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939A - 운동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939A
KR20230048939A KR1020210131941A KR20210131941A KR20230048939A KR 20230048939 A KR20230048939 A KR 20230048939A KR 1020210131941 A KR1020210131941 A KR 1020210131941A KR 20210131941 A KR20210131941 A KR 20210131941A KR 20230048939 A KR20230048939 A KR 2023004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hair
exercise
handl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711B1 (ko
Inventor
손현준
강훈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7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7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for active exercising, the apparatus being also usable for pass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e.g. for exercising against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8Sitting on the buttocks with stretched legs, like on a b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운동치료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된 발 거치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의자부가 움직이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의자 엑추에이터,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운동치료자가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의자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넘어지고 세워질 수 있는 핸들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부가 넘어지고 세워지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핸들 엑추에이터,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하 조절부 및 상기 의자 엑추에이터 및 상기 핸들 엑추에이터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 치료 장치{Apparatus of exercise therapeutic}
본 발명은 운동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치료는 일반적인 운동과 달리 운동장애가 있는 환자를 치료함으로써 장애에서 회복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운동치료는 대표적으로 능동운동과 수동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능동운동은 관절을 가로지르는 근육들의 능동적 수축에 의해 자유롭게 행해지는 관절가동범위 내에서의 움직임을 말한다. 수동운동은 전적으로 중력, 기계, 개인의 신체와 같은 외력에 의해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관절가동범위 내에서의 움직임을 말한다.
이와 같은 운동치료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게 되며, 운동치료자에게는 많은 경제적 부담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운동치료자가 시간 및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도 쉽고 안전하게 능동운동 및 수동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 치료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6281호 (2013.02.1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1106호 (2010.01.07.)
본 발명은 운동 치료 시 능동운동과 수동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치료 효율을 높인 운동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 치료 장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운동치료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된 발 거치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의자부가 움직이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의자 엑추에이터,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운동치료자가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의자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넘어지고 세워질 수 있는 핸들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부가 넘어지고 세워지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핸들 엑추에이터,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하 조절부 및 상기 의자 엑추에이터 및 상기 핸들 엑추에이터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자부는 등받이, 상기 레일부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된 시트, 상기 시트와 연결되어 있는 낙상 방지대 및 상기 시트와 상기 등받이를 연결하고 있는 기울기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는 상기 기울기조절부에 의해 젖혀질 수 있다.
상기 기울기조절부는 상기 시트와 결합된 시트 브래킷,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 브래킷과 힌지 연결된 등받이 브래킷 및 상기 시트 브래킷과 상기 등받이 브래킷을 연결하고 있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레일부와 결합된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부하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운동치료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대, 상기 파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운동치료자의 손등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운동치료자의 손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는 상기 핸들 엑추에이터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핸들 엑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본체,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본체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의자부가 결합된 레일블록 및 상기 레일본체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본체를 받치고 있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블록은 상기 의자 엑추에이터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일블록은 상기 의자 엑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레일본체의 단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부재, 상기 레일본체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된 받침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와 접하고 있는 상기 연결대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와 접하고 있는 상기 연결대 부분은 상기 받침부재를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치료 장치는 핸들 엑추에이터와 의자 엑추에이터에 의해 기계적 힘이 발생하여 핸들부와 의자부가 움직이면서 수동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치료자가 핸들부와 의자부를 밀고 당기어 능동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운동 치료 장치는 운동 치료자가 수동운동과 능동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운동 치료 효율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비 등으로 근육을 자유롭게 쓸 수 없는 장애인의 재활치료 측면에서의 수동운동(passive movement)을 구현하기 적합하며, 마비환자 등의 관절가동범위 유지와 근육경직(spacticity) 방지효과에 충분한 운동범위(range of motion)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에 앉은 운동치료자를 낙상 방지대가 상체를 지지하고 발 거치부에 놓인 발을 스트랩으로 고정하여 결박한다. 그리고 파지대를 잡고 있는 손을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결박한다. 이에 운동치료자의 손과 발이 발 거치대와 핸들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운동치료 중 낙상에 대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 치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의자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발 거치부 확대도.
