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495A -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495A
KR20230054495A KR1020237012305A KR20237012305A KR20230054495A KR 20230054495 A KR20230054495 A KR 20230054495A KR 1020237012305 A KR1020237012305 A KR 1020237012305A KR 20237012305 A KR20237012305 A KR 20237012305A KR 20230054495 A KR20230054495 A KR 20230054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block
extended
stro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2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196B1 (ko
Inventor
마사루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701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6303A/ko
Publication of KR2023005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0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 H04N19/82Details of filtering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e.g. for pixel interpolation involving filtering within a prediction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과제]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개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판정부와, 필터링부와, 부호화부를 구비한다. 판정부는, 확장 스트롱 필터를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할지를, 블록 경계에 의해 분할된 한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와, 다른 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기초하여, 블록마다 판정하는 경우에, 블록 경계의 양측에서 다른 디블록 필터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대소의 블록이 인접하는 블록 경계에 있어서, 큰 블록에 대해서만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되기 쉬워지도록 판정한다. 필터링부는, 적용하는 것으로 판정된 화소에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한다. 부호화부는,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된 복호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을 부호화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개시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부호화 방식의 표준 사양의 하나인 H. 265/HEVC에서는, 화상의 부호화 시에 발생하는 블록 왜곡에 기인하는 화질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블록 경계에 디블록 필터가 적용된다(비특허문헌 1 참조). 디블록 필터에는, 스트롱 필터와 위크 필터가 있고, 블록 경계에 대하여, 각각의 필터의 판정식을 사용하여, 어느 필터를 적용할지가 판정된다.
또한, 현재, H. 265/HEVC보다도 부호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ITU-T와 ISO/IEC의 공동의 표준화 단체인 JVET(Joint Video Exploration Team)에 의해, 차세대의 영상 부호화 방식인 FVC(Future Video Coding)의 표준화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2 참조).
FVC의 표준화 작업에서는, 하기 비특허문헌 3에 있어서, H. 265/HEVC에 있어서의 스트롱 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넓은 디블록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3에 있어서 제안된 방법에서는, 필터의 적용 범위를,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3화소로부터 7화소로 함으로써, 보다 강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Recommendation ITU-T H.265, (04/2015)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April 2015 J. Chen, E. Alshina, G. J. Sullivan, J.-R. Ohm, J. Boyce, "Algorithm Description of Joint Exploration Test Model 4", JVET-D1001_v3, Joint Video Exploration Team (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4th Meeting : Chengdu, CN, 15-21 October 2016 K. Kawamura, S. Naito, "Extended deblocking-filter decision for large block boundary", JVET-D0047, Joint Video Exploration Team (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4th Meeting : Chengdu, CN, 15-21 October 2016
그러나, 종래의 필터의 판정 방법에서는, 부적절한 필터가 적용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과도하게 강한 필터가 적용되어 버려, 디블록 필터의 적용에 의해 PSNR(Peak signal-to-noise ratio)이 크게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는, 판정부와, 필터링부와, 부호화부를 구비한다. 상기 판정부는, 로컬 복호된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되는 디블록 필터의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적용 범위에 적용하는 확장 스트롱 필터를, 상기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할지를, 상기 블록 경계에 의해 분할된 한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와, 다른 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마다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블록 경계의 양측에서 다른 디블록 필터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대소의 블록이 인접하는 상기 블록 경계에 있어서, 큰 블록에 대해서만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되기 쉬워지도록 판정한다.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정된 화소에,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한다. 상기 부호화부는, 상기 필터링부에 의해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된 상기 복호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을 부호화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진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HEVC에 있어서의 CU에 대한 재귀적인 블록 분할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CU에 대한 PU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CU에 대한 TU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CU/PU의 주사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QTBT에 있어서의 CU, PU 및 TU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수직 경계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고, 4×4화소를 포함하는 2개의 블록 Bp 및 Bq 내의 화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HEVC에 있어서의 강필터의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기제안 필터가 적용되는 블록 경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영역 H10을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양태인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양태인 화상 복호 장치(6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확장 강필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확장 강필터의 필터 계수의 도출의 사고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에 의한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확장 강필터의 필터 계수의 도출의 사고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에 의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변형예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변형예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변형예에 있어서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비대칭의 디블록 필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에 의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스텝 S23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변형예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5는 변형예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6은 컴퓨터의 주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텔레비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휴대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0은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비디오 세트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비디오 프로세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비디오 프로세서의 개략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4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동일한 부호 뒤에 상이한 알파벳을 붙여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단,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동일 부호만을 부여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배경
1-1. 블록 구조
1-2. 기존의 디블록 필터
2. 장치의 개요
2-1. 화상 부호화 장치
2-2. 화상 복호 장치
3. 제1 실시예
3-1. 디블록 필터의 구성예
3-2. 처리의 흐름
3-3. 변형예
4. 제2 실시예
4-1. 디블록 필터의 구성예
4-2. 처리의 흐름
4-3. 변형예
5. 하드웨어 구성예
6. 응용예
7. 정리
<1. 배경>
[1-1. 블록 구조]
MPEG2 또는 H. 264/AVC 등의 구래의 화상 부호화 방식에서는, 부호화 처리는, 매크로 블록이라 불리는 처리 단위로 실행된다. 매크로 블록은, 16×16화소의 균일한 사이즈를 갖는 블록이다. 이에 반해, HEVC에서는, 부호화 처리는, 부호화 단위(CU : Coding Unit)라 불리는 처리 단위로 실행된다. CU는, CTU(Coding Tree Unit)를 재귀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되는, 가변적인 사이즈를 갖는 블록이다. 선택 가능한 CU의 최대 사이즈는, 64×64화소이다. 선택 가능한 CU의 최소 사이즈는, 8×8화소이다.
가변적인 사이즈를 갖는 CU가 채용되는 결과, HEVC에서는, 화상의 내용에 따라서 화질 및 부호화 효율을 적응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처리는, 예측 단위(PU : Prediction Unit)라 불리는 처리 단위로 실행된다. PU는, CU를 몇 가지의 분할 패턴 중 하나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직교 변환 처리는, 변환 단위(TU : Transform Unit)라 불리는 처리 단위로 실행된다. TU는, CU 또는 PU를 어떤 깊이까지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은 HEVC에 있어서의 CU에 대한 재귀적인 블록 분할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CU의 블록 분할은, 1개의 블록의 4(=2×2)개의 서브 블록으로의 분할을 재귀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행해지고, 결과로서 쿼드 트리(Quad-Tree)형 트리 구조가 형성된다. 1개의 쿼드 트리의 전체를 CTB(Coding Tree Block)라 하고, CTB에 대응하는 논리적인 단위를 CTU라 한다. 도 1의 상부에는, 일례로서, 64×64화소의 사이즈를 갖는 CU C01이 도시되어 있다. CU C01의 분할 깊이는, 제로와 동일하다. 이것은, CU C01이 CTU의 루트에 상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CTU 또는 CTB의 사이즈는, SPS(Sequence Parameter Set)에 있어서 부호화되는 파라미터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CU C02는, CU C01로부터 분할되는 4개의 CU 중 1개이며, 32×32화소의 사이즈를 갖는다. CU C02의 분할 깊이는, 1과 동일하다. CU C03은, CU C02로부터 분할되는 4개의 CU 중 1개이며, 16×16화소의 사이즈를 갖는다. CU C03의 분할 깊이는, 2와 동일하다. CU C04는, CU C03으로부터 분할되는 4개의 CU 중 1개이며, 8×8화소의 사이즈를 갖는다. CU C04의 분할 깊이는, 3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CU는, 부호화되는 화상을 재귀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분할의 깊이는, 가변적이다. 예를 들어, 푸른 하늘과 같은 평탄한 화상 영역에는, 보다 큰 사이즈의 (즉, 깊이가 작은) CU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많은 에지를 포함하는 급준한 화상 영역에는, 보다 작은 사이즈의 (즉, 깊이가 큰) CU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CU의 각각이, 부호화 처리의 처리 단위가 된다.
PU는, 인트라 예측 및 인터 예측을 포함하는 예측 처리의 처리 단위이다. PU는, CU를 몇 가지의 분할 패턴 중 1개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CU에 대한 PU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의 우측에는, 2N×2N, 2N×N, N×2N, N×N, 2N×nU, 2N×nD, nL×2N 및 nR×2N이라는, 8종류의 분할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분할 패턴 중, 인트라 예측에서는, 2N×2N 및 N×N의 2종류가 선택 가능하다(N×N은 SCU에서만 선택 가능). 한편, 인터 예측에서는, 비대칭 움직임 분할이 유효화되어 있는 경우에, 8종류의 분할 패턴 모두가 선택 가능하다.
TU는, 직교 변환 처리의 처리 단위이다. TU는, CU(인트라 CU에 대해서는, CU 내의 각 PU)를 어떤 깊이까지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CU에 대한 TU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의 우측에는, CU C02에 설정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TU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TU T01은, 32×32화소의 사이즈를 갖고, 그 TU 분할의 깊이는 제로와 동일하다. TU T02는, 16×16화소의 사이즈를 갖고, 그 TU 분할의 깊이는 1과 동일하다. TU T03은, 8×8화소의 사이즈를 갖고, 그 TU 분할의 깊이는 2와 동일하다.
상술한 CU, PU 및 TU와 같은 블록을 화상에 설정하기 위해 어떤 블록 분할을 행할지는, 전형적으로는, 부호화 효율을 좌우하는 비용의 비교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인코더는, 예를 들어 1개의 2M×2M 화소의 CU와, 4개의 M×M 화소의 CU 사이에서 비용을 비교하고, 4개의 M×M 화소의 CU를 설정한 쪽이 부호화 효율이 높으면, 2M×2M 화소의 CU를 4개의 M×M 화소의 CU로 분할하는 것을 결정한다.
화상을 부호화할 때, 화상(또는 슬라이스, 타일) 내에 격자형으로 설정되는 CTB(또는 LCU)가, 래스터 스캔순으로 주사된다. 1개의 CTB 중에서는, CU는, 쿼드 트리를 좌측으로부터 우측, 위로부터 아래로 가도록 주사된다. 커런트 블록을 처리할 때, 위 및 좌측의 인접 블록의 정보가 입력 정보로서 이용된다. 도 4는 CU/PU의 주사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의 좌측 상단에는, 1개의 CTB에 포함될 수 있는 4개의 CU C10, C11, C12 및 C13이 도시되어 있다. 각 CU의 프레임 내의 숫자는, 처리의 순서를 표현하고 있다. 부호화 처리는, 좌측 상단의 CU C10, 우측 상단의 CU C11, 좌측 하단의 CU C12, 우측 하단의 CU C13의 순으로 실행된다. 도 4의 우측에는, CU C11에 설정될 수 있는 인터 예측을 위한 1개 이상의 PU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아래에는, CU C12에 설정될 수 있는 인트라 예측을 위한 1개 이상의 PU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PU의 프레임 내의 숫자로 나타낸 바와 같이, PU도 또한, 좌측으로부터 우측, 위로부터 아래로 가도록 주사된다.
이상, HEVC에 있어서의 블록 분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계속해서, JVET-C0024, "EE2.1 : Quadtree plus binary tree structure integration with JEM tools"에 기재된 블록 구조인 QTBT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QTBT에 있어서의 CU, PU 및 TU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CU의 블록 분할에서는, 1개의 블록을 4(=2x2)개뿐만 아니라, 2(=1x2, 2x1)개의 서브 블록으로도 분할할 수 있다. 즉, CU의 블록 분할은, 1개의 블록을 4개 또는 2개의 서브 블록으로의 분할을 재귀적으로 반복함으로써 행해지고, 결과로서 쿼드 트리(Quad-Tree)형 또는 수평 방향 혹은 수직 방향의 바이너리 트리(Binary-Tree)형 트리 구조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은 쿼드 트리와 바이너리 트리의 조합에 따라서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 결과, CU의 형상은, 정사각형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일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CTU(Coding Tree Unit) 사이즈가 128x128인 경우, CU의 사이즈(수평 방향의 사이즈 w×수직 방향의 사이즈 h)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8x128, 64x64, 32x32, 16x16, 8x8, 4x4와 같은 정사각형 사이즈뿐만 아니라, 128x64, 128x32, 128x16, 128x8, 128x4, 64x128, 32x128, 16x128, 8x128, 4x128, 64x32, 64x16, 64x8, 64x4, 32x64, 16x64, 8x64, 4x64, 32x16, 32x8, 32x4, 16x32, 8x32, 4x32, 16x8, 16x4, 8x16, 4x16, 8x4, 4x8과 같은 직사각형 사이즈일 가능성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2에서는, PU와 TU는 CU와 동일하다. 그러나, CU, PU, TU의 블록 구조는 각각 독립된 형태도 생각된다. 본 기술은, CU, PU, TU가 동일한 블록 구조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U, PU, TU가 독립된 블록 구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화상(픽처)의 부분 영역이나 처리 단위로서 「블록」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처리부의 블록이 아니다). 이 경우의 「블록」은, 픽처 내의 임의의 부분 영역을 나타내고, 그 크기, 형상 및 특성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 경우의 「블록」에는, 예를 들어 TU, PU, CU, CTU, CTB, 타일, 또는 슬라이스 등, 임의의 부분 영역(처리 단위)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블록 경계란, 상술한 어느 블록의 경계여도 되고, 예를 들어 상술한 HEVC에 있어서의 블록 분할에 의해 분할된 블록의 경계, QTBT에 있어서의 블록 분할에 의해 분할된 블록의 경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기술은, JVET-D0117, "Multi-Type-Tree"에 기재된 블록 구조와 블록 경계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1-2. 기존의 디블록 필터]
다음에, 기존의 디블록 필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HEVC 등의 기존의 화상 부호화 방식에 있어서의 디블록 필터에 의한 처리는, 필터링 필요 여부 판정 처리, 필터 강도의 판정 처리, 및 필터링 처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HEVC를 예로 필터링 필요 여부 판정 처리, 필터 강도의 판정 처리, 및 필터링 처리의 설명을 행한다.
(1) HEVC의 필터링 필요 여부 판정 처리
필터링 필요 여부 판정 처리는, 입력 화상의 블록 경계의 4라인마다 디블록 필터를 적용해야 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이다. 블록 경계가 수직 경계인 경우에는, 상기 라인은, 수직 경계와 직교하는 행에 상당한다. 또한, 블록 경계가 수평 경계인 경우에는, 상기 라인은, 수평 경계와 직교하는 열에 상당한다.
도 6은 수직 경계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4×4화소를 포함하는 2개의 블록 Bp 및 Bq 내의 화소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수직 경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당연히, 여기에서 설명된 사항은 수평 경계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6의 예에 있어서, 블록 Bp 내의 화소는, pij라는 기호로 나타내어져 있다. i는 열의 인덱스, j는 행의 인덱스이다. 열의 인덱스 i는, 수직 경계에 가까운 열로부터 순서대로(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0, 1, 2, 3으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행의 인덱스 j는, 위로부터 아래로 0, 1, 2, 3으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블록 Bb 내의 화소는, qkj라는 기호로 나타내어져 있다. k는 열의 인덱스, j는 행의 인덱스이다. 열의 인덱스 k는, 수직 경계에 가까운 열로부터 순서대로(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0, 1, 2, 3으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블록 Bp 및 Bq 사이의 수직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 필터를 적용해야 할지 여부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서 판정될 수 있다:
·판정 조건 … 조건 M 및 조건 N이 모두 참이면 적용
-조건 M:
(M1) 블록 Bp 또는 Bq가 인트라 예측 모드이다;
(M2) 블록 Bp 또는 Bq가 비제로의 직교 변환 계수를 갖고, 블록 Bp 및 Bq 사이의 경계가 TU의 경계이다
(M3) 블록 Bp 및 Bq의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차의 절댓값이 1화소 이상이다; 또는
(M4) 블록 Bp 및 Bq의 블록의 움직임 보상의 참조 화상이 상이하거나, 움직임 벡터의 수가 상이하다
-조건 N:
|p20-2*p10+p00|+|p23-2*q13+p03|+|p20-2*q10+q00|+|q23-2*q13+q03|<β
또한, 조건 N에 있어서의 β는, 에지 판정 역치이다. β의 초기값은,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서 부여된다. 또한 β의 값은, 슬라이스 헤더 내의 파라미터로 유저에 의해 지정 가능하다.
