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2087A -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 - Google Patents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2087A
KR20230052087A KR1020210135228A KR20210135228A KR20230052087A KR 20230052087 A KR20230052087 A KR 20230052087A KR 1020210135228 A KR1020210135228 A KR 1020210135228A KR 20210135228 A KR20210135228 A KR 20210135228A KR 20230052087 A KR20230052087 A KR 2023005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mode
touch panel
capacitive touch
recogniz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실
김동우
최문협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3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2087A/ko
Priority to PCT/US2022/023004 priority patent/WO2023063990A1/en
Publication of KR2023005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2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정전식 터치 패널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는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고,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입력 도구의 좌표를 인식하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며, 표면에 터치가 인식되면 인식된 터치의 좌표를 인식하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한다.

Description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Various Sensing Mode Operations Using Capacitive Touch Panel}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일 예에 따른 다양한 센싱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예에 따른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설명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일 예에 따른 다양한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예에 따른 근접 센싱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각 예는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지만, 각 예는 조합되어 구현되거나 동작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또는 명령을 입출력하는 장치로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태블릿 피시, 스마트폰, 키오스크, 화상 형성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전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전자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널(11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을 통해 명령을 입력받고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널(110)은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여 입력 도구 또는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 패널(110)은 입력 도구가 직접 터치될 때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터치 센싱 기능, 입력 도구가 특정 거리에 위치할 때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싱 기능 또는 입력 도구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때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호버링 터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도구는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과 입력 도구의 거리 또는 터치에 따른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다양한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표면에 터치가 인식되면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할 때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11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11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입력 도구가 인식되지 않으면, 활성화된 정전식 터치 패널(110)을 절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이 절전 상태이면 정전식 터치 패널(110)을 스캔하는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이 활성화되어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보다 큰 제2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스캐닝 레이트를 제2 값보다 큰 제3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입력 도구가 인식되지 않을 때 정전식 터치 패널(110)을 절전 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때 터치 센싱 모드보다 스캐닝 레이트의 값을 낮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호버링 센싱 모드 또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할 때 입력 도구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호버링 센싱 모드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표면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구분된 각 영역에 대응되는 별개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호버링 센싱 모드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표면으로부터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도구가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할 때,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 중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하나의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에서 감지된 입력 도구, 감지된 입력 도구의 위치, 감지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도구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에 포함되거나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도구와 관련된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도 프로세서(120)의 한 종류 또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 프로세서(120), 센서(130), 통신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스피커(160) 및 인쇄 엔진(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패널(110)은 도 1의 정전식 터치 패널(1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도 도 1의 프로세서(12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은 중복 기재하지 않고 도 2에 추가된 구성들과 관련된 내용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센서(130)는 전자 장치(100) 주변의 상황 또는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센서(130)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일정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30)는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방향 센서, 모션 인식 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센서(130)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근접 센싱 모드 또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서버, 클라우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와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ear Field Communication(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장치(130)는 통신부, 통신 모듈, 통신 장치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또는 소프트웨어)이 저장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에러 상태이면,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16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에러 상태이면,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스피커(160)는 음성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 또는 오디오 포맷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가 화상 형성 장치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인쇄 엔진(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엔진(170)은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 엔진(170)은 프로세서(120)에서 생성한 인쇄 이미지를 인쇄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 엔진(170)은 전자 사진 방식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도 있고,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엔진(170)은 하나의 색상만 인쇄 가능한 모노 인쇄 엔진일 수 있으며, 컬러 인쇄가 가능한 컬러 인쇄 엔진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다양한 센싱 모드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다양한 센싱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전식 터치 패널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입력 도구(1)가 위치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정전식 터치 패널은 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하로 입력 도구(1)가 위치하면 커패시턴스가 변화할 수 있다. 커패시턴스 변화량은 프로세서로 전달되고, 프로세서는 전달된 커패시턴스 변화량에 기초하여 입력 도구의 위치를 인식하여 상술한 다양한 센싱 모드 중 하나의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식 터치 패널은 입력 도구(1)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영역(11)이 존재한다. 전자 장치는 인식 영역(11)의 경계 영역에서 입력 도구(1)가 인식되면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입력 도구(1)가 인식되면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일정 시간 이상 입력 도구(1)를 인식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거나 절전 상태의 전자 장치를 깨울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입력 도구(1)가 인식되지 않으면, 활성화된 정전식 터치 패널을 절전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전자 장치를 절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입력 도구(1)가 정전식 터치 패널로 가까이 이동하여 인식 영역(11) 내에서 인식되면,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1)가 인식되면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입력 도구(1)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입력 도구(1)가 정전식 터치 패널을 터치하면,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입력 도구(1)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 또는 터치 센싱 모드에서 인식된 입력 도구(1)의 좌표에 대응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입력 도구(1)의 이동에 따라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1)가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에 표시된 UI 메뉴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전자 장치는 포인터가 위치한 지점에 표시된 UI 메뉴를 선택하고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UI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UI 메뉴를 강조하는 표시, 점멸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피드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피드백이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 도구(1)가 선택 위치에서 일정 시간 유지되거나 정전식 터치 패널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인식하면, 선택된 UI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일정한 주기로 스캔하여 커패시턴스가 변화된 위치와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센싱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스캐닝 레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이 절전 상태이면 정전식 터치 패널을 스캔하는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보다 큰 제2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스캐닝 레이트를 제2 값보다 큰 제3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스캐닝 레이트가 크면 소비 전력도 커진다. 