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048A -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048A
KR20230055048A KR1020210138284A KR20210138284A KR20230055048A KR 20230055048 A KR20230055048 A KR 20230055048A KR 1020210138284 A KR1020210138284 A KR 1020210138284A KR 20210138284 A KR20210138284 A KR 20210138284A KR 20230055048 A KR20230055048 A KR 20230055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revenue
work
ownership
video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후현
Original Assignee
박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후현 filed Critical 박후현
Priority to KR102021013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5048A/ko
Publication of KR2023005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영상 저작권을 일반 사람들이 저작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영상 저작권의 수익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를 등록하고, 상기 영상 저작물의 검증을 통해 저작권을 인증하며,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키를 설정하는 저작권 설정부와, 상기 저작권 설정부에서 저작권으로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한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판매하고, 저작권의 권리를 구매한 공유자에게 판매된 비율대로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하는 저작권 판매부와, 동영상 플랫폼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영상 저작물별로 광고 수익 및 저작권료에 대한 통계를 생성하는 수익 산출부와, 상기 수익 산출부에서 산출된 영상 저작물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저작물을 공유하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대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배분하는 배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pyright Selling and Copyright Profit Sharing}
본 발명은 영상을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영상 저작권을 일반 사람들이 저작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영상 저작권의 수익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보급 및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일반적으로 제작자의 저작권을 통해 그 소유권을 보장받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뉴미디어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이 발전하면서 콘텐츠 산업의 가치사슬 체계 또한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로 다양한 분야의 1인 크리에이티브, 1인 미디어 형태의 콘텐츠 창작자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으며, MCN(Multi Channel Network) 사업자와 같이 소비자, 창작자, 광고사들을 뉴미디어 플랫폼에서 연계하는 중계 사업자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의 콘텐츠 이용 미디어가 유튜브, 소셜플랫폼, 넷플리스 등 동영상 플랫폼, 모바일 미디어를 중심으로 다변화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콘텐츠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콘텐츠 비즈니스 관점에서 MCN 모델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례로, 유튜브에 의존하는 MCN 모델이 수익을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익 다변화를 위한 다중플랫폼 네트워크(Multi Platform Network)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
현재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판매 및 수익 분배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075722호(2019년07월01일 공개)에는, 디지털 저작물의 제작에 참여할 참여자들이 디지털 저작물의 제작에 기여한 정도를 나타내는 기여도를 결정하는 구성, 결정된 기여도에 기반하여 완성된 디지털 저작물을 소비자에게 서비스하는 구성, 서비스된 디지털 저작물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기여도에 기반하여 참여자들에게 분배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참여자들은 원저작물의 작가 및 번역가, 원저작물로부터 음원 파일을 생성하는 성우, 음원 파일에 백그라운드뮤직을 삽입하는 백그라운드뮤직 기사, 음원 파일에 효과음을 삽입하는 효과음 기사, 디지털 저작물의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자, 디지털 저작물이 소비자의 단말기로 다운로드되도록 하는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자, 디지털 저작물이 소비자의 단말기로 스트리밍되도록 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자, 및 디지털 저작물을 마케팅하는 마케팅 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MCN 비즈니스는, 창작자 중심의 비정형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로 개인 창작자들을 네트워크로 묶고 이들에게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며 창작자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익을 발생시키는 사업으로 성격을 규정하고 있으나,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광고수입이 지속적으로 콘텐츠 제작에 재투자할 만큼 크지 않고, 초기 크리에이터들이 체계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채널 영향력을 키워 나기기 위해서는 크리에이터를 중요한 산업분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접근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영상 제작자, 즉, 저작권자에게만 수익이 창출되는 방식만으로는 저작권 판매 및 수익 창출에 한계를 나타내게 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콘텐츠의 활용 및 수익의 창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영상을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영상 저작권을 일반 사람들이 저작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영상 저작권의 수익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영상을 만든 제작자(영상 저작권자)만 수익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영상 저작권을 구매한 구매자(공유자)에게도 영상에 대한 수익을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작권의 