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185A - Liquid heat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Liquid heat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185A
KR20230046185A KR1020220030529A KR20220030529A KR20230046185A KR 20230046185 A KR20230046185 A KR 20230046185A KR 1020220030529 A KR1020220030529 A KR 1020220030529A KR 20220030529 A KR20220030529 A KR 20220030529A KR 20230046185 A KR20230046185 A KR 2023004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ump
brewing cup
liquid
br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5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궈둥 왕
Original Assignee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제지앙 샤오싱 수포어 도메스틱 일렉트리칼 어플라이언스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4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1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2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ai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heating container which comprises: a container body; a lid; and a brewing cup. The brewing cup comprises: a container body assembly that is located within the container body,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id by sealing, and has a liquid suction tube extended toward an inner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brewing cup to allow the brewing cup to communicate with the container body; a base that allows mounting the container body assembly; and an air pump that inclues an intake pump and an exhaust pump that can both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and is installed within the container body and/or base. The air pump first executes an intake mode, then operates the intake pump to suck in the air in the brewing cup, so that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brewing cup. Thus, the brewing of a material is achieved by sucking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into the brewing cup through the suction tube. The air pump subsequently executes an exhaust mode by closing the intake pump and switching to exhaust pump operation to quickly increase the air pressure in the brewing cup to discharge the liquid in the brewing cup into the container body. Thus, the brewing duration can be controlled conveniently and accurately, which helps prevent ingredients from staying for a long time and improves the texture of the drink.

Description

액체 가열 용기{LIQUID HEATING CONTAINER}Liquid heating container {LIQUID HEATING CONTAINER}

본 발명은 요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액체 가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oking, and in particular to liquid heating vessels.

보양 포트는 음료의 조리에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보양 포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 내에 브루잉 컵(13')이 배치되고 덮개(12')로 브루잉 컵(13')을 덮는다. 사용 시, 물을 용기 본체(11') 내에 첨가하고 브루잉될 재료(예를 들어 찻잎)를 브루잉 컵(13') 내에 넣어 용기 본체(11')를 가열함으로써 재료의 조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양 포트는 브루잉이 끝난 후 수동으로 브루잉 컵(13')을 꺼낼 수 있지만, 사용자가 종종 브루잉 컵(13')을 제때에 꺼내지 못하거나, 브루잉 컵(13')을 꺼내려는 의식이 없어 재료가 장시간 물에 침지되어 식감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재료를 휘젓지 못하여 브루잉 효과가 떨어진다.The comfort pot is used for cooking beverages,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intenance pot, as shown in FIG. 1, the brewing cup 13' is placed in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brewing cup 13' is covered with a lid 12'. In u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cooking of the material by adding water into the container body 11' and putting the material to be brewed (eg, tea leaves) into the brewing cup 13' to heat the container body 11'. . This retaining port allows the brewing cup 13' to be removed manually after brewing is finished, but the user often fails to take out the brewing cup 13' in time, or tries to take out the brewing cup 13'. The material is immersed in water for a long time because of unconsciousness, which affects the texture, and the brewing effect is reduced because the material cannot be stir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의 브루잉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액체 가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heating vessel for enhancing the brewing effect of a beverag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용기 본체, 덮개, 브루잉 컵을 포함하고, 브루잉 컵은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며 덮개와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결되고, 브루잉 컵에는 용기 본체의 내측 바닥벽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 튜브가 설치되어 브루잉 컵이 용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하는 용기 본체 어셈블리; 용기 본체 어셈블리를 탑재하기 위한 베이스; 및 브루잉 컵과 모두 연통될 수 있는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를 포함하고, 용기 본체 및/또는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는 액체 가열 용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container body, a cover, and a brewing cup, wherein the brewing cup is loc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ver by sealing, and the brewing cup is directed toward an inner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a vessel body assembly having an extending liquid absorption tube installed thereon so that the brewing cup communicates with the vessel body; a base for mounting the container body assembly; and an air pump including an intake pump and an exhaust pump that can communicate with both the brewing cup and are installed in the vessel body and/or base.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액체 가열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는 액체를 담기 위한 것이고, 브루잉 컵은 브루잉될 재료를 담기 위한 것이다. 흡액 튜브가 구비된 브루잉 컵을 덮개와 실링 연결하고 나아가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에 연통되어 용기 본체 내의 액체 레벨이 흡액 튜브의 저부 개구를 넘어 물에 의한 밀봉이 형성되는 경우, 브루잉 컵 내에 밀폐된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 작동 시, 공기 펌프는 먼저 흡기 모드를 실행하고 흡기 펌프를 작동시켜 브루잉 컵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브루잉 컵 내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 내의 액체를 흡액 튜브를 통해 브루잉 컵 내로 흡입하여 재료에 대한 브루잉을 구현한다. 공기 펌프는 후속적으로 배기 모드를 실행하는데, 흡기 펌프를 닫고 배기 펌프 작동으로 전환하여 브루잉 컵 내의 기압을 신속하게 증가시켜 브루잉 컵 내의 액체를 용기 본체에 배출함으로써, 편리하고 정확하게 브루잉 시간을 제어할 수 있어 재료의 장시간 침지를 방지하고 음료의 식감을 향상하는데 도움된다. 동시에, 부압을 이용하여 액체를 흡인하고 정압을 이용하여 액체를 배출함으로써 모두 액체에 대한 요동을 증가시켜 재료를 휘젓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브루잉 효과 향상에 도움된다. 이 밖에, 공기 펌프를 용기 본체 및/또는 베이스 내에 설치하여 용기 본체 및/또는 베이스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공기 펌프를 수용하고 은폐할 수 있으며, 공기 펌프가 외력의 충격을 받아 손상될 위험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가열 용기 전체 외형이 간결하고 미관적이도록 하여 청결하기 편리하다.In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provid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is for containing the liquid, and the brewing cup is for containing the material to be brewed. When the brewing cup equipped with the suction tube is connected to the lid by sealing and further communicates with the intake pump and the exhaust pump, so that the liquid level in the container body exceeds the bottom opening of the suction tube and a water seal is formed, a seal is formed in the brewing cup. space can be built. In operation, the air pump first executes the intake mode and activates the intake pump to suck the air in the brewing cup so that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brewing cup, thereby sucking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into the brewing cup through the suction tube to Implement brewing for ingredients. The air pump subsequently executes the exhaust mode, which closes the intake pump and switches to exhaust pump operation to quickly increase the air pressure in the brew cup and discharge the liquid in the brew cup to the bowl body, conveniently and accurately brewing time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long-term immersion of ingredients and help to improve the texture of beverages. At the same time, liquid is sucked in using negative pressure and liquid is discharged using positive pressure, both of which increase the fluctuation of the liquid to realize stirring of the material, which helps to improve the brewing effect.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air pump in the container body and / or base, the air pump can be accommodated and concealed using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body and / or base, and the risk of damage to the air pump due to external force is reduced.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clean by mak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simple and aesthetic.

일부 실시예에서,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는 동일한 공기 튜브를 통해 브루잉 컵과 연통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intake pump and exhaust pump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through the same air tube.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 펌프의 흡기 모드와 배기 모드는 동시에 실행되지 않는다.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를 동일한 공기 튜브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공기 튜브를 통해 브루잉 컵에 연통하여 흡기 모드와 배기 모드에서 기류 통로를 공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구조 단순화에 도움되고 공기 튜브의 공간 점유를 감소시켜 제품 부피를 축소하며 제품 무게를 줄인다.In this embodiment, the intake mode and exhaust mode of the air pump are not executed simultaneously. Since the intake pump and the exhaust pump communicate with the same air tube, and also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through the air tube, the air flow passage can be shared in the intake and exhaust modes, which helps to simplify the product structure and occupies the space of the air tube. reduces product volume and reduces product weight.

