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407A -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 - Google Patents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407A
KR20230046407A KR1020210129351A KR20210129351A KR20230046407A KR 20230046407 A KR20230046407 A KR 20230046407A KR 1020210129351 A KR1020210129351 A KR 1020210129351A KR 20210129351 A KR20210129351 A KR 20210129351A KR 20230046407 A KR20230046407 A KR 20230046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drone
delivery drone
fixing b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하늘
류은재
Original Assignee
윤하늘
류은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하늘, 류은재 filed Critical 윤하늘
Priority to KR1020210129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407A/ko
Publication of KR2023004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5/00Attitude, flight direction, or altitude control by jet reaction
    • B64C15/14Attitude, flight direction, or altitude control by jet reaction the jets being other than main propulsion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ys (AREA)

Abstract

배달박스(12)에 박스줄(14)이 결합된 배달대상(10)을 경기장에서 배달드론(100)으로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배달드론시스템은 본체(102)를 중심으로 블레이드(112)가 구비된 비행부(110)가 연이어져 형성되되, 비행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배달드론(100);
배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배달서버(400)로 배달대상(10)에 대한 주문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배달서버(400)로부터 배달대상(10)의 도착정보를 수신하는 주문자단말기(300);
상기 통신모듈으로부터 전송된 배달드론(100)의 비행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주문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달드론(100)을 제어하는 배달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Stadium Delivery Drone System}
본 발명은 경기장에서 배달박스에 박스줄이 결합된 배달대상을 배달드론으로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로드와 고정바가 배달드론의 본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배달드론에 강하게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배달드론의 본체에는 당김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배달드론의 추락이 방지 가능한 한편, 소정 각도로 회전한 회전로드가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복원되고, 회피센서에 의해 배달드론 근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에어노즐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드론(Drone; 무인비행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사회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환경이나 대형 비행체를 운용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무인 비행체인 드론의 활용성이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운송, 촬영, 산불감시, 안전진단 및 도로교통과 같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데에 활용된다.
한편, 최근 드론을 이용한 물품 배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배달 방법 및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일정 거리 이내의 배송지에 드론을 이용한 배달 시스템을 구축하면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신속한 배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드론을 이용하여 주문자의 근접한 위치에 물품을 배달하는 경우, 주문자가 악의적으로 또는 호기심으로 드론에 걸쳐진 물품을 강하게 당기는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드론이 비행 중인 상태에서 드론에 걸쳐진 물품을 강하게 당기면, 이로 인해 드론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항은 주문자에게 권고 사항으로 그칠 뿐, 결과적으로는 드론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요즘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야구장과 같은 경기장에서는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서 직접 매장을 방문해야 한다.
특히 사람이 많은 경기장 내에서 음식을 주문하면 기다리는 시간이 상당하여, 그동안은 경기를 관람할 수 없다.
또한, 통상적으로 경기장의 통로가 좁고 관중이 많기 때문에, 그 사이를 음식을 든 상태로 비집고 다시 좌석으로 돌아오기가 매우 곤란하다.
또한, 매장에서 직접 배달을 시행하더라도 배달원이 주문자의 좌석자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거나, 실수로 주문이 누락되는 경우 또한 빈번하다.
