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145A - Half 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s Lamp and Vehicles Thereof - Google Patents
Half 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s Lamp and Vehicles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55145A KR20230055145A KR1020210138509A KR20210138509A KR20230055145A KR 20230055145 A KR20230055145 A KR 20230055145A KR 1020210138509 A KR1020210138509 A KR 1020210138509A KR 20210138509 A KR20210138509 A KR 20210138509A KR 20230055145 A KR20230055145 A KR 202300551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p
- half mirror
- mirror image
- pattern
- d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VNNRSPGTAMTISX-UHFFFAOYSA-N chro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Cr].[Ni] VNNRSPGTAMTISX-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465 metalli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698 laser cut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21189 garn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95 ligh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2—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히든 라이트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NiCr 증착과 깊이감 조절식 하프 미러 이미지로 AL(Aluminum) 증착의 1세대 히든 라이팅 한계를 해소한 하프 미러 이미지 타입 가변 패턴 램프가 적용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dden light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to which a half-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 lamp is applied,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first-generation aluminum (AL) deposition with NiCr deposition and depth-adjustable half mirror image.
일반적으로 차량의 히든 라이트는 광원의 점등 시 램프 이미지(즉, 램프 또는 조명 이미지)를 구현하다 미 점등시엔 증착 이미지(즉, 외관 디자인 이미지)로 전환되는 특징을 갖는다.In general, a hidden light of a vehicle has a characteristic of implementing a lamp image (ie, a lamp or lighting image) when a light source is turned on and converting to a deposition image (ie, an exterior design image) when not turned on.
일례로 상기 히든 라이트는 램프 하우징, 램프 광원, AL 증착 렌즈로 구성되고, 상기 AL 증착 렌즈가 AL 증착 층으로 램프 내부의 광원 빛을 투과하면서 외부 빛을 반사시켜준다. 이 경우 상기 램프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또는 전구(Bulb))를 적용하며, 상기 AL 증착 층은 AL(Aluminum) 재질로 이루어진다.For example, the hidden light is composed of a lamp housing, a lamp light source, and an AL deposition lens, and the AL deposition lens reflects external light while transmitt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inside the lamp through the AL deposition layer. In this case, the lamp light source uses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Bulb), and the AL deposition layer is made of AL (Aluminum) material.
그러므로 상기 히든 라이트는 램프의 점등 시 외장 렌즈가 광원 빛을 투과하여 램프와 함께 램프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고, 반면 램프의 미 점등 시 외장 렌즈가 태양광 또는 주변 광원 빛과 같은 외부 빛을 반시함으로써 증착 층이 갖는 시각적 질감(visual texture)을 이용한 증착 이미지로 전환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hidden light, when the lamp is turned on, the external lens transmit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to realize a lamp image together with the lamp, while when the lamp is not turned on, the external lens reflects external light such as sunlight or light from an ambient light source, thereby depositing the hidden light. It can be converted into a deposition image using the visual texture of the layer.
이와 같이 상기 히든 라이트는 차량의 램프를 디자인 요소로 구현함으로써 차량, 특히 전기 자동차에서 다양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램프 이미지 및 세련되면서 첨단 이미지 효과를 높여 차량 상품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hidden light implements the vehicle lamp as a design element, thereby greatly contributing to improving vehicle marketability by increasing various and luxurious lamp images and sophisticated and advanced image effects in vehicles, especially electric vehicles.
하지만, 상기 히든 라이트 램프는 외장 렌즈의 AL 증착 층에 기반 함으로써 램프의 미 점등시 AL의 시각적 질감(visual texture)으로 만 증착 이미지가 구현되는 단조로움을 가질 수밖에 없고, 나아가 증착 칼라가 차량 바디 칼라와 동질성도 취약할 수밖에 없다.However, since the hidden light lamp is based on the AL deposition layer of the exterior lens, it is inevitably monotonous that the deposition image is implemented only with the visual texture of AL when the lamp is not turned on, and further, the deposition color is the vehicle body color. and homogeneity is bound to be weak.
특히 최근 들어 차량 디지인이 소비자 요구 충족을 넘어 선도적으로 소비자 트랜드(Trend)를 반영하고자 하는 점에서, 증착 층에 대한 AL 의존성을 갖는 1세대 히든 라이트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새로운 증착 물질 또는 외장 렌즈 재질 및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In particular, new deposition materials or exterior lens materials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irst-generation hidden lights, which have AL dependence on the deposition layer, in that vehicle design has recently sought to proactively reflect consumer trends beyond satisfying consumer needs. and structure is required.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NiCr 증착을 통해 AL(Aluminum) 증착의 1세대 히든 라이팅 한계를 해소함으로써 소비자 트랜드(Trend)를 반영한 2세대 히든 라이트 구현이 가능하고, 특히 NiCr 증착을 이용한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 조절로 램프가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저가형 커뮤니케이션 램프로 차량 상품성도 높일 수 있는 하프 미러 이미지 타입 가변 패턴 램프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limitation of 1st generation hidden lighting of AL (Aluminum) deposition through NiCr deposition, thereby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2nd generation hidden lights reflecting consumer trends, and in particular, half using NiCr depos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lf-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 lamp and a vehicle that can enhance vehicle marketability with a low-cost communication lamp by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by adjusting the depth of the mirror im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 패턴 램프는 광원 또는 면발광을 전반사하는 리플렉터, 상기 빛을 투과하여 패턴으로 형성하는 패턴 렌즈, 금속 증착으로 상기 패턴을 투과하여 하프 미러 이미지로 램프 조명을 생성하는 아우터 렌즈, 및 상기 패턴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아우터 렌즈에 대한 상기 패턴 렌즈의 간격을 조정하는 레벨링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riable pattern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eflector for total reflection of a light source or surface light emission, a pattern lens for forming a pattern by transmitting the light, and a lamp lighting a half mirror image by transmitting the pattern with metal de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outer lens that generates an outer lens, and a leveling device that adjusts a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lens and the outer lens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pattern lens.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패턴 렌즈와 상기 아우터 렌즈의 간격은 위치가변 거리로 설정되고, 상기 위치가변 거리는 상기 레벨링 장치에 설정된 레벨링 거리와 일치되며, 상기 레벨링 거리의 이동은 상기 패턴 렌즈로 전달되어 상기 위치가변 거리로 변화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lens and the outer lens is set to a variable position distance,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coincides with the leveling distance set in the leveling device, and the movement of the leveling distance is transmitted to the pattern lens to The position is changed to a variable distanc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가변 거리의 변화는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의 상기 패턴에 깊이감을 형성해 주며, 상기 깊이감은 상기 레벨링 거리의 불연속 이동 단계로 변화되고, 상기 불연속 이동 단계는 상기 위치가변 거리를 복수 구간으로 구획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change of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forms a sense of depth in the pattern of the half mirror image, and the sense of depth is changed to a step of discontinuous movement of the leveling distance, and the step of discontinuous movement changes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to a plurality of levels. divide into segments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불연속 이동 단계는 상기 깊이감을 최대 깊이감, 근접 깊이감 및 최소 깊이감 중 어느 하나로 변화시키고.