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929A -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929A
KR20230049929A KR1020210133037A KR20210133037A KR20230049929A KR 20230049929 A KR20230049929 A KR 20230049929A KR 1020210133037 A KR1020210133037 A KR 1020210133037A KR 20210133037 A KR20210133037 A KR 20210133037A KR 20230049929 A KR20230049929 A KR 2023004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oupling member
upper body
digestive fluid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9893B1 (ko
Inventor
김병각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89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929A/ko
Priority to KR1020230141488A priority patent/KR20230149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액 공급호스와 체결되도록 측부에 장착된 결합부재 및, 이 결합부재에 통하도록 내부에 가공된 공급로를 구비한 하부체;와, 하부체의 마루 부근에 볼록하게 가공되고, 내부에 공급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 및, 결합부재와 공급로를 따라 유동한 소화액이 수용공간에 일시 수용된 후 가득 차면 소화액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가공된 다수의 분사구를 구비한 상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화재 중심에 투입된 후 소방 호스로 지속적인 소화액을 공급받아 분사하여 큰불이 진압되면 소방관들이 투입되어 잔불을 진압함으로써, 소방관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Waterjet device for extinguishing fire}
본 발명은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액 공급호스의 끝에 장착되고, 불이 발생한 지점에 투척 또는 운반하여 놓은 후 소화액을 공급하면 분사되도록 한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천장이나 지붕 등에 설치된 스프링쿨러가 자동으로 작동되거나, 주변에 비치된 분사식 소화기를 들고 분사하거나, 소화전의 소화용 호스를 들고 물을 분사하거나, 소방관이 소방 호스를 들고 불을 분사하거나, 투척식 소화탄을 투척하여 소화하는 등 다앙한 화재 진압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소화기나, 소화전 또는 소방차의 소방 호스의 경우 불을 끄는 사람이나 소방관이 직접 손으로 들고 불이 난 지점을 향해 소화액이 분사된다. 이외에도 소화탄을 손으로 파지하고 화재 난 지점에 투척하여 불을 끄게 된다.
하지만, 불을 끄는 사람이나 소방관은 고온의 불 근처에서 서 있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있고, 불에 의해 무너지는 가구 및 내장재 등에 의해 다치거나 사망에 이르는 최악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투척식 소화탄은 사람이 던질 수 있는 작은 크기로 제작된 경우 내장된 소화제의 양이 적으므로 불을 끌 수 있는 효율이 낮고, 큰 크기로 제작되면 드론을 이용하게 되고 이때 드론을 조정할 인원이 더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3564호(2018.04.3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7985호(2016.08.18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2619호(2013.05.02 공개)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 호스에 장착되고 화재 지점에 투척된 후 소방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액을 지속적으로 분사함으로써, 위험한 화재 지점에 1차적으로 화재를 진압함으로써, 큰불을 진압한 후 소방관이 투입되도록 하여 소방관에게 가해질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된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는 소화액 공급호스와 체결되도록 측부에 장착된 결합부재 및, 이 결합부재에 통하도록 내부에 가공된 공급로를 구비한 하부체;와, 하부체의 마루 부근에 볼록하게 가공되고, 내부에 공급로와 통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 및, 결합부재와 공급로를 따라 유동한 소화액이 수용공간에 일시 수용된 후 가득 차면 소화액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가공된 다수의 분사구를 구비한 상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가 상부체보다 크고 무거우면서 무게 중심이 하부에 있는 오뚝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는 밑면이 넓고 평평한 바닥부의 테두리에서 일정 높이로 측부가 상향 굴절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그룻 형상이고, 소화액 공급호스와 체결되도록 측부에 장착된 결합부재를 구비한 하부체;와, 하면이 개방된 오목한 반구 형상이고, 하단 테두리가 측부와 결합되어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과, 결합부재를 통해 유입된 소화액이 수용공간에 일시 수용된 후 가득 차면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가공된 다수의 분사구를 구비한 상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는 소화액 공급호스와 체결되도록 측부에 장착된 결합부재, 이 결합부재에 통하도록 가공된 제1공급로와, 마루 부근의 내부에 마련된 설치공간 및, 마루 부근에 천공된 연결구를 구비한 하부체; 설치공간에 내장된 제1모터, 제1롤러, 제2모터, 제2롤러와, 일단이 제1공급로에 통하도록 설치된 연질관을 구비한 회전수단;과, 큰 크기의 분사부와 작은 크기의 회전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외면상 아령 형상이고, 회전부는 설치공간에 수용되고, 연결부는 연결구에 끼워지며, 분사부는 하부체의 외부에 위치되면서 다수의 분사구를 구비하는 상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롤러는 회전부의 측면에 닿고 제1모터에 의해 작동되면서 회전부를 제자리 회전시키고, 제2롤러는 회전부의 하면에 닿고 제2모터에 의해 작동되면서 연결부와 연결구의 끼움 부위를 축으로 회전부를 전후 축회전시키며, 회전부가 회전하는 동안 연질관이 신축될 수 있다.
