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248A - 송신 상태 잠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상태 잠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248A
KR20230048248A KR1020227039945A KR20227039945A KR20230048248A KR 20230048248 A KR20230048248 A KR 20230048248A KR 1020227039945 A KR1020227039945 A KR 1020227039945A KR 20227039945 A KR20227039945 A KR 20227039945A KR 20230048248 A KR20230048248 A KR 20230048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ock
user equipment
transmission stat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치 리
히 왕
쉬타오 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8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을 완료하고, 잠금 완료의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상태 잠금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 상태 잠금(locking)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5G)은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NR)를 채택하며, 다수의 안테나에 대한 지원은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하나의 안테나 모듈은 다수의 안테나의 어레이(array)에 의해 형성되며, 하나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는 또한 다수의 안테나 모듈을 가질 수 있다. 6G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이는 또한 최대 4개의 안테나를 지원할 수 있으며, 송신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능을 통해 다중 안테나 송신 능력을 갖는다.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는 동적 빔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동적 빔 추적(tracking) 및 스캐닝(scanning)은 사용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이 시간에 따라 변할 것임을 의미한다. 또한, 다수의 안테나 모듈의 스위칭은 시변(time-varying) 송신 상태의 문제를 악화시킬 것이다. 시변 송신 상태는 실제 환경의 변화에 더 나은 방식으로 적응할 수 있지만, RF 성능 및 안테나 성능의 테스트에 불안정한 요소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사용자 장치 테스트에서, 테스트 빔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 빔 잠금 기능(user equipment beam locking function; UBF)이 도입된다. 그러나, 송신 다이버시티 상태에서,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와 파라미터는 여전히 가변적이며, 빔 잠금 기능은 빔만을 잠글 수 있지만, 다른 송신 파라미터(예를 들어,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 송신 안테나 선택 및 스위칭, 송신 전력 할당, 지연 파라미터 등)를 잠글 수 없으며, 따라서 여전히 송신 상태가 변경된다.
또한, 6G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 장치는 빔포밍(beamforming)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빔 잠금 문제가 없다. 그러나, 송신 다이버시티 상태에서 다수의 안테나로 송신하는 경우, 송신 상태는 또한 시간에 따라 변할 것이다.
따라서, 밀리미터파 또는 6G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현재의 기술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가 송신 다이버시티 상태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없으며, 테스트 시나리오와 같은 특정 시나리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술적 결함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고, 장치의 송신 상태를 잠그는 기술적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는 관련된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통해 안정적인 상태를 갖는 엔지니어링 모드(engineering mode) 또는 테스트 모드(test mode)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하에, 사용자 장치는 이에 따라 송신 상태를 잠그고, 송신 모드 및 송신 파라미터의 안정성을 보장하며, 사용자 장치의 송신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특정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치의 송신 성능을 안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성능과 안테나 성능이 테스트되면, 사용자 장치의 송신 특성은 안정화된다. 특히 사용자 장치가 다중 안테나 송신을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가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경우,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성능의 안정적인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을 완료하고, 잠금 완료의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한 후 사용자 장치가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통신 연결이 분리되거나 송신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잠금이 해제될 때까지 사용자 장치가 송신을 계속하기 위해 송신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시나리오에 따라 수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송신 상태 잠금 모드는 디폴트 잠금 모드, 단일 안테나 잠금 모드 및 다중 안테나 잠금 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파라미터는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 파라미터, 송신 안테나 선택 파라미터,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할당 비율 파라미터 및 송신 상태 잠금 모드에 상응하는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디폴트 잠금 모드는 사용자 장치의 현재 송신 상태 및 파라미터를 잠그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시나리오는 전도 최대 출력 전력 테스트(conduction maximum output power test), 전도 최대 출력 전력 백오프(back-off) MPR 테스트, 총 방사 전력(total radiation power; TRP) 테스트 및 이중 안테나 포트의 송신 중 등가 등방성 방사 전력(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 EIRP) 테스트 및 밀리미터파 송신 변조 품질 테스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장치는 전도 최대 출력 전력 테스트에서 설정된 잠금 상태에 따라 최대 전력으로 지속적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최대 출력 전력 백오프 테스트에서, 사용자 장치가 전력 백오프를 허용하는 조건 하에 최대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 송신 전력은 최대 출력 전력 백오프 MPR에 의해 지정된 인덱스 요구 사항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사용자 장치의 방사 패턴 특성은 총 방사 전력(TRP) 테스트 및 이중 안테나 포트의 송신 중 등가 등방성 방사 전력(EIRP) 테스트에서 잠겨져 안테나 성능 OTA 측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밀리미터파 송신 변조 품질 테스트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는 단일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가 설정될 때 