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989A -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989A
KR20230051989A KR1020210135049A KR20210135049A KR20230051989A KR 20230051989 A KR20230051989 A KR 20230051989A KR 1020210135049 A KR1020210135049 A KR 1020210135049A KR 20210135049 A KR20210135049 A KR 20210135049A KR 20230051989 A KR20230051989 A KR 2023005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washing
hole
ultrasonic clean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
Original Assignee
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 filed Critical 유진
Priority to KR102021013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1989A/ko
Publication of KR2023005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7Sonic or ultrason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더불어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오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싱크대의 싱크볼 위치에 장착되도록 사방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격벽을 형성하는 메인보울과 보조보울로 구성되는 세척보울을 형성한 세척바디와; 상기 세척보울의 상부에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여 도마를 걸쳐서 수평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안착턱과; 상기 메인보울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이 부상되지 않도록 눌러주도록 망체로 구성되는 누름망과; 상기 안착턱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하는 걸림림과, 상기 걸림림의 하방으로 다수개의 거름바를 유지하여 보조보울의 안착턱에 걸림되어 식기류 또는 재료들을 일시 담아두는 거름망과; 상기 세척보울의 후방위치 플랜지 중앙에 수전을 연결하도록 형성하는 수전홀과; 상기 수전홀의 양측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어홀과; 상기 세척보울의 저면에 설치하여 세척보울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및 과일을 초음파로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ULTRASONIC WAVE WASHING DEVICE FOR HOME USE}
본 발명은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세는 가정의 부엌에 구비되는 싱크대를 구성하는 싱크볼 위치에 장착하여 싱크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초음파 세척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고 난 식기류의 세척이나 각종 야채류 및 과일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싱크대에 설치되는 싱크볼에 식기류 또는 야채 및 과일을 수용시킨 후 세제를 이용하거나 수전을 이용하여 물을 틀어놓고 흐르는 물에 세척 헹굼을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세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물 사용량이 과다해지는 것은 물론, 기술발전에 의하여 세제가 환경친화적으로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물과 함께 다량이 배수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고, 세제가 식기류 또는 야채 및 과일에 잔류하여 인체에 축적되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세척장치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세척수와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수용부에 수용된 세척수에 초음파를 제공하는 초음파생성부;
수용부에 수용된 세척수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부; 및
기체공급부와 초음파생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기체공급부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을 멈추어 세척수에 포함된 기체의 양을 조절하는 용존기체조절과정을 포함하고,
기체공급부에서 배출되는 기체기포를 수용하되, 세척수와 접하도록 일부가 개방된 기체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허문헌 2는, 싱크대수조;
상기 싱크대수조에 구비되어 위치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수분세척부;
상기 싱크대수조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조사하여 위치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세척부;
상기 싱크대수조의 저부에 구비되어 개폐됨에 따라, 담겨진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상기 싱크대수조를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부;
상기 수분세척부, 초음파세척부, 배수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싱크대수조를 덮기 위한 덮개프레임; 상기 덮개프레임을 이동시켜 상기 싱크대수조를 개방시키기 위한 덮개개폐부; 및 상기 덮개프레임에 구비되는 인덕션;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세척부는, 상기 싱크대수조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한 수압분사부; 상기 수압분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분세척구동부; 및 상기 수압분사부로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압분사부는, 내부에 수로를 갖고, 상기 싱크대수조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날개; 및 상기 수로에 연통되어 고압의 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날개에 구비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날개는, 상기 싱크대수조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분사날개; 상기 제1분사날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분사날개; 및 상기 제2분사날개를 제1분사날개로 이동시키기 위한 날개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날개와 제2분사날개는 내부에 연통되는 수로가 형성되며, 복수의 노즐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 10 - 1887201 - 0000 호 특허등록 제 10 - 2257534 - 0000 호
