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380A -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tpmi 목록 시그널링 향상 - Google Patents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tpmi 목록 시그널링 향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380A
KR20230047380A KR1020237004233A KR20237004233A KR20230047380A KR 20230047380 A KR20230047380 A KR 20230047380A KR 1020237004233 A KR1020237004233 A KR 1020237004233A KR 20237004233 A KR20237004233 A KR 20237004233A KR 20230047380 A KR20230047380 A KR 2023004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pmi
coherent
port
configuration
down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이통 순
춘하이 야오
춘쑤안 예
다웨이 장
홍 허
지에 쿠이
오게네코메 오테리
시겐 예
웨이 젱
웨이동 양
양 탕
유슈 장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4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TPMI 능력 보고 설계,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에 대한 TPMI 목록 향상, 및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한 TPMI 목록 향상을 포함하는 모드 2 TPMI 목록 표시에 대한 향상들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TPMI 목록 시그널링 향상
본 출원은 대체적으로 프리코딩(precoding) 매트릭스들 또는 코드북들의 선택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은 다양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표준들 및 프로토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예컨대, 4G) 또는 뉴라디오(NR)(예컨대, 5G);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로서 산업 그룹들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 및 Wi-Fi로서 산업 그룹들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 대한 IEEE 802.11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LTE 시스템들의 3GPP RAN(radio access network)들에서, 기지국은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ode B(또한, 진화된 Node B, 향상된 Node B, eNodeB, 또는 eNB로 일반적으로 표기됨) 및/또는 E-UTRAN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RAN 노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UE(user equipment)로서 알려져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5세대(5G) 무선 RAN들에서, RAN 노드들은 5G 노드, NR 노드(또한, 차세대 Node B 또는 g Node B(gNB)로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RAN들은 RAN 노드와 UE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한다. RAN들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ERAN(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EDGE) RAN),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또는 E-UTRAN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RAN들 각각은 특정 3GPP RAT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GERAN은 GSM 및/또는 EDGE RAT를 구현하고, UTRAN은 범용 모바일 원격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RAT 또는 다른 3GPP RAT를 구현하고, E-UTRAN은 LTE RAT를 구현하며, NG-RAN은 5G RAT를 구현한다. 소정의 배치들에서, E-UTRAN은 또한 5G RAT를 구현할 수 있다.
5G NR에 대한 주파수 대역들은 2개의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로 분리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 1(FR1)은 6 ㎓ 이하(sub-6 ㎓)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주파수 대역들 중 일부는 이전의 표준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들이고, 잠재적으로 410 ㎒ 내지 7125 ㎒의 새로운 스펙트럼 제공들을 커버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주파수 범위 2(FR2)는 24.25 ㎓ 내지 52.6 ㎓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FR2의 밀리미터파(mmWave) 범위 내의 대역들은 FR1 내의 대역들보다 더 작은 커버리지를 갖지만 잠재적으로 더 높은 이용가능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당업자들은 예로서 제공되는 이들 주파수 범위들이 시간마다 또는 구역마다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임의의 특정 요소 또는 동작의 논의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 도면 번호의 최상위 숫자 또는 숫자들은 해당 요소가 처음으로 도입된 도면 번호를 지칭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a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3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4a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도 3a의 테이블의 주석이 달린 버전을 도시한다.
도 4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의 그룹을 도시한다.
도 4c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의 그룹을 도시한다.
도 5a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도시한다.
도 5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의 그룹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하기의 설명은 3GPP 기술 규격들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LTE 시스템 표준들 및 5G 또는 NR 시스템 표준들과 함께 동작하는 예시적인 시스템(100)에 대해 제공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설명된 실시 형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들로부터 이익을 얻는 다른 네트워크들, 예컨대 미래의 3GPP 시스템들(예를 들어, 6세대(6G) 시스템들), IEEE 802.16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WMAN, WiMAX 등)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UE(122) 및 UE(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UE(122) 및 UE(120)는 스마트폰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에 접속가능한 핸드헬드 터치스크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로서 예시되지만, 또한 임의의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예컨대, 소비자 전자 디바이스들, 셀룰러 폰들, 스마트폰들, 피처 폰들, 태블릿 컴퓨터들, 웨어러블 컴퓨터 디바이스(wearable computer device)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페이저(pager)들, 무선 핸드셋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IVI(in-vehicle infotainment), ICE(in-car entertainment) 디바이스들, IC(Instrument Cluster), HUD(head-up display) 디바이스들, OBD(onboard diagnostic) 디바이스들, DME(dashtop mobile equipment), MDT(mobile data terminal)들, EEMS(Electronic Engine Management System), ECU(electronic/engine control unit)들, ECM(electronic/engine control module)들, 임베디드 시스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제어 모듈들, EMS(engine management systems), 네트워킹된 또는 "스마트" 기기들, MTC 디바이스들, M2M, IoT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UE(122) 및/또는 UE(120)는 IoT UE들일 수 있는데, 이는 짧은 수명의 UE 접속들을 활용하는 저전력 IoT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설계된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IoT UE는 PLMN, ProSe 또는 D2D 통신, 센서 네트워크들, 또는 IoT 네트워크들을 통해 MTC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MTC 또는 M2M과 같은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의 M2M 또는 MTC 교환은 데이터의 기계-개시 교환일 수 있다. IoT 네트워크는 짧은 수명의 접속들을 이용하여, (인터넷 인프라구조 내의) 고유하게 식별가능한 임베디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IoT UE들을 상호접속시키는 것을 설명한다. IoT UE들은 IoT 네트워크의 접속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백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들(예컨대, 킵 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들, 상태 업데이트들 등)을 실행시킬 수 있다.