따라서, 절전 상태,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터치 센싱 모드일 때 보다 낮은 스캐닝 레이트를 설정하는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호버링 센싱 모드는 거리에 따라 복수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인식 영역(11-1, 11-2)을 포함하는 인식 영역(11)(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이 도시되어 있다. 인식 영역(11)은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11-1, 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분된 복수의 영역(11-1, 11-2)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도구(1)가 제1 인식 영역(11-1)에 위치하면, 전자 장치는 제1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입력 도구(1)가 제2 인식 영역(11-2)에 위치하면, 전자 장치는 제2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호버링 센싱 모드는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설정된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는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 중 인식된 입력 도구(1)의 거리에 대응되는 하나의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각각의 호버링 센싱 모드 또는 터치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예에 따른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각각의 호버링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UI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 도시된 UI는 도 4에서 설명한 제1 호버링 센싱 모드에 대응되고, 도 5b에 도시된 UI는 제2 호버링 센싱 모드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호버링 센싱 모드는 제2 호버링 센싱 모드에 비해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먼 거리 영역에 대응되는 모드이다.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입력 도구의 위치 인식의 부정확도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호버링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도 5a에 도시된 UI의 메뉴는 제2 호버링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도 5b에 도시된 UI의 메뉴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메뉴는 아이콘, 텍스트,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UI가 도시되어 있다. 터치 센싱 모드는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에 대한 터치를 인식하므로 호버링 센싱 모드에 비해 입력 도구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도 5c에 도시된 UI의 메뉴는 호버링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UI의 메뉴보다 작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도 5a의 프린트 메뉴(21)가 가장 크게 표시되고, 제2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도 5b의 프린트 메뉴(23)가 중간 크기로 표시되며, 터치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도 5c의 프린트 메뉴(25)가 가장 작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호버링 센싱 모드의 설정된 거리 영역이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표시되는 UI 메뉴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UI 메뉴의 크기를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UI 메뉴의 크기보다 축소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UI 메뉴에는 호버링 센싱 모드 또는 터치 센싱 모드로 전환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일 예에 따른 다양한 센싱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 모드 선택하고 세팅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S610). 일 예로, 제어 모드 중 센싱 모드는 호버링 센싱 모드 및 터치 센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S620).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가 선택되면, 디폴트 세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3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폴트 세팅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UI에 디폴트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다(S640).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레이아웃 변경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UI를 디폴트 레이아웃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레이아웃으로 변경할 수 있다(S650).
한편,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가 선택되면, 디폴트 세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6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폴트 세팅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UI에 디폴트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다(S670).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레이아웃 변경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에서 표시되는 UI를 디폴트 레이아웃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레이아웃으로 변경할 수 있다(S680). 상술한 바와 같이, 호버링 센싱 모드의 UI 레이아웃은 터치 센싱 모드의 UI 레이아웃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호버링 센싱 모드의 UI에 포함된 아이콘, 버튼, 텍스트 등은 터치 센싱 모드의 UI에 포함된 아이콘, 버튼, 텍스트 등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한편, 입력 도구의 근접 센싱을 인식하는 영역은 정전식 터치 패널의 다양한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예에 따른 근접 센싱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 장치가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근접 센싱 영역은 정전식 터치 패널(또는, 디스플레이)의 전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전식 터치 패널의 전 영역은 근접 센싱 영역 및 터치 영역일 수 있다.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싱 영역(31)은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하단부(또는,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싱 영역(31)의 인근에는 근접 센싱 영역(31)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41)는 LED, 마킹, 스티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싱 영역(32)은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싱 영역(32)의 인근에는 근접 센싱 영역(32)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2)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싱 영역(33)은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싱 영역(33)의 주변에는 근접 센싱 영역(33)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3)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정전식 터치 패널(110)의 다양한 일 영역에 배치되는 근접 센싱 영역을 설명하였으나, 근접 센싱 영역은 입력 도구의 근접을 인식하는 영역일 뿐만 아니라 입력 도구의 터치를 인식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센싱 모드에 대한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할 때,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거나 전자 장치를 깨울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거나 전자 장치를 깨울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입력 도구가 인식되지 않으면, 활성화된 정전식 터치 패널을 절전 모드로 전환시키거나 웨이크 업된 전자 장치를 절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근접 센싱 영역은 정전식 터치 패널의 일 영역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싱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인디케이터가 설정된 일 영역 인근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820). 예를 들어, 호버링 센싱 모드는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설정된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 중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하나의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호버링 센싱 모드의 설정된 거리 영역이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표시되는 UI 메뉴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표면에 터치가 인식되면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830).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 또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할 때, 입력 도구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호버링 센싱 모드 및 터치 센싱 모드에서 인식된 입력 도구의 좌표에 대응되는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인식된 입력 도구의 이동에 따라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에 표시되는 UI는 호버링 센싱 모드 또는 터치 센싱 모드로 전환하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각 모드에 따라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감지하는 스캐닝 레이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이 절전 상태이면 정전식 터치 패널을 스캔하는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이 활성화되어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보다 큰 제2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스캐닝 레이트를 제2 값보다 큰 제3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터치 센싱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근접 센싱 모드 및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근접 센싱 모드 또는 호버링 센싱 모드에서 동작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터치 센싱 모드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보다 스캐닝 레이트를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센싱 모드가 비활성화되었을 때,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이 절전 상태이면 정전식 터치 패널을 스캔하는 스캐닝 레이트를 제4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이 활성화되어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스캐닝 레이트를 제4 값보다 큰 제5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4 값은 상술한 제1 값보다 큰 값이고, 제5 값은 상술한 제2 값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명령어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과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900)는 상술한 전자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900)는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어들(910),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어들(920),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어들(9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전자 장치
110: 정전식 터치 패널 120: 프로세서