턴오프되고;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방사 전력 및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는 다중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가 설정될 때 잠겨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송신된 현재 업링크 신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송신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는,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자 장치가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고, 잠금 해제의 완료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통신 연결이 분리되거나 송신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사용자 장치가 잠금 해제(unlocking)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피드백 잠금 완료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잠금 완료 해제의 결과를 피드백하는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송신 상태 잠금을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가 제공되며, 이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수신 모듈;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따라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는 설정을 완료하도록 설정된 처리 모듈; 및 처리 모듈로부터 송신된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송신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하도록 설정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송신 상태 잠금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공되며, 이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업링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수신 모듈; 사용자 장치로부터 업링크 송신된 신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설정하도록 설정된 처리 모듈; 및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제공되며, 이 전자 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 및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한 완전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는 관련된 시그널링 프로세스를 통해 안정적인 엔지니어링 모드 또는 테스트 모드를 갖는다. 특히, 다수의 안테나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의 경우,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모드 및 송신 파라미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테스트 시나리오와 같은 일부 특수 시나리오에 필요한 안정적 및 신뢰성 있는 송신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 및 이의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이제 이루어진다.
도 1은 선행 기술의 밀리미터파 사용자 장치의 빔 잠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상태 잠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그널링 메시지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잠금 해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특허 문서의 전체에 걸쳐 사용된 특정 단어 및 문구의 정의를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커플링(coupling)"이라는 용어 및 이의 파생어는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든 접촉하지 않든 둘 이상의 요소 간의 어떤 직접 또는 간접 통신을 지칭한다. "송신한다", "수신한다" 및 "통신한다"이라는 용어 및 이의 파생어는 직접 및 간접 통신 둘 다를 포함한다. "포함하는(including)" 및 이의 파생어는 제한 없이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며, 및/또는(and/or)을 의미한다. "연관된(associated)"이라는 문구 및 이의 파생어는, "~를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하고(include in inside)", "~와 상호 연결되고(interconnected)", "~에 포함되고(contained)", "~와 연결하기 위해 포함되거나 연결하기 위해 ~에 포함되고(contained in To connect with or with To connect)", "결합하고(couple)", 또는 "통신하기 위해 결합하도록 연결하고(connect with to couple with to communicate)" "협력하고(cooperate)", "인터리브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접근하고(approach)", "묶고(bind)", 또는 "묶기 위해 연관시키고(associate with to bind)", "가지고(have)", "속성을 가지고(have an attribute)", "관계를 가지고(have a relationship)", 또는 "관련된 것과 연관되고(be associated with it's related)"등인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장치, 시스템 또는 이의 일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부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제어부와 연관된 기능은 로컬로든 원격으로든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문구는, 항목의 리스트와 함께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하나 이상의 상이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고, 리스트 내에는 하나의 항목만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다음의 조합: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및 B 및 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단어 및 문구에 대한 정의는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지만 이러한 정의가 이렇게 정의된 단어 및 문구의 이전 및 이후의 사용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변환 블록의 애플리케이션 조합 및 하위 변환 블록(sub-transform block)의 분할 레벨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변환 블록의 애플리케이션 조합 및 하위 변환 블록의 분할 레벨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이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의 개략도이며, 이 기술 방식은 밀리미터파 대역의 빔 잠금에만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블록(110)은 네트워크 장치로서 도시되고, 블록(120)은 사용자 장치로서 도시된다. 