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0335A - 서비스 품질 흐름과의 전송 식별자의 연관 - Google Patents

서비스 품질 흐름과의 전송 식별자의 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0335A
KR20230050335A KR1020237004825A KR20237004825A KR20230050335A KR 20230050335 A KR20230050335 A KR 20230050335A KR 1020237004825 A KR1020237004825 A KR 1020237004825A KR 20237004825 A KR20237004825 A KR 20237004825A KR 20230050335 A KR20230050335 A KR 20230050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s
protocol
access
qo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싱유에 조우
진구오 주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5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83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04W28/026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involving mapping traffic to individual bearers or channels, e.g. traffic flow template [T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3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dapting protocols for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to wireless environment, e.g. adapt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 H04W28/08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04W28/0861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 H04W28/0865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between base stations of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s], e.g. LTE or WiF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위 계층에서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 기능을 활성화(enable)하고 세션의 모든 트래픽에 대한 왕복 시간(Round-Trip Time)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기반 접속 식별자를 적절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흐름과 연관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을 포함하는 세션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과 연관된 2개의 접속을 식별하는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 접속은 UD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된다. 이 방법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품질 흐름과의 전송 식별자의 연관
본 특허 문헌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기술은 점점 더 접속되고 네트워크화된 사회를 향해 세상을 이동시키고 있다. 모바일 통신의 급속한 성장 및 기술적 발전은 용량 및 접속성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소비, 디바이스 비용, 스펙트럼 효율성, 및 대기 시간과 같은 다른 양상도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의 필요를 충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 보다 긴 배터리 수명, 및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이 특허 문헌은 무엇보다도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기반 접속 식별자를 적절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흐름과 연관시켜, 하위 계층에서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 기능(Access Traffic Steering, Switching and Splitting functionality)을 활성화(enable)하고 세션의 모든 트래픽에 대한 왕복 시간(Round-Trip Time)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을 설명한다.
일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을 포함하는 세션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과 연관된 2개의 접속을 식별하는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개의 접속은 UD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된다. 이 방법은 또한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1 접속은 프로토콜 스위트(protocol suite)에 명시된 제1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2 접속은 다른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2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을 포함하는 세션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사이의 매핑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개의 접속은 UD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된다.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1 접속은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1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2 접속은 다른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2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 방법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매핑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전술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매체가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매체는 저장된 코드를 포함한다.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에, 프로세서로 하여금 전술된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이러한 양상 및 다른 양상이 본 문헌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 기능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5세대(5G)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QUIC 패킷 포맷을 도시한다.
도 3은 QUIC 패킷에 대한 예시적인 긴 헤더 패킷 포맷을 예시한다.
도 4는 QUIC 패킷에 대한 예시적인 짧은 헤더 패킷 포맷을 예시한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QUIC-LL(QUIC-Low Layer)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5G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QUIC-LL 및 QoS 모델의 예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도 8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도 9는 본 기술에 따라 QUIC 접속과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기술에 따라 QUIC 접속과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시그널링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기술에 따라 성능 측정 기능 프로토콜(Performance Measurement Function Protocol; PMFP) 접속과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국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부분별 표제는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만 본 문헌에서 사용되며, 각 부분 내의 개시되는 실시예 및 기술의 범위는 해당 부분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5세대(Fifth Generation; 5G) 무선 프로토콜의 예를 사용하여 특정 특징이 설명된다. 그러나, 개시되는 기술의 적용 가능성은 5G 무선 시스템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에서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와 비(non)-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제공되었다.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가 분할되고 송신될 필요가 있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5G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Access Traffic Steering, Switching and Splitting; ATSSS)은 코어 네트워크에 대해, 사용 가능한 3GPP 및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디바이스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를 지시하는 규칙을 사용하여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것을 요구한다. 스티어링 기능은 예를 들어, 프로토콜 스택에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위에서 실행되는 다중 경로 송신 제어 프로토콜(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MPTCP)과 같은 상위 계층의 스티어링 기능뿐만 아니라, 및 로드 밸런싱이나 우선순위 기반의 스티어링과 같은 하위 계층의 스티어링 기능을 포함한다.
ATSSS 능력은 다중 액세스(multi-access; MA)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 PDU) 접속 서비스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및 5G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5GC)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MA PDU 접속 서비스는 PUD 세션 앵커(PUD session anchor; PSA)와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두 개의 독립적인 N3/N9 터널에 기초해 하나의 3GPP 액세스 네트워크와 하나의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하여 UE와 데이터 네트워크 간에 PDU를 교환할 수 있다. 다중 액세스 PDU 접속 서비스는 2개의 접속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평면 자원을 가질 수 있는 MA PDU 세션을 수립함으로써 실현된다. UE가 3GPP 및 비-3GPP 액세스 모두를 통해 등록되는 경우, 또는 UE가 하나의 액세스를 통해서만 등록된 경우 UE는 MA PDU 세션을 요청할 수 있다.