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는 상기 최대 깊이감의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 상기 근접 깊이감의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 및 상기 최소 깊이감의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로 변화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iscontinuous movement step changes the sense of depth to one of a maximum depth sense, a proximity depth sense, and a minimum depth sense. The half mirror image is changed into a maximum half mirror image of the maximum depth, a proximity half mirror image of the proximity depth, and a minimum half mirror image of the minimum depth.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 상기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 및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는 차속에 맞춰 차량의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로 구현되고, 상기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는 고속에서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고속도로 모드, 중속에서 상기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일반 모드, 저속에서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도심 모드로 구분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the close half mirror image, and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re implemented as a front communication mod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the front communication mode applies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at high speed. It is divided into a highway mode, a normal mode that applies the near half mirror image at medium speed, and a city mode that applies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t low speed.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 상기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 및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는 차간거리에 맞춰 차량의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로 구현되고, 상기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는 비충돌거리에서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안전 모드, 접촉거리에서 상기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근접 모드, 충돌거리에서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경고 모드로 구분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the close half mirror image, and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re implemented as a rear communication mod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ter-vehicle distance, and the rear communication mode is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at a non-collision distance. It is divided into a safety mode that applies , a proximity mode that applies the near half mirror image at the contact distance, and a warning mode that applies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t the collision distanc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전반사를 평행광으로 생성하여 상기 패턴 렌즈로 보내준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flector generates the total reflection as parallel light and sends it to the pattern lens.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패턴 렌즈는 상기 패턴을 패턴면에 형성하고, 상기 패턴면에는 AL 증착이 이루어지며, 상기 패턴면은 상기 리플렉터와 마주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ttern lens forms the pattern on a pattern surface, AL deposition is performed on the pattern surface, and the pattern surface faces the reflecto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아우터 렌즈는 상기 금속 증착을 증착면에 NiCr로 형성하고, 상기 증착면은 상기 패턴 렌즈와 마주하며, 상기 아우터 렌즈는 개구부로 상기 아우터 렌즈에서 나온 빛의 방출 경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금속 증착과 동일한 컬러를 갖는 가니시 베젤과 결합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outer lens is formed of NiCr on the deposition surface of the metal deposition, the deposition surface faces the pattern lens, and the outer lens forms an emission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outer lens through an opening. It is combined with a garnish bezel having the same color as the metal deposi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레벨링 장치는 램프 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 렌즈와 결합되어 램프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 내부 공간에 상기 광원,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패턴 렌즈를 수용하고, 상기 레벨링 장치는 레벨링 위치의 중심좌표가 램프 무게중심에 해당되는 복수개의 레벨링 장치로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veling device is coupled to a lamp housing, the lamp housing is coupled to the outer lens to form an internal space of the lamp, and accommodates the light source, the reflector, and the pattern lens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lamp, The leveling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veling devices whose center coordinates of the leveling position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amp.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광원과 상기 레벨링 장치는 램프 컨트롤러로 제어되고, 상기 램프 컨트롤러는 차속 신호, 차간거리 신호 및 물체 인식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로 상기 광원과 상기 레벨링 장치를 제어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are controlled by a lamp controller, and the lamp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with at least one of a vehicle speed signal, an inter-vehicle distance signal, and an object recognition signal.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광원 또는 면발광을 전반사한 리플렉터의 평행광이 AL 증착된 패턴 렌즈에서 패턴으로 형성되고, NiCr 증착된 아우터 렌즈를 투과하여 하프 미러 이미지로 램프 조명을 생성하는 하프 미러 모듈, 상기 패턴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아우터 렌즈와 형성한 위치가변 거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레벨링 장치, 및 차속 신호, 차간거리 신호 및 물체 인식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는 램프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arallel light from a light source or a reflector that totally reflects surface light is formed as a pattern in an AL-deposited pattern lens, and passes through a NiCr-deposited outer lens to form a lamp as a half mirror image. One of a half mirror module that generates illumination, a leveling device that moves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formed with the outer lens in forward/rear direction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attern lens, and a vehicle speed signal, an inter-vehicle distance signal, and an object recognition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amp controller is included to check the abnormality and control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프 미러 모듈은 전방 램프 또는 후빙 램프에 적용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half mirror module is applied to a front lamp or a hoop lamp.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램프 컨트롤러는 차속으로 상기 전방 램프의 상기 광원과 상기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방 램프는 고속의 고속도로 모드, 중속의 일반 모드 및 저속의 도심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을 다르게 하는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를 구현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lamp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of the front lamp at vehicle speed; The front lamp implements a front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sense of depth of the half mirror image is different from one or more of a high-speed highway mode, a medium-speed general mode, and a low-speed city mod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램프 컨트롤러는 차간거리로 상기 후방 램프의 상기 광원과 상기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후방 램프는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는 비충돌거리의 안전 모드, 접촉거리의 근접 모드 및 충돌거리의 경고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을 다르게 하는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를 구현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amp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of the rear lamp with a headway distance; The rear lamp implements a rear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sense of depth of the half-mirror image is different in at least one of a safety mode with a non-collision distance, a proximity mode with a contact distance, and a warning mode with a collision distance.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하프 미러 이미지 타입 가변 패턴 램프는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The half-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 lamp applied to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following actions and effects.
