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115A -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115A
KR20230048115A KR1020237007840A KR20237007840A KR20230048115A KR 20230048115 A KR20230048115 A KR 20230048115A KR 1020237007840 A KR1020237007840 A KR 1020237007840A KR 20237007840 A KR20237007840 A KR 20237007840A KR 20230048115 A KR20230048115 A KR 2023004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iming information
objects
terminal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 양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를 개시하며,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다. 정보 보고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8월 6일자로 중국에서 출원한 중국 특허출원번호가 No. 202010785776.4인 특허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단말이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block, SSB)을 측정할 때, 단말이 SSB 측정 타이밍 구성(SSB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s, SMTC) 양측의 각 하나의 심볼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도록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었다. 상기 방식은 프로토콜을 통해 SSB 측정 시간을 SMTC 윈도우 내로 제한하고, 윈도우 양측의 고정 지속시간 내의 전송을 제한하므로 전송 스케줄링의 유연성이 낮아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는 종래의 전송 스케줄링의 유연성이 낮아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상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제2 양상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제3 양상에서, 정보 보고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 정보 보고 장치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보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제4 양상에서, 정보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 장치는,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제5 양상에서, 단말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양상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양상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8 양상에서, 칩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2 양상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측 기기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9 양상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 양상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제10 양상에서, 통신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는 제1 양상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거나 제2 양상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타겟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P개 객체의 타이밍 정보 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P개 객체의 타이밍 정보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므로 각 객체 간 측정 또는 데이터의 간섭을 피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약도이다.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출원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출원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출원에서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제1”, “제2” 등 용어는 유사한 객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며, 특정 순서나 선후 순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제1”, “제2”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유형의 객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객체의 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객체는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앞뒤의 연관 객체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LTE 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 시스템에만 한정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운반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기타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항상 교환되어 사용되고, 설명된 기술은 상기 시스템 및 무선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 아래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고, 아래 대부분의 설명에서 NR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예: 6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1) 및 네트워크 측 기기(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1)은 단말 장비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라고도 칭할 수 있고,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북이라고도 불리우는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팜톱 컴퓨터, 넷북, 울트라 모바일 개인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탑재 단말기(vehicle user equipment, VUE), 보행자 단말(pedestrian user equipment, PUE) 등 단말 측 장비일 수 있고,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밴드, 이어폰, 스마트 안경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단말(11)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12)는 기지국, 핵심망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iving Point, TRP)일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은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진화된 B 노드(evolved Node B, eNB), 홈 B 노드, 홈 진화된 B 노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액세스 포인트,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노드, 송수신 포인트(TRP) 또는 상기 분야에서의 기타 적합한 용어로 호칭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된 기술적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음은 본 출원 실시예와 관련된 일부 내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1. 다중 안테나
대규모 MIMO(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assive MIMO) 기술은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를 이용하여 시스템 주파수 대역의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더 많은 액세스 사용자를 지원한다. 따라서 각 연구조직은 Massive MIMO 기술을 차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가장 유망한 물리계층 기술 중 하나로 보고 있다.
Massive MIMO 기술에 완전 디지털 어레이를 적용하면 최대화의 공간 분해능 및 최적 다중 사용자 MIMO(multi-user MIMO, MU-MIMO)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는 대량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ue-to-Digital, AD)/디지털-아날로그 변환(Digital -to- Analogue, DA)용 변환 소자 및 대량의 완전한 주파수-기저대역 처리 채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기 비용 측면이나 기저대역 처리 복잡도 측면에서 모두 거대한 부담이 될 것이다.
전술한 구현 비용과 기기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디지털-아날로그 혼합 빔포밍 기술이 등장했다. 즉, 기존의 디지털 도메인 빔포밍을 기반으로 안테나 시스템의 전단부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에 1단계 빔포밍-아날로그 빔포밍(또는 아날로그 포밍)을 추가한다. 아날로그 포밍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송신 신호와 채널 간의 대략적인 매칭을 구현할 수 있다. 아날로그 포밍 후 형성된 등가 채널의 차원은 실제 안테나 수보다 작으며, 이에 따라 필요한 AD/DA 변환 소자, 디지털 채널 수 및 해당 기저대역 처리 복잡도가 모두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아날로그 포밍 부분의 잔류 간섭은 디지털 도메인에서 재처리되어 MU-MIMO 전송의 품질을 보장한다. 완전 디지털 포밍에 비해, 디지털 아날로그 혼합 빔포밍은 성능과 복잡도에 대한 절충안으로서 고주파 대역 고대역폭 또는 안테나 수가 아주 많은 시스템에서 높은 실용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
2. 고주파 대역
고주파 대역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유휴 주파수 자원을 가지고 있어 데이터 전송에 더 많은 처리량을 제공할 수 있다. 고주파 신호는 파장이 짧고, 저주파 대역에 비해 동일한 크기의 안테나 패널에 보다 많은 안테나 어레이 요소를 배치할 수 있으며,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지향성이 보다 강하고, 로브가 보다 좁은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안테나와 고주파 통신의 조합도 미래의 트렌드 중 하나이다.
3. 빔 측정 및 보고(beam measurement and beam reporting)
아날로그 빔포밍은 전대역폭으로 전송되며, 각 고주파 안테나 어레이의 패널에 있는 각 편파 방향 어레이 요소는 아날로그 빔을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만 송신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 가중치는 무선 주파수 전단부 이상기 등 장치의 파라미터를 통해 구현된다.
아날로그 빔포밍 벡터의 훈련은 일반적으로 폴링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각 안테나 패널의 각 편파 방향 어레이 요소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으로 정해진 시간에 차례로 훈련 신호(즉 후보 포밍 벡터)를 송신하고, 단말은 측정 후 네트워크 측에서 다음 서비스를 전송할 때 상기 훈련 신호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빔 송신을 구현할 수 있도록 빔 보고를 피드백 한다. 빔 보고의 내용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최적 송신빔 식별자 및 측정된 각 송신빔의 수신 전력을 포함한다.
빔 측정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에서는 동기화 신호/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block, SSB) 자원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자원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 자원(RS resource)을 포함하는 기준 신호 자원 집합(Reference Signal resource set, RS resource set)을 구성한다. UE는 각 RS resource의 계층 1-기준 신호 수신 전력(Layer 1 -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L1-RSRP)/계층 1-신호 대 간섭 잡음비(Layer 1 -Signal-to-Noise and Interference Ratio, L1-SINR)를 측정하고, 최적의 적어도 하나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에 보고하며, 보고 내용은 동기화 신호 블록 자원 지시자(SSB Resource Indicator, SSBRI) 또는 채널 상태 정보-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CSI-RS Resource Indicator, CRI), 및 해당 L1-RSRP/L1-SINR을 포함한다. 상기 보고 내용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최적 빔 및 그 품질이 반영되며, 이는 네트워크가 UE와의 채널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한 빔 정보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4.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측정 메커니즘
RRM 측정에서, UE는 인접 셀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셀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측정 결과의 단기적 변동을 피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측정 주기 내에 일련의 균일 분포된 측정 샘플링에 대해 평균화를 수행하며, 이를 상위 계층(예컨대 계층 3: L3)의 측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접 셀의 기준 신호 SSB를 측정할 때, SSB의 타이밍에 대한 측정을 위해 측정 윈도우를 설정해야 한다. 즉, 불필요한 측정을 피하고, 측정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SSB 측정 타이밍 구성(SSB Measurement Timing Configurations, SMTC)을 설정해야 한다. SMTC 윈도우의 주기는 5/10/20/40/80/160 밀리초(ms) 등과 같이 SSB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고, 측정의 시간 간격은 1/2/3/4/5ms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송신하는 SSB의 수와 관련된다. UE는 SMTC 구성 정보에 따라 SSB를 측정한 다음 측정 결과를 gNB에 보고하거나 셀 선택을 수행한다.
