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103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103A
KR20230054103A KR1020210137695A KR20210137695A KR20230054103A KR 20230054103 A KR20230054103 A KR 20230054103A KR 1020210137695 A KR1020210137695 A KR 1020210137695A KR 20210137695 A KR20210137695 A KR 20210137695A KR 20230054103 A KR20230054103 A KR 20230054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piston
sponge
cosmetic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743B1 (ko
Inventor
조혜진
Original Assignee
조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혜진 filed Critical 조혜진
Priority to KR102021013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5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에 담긴 액상의 화장품을 어플리케이터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케이스, 캡 및 어플리케이터 모듈을 포함한다. 케이스는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를 통하여 안쪽에 액상의 화장품이 담지된 스펀지가 위치한다. 캡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부를 덮는다. 그리고 어플리케이터 모듈은 캡에 설치되되 캡을 매개로 케이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어플리케이터 모듈은 캡이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부를 통한 탄성적인 상하 이동으로 스펀지를 압축하여 스펀지의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하는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터가 연결된 캡의 펌핑 동작으로 케이스에 담긴 화장품을 어플리케이터로 공급하여 화장품을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는 케이스 내부에 분말, 고형 상태의 화장분, 액체나 겔 상태의 화장액과 같은 화장품이 수납되어 있다. 화장품 용기는 케이스와 함께 제공되는 어플리케이터로 화장품을 이용하거나 손으로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액체 또는 겔 상태의 화장품이 수납된 화장품 용기의 경우, 화장품 용기에서 화장품을 배출시킬 때 케이스에 마련된 펌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화장품을 도포할 피부에는 사용자의 손을 이용하기 때문에, 손에 존재하는 세균이 해당 피부를 오염시키거나 다른 질병에 감염시킬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 관계로 손으로 얼굴을 만지는 것에 대해서 주의를 요청하고 있는 분위기에서,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화장에 따른 2차적인 감염을 염려할 수 밖에 없다.
물론 화장품 용기와 함께 제공되거나 별도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손의 사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 용기와 별도로 구비되는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화장품 용기에서 화장품을 어플리케이터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더욱이 화장품 용기와 별도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화장품 용기를 휴대하여 사용할 때 어플리케이터가 없는 경우 해당 화장품을 사용할 수 없거나 손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20-0025710호 (2020.03.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의 화장품을 이용할 때 손 사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상의 화장품을 이용할 때 별도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담긴 액상의 화장품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안쪽에 액상의 화장품이 담지된 스펀지가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캡; 및 상기 캡에 설치되되 상기 캡을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한 탄성적인 상하 이동으로 상기 스펀지를 압축하여 상기 스펀지의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하는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어플리케이터 모듈은, 상기 캡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동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의 하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향 이동으로 상기 스펀지를 압축하여 상기 스펀지에 접촉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캡은, 상기 버튼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버튼이 끼워지며, 끼워진 상기 버튼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제1 가이드 구멍의 아래에 상기 제1 가이드 구멍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이 끼워지며, 끼워진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구멍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며, 하부면에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 상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에 걸리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피스톤 로드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에 걸리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가이드 구멍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걸림턱에서 상단부까지의 수직 길이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의 수직 길이 보다는 길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상기 스펀지를 압축하는 힘은 상기 버튼의 수직 이동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펀지가 탑재되는 바닥판을 갖는 하부 케이스; 및 상하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판은 상기 스펀지를 누를 수 있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캡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버튼과 피스톤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과 피스톤이 연결된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모듈은, 상기 버튼과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연결축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에 구비된 어플리케이터로 케이스에 담긴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액상의 화장품을 이용할 때 손 사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케이스에 액상의 화장품을 담지한 스펀지가 구비되고, 캡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터를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시켜 스펀지에 접촉시킴으로써, 스펀지에 담지된 액상의 화장품을 어플리케이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캡에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의 화장품을 이용할 때 별도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캡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터를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시켜 스펀지를 압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펀지에 담지된 화장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스의 바닥판을 눌러 추가적으로 스펀지에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펀지에 담지된 화장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버튼을 누리는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펀지에 남아 있는 화장품의 양과 스펀지로부터 어플리케이터로 이동하는 화장품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어플리케이터(80)가 연결된 캡(20)의 펌핑 동작으로 케이스(10)에 담긴 화장품을 어플리케이터(80)에 수용 및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케이스(10), 캡(20) 및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상부에 개방부(18a)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부(18a)를 통하여 안쪽에 액상의 화장품이 담지된 스펀지(19)가 위치한다. 캡(20)은 케이스(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방부(18a)를 덮는다.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은 캡(20)에 설치되되 캡(20)을 매개로 케이스(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은 캡(20)이 케이스(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부(18a)를 통한 탄성적인 상하 이동으로 스펀지(19)를 압축하여 스펀지(19)의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하는 어플리케이터(8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케이스(10)로부터 캡(20)을 분리함으로써, 캡(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의 어플리케이터(80)에 수용 및 유지된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액상의 화장품을 이용할 때 손 사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하부 케이스(13)와 상부 케이스(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3)는 스펀지(19)가 탑재되는 바닥판(15)을 갖는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7)는 상하로 개방부(18a,18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하부 케이스(13)가 결합된다.
