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607A - 천장 마감용 몰딩 - Google Patents

천장 마감용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607A
KR20230046607A KR1020210129786A KR20210129786A KR20230046607A KR 20230046607 A KR20230046607 A KR 20230046607A KR 1020210129786 A KR1020210129786 A KR 1020210129786A KR 20210129786 A KR20210129786 A KR 20210129786A KR 20230046607 A KR20230046607 A KR 20230046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molding
well
finishing
well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689B1 (ko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락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락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락소
Priority to KR102021012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689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물천장의 끝단에 간편하게 설치하며, 우물천장과 벽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마감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 마감용 몰딩{Moldings for finishing ceilings}
본 발명은 천장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물천장의 끝단에 간편하게 설치하며, 우물천장과 벽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마감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장에는 다양한 인테리어를 위해 목재, 보드 등을 이용하여 우물천장을 시공하고 있으며, 우물천장 시공시 끝단에 마감부재를 설치하여 벽면에 밀착시키고 있다.
또한, 우물천장과 같이 천장에 인테리어를 위해 시공된 다양한 부재들의 끝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마감부재에는 조명등 다양한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인테리어가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천정 그늘 몰딩재"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천정의 사방 테두리를 따라 벽면과의 경계부에의 미적 장식 효과를 높이고, 도배지의 끝단부 처리가 매끄럽고 도배 작업이 간편할 뿐 아니라 장착 상태가 견고하여 천정재등의 지지력이 큰 천정 그늘 몰딩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고 매우 튼튼하게 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석고보드의 측면에 천정 그늘 몰딩재가 설치되되, 석고보드지지부재가 하부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에 의한 단차가 발생하여 깔끔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벽면밀착수직부재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나사자리홈이 형성된 위치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하고 있으나, 벽면밀착수직부재의 두께가 얇은 상태에서 고정나사자리홈이 형성됨에 따라 강한 충격, 하중을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벽지, 천정벽지는 끝단이 절곡되어 벽지부착부재와 요철면에 밀착되고 있으나 벽지가 절곡된 상태에서 끝단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깔끔하게 마감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의 진동, 충격의 전달시 석고보드, 천정그늘 몰딩재의 흔들림, 진동 발생시 벽지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6707호(2004.03.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천장에 시공되는 우물천장과 벽면 사이의 공간을 간편하게 마감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몰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면과 우물천장에 간편하게 고정 및 설치할 수 있으며, 벽면과 우물천장 사이의 일정한 간격 내에서 탄성에 의해 위치이동을 통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몰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충격 및 진동 발생시 충격, 진동을 완충하여 상기 벽면 및 상기 우물천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동 및 충격에 의한 미세 이동을 통해 안정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몰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을 통해 다양한 인테리어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조명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빛의 확산 및 굴절을 통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천장 마감용 몰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물천장의 끝단에 설치되어 벽면과 우물천장 사이를 마감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에 있어서, 일면이 벽면에 밀착되고, 타면이 우물천장과 연결되는 몰딩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몰딩재는, 상기 벽면에 타면이 밀착되며, 일측방향 내부에 MDF몰딩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가 형성된 벽면밀착부재와, 상기 벽면밀착부재의 일측 하단에서 상기 우물천장을 향해 돌출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MDF몰딩이 삽입되는 제2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우물천장이 밀착되는 밀착판이 형성된 우물천장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판은 끝단이 상기 우물천장의 하단면 보다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우물천장에 시공되는 마감재의 끝단이 깔끔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는 마감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단에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한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가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면에는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하는 방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면밀착부재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끼움부와,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의 타면에 형성된 제2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에 타측단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끼움부에 일측단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조명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커버는, 일측단에서 타측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 또는 서로다른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끝단을 연결하며, 다수개의 상기 커버부재를 다양한 각도로 각각 조절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몰딩에 따르면, 벽면과 우물천장 양측을 결합하여 벽면과 우물천장 사이의 공간을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몰딩재는 벽면밀착부재와 우물천장밀착부재가 탄성력을 가지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의 충격, 진동 발생시 벽면과 우물천장으로 진동 및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완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 벽면과 우물천장이 미세하기 이동 시 상기 연결부재가 이에 맞춰 유동적으로 이동하여 이탈, 손상 및 파손없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DF모듈에 타카, 못 등을 통해 간편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물천장에 외면에 시공되는 마감재의 끝단을 용이하게 재단하여 테두리 부분의 들뜸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모듈을 통해 벽에 빛을 조사하여 부가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 가능하며, LED모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조사되는 빛의 확산, 다양한 각도로 굴절, 반사시켜 단순한 빛을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몰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커버의 각도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몰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몰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커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커버의 