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790A -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 Google Patents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790A
KR20230050790A KR1020210134017A KR20210134017A KR20230050790A KR 20230050790 A KR20230050790 A KR 20230050790A KR 1020210134017 A KR1020210134017 A KR 1020210134017A KR 20210134017 A KR20210134017 A KR 20210134017A KR 20230050790 A KR20230050790 A KR 20230050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 paper
crankshaft
transfer unit
ch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0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63223B1 (en
Inventor
박유진
Original Assignee
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진 filed Critical 박유진
Priority to KR102021013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223B1/en
Publication of KR2023005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6Fixed platforms or combs, e.g. bridges betwee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oll paper transfer device, comprising a step-up roller unit that is disposed between a front transfer unit and a rear transfer unit and raises an end of a roll paper transferred from the front transfer unit upward to a certain height, thereby capable of moving a large roll paper being transported while raising the large roll paper by an eccentric amount at a position between conveyors. Thus, when simply transferring roll papers between conveyors, the roll papers can be prevented from getting caught between conveyor chains and being damaged.

Description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Roll paper step-up automatic feeding device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본 발명은 롤지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oll paper transf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roll paper transfer device that prevents roll paper from being damaged during transport by stepping up roll paper transported by a plurality of conveyors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

일반적으로 제지공장에서 생산되는 종이는 롤(roll)지의 형태로 공급하도록 제조된다. In general, paper produced in paper mills is manufactured to be supplied in the form of roll paper.

롤 형태로 권취되어 생산된 롤지는 제조하는 도중이나 제조가 완료됨에 따라 컨베이어를 통하여 포장, 2차가공(예를 들면 재단 등), 출하등의 마무리작업을 위한 장소로 이송된다. Roll paper produced by being wound in a roll form is transported to a place for finishing work such as packaging, secondary processing (eg, cutting, etc.), shipment, etc. through a conveyor during manufacturing or upon completion of manufacturing.

특히, 대형 롤지의 경우 중량이 크기 때문에, 컨베이어 체인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송하게 되는데, 이송시에 롤지의 표면이 컨베이어 등과 접촉하면서 이물질에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In particular, since large-sized roll paper is heavy, it is transported using a transport means such as a conveyor chain. During transport, the surface of the roll paper is often contaminated or damaged by foreign substances while in contact with a conveyo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대형 롤지의 이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롤지의 이송장치는 전방 컨베이어(2)와, 후방컨베이어(3)와, 상기 전방 컨베이어 및 후방 컨베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아이들 롤러(4)를 구비하여, 전방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대형 롤지를 아이들 롤러를 통해 지지하면서 후방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한다. 1 is a view showing the transfer of a large roll pap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the large roll paper transfer device includes a front conveyor 2, a rear conveyor 3, and an idle roller 4 disposed between the front conveyor and the rear conveyor, and is transferred from the front conveyor. The large roll paper to be used is transferred to the rear conveyor side while being supported through idle rollers.

종래 기술에 의한 대형 롤지의 이송은, 전방 컨베이어 및 후방 컨베이어는 복수의 체인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인은 전방 컨베이어 및 후방 컨베이어는 각각 일정 반경(R)을 가지는 체인 스프로켓(2b, 3b)에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transfer of large roll pap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ront conveyor and the rear conveyor ar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hains, and the plurality of chains are chain sprockets 2b and 3b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R, respectively. ) is configured to engage and rotate.

그러나, 종래의 대형 롤지의 이송은, 상기 후방 컨베이어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의 체인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상기 체인스프로켓(3b)의 톱니와 맞물려 회전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의 체인의 이격거리는 반경 R에 의해 커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상기 아이들 롤러(4)를 지나 이송되는 대형 롤지의 끝단이 상기 복수의 체인 사이에 끼어 들어가 구부러지거나 찢어지는 등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compar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hain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conveyor, in the conventional transfer of large roll pap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ins at the part rotated in engagement with the teeth of the chain sprocket (3b) Inevitably, the radius R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end of the large roll paper conveyed through the idle roller 4 gets caught between the plurality of chains and is bent or torn.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90482(롤지 이송컨베이어용 청소기)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390482 (cleaner for roll paper transfer conveyo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roll paper from being damaged during transport by stepping up roll paper transported by a plurality of conveyors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It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와 상기 후방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롤지의 끝단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스텝업 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roll paper step-up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transf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chain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hain sprocket engaged with the chains and rotating in an endless track shape, and the front transfer unit A rear transfer unit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plurality of chain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hain sprocket engaged with the chains and rotating in an endless orbit, disposed between the front transfer unit and the rear transfer unit, and transported from the front transfer uni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ep-up roller unit that raises the end of the roll paper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여기서, 상기 스텝업 롤러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미들 기어와, 상기 미들 기어에 연결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텝업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tep-up roller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a plurality of middle gears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ing motor, a crankshaft connected to the middle gear, and a step-up roller connected to the crankshaft. to be

여기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중심축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tep-up roller is connected to the crankshaft so that the central axis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ankshaf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volv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rankshaft by the drive of the driving motor. .