즉, 도 6에 있어서 파선 프레임 L11 및 L14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필터링 필요 여부 판정 처리(특히 조건 N의 판정)에서는, 각 블록의 1라인째 및 4라인째의 행(가장 위의 행을 1라인째라 함)의 화소가 참조된다. 마찬가지로, 수평 경계에 대한 필터링 필요 여부 판정 처리에서는, 각 블록의 1라인째 및 4라인째의 열의 화소(도 6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참조된다. 그리고, 상술한 판정 조건에 따라서 디블록 필터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정된 경계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필터링 강도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2) HEVC의 필터 강도의 판정 처리
어떤 경계에 대하여 디블록 필터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정되면, 적용되는 필터 강도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HEVC에서는, 스트롱 필터(이하, 강필터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와 위크 필터(이하, 약필터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각각에 대하여 적용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강필터의 판정 처리는, 필터링 필요 여부 판정 처리와 마찬가지로 4라인 단위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파선 프레임 L11 및 L14로 나타내어진 각 블록의 1라인째 및 4라인째의 행의 화소가 참조되어, 강필터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이하에서는, 라인의 인덱스(수직 경계에 있어서의 행의 인덱스, 및 수평 경계에 있어서의 열의 인덱스)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하지만, 4라인 단위의 판정 처리를 행한다고 설명한 경우에는, 각 블록의 1라인째 및 4라인째의 행의 화소가 참조되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HEVC에 있어서의 강필터의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한 p0 내지 p3, 및 q0 내지 q3은 각각 블록 Bp, Bq의 화소값의 예이다.
HEVC에 있어서의 강필터의 판정 처리에서는, 이하의 조건 A1, B1, C1이 사용된다.
(A1) |p3-p0|+|q3-q0|<(β>>3)
(B1) |p2-2*p1+p0|+|q2-2*q1+q0|<(β>>2)
(C1) |p0-q0|<((tc*5+1)>>1)
상기 조건 A1, B1, C1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각각 도 7에 도시한 범위 A1, B1, C1과 대응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건 A1과 조건 B1은, 블록 내의 화소값을 사용하여 판정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건 A1은, 블록 내의 평탄도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B1은, 블록 내의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C3은,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화소값을 사용하여, 블록간의 변화량(갭)을 판정하고 있다.
1라인째와 4라인째의 양쪽에 있어서, 상기 조건 A1, B1, C1 모두가 만족되는 경우에, 4라인 단위의 블록 경계에 강필터가 적용되고,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필터의 판정 처리가 1라인마다 행해진다.
HEVC에 있어서의 강필터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p0'=Clip3(p0-2*tc, p0+2*tc, (p2+2*p1+2*p0+2*q0+q1+4)>>3)
q0'=Clip3(q0-2*tc, q0+2*tc, (p1+2p0+2q0+2q1+q2+4)>>3)
p1'=Clip3(p1-2*tc, p1+2*tc, (p2+p1+p0+q0+2)>>2)
q1'=Clip3(q1-2*tc, q1+2*tc, (p0+q0+q1+q2+2)>>2)
p2'=Clip3(p2-2*tc, p2+2*tc, (2*p3+3*p2+p1+p0+q0+4)>>3)
q2'=Clip3(q2-2*tc, q2+2*tc, (p0+q0+q1+3*q2+2*q3+4)>>3)
또한, pi', 및 qk'는, 디블록 필터 적용 후의 화소값이다. 또한, Clip3(a, b, c)는, 값 c를 a≤c≤b의 범위에서 클립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그러나, 플랫한 영역(영역 내의 화소값의 변화가 작은 영역)에 있어서의 블록의 사이즈가 큰 경우 블록 왜곡이 발생하기 쉽고, 상기와 같은 강필터를 적용해도, 충분히 블록 왜곡을 경감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HEVC에서는, MPEG2 또는 H. 264/AVC 등의 구래의 화상 부호화 방식에 있어서의 매크로 블록보다도 큰 사이즈의 블록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QTBT에서는, HEVC에 있어서의 CTU보다도 더 큰 사이즈의 블록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보다 강한 디블록 필터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3에서는, 큰 사이즈의 블록에 관한 블록 경계에 있어서, 보다 블록 왜곡을 삭감하기 위해, 상술한 강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넓은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3에 있어서 제안된 방법에서는, 강필터와 비교하여, 각 블록에 있어서의 필터의 적용 범위가,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3화소로부터 7화소로 확장되어 있어, 보다 강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특허문헌 3에 있어서 제안된 필터(이하, 기제안 필터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이하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것은 블록 Bp측의 필터 적용 후의 화소값이다.
p6'=Clip3(p6-2*tc, p6+2*tc, (3*p7+5*p6+2*p5+p4+p3+p2+p1+p0+q0+8)>>4)
p5'=Clip3(p5-2*tc, p5+2*tc, (p7+2*p6+5*p5+2*p4+p3+p2+p1+p0+q0+q1+8)>>4)
p4'=Clip3(p4-2*tc, p4+2*tc, (p6+3*p5+3*p4+3*p3+p2+p1+p0+q0+q1+q2+8)>>4)
p3'=Clip3(p3-2*tc, p3+2*tc, (p6+2*p5+2*p4+2*p3+2*p2+2*p1+p0+q0+q1+q2+q3+8)>>4)
p2'=Clip3(p2-2*tc, p2+2*tc, (p5+2*p4+2*p3+2*p2+2*p1+2*p0+2*q0+q1+q2+q3+8)>>4)
p1'=Clip3(p1-2*tc, p1+2*tc, (p5+p4+2*p3+2*p2+2*p1+2*p0+2*q0+2*q1+q2+q3+8)>>4)
p0'=Clip3(p0-2*tc, p0+2*tc, (p4+2*p3+2*p2+2*p1+2*p0+2*q0+2*q1+2*q2+q3+8)>>4)
상기와 같이, 기제안 필터에서는, 필터 적용 범위가 넓어짐과 함께, 필터링 시에 참조하는 탭 범위도 HEVC에 있어서의 강필터보다 넓어져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3에 의하면, 기제안 필터는, 다음과 같은 조건 R1 내지 R3 모두가 참인 경우에 적용된다.
(R1) 블록 경계를 사이에 두는 2개의 블록의 블록 경계에 수직인 방향의 사이즈가 소정의 역치(비특허문헌 3에서는 16) 이상이다
(R2) HEVC의 강필터의 적용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
(R3) 블록 경계를 사이에 두는 2개의 블록 중, 적어도 한쪽의 블록이 인트라 예측 모드이다
상기 조건 R1 내지 R3 중, 화소값을 참조하고 있는 판정 조건은 R2뿐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조건 R2의 강필터의 적용 조건은, 각 블록에 있어서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4화소만을 참조하고 있어, 비특허문헌 3에서 제안되어 있는 필터의 적용 범위보다도 조건 R2에 있어서의 참조 범위쪽이 좁다. 그 때문에, 상기 판정 조건 R1 내지 R3을 사용한 경우, 부적절한 필터가 적용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도 8은 기제안 필터가 적용되는 블록 경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에는 화상 H1에 대하여, 약필터가 적용되는 약필터 적용 경계, 강필터가 적용되는 강필터 적용 경계, 및 기제안 필터가 적용되는 기제안 필터 적용 경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영역 H10을 확대한 모식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한 영역 H10의 블록 경계는 기제안 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되어 있다. 또한, 조건 R2의 판정에 사용하는 참조 범위는 도 9에 도시한 범위 H11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 H10의 범위 H11은 화소값의 변화가 작아 플랫한 영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건 R2에 의한 판정이 행해지는 경우, 강한 필터가 적용되기 쉽다.
그러나, 기제안 필터의 적용 범위는, 도 9에 도시한 범위 H12이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위 H12에 포함되는 범위 H13은 물체(피사체)와 배경의 경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범위 H13에 디블록 필터를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범위 H13을 포함하는 범위 H12에 디블록 필터(기제안 필터)를 적용해 버리면, PSNR(Peak signal-to-noise ratio)이 크게 저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사정을 일 착안점으로 하여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를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장치의 개요>
도 10 및 도 11을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을 적용 가능한 일례로서의 장치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예를 들어 화상 부호화 장치 및 화상 복호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2-1. 화상 부호화 장치]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양태인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화상 부호화 장치(10)는, 재배열 버퍼(11), 제어부(12), 감산부(13), 직교 변환부(14), 양자화부(15), 가역 부호화부(16), 축적 버퍼(17), 역양자화부(21), 역직교 변환부(22), 가산부(23), 디블록 필터(24a), SAO 필터(25), 프레임 메모리(26), 스위치(27), 모드 설정부(28), 인트라 예측부(30) 및 인터 예측부(40)를 구비한다.
재배열 버퍼(11)는, 부호화해야 할 영상을 구성하는 일련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 처리에 관한 GOP(Group of Pictures) 구조에 따라서 재배열한다. 재배열 버퍼(11)는, 재배열 후의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12), 감산부(13), 인트라 예측부(30), 및 인터 예측부(40)로 출력한다.
제어부(12)는, 외부, 또는 미리 지정된 처리 단위의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처리 단위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제어부(12)에 의한 블록 분할에 의해, 예를 들어 상술한 QTBT의 블록 구조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12)는, 부호화 처리에 관한 부호화 파라미터를, 예를 들어 RDO(Rate-Distortion Optimization)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결정된 부호화 파라미터는, 각 부로 공급된다.
감산부(13)는, 재배열 버퍼(1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와 예측 화상 데이터의 차분인 예측 오차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직교 변환부(14)로 출력한다.
직교 변환부(14)는, 각 영역 내에 설정되는 1개 이상의 변환 블록(TU)의 각각에 대하여 직교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에서의 직교 변환은 예를 들어, 이산 코사인 변환 또는 이산 사인 변환 등이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변환부(14)는, 감산부(13)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오차 데이터를, 변환 블록마다, 공간 영역의 화상 신호로부터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직교 변환부(14)는, 변환 계수를 양자화부(15)로 출력한다.
양자화부(15)에는, 직교 변환부(14)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계수 데이터, 및 후에 설명하는 레이트 제어부(18)로부터의 레이트 제어 신호가 공급된다. 양자화부(15)는 변환 계수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양자화 후의 변환 계수 데이터(이하, 양자화 데이터라고도 칭함)를 가역 부호화부(16) 및 역양자화부(21)로 출력한다. 또한, 양자화부(15)는, 레이트 제어부(18)로부터의 레이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양자화 스케일을 전환함으로써, 가역 부호화부(16)에 입력되는 양자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변화시킨다.
가역 부호화부(16)는, 양자화부(15)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데이터를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 스트림을 생성한다. 또한, 가역 부호화부(16)는, 디코더에 의해 참조되는 다양한 부호화 파라미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부호화 파라미터를 부호화 스트림에 삽입한다. 가역 부호화부(16)에 의해 부호화되는 부호화 파라미터는, 상술한 제어부(12)에 의해 결정된 부호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역 부호화부(16)는, 생성한 부호화 스트림을 축적 버퍼(17)에 출력한다.
축적 버퍼(17)는, 가역 부호화부(16)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을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그리고, 축적 버퍼(17)는, 축적한 부호화 스트림을, 전송로의 대역에 따른 레이트로, 도시하지 않은 전송부(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주변 기기와의 접속 인터페이스 등)에 출력한다.
레이트 제어부(18)는, 축적 버퍼(17)의 빈 용량을 감시한다. 그리고, 레이트 제어부(18)는, 축적 버퍼(17)의 빈 용량에 따라서 레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레이트 제어 신호를 양자화부(15)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레이트 제어부(18)는, 축적 버퍼(17)의 빈 용량이 적을 때는, 양자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저하시키기 위한 레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레이트 제어부(18)는, 축적 버퍼(17)의 빈 용량이 충분히 클 때는, 양자화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를 높이기 위한 레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역양자화부(21), 역직교 변환부(22) 및 가산부(23)는, 로컬 디코더를 구성한다. 로컬 디코더는, 부호화된 데이터로부터 복호 화상 데이터를 로컬 복호하는 역할을 갖는다.
역양자화부(21)는, 양자화부(15)에 의해 사용된 것과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로 양자화 데이터를 역양자화하여, 변환 계수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리고, 역양자화부(21)는, 복원한 변환 계수 데이터를 역직교 변환부(22)로 출력한다.
역직교 변환부(22)는, 역양자화부(21)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역직교 변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예측 오차 데이터를 복원한다. 그리고, 역직교 변환부(22)는, 복원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가산부(23)로 출력한다.
가산부(23)는, 역직교 변환부(22)로부터 입력되는 복원된 예측 오차 데이터와 인트라 예측부(30) 또는 인터 예측부(40)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함으로써, 복호 화상 데이터(리컨스트럭트 화상)를 생성한다. 그리고, 가산부(23)는, 생성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디블록 필터(24a) 및 프레임 메모리(26)로 출력한다.
디블록 필터(24a) 및 SAO 필터(25)는, 각각, 리컨스트럭트 화상의 화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루프 필터이다.
디블록 필터(24a)는, 가산부(23)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블록 왜곡을 경감하고,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SAO 필터(25)로 출력한다. 또한, 디블록 필터(24a)에 의한 처리에 대하여,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SAO 필터(25)는, 디블록 필터(24a)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에 에지 오프셋 처리 또는 밴드 오프셋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고, 처리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6)로 출력한다.
프레임 메모리(26)는, 가산부(23)로부터 입력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 및 SAO 필터(25)로부터 입력되는 인루프 필터의 적용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기억한다.
스위치(27)는, 인트라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6)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트라 예측부(30)에 공급한다. 또한, 스위치(27)는, 인터 예측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26)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터 예측부(40)에 공급한다.
모드 설정부(28)는, 인트라 예측부(30) 및 인터 예측부(40)로부터 입력되는 비용의 비교에 기초하여, 블록마다 예측 부호화 모드를 설정한다. 모드 설정부(28)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설정한 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예측부(30)에 의해 생성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감산부(13) 및 가산부(23)로 출력함과 함께,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를 가역 부호화부(16)로 출력한다. 또한, 모드 설정부(28)는, 인터 예측 모드를 설정한 블록에 대해서는, 인터 예측부(40)에 의해 생성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감산부(13) 및 가산부(23)로 출력함과 함께,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를 가역 부호화부(16)로 출력한다.
인트라 예측부(30)는, 원화상 데이터 및 복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트라 예측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부(30)는, 탐색 범위에 포함되는 예측 모드 후보의 각각에 대하여, 예측 오차 및 발생하는 부호량에 기초하는 비용을 평가한다. 다음에, 인트라 예측부(30)는, 비용이 최소가 되는 예측 모드를 최적의 예측 모드로서 선택한다. 또한, 인트라 예측부(30)는, 선택한 최적의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트라 예측부(30)는, 최적의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하는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 대응하는 비용, 및 예측 화상 데이터를, 모드 설정부(28)로 출력한다.
인터 예측부(40)는, 원화상 데이터 및 복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터 예측 처리(움직임 보상)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인터 예측부(40)는, HEVC에 의해 사양화되어 있는 탐색 범위에 포함되는 예측 모드 후보의 각각에 대하여, 예측 오차 및 발생하는 부호량에 기초하는 비용을 평가한다. 다음에, 인터 예측부(40)는, 비용이 최소가 되는 예측 모드, 즉 압축률이 가장 높아지는 예측 모드를, 최적의 예측 모드로서 선택한다. 또한, 인터 예측부(40)는, 선택한 최적의 예측 모드에 따라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부(40)는,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 대응하는 비용, 및 예측 화상 데이터를, 모드 설정부(28)로 출력한다.