MA PDU 세션 수립 후, 두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 사용자 평면 자원이 있는 경우, UE는 네트워크 제공 정책(예컨대, ATSSS 규칙)을 적용하고 두 액세스 네트워크에 걸쳐 업링크 트래픽을 분배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로컬 조건(예컨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가용성, 신호 손실 조건, 사용자 선호도 등)을 고려한다. 유사하게, MA PDU 세션의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앵커는 2개의 N3/N9 터널과 2개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걸쳐 다운링크 트래픽을 분배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제공 정책(예컨대, N4 규칙), 및 사용자 평면을 통해 UE로부터 수신된 피드백 정보(예컨대, 액세스 네트워크 비-가용성 또는 가용성)를 적용한다.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에만 사용자 평면 자원이 있는 경우, UE는 ATSSS 규칙을 적용하고 또 다른 액세스를 통해 사용자 평면 자원의 수립 또는 활성화(activation)를 트리거하기 위한 로컬 조건을 고려한다. MA PDU 세션의 유형은 다음 유형 중 하나일 수 있다: IPv4, IPv6, IPv4v6, 및 이더넷.
도 1은 ATSSS를 지원하는 예시적인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이 아키텍처에서, 사용자 장비(UE)(101)는 예를 들어, MPTCP 기능(103) 및/또는 ATSSS 하위 계층(ATSSS-LL) 기능(105)과 같은 스티어링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한다. UE의 각각의 스티어링 기능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ATSSS 규칙에 따라 3GPP 액세스(110) 및 비-3GPP 액세스(120)에 걸쳐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ATSSS-LL 기능은 이더넷 유형의 MA PDU 세션에 대해 UE에서 필수이다. UPF(107)는 MPTCP 프로토콜에 의해 UE 내의 MPTCP 기능(103)과 통신하는 MPTCP 프록시 기능(108)을 지원할 수 있다. UPF는 또한 ATSSS-LL 기능도 지원할 수 있다.
ATSSS에서 추가 스티어링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다중화되고 안전한 범용 전송 프로토콜인 QUIC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 스트림 다중화
- 스트림 및 접속 수준 흐름 제어
- 대기 시간이 짧은 접속 수립
- 네트워크 주소 변환(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리바인딩에 대한 접속 마이그레이션 및 복원력
- 인증 및 암호화된 헤더 및 페이로드.
QUIC 프로토콜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을 기층(substrate)으로서 사용하여 레거시 클라이언트 운영 체제 및 미들 박스에 대한 변경의 요구를 회피한다. 도 2는 예시적인 QUIC 패킷 포맷(200)을 도시한다. QUIC 패킷은 UDP 헤더, QUIC 헤더, 및 QUIC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QUIC 접속은 QUIC 엔드포인트가 통신하는 컨텍스트이다. QUIC 엔드포인트는 QUIC 패킷을 생성, 수신 및 처리하여 QUIC 접속에 참여할 수 있는 엔티티이다. QUIC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두 가지 유형의 엔드포인트만 있다. QUIC의 접속 수립은 버전 협상을 암호화 및 전송 핸드셰이크와 결합하여 접속 수립 대기 시간을 감소시킨다. 접속이 일단 수립되면, 접속은 어느 한 엔드포인트에 의해 어느 한 엔드포인트에 있는 다른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나 포트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각 접속은 각각 접속을 식별할 수 있는 접속 식별자(ID)의 세트를 소유한다. 접속 ID는 엔드포인트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각 엔드포인트는 자신의 피어가 사용하는 접속 ID를 선택한다. 접속 ID의 주요 기능은 하위 프로토콜 계층(예컨대, UDP 및/또는 IP 계층)의 주소 지정 변경으로 인해 QUIC 접속에 대한 패킷이 잘못된 엔드포인트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각 엔드포인트는 해당 접속 ID를 가진 패킷이 엔드포인트로 다시 라우팅되고 수신 시 엔드포인트에서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구현 특유 및/또는 배치 특유(deployment-specific) 방법을 사용하여 접속 ID를 선택한다.
도 3은 QUIC 패킷에 대한 예시적인 긴 헤더 패킷 포맷을 예시한다. 긴 헤더를 가진 QUIC 패킷은 소스 접속 ID 필드 및 목적지 접속 ID 필드를 포함한다. 이 필드는 새 접속에 대한 접속 ID 필드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4는 QUIC 패킷에 대한 예시적인 짧은 헤더 패킷 포맷을 예시한다. 짧은 헤더를 가진 QUIC 패킷은 명시적인 길이 없이 목적지 접속 ID만을 포함한다. 목적지 접속 ID 필드의 길이는 엔드포인트에 알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엔드포인트에 의해 발행(issue)된 초기 접속 ID는 핸드셰이크 중에 긴 패킷 헤더의 소스 접속 ID 필드에서 송신된다. 접속 ID는 초기 패킷에서 클라이언트에 의해 무작위로 선택된다. 엔드포인트가 접속 ID를 발행하면, 접속 지속 기간 동안 또는 자신의 피어가 RETIRE_CONNECTION_ID 프레임을 통해 접속 ID를 무효화할 때까지 이 접속 ID를 전달하는 패킷을 수락(accept)해야 한다. 발행되었지만 폐기(retire)되지 않은 접속 ID는 활성 상태로 간주된다; 임의의 활성 접속 ID는 임의의 시간에 임의의 패킷 유형에서 현재 접속과 함께 사용하기에 유효하다.
