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189A -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189A
KR20230057189A KR1020210141335A KR20210141335A KR20230057189A KR 20230057189 A KR20230057189 A KR 20230057189A KR 1020210141335 A KR1020210141335 A KR 1020210141335A KR 20210141335 A KR20210141335 A KR 20210141335A KR 20230057189 A KR20230057189 A KR 2023005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information
product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양섭
박승현
Original Assignee
안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양섭 filed Critical 안양섭
Priority to KR102021014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7189A/ko
Publication of KR2023005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가입 정보 및 회원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수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지역별로 위치하는 수리센터에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지역별로 수거된 물품의 수리 가능 여부에 대한 점검 및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수거된 물품의 수리에 사용될 각종 부품들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는 수리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수리서버와, 배송자 단말과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입 및 회원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품의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물품의 수거, 수리 및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운용함과 동시에 수리 및 재판매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운영서버;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물품을 수거하여 상기 수리서버측으로 배송하고, 재판매가 이루어진 물품의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배송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ystem for providing repair and recycling services for malfunctioning or waste products}
본 발명은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난 전자제품, 또는 폐기가 예정된 전자제품 등을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수리하여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폐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폐기되기 전에 수리 후 재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보호의 순기능을 제공하고, 제품생산시 발생하는 탄소의 발생 요인을 줄일 수 있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 하는 물품들 중에서 상당수의 컴퓨터나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소형 가전 등의 전자제품, 또는 각종 소형 가구 등의 물품들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고장이나 부분 파손 등의 이유로 쉽고 간단하게 폐기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전자제품들이 지속적으로 출시가 이루어지고 물품의 구매 환경 또한 온라인을 통해 쉽고 간단하게 구매가 가능한 환경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고장으로 간단한 수리를 통해서도 사용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제품들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자제품들의 경우, 작은 부분에 대한 고장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전문가를 통해 수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제조사 A/S 센터에 직접 택배로 보내거나 방문하여 수리를 접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수리를 통해서 사용이 가능한 물품의 경우에도 쉽게 폐기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온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고 재활용품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재활용센터 등에서 중고품을 수리하여 이를 저렴한 값에 재판매 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온라인을 이용한 중고 재활용품 거래는 거의 완성품에 가까운 중고품을 주거래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기부활동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기부방법도 금전을 기부하는 방법, 재능을 기부하는 방법, 제품을 구매해 기부하는 방법, 중고품을 기부하는 방법 등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8386호에는, 영리가 아닌 기부를 목적으로 물품을 거래토록 유도하는 중개사이트로서 중고품을 내놓는 회원 즉 중고품을 기부하는 기부회원은 자신의 중고품을 가져가는 조건으로 기부를 권하며, 이에 중고품을 수령하고자 하는 회원은 기부회원이 제시한 기부조건 즉 기부금액을 서버에 결제함으로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기부를 통한 온라인 중고거래시스템이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단순히 중고품 거래를 조건으로 기부를 유도하는 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여기서 말하는 중고품은 사용된 것이기는 하지만 완성품에 가까운 제품을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이, 그 자체로 거래되거나 사용될 수 있는 완성된 중고품을 기부 대상으로 하는 경우, 사용하다가 일부분이 파손된 경우 또는 일부 부품을 잃어버린 경우에는 중고품 거래에 활용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중고품은 버려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 상에서 중고품을 수리하더라도 분실된 부품이나 파손된 부분과 동일한 부품이 있는 경우에만 수리가 가능하여 재활용센터 등에 입고된 제품 중 수리되어 재판매되는 제품은 극히 일부로 제한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8386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고장난 전자제품, 또는 폐기가 예정된 전자제품 등을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수리하여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폐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폐기되기 전에 수리 후 재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보호의 순기능을 제공하고, 제품생산시 발생하는 탄소의 발생 요인을 줄일 수 있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리된 물품의 재판매시 지자체와의 협업으로 지역 화폐를 활용하여 구매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으로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 저소득층이나 초기 자취생등의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장난 전자제품, 또는 폐기가 예정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수거 및 전달은 소형 제품일 경우 중장년층을 택배 요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고령화 사회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할 수 있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은퇴 기술자를 활용하여수거된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고용 창출을 기대 할 수 있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지자체별 재활용 센터와의 협업이 가능함에 따라 회원 정보, 수거된 물품 및 재판매 가능한 물품이나 수리가 필요한 