일부 실시예에서, 배기 펌프의 공기 유입구에는 체크 밸브가 설치된다.In some embodiments, a check valve is installed at the air inlet of the exhaust pump.

이러한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제한하는 외에,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에서 유동 저항을 증가할 수도 있다. 배기 펌프의 배기구에 체크 밸브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배기 펌프에 유입되려면, 체크 밸브에 의한 유동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공기 펌프가 흡기 모드로 실행될 경우, 흡기 펌프는 브루잉 컵 내의 공기를 흡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 펌프에 대해 흡입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체크 밸브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작동되지 않은 배기 펌프 자체에 일정한 가스 차단성이 구비되지만, 종종 적은 양의 공기 누출이 생성되어 흡기 펌프의 흡인 효과를 약화시킨다. 체크 밸브가 설치된 후, 체크 밸브에 의한 유동 저항은 배기 펌프의 가스 차단 으로서 보충되어 배기 펌프의 확실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고, 흡기 펌프의 흡인 효과를 보장한다. 공기 펌프가 배기 모드로 실행될 경우, 배기 펌프가 작동하기 시작하면서 더이상 가스를 차단하지 않으며 체크 밸브가 순조롭게 열릴 수 있어 배기 펌프의 배출 효과를 보장한다.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restric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he check valve may increase the flow resistance in the direction allowing the fluid flow. In order for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exhaust pump by installing the check valve at the exhaust port of the exhaust pump, flow resistance due to the check valve must be overcome. When the air pump is running in intake mode, the intake pump can not only draw air in the brewing cup, but also create a suction force for the exhaust pump. When the check valve is not installed, the exhaust pump itself that is not operated is equipped with a certain gas barrier property, but often a small amount of air leakage is produced, weakening the suction effect of the intake pump. After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the flow resistance by the check valve is supplemented as gas shutoff of the exhaust pump, so as to realize the reliable sealing of the exhaust pump and ensure the suction pump's suction effect. When the air pump runs in exhaust mode, the exhaust pump starts working and no longer shuts off the gas, and the check valve can open smoothly to ensure the exhaust pump's exhaust effect.

일부 실시예에서,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는 다이어프램 펌프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intake and exhaust pumps are diaphragm pumps.

이러한 실시예에서,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는 구체적으로 다이어프램 펌프를 선택하는데, 흡기와 배기를 확실하게 완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압 환경을 형성 및 해제하며, 컴퓨터의 정확한 제어를 구현할 수도 있고, 공기 펌프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하기 편리하며 브루잉 시간을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도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take pump and the exhaust pump specifically select a diaphragm pump, which can not only complete intake and exhaust reliably, but also form and release a negative pressure environment, can also implement computer accurate control, and It is convenient to implement automated control of the pump and helps to accurately control the brewing time.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 본체 어셈블리는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되는 제1 공기 튜브와 제2 공기 튜브를 더 포함하고, 제1 공기 튜브는 용기 본체의 측벽 겹층 내에 설치되며 공기 펌프와 연통될 수 있고, 제2 공기 튜브는 덮개 내에 설치되며 브루잉 컵과 연통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ainer body assembly further includes a first air tube and a second air tube that are detachably in sealing communication, the first air tube being installed in the layer of side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communicating with an air pump; A second air tube is installed within the lid and communicates with the brewing cup.

이러한 실시예에서, 브루잉 컵의 유효 부피를 최대화하기 위해, 공기 펌프가 연통되는 통기구를 브루잉 컵의 상부에 설치해야 한다. 일체화된 기체 통로를 직접 사용하여 공기 펌프를 연통한다면, 브루잉 컵 상부에 고정된 기체 통로 구조를 설치하고 덮개를 피해야 하지만, 상부의 공간은 제한되어 브루잉 컵 상부 개구와 덮개의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공기 펌프가 연통되는 기체 통로를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결되는 제1 공기 튜브와 제2 공기 튜브로 설치하고, 용기 본체 겹층과 덮개 내에 각각 임베이딩하여 브루잉 컵 상부의 기체 통로 구조(즉 제2 공기 튜브)가 덮개로 통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즉 기체 통로 구조와 덮개는 서로 피할 필요가 없어 브루잉 컵 상부 개구와 덮개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재료를 꺼내고 넣거나, 브루잉 컵을 청결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브루잉 컵의 위생 사각지대를 감소시켜 제품의 유지 보수를 구현하기 편리하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 volume of the brewing cup, a vent through which the air pump is communicated must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rewing cup. If the integrated gas passage is directly used to communicate the air pump, a fixed gas passage structure should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rewing cup and the lid should be avoided, but the space at the top is limited, reducing the size of the opening and lid at the top of the brewing cup. . The gas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ump communicates is installed as a first air tube and a second air tube that are detachably connected by sealing, and are embedded in the container body layer and the cover, respectively, to create a gas passage structure (i.e., the second air tube) at the top of the brewing cup. air tube) can be integrated into the lid, that is, the gas passage structure and the lid do not need to avoid each other, which can increase the size of the brewing cup upper opening and the lid, making it easier to take out and put ingredients, and clean the brew cup. Not only is it convenient to execute the operation, but it is also convenient to implement maintenance of the product by reducing the hygiene blind spot of the brewing cup.