5. 다중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iving Point, TRP)
다중 TRP 시나리오에서, 다수의 TRP가 상이한 셀에 속하는 경우, 상이한 TRP에 대한 타이밍 정보는 상이하다. 예컨대 상이한 TRP와 UE 간의 경로가 상이하며, 이에 따라 상이한 TRP와 UE 간의 전송 시간이 상이하며, TRP의 데이터가 UE에 도착하는 시간에 차이값이 존재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빔 정보는 공간 관계(spatial relation) 정보, 공간영역 송신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 정보, 공간 필터(spatial filter) 정보, 전송 구성 지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 정보, 준 공동 위치(Quasi co-location, QCL) 정보 또는 QCL 파라미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향링크 빔 정보는 일반적으로 TCI 상태 정보 또는 QCL 정보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상향링크 빔 정보는 일반적으로 spatial relation 정보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안테나 패널은 안테나 그룹, 안테나 포트 그룹, 안테나 집합, 안테나 포트 집합, 빔 집합, 빔 부분집합, 안테나 어레이, 안테나 포트 어레이, 안테나 서브어레이, 안테나 포트 서브어레이, 논리적 엔티티, 엔티티 또는 안테나 엔티티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패널(Panel)의 식별자는 안테나 패널의 식별자, 기준 신호 자원 식별자, 기준 신호 자원 집합 식별자, TCI 상태 식별자, QCL 정보 식별자, 공간 관계 식별자 등일 수 있다.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TRP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는 상기 단말의 로컬 객체, 상기 단말의 현재 객체,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빙 객체, 상기 단말의 주 객체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객체가 셀인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의 서빙 셀은 상기 단말의 로컬 셀, 상기 단말의 현재 셀, 상기 단말의 현재 서빙 셀, 상기 단말의 주 셀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객체는 상기 단말의 인접 객체, 상기 단말의 비로컬 객체, 상기 단말의 비현재 객체, 상기 단말의 비현재 서빙 객체, 상기 단말의 보조 객체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객체가 TRP인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의 서빙 TRP 이외의 TRP는 상기 단말의 인접 TRP, 상기 단말의 비서빙 TRP, 상기 단말의 비로컬 TRP, 상기 단말의 비현재 TRP, 상기 단말의 비현재 서빙 TRP, 상기 단말의 보조 TRP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식별자는 인덱스(Index)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될 수 있다.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객체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얻은 타이밍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에서, 단말은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객체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의 수는 단말이 상기 객체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빔의 수 R, 단말이 상기 객체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안테나 패널의 수 W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으며, R과 W는 모두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의 수는 타겟값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타겟값은 R과 W의 곱과 같다.
예: 단말이 안테나 패널(1)을 통해 빔(1)을 사용하여 객체(1)을 측정하여 타이밍 정보(a)를 획득하고, 안테나 패널(1)을 통해 빔(2)을 사용하여 객체(1)을 측정하여 타이밍 정보(b)를 획득하고, 안테나 패널(2)을 통해 빔(3)을 사용하여 객체(1)을 측정하여 타이밍 정보(c)를 획득하고, 안테나 패널(2)을 통해 빔(4)을 사용하여 객체(1)을 측정하여 타이밍 정보(d)를 획득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객체(1)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의 수는 타겟값과 같으며, 각각 타이밍 정보(a), 타이밍 정보(b), 타이밍 정보(c), 타이밍 정보(d)이다.
단말이 안테나 패널(1)을 통해 빔(1)을 사용하여 객체(1)을 측정하여 타이밍 정보(a)를 획득하고, 안테나 패널(2)을 통해 빔(3)을 사용하여 객체(1)을 측정하여 타이밍 정보(c)를 획득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객체(1)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의 수는 타겟값보다 작으며, 각각 타이밍 정보(a) 및 타이밍 정보(c)이다.
또한, 본 출원 실시예에서, 하나의 빔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될 수 있다. 빔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빔을 사용하여 측정된 타이밍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예: 제1 빔을 사용하여 타이밍 정보(1) 및 타이밍 정보(2)를 획득한 경우, 제1 빔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타이밍 정보(1) 및 타이밍 정보(2)를 포함한다.
하나의 안테나 패널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될 수 있다.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안테나 패널(상기 안테나 패널 상의 빔으로 이해할 수도 있음)을 사용하여 측정된 타이밍 정보로 이해할 수 있다. 예: 제1 안테나 패널을 사용하여 타이밍 정보(3) 및 타이밍 정보(4)를 획득한 경우, 제1 안테나 패널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타이밍 정보(3) 및 타이밍 정보(4)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은 단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보고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제1 정보가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는 것은,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것, 또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 대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는 이 객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 대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는 이 객체에 대응되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만을 포함한다.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상기 P개 객체 중 동일한 하나의 객체에 대응될 수 있다.
단,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 대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포함되는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객체에 대응되는 모든 타이밍 정보 또는 일부 타이밍 정보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이 상기 P개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 대응되는 모든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거나,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 대응되는 일부 타이밍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객체(1)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의 수는 4개로 타이밍 정보(a), 타이밍 정보(b), 타이밍 정보(c), 타이밍 정보(d)를 포함한다. 단말이 객체(1)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로 결정한 경우, 일 선택적인 실시 형태에서, 단말은 객체(1)에 대응되는 모든 타이밍 정보, 즉 타이밍 정보(a), 타이밍 정보(b), 타이밍 정보(c), 타이밍 정보(d)를 보고할 수 있으며, 이 선택적인 실시 형태는 전술한 P가 M보다 작은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형태에서, 단말은 객체(1)에 대응되는 일부 타이밍 정보, 예컨대 타이밍 정보(a), 타이밍 정보(b), 타이밍 정보(c), 타이밍 정보(d) 중 하나만을 보고할 수 있으며, 이 실시 형태는 전술한 P가 M과 같은 경우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임의의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정보가 송신단에서 수신단까지 전송되기 위해 점유하는 지속시간;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타겟 시간영역 자원;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타겟 시간영역 자원의 번호;
수신단이 송신단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타겟 시간영역 자원의 경계;
상기 단말이 제안하는 상기 객체의 TA; 중 하나로 표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객체 및 단말 중 하나이고, 상기 수신단은 상기 객체 및 단말 중 다른 하나이고, 상기 점유하는 지속시간은 초, 밀리초, 마이크로초 등 시간 단위로 특성화되거나 프레임 수, 슬롯 수, 심볼 수, 샘플 수 중 적어도 하나로 특성화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시간영역 자원은 프레임, 슬롯, 심볼, 샘플 중 적어도 하나로 특성화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타겟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P개 객체의 타이밍 정보 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P개 객체의 타이밍 정보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므로 각 객체 간 측정 또는 데이터의 간섭을 피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의 지시에 따라 상기 타겟 정보를 보고하거나 조건부로 자발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단말이 조건부로 상기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셀 또는 물리 셀을 구성하거나 활성화한 것;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계층 1 측정 보고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실어 전달하도록 구성하거나 트리거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추가로,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셀 식별자(cell index)에 대응되는 것;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 PCI)에 대응되는 것;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셀 식별자(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PCI) 간의 대응관계는 일대일 대응관계 또는 다대일 대응관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 중 각 TRP 식별 정보는 상이한 셀 식별자(또는 PCI)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 중 2개 또는 2개 이상의 TRP 식별 정보는 동일한 셀 식별자(또는 PCI)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적어도 2개의 빔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타겟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제1 값은 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와 상기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빔)의 대응관계는 일대일 대응관계 또는 일대다 대응관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에는 1개의 안테나 패널(또는 빔)만을 사용하여 측정된 기준 신호가 존재하거나 2개 이상의 안테나 패널(또는 빔)을 사용하여 측정된 기준 신호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계층 1 측정 보고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실어 전달하도록 구성하거나 트리거한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계층 1(Layer 1, L1) 측정 보고는 L1-RSRP report 또는 L1-SINR repor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된 내용은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이거나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된 정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또는 상대값이라고 함);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 및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나르지 않고, 상기 M-H개 오프셋값만 나를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H개 타이밍 정보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타이밍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H개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H개 타이밍 정보 중 일부 타이밍 정보 또는 모든 타이밍 정보의 가중평균값 또는 산술평균값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H가 1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인 방식으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가 상기 H개 타이밍 정보 중 임의의 하나의 타이밍 정보인 경우, 상기 H개 타이밍 정보 중 처음 하나 또는 마지막 하나로 정렬된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P개 객체가 객체(1) 및 객체(2)를 포함하고, 상기 M개 타이밍 정보는 객체(1)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a), 타이밍 정보(b), 타이밍 정보(c) 및 타이밍 정보(d), 그리고 객체(2)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e), 타이밍 정보(f), 타이밍 정보(g) 및 타이밍 정보(h)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동시에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가 객체(1)이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가 타이밍 정보(a)라고 가정한다. 