도 5는 도 1의 핸들부 확대도.
도 6은 도 1의 제어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2의 운동 치료 장치 이완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2의 운동 치료 장치 수축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도 2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 치료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 치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의자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발 거치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핸들부 확대도, 도 6은 도 1의 제어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먼저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치료 장치(1)는 레일부(10), 의자부(20), 발 거치부(30), 의자 엑추에이터(70), 핸들부(40), 핸들 엑추에이터(50), 부하 조절부(6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운동치료자가 전문인 도움 없이 능동운동과 수동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일부(10)는 레일본체(11), 레일블록(12) 및 지지대(13)를 포함하며 운동 치료 장치(1)의 골조를 형성한다.
레일본체(1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일본체(11)의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본체(11)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레일블록(12)은 레일본체(11)의 상면 및 양측면과 마주하고 있다. 레일블록(12)의 양측면에는 레일홈(111)에 삽입된 가이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가 레일홈(111)에 삽입되어 레일블록(12)은 흔들리지 않고 레일본체(11)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레일블록(12)은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직선 운동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지지대(13)는 지지부재(131), 받침부재(132) 및 연결대(133)를 포함하며 레일본체(11)가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지지한다. 지지대(13)는 다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31)는 레일본체(11)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지면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재(131)의 내측면과 레일본체(11)의 하면 사이에는 보강리브(131a)가 배치되어 지지부재(131)와 레일본체(11)의 결합을 보강하고 있다.
받침부재(132)는 지지부재(131)와 결합되어 레일본체(11)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받침부재(132)는 환봉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대(133)는 받침부재(132)와 지지부재(131)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대(133)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31)와 결합되어 있다. 연결대(133)의 하면은 환봉의 받침부재(132)와 동일하게 곡면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132)의 일부분을 감싸고 있다. 연결대(133)에 의해 지지부재(131)와 받침부재(132)는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다리(134)는 받침부재(132)의 양단에 결합되어 지면과 접하고 있다. 다리(134)에는 지면과 접하는 수평조절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다. 수평조절부재의 높이 조절로 운동 치료 장치(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다리(134)에는 운동 치료 장치(1)가 이용 중 움직이지 않도록 지면에 고정하는 미끄럼방지패드(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일부(10)는 운동 치료 장치(1)의 디자인 설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면 도 3을 더 참고하면, 의자부(20)는 시트(21), 낙상 방지대(22), 등받이(23) 및 기울기조절부(24)를 포함하며 운동치료자가 앉을 수 있으며 운동치료자의 힘 또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레일부(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운동치료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21)와 운동치료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23)는 기울기조절부(2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낙상 방지대(22)는 시트(21)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등받이(23)와는 떨어져 있다. 낙상 방지대(22)는 시트(21)에 앉은 운동치료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시트(21)는 레일블록(12)과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자부(20)는 레일블록(12)에 의해 레일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등받이(23)는 기울기조절부(24)에 의해 젖혀질 수 있다.
기울기조절부(24)는 시트 브래킷(241), 등받이 브래킷(242) 및 댐퍼(243)를 포함한다.
시트 브래킷(241)은 시트(21)와 연결되어 운동 치료 장치(1)의 후방인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 브래킷(242)은 등받이(23)와 연결되어 돌출되어 있다. 시트 브래킷(241)과 등받이 브래킷(242)은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있으며 시트 브래킷(241)의 단부와 등받이 브래킷(242)의 단부는 서로 힌지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23)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댐퍼(243)는 시트 브래킷(241)과 등받이 브래킷(242)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댐퍼(243)의 하우징은 시트 브래킷(241)과 힌지 연결되어 있고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움직일 수 있는 로드는 등받이 브래킷(242)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23)에 외력을 가하면 로드는 하우징에서 인출되며 등받이(23)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여 젖혀질 수 있다. 그러나 등받이(23)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하우징 내의 작동유체 및 탄성부재의 작동으로 로드가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젖혀진 등받이(23)는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여 세워질 수 있다.