IP 계층(예컨대, MPTCP) 위에서 동작하는 상위 계층 스티어링 기능과 달리, QUIC-하위 계층(QUIC-LL)이라고 불리는 ATSSS 스티어링 기능은 IP 계층 아래에서 동작하도록 도입되었다(예컨대, ATSSS-LL과 유사함). 도 5는 본 기술에 따라 QUIC-LL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5G 시스템 아키텍처(500)를 예시한다. 이 아키텍처에서, UE(501)는 MPQUIC-LL 기능(509)을 지원한다. UPF(507)는 MPQUIC-LL 기능(509)도 지원한다.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5G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QUIC-LL 및 QoS 모델(600)의 예를 예시한다. 5G QoS 모델은 QoS 흐름에 기초한다. QoS 흐름 ID(QoS Flow ID; QFI)는 5G 시스템에서 QoS 흐름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PDU 세션 내에서 동일한 QFI를 가진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동일한 트래픽 포워딩 처리(예컨대, 스케줄링, 승인 문턱값)를 수신한다. QFI는 (예컨대, e2e 패킷 헤더에 대한 어떠한 변경도 없이) N3 (및 N9)의 캡슐화 헤더에서 전달된다. QFI는 모든 PDU 세션 유형에 사용된다. QFI는 PDU 세션 내에서 고유해야 한다. QFI는 동적으로 할당되거나 5QI와 같을 수 있다. 5GS 내에서, QoS 흐름은 SMF에 의해 제어되며 PDU 세션 수립 절차 또는 PDU 세션 수정 절차를 통해 미리 구성되거나 수립될 수 있다. QUIC-LL을 사용하면, 각 QoS 흐름은 QUIC 접속과 연관될 수 있다. 다음 목록은 QUIC-LL이 동작하는 방식과 MA PDU 세션에서 ATSSS를 지원하기 위해 QUIC-LL이 적용되는 방식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한다.
1. MA PDU 세션 수립 중에, UE는 QUIC-LL 지원 여부를 표시하고 네트워크는 QUIC-LL이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거쳐 MA PDU 세션의 일부 트래픽 또는 전체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데 사용되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2. 네트워크가 MA PDU 세션에 대해 QUIC-LL 스티어링 기능을 적용하도록 선택한 경우, MA PDU 세션 수립 후, UE는 3GPP 액세스를 통한 N개의 QUIC 접속과 비-3GPP 액세스를 통한 N개의 QUIC 접속이 있음을 보장하며, 여기서 N은 MA PDU 세션의 QoS 흐름 수이다.
3. 각 QUIC 접속은 하나의 QoS 흐름에 매핑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 PDU 세션에 2개의 QoS 흐름이 할당된다. 3GPP 액세스를 통해 UE와 UPF 간에 두 개의 QUIC 접속이 수립되고, 비-3GPP 액세스를 통해 UE와 UPF 간에 두 개의 QUIC 접속이 수립된다.
4. UE의 QoS 규칙은 연관된 QoS 흐름에 대한 각 QUIC 접속의 트래픽을 스티어링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QUIC 접속이 대응 QoS 흐름과 연관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명확하지 않는다. 또한,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UPF(507)는 3GPP 액세스의 사용자 평면을 통해 그리고/또는 비-3GPP 액세스의 사용자 평면을 통해 액세스 성능 측정을 얻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성능 측정 기능(Performance Measurement Functionality; PMF)을 지원한다. MA PDU 세션이 수립되면, 네트워크는 UE에게 측정 지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정보는 UE가 두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를 통해 어떤 측정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뿐만 아니라 측정 보고서가 네트워크로 송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성능 측정 기능 프로토콜(performance measurement function protocol; PMFP) 절차는 UE의 PMF와 UPF의 PMF 간에 수행된다. PMFP 메시지도 UDP 기반이다. 현재, UE와 PMF 간에 다음 PMF 프로토콜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최소 지연" 스티어링 모드가 사용되는 경우, 왕복 시간(Round Trip Time; RTT) 측정을 허용하는 메시지
- UE에 의해 액세스 가용성/불가용성을 UPF에 보고하기 위한 메시지.
UE와 UPF 간에 교환되는 PMF 프로토콜 메시지는 사용 가능한 액세스(들)(예컨대, 디폴트 QoS 흐름)를 통해 디폴트 QoS 규칙과 연관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흐름을 사용할 수 있다. RTT 측정과 관련하여, 디폴트 QoS 흐름을 사용하여 측정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 QoS 흐름에서 검출된 RTT 값은 이 액세스를 통해 이 PDU 세션에 대한 RTT로서 처리된다. 그러나 검출된 값은 이 액세스를 통해 이 PDU 세션의 모든 트래픽에 대한 정확한 RTT를 반영할 수 없다. 지연 시간에 민감한 서비스(latency sensitive services)의 트래픽의 경우 QoS 흐름별 RTT 측정이 필요한다.