타이밍 정보(e)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을 offset1로 기록하고, 타이밍 정보(f)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을 offset2로 기록하고, 타이밍 정보(g)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을 offset3으로 기록하고, 타이밍 정보(h)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을 offset4로 기록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적어도 offset1, offset2, offset3 및 offset4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정보는 타이밍 정보(a), 타이밍 정보(b), 타이밍 정보(c) 및 타이밍 정보(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양자화값을 통해 특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양자화값의 단위는 프레임 수, 슬롯 수, 심볼 수, 샘플 수, 초, 밀리초, 마이크로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양자화값의 비트 길이는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offset1, offset2, offset3 및 offset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offset1 및 offset3이 1개 심볼이고, offset2 및 offset4가 2개 심볼인 경우, 양자화값의 비트 길이는 2개 비트(bit)이다. 예를 들어, 01로 1개 심볼을 나타낼 수 있고, 10으로 2개 심볼을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면, offset1 및 offset3의 양자화값은 01일 수 있고, offset2 및 offset4의 양자화값은 10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M-H개 오프셋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M-H개 양자화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양자화값의 심볼은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양자화값은 상기 M-H개 양자화값 중 임의의 양자화값이다.
본 선택적인 실시 형태에서, 양자화값은 심볼을 가질 수 있고, 양자화값의 심볼은 이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간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간의 관계는,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앞에 있는 것;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뒤에 있는 것;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가 동일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양자화값이 0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앞에 있고, 제1 양자화값이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뒤에 있고; 또는, 제1 양자화값이 0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뒤에 있고, 제1 양자화값이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앞에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양자화값이 0과 같은 경우,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offset1 및 offset3의 양자화값이 01이고, offset2 및 offset4의 양자화값이 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타이밍 정보(e) 및 타이밍 정보(f)가 모두 타이밍 정보(a)의 앞에 있고, 타이밍 정보(g) 및 타이밍 정보(h)가 모두 타이밍 정보(a) 뒤에 있다고 가정한다.
동시에, 제1 양자화값이 0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앞에 있고, 제1 양자화값이 0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 뒤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offset1(타이밍 정보(e)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양자화값은 +01이고, offset2(타이밍 정보(f)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양자화값은 +10, offset3(타이밍 정보(g)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양자화값은 -01이고, offset4(타이밍 정보(h)의 타이밍 정보(a)에 대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양자화값은 -10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상기 P개 객체 중에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각 타겟 객체에 대해, 제1 보고 방식에서, 단말은 상기 타겟 객체에 대응되는 2개 또는 2개 이상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할 수 있고, 제2 보고 방식에서, 단말은 상기 타겟 객체에 대응되는 1개 타이밍 정보만 보고할 수 있으며, 어느 보고 방식을 채택할지는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가 L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객체를 포함하고, L이 1보다 큰 정수인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타겟 객체에 대응되는 J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J의 값은 상기 단말 능력에 따라 결정되며, J는 L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보고 방식을 채택할지 아니면 제2 보고 방식을 채택할지는 단말 능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J의 값은,
상기 단말이 다수의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또는 빔 전송을 지원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적어도 2개의 TA를 지원하는 경우, J는 1보다 크고 L보다 작거나 같은 것;
상기 단말이 단일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단일 활성화된 빔 전송, 단일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단일 TA를 지원하는 경우, J=1인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단말이 다수의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또는 빔 전송을 지원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적어도 2개의 TA를 지원하는 경우, 제1 보고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즉 각 타겟 객체에 대해 2개 또는 2개 이상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할 수 있고,
상기 단말이 단일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단일 활성화된 빔 전송, 단일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단일 TA를 지원하는 경우, 제2 보고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즉 각 타겟 객체에 대해 1개 타이밍 정보만 보고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이 어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구성할 수 있고, 단말도 측정 결과에 따라 어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이 어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는지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단말에 의해 결정된 모든 객체를 K개 객체로 기록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단말에 의해 결정된 모든 객체 중 각 객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거나,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단말에 의해 결정된 모든 객체의 일부 객체 중 각 객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본 선택적인 실시 형태에서의 사전설정된 객체,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및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P개 객체 중에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전술한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타이밍 정보(또는 전술한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타이밍 정보)는 객체의 특정 타이밍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K개 객체 중 임의의 하나의 객체에 있어서, 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 중에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하나의 타이밍 정보(또는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하나의 타이밍 정보)가 존재하면, 이 객체는 상기 P개 객체에 속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은 이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에서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타이밍 정보(또는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타이밍 정보) 중 모든 타이밍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의 각 타이밍 정보는 모두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함을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타이밍 정보(또는 전술한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타이밍 정보)는 객체의 모든 타이밍 정보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K개 객체 중 임의의 하나의 객체에 있어서, 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 중에 절대값이 제2 값보다 작은 하나의 타이밍 정보(또는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작은 하나의 타이밍 정보)가 존재하면, 이 객체는 상기 P개 객체에 속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제2 값은 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상기 제3 값은 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상기 제2 값과 상기 제3 값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타겟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대응관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스케줄링 제한을 정확하게 수행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타겟 정보가 계층 1 측정 보고에 실려 전달되는 시나리오 1 및 상기 타겟 정보가 MAC CE에 실려 전달되는 시나리오 2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시나리오 1: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에 실려 전달된다.
시나리오 1에서, 상기 타겟 정보가 실린 계층 1 측정 보고의 포맷은 N개 SSBRI/CRI + N개 L1-RSRP/L1-SINR + 상기 타겟 정보일 수 있다.
시나리오 1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 대응될 수 있는 기준 신호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이다.
시나리오 1에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를 통해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보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a)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b)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에서 제1 규칙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칙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c)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갖는다.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a)를 충족하는 경우,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명시적으로 보고한다.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b) 및 c)를 충족하는 경우,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암시적으로 보고한다. 이로써, 명시적으로 보고하는 방식에 비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절약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b)에서, 단말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제1 규칙에 따라 상기 제1 정보를 배치하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제1 정보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제1 규칙은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네트워크 측 기기 또는 상기 단말에 의해 사전규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c)에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가지며, 이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는 각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이 속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알 수 있다.
