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284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284A
KR20230049284A KR1020210132208A KR20210132208A KR20230049284A KR 20230049284 A KR20230049284 A KR 20230049284A KR 1020210132208 A KR1020210132208 A KR 1020210132208A KR 20210132208 A KR20210132208 A KR 20210132208A KR 20230049284 A KR20230049284 A KR 20230049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compensation
setting unit
symbol offs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657B1 (ko
Inventor
조상훈
이성재
정장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5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는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보상의 단위인 심볼 옵셋을 결정하고, 심볼 옵셋에 따라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을 사전에 보상하기 위한 사전보상값을 도출하고, 사전보상값이 부가된 TA(Timing Advance)인 원거리 TA를 산출하는 보상설정부와, 원거리 TA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f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원거리 통신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시스템, 특히, 5G(5 generation) NR(New Radio)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 및 5G 시스템은 공히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을 사용하며, OFDM은 기지국과 단말 간에 하향링크 채널과 상향링크 채널의 동기화 과정을 거치며,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서로간의 타이밍을 맞춰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이때 전송 거리를 확인하여 단말은 동기화가 가능한 시간에 맞춰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최대 셀 반경을 약 100km까지 설정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5G의 경우, 대역폭 향상을 위해 LTE 시스템보다 고주파수 대역을 주로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한 사용 채택된 슬롯 구조로 인해 최대 셀 반경이 줄어들어 해안가, 산간 지역 등 큰 셀 반경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서비스가 불가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0653호 (2019년 01월 18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시스템, 특히, 5G(5 generation) NR(New Radio)에서 원거리 통신이 필요한 섬 지역, 해상로 등의 지역에서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는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보상의 단위인 심볼 옵셋을 결정하고, 상기 심볼 옵셋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을 사전에 보상하기 위한 사전보상값을 도출하고, 상기 사전보상값이 부가된 TA(Timing Advance)인 원거리 TA를 산출하는 보상설정부 및 상기 원거리 TA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상설정부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자동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심볼 옵셋을 단계 별로 선택하며, 상기 원거리 TA에 따른 시간 지연을 거리로 환산한 거리를 적용한 단말의 위치가 상기 통신 장치의 셀 반경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셀 반경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앞서 선택된 심볼 옵셋의 다음 단계의 심볼 옵셋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상설정부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수동 모드로 설정되면 운영자에 의해 입력된 거리에 대응하는 심볼 옵셋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상설정부는 미리 결정된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른 심볼 길이 및 상기 심볼 옵셋을 이용하여 수학식
Figure pat00001
에 따라 사전보상값을 산출하며, 상기
Figure pat00002
는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라 결정되는 심볼 길이이며, 상기 SCS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따라 미리 결정되며, 상기
Figure pat00003
는 상기 심볼 옵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상설정부는 수학식
Figure pat00004
에 따라 상기 원거리 TA를 산출하며, 상기
Figure pat00005
는 상기 원거리 TA이고, 상기
Figure pat00006
는 상기 TA이고, 상기
Figure pat00007
는 상기 사전보상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08
는 상기 TA를 계산하기 위한 옵셋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09
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기본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전보상값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을 반영하여 상향링크공유채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스케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케줄링부는 수학식
Figure pat00010
에 따라 상기 사전보상값에 대응하는 심볼 옵셋을 반영하여 상향링크공유채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상기 n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가지는 슬롯이고, 상기
Figure pat00011
은 상향링크공유채널의 SCS이고, 상기
Figure pat00012
은 상향링크제어채널의 SCS이며, 상기 k2는 PUSCH 슬롯 옵셋이고, 상기
Figure pat00013
는 심볼 옵셋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상설정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의한 원거리 통신을 위한 방법은 상기 보상설정부가 단말과 상기 통신 장치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보상의 단위인 심볼 옵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보상설정부가 상기 심볼 옵셋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을 사전에 보상하기 위한 사전보상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보상설정부가 상기 사전보상값이 부가된 TA(Timing Advance)인 원거리 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설정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거리 TA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의 시간 지연을 사전보상값을 통해 보상함으로써,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원거리 TA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 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20)을 포함한다.
기지국(10)은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로써, 무선 구간에서 단말(20)에 대해 무선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기지국(10)은 5G NR(New Radio)을 기반으로 하는 5G 기술에 따라 단말(20)에 무선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 장치인 gNB를 예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지국(10)은 gNB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말(20)에 무선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무선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0)은 원거리에 있는 단말(20)과의 통신을 위해 단말(20)과의 시간 동기를 위해 단말(20)과의 거리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의 시간 지연을 사전보상값을 통해 보상한다.