여기서 하부 케이스(13)는 스펀지(19)가 탑재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부 케이스(13)는 스펀지(19)를 누릴 수 있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케이스(13)의 바닥판(15)이 연질의 플라스틱 소재,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13)의 바닥판(15)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하부 케이스(13) 전체가 연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펀지(19)는 액상의 화장품을 담지하고 있다. 스펀지(19)는 하부 케이스(13)에 대해서 상부로 돌출되게 하부 케이스(13)의 바닥판(15) 위에 탑재되며, 하부 케이스(13)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7) 내에 위치한다. 하부 케이스(13) 내에서 스펀지(19)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스펀지(19)는 하부 케이스(13)에 끼워진 형태로 하부 케이스(13)의 바닥판(15) 위에 탑재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3)에 스펀지(19)를 안정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스펀지(19)가 삽입되는 입구가 스펀지(19)의 외측면 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3)는 입구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스펀지(19)의 크기에 대응되게 좁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케이스(13)은 상단부가 입구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7)는 상하부가 관통된 관 형으로, 하부 개방부(18b)와 상부 개방부(18a)를 포함한다. 하부 개방부(18b)로 하부 케이스(13)가 결합된다. 상부 개방부(18a)로 캡(20)이 결합된다.
상부 케이스(17)는 하부 케이스(13)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7)에서 하부 케이스(13)으로 연결되는 부분은 아래로 경사지게 경사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경사면을 통하여 스펀지(19)를 압축한 이후에 스펀지(19) 상부로 이동한 화장품이 다시 스펀지(19)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가 하부 케이스(13) 및 상부 케이스(17)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케이스(13) 및 상부 케이스(1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캡(20)은 상부 케이스(17)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부 개방부(18a)를 덮는다. 캡(20)은 케이스(10)와 함께 케이스(10)에 설치된 스펀지(19)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캡(20)은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이 캡(20)을 중심으로 탄성적인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은 캡(20)을 중심으로 한 탄성적인 상하 이동으로 스펀지(19)를 압축하여 스펀지(19)에 담지된 화장품을 사용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은 버튼(40), 피스톤(60), 스프링(70) 및 어플리케이터(80)를 포함한다. 버튼(40)은 캡(20)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동한다. 피스톤(60)은 버튼(40)의 하부에 연결되어 캡(20)의 하부로 돌출된다. 스프링(70)은 피스톤(60)에 연결되며, 버튼(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피스톤(60)을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시킨다. 그리고 어플리케이터(80)는 피스톤(60)의 하부에 결합되며, 피스톤(60)의 하향 이동으로 스펀지(19)를 압축한다.
이때 캡(20)은 버튼(40) 및 피스톤(6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21,2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21,23)은 동일 축 상에 형성된 제1 가이드 구멍(21)과 제2 가이드 구멍(23)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구멍(21)은 버튼(40)이 끼워지며, 끼워진 버튼(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제2 가이드 구멍(23)은 제1 가이드 구멍(21)의 아래에 제1 가이드 구멍(21)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며, 피스톤(60)이 끼워지며, 끼워진 피스톤(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캡(20)은 상판(25)과 하판(27)을 포함하고, 상판(25)과 하판(27)을 둘러싸는 관부(29)를 포함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구멍(21)은 캡(20)의 상판(25)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가이드 구멍(23)은 캡(20)의 하판(27)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버튼(40)은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제1 가이드 구멍(21)에 걸리는 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턱(41)은 캡(20)의 상판(25)의 하부면에 걸린다.
피스톤(60)은 피스톤 로드(61), 제1 스토퍼(63) 및 제2 스토퍼(65)를 포함한다. 피스톤 로드(61)는 제2 가이드 구멍(23)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며, 하부면에 어플리케이터(80)가 결합된다. 제1 스토퍼(63)는 피스톤 로드(61) 상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제2 가이드 구멍(23)에 걸린다. 그리고 제2 스토퍼(65)는 피스톤 로드(61)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제2 가이드 구멍(23)에 걸린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토퍼(63,65)는 피스톤 로드(61)의 상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제1 및 제2 스토퍼(63,65)는 캡(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이 캡(2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스토퍼(63)는 캡(20)의 하판(27)의 상부면에 걸린다. 제2 스토퍼(65)는 캡(20)의 하판(27)의 하부면에 걸린다.
