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097A -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097A
KR20230048097A KR1020237007571A KR20237007571A KR20230048097A KR 20230048097 A KR20230048097 A KR 20230048097A KR 1020237007571 A KR1020237007571 A KR 1020237007571A KR 20237007571 A KR20237007571 A KR 20237007571A KR 20230048097 A KR20230048097 A KR 20230048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ymbol
transmission
signal
referen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근 리
펑 순
후아밍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68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using quasi-colocation [QCL] between signals

Abstract

본 출원은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통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8월 5일 중국에 제출된 출원 명칭이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인, 특허 출원 제202010780216.X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발송단 또는 수신단에 대한 빔 전환(Beam Switching)을 조정하는 시간은 약 100ns(나노초)이고, 주파수 범위(Frequency range, FR)1&FR2에서 가장 높은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SCS)은 240KHz이며, 주기적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길이는 약 292ns이므로, 일반적으로 CP 길이 내에서 빔 전환이 가능하다.
엔알(New Radio, NR)은 일부 시나리오에서, 부반송파 간격이 증가하고, CP 길이가 100ns 미만이기에, 빔 전환을 수행하기가 충분하지 않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전환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통신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전송의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서,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의 장치를 제공한다.
제3 양태에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통신 기기를 제공한다.
제4 양태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제5 양태에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6 양태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도록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인 칩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빔 전환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첨부 도면은 본 출원에 대한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출원의 모식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에 대한 부당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모식적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모식적 흐름도이고;
도 4a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모식적 흐름도이며;
도 4b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모식적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모식적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며;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고, 전부 실시예가 아닌 것은 명백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 하에서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사용된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에 교환될 수 있어,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을 제외한 순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외에,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문자 “/”는 일반적으로 선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엘티이-에이(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다른 시스템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설명된 기술은 상기에서 언급한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예시적 목적으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을 설명하고, 이하 대부분 설명에서 NR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6세대(6th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과 같은 NR 시스템 응용 외의 응용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1) 및 네트워크측 기기(12)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1)은 단말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고,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일 수 있거나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팜탑 컴퓨터, 넷북,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기기(vehicle user equipment, VUE), 보행자 단말(pedestrian user equipment, PUE)로 지칭되는 단말측 기기일 수 있고, 웨어러블 기기는 팔찌, 이어폰, 안경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11)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네트워크측 기기(12)는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여기서, 기지국은 노드B, 이노드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노드, 이노드B(evolved Node B, eNB), 가정용 B노드, 가정용 이노드B,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액세스 포인트,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노드, 송수신 포인트(Transmitting Receiving Point, TRP) 또는 상기 분야의 다른 특정된 적합 용어로 지칭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면, 상기 기지국은 특정된 기술 용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NR 시스템의 기지국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기지국의 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결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그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의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의 방법(200)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예컨대 기지국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202):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타겟 전송 방식은 구성된 것이거나 미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이다.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이하의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가 UE인 경우, UE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신호를 발송하지 않고; 상기 통신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가 UE인 경우, UE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통신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신호를 발송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전송 구성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의 방법은,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타겟 심볼을 예약된 간격 심볼로 사용하여, 빔 전환에 충분한 전환 시간을 예약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의 방법(300)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예컨대 기지국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302):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타겟 참조 신호는, 구성된 제1 RS 및/또는 제1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RS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단계는 도 2의 실시예 단계(S202)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고, 중복 부분은 더 반복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발송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전송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가 UE인 경우,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발송하지 않고; 상기 통신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UE 및 네트워크 기기가 전송 타이밍에 대한 이해가 일치하도록 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상기 타겟 다운링크 전송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위상 추적 참조 신호(Phase-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 및 CSI-RS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CSI-RS는 추적 참조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및 추적 C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가 UE인 경우,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통신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발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에서 제1 RS 또는 제2 RS의 TCI state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전송은 PUSCH, PUCCH, SRS 및 PRACH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가 UE인 경우,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제1 RS 또는 제2 RS의 TCI state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발송하고; 상기 통신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제1 RS 또는 제2 RS의 TCI state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신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에서 제1 RS 또는 제2 RS의 TCI state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다운링크 전송은 PDCCH, PDSCH, PTRS 및 CSI-RS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CSI-RS는 TRS, CSI 및 추적 C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기기가 UE인 경우, UE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제1 RS 또는 제2 RS의 TCI state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통신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인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제1 RS 또는 제2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제1 RS 또는 제2 RS의 TCI state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발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빔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은 이하의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즉 구성된 제1 RS의 심볼 및/또는 제1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RS의 심볼이다.