그러나 댐퍼(243)는 생략되고 코일스프링이 시트 브래킷(241)과 등받이 브래킷(242)을 연결하여 외력에 의해 젖혀진 등받이(23)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면 도 4를 더 참고하면, 발 거치부(30)는 발판(31), 그리고 스트랩(32)을 포함하며 레일본체(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운동치료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발판(3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레일본체(11)의 타측을 사이에 두고 받침부재(132)에 설치되어 있다. 의자부(20)에 앉은 운동치료자는 발판(31)에 발을 놓을 수 있다. 발판(31)은 받침부재(132)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스트랩(32)은 띠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이 발판(31)의 폭 방향 양측에 결합되어 있다. 스트랩(32)은 한 쌍의 발판(31)에 각각 결합되어 발판(31)에 놓인 운동치료자의 발을 발판(31)에 고정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스트랩(32)은 직물, 탄성 밴드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트랩(32)은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더 참고하면, 핸들부(40)는 고정블록(41), 서포트(42), 파지대(43), 커버(44) 및 고정부재(45)를 포함하며 의자부(20)에 앉은 운동치료자가 잡을 수 있으며 의자부(20)의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세워지거나 넘어질 수 있다.
고정블록(41)은 의자부(20)가 움직이는 범위를 벗어나 레일본체(11)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어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서포트(42)는 하단이 고정블록(41)과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여 세워지거나 넘어질 수 있다. 서포트(42)는 의자부(20)가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넘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의자부(20)가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넘어질 수 있다.
한편, 서포트(42)의 상부측은 고정블록(41)을 기준으로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파지대(43)는 레일본체(11)의 폭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서포트(42)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파지대(43)는 서포트(42)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운동치료자는 파지대(43)를 잡을 수 있다. 파지대(43)의 양단에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진 그립(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어 있다. 그립은 운동치료자가 파지대(43)를 잡는 그립감을 놓이며 손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커버(44)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파지대(43)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44)는 의자부(2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44)는 파지대(43)를 잡고 있는 운동치료자의 손등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커버(44)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부재(45)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커버(44)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재(45)는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45)는 운동치료자의 손목을 감싸 커버에 고정할 수 있다.
핸들 엑추에이터(50)는 레일본체(11)의 타측과 핸들부(40)의 사이에 위치하여 레일본체(11)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 엑추에이터(50)는 서보모터 또는 스테핑모터, 실린더 및 로드를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는 레일본체(11)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는 실린더에서 인출되어 서포트(42)에 핀부재(51)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리니어모터의 작동으로 로드는 실린더에서 인출되거나 실린더로 인입될 수 있다. 로드가 인출되면 서포트(42)는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로드가 인입되면 서포트(42)는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다. 핸들 엑추에이터(50)를 전동실린더의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서포트(42)에 외력을 가하여 세우고 젖힐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핀부재(51)의 분리로 로드는 서포트(42)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핸들부(40)는 핸들 엑추에이터(50)의 기계적인 힘인 아닌 운동치료자의 힘에 의해 넘어지고 세워질 수 있다. 그러나 로드는 서포트와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부하 조절부(60)는 레일본체(11)의 타측과 핸들부(40)의 사이에 위치하여 핸들 엑추에이터(50)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부하 조절부(60)는 부하로드 및 부하뭉치를 포함한다. 부하뭉치는 레일본체(11)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하로드는 부하뭉치에서 인출되어 서포트(42)와 연결되어 있다. 부하로드는 서포트(42)의 움직이는 방향에 부하뭉치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운동치료자의 힘에 의해 핸들부(40)가 넘어지고 세워질 때 부하뭉치는 부하로드의 인입 또는 인출속도를 제어하여 핸들부(40)가 넘어지고 세워지는 속도를 조절하여 운동치료자의 부상 위험을 줄인다. 부하뭉치의 부하는 운동치료자의 조건에 따라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부하 조절부(60)의 부하뭉치의 내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부하장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의자 엑추에이터(70)는 의자부(20)와 레일본체(11)의 타측 사이에서 레일본체(11)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의자 엑추에이터(70)는 도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엑추에이터(5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의자 엑추에이터(70)의 실린더는 레일본체(11)와 결합되어 있으며 의자 엑추에이터(70)의 로드는 실린더에서 인출되어 레일블록(12)과 핀부재(도시하지 않음)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로드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레일블록(12)은 레일본체(11)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로드가 하우징에서 인출되면 의자부(20)가 연결된 레일블록(12)은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움직이며, 로드가 인입되면 레일블록(12)은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에 의자부(20)는 의자 엑추에이터(70)의 작동으로 레일본체(11)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엑추에이터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 도 1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어부(80)는 수동운동 조작부(81) 및 능동운동 조작부(82)를 포함한다.