첫째, NiCr 증착을 이용하여 미점등시 AL 증착 이미지만 구현되던 1세대 히든라이트 한계를 벗어나면서 하프 미러 이미지 구현으로 차량 램프를 소비자 트랜드(Trend)가 반영된 2세대 히든 라이트로 상품화가 이루어진다. 둘째, NiCr 증착을 이용한 하프 미러 이미지에 대한 깊이감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하프 미러 이미지로 새로운 헤드램프 점등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셋째,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 조절로 램프 이미지를 상황 별 다르게 함으로써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램프 대비 저가형으로 커뮤니케이션 램프가 상품화될 수 있다. 넷째, 하프 미러 이미지 깊이감 패턴의 시그널화로 자율 주행 시 커뮤니케이션 램프 기능이 중요한 자율 주행 차량에서 상황 별 차량 간 커뮤니케이션 신호 생성의 근간 기술로 응용 가능하다. 다섯째, 2세대 히든 라이트의 NiCr 증착으로 AL 증착을 대신한 이미지 차별화 컨셉으로 새로운 상품성 효과를 이끌어 냄으로써 차량 경쟁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여섯째,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 구현이 NiCr 증착외 20% 투과율의 블랙 페인트 도장으로도 가능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First, vehicle lamps are commercialized as second-generation hidden lights that reflect consumer trends by implementing half-mirror images while breaking away from the limitations of the first-generation hidden lights in which only AL deposition images were implemented when not lit by using NiCr deposition. Second, by adjusting the sense of depth for the half mirror image using NiCr depos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new headlamp lighting image with a more improved half mirror image. Third, by adjusting the depth of the half mirror image to make the lamp image different for each situation, the communication lamp can be commercialized at a low price compared to the existing communication lamp. Fourth, it can be applied as a basic technology for gen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vehicles for each situation in an autonomous vehicle where the communication lamp function is important during autonomous driving by signaling a half-mirror image depth pattern. Fifth, the NiCr deposition of the 2nd generation hidden light is an image differentiation concept that replaces the AL deposition, leading to a new marketability effect, which can greatly increase vehicle competitiveness. You can have the advantages of a black paint finis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하프 미러 이미지 타입 가변 패턴 램프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패턴 램프의 분리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패턴 램프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 미러 모듈의 증착을 이용한 투명도 최적화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장치를 이용한 하프 미러 모듈의 거리 조정으로 구현되는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 조절 예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링 거리 별 깊이감을 달리하는 하프 미러 이미지의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패턴 램프의 레벨링 장치 적용 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패턴 램프가 차량의 전방 램프에 적용되어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를 구현하는 상태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패턴 램프가 차량의 후방 램프에 적용되어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를 구현하는 상태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alf-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 lamp applied to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parat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variable pattern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interior of a variable pattern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transparency optimization using deposition of a half mirr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epth control of a half mirror image realized by adjusting the distance of a half mirror module using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half mirror image that varies the sense of depth for each level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leveling device for a variable pattern 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ariable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mps are applied to the front lamps of the vehicle to implement the front communication mode, and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pattern lam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the rear lamps of the vehicle to implement the rear communication mo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and since these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n example, the description herei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가변 패턴 램프(10)를 적용한다.Referring to FIG. 1 , a
특히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는 외부에서 인식되는 램프 점등 이미지를 금속(예, NiCr) 증착으로 기존의 AL 증착 한계가 극복된 하프 미러 이미지(10-1)로 형성하여 이미지 차별화 컨셉을 구현하고,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의 표면처리 패턴과 조합으로 하프 미러 이미지(10-1)에 깊이감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타입 램프 대비 비용 절감된 저가형 커뮤니케이션 램프로 새로운 상품성 효과가 구현된다.In particular, the
그러므로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는 하프 미러 이미지 타입 가변 패턴 램프로 특징된다.Therefore, the
나아가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는 전방램프(2-1)(즉, 헤드라이트) 또는 후방램프(2-2)(즉, 테일 램프)에 하프 미러 모듈(20)을 적용함으로써 전방램프(2-1) 또는 후방램프(2-2)가 가변 패턴 램프(10)로 구현된다. 이 경우 상기 전방램프(2-1) 또는 상기 후방램프(2-2)는 안개등(Fog Lamp), 방향 지시등(Turn Signal Lamp), 사이드 리피터(Side Repeater), 비상 점멸등(Emergency Light), 제동등(Brake Lamp) 및 후진등(Back Up Lam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는 하프 미러 모듈(20), 램프 하우징(30), 가니시 베젤(Garnish Vessel)(60), 레벨링 장치(70)를 포함하고, 램프 컨트롤러(90)로 제어된다. 이 경우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렌즈 브래킷(40)과 리플렉터 브래킷(50)(도 2 참조)과 조합된다.Specifically, the
일례로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외부에서 인식되는 램프 점등 이미지로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생성한다. 상기 램프 하우징(30)은 하프 미러 모듈(20)의 뒤쪽 부위에 결합되고, 가변 패턴 램프(10)가 전방램프(2-1)(즉, 헤드라이트) 또는 후방램프(2-2)(즉, 테일 램프)로 기능하도록 차체 구조(예, 전방 범퍼부 또는 후방 범퍼부)를 이용하여 조립된다. 상기 가니시 베젤(60)은 블랙 칼라의 프레임 구조로 하프 미러 모듈(20)의 앞쪽 부위에 결합된다.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하프 미러 모듈(20)의 조명 각도와 함께 위치가변 거리(A)(도 4 참조)를 조종하여 준다.For example, the
