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208A -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208A
KR20230055208A KR1020210138645A KR20210138645A KR20230055208A KR 20230055208 A KR20230055208 A KR 20230055208A KR 1020210138645 A KR1020210138645 A KR 1020210138645A KR 20210138645 A KR20210138645 A KR 20210138645A KR 20230055208 A KR20230055208 A KR 20230055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ll
protrusion
guide rai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조
Original Assignee
김명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조 filed Critical 김명조
Priority to KR1020210138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208A/ko
Publication of KR2023005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하부면은 라운드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마감용 판넬 등을 설치하기가 용이한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를 얻기 위한 것인 바,
본체부의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걸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이 형성된 상부브래킷 끼움홈과,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이 형성된 하부브래킷 끼움홈과,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본체부와 연결 본체부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돌기를 갖는 연결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장착구;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는 벽면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절곡된 상부받침대와 바닥재의 마감을 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하부돌출대; 상기 상부브래킷 끼움홈과 하부브래킷 끼움홈의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대와 벽장착돌기가 형성된 벽면고정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실내 마감시 작업자가 현장에서 작업이 편리하게 함으로 설치기간을 줄임으로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설치시의 위치를 가일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시공위치의 선정이 편리하고, 높낮이와 벽과의 간격의 조절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Skirting on the wall}
본 발명은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시 설치가 용이하며 하부면은 라운드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부면에는 마감용 판넬 등을 설치시에 안정하고 장착이 용이한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바닥은 룸 카펫트 또는 온돌마루 또는 강화마루와 같은 바닥재로 마감하고 벽면에는 벽지와 같은 벽면재로 마감하게 되는 바, 이러한 이질의 바닥재와 벽면재가 만나는 벽면의 하단부에 걸레받이를 설치하여서, 그 바닥재와 벽면재의 경계를 구분하여 주는 동시에, 바닥재를 물걸레 등으로 청소할 때에 벽면재의 하단부가 더럽게 오염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걸레받이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단일의 판상체로 만들어져서, 벽면의 하단부에 접착제나 못으로 고정시켜서 비교적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통상의 걸레받이는 벽지 등의 벽면재와 마루 등의 바닥재의 끝단을 덮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갖추고 있지 못하여서 벽면에 마감되는 벽면재의 하부 끝단이 미리 설치된 걸레받이 위에 올려붙이게 되므로, 걸레받이 위에 올려붙여진 벽면재의 하부 끝단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서 미관이 불량해지게 되고, 벽면재의 하부 끝단이 들떠서 탈락하는 하자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바닥에 바닥재를 깔아서 마감시공하는 과정에서, 벽면의 하단부에 먼저 설치된 걸레받이의 하부 끝단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바닥재를 마금질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걸레받이의 하부 끝단과 정확히 일치되도록 바닥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걸레받이 밑면을 바닥재의 두께만큼 절취하여 시공함으로 그로 인하여 많은 노동력과 작업과정에 분진이 발생하며 절취된 폐기물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단부에 끼울 수 있는 장착홈을 형성하여 사출된 구조를 형성하여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바닥재의 두께 또는 바닥면의 평평도가 달라질 경우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00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574426호(2015.11.27) (문헌 00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7571호(2003.06.12)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가 편리하여 시공비를 줄일 수 있으며, 벽면의 고정하기 위한 장착위치를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한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면사이의 간격과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쉽게 간격을 맞추면서 시공이 가능한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체부의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걸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이 갖는 상부브래킷 끼움홈과,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돌출돌기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을 포함하는 하부브래킷 끼움홈과,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본체부와 연결 본체부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돌기를 갖는 연결가이드 레일홈이 형성된 연결장착구;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는 벽면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절곡된 상부받침대와 바닥재의 마감을 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하부돌출대;
상기 상부브래킷 끼움홈과 하부브래킷 끼움홈의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대와 벽장착돌기가 형성된 벽면고정브래킷;으로 이루어지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작업이 편리하게 함으로 설치기간을 줄임으로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명은 설치시의 위치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므로 시공위치의 선정이 편리하고, 높낮이과 벽과의 간격의 조절이 용이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의 장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시의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본체부의 높낮이와 벽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한 벽면고정브래킷을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체부의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걸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본체부를 벽면(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돌기(11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120)이 형성된 상부브래킷 끼움홈(130)과,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돌출돌기(14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150)이 형성된 하부브래킷 끼움홈(160)과,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본체부(100)와 연결 본체부(100')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돌기(170)가 형성된 연결가이드 레일홈(180)이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장착구(190);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는 벽면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절곡된 상부받침대(210)와 바닥재의 마감을 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하부돌출대(220); 상기 상부브래킷 끼움홈(130)과 하부브래킷 끼움홈(160)의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대(230)와 벽장착돌기(240)가 형성된 벽면고정브래킷(250);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부는 알루미늄재로 형성하여 다양한 외부형상과 색상으로 제조가가능하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실내용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벽면의 구조상 돌출된 부분 또는 고르지 못한 벽면상태에서도 시공할 수 있도록 벽면고정브래킷(25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본체부를 벽면(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돌기(11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120)이 형성된 상부브래킷 끼움홈(130)을 형성하고, 본체부의 하중 등을 받을 수 있도록 돌출돌기(14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150)이 형성된 하부브래킷 끼움홈(160)을 형성하였다. 특히 하부에는 걸레가 닿도록 라운딩된 구조를 형성하여 걸레가 미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본체부는,
배면에는 본체부(100)와 연결 본체부(100')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돌기(270)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홈(260)이 형성된 연결장착구(290)에 연결용 쫄대(300)를 끼워서 연결하도록 형성하여 연결부분이 정확하게 연결되어 단차가 없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으며, 특히, 별도의 벽면고정브래킷(250)이 없어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벽면이 돌출되거나 경사면을 갖는 부분과 바닥재와 벽지, 하드보드판 등의 두께의 차이로 발생되는 간격등을 해결 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벽면고정브래킷는,
다수개의 장착구(310)가 형성된 상하조절용 상부체결판(320)과 장착구(330)가 형성된 'ㄴ'절골판(340)과 상기 절곡판에 고정정볼트(370)로 체결하도록 장착구(350)가 형성된 'T'체결판(360)에 간격과 높낮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벽과의 간격조정과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현장에서 빠르게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0: 본체부 110: 돌출돌기
120: 가이드레일홈 130: 상부브래킷 끼움홈
160: 하부브래킷 끼움홈 190: 연결장착구
230: 끼움돌기대 240: 벽장착돌기
250: 벽면고정브래킷