없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초음파생성부를 가지는 수용부에 외부공기 공급과 전기분해를 통한 기체를 생성하여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회전식 수압분사와 초음파세척 및 히팅과정을 통해 보다 쉽고, 편하고, 위생적으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초음파 세척장치가 싱크대와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세척을 위하여 식기류나 야채 및 과일 등을 초음파세척기가 있는 공간으로 이동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이동 과정에서 식기류나 야채 및 과일 등이 낙하하는 경우에는 손상이 발생하여 사용이나 섭취가 불가능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식기류의 낙하로 인하여 금속재질인 경우에는 주변의 물품은 물론 식기류 자체의 손상을 야기하고, 자기나 유리 재질인 경우에는 파손과 더불어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파편이 비산되어 신체의 일부를 손상시키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식기류나 야채 및 과일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이를 청소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싱크대에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허문한 2의 경우에는 싱크대에 초음파 세척장치를 설치하여 이동에 따르는 문제는 해소할 수 있으나, 초음파세착장치에 수압분사, 히팅, 스팀 등과 같은 부수적인 수단을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작과 이용에 불편이 따르는 것을 해소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초음파세척에 부가하여 고수압의 분사, 스팀의 공급, 열품의 공급과 같은 작동을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취급이 있을 경우에는 신체적인 손상을 야기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은 실정이며, 많은 수단(장치)들을 병행하여 구비하기 때문에 생산원가 상승으로 인하여 이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등 여러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싱크대의 싱크볼 위치에 장착되도록 사방에 플랜지(106)를 형성하고 격벽(108)을 형성하는 메인보울(109)과 보조보울(110)로 구성되는 세척보울(107)을 형성한 세척바디(105)와;
상기 세척보울(107)의 상부에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여 도마(112)를 걸쳐서 수평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안착턱(111)과;
상기 메인보울(109)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이 부상되지 않도록 눌러주도록 망체로 구성되는 누름망(113)과;
상기 안착턱(111)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하는 걸림림(116)과, 상기 걸림림(116)의 하방으로 다수개의 거름바(117)를 유지하여 보조보울(110)의 안착턱(111)에 걸림되어 식기류 또는 재료들을 일시 담아두는 거름망(115)과;
상기 세척보울(107)의 후방위치 플랜지(106) 중앙에 수전(120)을 연결하도록 형성하는 수전홀(121)과;
상기 수전홀(121)의 양측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어홀(122)과;
상기 세척보울(107)의 저면에 설치하여 세척보울(107)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및 과일을 초음파로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세척수단(130)을 포함하여;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더불어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오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가정에 구비되는 싱크대의 싱크볼 위치에 장착하여 일반적인 싱크대를 사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이동하거나 제어 작동하여야 하는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 없어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싱크볼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구성하면서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낮추어 이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면서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주방에서 빈번한 사용이 있는 도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 거름망과 누름망을 이용하여 세척을 준비하과 완료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도구에 의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C - 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누름망을 발췌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거름망을 발췌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용 배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용 배수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B - B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도시한 C - 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누름망을 발췌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의 거름망을 발췌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용 배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용 배수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100)는, 싱크대에 장착되는 싱크볼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싱크볼과 같은 크기로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세척바디(105)를 구비한다.
상기 세척바디(105)는 싱크대(101) 상면에 노출 걸림될 수 있도록 사방에 플랜지(106)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06)의 하방으로는 싱크대(101) 하방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세척보울(107)을 형성한다.
상기 세척보울(107)은 하나의 공간을 가지는 원보울타입 또는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세척보울(107)의 내부에 격벽(108)을 형성하여 큰 공간을 가지는 메인보울(109)과, 상기 메인보울(109)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보조보울(110)로 구성되는 투보울타입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척보울(107)의 상부에는 하향 요입되게 사방에 안착턱(111)을 형성하여 도마(112)를 걸쳐서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보울(107)을 구성하는 메인보울(109)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격자형태의 망체로 구성되는 누름망(113)을 구비하여 메인보울(109)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이 부상되지 않도록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망(113)의 가장자리 사방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유지부싱(114)을 결합하여 유지부싱(114)이 메인보울(109)의 내벽면과 밀착되어 눌러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보조보울(110)에는 안착턱(111)에 걸림될 수 있는 거름망(115)을 구비하여 사용되는 식기류 또는 재료들을 일시적으로 담아둘 수 있도록 하는 데, 상기 거름망(115)은 안착턱(111)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단에 걸림림(116)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림(116)의 하방으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거름바(117)를 조밀한 간격으로 유지하여도 되고, 망체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누름망(113)과 거름망(115)은 보조보울(110)과 메인보울(109)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세척보울(107)을 구성하는 메인보울(109)과 보조보울(110)의 바닥면에는 배수구(118)를 형성한다.