일부 실시예에서,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는 모두 베이스 내에 설치된다.In some embodiments, both the intake and exhaust pumps are installed within the base.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를 베이스 내에 집중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액체 가열 용기의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액체 가열 용기의 전체적인 구조 안정성을 보장하고 넘어지는 위험을 낮추며; 다른 한편으로는, 용기 본체 겹층 공간의 수요를 낮출 수 있어 용기 본체의 부피를 감소하는데 도움되며 용기 본체 외형이 미관적이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specifically installing the intake pump and the exhaust pump centrally in the base, on the one hand, allow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quid heating vessel to move downward, thereby ensuring the overall structural stability of the liquid heating vessel and reducing the risk of tipping over. lowering; On the other hand, it can reduce the demand for space in the container body layered layer, which help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ontainer body and makes the container body appearance aesthetically pleasing.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에는 흡기 펌프와 배기 펌프를 동시에 연통하는 통기 하부 커넥터가 설치되고 용기 본체 어셈블리는 브루잉 컵과 연통될 수 있는 통기 상부 커넥터를 포함하며, 통기 하부 커넥터는 통기 상부 커넥터와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된다.In some embodiments, a lower vent connector is installed in the base to communicate with the intake pump and the exhaust pump 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body assembly includes an upper vent connector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and the lower vent connector is detachable from the upper vent connector. Sealing communication is possible.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 펌프가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기반하여, 나아가 베이스와 용기 본체 어셈블리에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되는 통기 하부 커넥터와 통기 상부 커넥터를 구성함으로써, 베이스와 용기 본체 어셈블리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고 액체 가열 용기가 분리식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더 향상시킨다. 동시에, 공기 펌프가 설치되지 않은 용기 본체는 부피가 감소되고 무게가 줄어들며 분리 상태에서 사용자가 꺼내고 넣는 이동이 편리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In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case where the air pump is installed in the base, furthermore, the base and the container body assembly are detachably connected by constructing a lower ventilation connector and an upper ventilation connector that are detachably and in sealing communication with the base and the container body assembly. and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to form a separable structure to further improve user convenience. 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body without an air pump is reduced in volume and weight, and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take out and put in and out in a separated state,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가열 용기는 액체 레벨 센서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액체 레벨 센서는 덮개 또는 브루잉 컵에 설치되어 브루잉 컵 내의 액체 레벨을 측정하며, 온도 센서는 덮개 또는 브루잉 컵에 설치되어 브루잉 컵 내의 액체 온도를 측정하고; 액체 가열 용기는 액체 레벨 센서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및 공기 펌프와 전기적 연결되거나 신호 연결되어 액체 레벨과 액체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공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liquid heating vessel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liquid level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the liquid level sensor being installed in the lid or brewing cup to measure the liquid level in the brewing cup, and the temperature sensor comprising the lid or brewing cup. installed in the brewing cup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n the brewing cup; The liquid heating vessel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quid level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to or signal connected to the air pump to control operation of the air pump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and the liquid temperature.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성하고, 제어기와 결합하여 공기 펌프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액체 레벨과 액체 온도의 차원에서 제어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음료의 브루잉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액체 레벨이 너무 높다는 것은 액체가 기체 통로로 들어가 공기 펌프로 흡입될 위험이 있어 공기 펌프를 손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제어기에 미리 대응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기가 액체 레벨 센서에서 측정되는 액체 레벨이 일정한 경고값을 초과한 것으로 확정할 경우, 공기 펌프의 배기 모드를 실행하여 액체 레벨을 신속하게 낮추어 공기 펌프를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액체 온도는 브루잉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특히 일부 재료는 브루잉 온도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 범위 요구가 있으며, 예를 들어 액체 온도가 94 ℃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때 마찬가지로 제어기에 미리 대응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기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액체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 범위의 하한을 벗어난 것으로 확정할 경우, 공기 펌프의 배기 모드와 흡기 모드를 선후적으로 실행하여 저온 액체를 배제하고 온도 요구를 총족시키는 액체를 다시 흡입할 수 있어 브루잉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further configuring at least one of a liquid level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combining with a controller to realize automated control of the air pump, it is possible to ensure control precision in terms of liquid level and liquid temperature, and Improve brewing effect. Specifically, a liquid level that is too high means that there is a risk that liquid will enter the gas passage and be sucked into the air pump, possibly damaging the air pump. At this time, a corresponding control program can be input into the controller in advance, and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liquid level measured by the liquid level sensor exceeds a certain warning value, the air pump is discharged in an exhaust mode to quickly lower the liquid level. It can achieve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air pump. Liquid temperature can affect the brewing effect, in particular some materials have relatively precise range requirements for the brewing temperature, for example the liquid temperature must be maintained above 94°C. At this time, similarly, a control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may be input in advance, and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liqui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the lower limit of the pre-stored temperature range, the exhaust mode and the intake mode of the air pump are prioritized. Excluding the low-temperature liquid and re-inhaling the liquid that meets the temperature requirements can ensure the brewing effect.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와 온도 센서를 동시에 구성하고, 제어기와 공기 펌프를 결합하여 정확하게 브루잉하는 자동화 제어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가 용기 본체 액체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확정할 경우, 공기 펌프의 흡기 모드를 작동시켜 브루잉 컵 내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나아가 용기 본체 내의 액체를 흡액 튜브를 통해 브루잉 컵 내로 흡입하며 액체 레벨 센서를 통해 브루잉 컵 중의 액체 높이를 측정하고; 제어기가 액체 레벨 센서에서 측정되는 액체 레벨이 기설정된 높이를 초가한 것으로 확정할 경우, 공기 펌프의 흡기 모드 실행을 멈추고 브루잉 컵 중의 액체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기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며, 기설정된 시간이 종료된 후, 공기 펌프의 배기 모드를 작동시켜 액체 레벨을 신속하게 낮추고 기설정된 온도 및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정확하게 브루잉하는 목적을 달성한다.In some embodiments, a liquid level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are configured simultaneously, and a controller and an air pump are combined to implement automated control for accurate brewing.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container body has reached the preset temperature, the air pump operates in an intake mode to form a negative pressure in the brewing cup, and further,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is brewed through the suction tube. Suction into the brewing cup and measure the liquid level in the brewing cup via the liquid level sensor;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liquid level measured by the liquid level sensor exceeds the preset height, the air pump stops executing the intake mode and causes the liquid in the brewing cup to maintain the preset height within the preset time period; After the set time is over, the air pump is operated in the exhaust mode to quickly lower the liquid level and achieve the purpose of accurately brewing at the set temperature and within the set time.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덮개에 설치된다.In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installed in the cover.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 및/또는 온도 센서가 구성되는 경우, 구체적으로 센서를 덮개에 설치하는 것은, 덮개 내부의 공간을 빌려 센서의 부분적 구조를 은폐 및 보호할 수 있고 외형이 미관적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센서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되며 동시에 브루잉 컵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도움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liquid level sensor and / or the temperature sensor is configured, specifically installing the sensor on the cover can hide and protect the partial structure of the sensor by borrowing the space inside the cover so that the appearance is aesthetic In addition, it helps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sensor and at the same time help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brewing cup.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와 온도 센서는 일체로 통합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liquid level sensor and temperature sensor are integrally integrated.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와 온도 센서가 동시에 구성되는 경우, 통합형의 센서 구조를 선택할 수 있어 부품 수를 감소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의 단순화에 도움되고 제품의 장착 효율을 향상시킨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liquid level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configured at the same time, an integrated sensor structure can be selected,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help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and improve the mounting efficiency of the product.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가열 용기는 용기 본체 또는 베이스 내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를 가열하기 위한 액체 가열 장치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liquid heating vessel further includes a liquid he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vessel body or base to heat the vessel body.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열 용기 본체의 액체 가열 장치를 더 구성하여 스스로 가열을 구현할 수 있어, 한편으로는 별도의 가열 장치를 빌릴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일정한 측정 데이터 및 제어 책략을 결합하여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어 음료 브루잉 효과 향상에 도움된다. 액체 가열 장치는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의 저부 겹층 내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에 대한 직접적 가열을 구현할 수 있고, 베이스 내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 어셈블리의 무게를 줄이는데 도움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quid heating device of the heating container body can be further configured to realize heating by itself, on the one hand, there is no need to borrow a separate heating device,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on the other hand, constant measurement data and control scheme can be combined to realize automated control, which is conducive to enhancing beverage brewing effect. The liquid heating device may be specifically installed in the bottom ply of the container body to realize direct heat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to help reduce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assembly.

아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총체적 구상 외의 다른 측면 및/또는 장점을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부분은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의 총체적 구상의 구현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ther aspects and/or advantages other than the overal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artially described, and other portions may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be understood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overal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더 명확해질 것이고, 도면에서,
도 1은 관련 기술 중 액체 가열 용기의 종단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 용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 용기의 흡수 시작 시의 종단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펌프의 흡기 모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 용기의 흡수(吸水) 완료 시의 종단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펌프의 배기 모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 용기의 배수 시의 종단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펌프의 흡기 모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펌프의 배기 모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가열 용기의 부분 구조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종단면 단면도이다.
When the embodiments are described by combining the drawings below,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er, and in the drawings,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heating vessel in the related art.
2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liquid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start of absorp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ake mode of an air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bsorption is completed.
6 is a schematic view of an exhaust mode of an air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liquid heat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ained.
8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take mode of an air p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of an exhaust mode of an air pum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view of a partial structure of a liquid heat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 기기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이해한 후,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 기기 및/또는 시스템의 다양한 변경, 수정 및 균등물은 명확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서 설명되는 동작의 순서는 예시적일 뿐이고, 여기서 설명되는 순서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된 순서로 발생해야 하는 동작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이해한 후에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이 밖에, 더 명확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본 분야 주지의 특징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are provided to assis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gain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After understanding the present disclosur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of the methods, devic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will become apparent. For example,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herein is illustrative only, and is not limited to the order described herein, except for operations that must occur in a specified order, as will become apparent after understanding the present disclosure. It can be. In addition,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ciseness, descriptions of features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omitted.