특히 상기 램프 하우징(30)은 하프 미러 모듈(20)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전원선과 신호선 등이 연결된 커넥터 등을 구비하여 램프 컨트롤러(90)와 전기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가니시 베젤(60)은 하프 미러 모듈(20)이 최신 트렌드 경향의 외부 노출 형상을 갖도록 하프 미러 모듈(20)의 조명 구역을 다 구간으로 구획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일례로 상기 램프 컨트롤러(90)는 차량(1)에 탑재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3)와 상호 통신(예, CAN(Controller Area Network))하고, 상기 ECU(3)의 차량정보(a) 중 차속, 차간거리, 물체 인식과 같은 신호를 읽어 하프 미러 모듈(20)의 광원(21)(도 2 참조) 및 레벨링 장치(70)에 대한 램프 제어신호로 출력한다.For example, the
특히 상기 램프 제어신호는 레벨링 장치(70)의 오토 레벨모드(b)와 함께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c),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d)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c)는 도심, 일반, 고속도로 모드(도 8 참조)로 구분되고, 상기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c)는 경고, 근접, 안전 모드(도 9 참조)로 구분된다.In particular, the ramp control signal is divided into a front communication mode (c) and a back communication mode (d) together with the auto level mode (b) of the leveling
그러므로 상기 램프 컨트롤러(90)는 차량정보 확인 및 램프 제어신호 출력을 수행하는 로직이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된 메모리와 연계된 중앙처리장치로 동작한다. 이 경우 상기 램프 컨트롤러(90)와 상기 ECU(3)는 차량(1)의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로 대체 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도 2 및 도 3은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에 대한 세부 구성을 예시한다. Meanwhile, FIGS. 2 and 3 illustrate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 하우징(30)은 램프 후방쪽으로 위치되어 하프 미러 모듈(20)의 뒤쪽부위와 결합되며, 상기 가니시 베젤(60)은 블랙 컬러를 갖고 램프 전방쪽으로 위치되어 하프 미러 모듈(20)의 앞쪽부위와 결합되고,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램프 하우징(30)과 결합되어 램프 후방쪽에서 하프 미러 모듈(20)쪽으로 이어진다.As shown, the
또한,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과 상기 가니시 베젤(60)은 렌즈 브래킷(40)을 매개로 결합되어 조립의 강건성을 유지하고,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과 상기 램프 하우징(30)은 리플렉터 브래킷(50)을 매개로 결합되어 조립의 강건성을 유지한다.In addition, the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니시 베젤(60)은 하프 미러 모듈(20)의 아우터 렌즈(27)를 감싼 상태에서 개구부(60-1)로 아우터 렌즈(27)에서 나온 빛의 방출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개구부(60-1)이외의 블랙 컬러 베젤 부위가 빛을 가려 준다. 이 경우 상기 렌즈 브래킷(40)도 가니시 베젤(60)의 개구부(60-1)와 동일한 형상으로 개구부를 형성한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3 , the
그리고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는 램프 하우징(30)의 뒤쪽위치에서 레벨링 장치(70)의 레벨링 거리(B) 조정으로 하프 미러 모듈(20)의 패턴 렌즈(25)가 램프 내부 공간에서 리플렉터(23)와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위치가변 거리(A)가 갸변되고, 상기 위치가변 거리(A)의 가변에 의한 간격 변화로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대/중간/근접/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a,10-1b,10-1c,10-1d)(도 6 참조)로 변화시켜 준다. 이 경우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상세히 기술된다.In addition, in the
구체적으로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광원(21)과 직선상 배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Reflector)(23), 패턴 렌즈(25) 및 아우터 렌즈(27)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직선상 배열은 리플렉터(23)를 기준으로, 패턴 렌즈(25)가 리플렉터(23)의 앞쪽 방향(즉, 램프 전방)으로 위치되면서 아우터 렌즈(27)가 패턴 렌즈(25)의 앞쪽 방향(즉, 램프 전방)으로 위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21)은 면발광원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일례로 상기 광원(21)은 램프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에서 리플렉터(23)를 향해 램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빛 조사 경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광원(21)은 LED(Light Emitting Diode)나 LED CHIP을 적용하나 전구(Bulb))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21)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열된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그 수량은 가변 패턴 램프(10)가 전방램프(2-1) 또는 후방램프(2-2)로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리플렉터(23)는 광원(21)에서 나온 빛을 전반사하여 리플렉터 밑으로 내려가는 수직광으로 형성한 후 다 초점 반사로 수직광에 직각인 수평광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광을 패턴 렌즈(25)쪽으로 보내주는 평행광 패턴(23-1)을 생성하여 준다.For example, the
그러므로 상기 리플렉터(23)는 평행광 패턴(10-1)을 생성하도록 다양한 각도로 빔을 조사할 수 있는 MFR(Multi Facet Reflector)로 특징된다.Therefore, the
일례로 상기 패턴 렌즈(25)는 투명한 PC(Polycarbonates) 소재(예, Clear_PC)로 이루어져 그 양쪽면을 패턴면(25a)과 투과면(25b)(도 3 참조)으로 구분하고, 상기 투과면(25b)은 리플렉터(23)에서 반사된 평행광 패턴(10-1) 중 수평광이 입사되며, 상기 패턴면(25a)은 수평광을 투과시켜 아우터 렌즈(27)쪽으로 보내 준다.For example, the
특히 상기 패턴면(25a)은 금속 증착(예, AL 증착)으로 반사율을 약 85% 수준으로 형성하며, AL 증착 후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으로 AL 증착부에 표면처리 패턴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약 85% 반사율은 평행광 패턴(10-1)의 수평광이 직진성을 갖고 패턴 렌즈(25)에서 나올 수 있는 기준 값으로 적용되는 수치이다.In particular, the
일례로 상기 아우터 렌즈(27)는 투명한 PC(Polycarbonates) 소재(예, Clear_PC)로 이루어져 그 양쪽면을 외부인식면(27a)과 증착면(27b)(도 3 참조)으로 구분하고, 상기 증착면(27b)은 패턴 렌즈(25)의 패턴면(25a)(도 3 참조)에서 나온 하프 미러 패턴 형상이 입사되며, 상기 외부인식면(27a)은 하프 미러 패턴 형상을 투과하여 외부에서 램프 점등 이미지로 인식되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로 생성한다.For example, the
특히 상기 증착면(27b)은 NiCr 증착으로 가니시 베젤(60)의 블랙 컬러와 매칭 되는 NiCr 블랙 컬러로 기존의 AL 컬러와 차별화되면서 하프 미러 패턴 형상에 깊이감이 형성된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the
한편 도 4는 NiCr 투과율을 이용한 하프 미러 모듈(20)의 투명도 최적화 설정 상태를 예시 한다.Meanwhile, FIG. 4 illustrates a transparency optimization setting state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아우터 렌즈(27)의 증착면(27b)이 갖는 투과율에 따른 “VE(Virtual Environment) image“로 하프 미러 이미지(10-1)의 외부 시인성 차이를 갖는다.As shown, the
일례로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아우터 렌즈(27)의 NiCr적용 증착면(27b)에 약 50% 투과율 적용 시 미점등 상태(즉, 광원(21)의 OFF)에서도 “내부식별가능”의 상태이면서 약 40% 투과율 적용에서도 “내부미세식별가능”의 상태를 형성하나, 반면 약 20% 투과율 적용에서는 “내부식별불가”의 상태를 형성한다.For example, the
이와 같이 NiCr 증착은 약 10% 미만 투과율은 지나치게 낮은 투과율로 포지션 배광 법규 만족이 어렵고, 약 30% 이상 투과율은 미점등시에도 용이한 내부 구조물 관찰로 램프 미 점등시에는 내부 부품이 보이지 않아야만 하는 히든 라이트 효과가 떨어짐이 실험적으로 증명된다.In this way, NiCr deposition has a transmittance of less than about 10%, which makes it difficult to satisfy position light distribution regulations due to an excessively low transmittance, and a transmittance of about 30% or more makes it easy to observe the internal structure even when the lamp is not turned on, so internal parts must not be visible when the lamp is not turned on. The deterioration of the hidden light effect is experimentally proven.