상기 세척보울(107)의 후방위치 플랜지(106) 중앙에는 수전(120)을 연결하기 위한 수전홀(1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전홀(121)의 양측으로는 다수개의 제어홀(122)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초음파세척수단과 자동배수기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버턴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척보울(107)의 저면에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보울(107)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및 과일을 초음파로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세척수단(130)을 설치하는 데, 필요에 따라 메인보울(109)과 보조보울(110) 모두에 설치할 수 있고, 메인보울(109) 또는 보조보울(110) 하나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초음파세척수단(130)은, 세척보울(107)의 저면에 다수개의 진동자(131,132)를 고르게 배열시켜 고정하고, 상기 진동차(131,132)는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이 불가하도록 커버(133)로 마감한다.
상기 진동자(131,132)는 커버(133) 저면에 소형화시킨 제네레이터(135)와 연결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네레이터(135)는 타이머(136)와 연결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만 작동한 후 멈추도록 함으로서 이용자가 의도치 않게 지속적으로 작동함으로서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네레이터(135)를 소형화 함으로서 싱크대의 세척보울(107) 하방 공간을 충분하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 배스구와 연결되는 호스 등고 간섭을 ㅂo제할 수 있고, 제네레이터(135)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상기 커버(133)와 제네레이터(135)는 장착수단(140)에 의하여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장착수단(140)은 커버(133)에 다수개의 장착홀(141)을 형성하고, 제네레이터(135)의 상면에는 장착홀(141)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수의 장착돌기(14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장착홀(141)은 장착돌기(142)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출입홀(143)과, 상기 출입홀(143)에서 일측 방향으로 출입홀(143)보다 작으면서 길게 형성하는 걸림홀(144)로 구성한다.
상기 장착돌기(142)는 상단에 출입홀(143)보다는 작으면서 걸림홀(144)보다는 큰 형상의 걸림헤드(145)를 형성하여 제네레이터(135)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보울(109)과 보조보울(110)에 형성되는 배수구(118)에는 자동배수기(150)를 장착하여 세척 후 배수구(118)를 개방을 위하여 손으로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첨단(尖端)의 도구에 의하여 신체적인 손상을 입는 것과 더불어 세척으로 야기된 이물질 등에 의하여 신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동배수기(150)는, 배수구(118) 위치 세척보울(107)의 아래측에 기밀재(151)를 개재하여 밀착되는 개략 원통형상의 아우터바디(152)와, 상기 세척보울(107) 상측에 걸림되어 아우터바디(152) 내측에 삽입되는 인너바디(153)로 배수기바디(155)를 구성한다.
상기 아우터바디(151)와 인너바디(153)는 배수를 위한 통공(154)을 형성한 각각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축부(156)와 체결공(157)을 통하여 중앙에 작동공(158)을 형성한 체결볼트(159)로 나사결합하여 유동성을 방지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너바디(153)의 상부 내벽면에 형성되는 걸림망턱(160)에는 배수를 위한 다수 개의 통공을 형성한 하부걸름망(161)과 상부걸름망(162)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물은 배수되고 이물질은 걸러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배수기바디(155) 하방에는 제어홀(122)에 장착되는 배수버턴(163)과 연결되어 개폐작동하는 개폐기(165)를 더 구비한다.
