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091A -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091A
KR20230048091A KR1020237007471A KR20237007471A KR20230048091A KR 20230048091 A KR20230048091 A KR 20230048091A KR 1020237007471 A KR1020237007471 A KR 1020237007471A KR 20237007471 A KR20237007471 A KR 20237007471A KR 20230048091 A KR20230048091 A KR 20230048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tation
inner periphery
coupl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프로테크
Publication of KR20230048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02Probes for ope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89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7Coagulation and cutting with the sam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61B2218/008Aspiration for smoke evac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2 케이스의 일측은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 1, 2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 및 흡입호스가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바디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본 발명은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 및 흡입호스가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수술 장치(SMOKE PENCIL)는 주로 외과적인 수술에서 수술용 칼 대신, 전기를 이용하여 인체조직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조직 및 혈액을 응고시키는데 사용하는 대표적인 의료기기이다.
이러한 전기 수술 장치는 고주파 전류가 인체를 관통하여 흐를 때, 근육에 전기 충격이나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짧은 스파크나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원하는 생체조직을 100℃ 정도의 고주파 에너지로 절개(Cutting)하거나, 60℃ 정도의 고주파 에너지로 응고(Coagulation)시킨다.
도 1은 종래 전기 수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전기 수술 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5322호에 제시된 것으로, 흡입관(50)과, 흡입관(50)의 일측에 장착되며 고주파에 의하여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메스(70)와, 흡입관(50)의 타측에 장착되는 지지관(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관(40)을 통하여 케이블(20) 및 흡입호스(30)가 흡입관(50)의 외부로 노출되고, 이렇게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20) 및 흡입호스(30)는 외부기기(10)와 연결된다. 그리고 흡입관(50)을 통하여 흡입된 악취는 흡입호스(30)를 통하여 외부기기(10)로 배출되고, 케이블(20)과 연결된 외부기기(10)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은 메스(70)는 절개 또는 지혈용으로 사용된다.
한편, 사용자는 전기 수술 장치를 이용하여 수술을 하는 도중 환부의 형상에 따라 전기 수술 장치를 여러 각도로 회전시켜서 사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 수술 장치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외부기기(10)는 수술실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관(40)의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20) 및 흡입호스(30)는 외부기기(10) 방향을 향해야 한다. 그러나 전기 수술 장치에는 지지관(40)의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20) 및 흡입호스(30)는 외부기기(10) 방향으로 안내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어, 사용자는 전기 수술 장치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 및 흡입호스가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바디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 전측에 블레이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 후측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공간부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와, 일측은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간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를 지나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갖는 조작부재;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케이스 사이 및 상기 결합부의 타측과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를 차단시키는 차단관을 갖는 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안내부재를 구비하는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타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주연에 상기 회전안내돌부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1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주연에 상기 회전안내돌부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2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안내돌부가 상기 제 1 회전안내삽입부 및 상기 제 2 회전안내삽입부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돌부의 외주연은 상기 제 1 회전안내삽입부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회전안내삽입부의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회전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연을 따라 회전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상기 제 1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 내주연에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1 회전지지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상기 제 2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 내주연에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2 회전지지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기 정해진 원주보다 안쪽으로 깎아지도록 복수 개의 쉐이빙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외주연이 상기 제 1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때, 상기 쉐이빙부는 상기 제 1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단관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에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주연에는 상기 절곡부의 외주연 일측이 삽입되도록 제 1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주연에는 상기 절곡부의 외주연 타측이 삽입되도록 제 2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외주연은 