UE(122) 및 UE(120)는 액세스 노드 또는 무선 액세스 노드((R)AN(108)으로 도시됨)와 접속하도록, 예를 들어 이와 통신가능하게 커플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에서, (R)AN(108)은 NG RAN 또는 SG RAN, E-UTRAN, 또는 레거시(legacy) RAN, 예컨대 UTRAN 또는 GERAN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NG RAN" 등은 NR 또는 SG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R)AN(108)을 지칭할 수 있고, 용어 "E-UTRAN" 등은 LTE 또는 4G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R)AN(108)을 지칭할 수 있다. UE(122) 및 UE(120)는 접속들(또는 채널들)(접속(104) 및 접속(102)으로 각각 도시됨)을 활용하고, 이들 각각은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됨)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접속(104) 및 접속(102)은 통신 커플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들이고,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들, 예컨대, GSM 프로토콜, CDMA 네트워크 프로토콜, PTT 프로토콜, POC 프로토콜, UMTS 프로토콜, 3GPP LTE 프로토콜, SG 프로토콜, NR 프로토콜,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과 부합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에서, UE(122) 및 UE(120)는 ProSe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통신 데이터를 직접 교환할 수 있다. ProSe 인터페이스(110)는 대안적으로 사이드링크(sidelink, SL) 인터페이스(110)로 지칭될 수 있고, PSCCH, PSSCH, PSDCH, 및 PSBCH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로직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120)는 접속(124)을 통해 AP(112)(또한 "WLAN 노드", "WLAN", "WLAN 종단", "WT" 등으로도 지칭됨)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접속(124)은, 임의의 IEEE 802.11 프로토콜과 부합하는 접속과 같은 로컬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AP(112)는 Wi-Fi®(wireless fidelity) 라우터를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AP(112)는 무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으면서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UE(120), (R)AN(108), 및 AP(112)는 LWA 동작 및/또는 LWIP 동작을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WA 동작은, UE(120)가 LTE 및 WLAN의 무선 자원들을 활용하기 위해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에 의해 구성되는 RRC_CONNECTED에 있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LWIP 동작은, UE(120)가 접속(124)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예컨대, IP 패킷들)을 인증하고 암호화하기 위해 IPsec 프로토콜 터널링을 통해 WLAN 무선 자원들(예컨대, 접속(124))을 사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IPsec 터널링은 원래의 IP 패킷들 전체를 캡슐화하고 새로운 패킷 헤더를 추가함으로써, IP 패킷들의 원래의 헤더를 보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R)AN(108)은 접속(104) 및 접속(102)을 가능하게 하는, RAN 노드(114) 및 RAN 노드(116)와 같은 하나 이상의 AN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액세스 노드", "액세스 포인트" 등은 네트워크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사이의 데이터 및/또는 음성 접속성을 위한 무선 기저대역 기능들을 제공하는 장비를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노드들은 BS, gNB들, RAN 노드들, eNB들, NodeB들, RSU들, TRxP들 또는 TRP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셀) 내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지상 스테이션들(예를 들어, 지상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위성 스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NG RAN 노드" 등은 NR 또는 SG 시스템(예컨대, gNB)에서 동작하는 RAN 노드를 지칭할 수 있고, 용어 "E-UTRAN 노드" 등은 LTE 또는 4G 시스템(100)(예컨대, eNB)에서 동작하는 RAN 노드를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는 매크로셀 기지국과 같은 전용 물리적 디바이스, 및/또는 매크로셀들에 비해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들, 더 작은 사용자 용량, 또는 더 높은 대역폭을 갖는 펨토셀들, 피코셀들 또는 다른 유사 셀들을 제공하기 위한 저전력(LP) 기지국 중 하나 이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의 전부 또는 일부들은 가상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서버 컴퓨터들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엔티티들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CRAN 및/또는 vBBUP(virtual baseband unit pool)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들에서, CRAN 또는 vBBUP는, RAN 기능 분할, 예컨대, RRC 및 PDCP 계층들이 CRAN/vBBUP에 의해 동작되고 다른 L2 프로토콜 엔티티들이 개별 RAN 노드들(예컨대,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에 의해 동작되는 PDCP 분할; RRC, PDCP, RLC, 및 MAC 계층들이 CRAN/vBBUP에 의해 동작되고, PHY 계층이 개별 RAN 노드들(예컨대,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에 의해 동작되는 MAC/PHY 분할; 또는 RRC, PDCP, RLC, MAC 계층들 및 PHY 계층의 상부 부분들이 CRAN/vBBUP에 의해 동작되고 PHY 계층의 하부 부분들이 개별 RAN 노드들에 의해 동작되는 "하부 PHY" 분할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화된 프레임워크는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의 프리드-업(freed-up) 프로세서 코어들이 다른 가상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개별 RAN 노드는 개별 F1 인터페이스들(도 1에 의해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gNB-CU에 접속되는 개별 gNB-DU들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gNB-DU들은 하나 이상의 원격 라디오 헤드들 또는 RFEM들을 포함할 수 있고, gNB-CU는 (R)AN(108)(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된 서버에 의해 또는 CRAN/vBBUP와 유사한 방식으로 서버 풀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 중 하나 이상은 차세대 eNB들(ng-eNB들)일 수 있으며, 이는 E-UTRA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 프로토콜 종단부들을 UE(122) 및 UE(120)을 향해 제공하고 NG 인터페이스(아래에서 논의됨)를 통해 SGC에 접속되는 RAN 노드들이다. V2X 시나리오들에서,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 중 하나 이상은 RSU들일 수 있거나 그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용어 "노변 유닛(Road Side Unit)" 또는 "RSU"는 V2X 통신들에 사용되는 임의의 운송 기반구조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다. RSU는 적합한 RAN 노드 또는 정지식(또는 비교적 정지식) UE에서 또는 그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UE에서 또는 그에 의해 구현되는 RSU는 "UE-형 RSU"로 지칭될 수 있고, eNB에서 또는 그에 의해 구현되는 RSU는 "eNB-형 RSU"로 지칭될 수 있고, gNB에서 또는 그에 의해 구현되는 RSU는 "gNB-형 RSU"로 지칭될 수 있는 등등이다. 