버튼(40)과 피스톤(60)은 연결축(50)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버튼(40)과 피스톤(6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70)은 피스톤 로드(61)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제1 스토퍼(63)와 제2 가이드 구멍(23)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즉 스프링(70)은 하단이 제2 가이드 구멍(23)이 형성된 캡(20)의 하판(27)의 상부면에 지지된다. 스프링(70)은 상단이 제1 스토퍼(63) 아래에 지지된다. 이러한 스프링(70)으로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40)은 걸림턱(41)에서 상단부까지의 수직 길이가 제1 및 제2 스토퍼(63,65) 사이의 수직 길이 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이유는 버튼(40)의 수직 이동 거리에 따라 피스톤 로드(61)의 수직 이동 거리가 결정되기 때문에, 버튼(40)을 통하여 피스톤 로드(61)를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어플리케이터(80)는 캡(20)의 하판(27) 아래로 돌출된 피스톤 로드(61)의 하부에 설치된다. 어플리케이터(80)는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6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터(80)는 스펀지(19)를 압축하여 스펀지(19)에 담지된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예컨대 어플리케이터(80)로는 실리콘, 스펀지, 강모(bristles), 발포체(form), 부직포, 펄프,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튼(40)을 누름으로써, 피스톤 로드(6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터(80)가 스펀지(19)를 압축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터(80)가 스펀지(19)를 압축하는 힘은 버튼(40)의 수직 이동 거리에 비례한다. 버튼(40)을 누리는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펀지(19)에 남아 있는 화장품의 양과 스펀지(19)로부터 어플리케이터(80)로 이동하는 화장품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40)을 누르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터(80)와 스펀지(19)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40)을 누리게 되면, 어플리케이터(80)가 탄성적으로 하강하여 스펀지(19)를 압축하게 된다. 스펀지(19)에 담지된 화장품은 스펀지(19)가 압축되면서 스펀지(19)의 표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펀지(19)의 표면으로 이동한 화장품은 스펀지(19)를 압축하는 어플리케이터(80)로 이동한다. 어플리케이터(80)는 해당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펀지(19)에 담지된 화장품이 어플리케이터(80)로 충분히 이동하지 않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3)의 바닥판(15)을 눌러 스펀지(19)를 더 압축하여 어플리케이터(80)로 스펀지(19)에 담지된 화장품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40)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된 스프링(70)이 복원되면서 버튼(40)은 상부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버튼(40)에 연결된 어플리케이터(90)도 함께 상승하면서 스펀지(19)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캡(2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한 다음, 캡(20)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80)에 수용 및 유지되고 있는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캡(2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터(80)로 케이스(10)에 담긴 액상의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액상의 화장품을 이용할 때 손 사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케이스(10)에 액상의 화장품을 담지한 스펀지(19)가 구비되고, 캡(20)에 구비된 버튼(40)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터(80)를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시켜 스펀지(19)를 압축함으로써, 스펀지(19)에 담지된 액상의 화장품을 어플리케이터(8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캡(20)에 어플리케이터(8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액상의 화장품을 이용할 때 별도로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캡(20)에 구비된 버튼(40)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터(80)를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시켜 스펀지(19)를 압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펀지(19)에 담지된 화장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케이스(10)의 바닥판(15)을 눌러 추가적으로 스펀지(19)에 압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펀지(19)에 담지된 화장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버튼(40)을 누리는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펀지(19)에 남아 있는 화장품의 양과 스펀지(19)로부터 어플리케이터(80)로 이동하는 화장품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스프링(70)이 피스톤 로드(61)의 외주면에 감긴 형태로 결합되어, 피스톤 로드(61)가 이동하는 상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신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1)은 버튼(40)과 피스톤(60)이 연결된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케이스(10), 캡(20) 및 어플리케이터 모듈(30)을 포함하고, 어플리케이터 모듈(30)에 포함된 스프링(71)이 설치된 구조를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도 3의 1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스프링(71)이 설치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71)은 캡(20) 내부에 설치되되 버튼(40)과 피스톤(60) 사이에 연결된다. 스프링(71)은 버튼(40)과 피스톤(60)이 연결된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스프링(71)은 버튼(40)과 피스톤(60)을 연결하는 연결축(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버튼(40)을 누르게 되면, 버튼(40)에 연결된 피스톤(60)이 아래로 하강한다. 이때 스프링(71)은 수평 방향으로 연결축(5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선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탄성력이 스프링(71)에 축적된다.