수동운동 조작부(81)는 레일본체(11)의 타측과 이웃하여 받침부재(132)에 배치되어 운동치료자의 보호자, 의료인, 관리자 등이 조작할 수 있다. 수동운동 조작부(81)의 전면에는 비상정지, 시작, 잠금장치 따위의 버튼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수동운동 조작부(81)의 전면에는 핸들 엑추에이터(50), 의자 엑추에이터(7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액정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수동운동 조작부(81)를 통해 핸들 엑추에이터(50)와 의자 엑추에이터(70)의 로드 작동 속도, 행정 거리, 작동회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능동운동 조작부(82)는 서포트(42)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운동치료자가 조작할 수 있다. 능동운동 조작부(82)의 전면에는 부하 조절부(60)의 부하증가와 부하감소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능동운동 조작부(82)의 전면에는 운동 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능동운동 조작부(82)에는 수축 및 이완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도면 도 7 내지 도 9를 더 참고하여 위에서 설명한 운동 치료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2의 운동 치료 장치 이완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2의 운동 치료 장치 수축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는 도 2의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의자 엑추에이터(70)의 로드는 레일블록(12)과 연결되어 있고 핸들 엑추에이터(50)의 로드는 서포트(42)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자 엑추에이터(70)와 핸들 엑추에이터(50)의 로드 작동 시 의자부(20)와 핸들부(40)는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치료 장치(1)는 현 상태에서 운동치료자를 대상으로 수동운동(Passive movement)을 실시할 수 있다.
의자 엑추에이터(70)의 로드 인출로 의자부(20)는 핸들부(40)와 떨어져 레일본체(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핸들부(40)는 세워져 있다. 의자부(20)와 핸들부(40)가 떨어져 있어 운동치료자는 의자부(20)에 앉는 것이 용이하다.
운동치료자는 의자부(20)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낙상 방지대(22)에 고정한다. 그리고 보호자의 도움을 발을 발 거치부(30)에 올려놓으며 파지대(43)를 잡는다. 보호자는 운동치료자의 발은 스트랩(32)의 발판(31)에 고정하고 손은 고정부재(45)로 커버(44)에 고정하여 운동 치료 중 발과 손이 발판(31)과 파지대(43)에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운동치료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의자부(20)의 위치를 설정하고 의자부(20)의 움직이는 범위를 설정한다.
운동치료자가 운동 치료 장치(1)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호자는 수동운동 조작부(81)의 잠금을 해제하고 시작버튼을 눌러 핸들 엑추에이터(50)와 의자 엑추에이터(70)를 작동시킨다.
도면 도 7을 참고하면, 능동운동 조작부(82)의 이완 동작 표시부가 점등된다. 운동치료자는 이완 동작 상태를 준비한다. 로드가 실린더로 인입되면서 핸들부(40)는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넘어지고 의자부(20)는 레일본체(11)의 일측에서 타측인 발 거치부(30)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운동치료자는 이완 동작 상태가 되어 운동치료자의 손이 핸들부(40)에 고정되어 있어 팔은 핸들부(40)를 따라 움직이면서 펼쳐지고 다리는 의자부(20)와 발 거치부(30)의 사이 간격이 가까워지면서 접힌다.