일례에서, RSU는 통과 차량 UE들(vUE들)에 대한 접속성 지원을 제공하는, 노변 상에 위치된 라디오 주파수 회로부와 커플링된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RSU는 또한 교차 맵 기하구조, 트래픽 통계, 매체들뿐만 아니라 진행 중인 차량 및 보행자 트래픽을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들/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데이터 저장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RSU는 충돌 회피, 트래픽 경고들 등과 같은 고속 이벤트들에 필요한 매우 낮은 레이턴시 통신들을 제공하기 위해 5.9 ㎓ DSRC(Direct Short Range Communications)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SU는 셀룰러 V2X 대역에서 동작하여 전술된 낮은 레이턴시 통신들뿐만 아니라 다른 셀룰러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SU는 Wi-Fi 핫스팟(2.4 ㎓ 대역)으로서 동작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들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여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들) 및 RSU의 무선 주파수 회로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외 설치에 적합한 내후성 인클로저(weatherproof enclosure) 내에 패키징될 수 있고, 유선 접속(예를 들어, 이더넷)을 트래픽 신호 제어기 및/또는 백홀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RAN 노드(114) 및/또는 RAN 노드(116)는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고, UE(122) 및 UE(120)에 대한 제1 접촉 포인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RAN 노드 (114) 및/또는 RAN 노드(116)는 무선 베어러(bearer) 관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적 무선 자원 관리 및 데이터 패킷 스케줄링, 및 이동성 관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능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R)AN(108)에 대한 다양한 논리적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에서, UE(122) 및 UE(120)는 OFDMA 통신 기법(예를 들어, 다운링크 통신들의 경우) 또는 SC-FDMA 통신 기법(예를 들어, 업링크 및 ProSe 또는 사이드링크 통신들의 경우)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통신 기법들에 따라 멀티캐리어 통신 채널을 통해 서로 또는 RAN 노드 (114) 및/또는 RAN 노드(116)와 OFDM 통신 신호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실시 형태들의 범주가 이러한 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OFDM 신호들은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다운링크 자원 그리드는 RAN 노드(114) 및/또는 RAN 노드(116)로부터 UE(122) 및 UE(120)로의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업링크 송신들은 유사한 기법들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드는, 자원 그리드 또는 시간 주파수 자원 그리드로 지칭되는 시간 주파수 그리드일 수 있고, 이는 각각의 슬롯 내의 다운링크에서의 물리적 자원이다. 그러한 시간 주파수 평면 표현은 OFDM 시스템들에 대해 통상적인 관행이며, 이는 무선 자원 할당에 대해 그것을 직관적으로 만든다. 자원 그리드의 각각의 열(column) 및 각각의 행(row)은 하나의 OFDM 심볼 및 하나의 OFDM 서브캐리어에 각각 대응한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자원 그리드의 지속기간은 무선 프레임 내의 하나의 슬롯에 대응한다. 자원 그리드에서의 최소 시간 주파수 유닛은 자원 요소로 표기된다. 각각의 자원 그리드는 다수의 자원 블록들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자원 요소들에 대한 소정의 물리적 채널들의 맵핑을 설명한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자원 요소들의 집합체를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이것은 현재 할당될 수 있는 최소량의 자원들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한 자원 블록들을 사용하여 전달되는 여러 개의 상이한 물리적 다운링크 채널들이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 따르면, UE(122) 및 UE(120)와, RAN 노드(114) 및/또는 RAN 노드(116)는 면허 매체(또한 "면허 스펙트럼" 및/또는 "면허 대역"으로 지칭됨) 및 비면허 공유 매체(또한 "비면허 스펙트럼" 및/또는 "비면허 대역"으로 지칭됨)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예를 들어, 송신 및 수신)한다. 면허 스펙트럼은 대략 400 ㎒ 내지 대략 3.8 ㎓의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는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비면허 스펙트럼은 5 ㎓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기 위해, UE(122) 및 UE(120)와,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는 LAA, eLAA, 및/또는 feLAA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UE(122) 및 UE(120)와,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송신하기 전에 비면허 스펙트럼 내의 하나 이상의 채널들이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달리 점유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알려진 매체 감지 동작들 및/또는 캐리어 감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매체/캐리어 감지 동작들은 LBT(listen-before-talk)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LBT는, 장비(예를 들어, UE(122) 및 UE(120)와,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 등)가 매체(예를 들어, 채널 또는 캐리어 주파수)를 감지하고 매체가 유휴 상태(idle)로 감지될 때(또는 매체 내의 특정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될 때) 송신하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매체 감지 동작은 CCA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채널이 점유되거나 클리어(clear)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채널 상의 다른 신호들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결정하도록 적어도 ED를 활용한다. 이러한 LBT 메커니즘은 셀룰러/LAA 네트워크들이 비면허 스펙트럼 내의 현재의 시스템들 및 다른 LAA 네트워크들과 공존하게 허용한다. ED는 일정 시간 기간 동안 의도된 송신 대역에 걸친 RF 에너지를 감지하는 것 및 감지된 RF 에너지를 미리 정의된 또는 구성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5 ㎓ 대역 내의 기존 시스템들은 IEEE 802.11 기술들에 기초한 WLAN들이다. WLAN은 CSMA/CA로 불리는 경합 기반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을 채용한다. 여기서, WLAN 노드(예컨대, UE(122), AP(112) 등과 같은 이동국(MS))가 송신하고자 할 때, WLAN 노드는 송신 전에 CCA를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초과의 WLAN 노드가 채널을 유휴 상태로 감지하고 동시에 송신하는 상황들에서 충돌들을 피하기 위해 백오프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백오프 메커니즘은 CWS 내에서 랜덤으로 도출되는 카운터일 수 있고, 이는 충돌의 발생 시 지수적으로 증가되고, 송신이 성공할 때 최소 값으로 리셋된다. LAA를 위해 설계된 LBT 메커니즘은 WLAN의 CSMA/CA와 다소 유사하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PDSCH 또는 PUSCH 송신들을 각각 포함하는 DL 또는 UL 송신 버스트(burst)들에 대한 LBT 절차는, X와 Y ECCA 슬롯들 사이에서 길이가 가변적인 LAA 경합 윈도우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X 및 Y는 LAA를 위한 CWS들에 대한 최소 값 및 최대 값이다. 일례에서, LAA 송신을 위한 최소 CWS는 9 마이크로초(μs)일 수 있지만; CWS 및 MCOT(예를 들어, 송신 버스트)의 크기는 정부 규제 요건들에 기초할 수 있다.
