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215A -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215A
KR20230054215A KR1020210175607A KR20210175607A KR20230054215A KR 20230054215 A KR20230054215 A KR 20230054215A KR 1020210175607 A KR1020210175607 A KR 1020210175607A KR 20210175607 A KR20210175607 A KR 20210175607A KR 20230054215 A KR20230054215 A KR 2023005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mmended
tourist
tourism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헌
이금탁
이우성
양승남
이은희
신명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씨엔
Publication of KR2023005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관광객 숙소 추천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추천관광지를 선정하는 단계; 각 추천관광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교통정보와 추천관광지의 관광시간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의 노출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Tourism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multi-data using cross-platform analysis}
본 발명은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지에서 여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광 산업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관광산업은 외자 유치를 통해 경제성장을 촉진하며, 적절한 발전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관광지 정보는 각종 포탈에서 손쉽게 검색할 수 있지만 해당 데이터를 가지고 여행자가 직접 관광일정을 계획해야 한다. 즉, 관광지를 선정하면, 관광지까지의 대중교통정보를 다시 검색해야 하며, 또한 식사를 위한 맛집 등을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5390 여행 일정 계획 및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관광지뿐 아니라, 교통, 음식점 등의 관광 관련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광객의 상황에 맞는 맛집을 함께 추천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관광객 숙소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추천관광지를 선정하는 단계; 각 추천관광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교통정보와 상기 추천관광지의 관광시간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의 노출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추천관광지에 상응하는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추천관광지, 추천맛집, 교통정보에 상응하는 예상지출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식사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의 제공여부 및 선택기준을 결정한다.
또한, 사용자의 식사정보에 따라 식사 위주 또는 간식 위주의 추천맛집을 검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이력에 따라 인식된 식당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로 수신되는 결제내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사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한 이전 이용식당 또는 이전식당지불금액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천맛집을 검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광지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추천관광지를 선정하는 관광지선정부; 및 각 추천관광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통정보와 추천관광지의 관광시간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의 노출순서를 결정하는 관광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관광정보제공부는 상기 추천관광지에 상응하는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추천관광지, 추천맛집, 교통정보에 상응하는 예상지출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광지뿐 아니라, 교통, 음식점 등의 관광 관련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을 추천하여 여행객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여행객의 식사 여부를 확인하여 현 상황에 맞는 관광지에서의 맛집을 함께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추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추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맛집정보를 포함하는 예상지출금액이 표시되는 관광추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맛집추천을 이용한 관광 추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식정보를 이용한 맛집추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추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관광추천장치(20), 관광정보DB(30) 및 교통정보DB(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여행자인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관광추천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에게 관광추천정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광추천장치(20)는 관광정보DB(30)에 저장된 관광지정보(시설정보 포함)뿐 아니라, 교통정보DB(40)를 검색하여 관광지까지의 교통수단별 이동시간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관광지와 각종 시설뿐만 아니라 교통정보와 기상정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관광지까지 이동시간, 식당으로 이동시간, 다음 관광지까지 이동시간 등을 효과적으로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관광정보는 관광추천장치(20)에서 운영되는 데이터베이스(DB) 등 형태로 관리될 수 있으며, 또는 교통정보DB(40)와 같이 별도의 장치에서 운영되어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검색되는 형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관광지정보는 관광추천장치(20)에서 관리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관광추천장치(20)의 구성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관광추천장치(2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하되, 제어부(230)는 그 기능에 따라 관광지선정부(231) 및 관광정보제공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과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등을 통한 통신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220)는 관광지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외에도 제어부(230)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20)에는 회원 사용자의 관광이력정보가 저장되는데, 예를 들어 현재 여행중이라면 여행기간 동안의 위치이동정보, 결제정보, 여행한 관광지정보 등이 관광이력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사용자의 식사정보도 관광이력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전 9시에 OOO식당에서 식사를 했다면 [2021년12월06일 오전9시-OOO식당-결제금액 8,000원]이라는 식사정보가 관광이력정보로서 저장된다. 