여기서 설명되는 특징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설명되는 예시에 한정하여 설명되어서는 안된다. 반면에, 여기서 설명된 예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방법, 기기 및/또는 시스템의 다양한 실행 가능한 방식 중의 일부 실행 가능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다양한 실행 가능한 방식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을 이해한 후 명확해질 것이다.The featur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On the other hand, the examples described herein are provided to implement some of the various feasible manners of the methods, apparatuse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which may be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come clear later.

예를 들어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관련되는 열거항 중의 어느 하나 및 어느 두 개 또는 더 많은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For example,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ny two or more of any one of the associated enumerations.

여기서 "제1", "제2" 및 "제3"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구성요소, 어셈블리,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요소, 어셈블리, 영역, 층 또는 부분은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반면에, 이러한 용어는 다만 하나의 구성요소, 어셈블리,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구성요소, 어셈블리,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예시의 교시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 여기서 설명되는 예시에서 지칭되는 제1 구성요소, 제1 어셈블리, 제1 영역, 제1 층 또는 제1 부분은 제2 구성요소, 제2 어셈블리, 제2 영역, 제2 층 또는 제2 부분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Although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ssemblies, regions, layers, or sections, such components, assemblies, regions, layers, or sections do not use these terms. should not be limited to In contrast,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assembly,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component, assembly,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examples, a first component, a first assembly, a first area, a first layer or a first part referred to in an example described herein may be a second component, a second assembly, a second area. ,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layer or a second part.

명세서에서, 소자(예를 들어 층, 영역 또는 베이스)가 다른 소자에 "위치”하고, 다른 소자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경우, 상기 소자는 다른 소자에 직접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다른 소자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거나,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소자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에, 소자가 다른 소자에 "직접적으로 위치”하고, 다른 소자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될 경우, 그 사이에 다른 소자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e.g., a layer, region or base) is “located” to, and is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located” to the other element, and , may be “connected” or “coupled” directly to another element, or may have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located” and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there may be no other element in between.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개시된 내용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문맥상 다른 명확한 지시가 없는 한, 단수 형태는 복수 형태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다”, "포괄하다” 및 "갖다”는 서술의 특징, 개수, 동작, 구성요소, 소자 및/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를 설명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개수, 동작, 구성요소, 소자 및/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첨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merely for describing various example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ed content.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the singular forms are intended to include the plural forms. The terms "comprises", "includes" and "has" describe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operation, component, element and/or combination thereof of a statemen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 operation, component , elements and/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적 용어와 과학적 용어를 포함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이해한 후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이와 같이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용어(예를 들어, 일반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는 이들의 관련 분야의 문맥 및 본 발명에서의 의미와 일치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fte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s such, terms (eg, terms defined in general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ir relevant field and the present invention, ideally or excessively.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formally.

이 밖에, 예시되는 설명에서, 주지의 관련 구조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에 대한 모호한 해석을 야기한다고 생각될 경우,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illustrative descrip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related structure or function is considered to cause an ambiguous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아래에 도 2 내지 도 11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액체 가열 용기를 설명한다.2 to 11 are combined below to describe a liquid heating container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실시예는 보양 포트와 같은 액체 가열 용기를 제공한다. 액체 가열 용기는 용기 본체 어셈블리(10), 베이스(20) 및 공기 펌프(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 본체 어셈블리(10)는 용기 본체(11), 덮개(12), 브루잉 컵(13)을 포함하고, 브루잉 컵(13)은 용기 본체(11) 내에 위치하며 덮개(12)와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결되고 브루잉 컵(13)에는 용기 본체(11)의 내측 바닥벽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 튜브(131)가 설치되어 브루잉 컵(13)이 용기 본체(11)와 연통되도록 하며; 베이스(20)는 용기 본체 어셈블리(10)를 탑재하기 위한 것이고; 공기 펌프(30)는 브루잉 컵(13)과 모두 연통될 수 있는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를 포함하며 공기 펌프(30)는 용기 본체(11) 및/또는 베이스(20) 내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an embodiment of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heating vessel such as a retaining pot. The liquid heating vessel includes a vessel body assembly (10), a base (20) and an air pump (30). Here,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includes a container body 11, a lid 12, and a brewing cup 13, and the brewing cup 13 is located in the container body 11 and includes a lid 12 and A suction tube 131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by sealing and extends toward the inner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11 is installed in the brewing cup 13 so that the brewing cup 13 communicates with the container body 11, ; The base 20 is for mounting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The air pump 30 includes an intake pump 31 and an exhaust pump 32 that can communicate with both the brewing cup 13, and the air pump 30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11 and/or the base 20. installed within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액체 가열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1)는 액체를 담기 위한 것이고, 브루잉 컵(13)은 브루잉될 재료를 담기 위한 것이다. 흡액 튜브(131)가 구비되는 브루잉 컵(13)을 덮개(12)와 실링 연결하고, 나아가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에 연통되어 용기 본체(11) 내의 액체 레벨이 흡액 튜브(131)의 저부 개구를 넘어 물에 의한 밀봉이 형성되는 경우, 브루잉 컵(13) 내에 밀폐된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 작동 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면에서 화살표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후속 도면에서의 화살표도 마찬가지이므로, 더이상 일일이 설명하지 않음), 공기 펌프(30)는 먼저 흡기 모드를 실행하고 흡기 펌프(31)를 작동시켜 브루잉 컵(13)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브루잉 컵(13) 내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1) 내의 액체를 흡액 튜브(131)를 통해 브루잉 컵(13) 내로 흡입하여 재료의 브루잉을 구현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브루잉 컵(13) 내에 액체가 가득 흡입된 상태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펌프(30)는 후속하여 배기 모드를 실행하는데, 흡기 펌프(31)를 닫고 배기 펌프(32) 작동으로 전환하여 브루잉 컵(13) 내의 기압을 신속하게 증가시키며, 브루잉 컵(13) 내의 액체를 용기 본체(11)에 배출함으로써, 편리하고 정확하게 브루잉 시간을 제어할 수 있어 재료의 장시간 침지를 방지하며 음료의 식감을 향상하는데 도움된다. 동시에, 부압을 이용하여 액체를 흡인하고 정압을 이용하여 액체를 배출함으로써 모두 액체에 대한 요동을 증가시켜 재료를 휘젓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며, 브루잉 효과 향상에 도움된다. 이 밖에, 공기 펌프(30)를 용기 본체(11) 및/또는 베이스(20) 내에 설치하여 용기 본체(11) 및/또는 베이스(20) 내부의 공간을 이용하여 공기 펌프(30)를 수용하고 은폐할 수 있어, 공기 펌프(30)가 외력의 충격을 받아 손상될 위험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가열 용기 전체 외형이 간결하고 미관적이도록 하여 청결하기 편리하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공기 펌프(30)를 용기 본체(11) 및/또는 베이스(20) 내에 설치한다는 것은,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를 동시에 용기 본체(11)에 설치할 수 있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베이스(20) 내에 설치할 수 있거나, 하나는 용기 본체(11)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베이스(20) 내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을 가리킨다. 용기 본체(11)에 설치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11)의 겹층 내에 설치하는 것을 가리키고, 용기 본체(11)의 액체를 담기 위한 챔버 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provid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11 is for containing liquid, and the brewing cup 13 is for containing material to be brewed. The brewing cup 13 provided with the suction tube 131 is connected to the lid 12 by sealing, and further communicates with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so that the liquid level in the container body 11 is lowered by the intake tube. When a water seal is formed beyond the bottom opening of 131, an enclosed space can be established within the brewing cup 13. In opera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arrow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and so do the arrows in the subsequent drawings, which will not be further described), the air pump 30 first enters the intake mode. and operates the intake pump 31 to suck air in the brewing cup 13 so that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 the brewing cup 13, so that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11 passes through the suction tube 131. Suction into the brewing cup 13 implements brewing of the material. What is shown in FIG. 5 is a state in which liquid is fully sucked into the brewing cup 13 .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air pump 30 subsequently executes an exhaust mode, in which the air pressure in the brewing cup 13 is reduced by closing the intake pump 31 and switching to exhaust pump 32 operation. By rapidly increasing and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brewing cup 13 to the container body 11,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and accurately control the brewing time, which prevents ingredients from soaking for a long time and helps to improve the texture of the beverage. At the same time, liquid is sucked in using negative pressure and liquid is discharged using positive pressure, both of which increase the fluctuation of the liquid to realize stirring of the material, which helps to improve the brewing effect. In addition, the air pump 3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body 11 and / or the base 20 to accommodate the air pump 30 using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body 11 and / or the base 20, Since it can be conceal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damage to the air pump 30 due to an impact from an external force, and it is convenient to clean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by making the overall appearance simple and aesthetically pleasing. It can be understood that installing the air pump 30 in the container body 11 and/or the base 20 means that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can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 body 11 at the same time or , as shown in FIG. 3, it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20 at the same time, or one may be installed in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other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20. Installation in the container body 11 refers specifically to installation in the multiple layers of the container body 11, not installation in the chamber for containing the liquid of the container body 11.