LAA 메커니즘들은 LTE 어드밴스드 시스템들의 CA 기술들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CA에서, 각각의 집성된 캐리어는 CC로 지칭된다. CC는 1.4, 3, 5, 10, 15 또는 20 ㎒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고, 최대 5개의 CC들이 집성될 수 있고, 따라서 최대 집성된 대역폭은 100 ㎒이다. FDD 시스템들에서, 집성된 캐리어들의 수는 DL 및 UL에 대해 상이할 수 있는데, 여기서 UL CC들의 수는 DL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수 이하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개별 CC들은 다른 CC들과는 상이한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TDD 시스템들에서, CC들의 수뿐만 아니라 각각의 CC의 대역폭들은 통상적으로 DL 및 UL에 대해 동일하다.
CA는 또한 개별 CC들을 제공하기 위한 개별 서빙 셀(serving cell)들을 포함한다. 서빙 셀들의 커버리지는, 예를 들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의 CC들이 상이한 경로 손실을 경험할 것이기 때문에 상이할 수 있다. 1차 서비스 셀 또는 PCell은 UL 및 DL 둘 모두에 대한 PCC를 제공할 수 있고, RRC 및 NAS 관련 활동들을 핸들링할 수 있다. 다른 서빙 셀들은 SCell들로 지칭되고, 각각의 SCell은 UL 및 DL 둘 모두에 대한 개별 SCC를 제공할 수 있다. SCC들은 요구에 따라 추가되고 제거될 수 있는 반면, PCC를 변경하는 것은 UE(122)가 핸드오버를 겪을 것을 요구할 수 있다. LAA, eLAA, 및 feLAA에서, SCell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 있고("LAA SCell들"로 지칭됨), LAA SCell들은 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는 PCell에 의해 보조된다. UE가 하나 초과의 LAA SCell로 구성될 때, UE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상이한 PUSCH 시작 포지션들을 나타내는 UL 승인들을 구성된 LAA SCell들 상에서 수신할 수 있다.
PDSCH는 사용자 데이터 및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UE(122) 및 UE(120)에 운반한다. PDCCH는, 다른 것들 중에서, PDSCH 채널과 관련된 전송 포맷 및 자원 할당들에 관한 정보를 운반한다. 그것은 또한 업링크 공유 채널에 관련된 전송 포맷, 자원 할당, 및 HARQ 정보에 관해 UE(122) 및 UE(120)에 통지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다운링크 스케줄링(셀 내의 UE(120)에 제어 및 공유 채널 자원 블록들을 할당하는 것)은 UE(122) 및 UE(120)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 중 임의의 것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운링크 자원 할당 정보는 UE(122) 및 UE(120) 각각에 대해 사용되는(예를 들어, 그에 할당되는) PDC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CH는 CCE들을 사용하여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자원 요소들에 맵핑되기 전에, PDCCH 복소값 심볼들은 먼저 쿼드러플릿(quadruplet)들로 조직화될 수 있는데, 이들은 이어서 레이트 매칭을 위해 서브 블록 인터리버(sub-block interleaver)를 사용하여 치환될 수 있다. 각각의 PDCCH는 이들 CCE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CCE는 REG들로 알려진 4개의 물리적 자원 요소들의 9개의 세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4개의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심볼들이 각각의 REG에 맵핑될 수 있다. PDCCH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의 크기 및 채널 상태에 따라, 하나 이상의 CCE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이한 수들의 CCE들(예컨대, 집성 레벨, L = 1, 2, 4, 또는 8)로 LTE에서 정의된 4개 이상의 상이한 PDCCH 포맷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전술된 개념들의 확장인, 제어 채널 정보를 위한 자원 할당에 대한 개념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은 제어 정보 송신을 위해 PDSCH 자원들을 사용하는 EPDCCH를 활용할 수 있다. EPDCCH는 하나 이상의 ECCE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하게, 각각의 ECCE는 EREG들로 알려진 4개의 물리적 자원 요소들의 9개의 세트들에 대응할 수 있다. ECCE는 일부 상황들에서 다른 수들의 EREG들을 가질 수 있다.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는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100)이 LTE 시스템인 실시 형태들에서(예컨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106)가 EPC일 때), 인터페이스(130)는 X2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X2 인터페이스는 EPC에 접속하는 2개 이상의 RAN 노드들(예컨대, 2개 이상의 eNB들 등) 사이에서, 그리고/또는 EPC에 접속하는 2개의 eNB들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X2 인터페이스는 X2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X2-U) 및 X2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X2-C)를 포함할 수 있다. X2-U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흐름 제어 메커니즘들을 제공할 수 있고, eNB들 사이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에 관한 정보를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2-U는 MeNB로부터 SeNB에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특정 시퀀스 번호 정보;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SeNB로부터 UE(122)로의 PDCP PDU들의 성공적인 시퀀스 전달에 관한 정보; UE(122)로 전달되지 않았던 PDCP PDU들의 정보; UE 사용자 데이터로 송신하기 위한 Se NB에서의 현재 최소 원하는 버퍼 크기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X2-C는, 소스로부터 타겟 eNB들로의 콘텍스트 전송들, 사용자 평면 전송 제어 등을 포함하는 인트라-LTE(intra-LTE) 액세스 이동성 기능; 부하 관리 기능; 뿐만 아니라 인터-셀(inter-cell) 간섭 조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100)이 SG 또는 NR 시스템인 실시 형태들에서(예컨대, CN(106)이 SGC일 때), 인터페이스(130)는 Xn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Xn 인터페이스는 SGC에 접속하는 2개 이상의 RAN 노드들(예컨대, 2개 이상의 gNB들 등) 사이에서, SGC에 접속하는 RAN 노드(114)(예컨대, gNB)와 eNB 사이에서, 그리고/또는 5GC(예컨대, CN(106))에 접속하는 2개의 eNB들 사이에서 정의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Xn 인터페이스는 Xn 사용자 평면(Xn-U) 인터페이스 및 Xn 제어 평면(Xn-C)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Xn-U는 사용자 평면 PDU들의 비-보장된 전달을 제공하고 데이터 포워딩 및 흐름 제어 기능을 지원/제공할 수 있다. Xn-C는 관리 및 에러 핸들링 기능, Xn-C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기능; 하나 이상의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 사이의 접속 모드에 대한 UE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접속 모드(예컨대, CM-CONNECTED)에서의 UE(122)에 대한 이동성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성 지원은 오래된(소스) 서빙 RAN 노드(114)로부터 새로운(타겟) 서빙 RAN 노드(116)로의 콘텍스트 전송; 및 오래된(소스) 서빙 RAN 노드(114)와 새로운(타겟) 서빙 RAN 노드(116) 사이의 사용자 평면 터널들의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Xn-U의 프로토콜 스택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전송 계층 상에 구축된 전송 네트워크 계층, 및 사용자 평면 PDU들을 운반하기 위한 UDP 및/또는 IP 계층(들)의 상부 상의 GTP-U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Xn-C 프로토콜 스택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프로토콜(Xn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Xn-AP)로 