각도조절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장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물천장의 끝단에 간편하게 설치하며, 우물천장과 벽면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마감할 수 있는 천장 마감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우물천장(300)의 끝단에 설치되어 벽면(200)과 우물천장(300) 사이를 마감하는 몰딩재(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몰딩재(100)는 일면이 상기 벽면(200)에 밀착되고, 타면이 상기 우물천장(300)과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몰딩재(100)는 상기 벽면(200)과 상기 우물천장(300)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마감할 수 있도록 벽면밀착부재(110), 연결부재(120) 및 우물천장밀착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벽면밀착부재(110)는 상기 벽면(200)에 타면이 밀착되며, 일측방향 내부에 MDF몰딩(140)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일측 하단에서 상기 우물천장(300)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는 상기 연결부재(1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MDF몰딩(140)이 삽입되는 제2삽입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부(131)의 내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우물천장(300)이 밀착되는 밀착판(1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벽면밀착부재(110)는 상기 벽면(200)에 밀착 설치되고,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는 상기 우물천장(300)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와 우물천장밀착부재(130)를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벽면(200)과 상기 우물천장(300)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상기 벽면(200) 및 상기 우물천장(300) 사이의 공간을 깔끔하게 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벽면밀착부재(110)는 상기 MDF모듈(140)이 삽입되며, 상기 벽면(200)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벽면밀착부재(110)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타측면이 상기 벽면(200)에 밀착되고, 상,하단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MDF모듈(140)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111)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MDF모듈(140)에 타카, 못을 통해 상기 벽면(200)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타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벽면(20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MDF모듈(140)을 통해 상기 벽면밀착부재(1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을 지지하며, 타카 및 못 등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재(120)는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일측 하단에서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20)는 일정두께를 가지는 판재가 하나 또는 복수개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와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0)에 의해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와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부재(120)가 부가되어 다수개이 상기 연결부재(12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20)는 단일 또는 하나 이상이 양측단에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와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0)의 양측단에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한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안착홈(121)과, 상기 안착홈(121)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122)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120)의 양측단에는 상기 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20)의 중앙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형성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121)에 상기 탄성부재(122)를 결합하여 상기 안착홈(121)이 형성된 부분이 파손,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며 탄성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우물천장(300), 상기 벽면(200)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는 상기 우물천장(300)의 끝단, 즉 측면 테두리와 밀착되어 상기 우물천장(300)을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는 일측면이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와 밀착되고 내부에 제2삽입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MDF모듈(14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삽입부(131)는 제1돌출부재(131a), 제2돌출부재(131b) 및 안착판(13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재(131a)은 상기 연결부재(120)의 끝단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일면이 상기 우물천장(300)과 밀착된다.
상기 제2돌출부재(131b)는 상기 제1돌출부재(131a)의 일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재(131a)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기 제2돌출부재(131b)를 통해 상기 MDF모듈(140)이 삽입되는 공간인 상기 제2삽입부(131)를 형성한다.
상기 안착판(131c)는 상기 제1돌출부재(131a) 및 상기 제2돌출부재(131b)가 서로 마주보는 내면의 하단 및 중간에서 돌출되어 상기 MDF모듈(140)이 안착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판(131c)를 통해 상기 MDF모듈(140)의 상단과 하단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삽입부(131)는 상기 제1돌출부재(131a), 상기 제2돌출부재(131b) 및 상기 안착판(131c)를 통해 "
Figure pat00001
"단면형상을 형성하여 상기 MDF모듈(14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재(131b)의 하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우물천장(300)의 석고보드, 우드보드 등이 밀착되는 상기 밀착판(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판(132)은 끝단이 상기 우물천장(300)의 하단면 보다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우물천장(300)에 시공되는 마감재(170)의 끝단이 깔끔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는 마감돌기(13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돌출부재(131b), 상기 밀착판(132) 및 상기 마감돌기(133)는 하나의 판이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MDF모듈(140), 상기 우물천장(300) 및 상기 마감재(170)가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구분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삽입부(111)에 상기 MDF모듈(14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우물천장(30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64)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조명부(150)와, 상기 조명부(150)가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164)의 상단면에는 상기 조명부(15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하는 방열부(151)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조명부(150)는 상기 회전부재(164)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200)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상기 조명부(150)는 LED모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하거나, 레일방식의 LED모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64)의 상단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방열부(151)를 통해 상기 조명부(15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한다.
