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7165A -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7165A
KR20230057165A KR1020210141277A KR20210141277A KR20230057165A KR 20230057165 A KR20230057165 A KR 20230057165A KR 1020210141277 A KR1020210141277 A KR 1020210141277A KR 20210141277 A KR20210141277 A KR 20210141277A KR 20230057165 A KR20230057165 A KR 20230057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tring
photovoltaic module
arc
switch
photovolta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297B1 (ko
Inventor
민준기
Original Assignee
(주)솔라앤시스
민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라앤시스, 민준기 filed Critical (주)솔라앤시스
Priority to KR1020210141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2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15Using arc de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하는 아크감지 센서,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중간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나누어진 두 부분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 스위치,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2 스위치,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3 스위치 및 아크 발생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켜,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Apparatus for blocking arc of solar module string}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 에너지의 무공해성 및 무한정성에 힘입어 지구 환경 문제와 미래 에너지원의 다각화 대책으로서 선진 각국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발전한 전력의 이용방법에 따라, 발전 전력을 축전지에 저장하여 필요한 시간에 전력을 공급하는 독립형 발전시스템과 발전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고 잉여전력을 계통에 공급하는 계통연계형 발전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분산전원의 계통 영향 최소화, 사고에 대비한 계통보호 기술, 인버터의 제어기술 향상 등으로 계통연계형 발전시스템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한편, 최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공급이 급증함에 따라, 원격에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전체의 운전상태를 계측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원격 관리시스템의 도입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식은 태양전지 어레이부의 총발전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하거나, 태양전지 스트링 각각의 발전 전압 및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태양전지 스트링 내의 태양광 모듈들 각각에 대한 지락 및 누전 등의 세부적인 이상 여부 및 이상 부위를 파악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 어레이부의 유지 보수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태양전지어레이부와 인버터를 연결하기 위해 접속반 내에 설치되는 선로 상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 고장 부위를 확인하고 보수를 하는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비되고, 이에 따라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태양광 모듈은 여러 장애요인들에 의해 발전 상태가 열화되거나 모듈이 손상되어 발전 효율이 악화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접 모듈이나 전체 시스템으로 피해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손상되거나 발전 영역이 감소된 태양광 모듈에서는 전력 발전 용량이 줄어든다. 스트링 내에 위치한 특정 모듈에서 이러한 모듈 손상이나 외부 요인에 의한 발전량 감소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모듈과 직렬연결을 통해 스트링을 구성하는 인접 모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전체 스트링의 발전량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만일, 복수 스트링이 연결된 접속반에서 특정 스트링의 전력이 감소하게 되면 정상적인 스트링의 발전량과의 차이에 의해 접속반 내 역방향 전류 흐름을 방지하고자 구성한 역전류방지다이오드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부하는 열로 방사되므로, 기기 손상은 물론 화재, 감전사고 등이 발생하여 안전과 발전 효율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태양광모듈 인입케이블의 단락으로 인한 과전류, 지락전류와, 태양광모듈의 크랙에 의한 지속적인 누설전류와, 태양광모듈 내의 접속불량 및 오결선 인입케이블 단말처리 불량에 의한 직렬아크발생 등의 이유로도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발전 환경이 대면적화 및 농장화 됨에 따라 하나의 장소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의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하나의 관리 센터가 여러 지역의 태양광 발전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므로, 하나의 관리 센터가 관리할 모듈의 수가 수천 또는 수만 개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모듈 각각에 대한 상태와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모듈과 스트링의 집합 관계, 각 모듈의 정보와 노후 정보 등을 관리 센터가 모두 통합하여 관리하면서, 각 모듈의 이상 상황에 대응하기에는 관리 부하가 너무 크고, 네트워크 상황이나 정보 입력의 오류 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87992호(2018.08.07)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하고, 아크 감지에 따라 태양광 모듈 스트링을 차단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하는 아크감지 센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나누어진 두 부분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2 스위치,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아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속함에 설치된다.
상기 아크감지 센서는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상기 접속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상기 접속함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접속함에 전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 대한 긴급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긴급정지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정지 버튼을 통해 상기 긴급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로부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또는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관리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하고, 아크 감지에 따라 태양광 모듈 스트링을 차단함으로써, 상용전원까지의 사고의 확산, 화재 확산, 감전사고 등과 같은 사고의 파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의 동작 방법을 예시하여 나타낸 흐름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가 적용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 스트링(10), 접속함(20), 인버터(30) 및 모니터링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태양광 모듈(11)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태양광 모듈(11)이 직렬 연결되도록 복수의 태양광 모듈(11) 사이는 배선될 수 있다.
