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791A -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6791A KR20230046791A KR1020210130260A KR20210130260A KR20230046791A KR 20230046791 A KR20230046791 A KR 20230046791A KR 1020210130260 A KR1020210130260 A KR 1020210130260A KR 20210130260 A KR20210130260 A KR 20210130260A KR 20230046791 A KR20230046791 A KR 202300467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uffer water
- buffer
- soluble fluid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ogen oxide Inorganic materials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um chloride Substances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197 Laryn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51 bronch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class [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로 연결되며 수용성유체를 이송하는 이송배관과, 내부에 플랜지를 감싸며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부에 완충수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박스와, 밀폐박스로 완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배관과, 완충수의 온도와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밀폐박스 또는 순환배관에 연결되어 완충수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센서부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배출배관을 통하여 밀폐박스 또는 순환배관 내부의 완충수를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로 연결되며 수용성유체를 이송하는 이송배관과, 내부에 플랜지를 감싸며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부에 완충수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박스와, 밀폐박스로 완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배관과, 완충수의 온도와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밀폐박스 또는 순환배관에 연결되어 완충수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센서부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배출배관을 통하여 밀폐박스 또는 순환배관 내부의 완충수를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을 이동하는 수용성유체의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각종 엔진은 연료를 연소하여 동력을 생성하며,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대기오염이 증가함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도 유엔 산하기관인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로부터 배출규제를 받고 있다. 실제, 국제해사기구는 2008년 대비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2030년까지 40% 줄이고, 2050년까지 70% 줄이는 것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저탄소 또는 탈탄소 연료를 이용하여 동력을 생성하는 친환경 선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차세대 친환경 연료 중 하나로 연소 시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없는 액상 암모니아가 대두되고 있다.
액상 암모니아는 수소에 비해 제조, 저장, 수송의 과정이 단순하고 폭발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낮은 장점이 있으나, 염기성을 띠기 때문에 생체 조직에 자극적인 단점이 있다. 신체가 암모니아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눈, 간, 폐, 신장 등 피부 조직이 손상될 수 있으며, 호흡기관을 통해 흡입할 경우, 후두염, 기관지염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탱크에 저장된 액상 암모니아가 배관을 통해 이송될 때 수용성유체인 암모니아의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송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을 이동하는 수용성유체의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로 연결되며 수용성유체를 이송하는 이송배관과, 내부에 상기 플랜지를 감싸며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완충수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박스와, 상기 밀폐박스로 상기 완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배관과, 상기 완충수의 온도와 상기 완충수에 용해된 상기 수용성유체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밀폐박스 또는 상기 순환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수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완충수의 온도 또는 상기 완충수에 용해된 상기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배관을 통하여 상기 밀폐박스 또는 상기 순환배관 내부의 상기 완충수를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박스는 복수 개가 상기 플랜지마다 형성되며, 상기 순환배관은 복수 개의 상기 밀폐박스를 연결하는 폐루프 사이클을 구성하여 상기 완충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성유체는 암모니아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은, 상기 밀폐박스 또는 상기 순환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수를 유입하는 유입배관과, 상기 순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수를 가압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박스는, 상기 이송배관과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 중 상측을 덮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나머지를 덮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접촉면 중 적어도 일 면에 결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싱신호가 전달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수용성유체의 누출 시, 수용성유체가 밀폐박스 내부에 채워진 완충수에 용해되면서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제어부가 수용성유체의 누출을 즉각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수용성유체가 용해된 완충수가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므로, 수용성유체를 연료로 하는 엔진의 가동을 정지할 필요 없이 수용성유체의 누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경보도 발생되므로 작업자가 누출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로 인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밀폐박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밀폐박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은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용성유체를 엔진에 공급하는 장치로, 여기서, 수용성유체라 함은, 물에 잘 용해되고 독성이 있어 누출 시 인명 사고를 유발하는 가스 상태의 유체, 예를 들어, 암모니아일 수 있다. 이하, 수용성유체가 암모니아인 것으로 한정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은 이송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수용성유체의 누출 시, 수용성유체가 밀폐박스 내부에 채워진 완충수에 용해되면서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제어부가 수용성유체의 누출을 즉각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수용성유체가 용해된 완충수가 배출배관을 통해 배출되므로, 수용성유체를 연료로 하는 엔진의 가동을 정지할 필요 없이 수용성유체의 누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경보도 발생되므로 작업자가 누출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로 인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밀폐박스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1)은 이송배관(10)과, 적어도 하나의 밀폐박스(20)와, 순환배관(30)과, 센서부(40)와, 배출배관(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이송배관(10)은 저장탱크(T1)에 저장된 수용성유체를 엔진(EG)에 이송하는 관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1)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송배관(10)은 적어도 일단부에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인접한 이송배관(10)의 플랜지(11)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수용성유체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저장탱크(T1)와 엔진(EG) 사이에 4개의 이송배관(10)이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이송배관(10)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송배관(10)에 형성된 플랜지(11)는 밀폐박스(20)에 의해 감싸진다.