또한, 소화액 공급호스, 제1공급로, 연질관 및 제2공급로를 통해 소화액이 수용공간에 일시 수용된 후 가득 차면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하부체가 상부체보다 크고 무거우면서 무게 중심이 하부에 있는 오뚝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는 대량의 소화액이 한 곳에 집중 분사되도록 지름이 큰 적어도 1개의 주분사구와, 주분사구 주변에 가공되어 넓은 범위로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다수 가공된 지름이 작은 부분사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체는 분사부에 실내의 화재 생황을 촬영하여 외부 관리자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설치된 카메라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회전수단이 상부체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카메라가 실내의 화재 정보를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가 획득한 화재 정보를 토대로 회전수단이 상부체를 회전시켜 우선 진화 지점을 향해 주분사구가 위치되게 한 후 집중 진화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 호스에 연결된 하부체와 다수의 분수를 갖는 상부체가 오뚝이 형상으로 가공됨으로써, 화재 중심에 투입된 후 소방 호스로 지속적인 소화액을 공급받아 분사하여 큰불이 진압되면 소방관들이 투입되어 잔불을 진압함으로써, 소방관의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장소에 투척하거나 운반하면 화재현장의 가장자리가 아닌 중심부에서부터 소화가 시작되므로 화재의 초기 진압에 효율적이고, 이를 통해 그동안 붕괴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소화 작업을 하던 소방관들의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분사구가 지름이 큰 주분사구와 주변에 위치된 지름이 작은 부분사구들로 이루어지고, 화재 장소에서 우선적으로 소화할 곳이 정해지면 주분사구로 진압함으로써, 가스 폭발 등의 사고를 최소화하고, 화재 진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상부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에 대해 도 1과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의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체(100)와 상부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100)와 상부체(200)는 상호 별도 제작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고, 도 2에서 보듯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하부체(100)와 상부체(200)는 외형이 대략 오뚝이 형상이고, 이로 인해 화재 지점에 투입되면 항상 하부체(100)를 무게 중심으로 하여 상부체(200)가 하부체(100)의 마루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하부체(100)는 구(球)형상이고, 상부체(200)보다 더 크게 만들 수 있다. 이 하부체(100)는 항상 상부체(200)가 하부체(100)의 마루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무게가 무거운 중량의 재질로 만들 수 있다. 이때, 하부체(100)의 더 효율적인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해 하부체(100)의 하부를 가장 무겁게 하여 무게중심부(Wc)로 만들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100)는 외면에 고정된 결합부재(110)와, 이 결합부재(110)와 상부체(200)의 수용공간(210)을 통하도록 가공된 공급로(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10)는 공급로(120)의 일단에 설치되고, 소화액 공급호스(H)와 결합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10)에 소화액 공급호스(H)가 연결되고, 소화액 공급호스(H)를 따라 유동하는 소화액이 결합부재(110) 및 공급로(120)를 통해 수용공간(210)까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소화액 공급호스(H)는 소방차의 소방호스일 수 있고, 소화액은 소방호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소방용수일 수 있다. 그러므로 소방차에서 공급된 소방용수가 소방호스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끝으로, 상부체(200)는 하부체(100)의 마루부위에 볼록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체(100)와 더불어 전체적으로 오뚝이 형상이 될 수 있다. 이 상부체(200)는 내부에 수용공간(210)과 분사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공간(210)은 상부체(200)의 내부의 중공의 공간으로, 공급로(120)와 연결되고, 이 공급로(120)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이 일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 수용공간(210)에는 1개의 공급로(120)로 유입된 소화액이 다수의 분사구(220)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소화액이 수용될 수 있다.