이를 통해 상기 벽면(200)과 상기 우물천장(300) 사이에서 상기 조명부(150)를 통해 빛을 조사하여 은은한 분위기 등의 인테리어를 연출하며, 상기 방열부(151)를 통해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끼움부(161)와,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의 타면에 형성된 제2끼움부(162)와, 상기 제1끼움부(161)에 타측단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끼움부(162)에 일측단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명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조명커버(16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끼움부(161)와 상기 제2끼움부(162)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끼움부(161)는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하단면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끼움부(162)는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의 타면에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제1끼움부(161) 및 상기 제2끼움부(162)는 "
Figure pat00002
"단면형상과 같이 일면이 개방되며, 끝단에 돌기가 형성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조명커버(16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커버(160)는 양측단에 상기 제1끼움부(161) 및 상기 제2끼움부(162)와 대응하는 형상을 통해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조명커버(16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160)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는 투명,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유리, 플라스틱,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조명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조명커버(160)를 통해 확산시켜 벽면의 넓은 면적에 빛을 조사하여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160)를 통해 상기 조명부(15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150)을 보호한다.
아울러, 상기 조명커버(160)는 다양한 색상, 패턴 등을 통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명커버(160)는 일측단에서 타측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 또는 서로다른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커버부재(163)와, 상기 커버부재(163)와 상기 커버부재(163)의 끝단을 연결하며, 다수개의 상기 커버부재(163)를 다양한 각도로 각각 조절하는 회전부재(16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버부재(163)는 상기 제1끼움부(161) 및 상기 제2끼움부(162) 사이의 공간에서 다수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164)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163)와 상기 커버부재(163)가 각도 조절가능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재(164)는 양측에서 상기 커버부재(163)가 끼움결합되며, 힌지축을 통해 억지 끼움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재(16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64)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강도를 가지는 금속,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양측에서 상기 커버부재(163)가 각각 끼움결합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6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64)는 상기 커버부재(163)와 상기 커버부재(163) 사이에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163)를 연결하며, 다수개의 커버부재(163)를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명부(150)에서 조사된 및은 상기 커버부재(163)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분산되어 빛을 이용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64)를 통해 그림자를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로 조사되는 빛을 뚜렷하게 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몰딩재(100)는 상기 벽면밀착부재(110), 상기 연결부재(120) 및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몰딩재(100)의 상기 제1삽입부(111) 및 상기 제2삽입부(131)에 형상에 맞는 상기 MDF모듈(140)을 각각 삽입한다.
이렇게 상기 MDF모듈(140)이 삽입된 상기 몰딩재(100)는 상기 벽면(200) 및 상기 우물천장(300)에 밀착한다.
즉, 상기 몰딩재(100)는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를 상기 우물천장(300)의 측면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우물천장(300)의 하단에 시공되는 석고보드, 우드보드 등의 끝단이 상기 밀착판(132)에 밀착된다.
이렇게 밀착된 상태에서 보드를 관통하여 상기 MDF모듈(140)을 향해 못, 타카 등을 시공하여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와 상기 우물천장(300)을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우물천장(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벽면밀착부재(110)가 상기 벽면(200)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일측에서 상기 MDF모듈(140)을 향해 못, 타카 등을 시공하여 상기 벽면(200)에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몰딩재(100)는 상기 벽면(200)과 상기 우물천장(300)에 각각 간편하게 고정되어 상기 벽면(200)과 상기 우물천장(300) 사이의 공간을 마감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몰딩재(100)에는 상기 조명부(150)을 통해 상기 벽면(200)을 향해 빛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조명부(150)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방열부(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조명부(150)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몰딩재(100)에는 상기 조명커버(160)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1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보호하며, 상기 조명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다양한 효과를 연출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63)는 다수개의 상기 커버부재(163)와 이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상기 회전부재(164)를 통해 각각의 상기 커버부재(163)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63)는 투명, 반투명, 색상 및 패턴 등을 형성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조명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연출하여 다양한 인테리어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0)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상기 벽면밀착부재(110) 및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하여 상호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진동에 의해 상기 벽면밀착부재(110) 및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가 일정범위 내에서 흔들리거나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재(120)는 탄성력에 의해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몰딩재