식장정보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단말(10)로 수신되는 결제내역(문자메시지 또는 결제 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수신되는 푸쉬메시지를 확인)을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관광지를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30)의 관광지선정부231)는 저장부(220)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0)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추천관광지를 선정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해당 사용자의 관광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추천관광지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갔었던 관광지는 제외시키며, 갔었던 관광지의 유형과 유사하거나 또는 정반대 유형의 관광지를 우선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식사여부 및 식사 이후 경과된 시간에 따라 추천할 관광지가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사후 4시간 이상 경과된 시점이라면 맛집 위주로 관광지를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관광정보제공부(232)는 사용자 단말(10)로 선정된 추천관광지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때 추천관광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통정보와 추천관광지의 관광시간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의 노출순서를 결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 추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광추천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추천관광지를 선정한다(S3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라남도 여행중이고 현재 구례 화엄사에 위치한 경우라면, 화엄사 중심 반경30킬로미터 주변의 관광지를 추천관광지로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추천관광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한다(S320). 이 때, 일례에 따르면 교통정보의 탐색 시 기상정보를 더 추가적으로 확인하여, 기상상황을 교통정보에 반영한다. 예를 들어, 버스로 20분 거리라면, 눈이 오는 상황인 경우 40분 거리로 변경할 수 있다.
교통정보, 추천관광지에서의 평균 관광시간 등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에 대한 노출순서를 결정한다(S330). 예를 들어, 이동시간이 짧은 순으로, 또는 총 소요시간이 짧은 순, 또는 이동시간 대비 관광소요시간이 긴 순 등으로 노출순서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 기준 또한 사용자의 관광이력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각 관광지(관광소 뿐 아니라 식당도 포함됨)에 대한 정보로서 이동시간, 교통정보, 교통금액 등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노출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맛집정보를 포함하는 예상지출금액이 표시되는 관광추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맛집추천을 이용한 관광 추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추천관광지에 상응하는 각 추천맛집을 검색한다(S510).
그리고, 추천관광지에 대한 소요금액, 교통정보에 따른 교통금액, 추천맛집의 추천음식에 대한 음식금액에 따른 예상지출금액을 산출한다(S520).
예상지출금액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에 대한 정보의 노출 방식/순서 등을 결정한다(S530).
이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0과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를 관광지정보로서 함께 제공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관광지로의 이동시간(또한 관광 소요시간), 대중교통 비용, 추천맛집 추천메뉴와 음식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광지 비용, 교통비용, 음식금액 모두를 합산한 총 예상지출금액을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예상지출금액을 기준으로 각 관광지의 노출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각 여행지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먹을 거리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관광일정뿐 아니라 식사 일정까지도 쉽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례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추천맛집의 검색 및 노출순서의 결정에 있어 사용자의 식사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사용자의 식사정보를 확인하고,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의 제공여부 및 선택기준을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식정보를 이용한 맛집추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광추천장치(20)는 사용자의 식사정보를 확인한다(S710). 현재시각을 기준으로 이전 식사 일정을 확인한다(S710). 예를 들어, 현재시각이 오후12시30분이면, 아침식사 및 점심식사를 일정이 있었는지를 확인한다. 식사 여부는 사용자 단말(10)이 음식점과 관련된 위치에 일정시간(예를 들어, 20분 등) 이상 머물렀는지, 음식점과 관련된 결제내역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식사 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불명확한 경우 사용자에게 문의하여 식사 또는 간식 필요 여부를 문의할 수도 있다.
식사정보 분석에 따라 식사불필요, 식사필요, 간식필요를 구분한다(S720). 예를 들어, 식사일정 이후 2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엔 식사불필요, 2시간 경과 4시간 이내인 경우 간식필요, 4시간 경과인 경우엔 식사필요로 구분한다.