그러므로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아우터 렌즈(27)의 증착면(27b)에 대한 NiCr 증착을 약 10~30% 투과율 범위로 설정된다.Therefore, NiCr deposition on the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이 레벨링 장치(70)로 위치가변 거리(A)를 조절함으로써 하프 미러 이미지(10-1)가 그 깊이감이 다른 다양한 하프 미러 이미지로 변화되는 상태를 예시 한다.5 to 7,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관측자(100)에 대해 아우터 렌즈(27), 패턴 렌즈(25) 및 리플렉터(23)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레이아웃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이로부터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레이아웃 측면에서, 상기 관측자(100)와 상기 아우터 렌즈(27)는 이미지 시인성 거리(X)를 형성하고, 상기 아우터 렌즈(27)와 상기 패턴 렌즈(25)는 위치가변 거리(A)를 형성하며, 상기 패턴 렌즈(25)와 상기 리플렉터(23)는 이미지 밝기 거리(Y)를 형성한다.From this, in terms of the layout of the
특히 상기 패턴 렌즈(25)는 레벨링 장치(70)의 에이밍 이동 로드(75)에 의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위치가변 거리(A)가 변화되면서 동시에 리플렉터(23)에 대한 이미지 밝기 거리(Y)도 변화된다.In particular, the
이를 위해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액추에이터(71), 기어(73), 에이밍 이동 로드(75) 및 이동 브래킷(77)으로 로 구성되고, 램프 하우징(30)의 하부부위에 위치되어 램프 컨트롤러(90)로 제어된다. 이 경우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전동식 오토 레벨링 장치이다. To this end, the leveling
일례로 상기 액추에이터(71)는 웜기어를 갖춘 모터이고, 램프 컨트롤러(90)와 전기회로를 형성하여 오토 레벨모드(b)의 신호로 구동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상기 기어(73)는 모터의 웜기어(즉, 액추에이터(71))와 맞물려 회전되고, 기어 쌍의 기어비로 토크를 증대한다.For example, the actuator 71 is a motor equipped with a worm gear, forms an electric circuit with the
일례로 상기 에이밍 이동 로드(75)는 기어(73)의 출력 토크를 전달받아 램프 전/후방으로 직선 이동됨으로써 직선 이동 스트로크로 레벨링 거리(B)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 브래킷(77)은 하프 미러 모듈(20)의 패턴 렌즈(25)와 연결 또는 접촉됨으로써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레벨링 거리(B) 내에서 패턴 렌즈(25)와 위치가변 거리(A)를 조정한다.For example, the aiming moving
특히 상기 기어(73)는 기어 A 와 기어 B의 기어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 A 와 기어 B는 기어비를 1.5:10.7로 설정한다. 이로 인해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기어(73)의 기어 A 와 기어 B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1:1.5 기어비를 대비 기어 A의 1.5바퀴 움직임에 대해 기어 B의 10.7 바퀴 움직임으로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이동 거리가 10.7배로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그 결과 상기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길이를 1.5:10.7의 기어비에 맞춰줌으로써 레벨링 거리(B)는 기존의 약 5.6mm 대비 약 60mm로 설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램프 하우징(30)은 레벨링 장치(70)의 패키지 구성을 가능하도록 후방 하우징 공간을 약 60mm의 레벨링 거리(B)에 맞춘 구조로 형성된다.As a result, by matching the length of the aiming moving
도 6의 신호선도(SIGNAL DIAGRAM)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선도(SIGNAL DIAGRAM)는 액추에이터(71)의 전압신호(SIGNAL VOLTAGE) 대비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스트로크(STROKE)(즉, 레벨링 거리(B))에 대한 관계도로서, 램프 컨트롤러(90)의 오토 레벨모드(b)에 대한 전압신호(SIGNAL VOLTAGE)의 범위를 예시한다.Referring to the signal line (SIGNAL DIAGRAM) of FIG. 6, the signal line (SIGNAL DIAGRAM) is the voltage signal (SIGNAL VOLTAGE) of the actuator 71 versus the stroke (STROKE) of the aiming moving rod 75 (ie, the leveling distance As a relationship diagram for (B)), the range of the voltage signal SIGNAL VOLTAGE for the auto level mode (b) of the
도 6의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참조하면,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10-1)는 약 60mm 레벨링 거리(B)를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스트로크로 하여 그 깊이감이 달라지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상기 위치가변 거리(A)는 레벨링 거리(B)의 약 0~60mm 변화에 대해, 최대 위치가변거리(Aa), 상한 위치가변거리(Ab), 하한 위치가변거리(Ac) 및 최소 위치가변거리(Ad)로 적용된다.Referring to the half mirror image 10-1 of FIG. 6, the half mirror image 10-1 has a leveling distance of about 60 mm (B) as the stroke of the aiming moving
구체적으로 상기 최대 위치가변거리(Aa)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대 깊이감(Da)으로 생성하는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 상기 상한 위치가변거리(Ab)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중간 깊이감(Db)으로 생성하는 중간 하프 미러 이미지(10-1b), 상기 하한 위치가변거리(Ac)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근접 깊이감(Dc)으로 생성하는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10-1c), 상기 최소 위치가변거리(Ad)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소 깊이감(Dd)으로 생성하는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를 구현한다.Specifically, the maximum position variable distance Aa is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10-1a generating the half mirror image 10-1 with the maximum depth Da, and the upper position variable distance Ab is the half mirror image 10-1. The middle half mirror image 10-1b for generating the image 10-1 with an intermediate depth sense Db, and the lower limit position variable distance Ac is the half mirror image 10-1 with a close depth sense Dc The closest half mirror image 10-1c generated by , the minimum position variable distance Ad is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10-1d that generates the half mirror image 10-1 with a minimum sense of depth Dd. implement
일례로 상기 최대 깊이감(Da)은 약 10mm, 상기 중간 깊이감(Db)은 약 6mm, 상기 근접 깊이감(Dc)은 약 4mm, 상기 최소 깊이감(Dd)은 약 2mm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깊이감은 불연속 단계로 변화되고, 상기 불연속 단계는 위치가변 거리(A)를 4개 구간으로 구분하나 필요시 중간 깊이감(Db)을 제외한 3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ximum sense of depth Da is set to about 10 mm, the middle sense of depth Db to about 6 mm, the proximity depth Dc to about 4 mm, and the minimum sense of depth Dd to about 2 mm. . Therefore, the sense of depth is changed to a discontinuous step, and the discontinuous step divides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A into 4 sections, but if necessary, it can be applied by dividing into 3 sections excluding the middle sense of depth Db.