상기 제 1 안내홈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안내홈의 내주연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전단부에 상기 결합부의 내주연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은 상기 결합부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부에서 멀어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와 가장 멀리 떨어진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삽입부의 후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 1 안내홈 및 상기 제 2 안내홈에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와 상기 제 1 안내홈 및 상기 제 2 안내홈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타측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주연에 제 1 전선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주연에 상기 제 1 전선안내돌부와 접촉되도록 제 2 전선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를 지나갈 때,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 1 전선안내돌부와 상기 제 2 전선안내돌부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부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1, 2 케이스의 일측은 바디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 1, 2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바디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 및 흡입호스가 하방으로 안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바디부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디부가 회전될 때, 회전안내돌부 및 회전지지돌부가 제 1, 2 회전안내삽입부 및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결합부는 제 1, 2 케이스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공기가 제 1, 2 케이스 내부로 침투할 수 없어, 제 1, 2 케이스 내부는 기 정해진 음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결합부를 통하여 제 1, 2 케이스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기는 용이하게 제 1, 2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지지돌부에 쉐이빙부가 구비되므로, 회전지지돌부와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 간의 마찰력이 작아지게 되어, 회전지지돌부는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에 가이드된 상태로 용이하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곡부가 제 1, 2 안내홈에 끼움 결합되므로, 결합부를 따라 제 1, 2 케이스 내부로 이동되는 연기는 절곡부와 제 1, 2 안내홈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되고, 제 1, 2 케이스 외부의 공기는 절곡부와 제 1, 2 안내홈 사이를 통하여 제 1, 2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부에는 접촉부 및 경사부가 형성되므로, 삽입부의 외주연과 결합부의 내주연이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삽입부와 결합부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아, 결합부는 용이하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케이스 내부로 안내되는 케이블이 제 1, 2 전선안내돌부에 걸쳐지도록 위치되므로, 케이블과 제 1, 2 케이스의 내주연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케이블은 제 1, 2 케이스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 수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분해된 회전안내부재를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분해된 회전안내부재를 타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회전안내부재가 바디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회전안내부재가 바디부에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안내부재(500)를 구비하는 전기 수술 장치(1000)는 의사 등의 사용자가 환자의 신체 조직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응고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바디부(100), 조작부재(200), 길이조절부재(300), 블레이드(400) 및 회전안내부재(5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사용자가 손으로 바디부(100)를 파지한 후 블레이드(4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조직을 절개 또는 응고시킬 때, 신체 조직과 가까이 위치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전측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 또는 후측이라 한다.
바디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공간부(110)와, 하부공간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공간부(120)를 구비한다. 하부공간부(110)와 상부공간부(120)는 각각 별도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된다. 하부공간부(110)는 블레이드(400)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조직을 절개 또는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흡입되도록 하고, 흡입된 연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공간부(110)의 길이방향 전측에 블레이드(4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하부공간부(110)의 길이방향 후측에 결합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상부공간부(120)는 후술하는 기판(210)이 위치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조작부재(200)는 기판(210), 조작부(220) 및 케이블(230)을 포함한다. 기판(210)은 예를 들면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구성되며, 상부공간부(120)에 설치되고, 블레이드(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블레이드(400)로 고주파를 전달한다. 조작부(220)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터치패널 등과 같은 것으로, 하측은 기판(210)에 연결되고 상측은 상부공간부(120)의 상방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부공간부(120)의 상부로 노출된 조작부(220)의 상측을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기판(210)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고주파 에너지의 양을 조절한 후, 이를 블레이드(400)로 전달한다. 케이블(230)은 전선 등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기판(210)의 후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하부공간부(110)의 후측으로 관통된 후 결합부(112)의 내부를 지나 바디부(10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렇게 바디부(100)의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230)은 외부의 고주파생성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고주파생성부가 생성한 고주파를 기판(210)으로 전달한다.