이 특허 문헌은 QUIC 접속이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위한 적절한 QoS 흐름과 연관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개시된 기술은 QoS 흐름과 PMFP 접속 간의 매핑이 정확한 QoS 흐름별 RTT 측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PMFP 절차에 대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7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방법(700)은 동작(7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QoS) 흐름을 포함하는 세션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과 연관된 2개의 접속을 식별하는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 접속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된다. 이 방법은 또한 동작(720)에서,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1 접속은 프로토콜 스위트(protocol suite)에 명시된 제1 액세스 기술(예컨대, 3GPP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QUIC 접속 중 제2 접속은 다른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2 액세스 기술(예컨대, 비-3GPP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노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노드 또는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노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DP 기반 프로토콜은 스트림 다중화 및 보안 송신을 제공하는 QUIC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세션 수립 절차 동안, 2개의 접속에 대한 목적지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사이의 매핑을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매핑은 두 접속에 대한 목적지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은 디폴트 QoS 흐름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세션을 수정하기 위한 세션 수정 절차 동안, 2개의 접속에 대한 소스 식별자 및 목적지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패킷을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킷은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와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하고, 접속은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QoS 흐름과 연관되는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패킷을 코어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킷은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 및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하고, QoS 흐름은 QoS 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UDP 기반 프로토콜은 성능 측정 기능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2개의 접속과 연관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2개의 접속과 연관된 포트 번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가 QoS 규칙에 따라 매핑에 기초하여 패킷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 디바이스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8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방법(800)은, 동작(8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QoS) 흐름을 포함하는 세션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두 접속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된다.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1 접속은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1 액세스 기술(예컨대, 3GPP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2 접속은 다른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2 액세스 기술(예컨대, 비-3GPP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방법(800)은 동작(820)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매핑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사용자 평면 기능(UPF) 노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는 세션 관리 기능(SMF) 노드 또는 정책 제어 기능(PCF) 노드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DP 기반 프로토콜은 스트림 다중화 및 보안 송신을 제공하는 QUIC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된 매핑은 2개의 접속에 대한 목적지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된 매핑은 2개의 접속에 대한 소스 식별자 및 목적지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 규칙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로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킷은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 및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QoS 규칙에 따라 결정되는 QoS 흐름과 연관된 접속을 사용하여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로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킷은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 및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DP 기반 프로토콜은 성능 측정 기능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2개의 접속과 연관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2개의 접속과 연관된 포트 번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QoS 규칙에 따른 매핑에 기초한 패킷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기술의 일부 예들이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더 설명된다.
실시예 1
일부 실시예에서, QUIC 접속과 QoS 흐름 사이의 연관 또는 매핑은 PDU 세션 수립 절차에서 수립될 수 있다. 도 9는 본 기술에 따라 QUIC 접속과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시퀀스(900)를 예시한다.
여기서 UE는 각각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했다. 한편, 다수의 QoS 흐름, 예를 들어. 두 개의 QoS 흐름이 MA PDU 세션을 통해 수립된다. 네트워크는 각각의 QUIC 접속을 하나의 QoS 흐름과 연관시키기 위해 QoS 흐름에 대한 QUIC 접속 ID의 매핑 정보를 생성하여 UE에게 제공하도록 관리한다. QoS 흐름 수립이 완료되면 UE는 네트워크와의 QUIC 접속 수립을 시작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시적인 절차는 PDU 세션 수립 절차에 기초한다.
동작(901): UE는 상향링크(uplink; UL) 비-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전송 메시지에서 요청 유형이 "MA PDU 요청"인 PDU 세션 수립 요청을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으로 송신한다. 이 요청은 QUIC-LL 기능을 포함하여 UE의 ATSSS 능력을 나타낸다.
동작(902): AMF는 적절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AMF는 SMF와 통신하여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요청 및 응답을 교환하여 SMF와의 연관을 생성한다. SMF는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SM 컨텍스트 ID를 제공하여 AMF에 응답한다.
동작(903): SMF는 PCF와의 SM 정책 연관을 수립하고 PDU 세션에 대한 디폴트 PCF 규칙을 얻기 위해 세션 관리 정책 연관 수립 절차를 수행한다. PCF는 정책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동작(904): SMF는 선택된 UPF를 사용해 N4 세션 수립 절차를 시작하고 이 PDU 세션에 대해 UPF에 설치할 패킷 검출, QoS 시행(enforcement) 및 보고 규칙을 제공한다. UPF는 예를 들어, 로컬 F-TEID, 네트워크 인스턴스, UE IP 주소(들), 서비스 데이터 흐름(Service Data Flow; SDF) 필터(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ID, 특정 QoS 흐름(들)에 관련된 트래픽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QFI(들)을 포함하는 패킷 검출 정보(Packet Detection Information; PDI)와 같은, 들어오는 패킷들이 매칭되도록 요청되는 파라미터들의 조합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905): UPF는 SMF에 N4 세션 수립 응답을 송신한다.
동작(906): UPF는 QUIC 접속 ID/UDP 포트를 생성하고 QUIC 접속 ID를 SMF로 송신한다. QoS 흐름은 액세스-애그노스틱(access agnostic)이지만 QUIC 접속은 액세스에 대한(per access)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QoS 흐름은 두 개의 QUIC 접속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QUIC 접속은 3GPP 액세스용이고 다른 하나는 비-3GPP 액세스용이다. QUIC 접속 ID의 수는, MA PDU 세션이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 모두를 통해 수립될 때 수립된 QoS 흐름 수의 두 배와 같아야 한다.