지칭됨) 및 SCTP 상에 구축되는 전송 네트워크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SCTP는 IP 계층의 상부 상에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들의 보장된 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 IP 계층에서,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송신은 시그널링 PDU들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Xn-U 프로토콜 스택 및/또는 Xn-C 프로토콜 스택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사용자 평면 및/또는 제어 평면 프로토콜 스택(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R)AN(108)은 코어 네트워크 -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CN(106) - 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CN(106)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들(13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R)AN(108)을 통해 CN(106)에 접속되는 고객들/가입자들(예컨대, UE(122) 및 UE(120)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데이터 및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CN(106)의 컴포넌트들은 기계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적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FV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에 저장된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통해, 전술된 네트워크 노드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가상화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추가로 상세히 후술됨). CN(106)의 로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슬라이스(slice)로 지칭될 수 있고, CN(106)의 일부분의 로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서브슬라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NFV 아키텍처들 및 인프라구조들은, 산업-표준 서버 하드웨어, 저장 하드웨어, 또는 스위치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물리적 자원 상으로, 대안적으로는 사설 하드웨어(proprietary hardware)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가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NFV 시스템들은 하나 이상의 EPC 컴포넌트들/기능들의 가상 또는 재구성가능 구현들을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118)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IP 베어러 자원들(예를 들어, UMTS PS 도메인, LTE PS 데이터 서비스들 등)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요소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18)는 또한 EPC를 통해 UE(122) 및 UE(120)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들(예컨대, VoIP 세션들, PTT 세션들, 그룹 통신 세션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 등)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18)는 IP 통신 인터페이스(136)를 통해 CN(106)과 통신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에서, CN(106)은 SGC일 수 있고, (R)AN(116)은 NG 인터페이스(134)를 통해 CN(106)과 접속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에서, NG 인터페이스(134)는 2개의 부분들, 즉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와 UPF 사이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운반하는 NG 사용자 평면(NG-U) 인터페이스(126), 및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와 AMF들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S1 제어 평면(NG-C) 인터페이스(128)로 분할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에서, CN(106)은 SG CN일 수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들에서, CN(106)은 EPC일 수 있다. CN(106)이 EPC인 경우, (R)AN(116)은 S1 인터페이스(134)를 통해 CN(106)과 접속될 수 있다. 실시 형태들에서, S1 인터페이스(134)는 2개의 부분들, 즉,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와 S-GW 사이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운반하는 S1 사용자 평면(S1-U) 인터페이스(126), 및 RAN 노드(114) 또는 RAN 노드(116)와 MME들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S1-MME 인터페이스(128)로 분할될 수 있다.
도 2는 RRC 파라미터, txConfig(예컨대, 3GPP TS 38.331; 38.211; 및 38.214 참조)에 의해 나타내진 하나의 유형의 UL 송신 스킴인 코드북 기반 PUSCH 송신을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UE(202)는 제1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SRS 자원(204) 및 제2 SRS 자원(20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채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SRS 자원은 1개, 2개 또는 4개의 안테나 포트들을 가지며, 여기서 각각의 안테나 포트는 송신되는 기준 신호의 물리적 자원 위치를 표현한다. UE(202)는 또한, 송신된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ransmitted Precoding Matrix Indicator, TPMI) -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TPMI(214) 및 TPMI(216)를 포함함 - 와 연관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UE(202)가 네트워크와의 RRC 접속을 셋업하려고 시도할 때, UE(202)는 TPMI 능력 보고(210)를 gNB(208)에 제공하는데, 이는 나중에 설명된다. gNB(208)는 3GPP TS 38.21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DCI(212)를 통해, SRS 자원 표시자(SRS resource indicator, SRI) 및 TPMI 및 송신 랭크 표시자(transmit rank indicator, TRI)(즉, 프리코더 코드북 및 랭크로부터의 UE 프리코더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따라서, UE(202)는 이러한 UL 파라미터들과 일치하는 PUSCH 송신(218)을 수행한다.
UL 최대 송신 전력의 관점에서 NR 표준의 현재 상태는 하기와 같다. Rel-15에 대해, 최대 송신 전력이 비-제로 포트들/포트들의 총 개수에 의해 스케일링되기 때문에, 모든 포트들을 적용하지 않는 모든 TPMI는 전체 전력 송신을 지원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el-16에서, 전체 전력 송신은 비-가간섭성/부분-가간섭성 UE에 대해 조건부로 지원된다. 구체적으로, UL 전체 전력 송신 모드 1(즉, ULFPTxModes=Mode1) 동안, 새로운 TPMI를 기존의 SRS 구성을 갖는 새로운 CodebookSubset에 추가하였다. UL 송신 모드 2(즉, ULFPTxModes=Mode2) 동안, 기존의 CodebookSubset가 있지만(예컨대, 3GPP TS 38.331 참조), SRS 자원 세트는 상이한 수의 포트들을 갖는 SRS 자원을 갖도록 허용되고, UE는 전체 전력 UL Tx를 지원하는 TPMI들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는 어느 TPMI가 전체 전력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관점에서 4개의 포트들에 대한 모드 2 접근법을 도시한다. UE는 대역 조합에 따라 TPMI 그룹을 나타내도록 허용된다. 소위 그룹 선택은 하기와 같이 제한된다. 2개의 포트들에 대해: UL 전체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TPMI(들)를 나타내기 위해 2개의 비트들(즉, 비트 맵)이 사용된다. 4개의 포트들에 대해, 비-가간섭성을 위해 2개의 비트들이 사용되며; 부분-가간섭성을 위해 4개의 비트들이 사용된다.