단계(130)에서, 네트워크 장치(110)는 빔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상이한 시그널링 콘텐츠에 따라, 이는 송신 빔 잠금, 수신 빔 잠금 또는 동시 송수신 빔 잠금을 각각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140)에서, 사용자 장치(120)는 시그널링에 따라 빔 잠금을 완료한 후 빔 잠금 완료의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장치(110)로 피드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기술은 빔 잠금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다른 다중 안테나 관련 송신 모드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이 기술은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 어레이를 가진 사용자 장치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6G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의 사용자 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특허 문서에서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나리오의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장치의 현재 송신 상태를 잠그거나 시그널링 콘텐츠에 따라 상응하는 송신 상태 및 송신 파라미터를 잠글 수 있으며, 여기서 송신 파라미터는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 파라미터, 송신 안테나 선택 파라미터,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할당 비율 파라미터,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 장치, 특히 다수의 안테나를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의 안정적인 송신을 보장하고, 무선 주파수 테스트 및 안테나 테스트와 같은 특수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킨다. 또한, 네트워크 장치는 현재 사용자 장치의 업링크 송신 신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는 상이한 송신 상태 잠금 모드에 따라 상이한 무선 주파수 인덱스 요구 사항을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한 기술적 방식은 밀리미터파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6GHz 미만의 주파수 대역 또는 새롭게 정의된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테스트 시나리오에서는 전도 테스트와 방사선 테스트 모두에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상태 잠금의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부문(division)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 방법이 제안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10)은 네트워크 장치로서 도시되고, 블록(220)은 사용자 장치로서 도시된다. 단계(230)에서, 사용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한 후 업링크 송신을 수행한다. 단계(240)에서, 네트워크 장치(210)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고, 다운링크 제어 신호의 상이한 콘텐츠에 따라 상이한 잠금 모드 및 송신 파라미터가 설정될 수 있다. 단계(250)에서, 사용자 장치(220)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따라 송신 상태 잠금을 완료한 후, 이는 송신 상태 잠금의 완료의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장치(210)로 피드백한다. 단계(260)에서, 사용자 장치는 송신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송신 잠금의 해제 신호를 수신한 후 통신 연결이 끊기거나 잠금이 중지될 때까지 송신을 계속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30)에서, 사용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 연결을 설정한 후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며, 이는 네트워크 장치의 설정 및 통신 사양에 따라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통상적인 송신이고, 통신 연결은 음성 통화 연결 또는 데이터 통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40)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상이한 시나리오에 따라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신호의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이한 송신 상태 잠금 모드에 진입하도록 사용자 장치(220)를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잠금 모드는 디폴트 잠금 모드, 단일 안테나 잠금 모드, 다중 안테나 잠금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잠금 모드는 또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설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파라미터 설정은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 파라미터, 송신 안테나 선택 파라미터,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할당 비율 파라미터,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폴트 잠금 모드는 사용자 장치의 현재 송신 상태 및 파라미터의 잠금을 위한 잠금 모드로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는 상이한 테스트 케이스와 같은 현재 시나리오에 따라 상이한 송신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할당 비율 파라미터는 균등하게 할당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의 안테나 포트가 송신에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포트의 전력 할당은 50%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현재 업링크 송신 신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장치는 상이한 송신 상태 잠금 모드에 따라 상이한 무선 주파수 인덱스 요구 사항을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의 것은 여러 특정 시나리오에 기초한 단계(240)의 예시적인 설명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음의 시나리오 예가 단지 예시일 뿐이고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시나리오 1: 전도 최대 출력 전력(MOP) 테스트.
전도 테스트는 6GHz 미만의 사용자 장치에 대한 무선 주파수 적합성 테스트(conformance test)의 주요 방식이다. 사용자 장치의 각각의 안테나 포트는 테스트를 위해 무선 주파수 케이블을 통해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최대 출력 전력(MOP) 테스트는 가장 중요한 테스트 케이스 중 하나이다. 사용자 장치가 다중 안테나 포트 송신을 지원하는 경우,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무선 주파수 성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여, MOP 측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는 최대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하고,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송신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단일 안테나 포트의 송신을 검출하면, 이는 단일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다중 안테나 포트 송신을 검출하면, 이는 다중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디폴트 송신 잠금 모드는 또한 직접 설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에서,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는 잠겨질 수 있으며, 송신 안테나 포트 간의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할당 비율 파라미터는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의 안테나 포트가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포트의 전력 할당은 50%이다.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일반적인 송신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 설정을 통과한 후, 사용자 장치는 설정된 잠금 상태에 따라 최대 전력으로 지속적으로 송신함으로써,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성능은 안정적이고 네트워크 장치는 신뢰할 수 있는 최대 출력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시나리오 2: 전도 최대 출력 전력 폴백(MPR) 테스트.