여기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rank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a support portion erected on the floor.

여기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으로 연결되는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 2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tep-up roller includes a first step-up roller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rankshaft, a second step-up roller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p-up roller, and the first step-up roller and the second step-up roller.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needle roller formed between the step-up rollers.

여기서,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의 직경이 길이방향의 양단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롤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second step-up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oll paper is stably seated in the central portion.

여기서, 상기 니들롤러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needle rollers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p-up roller at both ends of the first step-up roll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formed to engag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p-up roller.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에 의하면, 대형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긴 거리를 이송하더라도,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컨베이어의 체인 사이에 끼어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oll paper step-up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even if large roll paper is transferred over a long distance using a plurality of conveyors, the roll paper transferred by a plurality of conveyors is stepped up and transferred between a plurality of conveyors. It can prevent the roll paper from getting caught between the chains of the conveyor and being damag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롤지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의 스텝업 롤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스텝업 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oll paper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utomatic roll paper step-up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roll paper step-up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ep-up roller part of the roll paper step-up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ep-up 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roll paper step-up automatic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mbodiment.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1)는, 전방 이송부(2)와, 후방 이송부(3)와, 스텝업 롤러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6, the roll paper step-up automatic fee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transfer unit 2, a rear transfer unit 3, and a step-up roller unit 10. do.

상기 전방 이송부(2)는,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체인(2a)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전방 이송부(2)는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상기 체인(2a)이 맞물리는 체인스프로켓(2b)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As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 forward transfer unit 2 is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veyor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hains 2a to each other. The front transfer unit 2 has chain sprockets 2b engaged with the chain 2a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rotate in an endless track.

상기 후방 이송부(3)는,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전방이송부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체인(3a)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상기 후방 이송부(3)는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상기 체인(3a)이 맞물리는 체인스프로켓(3b)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For example, the rear transfer unit 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transfer unit and is composed of a conveyor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chains 3a to each other like the forward transfer unit. The rear transport part 3 has chain sprockets 3b engaged with the chain 3a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rotate in an endless track.

상기 전방 이송부(2)와 상기 후방 이송부(3) 사이에는 상기 스텝업 롤러부(1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어서, 상기 스텝업 롤러부(10)는 상기 전방 이송부(2)로부터 이송되는 롤지(6a, 6b)의 끝단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step-up roller unit 10 is provided between the forward transfer unit 2 and the rear transfer unit 3 . In this embodiment, the step-up roller unit 10 is configured to lift the ends of the roll papers 6a and 6b transferred from the forward transfer unit 2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스텝업 롤러부(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11)와, 미들 기어(13)와, 크랭크 샤프트(21)와, 스텝업 롤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tep-up roller unit 10 includes a drive motor 11, a middle gear 13, a crankshaft 21, and a step-up roller 20. It consists of

상기 구동모터(11)와 상기 미들기어(13)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기어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1)에는 감속기(12)가 연결되고, 상기 감속기(12)에는 미들기어(13)가 연결된다. The drive motor 11 and the middle gear 13 may be accommodated inside a gear housing installed upright on the floor. A reduction gear 1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 and a middle gear 13 is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12.

상기 구동모터(11)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감속기를 통해 상기 미들기어가 회전구동된다. 상기 미들기어는 상기 스텝업 롤러의 설치위치와, 필요한 토크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미들기어(13)가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고, 최하단의 미들기어는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고, 최상단의 미들기어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middle gear is rotationally driven through the reduction gear by the rotational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1 . A plurality of middle gears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ep-up roller and the required torque. In this embodiment, four middle gears 13 are installed via bearings, the lowest middle gear is connected to the reducer, and the top middle gea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rankshaft.

상기 최상단의 미들기어에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21)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 샤프트(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The crankshaft 21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uppermost middle gear. As shown in FIG. 4 , the crankshaft 21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a support part 30 .

상기 지지부(30)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며,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회전하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e support part 30 is installed upright on the floor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rankshaft rotating via a bearing.

상기 크랭크 샤프트(21)는 크랭크 샤프트 헤드(21a)를 가지며,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21a)는 상하 방향이 조금 더 긴 대략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crankshaft 21 has a crankshaft head 21a, and the crankshaft head 21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oval shape that is slightly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21a)에는 상기 스텝업 롤러(20)가 연결된다.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그 중심축(A)이 상기 크랭크 샤프트(21)의 중심축(B)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에 연결된다. The step-up roller 20 is connected to the crankshaft head 21a. The step-up roller 20 is connected to the crankshaft head such that its central axis A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B of the crankshaft 2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텝업 롤러(20)의 중심축(A)의 편심량은 상기 체인(3a)의 크기와 상기 체인스프로켓(3b)의 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mount of eccentricity of the central axis A of the step-up roller 2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hain 3a and the radius of the chain sprocket 3b.