밀폐박스(20)는 내부에 플랜지(11)를 감싸며 밀폐된 수용공간(20a)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수용공간(20a) 내부에 완충수가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완충수라 함은, 수용성유체의 독성을 희석할 수 있는 물을 통칭하며, 예를 들어, 청수(fresh water)일 수 있다. 밀폐박스(20) 내부에 플랜지(11)를 감싸는 수용공간(20a)이 형성되고 수용공간(20a)에 완충수가 채워짐으로써, 플랜지(11) 사이로 누출된 수용성유체가 수용공간(20a)에 채워진 완충수에 용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용성유체가 이송배관(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용성유체의 외부 누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밀폐박스(20)는, 이송배관(10)과 플랜지(11)의 외주면 중 상측을 덮는 제1 하우징(21)과, 제1 하우징(21)에 결합되어 나머지를 덮는 제2 하우징(22), 및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의 접촉면 중 적어도 일 면에 결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탄성패드(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은 나사로 결합되어 원통,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루며, 탄성패드(23)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의 접촉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완충수의 유출입을 위한 유입구(21a)와 유출구(2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21a)와 유출구(22a)에는 각각 후술할 순환배관(30)이 연결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하우징(21)에 유입구(21a)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22)에 유출구(22a)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유입구(21a)와 유출구(22a)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22)에 유입구(21a)가 형성되고 제1 하우징(21)에 유출구(22a)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하우징(21)과 제2 하우징(22) 중 어느 하나에 유입구(21a)와 유출구(22a)가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밀폐박스(20)는 복수 개가 플랜지(11)마다 형성되며, 순환배관(3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순환배관(30)은 밀폐박스(20)로 완충수를 순환시키는 관으로, 복수 개의 밀폐박스(20)를 연결하는 폐루프 사이클을 구성하여 완충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밀폐박스(20)는 순환배관(30)의 의해 서로 연결되어 완충수가 폐루프 사이클을 구성하며 순환할 수 있다. 순환배관(30) 상에는 완충수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31)가 설치되므로, 완충수는 용이하게 순환할 수 있다. 순환배관(30)이 복수 개의 밀폐박스(2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순환되는 완충수를 통해 수용성유체의 누출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밀폐박스(20)에 완충수를 일괄적으로 유입 또는 유출시킬 수 있어 장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다. 순환배관(30) 상에는 센서부(40)가 설치된다.
센서부(40)는 완충수의 온도와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로, 온도센서와 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성유체가 누출되어 완충수에 용해된 경우, 완충수의 온도가 증가하거나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센서부(40)는 이를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후술할 제어부(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센서부(40)가 최후방에 배치된 밀폐박스(20)에 연결되어 완충수를 배출시키는 순환배관(30) 상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센서부(4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밀폐박스(20) 또는 순환배관(30)에는 배출배관(50)과 유입배관(70)이 연결될 수 있다. 배출배관(50)은 밀폐박스(20) 또는 순환배관(30) 내부의 완충수를 배출하는 관으로, 일단이 밀폐박스(20) 또는 센서부(40) 후단의 순환배관(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암모니아수용액탱크(T2)에 연결되어 완충수를 암모니아수용액탱크(T2)로 배출할 수 있다. 유입배관(70)은 밀폐박스(20) 또는 순환배관(30)으로 완충수를 유입하는 관으로, 일단이 밀폐박스(20) 또는 배출배관(50) 후단의 순환배관(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청수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 또는 조수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완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배출배관(50)이 센서부(40) 후단의 순환배관(30)에 연결되고, 유입배관(70)이 배출배관(50) 후단의 순환배관(30)에 연결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배출배관(50)과 유입배관(70)은 각각 순환배관(30)에 연결되고, 배출배관(50)과 유입배관(70) 사이의 순환배관(30) 상에는 완충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밸브(3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배관(50)과 유입배관(70) 상에는 각각, 제1 제어밸브(32)와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완충수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밸브(51)와 제3 제어밸브(7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32)와 제2 제어밸브(51), 및 제3 제어밸브(71)는 제어부(60)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센서부(40)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배출배관(50)을 통하여 밀폐박스(20) 또는 순환배관(30) 내부의 완충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11) 사이로 수용성유체가 누출되지 않으면, 순환배관(30)을 순환하는 완충수의 온도 또는 순환배관(30)을 순환하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어부(60)는 제1 제어밸브(32)를 개방하고 제2 제어밸브(51)와 제3 제어밸브(71)를 폐쇄하여 완충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60)는 완충수의 순환이 원활하도록 펌프(31)를 구동할 수 있다. 