일부나 전부의 구매를 이용한 손쉬운 공유를 통해 공유자를 통한 수익 분배로 저작물의 노출을 증가시켜 수익창출을 가능하도록 한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의 특징은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를 등록하고, 상기 영상 저작물의 검증을 통해 저작권을 인증하며,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키를 설정하는 저작권 설정부와, 상기 저작권 설정부에서 저작권으로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한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판매하고, 저작권의 권리를 구매한 공유자에게 판매된 비율대로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하는 저작권 판매부와, 동영상 플랫폼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영상 저작물별로 광고 수익 및 저작권료에 대한 통계를 생성하는 수익 산출부와, 상기 수익 산출부에서 산출된 영상 저작물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저작물을 공유하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대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배분하는 배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는 저작권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공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에 대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전체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공유내역 도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작권 판매부는 상기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받은 공유자에게 해당 영상 저작물에 설정된 인증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분 처리부는 상기 영상 저작물에 해당되는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상기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소유권의 비율대로 공유자에게 배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방법의 특징은 (A) 저작권 설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를 등록하고, 상기 영상 저작물의 검증을 통해 저작권을 인증하며,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키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저작권 판매부를 이용하여 상기 저작권으로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한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자(공유자)에게 판매하는 단계와, (C) 수익 산출부를 이용하여 동영상 플랫폼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 호출에 따른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산출하는 단계와, (D) 배분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영상 저작물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저작물을 공유하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대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배분하는 단계와, (E) 공유내역 도출부를 이용하여 저작권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공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에 대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전체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영상을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영상 저작권을 일반 사람들이 저작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 가능하도록 하여 영상 저작권의 수익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즉, 영상을 만든 제작자(영상 저작권자)만 수익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영상 저작권을 구매한 구매자(공유자)에게도 영상에 대한 수익을 같이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작권의 일부나 전부의 구매를 이용한 손쉬운 공유를 통해 공유자를 통한 수익 분배로 저작물의 노출을 증가시켜 수익창출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저작권자가 영상을 제작해 저작권을 판매하게 되면, 저작권을 구매한 구매자(공유자)들이 구매한 영상(저작물)을 홍보하게 될 때, 영상을 판매한 제작자가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영상들도 같이 홍보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작권자는 다수의 구매자(공유자)에게 자신의 영상 저작권을 복수개로 분리하여 판매함에 따라, 각 구매자로부터 발생되는 복수개의 양도 금액이 모여 저작권료의 목돈이 추가로 발생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저작권 쉐어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의 전체 개념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는 영상 저작물을 게재하여 여러 공유자(시청자)(10)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동영상 플랫폼(100)과,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을 저작하여 영상 저작권에 따른 소유권을 보장받고, 저작권료의 수익을 받는 영상 저작권자(20)와,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에 광고를 등록하여 원활한 광고 집행을 수행하고, 영상 저작권자(200)에게 광고수익을 배분하는 광고주 서버(200)와, 상기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공유자에게 판매하고, 상기 공유자에게 판매된 비율대로 영상 저작권의 수익을 배분하는 저작권 쉐어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은 유튜브, 구글크롬케스트, 애플TV, 카카오TV 등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청자 및 영상 저작권자는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주 서버(200)는 동영상 플랫폼(100)에서 동영상 콘텐츠와 연계되어 특정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주와 관련된 서버로서, 광고주, 광고 제작 대행사, 광고 장비 제작 및 유통업체, 광고 소재품을 취급하는 소재품업체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주 서버(200)는 메타 태그를 근거로 해당 광고주 페이지 URL(또는 랜딩 URL)로의 리다이렉트 기능 수행에 따라 해당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주 서버(200)는 해당 광고주 페이지 URL(또는 랜딩 URL)에 대응하는 화면(또는 정보)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 및 상기 광고주 서버(1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 