이로부터 상기 하프 미러 모듈(20)은 위치가변 거리(A)의 초기 상태를 레벨링 장치(70)의 약 60mm 레벨링 거리(B) 중 0mm로 설정하고, 램프 컨트롤러(90)의 오토 레벨모드(b)로 전압신호(SIGNAL VOLTAGE)의 단계적 전류치 변화로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움직임을 단계적으로 구현함으로써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 <-> 중간 하프 미러 이미지(10-1b) <->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10-1c) <->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로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는 상호 전환 상태를 의미한다.From this, th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가변 패턴 램프(10)의 램프 무게중심(W)이 맞춰지도록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장착 위치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제1,2,3 레벨링 장치(70A,70B,70C)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 the leveling
일례로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의 램프 무게중심(W)에 대해, 제1 레벨링 장치(70A)는 램프 하우징(30)의 좌측 상단 위치, 제2 레벨링 장치(70B)는 램프 하우징(30)의 우측 상단 위치, 제3 레벨링 장치(70C)는 램프 하우징(30)의 좌측 하단 위치로 배열됨으로써 제1,2,3 레벨링 장치(70A,70B,70C)의 3점 레벨링 위치의 중심좌표가 램프 무게중심(W)에 해당된다.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W) of the lamp of the
따라서 상기 제1,2,3 레벨링 장치(70A,70B,70C)를 구성하는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각각은 패턴 렌즈(25)와 연결된 이동 브래킷(77)에 수직면을 이루면서 모두 동일한 거리를 형성하고, 이러한 레이아웃 특성은 에이밍 이동 로드(75)의 각각을 동시에 동일한 거리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패턴 렌즈(25)의 전/후방 이동이 레벨링 조건에 맞는 거리만큼 정확히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each of the aiming moving
이와 같이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는 하프 미러 모듈(20)에 대한 위치가변 거리(A)의 조정 시 제1,2,3 레벨링 장치(70A,70B,70C)의 동일한 움직임으로 패턴 렌즈(25)를 균형적인 움직임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한편 도 8 및 도 9는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가 차량(1)에 적용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레벨링 장치(70)는 제1,2,3 레벨링 장치(70A,70B,70C)로 구성되나 램프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한 구동은 레벨링 장치(70)로 설명된다.Meanwhile, FIGS. 8 and 9 show a state in which the
도 8은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가 차량(1)의 전방 램프(2-1)로 적용된 경우로서, 상기 전방 램프(2-1)는 램프 컨트롤러(90)의 오토 레벨모드(b)와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c)로 제어되는 가변 패턴 램프(10)와 동일하게 동작된다.8 shows a case in which the
먼저 상기 램프 컨트롤러(90)는 ECU(3)와 통신하여 현재 주행 중인 차량(1)의 차속 신호, 차간거리 신호, 물체인식 신호 등을 차량정보(a)로 읽고, 상기 차량정보(a) 중 차속 신호 또는 차속 신호와 물체인식 신호를 확인한다.First, the
이어 상기 램프 컨트롤러(90)는 차속 또는 차속과 물체인식 여부에 따라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c)를 도심 모드, 일반 모드 및 고속도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고, 선택 모드에 따라 오토 레벨모드(b)를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차속은 도심 모드용 시속 60km 이하의 저속, 일반 모드용 시속 60~100km 범위의 중속, 고속도로 모드용 시속 100km 이상의 고속으로 구분되나, 이는 보다 좁은 차속 구간으로 더 세분화되어 적용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그 결과 상기 전방 램프(2-1)는 액추에이터(71)의 구동으로 약 0~60mm 범위로 이동되는 레벨링 거리(B)에 따라 패턴 렌즈(25)의 위치가변 거리(A)가 이동됨으로써 최대/중간/근접/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a,10-1b,10-1c,10-1d) 중 하나를 선택 모드로 하여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생성한다,As a result, the front lamp 2-1 is driven by the actuator 71 to move the position variable distance A of the
일례로 상기 도심 모드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소 깊이감(Dd)의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로 생성하고, 상기 일반 모드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일반 모드는 근접 깊이감(Dc)의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10-1c)로 생성하고, 상기 고속도로 모드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대 깊이감(Da)의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로 생성한다.For example, the city center mode generates the half mirror image 10-1 as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10-1d with the minimum depth Dd, and the normal mode generates the half mirror image 10-1 as the normal mode. generates a close half mirror image 10-1c with a close depth Dc, and the highway mode converts the half mirror image 10-1 to a maximum half mirror image 10-1a with a maximum depth Da. create with
그러므로 상기 도심 모드는 평소대비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도심에 맞춰 차량속도 시속 60km 이하 시 필터 렌즈(25)를 최대한 전방 이동(즉, 아우터 렌즈(27)쪽 방향)시켜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최소 위치가변거리(Ad)로 최소 깊이감(Dd)의 10mm 갭을 만들어 주고, 상기 전방 램프(2-1)는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로 전방 도로를 비춰준다.Therefore, the urban mode moves the
이로 인해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는 차량(1)의 전방 조명에서 깊이가 얕고 빛이 최대한 뭉쳐있도록 함으로써 대향차 또는 보행자의 입장에서는 주행중인 차량 인식이 증대되어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depth of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10-1d is shallow in the front lighting of the
반면 상기 고속도로 모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리는 고속도로에 맞춰 차량속도 시속 100km 이상 시 필터 렌즈(25)를 최대한 후방 이동(즉, 리플렉터(23)쪽 방향)시켜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최대 위치가변거리(Aa)로 최대 깊이감(Da)의 60mm 갭을 만들어 주고, 상기 전방 램프(2-1)는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로 전방 도로를 비춰준다. 이 경우 상기 최대 위치가변거리(Aa)는 필터 렌즈(25)의 초기 설정 위치인 위치가변거리(A)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highway mode moves the
이로 인해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는 차량(1)의 전방 조명에서 빛의 깊이감을 최대한 깊게 가져가 빛을 퍼뜨려 놓음으로써 고속 주행시 대향차에서 발생되는 눈부심으로 인한 문제, 즉 고속도로에서 매우 빠른 차량 주행 속도이므로 전방 램프(2-1)의 깊이감을 얕게 하여 빛을 뭉치게 하는 것은 오히려 대향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As a result,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10-1a takes the depth of light as deep as possible from the front lighting of the
더불어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는 빛의 간격이 작으면 상대방에게 인식되지 못하고 한번에 빨리 지나가가지만 깊이가 있으면 좀더 눈에 인지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빠르게 주행하더라도 넓은 빛의 간격으로 주변 차량이 차량(1)의 주행 패턴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aximum half-mirror image 10-1a passes by quickly at once without being recognized by the other party if the light interval is small, but by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time required to be recognized by the eye becomes longer when the light interval is small, even when driving fast, the light interval is wide. As a result, surrounding vehicles can easily recognize the driving pattern of the
그리고 상기 일반 모드는 일반 주행 속도로 달리는 도로에 맞춰 차량속도 시속 60~100km 범위시 필터 렌즈(25)를 근접 후방 이동(즉, 리플렉터(23) 쪽 방향)시켜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하한 위치가변거리(Ac)로 근접 깊이감(Dc)의 20mm 갭을 만들어 주고, 상기 전방 램프(2-1)는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10-1c)로 전방 도로를 비춰준다. 이 경우 상기 하한 위치가변거리(Ac)의 20mm 갭은 위치가변거리(A)의 기준(Default) 값으로 적용된다.In addition, in the normal mode, the
그러므로 상기 일반 모드는 도심 모드와 고속도로 모드로 차량(1)의 일반적인 주행 상태에서 가장 표준(Normal)적인 인지성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normal mode provides the most normal perception in a normal driving state of the