[2-2. 화상 복호 장치]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처리 장치의 일 양태인 화상 복호 장치(6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축적 버퍼(61), 가역 복호부(62), 역양자화부(63), 역직교 변환부(64), 가산부(65), 디블록 필터(24b), SAO 필터(67), 재배열 버퍼(68), D/A(Digital to Analogue) 변환부(69), 프레임 메모리(70), 셀렉터(71a 및 71b), 인트라 예측부(80) 및 인터 예측부(90)를 구비한다.
축적 버퍼(61)는, 도시하지 않은 전송부(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주변 기기와의 접속 인터페이스 등)를 통해 화상 부호화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부호화 스트림을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가역 복호부(62)는, 축적 버퍼(61)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 시에 사용된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 양자화 데이터를 복호한다. 가역 복호부(62)는, 복호한 양자화 데이터를 역양자화부(63)로 출력한다.
또한, 가역 복호부(62)는,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 영역에 삽입되어 있는 각종 부호화 파라미터를 복호한다.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복호되는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 및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역 복호부(62)는,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를 인트라 예측부(80)로 출력한다. 또한, 가역 복호부(62)는,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를 인터 예측부(90)로 출력한다.
역양자화부(63)는,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양자화 데이터를, 부호화 시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양자화 스텝으로 역양자화하여, 변환 계수 데이터를 복원한다. 역양자화부(63)는, 복원한 변환 계수 데이터를 역직교 변환부(64)로 출력한다.
역직교 변환부(64)는, 부호화 시에 사용된 직교 변환 방식에 따라서, 역양자화부(63)로부터 입력되는 변환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역직교 변환을 행함으로써, 예측 오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역직교 변환부(64)는, 생성한 예측 오차 데이터를 가산부(65)로 출력한다.
가산부(65)는, 역직교 변환부(64)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오차 데이터와, 셀렉터(71b)로부터 입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함으로써, 복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가산부(65)는, 생성한 복호 화상 데이터를 디블록 필터(24b) 및 프레임 메모리(70)로 출력한다.
디블록 필터(24b)는, 가산부(65)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블록 왜곡을 경감하고,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SAO 필터(67)로 출력한다. 또한, 디블록 필터(24b)에 의한 처리에 대하여,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SAO 필터(67)는, 디블록 필터(24b)로부터 입력되는 복호 화상 데이터에 에지 오프셋 처리 또는 밴드 오프셋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고, 처리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재배열 버퍼(68) 및 프레임 메모리(70)로 출력한다.
재배열 버퍼(68)는, SAO 필터(67)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재배열함으로써, 시계열의 일련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재배열 버퍼(68)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D/A 변환부(69)로 출력한다.
D/A 변환부(69)는, 재배열 버퍼(68)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식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D/A 변환부(69)는, 예를 들어 화상 복호 장치(60)와 접속되는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음)에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복호된 영상을 표시시킨다.
프레임 메모리(70)는, 가산부(65)로부터 입력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 및 SAO 필터(67)로부터 입력되는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를 사용하여 기억한다.
셀렉터(71a)는,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취득되는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서, 화상 내의 블록마다,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처를 인트라 예측부(80)와 인터 예측부(90) 사이에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셀렉터(71a)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 공급되는 필터링 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트라 예측부(80)로 출력한다. 또한, 셀렉터(71a)는, 인터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필터링 후의 복호 화상 데이터를 참조 화상 데이터로서 인터 예측부(90)로 출력한다.
셀렉터(71b)는, 가역 복호부(62)에 의해 취득되는 예측 모드 정보에 따라서, 가산부(65)로 공급해야 할 예측 화상 데이터의 출력원을 인트라 예측부(80)와 인터 예측부(90) 사이에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셀렉터(71b)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인트라 예측부(8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부(65)로 공급한다. 또한, 셀렉터(71b)는, 인터 예측 모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인터 예측부(9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를 가산부(65)로 공급한다.
인트라 예측부(80)는,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와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의 참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트라 예측 처리를 행하여,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트라 예측부(80)는, 생성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셀렉터(71b)로 출력한다.
인터 예측부(90)는, 가역 복호부(62)로부터 입력되는 인터 예측에 관한 정보와 프레임 메모리(70)로부터의 참조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터 예측 처리를 행하여, 예측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 예측부(90)는, 생성한 예측 화상 데이터를 셀렉터(71b)로 출력한다.
<3. 제1 실시예>
[3-1. 디블록 필터의 구성예]
본 부분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디블록 필터(24a) 및 도 11에 도시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디블록 필터(24b)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또한, 디블록 필터(24a) 및 디블록 필터(24b)의 구성은, 공통이어도 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디블록 필터(24a) 및 디블록 필터(24b)를 디블록 필터(24)라 총칭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는, 상술한 HEVC의 강필터보다도 디블록 필터의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강필터(확장 스트롱 필터)를, 확장된 적용 범위(확장 적용 범위)의 화소에 적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디블록 필터(24)는,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확장 적용 범위에 따라서 판정한다. 이하에서는, 적용 범위를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3화소로부터 7화소로 확장한 확장 강필터의 예를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확장 강필터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의 상세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블록 필터(24)는,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와, 필터 강도 판정부(120)와, 필터링부(130)를 갖는다.
(1)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는, 블록 경계에 대해, 디블록 필터를 적용해야 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는, 상술한 기존의 방법에 있어서의 조건 M 및 조건 N이 모두 참인 경우에 디블록 필터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에는, 상기 판정을 행하기 위해, 각 블록 경계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인접 블록에 대한 판정 정보가 공급된다. 여기서 공급되는 판정 정보는, 예를 들어 모드 정보, 변환 계수 정보 및 움직임 벡터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는, 각 블록 경계에 대하여 4라인 단위로의 판정으로서, 다음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조건 … 조건 M 및 조건 N이 모두 참이면 적용
-조건 M:
(M1) 블록 Bp 또는 Bq가 인트라 예측 모드이다;
(M2) 블록 Bp 또는 Bq가 비제로의 직교 변환 계수를 갖고, 블록 Bp 및 Bq 사이의 경계가 TU의 경계이다
(M3) 블록 Bp 및 Bq의 블록의 움직임 벡터의 차의 절댓값이 1화소 이상이다; 또는
(M4) 블록 Bp 및 Bq의 블록의 움직임 보상의 참조 화상이 상이하거나, 움직임 벡터의 수가 상이하다
-조건 N:
|p20-2*p10+p00|+|p23-2*q13+p03|+|p20-2*q10+q00|+|q23-2*q13+q03|<β
그리고,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는, 상기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블록 경계에 대하여,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강도마다의 필터 적용에 관한 판정을 행하게 한다. 한편,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는, 상기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블록 경계에 대하여,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강도마다의 필터 적용에 관한 판정을 스킵시킨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에 의한 판정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즉, 상술한 판정 조건과는 상이한 판정 조건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판정 조건 M1 내지 M4, N 중 어느 것이 생략되어도 되고, 다른 조건이 추가되어도 된다.
(2) 필터 강도 판정부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에 의해, 디블록 필터를 적용해야 한다고 판정된 입력 화상(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대하여, 각 강도의 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약필터, 강필터, 및 강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강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먼저, 당해 블록 경계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된다. 또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블록 경계에 대하여,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강필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블록 경계에 대하여, 약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1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다 강한 필터를 적용 가능한 블록 경계에 대하여, 보다 강한 필터가 적용되기 쉬워진다.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 강필터, 약필터 중 어느 것을 적용한다고 판정한 경우, 필터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확장 강필터, 강필터, 약필터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판정된 단위마다 필터링부(130)로 출력한다.
또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 강필터, 약필터 중 어느 것도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라인에 대하여, 필터링부(130)에 의한 디블록 필터의 적용을 스킵시킨다.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강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은, 예를 들어 상술한 HEVC의 강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 조건 A1, B1, C1을 사용하여 행해져도 된다. 또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약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은, 예를 들어 HEVC의 약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과 마찬가지로 행해져도 된다.
이하에서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확장 적용 범위)는,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7화소이며, 도 13에 도시한 화소 중 p0 내지 p6, 및 q0 내지 q6이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확장 적용 범위)에 따라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적용 범위보다 넓은 범위의 화소를 참조하여 판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는 범위에 물체와 배경의 경계 등이 존재한 경우에는,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기 어려워지도록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적절한 디블록 필터가 적용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11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11 : 이하의 조건 A110, B111 내지 B113, C110 모두가 참이면 참
(A110) |p7-p0|+|q7-q0|<(beta>>3)
(B111) |p2-2*p1+p0|+|q2-2*q1+q0|<(beta>>2)
(B112) |p4-2*p3+p2|+|q4-2*q3+q2|<(beta>>2)
(B113) |p6-2*p5+p4|+|q6-2*q5+q4|<(beta>>2)
(C1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12가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판정 조건 V12 : 이하의 조건 A110, B110, C110 모두가 참이면 참
(A110) |p7-p0|+|q7-q0|<(beta>>3)
(B110) |p2-2*p1+p0|+|q2-2*q1+q0|+|p4-2*p3+p2|+|q4-2*q3+q2|+|p6-2*p5+p4|+|q6-2*q5+q4|<(3*beta>>2)
(C1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13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13 : 이하의 조건 A110, B115, C110 모두가 참이면 참
(A110) |p7-p0|+|q7-q0|<(beta>>3)
(B115) |p6-2*p3+p0|+|q6-2*q3+q0|<(beta>>2)
(C110) |p0-q0|<((tc*5+1)>>1)
상기 조건 V11 내지 V13에 있어서, 조건 A110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13에 도시한 범위 A11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11에 있어서, 조건 B111 내지 B113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각각 도 13에 도시한 범위 B11 내지 B1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12, V13에 있어서, 조건 B110, B115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13에 도시한 범위 B11 내지 B1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11 내지 V13에 있어서, 조건 A110은, 블록 내의 평탄도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B110, B111 내지 B113, B115는, 블록 내의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C110은,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화소값을 사용하여, 블록간의 변화량(갭)을 판정하고 있다.
여기서,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 B110, B111 내지 B113, B115는, 상술한 기존의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 B1과 비교하여, 사용되는 화소가 연속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즉,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할 때 사용하는 화소가 연속적으로 확장된 조건에 따라서,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디블록 필터의 적용 범위 또는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를 대상으로 한 화소값의 평탄도, 화소값의 연속성, 화소값의 변화량(갭)의 상태를 총칭하여,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 또는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조건 V11 내지 V13 중 어느 것을 사용함으로써,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따라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한다.
또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되고, 상기 조건 V11 내지 V13 중 어느 것에 대하여, 1라인째와 4라인째의 양쪽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상기 조건 V11 내지 V13 중 어느 것과, 상술한 기존의 방법에 있어서의 조건 R1 또는 조건 R2를 조합하여,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건 R1의 역치는 16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값이 역치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3) 필터링부
필터링부(130)는,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 및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입력 화상(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디블록 필터를 적용한다.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강필터, 또는 약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경우, 예를 들어 HEVC에 있어서의 강필터, 또는 약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 이하,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확장 강필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확장 강필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는 블록 경계(p0과 q0 사이)에 있어서 블록 왜곡에 기인하는 갭 G가 있고, 블록 내의 확장 적용 범위(p0 내지 p6, 및 q0 내지 q6)에 있어서 화소값에 차가 없는(플랫한) 케이스를 상정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는, 블록 경계로부터의 위치에 따라서, G=p0-q0의 시프트량이 변화되도록, 저역 특성이 강한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왜곡이 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이하와 같은 제1 필터 계수의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1 필터 계수
p6'=Clip3(p6-2*tc, p6+2*tc, (4*p7+8*p6+4*p5-p0+q0+8)>>4)
p5'=Clip3(p5-2*tc, p5+2*tc, (4*p6+8*p5+4*p4-2*p0+2*q0+8)>>4)
p4'=Clip3(p4-2*tc, p4+2*tc, (4*p5+8*p4+4*p3-3*p0+3*q0+8)>>4)
p3'=Clip3(p3-2*tc, p3+2*tc, (4*p4+8*p3+4*p2-4*p0+4*q0+8)>>4)
p2'=Clip3(p2-2*tc, p2+2*tc, (4*p3+8*p2+4*p1-5*p0+5*q0+8)>>4)
p1'=Clip3(p1-2*tc, p1+2*tc, (4*p2+8*p1+4*p0-6*q0+6*q0+8)>>4)
p0'=Clip3(p0-2*tc, p0+2*tc, (4*p1+5*p0+7*q0+8)>>4)
q0'=Clip3(q0-2*tc, q0+2*tc, (7*p0+5*q0+4*q1+8)>>4)
q1'=Clip3(q1-2*tc, q1+2*tc, (6*p0-6*q0+4*q0+8*q1+4*q2+8)>>4)
q2'=Clip3(q2-2*tc, q2+2*tc, (5*p0-5*q0+4*q1+8*q2+4*q3+8)>>4)
q3'=Clip3(q3-2*tc, q3+2*tc, (4*p0-4*q0+4*q2+8*q3+4*q4+8)>>4)
*q4'=Clip3(q4-2*tc, q4+2*tc, (3*p0-3*q0+4*q3+8*q4+4*q5+8)>>4)
q5'=Clip3(q5-2*tc, q5+2*tc, (2*p0-2*q0+4*q4+8*q5+4*q6+8)>>4)
q6'=Clip3(q6-2*tc, q6+2*tc, (p0-q0+4*q5+8*q6+4*q7+8)>>4)
또한,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이하와 같은 제2 필터 계수의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2 필터 계수
p6'=Clip3(p6-2*tc, p6+2*tc, (6*p7+4*p6+4*p5+2*p4-p0+q0+8)>>4)
p5'=Clip3(p5-2*tc, p5+2*tc, (2*p7+4*p6+4*p5+4*p4+2*p3-2*p0+2*q0+8)>>4)
p4'=Clip3(p4-2*tc, p4+2*tc, (2*p6+4*p5+4*p4+4*p3+2*p2-3*p0+3*q0+8)>>4)
p3'=Clip3(p3-2*tc, p3+2*tc, (2*p5+4*p4+4*p3+4*p2+2*p1-4*p0+4*q0+8)>>4)
p2'=Clip3(p2-2*tc, p2+2*tc, (2*p4+4*p3+4*p2+4*p1+2*p0-5*q0+5*q0+8)>>4)
p1'=Clip3(p1-2*tc, p1+2*tc, (2*p3+4*p2+4*p1+6*q0+8)>>4)
p0'=Clip3(p0-2*tc, p0+2*tc, (2*p2+4*p1+3*p0+5*q0+2*q1+8)>>4)
q0'=Clip3(q0-2*tc, q0+2*tc, (2*p1+5*p0+3*q0+4*q1+2*q2+8)>>4)
q1'=Clip3(q1-2*tc, q1+2*tc, (6*p0+4*q1+4*q2+2*q3+8)>>4)
q2'=Clip3(q2-2*tc, q2+2*tc, (5*p0-5*q0+2*q0+4*q1+4*q2+4*q3+2*q4+8)>>4)
q3'=Clip3(q3-2*tc, q3+2*tc, (4*p0-4*q0+2*q1+4*q2+4*q3+4*q4+2*q5+8)>>4)
q4'=Clip3(q4-2*tc, q4+2*tc, (3*p0-3*q0+2*q2+4*q3+4*q4+4*q5+2*q6+8)>>4)
q5'=Clip3(q5-2*tc, q5+2*tc, (2*p0-2*q0+2*q3+4*q4+4*q5+4*q6+2*q7+8)>>4)
q6'=Clip3(q6-2*tc, q6+2*tc, (p0-q0+2*q4+4*q5+4*q6+6*q7+8)>>4)
도 15, 도 16은 본 실시예에 의한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확장 강필터의 필터 계수의 도출의 사고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술한 제1 필터 계수, 및 제2 필터 계수는, 저역 특성이 강하여, 강하게 평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블록 경계의 근방의 화소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내에서 화소값의 변화가 작은 경우에는, 제1 필터 계수, 및 제2 필터 계수에 의한 확장 강필터는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록 내에서 화소값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제1 필터 계수, 및 제2 필터 계수에 의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함으로써, 지나치게 평활화되어 버려, 예를 들어 화상이 흐려져 버릴 우려가 있다.