TPMI 능력 보고
능력 보고 정보에서, UE는 제1 실시 형태에서 그것이 4-포트 전체-가간섭성 동작을 지원함을 보고한다. UE는 또한, 그것이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를 지원함을 나타낸다. 이어서, 동일한 능력 보고에서, UE는 UE에 대한 다른 가능한 RAN(예컨대, gNB) 구성들에 대한 모든 실행가능한 TPMI 능력들을 동시에 보고하는데, 이는 능력 보고 시에, UE가 gNB 구성이 무엇일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gNB가 제1 실시 형태에서 UE에 대한 다운그레이드 구성을 확립할 수 있기 때문에, UE는 UE가 지원할 수 있는 하기의 3개의 가능한 gNB 구성들을 보고한다. 구체적으로, UE는 (a) gNB가 UE를 부분/전체-가간섭성 4-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하는 가능한 상황을 수용하기 위한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예컨대, G0 내지 G6에서의 TPMI 그룹 선택), (b) gNB가 UE를 비-가간섭성 4-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하는 가능한 상황을 수용하기 위한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예컨대, G0 내지 G3에서의 TPMI 그룹 선택), 및 (c) gNB가 UE를 비-가간섭성/가간섭성 2-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하는 가능한 상황을 수용하기 위한 2-포트 비-가간섭성(2-비트) 비트맵을 보고한다.
UE가 보고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보고된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으로부터 비-가간섭성 TPMI들을 취함으로써, 폴백(fall back)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포트 부분-가간섭성 동작들(즉, G0 내지 G6)에 대해 보고된 TPMI 목록 내의 비-가간섭성 TPMI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그것이 gNB에 의해 4-포트 비-가간섭성 동작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때, UE는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즉, G0 내지 G3)을 보고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 UE가 그것이 4-포트 부분-가간섭성 동작을 지원함을 보고할 때, UE는 하기의 항목들을 동시에 보고한다: (a) UE가 부분-가간섭성 4-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한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b) UE가 비-가간섭성/가간섭성 2-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한 2-포트 비-가간섭성 비트맵, 및 (c) UE가 비-가간섭성 4-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한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UE가 보고하지 않는 경우, 즉 보고된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으로부터 비-가간섭성 TPMI들을 취함으로써, 폴백이 사용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 UE가 그것이 4-포트 비-가간섭성 동작을 지원함을 보고할 때, UE는 하기의 항목들을 동시에 보고한다: (a) UE가 비-가간섭성 4-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한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b) UE가 비-가간섭성 2-포트 코드북 PUSCH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한 2-포트 비-가간섭성 비트맵.
제4 실시 형태에서, UE가 그것이 (가간섭성이든 비-가간섭성이든) 2-포트 동작을 지원함을 보고할 때, UE는 UE가 비-가간섭성/가간섭성 2-포트 코드북 기반 PUSCH로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한 2-포트 비-가간섭성 비트맵을 동시에 보고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 UE가 그것이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를 지원함을 보고할 때, UE는 임의의 추가적인 전체 전력 TPMI의 지원 없이, UE가 SRS 향상만을 지원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하기의 옵션들이 이용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서, UE는 "널(null)"과 같은 예약된 값을 코드포인트들 중 하나로서 보고한다. 예를 들어, 2-포트 TPMI의 경우, 비트맵 (0, 0)이 사용될 수 있다.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의 경우, (0 내지 15 중의) 예약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UE는 대응하는 TPMI 목록/비트맵을 보고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에서, (예컨대, 2-포트, 4-포트 비-가간섭성,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을 위해) 3-비트 비트맵 설계가 제공된다.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에 대한 TPMI 목록 향상
도 4a는 도 3a의 주석이 달린 버전이며, 도 3b를 참조하여 이전에 도시되고 기술된 현재 TPMI 목록 설계에서의 문제들을 도시한다. 도 4a의 테이블의 제3 열은 일부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 아키텍처가 비-가간섭성만을 위해 지원되고, 일부 PA 아키텍처가 부분-가간섭성만을 위해 지원됨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23, 17, 23, 17] 및 [23, 23, 23, 17]은 비-가간섭성 시스템들만을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20, 17, 20, 17] 및 [20, 20, 20, 20]은 부분-가간섭성 시스템들만을 위한 것이다.
도 4b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에 대해, PA 아키텍처 [23, 17, 23, 17] dBm을 위한 전체 전력 송신을 지원하는 TPMI를 도시한다. 하기의 실시 형태들은 이러한 지원을 도입하기 위한 실시예들로서 제공된다. 제1 실시 형태는 도 4b의 TPMI 목록을 포함하기 위해 G1 정의를 변경하는 것을 수반한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4b의 TPMI 목록을 포함하기 위해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새로운 그룹은 G1+G4와 동등하다. 제3 실시 형태는 UE가 그것이 하나 초과의 TPMI 그룹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것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최대 2개의 TPMI 그룹들이 소정 제약들을 갖는 채로 지원될 수 있다.
도 4c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에 대해, PA 아키텍처 [23, 23, 23, 17] dBm을 위한 전체 전력 송신을 지원하는 TPMI를 도시한다. 하기의 실시 형태들은 이러한 지원을 도입하기 위한 실시예들로서 제공된다. 제1 실시 형태는 도 4c의 TPMI 목록을 포함하기 위해 G2 정의를 변경하는 것을 수반한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4c의 TPMI 목록을 포함하기 위해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새로운 그룹은 G2+G4 또는 G2+G5와 동등하다. 제3 실시 형태는 UE가 그것이 하나 초과의 TPMI 그룹을 지원함을 나타내는 것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최대 2개의 TPMI 그룹들이 소정 제약들을 갖는 채로 지원될 수 있다.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한 TPMI 목록 향상
도 5a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해, PA 아키텍처 [20, 17, 20, 17] dBm을 위한 전체 전력 송신을 지원하는 TPMI를 도시한다. 하기의 실시 형태들은 이러한 지원을 도입하기 위한 실시예들로서 제공된다. 제1 실시 형태는 도 5a의 TPMI 목록을 포함하기 위해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새로운 그룹은 비-가간섭성 TPMI만을 갖는 G4와 동등하다. 제2 실시 형태는 UE가 그것이 G4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것을 수반한다. 비-가간섭성 TPMI만이 G4로부터 취해진다.