동작(907): SMF는 수신된 QUIC 접속 ID를 QoS 흐름에 매핑하도록 진행한다. 그런 다음, SMF는 접속 ID/UDP 포트 및 QFI 정보의 매핑을 UPF로 송신한다. 이 특정 예에서, QUIC 접속 ID는 다음과 같이 매핑된다:
9A: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UPF QUIC 접속#1/UDP 포트#A;
9B: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UPF QUIC 접속#2/UDP 포트#B;
9C: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UPF QUIC 접속#3/UDP 포트#A; 그리고
9D: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UPF QUIC 접속#4/UDP 포트#B.
동작(908): SMF는 Namf_Communication_N1N2MessageTransfer에서 PDU 세션 수립 응답을 통해 접속 ID 및 QFI 정보의 매핑을 UE로 송신한다. SMF는 UE에 대한 액세스 유형/UDP 포트별 접속 ID를 포함하는 QoS 규칙 및 ATSSS 규칙의 접속 ID/UDP 포트 정보를 사용해 패킷 필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UE는 QUIC 접속을 수립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QUIC 접속 핸드셰이크 절차를 시작한다. QUIC 시그널링 메시지는 동작(908)에서 수신된 매핑 정보에 대응하는 QoS 흐름을 통해 교환된다.
동작(909a): UE는 긴 헤더를 가진 초기 패킷을 UPF에 송신한다. 긴 헤더는 소스 접속 ID(예컨대, UE 접속 ID) 및 목적지 접속 ID(예컨대, 동작(908)에서 수신된 매핑 정보 내의 UPF 접속 ID)를 포함한다.
동작(909b): UPF는 긴 헤더 내의 수신된 UE 접속 ID를 사용해 N4 규칙을 갱신하도록 SMF에 요청할 수 있다.
동작(909c): SMF는 갱신된 N4 규칙을 UPF에 제공한다. N4 규칙에서의 QFI에 대한 SDF 필터는 UE 접속 ID를 사용해 갱신된다.
동작(909d-e): UPF는 초기 패킷의 수신 확인(acknowledgement)을 UE에 송신하고 UE는 핸드쉐이크 절차를 완료한다.
QUIC 접속에 속하는 모든 패킷은 이후 대응 QoS 흐름을 통해 전송된다. 각 QUIC 접속 핸드셰이크 절차에 대해 유사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QUIC 접속이 수립되면, UE는 ATSSS 규칙의 액세스 유형 정보별 QUIC 접속 ID에 기초해 QUIC 접속을 선택하여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할 수 있다. UE는 또한, QoS 규칙의 QUIC 접속 ID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해 QoS 흐름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906)에서, UPF는 QUIC 접속 ID를 PCF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PCF는 동작(907 및 908)에서, 수신된 QUIC 접속 ID를 QoS 흐름에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UPF 및 UE에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UPF가 QUIC 접속 ID/UDP 포트를 생성한 후, UPF는 QUIC 접속 ID와 QoS 흐름 간의 매핑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UPF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를 통해 매핑 정보를 UE에 송신한다.
실시예 2
일부 실시예에서, QUIC 접속과 QoS 흐름 사이의 연관 또는 매핑은 PDU 세션 수정 절차에서 수립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기술에 따라 QUIC 접속과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시퀀스(1000)를 예시한다.
여기서 UE는 각각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해 5G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했다. 한편, 다수의 QoS 흐름, 예를 들어. 두 개의 QoS 흐름이 MA PDU 세션을 통해 수립된다. 각 QUIC 접속을 액세스당 하나의 QoS 흐름과 연관시키기 위해, 네트워크는 QoS 흐름에 대한 QUIC 접속 ID의 매핑 정보를 생성하여 QUIC 접속 수립 후 UE에 제공하도록 관리한다.
MA PDU 세션 수립 절차 중에, 네트워크는 UPF의 QUIC-LL 기능이 사용할 수 있는 IP@/UDP 포트에 관한 정보를 UE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QUIC-LL 기능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10A: 3GPP 액세스를 통한 QUIC 접속용 IP@1/UDP 포트#A;
10B: 비-3GPP 액세스를 통한 QUIC 접속용 IP@2/UDP 포트#B.
UE는 디폴트 QoS 흐름을 통해 QUIC 접속을 수립하기 시작한다. QoS 흐름은 액세스-애그노스틱이지만 QUIC 접속은 액세스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QoS 흐름은 두 개의 QUIC 접속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QUIC 접속은 3GPP 액세스용이고 다른 QUIC 접속은 비-3GPP 액세스용이다. QUIC 접속 ID의 수는, MA PDU 세션이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를 통해 수립될 때 수립된 QoS 흐름 수의 두 배와 같아야 한다.
동작(1001a): UE는 긴 헤더를 가진 초기 패킷을 UPF에 송신한다. 긴 헤더는 소스 접속 ID(예컨대, UE 접속 ID)를 포함한다.
동작(1001b-c): UPF는 목적지 접속 ID(예컨대, UPF 접속 ID)를 포함하고 초기 패킷의 수신 확인을 UE에게 송신한다. UE는 핸드셰이크 절차를 완료한다.
동작(1002): UPF는 수립된 QUIC 접속 ID(UE 접속 ID와 UPF 접속 ID 모두를 포함함)를 SMF로 송신한다. UPF는 또한 UE에서의 QUIC 접속의 UDP 포트를 SMF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1003): SMF는 QUIC 접속 ID를 3GPP 액세스 및 비-3GPP 액세스에 대한 QoS 흐름들에 각각 할당한다. 이 특정 예에서, QUIC 접속 ID는 다음과 같이 매핑된다:
10A: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QUIC 접속#1;
10B: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QUIC 접속#2;
10C: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QUIC 접속#3;
10D: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QUIC 접속#4.