여기서, 도 15에 도시한 블록 경계 근방의 화소값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 성분(저역 성분)과 AC 성분(고역 성분)으로 분해하는 것을 생각한다.
DC 성분은, 예를 들어 블록 경계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블록(pi와 qi)에서 베이스가 되는 신호값이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블록 경계에 가장 가까운 값인 p0과 q0이 DC 성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DC 성분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 블록에서의 평균값(mean(p0:pn)과 mean(q0:q0))이어도 되고, 각 블록에서의 최솟값(min(p0:pn)과 min(q0: q0))이어도 된다. 또한, n은 확장 강필터의 참조 범위(탭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AC 성분은 블록 경계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블록(pi와 qi)에 있어서, 상기 DC 성분으로 감산한 잔차 신호값이다. 도 15에 도시한 예에서는, p측의 블록에서는 p0이 감산된 값, q측의 블록에서는 q0이 감산된 값이 AC 성분이다.
그리고, DC 성분에는 저역 특성이 강한 블록 왜곡 제거용 필터(예를 들어 제1 필터 계수 또는 제2 필터 계수에 의한 필터)를 적용한다. 한편, AC 성분에는, 상기와 상이한 필터, 예를 들어 블록 왜곡 제거용 필터와는 상이한 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AC 성분에는 저역 특성이 약한 FIR 필터나, 바이래터럴 필터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AC 성분에는 필터가 적용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DC 성분에는 이하와 같은 제3 필터 계수의 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3 필터 계수
p0 위치 : p0-7/16*(p0-q0)=p0-7*(p0-q0)>>4
p1 위치 : p0-6/16*(p0-q0)=p0-6*(p0-q0)>>4
p2 위치 : p0-5/16*(p0-q0)=p0-5*(p0-q0)>>4
p3 위치 : p0-4/16*(p0-q0)=p0-4*(p0-q0)>>4
p4 위치 : p0-3/16*(p0-q0)=p0-3*(p0-q0)>>4
p5 위치 : p0-2/16*(p0-q0)=p0-2*(p0-q0)>>4
p6 위치 : p0-1/16*(p0-q0)=p0-1*(p0-q0)>>4
또한, AC 성분에는 이하와 같이, 주목 화소를 중심으로, 121의 계수인 제4 필터 계수의 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4 필터 계수
p0 위치 : {1*(p1-p0)+2*(p0-p0)+1*(q0-q0)}/4=1*(p1-p0)>>2
p1 위치 : {1*(p2-p0)+2*(p1-p0)+1*(p0-p0)}/4={1*(p2-p0)+2*(p1-p0)}>>2
p2 위치 : {1*(p3-p0)+2*(p2-p0)+1*(p1-q0)}/4={1*(p3-p0)+2*(p2-p0)+1*(p1-q0)}>>2
p3 위치 : {1*(p4-p0)+2*(p3-p0)+1*(p2-q0)}/4={1*(p4-p0)+2*(p3-p0)+1*(p2-q0)}>>2
p4 위치 : {1*(p5-p0)+2*(p4-p0)+1*(p3-q0)}/4={1*(p5-p0)+2*(p4-p0)+1*(p3-q0)}>>2
p5 위치 : {1*(p6-p0)+2*(p5-p0)+1*(p4-q0)}/4={1*(p6-p0)+2*(p5-p0)+1*(p4-q0)}>>2
p6 위치 : {1*(p7-p0)+2*(p6-p0)+1*(p5-q0)}/4={1*(p7-p0)+2*(p6-p0)+1*(p5-q0)}>>2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상술한 제3 필터 계수와 제4 필터 계수를 통합하여 얻어지는 이하와 같은 제5 필터 계수의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5 필터 계수
p0'=Clip3(p0-2*tc, p0+2*tc, 1*(p1-p0)>>2+p0-7*(p0-q0)>>4+offset0)
=Clip3(p0-2*tc, p0+2*tc, (4*p1+5*p0+7*q0+offset0)>>4)
p1'=Clip3(p1-2*tc, p1+2*tc, {1*(p2-p0)+2*(p1-p0)}>>2+p0-6*(p0-q0)>>4+offset1)
=Clip3(p1-2*tc, p1+2*tc, (4*p2+8*p1+4*p0-6*p0+6*q0+offset1)>>4))
p2'=Clip3(p2-2*tc, p2+2*tc, {1*(p3-p0)+2*(p2-p0)+1*(p1-p0)}>>2
+p0-5*(p0-q0)>>4+offset2)
=Clip3(p2-2*tc, p2+2*tc, (4*p3+8*p2+4*p1-5*p0+5*q0+offset2)>>4)
p3'=Clip3(p3-2*tc, p3+2*tc, {1*(p4-p0)+2*(p3-p0)+1*(p2-p0)}>>2
+p0-4*(p0-q0)>>4+offset3)
=Clip3(p3-2*tc, p3+2*tc, (4*p4+8*p3+4*p2-4*p0+4*q0+offset3)>>4)
p4'=Clip3(p4-2*tc, p4+2*tc, {1*(p5-p0)+2*(p4-p0)+1*(p3-p0)}>>2
+p0-3*(p0-q0)>>4+offset4)
=Clip3(p4-2*tc, p4+2*tc, (4*p5+8*p4+4*p3-3*p0+3*q0+offset4)>>4)
p5'=Clip3(p5-2*tc, p5+2*tc, 1*(p6-p0)+2*(p5-p0)+1*(p4-p0)}>>2
+p0-2*(p0-q0)>>4+offset5)
=Clip3(p5-2*tc, p5+2*tc, (4*p6+8*p5+4*p4-2*p0+2*q0+offset5)>>4)
p6'=Clip3(p6-2*tc, p6+2*tc, {1*(p7-p0)+2*(p6-p0)+1*(p5-p0)}>>2
+p0-1*(p0-q0)>>4+offset6)
=Clip3(p6-2*tc, p6+2*tc, (4*p7+8*p6+4*p5-p0+q0+offset6)>>4)
또한, AC 성분에는 이하와 같은 주목 화소를 중심으로, 12221의 계수인 제6 필터 계수의 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6 필터 계수
p0 위치 : {1*(p2-p0)+2*(p1-p0)+2*(p0-p0)+2*(q0-q0)+1*(q1-q0)}/8
={1*(p2-p0)+2*(p1-p0)+1*(q1-q0)}>>3
p1 위치 : {1*(p3-p0)+2*(p2-p0)+2*(p1-p0)+2*(p0-p0)+1*(q0-q0)}/8
={1*(p3-p0)+2*(p2-p0)+2*(p1-p0)}>>3
p2 위치 : {1*(p4-p0)+2*(p3-p0)+2*(p2-p0)+2*(p1-p0)+1*(p0-p0)}/8
={1*(p4-p0)+2*(p3-p0)+2*(p2-p0)+2*(p1-p0)}>>3
p3 위치 : {1*(p5-p0)+2*(p4-p0)+2*(p3-p0)+2*(p2-p0)+1*(p1-p0)}/8
={1*(p5-p0)+2*(p4-p0)+2*(p3-p0)+2*(p2-p0)+1*(p1-p0)}>>3
p4 위치 : {1*(p6-p0)+2*(p5-p0)+2*(p4-p0)+2*(p3-p0)+1*(p2-p0)}/8
={1*(p6-p0)+2*(p5-p0)+2*(p4-p0)+2*(p3-p0)+1*(p2-p0)}>>3
p5 위치 : {1*(p7-p0)+2*(p6-p0)+2*(p5-p0)+2*(p4-p0)+1*(p3-p0)}/8
={1*(p7-p0)+2*(p6-p0)+2*(p5-p0)+2*(p4-p0)+1*(p3-p0)}>>3
p6 위치 : {1*(p7-p0)+2*(p7-p0)+2*(p6-p0)+2*(p5-p0)+1*(p4-p0)}/8
={3*(p7-p0)+2*(p6-p0)+2*(p5-p0)+1*(p4-p0)}>>3
또한, 상기 제6 필터 계수의 p6 위치에 있어서는, 가장 좌측의 참조 화소는 p8이지만,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판정에 있어서 참조되는 화소가 p7까지이므로, p8의 대용으로서 p7을 이용하고 있다.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상술한 제3 필터 계수와 제6 필터 계수를 통합하여 얻어지는 이하와 같은 제7 필터 계수의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7 필터 계수
p0'=Clip3(p0-2*tc, p0+2*tc, {1*(p2-p0)+2*(p1-p0)+1*(q1-q0)}>>3
+p0-7*(p0-q0)>>4+offset0)
=Clip3(p0-2*tc, p0+2*tc, (2*p2+4*p1+3*p0+5*q0+2*q1+offset0)>>4)
p1'=Clip3(p1-2*tc, p1+2*tc, {1*(p3-p0)+2*(p2-p0)+2*(p1-p0)}>>3
+p0-6*(p0-q0)>>4+offset1)
=Clip3(p1-2*tc, p1+2*tc, (2*p3+4*p2+4*p1+6*q0+offset1)>>4)
p2'=Clip3(p2-2*tc, p2+2*tc, {1*(p4-p0)+2*(p3-p0)+2*(p2-p0)+2*(p1-p0)}>>3
+p0-5*(p0-q0)>>4+offset2)
=Clip3(p2-2*tc, p2+2*tc, (2*p4+4*p3+4*p2+4*p1-3*p0+5*q0+offset2)>>4)
p3'=Clip3(p3-2*tc, p3+2*tc, {1*(p5-p0)+2*(p4-p0)+2*(p3-p0)+2*(p2-p0)
+1*(p1-p0)}>>3+p0-4*(p0-q0)>>4+offset3)
=Clip3(p3-2*tc, p3+2*tc, (2*p5+4*p4+4*p3+4*p2+2*p1-4*p0+4*q0+offset3)>>4)
p4'=Clip3(p4-2*tc, p4+2*tc, {1*(p6-p0)+2*(p5-p0)+2*(p4-p0)+2*(p3-p0)
+1*(p2-p0)}>>3+p0-3*(p0-q0)>>4+offset4)
=Clip3(p4-2*tc, p4+2*tc, (2*p6+4*p5+4*p4+4*p3+2*p2-3*p0+3*q0+offset4)>>4)
p5'=Clip3(p5-2*tc, p5+2*tc, {1*(p7-p0)+2*(p6-p0)+2*(p5-p0)+2*(p4-p0)
+1*(p3-p0)}>>3+p0-2*(p0-q0)>>4+offset5)
=Clip3(p5-2*tc, p5+2*tc, (2*p7+4*p6+4*p5+4*p4+2*p3-2*p0+2*q0+offset5)>>4)
p6'=Clip3(p6-2*tc, p6+2*tc, {3*(p7-p0)+2*(p6-p0)+2*(p5-p0)+1*(p4-p0)}>>3
+p0-1*(p0-q0)>>4+offset6)
=Clip3(p6-2*tc, p6+2*tc, (6*p7+4*p6+4*p5+2*p4-p0+q0+offset6)>>4)
또한, AC 성분에는 필터를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경우,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상술한 제3 필터 계수와 AC 성분을 통합하여 얻어지는 이하와 같은 제8 필터 계수의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8 필터 계수
p0'=Clip3(p0-2*tc, p0+2*tc, 0+p0-7*(p0-q0)>>4+offset0)
=Clip3(p0-2*tc, p0+2*tc, (9*p0+7*q0+offset0)>>4)
p1'=Clip3(p1-2*tc, p1+2*tc, p1-p0+p0-6*(p0-q0)>>4+offset1)
=Clip3(p1-2*tc, p1+2*tc, (16*p1-6*p0+6*q0+offset1)>>4)
p2'=Clip3(p2-2*tc, p2+2*tc, p2-p0+p0-5*(p0-q0)>>4+offset2)
=Clip3(p2-2*tc, p2+2*tc, (16*p2-5*p0+5*q0+offset2)>>4)
p3'=Clip3(p3-2*tc, p3+2*tc, p3-p0+p0-4*(p0-q0)>>4+offset3)
=Clip3(p3-2*tc, p3+2*tc, (16*p3-4*p0+4*q0+offset3)>>4)
p4'=Clip3(p4-2*tc, p4+2*tc, p4-p0+p0-3*(p0-q0)>>4+offset4)
=Clip3(p4-2*tc, p4+2*tc, (16*p4-3*p0+3*q0+offset4)>>4)
p5'=Clip3(p5-2*tc, p5+2*tc, p5-p0+p0-2*(p0-q0)>>4+offset5)
=Clip3(p5-2*tc, p5+2*tc, (16*p5-2*p0+2*q0+offset5)>>4)
p6'=Clip3(p6-2*tc, p6+2*tc, p6-p0+p0-1*(p0-q0)>>4+offset6)
=Clip3(p6-2*tc, p6+2*tc, (16*p6-p0+q0+offset6)>>4)
[3-2. 처리의 흐름]
도 17은 본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에 의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의 스텝 S110부터 스텝 S180까지의 처리는, 입력 화상 내의 4라인 단위의 블록 경계의 각각에 대하여 반복된다.
먼저,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는, 처리 대상의 1개의 경계(이하, 주목 경계라 함)에 대하여, 디블록 필터의 적용 필요 여부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한다(S110). 여기서, 필터 적용 필요 여부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후의 스텝 S120부터 스텝 S170까지의 처리는 스킵된다. 한편, 경계 단위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120으로 진행된다.
스텝 S120에 있어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가,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따라서,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한다.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S120에 있어서 "예"), 처리는 스텝 S130으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
한편,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S120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140으로 진행되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가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한다.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S140에 있어서 "예"), 처리는 스텝 S150으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강필터를 적용한다.
한편,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S140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160으로 진행되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가, 약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1라인 단위로 판정한다. 약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S160에 있어서 "예"), 처리는 스텝 S170으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당해 라인에 약필터를 적용한다.
스텝 S180에 있어서, 입력 화상에 미처리의 경계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스텝 S180에 있어서 "예"), 새로운 주목 경계가 설정되고, 처리는 스텝 S110으로 되돌아간다. 미처리의 경계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화상(복호 화상)에 관한 처리는 종료된다.
[3-3. 변형예]
이상,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되는 확장 강필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용 범위를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3화소로부터 5화소로 확장한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이러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 판정과 필터 계수에 대하여 도 18,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변형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확장 적용 범위)는,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5화소이며, 도 18에 도시한 화소 중 p0 내지 p4, 및 q0 내지 q4가 대응한다.