길이조절부재(300)는 길이조절부(310), 연장부(320), 버튼스토퍼(330) 및 접촉안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길이조절부(310)는 내부에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통로(310a)가 형성되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공간부(11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길이조절부(310)에는 걸림턱(312) 및 결합안내부(314)가 구비된다. 걸림턱(312)은 길이조절부(310)의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결합안내부(314)는 길이조절부(310) 내부의 흡입통로(310a) 전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기가 통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블레이드(400)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연장부(320)는 길이조절부(310)의 전측에 결합된다. 버튼스토퍼(330)는 상부공간부(120)의 전측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면서 걸림턱(312)에 걸리거나 걸리지 않도록 위치된다. 접촉안내부는 일측은 기판(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결합안내부(3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판(210)과 블레이드(40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의 제어에 의하여 버튼스토퍼(330)가 걸림턱(312)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되면 길이조절부(310)가 하부공간부(1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버튼스토퍼(330)가 걸림턱(312)에 걸리도록 위치되면 길이조절부(310)가 하부공간부(1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버튼스토퍼(330)를 이용하여 길이조절부(310)가 하부공간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제어하면, 바디부(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길이조절부재(300)는 경우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결합안내부(314)는 하부공간부(110)의 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일단부는 결합안내부(314)에 설치된 상태로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타단부는 흡입통로(310a)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부(320)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기판(210)에서 블레이드(400)로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면, 블레이드(400)는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조직의 일부를 절개하거나 응고시킨다. 그리고 블레이드(400)가 신체 조직의 일부를 절개 또는 응고시킬 때, 블레이드(400) 주변으로 퍼지는 연기가 흡입통로(310a)로 흡입된 후 회전안내부재(500)를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회전안내부재(500)는 결합부(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의 흡입호스(미도시)가 회전안내부재(500)의 연결관(519)에 연결된다. 흡입호스는 공기를 흡입하는 Smoke Evacuator 등의 흡입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수술 과정에서 블레이드(400) 주변으로 퍼지는 연기가 흡입통로(310a)로 흡입된 후 회전안내부재(500) 및 흡입호스를 지나 흡입수단으로 흡입된다.
한편, 사용자가 환부의 형상에 따라 바디부(100)를 여러 각도로 회전시켜가면서 수술을 하게 되면, 회전안내부재(500)는 흡입호스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디부(100)는 회전안내부재(500)에 지지된 상태로 용이하게 회전되어야 한다. 또한, 바디부(100) 내부로 흡입되는 연기는 회전안내부재(500)로 이동된 후 흡입수단으로 흡입되므로, 바디부(100) 내부를 따라 회전안내부재(500)로 이동되는 연기는 회전안내부재(500)에서 밖으로 새 나가지 않아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관점을 중점적으로 하여 회전안내부재(50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분해된 회전안내부재를 일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분해된 회전안내부재를 타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회전안내부재가 바디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100)의 후측에 원 기둥 형상의 결합부(11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112)의 내부는 하부공간부(110)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112)의 길이방향 전측 외주연을 따라 회전안내돌부(112a)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결합부(112)의 길이방향 후측 외주연을 따라 회전지지돌부(112b)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회전안내부재(500)는 제 1 케이스, 제 2 케이스(520) 및 차단관(530)을 포함한다. 차단관(530)은 도 8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케이스는 결합부(112)의 외주연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제 2 케이스(520)는 결합부(112)의 외주연 타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520)의 상호 마주보는 양측은 상호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부(112)와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 1 케이스의 길이방향 전측 내주연에 회전안내돌부(112a)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1 회전안내삽입부(512)가 형성되고, 제 1 케이스의 길이방향 후측 내주연에 회전지지돌부(112b)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1 회전지지삽입부(514)가 형성된다. 