동작(1004): SMF는 동작(1003)에서의 정보를 반영하는 QFI(선택적으로 액세스 유형,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포함함)와 연관된 접속 ID를 UPF로 송신한다. SMF는 UPF에도 N4 규칙을 제공한다. N4 규칙의 QFI에 대한 SDF 필터는 QUIC 접속 ID를 사용해 갱신될 수 있다.
동작(1005-1006): SMF는 PDU 세션 수정 명령을 통해 QFI(선택적으로 액세스 유형, 3GPP 액세스 또는 비-3GPP 액세스를 포함함)와 연관된 접속 ID를 UE로 송신한다. SMF는 또한 UE에 대한 액세스 유형별 접속 ID를 포함하는 QoS 규칙 및 ATSSS 규칙의 접속 ID 포트 정보를 사용해 패킷 필터를 갱신할 수 있다. UE는 PDU 세션 수정 완료 메시지를 UPF로 송신한다.
UE는 ATSSS 규칙의 액세스 유형 정보별 QUIC 접속 ID에 기초해 QUIC 접속을 선택하여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할 수 있다. UE는 또한, QoS 규칙의 QUIC 접속 ID 정보에 기초해 QoS 흐름을 선택하여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1002 및 1003)에서, UPF는 PCF가 QUIC 접속 ID와 QoS 흐름 간의 매핑을 결정할 수 있도록 QUIC 접속 ID를 PCF로 송신한다. PCF는 그 후 동작(1004-1005)에서 매핑 정보를 UPF 및 UE에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UPF는 QUIC 접속 ID와 QoS 흐름 간의 매핑을 결정한다. UPF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를 통해 매핑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3
액세스 유형을 통해 PDU 세션의 트래픽에 대한 RTT를 정확하게 반영하려면 RTT의 QoS 흐름별 측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서는 UPF가 QoS 흐름당 PMFP IP/UDP 포트에 대한 정보를 UE에 제공해야 한다. 도 11은 본 기술에 따라 PMFP 접속과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그널링 시퀀스(1100)를 예시한다.
동작(1101): UE는, UE가 향상된 PMFP로 QoS 흐름당 RT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표시를 포함하는 PDU 세션 수립 요청을 송신한다.
동작(1102): AMF는 적절한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AMF는 SMF와 통신하여 Nsmf_PDUSession_CreateSMContext 요청 및 응답을 교환하여 SMF와의 연관을 생성한다. SMF는 세션 관리(SM)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SM 컨텍스트 ID를 제공하여 AMF에 응답한다. AMF 및 SMF는 향상된 PMFP를 활성화하도록 확인한다.
동작(1103): SMF는 PCF와의 SM 정책 연관을 수립하고 PDU 세션에 대한 디폴트 PCC 규칙을 얻기 위해 세션 관리 정책 연관 수립 절차를 수행한다. PCF는 향상된 PMFP를 활성화하도록 확인한다.
동작(1104): SMF는 선택된 UPF를 사용해 N4 세션 수립 절차를 시작하고 이 PDU 세션에 대해 UPF에 설치될 패킷 검출, QoS 시행 및 보고 규칙을 제공한다. UPF는 예를 들어, 로컬 F-TEID, 네트워크 인스턴스, UE IP 주소(들), SDF 필터(들)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ID, 특정 QoS 흐름(들)에 관련된 트래픽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QFI(들)를 포함하는 PDI와 같은, 들어오는 패킷들이 매칭되도록 요청되는 파라미터들의 조합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1105): UPF는 SMF에 N4 세션 수립 응답을 송신한다.
동작(1106): UPF는 PMFP IP 주소와 UDP 포트 번호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SMF로 송신한다. QoS 흐름은 액세스-애그노스틱이지만 PMFP 접속은 액세스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QoS 흐름은 두 개의 PMFP 접속을 필요로 한다; 하나의 PMFP 접속은 3GPP 액세스용이고 다른 PMFP 접속은 비-3GPP 액세스용이다.
동작(1107): SMF는 PMFP IP 주소/UDP 포트 번호 및 연관된 QFI를 UPF로 송신한다. SMF는 갱신된 N4 규칙을 UPF에도 제공한다. N4 규칙의 QFI에 대한 SDF 필터는 PMFP IP 주소/UDP 포트 번호를 사용해 갱신될 수 있다. 이 특정 예에서 PMFP IP 주소/UDP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이 매핑될 수 있다:
11A: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PMFP IP@1, UDP 포트#A;
11B: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PMFP IP@2, UDP 포트#B;
11C: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PMFP IP@3, UDP 포트#C;
11D: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PMFP IP@4, UDP 포트#D.
대안적으로, UDP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이 매핑될 수 있다:
11E: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UDP 포트#A;
11F: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1과의 UDP 포트#B;
11G: 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UDP 포트#C;
11H: 비-3GPP 액세스에 대해 QoS 흐름#2와의 UDP 포트#D.