시나리오 2: 상기 타겟 정보는 MAC CE에 실려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CE는 하기 중 하나를 충족한다.
1) 상기 MAC CE는 제1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1 포맷의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한다.
2) 상기 MAC CE는 제2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2 포맷의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MAC CE가 1)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기타 필드를 통해 기타 정보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드는 기타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MAC CE에 새로 추가된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용 필드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MAC CE가 2)를 충족하는 경우, 상기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새로 추가된 MAC CE로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CE는,
타이밍 어드밴스 명령(Timing Advance Command) MAC CE;
절대적 타이밍 어드밴스 명령(Absolute Timing Advance Command) MAC CE;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 MAC CE;
보조 셀(Secondary Cell, SCell)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 MAC CE 중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CE는 구성된 승인(configured grant), 동적 승인(dynamic grant)과 같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된 승인(grant)을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된 승인은 상기 MAC CE 전용 승인일 수 있고, 또는 최근의 사용 가능한 승인에 다중화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타겟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상기 K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TA를 결정하거나,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채널 또는 RS의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실시 형태 1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Q개 TA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Q개 TA 및/또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Q는 K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Q개 TA는 하기 중 하나를 충족한다.
i)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ii) 상기 Q개 TA는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한다.
iii)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한다.
상기 Q개 TA가 i)를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결정하고, 상기 K개 객체 중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 이외의 기타 객체의 TA는 기타 타이밍 정보와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또는 상대값, 오프셋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Q개 TA가 ii)를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결정하고, 단말은 상기 Q개 TA를 수신한 후 추가적인 계산 처리가 없이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직접 결정할 수 있어 단말 운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기 Q개 TA가 iii)를 충족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결정하고, 상기 K개 객체 중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이외의 기타 객체의 TA는 기타 타이밍 정보와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또는 상대값, 오프셋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객체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이 객체의 TA는 이 객체에 대응되는 임의의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하거나, 이 객체에 대응되는 모든 타이밍 정보의 평균값(예: 가중평균값 또는 산술평균값)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K개 객체에 TRP0 및 TRP1이 포함되고, TRP0은 타이밍 정보(0)에 대응되고, TRP1은 타이밍 정보(1)에 대응되고, 타이밍 정보(0)는 타이밍 정보(1)의 앞에 있고, 타이밍 정보(0)와 타이밍 정보(1) 사이의 간격은 2개 슬롯(slot)이다.
동시에, 네트워크 측 기기가 TRP0의 TA를 6개 slot으로 결정하고, TRP1의 TA는 결정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TRP0의 TA, 그리고 타이밍 정보(0)와 타이밍 정보(1)의 관계에 따라 TRP1의 TA를 8개 slot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서, 단말은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결정한 후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에 따라 상기 K개 객체의 상향링크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또는 상기 객체)는 동일한 시점에 각 단말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정보 수신 효율을 향상시키고, 다수의 상향링크 정보 간의 상호 간섭을 피하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제2 정보가 하향링크 채널 및 하향링크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가 상향링크 채널 및 상향링크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2 객체에 제2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으며, 즉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2 객체의 하향링크 채널 및 하향링크 RS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객체의 상향링크 채널 및 상향링크 RS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구체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황 1: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상황 1에서, 제2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타겟 기간 내에, 단말은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황 1에서,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시작시간 전의 T1,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 및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종료시간 후의 T2 내에, 단말은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한다.
상황 2: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표현된다.
상황 2에서, 상기 타겟 기간 내에, 단말은 추가로 제2 조건의 충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은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은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한다.
다시 말해서, 상황 2에서,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은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시작시간 전의 T1,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 및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종료시간 후의 T2 내에, 단말은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T1은 상기 제1 시작시간과 상기 제2 시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고, T2는 상기 제1 종료시간과 상기 제2 종료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다. T1 및 T2는 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상황에 따라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 상기 제1 객체(또는 상기 제2 객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의 수가 1보다 큰 경우,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겟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T1 및 T2가 모두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겟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의 절대값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객체(또는 상기 제2 객체)의 타겟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객체(또는 상기 제2 객체)의 임의의 타이밍 정보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제1 객체(또는 상기 제2 객체)의 타겟 타이밍 정보는 타겟값과 같고, 상기 타겟값은 상기 제1 객체(또는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며, 예컨대 상기 타겟값은 상기 제1 객체(또는 상기 제2 객체)의 모든 타이밍 정보의 평균값 또는 최대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Quasi Co-Location, QCL)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조건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그룹화된 빔 보고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이다. 물론, 기타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가 아닐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상황 1, 그리고 전술한 TRP0 및 TRP1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TRP0은 타이밍 정보(0)에 대응되고, 상기 TRP1은 타이밍 정보(1)에 대응되고, 타이밍 정보(0)는 타이밍 정보(1)의 앞에 있고, 타이밍 정보(0)와 타이밍 정보(1) 사이의 간격은 1개 심볼이다.
TRP0의 하향링크 RS0 및 TRP1의 하향링크 RS1이 모두 심볼(X)에서 송신되고, 하향링크 RS0이 심볼(X)에 단말에 도착하고, 하향링크 RS1이 전송 경로가 길고 다중경로 전파로 인해 심볼(X)와 심볼(X+1) 내에 단말에 도착한다고 가정한다. 동시에, TRP0은 단말의 서빙 TRP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는 TRP1의 하향링크 RS1의 도착시간 심볼(X)와 심볼(X+1) 내에 TRP0의 하향링크 RS0에 대한 송신을 중지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상황 1에 있어서, 단말은 TRP1의 제3 정보의 송신시간(심볼(X)) 및 그 다음의 1개 심볼(심볼(X+1)) 내에 TRP0의 제2 정보에 대한 수신 동작을 중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측 기기는 TRP1의 제3 정보의 송신시간(심볼(X)) 및 그 다음의 1개 심볼(심볼(X+1)) 내에 TRP0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동작을 중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단말에 의해 송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이로써,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타겟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P개 객체의 타이밍 정보 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P개 객체의 타이밍 정보 간의 차이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전송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므로 각 객체 간 측정 또는 데이터의 간섭을 피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양자화값을 통해 특성화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M-H개 오프셋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M-H개 양자화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양자화값의 심볼은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양자화값은 상기 M-H개 양자화값 중 임의의 양자화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에서 제1 규칙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칙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갖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CE는,
상기 MAC CE는 제1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1 포맷의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것;
상기 MAC CE는 제2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2 포맷의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Q개 TA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Q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고,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인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그룹화된 빔 보고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T1은 상기 제1 시작시간과 상기 제2 시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고, T2는 상기 제1 종료시간과 상기 제2 종료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는 도 2의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실시예로서,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고,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소개한 다양한 선택적인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사전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UE는 네트워크에 타이밍 정보를 보고한다.
a) 사전설정된 조건은 하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다수의 TRP 식별 정보는 상이한 cell index/PCI에 대응된다.
ii. 네트워크는 다수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다.
iii. 네트워크는 다수의 cell/물리 셀을 구성하거나 활성화한다.
iv. 적어도 2개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에는 차이값이 존재하거나, 차이값이 사전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다(적어도 2개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에는 차이값이 존재하거나, 차이값이 사전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는 상기 2개 cell/물리 셀/TRP의 기준 신호에 대한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측정은 UE가 상이한 안테나 패널(panel) 및/또는 상이한 beam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측정일 수 있음).
v. 네트워크는 L1-RSRP report, L1-SINR report에 타이밍 정보를 실어 전달하도록 구성하거나 트리거한다.
vi. 네트워크는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구성한다.
b) 보고된 타이밍 정보의 내용은 하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 다수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
ii. 다수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iii. 다수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의 상대값 또는 오프셋값(offset);
ⅳ. 다수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의 상대값 또는 오프셋값(offset) 및 기준 타이밍 정보.