제 2 케이스(520)의 길이방향 전측 내주연에 회전안내돌부(112a)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2 회전안내삽입부(522)가 형성되고, 제 2 케이스(520)의 길이방향 후측 내주연에 회전지지돌부(112b)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2 회전지지삽입부(524)가 형성된다. 이처럼 결합부(112)에는 회전안내돌부(112a) 및 회전지지돌부(112b)가 구비되므로, 바디부(100)가 회전될 때, 회전안내돌부(112a) 및 회전지지돌부(112b)가 제 1, 2 회전안내삽입부(512, 522) 및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어, 결합부(112)는 제 1, 2 케이스(510, 520)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케이스(510, 520)의 일측은 바디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 1, 2 케이스(510, 520)의 타측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바디부(10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230) 및 흡입호스가 제 1, 2 케이스(510, 520)의 타측을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어, 사용자는 바디부(1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케이스(510, 520)가 결합부(112)에 결합되면, 회전안내돌부(112a)의 외주연은 제 1 회전안내삽입부(512)의 내주연 및 제 2 회전안내삽입부(522)의 내주연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100)가 회전될 때, 회전안내돌부(112a)가 제 1 회전안내삽입부(512) 및 제 2 회전안내삽입부(522)의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미끄러지면서 회전되므로, 회전안내돌부(112a)는 제 1, 2 회전안내삽입부(512, 522)의 내주연에 가이드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안내돌부(112a)의 외주연이 제 1, 2 회전안내삽입부(512, 522)의 내주연에 접촉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회전안내돌부(112a)와 제 1, 2 회전안내삽입부(512, 522)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제 1, 2 케이스(510, 520) 내부로 침투할 수 없어, 제 1, 2 케이스(510, 520) 내부는 기 정해진 음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결합부(112)를 통하여 제 1, 2 케이스(510, 520)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기는 용이하게 제 1, 2 케이스(510, 520)의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지지돌부(112b)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지지돌부(112b)의 기 정해진 원주보다 안쪽으로 깎아지도록 복수 개의 쉐이빙부(112c)가 형성된다. 이러한 쉐이빙부(112c)는 회전지지돌부(112b)의 정해진 원주보다 안쪽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지지돌부(112b)가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에 삽입된 이후, 결합부(11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지지돌부(112b)의 외주연이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될 때, 쉐이빙부(112c)가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의 내주연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된다. 그러면, 회전지지돌부(112b)의 외주연과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의 내주연 간의 맞닿는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이는 회전지지돌부(112b)와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 간의 마찰력이 작아지도록 한다. 이처럼 회전지지돌부(112b)와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 간의 마찰력이 작아지므로, 회전지지돌부(112b)는 제 1, 2 회전지지삽입부(514, 524)에 가이드된 상태로 더욱 용이하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의 회전안내부재가 바디부에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차단관(530)은 결합부(112)의 일측과 제 1 케이스(510) 사이 및 결합부(112)의 타측과 제 2 케이스(520) 사이로 유체가 이동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것으로, 세부적으로는 결합부(112)를 따라 이동되는 연기가 제 1, 2 케이스(510, 520) 사이를 지나가는 도중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하도록 하고, 제 1, 2 케이스(510, 520) 외부의 공기가 제 1, 2 케이스(510, 5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단관(530)은 결합부(112)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532)와, 결합부(112)의 외부에 위치되는 삽입부(532)의 후단부에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52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5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삽입부(532)의 후단부에는 삽입부(532)의 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부(536)가 돌출 형성되고, 삽입부(532)의 후단부와 가장 멀리 떨어진 경사부(536)의 단부에 절곡부(534)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부(536)는 삽입부(532)의 후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케이스의 내주연에는 절곡부(534)의 외주연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1 안내홈(516)이 형성되고, 제 2 케이스(520)의 내주연에는 절곡부(534)의 외주연 타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2 안내홈(5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532)가 결합부(112)에 삽입된 이후, 제 1, 2 케이스(510, 520)가 결합부(112)에 결합되면, 절곡부(534)는 제 1, 2 안내홈(516, 526)에 삽입되어, 절곡부(534)의 외주연은 제 1 안내홈(516)의 내주연 및 제 2 안내홈(526)의 내주연에 접촉된다.
