하우징(200)과 함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흔들림 보정 시에 이동프레임(400)은 OIS하우징(300)에 대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프레임(400)에는 이미지센서(S)가 장착된 센서기판(800)이 결합되므로, 이동프레임(400)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미지센서(S)도 이동프레임(400)과 함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OIS하우징(300)을 기준으로, 광축(Z축) 방향 일측에 AF하우징(200)이 배치되고 광축(Z축) 방향 타측에 이동프레임(400)이 배치된다.
AF하우징(200)은 OIS하우징(300)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고, 이동프레임(400)도 OIS하우징(300)에 대해 상대 이동되어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AF하우징(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00)와 이동프레임(4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 구동부(700)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므로,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을 모두 이동시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AF하우징(200)이 양의 제1 축(X축) 방향(+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프레임(400)은 음의 제1 축(X축) 방향(-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AF하우징(200)이 양의 제2 축(Y축) 방향(+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프레임(400)은 음의 제2 축(Y축) 방향(-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이동시키더라도 흔들림 보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즉,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흔들림 보정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초점 조정 시에 렌즈모듈(100)이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제2 구동부(600)의 마그네트들과 코일들의 상대적인 위치 및 제3 구동부(700)의 마그네트들과 코일들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흔들림 보정을 위한 구동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흔들림 보정 시에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 중 하나 이상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제1 구동부(500)의 마그네트와 코일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초점 조정을 위한 구동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5 가이드홈(g5) 및 제6 가이드홈(g6)의 형상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컨대, 제5 가이드홈(g5)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고, 제6 가이드홈(g6)은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상이다. 그리고, 제5 가이드홈(g5) 및 제6 가이드홈(g6)의 단면 형상은 'V' 형상일 수 있다.
제5 가이드홈(g5)은 AF하우징(200)과 OIS하우징(300)이 광축(Z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된다.
제6 가이드홈(g6)은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이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배치된다.
제5 가이드홈(g5)의 길이 방향은 이미지센서(S)의 단변과 평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가이드홈(g6)의 길이 방향은 이미지센서(S)의 장변과 평행할 수 있다.
제5 가이드홈(g5)에 배치된 제2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 가능하고, 제1 축(X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제6 가이드홈(g6)에 배치된 제3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 가능하고, 제2 축(Y축)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흔들림 보정 시에, AF하우징(200)은 OIS하우징(300)에 대하여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동프레임(400)은 OIS하우징(300)에 대하여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즉,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흔들림 보정은 AF하우징(200)의 이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흔들림 보정은 이동프레임(400)의 이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는, AF하우징(200)과 이동프레임(400)의 이동을 지지하는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컨대,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AF하우징(200)과 OIS하우징(300) 사이에는 복수의 제1 서스펜션 와이어(w1)가 배치되고, OIS하우징(300)과 이동프레임(400) 사이에는 복수의 제2 서스펜션 와이어(w2)가 배치된다.
복수의 제1 서스펜션 와이어(w1)의 각 일단은 AF하우징(200)과 연결되고, 복수의 제1 서스펜션 와이어(w1)의 각 타단은 OIS하우징(300)과 연결된다. 따라서, AF하우징(200)은 복수의 제1 서스펜션 와이어(w1)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서스펜션 와이어(w2)의 각 일단은 OIS하우징(300)과 연결되고, 복수의 제2 서스펜션 와이어(w2)의 각 타단은 이동프레임(4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프레임(400)은 복수의 제2 서스펜션 와이어(w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 구동부와 제3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AF하우징(200)이 제2 구동부(600)에 의해 이동되고, 이동프레임(400)이 제3 구동부(700)에 의해 이동된다. 제2 구동부(600)는 제2 마그네트(611)와 제2 코일(613), 및 제3 마그네트(631)와 제3 코일(633)을 포함하고, 제3 구동부(700)는 제4 마그네트(711)와 제4 코일(713), 및 제5 마그네트(731)와 제5 코일(733)을 포함한다. 즉, 제2 구동부(600)와 제3 구동부(700)에 포함된 마그네트들은 별개의 마그네트로 제공된다.
그러나, 도 2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2 구동부(600)의 마그네트와 제3 구동부(700)의 마그네트가 동일한 마그네트일 수 있다.