물품에 적용되는 수리 부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장난 물품의 수리시 필요 부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생 부품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생산 및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부서지고 고장난 물품에 대한 재활용 가능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가입 정보 및 회원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수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지역별로 위치하는 수리센터에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지역별로 수거된 물품의 수리 가능 여부에 대한 점검 및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수거된 물품의 수리에 사용될 각종 부품들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는 수리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수리서버와, 배송자 단말과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입 및 회원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품의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물품의 수거, 수리 및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운용함과 동시에 수리 및 재판매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운영서버;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물품을 수거하여 상기 수리서버측으로 배송하고, 재판매가 이루어진 물품의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배송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거 요청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및 주소 정보와, 수거를 요청할 물품의 이미지 정보, 해당 물품의 명칭 및 사용 기간에 대한 정보, 고장, 파손 여부 및 고장 증상에 따른 수리 요청 정보, 폐기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기증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리서버는,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분류된 물품 정보들 중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 접수 신호와 상기 수리 접수 신호를 생성하는 접수부와, 상기 접수부로부터 수리 접수 신호를 수신받으며 수리 접수 신호에 포함된 물품 정보를 분석하여 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며,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검 및 수리부와, 수리 물품에 대한 부품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부품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부품정보 관리부와, 수거된 물품의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부품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부품 생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검 및 수리부는, 점검 결과 해당 물품의 수리가 가능한 경우, 수리 가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리 서비스 시작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리시 필요한 추가 부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품정보 관리부로 전송하여, 추가 부품을 제공받아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검 및 수리부는, 상기 물품의 점검 결과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거된 물품정보 및 회원 가입정보를 포함하는 수리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리 불가 신호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수리가 불가능한 물품의 폐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 및 회원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회원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원 가입부와, 상기 수리서버로부터 수리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 일정, 수리 비용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수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산출된 정보와 함께 수리 서비스 시작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수리 서비스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비용 및 일정 산출부와, 수거가 완료된 물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들 중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를 수리서버로 전송하는 물품 분류부와, 상기 물품 분류부로부터 분류된 카테고리 정보들 중 기증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온라인 몰에 등록하고, 온라인 몰에 등록한 기증 물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판매 대금에 대한 비용정보를 포함하는 재판매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회원 관리부로 전송하는 몰 운용부와, 상기 비용 및 일정 산출부로부터 수리 물품에 대한 비용 및 일정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수리가 완료된 물품 및 재판매가 이루어진 기증 물품에 대한 비용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원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물품의 기증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기증을 허락하는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물품 분류부로 전송하여 기증될 물품에 대한 카테고리로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점검 및 수리부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이 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몰 운용부로부터 온라인 몰에 등록한 물품의 재판매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의 비용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포인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적립 포인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배송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거 요청이 이루어진 물품을 수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리서버측으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재판매가 이루어진 물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장난 전자제품, 또는 폐기가 예정된 전자제품 등을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수리하여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폐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폐기되기 전에 수리 후 재활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보호의 순기능을 제공하고, 제품생산시 발생하는 탄소의 발생 요인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리된 물품의 재판매시 지자체와의 협업으로 지역 화폐를 활용하여 구매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으로 운영이 가능함은 물론, 저소득층이나 초기 자취생등의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장난 전자제품, 또는 폐기가 예정된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수거 및 전달은 소형 제품일 경우 중장년층을 택배 요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고령화 사회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은퇴 기술자를 