선택 가능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는 본체(111)와 용기 덮개(112)를 포함하고, 본체(111) 상부는 개구를 형성하며 동시에 상부 측면에 물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용기 덮개(112)는 본체(111) 상부를 덮어 본체(111)의 상부 개구와 물 배출구를 격리할 수 있다. 브루잉 컵(13)은 구체적으로 용기 덮개(112) 내에 임베이딩되고 용기 덮개(112)에 형성되는 단차에 맞물리며 덮개(12)는 용기 덮개(112)에 임베이딩되어 브루잉 컵(13)을 실링할 수 있다.Optionally, as shown in FIG. 3, the container body 11 includes a body 111 and a container cover 112, the upper part of the body 111 forms an opening and at the same time forms a water outlet on the upper side. And the container cover 112 can cover the top of the main body 111 to isolate the upper opening and the water outlet of the main body 111. The brewing cup 13 is specifically embedded in the container cover 112 and engages with a step formed in the container cover 112, and the cover 12 is embedded in the container cover 112 so that the brewing cup 13 ) can be sealed.

선택 가능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루잉 컵(13) 내에는 여과망(132)이 더 설치되어 브루잉 컵(13) 내의 재료가 흡액 튜브(131)를 통해 용기 본체(11) 내로 유동되는 위험을 낮추고, 브루잉 컵(13) 내에서 집중 브루잉하는 것을 보장하며 브루잉 시간을 합리적으로 제어하는데 편리하다.Optionally, as shown in FIG. 3, a filter net 132 is further installed in the brewing cup 13 so that the material in the brewing cup 13 passes through the suction tube 131 into the container body 11. It is convenient to lower the risk of spillage, ensure intensive brewing in the brewing cup 13, and rationally control the brewing time.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는 동일한 공기 튜브를 통해 브루잉 컵(13)과 연통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4 ,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13 through the same air tube.

이런 실시예들에서, 공기 펌프(30)의 흡기 모드와 배기 모드는 동시에 실행되지 않는다.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를 동일한 공기 튜브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공기 튜브를 브루잉 컵(13)에 연통하여 흡기 모드와 배기 모드에서 기류 통로를 공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구조 단순화에 도움되고 공기 튜브의 공간 점유를 감소하여 제품 부피를 축소하며 제품 무게를 줄인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펌프(31)의 공기 유입구 및 배기 펌프(32)의 공기 배출구는 동일한 공기 튜브에 연통되고, 흡기 펌프(31)의 공기 배출구와 배기 펌프(32)의 공기 유입구는 각각 대기환경에 연통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실시예는 흡기 모드와 배기 모드가 기류 통로를 공유하는 것을 나타내고, 하나의 공기 튜브만으로 공기 펌프(30)와 브루잉 컵(13)의 연통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는 동일한 공기 튜브에 연통된 후, 이 공기 튜브는 브루잉 컵(13)에 직접 연통될 수 있고, 다른 기체 통로 구조를 통해서 브루잉 컵(13)에 연통될 수도 있다.In these embodiments, the intake mode and exhaust mode of the air pump 30 are not executed simultaneously. Since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communicate with the same air tube, and the air tube communicates with the brewing cup 13, the air flow path can be shared in the intake mode and the exhaust mode, simplifying the product structure. It helps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by the air tube, thereby reducing the product volume and reducing the product weigh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air inlet of the intake pump 31 and the air outlet of the exhaust pump 32 communicate with the same air tube, and the air outlet of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e air inlets of 32 communicate with the atmospheric environment respec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embodiment indicates that the intake mode and the exhaust mode share an air flow path, and does not limit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air pump 30 and the brewing cup 13 can be realized with only one air tube. . In other words, after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communicate with the same air tube, this air tube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13, and through another gas passage structure, the brewing cup ( 13) may be connected.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펌프(32)의 공기 유입구에는 체크 밸브(321)가 설치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8 and 9 , a check valve 321 is installed at the air inlet of the exhaust pump 32 .

이러한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321)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제한하는 외에,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에서 유동 저항을 증가할 수도 있다. 배기 펌프(32)의 배기구에 체크 밸브(321)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배기 펌프(32)에 유입되려면, 체크 밸브(321)에 의한 유동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공기 펌프(30)가 흡기 모드로 실행될 경우, 흡기 펌프(31)는 브루잉 컵(13) 내의 공기를 흡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 펌프(32)에 대해 흡입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 체크 밸브(321)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작동되지 않은 배기 펌프(32) 자체에 일정한 가스 차단성이 구비되지만, 종종 적은 양의 공기 누출이 생성되어 흡기 펌프(31)의 흡인 효과를 약화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321)가 설치된 후, 체크 밸브(321)에 의한 유동 저항은 배기 펌프(32)의 가스 차단으로서 보충되어 배기 펌프(32)의 확실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고 흡기 펌프(31)의 흡인 효과를 보장한다. 공기 펌프(30)가 배기 모드로 실행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펌프(32)가 작동하기 시작하면서 더이상 가스를 차단하지 않으며 체크 밸브(321)가 순조롭게 열릴 수 있어 배기 펌프(32)의 배출 효과를 보장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heck valve 321 may increase flow resistance in a direction allowing fluid flow, in addition to limit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By installing the check valve 321 at the exhaust port of the exhaust pump 32, in order for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exhaust pump 32, flow resistance by the check valve 321 must be overcome. When the air pump 30 is running in intake mode, the intake pump 31 can not only suck air in the brewing cup 13, but also generate a suction force for the exhaust pump 32. When the check valve 321 is not installed, the exhaust pump 32 itself, which is not operated, is provided with a certain gas barrier property, but often a small amount of air leakage is produced, weakening the suction effect of the intake pump 31. As shown in FIG. 8 , after the check valve 321 is installed, the flow resistance by the check valve 321 can be supplemented by blocking the gas of the exhaust pump 32 to realize reliable sealing of the exhaust pump 32, The suction effect of the intake pump 31 is ensured. When the air pump 30 runs in the exhaust mode, as shown in FIG. ) to ensure the discharge effect of

일부 실시예에서,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는 다이어프램 펌프이다.In some embodiments, intake pump 31 and exhaust pump 32 are diaphragm pumps.