예컨대, OIS하우징(300)에 제1 공용 마그네트(650) 및 제2 공용 마그네트(67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공용 마그네트(650)는 제2 코일(613)과의 관계에서 AF하우징(2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 공용 마그네트(670)는 제3 코일(633)과의 관계에서 AF하우징(2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공용 마그네트(650)는 제4 코일(713)과의 관계에서 이동프레임(4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 공용 마그네트(670)는 제5 코일(733)과의 관계에서 이동프레임(4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공용 마그네트(650)와 제2 공용 마그네트(670)는 각각 광축(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N극, 중립영역 및 S극을 갖도록 착자될 수 있다.
AF하우징(200)에는 제2 코일(613)과 제3 코일(633)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코일(613)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제1 공용 마그네트(650)와 마주볼 수 있다. 제2 코일(613)은 제1 공용 마그네트(650)의 N극 또는 S극과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용 마그네트(650)와 제2 코일(61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예컨대,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제3 코일(633)은 제2 축(X축) 방향으로 제2 공용 마그네트(670)와 마주볼 수 있다. 제3 코일(633)은 제2 공용 마그네트(670)의 N극 또는 S극과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용 마그네트(670)와 제3 코일(63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동프레임(400)에는 제4 코일(713)과 제5 코일(733)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4 코일(713)은 광축(Z축) 방향으로 제1 공용 마그네트(650)와 마주볼 수 있다. 제4 코일(713)은 제1 공용 마그네트(650)의 N극 및 S극과 모두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용 마그네트(650)와 제4 코일(71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제5 코일(733)은 광축(Z축) 방향으로 제2 공용 마그네트(670)와 마주볼 수 있다. 제5 코일(733)은 제2 공용 마그네트(670)의 N극 및 S극과 모두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용 마그네트(670)와 제5 코일(73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컨대,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은 자이로 센서(20) 및 드라이버 회로(10, Driver IC)(또는 제어부(Control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0)는 카메라 모듈에 대한 흔들림을 검출하여 자이로 센서 정보(GSI)를 드라이버 회로(10)에 출력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0)는 카메라 모듈(1, 예컨대, OIS하우징(300))에 장착될 수 있다.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 정보(GSI)에 기초하여 렌즈모듈(100)의 흔들림 보정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 및 이미지센서(S)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 정보(GSI)를 분석하여 고각도 흔들림인지 아니면 고주파수 흔들림인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이면 렌즈-시프트(Lens-Shift) 보정을 위해 렌즈모듈(100)을 이동시키고, 고주파수 흔들림이면 센서-시프트(Sensor-Shift) 보정을 위해 이미지센서(S)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 정보(GSI)에 기초하여 고각도 흔들림이면 렌즈모듈(100)의 흔들림 보정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고, 고주파수 흔들림이면 이미지센서(S)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각도 및 고주파수 흔들림이면 렌즈 구동 신호(Sd1) 및 센서 구동 신호(Sd2)를 모두 생성할 수 있다.
제2 구동부(600)는 렌즈 구동 신호(Sd1)에 응답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구동부(700)는 센서 구동 신호(Sd2)에 응답하여 이미지센서(S)에 대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흔들림 보정을 수행하는 다양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28을 참조하면,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20)로부터 자이로 센서 정보(GSI)를 입력받고(S61), 자이로 센서 정보(GSI)를 기초로 카메라 모듈(1)의 흔들림을 판단하며(S62, S64),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이면 고각도 흔들림 보정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63).
또한,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주파수 흔들림 발생이면 고주파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이미지센서(S)에 대해 센서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65).
그리고,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도 아니고, 고주파수 흔들림 발생도 아닌 경우에는, 저각도 및 저주파수 흔들림 보정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62, S64, S63).
도 29를 참조하면,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 정보(GSI)를 기초로 카메라 모듈(1)의 흔들림을 판단하며,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이면 고각도 흔들림 보정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71~S73).
또한,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면 롤링 보정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이미지센서(S)에 대해 롤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71, S72, S74~S75).
그리고,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도 아니고, 롤링 발생도 아닌 경우에는,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71, S72, S74, S73).