따라서, 경기장 내의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드론을 통해 신속한 배달이 가능한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635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회전로드와 고정바가 배달드론의 본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배달드론에 강하게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배달드론의 본체에는 당김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배달드론의 추락이 방지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각도로 회전한 회전로드가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복원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피센서에 의해 배달드론 근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에어노즐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달박스에 박스줄이 결합된 배달대상을 경기장에서 배달드론으로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체를 중심으로 블레이드가 구비된 비행부가 연이어져 형성되되, 비행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배달드론;
배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배달서버로 배달대상에 대한 주문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배달서버로부터 배달대상의 도착정보를 수신하는 주문자단말기;
상기 통신모듈으로부터 전송된 배달드론의 비행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주문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달드론을 제어하는 배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달드론은,
상기 배달드론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달드론의 본체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배달드론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피센서;
상기 배달드론의 비행부에 장착되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에어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피센서에 의해 배달드론 근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달박스에 결합된 박스줄의 일부 구간에는 충격완화스프링;이 개재되어 결합되며,
상기 충격완화스프링은 외부영향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상기 배달박스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달드론은,
상기 배달드론의 하부에 거치되는 배달대상을 주문자가 수령가능하도록 배출하는 배달대상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달대상 배출부는,
상기 배달드론의 본체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바;
상기 배달드론의 본체 하부에 결합되되, 하방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바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럭;
상기 배달드론의 본체 하부에 상기 가이드블럭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되, 수평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배달드론이 주문자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고정바를 관통공으로부터 인출하여 배달대상을 배출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달대상 배출부는,
상기 회전로드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삽입공의 내측에 결합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성을 띠는 전자석;
상기 전자석과 고정바 사이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연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럭과 고정블럭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배달드론이 주문자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전자석에 전류를 흘려 상기 고정바의 머리부를 전자석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바의 몸체부 단부가 고정블럭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주문자가 상기 배달대상을 수령하기 위해 수직하방향으로 박스줄을 당기면, 상기 회전로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바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바에 거치된 박스줄이 고정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달드론은,
일단은 상기 회전로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바가 가이드블럭 및 고정블럭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주문자가 상기 배달대상을 수령하기 위해 수직하방향으로 박스줄을 당긴 후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고정바는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시스템은 회전로드와 고정바가 배달드론의 본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배달드론에 강하게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배달드론의 본체에는 당김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배달드론의 추락이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 각도로 회전한 회전로드가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피센서에 의해 배달드론 근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에어노즐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의 배달대상 배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블럭의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의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의 정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가 관통공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의 배달대상 수령 시 고정바가 기울어지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요즘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야구장과 같은 경기장에서는 음식을 주문하기 위해서 직접 매장을 방문해야 한다.
특히 사람이 많은 경기장 내에서 음식을 주문하면 기다리는 시간이 상당하여, 그동안은 경기를 관람할 수 없다.
또한, 통상적으로 경기장의 통로가 좁고 관중이 많기 때문에, 그 사이를 음식을 든 상태로 비집고 다시 좌석으로 돌아오기가 매우 곤란하다.
또한, 매장에서 직접 배달을 시행하더라도 배달원이 주문자의 좌석자리를 제대로 찾지 못하거나, 실수로 주문이 누락되는 경우 또한 빈번하다.
이에 본 발명은 경기장 내의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드론을 통해 신속한 배달이 가능한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배달박스(12)에 박스줄(14)이 결합된 배달대상(10)을 경기장에서 배달드론(100)으로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의 배달대상 배출부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은 배달대상(10)을 배달하는 배달드론(100), 주문자단말기(300), 배달서버(4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배달대상(10)은 배달박스(12)에 복수 개의 박스줄(14)이 결합된 것을 말한다.
배달드론(100)은 본체(102)를 중심으로 블레이드(112)가 구비된 비행부(110)가 연이어져 형성된다.
배달드론(100)에는 비행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다.
주문자단말기(300)는 배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배달서버(400)로 배달대상(10)에 대한 주문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주문자단말기(300)는 배달서버(400)로부터 배달대상(10)의 도착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주문자는 주문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배달서버(400)는 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된 배달드론(100)의 비행정보를 송수신한다.
또한 배달서버(400)는 주문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배달드론(100)의 비행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100)은 제어부, 회피센서(120), 에어노즐(130), 배달대상 배출부(2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제어부는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내부에 구비되되 배달드론(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한다.
회피센서(120)는 경기장 내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공 또는 새와 배달드론(100)의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구비된다.
회피센서(120)는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상부에 장착된다.