예컨대, N개 TRP는 각각 N개 cell에 속하고, UE가 측정 후 N개 타이밍 정보, 즉 N개 timing을 결정하고, UE는 로컬 셀/현재 셀/서빙 셀/현재 서빙 셀의 timing을 기준으로 나머지 N-1개 timing의 reference timing에 대한 오프셋값 offset1, offset2, ……, offsetN-1을 계산한다.
기준 타이밍 정보는 하나로 설정되거나 다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 TRP마다 panel에 의해 2개가 측정되고, 이 2개는 모두 기준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타이밍 정보는 1개 cell/물리 셀/TRP에서 UE까지 신호의 전파 지속시간, UE가 cell/물리 셀/TRP에서 UE에게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타겟 시간영역 자원의 번호, UE가 cell/물리 셀/TRP에서 UE에게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타겟 시간영역 자원의 번호가 위치한 경계, 또는 cell/물리 셀/TRP의 TA를 의미할 수 있다. 타이밍 정보의 단위는 프레임 수, 슬롯 수, 심볼 수, 샘플 수 등으로 특성화되거나 초, 밀리초, 마이크로초 등 시간단위로 특성화될 수 있다.
전술한 다수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는 구체적으로, 다수의 cell/물리 셀/TRP의 모든 타이밍 정보 또는 일부 타이밍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할 때 해당 타이밍 정보(또는 타이밍 관계라고 함)를 보고하도록 제한되며, 사전설정된 조건은,
절대값이 사전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기준 타이밍(reference timing)의 타이밍 오프셋값이 사전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포함한다.
예컨대, offset이 delta보다 작으면 보고하지 않고, offset이 delta보다 크거나 같으면 보고한다.
타이밍 정보의 시그널링 포맷은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할 수 있다.
1. 프레임 수, 슬롯 수, 심볼 수, 샘플 수, 초, 밀리초, 마이크로초 등을 단위로 한다.
2. 각 타이밍 정보의 양자화값을 결정하며, 양자화값의 비트 길이는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3. 또는, 상대값의 양자화값을 결정하며, 양자화값의 비트 길이는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3개 TRP가 각각 3개 cell에 속하고, UE는 측정 후 3개 timing 값을 결정하고, 로컬 셀의 timing 값을 reference로 사용하고, 다른 2개 timing 값을 계산하여 offset1 및 offset2를 얻으며, 각각 1개 심볼 및 2개 심볼이면 2개 bit를 사용한다. 예컨대 01은 offset=1개 심볼이고, 10은 offset=2개 심볼이다.
예컨대, 상대값은 양의 값 및 음의 값을 포함할 수 있고, 양의 값은 타이밍 정보가 기준값 뒤에 있음을 의미하고, 음의 값은 타이밍 정보가 기준값 앞에 있음을 의미하며, 또는 이와 반대이다.
예컨대, 상대값은 0이며, 타이밍 정보와 기준값이 동일함을 의미할 수 있다.
c) 보고의 형식:
i. L1-RSRP report 또는 L1-SINR report에서 보고한다.
1. 포맷: N개 SSBRI/CRI + N개 L1-RSRP/L1-SINR + M개 timing 정보.
2. 선택적으로, 항상 모든 N개 SSBRI/CRI에 대응되는 SSB resource/CSI-RS resource가 속한 cell/물리 셀/TRP의 timing 정보를 보고한다.
예컨대, L1 report에는 4개 SSBRI/CRI가 있고, 대응되는 SSB resource/CSI-RS resource가 속한 cell/물리 셀/TRP는 2개이면, 항상 이 2개 cell/물리 셀/TRP의 timing 정보를 보고하며, 이는 전술한 절대값 또는 상대값일 수 있다.
3. 선택적으로, N개 SSBRI/CRI에 대응되는 SSB resource/CSI-RS resource가 속한 cell/물리 셀/TRP에서, 특정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면, 해당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며, 나아가 사전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타이밍 정보만을 보고할 수 있다.
4. 선택적으로, N개 SSBRI/CRI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 cell/물리 셀/TRP의 SSB resource/CSI-RS resource에 대응되며, 이때 2에서와 같이 항상 보고하거나 3에서와 같이 조건부로 이러한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한다.
5. 선택적으로, 전술한 각 보고해야 하는 각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 적어도 하나의 빔 정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 및 해당 빔 정보.
예컨대, 특정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를 측정할 때, UE는 beam1을 사용하여 timing1을 측정하고, beam2를 사용하여 timing2를 측정하는 경우, beam1에 대응되는 timing1 및 beam2에 대응되는 timing2를 항상 보고하거나 조건부로 보고할 수 있으며, 추가로 해당 beam 식별자 또는 인덱스 정보도 보고해야 한다.
b) 적어도 하나의 panel 정보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 및 해당 panel 정보.
예컨대, 위의 내용과 유사하다. Panel 정보는 panel id일 수 있다.
보고하는 각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A: 하나의 객체는 하나의 timing에 대응된다.
B: 하나의 객체는 다수의 timing에 대응되며, 각각 다수의 panel 및/또는 다수의 beam으로 측정하여 획득한다.
C: 하나의 panel은 하나의 timing에 대응된다.
D: 하나의 beam은 하나의 timing에 대응된다.
전술한 각 항은 report에 객체 식별자, panel ID, beam 식별자(일반적으로 RS resource index를 사용함) 중 적어도 하나를 실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6. 선택적으로, 각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cell/물리 셀/TRP 정보 및/또는 panel의 식별 정보 및/또는 beam의 식별 정보를 보고한다.
각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cell/물리 셀/TRP 정보 및/또는 panel의 식별 정보 및/또는 beam의 식별 정보의 보고 방식은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a) 상기 cell/물리 셀/TRP 정보 및/또는 panel의 식별 정보 및/또는 beam의 식별 정보를 명시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예컨대 cell index, PCI, TRP id(제어 자원 집합 풀(Control Resource Set Pool, CORESET Pool) Index)이다.
b) cell index, PCI, TRP id 및/또는 panel의 식별 정보 및/또는 beam의 식별 정보의 사전규정된 순서에 따라 각 타이밍 정보를 보고한다.
c) L1 report에서 각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는 SSBRI/CRI에 대응되는 SSB resource/CSI-RS resource가 속한 cell/물리 셀/TRP 및/또는 panel의 식별 정보 및/또는 beam의 식별 정보를 통해 알 수 있다.
ii. MAC CE에서 보고한다.
1. 상기 MAC CE는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 cell index, PCI, TRP id, beam 정보, panel 정보 등 정보를 나르기 위해 하기 중 하나의 MAC CE에 추가된 새로운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AC CE는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a) Timing Advance Command MAC CE;
b) Absolute Timing Advance Command MAC CE;
c) PHR MAC CE;
d) SCell /Deactivation MAC CE.