반대로, 플랜지(11) 사이로 수용성유체가 누출되어 수용공간(20a)에 채워진 완충수에 용해되면, 순환배관(30)을 순환하는 완충수의 온도 또는 순환배관(30)을 순환하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증가하므로, 제어부(60)는 제1 제어밸브(32)를 폐쇄하고 제2 제어밸브(51)와 제3 제어밸브(71)를 개방하여 순환하던 완충수를 배출시키고 새로운 완충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배출배관(50)을 통해 배출된 수용성유체가 용해된 완충수는 암모니아수용액탱크(T2)에 저장되어 선내 다양한 필요처에 활용될 수 있다. 새로운 완충수가 유입되어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다시 일정하게 유지되면, 제어부(60)는 제1 제어밸브(32)를 개방하고 제2 제어밸브(51)와 제3 제어밸브(71)를 폐쇄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60)가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가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를 바탕으로 완충수를 순환 또는 배출시킴으로써, 수용성유체의 누출 시 수용성유체를 연료로 하는 엔진(EG)의 가동을 정지할 필요 없이 수용성유체의 누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센서부(40)로부터 센싱신호가 전달되어 제어부(60)가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를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하면, 경보부(80)가 경음, 경광 등의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보부(80)는 제어부(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어부(60)를 통해 센서부(40)의 센싱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경보부(80)가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수용성유체의 누출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가스 누출로 인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1)은 이송배관(10)을 통해 이송되는 수용성유체의 누출 시, 수용성유체가 밀폐박스(20) 내부에 채워진 완충수에 용해되면서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높아지므로, 제어부(60)가 수용성유체의 누출을 즉각 인지할 수 있다. 특히, 수용성유체가 용해된 완충수가 배출배관(50)을 통해 배출되므로, 수용성유체를 연료로 하는 엔진(EG)의 가동을 정지할 필요 없이 수용성유체의 누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경보도 발생되므로 작업자가 누출 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가스 누출로 인한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수용성유체가 플랜지로 누출되지 않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수용성유체가 플랜지로 누출되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저장탱크(T1)에 저장된 수용성유체는 플랜지(11)로 연결된 복수 개의 이송배관(10)을 통해 엔진(EG)으로 공급되고, 각각의 플랜지(11)마다 형성된 밀폐박스(20) 내부에 채워진 완충수는 펌프(31)에 의해 가압되어 순환배관(30)을 통해 순환된다. 플랜지(11) 사이로 수용성유체가 누출되지 않는 경우, 센서부(40)에서 감지된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 때, 제어부(60)는 순환배관(30) 상에 설치된 제1 제어밸브(32)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배출배관(50)과 유입배관(70)에 각각 설치된 제2 제어밸브(51)와 제3 제어밸브(71)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여 완충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저장탱크(T1)에 저장된 수용성유체는 복수 개의 이송배관(10)을 통해 엔진(EG)으로 공급되고, 각각의 플랜지(11)마다 형성된 밀폐박스(20) 내부에 채워진 완충수는 펌프(31)에 의해 가압되어 순환배관(30)을 통해 순환된다. 플랜지(11) 사이로 수용성유체가 누출되는 경우, 수용성유체가 밀폐박스(20) 내부에 채워진 완충수에 용해되면서 센서부(40)에서 감지된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증가하여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어부(60)는 제1 제어밸브(32)를 폐쇄하고 제2 제어밸브(51)와 제3 제어밸브(71)를 각각 개방하여 순환하던 완충수를 배출배관(50)으로 배출시키고 유입배관(70)을 통해 새로운 완충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경보부(80)를 동작하여 경음, 경광 등의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새로운 완충수가 유입되어 완충수의 온도 또는 완충수에 용해된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다시 일정하게 유지되면, 제어부(60)는 제1 제어밸브(32)를 개방하고 제2 제어밸브(51)와 제3 제어밸브(71)를 폐쇄하여 완충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배출배관(50)을 통해 배출된 수용성유체가 용해된 완충수는 암모니아수용액탱크(T2)에 저장되어 선내 다양한 필요처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10: 이송배관 11: 플랜지
20: 밀폐박스 20a: 수용공간