도 5b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해, PA 아키텍처 [20, 20, 20, 20] dBm을 위한 전체 전력 송신을 지원하는 TPMI를 도시한다. 하기의 실시 형태들은 이러한 지원을 도입하기 위한 실시예들로서 제공된다. 제1 실시 형태는 도 5b의 TPMI 목록을 포함하기 위해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는 것을 수반한다. 새로운 그룹은 비-가간섭성 TPMI만을 갖는 G6와 동등하다. 제2 실시 형태는 UE가 그것이 G6를 지원함을 나타내는 것을 수반한다. 비-가간섭성 TPMI만이 G6으로부터 취해진다.
도 6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에 따른, 기계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기계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6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606)(또는 프로세서 코어들), 하나 이상의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614),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자원들(624)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자원들(602)의 도식적 표현을 도시하며, 이들은 각각 버스(616)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노드 가상화(예를 들어, NFV)가 이용되는 실시 형태들의 경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서브슬라이스들이 하드웨어 자원들(602)을 이용하기 위한 실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하이퍼바이저(622)가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606)(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예컨대 기저대역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또 다른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608) 및 프로세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614)은 메인 메모리, 디스크 저장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614)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소 등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자원들(624)은 네트워크(618)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들(604)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들(620)과 통신하기 위한 상호접속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자원들(624)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커플링하기 위한) 유선 통신 컴포넌트들,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들, NFC 컴포넌트들, Bluetooth® 컴포넌트들(예컨대, 저전력 Bluetooth®),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612)은 프로세서들(606) 중 적어도 임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방법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앱, 또는 다른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612)은 프로세서들(606)(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내의 것),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614),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더욱이, 명령어들(612)의 임의의 부분은 주변 디바이스들(604) 또는 데이터베이스들(620)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하드웨어 자원들(602)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들(606)의 메모리,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614), 주변 디바이스들(604), 및 데이터베이스들(620)은 컴퓨터 판독가능 및 기계 판독가능 매체들의 예들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들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 기재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실시예 섹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 기법들, 프로세스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저대역 회로부는 아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기지국, 네트워크 요소 등과 연관된 회로부는 아래의 실시예 섹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섹션
다음 실시예들은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은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PMI) 목록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는 능력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및 상기 능력 보고를 무선 액세스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
실시예 6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
실시예 7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
실시예 8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
실시예 9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능력 보고에, 2개의 다른 선택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0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능력 보고에, 또 다른 선택으로부터의 TPMI의 서브세트를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1은 실시예 1의 방법으로서, 상기 능력 보고에, 다수의 TPMI 그룹 선택들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실시예 12는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PMI) 목록 시그널링에서 전체 전력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노드(RA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한 코드북 기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의 능력 보고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 상기 능력 보고는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및 상기 UE로,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해 상기 UE를 구성하는 TPMI 표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13은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14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15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16은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임의의 부분-가간섭성 TPMI들을 배제한 TPMI 그룹 선택에 기초한다.
실시예 17은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한다:
Figure pct00005
.
실시예 18은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한다:
Figure pct00006
.
실시예 19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표현한다:
Figure pct00007
.
실시예 20은 실시예 12의 방법으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한다:
Figure pct00008
.
실시예 21은 사용자 장비(UE)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PMI) 목록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는 능력 보고를 생성하게 하고 -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상기 능력 보고를 무선 액세스 노드로 송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실시예 22는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23은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24는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25는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
실시예 26은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
실시예 27은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
실시예 28은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
실시예 29는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능력 보고에, 2개의 다른 선택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도록 상기 컴퓨터를 추가로 구성한다.
실시예 30은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능력 보고에, 또 다른 선택으로부터의 TPMI의 서브세트를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도록 상기 컴퓨터를 추가로 구성한다.
실시예 31은 실시예 21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능력 보고에, 다수의 TPMI 그룹 선택들을 포함시키도록 상기 컴퓨터를 추가로 구성한다.
실시예 32는 무선 액세스 노드(RAN)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PMI) 목록 시그널링에서 전체 전력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한 코드북 기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의 능력 보고를 프로세싱하게 하고 - 상기 능력 보고는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및 상기 UE로,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해 상기 UE를 구성하는 TPMI 표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게 한다.
실시예 33은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34는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35는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낸다.
실시예 36은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임의의 부분-가간섭성 TPMI들을 배제한 TPMI 그룹 선택에 기초한다.
실시예 37은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한다:
Figure pct00013
.
실시예 38은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한다:
Figure pct00014
.
실시예 39는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표현한다:
Figure pct00015
.
실시예 40은 실시예 32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한다:
Figure pct00016
.
실시예 1C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기술되거나 그와 관련된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C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어들은, 전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명령어들의 실행 시에,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 3C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모듈들, 또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C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 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C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들, 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한다.