상기 스텝업 롤러(20)가 상기 크랭크 샤프트(21)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을 갖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미들기어(13)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21)가 회전하면,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Since the step-up roller 20 is installed to have an eccentricit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ankshaft 21, the middle gear 13 and the crankshaft 21 ar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11. Then, the step-up roller 20 revolve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rankshaft.

도 3에서, 도면부호 6a 및 6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대형 롤지를 나타낸다. In Fig. 3, reference numerals 6a and 6b denote large roll pap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상기 스텝업 롤러(20)의 공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0.5바퀴 회전될 때에,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편심량의 최대치 만큼 상승하게 되어, 상기 스텝업 롤러(20)로 이송되어 온 상기 롤지(6a, 6b)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된다. When the crankshaft is rotated 0.5 turns by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by the revolution of the step-up roller 20, the step-up roller 20 rises by the maximum value of the eccentric amount, and the step-up roller ( 20) to lift the roll papers 6a and 6b upward.

그런 다음,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다시 0.5바퀴 회전될 때에,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상기 롤지(6a, 6b)를 상기 후방 이송부측으로 이송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상기 롤지는 상기 후방 이송부의 체인 상부면에 안착된다. Then, when the crankshaft is rotated 0.5 times again by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the step-up roller 20 descends while transporting the roll papers 6a and 6b toward the rear transfer part, and the lowered The roll pap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n of the rear conveying part.

이로써, 복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롤지를 복수의 컨베이어 사이에서 스텝업시켜 이송시 롤지가 컨베이어의 체인 사이에 끼어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ll paper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chains of the conveyor and damaged during transport by stepping up the roll paper transported by the plurality of conveyors between the plurality of conveyors.

한편, 상기 스텝업 롤러(20)는, 제 1 스텝업 롤러(23)와, 제 2 스텝업 롤러(22)와, 니들 롤러(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tep-up roller 20 may include a first step-up roller 23, a second step-up roller 22, and a needle roller 24.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는 양측의 크랭크 샤프트 헤드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크랭크 샤프트 헤드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step-up roller 23 is installed between the crankshaft heads on both sides so as to be stably fixed to the crankshaft heads. The first step-up roller 23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rankshaft.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22)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22)는 상기 롤지(6a, 6b)의 외부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22)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22a)의 직경이 길이방향의 양단 부분(22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롤지에 맞닿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를 중앙부분이 오목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롤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second step-up roller 22 is configur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p-up roller 23 . The second step-up roller 22 is configu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roll papers 6a and 6b. The second step-up roller 22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2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 portions 22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inclined concavely. By forming the second step-up roller in contact with the roll paper with a concave central portion, the roll paper may be stably seated.

상기 니들롤러(24)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 (2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니들롤러(24)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니들롤러(24)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니들롤러(24)의 상기 돌기는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도시하지 않음)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The needle roller 2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up roller 23 and the second step-up roller 22 . The needle rollers 24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p-up roller 23 at both ends of the first step-up roller 2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needle roller 24 is formed by spaced projection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p-up roller at regular intervals. The protrusion of the needle roller 24 is formed to engage with a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p-up roller.

상기 니들롤러(24)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스텝업 롤러(20)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회전하고, 다시 하강하면서 회전할 때에, 중량이 큰 상기 롤지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스텝업 롤러 및 상기 크랭크 샤프트가 역회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needle roller 24, when the step-up roller 20 rotates while ascending and then descends again, the step-up roller and the crankshaft are moved by the weight of the heavy roll paper. Reverse rotation can prevent damage.

상술한 구성에 의해, 이송되는 대형 롤지를 컨베이어 사이의 위치에서 편심량 만큼 상승시키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단순히 컨베이어 사이에서 이송시킬 때에 컨베이어의 체인 사이에 끼어들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large roll paper to be conveyed can be moved while being raised by the amount of eccentricity at the position between the conveyor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caused by being caught between the chains of the conveyors when simply conveying between conveyors.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This embodiment only clearly shows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ation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all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2 : 전방 이송부
3 : 후방 이송부
10 : 스텝업 롤러부
11 : 구동모터
13 : 미들기어
20 : 스텝업 롤러
21 : 크랭크 샤프트
1: Roll paper step-up automatic feeding device
2: forward transfer part
3: rear transfer part
10: step-up roller part
11: drive motor
13 : middle gear
20: step-up roller
21: crankshaft