이러한 실시예에서,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는 구체적으로 다이어프램 펌프를 선택하는데, 흡기와 배기를 확실하게 완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압 환경을 형성 및 해제하며 컴퓨터의 정확한 제어를 구현할 수도 있고, 공기 펌프(30)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하기 편리하며 브루잉 시간을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도움된다.In this embodiment,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are specifically selected diaphragm pumps, which can not only complete intake and exhaust reliably, but also form and release a negative pressure environment and allow accurate computer control. It can be implemented, and it is convenient to implement automatic control of the air pump 30 and helps to accurately control the brewing time.

일부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 어셈블리(10)는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되는 제1 공기 튜브(14)와 제2 공기 튜브(15)를 더 포함하고, 제1 공기 튜브(14)는 용기 본체(11)의 측벽 겹층 내에 설치되며 공기 펌프(30)와 연통될 수 있고, 제2 공기 튜브(15)는 덮개(12) 내에 설치되며 브루잉 컵(13)과 연통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7 ,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further includes a first air tube 14 and a second air tube 15 in detachably sealing communication, the first air tube 14 is installed in the layer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body 11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air pump 30, and the second air tube 15 is installed in the lid 12 and communicates with the brewing cup 13 .

이러한 실시예에서, 브루잉 컵(13)의 유효 부피를 최대화하기 위해, 공기 펌프(30)가 연통되는 통기구를 브루잉 컵(13)의 상부에 설치해야 한다. 통합된 기체 통로를 직접 사용하여 공기 펌프(30)를 연통하면, 브루잉 컵(13) 상부에 고정된 기체 통로 구조를 설치하고 덮개(12)를 피해야 하지만, 상부의 공간은 제한되어 브루잉 컵(13) 상부 개구와 덮개(12)의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공기 펌프(30)가 연통되는 기체 통로를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결되는 제1 공기 튜브(14)와 제2 공기 튜브(15)로 설치하고 용기 본체(11) 겹층과 덮개(12) 내에 각각 임베이딩하여, 브루잉 컵(13) 상부의 기체 통로 구조(즉 제2 공기 튜브(15))가 덮개(12)로 통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즉 기체 통로 구조와 덮개(12)는 서로 피할 필요가 없어 브루잉 컵(13) 상부 개구와 덮개(12)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재료를 꺼내고 넣거나 브루잉 컵(13)을 청결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브루잉 컵(13)의 위생 사각지대를 감소시켜 제품의 유지 보수를 구현하기 편리하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 volume of the brewing cup 13, a vent through which the air pump 30 is communicated must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brewing cup 13. If the integrated gas passage is directly used to communicate the air pump 30,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fixed gas passage structure on the top of the brewing cup 13 and avoid the lid 12, but the space at the top is limited and the brewing cup (13) Reduce the size of the top opening and lid 12. Install the gas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pump 3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ir tube 14 and the second air tube 15 that are detachably sealed and connected, and embed each in the layer of the container body 11 and the cover 12 In this way, the gas passage structure (i.e. the second air tube 15) at the top of the brewing cup 13 can be integrated into the lid 12, i.e. the gas passage structure and the lid 12 need to avoid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upper opening of the brewing cup 13 and the cover 12, and it is convenient to take out and put ingredients or clean the brewing cup 13, and It is convenient to implement maintenance of the product by reducing the sanitary blind spot of the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는 모두 베이스(20) 내에 설치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3 , both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are installed within the base 20 .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를 베이스(20) 내에 집중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한편으로는 액체 가열 용기의 무게 중심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액체 가열 용기의 전체적인 구조 안정성을 보장하고 넘어지는 위험을 낮추며; 다른 한편으로는, 용기 본체(11) 겹층 공간의 수요를 낮출 수 있어 용기 본체(11)의 부피를 감소하는데 도움되며 용기 본체(11) 외형이 미관적이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specifically installing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centrally in the base 20, on the one hand, allow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to move downward, so that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ensure overall structural stability and reduce the risk of tipping over;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lower the demand for space in the multiple layers of the container body 11, which help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container body 11 and make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tainer body 11 aesthetic.