구분된 결과에 따라 맛집추천 여부 및 추천할 맛집의 종류를 결정한다(S73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식사정보에 따라 식사필요인 경우 식당위주로 또는 간식필요인 경우엔 카페위주의 추천맛집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맛집의 검색 시, 사용자의 선호 메뉴, 선호 음식점 유형, 선호 금액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전의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한 이전 이용식당 또는 이전식당지불금액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맛집을 검색한다. 다른 예를 들면, 가성비가 좋은 음식을 선호하는지, 금액과 상관없이 분위기 위주의 음식점인지, 새로운 요리를 좋아하는지 등을 이전의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하여 상응하는 맛집을 추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광 추천 서비스는 관광정보 및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멀티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고, 빅데이터는 복수의 개별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복수의 개별 플랫폼에 저장되는 것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는 데이터의 검색, 질의 및 분석 등을 위한 사용자 요청의 처리를 위한 최적화 실행 계획을 생성하고, 최적화 실행 계획이 복수의 개별 플랫폼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서버 장치에서 수행되는 관광객 숙소 추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추천관광지를 선정하는 단계;
    각 추천관광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교통정보와 상기 추천관광지의 관광시간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의 노출순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관광지에 상응하는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추천관광지, 추천맛집, 교통정보에 상응하는 예상지출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식사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의 제공여부 및 선택기준을 결정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식사정보에 따라 식사 위주 또는 간식 위주의 추천맛집을 검색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이력에 따라 인식된 식당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로 수신되는 결제내역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사정보를 확인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정보를 기반으로 확인한 이전 이용식당 또는 이전식당지불금액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천맛집을 검색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7. 관광지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에 상응하는 복수개의 추천관광지를 선정하는 관광지선정부; 및
    각 추천관광지로의 교통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교통정보와 추천관광지의 관광시간을 기반으로 각 추천관광지의 노출순서를 결정하는 관광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광정보제공부는 상기 추천관광지에 상응하는 추천맛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추천관광지, 추천맛집, 교통정보에 상응하는 예상지출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시스템.
KR1020210175607A 2021-10-15 2021-12-09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4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36 2021-10-15
KR20210137036 2021-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215A true KR20230054215A (ko) 2023-04-24

Family

ID=8614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607A KR20230054215A (ko) 2021-10-15 2021-12-09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42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390B1 (ko) 2017-09-26 2018-10-08 정현일 여행 일정 계획 및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390B1 (ko) 2017-09-26 2018-10-08 정현일 여행 일정 계획 및 예약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9639B2 (en) Automatic conversation analysis and participation
US11709903B2 (en) Accommodation search
US9488487B2 (en) Route detection in a trip-oriented message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97038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nking points of interest
US9377319B2 (en) Estimating times to leave and to travel
US10972424B2 (en) Inferring preferences from message metadata and conversations
US11157866B2 (en) Intelligent package delivery
KR20180006875A (ko) 주문형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150021447A (ko) 상황에 맞는 여행 제안 방법
JP6741285B1 (ja) 旅行プラン提案システム
US20200386565A1 (en) Predicting prime locations for mobile assets
KR101094484B1 (ko) 전문가 추천 기법을 이용한 관광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3673A (ko) 여행 플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16201737A1 (en)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information relating to perishable service resources
KR20230054215A (ko) 크로스 플랫폼 분석을 활용한 멀티데이터를 이용한 관광 추천 방법 및 시스템
US11816804B2 (en) Method and system of recommending accommodation for tourists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nd augmented reality
US20220092483A1 (en) Customer experience generator with shareable profile and autopay
KR20150116385A (ko) 여행 예약 시스템
JP202115756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010505A (ko) 온라인 상에서 여행 일정표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95488A (zh) 路线推荐的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JP7087147B1 (ja) 推定システム、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71968B1 (ja) 推定システム、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62970B1 (ko) 카페 테이블 추천 장치 및 카페 테이블 추천 방법
US20240185276A1 (en) Estimation system,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