회피센서(120)는 배달드론(100)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에어노즐(130)은 배달드론(100)의 비행부(110)에 장착되며,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회피센서(120)에 의해 배달드론(100) 근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에어노즐(130)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100)은 배달대상(10)의 수령을 위한 착륙장소가 따로 마련되지 않고, 계속 비행 중인 상태에서 배달대상(10)의 수령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경기 도중 날아가는 새 또는 타자가 친 공이 배달드론(100)으로 접근되는 것을 감지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배달드론(100)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배달대상(10)이 거치된 배달드론(100)이 비행 중에 공에 맞아 충돌사고가 발생한다면, 비행 영역 아래에 위치한 관중이 다칠 우려가 있다.
또한, 배달서버(400)는 배달드론(100)에 최단 비행경로 정보를 제공하며, 배달 드론의 비행 시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기장 벽면을 따라 비행하도록 관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시스템은 이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블럭의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럭의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가 관통공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달드론(100)의 배달대상(10) 수령 시 고정바가 기울어지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배달대상 배출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배달대상 배출부(200)는 배달드론(100)의 하부에 거치되는 배달대상(10)을 주문자가 수령 가능하도록 배출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달대상 배출부(200)는 회전로드(210), 고정바(220), 가이드블럭(230), 고정블럭(240), 전자석(250), 스프링(26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회전로드(210)는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일측에 결합된다.
고정바(220)는 회전로드(210)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가이드블럭(230)은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하부에 결합되며, 하방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232)이 형성되어, 제1 삽입공(232)에 삽입되는 고정바(220)를 지지한다.
고정블럭(240)은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하부에 가이드블럭(230)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고정블럭(240)은 수평방향으로 관통공(242)이 형성되어 관통공(242)에 삽입되는 고정바(220)의 단부를 지지한다.
이 때, 배달대상(10)의 박스줄(14)은 가이드블럭(230)과 고정블럭(240) 사이에서 고정바(220) 상에 걸쳐진다.
제어부는 배달드론(100)이 주문자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관통공(242)에 삽입된 고정바(220)를 관통공(242)으로부터 인출하여 배달대상(10)을 배출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고정바(220)가 고정블럭(240)의 관통공(242)에서 인출되면, 고정바(220) 상에 거치되어 있던 박스줄(14)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준비동작이다.
즉, 제어부는 비행중에는 고정바(220) 상에 거치되어 있는 박스줄(14)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바(220)의 단부를 관통공(242)에 삽입시키고, 주문자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고정바(220)의 단부를 관통공(242)으로부터 인출하여 박스줄(14)이 분리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고정바(220)가 관통공(242)으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전자석(250)은 회전로드(210)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삽입공(212)의 내측에 결합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성을 띤다.
스프링(260)은 전자석(250)과 고정바(220) 사이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고정바(220)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머리부(222)와 몸체부(224)로 구분된다.
머리부(222)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며, 몸체부(224)는 머리부(222)에 연이어져 가이드블럭(230)과 고정블럭(240)에 삽입 또는 분리된다.
고정바(220)의 머리부(222)와 전자석(250)이 짝을 이룬다.
제어부가 전자석(250)에 전류를 흘려주면 자성을 띠는 전자석(250)과 영구자석인 머리부(222)가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이 힘에 의해 고정바(220)의 머리부(222)가 전자석(250)을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전자석(250)과 고정부의 머리부(222)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260)은 압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배달드론(100)이 주문자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전자석(250)에 전류를 흘려 고정바(220)의 머리부(222)를 전자석(250)을 향해 이동시켜 스프링(260)을 압축시킴으로써, 고정바(220)의 몸체부(224) 단부가 고정블럭(24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고정바(220)의 몸체부(224) 단부가 고정블럭(240)의 관통공(242)으로부터 인출되면, 도 6이 도시하는 동작이 시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로드(210)는 본체(102)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이 때 주문자가 배달대상(10)을 수령하기 위해 수직하방향으로 박스줄(14) 또는 배달박스(12)를 잡아당기면, 회전로드(2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서 고정바(220)가 기울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220) 상에 걸쳐진 박스줄(14)은 고정바(220)가 기울어짐에 따라 고정바(220)로부터 미끄러져 분리되고, 배달대상(10)은 주문자에게 수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기장 내의 주문자의 위치에서 간편하게 주문 및 배달대상(10)을 수령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고정바(220)에 거치된 박스줄(14)을 주문자가 당김으로써 기울어진 고정바(220)는 비틀림스프링(104)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비틀림스프링(104)의 일단은 회전로드(2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본체(102)의 일측에 결합된다.