도면 도 8을 참고하면, 이완 동작 진행 후 능동운동 조작부(82)의 수축 동작 표시부가 점등된다. 운동치료자는 수축 동작 상태를 준비한다. 로드가 실린더에서 인출되면서 핸들부(40)는 의자부(20)의 방향으로 넘어지고 의자부(20)는 레일본체(11)의 타측에서 발 거치부(30)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일측으로 움직인다. 이때 운동치료자는 수축 동작 상태가 되어 운동치료자의 팔은 핸들부(40)를 따라 움직이면서 접히고 발이 발 거치부(30)에 고정되어 있어 다리는 의자부(20)와 발 거치부(30)의 사이 간격이 멀어지면서 펼쳐진다.
도면 도 9를 참고하면, 운동치료자는 의자부(20)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를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허리를 뒤로 젖히면서 등받이(23)는 기울기조절부(24)에 의해 젖혀지고 운동치료자는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다.
핸들 엑추에이터(50)의 로드 작동 강도와 부하 조절부(60)의 부하를 설정한 후 운동치료자는 능동운동(Active movement)을 실시할 수 있다.
운동치료자는 의자부(20)에 앉은 상태에서 손과 발을 고정한다. 핸들부(40)를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밀고 의자부(20)를 레일본체(11)의 타측 방향으로 밀어 이완 동작을 실시한다. 이와 반대로 발을 밀어 의자부(20)를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밀고 핸들부(40)를 레일본체(11)의 일측 방향으로 당기어 수축 동작을 실시한다. 이때 운동치료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부하 조절부(60)를 통해 핸들부(40)의 작동에 따른 부하를 조절하여 운동 강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허리를 뒤로 젖혀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등받이(23)는 기울기조절부(24)에 의해 젖혀지면서 운동치료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능동운동 동작 시 핸들 엑추에이터(50)의 로드를 서포트(42)에서 분리하고 의자 엑추에이터(70)의 로드를 레일블록(12)에서 분리한 후 능동운동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치료 장치는 핸들 엑추에이터와 의자 엑추에이터에 의해 기계적 힘이 발생하여 핸들부(40)와 의자부(20)가 움직이면서 수동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치료자가 핸들부(40)와 의자부(20)를 밀고 당기어 능동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운동 치료 장치는 운동 치료자가 수동운동과 능동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운동 치료 효율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운동 치료 장치 10: 레일부
11: 레일본체 111: 레일홈
12: 레일블록 13: 지지대
131: 지지부재 131a: 보강리브
132: 받침부재 133: 연결대
134: 다리 20: 의자부
21: 시트 22: 낙상 방지대
23: 등받이 24: 기울기조절부
241: 시트 브래킷 242: 등받이 브래킷
243: 댐퍼 30: 발 거치부
31: 발판 32: 스트랩
40: 핸들부 41: 고정블록
42: 서포트 43: 파지대
44: 커버 45: 고정부재
50: 핸들 엑추에이터 51: 핀부재
60: 부하 조절부 70: 의자 엑추에이터
80: 제어부 81: 수동운동 조작부
82: 능동운동 조작부

Claims (7)

  1.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운동치료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된 발 거치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의자부가 움직이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의자 엑추에이터,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운동치료자가 잡을 수 있으며 상기 의자부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넘어지고 세워질 수 있는 핸들부,
    상기 레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핸들부가 넘어지고 세워지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핸들 엑추에이터,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하 조절부 및
    상기 의자 엑추에이터 및 상기 핸들 엑추에이터의 작동을 설정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운동 치료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의자부는
    등받이,
    상기 레일부에 움직일 수 있게 결합된 시트,
    상기 시트와 연결되어 있는 낙상 방지대 및
    상기 시트와 상기 등받이를 연결하고 있는 기울기조절부
    를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는 상기 기울기조절부에 의해 젖혀질 수 있는
    운동 치료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기울기조절부는
    상기 시트와 결합된 시트 브래킷,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 브래킷과 힌지 연결된 등받이 브래킷 및
    상기 시트 브래킷과 상기 등받이 브래킷을 연결하고 있는 댐퍼
    를 포함하는
    운동 치료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레일부와 결합된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부하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운동치료자가 잡을 수 있는 파지대,
    상기 파지대와 결합되어 상기 운동치료자의 손등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운동치료자의 손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핸들 엑추에이터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핸들 엑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움직이는
    운동 치료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레일부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본체,
    상기 레일홈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본체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의자부가 결합된 레일블록 및
    상기 레일본체의 양단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본체를 받치고 있는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블록은 상기 의자 엑추에이터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일블록은 상기 의자 엑추에이터의 구동으로 움직이는
    운동 치료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레일본체의 단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부재,
    상기 레일본체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된 받침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받침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대
    를 포함하는
    운동 치료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접하고 있는 상기 연결대의 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와 접하고 있는 상기 연결대의 부분은 상기 받침부재를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일부분을 감싸고 있는
    운동 치료 장치.