활용하여수거된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고용 창출을 기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각 지자체별 재활용 센터와의 협업이 가능함에 따라 회원 정보, 수거된 물품 및 재판매 가능한 물품이나 수리가 필요한 물품에 적용되는 수리 부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장난 물품의 수리시 필요 부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생 부품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생산 및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부서지고 고장난 물품에 대한 재활용 가능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수리버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용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각각의 서버는,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메모리, 프로세서, 통신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서버일 수 있으며, 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버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수단인 단말로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수리서버(200), 운용서버(300) 및 배송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운용서버(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고장, 또는 파손이 발생하여 수리가 필요한 전자제품, 오랜 사용 기간, 또는 새로운 전자제품의 구매로 인해 폐기하고자 하는 전자제품 등을 포함하는 물품의 수거를 요청하기 위해 운용서버(300)의 회원 가입부(310)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제공하여 회원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가입 정보의 전송시 회원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함께 전송하고, 회원 가입부(310)로부터 전송되는 회원 등록 승인 신호가 수신받으며, 상기 회원 등록 승인 신호의 수신시 상기 물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수거 요청 정보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 단말(100)에는 상기 수거 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물품 수거 요청부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거 요청 정보에는 수거를 요청할 물품의 이미지 정보, 해당 물품의 명칭 및 사용 기간에 대한 정보, 고장, 파손 여부 및 고장 증상에 따른 수리 요청 정보, 폐기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기증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수거 요청 정보에는 회원의 가입 정보들 중 이름, 전화번호 및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리서버(200)는 지역별로 위치하는 수리센터에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지역별로 수거된 물품의 수리 가능 여부에 대한 점검 및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수거된 물품의 수리에 사용될 각종 부품들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품의 부품정보들이 각 지역별로 구축되어 있는 수리서버(200)들 간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리서버(200)는 운용서버(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이 운용서버(300)의 물품 분류부(330)로부터 분류된 물품 정보들 중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 접수 신호와 상기 수리 접수 신호를 생성하는 접수부(210)와, 접수부(210)로부터 수리 접수 신호를 수신받으며 수리 접수 신호에 포함된 물품 정보를 분석하여 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운용서버(300)의 비용 및 일정 산출부(320)로 전송하며,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검 및 수리부(220)와, 수리 물품에 대한 부품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부품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부품정보 관리부(230)와, 수거된 물품의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부품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부품 생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수부(210)는 생성된 수리 접수 신호를 점검 및 수리부(220)로 전송하여 상기 수리 접수 신호에 포함된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에 대한 수리 가능 여부와 수리가 가능한 경우 해당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점검 및 수리부(220)는 접수부(210)로부터 수리 접수 신호를 수신받아 이 수리 접수 신호에 포함된 물품에 대한 정보와 이 물품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배송자 단말을 통해 수거된 실제 물품)을 점검하여 수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점검 및 수리부(220)는 점검 결과 해당 물품의 수리가 가능한 경우, 수리 가능 신호를 생성하여 운용서버(300)의 비용 및 일정 산출부(320)로 전송하고, 이 비용 및 일정 산출부(320)로부터 수리 서비스 시작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점검 및 수리부(220)는 해당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리시 필요한 추가 부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부품정보 관리부(230)로 전송하며, 부품정보 관리부(230)에서는 상기 추가 부품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물품의 점검 결과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점검 및 수리부(220)에서 상기 수거된 물품정보 및 회원 가입정보를 포함하는 수리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리 불가 신호를 회원 관리부(350)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수리가 불가능한 물품의 폐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품정보 관리부(230)는 지역별로 위치하는 수리센터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제품들의 부품들에 대한 부품정보가 저장되며, 점검 및 수리부(220)의 요청시 이 점검 및 수리부(220)에서 요청한 부품정보에 대응하는 수리부품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품정보 관리부(230)는 수리가 불가능한 물품의 발생하는 경우, 해당 물품의 분해 및 사용 가능한 부품의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품정보 관리부(230)는 폐기 물품의 분해 및 부품 수거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점검 및 수리부(220)로 전송하고, 점검 및 수리부(220)에서는 수거된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부품정보 관리부(230)로 전송하여 저장된 부품정보 리스트의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타 지역에 구비되어 있는 수리서버(200)의 부품정보 관리부(230)와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부품정보 관리부(230)는 점검 및 수리부(220)에서 요청한 부품정보가 수리센터에서 보유되어 있지 않은 부품인 경우, 타 지역에 위치하는 수리서버(200)의 부품정보 관리부(230)로 해당 부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타 지역의 수리서버(200)에서도 해당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품 생산부(240)로 해당 부품의 생산을 요청하는 부품 생산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부품 생산부(240)는 부품정보 관리부(230)로부터 전송되는 부품 생산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이 부품 생산 요청 신호에 포함된 부품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부품의 생산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부품정보 관리부(230)로 전송한다.