도 30을 참조하면,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 정보(GSI)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1)의 흔들림을 판단하고,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이고 고주파수 흔들림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고각도 및 저주파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제1 구동전류(I1)를 갖는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1~S103, S105).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이고 고주파수 흔들림 발생인 경우에는 고각도 및 고주파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제2 구동전류(I2)를 갖는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1~S103, S106).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이 아니고 고주파수 흔들림 발생이 아닌 경우에는 저각도 및 저주파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제3 구동전류(I3)를 갖는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1~S102, S104, S107).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고각도 흔들림 발생이 아니고 고주파수 흔들림 발생이면 저각도 및 고주파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이미지센서(S)에 대해 센서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01~S102, S104, S108).
일 예로, 제1 구동전류(I1), 제2 구동전류(I2) 및 제3 구동전류(I3)는 서로 다른 전류일 수 있으며, 이는 생성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전류 생성 회로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 정보(GSI)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1)의 흔들림을 판단하고,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고 흔들림이 아닌 경우에는 센서 롤링 구동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이미지센서(S)에 대해 센서 롤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11~S113, S115).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고 흔들림 발생인 경우에는 렌즈 시프트 구동 및 센서 롤링 구동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 및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 및 이미지센서(S)에 대해 센서 롤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11~S113, S116).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 아니고 흔들림 발생인 경우에는 렌즈 시프트 구동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11~S112, S114, S117).
그리고,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 아니고 흔들림 발생도 아닌 경우에는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S111~S112, S114, S118).
도 32를 참조하면, 드라이버 회로(10)는, 자이로 센서 정보(GSI)에 기초하여 카메라 모듈(1)의 흔들림을 판단하고,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고 흔들림이 아닌 경우에는 센서 롤링 구동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이미지센서(S)에 대해 센서 롤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1~S123, S125).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고 흔들림 발생인 경우에는 렌즈 시프트 구동 및 센서 롤링 구동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 및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 및 이미지센서(S)에 대해 센서 롤링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1~S123, S126).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 아니고 흔들림 발생인 경우, 고각도 흔들림이 아니고 고주파 흔들림이면, 센서 시프트 구동을 위한 센서 구동 신호(Sd2)를 생성하여 이미지센서(S)에 대해 센서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1~S122, S124, S131~S133).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 아니고 흔들림 발생인 경우, 고각도 흔들림이면, 렌즈 시프트 구동을 위한 렌즈 구동 신호(Sd1)를 생성하여 렌즈모듈(100)에 대해 렌즈 시프트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S121~S122, S124, S131, S134).
그리고, 드라이버 회로(10)는, 흔들림 판단 결과에 따라, 롤링 발생이 아니고 흔들림 발생도 아닌 경우에는 보정을 수행하지 않는다(S121~S122, S124, S128).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카메라 모듈
100: 렌즈모듈
200: AF하우징
300: OIS하우징
400: 이동프레임
500: 제1 구동부
600: 제2 구동부
700: 제3 구동부
800: 센서기판
B1: 제1 볼 부재
B2: 제2 볼 부재
B3: 제3 볼 부재

Claims (28)

  1. 내부공간을 갖는 AF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AF하우징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센서가 배치된 센서기판;
    상기 센서기판의 일부와 결합된 이동프레임; 및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OIS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AF하우징은 상기 렌즈모듈과 함께 상기 OIS하우징에 대해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이미지센서와 함께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에 결합된 제1 마그네트, 및 상기 제1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배치된 제1 코일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배치된 제1 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볼 부재는,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각각 상기 광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볼을 포함하는 제1 볼 그룹과 제2 볼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볼 그룹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볼의 개수는 상기 제2 볼 그룹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볼의 개수보다 많은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AF하우징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가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상기 제1 볼 부재가 배치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F하우징의 상기 제2 가이드부에는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볼 그룹을 향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볼 그룹을 향해 상기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상기 광축 방향 길이보다 더 긴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OIS하우징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단차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F하우징은 상기 OIS하우징에 대해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축 방향 및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OIS하우징에 대해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축 방향 및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F하우징의 이동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IS하우징에 결합된 복수의 마그네트, 및 상기 AF하우징에 고정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제2 구동부;
    상기 OIS하우징에 결합된 복수의 마그네트,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제3 구동부;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OIS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2 볼 부재; 및
    상기 OIS하우징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3 볼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광축에 수직한 제1 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서브 구동부 및 상기 광축과 상기 제1 축에 모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서브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구동부는 상기 OIS하우징에 배치된 제2 마그네트와 상기 AF하우징에 고정된 제2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 구동부는 상기 OIS하우징에 배치된 제3 마그네트와 상기 AF하우징에 배치된 제3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3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과 상기 제3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적어도 2개의 위치센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3 서브 구동부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4 서브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브 구동부는 상기 OIS하우징에 배치된 제4 마그네트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된 제4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서브 구동부는 상기 OIS하우징에 배치된 제5 마그네트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배치된 제5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마그네트와 상기 제5 마그네트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코일과 상기 제5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마그네트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적어도 2개의 위치센서가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코일이 장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이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코일과 연결되는 배선패턴이 배치되고,