비틀림스프링(104)은 고정바(220)가 가이드블럭(230) 및 고정블럭(24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주문자가 배달대상(10)을 수령하기 위해 수직하방향으로 박스줄(14)을 당긴 후,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고정바(220)는 비틀림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바(220)는 비틀림스프링(104)에 의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어 수평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로드(210)와 고정바(220)가 배달드론(100)의 본체(102)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므로, 주문자가 악의적으로 배달대상(10)을 강한 힘으로 잡아당겨 배달드론(100)을 추락시키려고 하더라도 배달드론(100)의 본체(102)에는 당김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바(220) 상에 거치된 배달박스(12)는 배달드론(100)의 비행중 외부영향으로 인해 요동할 우려가 있다. 배달박스(12)가 요동하게 되면, 배달박스(12) 안에 보관된 음식의 일부가 노출되거나 음료가 흘러 넘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박스줄(14)에 충격완화스프링(16)을 구비하였다.
충격완화스프링(16)은 배달박스(12)에 결합된 복수 개의 박스줄(14)의 일부 구간에 형성된다.
충격완화스프링(16)은 외부영향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배달박스(12)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달박스(12) 안에 보관된 음식이 훼손되지 않은 상태로 주문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경기장에서 배달박스에 박스줄이 결합된 배달대상을 배달드론으로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로드와 고정바가 배달드론의 본체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배달드론에 강하게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배달드론의 본체에는 당김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배달드론의 추락이 방지 가능한 한편, 소정 각도로 회전한 회전로드가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수평방향을 유지하도록 복원되고, 회피센서에 의해 배달드론 근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에어노즐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배달대상
12 : 배달박스
14 : 박스줄
16 : 충격완화스프링
100 : 배달드론
102 : 본체
104 : 비틀림스프링
110 : 비행부
112 : 블레이드
120 : 회피센서
130 : 에어노즐
200 : 배달대상 배출부
210 : 회전로드
212 : 제2 삽입공
220 : 고정바
222 : 머리부
224 : 몸체부
230 : 가이드블럭
232 : 제1 삽입공
240 : 고정블럭
242 : 관통공
250 : 전자석
260 : 스프링
300 : 주문자단말기
400 : 배달서버

Claims (7)

  1. 배달박스(12)에 박스줄(14)이 결합된 배달대상(10)을 경기장에서 배달드론(100)으로 주문자에게 배달하는 배달드론시스템에 있어서,
    본체(102)를 중심으로 블레이드(112)가 구비된 비행부(110)가 연이어져 형성되되, 비행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배달드론(100);
    배달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배달서버(400)로 배달대상(10)에 대한 주문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배달서버(400)로부터 배달대상(10)의 도착정보를 수신하는 주문자단말기(300);
    상기 통신모듈으로부터 전송된 배달드론(100)의 비행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주문자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주문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달드론(100)을 제어하는 배달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드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드론(100)은,
    상기 배달드론(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
    상기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상부에 장착되되 상기 배달드론(100)에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회피센서(120);
    상기 배달드론(100)의 비행부(110)에 장착되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에어노즐(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피센서(120)에 의해 배달드론(100) 근처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노즐(130)을 통해 순간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장애물을 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드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박스(12)에 결합된 박스줄(14)의 일부 구간에는 충격완화스프링(16);이 개재되어 결합되며,
    상기 충격완화스프링(16)은 외부영향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상기 배달박스(12)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드론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드론(100)은,
    상기 배달드론(100)의 하부에 거치되는 배달대상(10)을 주문자가 수령가능하도록 배출하는 배달대상 배출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달대상 배출부(200)는,
    상기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일측에 결합되는 회전로드(210);
    상기 회전로드(210)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바(220);
    상기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하부에 결합되되, 하방으로 개구된 제1 삽입공(23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삽입공(232)에 삽입되는 고정바(220)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럭(230);
    상기 배달드론(100)의 본체(102) 하부에 상기 가이드블럭(230)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되, 수평방향으로 관통공(242)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42)에 삽입되는 고정바(220)의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블럭(24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배달드론(100)이 주문자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관통공(242)에 삽입된 고정바(220)를 관통공(242)으로부터 인출하여 배달대상(10)을 배출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드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대상 배출부(200)는,