그러면,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기지국(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무선 구간에서 단말(2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단말(20)로부터 상향링크(UL: Up Link) 신호를 수신하거나, 단말(20)로 하향링크(DL: Down Link)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기(Tx) 및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Rx)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은 송신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기지국(1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상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보상 테이블은 SCS(Subcarrier Spacing) 및 심볼 옵셋(Symbol offset) 별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14
)을 미리 산출하여 정리한 테이블이다.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등록,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지국(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지국(1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보상설정부(131) 및 스케줄링부(133)를 포함한다.
보상설정부(131)는 단말(20)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보상의 단위인 심볼 옵셋을 결정하고, 심볼 옵셋에 따라 그 단말(20)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을 사전에 보상하기 위한 사전보상값을 도출한다. 또한, 보상설정부(131)는 사전보상값이 부가된 TA(Timing Advance)인 원거리 TA(LTA)를 산출한 후, 산출된 원거리 TA(LTA)를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20)에 전달한다. 스케줄링부(133)는 보상설정부(131)가 도출한 사전보상값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을 반영하여 상향링크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상설정부(131) 및 스케줄링부(133)를 포함하는 제어부(13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원거리 TA를 설정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S110 단계에서 원거리 전용 모드를 활성화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30)는 S120 단계에서 자동 모드 혹은 수동 모드로 분기한다. 이러한 자동 모드 혹은 수동 모드는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설정되어 분기될 수 있다. 자동 모드로 분기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S130 단계로 진행하고, 수동 모드로 분기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S180 단계로 진행한다.
자동 모드로 분기한 경우, 제어부(130)의 보상설정부(131)는 SCS(Subcarrier Spacing) 및 심볼 옵셋(Symbol offset) 별로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15
)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보상설정부(131)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보상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보상 테이블은 SCS(Subcarrier Spacing) 및 심볼 옵셋(Symbol offset) 별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16
)을 미리 산출하여 정리한 테이블이다.
SCS 15kHz 30kHz 60kHz 120kHz 240kHz
Symbol Length (us) 71.4 35.7 17.4 8.9 4.5
Symbol offset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km)
1 10.7 5.4 2.6 1.3 0.7
2 21.4 10.7 5.2 2.7 1.3
내지
39 417.4 208.7 101.7 52.2 26.1
40 428.1 214.1 104.3 53.5 26.8
이를 위하여, 제어부(130)의 보상설정부(131)는 S130 단계에서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보상의 단위인 심볼 옵셋(Symbol offset)을 선택한다. 예컨대, 보상설정부(131)는 심볼 옵셋(Symbol offset) 1 내지 40(표 1의 보상 테이블 참조)을 단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즉, 보상설정부(131)는 심볼 옵셋(Symbol offset) 1 내지 40(표 1의 보상 테이블 참조)을 단계 별로 스캔하여 통신 가능한 단말(20)이 RACH(Random Access Channel) 과정에서, RAR(Random Access Response)를 통해 응답하는 경우, 해당 심볼 옵셋(Symbol offset)을 선택할 수 있다. 심볼 옵셋(Symbol offset)이 선택되면, 보상설정부(131)는 S140 단계에서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른 심볼 길이 및 선택된 심볼 옵셋(Symbol offset)에 따라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19
을 도출한다.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20
은 기지국(10)과 단말(20) 간의 거리에 따라 상향링크채널 및 하향링크채널 프레임(혹은 서브프레임) 간 발생하는 시간 지연을 보상하기 위한 값이다. 예컨대, 보상설정부(131)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21
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22
수학식 1에서, 심볼 길이(
Figure pat00023
는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라 결정되며, 통신 시스템 별로 SCS는 미리 정해진다.
Figure pat00024
는 전파의 속도이고, 2는 전파의 라운드트립 시간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25
는 심볼 길이의 단위 ㎲를 km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보상설정부(131)는 S150 단계에서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26
을 적용한 원거리 TA(Time Advance)를 생성한다. 다른 말로, 원거리 TA는 TA(Time Advance)에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27
을 부가한 것이다. 여기서, TA가 다음의 수학식 2일 때, 원거리 TA(Time Advance)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도 4를 참조하면, 수학식 3에서,
Figure pat00030
는 원거리 TA(Time Advance)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31
는 하향링크 프레임(예컨대, UE DL) 및 상향링크 프레임(예컨대, UE UL) 간 TA(Time Advance)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32
는 사전보상값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33
는 TA(Time Advance)를 계산하기 위한 옵셋값이다. 그리고
Figure pat00034
는 무선통신 시스템, 즉, NR(New Radio)에서의 기본 시간이며, 수학식
Figure pat00035
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36
이고,
Figure pat00037
이다.