    상기 배선패턴의 일부는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재질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재질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플라스틱 재질이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는 경계라인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패턴의 상기 일부는 상기 센서기판과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OIS하우징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볼 부재가 배치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상기 OIS하우징과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3 볼 부재가 배치되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볼 부재에 포함된 볼의 직경보다 큰 사이즈의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카메라 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판은 제1 OIS기판 및 제2 OIS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OIS기판의 일부는 상기 AF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OIS기판의 일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IS기판은 상기 AF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이동부, 상기 OIS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와 상기 제1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슬릿을 갖는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이동부와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OIS기판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이동부, 상기 OIS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이동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이동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광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슬릿을 갖는 카메라 모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제3 지지부 및 제4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이동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4 지지부는 상기 제2 이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23. 내부공간을 갖는 AF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렌즈모듈을 통과한 광이 수광되는 이미지센서가 배치된 센서기판;
    상기 센서기판의 일부와 결합된 이동프레임;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OIS하우징;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렌즈모듈 사이에 배치된 제1 볼 부재;
    상기 AF하우징과 상기 OIS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2 볼 부재; 및
    상기 OIS하우징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3 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모듈은 서로 수직한 3개의 축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렌즈모듈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카메라 모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AF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AF하우징과 함께 상기 광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OIS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함께 상기 광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이동 가능한 카메라 모듈.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이 상기 광축에 수직한 일 축의 양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일 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카메라 모듈.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판은 AF기판, 제1 OIS기판 및 제2 OIS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AF기판은 상기 AF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 OIS기판의 일 부분은 상기 AF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OIS기판의 다른 부분은 상기 OIS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2 OIS기판의 일 부분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제2 OIS기판의 다른 부분은 상기 OIS하우징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28. 제27항에 있어서,
    광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마그네트와 코일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축 방향 및, 상기 광축 방향과 상기 제1 축 방향에 모두 수직한 제2 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제3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상기 코일은 상기 AF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제1 OIS기판에 배치되며,
    상기 제3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제2 OIS기판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122721A 2021-10-21 2022-09-27 카메라 모듈 KR20230057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70,534 US20230128842A1 (en) 2021-10-21 2022-10-20 Camera module
CN202222790220.1U CN218272877U (zh) 2021-10-21 2022-10-21 相机模块
CN202211293837.0A CN116009184A (zh) 2021-10-21 2022-10-21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1305 2021-10-21
KR1020210141305 2021-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262A true KR20230057262A (ko) 2023-04-28

Family

ID=86143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721A KR20230057262A (ko) 2021-10-21 2022-09-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2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227B2 (en) Lens moving apparatus
US11921301B2 (en) Dual lens drive devic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60045382A (ko) 렌즈 구동장치
KR2015004268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102003282B1 (ko) 틸트 성능이 개선된 통합액추에이터
US20240147072A1 (en) Actuator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1880088B2 (en) Camera module
CN218272877U (zh) 相机模块
KR20230098760A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3879327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KR20230057262A (ko) 카메라 모듈
KR2017006808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49137B1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86054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230089534A (ko) 흔들림 보정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20586385U (zh) 用于光学图像稳定的致动器以及相机模块
KR101592286B1 (ko) 카메라 모듈
CN113272731B (zh) 致动器控制装置及方法
KR20230109370A (ko) 흔들림 보정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EP4270924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US20240080561A1 (en) Actuator for optical imaging stabilization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20149424A (ko) 흔들림 보정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75585B1 (ko) 렌즈 구동 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20230089527A (ko) 카메라 모듈
KR20230170268A (ko) 흔들림 보정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