110: 벽면밀착부재 111: 제1삽입부
120: 연결부재 121: 안착홈
122: 탄성부재
130: 우물천장밀착부재 131:제2삽입부
131a: 제1돌출부재 131b: 제2돌출부재
131b: 안착돌기 132: 밀착판
133: 마감돌기
140: MDF모듈
150: 조명부 151: 방열부
160: 조명커버 161: 제1끼움부
162: 제2끼움부 163: 커버부재
164: 회전부재
200: 벽면
300: 우물천장

Claims (6)

  1. 우물천장의 끝단에 설치되어 벽면과 우물천장 사이를 마감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에 있어서,
    일면이 벽면(200)에 밀착되고, 타면이 우물천장(300)과 연결되는 몰딩재(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몰딩재(100)는,
    상기 벽면(200)에 타면이 밀착되며, 일측방향 내부에 MDF몰딩(140)이 삽입되는 제1삽입부(111)가 형성된 벽면밀착부재(110)와,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일측 하단에서 상기 우물천장(300)을 향해 돌출되는 연결부재(120)와,
    상기 연결부재(1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MDF몰딩(140)이 삽입되는 제2삽입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부(131)의 내측면에서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우물천장(300)이 밀착되는 밀착판(132)이 형성된 우물천장밀착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132)은 끝단이 상기 우물천장(300)의 하단면 보다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우물천장(300)에 시공되는 마감재(170)의 끝단이 깔끔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는 마감돌기(1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의 양측단에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한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안착홈(121)과,
    상기 안착홈(121)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12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20)의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조명부(150)와,
    상기 조명부(150)가 설치된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단면에는 상기 조명부(150)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하는 방열부(15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밀착부재(110)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끼움부(161)와,
    상기 우물천장밀착부재(130)의 타면에 형성된 제2끼움부(162)와,
    상기 제1끼움부(161)에 타측단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끼움부(162)에 일측단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조명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조명커버(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커버(160)는,
    일측단에서 타측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 또는 서로다른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커버부재(163)와,
    상기 커버부재(163)와 상기 커버부재(163)의 끝단을 연결하며, 다수개의 상기 커버부재(163)를 다양한 각도로 각각 조절하는 회전부재(16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용 몰딩.
KR1020210129786A 2021-09-30 2021-09-30 천장 마감용 몰딩 KR10263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86A KR102632689B1 (ko) 2021-09-30 2021-09-30 천장 마감용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86A KR102632689B1 (ko) 2021-09-30 2021-09-30 천장 마감용 몰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607A true KR20230046607A (ko) 2023-04-06
KR102632689B1 KR102632689B1 (ko) 2024-02-02

Family

ID=8591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786A KR102632689B1 (ko) 2021-09-30 2021-09-30 천장 마감용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6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707Y1 (ko) 2003-12-22 2004-04-01 김아름 천정 그늘 몰딩재
KR200487421Y1 (ko) * 2017-06-22 2018-09-13 (주)이노씨에스 스트레칭 시트 조명 시스템용 프로파일
KR102228150B1 (ko) * 2020-07-31 2021-03-16 주식회사 락소 조명매립이 간편한 히든 라인조명몰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707Y1 (ko) 2003-12-22 2004-04-01 김아름 천정 그늘 몰딩재
KR200487421Y1 (ko) * 2017-06-22 2018-09-13 (주)이노씨에스 스트레칭 시트 조명 시스템용 프로파일
KR102228150B1 (ko) * 2020-07-31 2021-03-16 주식회사 락소 조명매립이 간편한 히든 라인조명몰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689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32838A (ja) 照明装置
EP2650599A1 (en) Light source strip, lighting module and luminaire
US20220162856A1 (en) Configurable linear lighting module for suspended ceiling grid assemblies
KR102117794B1 (ko) Led조명등
KR20230046607A (ko) 천장 마감용 몰딩
JP7345307B2 (ja) 照明器具
KR101452873B1 (ko) 섬유질 원단과 투명판재로 조합된 교체형 투광판을 구비한 조명기구용 커버체
KR20090119572A (ko)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JP6998196B2 (ja) 間接照明構造
JP7108926B2 (ja) 照明装置
US11067232B2 (en) Modular ceiling kit
CN114364915A (zh) 具有用于在表面上发射光的区域的灯具
KR20220131641A (ko) 천장패널 마감용 히든몰딩
JPS6133151Y2 (ko)
KR102027503B1 (ko) 뒤틀림 방지형 사이드 커버를 갖는 엣지타입 평판 조명, 그리고 이를 위한 뒤틀림 방지형 사이드 커버 구조
JP2013214530A (ja) 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る照明装置
RU76041U1 (ru) Светопроницаемый стеклоблок для стен и витражей
KR20180031201A (ko) 슬림 매립등
CN111556946B (zh) 包括表面瓦片和照明设备的灯具
US20230288037A1 (en) Flush Glass Adjustable Lighting Fixture
JP7242465B2 (ja) 照明器具
KR20170000468U (ko) 엘이디 조명용 갓
JP2022022615A (ja) 照明器具
JP2023154116A (ja) 照明器具
JP2024041097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