및 상기 광고주 서버(100)에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 및 상기 광고주 서버(100)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 및 상기 광고주 서버(100)와, 시청자(10) 및 영상 저작권자(20)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 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 및 상기 광고주 서버(1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처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 및 상기 광고주 서버(100)와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영상 플랫폼(100) 및 상기 광고주 서버(100) 및 시청자(10) 및 영상 저작권자(20)의 단말기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저작권 쉐어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임의의 서버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연결되는 서버 및 단말기는 영상 저작권자(20) 및 시청자(10) 단말기는 물론, 동영상 플랫폼(100) 및 광고주 서버(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은 상기 저작권 쉐어 서버(300)와 동영상 플랫폼(100), 광고주 서버(200) 및 시청자(10) 및 영상 저작권자(20)의 단말기가 서로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5G,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에서 저작권 쉐어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저작권 쉐어 서버(3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저작권 쉐어 서버(300)는 저작권 설정부(310)와, 저작권 판매부(320)와, 수익 산출부(330)와, 배분 처리부(340)와, 공유내역 도출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설정부(310)는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20)를 등록하고, 상기 영상 저작물의 검증을 통해 저작권을 인증하며,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키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작권 설정부(310)는 영상 저작권자(2)의 등록, 영상 저작물 검증, 저작권자 인증 및 인증키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작권 설정부(310)는 저작권을 가진 특별 회원이 등록되면, 차후 특별 회원이 업로드하는 영상 저작물은 저작권을 가진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다. 또한, 저작권 가진 것으로 추정한 후, 그 추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업로드된 영상 저작물의 저작권을 용이하게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저작물의 저작권을 검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특별 회원 전용의 이메일 계정이나, 동영상 플랫폼(100)을 통해 상기 영상 저작물이 전송되었는지는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별 회원의 이메일 계정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동영상 플랫폼(100)의 IP 주소로부터 전송(또는 동영상 플랫폼(100)의 고유 식별자가 삽입되어 전송)된 경우에는 영상 저작물 자체에 대한 분석 없이 저작권 검증이 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저작물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등록된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영상 저작물의 헤더에 존재하는 정보로서, 영상에 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상 저작물의 크기, 시간, 촬영 장치 식별자, 촬영 일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메타 데이터의 정보를 조사하여, 저장된 장치 식별자와 비교하여 동영상 플랫폼(100)에 업로드되는 영상 저작물의 저작권을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작권 설정부(310)는 저작권 검증 과정에서, 저작권이 검증된 영상 저작물은 저작권으로 인증하고, 만약, 저작권이 검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 실패로 간주하여 영상 저작물의 저작권 인증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 판매부(320)는 상기 저작권 설정부(310)에서 저작권으로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한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판매하고, 저작권의 권리를 구매한 공유자에게 판매된 비율대로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받은 공유자는 해당 영상 저작물에 설정된 인증키를 제공받게 되며, 제공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저작권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익 산출부(330)는 동영상 플랫폼(100)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표시 또는 광고 삽입을 수행하여 링크 정보에 의해 영상 저작물이 호출될 때 마다, 호출 요청 주체를 추적하여 영상 저작물 호출에 따른 통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영상 저작물별로 광고 수익 및 저작권료에 대한 통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익 산출부(330)는 동영상 플랫폼(100)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게시, 광고 요청 접수, 광고와 영상 저작물 매칭 및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생성을 통해 영상 저작물별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배분 처리부(340)는 상기 수익 산출부(330)에서 산출된 영상 저작물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저작물을 공유하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대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배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분 처리부(340)는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공유자를 분류하기 위해, 상기 영상 저작물에 해당되는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는 공유자만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분 처리부(340)는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소유권의 비율대로 공유자가 지급받도록 한다.
예로서,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이 50%인 경우는 산출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의 50%를 지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을 만든 제작자(영상 저작권자)만 수익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영상 저작권을 구매한 구매자(공유자)에게도 영상에 대한 수익을 같이 공유할 수 있다.