2. 상기 MAC CE는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grant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grant는 하기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할 수 있다.
a)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grant는 configured grant、dynamic grant 등일 수 있다.
b)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grant는 상기 MAC CE 전용 grant이거나 최근의 사용 가능한 grant를 다중화한다.
c) UE 능력에 따라, 보고하는 타이밍 정보 및 기타 메시지를 결정한다.
i. 예컨대, UE가 다수의 활성화된 panel/다수의 빔 전송을 지원하고, 다수의 timing 처리 능력 또는 다수의 TA를 지원하는 경우, 다수의 panel/beam에 대응되는 timing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ii. 예컨대, UE가 단일 timing 처리 능력 또는 단일 TA만을 지원하는 경우, 각 cell/물리 셀/TRP에 대해 1개 timing 정보만을 보고할 수 있다.
(2) 네트워크는 UE에 의해 보고된 타이밍 정보에 따라 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 TA를 결정한다.
i. 하나의 TA만을 결정한다.
1. 이 TA는 사전설정된 cell/물리 셀/TRP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사전설정된 cell/물리 셀/TRP는 로컬 cell/물리 셀/TRP, 현재 cell/물리 셀/TRP, 서빙 cell/물리 셀/TRP, 현재 서빙 cell/물리 셀/TRP, 기준 cell/물리 셀/TRP일 수 있다.
2. 기타 cell/물리 셀/TRP의 TA는 상기 TA와 기타 cell/물리 셀/TRP와 상기 사전설정된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에 따라 결정된다.
ii. 적어도 하나의 TA를 결정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TA는,
모든 cell/물리 셀/TRP;
UE가 보고하는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cell/물리 셀/TRP; 중 하나에 대응된다.
b) 채널 또는 RS의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i. 인접 cell/물리 셀/TRP에서 채널 또는 RS를 전송하는 시간 내, 그리고 이 시간 이전의 지속시간 T1 및/또는 이 시간 이후의 지속시간 T2 내에 로컬/현재/서빙/현재 서빙/주 cell/물리 셀/TRP는 채널 또는 RS를 전송하지 않는다.
1. 다수의 인접 cell/물리 셀/TRP가 있는 경우, 각 cell/물리 셀/TRP에 대해 모두 전술한 규칙이 채택된다.
2. 상기 T1 및 T2는 UE가 측정한 각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예컨대, 2개 TRP가 2개 cell에 속하고, TRP2 및 TRP1의 timing offset는 1개 심볼인 경우, TRP2가 채널 또는 RS를 전송할 때, TRP1로부터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TRP2가 채널 또는 RS를 전송하는 시간 내, 그리고 그 이후의 1개 심볼 내에 TRP1은 채널 또는 RS를 전송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상기 전송에 있어서, 하향링크 채널 또는 RS인 경우, cell/물리 셀/TRP인 네트워크 측 기기가 송신하고 UE가 수신하며, 전송하지 않음은 송신하지 않는 것 및/또는 수신하지 않는 것이다. 상향링크 채널 또는 RS인 경우, cell/물리 셀/TRP인 네트워크 측 기기가 수신하고 UE가 송신하며, 전송하지 않음은 송신하지 않는 것 및/또는 수신하지 않는 것이다.
4. 상기 채널 및 RS는 하향링크 채널, 하향링크 RS, 상향링크 채널, 상향링크 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5. 상기 채널 또는 RS에 반복 전송(repetition)의 방식이 채택되는 경우, 예컨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repetition,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repetition,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petition,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repetition인 경우.
a) 상기 채널 또는 RS가 로컬/현재/서빙/현재 서빙/주 cell/물리 셀/TRP에서 전송되는 경우, 전술한 시간 내에 채널 또는 RS의 몇몇 반복 전송이 발생하면 이 몇몇 전송을 중지한다.
b) 상기 채널 또는 RS가 로컬/현재/서빙/현재 서빙/주 cell/물리 셀/TRP 및 인접 cell/물리 셀/TRP에서 반복 전송되는 경우, 로컬 셀/현재 셀/서빙 셀/현재 서빙 셀에서 상기 시간 내에 발생하는 몇몇 반복 전송에 대해, 이 몇몇 반복 전송을 중지한다.
ii. 전술한 i와 달리, 이하 경우에 로컬/현재/서빙/현재 서빙/주 cell/물리 셀/TRP에서 채널 또는 RS를 전송할 수 있다.
1. 인접 cell/물리 셀/TRP 및 로컬/현재/서빙/현재 서빙/주 cell/물리 셀/TRP 중 적어도 하나는 UE와 FR1의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 또는 RS를 전송한다.
2. 인접 cell/물리 셀/TRP와 로컬/현재/서빙/현재 서빙/주 cell/물리 셀/TRP의 채널 또는 RS는 QCL된다. 예컨대 빔 정보는 동일하며, 양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일 수 있다.
3. 인접 cell/물리 셀/TRP와 로컬/현재/서빙/현재 서빙/주 cell/물리 셀/TRP의 채널 또는 RS에 대해, UE는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a) 이때 UE에는 단일 panel 또는 다수의 panel이 있을 수 있다.
b) 전술한 동시 수신은 네트워크 측이 UE의 group based beam report에 따라 결정한 것이고, 각각 상이한 cell/물리 셀/TRP로부터의 다수의 채널 또는 RS일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UE는 다수의 cell/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추가로 보고의 트리거 조건, 정보 내용(timing offset), 시그널링 포맷 등; L1 report 또는 MAC CE에 의한 보고, 및 구체적인 포맷 설계; UE 능력에 따라 보고할 타이밍 정보를 결정하는 방식; TA를 결정하는 방식; UE가 보고한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된 채널 전송 제한에 대해 정의하였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UE가 셀/물리 셀/TRP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L1 및 L2의 시그널링을 통해 보고 절차를 가속화하여 네트워크가 각 셀/물리 셀/TRP의 타이밍 정보 간의 차이를 빠르고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채널 전송을 스케줄링할 때 인접 셀에 대한 간섭도 고려할 수 있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방법은 정보 보고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해당 정보 보고 장치에서 정보 보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정보 보고 장치가 정보 보고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보고 장치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보고 장치(400)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보고 모듈(401)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고 모듈(401)은 구체적으로,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셀 또는 물리 셀을 구성하거나 활성화한 것;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계층 1 측정 보고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실어 전달하도록 구성하거나 트리거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것;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물리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적어도 2개의 빔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양자화값을 통해 특성화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M-H개 오프셋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M-H개 양자화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양자화값의 심볼은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양자화값은 상기 M-H개 양자화값 중 임의의 양자화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가 L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객체를 포함하고, L이 1보다 큰 정수인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타겟 객체에 대응되는 J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J의 값은 상기 단말 능력에 따라 결정되며, J는 L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J의 값은,
상기 단말이 다수의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또는 빔 전송을 지원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적어도 2개의 TA를 지원하는 경우, J는 1보다 크고 L보다 작거나 같은 것;
상기 단말이 단일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단일 활성화된 빔 전송, 단일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단일 TA를 지원하는 경우, J=1인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에서 제1 규칙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칙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갖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CE는,
상기 MAC CE는 제1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1 포맷의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것;
상기 MAC CE는 제2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2 포맷의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보고 장치(400)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Q개 TA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Q개 TA 및/또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Q는 K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보고 장치(400)는,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그룹화된 빔 보고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T1은 상기 제1 시작시간과 상기 제2 시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고, T2는 상기 제1 종료시간과 상기 제2 종료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의 정보 보고 장치는 장치이거나, 단말의 부품,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이 장치는 모바일 단말 또는 비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단말은 위에서 열거한 단말(11)의 유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모바일 단말은 서버,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또는 자동판매기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정보 보고 장치는 운영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이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다른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보고 장치(400)는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방법은 정보 수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거나 해당 정보 수신 장치에서 정보 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정보 수신 장치가 정보 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수신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신 장치(500)는,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모듈(501)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양자화값을 통해 특성화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M-H개 오프셋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M-H개 양자화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양자화값의 심볼은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양자화값은 상기 M-H개 양자화값 중 임의의 양자화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에서 제1 규칙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칙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갖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CE는,
상기 MAC CE는 제1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1 포맷의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것;
상기 MAC CE는 제2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2 포맷의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수신 장치(500)는,
상기 단말에 Q개 TA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Q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고,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인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 수신 장치(500)는,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그룹화된 빔 보고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T1은 상기 제1 시작시간과 상기 제2 시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고, T2는 상기 제1 종료시간과 상기 제2 종료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는 장치이거나, 네트워크 측 기기의 부품,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위에서 열거한 네트워크 측 기기(12)의 유형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500)는 도 3의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 실시예는 통신기기(600)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프로세서(601), 메모리(602), 및 메모리(602)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601)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통신기기(600)가 단말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도 2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통신기기(600)가 네트워크 측 기기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601)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도 3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상기 단말(700)은 무선 주파수 유닛(701), 네트워크 모듈(702), 오디오 출력 유닛(703), 입력 유닛(704), 센서(705), 표시 유닛(706), 사용자 입력 유닛(707), 인터페이스 유닛(708), 메모리(709) 및 프로세서(710) 등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단말(700)에는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예: 배터리)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710)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충전관리, 방전관리, 전력소비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단말의 구조가 단말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결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704)은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7041) 및 마이크로폰(7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유닛(7041)은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표시 유닛(706)은 표시 패널(7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7061)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707)은 터치 패널(7071) 및 기타 입력 기기(7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7071)은 터치스크린이라고도 한다. 터치 패널(7071)은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기기(7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710)에 보내 처리하며,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 측 기기에 송신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7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그리고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709)는 주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하며, 여기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명령(예: 음성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이다.