    상기 회전로드(210)의 하단에 형성된 제2 삽입공(212)의 내측에 결합되어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성을 띠는 전자석(250);
    상기 전자석(250)과 고정바(220) 사이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220)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머리부(222)와, 상기 머리부(222)에 연이어져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블럭(230)과 고정블럭(240)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몸체부(224)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배달드론(100)이 주문자의 위치에 가까워지면, 상기 전자석(250)에 전류를 흘려 상기 고정바(220)의 머리부(222)를 전자석(250)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260)을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바(220)의 몸체부(224) 단부가 고정블럭(24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드론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210)는 상기 본체(102)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주문자가 상기 배달대상(10)을 수령하기 위해 수직하방향으로 박스줄(14)을 당기면, 상기 회전로드(2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바(220)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고정바(220)에 거치된 박스줄(14)이 고정바(2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드론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드론(100)은,
    일단은 상기 회전로드(2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바(220)가 가이드블럭(230) 및 고정블럭(240)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비틀림스프링(104);을 더 포함하며,
    주문자가 상기 배달대상(10)을 수령하기 위해 수직하방향으로 박스줄(14)을 당긴 후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고정바(220)는 상기 비틀림스프링(104)의 탄성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드론시스템
KR1020210129351A 2021-09-30 2021-09-30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 KR20230046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351A KR20230046407A (ko) 2021-09-30 2021-09-30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351A KR20230046407A (ko) 2021-09-30 2021-09-30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407A true KR20230046407A (ko) 2023-04-06

Family

ID=8591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351A KR20230046407A (ko) 2021-09-30 2021-09-30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640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00A (ko) 2016-12-02 2018-06-12 임춘만 드론의 택배 배송 물건 받는 장치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00A (ko) 2016-12-02 2018-06-12 임춘만 드론의 택배 배송 물건 받는 장치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7534B2 (en) Delivery rotary-wing aircraft
US11842649B2 (en) Supervisory safety system for controlling and limiting unmanned aerial system (UAS) operations
US10618655B2 (en) Package delivery mechanism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EP3540364B1 (en) Drone interceptor system, an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20200094962A1 (en) Package delivery mechanism
US20160016664A1 (en) Unmanned aerial delivery device
CA3014171A1 (en) Gas-filled carrier aircrafts and methods of dispersing unmanned aircraft systems in delivering products
US9677564B1 (en) Magnetic propeller safety device
WO20181562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rchandise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S10347143B2 (en)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system for a trailer aircraft of an aircraft formation relative to an intruder aircraft
US11402857B2 (en) Unmanned aertial vehicle with rotatable net assembly
US11401047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latched net assembly
US11408712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ollapsible net assembly
CA2998488A1 (en) Method to carry an item within a retail shopping facility
SE536546C2 (sv) Förfarande jämte anordning för att identifiera ett flygplani samband med parkering av flygplanet vid ett stand
KR20170137071A (ko) 적극 식별을 유지하는 머신 대 머신 타겟팅
JP2014227016A (ja) 遠隔操縦式無人飛行体
KR20230046407A (ko) 경기장 배달드론시스템
Benney et al. The joint precision airdrop system advanced concept technology demonstration
Smith et al. Aviation spatial orientation in relationship to head position, altitude interpretation, and control.
US1140104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net assembly
US20210229811A1 (en) Drone delivery improvements
KR102604834B1 (ko)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배달 유닛
KR102266910B1 (ko) 고정익 항공기를 이용한 살포 시스템 및 살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40081578A (ko) 드론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