이때, 부품 생산부(240)는 생산 가능 여부에 대한 파악시 3D 프린터로 생산이 가능한 부품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3D 프린터로 생산 가능한 부품만을 생산하여 점검 및 수리부(220)로 제공함과 동시에 생산된 부품에 대한 정보를 부품정보 관리부(230)로 전송하여 갱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운용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수리서버(200) 및 배송자 단말(400)과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물품의 수거, 수리 및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운용함과 동시에 수리 및 재판매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회원 가입부(310), 비용 및 일정 산출부(320), 물품 분류부(330), 몰 운용부(340) 및 회원 관리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원 가입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승인하고 회원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회원 가입부(310)는 사용자 단말(1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가입 정보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승인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회원 등록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관리부(35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에 대한 회원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원 가입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회원 관리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결제 수단으로는 계좌정보, 신용카드 정보 뿐만 아니라, 운영지역의 지역 화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용 및 일정 산출부(320)는 점검 및 수리부(220)로부터 전송되는 수리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 일정, 수리 비용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회원 관리부(350)로 각각 전송하여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100)로도 상기 산출된 정보와 함께 수리 서비스 시작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수리 서비스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비용 및 산출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리 서비스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회원 관리부(350)로 전송하여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점검 및 수리부(220)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물품 분류부(330)는 수거가 완료된 물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들 중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를 수리서버(200)의 접수부(2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물품 분류부(330)는 회원 관리부(350)로부터 물품 수거 완료 신호를 수신받으며, 상기 물품 수거 완료 신호에 포함된 수거 요청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물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를 생성하여 회원 관리부(350) 및 수리서버(200)의 접수부(210)로 전송한다.
이때, 물품 분류부(330)는 분류된 물품 정보들 중,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만을 접수부(210)로 전송하여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는,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 수리 불가능한 물품 정보, 기증에 의해 재판매될 물품 정보 및 폐기 처리될 물품 정보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몰 운용부(340)는 분류된 카테고리 정보들 중 기증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물품 분류부(330)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된 기증 물품 정보를 온라인 몰에 등록하여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몰 운용부(340)는 온라인 몰에 등록한 기증 물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판매 대금에 대한 비용정보를 포함하는 재판매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회원 관리부(350)로 전송한다.