N이 양의 정수인 상기 타겟 참조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이다. 예를 들어, 구성된 제1 RS 심볼 이전의 3개의 심볼 등이다. 상기 N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N이 양의 정수인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이다. 예를 들어, 타겟 참조 신호 심볼은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또는 CSI-RS일 수 있고, 빔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은, 연속적인 SSB 또는 CSI-RS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일 수 있다. 상기 N값은 미리 정의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타겟 간격 심볼 중 기설정된 심볼로서, 여기서, 상기 타겟 간격 심볼은, 이하의 간격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이다.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이다. 예를 들어, 연속적인 SSB 인덱스에 대응되는 SSB 사이의 간격 심볼이다. 여기서, SSB는 실제로 발송한 SSB로 지시될 수 있다.
상이한 유사 공동 위치(Quasi co-location, QCL) 가정의 연속적인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이다. 예를 들어, 상이한 QCL 가정의 CSI-RS 사이의 간격 심볼이다.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중복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이다.
여기서, 기설정된 심볼은 간격 심볼의 전부 또는 일부 심볼일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심볼은 미리 정의된 것이거나 구성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측정은, SS참조 신호 수신 전력(Synchronization Signal based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SS-RSRP)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SS 신호 대 잡음 및 간섭비(SS signal-to-noise and interference ratio, SS-SINR)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참조 신호 수신 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L1 참조 신호 수신 전력(Layer 1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L1-RSRP)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 빔 실패 검출; 후보 빔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RS는,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및/또는 CSI 참조 신호(CSI Reference Signal, CSI-RS)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이한 상기 제1 측정은 상이한 제2 RS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의 방법은, 타겟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 또는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거나, 상기 타겟 RS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 또는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아, 빔 전환에 충분한 전환 시간을 예약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의 방법(400)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예컨대 기지국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402):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빙 셀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서빙 셀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조건; 상기 서빙 셀 또는 그 활성화된 BWP의 SCS는 기설정된 SCS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52.6GHz보다 클 수 있고, 기설정된 SCS는 960KHz일 수 있다.
엔알(New Radio, NR)이 고주파 대역(예를 들어 >52.6GHz)에서 동작할 경우, 부반송파 간격의 증가(예를 들어 960KHz)로 인해, CP 길이는 73ns에 불과하여, 빔 전환을 수행하기가 충분하지 않다. 이 경우, 도 2 또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고, 타겟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 또는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거나, 상기 타겟 RS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 또는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아,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빙 셀이 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할 경우, 타겟 심볼을 예약된 간격 심볼로 사용하여, 빔 전환에 충분한 전환 시간을 예약할 수 있다.
이하 일부 구현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현예1에서, 동작 주파수가 52.6-71GHz이고, 및/또는 동작 반송파 또는 BWP의 SSB SCS가 480K, 960K 또는 이상인 경우, SSB 모드가 도 4b에 따라 조정되고 모든 SSB가 모두 발송한다고 가정하면, SSB1&SSB2 사이의 심볼7 및 SSB3&SSB4 사이의 심볼6은 업링크 발송 및/또는 다운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없다.
선택적으로, UE는 실제로 발송된 SSB 전/후의 하나의 심볼에서 상기 SSB와 상이한 TCI state의 PDCCH, PDSCH 또는 CSI-RS 등을 수신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기지국의 능력 또는 UE 능력에 따라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구현예2에서, 동작 주파수가 52.6-71GHz이고, 및/또는 동작 반송파 또는 BWP의 SSB SCS가 480K, 960K 또는 이상인 경우, L1-RSRP 측정, 또는 무선 링크 모니터링, 또는 빔 실패 검출, 또는 후보 빔 검출을 위한 RS가 CSI-RS이고, 현재 PDCCH 또는 PDSCH와의 TCI states가 QCL의 관계를 충족시키며, 중복 전송을 수행하지 않으면,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참조 신호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여하튼, UE는 측정하고자 하는 SSB 또는 CSI-RS 심볼 및 구성의 상이한 QCL의 SSB 또는 CSI-RS 사이의 심볼에서 PUCCH, PUSCH 또는 SRS의 발송 및 PDCCH, PDSCH, TRS, CSI-RS for CQI 또는 CSI-RS for tracking의 수신을 원하지 않는다.