분사구(220)는 수용공간(210) 내의 소화액이 외부로 분사되는 구멍일 수 있다. 이 분사구(220)는 측단면을 보면, 도 1에서 보듯이 일단, 중간부, 타단의 지름이 동일한 대략 일자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도 4에서 보듯이 중간부가 일단 또는 타단 보다 지름이 좁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간부의 지름이 좀은 형상인 경우 일자 형상인 경우보다 소화액이 토출되는 유속이 더 빨라질 수 있다.
<작동>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소화액 공급호스(H)가 결합부재(110)에 결합되고, 분사장치가 화재 지점에 던져지거나 운반되어 최적의 분사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분사장치가 던져지더라도 오뚝이 형상으로 인해 항상 상부체(200)가 하부체(100)의 마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소화액 공급호스(H)에 소화액이 공급되면, 소화액은 결합부재(110) 및 공급로(120)를 통해 상부체(200)의 수용공간(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수용공간(210)에 가득차면 소화액은 다수의 분사구(220)를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되고, 이로써 화재가 진압될 수 있다.
이처럼, 큰불을 먼저 진압한 후, 소방관이 투입되어 나머지 불을 진압하게 되다면 소방관의 안전 확보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제2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 예의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는 도 3과 도 4에서 보듯이, 하부체(100)와 상부체(20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하부체(100)는 밑면이 넓고 평평한 바닥부(101)와, 바닥부(101)의 선단에서 상향 굴절되어 일정 높이를 갖는 측부(102)를 구비하고, 상면이 개방된 그릇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측부(102)에는 결합부재(11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10)는 일단이 하부체(100)의 내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의 소화액 공급호스(H)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액 공급호스(H)에서 유동된 소화액이 결합부재(110)를 통해 하부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끝으로, 상부체(200)는 중공이면서 하면이 개방된 반구(半球) 형상이고, 다수 가공된 분사구(220)를 구비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상부체(200)는 하부가 하부체(100)와 체결됨으로써, 하부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체(200)와 하부체(100)는 나사 방식으로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도 있고, 용접으로 단단히 고정되어 체결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상부체(200)와 하부체(100)의 결합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210)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수용공간(210)의 소화액 공급호스(H)와 결합부재(110)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이 일시적으로 수용되고, 수용공간(210)에 소화액이 가득차면 다수의 분사구(220)를 통해 많은 양의 소화액이 지속적이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220)는 수용공간(210) 내의 소화액이 외부로 분사되는 구멍일 수 있다. 이 분사구(220)는 측단면을 보면, 일단, 중간부, 타단의 지름이 동일한 대략 1자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중간부가 일단 또는 타단 보다 지름이 좁은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간부의 지름이 좀은 형상인 경우 일자 형상인 경우보다 소화액이 토출되는 유속이 더 빨라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체(100) 및 상부체(200)는 제1실시 예의 오뚝이 형상보다 만들기 쉽고, 제작 비용이 저렴하며, 특히 지면과 접하는 면적이 넓어 소화액이 공급되는 높은 압력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작동>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소화액 공급호스(H)가 결합부재(110)에 결합되고, 분사장치가 화재 지점에 던지거나 운반되어 최적의 분사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분사장치가 투척되어 뒤집어 위치되더라도 분사구(220)에서 소화액이 분사되면 그 분사력에 의해 하부체(100) 위에 상부체(200)가 위치하는 정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후, 소화액 공급호스(H)에 소화액이 공급되면, 소화액은 결합부재(110)를 통해 수용공간(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수용공간(210)에 가득차면 소화액은 다수의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화재가 진압될 수 있다.
<제3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 예의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는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하부체(100), 상부체(200)와 회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부체(100)와 상부체(200)는 상호 별도 제작되어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전체 외형이 대략 오뚝이 형상일 수 있다.