회원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의 회원 등록 정보와 배송자 단말(400)의 배송자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비용 및 일정 산출부(330)로부터 수리 물품에 대한 비용 및 일정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한편, 점검 및 수리부(220)로부터 수리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몰 운용부(340)로부터 온라인 몰에 등록한 물품의 재판매에 대한 비용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원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의 물품 수거 요청부로부터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받으며, 수신된 수거 요청 정보에 포함된 물품 정보 및 회원 가입정보를 배송자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의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회원 관리부(350)는 배송자 단말(4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거 요청이 이루어진 물품을 수거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리서버(200)측으로 배송하고, 재판매가 이루어진 물품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또는 회원 가입시 입력한 사용자의 주소정보)로 배송하는 배송자의 가입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회원 관리부(350)는 배송자 단말(400)로부터 상기 물품의 수거 완료 신호를 수신받으며, 물품 수거 완료 신호를 물품 분류부(330)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에 대한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원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로 물품의 수거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수거된 물품의 기증 여부에 대한 답변을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물품의 기증을 허락하는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를 물품 분류부(330)로 전송하여 기증될 물품에 대한 카테고리로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점검 및 수리부(220)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이 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원 관리부(350)는 점검 및 수리부(220)로부터 수리가 필요한 물품이라고 확인되는 경우, 해당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비용 및 일정 산출부(320)로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수리가 불필요한 물품인 경우에는 몰 운용부(340)로 전송하여 온라인 몰을 통해 재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회원 관리부(350)는 몰 운용부(340)로부터 온라인 몰에 등록한 물품의 재판매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의 비용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포인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적립 포인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적립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몰을 통해 다른 물품들의 구매비용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수리가 필요한 물품의 수리 비용으로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저소득층이나 일시적인 필요의 자취생 등의 사용자들의 경우에도 적은 비용으로도 실생활에 유용한 다양한 물품들의 구매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원 관리부(35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물품의 고장 접수 및 수리 요청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상기 신호의 수신시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 및 회원 가입정보를 배송자 단말(400)로 전송하여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회원 관리부(350)는 물품의 수거 요청시 회원 가입정보의 주소 정보와 가장 인접한 수리서버(2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수리서버(200)의 위치정보를 배송자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수리서버(200)의 위치로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원 관리부(350)는 고장 접수 및 수리 요청 신호에 의해 물품의 수거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고장 접수 및 수리 요청 신호를 수리서버(200)의 접수부(210)로 전송하여 수리 접수 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원 관리부(350)는 점검 및 수리부(220)로부터 수리 불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리 불가 신호와 해당 물품의 폐기 처리 승인 요청 신호를 회원 가입부(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물품의 폐기 처리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점검 및 수리부(220)로 상기 물품의 폐기 처리 승인 신호를 전송하여 폐기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수리서버
210: 접수부 220: 점검 및 수리부
230: 부품정보 관리부 240: 부품 생산부
300: 운영서버 310: 회원 가입부
320: 비용 및 일정 산출부 330: 물품 분류부
340: 몰 운용부 350: 회원 관리부
400: 배송자 단말

Claims (9)

  1. 사용자의 가입 정보 및 회원 등록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전자제품을 포함하는 물품의 수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지역별로 위치하는 수리센터에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지역별로 수거된 물품의 수리 가능 여부에 대한 점검 및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수거된 물품의 수리에 사용될 각종 부품들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는 수리서버;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수리서버와, 배송자 단말과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입 및 회원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품의 수거 요청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물품의 수거, 수리 및 재판매가 이루어지도록 운용함과 동시에 수리 및 재판매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운영서버;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거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물품을 수거하여 상기 수리서버측으로 배송하고, 재판매가 이루어진 물품의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배송자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요청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전화번호 및 주소 정보와, 수거를 요청할 물품의 이미지 정보, 해당 물품의 명칭 및 사용 기간에 대한 정보, 고장, 파손 여부 및 고장 증상에 따른 수리 요청 정보, 폐기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 기증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서버는,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분류된 물품 정보들 중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 접수 신호와 상기 수리 접수 신호를 생성하는 접수부와,
    상기 접수부로부터 수리 접수 신호를 수신받으며 수리 접수 신호에 포함된 물품 정보를 분석하여 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며,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검 및 수리부와,
    수리 물품에 대한 부품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부품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부품정보 관리부와,
    수거된 물품의 수리에 필요한 부품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부품의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부품 생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및 수리부는,