보상설정부(131)는 S160 단계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생성된 원거리 TA(LTA)를 상위 계층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20)에 전송한다. 예컨대, 보상설정부(131)는 통신부(110)를 통해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이용하여 원거리 TA(LTA)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보상설정부(131)는 S170 단계에서 원거리 TA(LTA)에 따른 시간 지연을 거리로 환산했을 때 환산된 거리를 적용한 단말(20)의 위치가 기지국(10)의 셀 반경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는 셀 반경 범위에 있지 않은 경우 CP(Cyclic Prefix) 길이 내에서 지연에 대한 보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S170 단계의 확인 결과, 셀 반경 범위 내에 있으면, S220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S170 단계의 확인 결과, 셀 반경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S130 단계로 회귀하여 앞서 선택된 심볼 옵셋의 다음 단계의 심볼 옵셋을 선택하여 전술한 S130 단계 내지 S170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수동 모드로 분기한 경우, 제어부(130)의 보상설정부(131)는 S180 단계에서 운영자가 입력한 거리에 따라 입력한 거리에 대응하는 심볼 옵셋(Symbol offset)을 선택한다. 예컨대, 보상설정부(131)는 운영자가 입력한 거리에 대응하는 심볼 옵셋(Symbol offset) 1 내지 40(표 1의 보상 테이블 참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심볼 옵셋(Symbol offset)이 선택되면, 보상설정부(131)는 S190 단계에서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른 심볼 길이 및 선택된 심볼 옵셋(Symbol offset)에 따라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38
을 도출한다. 예컨대, 보상설정부(131)는 상기한 수학식 1에 따라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39
을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보상설정부(131)는 S200 단계에서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40
을 적용한 원거리 TA(Time Advance)를 생성한다(수학식 2 및 3 참조). 그런 다음, 보상설정부(131)는 S210 단계에서 생성된 원거리 TA(LTA)를 상위 계층 메시지를 통해 단말(20)에 전송한다. 예컨대, 보상설정부(131)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원거리 TA(LTA)를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자동 방식 혹은 수동 방식에 의해 원거리 TA가 정해진 후, 스케줄링부(133)는 S220 단계에서 상향링크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때, 스케줄링부(133)는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41
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에 대한 보상을 반영하여 상향링크공유채널(PUSCH)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스케줄링부(133)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사전보상값(
Figure pat00042
에 대응하는 심볼 옵셋(Symbol offset)을 이용하여 시간 지연을 반영하여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Figure pat00043
수학식 4에서, n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가지는 슬롯이고,
Figure pat00044
은 상향링크공유채널의 SCS이고,
Figure pat00045
은 상향링크제어채널의 SCS이다. 또한, k2는 슬롯 옵셋(slot offset)이고,
Figure pat00046
는 심볼 옵셋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부(133)는 스케줄링에 따라 하향링크제어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매 슬롯(Slot)에서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 하향링크 자원 할당 신호)를 전송한다. 하향링크 그랜트에 포함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는 상향링크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할당된 전송 자원을 나타낸다. 스케줄링부(133)는 수학식 4와 같이 심볼 옵셋(Symbol offset)을 이용하여 시간 지연을 반영한 위치의 DCI를 통해 상향링크공유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함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과의 거리에 따라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간의 시간 지연을 사전보상값을 통해 보상함으로써,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기지국 20: 단말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31: 보상설정부
133: 스케줄링부

Claims (8)

  1.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보상의 단위인 심볼 옵셋을 결정하고,
    상기 심볼 옵셋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을 사전에 보상하기 위한 사전보상값을 도출하고,
    상기 사전보상값이 부가된 TA(Timing Advance)인 원거리 TA를 산출하는 보상설정부; 및
    상기 원거리 TA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설정부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자동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심볼 옵셋을 단계 별로 선택하며,
    상기 원거리 TA에 따른 시간 지연을 거리로 환산한 거리를 적용한 단말의 위치가 상기 통신 장치의 셀 반경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셀 반경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앞서 선택된 심볼 옵셋의 다음 단계의 심볼 옵셋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설정부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수동 모드로 설정되면 운영자에 의해 입력된 거리에 대응하는 심볼 옵셋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설정부는
    미리 결정된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른 심볼 길이 및 상기 심볼 옵셋을 이용하여
    수학식
    Figure pat00047
    에 따라 사전보상값을 산출하며,
    상기
    Figure pat00048
    는 SCS(Subcarrier Spacing)에 따라 결정되는 심볼 길이이며,
    상기 SCS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따라 미리 결정되며,
    상기
    Figure pat00049
    는 상기 심볼 옵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설정부는
    수학식
    Figure pat00050
    에 따라 상기 원거리 TA를 산출하며,
    상기
    Figure pat00051
    는 상기 원거리 TA이고,
    상기
    Figure pat00052
    는 상기 TA이고,
    상기
    Figure pat00053
    는 상기 사전보상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54
    는 상기 TA를 계산하기 위한 옵셋값이고,
    상기
    Figure pat00055
    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기본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보상값에 해당하는 시간 지연을 반영하여 상향링크공유채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스케줄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수학식