먼저, 하부체(100)는 구(球)형상이고, 상부체(200)가 항상 하부체(100)의 마루 부근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지면에 닿는 하부를 가장 무겁게 하여 무게중심부(Wc)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투척되더라도 무게중심부(Wc)가 지면 부근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부체(200)가 항상 하부체(100)의 마루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체(100)는 내부이면서 상부체(200)와 연결되는 상부에는 회전수단(300)을 수용기 위해 마련된 설치공간(130), 상부체(200)의 연결부(203)가 끼워지도록 설치공간(130)에 천공된 연결구(140), 외면에 고정된 결합부재(110)와, 이 결합부재(110)에서 설치공간(130)까지 가공된 제1공급로(121)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구(140)는 도 6에서 보듯이, 하부체(100)의 마루 부근이면서 설치공간(130)의 천장 부위에 가공된 구멍일 수 있다. 이 연결구(140)에 상부체(200)의 연결구(140)가 끼워지게 되고, 이 부위를 중심으로 분사부(201)와 회전부(202)의 전후 축회전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02)는 회전수단(300)에 의해 전후 축회전과 좌우 제자리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연결구(140)에는 연결구(140)와의 간극을 밀폐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밀폐 및 충격완화 부재와, 상부체(200)의 전후 축회전 및 제자리 회전이 원활하도록 베어링 등의 부재들이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체(20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상부의 분사부(201), 하부의 회전부(202), 이들 분사부(201) 및 회전부(202)를 연결하는 연결부(203)로 ㅇ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체(200)는 분사부(201)가 크고 회전부(202)가 작은 크기의 대략 아령 형상일 수 있다.
분사부(201)는 소화액을 일시 저장한 후 외부로 분사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사부(201)는 회전부(202)보다 지름이 더 크게 만들어지고, 내부에 소화액을 일시 저장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210)과, 다수 가공된 분사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210)은 도 6에서 보듯이, 분사부(201)의 내부 중공의 공간으로, 회전부(202)의 제2공급로(122)와 연결되고, 이 제2공급로(122)를 통해 공급된 소화액이 일시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210)에 소화액이 가득 차면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구(220)는 도 7에서 보듯이 지름이 가장 큰 하나의 주분사구(221)와, 이외 다른 다수의 부분사구(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주분사구(221)는 큰 물줄기를 만들어 많은 양의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는, 화재 장소에서 가장 거세게 불이 나고 있는 곳이나, 폭발 위험 지점으로 불이 더 번지지 못하도록 하거나, 시급하게 불을 꺼야하는 곳에 집중적으로 소화액을 대량 분사하여 단시간에 불을 끄기 위함이다. 이외에 부분사구(222)들은 주분사구(221)의 지름보다 작지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충분한 소화액을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 부분사구(222)는 천장을 포함하여 주분사구(221)의 분사 범위 이외의 주변에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회전부(202)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회전수단(300)에 의해 연결구(140)와 연결부(203)의 결합부위를 축으로 전후로 축회전하거나 좌우로 제자리 회전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분사부(201)가 연동하여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해 주분사구(221)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이 상하좌우 다양한 각도로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회전부(202)는 분사부(201)의 하부에 연결부(203)를 통해 대략 아령 형태이면서 분사부(201)보다 크기가 작게 만들어지고, 하부체(100)의 설치공간(130)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03)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분사부(201)와 회전부(202)를 연결하는 부위로, 측면상 중앙 부위가 오목하면서 상하로 길쭉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연결부(203)가 연결구(140)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03)와 연결구(140)의 장착 부위를 축으로 회전부(202)와 분사부(201)가 전후로 축회전하거나 좌우로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3)와 회전부(202)는 제1공급로(121)의 끝에 장착된 연질관(350)과 수용공간(210)이 통하도록 가공된 제2공급로(12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액 공급호스(H), 연질관(350)을 통해 유입된 소화액이 제2공급로(122)를 지나 수용공간(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부체(200)는 외부를 촬영하도록 분사부(210)에 설치된 카메라(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카메라(230)는 분사부(201)에 장착되어 외부를 촬영하고, 소방관이 관리하는 모니터에 출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수단(300) 및 회전부(202)에 의해 분사부(201)가 전후좌우로 움직이게 되면 카메라(230)가 다앙한 각도로 좔영하게 되고, 이때 불이 강한 지점이나, 폭발 위험이 있는 곳 등을 파악하게 되고, 주분사구(221)의 각도를 조정하여 대량의 소화액이 급한 지점부터 우선적으로 불을 끌 수 있게 된다.