Claims (7)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맞물림되는 체인스프로켓을 가지며 무한궤도 형상으로 회전하는 후방 이송부와,
상기 전방 이송부와 상기 후방 이송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롤지의 끝단을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스텝업 롤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 front transf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chain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hain sprocket engaged with the chains and rotating in an endless orbit;
A rear transfer unit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orward transf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chain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hain sprocket engaged with the chains, and rotating in an endless track;
and a step-up roller unit disposed between the front transfer unit and the rear transfer unit and lifting an end of the roll paper transferred from the front transfer unit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업 롤러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복수의 미들 기어와,
상기 미들 기어에 연결되는 크랭크 샤프트와,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텝업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up roller part,
drive motor,
A plurality of middle gears rotationally driven by the driving motor;
A crankshaft connected to the middle gear;
An automatic roll paper step-up feeder comprising a step-up roller connected to the crankshaf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중심축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up roller is connected to the crankshaft so that its central axis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rankshaft, and is configured to revolve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rankshaft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Up automatic transfer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는 바닥에 세워 설치되는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roll paper step-up automatic fee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nkshaft is supported by a support portion installed upright on the flo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업 롤러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으로 연결되는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제 2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와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up roller,
A first step-up roller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rankshaft;
a second step-up roller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p-up roller;
and a needle roller formed between the first step-up roller and the second step-up roll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는 길이방향의 중앙부분의 직경이 길이방향의 양단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롤지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step-up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both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oll paper is stably seated in the central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롤러는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상기 제 1 스텝업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텝업 롤러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지 스텝업 자동이송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needle rollers ar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tep-up roller at both ends of the first step-up roll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formed to engag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p-up roller. transfer device.
KR1020210134017A 2021-10-08 2021-10-08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KR1026632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017A KR102663223B1 (en) 2021-10-08 2021-10-08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017A KR102663223B1 (en) 2021-10-08 2021-10-08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790A true KR20230050790A (en) 2023-04-17
KR102663223B1 KR102663223B1 (en) 2024-05-03

Family

ID=8613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017A KR102663223B1 (en) 2021-10-08 2021-10-08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2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820A (en) * 1991-12-18 1993-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Multi-storied roll paper housing device
JP3022763U (en) * 1995-09-19 1996-04-02 財団法人工業技術研究院 Conveyor transfer device
KR20010079281A (en) * 2001-06-29 2001-08-22 전재형 device for conveying roll straight by rolling
KR100370446B1 (en) * 1994-09-07 2003-07-12 렉스노드 코포레이션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chanism used for the transport device
KR200390482Y1 (en) 2005-04-28 2005-07-20 한솔이엠이(주) Cleaner for Conveyor for Movement of Roll Pap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540A (en) 1995-02-17 1996-09-10 Sun Microsystems, Inc. ASIC bus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820A (en) * 1991-12-18 1993-06-29 Mitsubishi Heavy Ind Ltd Multi-storied roll paper housing device
KR100370446B1 (en) * 1994-09-07 2003-07-12 렉스노드 코포레이션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chanism used for the transport device
JP3022763U (en) * 1995-09-19 1996-04-02 財団法人工業技術研究院 Conveyor transfer device
KR20010079281A (en) * 2001-06-29 2001-08-22 전재형 device for conveying roll straight by rolling
KR200390482Y1 (en) 2005-04-28 2005-07-20 한솔이엠이(주) Cleaner for Conveyor for Movement of Roll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223B1 (en) 202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940B1 (en) Conveyor
KR100582758B1 (en) Apparatus for conveying medicine packets using a medicine packing machine
KR101187770B1 (en) A foldable auto conveyor
CN212197101U (en) Side roller way machine
CN113734757B (en) Lifting type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double-layer conveying belt trays for assembling children shoes
KR102663223B1 (en) Step-up type automatic transferring apparatus for roll paper
WO2023159856A1 (en) Conveying device
CN215797152U (en) Bulk material discharge devices
US5029691A (en) Chain conveyor and pallet
KR101101423B1 (en) Conveyor apparatus
JP2005263359A (en) Conveying apparatus
KR20160092161A (en) curved conveyor
JPH02123020A (en) Spiral weight lift machine
JP2017197306A (en) Transfer device and conveyance device
JP2003261219A (en) Delivering device
JP2003081421A (en) Conveying direction converting device
KR101849006B1 (en) Friction roller for conveyor
KR100704961B1 (en) automatic loading and supplying apparatus for roll matter
CN214113849U (en) Double-speed chain machine head structure
CN219635594U (en) Rotary jacking transfer machine
JPH08175634A (en) Article aligning conveying device
JPH07206120A (en) Roller conveyor
CN220484839U (en) Roller and film automatic conveying device
CN215709791U (en) Roller type electric rotating table
JPH0432345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