하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a) UE는 페이징(paging) 정보를 수신하여 시스템 정보 업데이트를 프롬프트한다.
b) UE는 프롬프트한 Type 2 CSS의 PDCCH 및 Type 0 PDCCH가 2개의 slot보다 큰 것을 수신하고;
SSB-제어 자원 집합(coreset) 다중화에 pattern 3이 사용되는 경우, UE는 측정하고자 하는 SSB 심볼에서 유형0(Type0) 공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 PDCCH의 수신 및 대응되게 스케줄링된 PDSCH를 수행하는 것을 원한다.
SSB-coreset 다중화에 pattern 2가 사용되는 경우, UE는 측정하고자 하는 SSB 심볼에서 Type 0 CSS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의 방법(500)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예컨대 기지국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501): 빔 전환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고한다.
여기서, 상기 빔 전환의 능력은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다시 말해서,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빔 전환을 보고하는 능력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N값을 보고하는 능력에 있어서, 여기서, N값은 상기 빔 전환을 위한 예약된 심볼 및 예약된 심볼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은 보고 능력에 따라 상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중 패널 지원 여부를 보고하는 능력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다중 패널 지원 여부는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은 단말에 의해 보고된 다중 패널 지원 여부 능력에 따라 단말의 스케줄링 행위를 은연히 결정하거나 구성한다.
단계(S502):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이하의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전송 구성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단계는 도 2의 실시예 단계(S202), 도 3의 실시예 단계(S302) 또는 도 4의 실시예 단계(S402)와 유사한 설명을 사용하고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 부분은 더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신호 전송의 방법(600)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는 예컨대 기지국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 및/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S601):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행위 지시는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RS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수신한 경우,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본 단계 이전에 UE가 빔 전환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구체적인 단계는 도 5의 실시예 단계(S501)와 유사하며, 더 반복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는 UE 빔 전환의 능력에 기반하여 본 단계에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발송한다.
단계(S602):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이하의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다.
본 단계는 도 2의 실시예 단계(S202), 도 3의 실시예 단계(S302), 도 4의 실시예 단계(S402), 도 5의 실시예 단계(S502)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고, 중복 부분은 더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의 방법에서, 실행 주체는 신호 전송의 장치, 또는 상기 방법의 로딩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장치의 제어 모듈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의 장치가 신호 전송의 방법의 로딩을 실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신호 전송의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의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전송의 장치(700)는, 전송 모듈(710)을 포함한다.