일부 실시예에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에는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를 동시에 연통하는 통기 하부 커넥터(21)가 구비되고, 용기 본체 어셈블리(10)는 브루잉 컵(13)과 연통될 수 있는 통기 상부 커넥터(16)를 포함하며, 통기 하부 커넥터(21)는 통기 상부 커넥터(16)와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S. 10 and 11 ,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that communicates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at the same time, and the container body assembly ( 10) includes an upper ventilation connector 16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13, and a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is in detachably sealing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ventilation connector 16.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 펌프(30)가 베이스(20)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기반하여, 나아가 베이스(20)와 용기 본체 어셈블리(10)에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되는 통기 하부 커넥터(21)와 통기 상부 커넥터(16)를 구성함으로써, 베이스(20)와 용기 본체 어셈블리(10)의 탈착 가능한 연결을 구현하고 액체 가열 용기가 분리식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더 향상시킨다. 동시에, 공기 펌프(30)가 설치되지 않은 용기 본체(11)는 부피가 감소되고 무게가 줄어들며, 분리 상태에서 사용자가 꺼내고 넣는 이동이 편리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하부 커넥터(21)와 통기 상부 커넥터(16) 중심에는 플러그 가능하고 매칭되는 기체 통로가 설치되고, 예를 들어 통기 하부 커넥터(21)의 기체 통로구에 삽입관을 구성할 수 있으며, 통기 상부 커넥터(16)의 기체 통로구를 나팔구로 구성하여, 가이드 작용을 일으켜 삽입관 삽입을 유도함으로써, 통기 하부 커넥터(21)와 통기 상부 커넥터(16)의 기체 통로 연통을 구현한다. 이 밖에, 기체 통로 주변에서, 통기 하부 커넥터(21)와 통기 상부 커넥터(16)에 매칭되는 복수의 동심 실링 고리를 더 설치하여 통기 하부 커넥터(21) 상의 동심 실링 고리와 통기 상부 커넥터(16) 상의 동심 실링 고리가 교대로 끼워지도록 하여, 통기 하부 커넥터(21)와 통기 상부 커넥터(16)의 실링 연결을 구현하며 기체 통로의 공기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case where the air pump 30 is installed in the base 20, furthermore, the base 20 and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are detachably in sealing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and the ventilation By configuring the upper connector 16, a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the base 20 and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is realized and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forms a separable structure, furthe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t the same time, the container body 11 without the air pump 30 is reduced in volume and weight, and in a separated state,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and put in and out of the container body 11,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7 and 11 , a pluggable and matching gas passage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and the upper ventilation connector 16, for example, the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An insertion tube may be formed in the gas passage hole, and the gas passage hole of the upper ventilation connector 16 is configured as a trumpet hole to induce a guide action to induce insertion of the insertion tube, thereby forming a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and an upper ventilation connector ( 16) implements gas passage communication. In addition, around the gas passage, a plurality of concentric sealing rings matching the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and the upper ventilation connector 16 are further installed so that the concentric sealing rings on the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and the upper ventilation connector 16 By alternately inserting the concentric sealing rings on the top, the sealing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ventilation connector 21 and the upper ventilation connector 16 can be realized, and air leakage in the gas passa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가열 용기는 액체 레벨 센서(40)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액체 레벨 센서(40)는 덮개(12) 또는 브루잉 컵(13)에 설치되어, 브루잉 컵(13) 내의 액체 레벨을 측정하며, 온도 센서는 덮개(12) 또는 브루잉 컵(13)에 설치되어 브루잉 컵(13) 내의 액체 온도를 측정하고; 액체 가열 용기는 액체 레벨 센서(40)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및 공기 펌프(30)와 전기적 연결되거나 신호 연결되어 액체 레벨과 액체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공기 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0)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11 , the liquid heating vessel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quid level sensor 40 and a temperature sensor, the liquid level sensor 40 being connected to the lid 12 or the brewing cup ( 13) to measure the liquid level in the brewing cup 13, and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lid 12 or the brewing cup 13 to measure the liquid temperature in the brewing cup 13; The liquid heating vessel is electrically or signal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sensor 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air pump 30,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30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and the liquid temperature. (50) is further included.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40)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성하고, 제어기(50)와 결합하여 공기 펌프(30)의 자동화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액체 레벨과 액체 온도의 차원에서 제어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음료의 브루잉 효과를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액체 레벨이 너무 높다는 것은 액체가 기체 통로로 들어가 공기 펌프(30)로 흡입될 위험이 있어 공기 펌프(30)를 손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제어기(50)에 미리 대응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데, 제어기(50)가 액체 레벨 센서(40)에서 측정되는 액체 레벨이 일정한 경고값을 초과한 것으로 확정할 경우, 공기 펌프(30)의 배기 모드를 실행하여, 액체 레벨을 신속하게 낮추어 공기 펌프(30)를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액체 온도는 브루잉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특히 일부 재료는 브루잉 온도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 범위 요구가 있으며, 예를 들어 액체 온도가 94 ℃ 이상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때 마찬가지로 제어기(50)에 미리 대응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기(50)가 온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액체 온도가 미리 저장된 온도 범위의 하한을 벗어난 것으로 확정할 경우, 공기 펌프(30)의 배기 모드와 흡기 모드를 선후적으로 실행하여 저온 액체를 배제하고 온도 요구를 총족시키는 액체를 다시 흡입할 수 있어 브루잉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센서가 덮개(12)에 설치될 경우, 유선 센서(이때 제어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 또는 무선 센서(이때 제어기(50)와 신호로 연결됨)를 선택할 수 있고, 센서가 브루잉 컵(13)에 설치될 경우, 무선 센서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기 펌프(30)와 제어기(50)는 유선의 전기적 연결을 사용할 수 있고, 무선의 신호 연결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하게, 또한 용기 본체(11) 내의 액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기 본체(11)의 외부 바닥벽에 설치하고 그 측정 결과를 결합하여 용기 본체(11)에 대한 가열을 제어함으로써, 용기 본체(11) 내의 액체 온도를 브루잉에 필요되는 온도 범위 내에 유지하고, 물론 상기 온도 범위의 상한보다 조금 높혀 브루잉 컵(13)에서 용기 본체(11)로 배출되는 저온 액체와 용기 본체(11) 내의 고온 액체가 혼합된 후 브루잉에 적합한 온도로 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온도 센서는 마찬가지로 제어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신호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sensor 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further configured, and combined with the controller 50 to realize automated control of the air pump 30, thereby controlling the liquid level and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t can ensure precision and improve the brewing effect of beverages. Specifically, a liquid level that is too high means that there is a risk that liquid will enter the gas passage and be sucked into the air pump 30, possibly damaging the air pump 30. At this time, a corresponding control program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50 in advance. When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liquid level measured by the liquid level sensor 40 exceeds a predetermined warning value, the air pump 30 By executing the exhaust mode of , the liquid level can be quickly lowered to achieve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air pump 30 . Liquid temperature can affect the brewing effect, in particular some materials have relatively precise range requirements for the brewing temperature, for example the liquid temperature must be maintained above 94°C. At this time, similarly, a control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50 may be input in advance, and when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that the liqui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out of the lower limit of the pre-stored temperature range, the air pump 30 Exhaust mode and intake mode can be implemented sequentially to exclude low-temperature liquid and re-intake liquid that meets the temperature requirement to ensure the brewing effect. What can be understood is that when the sensor is installed on the cover 12, a wired sensor (at this tim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or a wireless sensor (at this tim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by signal) can be selected, and the sensor When installed in the brewing cup 13, a wireless sensor can be selected. Similarly, the air pump 30 and the controller 50 may use a wired electrical connection or a wireless signal connection. Optionally,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11 can be further configured, for example, by installing it on the outer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11 and combining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ainer body 11 )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in the vessel body 11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required for brewing, of course slightly above the upper limit of the temperature range, from the brewing cup 13 to the vessel body 11. After the discharged low-temperature liquid and the high-temperature liquid in the container body 11 are mixed, a temperature suitable for brewing may be achieved.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 or connected by a signal.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레벨 센서(40)와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덮개(12)에 설치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11 ,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sensor 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lid 12 .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40) 및/또는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구체적으로 센서를 덮개(12)에 설치하는 것은, 덮개(12) 내부의 공간을 빌려 센서의 부분적 구조를 은폐 및 보호할 수 있고, 외형이 미관적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센서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데 도움되며 동시에 브루잉 컵(13)의 구조를 단순화하는데 도움된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liquid level sensor 40 and/or the temperature sensor are installed, specifically installing the sensor on the cover 12 takes up space inside the cover 12 to conceal and conceal a partial structure of the sensor. Not only can it protect and make the appearance aesthetic, but it also helps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sensor and at the same time help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brewing cup (13).

일부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40)와 온도 센서는 일체로 통합된다.In some embodiments, liquid level sensor 40 and temperature sensor are integrally integrated.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40)와 온도 센서가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 통합형의 센서 구조를 선택할 수 있어 부품 수를 감소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구조의 단순화에 도움되고 제품의 장착 효율을 향상시킨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liquid level sensor 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 integrated sensor structure can be select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help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and improve the mounting efficiency of the product.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가열 용기는 용기 본체(11) 또는 베이스(20) 내에 설치되어 가열 용기 본체(11)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60)를 더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FIG. 11 , the liquid heating vessel further includes a heating device 60 installed in the vessel body 11 or base 20 to heat the heating vessel body 11 .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열 용기 본체(11)의 액체 가열 장치(60)를 더 구성하여 스스로 가열을 구현할 수 있어, 한편으로는 별도의 가열 장치를 빌릴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일정한 측정 데이터 및 제어 책략을 결합하여 자동화 제어를 구현할 수 있어 음료 브루잉 효과 향상에 도움된다. 액체 가열 장치(60)는 구체적으로 용기 본체(11)의 저부 겹층 내에 설치되고 본체(111)와 밀접 접촉하여 본체(111)에 대한 직접 가열을 구현할 수 있고, 베이스(20) 내에 설치될 경우 용기 본체 어셈블리(10)의 무게를 줄이는데 도움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quid heating device 60 of the heating container body 11 can be further configured to realize heating by itself, on the one hand, there is no need to borrow a separate heating device,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other On the one hand, automation control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certain measurement data and control schemes, which helps improve beverage brewing effect. The liquid heating device 60 is specifically installed in the bottom layer of the container body 11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111 to realize direct heating of the body 111, when installed in the base 20 container It may also help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assembly 10 .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에 있어서,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여전히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still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claims.