도 9는 상기 가변 패턴 램프(10)가 차량(1)의 후방 램프(2-2)로 적용된 경우로서, 상기 후방 램프(2-2)는 램프 컨트롤러(90)의 오토 레벨모드(b)와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d)로 제어되는 가변 패턴 램프(10)와 동일하게 동작된다.9 shows a case in which the
먼저 상기 램프 컨트롤러(90)는 ECU(3)와 통신하여 현재 주행 중인 차량(1)의 차속 신호, 차간거리 신호, 물체인식 신호 등을 차량정보(a)로 읽고, 상기 차량정보(a) 중 차간거리 신호를 확인한다.First, the
이어 상기 램프 컨트롤러(90)는 차간거리 정도에 따라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d)를 경고 모드, 근접 모드 및 안전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고, 선택 모드에 따라 오토 레벨모드(b)를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차간거리는 경고 모드용 10m 이하의 충돌거리(S1), 근접 모드용 10~50m 범위의 접촉거리(S2), 안전 모드용 50m 이상의 비충돌거리(S3)로 구분되나, 이는 보다 좁은 차속 구간으로 더 세분화되어 적용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그 결과 상기 후방 램프(2-2)는 액추에이터(71)의 구동으로 약 0~60mm 범위로 이동되는 레벨링 거리(B)에 따라 패턴 렌즈(25)의 위치가변 거리(A)가 이동됨으로써 최대/중간/근접/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a,10-1b,10-1c,10-1d) 중 하나를 선택 모드로 하여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생성한다,As a result, the rear lamp (2-2) is driven by the actuator 71 to move the position variable distance (A) of the
일례로 상기 경고 모드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소 깊이감(Dd)의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로 생성하고, 상기 근접 모드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일반 모드는 근접 깊이감(Dc)의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10-1c)로 생성하고, 상기 안전 모드는 하프 미러 이미지(10-1)를 최대 깊이감(Da)의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로 생성한다.For example, the warning mode generates the half mirror image 10-1 as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10-1d with the minimum depth Dd, and the proximity mode converts the half mirror image 10-1 to the normal mode. generates a close half mirror image 10-1c with a close depth Dc, and the safe mode converts the half mirror image 10-1 to a maximum half mirror image 10-1a with a maximum depth Da. create with
그러므로 상기 경고 모드는 자신의 차량(1)과 후방 차량(200)의 충돌 위험이 높은 10m 이하 차간 거리 시 필터 렌즈(25)를 최대한 전방 이동(즉, 아우터 렌즈(27)쪽 방향)시켜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최소 위치가변거리(Ad)로 최소 깊이감(Dd)의 10mm 갭을 만들어 주고, 상기 후방 램프(2-1)는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를 후방 차량(200)에 인식시켜 준다.Therefore, the warning mode moves the
이로 인해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10-1d)는 차량(1)의 후방 조명에서 깊이가 얕고 빛이 최대한 뭉쳐있도록 함으로써 후방차량(20)에서는 최대한 좁혀진 하프미러 이미지 간격으로 앞차와 차간 거리가 가까움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10-1d has a shallow depth in the rear lighting of the
반면 상기 안전 모드는 자신의 차량(1)과 후방 차량(200)의 충돌 위험이 없는 50m 이상 차간 거리 시 필터 렌즈(25)를 최대한 후방 이동(즉, 리플렉터(23) 쪽 방향)시켜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최대 위치가변거리(Aa)로 최대 깊이감(Da)의 60mm 갭을 만들어 주고, 상기 후방 램프(2-2)는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로 전방 도로를 비춰준다.On the other hand, in the safety mode, the
이로 인해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10-1a)는 차량(1)의 후방 조명에서 빛의 깊이감을 최대한 깊게 가져가 빛을 퍼뜨려 놓음으로써 후방차량(20)에서는 최대로 넓혀진 하프미러 이미지 간격으로 앞차와 거리가 비교적 먼 안전거리로 유지됨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10-1a takes the depth of light as deep as possible from the rear lighting of the
그리고 상기 근접 모드는 자신의 차량(1)과 후방 차량(200)의 충돌 위험이 없지만 안전거리 인쪽인 10~50m 차간 거리 시 필터 렌즈(25)를 근접 후방 이동(즉, 리플렉터(23) 쪽 방향)시켜 아우터 렌즈(27)에 대한 하한 위치가변거리(Ac)로 근접 깊이감(Dc)의 20mm 갭을 만들어 주고, 상기 후방 램프(2-1)는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10-1c)로 전방 도로를 비춰준다.And, in the proximity mode, there is no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이로 인해 상기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10-1c)는 차량(1)의 후방 조명에서 빛의 깊이감을 조금 깊게 가져가 빛을 모아줌으로써 후방차량(20)에서는 상대적으로 좁혀진 하프미러 이미지 간격으로 앞차와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lose half mirror image 10 - 1c collects light by taking a little deeper the sense of depth of light from the rear lighting of the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에 적용된 하프 미러 이미지 타입 가변 패턴 램프(10)는 광원(21)의 빛을 전반사한 리플렉터(23)의 평행광(23-1)이 AL 증착된 패턴 렌즈(25)에서 레이저 패턴으로 형성되고, NiCr 증착된 아우터 렌즈(27)를 투과하여 하프 미러 이미지(10-1)로 램프 조명을 생성하는 하프 미러 모듈(20), 및 상기 패턴 렌즈(25)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아우터 렌즈(27)와 형성한 위치가변 거리(A)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레벨링 장치(70)가 포함됨으로써 NiCr 증착을 통해 AL(Aluminum) 증착의 1세대 히든 라이팅 한계를 해소함으로써 소비자 트랜드(Trend)를 반영한 2세대 히든 라이트 구현이 가능하고, 특히 NiCr 증착을 이용한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 조절로 램프가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저가형 커뮤니케이션 램프로 차량 상품성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half-mirror image type
1 : 차량
2-1 : 전방 램프
2-2 : 후방 램프
3 : ECU(Electronic Control Unit)
10 : 가변 패턴 램프
10-1 : 하프 미러 이미지
10-1a,10-1b,10-1c,10-1d : 최대/중간/근접/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
20 : 하프 미러 모듈
21 : 광원
23 : 리플렉터(Reflector)
23-1 : 평행광 패턴
25 : 패턴 렌즈
25a : 패턴면
25b : 투과면
27 : 아우터 렌즈
27a : 외부인식면
27b : 증착면
30 : 램프 하우징
40 : 렌즈 브래킷
50 : 리플렉터 브래킷
60 : 가니시 베젤(Garnish Vessel)
60-1 : 개구부
70 : 레벨링 장치
70A,70B,70C : 제1,2,3 레벨링 장치
71 : 액추에이터
73 : 기어
75 : 에이밍 이동 로드
77 : 이동 브래킷
90 : 램프 컨트롤러
100 : 관측자
200 : 후방 차량1: vehicle
2-1: front lamp 2-2: rear lamp
3 :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 variable pattern lamp 10-1: half mirror image
10-1a,10-1b,10-1c,10-1d : Maximum/Medium/Near/Min half mirror image
20: half mirror module
21: light source 23: reflector
23-1: parallel light pattern 25: pattern lens
25a:
27:
27b: deposition surface
30: lamp housing 40: lens bracket
50: reflector bracket 60: Garnish Vessel
60-1: Opening
70: leveling
71: actuator 73: gear
75: aiming moving rod 77: moving bracket
90: lamp controller
100: observer 200: rear vehicle
Claims (19)
상기 광원을 투과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렌즈,
금속 증착으로 상기 패턴을 투과하여 하프 미러 이미지로 램프 조명을 생성하는 아우터 렌즈, 및
상기 패턴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아우터 렌즈에 대한 상기 패턴 렌즈의 간격을 조정하는 레벨링 장치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light source,
A pattern lens that transmits the light source to form a pattern;
An outer lens that transmits the pattern by metal deposition to generate lamp illumination as a half mirror image, and
A leveling device for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pattern lens with respect to the outer lens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pattern lens.
A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상기 위치가변 거리는 상기 레벨링 장치에 설정된 레벨링 거리와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pattern lens and the outer lens is set to a variable position distance,
The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coincides with the leveling distance set in the leveling device.