사용자 장치가 최대 전력 송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이한 변조 방법/송신 대역폭/파형 등을 사용하는 경우, 송신 전력은 어느 정도 폴백(fall back)할 것이다. 최대 출력 전력 폴백(MPR) 테스트의 목적은 사용자 장치가 전력 폴백을 허용하는 조건 하에 최대 전력 송신을 수행할 때 측정된 송신 전력이 MPR에 의해 지정된 인덱스 요구 사항 내에 있는지 테스트하는 것이다. 다중 안테나 포트의 상이한 특성으로 인해, MPR 인덱스 요구 사항은 단일 안테나 포트 또는 다중 안테나 포트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전도 MPR 테스트가 사용자 장치 상에서 수행될 때,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송신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단일 안테나 포트의 송신을 검출하면, 이는 단일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를 설정하고 단일 안테나 송신에 상응하는 무선 주파수 인덱스 요구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다중 안테나 포트 송신을 검출하면, 이는 다중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를 설정하고 다중 안테나 송신에 상응하는 무선 주파수 인덱스 요구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전도 MPR 테스트가 사용자 장치 상에서 수행될 때, 네트워크 장치는 송신 잠금 모드를 적응적으로 설정하고 상응하는 인덱스 요구 사항에 적응할 수 있다.
시나리오 3: 이중 안테나 포트의 송신 중 총 방사 전력(TRP) 테스트 및 등가 무지향성 방사 전력(equivalent omni-directional radiated power; EIRP) 테스트.
사용자 장치 상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안테나 성능(OTA) 테스트를 수행할 때, 다수의 송신 안테나 포트 사이의 상이한 전력 진폭 및 위상은 원거리 필드(far field)에서 상이한 방사 필드 중첩 효과(superimposition effect)를 생성할 것이다. 각각의 송신 안테나 포트의 전력 진폭 및 위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테스트가 진행됨에 따라, 공간의 상이한 부분에서의 방사 전력은 계속 변경될 것이고, 의미 있는 테스트 결과가 획득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본 기술에 따르면, 총 방사 전력(TRP) 테스트 및 등가 등방성 방사 전력(EIRP) 테스트와 같은 이중 안테나 포트 송신 중 OTA 테스트를 수행할 때, 네트워크 장치에는 이중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가 설정되고, 2개의 안테나 포트가 송신에 사용될 때, 각각의 포트의 전력은 50%로 할당되고;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는 0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사용자 장치의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할 때, 사용자 장치의 방사 패턴 특성은 잠겨질 수 있으므로, 의미 있는 OTA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나리오 4: 밀리미터파 송신 변조 품질 테스트.
밀리미터파 무선 주파수 테스트가 현재 수행될 때, 네트워크 장치는 단일 편파 수신 및 복조를 위해서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EVM(Error Vector Magnitude)과 같은 밀리미터파 송신의 변조 품질을 테스트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장치가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할 때, 네트워크 장치의 단일 편파 수신 및 복조는 측정 결과에 큰 변동이 있다. 본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의 송신 변조 품질을 테스트하는 상황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일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 즉 송신 다이버시티를 끄는 모드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방사 전력 및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를 동시에 잠그도록 다중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사용자 장치 상에서 밀리미터파 송신 변조 품질 테스트를 수행할 때, 테스트 결과의 변동 문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어진 시나리오는 본 발명에서 단계(240)의 구현의 예시적인 예일뿐이며, 특정 구현은 이러한 시나리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구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상에 기초하여 다양한 조합이 결합되고/되거나 가중될 수 있다.