접속함(20)은 복수의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병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함(20)에는, 배전 효율 및 안전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퓨즈, 역류방지 다이오드, 변류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접속함(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30)는 접속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 또는 상용계통으로 공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100)로부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예를 들어, 복수의 태양광 모듈 스트링(10), 인버터(30) 등)의 동작 또는 상태에 대한 각종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관리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100)와 모니터링 장치(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 차단 장치(100)와 모니터링 장치(4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장치(4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100)는 아크감지 센서(110), 온도 센서(120), 제1 스위치(130), 제2 스위치(140), 제3 스위치(150), 긴급정지 버튼(160), 통신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크감지 센서(110)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된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이웃하는 태양광 모듈(11)의 배선 사이에 단락 아크가 발생하거나, 태양광 모듈(11)의 배선에서 지상으로 단독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단락 아크는 하나의 배선에서 발생된 아크가 다른 배선으로 전달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을 단락시킨다. 이때, 아크감지 센서(110)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배선 부분을 모니터링하여 아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감지 센서(110)는 발생된 아크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검출하여 아크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아크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를 검출하여 아크를 감지하거나, 발생된 아크로 인하여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 흐르는 전류에서 고조파 신호를 검출하여 아크를 감지할 수 있다. 아크감지 센서(110)는 광을 통해 아크를 감지하는 광섬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가 발생하면 섬광이 발생하는데, 광섬유 센서는 아크로 인한 섬광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아크가 발생하면 주파수가 20~200MHz인 전파가 발생하는데, 아크감지 센서(110)는 대역 통과(Band-Pass) 필터를 이용하여 20~200M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의 강도를 조정하여 아크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아크가 발생하면 태양광 모듈(11)에서 공급하는 직류 외에 높은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전류 신호가 나타나는데, 아크감지 센서(110)는 아크로 인한 고조파 전류를 검출하여 아크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감지 센서(110)는 접속함(20)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일단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120)는 접속함(20) 내에 설치되어 접속함(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20)에 의하여 측정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접속함(20)의 전기 화재로 판단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중간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나누어진 두 부분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한다. 즉, 제1 스위치(130)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 포함된 복수의 태양광 모듈(11)이 미리 설정된 개수로 나누어진 두 부분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40)는 접속함(20) 내에 설치되며,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일단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인버터(30))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한다.
제3 스위치(150)는 접속함(20) 내에 설치되며,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타단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인버터(30))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일단 및 타단에는 각각 제1 퓨즈(141) 및 제2 퓨즈(151)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퓨즈(141) 및 제2 퓨즈(151)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절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긴급정지 버튼(160)은 사용자로부터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발전 동작에 대한 긴급정지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유지보수 및 정비를 위하여, 긴급정지 버튼(160)을 이용하여 아크 차단 장치(100)로 긴급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모니터링 장치(4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장치(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아크감지 센서(110)에 의하여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아크 발생이 감지되면, 제1 스위치(130), 제2 스위치(140) 및 제3 스위치(150)를 모두 오프(OFF)시켜, 태양광 모듈 스트링(10)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11)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 스트링(10)과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선에서 지상으로 발생하는 단독 아크뿐만 아니라, 하나의 배선에서 발생된 아크가 다른 배선으로 전달되어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을 단락시키는 단락 아크도 차단될 수 있다. 즉,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에 연결된 제2 스위치(140) 및 제3 스위치(150)는 배선에서 단독 아크가 발생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오프(OFF)되어, 단독 아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중간에 연결된 제1 스위치(130)는 단락 아크가 발생하면,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오프(OFF)되어, 단락 아크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온도 센서(120)에 의하여 측정된 접속함(2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접속함(20)에 전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스위치(130), 제2 스위치(140) 및 제3 스위치(150)를 모두 오프(OFF)시켜, 태양광 모듈 스트링(10)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11)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 스트링(10)과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긴급정지 버튼(16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긴급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제1 스위치(130), 제2 스위치(140) 및 제3 스위치(150)를 모두 오프(OFF)시켜, 태양광 모듈 스트링(10)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11)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 스트링(10)과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유지보수 및 정비를 위하여 긴급정지 버튼(16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의 동작 방법을 예시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S410 단계에서, 아크 차단 장치(100)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발생하는 아크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크 차단 장치(100)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의 일단에 연결된 아크감지 센서(110)를 이용하여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 흐르는 전류로부터 고조파 신호를 검출하여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아크 차단 장치(100)는 온도 센서(120)에 의하여 측정된 접속함(20) 내부의 온도를 이용하여 접속함(20)에서 전기 화재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아크 차단 장치(100)는 측정된 접속함(20)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접속함(20)에 전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아크 차단 장치(100)는 긴급정지 버튼(16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긴급정지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440 단계에서, 아크 차단 장치(100)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에서 아크 발생이 감지되거나, 접속함(20)에서 전기 화재가 감지되거나, 긴급정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1 스위치(130), 제2 스위치(140) 및 제3 스위치(150)를 모두 오프(OFF)시킨다.