동작(1108): SMF는 PDU 세션 수립 응답을 통해 PMFP IP 주소/UDP 포트 번호 및 연관된 QFI를 (예컨대, 측정 지원 정보에서) UE로 보낸다. SMF는 또한 QoS 규칙의 PMFP IP 주소/UDP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패킷 필터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PMPF IP 주소/UDP 포트를 갖는 패킷 필터를 포함하는 QoS 규칙을 사용하면, UE는 PMPF 프로토콜 메시지가 어느 QoS 흐름을 통해 송신되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하나의 액세스 기술을 통해 QoS 흐름의 성능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UE는 해당 액세스 기술의 QoS 흐름과 연관된 목적지 IP@ 및/또는 UDP 포트와 함께 PMFP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PF는 동작(1106)에서 PMFP IP 주소 및 UDP 포트 번호를 PCF 노드로 송신할 수 있다. PCF는 동작(1107 및 1108)에서, 수신된 PMFP IP 주소와 UDP 포트 번호를 QoS 흐름에 매핑하고 UPF와 UE에 매핑 정보를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UPF가 PMFP IP 주소와 UDP 포트 번호를 생성한 후, UPF는 PMFP IP 주소와 UDP 포트 번호 및 QoS 흐름 사이의 매핑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UPF는 코어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를 통해 매핑 정보를 UE에 송신한다.
도 12는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의 일례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2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BS)(1205a, 1205b),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210a, 1210b, 1210c, 1210d), 및 코어 네트워크(12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205a, 1205b)은 하나 이상의 무선 섹터 내의 무선 디바이스(1210a, 1210b, 1210c 및 1210d)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기지국(1205a, 1205b)은 상이한 섹터들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지향성 빔을 생성하는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1225)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1205a, 1205b)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225)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유선 통신 시스템과의 접속성을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가입된 무선 디바이스(1210a, 1210b, 1210c, 및 1210d)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205a)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반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제2 기지국(1205b)은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반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205a 및 1205b)은 배치 시나리오(deployment scenario)에 따라 현장에 공존할 수도 따로 설치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1210a, 1210b, 1210c, 및 1210d)는 다수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설명되는 기술 및 실시예는 본 문헌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의 기지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국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기지국이나 무선 디바이스(또는 UE)와 같은 무선국(1305)은 본 문헌에서 제시하는 무선 기술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전자 장치(13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1305)은 안테나(13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트랜시버 전자 장치(131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1305)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1305)은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에서, 프로세서 전자 장치(1310)는 트랜시버 전자 장치(131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기술, 모듈 또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국(1305)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국(1305)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헌은 UDP 기반 접속 식별자(예컨대, QUIC 접속 ID, PMFP IP 주소 및/또는 UDP 포트 번호)를 적절한 QoS 흐름과 연관시켜, 하위 계층에서 ATSSS 기능을 활성화하고 트래픽의 RTT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문헌에서 설명된 개시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 모듈, 및 기능적 동작은 본 문헌에 개시된 구조 및 그 구조적 등가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해, 디지털 전자 회로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디바이스, 머신 판독 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디바이스, 머신 판독 가능 전파 신호를 달성하는 혼성 물체(composition of matter), 또는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란 용어는 예시적으로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를 포함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 디바이스, 및 머신을 망라한다. 이 장치는 하드웨어 외에도,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체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신호는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송신할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생성되는, 인공으로 생성되는 신호, 예를 들어, 머신 생성된 전기, 광학, 또는 전자기 신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서 또한 알려짐)은 컴파일링 또는 인터프리팅된 언어를 포함해,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컴퓨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기타 유닛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에 대응할 필요는 없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로 저장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를 유지하는 파일의 일부로, 해당 프로그램 전용의 단일 파일로, 또는 다수의 조정된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서브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부분을 저장하는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또는 한 사이트에 위치되거나 다수의 사이트에 걸쳐 분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다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및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에 대해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하는 함수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 및 논리 흐름은, 특수 용도 논리 회로,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는 장치에 의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일반 용도 및 특수 용도 양쪽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임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이들 양쪽으로부터 명령어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필수 요소는 명령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자기,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송수신 모두를 하기 위해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가 그러한 디바이스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 예를 들어, 내부 하드 디스크 또는 착탈식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그리고 CD 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해,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용도 논리 회로에 의해 보완될 수도 또는 이들에 합체될 수도 있다.