프로세서(7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가 통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또는 명령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통신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기저 대역 프로세서이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7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또한,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셀 또는 물리 셀을 구성하거나 활성화한 것;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계층 1 측정 보고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실어 전달하도록 구성하거나 트리거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것;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물리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적어도 2개의 빔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양자화값을 통해 특성화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M-H개 오프셋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M-H개 양자화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양자화값의 심볼은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양자화값은 상기 M-H개 양자화값 중 임의의 양자화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가 L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객체를 포함하고, L이 1보다 큰 정수인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타겟 객체에 대응되는 J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J의 값은 상기 단말 능력에 따라 결정되며, J는 L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J의 값은,
상기 단말이 다수의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또는 빔 전송을 지원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적어도 2개의 TA를 지원하는 경우, J는 1보다 크고 L보다 작거나 같은 것;
상기 단말이 단일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단일 활성화된 빔 전송, 단일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단일 TA를 지원하는 경우, J=1인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에서 제1 규칙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칙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갖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MAC CE는,
상기 MAC CE는 제1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1 포맷의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것;
상기 MAC CE는 제2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2 포맷의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701)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Q개 TA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710)는,
상기 Q개 TA 및/또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Q는 K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10)는 또한,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710)는 또한,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조건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그룹화된 빔 보고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T1은 상기 제1 시작시간과 상기 제2 시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고, T2는 상기 제1 종료시간과 상기 제2 종료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700)은 본 출원 실시예 중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더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 기기(800)는 안테나(81), 무선 주파수 장치(82), 기저 대역 장치(83)를 포함한다. 안테나(81)는 무선 주파수 장치(82)에 연결된다. 상향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82)는 안테나(8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기저 대역 장치(83)로 전송한다. 하향링크 방향에서, 기저 대역 장치(83)는 송신할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무선 주파수 장치(82)로 전송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8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 후 안테나(81)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기저 대역 장치(83)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기저 대역 장치(83)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저 대역 장치(83)는 프로세서(84)와 메모리(85)를 포함한다.
기저 대역 장치(83)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기저 대역 보드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기저 대역 보드에는 여러 개의 칩이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한 칩이 예를 들어 프로세서(84)이고, 메모리(85)와 연결되어 메모리(85)에 있는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기저 대역 장치(83)는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8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6)를 포함할 수도 있고, 해당 인터페이스는 공통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의 네트워크 측 기기는 메모리(85)에 저장되고 프로세서(84)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84)는 메모리(85)에 있는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도 3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단계를 수행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정보 보고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2 또는 도 3의 방법 실시예에서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는 칩을 제공하며,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도 2 또는 도 3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얻기 위한 네트워크 측 기기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온 칩 등이라고도 불릴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의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 방법에서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된 각 예의 기능 단위와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지는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의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소개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에서 공개되는 장치와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이상 설명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일 뿐 실제로 구현할 때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유닛이나 어셈블리는 서로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할 부품으로 소개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실시예에서의 여러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각의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2개 또는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되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모듈, 유닛, 서브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출원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 절차, 함수 등)을 통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특정 실시예들은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주지 및 청구범위에 따른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72)

  1.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보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는,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셀 또는 물리 셀을 구성하거나 활성화한 것;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계층 1 측정 보고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실어 전달하도록 구성하거나 트리거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것;
    상기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가 적어도 2개의 물리 셀 식별자에 대응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이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객체의 기준 신호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적어도 2개의 빔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정보 보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정보는 양자화값을 통해 특성화되는, 정보 보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M-H개 오프셋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M-H개 양자화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양자화값의 심볼은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양자화값은 상기 M-H개 양자화값 중 임의의 양자화값인, 정보 보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가 L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객체를 포함하고, L이 1보다 큰 정수인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타겟 객체에 대응되는 J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J의 값은 상기 단말 능력에 따라 결정되며, J는 L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J의 값은,
    상기 단말이 다수의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또는 빔 전송을 지원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어드밴스(TA)를 지원하는 경우, J는 1보다 크고 L보다 작거나 같은 것;
    상기 단말이 단일 활성화된 안테나 패널, 단일 활성화된 빔 전송, 단일 타이밍 정보 처리 능력 또는 단일 TA를 지원하는 경우, J=1인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정보 보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되는, 정보 보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정보 보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에서 제1 규칙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칙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갖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는,
    상기 MAC CE는 제1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1 포맷의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것;
    상기 MAC CE는 제2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2 포맷의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Q개 TA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Q개 TA 및/또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Q는 K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그룹화된 빔 보고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보고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T1은 상기 제1 시작시간과 상기 제2 시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고, T2는 상기 제1 종료시간과 상기 제2 종료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인, 정보 보고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인, 정보 보고 방법.
  26.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정보 수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정보 수신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인, 정보 수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 정보는 양자화값을 통해 특성화되는, 정보 수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M-H개 오프셋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H개 오프셋값에 대응되는 M-H개 양자화값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양자화값의 심볼은 상기 제1 양자화값에 대응되는 타이밍 정보와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의 관계를 특성화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양자화값은 상기 M-H개 양자화값 중 임의의 양자화값인, 정보 수신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정보 수신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인, 정보 수신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34. 제26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되는, 정보 수신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객체에 대응되는 기준 신호 자원을 지시하고,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정보 수신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에서 제1 규칙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규칙은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
    상기 계층 1 측정 보고가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와 상기 기준 신호 자원 지시자는 대응관계를 갖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MAC CE는,
    상기 MAC CE는 제1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1 포맷의 MAC CE는 제1 필드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것;
    상기 MAC CE는 제2 포맷의 MAC CE이고, 상기 제2 포맷의 MAC CE는 상기 타겟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방법.