실시예 6C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7C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또는 본 발명에서 달리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그램, 패킷, 프레임, 세그먼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또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8C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또는 본 발명에서 달리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로 인코딩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9C는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 또는 부분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또는 본 발명에서 달리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그램, 패킷, 프레임, 세그먼트, PDU, 또는 메시지로 인코딩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0C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반송하는 전자기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의 실행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들, 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1C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세싱 요소에 의한 프로그램의 실행은, 프로세싱 요소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 또는 그의 일부들에서 설명되거나 그에 관련된 바와 같은 방법, 기법들, 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2C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3C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4C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5C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은 달리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또는 실시예들의 조합)와 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총망라하거나 또는 실시예들의 범주를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및 변형들이 위의 교시들을 고려하여 가능하거나 또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실시예들 및 구현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기계 실행가능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들(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 로직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이 특정 실시예들의 설명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단일 시스템들로 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들로 부분적으로 조합되거나, 다수의 시스템들로 분할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들로 분할 또는 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예의 파라미터들, 속성들, 측면들 등이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파라미터들, 속성들, 측면들 등은 단지 명확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며,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부인되지 않는 한, 파라미터들, 속성들, 측면들 등이 다른 실시예의 파라미터들, 속성들, 측면들 등과 조합되거나 그들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개인 식별가능 정보의 사용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정부 요건들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 잘 이해된다. 특히, 개인 식별가능 정보 데이터는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사용의 위험들을 최소화하도록 관리되고 취급되어야 하며, 인가된 사용의 성질이 사용자들에게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이 명료함의 목적들을 위해 일부 세부사항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 변화들 및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들 및 장치들 둘 모두를 구현하는 많은 대안적인 방식들이 존재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설명은 본 명세서에 주어진 세부사항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및 등가물들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Claims (40)

  1.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ransmit precoding matrix indicator, TPMI) 목록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는 능력 보고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coherency)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및
    상기 능력 보고를 무선 액세스 노드(radio access node, RAN)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내는, 방법:
    Figure pct00017
    .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내는, 방법:
    Figure pct00018
    .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방법:
    Figure pct00019
    .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방법:
    Figure pct00020
    .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에, 2개의 다른 선택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에, 또 다른 선택으로부터의 TPMI의 서브세트를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에, 다수의 TPMI 그룹 선택들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PMI) 목록 시그널링에서 전체 전력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노드(RAN)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한 코드북 기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의 능력 보고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 상기 능력 보고는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및
    상기 UE로,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해 상기 UE를 구성하는 TPMI 표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임의의 부분-가간섭성 TPMI들을 배제한 TPMI 그룹 선택에 기초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하는, 방법:
    Figure pct00021
    .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하는, 방법:
    Figure pct00022
    .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표현하는, 방법:
    Figure pct00023
    .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하는, 방법:
    Figure pct00024
    .
  21. 사용자 장비(UE)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PMI) 목록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는 능력 보고를 생성하게 하고 -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상기 능력 보고를 무선 액세스 노드로 송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25
    .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26
    .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27
    .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보고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28
    .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능력 보고에, 2개의 다른 선택들의 조합을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도록 상기 컴퓨터를 추가로 구성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능력 보고에, 또 다른 선택으로부터의 TPMI의 서브세트를 표현하는 선택을 포함하는 8개 이상의 선택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TPMI 그룹 선택을 포함시키도록 상기 컴퓨터를 추가로 구성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능력 보고에, 다수의 TPMI 그룹 선택들을 포함시키도록 상기 컴퓨터를 추가로 구성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무선 액세스 노드(RAN)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모드 2 송신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TPMI) 목록 시그널링에서 전체 전력 송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한 코드북 기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UE)로부터의 능력 보고를 프로세싱하게 하고 - 상기 능력 보고는 상기 UE의 의도된 TPMI 구성 및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최대 포트 및 원하는 가간섭성 능력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더 적은 포트들 및 비-가간섭성 능력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대응함 -;
    상기 UE로, 상기 전체 전력 송신을 위해 상기 UE를 구성하는 TPMI 표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부분-가간섭성 또는 전체-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 및 4-포트 부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4-포트 비-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 및 4-포트 비-가간섭성 TPMI 목록 인덱스를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된 TPMI 구성은 2-포트 비-가간섭성 또는 가간섭성 UE에 대응하고,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2-포트 구성을 지원하기 위한 2-비트 비트맵을 나타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그레이드 TPMI 구성은 임의의 부분-가간섭성 TPMI들을 배제한 TPMI 그룹 선택에 기초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29
    .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부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30
    .
  39.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표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31
    .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TPMI 표시는 4-포트 비-가간섭성 UE를 위한 하기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들을 표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igure pct00032
    .
KR1020237004233A 2020-08-06 2021-04-13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tpmi 목록 시그널링 향상 KR20230047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511 2020-08-06
CNPCT/CN2020/107511 2020-08-06
PCT/CN2021/086814 WO2022027997A1 (en) 2020-08-06 2021-04-13 Full power transmission mode 2 tpmi list signaling enhanc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380A true KR20230047380A (ko) 2023-04-07

Family

ID=8011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233A KR20230047380A (ko) 2020-08-06 2021-04-13 전체 전력 송신 모드 2 tpmi 목록 시그널링 향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60311A1 (ko)
EP (1) EP4169173A4 (ko)
KR (1) KR20230047380A (ko)
CN (1) CN116134741A (ko)
WO (1) WO2022027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54655A1 (en) * 2022-10-10 2024-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ul codeboo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9584B2 (en) * 2016-12-22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MIMO codebook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7023970B2 (ja) * 2017-03-31 2022-02-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データ転送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9095181A1 (en) * 2017-11-16 2019-05-23 Lenovo (Beijing) Limited Determining a tpmi for a codebook set
CA3030799C (en) * 2017-12-07 2021-06-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uplink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WO2020167069A1 (ko) * 2019-02-14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전송을 위한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142774A1 (zh) * 2020-01-17 2021-07-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60311A1 (en) 2022-11-10
EP4169173A1 (en) 2023-04-26
EP4169173A4 (en) 2023-12-13
CN116134741A (zh) 2023-05-16
WO2022027997A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270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eam failure recovery for multi-dci mode
WO2022027997A1 (en) Full power transmission mode 2 tpmi list signaling enhancement
US20220312248A1 (en) Measurement objects merging for nr unlicensed spectrums
WO2022205322A1 (en) Cross-mode coordination and mode 1 support for inter-ue coordination
JP7474863B2 (ja) マルチビーム通信のための制御メッセージング
WO2022028001A1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reliability enhancement
US11997591B2 (en) Enhanced initial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22205363A1 (en) Inter-ue coordination for on-demand sensing
US11902937B2 (en) Wake-up signal (WUS) design and configuration for paging
US20240023169A1 (en) Reducing likelihood of rach transmission blockages for nr-u operation
WO2021227014A1 (en) Enhanced initial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
WO2021227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signaling for beam searching latency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