상기 개폐기(165)는, 배수기바디(155)를 구성하는 인너바디(153)의 하방위치에 형성되는 개폐턱(166)과 연접 및 이탈에 의하여 배수를 선택하는 원판형상의 개폐밸브(170)를 밀착시키고, 상기 개폐밸브(170)의 하방으로는 길이조절 가능한 작동로드(171)를 돌출시킨다.
상기 작동로드(171)는 체결볼트(159)에 형성되는 작동공(158)을 통하여 하향 결합되고, 상기 작동로드(171)의 하단부는 아우터바디(151)의 하방 일측에 힌지 결합된 승강레버(172)와 연접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레버(172)의 일측에는 와이어(173)로 배수버턴(163)과 연결하는 데, 상기 배수버턴(163)은 토글타입으로 구비하여 한 번 누르면 와이어(173)를 밀어 승강레버(172)를 하강시키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복귀하면서 와이어(173)를 당겨 승강레버(172)를 상승시켜 개폐밸브(170)를 개폐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싱크대(101)의 보울 위치에 세척바디(105)를 장착하여 수전(120)을 연결하고, 세척보울(107)의 저면에 장착된 진동자(131,132)를 차단하고 있는 커버(133)의 저면에 제네레이터(135)를 장착함으로서 사용준비가 완료된다.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도마(112)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척보울(107)에 형성딘 안착턱(111)에 도마(112)를 안치하여 다른 곳에서 음식물을 손질하여 다시 가져와서 세척하거나 헹구는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메인보울(110) 위에 도마(112)를 안치하고 보조보울(109)에는 거름망(115)을 걸친 후 도마(112)를 거름망(115) 위치로 근접시킨 후 손질한 음식물을 바로 거름망(115)으로 공급하여 쉽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메일보울(110)에 식기나 주방용 도구 또는 식재료 및 야재와 과일을 수용하여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구(118)에 결합된 자동배수기(150)를 차단상태로 두고 일정수위로 물을 받은 후 스위치를 조작하여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을 수행하면 된다.
이때 메인보울(110)에 수용된 식기와 식재료 등이 부상하는 것을 누름망(113)으로 방지하여 초음파가 고르게 전달되어 세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제네레이터(135)의 경우에는 타이머(136)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한 후 자동적으로 정지되므로 혹여 잊어버리고 계속하여 작동함으로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초음파 세척장치(100)의 유지관리와 보수를 위하여 제네레이터(135)를 분리 및 결합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이 경우에는 장착수단(140)을 통하여 쉽게 탈부착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착수단(140)에 의하여 제네레이터(135)가 분리되고 결합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네레이터(135)의 상면에 장착된 장착돌기(142)의 걸림헤드(145)를 커버(133) 저면에 형성된 장착홀(141)의 출입홀(143)과 위치시킨 후 제네레이터(135)를 상승시켜 걸림헤드(145)가 출입홀(143)로 진입하도록 한 후, 제네레이터(135)를 걸림홀(144)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놓으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이때 걸림헤드(145)가 걸림홀(144) 상측에 안착되므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제네레이터(135)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네레이터(135)를 상승시킨 후 출입홀(143)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걸림헤드(145)과 출입홀(143)을 일치시킨 후 제네레이터(135)를 하강시키면 쉽게 분리되어진다.