상술한 시나리오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송신 상태를 잠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유연하게 설정하여 다양한 실제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40)에서,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다양한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는 상이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진 메시지(binary message)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진 메시지의 8비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사용될 수 있다. X1 내지 X8의 값은 0 또는 1이며, 상이한 이진 데이터 조합은 상이한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50)에서, 사용자 장치(220)가 단계(240)에서 다운링크 제어 신호 콘텐츠에 따라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을 완료한 후, 이는 완료 결과를 네트워크 장치로 피드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60)에서, 사용자 장치는 송신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송신 잠금의 해제 신호를 수신한 후 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잠금이 중지될 때까지 송신을 계속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잠금의 해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연결을 유지하면서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는 잠금을 활성화하는 역 프로세스이며, 이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30)에서, 사용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유지하면서 송신 상태 잠금을 유지한다.
단계(440)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도록 사용자 장치를 설정한다.
단계(450)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자 장치는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한 다음, 잠금 해제의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460)에서, 사용자 장치는 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송신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 상태 잠금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는 모바일 폰, 스마트 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AD(tablet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웨어러블 장치, 로봇, 드론, 사물 인터넷 단말(Internet of Things terminal)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500)는 수신 모듈(510), 송신 모듈(520) 및 처리 모듈(53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510)은 다운링크 RF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 모듈로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송신 모듈(520)은 처리 모듈에 의해 송신된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하나 이상의 송신 안테나 포트를 통해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처리 모듈(530)은 신호를 측정, 분석, 저장, 계산, 변환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모듈(530)은 수신 모듈(510)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따라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설정 시그널링을 파싱(parsing)한 다음, 이에 따라 기저 대역 신호 파라미터를 조정하고 이에 따라 송신 모듈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 상태 잠금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기지국, 중계기, 통합 액세스 및 백홀 장치, 핫스팟, 애드혹(ad hoc) 네트워크 노드, 시스템 시뮬레이션 기능을 갖는 테스트 기구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600)는 수신 모듈(610), 송신 모듈(620) 및 처리 모듈(630)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610)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업링크 송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정된다.
처리 모듈(630)은 신호를 측정, 분석, 저장, 계산, 변환 및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처리 모듈(630)은 사용자 장치의 업링크 송신 신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설정된다.
송신 모듈(620)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송신 상태 잠금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를 설정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실현하기 위한 완전한 기술적 방식이 제공된다. 풍부한 시그널링 콘텐츠를 통해, 이러한 방식은 유연하고 다양한 송신 상태 잠금을 실현하며, 이러한 잠금은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를 잠글 뿐만 아니라, 잠금 상태를 유연하게 설정하여 상이한 시나리오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안정성과 유연성의 균형을 달성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된 하드웨어에 지시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구조에 따라, 상술한 예시적인 구조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코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아날로그/로직 회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펌웨어, 소비자 전자 장치, AV 장치, 무선/유선 송신기, 무선/유선 수신기,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조의 실시예는 전체 하드웨어 실시예, 전체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두의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차트의 각각의 블록 또는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제공될 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도록 기계를 생성한다. 흐름도/블록도의 각각의 블록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로직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박스에 표시된 기능은 도면 등에 표시된 순서를 벗어나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매체", "컴퓨터 사용 가능한 매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메인 메모리, 보조 메모리, 이동식 저장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매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데이터, 명령어, 메시지 또는 메시지 패킷 및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ROM,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 CD-ROM 및 다른 영구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컴퓨터 시스템 간에 데이터 및 컴퓨터 명령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장치가 특정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음으로써,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는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 블록에 명시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제조 물품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의 블록도 및/또는 흐름도를 나타내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처리 장치에 적재될 수 있음으로써,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은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즉, 컴퓨터 제어 논리)은 메인 메모리 및/또는 보조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실시예의 특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 및/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가 컴퓨터 시스템의 특징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부를 나타낸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 가능한 유형의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본 개시가 예시적인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내에 속하는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방명에서의 모든 설명은 임의의 특정 요소, 단계 또는 기능이 청구 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임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특허 주제(patent subject matter)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5)