그리고 버튼(40)을 눌렀던 힘을 제거하면, 늘어났던 스프링(71)이 복원되면서 피스톤(60)과 버튼(4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케이스
13 : 하부 케이스
15 : 바닥판
17 : 상부 케이스
18a : 상부 개방부
18b : 하부 개방부
19 : 스펀지
20 : 캡
21 : 제1 가이드 구멍
23 : 제2 가이드 구멍
25 : 상판
27 : 하판
29 : 관부
30 : 어플리케이터 모듈
40 : 버튼
41 : 걸림턱
50 : 연결축
60 : 피스톤
61 : 피스톤 로드
63 : 제1 스토퍼
65 : 제2 스토퍼
70, 71 : 스프링
80 : 어플리케이터
100, 200 : 화장품 용기

Claims (12)

  1.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안쪽에 액상의 화장품이 담지된 스펀지가 위치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는 캡; 및
    상기 캡에 설치되되 상기 캡을 매개로 상기 케이스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캡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한 탄성적인 상하 이동으로 상기 스펀지를 압축하여 상기 스펀지의 화장품을 수용 및 유지하는 어플리케이터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터 모듈;
    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모듈은,
    상기 캡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하로 이동하는 버튼;
    상기 버튼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캡의 하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을 탄성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향 이동으로 상기 스펀지를 압축하여 상기 스펀지에 접촉하는 어플리케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버튼 및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버튼이 끼워지며, 끼워진 상기 버튼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 구멍과,
    상기 제1 가이드 구멍의 아래에 상기 제1 가이드 구멍과 동일 축 상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이 끼워지며, 끼워진 상기 피스톤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 구멍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며, 하부면에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 상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에 걸리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피스톤 로드 하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 구멍에 걸리는 제2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토퍼와 상기 제2 가이드 구멍 사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걸림턱에서 상단부까지의 수직 길이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의 수직 길이 보다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가 상기 스펀지를 압축하는 힘은 상기 버튼의 수직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스펀지가 탑재되는 바닥판을 갖는 하부 케이스; 및
    상하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판은 상기 스펀지를 누를 수 있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캡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버튼과 피스톤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버튼과 피스톤이 연결된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 모듈은,
    상기 버튼과 상기 피스톤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결축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137695A 2021-10-15 2021-10-15 화장품 용기 KR10256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695A KR102562743B1 (ko) 2021-10-15 2021-10-15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695A KR102562743B1 (ko) 2021-10-15 2021-10-15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03A true KR20230054103A (ko) 2023-04-24
KR102562743B1 KR102562743B1 (ko) 2023-08-01

Family

ID=8614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695A KR102562743B1 (ko) 2021-10-15 2021-10-15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760A (ja) * 2000-10-27 2002-07-23 L'oreal Sa 化粧品等の製品を包装し適用するための装置
KR20170025697A (ko) * 2015-08-31 2017-03-08 (주)아모레퍼시픽 뚜껑 분리와 동시에 퍼프가 출몰되는 파운데이션 용기
KR101923187B1 (ko) * 2017-11-06 2018-11-28 (주)씨앤씨인터내셔널 높낮이 조절형 도포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957853B1 (ko) * 2018-02-20 2019-03-13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승강 및 회전가능한 터치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00025710A (ko) 2018-08-31 2020-03-10 파리스 프리젠츠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5760A (ja) * 2000-10-27 2002-07-23 L'oreal Sa 化粧品等の製品を包装し適用するための装置
KR20170025697A (ko) * 2015-08-31 2017-03-08 (주)아모레퍼시픽 뚜껑 분리와 동시에 퍼프가 출몰되는 파운데이션 용기
KR101923187B1 (ko) * 2017-11-06 2018-11-28 (주)씨앤씨인터내셔널 높낮이 조절형 도포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957853B1 (ko) * 2018-02-20 2019-03-13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승강 및 회전가능한 터치부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00025710A (ko) 2018-08-31 2020-03-10 파리스 프리젠츠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43B1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8887B2 (ja) パウダー吐出が容易な化粧品容器
KR100900788B1 (ko) 이온도입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JP2007216025A (ja) 収容適用デバイス
KR20090104591A (ko) 화장품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N205513085U (zh) 具有一体化粉扑的可挤压式化妆品容器
KR101409004B1 (ko) 가압 토출식 아이라이너
KR101242637B1 (ko) 출몰식 진동 퍼프를 갖는 콤팩트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KR101625329B1 (ko) 스틱형 화장품용기
KR102562743B1 (ko) 화장품 용기
KR101954597B1 (ko) 화장품 콤팩트 용기
KR102312554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20160112356A (ko) 화장품 용기
KR102092107B1 (ko) 액체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KR200375537Y1 (ko) 화장용구
KR200372911Y1 (ko) 분리형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110692B1 (ko) 메이크업 클렌징 용기
CN215125164U (zh) 滴管型化妆品容器
KR20100065532A (ko) 스포이드
KR200460280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2141303B1 (ko) 배출이 용이한 주사기형 앰플
US11109660B2 (en) Cosmetic tool
KR101886142B1 (ko) 탄성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도포구가 구비된 화장품 튜브용기
KR20046220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6317Y1 (ko) 솔대 일체형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