본 변형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적용 범위에 따라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를 참조하여 판정 처리를 행해도 되고, 확장 적용 범위보다 넓은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를 참조하여 판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21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21 : 이하의 조건 A210, B211, B212, C210 모두가 참이면 참
(A210) |p5-p0|+|q5-q0|<(beta>>3)
(B211) |p2-2*p1+p0|+|q2-2*q1+q0|<(beta>>2)
(B212) |p4-2*p3+p2|+|q4-2*q3+q2|<(beta>>2)
(C2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22가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판정 조건 V22 : 이하의 조건 A210, B210, C210 모두가 참이면 참
(A210) |p5-p0|+|q5-q0|<(beta>>3)
(B210) |p2-2*p1+p0|+|q2-2*q1+q0|+|p4-2*p3+p2|+|q4-2*q3+q2|<(2*beta>>2)
(C2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13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23 : 이하의 조건 A210, B215, C210 모두가 참이면 참
(A210) |p5-p0|+|q5-q0|<(beta>>3)
(B215) |p4-2*p2+p0|+|q4-2*q2+q0|<(beta>>2)
(C210) |p0-q0|<((tc*5+1)>>1)
상기 조건 V21 내지 V23에 있어서, 조건 A210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18에 도시한 범위 A21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21에 있어서, 조건 B211, B212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각각 도 18에 도시한 범위 B21, B2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22, V23에 있어서, 조건 B210, B215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18에 도시한 범위 B21 및 B2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21 내지 V23에 있어서, 조건 A210은, 블록 내의 평탄도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B210, B211, B212, B215는, 블록 내의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C210은,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화소값을 사용하여, 블록간의 변화량(갭)을 판정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변형예에 관한 필터 계수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확장 강필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는 블록 경계(p0과 q0 사이)에 있어서 블록 왜곡에 기인하는 갭 G가 있고, 블록 내의 확장 적용 범위(p0 내지 p4, 및 q0 내지 q4)에 있어서 화소값에 차가 없는(플랫한) 케이스를 상정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는, 블록 경계로부터의 위치에 따라서, G=p0-q0의 시프트량이 변화되도록, 저역 특성이 강한 필터를 적용함으로써,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왜곡이 저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이하와 같은 제9 필터 계수의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9 필터 계수
p4'=Clip3(p4-2*tc, p4+2*tc, (4*p5+8*p4+4*p3-2*p0+2*q0+8)>>4)
p3'=Clip3(p3-2*tc, p3+2*tc, (4*p4+8*p3+4*p2-4*p0+4*q0+8)>>4)
*p2'=Clip3(p2-2*tc, p2+2*tc, (4*p3+8*p2+4*p1-5*p0+5*q0+8)>>4)
p1'=Clip3(p1-2*tc, p1+2*tc, (4*p2+8*p1+4*p0-6*q0+6*q0+8)>>4)
p0'=Clip3(p0-2*tc, p0+2*tc, (4*p1+5*p0+7*q0+8)>>4)
q0'=Clip3(q0-2*tc, q0+2*tc, (7*p0+5*q0+4*q1+8)>>4)
q1'=Clip3(q1-2*tc, q1+2*tc, (6*p0-6*q0+4*q0+8*q1+4*q2+8)>>4)
q2'=Clip3(q2-2*tc, q2+2*tc, (5*p0-5*q0+4*q1+8*q2+4*q3+8)>>4)
q3'=Clip3(q3-2*tc, q3+2*tc, (4*p0-4*q0+4*q2+8*q3+4*q4+8)>>4)
q4'=Clip3(q4-2*tc, q4+2*tc, (2*p0-2*q0+4*q3+8*q4+4*q5+8)>>4)
또한,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된 화소에, 이하와 같은 제10 필터 계수의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제10 필터 계수
p4'=Clip3(p4-2*tc, p4+2*tc, (2*p6+4*p5+4*p4+4*p3+2*p2-2*p0+2*q0+8)>>4)
p3'=Clip3(p3-2*tc, p3+2*tc, (2*p5+4*p4+4*p3+4*p2+2*p1-4*p0+4*q0+8)>>4)
p2'=Clip3(p2-2*tc, p2+2*tc, (2*p4+4*p3+4*p2+4*p1+2*p0-5*q0+5*q0+8)>>4)
p1'=Clip3(p1-2*tc, p1+2*tc, (2*p3+4*p2+4*p1+6*q0+8)>>4)
p0'=Clip3(p0-2*tc, p0+2*tc, (2*p2+4*p1+3*p0+5*q0+2*q1+8)>>4)
q0'=Clip3(q0-2*tc, q0+2*tc, (2*p1+5*p0+3*q0+4*q1+2*q2+8)>>4)
q1'=Clip3(q1-2*tc, q1+2*tc, (6*p0+4*q1+4*q2+2*q3+8)>>4)
q2'=Clip3(q2-2*tc, q2+2*tc, (5*p0-5*q0+2*q0+4*q1+4*q2+4*q3+2*q4+8)>>4)
q3'=Clip3(q3-2*tc, q3+2*tc, (4*p0-4*q0+2*q1+4*q2+4*q3+4*q4+2*q5+8)>>4)
q4'=Clip3(q4-2*tc, q4+2*tc, (2*p0-2*q0+2*q2+4*q3+4*q4+4*q5+2*q6+8)>>4)
또한, 본 변형예에 관한 필터 계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DC 성분과 AC 성분의 통합에 의해 얻어지는 필터 계수여도 된다.
이상,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확장 적용 범위)는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3화소보다 넓은 범위이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범위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변형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는,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7화소를 적용으로 하는 확장 강필터와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복수의 확장 강필터가 조합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보다 적용 범위가 넓은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먼저 판정되고, 당해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당해 확장 강필터보다 적용 범위가 좁은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가 순차적으로 판정되어도 된다.
<4. 제2 실시예>
[4-1. 디블록 필터의 구성예]
계속해서, 제2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는,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과 다른 측에 있어서, 필터의 강도(예를 들어 적용 범위)가 상이한 디블록 필터(비대칭의 디블록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에만 확장 강필터가 적용됨으로써, 탭 형상이 비대칭인 경우의 디블록 필터를, 비대칭의 확장 강필터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의 기본적인 구성은,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단, 본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 및 필터링부(130)의 기능이 제1 실시예와 일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기능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하면서,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 및 필터링부(130)의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제1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와 마찬가지로 약필터, 강필터 및 강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강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을 행한다.
단,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에 관한 판정을 행하기 전에, 당해 블록 경계가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당해 블록 경계가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판정된 경우,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마다,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대소의 블록이 인접하는 경계라도, 예를 들어 큰 블록에 대해서만,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영역 H20과 같이 대소의 블록이 인접한 것에 의해, 기존의 판정 방법에서는 강필터보다 적용 범위가 확장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라도, 본 실시예에 의하면, 큰 블록측의 화소에 확장 강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의 근방에만 물체와 배경의 경계가 존재하는 것 등에 의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라도, 다른 측의 근방의 화소에는 확장 강필터를 적용하도록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보다 블록 왜곡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를 적용하지 않는다(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 측의 블록에 대하여,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제1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와 마찬가지로,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고 판정한 블록 경계에 대하여, 약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1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에 관한 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는, 예를 들어 편측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7화소이며, 도 20에 도시한 화소 중 p0 내지 p6이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에 따라서,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마다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보다 넓은 범위의 화소를 참조하여 판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는 범위에 물체와 배경의 경계 등이 존재한 경우에는,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기 어려워지도록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적절한 디블록 필터가 적용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31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31 : 이하의 조건 A310, B311 내지 B313, C310 모두가 참이면 참
(A310) |p7-p0|<(beta>>4)
(B311) |p2-2*p1+p0|<(beta>>3)
(B312) |p4-2*p3+p2|<(beta>>3)
(B313) |p6-2*p5+p4|<(beta>>3)
(C3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32가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판정 조건 V32 : 이하의 조건 A310, B310, C310 모두가 참이면 참
(A310) |p7-p0|<(beta>>4)
(B310) |p2-2*p1+p0|+|p4-2*p3+p2|+|p6-2*p5+p4|<(3*beta>>3)
(C3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33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33 : 이하의 조건 A310, B315, C310 모두가 참이면 참
(A310) |p7-p0|<(beta>>4)
(B315) |p6-2*p3+p0|<(beta>>3)
(C310) |p0-q0|<((tc*5+1)>>1)
상기 조건 V31 내지 V33에 있어서, 조건 A310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20에 도시한 범위 A31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31에 있어서, 조건 B311 내지 B313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각각 도 20에 도시한 범위 B31 내지 B3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32, V33에 있어서, 조건 B310, B315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20에 도시한 범위 B31 내지 B3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31 내지 V33에 있어서, 조건 A310은, 블록 내의 평탄도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B310, B311 내지 B313, B315는, 블록 내의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C310은,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화소값을 사용하여, 블록간의 변화량(갭)을 판정하고 있다.
여기서, 화소값의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 B310, B311 내지 B313, B315는,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의 블록에 있어서 독립적인 조건이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 처리를 독립하여 행한다. 또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블록 경계의 상태에 따라서, 연속성 판정 처리를 독립하여 행하도록 해도 된다.
특히, QTBT에 의한 블록 분할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인접하는 블록의 사이즈나 형상(정사각형, 직사각형)에 기인하여 상이한 블록 경계의 길이, 각 블록 경계의 간격 등이 변화되기 쉽고, 상기 기인에 수반되는 블록 경계의 변화의 상황을, 본 명세서에서는 블록 경계의 상태라 칭한다.
또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되고, 상기 조건 V31 내지 V33 중 어느 것에 대하여, 1라인째와 4라인째의 양쪽이 만족되는 경우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링부(13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 및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입력 화상(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디블록 필터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링부(130)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에 의해 판정된 필터를 적용한다. 단, 본 실시예에 관한 필터링부(130)는, 편측마다 확장 강필터, 및 강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비대칭의 확장 강필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에서는, 필터링부(130)가 p측에 확장 강필터, q측에 강필터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p측에 적용되는 확장 강필터의 필터 계수는,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필터 계수여도 된다. 또한, q측에 적용되는 강필터의 필터 계수는, HEVC의 강필터의 필터 계수여도 된다.
[4-2. 처리의 흐름]
도 22는 본 실시예에 관한 디블록 필터(24)에 의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의 스텝 S210부터 스텝 S260까지의 처리는, 입력 화상 내의 4라인 단위의 블록 경계의 각각에 대하여 반복된다.
먼저,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110)는, 처리 대상의 1개의 경계(이하, 주목 경계라 함)에 대하여, 디블록 필터의 적용 필요 여부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한다(S210). 여기서, 필터 적용 필요 여부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후의 스텝 S220부터 스텝 S250까지의 처리는 스킵된다. 한편, 경계 단위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S220으로 진행된다.
스텝 S220에 있어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가,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한다.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S220에 있어서 "예"), 처리는 스텝 S230으로 진행되어,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마다 판정과 필터의 적용이 행해진다. 또한, 스텝 S230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2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S220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460으로 진행되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가, 약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1라인 단위로 판정한다. 약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S240에 있어서 "예"), 처리는 스텝 S250으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당해 라인에 약필터를 적용한다.
스텝 S260에 있어서, 입력 화상에 미처리의 경계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스텝 S260에 있어서 "예"), 새로운 주목 경계가 설정되고, 처리는 스텝 S260으로 되돌아간다. 미처리의 경계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 화상(복호 화상)에 대한 처리는 종료된다.
도 23은 도 22의 스텝 S230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는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마다(p측, q측)에 있어서, 각각 병렬로 행해져도 된다. 스텝 S231에 있어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p측의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따라서,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한다.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S231에 있어서 "예"), 처리는 스텝 S232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p측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 한편,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S231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33으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p측에 강필터를 적용한다.
q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스텝 S235에 있어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q측의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따라서,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한다.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S235에 있어서 "예"), 처리는 스텝 S236으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q측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 한편, 확장 강필터의 판정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S235에 있어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 S237로 진행되어, 필터링부(130)가 q측에 강필터를 적용한다.
[4-3. 변형예]
이상,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되는 확장 강필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 범위를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3화소로부터 5화소로 확장한 확장 강필터가 적용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이러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 판정과 필터 계수에 대하여 도 24,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변형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를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p측)의 화소에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변형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는,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5화소이며,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한 화소 중 p0 내지 p4가 대응한다.
본 변형예에 관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에 따라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확장 강필터의 적용 범위보다 넓은 범위의 화소를 참조하여 판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61이 만족되는 경우에, p측의 화소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61 : 이하의 조건 A610, B611, B612, C610 모두가 참이면 참
(A610) |p5-p0|<(beta>>4)
(B611) |p2-2*p1+p0|<(beta>>3)
(B612) |p4-2*p3+p2|<(beta>>3)
(C6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62가 만족되는 경우에, p측의 화소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판정 조건 V62 : 이하의 조건 A610, B610, C610 모두가 참이면 참
(A610) |p5-p0|<(beta>>4)
(B610) |p2-2*p1+p0|+|p4-2*p3+p2|<(2*beta>>3)
(C610) |p0-q0|<((tc*5+1)>>1)
또한, 판정 조건의 다른 예로서,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다음 조건 V63이 만족되는 경우에, p측의 화소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조건 V63 : 이하의 조건 A610, B615, C610 모두가 참이면 참
(A610) |p5-p0|<(beta>>4)
(B615) |p4-2*p2+p0|<(beta>>3)
(C610) |p0-q0|<((tc*5+1)>>1)
상기 조건 V61 내지 V63에 있어서, 조건 A610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18에 도시한 범위 A61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61에 있어서, 조건 B611, B612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각각 도 24에 도시한 범위 B61, B6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62, V63에 있어서, 조건 B610, B615에서 참조되는 화소의 범위는, 도 24에 도시한 범위 B61 및 B62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건 V61 내지 V63에 있어서, 조건 A610은, 블록 내의 평탄도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B610, B611, B612, B615는, 블록 내의 연속성의 판정을 행하는 조건이다. 또한, 조건 C610은, 블록 경계에 인접하는 화소값을 사용하여, 블록간의 변화량(갭)을 판정하고 있다.
계속해서, 본 변형예에 관한 비대칭의 디블록 필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필터링부(130)가 적용하는 비대칭의 디블록 필터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5에서는, 필터링부(130)가 p측에 본 변형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 q측에 강필터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p측에 적용되는 본 변형예에 관한 확장 강필터의 필터 계수는,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필터 계수여도 된다. 또한, q측에 적용되는 강필터의 필터 계수는, HEVC의 강필터의 필터 계수여도 된다.
<5. 하드웨어 구성예>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26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컴퓨터(8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801), ROM(Read Only Memory)(802), RAM(Random Access Memory)(803)은, 버스(804)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8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810)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10)에는, 입력부(811), 출력부(812), 기억부(813), 통신부(814), 및 드라이브(815)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811)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터치 패널, 입력 단자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81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출력 단자 등을 포함한다. 기억부(813)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RAM 디스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814)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드라이브(815)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82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에서는, CPU(801)가, 예를 들어 기억부(81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810) 및 버스(804)를 통해, RAM(8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RAM(803)에는 또한, CPU(80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컴퓨터(CPU(8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821)에 기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821)를 드라이브(815)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기억부(813)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그 경우, 프로그램은, 통신부(814)에서 수신하고, 기억부(813)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이 프로그램은, ROM(802)이나 기억부(813)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도 있다.
<6. 응용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 및 화상 복호 장치(60)는, 위성 방송, 케이블 TV 등의 유선 방송, 인터넷 상에서의 배신, 및 셀룰러 통신에 의한 단말기로의 배신 등에 있어서의 송신기 혹은 수신기,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의 매체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장치, 또는, 이들 기억 매체로부터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에 응용될 수 있다.
(1) 제1 응용예 : 텔레비전 수상기
도 27은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텔레비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텔레비전 장치(900)는, 안테나(901), 튜너(902), 디멀티플렉서(903), 디코더(904), 영상 신호 처리부(905), 표시부(906), 음성 신호 처리부(907), 스피커(908), 외부 인터페이스(I/F)(909), 제어부(910), 유저 인터페이스(I/F)(911) 및 버스(912)를 구비한다.
튜너(902)는, 안테나(90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튜너(902)는, 복조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서(903)에 출력한다. 즉, 튜너(902)는, 화상이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스트림을 수신하는,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의 전송부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디멀티플렉서(90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시청 대상의 프로그램의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분리하고, 분리한 각 스트림을 디코더(904)로 출력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90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보조적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제어부(910)에 공급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90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이 스크램블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램블을 행해도 된다.
디코더(904)는, 디멀티플렉서(9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복호한다. 그리고, 디코더(904)는, 복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신호 처리부(905)로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904)는, 복호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부(907)로 출력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디코더(904)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부(906)에 영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부(906)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에 따라서, 예를 들어 노이즈 제거 등의 추가적인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905)는, 예를 들어 메뉴, 버튼 또는 커서 등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출력 화상에 중첩해도 된다.
표시부(906)는, 영상 신호 처리부(90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표시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영상면 상에 영상 또는 화상을 표시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907)는, 디코더(90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D/A 변환 및 증폭 등의 재생 처리를 행하여, 스피커(908)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907)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등의 추가적인 처리를 행해도 된다.