자동배수기(150)를 이용하여 세척보울(107)에 수용된 물을 배수시키고 또는 차단하고자 하는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홀(122)에 장착되는 토글타입의 배수버턴(163)을 한 번 작동시키면 개방, 다시 한 번 작동시키면 폐쇄 작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용자가 배수버턴(163) 만 눌러주면 쉽게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세척을 위하여 세척보울(107)에 물을 수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버턴(163)을 눌러 인너바디(153) 하방에 결합된 개폐밸브(170)를 하강하도록 하면 개폐밸브(170)가 인너바디(153)의 개폐턱(166)과 밀착되어 물이 배수되지 못하게 차단하게 되므로 세척보울(107) 내부에 목적하는 수위로 물을 채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척이 완료되어 배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버턴(163)을 눌러 개폐밸브(170)를 상승시켜 개폐턱(166)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서 이 틈을 통하여 물이 배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밸브의 구체적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배수버턴(163)과 연결된 와이어(173)가 아우터바디(152)의 하방에 힌지핀으로 유지된 승강레버(172)를 움직여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므로 개폐밸브(170)는 인너바디(153)와 아우터바디(152)를 결속시키고 있는 체결볼트(159)의 작동공(158)을 따라 상승 및 하강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세척보울(107)의 물을 배수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기구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특히 세척이 완료된 후 오염된 물 속으로 손을 넣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위 칼과 같은 도구에 의한 신체적인 손상이나 이물질이 손에 묻게 되는 오염을 방지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한 상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초음파로 세척하는 기본적인 기능과 더불어 사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오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101; 싱크대
105; 세척바디 109; 세척보울
111; 안착턱 112; 도마
113; 누름망 115; 거름망
122; 제어홀 130; 초움파세척수단
131,132; 진동자 133; 커버
135; 제네레이터 140; 장착수단
141; 장착홀 142; 장착돌기
143; 출입홀 144; 걸림홀
145; 걸림헤드 150; 자동배수기
152; 아우터바디 153; 인너바디
155; 배수기바디 158; 작동공
159; 체결볼트 161; 하부걸림망
162; 상부걸림망 163; 배수버턴
165; 개폐기 170; 개폐밸브
171; 작동로드 172; 승강레버

Claims (5)

  1. 싱크대의 싱크볼 위치에 장착되도록 플랜지(106)를 가지고 격벽(108)에 의하여 메인보울(109)과 보조보울(110)로 구성되는 세척보울(107)을 형성한 세척바디(105)와;
    상기 세척보울(107)의 상부에 하향 요입되게 형성하여 도마(112)를 걸쳐서 수평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게 한 안착턱(111)과;
    상기 메인보울(109)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또는 과일 등이 부상되지 않도록 눌러주는 누름망(113)과;
    상기 안착턱(111)에 걸림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하는 걸림림(116)과, 상기 걸림림(116)의 하방으로 다수개의 거름바(117)를 유지하여 보조보울(110)의 안착턱(111)에 걸림되어 식기류 또는 재료들을 일시 담아두는 거름망(115)과;
    상기 세척보울(107)의 후방위치 플랜지(106) 중앙에 수전(120)을 연결하도록 형성하는 수전홀(121)과;
    상기 수전홀(121)의 양측으로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어홀(122)과;
    상기 세척보울(107)의 저면에 설치하여 세척보울(107)에 수용된 식기류나 야채 및 과일을 초음파로 세척하기 위한 초음파세척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세척수단(130)은, 세척보울(107)의 저면에 고르게 배열하여 고정하는 다수개의 진동자(131,132)와;
    상기 진동차(131,132)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이 불가하도록 마감하는 커버(133)와;
    상기 진동자(131,132)가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커버(133) 저면에 소형화시켜 쉽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장착수단(140)으로 장착하는 제네레이터(135)와;
    상기 제네레이터(135)가 설정된 시간만큼 작동한 후 멈추도록 연결하는 타이머(136)와;
    상기 장착수단(140)은, 커버(133)에 다수개 형성하는 장착홀(141)과, 제네레이터(135)의 상면에 장착홀(141)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수로 형성하는 장착돌기(142)로 구성하고;