이처럼 절곡부(534)가 제 1, 2 안내홈(516, 526)에 끼움 결합되므로, 결합부(112)를 따라 제 1, 2 케이스(510, 520) 내부로 이동되는 연기는 절곡부(534)와 제 1, 2 안내홈(516, 526)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되고, 제 1, 2 케이스(510, 520) 외부의 공기는 절곡부(534)와 제 1, 2 안내홈(516, 526) 사이를 통하여 제 1, 2 케이스(510, 5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합부(112)의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부(532)의 전단부에 접촉부(53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532a)는 삽입부(532)와 결합부(112)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여, 삽입부(532)와 결합부(112)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합부(112)에 삽입된 삽입부(532)가 결합부(112)에 맞닿는 면적이 많아질수록 삽입부(532)와 결합부(112) 간의 마찰력이 커지게 되고, 삽입부(532)와 결합부(112) 간의 마찰력이 커질수록 결합부(112)의 회전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삽입부(532)의 전단부에 접촉부(532a)가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접촉부(532a)에 의하여 삽입부(532)의 외주연과 결합부(112)의 내주연이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되므로, 삽입부(532)와 결합부(112)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아, 결합부(112)는 용이하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접촉부(532a)는 삽입부(532)에서 멀어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어, 접촉부(532a)와 결합부(112) 간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부(536)는 제 1 안내홈(516) 및 제 2 안내홈(526)에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삽입부(532)의 후단부와 제 1 안내홈(516) 및 제 2 안내홈(526)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사부(536)는 접촉부(532a)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경사부(536)에 의하여 삽입부(532)의 후단부와 제 1, 2 안내홈(516, 526)이 상호 이격되므로, 삽입부(532)와 제 1, 2 안내홈(516, 526) 간에 마찰력이 상쇄되어, 결합부(112)는 더욱 용이하게 회전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결합부(112)에서 회전안내부재(500)로 이동된 연기는 흡입호스(미도시)를 통하여 흡입수단(미도시)으로 흡입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제 1 케이스의 단부에는 연결관(519)이 돌출 형성되고, 연결관(519)에 흡입호스가 연결된다. 그리고 결합부(112)에서 제 1, 2 케이스(510, 520)의 내부 방향으로 안내되는 케이블(230)은 연결관(519)을 지나 제 1, 2 케이스(510, 520)의 외부 방향 즉, 흡입호스 방향으로 안내된다. 흡입호스는 일반적으로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제 1, 2 케이스(510, 520)는 흡입호스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방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제 1, 2 케이스(510, 520)는 굽어지도록 형성된다. 세부적으로는 제 1 케이스의 전측은 결합부(112)의 외주연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제 1 케이스의 후측은 일 방향으로 곡선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스(520)의 전측은 결합부(112)의 외주연 타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제 2 케이스(520)의 후측은 일 방향으로 곡선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주연 중앙 부분에 제 1 전선안내돌부(518)가 돌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케이스(52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주연 중앙 부분에 제 1 전선안내돌부(518)와 접촉되도록 제 2 전선안내돌부(528)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230)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520) 사이를 지나갈 때, 케이블(230)은 제 1 전선안내돌부(518)와 제 2 전선안내돌부(528)에 걸쳐진 상태로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520)의 외부 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제 1, 2 케이스(510, 520) 내부로 안내되는 케이블(230)이 제 1, 2 전선안내돌부(528)에 걸쳐지도록 위치되면, 케이블(230)은 제 1, 2 케이스(510, 520)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그러면 케이블(230)과 제 1, 2 케이스(510, 520)의 내주연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회전되는 바디부(100)를 따라 제 1, 2 케이스(510, 520)의 내부에 위치되는 케이블(230)의 위치가 가변될 때, 케이블(230)은 제 1, 2 케이스(510, 520) 내부에서 용이하게 가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2)

  1.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 전측에 블레이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간부의 길이방향 후측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블레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공간부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조작부와, 일측은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간부 및 상기 결합부의 내부를 지나 상기 바디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을 갖는 조작부재;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1 케이스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 케이스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과 상기 제 1 케이스 사이 및 상기 결합부의 타측과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를 차단시키는 차단관을 갖는 회전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안내부재를 구비하는 전기 수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 타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주연에 상기 회전안내돌부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1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주연에 상기 회전안내돌부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2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안내돌부가 상기 제 1 회전안내삽입부 및 상기 제 2 회전안내삽입부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돌부의 외주연은 상기 제 1 회전안내삽입부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회전안내삽입부의 내주연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일측 외주연을 따라 상기 회전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길이방향 타측 외주연을 따라 회전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상기 