외부 인터페이스(909)는, 텔레비전 장치(900)와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09)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스트림 또는 음성 스트림이, 디코더(904)에 의해 복호되어도 된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909)도 또한, 화상이 부호화되어 있는 부호화 스트림을 수신하는,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의 전송부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제어부(910)는, CPU 등의 프로세서, 및 RAM 및 ROM 등의 메모리를 갖는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프로그램 데이터, EPG 데이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에 의해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장치(900)의 기동 시에 CPU에 의해 읽어들여져,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텔레비전 장치(9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는 제어부(910)와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는, 예를 들어 유저가 텔레비전 장치(90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 및 스위치, 그리고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부 등을 갖는다. 유저 인터페이스부(911)는, 이들 구성 요소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910)로 출력한다.
버스(912)는, 튜너(902), 디멀티플렉서(903), 디코더(904), 영상 신호 처리부(905), 음성 신호 처리부(907), 외부 인터페이스(909) 및 제어부(910)를 서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 디코더(904)가, 상술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디코더(904)가, 부호화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으로 복호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텔레비전 장치(900)는,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텔레비전 장치(900)에 있어서, 영상 신호 처리부(905)가, 예를 들어 디코더(90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909)를 통해 텔레비전 장치(900)의 외부에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그 영상 신호 처리부(905)가,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영상 신호 처리부(905)가, 디코더(90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으로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텔레비전 장치(900)는,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제2 응용예 : 휴대 전화기
도 28은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 전화기(920)는, 안테나(921), 통신부(922), 음성 코덱(923), 스피커(924), 마이크로폰(925), 카메라부(926), 화상 처리부(927), 다중 분리부(928), 기록 재생부(929), 표시부(930), 제어부(931), 조작부(932), 및 버스(933)를 구비한다.
안테나(921)는 통신부(922)에 접속된다. 스피커(924) 및 마이크로폰(925)은 음성 코덱(923)에 접속된다. 조작부(932)는 제어부(931)에 접속된다. 버스(933)는, 통신부(922), 음성 코덱(923), 카메라부(926), 화상 처리부(927), 다중 분리부(928), 기록 재생부(929), 표시부(930) 및 제어부(931)를 서로 접속한다.
휴대 전화기(920)는, 음성 통화 모드, 데이터 통신 모드, 촬영 모드 및 텔레비전 전화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 모드에서, 음성 신호의 송수신, 전자 메일 또는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 화상의 촬상, 및 데이터의 기록 등의 동작을 행한다.
음성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로폰(925)에 의해 생성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음성 코덱(923)에 공급된다. 음성 코덱(923)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A/D 변환하여 압축한다. 그리고, 음성 코덱(923)은, 압축 후의 음성 데이터를 통신부(922)로 출력한다. 통신부(922)는,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수신 신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 코덱(923)에 출력한다. 음성 코덱(923)은, 음성 데이터를 신장 및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음성 코덱(923)은, 생성한 음성 신호를 스피커(924)에 공급하여 음성을 출력시킨다.
또한,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예를 들어 제어부(931)는, 조작부(932)를 통한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전자 메일을 구성하는 문자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931)는, 문자를 표시부(930)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931)는, 조작부(932)를 통한 유저로부터의 송신 지시에 따라서 전자 메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자 메일 데이터를 통신부(922)로 출력한다. 통신부(922)는, 전자 메일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수신 신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전자 메일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한 전자 메일 데이터를 제어부(931)로 출력한다. 제어부(931)는, 표시부(930)에 전자 메일의 내용을 표시시킴과 함께, 전자 메일 데이터를 기록 재생부(929)에 공급하여, 그 기억 매체에 기입시킨다.
기록 재생부(929)는, 판독 기입 가능한 임의의 기억 매체를 갖는다. 예를 들어, 기억 매체는,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내장형 기억 매체여도 되고, 하드 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장착형 기억 매체여도 된다.
또한, 촬영 모드에서, 예를 들어 카메라부(926)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927)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카메라부(926)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 스트림을 기록 재생부(929)에 공급하여, 그 기억 매체에 기입시킨다.
또한, 화상 표시 모드에서, 기록 재생부(929)는,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부호화 스트림을 판독하여 화상 처리부(927)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기록 재생부(929)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하고,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30)에 공급하여, 그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텔레비전 전화 모드에서, 예를 들어 다중 분리부(928)는, 화상 처리부(927)에 의해 부호화된 영상 스트림과, 음성 코덱(923)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스트림을 다중화하고, 다중화한 스트림을 통신부(922)로 출력한다. 통신부(922)는, 스트림을 부호화 및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생성한 송신 신호를, 안테나(921)를 통해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922)는, 안테나(92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수신 신호를 취득한다. 이들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에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922)는, 수신 신호를 복조 및 복호하여 스트림을 복원하고, 복원한 스트림을 다중 분리부(928)로 출력한다. 다중 분리부(928)는, 입력되는 스트림으로부터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분리하고, 영상 스트림을 화상 처리부(927), 음성 스트림을 음성 코덱(923)으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27)는, 영상 스트림을 복호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영상 데이터는, 표시부(930)에 공급되어, 표시부(930)에 의해 일련의 화상이 표시된다. 음성 코덱(923)은, 음성 스트림을 신장 및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음성 코덱(923)은, 생성한 음성 신호를 스피커(924)에 공급하여 음성을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기(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화상 처리부(927)가,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화상 처리부(927)가, 화상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으로 부호화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920)는,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전화기(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화상 처리부(927)가, 상술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즉, 화상 처리부(927)가, 부호화 데이터를,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으로 복호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휴대 전화기(920)는,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제3 응용예 : 기록 재생 장치
도 29는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기록 재생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다른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940)는, 예를 들어 유저의 지시에 따라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모니터 및 스피커 상에서 재생한다. 이때, 기록 재생 장치(940)는,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복호한다.
기록 재생 장치(940)는, 튜너(941), 외부 인터페이스(942), 인코더(943), HDD(Hard Disk Drive)(944), 디스크 드라이브(945), 셀렉터(946), 디코더(947), OSD(On-Screen Display)(948), 제어부(949), 및 유저 인터페이스(950)를 구비한다.
튜너(941)는,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원하는 채널의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신호를 복조한다. 그리고, 튜너(941)는, 복조에 의해 얻어진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셀렉터(946)로 출력한다. 즉, 튜너(941)는, 기록 재생 장치(940)에 있어서의 전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외부 인터페이스(942)는, 기록 재생 장치(940)와 외부 기기 또는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인터페이스(942)는, 예를 들어 IEEE1394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또는 플래시 메모리 인터페이스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942)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인코더(943)에 입력된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942)는, 기록 재생 장치(940)에 있어서의 전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인코더(943)는, 외부 인터페이스(94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그리고, 인코더(943)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셀렉터(946)로 출력한다.
HDD(944)는, 영상 및 음성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압축된 부호화 비트 스트림, 각종 프로그램 및 그 밖의 데이터를 내부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한다. 또한, HDD(944)는, 영상 및 음성의 재생 시에, 이들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로부터 판독한다.
디스크 드라이브(945)는, 장착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의 데이터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한다. 디스크 드라이브(945)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DVD 디스크(DVD-Video, DVD-RAM, DVD-R, DVD-RW, DVD+R, DVD+RW 등) 또는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등이어도 된다.
셀렉터(946)는, 영상 및 음성의 기록 시에는, 튜너(941) 또는 인코더(943)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선택하고, 선택한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HDD(94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945)로 출력한다. 또한, 셀렉터(946)는, 영상 및 음성의 재생 시에는, HDD(944)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945)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디코더(947)로 출력한다.
디코더(947)는,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복호하여,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디코더(947)는,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OSD(948)로 출력한다. 또한, 디코더(904)는, 생성한 음성 데이터를 외부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OSD(948)는, 디코더(947)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OSD(948)는, 표시하는 영상에, 예를 들어 메뉴, 버튼 또는 커서 등의 GUI의 화상을 중첩해도 된다.
제어부(949)는, CPU 등의 프로세서, 및 RAM 및 ROM 등의 메모리를 갖는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에 의해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기록 재생 장치(940)의 기동 시에 CPU에 의해 읽어들여져,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950)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9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유저 인터페이스(950)는, 제어부(949)와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950)는, 예를 들어 유저가 기록 재생 장치(94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 및 스위치, 그리고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부 등을 갖는다. 유저 인터페이스(950)는, 이들 구성 요소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949)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 장치(940)에 있어서, 인코더(943)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디코더(947)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는다. 그것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940)는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4 응용예 : 촬상 장치
도 30은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용한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촬상 장치(96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고,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촬상 장치(960)는, 광학 블록(961), 촬상부(962), 신호 처리부(963), 화상 처리부(964), 표시부(965), 외부 인터페이스(966), 메모리(967), 미디어 드라이브(968), OSD(969), 제어부(970), 유저 인터페이스(971) 및 버스(972)를 구비한다.
광학 블록(961)은 촬상부(962)에 접속된다. 촬상부(962)는 신호 처리부(963)에 접속된다. 표시부(965)는 화상 처리부(964)에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제어부(970)에 접속된다. 버스(972)는, 화상 처리부(964), 외부 인터페이스(966), 메모리(967), 미디어 드라이브(968), OSD(969) 및 제어부(970)를 서로 접속한다.
광학 블록(961)은,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 기구 등을 갖는다. 광학 블록(961)은, 피사체의 광학상을 촬상부(962)의 촬상면에 결상시킨다. 촬상부(962)는, CCD 또는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갖고, 촬상면에 결상된 광학상을 광전 변환에 의해 전기 신호로서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촬상부(962)는, 화상 신호를 신호 처리부(963)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963)는, 촬상부(96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하여 니 보정, 감마 보정, 색 보정 등의 다양한 카메라 신호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963)는, 카메라 신호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964)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964)는, 신호 처리부(96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964)는, 생성한 부호화 데이터를 외부 인터페이스(966) 또는 미디어 드라이브(968)로 출력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964)는, 외부 인터페이스(966) 또는 미디어 드라이브(968)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964)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65)로 출력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964)는, 신호 처리부(96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965)로 출력하여 화상을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화상 처리부(964)는, OSD(969)로부터 취득되는 표시용 데이터를, 표시부(965)로 출력하는 화상에 중첩해도 된다.
OSD(969)는, 예를 들어 메뉴, 버튼 또는 커서 등의 GUI의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을 화상 처리부(964)로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예를 들어 USB 입출력 단자로서 구성된다.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예를 들어 화상의 인쇄 시에, 촬상 장치(960)와 프린터를 접속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966)에는,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가 접속된다. 드라이브에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가 장착되고, 리무버블 미디어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이, 촬상 장치(960)에 인스톨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LAN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즉, 외부 인터페이스(966)는, 촬상 장치(960)에 있어서의 전송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미디어 드라이브(968)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판독 기입 가능한 임의의 리무버블 미디어여도 된다. 또한, 미디어 드라이브(968)에 기록 매체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예를 들어 내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비가반성의 기억부가 구성되어도 된다.
제어부(970)는, CPU 등의 프로세서, 및 RAM 및 ROM 등의 메모리를 갖는다. 메모리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에 의해 기억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촬상 장치(960)의 기동 시에 CPU에 의해 읽어들여져, 실행된다.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97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따라서, 촬상 장치(9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제어부(970)와 접속된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예를 들어 유저가 촬상 장치(960)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 및 스위치 등을 갖는다. 유저 인터페이스(971)는, 이들 구성 요소를 통해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여 조작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조작 신호를 제어부(97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촬상 장치(960)에 있어서, 화상 처리부(964)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부호화 장치(10) 및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는다. 그것에 의해, 촬상 장치(960)는,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5) 제5 응용예 : 비디오 세트
또한, 본 기술은, 임의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에 탑재하는 모든 구성, 예를 들어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으로서의 프로세서, 복수의 프로세서 등을 사용하는 모듈, 복수의 모듈 등을 사용하는 유닛, 유닛에 그 밖의 기능을 더 부가한 세트 등(즉, 장치의 일부의 구성)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세트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근년, 전자 기기의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고, 그 개발이나 제조에 있어서, 그 일부의 구성을 판매나 제공 등으로서 실시하는 경우, 1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실시를 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구성을 조합하여, 복수의 기능을 갖는 1세트로서 실시를 행하는 경우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도 31에 도시된 비디오 세트(1300)는, 이와 같은 다기능화된 구성이며, 화상의 부호화나 복호(어느 한쪽이어도 되고, 양쪽이어도 됨)에 관한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에, 그 기능에 관련되는 그 밖의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조합한 것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세트(1300)는, 비디오 모듈(1311), 외부 메모리(1312),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 및 프론트엔드 모듈(1314) 등의 모듈 군과, 커넥티비티(1321), 카메라(1322), 및 센서(1323) 등의 관련되는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를 갖는다.
모듈은, 서로 관련되는 몇 가지의 부품적 기능을 통합하여, 통합적인 기능을 가진 부품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인 물리적 구성은 임의이지만, 예를 들어 각각 기능을 갖는 복수의 프로세서,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전자 회로 소자, 그 밖의 디바이스 등을 배선 기판 등에 배치하여 일체화한 것이 생각된다. 또한, 모듈에 다른 모듈이나 프로세서 등을 조합하여 새로운 모듈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도 31의 예의 경우, 비디오 모듈(1311)은, 화상 처리에 관한 기능을 갖는 구성을 조합한 것이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비디오 프로세서, 브로드밴드 모뎀(1333), 및 RF 모듈(1334)을 갖는다.
프로세서는, 소정의 기능을 갖는 구성을 SoC(System On a Chip)에 의해 반도체 칩에 집적한 것이며, 예를 들어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 등이라 칭해지는 것도 있다. 이 소정의 기능을 갖는 구성은, 논리 회로(하드웨어 구성)여도 되고, CPU, ROM, RAM 등과, 그것들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구성)이어도 되고, 그 양쪽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가, 논리 회로와 CPU, ROM, RAM 등을 갖고, 기능의 일부를 논리 회로(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현하고, 그 밖의 기능을 CPU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도 31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는, 화상 처리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이다.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에 있어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연산 처리를 행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 등, 비디오 모듈(1311) 내외의 구성을 필요에 따라서 제어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화상의 부호화·복호(그 한쪽 또는 양쪽)에 관한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이다.
브로드밴드 모뎀(1333)은, 인터넷이나 공중전화 회선망 등의 광대역의 회선을 통해 행해지는 유선 혹은 무선(또는 그 양쪽)의 광대역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데이터(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변조하거나 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광대역 통신에 의해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복조하여 데이터(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한다. 브로드밴드 모뎀(1333)은,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가 처리하는 화상 데이터, 화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스트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데이터 등, 임의의 정보를 처리한다.
RF 모듈(1334)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변복조, 증폭, 필터 처리 등을 행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RF 모듈(1334)은, 브로드밴드 모뎀(1333)에 의해 생성된 기저 대역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등을 행하여 RF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RF 모듈(1334)은, 프론트엔드 모듈(1314)을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 등을 행하여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도 31에 있어서 점선(1341)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와 비디오 프로세서(1332)를 일체화하여, 1개의 프로세서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외부 메모리(1312)는, 비디오 모듈(1311)의 외부에 마련된, 비디오 모듈(1311)에 의해 이용되는 기억 디바이스를 갖는 모듈이다. 이 외부 메모리(1312)의 기억 디바이스는, 어떤 물리 구성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의 데이터의 저장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를 들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비교적 저렴하며 대용량의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은, 비디오 모듈(1311)(비디오 모듈(1311) 내의 각 구성)로의 전력 공급을 관리하고, 제어한다.
프론트엔드 모듈(1314)은, RF 모듈(1334)에 대하여 프론트엔드 기능(안테나측의 송수신단의 회로)을 제공하는 모듈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엔드 모듈(1314)은, 예를 들어 안테나부(1351), 필터(1352), 및 증폭부(1353)를 갖는다.
안테나부(1351)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그 주변의 구성을 갖는다. 안테나부(1351)는, 증폭부(1353)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고,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전기 신호(RF 신호)로서 필터(1352)에 공급한다. 필터(1352)는, 안테나부(1351)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에 대하여 필터 처리 등을 행하고, 처리 후의 RF 신호를 RF 모듈(1334)에 공급한다. 증폭부(1353)는, RF 모듈(1334)로부터 공급되는 RF 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부(1351)에 공급한다.