21: 제1 하우징 22: 제2 하우징
23: 탄성패드 30: 순환배관
31: 펌프 32: 제1 제어밸브
40: 센서부 50: 배출배관
51: 제2 제어밸브 60: 제어부
70: 유입배관 71: 제3 제어밸브
80: 경보부
EG: 엔진 T1: 저장탱크
T2: 암모니아수용액탱크
10: 이송배관 11: 플랜지
20: 밀폐박스 20a: 수용공간
21: 제1 하우징 22: 제2 하우징
23: 탄성패드 30: 순환배관
31: 펌프 32: 제1 제어밸브
40: 센서부 50: 배출배관
51: 제2 제어밸브 60: 제어부
70: 유입배관 71: 제3 제어밸브
80: 경보부
EG: 엔진 T1: 저장탱크
T2: 암모니아수용액탱크
Claims (6)
-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로 연결되며 수용성유체를 이송하는 이송배관;
내부에 상기 플랜지를 감싸며 밀폐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완충수가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밀폐박스;
상기 밀폐박스로 상기 완충수를 순환시키는 순환배관;
상기 완충수의 온도와 상기 완충수에 용해된 상기 수용성유체의 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밀폐박스 또는 상기 순환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수를 배출하는 배출배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완충수의 온도 또는 상기 완충수에 용해된 상기 수용성유체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배관을 통하여 상기 밀폐박스 또는 상기 순환배관 내부의 상기 완충수를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박스는 복수 개가 상기 플랜지마다 형성되며,
상기 순환배관은 복수 개의 상기 밀폐박스를 연결하는 폐루프 사이클을 구성하여 상기 완충수를 순환시키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유체는 암모니아인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박스 또는 상기 순환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수를 유입하는 유입배관과,
상기 순환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수를 가압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박스는,
상기 이송배관과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 중 상측을 덮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어 나머지를 덮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접촉면 중 적어도 일 면에 결합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센싱신호가 전달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0260A KR20230046791A (ko) | 2021-09-30 | 2021-09-30 |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0260A KR20230046791A (ko) | 2021-09-30 | 2021-09-30 |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6791A true KR20230046791A (ko) | 2023-04-06 |
Family
ID=85918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0260A KR20230046791A (ko) | 2021-09-30 | 2021-09-30 |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4679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4009U (ko) | 2015-05-13 | 2016-11-2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가스누출 감지장치 |
-
2021
- 2021-09-30 KR KR1020210130260A patent/KR2023004679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4009U (ko) | 2015-05-13 | 2016-11-23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가스누출 감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39791B2 (ja) | 舶用scr還元剤供給システム | |
KR20200001353U (ko) | 선박 선상에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KR100558907B1 (ko) | 수중항해중의 배기배출구조를 갖는 잠수함 | |
CN106103267B (zh) | 潜水环境下的自主发电 | |
CN108271366B (zh) | 气体管道系统和包括气体管道系统的船舶 | |
WO2022210301A1 (ja) | 船舶 | |
JP2020524251A (ja) | ガス供給用の二重壁管を用いた空気循環システム及びその二重壁管を用いた空気循環方法 | |
KR20230046791A (ko) |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
CN207374605U (zh) | 无动力lng固定式加注船 | |
KR20230047842A (ko) | 수용성유체 이송시스템 | |
CN106438039A (zh) | 一种氢燃料发动机保护系统 | |
KR20140017153A (ko) |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장치 | |
JP2002372197A (ja) | 気体貯蔵システム | |
JP7343541B2 (ja) | 車両、及び船舶 | |
KR20230050073A (ko) | 가스누출 경보장치 | |
JP3986517B2 (ja) | バラスト水の加熱殺菌装置およびその加熱殺菌方法 | |
KR20230173434A (ko) | 누출 암모니아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 |
KR102498287B1 (ko) |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 |
KR20240146289A (ko) | 수용성유체 이송 시스템 | |
KR102234420B1 (ko) | 선박용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 |
JPH05116688A (ja) | ダブルハルタンカーの換気方法 | |
KR20230076898A (ko) | 선박의 암모니아 가스 처리시스템 | |
KR102538534B1 (ko) | 선박의 암모니아 처리 시스템 | |
KR20140004395U (ko) | 누수오염 방지장치 | |
KR102699796B1 (ko) |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