  38. 제26항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에 Q개 TA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Q는 양의 정수인, 정보 수신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고,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인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방법.
  40. 제26항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는 단계;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이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하는 것;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그룹화된 빔 보고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정보 수신 방법.
  44. 제41항에 있어서, T1 및 T2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여기서, T1은 상기 제1 시작시간과 상기 제2 시작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이고, T2는 상기 제1 종료시간과 상기 제2 종료시간 사이의 시간간격인, 정보 수신 방법.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반복 전송되는 정보인, 정보 수신 방법.
  46. 정보 보고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는 보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에 타겟 정보를 보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TRP 식별 정보를 구성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적어도 2개의 셀 또는 물리 셀을 구성하거나 활성화한 것;
    적어도 2개의 객체의 타이밍 정보의 차이값이 제1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계층 1 측정 보고에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실어 전달하도록 구성하거나 트리거한 것;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객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구성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장치.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
    M-H개 오프셋값;
    M-H개 오프셋값 및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M-H개 오프셋값은 M-H개 타이밍 정보 중 각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을 포함하고, 상기 M-H개 타이밍 정보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제1 기준 타이밍 정보 이외의 기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장치.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는,
    P가 M과 같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각 객체에는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것;
    P가 M보다 작은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는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가 대응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타이밍 정보는 적어도 2개의 빔,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장치.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는 K개 객체 중의 일부 또는 전부 객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P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정보 보고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P개 객체가 K개 객체 중의 일부 객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P개 객체 중 임의의 객체는,
    타이밍 정보의 절대값이 제2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타이밍 정보의 제2 기준 타이밍 정보에 대한 오프셋값이 제3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것; 중 하나를 충족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제1 기준 타이밍 정보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H개 타이밍 정보이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H는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장치.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장치.
  53. 제46항 또는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되는, 정보 보고 장치.
  54.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송신된 Q개 TA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Q개 TA 및/또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정보에 따라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이고, Q는 K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정보 보고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는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장치.
  56.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보고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보고 장치.
  59. 정보 수신 장치에 있어서,
    단말에 의해 보고된 타겟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정보는 제1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P개 객체의 M개 타이밍 정보와 대응되고,
    여기서 상기 객체는 셀, 물리 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P)이고, M은 양의 정수이고, P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인, 정보 수신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또한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빔 및 안테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61. 제59항 또는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는 계층 1 측정 보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제어 요소(CE) 중 하나에 실려 전달되는, 정보 수신 장치.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Q개 TA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되, Q는 양의 정수인, 정보 수신 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Q개 TA는,
    상기 Q개 TA는 사전설정된 객체의 TA만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설정된 객체는 네트워크 측에 의해 구성되거나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
    상기 Q개 TA는 K개 객체 중 각 객체의 TA를 포함하고, 상기 K개 객체는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구성되거나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며, K는 양의 정수인 것;
    상기 Q개 TA는 상기 M개 타이밍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TA만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장치.
  64.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단말의 서빙 객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의 수행을 중지하도록 구성되고; 또는,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타겟 기간 내에,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타겟 기간은,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시작시간이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시작시간 앞에 위치하는 것, 상기 타겟 기간의 제1 종료시간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에 대한 송수신 시간의 제2 종료시간 뒤에 위치하는 것, 상기 제1 객체는 상기 제2 객체 이외의 임의의 객체인 것, 상기 제3 정보는 채널 및 기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타이밍 정보에 대한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단말이 주파수 범위(1)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것;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와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가 준 공동 위치 관계를 충족하거나, 동일한 공간 관계를 갖거나, 동일한 소스 기준 신호에 대응되는 것;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객체의 제3 정보 및 상기 제2 객체의 제2 정보에 대한 송신 또는 수신의 동시 수행을 지원하는 것;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보 수신 장치.
  67.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단말.
  68.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69.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70.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보고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2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측 기기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칩.
  71.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보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제2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수신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
  72.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보고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2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정보 수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기기.
KR1020237007840A 2020-08-06 2021-08-04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 KR20230048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85776.4 2020-08-06
CN202010785776.4A CN114071690B (zh) 2020-08-06 2020-08-06 信息上报方法、信息接收方法及相关设备
PCT/CN2021/110512 WO2022028465A1 (zh) 2020-08-06 2021-08-04 信息上报方法、信息接收方法及相关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115A true KR20230048115A (ko) 2023-04-10

Family

ID=8012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840A KR20230048115A (ko) 2020-08-06 2021-08-04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89178A1 (ko)
EP (1) EP4195795A4 (ko)
JP (1) JP2023537027A (ko)
KR (1) KR20230048115A (ko)
CN (1) CN114071690B (ko)
WO (1) WO2022028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9401A1 (zh) * 2022-03-07 2023-09-1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5004781B (zh) * 2022-04-29 2024-0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传输定时调整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7042104A (zh) * 2022-04-29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时指示的方法及通信装置
CN117177345A (zh) * 2022-05-25 2023-12-05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节点中的方法和装置
WO2023245499A1 (zh) * 2022-06-22 2023-12-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发送接收点trp的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4036555A1 (en) * 2022-08-18 2024-02-22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apability reporting on supported downlink reference timing valu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0797B (zh) * 2011-09-30 2014-07-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辅小区上定时时间差的测量方法和设备
CN103828433B (zh) * 2012-07-26 2017-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重选的方法和设备
CN104541555B (zh) * 2012-11-07 2019-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区之间定时同步的方法及装置
US10440600B2 (en) * 2015-09-25 2019-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oviding measurement reports
US9832956B1 (en) * 2016-06-02 2017-12-05 Monsanto Technology Llc Soybean variety 01063886
CN107734535A (zh) * 2016-08-10 2018-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链路管理方法及装置
US10484959B2 (en) * 2017-07-31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0958092A (zh) * 2018-09-26 2020-04-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及发送设备、接收设备
CN111225406B (zh) * 2018-11-27 2022-02-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定时测量方法及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71690B (zh) 2024-04-26
CN114071690A (zh) 2022-02-18
EP4195795A1 (en) 2023-06-14
JP2023537027A (ja) 2023-08-30
WO2022028465A1 (zh) 2022-02-10
EP4195795A4 (en) 2024-03-06
US20230189178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1747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1737082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KR20230048115A (ko) 정보 보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및 관련 기기
CN113923709B (zh) 波束报告的发送、接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140148107A1 (en)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Beamforming Assistance in a Wireless Network
CN111586858B (zh) 信号传输方法和通信装置
EP3038423B1 (en) Antenna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WO2018121540A1 (zh) 一种下行波束调整的方法及装置
US20230180023A1 (en) Beam information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3825229A (zh) 传输配置指示状态TCI state切换的方法和装置
WO2021032300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beamforming direction
CN113840375A (zh) 用于寻呼的方法和装置
US10805121B2 (en) Wireless device, and method performed therein for manag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956037B2 (en) Spatial reuse for wireless network
US2019028078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signal and apparatus
WO2023040933A1 (zh) 波束信息的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333581B (zh) 终端天线面板信息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40979A1 (zh) 波束信息的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20230268979A1 (en) Enhanced beam switching
WO2022057820A1 (zh) 测量方法、发送方法及相关设备
EP4366181A1 (en) Beam alignment
WO2024065391A1 (en) Enhanced csi configuration for spatial domain adaptation
CN115333581A (zh) 终端天线面板信息的传输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226116A (zh) 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信号放大器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