    Figure pat00056
    에 따라
    상기 사전보상값에 대응하는 심볼 옵셋을 반영하여 상향링크공유채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며,
    상기 n은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가지는 슬롯이고,
    상기
    Figure pat00057
    은 상향링크공유채널의 SCS이고,
    상기
    Figure pat00058
    은 상향링크제어채널의 SCS이며,
    상기 k2는 PUSCH 슬롯 옵셋이고,
    상기
    Figure pat00059
    는 심볼 옵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8. 보상설정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의한 원거리 통신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상설정부가 단말과 상기 통신 장치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 보상의 단위인 심볼 옵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보상설정부가 상기 심볼 옵셋에 따라 상기 단말과의 거리에 따른 시간 지연을 사전에 보상하기 위한 사전보상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보상설정부가 상기 사전보상값이 부가된 TA(Timing Advance)인 원거리 TA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설정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거리 TA를 상기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거리 통신을 위한 방법.
KR1020210132208A 2021-10-06 2021-10-0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648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08A KR102648657B1 (ko) 2021-10-06 2021-10-0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08A KR102648657B1 (ko) 2021-10-06 2021-10-0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284A true KR20230049284A (ko) 2023-04-13
KR102648657B1 KR102648657B1 (ko) 2024-03-15

Family

ID=8597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208A KR102648657B1 (ko) 2021-10-06 2021-10-06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6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28A (ko) * 2015-04-06 2016-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시간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90000653A (ko) 2017-06-23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03781A (ko) * 2017-05-03 2020-01-10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시스템 정보 요청에 대한 피드백
WO2020183014A1 (en) * 2019-03-14 2020-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lay offset for time sychroniz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KR20210107174A (ko) * 2017-03-29 2021-08-31 구글 엘엘씨 동기 하드웨어 이벤트 수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628A (ko) * 2015-04-06 2016-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시간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210107174A (ko) * 2017-03-29 2021-08-31 구글 엘엘씨 동기 하드웨어 이벤트 수집
KR20200003781A (ko) * 2017-05-03 2020-01-10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시스템 정보 요청에 대한 피드백
KR20190000653A (ko) 2017-06-23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0183014A1 (en) * 2019-03-14 2020-09-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lay offset for time sychroniz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657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496B1 (ko) 이종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랜덤 액세스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65103B1 (ko) 적응 변조 및 코딩 기법을 위한 공통 제어 채널 업링크전력 제어
RU2472321C1 (ru) Способ и абонентский терминал выбора ресурсов случайного доступа
US8311053B2 (en) Methods for controlling an uplink signal transmission power and communication devices
JP5564114B2 (ja) 端末アクセス方法、システム及び関連装置
US8422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uplink information under carrier aggre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1913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on-licensed ban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US967479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2001872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3993150B (zh) 波束管理方法及装置、用户设备、芯片及计算机介质
US10560903B2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s
CN102036359B (zh) 上行传输信息的发送方法和设备
US9426829B2 (en) Random access method and receiver
US11985548B2 (en) Random access channel structure design
US20230156782A1 (en) Random access method, configur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Saarnisaari et al. Random access process analysis of 5g new radio based satellite links
KR1021962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2512078A (zh) 定时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49284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원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2301566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US202102589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source position,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JP2959624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式
KR200600821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230006500A (ko)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300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iming advance val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