    상기 장착홀(141)은 장착돌기(142)가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출입홀(143)과, 상기 출입홀(143)에서 일측 방향으로 출입홀(143)보다 작으면서 길게 형성하는 걸림홀(144)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돌기(142)는 상단에 출입홀(143) 보다 작으면서 걸림홀(144) 보다 크게 형성하는 걸림헤드(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울(109)과 보조보울(110)에 형성되는 배수구(118)에는 배수구(118) 개방을 위하여 손으로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첨단(尖端)의 도구나 이물질에 의하여 신체적인 손상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배수구(150)를 더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배수기(150)는, 배수구(118) 위치 세척보울(107)의 아래측에 기밀재(151)를 개재하여 밀착되는 아우터바디(152)와, 상기 세척보울(107) 상측에 걸림되어 아우터바디(152) 내측에 삽입되는 인너바디(153)로 구성되는 배수기바디(155)와;
    상기 아우터바디(151)와 인너바디(153)는 배수를 위한 통공(154)을 형성한 각각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축부(156)와 체결공(157)을 통하여 작동공(158)을 형성한 체결볼트(159)로 결합하고;
    상기 인너바디(153)의 상부 내벽면에 형성되는 걸림망턱(160)에 배수를 위한 다수 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하부걸름망(161) 및 상부걸름망(162)과;
    상기 배수기바디(155) 하부 내측에 결합되고 제어홀(122)에 장착되는 배수버턴(163)과 연결되어 개폐작동하는 개폐기(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165)는, 인너바디(153)의 하방위치에 형성되는 개폐턱(166)과 연접 및 이탈에 의하여 배수를 선택하는 원판형상의 개폐밸브(170)와;
    상기 개폐밸브(170)의 하방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돌출되어 체결볼트(159)에 형성되는 작동공(158)을 통하여 하향되는 작동로드(171)와;
    아우터바디(151)의 하방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하향된 작동로드(171)의 하단부와 연접되는 승강레버(172)와;
    상기 승강레버(172)의 일측에 와이어(173)로 배수버턴(163)과 연결하고;
    상기 배수버턴(163)은 토글타입으로 구비하여 한 번 누르면 와이어(173)를 밀어 승강레버(172)를 하강시키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복귀하면서 와이어(173)를 당겨 승강레버(172)를 상승시켜 개폐밸브(170)를 개폐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KR1020210135049A 2021-10-12 2021-10-12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KR20230051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049A KR20230051989A (ko) 2021-10-12 2021-10-12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049A KR20230051989A (ko) 2021-10-12 2021-10-12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989A true KR20230051989A (ko) 2023-04-19

Family

ID=8614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049A KR20230051989A (ko) 2021-10-12 2021-10-12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198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201B1 (ko) 2017-05-23 2018-08-09 주식회사 알파메딕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KR102257534B1 (ko) 2020-11-10 2021-05-31 주식회사 소닉코리아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201B1 (ko) 2017-05-23 2018-08-09 주식회사 알파메딕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KR102257534B1 (ko) 2020-11-10 2021-05-31 주식회사 소닉코리아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0262B (zh) 一种水槽式洗碗机
KR100871069B1 (ko) 식기 세척기 일체형 싱크대
CN204071824U (zh) 一体化智能厨房系统
EP2375957B1 (en) Pre-rinsing of dishes
KR101750101B1 (ko) 자동 도마세척살균장치
KR20230051989A (ko) 가정용 초음파 세척장치
CN104153431B (zh) 一种带滤水装置的不锈钢水槽
CN108294713B (zh) 用于烹饪用具的清洁装置
US2429090A (en) Dishwashing machine
US2722941A (en) Combination spray and agitator dishwashing machine with elevating rack
US1997849A (en) Dishwashing apparatus
US3717159A (en) Pot washer and sterilizer
CN208510962U (zh) 多功能智能集成餐具清洗橱柜
CN104153432B (zh) 一种多功能不锈钢水槽
CN204080966U (zh) 一种带滤水装置的不锈钢水槽
CN204080969U (zh) 一种多功能不锈钢水槽
US20040031296A1 (en) Manual washing machine
US1769165A (en) Portable dish-washing cabinet
KR200386224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초음파세척기
US1804099A (en) Kitchen utensil
CN208550489U (zh) 集成水槽
US2749939A (en) Dip-rinsing device
KR101100011B1 (ko) 싱크대용 거름망
US431305A (en) Dish-washer
EP1316284A2 (en) Appliance for washing vegetables and mollus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