전송 모듈(710)은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는 구성된 제1 참조 신호 및/또는 제1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참조 신호이고, 빔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은,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상기 타겟 참조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N이 양의 정수인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타겟 간격 심볼의 기설정된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간격 심볼은,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상이한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연속적인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중복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측정은, SS-RSRP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SS-SINR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RSRQ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L1-RSRP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 빔 실패 검출; 후보 빔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이한 상기 제1 측정은 상이한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전송 모듈(710)은 또한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빔 전환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빔 전환의 능력은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빔 전환을 보고하는 능력은, 빔 전환을 위한 예약된 심볼 및 예약된 심볼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값을 보고하는 능력;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다중 패널 지원 여부를 보고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전송 모듈(710)은 또한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행위 지시는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참조 신호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전송은, PUSCH, PUCCH, SRS 및 PRACH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다운링크 전송은, PDCCH, PDSCH, PTRS 및 CSI-RS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CSI-RS는, TRS, CSI 및 추적 C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전송 모듈(710)은,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빙 셀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서빙 셀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조건; 상기 서빙 셀 또는 그 활성화된 BWP의 SCS는 기설정된 SCS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의 장치는 장치일 수 있고, 단말의 부재, 집적 회로, 또는 칩일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모바일 전자기기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기기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팜탑 컴퓨터, 차량 탑재 전자기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개인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모바일 전자기기는 서버,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텔러 머신 또는 셀프 서비스 머신 등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신호 전송의 장치는 운영 체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 체제일 수 있고, ios 운영 체제일 수 있으며, 다른 가능한 운영 체제일 수도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7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방법(200-600)의 흐름을 참조할 수 있고, 상기 장치(700)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방법(200-600)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메모리(802)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801)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기기(800)를 더 제공하며, 예를 들어, 상기 통신 기기(800)가 단말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신호 전송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수 있다. 상기 통신 기기(800)가 네트워크측 기기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801)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신호 전송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이 구현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더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900)는, 안테나(901), 무선 주파수 장치(902), 기저대역 장치(903)를 포함한다. 안테나(901)는 무선 주파수 장치(902)에 연결된다. 업링크 방향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902)는 안테나(901)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저대역 장치(903)에 발송하여 처리한다. 다운링크 방향에서, 기저대역 장치(903)는 발송할 정보를 처리하고, 무선 주파수 장치(902)에 발송하며, 무선 주파수 장치(90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 후 안테나(901)를 통해 발송한다.
상기 주파수 대역 처리 장치는 기저대역 장치(903)에 위치할 수 있고, 이상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기저대역 장치(903)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기저대역 장치(903)는 프로세서(904) 및 메모리(905)를 포함한다.
기저대역 장치(903)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기저대역 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저대역 보드에는 복수의 칩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 하나의 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904)로서, 메모리(905)에 연결되어, 메모리(905)의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이상 방법 실시예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기저대역 장치(903)는 무선 주파수 장치(902)와 정보를 인터랙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90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공용 무선 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라 약칭)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측 기기는, 메모리(905)에 저장되고 프로세서(904)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904)는 메모리(905)의 명령 또는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는 구성된 제1 참조 신호 및/또는 제1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참조 신호이고, 빔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은,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상기 타겟 참조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N이 양의 정수인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타겟 간격 심볼의 기설정된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간격 심볼은,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상이한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연속적인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중복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측정은, SS-RSRP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SS-SINR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RSRQ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L1-RSRP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 빔 실패 검출; 후보 빔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이한 상기 제1 측정은 상이한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빔 전환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빔 전환의 능력은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빔 전환을 보고하는 능력은, 빔 전환을 위한 예약된 심볼 및 예약된 심볼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값을 보고하는 능력;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다중 패널 지원 여부를 보고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행위 지시는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참조 신호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전송은, PUSCH, PUCCH, SRS 및 PRACH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다운링크 전송은, PDCCH, PDSCH, PTRS 및 CSI-RS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CSI-RS는, TRS, CSI 및 추적 C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빙 셀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되;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서빙 셀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조건; 상기 서빙 셀 또는 그 활성화된 BWP의 SCS는 기설정된 SCS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수행 방법은 도 2-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단말 기기의 하드웨어 구조 모식도이다.
상기 단말 기기(1000)는 무선 주파수 유닛(1001), 네트워크 모듈(1002), 오디오 출력 유닛(1003), 입력 유닛(1004), 센서(1005), 디스플레이 유닛(1006), 사용자 입력 유닛(1007), 인터페이스 유닛(1008), 메모리(1009), 및 프로세서(1010) 등 부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단말 기기(1000)는 각 부재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예: 배터리)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10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단말 기기의 구조는 단말 기기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고, 단말 기기는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재를 포함하거나, 일부 부재를 조합하거나, 상이한 부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입력 유닛(1004)은 그래픽 처리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041) 및 마이크(10042)를 포함할 수 있고, 그래픽 처리 유닛(10041)은 비디오 캡쳐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모드(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사진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06)은 디스플레이 패널(10061)을 포함할 수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10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1007)은 터치 패널(10071) 및 다른 입력 기기(10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지칭된다. 터치 패널(10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컨트롤러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입력 기기(10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키, 스위치 키 등), 트랙볼, 마우스, 조작 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1001)은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1010)에 의해 처리되며; 이 밖에, 업링크된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기기에 발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10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트랜시버,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10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09)는 주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영역 및 저장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저장 프로그램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명령(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 메모리(10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상태 저장 장치이다.