Claims (3)

  1. 본체부의 하부에는 마루 등의 바닥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걸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본체부를 벽면(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돌기(11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120)이 형성된 상부브래킷 끼움홈(130)과,
    본체의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돌출돌기(140)가 형성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홈(150)이 형성된 하부브래킷 끼움홈(160)과,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는 본체부(100)와 연결 본체부(100')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돌기(170)가 형성된 연결가이드 레일홈(180)을 갖는 연결장착구(190);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는 벽면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절곡된 상부받침대(210)와 바닥재의 마감을 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절곡된 하부돌출대(220);
    상기 상부브래킷 끼움홈(130)과 하부브래킷 끼움홈(160)의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대(230)와 벽장착돌기(240)가 형성된 벽면고정브래킷(2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배면에는 본체부(100)와 연결 본체부(100')를 끼울 수 있도록 돌출돌기(270)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홈(260)을 갖는 연결장착구(290)와 상기 연결장착구에 연결용 쫄대(300)를 끼워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고정브래킷는,
    다수개의 장착구(310)가 형성된 상하조절용 상부체결판(320)과 장착구가 형성된 'ㄴ'절골판(340)과 상기 절곡판에 고정정볼트(370)로 체결하도록 장착구(350)가 형성된 'T'체결판(360)에 벽간격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KR1020210138645A 2021-10-18 2021-10-18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KR20230055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645A KR20230055208A (ko) 2021-10-18 2021-10-18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645A KR20230055208A (ko) 2021-10-18 2021-10-18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208A true KR20230055208A (ko) 2023-04-25

Family

ID=8610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645A KR20230055208A (ko) 2021-10-18 2021-10-18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2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71Y1 (ko) 2003-01-18 2003-06-25 박경배 걸레받이
KR101574426B1 (ko) 2014-05-19 2015-12-03 김덕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71Y1 (ko) 2003-01-18 2003-06-25 박경배 걸레받이
KR101574426B1 (ko) 2014-05-19 2015-12-03 김덕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986B2 (en) Bracket and method for supporting a cubicle wall on a movable wall having horizontal mounting channels
KR20049297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KR200389801Y1 (ko) 바닥재용 조립데크
KR100911557B1 (ko) 걸레받이용 높낮이 조절기능이 구비된 벽면 코너 마감재
KR100709271B1 (ko) 걸레받이
KR102208068B1 (ko)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KR20230055208A (ko) 실내 마감용 기능성 걸레받이
US3393484A (en) Fillet trim means in a panel baseboard assembly
KR20110136974A (ko) 걸레받이
CN210369512U (zh) 一种弧形灯槽安装结构
JP2008031727A (ja) 標準化パネル、デッキフロ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7010895B2 (en) Drop ceiling made of wood
US5157884A (en) Solely wall mounted drop ceiling structure
JP3507172B2 (ja) 床構成体
RU132823U1 (ru) Невидимый крепеж "зигзаг" для монтажа облицовочной доски
JP2004137675A (ja) 板張り施工方法と板張り構造
KR200439606Y1 (ko) 싱크대 조립장치
CN205637443U (zh) 活动式装饰板的安装装置
KR101200130B1 (ko) 걸레받이
KR200315869Y1 (ko) 건축물 천정용 마감몰딩
KR200162025Y1 (ko) 걸레받이
CN212836526U (zh) 一种墙地连接组件
KR200346707Y1 (ko) 천정 그늘 몰딩재
CN213449243U (zh) 一种房屋内墙面装饰面的支撑底条结构
CN217353353U (zh) 一种地板收口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