KR1020210131941A 2021-10-05 2021-10-05 운동 치료 장치 KR10262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941A KR102624711B1 (ko) 2021-10-05 2021-10-05 운동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941A KR102624711B1 (ko) 2021-10-05 2021-10-05 운동 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939A true KR20230048939A (ko) 2023-04-12
KR102624711B1 KR102624711B1 (ko) 2024-01-11

Family

ID=85984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941A KR102624711B1 (ko) 2021-10-05 2021-10-05 운동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7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07Y1 (ko) * 2004-03-16 2004-05-28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샤워용 의자
KR100929157B1 (ko) * 2009-03-13 2009-12-01 임정수 로윙머신 운동 보조장치
KR20100001106A (ko) 2008-06-26 2010-01-06 오세영 센서 노드 검출 단순 알고리즘
US20100216600A1 (en) * 2009-02-25 2010-08-26 Noffsinger Kent E High efficiency strength training apparatus
KR101099047B1 (ko) * 2009-11-25 2011-12-28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재활운동기구
KR101236281B1 (ko) 2010-07-15 2013-02-26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로잉운동기
US20170361152A1 (en) * 2015-08-07 2017-12-21 Xiamen Aolro Technology Co., Ltd. Ro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07Y1 (ko) * 2004-03-16 2004-05-28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샤워용 의자
KR20100001106A (ko) 2008-06-26 2010-01-06 오세영 센서 노드 검출 단순 알고리즘
US20100216600A1 (en) * 2009-02-25 2010-08-26 Noffsinger Kent E High efficiency strength training apparatus
KR100929157B1 (ko) * 2009-03-13 2009-12-01 임정수 로윙머신 운동 보조장치
KR101099047B1 (ko) * 2009-11-25 2011-12-28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재활운동기구
KR101236281B1 (ko) 2010-07-15 2013-02-26 대한민국 하반신 마비 환자용 로잉운동기
US20170361152A1 (en) * 2015-08-07 2017-12-21 Xiamen Aolro Technology Co., Ltd. Ro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711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730B2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JP3830486B2 (ja) 運動補助具
US3450132A (en) Motor-driven exercising apparatus
US3353532A (en) Traction apparatus
JP6578081B2 (ja) 起立着座移動支援装置
KR101416068B1 (ko) 보행훈련기기 결합형 보행보조기
CN113332673B (zh) 自预紧靠座装置及骨盆辅助步行训练机构
CN209734479U (zh) 助行器
KR20190015122A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KR20230048939A (ko) 운동 치료 장치
JP2018082948A (ja) ストレッチ用具及びストレッチ方法
JP6162957B2 (ja) 運動用器具
US7766852B2 (en) Nerve treatment apparatus
RU15125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и леч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KR101538407B1 (ko) 상지 근력 강화 보조 장치
CN214913094U (zh) 一种下肢康复护理锻炼装置
SU174706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ибротерапии
KR101791455B1 (ko) 진동 근막이완 스트레칭 운동기구
JP5411844B2 (ja) 移乗装置
CN108524185B (zh) 一种康复护理装置
JP2588843Y2 (ja) 機能回復訓練具
JP2005319262A (ja) 腰伸縮装置
KR20160018932A (ko) 전동식 직립형 하지재활 운동장치
CN108433939A (zh) 起立床
KR20100136511A (ko) 운동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