프로세서(101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010)는 응용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통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응용 프로그램 또는 명령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같은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010)에 통합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010)는,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는 구성된 제1 참조 신호 및/또는 제1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참조 신호이고, 빔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은,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상기 타겟 참조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N이 양의 정수인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타겟 간격 심볼의 기설정된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간격 심볼은,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상이한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연속적인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중복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측정은, SS-RSRP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SS-SINR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RSRQ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L1-RSRP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 빔 실패 검출; 후보 빔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이한 상기 제1 측정은 상이한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빔 전환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빔 전환의 능력은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빔 전환을 보고하는 능력은, 빔 전환을 위한 예약된 심볼 및 예약된 심볼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값을 보고하는 능력;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다중 패널 지원 여부를 보고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되, 여기서, 상기 타겟 전송 행위 지시는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참조 신호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타겟 업링크 전송은, PUSCH, PUCCH, SRS 및 PRACH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다운링크 전송은, PDCCH, PDSCH, PTRS 및 CSI-RS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상기 CSI-RS는, TRS, CSI 및 추적 C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기기의 서빙 셀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되;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서빙 셀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조건; 상기 서빙 셀 또는 그 활성화된 BWP의 SCS는 기설정된 SCS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10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방법(200-600)의 흐름을 참조할 수 있고, 상기 단말 기기(1000)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방법(200-600)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상기 신호 전송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더 제공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의 상기 전자기기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컴퓨터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결합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 전송의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것인 칩을 더 제공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수 있으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온-칩, 시스템칩, 칩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양태에 따른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구비”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로 하여금 요소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추가 한정이 없는 경우, 문구 “...하나를 포함하는”에 의해 한정되는 요소는, 상기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별도의 동일한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 외에, 본 출원의 실시형태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근거하여 기본적으로 동시적인 방식으로 또는 상반되는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단계를 더 추가, 생략, 또는 조합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 외에, 일부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시에서 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통해,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 우수한 실시형태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본질적인 기술적 해결수단 또는 선행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며,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여러 명령을 포함한다.
이상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시사 하에, 본 출원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모두 본 출원의 보호에 속한다.

Claims (22)

  1. 통신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전송의 방법에 있어서,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는 구성된 제1 참조 신호 및/또는 제1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참조 신호이고, 빔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은,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상기 타겟 참조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N이 양의 정수인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타겟 간격 심볼의 기설정된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간격 심볼은,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상이한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연속적인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중복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은,
    SS-RSRP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SS-SINR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RSRQ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L1-RSRP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
    빔 실패 검출;
    후보 빔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제1 측정은 상이한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빔 전환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빔 전환의 능력은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전환을 보고하는 능력은,
    빔 전환을 위한 예약된 심볼 및 예약된 심볼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값을 보고하는 능력;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다중 패널 지원 여부를 보고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전송 행위 지시는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참조 신호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업링크 전송은,
    PUSCH, PUCCH, SRS 및 PRACH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다운링크 전송은, PDCCH, PDSCH, PTRS 및 CSI-RS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SI-RS는,
    TRS, CSI 및 추적 C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단말 기기의 서빙 셀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서빙 셀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조건;
    상기 서빙 셀 또는 그 활성화된 BWP의 SCS는 기설정된 SCS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신호 전송의 장치에 있어서,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은,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TCI 상태와 상이한 타겟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전송 방식;