끝으로, 회전수단(300)은 하부체(100)의 상부에 마련된 설치공간(130)에 내장되고, 회전부(202)를 전후로 축회전시키거나 좌우로 제자리 회전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수단(300)은 제1롤러(310) 및 제1모터(320), 제2롤러(330) 및 제2모터(340)와 연질관(3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롤러(310)는 제1모터(320)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부(202)의 측면에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롤러(310)가 회전하면 회전부(202)도 좌우로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제2롤러(330)는 제2모터(340)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부(202)의 하면에 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롤러(330)가 회전하면 회전부(202)가 전후로 축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02)의 축회전은 회전부(202)의 연결부(203)와 연결구(140)의 끼움 결합된 부위를 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질관(350)은 설치공간(130)에 배치되면서 제1공급로(121)와 제2공급로(122)를 연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질관(350)은 일례로 고무처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연질관(350)은 회전부(202)가 전후로 축회전 및 좌우로 제자리 회전할 때 축회전 각도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작동>
이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소화액 공급호스(H)와 결합부재(110)가 결합되고, 화재 지점에 운반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장치는 하부체(100)의 무게중심부(Wc)에 의해 상부체(200)가 하부체(100)의 마루 부근에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소화액 공급호스(H)에 소화액이 공급되면, 결합부재(110), 제1공급로(121), 연질관(350), 제2공급로(122)를 통해 상부체(200)의 수용공간(2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수용공간(210)에 가득 찬 소화액은 주분사구(221)와 부분사구(22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수단(300)과 회전부(202)을 통해 분사부(201)가 다양한 각도로 움직여 카메라(230)를 통해 불이 강한 곳이나 폭발 위험이 있는 곳 등의 우선적으로 불을 진압해야 하는 지점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회전수단(300)을 통해 주분사구(221)의 각도가 조정된 후 많은 양의 소화액이 우선적으로 불을 진압해야 하는 곳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하부체
101:바닥부 102:측부
110:결합부재 120:공급로
121:제1공급로 122:제2공급로
130:설치공간 140:연결구.
200:상부체
201:분사부 202:회전부
203연결부 210:수용공간
220:분사구 230:카메라.
300:회전수단
310:제1롤러 320:제1모터
330:제2롤러 340:제2모터
350:연질관.
Wc::무게중심부 H:소화액 공급호스.

Claims (6)

  1. 소화액 공급호스(H)와 체결되도록 측부에 장착된 결합부재(110)와, 이 결합부재(110)에 통하도록 내부에 가공된 공급로(120)를 구비한 하부체(100);와,
    상기 하부체(100)의 마루 부근에 볼록하게 가공되고, 내부에 공급로(120)와 통하도록 마련된 수용공간(210)과, 결합부재(110)와 공급로(120)를 따라 유동한 소화액이 수용공간(210)에 일시 수용된 후 가득 차면 소화액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가공된 다수의 분사구(220)를 구비한 상부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체(100)가 상부체(200) 보다 크고 무거우면서 무게 중심이 하부에 있는 오뚝이 형태로 제작된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2. 밑면이 넓고 평평한 바닥부(101)의 테두리에서 일정 높이로 측부(102)가 상향 굴절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그룻 형상이고, 소화액 공급호스(H)와 체결되도록 측부(102)에 장착된 결합부재(110)를 구비한 하부체(100);와,
    하면이 개방된 오목한 반구 형상이고, 하단 테두리가 측부(102)와 결합되어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210)과, 결합부재(110)를 통해 유입된 소화액이 수용공간(210)에 일시 수용된 후 가득 차면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가공된 다수의 분사구(220)를 구비한 상부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3. 소화액 공급호스(H)와 체결되도록 측부에 장착된 결합부재(110), 이 결합부재(110)에 통하도록 가공된 제1공급로(121)와, 마루 부근의 내부에 마련된 설치공간(130)과, 마루 부근에 천공된 연결구(140)를 구비한 하부체(100);
    상기 설치공간(130)에 내장된 제1모터(320), 제1롤러(310), 제2모터(340), 제2롤러(330)와, 일단이 제1공급로(121)에 통하도록 설치된 연질관(350)을 구비한 회전수단(300);과,
    큰 크기의 분사부(201)와 작은 크기의 회전부(202)가 연결부(203)에 의해 연결되는 외면상 아령 형상이고, 회전부(202)는 설치공간(130)에 수용되고, 연결부(203)는 연결구(140)에 끼워지며, 분사부(201)는 하부체(100)의 외부에 위치되면서 다수의 분사구(220)를 구비하는 상부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310)는 회전부(202)의 측면에 닿고 제1모터(320)에 의해 작동되면서 회전부(202)를 제자리 회전시키고, 제2롤러(330)는 회전부(202)의 하면에 닿고 제2모터(340)에 의해 작동되면서 연결부(203)와 연결구(140)의 끼움 부위를 축으로 회전부(202)를 전후 축회전시키며, 회전부(202)가 회전하는 동안 연질관(350)이 신축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액 공급호스(H), 제1공급로(121), 연질관(350) 및 제2공급로(122)를 통해 소화액이 수용공간(210)에 일시 수용된 후 가득 차면 분사구(22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며,