이를 통해, 아크 차단 장치(100)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10)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11)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태양광 모듈 스트링(10)과 외부와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복수의 태양광 모듈 스트링
11: 태양광 모듈
20: 접속함
30: 인버터
40: 모니터링 장치
100: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110: 아크감지 센서
120: 온도 센서
130: 제1 스위치
140: 제2 스위치
141: 제1 퓨즈
150: 제3 스위치
151: 제2 퓨즈
160: 긴급정지 버튼
170: 통신부
180: 제어부

Claims (6)

  1.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하는 아크감지 센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중간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나누어진 두 부분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 스위치;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2 스위치;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아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속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감지 센서는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상기 접속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상기 접속함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접속함에 전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에 대한 긴급정지 명령을 입력받는 긴급정지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정지 버튼을 통해 상기 긴급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1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3 스위치를 모두 오프(OFF)시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 내의 복수의 태양광 모듈 사이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과 상기 외부 장치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로부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작 또는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관리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KR1020210141277A 2021-10-21 2021-10-21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KR10264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277A KR102648297B1 (ko) 2021-10-21 2021-10-21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277A KR102648297B1 (ko) 2021-10-21 2021-10-21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165A true KR20230057165A (ko) 2023-04-28
KR102648297B1 KR102648297B1 (ko) 2024-03-18

Family

ID=8614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277A KR102648297B1 (ko) 2021-10-21 2021-10-21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91068A (zh) * 2024-04-03 2024-05-07 浙江明禾新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接线盒二极管的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54B1 (ko) * 2013-02-07 2013-07-01 주식회사트레디오 불량 모듈을 바이패스 할 수 있는 태양전지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496199B1 (ko) * 2014-04-18 2015-02-26 (주)대연씨앤아이 전력 차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 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7992B1 (ko) 2018-02-12 2018-09-0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아크 검출, 온도 검출, 결로 검출 및 지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 ess 시스템
KR102080811B1 (ko) * 2019-10-31 2020-05-2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화재 복합 감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21035221A (ja) * 2019-08-27 2021-03-01 オムロン株式会社 太陽光発電網遮断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太陽光発電網遮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54B1 (ko) * 2013-02-07 2013-07-01 주식회사트레디오 불량 모듈을 바이패스 할 수 있는 태양전지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496199B1 (ko) * 2014-04-18 2015-02-26 (주)대연씨앤아이 전력 차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 전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7992B1 (ko) 2018-02-12 2018-09-0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아크 검출, 온도 검출, 결로 검출 및 지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 ess 시스템
JP2021035221A (ja) * 2019-08-27 2021-03-01 オムロン株式会社 太陽光発電網遮断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太陽光発電網遮断システム
KR102080811B1 (ko) * 2019-10-31 2020-05-2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화재 복합 감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91068A (zh) * 2024-04-03 2024-05-07 浙江明禾新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伏接线盒二极管的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297B1 (ko) 202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gustine et al. DC Microgrid Protection: Review and Challenges.
Akhmatov et al. Technical guidelines and prestandardization work for first HVDC grids
CN108333491B (zh) 发电系统中的电弧检测及预防
US2015009231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tection of direct current building electrical systems
US10998756B2 (en) Microgri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lfunction
KR101571213B1 (ko) 고장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2959818A (zh) Hvdc开关站和hvdc开关站系统
CN107210603A (zh) 基于转换器的dc配电系统中的故障保护
CN103731121A (zh) 容错的失效保险连接设备
JP2012217161A (ja) ユーティリティネットワークのセキュリティおよび信頼性を確実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95672B1 (ko) 멀티 솔라셀 어레이의 지락 영역 검출 및 태양광 발전 유지를 위한 전류 차단 트립 방법, 이를 위한 지락 영역 검출 및 태양광 발전 유지 시스템
US20190319450A1 (en) Pcs for ess and pcs operating method
KR102370220B1 (ko) 태양광발전 접속반에서 직렬 아크를 검출하는 아크검출장치
CN101860007A (zh) 远程智能剩余电流监控保护系统
JP2012253848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05680424B (zh) 柔性直流输电系统的架空线路暂时性故障的保护方法
KR20200127406A (ko) 화재 예방을 위한 태양광 접속반의 아크 검출 및 제거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648297B1 (ko) 태양광 모듈 스트링의 아크 차단 장치
CN105162096A (zh) 风电场集电线路的保护装置与保护方法
US11128128B2 (en) Directional over-current ground relay (DOCGR) using sampled valu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OCGR
CN108365595B (zh) 基于模糊数学的柔性直流配电系统单端量保护方法
Chandraratne et al. Smart grid protection through self-healing
CN105391030A (zh) 基于网络拓扑结构负荷逐渐加载聚合的计划孤岛划分方法
CN203722250U (zh) 光伏装置
CN104393602A (zh) 一种分布式能源网络的调节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