    상기 타겟 심볼은 빔 전환을 위한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인 전송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참조 신호는 구성된 제1 참조 신호 및/또는 제1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참조 신호이고, 빔 전환을 위한 상기 타겟 참조 신호의 심볼은,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상기 타겟 참조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N이 양의 정수인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심볼 이전 또는 이후의 N개의 심볼;
    타겟 간격 심볼의 기설정된 심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간격 심볼은,
    연속적인 상기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상이한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연속적인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유사 공동 위치 가정의 중복 타겟 참조 신호 사이의 간격 심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은,
    SS-RSRP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SS-SINR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RSRQ의 동일한 주파수 측정;
    L1-RSRP 측정;
    무선 링크 모니터링;
    빔 실패 검출;
    후보 빔 검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이한 상기 제1 측정은 상이한 제2 참조 신호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전송 모듈은 또한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빔 전환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빔 전환의 능력은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빔 전환을 보고하는 능력은,
    빔 전환을 위한 예약된 심볼 및 예약된 심볼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값을 보고하는 능력;
    예약된 심볼이 빔 전환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다중 패널 지원 여부를 보고하는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전송 모듈은 또한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발송된 타겟 전송 행위 지시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타겟 전송 행위 지시는 상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참조 신호와 관련된 타겟 심볼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업링크 전송은,
    PUSCH, PUCCH, SRS 및 PRACH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타겟 다운링크 전송은, PDCCH, PDSCH, PTRS 및 CSI-RS 중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SI-RS는,
    TRS, CSI 및 추적 C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단말 기기의 서빙 셀이 기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타겟 전송 방식을 통해, 타겟 심볼의 위치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상기 서빙 셀이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조건;
    상기 서빙 셀 또는 그 활성화된 BWP의 SCS는 기설정된 SCS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2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호 전송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0237007571A 2020-08-05 2021-08-03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30048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80216.XA CN114070363B (zh) 2020-08-05 2020-08-05 信号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202010780216.X 2020-08-05
PCT/CN2021/110255 WO2022028404A1 (zh) 2020-08-05 2021-08-03 信号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097A true KR20230048097A (ko) 2023-04-10

Family

ID=8011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571A KR20230048097A (ko) 2020-08-05 2021-08-03 신호 전송의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89321A1 (ko)
EP (1) EP4195522A4 (ko)
JP (1) JP2023538266A (ko)
KR (1) KR20230048097A (ko)
CN (1) CN114070363B (ko)
WO (1) WO2022028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81063A (zh) * 2022-04-14 2023-10-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处理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3116B1 (en) * 2015-02-28 2019-07-1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and system
CN108024344B (zh) * 2016-11-04 2022-1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配置信息获取方法和装置
CN109391984B (zh) * 2017-08-10 2020-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117216A1 (en) * 2017-11-17 2023-01-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10944604B2 (en) * 2018-05-25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ub-channel bandwidth adjustment in a millimeter wave (MMW) communication system
CN110535592B (zh) * 2018-09-28 2023-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及相关设备
US11632164B2 (en) * 2018-11-02 2023-04-1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1385076B (zh) * 2018-12-29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0536435A (zh) * 2019-02-15 2019-1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WO2021050060A1 (en) * 2019-09-11 2021-03-18 Nokia Technologies Oy Adaptive guard period for beam switching for wireless networks
CN110856258B (zh) * 2019-11-08 2022-02-22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多点发送波束指示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8266A (ja) 2023-09-07
EP4195522A1 (en) 2023-06-14
EP4195522A4 (en) 2024-02-07
CN114070363B (zh) 2023-03-24
CN114070363A (zh) 2022-02-18
WO2022028404A1 (zh) 2022-02-10
US20230189321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8281A1 (en) Method for measuring reference signal,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EP42247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30122143A (ko) 측위 측정 방법, 장치, 장비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EP425876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on sidelink (sl), and terminal
US20230189321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40040511A1 (en) Uplink power determination method, terminal and non-transitory readable storage medium
JP2023532537A (ja) 伝送処理方法、装置及び端末
US20230217448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20230189042A1 (en) Rs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device
US20230163814A1 (en)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4366404A1 (en) Spatial relationship indicating method and device
US20240137781A1 (en) Spatial relation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30232403A1 (en)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EP4224925A1 (en) Communication resource activ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WO2023198183A1 (zh) 信息获取方法、信息发送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061344A1 (zh) 信号传输方法、装置和终端设备
US20230389083A1 (en) Random access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232295A1 (en) Method for changing working area,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WO2023104089A1 (zh) 波束检测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2206740A1 (zh) 波束切换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883038A (zh) 天线切换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4095057A (zh) 信号传输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4501664A (zh) 随机接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30048102A (ko) 자원 전송 방법, 장치 및 통신 장치
CN114071537A (zh) 测量参考信号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