상기 공유내역 도출부(350)는 저작권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공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에 대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와 함께, 전체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작권자 인증 정보는 미리 정해진 공유자의 고유 ID 또는 인증키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내역 도출부(350)는 공유자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 외에 상기 저작권 판매부(320)에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60)는 저작권자 정보, 공유자 정보, 판매비율 정보, 수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저작권자 정보 DB(361)와, 공유자 정보 DB(362)와, 판매비율 정보 DB(363)와, 수익정보 DB(3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 정보는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에 대한 정보로서, 영상 저작권별로 개인정보와 함께, 저작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와, 상기 영상 저작물에 해당되는 인증키,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자 정보는 저작권 판매부(320)를 이용하여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배분된 비율로 구매한 구매자에 대한 정보로서, 공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에 대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와, 상기 영상 저작물에 해당되는 인증키,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전체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매비율 정보는 영상 저작권별 전체 판매 금액 정보와, 영상 저작권별 및 공유자별로 저작권 판매부(320)에서 공유자에게 배분되어 판매된 비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익정보는 영상 저작물별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와, 영상 저작물별 및 공유자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영상 플랫폼(100)에 제공되는 영상 저작물이 등록되면, 저작권 설정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20)를 등록하고, 상기 영상 저작물의 검증을 통해 저작권을 인증하며,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키를 설정할 수 있다(S10).
이때, 영상 저작물의 저작권을 검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특별 회원 전용의 이메일 계정이나, 동영상 플랫폼(100)을 통해 상기 영상 저작물이 전송되었는지는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별 회원의 이메일 계정으로부터 전송되거나, 동영상 플랫폼(100)의 IP 주소로부터 전송(또는 동영상 플랫폼(100)의 고유 식별자가 삽입되어 전송)된 경우에는 영상 저작물 자체에 대한 분석 없이 저작권 검증이 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저작물의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등록된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영상 저작물의 헤더에 존재하는 정보로서, 영상에 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영상 저작물의 크기, 시간, 촬영 장치 식별자, 촬영 일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메타 데이터의 정보를 조사하여, 저장된 장치 식별자와 비교하여 동영상 플랫폼(100)에 업로드되는 영상 저작물의 저작권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권 판매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저작권으로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한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자(공유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S20). 이때, 저작권의 권리를 구매한 공유자는 자신이 구매한 비율대로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공유자는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받았음을 증명하기 위해, 해당 영상 저작물에 설정된 인증키를 제공받게 되며, 상기 인증키를 통해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받을 수 있다.
이어서, 수익 산출부(330)를 이용하여 동영상 플랫폼(100)에 게재되는 링크 정보에 의해 영상 저작물이 호출될 때 마다, 호출 요청 주체를 추적하여 영상 저작물 호출에 따른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산출할 수 있다(S30). 이때, 상기 통계 정보는 광고 요청 접수, 광고와 영상 저작물 매칭 및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배분 처리부(340)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영상 저작물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저작물을 공유하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대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배분하여 지급할 수 있다(S40). 이때,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갖는 공유자를 분류하기 위해, 상기 영상 저작물에 해당되는 인증키를 보유하고 있는 공유자만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공유내역 도출부(350)를 이용하여 저작권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공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에 대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와 함께, 전체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을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S50).