    점검 결과 해당 물품의 수리가 가능한 경우, 수리 가능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로부터 수리 서비스 시작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물품의 수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리시 필요한 추가 부품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부품정보 관리부로 전송하여, 추가 부품을 제공받아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 및 수리부는,
    상기 물품의 점검 결과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거된 물품정보 및 회원 가입정보를 포함하는 수리 불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수리 불가 신호를 상기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수리가 불가능한 물품의 폐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 및 회원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회원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원 가입부와,
    상기 수리서버로부터 수리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물품에 대한 수리 일정, 수리 비용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수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산출된 정보와 함께 수리 서비스 시작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수리 서비스 승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비용 및 일정 산출부와,
    수거가 완료된 물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분류된 카테고리별 물품 정보들 중 수리가 필요한 물품 정보를 수리서버로 전송하는 물품 분류부와,
    상기 물품 분류부로부터 분류된 카테고리 정보들 중 기증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온라인 몰에 등록하고, 온라인 몰에 등록한 기증 물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판매 대금에 대한 비용정보를 포함하는 재판매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회원 관리부로 전송하는 몰 운용부와,
    상기 비용 및 일정 산출부로부터 수리 물품에 대한 비용 및 일정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수리가 완료된 물품 및 재판매가 이루어진 기증 물품에 대한 비용에 대한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회원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물품의 기증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물품의 기증을 허락하는 승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물품 분류부로 전송하여 기증될 물품에 대한 카테고리로 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점검 및 수리부로 전송하여 해당 물품이 수리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몰 운용부로부터 온라인 몰에 등록한 물품의 재판매 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물품의 비용정보에 대응하는 적립 포인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적립 포인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관리부는,
    상기 배송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거 요청이 이루어진 물품을 수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수리서버측으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재판매가 이루어진 물품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141335A 2021-10-21 2021-10-21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57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35A KR20230057189A (ko) 2021-10-21 2021-10-21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335A KR20230057189A (ko) 2021-10-21 2021-10-21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189A true KR20230057189A (ko) 2023-04-28

Family

ID=8614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335A KR20230057189A (ko) 2021-10-21 2021-10-21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71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62B1 (ko) 2023-05-18 2023-09-04 주식회사 더퍼스트코리아 중고 휴대폰 매입 및 수리를 통한 수출 판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386A (ko) 2011-08-13 2013-02-21 김영석 기부를 통한 온라인 중고품 거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386A (ko) 2011-08-13 2013-02-21 김영석 기부를 통한 온라인 중고품 거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062B1 (ko) 2023-05-18 2023-09-04 주식회사 더퍼스트코리아 중고 휴대폰 매입 및 수리를 통한 수출 판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78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les execution environment
US20190279175A1 (en) Integrated electronic disbursement and cash 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RU258178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дставления счета и его оплаты
WO2015117548A1 (zh) 一种用于互联网销售的计费处理方法及系统
Kawa SMART logistics chain
JP2012511768A (ja) 自動認識データ収集技術を用いた動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用方法
CN110622189A (zh) 用于提供数字收据的高效方法和系统
KR20230057189A (ko) 고장 또는 폐기물품의 수리 및 재활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19865B1 (ko) 전자인수증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853850B1 (en) Automatically inserting an identifier into an item record using a web interface in embedded code on a website associated with a nonprofit entity, and generating, using the identifier, an impact statement communicating a value in charitable goods and/or charitable services
KR20150110840A (ko) 위치기반의 c2b 중고매입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 모델
CN103489090A (zh) 供应商询价预订审批采购记账系统
US20160063488A1 (en) Liquidation system for cash and fixed-asset donations
CN104463591A (zh) 一种电子商务服务系统
CN106408386A (zh) 一种基于电子商务的产品推广系统
Orbea et al. Adapting procurement models for electric buses in Latin America
TW201926207A (zh) 採用聯網的技術和數據進行保險產品設計之系統
Sonntagbauer E-Business, emerging trends in the European Union
Schoop et al. To monitor or not to monitor-the role of trusted third parties in electronic marketplaces
KR20090002041A (ko) 재고자산 담보 대출 상품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10078958A (ko) 기업용 판매자 구매자 매칭서비스 제공서버
KR101760217B1 (ko) 부동산 전대차 전자거래 시스템
US20150379589A1 (en) Discerning cash and fixed asset donations
Delger et al. Current state of e-commerce in Mongolia: Payment and delivery
Safibullaevna et al. Projecting Parametres Trade Electronic Plat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