The variable pattern lamp of claim 2 , wherein movement of the leveling distance is transferred to the pattern lens and changed to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The variable pattern lamp of claim 2 , wherein the change of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creates a sense of depth in the pattern of the half mirror image.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는 상기 최대 깊이감의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 상기 근접 깊이감의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 및 상기 최소 깊이감의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ep of discontinuously moving the leveling distance changes the depth sense to one of a maximum depth sense, a proximity depth sense, and a minimum depth sense.
The variable pattern lamp of claim 1 , wherein the half mirror image is changed into a maximum half mirror image of the maximum depth, a proximity half mirror image of the proximity depth, and a minimum half mirror image of the minimum depth.
상기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는 고속에서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고속도로 모드, 중속에서 상기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일반 모드, 저속에서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도심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the close half mirror image, and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re implemented in a front communication mod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The front communication mode is divided into a highway mode that applies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at high speed, a normal mode that applies the close half mirror image at medium speed, and a city mode that applies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t low speed.
A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attern lamp of claim 6 , wherein the forward communication mode is implemented in a front lamp of the vehicle.
상기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는 비충돌거리에서 상기 최대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안전 모드, 접촉거리에서 상기 근접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근접 모드, 충돌거리에서 상기 최소 하프 미러 이미지를 적용하는 경고 모드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the close half mirror image, and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re implemented in a rear communication mod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ter-vehicle distance,
The rear communication mode is divided into a safety mode that applies the maximum half mirror image at a non-collision distance, a proximity mode that applies the close half mirror image at a contact distance, and a warning mode that applies the minimum half mirror image at a collision distance.
A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pattern lamp of claim 8 , wherein the rear communication mode is implemented in a rear lamp of the vehicle.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전반사를 평행광으로 생성하여 상기 패턴 렌즈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is totally reflected by a reflector,
The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lector generates the total reflection as parallel light and sends it to the pattern lens.
상기 패턴면은 상기 아우터 렌즈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lens is formed on the pattern surface by laser cutting after metal deposition,
The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surface faces the outer lens.
상기 증착면은 상기 패턴 렌즈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lens forms the metal deposition on the deposition surface,
The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osition surface faces the pattern lens.
[Claim 13] The variable pattern lamp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metal deposition is NiCr.
상기 램프 하우징은 상기 아우터 렌즈와 결합되어 램프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램프 내부 공간에 상기 광원, 리플렉터 및 상기 패턴 렌즈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ling device is coupled to the lamp housing,
The lamp housing is combined with the outer lens to form a space inside the lamp,
The variable pattern lamp, characterized in that for accommodating the light source, the reflector and the pattern lens in the space inside the lamp.
The variable pattern lamp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ling devic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veling devices whose center coordinates of the leveling position correspond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amp.
상기 램프 컨트롤러는 차속 신호, 차간거리 신호 및 물체 인식 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로 상기 광원과 상기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패턴 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are controlled by a lamp controller,
The variable pattern lamp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lamp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of a vehicle speed signal, an inter-vehicle distance signal, and an object recognition signal.
상기 패턴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아우터 렌즈와 형성한 위치가변 거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레벨링 장치, 및
차속 신호, 차간거리 신호 및 물체 인식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상기 광원과 상기 레벨링 장치를 제어하는 램프 컨트롤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A half mirror module in which the parallel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formed as a pattern in the AL-deposited pattern lens and transmits through the NiCr-deposited outer lens to generate lamp illumination as a half mirror image;
A leveling device for moving the variable position distance formed with the outer lens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attern lens, and
A lamp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by checking at least one of a vehicle speed signal, an inter-vehicle distance signal, and an object recognition signal.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상기 전방 램프는 고속의 고속도로 모드, 중속의 일반 모드 및 저속의 도심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을 다르게 하는 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lamp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of the front lamp and the leveling device at vehicle speed;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lamp implements a front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sense of depth of the half mirror image is different from one or more of a high-speed highway mode, a medium-speed general mode, and a low-speed city mode.
상기 후방 램프는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는 비충돌거리의 안전 모드, 접촉거리의 근접 모드 및 충돌거리의 경고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하프 미러 이미지의 깊이감을 다르게 하는 후방커뮤니케이션 모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lamp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and the leveling device of the rear lamp with a headway distance;
The rear lamp implements a rear communication mode in which the depth of the half mirror image is different in one or more of a safety mode of a non-collision distance, a proximity mode of a contact distance, and a warning mode of a collision distance.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509A KR20230055145A (en) | 2021-10-18 | 2021-10-18 | Half 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s Lamp and Vehicle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509A KR20230055145A (en) | 2021-10-18 | 2021-10-18 | Half 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s Lamp and Vehicles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5145A true KR20230055145A (en) | 2023-04-25 |
Family
ID=8610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8509A KR20230055145A (en) | 2021-10-18 | 2021-10-18 | Half 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s Lamp and Vehicles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55145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2544A (en) | 2009-02-05 | 2010-08-19 | Fujitsu Ten Ltd | Mounting structure of aiming bolt, radar device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ounting aiming bolt |
-
2021
- 2021-10-18 KR KR1020210138509A patent/KR20230055145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2544A (en) | 2009-02-05 | 2010-08-19 | Fujitsu Ten Ltd | Mounting structure of aiming bolt, radar device with the same, and method of mounting aiming bol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997406B (en) | Lamp device, sensor system and sensor device | |
US9527431B2 (en) | Vehicle exterior mirror with adaptively activated forward lighting unit | |
CN106641964B (en) | LED light source high-low beam integrated car lamp module with ADB function | |
JP6780089B2 (en) | High beam / low beam integrated headlight module of LED light source with ADB function | |
CN107131464B (en) | Intelligent automobile headlight module with composite function | |
KR101195110B1 (en) | Head lamp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12262284B (en) |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at least two light modules | |
US20190162382A1 (en) | Lamp for vehicle | |
US10323812B2 (en) | Intelligent automotive headlamp module with combined functions | |
JP6258906B2 (en) | Vehicle lane change warning light | |
JP7379206B2 (en) | Vehicle lights | |
JP5686240B2 (en) | Vehicle lighting | |
EP2230128B1 (en) |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pattern | |
JP5539796B2 (en) | Vehicle headlight system | |
JP2018083533A (en) | Vehicle lamp | |
JP2003187612A (en) | Lighting tool for vehicle | |
KR20230055145A (en) | Half Mirror Image type Variable patterns Lamp and Vehicles Thereof | |
WO2022085302A1 (en) | Variable light distribution system | |
US8540407B2 (en) | Head lamp for vehicle | |
KR20180074978A (en) | Automotive hologram image producing lamp | |
JP5934915B2 (en) | Vehicle lighting device | |
JP2007214074A (en) | Vehicle headlamp | |
JP7555990B2 (en) | Saddle type vehicle | |
US10738961B1 (en) | Colored light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 |
JP2009211854A (en) | Vehicle headl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