커넥티비티(1321)는 외부와의 접속에 관한 기능을 갖는 모듈이다. 커넥티비티(1321)의 물리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는 브로드밴드 모뎀(1333)이 대응하는 통신 규격 이외의 통신 기능을 갖는 구성이나, 외부 입출력 단자 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Bluetooth(등록 상표), IEEE 802.11(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등록 상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무선 통신 규격에 준거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듈이나, 그 규격에 준거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등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USB(Universal Serial Bus), HDMI(등록 상표)(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등의 유선 통신 규격에 준거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모듈이나, 그 규격에 준거한 단자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아날로그 입출력 단자 등의 그 밖의 데이터(신호) 전송 기능 등을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커넥티비티(1321)가, 데이터(신호)의 전송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는 드라이브(리무버블 미디어의 드라이브뿐만 아니라,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도 포함함)를 갖도록 해도 된다. 또한, 커넥티비티(1321)가, 화상이나 음성의 출력 디바이스(모니터나 스피커 등)를 갖도록 해도 된다.
카메라(1322)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얻는 기능을 갖는 모듈이다. 카메라(1322)의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공급되어 부호화된다.
센서(1323)는, 예를 들어 음성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조도 센서, 적외선 센서, 이미지 센서, 회전 센서, 각도 센서, 각속도 센서,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경사 센서, 자기 식별 센서, 충격 센서, 온도 센서 등, 임의의 센서 기능을 갖는 모듈이다. 센서(1323)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331)에 공급되어 애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이용된다.
이상에 있어서 모듈로서 설명한 구성을 프로세서로서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반대로 프로세서로서 설명한 구성을 모듈로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비디오 세트(1300)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세트(1300)는, 본 기술을 적용한 세트로서 실시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의 구성예)
도 32는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도 3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2의 예의 경우,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입력을 받아 이들을 소정의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기능과,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 프레임 메모리(1405), 및 메모리 제어부(1406)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 비디오 ES(Elementary Stream) 버퍼(1408A 및 1408B), 및, 오디오 ES 버퍼(1409A 및 1409B)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오디오 인코더(1410), 오디오 디코더(1411), 다중화부(MUX(Multiplexer))(1412), 역다중화부(DMUX(Demultiplexer))(1413), 및 스트림 버퍼(1414)를 갖는다.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도 31) 등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취득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포맷 변환이나 화상의 확대 축소 처리 등을 행한다.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를 통해 출력하는 곳에서의 포맷에 따라서 화상의 확대 축소 처리를 행하거나,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와 마찬가지의 포맷 변환이나 화상의 확대 축소 처리 등을 행하거나 한다.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포맷 변환이나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등을 행하여, 재생된 비디오 신호로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한다.
프레임 메모리(1405)는,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 및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공용되는 화상 데이터용 메모리이다. 프레임 메모리(1405)는, 예를 들어 DRAM 등의 반도체 메모리로서 실현된다.
메모리 제어부(1406)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으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받아, 액세스 관리 테이블(1406A)에 기입된 프레임 메모리(1405)에의 액세스 스케줄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1405)에 대한 기입·판독의 액세스를 제어한다. 액세스 관리 테이블(1406A)은,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 등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따라서, 메모리 제어부(1406)에 의해 갱신된다.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화상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 및, 화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데이터인 비디오 스트림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프레임 메모리(1405)로부터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비디오 ES 버퍼(1408A)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또한, 예를 들어 비디오 ES 버퍼(1408B)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복호하고, 화상 데이터로서 프레임 메모리(1405)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이들 부호화나 복호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1405)를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은, 예를 들어 매크로 블록마다의 처리를 개시하는 타이밍에, 메모리 제어부(1406)에 대하여 동기 신호를 출력한다.
비디오 ES 버퍼(1408A)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생성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다중화부(MUX)(1412)에 공급한다. 비디오 ES 버퍼(1408B)는, 역다중화부(DMUX)(1413)로부터 공급된 비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공급한다.
오디오 ES 버퍼(1409A)는, 오디오 인코더(1410)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다중화부(MUX)(1412)에 공급한다. 오디오 ES 버퍼(1409B)는, 역다중화부(DMUX)(1413)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스트림을 버퍼링하여, 오디오 디코더(1411)에 공급한다.
오디오 인코더(1410)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예를 들어 디지털 변환하고, 예를 들어 MPEG 오디오 방식이나 AC3(AudioCode number 3)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오디오 인코더(1410)는, 오디오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인 오디오 스트림을 오디오 ES 버퍼(1409A)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오디오 디코더(1411)는, 오디오 ES 버퍼(1409B)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하고,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 등을 행하여, 재생된 오디오 신호로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한다.
다중화부(MUX)(1412)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한다. 이 다중화의 방법(즉, 다중화에 의해 생성되는 비트 스트림의 포맷)은 임의이다. 또한, 이 다중화 시에, 다중화부(MUX)(1412)는, 소정의 헤더 정보 등을 비트 스트림에 부가할 수도 있다. 즉, 다중화부(MUX)(1412)는, 다중화에 의해 스트림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화부(MUX)(1412)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 포맷의 비트 스트림인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다중화부(MUX)(1412)는,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기록용 파일 포맷의 데이터(파일 데이터)로 변환한다.
역다중화부(DMUX)(1413)는, 다중화부(MUX)(1412)에 의한 다중화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이 다중화된 비트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즉, 역다중화부(DMUX)(1413)는, 스트림 버퍼(1414)로부터 판독된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추출한다(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한다). 즉, 역다중화부(DMUX)(1413)는, 역다중화에 의해 스트림의 포맷을 변환(다중화부(MUX)(1412)에 의한 변환의 역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DMUX)(1413)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으로부터 공급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스트림 버퍼(1414)를 통해 취득하고, 역다중화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DMUX)(1413)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에 의해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파일 데이터를, 스트림 버퍼(1414)를 통해 취득하고, 역다중화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할 수 있다.
스트림 버퍼(1414)는 비트 스트림을 버퍼링한다. 예를 들어, 스트림 버퍼(1414)는, 다중화부(MUX)(1412)로부터 공급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에 공급한다.
또한, 예를 들어 스트림 버퍼(1414)는, 다중화부(MUX)(1412)로부터 공급된 파일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하여,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다.
또한, 스트림 버퍼(1414)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취득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역다중화부(DMUX)(1413)에 공급한다.
또한, 스트림 버퍼(1414)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있어서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파일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있어서, 또는 외부로부터의 요구 등에 기초하여, 역다중화부(DMUX)(1413)에 공급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으로부터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입력 처리부(1401)에 있어서 4:2:2Y/Cb/Cr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프레임 메모리(1405)에 순차적으로 기입된다. 이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제1 화상 확대 축소부(1402) 또는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에 판독되어, 4:2:0Y/Cb/Cr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의 포맷 변환 및 확대 축소 처리가 행해져, 다시 프레임 메모리(1405)에 기입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부호화되어,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비디오 ES 버퍼(1408A)에 기입된다.
또한, 커넥티비티(1321) 등으로부터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인코더(1410)에 의해 부호화되어,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오디오 ES 버퍼(1409A)에 기입된다.
비디오 ES 버퍼(1408A)의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ES 버퍼(1409A)의 오디오 스트림은, 다중화부(MUX)(1412)에 판독되어 다중화되어,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파일 데이터 등으로 변환된다. 다중화부(MUX)(1412)에 의해 생성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출력된다. 또한, 다중화부(MUX)(1412)에 의해 생성된 파일 데이터는,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되어,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역다중화부(DMUX)(1413)에 의해 역다중화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있어서 각종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파일 데이터는, 스트림 버퍼(1414)에 버퍼된 후, 역다중화부(DMUX)(1413)에 의해 역다중화된다. 즉,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파일 데이터는, 역다중화부(DMUX)(1413)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오디오 스트림은, 오디오 ES 버퍼(1409B)를 통해 오디오 디코더(1411)에 공급되어, 복호되어 오디오 신호가 재생된다. 또한,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ES 버퍼(1408B)에 기입된 후,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의해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복호되어 프레임 메모리(1405)에 기입된다. 복호된 화상 데이터는, 제2 화상 확대 축소부(1403)에 의해 확대 축소 처리되어, 프레임 메모리(1405)에 기입된다. 그리고, 복호된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출력 처리부(1404)에 판독되어, 4:2:2Y/Cb/Cr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포맷 변환되고, 또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 신호가 재생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본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즉, 예를 들어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이,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 혹은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 또는 그 양쪽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인코드·디코드 엔진(1407)에 있어서, 본 기술(즉,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 혹은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 또는 그 양쪽)은, 논리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내장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그것들 양쪽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비디오 프로세서의 다른 구성예)
도 33은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개략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3의 예의 경우,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비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방식으로 부호화·복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제어부(1511),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내부 메모리(1515)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코덱 엔진(1516),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 및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를 갖는다.
제어부(1511)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코덱 엔진(1516) 등, 비디오 프로세서(1332) 내의 각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11)는, 예를 들어 메인 CPU(1531), 서브 CPU(1532), 및 시스템 컨트롤러(1533)를 갖는다. 메인 CPU(1531)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 내의 각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실행한다. 메인 CPU(1531)는, 그 프로그램 등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각 처리부에 공급한다(즉, 각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브 CPU(1532)는, 메인 CPU(1531)의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서브 CPU(1532)는, 메인 CPU(153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의 자(子) 프로세스나 서브 루틴 등을 실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1533)는, 메인 CPU(1531) 및 서브 CPU(1532)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등, 메인 CPU(1531) 및 서브 CPU(1532)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는, 제어부(1511)의 제어 하에,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는, 디지털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된 비디오 신호로서, 또는 디지털 데이터의 화상 데이터 상태 그대로, 커넥티비티(1321)의 모니터 장치 등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엔진(1513)은, 제어부(1511)의 제어 하에,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그 화상을 표시시키는 모니터 장치 등의 하드웨어 스펙에 맞추도록, 포맷 변환, 사이즈 변환, 색 영역 변환 등의 각종 변환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 엔진(1514)은, 제어부(1511)의 제어 하에,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어 화질 개선을 위한 필터 처리 등,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내부 메모리(1515)는,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코덱 엔진(1516)에 의해 공용되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이다. 내부 메모리(151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및 코덱 엔진(1516) 사이에서 행해지는 데이터의 수수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1515)는,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또는 코덱 엔진(1516)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서(예를 들어, 요구에 따라서), 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엔진(1513), 화상 처리 엔진(1514) 또는 코덱 엔진(1516)에 공급한다. 이 내부 메모리(1515)는, 어떤 기억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지만, 일반적으로 블록 단위의 화상 데이터나 파라미터 등과 같은 소용량의 데이터의 저장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를 들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비교적(예를 들어 외부 메모리(1312)와 비교하여) 소용량이지만 응답 속도가 고속인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덱 엔진(1516)은,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나 복호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이 코덱 엔진(1516)이 대응하는 부호화·복호의 방식은 임의이며, 그 수는 1개여도 되고, 복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은, 복수의 부호화·복호 방식의 코덱 기능을 구비하고, 그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또는 부호화 데이터의 복호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3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코덱 엔진(1516)은, 코덱에 관한 처리의 기능 블록으로서, 예를 들어 MPEG-2 Video(1541), AVC/H.264(1542), HEVC/H.265(1543), HEVC/H.265(Scalable)(1544), HEVC/H.265(Multi-view)(1545), 및 MPEG-DASH(1551)를 갖는다.
MPEG-2 Video(1541)는, 화상 데이터를 MPEG-2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AVC/H.264(1542)는, 화상 데이터를 AVC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HEVC/H.265(1543)는, 화상 데이터를 HEVC 방식으로 부호화하거나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HEVC/H.265(Scalable)(1544)는, 화상 데이터를 HEVC 방식으로 스케일러블 부호화하거나 스케일러블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HEVC/H.265(Multi-view)(1545)는, 화상 데이터를 HEVC 방식으로 다시점 부호화하거나 다시점 복호하거나 하는 기능 블록이다.
MPEG-DASH(1551)는, 화상 데이터를 MPEG-DASH(MPEG-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 블록이다. MPEG-DASH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비디오의 스트리밍을 행하는 기술이며, 미리 준비된 해상도 등이 서로 다른 복수의 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세그먼트 단위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MPEG-DASH(1551)는, 규격에 준거하는 스트림의 생성이나 그 스트림의 전송 제어 등을 행하고,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복호에 대해서는, 상술한 MPEG-2 Video(1541) 내지 HEVC/H.265(Multi-view)(1545)를 이용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는, 외부 메모리(1312)용 인터페이스이다. 화상 처리 엔진(1514)이나 코덱 엔진(1516)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를 통해 외부 메모리(1312)에 공급된다. 또한, 외부 메모리(1312)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517)를 통해 비디오 프로세서(1332)(화상 처리 엔진(1514) 또는 코덱 엔진(1516))에 공급된다.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 화상 데이터, 비디오 신호 등, 화상에 관한 각종 데이터의 다중화나 역다중화를 행한다. 이 다중화·역다중화의 방법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다중화 시에,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복수의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할 뿐만 아니라, 소정의 헤더 정보 등을 그 데이터에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역다중화 시에,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1개의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할 뿐만 아니라, 분할한 각 데이터에 소정의 헤더 정보 등을 부가할 수도 있다. 즉,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다중화·역다중화에 의해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는, 비트 스트림을 다중화함으로써, 전송용 포맷의 비트 스트림인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나, 기록용 파일 포맷의 데이터(파일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역다중화에 의해 그 역변환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는, 예를 들어 브로드밴드 모뎀(1333)이나 커넥티비티(1321)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는,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카메라(1322)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다음에, 이와 같은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면,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를 통해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공급되어 역다중화되고, 코덱 엔진(1516)에 의해 복호된다.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엔진(1514)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디스플레이 엔진(1513)에 의해 소정의 변환이 행해지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되어, 그 화상이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코덱 엔진(1516)에 의해 재부호화되고,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의해 다중화되어 파일 데이터로 변환되고,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출력되어,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의 파일 데이터는, 비디오 인터페이스(1520)를 통해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공급되어 역다중화되고, 코덱 엔진(1516)에 의해 복호된다.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엔진(1514)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가 실시되고, 디스플레이 엔진(1513)에 의해 소정의 변환이 행해지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512)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 등에 공급되어, 그 화상이 모니터에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의 복호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코덱 엔진(1516)에 의해 재부호화되고, 다중화·역다중화부(MUX DMUX)(1518)에 의해 다중화되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19)를 통해 예를 들어 커넥티비티(1321)나 브로드밴드 모뎀(1333) 등에 공급되어 도시하지 않은 다른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비디오 프로세서(1332) 내의 각 처리부의 사이에서의 화상 데이터나 그 밖의 데이터의 수수는, 예를 들어 내부 메모리(1515)나 외부 메모리(1312)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은, 예를 들어 제어부(1511)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디오 프로세서(1332)에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코덱 엔진(1516)에,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본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즉, 예를 들어 코덱 엔진(1516)이,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 혹은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 또는 그 양쪽을 갖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덱 엔진(1516)에 있어서, 본 기술(즉, 화상 부호화 장치(10)의 기능)은, 논리 회로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내장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되고, 그것들 양쪽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에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구성을 2예 나타냈지만, 비디오 프로세서(1332)의 구성은 임의이며, 상술한 2예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 비디오 프로세서(1332)는, 1개의 반도체 칩으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되지만, 복수의 반도체 칩으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도체를 적층하는 3차원 적층 LSI로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LSI에 의해 실현되도록 해도 된다.