Claims (15)

  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정전식 터치 패널;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는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상기 입력 도구의 좌표를 인식하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표면에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터치의 좌표를 인식하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센싱 모드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설정된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 중 상기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하나의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호버링 센싱 모드의 설정된 거리 영역이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UI 메뉴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은,
    상기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일 영역이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일 영역 인근에 위치하고, 상기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일 영역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상기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상기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센싱 모드 및 상기 터치 센싱 모드에서 상기 인식된 입력 도구의 좌표에 대응되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인식된 입력 도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이 절전 상태이면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을 스캔하는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이 활성화되어 상기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스캐닝 레이트를 제1 값보다 큰 제2 값으로 설정하며, 상기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스캐닝 레이트를 제2 값보다 큰 제3 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상기 입력 도구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활성화된 정전식 터치 패널을 절전 모드로 전환시키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버링 센싱 모드 또는 상기 터치 센싱 모드로 전환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는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상기 입력 도구의 좌표를 인식하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에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터치의 좌표를 인식하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센싱 모드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설정된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호버링 센싱 모드 중 상기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하나의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입력 도구의 거리에 대응되는 호버링 센싱 모드의 설정된 거리 영역이 상기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정전식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UI 메뉴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기 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상기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상기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정전식 터치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영역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절전 상태의 정전식 터치 패널을 활성화시키는 근접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어들;
    상기 표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입력 도구가 인식되면 상기 입력 도구의 좌표를 인식하는 호버링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표면에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터치의 좌표를 인식하는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10135228A 2021-10-12 2021-10-12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 KR20230052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228A KR20230052087A (ko) 2021-10-12 2021-10-12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
PCT/US2022/023004 WO2023063990A1 (en) 2021-10-12 2022-04-01 Various sensing mode operations using capacitive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228A KR20230052087A (ko) 2021-10-12 2021-10-12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2087A true KR20230052087A (ko) 2023-04-19

Family

ID=8139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228A KR20230052087A (ko) 2021-10-12 2021-10-12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52087A (ko)
WO (1) WO20230639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2092B2 (en) * 2009-07-02 2020-03-17 Uusi, Llc. User interface with proximity detection for object tracking
KR102056316B1 (ko) * 2013-05-0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472196B2 (ja) * 2014-09-17 2019-02-20 株式会社ワコム センサ信号処理回路及びセンサ信号処理方法
JP6406697B2 (ja) * 2014-09-17 2018-10-1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3990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050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6106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a displayed object between multiple displays
JP47528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JP5507494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US96904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00110032A1 (en) Interface apparatus for generating control command by touch and motion, interface system including the interface apparatus, and interface method using the same
EP2808771A1 (en)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80642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170085221A (ko) 클라우드 서버, 사용자 단말장치, 화상형성장치, 문서 관리 방법 및 인쇄 제어 방법
JP201210409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85154B2 (ja) 入力装置、特に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US11314411B2 (en) Virtual keyboard animation
US20120297336A1 (en) Computer system with touch screen and associated window resizing method
US201502345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writing input
WO2019205552A1 (zh) 在线文档的评论方法和装置
US201301695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4038658A (zh) 通信装置
US20140195989A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10216544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81423A1 (zh) 书写笔记信息的传输方法及其传输系统、电子设备
US11107345B1 (en) Automatically configuring a remote control for a device
JP6034281B2 (ja) オブジェクト選択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201796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30052087A (ko) 정전식 터치 패널을 이용한 다양한 센싱 모드 동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