본 특허 문헌이 다수의 상세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청구 대상 또는 임의의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특허 문헌에서 개별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특정 특징은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반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특징도 다수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특징이 특정 조합으로 설명되고 심지어 처음에 그렇게 주장될 수도 있지만, 청구되는 조합 중의 하나 이상의 특징이 어떤 경우에는 조합으로부터 삭제될 수도 있고, 청구되는 조합이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동작이 도면에 특정 순서로 도시되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수행되는 것을, 또는 모든 예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더욱이, 본 특허 문헌에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소수의 구현 및 예시만이 설명되었지만, 본 특허 문헌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것에 기초하여 다른 구현, 개선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7)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흐름을 포함하는 세션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과 연관된 2개의 접속을 식별하는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2개의 접속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됨 -;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1 접속은 프로토콜 스위트(protocol suite)에 명시된 제1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2 접속은 다른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2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노드 또는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DP 기반 프로토콜은 스트림 다중화 및 보안 송신을 제공하는 QUIC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세션 수립 절차 동안, 상기 2개의 접속에 대한 목적지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사이의 매핑을 통신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핑은 상기 2개의 접속에 대한 상기 목적지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은 디폴트 QoS 흐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세션을 수정하기 위한 세션 수정 절차 동안 상기 2개의 접속에 대한 소스 식별자와 목적지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접속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은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 규칙(Access Traffic Steering, Switching and Splitting rule)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QoS 흐름과 연관되는 접속을 사용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하며, 상기 QoS 흐름은 QoS 규칙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DP 기반 프로토콜은 성능 측정 기능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상기 2개의 접속과 연관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상기 2개의 접속과 연관된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가 QoS 규칙에 따라 상기 매핑에 기초하여 패킷 필터링을 수행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 디바이스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흐름을 포함하는 세션에 대해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노드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QoS 흐름 간의 매핑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2개의 접속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수립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1 접속은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1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중 제2 접속은 다른 프로토콜 스위트에 명시된 제2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매핑에 기초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노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는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노드 또는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DP 기반 프로토콜은 스트림 다중화 및 보안 송신을 제공하는 QUIC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매핑은 상기 2개의 접속에 대한 목적지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매핑은 상기 2개의 접속에 대한 소스 식별자 및 목적지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 트래픽 스티어링, 스위칭 및 분할 규칙에 따라 결정되는 접속을 사용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1.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QoS 규칙에 따라 결정되는 QoS 흐름과 연관된 접속을 사용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노드에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와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헤더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2.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DP 기반 프로토콜은 성능 측정 기능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상기 2개의 접속과 연관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속 식별자는 상기 2개의 접속과 연관된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QoS 규칙에 따른 상기 매핑에 기초한 패킷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27.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37004825A 2020-08-11 2020-08-11 서비스 품질 흐름과의 전송 식별자의 연관 KR20230050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08332 WO2022032464A1 (en) 2020-08-11 2020-08-11 Associating transport identifiers with quality of service flow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335A true KR20230050335A (ko) 2023-04-14

Family

ID=8024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825A KR20230050335A (ko) 2020-08-11 2020-08-11 서비스 품질 흐름과의 전송 식별자의 연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89368A1 (ko)
EP (1) EP4179750A4 (ko)
KR (1) KR20230050335A (ko)
CN (1) CN116097681A (ko)
WO (1) WO20220324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409335A1 (en) * 2020-09-11 2021-12-30 Intel Corporation Multi-access management service packet classification and prioritization techniques
CN115915288A (zh) * 2021-08-03 2023-04-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连接的建立方法、终端、应用服务端及网络侧设备
US20230292383A1 (en) * 2022-03-10 2023-09-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ata transmission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6095B2 (en) * 2017-05-10 2020-04-07 Motorola Mobility Llc Data flows over multiple access networks
US20190132251A1 (en) * 2017-10-31 2019-05-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qos flows for unstructured pdu sessions
US10750406B2 (en) * 2018-04-01 2020-08-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distributing uplink data flow between different access networks in 5G communication system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CN111492679A (zh) * 2018-04-04 2020-08-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多接入分流/导流操作的装置和方法
EP3777457A1 (en) * 2018-04-09 2021-02-17 Lenovo (Singapore) Pte. Ltd. Data packet steering on a multi-access data connection
US11064388B2 (en) * 2018-05-21 2021-07-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ffic distribution method through multi-access network in a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US10791485B2 (en) * 2018-10-16 2020-09-29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user datagram protocol internet connection (QUIC) with multipath
CA3120398A1 (en) * 2019-01-11 2020-07-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Resource establish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9750A1 (en) 2023-05-17
EP4179750A4 (en) 2024-04-17
CN116097681A (zh) 2023-05-09
WO2022032464A1 (en) 2022-02-17
US20230189368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343B1 (ko) 애플리케이션 친화적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463839B2 (ja) モバイル環境におけるフローベースのアドレス指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21000827A1 (zh) 数据传输链路建立方法、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189368A1 (en) Associating transport identifiers with quality of service flows
JP7361504B2 (ja) Ue及びsmf
JP2008535302A (ja) パケット無線ネットワーク及び通信方法
CN104854576A (zh) 接入网络的系统和方法
CN114651477A (zh) 用于用户面处理的系统和方法
CN115244897A (zh) 用于使用quic实现多主机多路径安全传输的方法和装置
JP2022550751A (ja) ルーティングおよびベアラマッピング構成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11006339B2 (en) Handl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exchange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t least one user equipment
CN114521335A (zh) Ue以及smf
WO2019174582A1 (zh) 一种消息传输方法和装置
CN113950106B (zh) 多接入连接建立的方法、装置和系统
CN111869310A (zh) 用于执行小数据快速路径通信的方法和系统
KR102397750B1 (ko) 앵커리스 백홀의 지원을 위한 gtp 터널
WO2021250374A1 (en) Access traffic management
WO2018054272A1 (zh) 数据的发送方法和装置、计算机存储介质
KR102055911B1 (ko) 세션 연결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한 장치
US2022024847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1132193A1 (ja) Ue
WO2021132190A1 (ja) Ue
WO2021132192A1 (ja) Ue
JP703184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87228B1 (ko) 멀티 호밍 통신 방법 및 멀티 호밍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