제 1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 내주연에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1 회전지지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 내주연에 상기 제 2 회전안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길이방향 타측 내주연에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타측이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제 2 회전지지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기 정해진 원주보다 안쪽으로 깎아지도록 복수 개의 쉐이빙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돌부의 외주연이 상기 제 1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때, 상기 쉐이빙부는 상기 제 1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회전지지삽입부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관은, 상기 결합부에 삽입되도록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결합부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에 상기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내주연에는 상기 절곡부의 외주연 일측이 삽입되도록 제 1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내주연에는 상기 절곡부의 외주연 타측이 삽입되도록 제 2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외주연은 상기 제 1 안내홈의 내주연 및 상기 제 2 안내홈의 내주연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삽입부의 전단부에 상기 결합부의 내주연에 접촉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은 상기 결합부의 내주연과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부에서 멀어질수록 첨예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삽입부의 전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와 가장 멀리 떨어진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삽입부의 후단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 1 안내홈 및 상기 제 2 안내홈에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삽입부의 후단부와 상기 제 1 안내홈 및 상기 제 2 안내홈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타측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타측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주연에 제 1 전선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내주연에 상기 제 1 전선안내돌부와 접촉되도록 제 2 전선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 사이를 지나갈 때,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 1 전선안내돌부와 상기 제 2 전선안내돌부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외부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KR1020237007471A 2020-09-14 2020-09-14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KR20230048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2376 WO2022055000A1 (en) 2020-09-14 2020-09-14 Smoke pencil with swive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091A true KR20230048091A (ko) 2023-04-10

Family

ID=8063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7471A KR20230048091A (ko) 2020-09-14 2020-09-14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10609A4 (ko)
KR (1) KR20230048091A (ko)
WO (1) WO20220550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4576B2 (en) * 2005-12-02 2013-04-09 Ioan Cosmescu Swivel device for electrosurgery pencil and surgical smoke evacuation
US8057470B2 (en) * 2007-08-30 2011-11-15 Conmed Corporation Integrated smoke evacuation electrosurgical pencil and method
US9289261B2 (en) * 2010-02-04 2016-03-22 Buffalo Filter Llc Electrosurgical device with vacuum port
WO2014032157A1 (en) * 2012-08-28 2014-03-06 Leonard Ineson Adjustable electrosurgical pencil
ES2794835T3 (es) * 2015-03-06 2020-11-19 Buffalo Filter Llc Dispositivo electroquirúrgico con puerto de vacío
US11547463B2 (en) * 2018-09-21 2023-01-10 Covidien Lp Smoke evacuation electrosurgical pencil with adjustable electrode and vent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10609A1 (en) 2023-07-19
EP4210609A4 (en) 2024-05-22
WO2022055000A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9377B1 (en) Bipolar electrosurgical snare
JP3428986B2 (ja) 腹腔鏡手術に適した電気外科装置
JP6524101B2 (ja) 生体組織内へrfおよび/またはマイクロ波エネルギーを供給する電気外科機器
JP5567602B2 (ja) 外科用器具とともに使用可能なハンドピースを有する外科用器具装置
JP5244804B2 (ja) 筒状の軸機器
EP1738705B1 (en) Electrode with a rotatably deployable sheath
EP1427340B1 (en) Surgical system for cutting and coagulation
JP6609876B2 (ja) 長さ調節が容易な電気手術装置
WO2003096871A2 (en) Multipurpose fluid jet surgical device
WO1996023449A1 (en) Electro-surgical tissue removal
EP3212101B1 (en) Telescoping device with saline irrigation line
JP2020519403A (ja) 伸縮可能シャフト用ロック機構
KR101073767B1 (ko) 스모크 흡입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US20220354527A1 (en) Soft tissue cutting device with bowing mechanism
KR20230048091A (ko) 회전형 전기 수술 장치
CN209751211U (zh) 一种骨肉瘤热消融针刀
JP6087230B2 (ja) 医療用処置具及び医療用処置装置
US20190380763A1 (en) Attachment for electrosurgical system
KR20240005945A (ko) 전기절단 생검 니들, 전기절단 생검 니들 키트 및 진공 보조 유방 생검 시스템
US11992261B2 (en) Locking mechanism and sliding conductor for extendable shaft
US11432866B2 (en) Electrosurgery smoke suction apparatus
TW201803529A (zh) 具有旋轉本體的手持設備
KR101586813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전기 수술 장치
US11911088B2 (en) Smoke pencil with swivel device
JPH09262245A (ja) レゼクトスコー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