이때, 공유자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 외에 상기 저작권 판매부(320)에서 현재 판매되고 있는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통해, 저작권의 일부나 전부의 구매를 이용한 손쉬운 공유가 가능하고, 공유자를 통한 수익 분배로 저작물의 노출을 증가시켜 수익창출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저작권자가 영상을 제작해 저작권을 판매하게 되면, 저작권을 구매한 구매자(공유자)들이 구매한 영상(저작물)을 홍보하게 될 때, 영상을 판매한 제작자가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영상들도 같이 홍보가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이거나 혹은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개시된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메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실시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시청자(공유자) 20: 영상 저작권자
100: 동영상 플랫폼 200: 광고주 서버
300: 저작권 쉐어 서버 310: 저작권 설정부
320: 저작권 판매부 330: 수익 산출부
340: 배분 처리부 350: 공유내역 도출부
360: 저장부 360: 저작권자 정보 DB
362: 공유자 정보 DB 363: 판매비율 정보 DB
364: 수익정보 DB

Claims (3)

  1.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를 등록하고, 상기 영상 저작물의 검증을 통해 저작권을 인증하며,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키를 설정하는 저작권 설정부와,
    상기 저작권 설정부에서 저작권으로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한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판매하고, 저작권의 권리를 구매한 공유자에게 판매된 비율대로 영상 저작권의 소유권을 배분하는 저작권 판매부와,
    동영상 플랫폼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영상 저작물별로 광고 수익 및 저작권료에 대한 통계를 생성하는 수익 산출부와,
    상기 수익 산출부에서 산출된 영상 저작물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저작물을 공유하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대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배분하는 배분 처리부를 포함하는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는
    저작권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공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에 대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전체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공유내역 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3. (A) 저작권 설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저작물을 저작한 영상 저작권자를 등록하고, 상기 영상 저작물의 검증을 통해 저작권을 인증하며, 상기 영상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하기 위한 인증키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저작권 판매부를 이용하여 상기 저작권으로 인증된 영상 저작물에 대한 영상 저작권의 권리를 비율로 배분하여 일부 또는 전부를 구매자(공유자)에게 판매하는 단계와,
    (C) 수익 산출부를 이용하여 동영상 플랫폼에 게재되는 영상 저작물 호출에 따른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산출하는 단계와,
    (D) 배분 처리부를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영상 저작물별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저작물을 공유하는 공유자를 도출하고, 영상 저작권에 대해 배분받은 소유권의 비율대로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를 배분하는 단계와,
    (E) 공유내역 도출부를 이용하여 저작권자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하고, 공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영상 저작권에 대한 영상 저작물의 종류, 소유권 비율, 수익률, 영상 저작물의 링크 정보, 광고 정보, 영상 저작물의 조회 수, 추천수, 댓글수에 따른 통계 정보, 전체 광고수익 및 저작권료, 소유권 비율에 따른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방법.

KR1020210138284A 2021-10-18 2021-10-18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55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284A KR20230055048A (ko) 2021-10-18 2021-10-18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284A KR20230055048A (ko) 2021-10-18 2021-10-18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048A true KR20230055048A (ko) 2023-04-25

Family

ID=8610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284A KR20230055048A (ko) 2021-10-18 2021-10-18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0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595B2 (en) Value-based TV advertising audience exchange
US11039213B2 (en) Media content rights negotiation based on a protocol for management of media content rights using a distributed media rights transaction ledger
US201902362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lickable links servers using a decentralized blockchain ledger
US20190333115A1 (en) System for apportioning revenue for media content derived from an online feedback community
US20060294571A1 (en) Collaborative video via distributed storage and blogging
US201902136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lickable links embedded digital assets using a blockchain ledger
US20080104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nking media
CA3024002A1 (en) Resource-related content distribution hub
US9083726B2 (en) Automatic content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WO2020037139A1 (en) Viewer data access management
US201902792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ickabletv targeting by location and content attributes
AU2016269473A1 (en) Rights clearance for granular rights
US20230141151A1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distributing, and interacting with layered media
KR20190033357A (ko) 스마트 기기에서 독자관리 큐레이팅을 제공하는 소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US20120284334A1 (en) Method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Copyrighted Content
Gomes et al. Keeping the beat on: A case study of spotify
KR20190033365A (ko) 스마트 기기에서 채팅 기능을 제공하는 소셜 전자책 서비스 시스템
KR20200090582A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5048A (ko) 저작권 판매 및 수익 공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28617A (ko) 웹컨텐츠의 온라인광고 수익 배분 방법 및 시스템
EP30226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y moment monetization of media
WO2022066970A1 (en) Multi-language media versioning network and process flow
US20130332288A1 (en) Advertising media and method of advertising
US20150235036A1 (en) Method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Copyrighted Content
Rennie et al. New economic infrastructures for creative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