(장치에의 적용예)
비디오 세트(1300)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각종 장치에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세트(1300)는, 텔레비전 장치(900)(도 27), 휴대 전화기(920)(도 28), 기록 재생 장치(940)(도 29), 촬상 장치(960)(도 30) 등에 내장할 수 있다. 비디오 세트(1300)를 내장함으로써, 그 장치는,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비디오 세트(1300)의 각 구성의 일부라도, 비디오 프로세서(1332)를 포함하는 것이면, 본 기술을 적용한 구성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만을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프로세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점선(134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프로세서나 비디오 모듈(1311) 등을, 본 기술을 적용한 프로세서나 모듈 등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비디오 모듈(1311), 외부 메모리(1312), 파워 매니지먼트 모듈(1313), 및 프론트엔드 모듈(1314)을 조합하여, 본 기술을 적용한 비디오 유닛(1361)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어느 구성의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비디오 프로세서(1332)를 포함하는 것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비디오 세트(1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각종 장치에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332), 점선(134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프로세서, 비디오 모듈(1311), 또는, 비디오 유닛(1361)을 텔레비전 장치(900)(도 27), 휴대 전화기(920)(도 28), 기록 재생 장치(940)(도 29), 촬상 장치(960)(도 30) 등에 내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기술을 적용한 어느 구성을 내장함으로써, 그 장치는, 비디오 세트(13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상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제6 응용예 : 네트워크 시스템
또한, 본 기술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34는 본 기술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34에 도시된 네트워크 시스템(1600)은, 기기끼리가,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동화상)에 관한 정보를 수수하는 시스템이다. 이 네트워크 시스템(1600)의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자신에게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컴퓨터(1611), AV(Audio Visual) 기기(1612),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1613),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1614) 등의 단말기에 대하여, 화상(동화상)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소위 동화상 배신(온 디맨드나 라이브 배신)과 같은, 화상(동화상)의 콘텐츠의 공급 서비스를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단말기로부터 화상(동화상)의 콘텐츠를 수취하여 보관하는 백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단말기끼리의 화상(동화상)의 콘텐츠의 수수를 중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1601)의 물리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1601)는, 동화상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서버, 동화상을 단말기에 배신하는 서버, 동화상을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서버, 유저(단말기)나 과금을 관리하는 서버 등의 각종 서버나, 인터넷이나 LAN 등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갖도록 해도 된다.
컴퓨터(1611)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서버, 워크스테이션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AV 기기(1612)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 하드 디스크 레코더, 게임 기기, 카메라 등과 같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휴대형 정보 처리 단말기(1613)는, 예를 들어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단말기,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형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IoT 디바이스(1614)는, 예를 들어 기계, 가전, 가구, 그 밖의 물건, IC 태그, 카드형 디바이스 등, 화상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임의의 물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단말기는, 모두 통신 기능을 갖고, 클라우드 서비스(1601)에 접속하여(세션을 확립하여), 클라우드 서비스(1601)와 정보의 수수를 행할(즉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는,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행할 수도 있다. 단말기간의 통신은, 클라우드 서비스(1601)를 통해 행하도록 해도 되고, 클라우드 서비스(1601)를 통하지 않고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1600)에 본 기술을 적용하여, 단말기간이나, 단말기와 클라우드 서비스(1601) 간에서 화상(동화상)의 데이터가 수수될 때, 그 화상 데이터를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호화·복호하도록 해도 된다. 즉, 단말기(컴퓨터(1611) 내지 IoT 디바이스(1614))나 클라우드 서비스(1601)가, 각각, 상술한 화상 부호화 장치(10)나 화상 복호 장치(60)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정리>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디블록 필터 처리에 있어서, 보다 적절한 필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본 기술에 관한 제어 정보를 부호화측으로부터 복호측으로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허가(또는 금지)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술한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허가(또는 금지)하는 블록 사이즈의 상한 혹은 하한, 또는 그 양쪽을 지정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강도 판정부(120)가 블록 경계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4라인 단위로 판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 강도 판정부(120)는, 블록 경계에 확장 강필터를 적용할지 여부를 1라인 단위로 판정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다 적절한 필터가 적용되기 쉬워진다. 특히 확장 강필터는, 기존의 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넓고, 강력한 필터이기 때문에, 판정을 세세하게 1라인 단위로 함으로써, 부주의하게 강력한 확장 강필터를 적용해 버리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는 않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로컬 복호된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되는 디블록 필터의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적용 범위에 적용하는 확장 스트롱 필터를, 상기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할지를, 상기 블록 경계에 의해 분할된 한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와, 다른 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마다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블록 경계의 양측에서 다른 디블록 필터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대소의 블록이 인접하는 상기 블록 경계에 있어서, 큰 블록에 대해서만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되도록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정된 화소에,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의해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된 상기 복호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를 참조하여,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3)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화소에 대하여,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좁은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4)
상기 판정부는, 상기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마다,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5)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좁은 스트롱 필터에 관한 판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상기 블록 경계의 편측마다,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6)
상기 필터링부는, 저역 성분에 관한 필터 계수와 고역 성분에 관한 필터 계수를 통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필터 계수를 갖는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7)
상기 저역 성분에 관한 필터 계수는, 저역 특성이 강한 필터 계수인, 상기 (6)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8)
상기 필터링부는, 필터의 탭 형상이 비대칭인 비대칭의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9)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할 때 사용하는 화소가 연속적으로 확장된 조건에 따라서,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 처리를 행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0)
상기 판정부는, 상기 블록 경계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 처리를 독립하여 행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1)
상기 블록 경계는, 쿼드 트리 구조와 바이너리 트리의 조합에 따라서 재귀적으로 분할된 블록의 경계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
(12)
로컬 복호된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되는 디블록 필터의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적용 범위에 적용하는 확장 스트롱 필터를, 상기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할지를, 상기 블록 경계에 의해 분할된 한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와, 다른 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마다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블록 경계의 양측에서 다른 디블록 필터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대소의 블록이 인접하는 상기 블록 경계에 있어서, 큰 블록에 대해서만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되도록 판정하는 것과,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정된 화소에,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것과,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된 상기 복호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을 부호화하는 것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0 : 화상 부호화 장치
11 : 재배열 버퍼
12 : 제어부
13 : 감산부
14 : 직교 변환부
15 : 양자화부
16 : 가역 부호화부
17 : 축적 버퍼
18 : 레이트 제어부
21 : 역양자화부
22 : 역직교 변환부
23 : 가산부
24 : 디블록 필터
25 : SAO 필터
26 : 프레임 메모리
27 : 스위치
28 : 모드 설정부
30 : 인트라 예측부
40 : 인터 예측부
60 : 화상 복호 장치
61 : 축적 버퍼
62 : 가역 복호부
63 : 역양자화부
64 : 역직교 변환부
65 : 가산부
67 : SAO 필터
68 : 재배열 버퍼
69 : D/A 변환부
70 : 프레임 메모리
71 : 셀렉터
80 : 인트라 예측부
90 : 인터 예측부
110 : 적용 필요 여부 판정부
120 : 필터 강도 판정부
130 : 필터링부

Claims (12)

  1. 로컬 복호된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되는 디블록 필터의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적용 범위에 적용하는 확장 스트롱 필터를, 상기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할지를, 상기 블록 경계에 의해 분할된 한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와, 다른 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마다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블록 경계의 양측에서 다른 디블록 필터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대소의 블록이 인접하는 상기 블록 경계에 있어서, 큰 블록에 대해서만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되도록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정된 화소에,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의해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된 상기 복호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를 구비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를 참조하여,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화소에 대하여,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좁은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편측마다,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보다도 적용 범위가 좁은 스트롱 필터에 관한 판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상기 블록 경계의 편측마다,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할지를 판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저역 성분에 관한 필터 계수와 고역 성분에 관한 필터 계수를 통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필터 계수를 갖는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역 성분에 관한 필터 계수는, 저역 특성이 강한 필터 계수인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는, 필터의 탭 형상이 비대칭인 비대칭의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할 때 사용하는 화소가 연속적으로 확장된 조건에 따라서,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값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블록 경계에 의해 분할된 상기 블록마다 독립된 판정 조건을 사용하여, 상기 확장 적용 범위에 포함되는 화소 값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경계는, 쿼드 트리 구조와 바이너리 트리의 조합에 따라서 재귀적으로 분할된 블록의 경계인 화상 처리 장치.
  12. 로컬 복호된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되는 디블록 필터의 적용 범위가 확장된 확장 적용 범위에 적용하는 확장 스트롱 필터를, 상기 복호 화상의 블록 경계의 근방에 위치하는 화소에 적용할지를, 상기 블록 경계에 의해 분할된 한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와, 다른 쪽 블록에 포함되는 화소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마다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블록 경계의 양측에서 다른 디블록 필터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대소의 블록이 인접하는 상기 블록 경계에 있어서, 큰 블록에 대해서만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되도록 판정하는 것과,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정된 화소에,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를 적용하는 것과,
    상기 확장 스트롱 필터가 적용된 상기 복호 화상을 사용하여, 화상을 부호화하는 것
    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KR1020237012305A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66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14767A KR20240066303A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6930 2016-12-28
JPJP-P-2016-256930 2016-12-28
PCT/JP2017/043005 WO2018123423A1 (ja) 2016-12-28 2017-11-30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20197017469A KR102524319B1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469A Division KR102524319B1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767A Division KR20240066303A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495A true KR20230054495A (ko) 2023-04-24
KR102664196B1 KR102664196B1 (ko) 2024-05-20

Family

ID=6270727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2305A KR102664196B1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247014767A KR20240066303A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197017469A KR102524319B1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767A KR20240066303A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KR1020197017469A KR102524319B1 (ko) 2016-12-28 2017-11-30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65943B2 (ko)
EP (1) EP3554085A4 (ko)
JP (3) JP7310139B2 (ko)
KR (3) KR102664196B1 (ko)
CN (3) CN114449267A (ko)
WO (1) WO2018123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33248B (zh) 2017-04-06 2024-02-21 美商松下電器(美國)知識產權公司 解碼方法及編碼方法
TWI832814B (zh) * 2017-04-06 2024-02-21 美商松下電器(美國)知識產權公司 解碼裝置及編碼裝置
JP6902094B2 (ja) 2017-04-06 2021-07-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JP6902604B2 (ja) 2017-04-06 2021-07-1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TW201842768A (zh) 2017-04-06 2018-12-01 美商松下電器(美國)知識產權公司 編碼裝置、解碼裝置、編碼方法及解碼方法
TWI812378B (zh) 2017-04-06 2023-08-11 美商松下電器(美國)知識產權公司 解碼裝置、編碼裝置及電腦可讀取之非暫時性媒體
JP6964780B2 (ja) * 2017-12-29 2021-11-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参照値と関係するデバイスとを使用するビデオの符号化および/または復号を行う方法
EP3780602A4 (en) * 2018-03-29 2021-05-26 Sony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16567230A (zh) * 2018-03-30 2023-08-08 夏普株式会社 用于将解块滤波器应用于重构视频数据的方法和设备
CN112544085A (zh) * 2018-08-10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执行去块的装置和方法
BR112021006909A2 (pt) 2018-10-12 2021-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arelho e método para filtro de desblocagem em codificação de vídeo
CN113170206A (zh) * 2018-11-02 2021-07-23 索尼集团公司 图像处理装置和图像处理方法
US20230245286A1 (en) * 2022-01-28 2023-08-03 V-Silicon Semiconductor (Hefei) Co., Ltd. 2d recursive de-band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570A (ko) * 2004-05-06 2007-0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저 비트율 비디오 압축에 대한 이미지 강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US20100142844A1 (en) * 2008-12-10 2010-06-10 Nvidia Corporation Measurement-based and scalable deblock filtering of image data
KR20140043758A (ko) * 2011-06-28 2014-04-10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와 화상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658B2 (ja) 1984-11-16 1994-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信号復号化後処理装置
US7440504B2 (en) * 2001-09-24 2008-10-2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blocking filtering with interlace capability
US7227901B2 (en) * 2002-11-21 2007-06-05 Ub Video Inc. Low-complexity deblocking filter
US7778480B2 (en) * 2004-11-23 2010-08-17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Block filtering system for reducing artifacts and method
WO2008016605A2 (en) * 2006-08-02 2008-02-07 Thomson Licensing Adaptive geometric partitioning for video decoding
US7760964B2 (en) * 2006-11-01 2010-07-20 Ericsson Television Inc. Method and architecture for temporal-spatial deblocking and deflickering with expanded frequency filtering in compressed domain
JP5026092B2 (ja) * 2007-01-12 2012-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動画像復号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方法
US9179166B2 (en) * 2008-12-05 2015-11-03 Nvidia Corporation Multi-protocol deblock engine core system and method
JP2010288079A (ja) * 2009-06-11 2010-12-2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10125153A (ko) * 2010-05-12 2011-1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상의 필터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 부호화/복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TWI508534B (zh) * 2010-05-18 2015-11-11 Sony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363533B2 (en) * 2010-09-29 2016-06-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encoding/decoding using filter information prediction
WO2012063878A1 (ja) * 2010-11-10 2012-05-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
WO2012081609A1 (ja) * 2010-12-14 2012-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フィルタ装置、復号装置、符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構造
DK2664149T3 (en) * 2011-01-14 2017-02-27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UNBLOCK FILTERING
JP6037179B2 (ja) * 2011-02-25 2016-12-07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デブロッキング処理方法およびデブロッキング処理装置
JP5924700B2 (ja) * 2011-03-01 2016-05-2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デブロッキング・フィルタリング制御
CN108696752B (zh) * 2011-09-20 2021-07-27 Lg 电子株式会社 用于编码/解码图像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350071B1 (ko) * 2011-11-04 2022-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정보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PL2774359T3 (pl) * 2011-11-04 2016-06-30 Sun Patent Trust Filtrowanie deblokujące ze zmodyfikowanym wyprowadzaniem intensywności granicy bloku obrazu
WO2013074365A1 (en) * 2011-11-18 2013-05-2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ubjective based post-filter optimization
CA2840036C (en) * 2011-11-25 2018-12-18 Panasonic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WI667913B (zh) * 2012-04-06 2019-08-0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130294524A1 (en) * 2012-05-04 2013-11-07 Qualcomm Incorporated Transform skipping and lossless coding unification
US9445130B2 (en) * 2013-01-09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Blockiness metric for large HEVC block artifacts
US9386319B2 (en) * 2013-09-05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st-process filter for decompressed screen cont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570A (ko) * 2004-05-06 2007-01-2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저 비트율 비디오 압축에 대한 이미지 강화를 위한 방법 및장치
US20100142844A1 (en) * 2008-12-10 2010-06-10 Nvidia Corporation Measurement-based and scalable deblock filtering of image data
KR20140043758A (ko) * 2011-06-28 2014-04-10 소니 주식회사 화상 처리 장치와 화상 처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Chen, E. Alshina, G. J. Sullivan, J.-R. Ohm, J. Boyce, "Algorithm Description of Joint Exploration Test Model 4", JVET-D1001_v3, Joint Video Exploration Team (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4th Meeting : Chengdu, CN, 15-21 October 2016
K. Kawamura, S. Naito, "Extended deblocking-filter decision for large block boundary", JVET-D0047, Joint Video Exploration Team (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4th Meeting : Chengdu, CN, 15-21 October 2016
Kei Kawamura et al., ‘Extended deblocking-filter decision for large block boundary’, (JVET-D0047), JVET of ITU-T SG 16 WP 3 and ISO/IEC JTC 1/SC 29/WG 11 4th Meeting: Chengdu, CN, (2016.10.06.)* *
Recommendation ITU-T H.265, (04/2015)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April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303A (ko) 2024-05-14
CN110115039A (zh) 2019-08-09
KR102524319B1 (ko) 2023-04-24
US20200014921A1 (en) 2020-01-09
CN114449268A (zh) 2022-05-06
WO2018123423A1 (ja) 2018-07-05
KR102664196B1 (ko) 2024-05-20
CN110115039B (zh) 2022-02-11
JP7310139B2 (ja) 2023-07-19
CN114449267A (zh) 2022-05-06
EP3554085A1 (en) 2019-10-16
KR20190099413A (ko) 2019-08-27
JP2023060192A (ja) 2023-04-27
JPWO2018123423A1 (ja) 2019-10-31
EP3554085A4 (en) 2019-12-25
JP2024042111A (ja) 2024-03-27
US10965943B2 (en) 2021-03-30
JP7435862B2 (ja)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319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1183855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092473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30156328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AU201226391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7126333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65212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34106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17126331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