도 1:
11': 용기 본체; 12': 덮개; 13': 브루잉 컵.
도 2 내지 도 11:
10: 용기 본체 어셈블리; 11: 용기 본체; 111: 본체; 112: 용기 덮개; 12: 덮개; 13: 브루잉 컵; 131: 흡액 튜브; 132: 여과망; 14: 제1 공기 튜브; 15: 제2 공기 튜브; 16: 통기 상부 커넥터;
20: 베이스; 21: 통기 하부 커넥터;
30: 공기 펌프; 31: 흡기 펌프; 32: 배기 펌프; 321: 체크 밸브;
40: 액체 레벨 센서;
50: 제어기;
60: 액체 가열 장치.
Figure 1:
11': container body; 12': cover; 13': Brewing Cup.
Figures 2 to 11:
10: container body assembly; 11: container body; 111: main body; 112 container cover; 12: cover; 13: brewing cup; 131: suction tube; 132: filter net; 14: first air tube; 15: second air tube; 16: vent upper connector;
20: base; 21: ventilation lower connector;
30: air pump; 31: intake pump; 32: exhaust pump; 321: check valve;
40: liquid level sensor;
50: controller;
60: liquid heating device.

Claims (9)

액체 가열 용기로서,
용기 본체(11), 덮개(12), 브루잉 컵(13)을 포함하고, 상기 브루잉 컵(13)은 상기 용기 본체(11) 내에 위치하며 상기 덮개(12)와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결되고, 상기 브루잉 컵(13)에는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측 바닥벽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 튜브(131)가 설치되어 상기 브루잉 컵(13)이 상기 용기 본체(11)와 연통되도록 하는 용기 본체 어셈블리(10);
상기 용기 본체 어셈블리(10)를 탑재하기 위한 베이스(20); 및
상기 브루잉 컵(13)과 모두 연통될 수 있는 흡기 펌프(31)와 배기 펌프(32)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11) 및/또는 상기 베이스(20) 내에 설치되는 공기 펌프(30)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 가열 용기는 액체 레벨 센서(40)와 온도 센서 중 적어고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레벨 센서(40)는 상기 덮개(12) 또는 상기 브루잉 컵(13)에 설치되어 상기 브루잉 컵(13) 내의 액체 레벨을 측정하며,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덮개(12) 또는 상기 브루잉 컵(13)에 설치되어 상기 브루잉 컵(13) 내의 액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액체 가열 용기는 상기 액체 레벨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공기 펌프(30)와 전기적 연결되거나 신호 연결되어 상기 액체 레벨과 상기 액체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공기 펌프(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s a liquid heating vessel,
It includes a container body 11, a cover 12, and a brewing cup 13, wherein the brewing cup 13 is located in the container body 11 and is detachably sealed and connected to the cover 12 In the brewing cup 13, a liquid absorption tube 131 extending toward the inner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body 11 is installed so that the brewing cup 13 communicates with the container body 11. body assembly 10;
a base 20 for mounting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and
An air pump 30 including an intake pump 31 and an exhaust pump 32 that can communicate with both the brewing cup 13 and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body 11 and/or the base 20 includes;
The liquid heating container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liquid level sensor 40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liquid level sensor 40 is installed on the lid 12 or the brewing cup 13 to measure the liquid level in the cup 13,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lid 12 or the brewing cup 13 to measure the liquid temperature in the brewing cup 13;
The liquid heating vessel is electrically or signal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air pump 30 so that the air pump 30 operat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and the liquid temperature. A liquid he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ler (50) for control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펌프(31)와 상기 배기 펌프(32)는 동일한 공기 튜브를 통해 상기 브루잉 컵(13)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he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communicate with the brewing cup (13) through the same air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어셈블리(10)는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되는 제1 공기 튜브(14)와 제2 공기 튜브(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튜브(14)는 상기 용기 본체(11)의 측벽 겹층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펌프(30)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기 튜브(15)는 상기 덮개(12) 내에 설치되며 상기 브루잉 컵(13)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further includes a first air tube 14 and a second air tube 15 detachably in sealing communication, and the first air tube 14 is of the container body 11. Liquid hea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layer of the side wall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air pump (30), and the second air tube (15) is installed in the cover (12) and communicates with the brewing cup (13) cou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펌프(31)와 상기 배기 펌프(32)는 모두 상기 베이스(20)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he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are installed in the base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에는 상기 흡기 펌프(31)와 상기 배기 펌프(32)를 동시에 연통하는 통기 하부 커넥터(21)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 어셈블리(10)는 상기 브루잉 컵(13)과 연통될 수 있는 통기 상부 커넥터(16)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 하부 커넥터(21)와 상기 통기 상부 커넥터(16)는 탈착 가능하게 실링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claim 4,
A ventilation lower connector 21 is installed in the base 20 to simultaneously communicate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and the container body assembly 10 communicates with the brewing cup 13. and a ventilation upper connector (16), wherein the ventilation lower connector (21) and the ventilation upper connector (16) are detachably in sealing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 센서(40)와 상기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덮개(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liquid he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liquid level sensor (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lid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레벨 센서(40)와 상기 온도 센서는 일체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he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level sensor (40)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integrally integrate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펌프(32)의 공기 유입구에는 체크 밸브(3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liquid he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a check valve (321) is installed at the air inlet of the exhaust pump (3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펌프(31)와 상기 배기 펌프(32)는 다이어프램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가열 용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liquid heating vesse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ake pump (31) and the exhaust pump (32) are diaphragm pumps.
KR1020220030529A 2021-09-29 2022-03-11 Liquid heating container KR2023004618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390310.7 2021-09-29
CN202122390310.7U CN217090339U (en) 2021-09-29 2021-09-29 Liquid heating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85A true KR20230046185A (en) 2023-04-05

Family

ID=8257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529A KR20230046185A (en) 2021-09-29 2022-03-11 Liquid heating contai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50073A (en)
KR (1) KR20230046185A (en)
CN (1) CN217090339U (en)
FR (1) FR312738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2022013914A1 (en) * 2022-09-29 2023-10-19 Alejandro David Arduh Coffee maker with degassing and extraction in the presence of vacu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090339U (en) 2022-08-02
JP2023050073A (en) 2023-04-10
FR3127381A1 (en)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66410A (en) Rice cooker of reki rice
KR20230046185A (en) Liquid heating container
US20240148171A1 (en) Beverage brewing pot
CN105852658B (en) A kind of steam valve valve body, steam valve and electric cooker with it
KR20120036438A (en)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EP1797798A1 (en) Two-in-one steam and roast cooker
CN212912906U (en) Use and experience good steam and fry pot
CN207285883U (en) Steam valve module, lid and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apparatus
CN108451338B (en) Upper cover assembly for cooking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electric cooker
CN215914157U (en) Liquid heating container
CN111281161A (en) Steam valve and cooking utensil
KR20210110749A (en) cookware
CN216090086U (en) Container and beverage brewing device
CN107095570B (en) Multifunctional intelligent electric cooker
CN215914158U (en) Container and beverage brewing device
WO2020238003A1 (en) Cooking utensil and cooking accessory thereof
CN214548809U (en) Anti-overflow electric rice cooker
CN216534939U (en) Beverage brewing equipment
CN217827568U (en) Air fryer with steam humidification function
CN219479788U (en) Drainable pot body of electric cooker
CN220192740U (en) Novel multifunctional electric cooker
CN216416830U (en) Liquid heating container
CN219125957U (en) Electric cooker
CN112006518B (en) Cooking appliance and cook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CN215686774U (en) Cup cover structure and electric heating water cup with same