    상기 하부체(100)가 상부체(200) 보다 크고 무거우면서 무게 중심이 하부에 있는 오뚝이 형태로 제작된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분사구(220)는 대량의 소화액이 한 곳에 집중 분사되도록 지름이 큰 적어도 1개의 주분사구(221)와, 주분사구(221) 주변에 가공되어 넓은 범위로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다수 가공된 지름이 작은 부분사구(222)로 이루어지는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상부체(200)는 분사부(201)에 실내의 화재 생황을 촬영하여 외부 관리자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설치된 카메라(2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수단(300)이 상부체(200)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켜 카메라(230)가 실내의 화재 정보를 획득하도록 이루어진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카메라(230)가 획득한 화재 정보를 토대로 회전수단(300)이 상부체(200)를 회전시켜 우선 진화 지점을 향해 주분사구(221)가 위치되게 한 후 집중 진화하도록 이루어진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KR1020210133037A 2021-10-07 2021-10-07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KR10261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37A KR102619893B1 (ko) 2021-10-07 2021-10-07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KR1020230141488A KR20230149800A (ko) 2021-10-07 2023-10-20 소화호스 연결형 소화볼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037A KR102619893B1 (ko) 2021-10-07 2021-10-07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488A Division KR20230149800A (ko) 2021-10-07 2023-10-20 소화호스 연결형 소화볼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929A true KR20230049929A (ko) 2023-04-14
KR102619893B1 KR102619893B1 (ko) 2023-12-29

Family

ID=859465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037A KR102619893B1 (ko) 2021-10-07 2021-10-07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KR1020230141488A KR20230149800A (ko) 2021-10-07 2023-10-20 소화호스 연결형 소화볼 소화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488A KR20230149800A (ko) 2021-10-07 2023-10-20 소화호스 연결형 소화볼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98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993A (ko) * 2010-08-20 2012-02-29 효동개발 주식회사 살수기
KR20130002619U (ko) 2011-10-22 2013-05-02 전영식 오뚝이 소화기
KR101647985B1 (ko) 2016-03-02 2016-08-18 임채현 투척형 구형 소화기
KR101853564B1 (ko) 2016-11-04 2018-04-30 최선호 산불 진화장치
KR20210082666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가스공사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993A (ko) * 2010-08-20 2012-02-29 효동개발 주식회사 살수기
KR20130002619U (ko) 2011-10-22 2013-05-02 전영식 오뚝이 소화기
KR101647985B1 (ko) 2016-03-02 2016-08-18 임채현 투척형 구형 소화기
KR101853564B1 (ko) 2016-11-04 2018-04-30 최선호 산불 진화장치
KR20210082666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가스공사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893B1 (ko) 2023-12-29
KR20230149800A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27377B1 (es) Boquilla de lucha contra incendios para proyectar una nube de niebla.
ES2135407T7 (es) Equipo de lucha contra incencios.
US20160367846A1 (en) Flame Suppression Grenade
NO327031B1 (no) Fremgangsmate og installasjon for brannslukkning
US6189622B1 (en) Nozzle for fighting fires in buildings
KR102470858B1 (ko) 살수 구조를 갖는 질식 소화덮개
KR102234900B1 (ko) 화재 진압용 고압 소화건
KR20230049929A (ko)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US3352364A (en) Jacket type spinkling and spraying device
JP2020108982A (ja) 消防用飛行体および消防用飛行体用のキャリアユニット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KR200431869Y1 (ko) 휴대용 산불 진화장치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US4154304A (en) Fire extinguisher nozzle
KR102205276B1 (ko) 2차 발포가 가능한 소화기구
JP2019198447A (ja) 低層建物用高所消火装置
KR100756924B1 (ko) 휴대용 고압수 분사장치
RU2576226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6406744B1 (ja) 消火用放水ノズル
KR102461993B1 (ko) 소방 관창
KR100770293B1 (ko) 휴대용 산불 진화시스템
KR102622050B1 (ko) 화재진압용 폼스틱 방사장치
JPH11137708A (ja) 泡消火装置
JP7162851B2 (ja) 消火設備および可燃物消火用ノズル
JP4866541B2 (ja) 蓄圧式泡消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