  1. 사용자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을 완료하고, 잠금 완료의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업링크 송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송신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잠금이 해제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장치가 송신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송신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시나리오에 따라 수신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상태 잠금 모드는 디폴트 잠금 모드, 단일 안테나 잠금 모드 및 다중 안테나 잠금 모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송신 다이버시티 모드 파라미터, 송신 안테나 선택 파라미터, 송신 다이버시티 전력 할당 비율 파라미터 및 상기 송신 상태 잠금 모드에 상응하는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잠금 모드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현재 송신 상태 및 파라미터를 잠그도록 설정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는 전도 최대 출력 전력 테스트, 전도 최대 출력 전력 백오프 MPR 테스트, 총 방사 전력(TRP) 테스트 및 이중 안테나 포트의 송신 중 등가 등방성 방사 전력(EIRP) 테스트 및 밀리미터파 송신 변조 품질 테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전도 최대 출력 전력 테스트에서 설정된 잠금 상태에 따라 최대 전력으로 지속적으로 송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출력 전력 백오프 테스트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전력 백오프를 허용하는 조건 하에 최대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최대 출력 전력 백오프 MPR에 의해 지정된 인덱스 요구 사항 내에 있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방사 패턴 특성은 안테나 성능 OTA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총 방사 전력(TRP) 테스트 및 상기 이중 안테나 포트의 송신 중 상기 등가 등방성 방사 전력(EIRP) 테스트에서 잠겨지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리미터파 송신 변조 품질 테스트에서, 상기 송신 다이버시티는 단일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가 설정될 때 턴오프되고; 각각의 안테나 포트의 상기 방사 전력 및 송신 다이버시티 지연 파라미터는 상기 다중 안테나 송신 잠금 모드가 설정될 때 잠겨지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응하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상기 현재 업링크 신호의 검출 결과에 따라 설정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잠금 해제 신호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가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잠금 해제의 완료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연결이 끊어지거나 송신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 장치가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15. 장치의 송신 상태 잠금을 위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피드백 잠금 완료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의 상기 송신 상태 잠금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는 송신 상태 잠금 모드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
KR1020227039945A 2020-08-06 2021-08-03 송신 상태 잠금 방법 및 장치 KR20230048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85094.3 2020-08-06
CN202010785094.3A CN114070432A (zh) 2020-08-06 2020-08-06 锁定发射状态的方法及设备
PCT/KR2021/010148 WO2022030950A1 (en) 2020-08-06 2021-08-03 Methods and equipments for locking transmission st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48A true KR20230048248A (ko) 2023-04-11

Family

ID=8011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945A KR20230048248A (ko) 2020-08-06 2021-08-03 송신 상태 잠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61766A1 (ko)
EP (1) EP4173148A4 (ko)
KR (1) KR20230048248A (ko)
CN (1) CN114070432A (ko)
WO (1) WO2022030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85A1 (en) * 2022-08-09 2024-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7409B1 (en) * 2014-01-17 2020-05-27 Sony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antennas in a wireless radio network
KR102109918B1 (ko) * 2015-06-15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한 빔포밍 장치 및 방법
KR102490466B1 (ko) * 2017-11-15 2023-01-19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 측정 시스템, 측정 설정,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70432A (zh) 2022-02-18
EP4173148A1 (en) 2023-05-03
WO2022030950A1 (en) 2022-02-10
US20230261766A1 (en) 2023-08-17
EP4173148A4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4663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and full-duplex wireless transceiver
US11139945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for determining a beam for an uplink channel
US9294259B2 (en) Full duplex system in massive MIMO
US10903888B2 (en) Configuration method and configuration device for reference signal and communication node
US11108475B2 (en) Methods for over-the-air testing of base station receiver sensitivity
KR102328004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네트워크측 기기 및 사용자 기기
US11476918B2 (en) Device and method transmitting data based on non-codeboo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352567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波束搜索和管理的方法和装置
KR10238018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126794A1 (zh) 一种资源指示方法、装置及系统
WO2018095305A1 (zh) 一种波束训练方法及装置
TW202036983A (zh) 用於毫米波天線之自輻射回送測試程序
US11101860B2 (e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of determining beam reciprocity of a device
EP3829243B1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10710124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非相干联合检测的装置和方法
KR20230048248A (ko) 송신 상태 잠금 방법 및 장치
CN113285741B (zh) 信号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20220166464A1 (en)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from a terminal device
US202003446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39870B2 (en)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from a terminal device
US2022036100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s
WO2023088376A1 (zh) 上行传输方法、装置、终端及bsc接收设备
US2024006386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US11095347B1 (en) Transmission of a two-port reference signal
WO2017171789A1 (en) Open loop transmission scheme supporting arbitrary number of antenna p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